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66B1 - Eye drops container - Google Patents
Eye drops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5866B1 KR102225866B1 KR1020200098253A KR20200098253A KR102225866B1 KR 102225866 B1 KR102225866 B1 KR 102225866B1 KR 1020200098253 A KR1020200098253 A KR 1020200098253A KR 20200098253 A KR20200098253 A KR 20200098253A KR 102225866 B1 KR102225866 B1 KR 1022258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support surface
- container
- eye drops
- ey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내부에 안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안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와,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용기 몸체의 중심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단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측단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한 만곡면을 포함한다.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eye drops therein, a discharge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eye drops to the outside, and the container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support surface contacting the skin of the patient's eyeball when administering eye drops,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upport surface Has a side end support surface contacting the skin of the outer canthal angl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container body an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body, and at least a part of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ncludes a concave curved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안구에 안약을 쉽고 안전하게 넣을 수 있는 안약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 drop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ye drop container that can easily and safely put eye drops into the eye of a patient.
안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안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눈에 액체로 된 약물을 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눈은 각막 반사(corneal reflex)가 있어 자극을 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눈꺼풀을 깜박이게 되므로 안약 용기를 들고 눈 바로 위에서 주입하려고 하는 경우 각막 반사와 두려움으로 효과적으로 안약을 넣기 어렵게 된다. 또한, 안약을 떨어뜨리는 순간 눈꺼풀을 닫게 되는 경우에는 안약이 안구에 충분히 들어가지 않고 안구 밖으로 흐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안약 점안에 능숙한 의료진의 경우 환자의 눈꺼풀을 위아래로 당기면서 주입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하측 결막낭에 안약을 점안하지 못하여 안약을 안구 밖으로 흘리는 등 비효율적으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Patients with eye diseases are injected with liquid drugs into their eyes to treat eye diseases. However, since the eye has a corneal reflex, the eyelid blinks automatically when irritated, so if you try to inject the eye drop directly above the eye with an eye drop container, it is difficult to put eye drops effectively due to corneal reflex and fear. In addition, if the eyelid is closed at the moment the eye drops are dropped, the eye drops do not sufficiently enter the eyeball and flow out of the eyeball occurs. Doctors who are proficient in eye drops may inject while pulling the patient's eyelid up and down, but most of the patients inject them inefficiently, such as dropping eye drops out of the eyeball because they are unable to instill eye drops into the lower conjunctival sac.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25526호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돌출된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하 눈꺼풀을 고정한 상태에서 안약을 투여할 수 있는 안약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안약 용기의 경우 한 쌍의 지지대를 안구 상하의 눈꺼풀에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어렵고 안약 용기를 안구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야 한다는 점에서 환자 스스로 안약 용기를 잡고 투여하기에는 많은 조작의 어려움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5526 discloses an eye drop container capable of administering eye drops while fixing the upper and lower eyelids using a pair of protruding suppor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eye drop contain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lace a pair of supports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the eyeball, and in that the eye drop container must be vertically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eye, it is difficult to hold and administer the eye drop container by the patien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지지면을 이용하여 환자 혼자서 쉽게 안약을 투약할 수 있는 안약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deta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ye drop container in which eye drops can be easily administered by a patient alone by using a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outer canth of the ey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내부에 안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안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와,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용기 몸체의 중심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단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측단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한 만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ye drops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es the eye drops to the outside. A discharging part and a suppor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support surface contacting the skin of the patient's eyeball when administering eye drops, and th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the support surface has a side end support surface contacting the skin of the outer canal angl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container body an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body,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may include a concave curv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길이 중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d1)는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d1 of the portion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among the lengths in which the support part protrudes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5mm to 20m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d2)은 3mm 내지 10mm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d2 of the portion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may be 3mm to 10m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 중 상기 용기 몸체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의 최단 거리(d4)는 20mm 내지 40mm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est distance (d4) from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o the outlet at a point closest to the container body among the portions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is 20 mm to 40 mm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 중 상기 용기 몸체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의 최단 거리(d5)는 5mm 내지 10mm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ortest distance (d5) from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outlet at a point closest to the container body among the portions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is 5 mm to 10 mm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하단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볼록한 만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surface of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support surface that contacts the skin of the outer canthal in the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upport surface includes a convex curved surface. I ca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상기 하단 지지면의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d3)은 3mm 내지 10mm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width d3 of 3mm to 10mm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단부면은 상기 배출부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용기 몸체에 더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of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end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the discharge end surface increases in the second direction toward the container body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discharge part. It may be formed to form an inclined inclined surface to get clos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를 넘어 돌출 형성되고 폭이 10mm 내지 20mm인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of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a width of 10 mm to 20 mm and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상기 지지부의 재질의 경도는 상기 용기 몸체의 재질의 경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support may be greater tha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는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지지면을 이용하여 환자 혼자서 쉽게 안약을 투약할 수 있도록 한다.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atient to easily administer the eye drops by using a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outer canthal angle of the ey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할 때 배출구쪽의 반대편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할 때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할 때 환자가 눈꺼풀을 감았을 때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side when the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when a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viewed from above when the patient closes the eyelid when the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약 용기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100)는 용기 몸체(120)와, 배출부(140)와, 지지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용기 몸체(120)는 내부에 안약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용기 몸체가 원통형인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용기 몸체(120)의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결합부(123)가 형성되며, 결합부(123)에는 배출부(140)가 삽입 및 결합 고정된다. An upper portion of the
배출부(140)는 결합부(123)에 삽입됨으로써 용기 몸체(120)에 결합된다. 배출부(140)는 배출구(150)가 형성된 배출 단부면(1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 관련하여 후술하겠지만 배출 단부면(143)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배출부(140)에는 원형판(147)이 형성되는데, 원형판(147)은 결합부(123)에 삽입 결합되는데 자세한 구조는 도 3 관련하여 후술한다.A
지지부(160)는 용기 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여 안약 용기(100)기 환자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지지부(160)는 배출부(140)가 돌출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62)와,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단 지지면(164) 및 하단 지지면(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100)의 용기 몸체(120)는 내부에 안약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용기 몸체(120)의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결합부(123)의 상부에는 배출부(140)의 삽입 및 결합을 위한 홀(127)이 형성되며, 홀(127)의 상측 둘레에는 배출부(140)의 원형판(140)의 걸림을 위한 홈부(125)가 형성된다. 용기 몸체(120)의 하측에는 지지부(160)와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결합돌기(129)가 형성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3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합부(123)는 용기 몸체(120)에 압박 끼움, 나사선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123)는 용기 몸체(123)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배출부(140)는 용기 몸체(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부(140)의 일단에는 배출구(150)가 형성된 배출 단부면(143)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결합부(123)에 형성된 홀(127)에 삽입되는 삽입부(149)가 형성된다.The
배출부(14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형판(147)이 형성되는데, 원형판(147)은 배출부(140)의 삽입부(149)가 홀(127)에 삽입시에 결합부(123)에 형성된 홈부(125)에 끼워짐으로써 삽입 깊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결합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A
도 3에서 배출부(140)가 결합부(123)에 압박 끼움 형식으로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배출부(140)는 결합부(123)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만약, 배출부(140)가 결합부(123)에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 결합부(123)가 용기 몸체(120)와 별개로 구성되어 나사 결합 또는 압박 끼움 등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배출부(140), 결합부(123) 및 용기 몸체(120)가 모두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3, it is exemplified that the
하지만, 제조 과정에서 안약을 안약 용기(100)에 주입하기 위한 편의를 고려하거나 사용자(환자)가 안약 용기(100) 사용 중에 안약을 보충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배출부(140)가 용기 몸체(120)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123)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거나, 배출부(140) 및 결합부(123)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부(123)가 용기 몸체(120)에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등의 구성이 더 바람직하다.However, considering the convenience for injecting eye drops into the
지지부(160)는 용기 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여 안약 용기(100)가 환자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지지부(160)가 상기 용기 몸체(120)와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한 쌍의 결합홈(169)이 형성되어 용기 몸체(120)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29)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pair of
도 3에서는 결합돌기(129) 및 결합홈(169)간의 결합으로 용기 몸체(120)에 지지부(16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다른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또한, 용기 몸체(120)와 지지부(160)는 도 3에서와 같이 별개로 구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지지부(160)는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역할을 하므로 용기 몸체(120)보다 더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용기 몸체(120)는 내부에 안약을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을 구비하며, 안약 투여시 환자가 손가락으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 눌러 압력을 가하여야 하므로 경도가 비교적 약한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지지부(160)는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역할을 하므로 용기 몸체(160)보다 더 경도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60) 역시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의 내부는 빈 공간 없이 채워지거나 빈 공간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the
지지부(160)는 용기 몸체(120)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용기 몸체(120)의 상단이란 용기를 바닥에 세워 놓았을 때 바닥쪽과 반대쪽을 의미한다.The
지지부(160)는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지지면을 포함한다. 지지면은 지지부(160)가 용기 몸체(120)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방향과 수직이고 용기 몸체(120)의 중심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단 지지면(164)과, 제1 방향으로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하단 지지면(166)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용기 몸체(120)의 중심선은 도 3에서 원통형 형상의 용기 몸체(120)의 원의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배출부(140) 및 용기 몸체(120) 사이의 1점 쇄선의 연장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Here, the center line of the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지지부(160)가 상기 용기 몸체(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중심선과 평행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하여 도 2 기준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다.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지지부(160)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용기 몸체(120)의 상부를 넘어 돌출 형성되고 폭이 10mm 내지 20mm로 형성되는 돌출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할 때 배출구쪽의 반대편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할 때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an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outlet side, and FIG. 6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when the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100)를 사용하여 안약 투여시 안약 용기(100)가 환자의 얼굴에 안착된 상태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도 4와 같이 환자는 안약 용기(100)을 파지하고 안약을 투여할 안구의 가측 피부에 안약 용기(1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출구쪽을 바라보는 쪽에서 도 5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배출구(145)가 안구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환자가 용기 몸체(120)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경우 배출구(145)에서 안약이 떨어져 안약 투여를 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patient can hold the
도 6은 안약 용기(100)가 안와 가측 피부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안구는 두개골 내에 여려 뼈로 둘러 쌓인 안와(orbit)라는 구조물에 둘러 쌓여 있으며, 안와의 외측은 이마뼈의 광대 돌기(zygomatic process of frontal bone)와 광대뼈의 전두 돌기(frontal process of zygomatic bone)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eyeball is surrounded by a structure called the orbit, which is surrounded by several bones within the skull, and the outer side of the orbit is composed of the zygomatic process of frontal bone and the frontal process of zygomatic bone. .
또한, 안구의 상안검과 하안검이 외측에서 만나는 부분을 외안각(lateral canthus)이라고 하며, 이는 안구의 외측면에서 피부로 덮혀 있는 구조물이다.In addition, the part where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the eyeball meet from the outside is called the lateral canthus, which is a structure covered with sk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yeball.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100)는 지지부(160)를 구비하고, 지지부(160)의 측단 지지면(164) 및 하단 지지면(166)은 외안각 피부(50)와 접촉된 상태로 안착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측단 지지면(164)은 안와 외측 피부 즉 외안각 피부(50)에 접촉하게 되는데 접촉되는 피부(50)의 내부에는 안구 또는 두개골(70)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측단 지지면(164)은 돌출부(162)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만곡면을 포함하는데 이는 볼록하게 형성된 외안각 피부(50)에 효과적으로 접촉하기 위함이다. The side
하단 지지면(70)은 아래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외안각 피부(50)의 아래에 위치하는 두개골(7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두개골(70)에 효과적으로 접촉하기 위함이다.The
위와 같이 안약 용기(100)의 지지부(160)가 외안각 피부(50)에 안착이 되면 배출구(145)가 안구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환자는 용기 몸체(120)를 가압하여 안약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As above, when the
안약 용기(100)가 외안각 피부(50)에 효과적으로 안착되고 그 상태에서 안약 투여가 안정적으로 되기 위한 안약 용기(100)의 각 주요 구성의 수치는 다음과 같다.The numerical values of each of the major components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60)가 제1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길이 중 측단 지지면(164)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d1)은 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두개골(7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의 안구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부(50)의 길이를 고려하면 d1의 길이가 5mm보다 짧은 경우에는 안정적인 안착을 하기 어렵고 20mm보다 긴 경우에는 안구의 각막과 접촉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d1의 길이는 사람의 외안각 피부의 평균적인 형상 및 수치를 고려하면 7mm 내지 15m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6, a length d1 of a portion in which the side
측단 지지면(164)이 형성된 부분의 제2 방향으로의 폭(d2)은 3mm 내지 10mm일 수 있다. d2의 길이가 3mm 내지 10mm로 형성될 때 측단 지지면(164)의 만곡면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width d2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side
하단 지지면(166)의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d3)은 3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이는 볼록하게 형성된 하단 지지면(166)이 접촉하는 부분의 두개골(70)의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 부분의 폭을 고려한 수치이다.The width d3 of the
측단 지지면(164)이 형성된 부분 중 용기 몸체(120)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배출구(145)까지의 최단 거리(d4)는 20mm 내지 40mm일 수 있다. 외안각으로부터 눈동자가 위치한 안구 중앙부분까지의 높이는 약 10mm 내지 15mm이기 때문에 안구의 각막에 배출구(145)가 접촉하지 않기 위해서는 약 10~20mm의 이격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The shortest distance d4 from the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o the
안구와의 이격거리를 10mm로 설정해도 일정 이상의 안정성은 확보되기 때문에 d4의 길이는 20mm 내지 30mm로 설정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Even if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eyeball is set to 10 mm, stability over a certain level is secured, so it may be effective to set the length of d4 to 20 mm to 30 mm.
측단 지지면(164)이 형성된 부분 중 용기 몸체(120)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배출구(145)까지의 최단 거리(d5)는 5mm 내지 10mm일 수 있다. The shortest distance d5 from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a point closest to the
외안각에서 각막 중심부까지의 거리(d6)는 소아의 경우 약 12mm, 성인의 경우 약 14mm 이므로 d5의 길이는 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눈동자 바로 위가 아닌 외안각과 눈동자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안약이 투여되는 것이 각막 반사를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Since the distance (d6) from the outer canthal angle to the center of the cornea is about 12 mm in children and 14 mm in adults, the length of d5 is shorter than this, so eye drops are administered in the middle area between the outer canal and the pupil, not just above the pupil. This is because the corneal reflection can be minimized.
배출구(145)가 외안각과 눈동자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d5의 길이는 5mm 내지 7mm인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배출 단부면(143)는 배출부(14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용기 몸체(120)에 더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배출구(145)가 경사진 배출 단부면(143)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안약 투여시 토출된 안약이 안구로 더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위와 같은 구조로 배출구(145)에서 배출된 안약이 눈동자 바로 위가 아닌 외안각과 눈동자 사이의 중앙 영역에 낙하되면 표면 장력에 의해 퍼지면서 안약이 안구 전체에 퍼지면서 흡수되게 된다. With the structure as above, when the eye drops discharged from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를 사용하여 환자가 안약을 투여할 때 환자가 눈꺼풀을 감았을 때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7 is a view viewed from above when the patient closes the eyelid when the patient administers eye drops using the eye dro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약 용기(100)는 지지부(160)가 외안각 피부(50)에 안착된 상태에서 환자가 눈을 깜박거리는 경우라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안약을 투여할 수 있다.The eye drops
안약 용기(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환자가 눈을 감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눈꺼풀(3a) 및 하측 눈꺼풀(3b)가 안구를 덮게 되는데 지지부(160)가 외안각에 배치되게 되므로 외안각 부분의 상측 및 하측 눈꺼풀(3a, 3b)은 지지부(160)에 걸려 완전히 안구를 덮지 못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측 및 하측 눈꺼풀(3a, 3b)은 외안각 부분에서 도 1 내지 도 3의 돌출부(162)에 접촉하여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게 된다.When the patient closes the eye while 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눈을 감는 경우에도 외안각측의 눈꺼풀은 완전히 안구를 덮지 않게 되고, 안약 용기(100)에서 토출된 안약은 외안각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측 눈꺼풀(3a) 및 하측 눈꺼풀(3b) 사이의 영역으로 낙하되어 들어갈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patient closes his eyes, as shown in FIG. 7, the eyelid on the outer canthal side does not completely cover the eyeball, and the eye drops discharged from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으로 각만 반사 효과를 최소화시키고 환자 혼자서 쉽게 안약 용기(100)를 파지하여 안약을 투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angle reflection effect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nd allowing the patient to easily hold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3a: 상측 눈꺼풀 3b: 하측 눈꺼풀
5: 눈동자 50: 외안각 피부
70: 두개골 100: 안약 용기
120: 용기 몸체 123: 결합부
125: 홈부 127: 홀
129: 결합돌기 140: 배출부
143: 배출 단부면 145: 배출구
147: 원형판 149: 삽입부
160: 지지부 162: 돌출부
164: 측단 지지면 166: 하단 지지면
169: 결합홈3a:
5: pupil 50: lateral canthal skin
70: skull 100: eye drop container
120: container body 123: coupling portion
125: groove 127: hall
129: coupling protrusion 140: discharge unit
143: discharge end surface 145: discharge port
147: circular plate 149: insert
160: support 162: protrusion
164: side end support surface 166: lower support surface
169: coupling groove
Claims (10)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안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부; 및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안약 투여시 환자의 안구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용기 몸체의 중심선과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측단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측단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한 만곡면을 포함하는 안약 용기.Contain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eye drops therein;
A discharge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eye drops to the outside; And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ncludes a support having a support surface contacting the skin of the patient's outer canthal angle when the eye drops are administered,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upport surface has a side end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outer canal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container body an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eye drops container comprising a concave curved surface.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길이 중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d1)는 5mm 내지 20mm인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d1) of the portion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among the lengths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5mm to 20mm.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d2)은 3mm 내지 10mm인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2,
An eye drop container having a width (d2) of 3 mm to 10 mm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portion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 중 상기 용기 몸체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의 최단 거리(d4)는 20mm 내지 40mm인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2,
The shortest distance (d4) from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o the outlet at a point closest to the container body among the portion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 is formed is 20mm to 40mm.
상기 측단 지지면이 형성된 부분 중 상기 용기 몸체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으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의 최단 거리(d5)는 5mm 내지 10mm인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2,
The shortest distance (d5) from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outlet at a point closest to the container body among the portions on which the side end support surfaces are formed is 5mm to 10mm.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외안각의 피부에 접촉하는 하단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볼록한 만곡면을 포함하는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surface includes a lower support surface contacting the skin of the outer canthal in the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surface includes a convex curved surface.
상기 하단 지지면의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d3)은 3mm 내지 10mm인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6,
An eye drop container having a width (d3) of 3mm to 10mm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surface.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단부면은 상기 배출부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용기 몸체에 더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part includes a discharge end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The discharge end surface is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the container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discharge part.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부를 넘어 돌출 형성되고 폭이 10mm 내지 20mm인 돌출부를 포함하는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eye drop container including a protrusion having a width of 10mm to 20mm.
상기 지지부의 재질의 경도는 상기 용기 몸체의 재질의 경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약 용기.The method of claim 1,
Eye drops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support is greater than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98253A KR102225866B1 (en) | 2020-08-06 | 2020-08-06 | Eye drops container |
| KR1020210028322A KR102450346B1 (en) | 2020-08-06 | 2021-03-03 | Eye drops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98253A KR102225866B1 (en) | 2020-08-06 | 2020-08-06 | Eye drops contain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28322A Division KR102450346B1 (en) | 2020-08-06 | 2021-03-03 | Eye drops contai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25866B1 true KR102225866B1 (en) | 2021-03-09 |
Family
ID=75179596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98253A Active KR102225866B1 (en) | 2020-08-06 | 2020-08-06 | Eye drops container |
| KR1020210028322A Active KR102450346B1 (en) | 2020-08-06 | 2021-03-03 | Eye drops contain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28322A Active KR102450346B1 (en) | 2020-08-06 | 2021-03-03 | Eye drops contai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10222586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01682B1 (en) | 2023-01-31 | 2025-04-25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Eyedrop Dispensing Apparutus And Dyedrop Dispensing Method And Operation Method by the Sam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848999A (en) * | 1992-04-20 | 1998-12-15 | Basilice; Vincent P. | Dispensing eye drops |
| US20050184089A1 (en) * | 2003-08-02 | 2005-08-25 | Thomas Petschner | Container for medical ophthalmic preparations and protective cap for such a container |
| KR20120137453A (en) * | 2011-06-12 | 2012-12-21 | 한세희 | Eye drops container |
| KR20200025526A (en) | 2018-08-30 | 2020-03-10 | 강민석 | case of eye drops containing support fixture |
-
2020
- 2020-08-06 KR KR1020200098253A patent/KR102225866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3-03 KR KR1020210028322A patent/KR1024503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848999A (en) * | 1992-04-20 | 1998-12-15 | Basilice; Vincent P. | Dispensing eye drops |
| US20050184089A1 (en) * | 2003-08-02 | 2005-08-25 | Thomas Petschner | Container for medical ophthalmic preparations and protective cap for such a container |
| KR20120137453A (en) * | 2011-06-12 | 2012-12-21 | 한세희 | Eye drops container |
| KR20200025526A (en) | 2018-08-30 | 2020-03-10 | 강민석 | case of eye drops containing support fix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18401A (en) | 2022-02-15 |
| KR102450346B1 (en) | 2022-09-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510810B2 (en) | Ophthalmic implant for delivering therapeutic substances | |
| US20100189766A1 (en) | Substance delivering punctum implants and methods | |
| US10299959B2 (en) | Eyedroppe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liquid onto the surface of an eye | |
| KR101789278B1 (en) | Eyewash applicator | |
| JP2011515195A (en) | Device to improve local concentration of fluid around eyeball | |
| KR102225866B1 (en) | Eye drops container | |
| KR101427392B1 (en) | Therapeutic contact lens | |
| CN103239324A (en) | Ocular iontophoresis device | |
| KR102686490B1 (en) | Insulin syringes | |
| US9561130B2 (en) | Nasolacrimal plugs | |
| KR20160062637A (en) | ease-to-use container for eye drops | |
| US20240316241A1 (en) | Ocular device case and refill container used for the ocular device case | |
| KR20200008931A (en) | Angiopressure apparatus for pressing blood vessel around glabella | |
| KR20160001595U (en) | Unit for administering eye drop and device for administering eye drop including the same | |
| TW201627021A (en) | Metered dose eyedroppe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metered dose onto the surface of the eye | |
| JP2019166228A (en) | Eyedropper attachment and eyedropper | |
| KR200444028Y1 (en) | Eye drop container | |
| EP3900683A1 (en) | Cannula and container of ophthalmic solutions | |
| WO2019167147A1 (en) | Eye device case and treatment solution set with eye device case | |
| KR200316640Y1 (en) | An Eyewash Vessel | |
| KR20140090370A (en) | Eyewash case | |
| JP2001129054A (en) | Eyedropper equipped with instillation adaptor for applying eyewash | |
| KR20240062894A (en) | Micro needle applicator for applying medication to the scalp | |
| KR20230131226A (en) |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dosing device | |
| KR20120000110U (en) | Eyewash applic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2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30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