KR102213045B1 - 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Google Patents
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3045B1 KR102213045B1 KR1020180159977A KR20180159977A KR102213045B1 KR 102213045 B1 KR102213045 B1 KR 102213045B1 KR 1020180159977 A KR1020180159977 A KR 1020180159977A KR 20180159977 A KR20180159977 A KR 20180159977A KR 102213045 B1 KR102213045 B1 KR 102213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rve
- surgery
- insertion tube
- tubular retractor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 A61B2017/0262—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with a provision for protecting ner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8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inside
- A61B2017/3484—Anchoring means, e.g. spreading-out umbrella-like structure
- A61B2017/3488—Fixation to inner organ or inner 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침습적으로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하는 삽입관; 및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는 신경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implemented to insert surgical instruments into the body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and is inserted into a patient's body through a micro-resected space and requires surgery through the internal space. An insertion tube forming a round tube shape with one side open by bending inwardly until both wing portions face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surgical equipment can be inserted to the affected area; And a nerve support that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insertion tube so as to prevent the nerve from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during surgery to support the nerve to the outer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침습적으로 작은 수술창 내로 견인기를 삽입한 후 외과용 수술기구를 신체 내부의 수술이 필요한 환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and more specifically, microinvasive surgery implemented to insert the retractor into a small operating window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and then insert the surgical instrument into the affected area in need of surgery. It relates to a dragon tubular retractor.
외과수술은 신체조직을 손상시키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시경이나 수술현미경 등으로 수술부위를 보면서 시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은 수술창을 만든 후, 점차적으로 안쪽 내부의 수술부위를 확장하기 위해 원통형 확장기(dilator) 및 견인장치를 이용한다.In order to minimize the degree of damage to the body tissues, surgery is generally performed while viewing the surgical site with an endoscope or a surgical microscope. To do this, after making a small operating window, a cylindrical dilator and a traction device are used to gradually expand the inner surgical site.
예를 들어, 퇴행성 추간반 질환(DDD, disc degenerative diseases)이나 척추강 협착증(spinal stenosis),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등과 같은 퇴행성 척추질환은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데, 상기 수술적 치료는 먼저 감압(decompression)을 한 뒤 골유합(fusion, ALIF, PLIF 또는 posterolateral fusion)을 하고, 상기 골유합이 종료된 후 척추를 고정시키는 고정술을 하게 된다.For example,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such as disc degenerative diseases (DDD), spinal stenosis, and spondylolisthesis require surgical treatment if there is no improvement in conservative treatment. , In the surgical treatment, first decompression is performed, then bone union (fusion, ALIF, PLIF, or posterolateral fusion) is performed, and after the bone union is terminated, a fixation to fix the spine is performed.
이때, 상기 수술 과정 중 일부의 경우 감압만 하거나 골유합술까지만 시술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고정술까지 하게 된다.In this case, in some cases of the surgical procedure, only decompression or bone fusion is performed, but in most cases, fixation is performed.
한편, 척추를 고정시키는 일반적인 수술방법은, 등의 중심선(midline)에 약 7 내지 13cm 정도로 절개(incision)한 다음, 배근(back muscle)의 가운데에서 극돌기(spinous process)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박리하여 견인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surgical method of fixing the spine is to make an incision about 7 to 13 cm in the midline of the back, and then detach from the center of the back muscle to both sides around the spinous process. Towing.
이러한 경우 상기 박리는, 후관절의 외곽 부분까지 노출되도록 박리하여 견인한다.In this case, the detachment is pulled by detaching so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posterior joint is exposed.
그 다음, 상기 박리 후 척추경 입구를 찾아 통상 척추경 스크류(pedicle screw)라고 지칭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장치의 고정부재('척추경 나사못'이라 지칭하기도 함)를 삽입하여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다.Then, after the detachment, a fixation member of a spinal fixation device (sometimes referred to as a'spine screw') including a screw commonly referred to as a pedicle screw is inserted to perform spinal fixation by finding the entrance to the pedicle. do.
현재까지 이러한 수술은 용이한 수술을 위해 큰 수술창을 필요로 하므로, 척추 고정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등을 적어도 10 내지 15cm 절개한 후 척추유지에 중요한 배근(back muscle)을 자르거나 손상시키기 때문에 수술 후 환자의 회복이 늦고 통증에 시달리는 문제점 등이 있다.Until now, such surgery requires a large operating window for easy surgery, so in order to use a spinal fixation device, the patient's back is incised at least 10 to 15 cm, and the back muscle, which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spine, is cut or damaged. After surgery, the patient's recovery is slow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suffering from pain.
최근 들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은 수술창으로 척추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침습적인 수술방법이 척추수술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spinal surgery with a small operating window has been applied to spinal surgery.
여기서, 최소침습적인 수술방법이란,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술부위에 작은 상처를 낸 후 상기 상처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척추 고정장치의 고정부재를 척추에 고정한 후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를 특수한 기구로 연결하는 수술 방법 또는 상기 상처부위에 점진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형 확장기를 삽입한 후, 상기 원통형 확장기가 삽입된 부위에 근육을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치를 삽입하여 근육을 견인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하고,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내시경 또는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척추 고정장치의 고정부재가 삽입될 척추경의 위치를 찾은 다음, 척추 고정장치를 척추에 고정시키는 수술방법을 의미한다.Here, th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ethod refers to a surgical method using an endoscope, and a fixing member of at least two spinal fixation devices by using a navigation system through the wound after making a small wound on the surgical site After fixing the spine to the spine, a surgical method of connecting each of the fixing members with a special instrument, or inserting a cylindrical expander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the wound area, and then pulling the muscle to the area where the cylindrical expander is inserted. By inserting a traction device to traction the muscles,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and in a state where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use an endoscope or microscope to find the position of the pedicle into which the fixation member of the spine fixation device will be inserted, and then fix the spine fixation device to the spine. It means the method of surgery to let.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최소침습적인 수술방법에서 사용되는 견인장치의 경우, 단순히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수술부위에서의 시야 확보 및 위치 고정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raction device used in such a conventional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ethod,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imply cylindrical and made of an opaque material,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 field of view and fix the position at the surgical site.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기존의 일반적인 견인기를 통해 삽입할 수 없었던 추간 케이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that enables insertion of an intervertebral cage that could not be inserted through a conventional retractor, and enables micro-resected body parts or nerve locations to be visually confirmed. do.
또한,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척추에 고정되어 수술 중 견인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implemented to prevent nerves from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during surgery, and is fixed to the spine to prevent the retractor from moving during surger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는,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하는 삽입관; 및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는 신경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wing portions to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micro-resected space to insert surgical equipment to the affected area requiring surgery through the internal space. An insertion tube that is bent in an inward direction until they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round tube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a nerve support that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insertion tube so as to prevent the nerve from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during surgery to support the nerve to the outer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환자의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 신체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may include a locking jaw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prevent being pushed out of the body by pressure of the patient's body tissue when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신경 지지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jaw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nerve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은,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locking jaw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 및 상기 신경 지지대는,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and the nerve supporte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finely excised body part or a position of a nerve can be identifi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양측 날개 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while going from the center portion toward both wing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삽입홀; 및 상기 핀삽입홀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일측이 상기 핀삽입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삽입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a pi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nerve support is extended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end; And a fixing pin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one side is fastened to the pin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n insertion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bone of the pati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삽입홀은, 상기 고정핀의 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i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obliquely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경 지지대는, 말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rve support may include a tapere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which the thickness decreases while going to the distal e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which the nerve support is extend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신경 훼손 등의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f the finely excised body part or nerve, so that medical accidents such as nerve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surger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거나, 견인기가 수술 중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술의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rve from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during surgery or the retractor from moving during the surgery, thereby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surg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of FIG. 1.
4 is a view of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of FIG. 4.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1 is a view of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는,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삽입관(100)은, 최소침습적으로 미세 절제된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부까지 수술 장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 부분이 기 설정된 간격(약 7mm 내지 11mm, 예를 들어 9mm 등)을 두고 서로 대향할 때까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일측이 개방된 둥근 관 형태를 형성되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신경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된다.The
본 발명에서 '최소침습적'이라 함은, 수술부위에 대한 손상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환자의 수술부위에 약 10 내지 30㎜ 정도의 수술창을 만든 후, 점차적으로 안쪽 내부의 수술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원통형 확장기를 삽입한 다음, 원통형 확장기가 삽입된 부위에 본 발명을 삽입하여 수술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minimum invasive' means minimizing the degree of damage to the surgical site, and after creating an operating window of about 10 to 30 mm on the patient's surgical site, the internal surgical site is gradually After inserting a cylindrical dilator for expan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cylindrical dilator is inserted to minimize damage to the surgical site.
기존의 확장형 케이지(척추체간에 삽입되어 척추체간의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확장시켜 주는 장치)는, 일반적인 견인기의 내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견인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환자의 척추체간으로 삽입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Existing expandable cages (devices that are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to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vertebral bod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vertebral bodies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retractor as it is formed with a siz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a general retractor. It had the disadvantage of not having i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삽입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자신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확장형 케이지의 경우에도, 확장형 케이지의 일부를 개방된 공간을 이용하여 삽입하도록 하여 기존의 견인기가 할 수 없었던 확장형 케이지 삽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일 실시예에서, 삽입관(100)은, 삽입되는 환부의 깊이 또는 절제된 공간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 또는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미세침습수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인기의 규격에 대응하여 길이가 약 65mm 내지 75mm, 예를 들어 70mm, 외경이 약 13mm 내지 19mm, 예를 들어 16mm, 약 내경이 11mm 내지 15mm, 예를 들어 13mm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삽입관(100)은, 중심 부분으로부터 양측 날개 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후 신체조직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도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양측 날개 부분이 신체조직의 압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수축되어 신체조직의 압력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삽입관(100)은, 절제된 환자의 신체부로의 삽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신경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예를 들어, 삽입관(100)의 일단의 외경이 상술한 바와 같이 16mm라고 할 경우, 타단의 외경이 13mm로 제작되는 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2를 참조하면, 삽입관(100)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환자의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 신체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110)은, 신경 지지대(20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원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잘라서 생기는 두 입체도형 중 원뿔의 꼭짓점을 포함하지 않는 쪽의 것과 잘린 면으로 이루어지는 도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후 신체조직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술 도중 신체 밖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이에 따라, 삽입관(100)는, 클립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 장치를 구비하지가 아니하고도, 걸림턱(110)에 의해 환자의 신체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수술 도중 환자의 신체 밖으로 밀려 나와 수술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110)은, 수술의 종류 또는 삽입되는 신체 분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간격(약 10mm 내지 14mm, 예를 들어 12mm 등)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locking
도 2에서는 걸림턱(110)이 3 개 형성되었으나, 수술의 종류 또는 삽입되는 신체 분위에 대응하여 3 개보다 적거나, 3 개보다 많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FIG. 2, three locking
즉, 근육이 많아 삽입관(100)으로 강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신체부위의 경우에는 4 개 내지 5 개 형성되는 반면, 근육이 많지 않아 삽입관(100)으로 작은 압력만이 가해질 수 있는 신체부위의 경우에는 1 개 내지 2 개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body part where strong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신경 지지대(200)는,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한다.The
일 실시예에서, 신경 지지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이 위치하는 곳까지 충분히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의 단부로부터 약 45mm 내지 55mm, 예를 들어 50mm로 제작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2를 참조하면, 신경 지지대(200)는, 말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예를 들어, 신경 지지대(200)의 두께가 3.5mm라고 할 경우, 단부의 말단의 두께가 2.5mm로 형성되는 등)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10)를 포함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퍼부(210)에 신경을 거치하여 신경이 수술 도중 움직이거나 수술 중인 환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종래의 척추 수술의 경우, 견인장치를 통해 환부로 현미경 등의 수술 장비를 삽입하여 수술하는 도중 척추를 지나는 신경이 수술 중인 환부로 접근하여 수술을 방해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spinal surgery, surgical equipment such as a microscope is inserted into the affected area through a traction device, and during the operation, nerves passing through the spine approach the affected area in operation, thereby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신경 지지대(200)를 이용하여, 수술 중인 환부에 신경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함으로써, 수술이 예상치 못하게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기존의 미세침습수술용 견인기는, 불투명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등) 제작됨에 따라 수술 중인 부위를 수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견인기 자체가 지탱하고 있는 신체조직 역시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어 수술 도중 신체조직의 상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Existing retractors for microinvasive surgery were made of opaque materials (e.g., stainless steel, etc.), making it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area being operated, and the body tissue supported by the retractor itself was also visible with the naked eye.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so it wa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in the state of the body tissues during surgery.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의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는,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존 미세침습수술용 견인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은, 인체에 무해하고 강도가 높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무엇이든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투명한 재질의 신경 지지대(200)를 이용하여 신경의 위치 판독을 용이하도록 하고, 수술 도중 신경이 수술 중인 환부로 접근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ad the position of the nerve by us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10)는, 일반적으로 외과수술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소침습적인 수술에 이용되어 수술부위의 시야확보 및 위치고정 등이 용이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퇴행성 추간반 질환, 척추강 협착증 또는 척추전방전위증 등과 같은 퇴행성 척추질환 및 척추외상 등의 모든 척추질환에 관련된 수술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의 도면이다.4 is a view of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20)는,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관(100)의 걸림턱(110) 및 신경 지지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4, a
삽입관(100)은, 핀삽입홀(120) 및 고정핀(130)을 더 포함한다.The
핀삽입홀(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중심 부분(즉, 삽입관(100)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신경 지지대(200)가 연장 형성된 타단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고정핀(130)의 두께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The
일 실시예에서, 핀삽입홀(120)은, 고정핀(130)의 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의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고정핀(130)은, 핀삽입홀(120)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일측이 핀삽입홀(120)에 체결되고, 타측이 핀삽입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뼈에 삽입 체결된다.As the fixing
본 발명의 신경 지지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 손상의 염려가 없는 부분을 향하도록(즉, 신경 지지대(200)가 형성되지 아니한 삽입관(100)의 일측이 신경 방향에 위치하도록) 삽입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관(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신경 지지대(2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면, 핀삽입홀(120)을 통해 고정핀(130)이 삽입된 후 환자의 척추 주변의 뼈, 근육 또는 피부 조직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삽입관(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20)는, 수술이 필요한 환부로 고정 와이어 및 연속 확장기(serial dilation)를 삽입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삽입관(100) 및 신경 지지대(200)의 삽입 및 회전, 고정핀(130)의 체결 과정 후, 연속 확장기를 환부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기존의 견인장치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지 못하였는바, 환자의 신체로 삽입된 후에도 환부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절제된 환자의 신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수술 도중 환자의 신체 내에서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등 수술자의 의도와 달리 움직이는 경우가 있었다.Existing traction devices do not have a separate fixing device, so they are not fixed to the affected part eve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and they come out of the resected patient's body or unintentionally rotate within the patient's body during surgery. There were cases of moving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such as doing so.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삽입관(100)은, 고정핀(130)을 통해 환자의 환부에 고정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견인장치에서 발생되던 의도치 않은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it is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can understand.
100: 삽입관
110: 걸림턱
120: 핀삽입홀
130: 고정핀
200: 신경 지지대
210: 테이퍼부100: insertion tube
110: stopping jaw
120: pin insertion hole
130: fixing pin
200: nerve support
210: tapered portion
Claims (10)
수술 중인 환부로 신경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 면으로 신경을 지지하는 신경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관은,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핀삽입홀; 및
상기 핀삽입홀을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일측이 상기 핀삽입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핀삽입홀의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뼈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삽입홀은,
상기 고정핀의 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일단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Both wing portions are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until they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surgical equipmen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micro-resected space into the patient's body through the internal space to the affected area requiring surgery. Insertion tube forming an open round tube shape; And
It includes a nerve support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insertion tube to support the nerve to the lateral surface so as to prevent the nerve from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under surgery,
The insertion tube,
A pi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nerve support extend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And
One side is fastened to the pin insertion hole while being inserted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n insertion hole and includes a fixing pin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bone of the patient,
The pin insertion hole,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which is formed obliquely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of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i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환자의 신체 조직의 압력에 의해 신체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tube,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including a locking jaw protru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being pushed out of the body by the pressure of the patient's body tissue when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상기 신경 지지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jaw,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which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nerve support.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jaw,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which is formed in plur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삽입관 및 상기 신경 지지대는, 미세 절제된 신체 부위 또는 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ion tube and the nerve support,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onfirm the position of a finely excised body part or nerve.
중심 부분으로부터 양측 날개 방향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tube,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which is formed to be thinner while going from the center to both wings.
말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erve support,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including a tapered portion formed at an end that becomes thinner while going to the end.
일단으로부터 상기 신경 지지대가 연장 형성된 타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미세침습수술용 관형 견인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tube,
A tubular retractor for microinvasive surgery, which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while go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nerve suppor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9977A KR102213045B1 (en) | 2018-12-12 | 2018-12-12 | 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9977A KR102213045B1 (en) | 2018-12-12 | 2018-12-12 | 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72141A KR20200072141A (en) | 2020-06-22 |
| KR102213045B1 true KR102213045B1 (en) | 2021-02-05 |
Family
ID=711422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59977A Expired - Fee Related KR102213045B1 (en) | 2018-12-12 | 2018-12-12 | 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30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39622B (en) * | 2020-07-27 | 2025-01-03 | 广州中医药大学第一附属医院 | A nerve retractor |
| CN112754680A (en) * | 2021-02-01 | 2021-05-07 | 马雪峰 | Nerve protector for posterior vertebral edge separation operation |
| KR20220166741A (en) * | 2021-06-10 | 2022-12-1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Endoscope surgery path secure equipment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45693Y1 (en) * | 2007-07-12 | 2009-08-26 | 이명수 | Endoscopic trocar |
| CN102370502A (en) * | 2010-08-24 | 2012-03-14 | 思邦科技脊柱智慧集团股份公司 | System for distracting an intervertebral disc spac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772661A (en) * | 1988-06-13 | 1998-06-30 | Michelson; Gary Karlin |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the surgical correction of human thoracic and lumbar spinal disease from the antero-lateral aspect of the spine |
| KR100589967B1 (en) | 2002-02-04 | 2006-06-15 |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 3-amino-6-methyl-indazole derivatives used as anticancer agents |
| KR200360581Y1 (en) | 2004-06-15 | 2004-08-30 | 장태안 | Retractor For Inserting Surgical Instrument into the Body |
| EP1922000A4 (en) * | 2005-08-09 | 2009-10-28 | Trans1 Inc | Exchange system for axial spinal procedures |
-
2018
- 2018-12-12 KR KR1020180159977A patent/KR1022130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45693Y1 (en) * | 2007-07-12 | 2009-08-26 | 이명수 | Endoscopic trocar |
| CN102370502A (en) * | 2010-08-24 | 2012-03-14 | 思邦科技脊柱智慧集团股份公司 | System for distracting an intervertebral disc spa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72141A (en) | 2020-06-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52013B2 (en) | Expandable surgical access device and methods of use | |
| US9055936B2 (en) | Over dilation | |
| US10653443B2 (en) | Access assembly for anterior and lateral spinal procedures | |
| KR100499559B1 (en) | A Dynamic Spinal Fixation Device | |
| US8834507B2 (en) | Dilation instruments and methods | |
| US9211140B2 (en) | Dynamically expandable cannula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surgical procedures employing same | |
| US9795771B2 (en) | Expandable spinal access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 |
| US8992579B1 (en) | Lateral fixation constructs and related methods | |
| US8303496B2 (en) |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elective tissue retraction through a retractor sleeve | |
| US20120022575A1 (en) | Laterally expanding surgical dilator | |
| US20060030858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retracting tissu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 WO2006115955A1 (en) |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elective tissue retraction through a retractor sleeve | |
| CN103025275B (en) | Intraspinal device deployed percutaneously in the subarachnoid or intradural space of the spinal canal to protect the spinal cord from external compression | |
| JP2003102741A (en) | Bone preparation instrument and preparation method | |
| KR102213045B1 (en) | Tubular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 US20180289363A1 (en) | Surgical access system, devices thereof,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 WO2002076351A1 (en) | Intervertebral space implant for use in spinal fusion procedures | |
| US10390968B2 (en) | Device for spinal surgery, corresponding guide sleeve and kit with guide sleeve | |
| ES2976038T3 (en) | Bone anchor implant with facilitated extraction | |
| JP7545994B2 (en) | Surgical instruments | |
| KR200360581Y1 (en) | Retractor For Inserting Surgical Instrument into the Body | |
| CN108135625B (en) | Access Components for Anterior and Lateral Spine Surgery | |
| JP2025533056A (en) | Retractor system for spinal surgery | |
| US20120022570A1 (en) | Dilation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