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26063B1 -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063B1
KR102226063B1 KR1020190176414A KR20190176414A KR102226063B1 KR 102226063 B1 KR102226063 B1 KR 102226063B1 KR 1020190176414 A KR1020190176414 A KR 1020190176414A KR 20190176414 A KR20190176414 A KR 20190176414A KR 102226063 B1 KR102226063 B1 KR 10222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cking
location
module
data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진모
이대성
이성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비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비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비콤
Priority to KR102019017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0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0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인 대역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검출된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아닌 데이터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tracking a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module for detecting a waveform of a band signal as a target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d analyzing the waveform of the detected band signal to obtain the voice. When a data signal other than a voice signal is detected in the channel, the control module detects the detected data signal as a rescue request signal.

Description

업로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위치 추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업로드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n uploaded data signal and a method therefor.

현재,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쓰나미, 지진, 화산폭발 등 각종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비행기 추락사건, 빌딩 붕괴사건, 침몰사건 등 인재에 의한 대형 사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현대인들은 각종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이럴 경우 자신의 위급상황을 알리는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다. Currently,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tsunami, earthquake, volcanic eruption occur frequently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and large-scale accidents by human resources such as plane crash, building collapse, and sinking occur frequently, and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risks. Has become. In this case, you can use your smartphone as a means of notifying your emergency situation.

한국공개특허 제2017-0029298호 2017년 03월 15일 공개 (명칭: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29298 published on March 15, 2017 (Name: Convergence type smart wear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customized modules and transmitting automatic emergency rescue signal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상향링크 음성 채널에서 구조요청 신호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 data signal transmitted as a rescue request signal in an uplink voice channe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인 대역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검출된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아닌 데이터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A device for tracking a lo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eceiving module for detecting a waveform of a band signal as a target for determining whether it is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detect the detected data signal as a rescue request signal when a data signal other than a voice signal is detected in the voice channel by analyzing the waveform of the detected band signal.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대역 신호의 파형을 통해 신호의 전력 레벨의 크기가 일정하게 반복되면, 해당 대역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is constantly repeated through the waveform of the band signal, the corresponding band signal is detected as a rescue request signal.

상기 수신모듈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모듈과,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 중 음성 채널의 상향링크 신호를 추출하는 상향링크추출모듈과, 상기 상향링크 신호로부터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대역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대역검출모듈과, 상기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 각각으로부터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신호검출모듈을 포함한다. The receiving module includes an antenna module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 uplink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n uplink signal of a voice channe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d a plurality of bands separated from the uplink signal. A band detection module that extracts the band signals of and outputs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bands, and a signal detection that detects the waveform of a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the plurality of bands. Includes modules.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중간주파수 전압으로 다운컨버젼하되, 검출된 위상차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고정모듈을 더 포함한다. The receiv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phase fixing module for detec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uplink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down-converting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voltage,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with a voltage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hase differen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장치가 데이터 신호인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장치가 상향링크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추적장치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인 복수의 대역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적장치가 상기 복수의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아닌 데이터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적장치가 상기 검출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장치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tracking a lo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which is a data signal by a user device, and the user device genera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an uplink voice channel.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and detecting waveforms of a plurality of band signals that are target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acking device is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d the tracking device comprises th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When a data signal other than a voice signal is detected by analyzing the voice channel, detecting the detected data signal as a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tracking device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detected rescue request signal. It includes the step of.

상기 복수의 대역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적장치가 안테나모듈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추적장치가 상향링크추출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 중 음성 채널의 상향링크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적장치가 대역검출모듈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신호로부터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대역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추적장치가 신호검출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 각각으로부터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detecting of th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includes: receiving, by the tracking device,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an antenna module, and by the tracking device, through an uplink extraction module, through a voice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Extracting an uplink signal of, and the tracking device extracts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a plurality of bands from the uplink signal through a band detection module, and transmits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a plurality of bands. Dividing and outputting, by the tracking device, detecting a waveform of a signal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the plurality of bands through a signal detection module.

상기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적장치가 상기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대역 신호의 전력 레벨의 크기가 일정하게 반복되면 해당 대역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tecting as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king device analyzes the waveform of the band signal and detects the band signal as a data signal when the magnitude of the power level of the band signal is constantly repe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장치가 구조요청 신호로 음성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추적장치는 음성 신호 내에서 데이터 신호를 판별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device transmits the data signal through the voice channel as the rescue request signal, the tracking device can easily detect the rescue request signal by discriminating the data signal within the voice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채널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 data signal uploaded from a voic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for explaining a difference between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r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n upload dat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will use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For explana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erms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s,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채널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채널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First, a system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 data signal uploaded from a voic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 data signal uploaded from a voic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for explaining a difference between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10, 이하, ‘위치추적시스템’으로 축약함)은 추적장치(100) 및 사용자장치(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n upload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location tracking system') includes a tracking device 100 and a user device 200. Includes.

사용자장치(200)는 음성 통화 시, 음성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업로드되는 데이터 신호의 형식을 채택하여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인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장치(2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대표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장치(200)는 예컨대, 사용자장치(200)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태블릿, 패블릿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장치(200)는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될 수 있다. During a voice call, the user device 200 may transmit a rescue request signal, which is a data signal having a periodic pattern, by adopting a format of a data signal uploaded through an uplink channel used for transmission of a voice signal. The user device 200 may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smart phone. In addition, the user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 tablet, a phablet, and the like. This user device 200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terminals, and IP (Internet Protocol) terminals, and can be an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by generating a data signal having a periodic pattern. I can.

추적장치(100)는 음성 채널에서 데이터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의 (A)에 음성 신호가 도시되었고, 도 2의 (B)에 데이터 신호가 도시되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의 경우, 전력의 크기(Amplitude)가 일정하지 않으며, 일정한 패턴을 가지지 않는다. 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의 경우, 전력의 크기가 일정하며 일정 패턴을 가지는 형태로 반복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의 경우,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사각파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100M의 데이터와 200M의 데이터의 사각파의 폭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장치(200)는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이러한 데이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racking device 100 may detect a rescue request signal by detecting a data signal in a voice channel. The audio signal is shown in Fig. 2A, and the data signal is shown in Fig. 2B. As shown in FIG. 2A, in the case of a voice signal, the amplitude of the power is not constant and does not have a constant patter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data signal as shown in (B) of FIG. 2, the magnitude of power is constant and is repeated in a form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a data signal, the width of a square wav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s of square waves of 100M data and 200M data are different. Accordingly, when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he user device 200 may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by adjusting the size of such data.

따라서 추적장치(100)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채널에서 다른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적장치(100)는 일정한 전력의 크기와 패턴을 통해 구조 요청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추적장치(100)는 구조요청 신호를 검출하면, 구조요청을 인지하여 사용자장치(200)의 위치를 추적한다. 즉, 추적장치(100)는 응급상황 시 일정패턴을 형성하는 사용자장치(200)의 업로드 데이터 신호를 통해 구조가 요구되는 사용자의 사용자장치(200)를 식별하고, 그 위치를 추적한다. Accordingly, the tracking device 100 can easily distinguish between other voice signals and data signals in a voice channel used for a voice call. Accordingly, the tracking device 100 may detect a rescue request signal by detecting a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a certain amount of power and a pattern. When the tracking device 100 detects the rescue request signal, it recognizes the rescue request and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200. That is, the tracking device 100 identifies the user device 200 of the user requiring rescue through the upload data signal of the user device 200 that forms a predetermined pattern in case of an emergency, and tracks its location.

그러면, 전술한 추적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track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r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추적장치(100)는 수신모듈(110) 및 제어모듈(120)을 포함한다. 수신모듈(110)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복수의 대역 신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음성 채널로 사용하는 대역의 신호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tracking device 100 includes a receiving module 110 and a control module 120. The receiving module 110 detects a plurality of band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is a band signal used as an uplink voice channel used by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제어모듈(120)은 수신모듈(110)이 검출한 복수의 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아닌 데이터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장치(200)의 위치를 추적한다. The control module 120 analyzes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etected by the reception module 110 and, when a data signal other than a voice signal is detected in the voice channel, determines the detected data signal as a rescue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ignal.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200 is tracked.

한편, 수신모듈(110)은 안테나모듈(Antenna, 10), 상향링크추출모듈(20), 위상고정모듈(30), 대역검출모듈(40) 및 신호검출모듈(50)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receiving module 110 includes an antenna module (Antenna 10), an uplink extraction module 20, a phase fixing module 30, a band detection module 40, and a signal detection module 50.

안테나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예컨대, 한국의 이동통신 3사의 신호)가 존재하며, 사용자장치(200)는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테나모듈(10)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가 사용하는 대역의 모든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antenna module 10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and i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eg, signals from three Korean mobile communication companies), and the user device 200 uses any one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the antenna module 10 has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It is formed to receive all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in the used band.

상향링크추출모듈(20)은 멀티플렉서(ML, Multiplexexer)로 형성되며, 멀티플렉서(ML, Multiplexexer)는 복수의 증폭기와 복수의 필터를 포함한다. 상향링크추출모듈(20)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 중 음성 채널의 상향링크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향링크추출모듈(20)은 주변의 기지국 및 중계기 등의 하향링크(Down Link)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The uplink extraction module 20 is formed of a multiplexer (ML), and the multiplexer (ML)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ers and a plurality of filters. The uplink extraction module 20 passes only an uplink signal of a voice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ccordingly, the uplink extraction module 20 minimizes the influence of downlink signals such as neighboring base stations and repeaters.

위상고정모듈(30)은 위상고정루프(PLL: phase locked loop), 필터, 증폭기 등을 포함한다. 위상고정모듈(30)의 위상고정루프(PLL)는 800MHz~2615MHz까지 로컬 신호를 생성한다. 위상고정모듈(30)은 위상고정루프(PLL)를 통해 입력 신호, 즉, 상향링크추출모듈(20)로부터 입력되는 상향링크 신호와 위상고정모듈(30)의 출력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상차에 비례하는 중간주파수 전압으로 출력 신호(IF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위상고정모듈(30)은 위상고정루프(PLL)를 통해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흔들리기 않게 주파수를 고정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위상고정루프(PLL)는 광대역 PLL이며, 위상고정모듈(30)은 이러한 위상고정루프(PLL)를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검출된 위상차에 비례하는 중간주파수 전압으로 다운 컨버전하여 출력한다. The phase fixing module 30 includes a phase locked loop (PLL), a filter, an amplifier, and the like. The phase lock loop (PLL) of the phase lock module 30 generates a local signal from 800MHz to 2615MHz. The phase fixing module 30 detects and detect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signal, that is, the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uplink extraction module 2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fixing module 30 through a phase fixing loop (PLL). Generates an output signal (IF signal) with an intermediate frequency voltage proportional to the phase difference. That is, the phase fixing module 30 fixes and outputs the frequency of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frequency of the input signal does not fluctuate through the phase fixing loop (PLL). Here, the phase lock loop (PLL) is a broadband PLL, and the phase lock module 30 down-converts the input signal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voltage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hase difference using the phase lock loop (PLL) and outputs it.

대역검출모듈(40)은 증폭기와 복수의 소우필터(IF Saw: Saw1, Saw2, Saw3)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우필터(IF Saw: Saw1, Saw2, Saw3) 각각은 설정된 통과 대역을 가지며, 위상고정모듈(30)에서 출력된 중간주파수의 출력 신호 중 은 설정된 통과 대역(예컨대, 5MHz, 10MHz, 20MHz)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이는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의 상향링크 신호 중 제1 내지 제3 소우필터(Saw1, Saw2, Saw3) 각각의 통과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대역검출모듈(40)은 예컨대, 한국의 이동통신 사업자의 상향링크 대역은 예컨대, 5MHz, 10MHz, 20MHz와 같이 혼재되어 있어 각 사업자의 할당 대역만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즉, 제1 내지 제3 소우필터(Saw1, Saw2, Saw3)는 각 사업자의 할당 대역의 신호인 제1 내지 제3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1 내지 제3 소우필터(Saw1, Saw2, Saw3)는 상향링크 신호로부터 복수의 대역 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대역별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The band detection module 40 includes an amplifier and a plurality of saw filters (IF Saw: Saw1, Saw2, Saw3). Each of the plurality of saw filters (IF Saw: Saw1, Saw2, Saw3) has a set passband, and amo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phase fixing module 30, the set passband (e.g., 5MHz, 10MHz, 20MHz) Only the signal of is passed. This means that only the signals in the pass bands of the first to third saw filters Saw1, Saw2, and Saw3 among the uplink signals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re passed. That is, the band detection module 40 detects only the allocated bands of each service provider because, for example, the uplink bands of the Korea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re mixed, such as 5MHz, 10MHz, and 20MHz.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saw filters Saw1, Saw2, and Saw3 output first to third band signals, which are signals of the allocated bands of each operator. That is, the first to third saw filters Saw1, Saw2, and Saw3 extract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a plurality of bands from an uplink signal, and output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bands by band. .

신호검출모듈(50)은 대역검출모듈(40) 각각의 제1 내지 제3 소우필터(Saw1, Saw2, Saw3)에 대응하는 복수의 증폭기와 복수의 검출기(D1, D2, D3)를 포함한다. 신호검출모듈(50의 제1 내지 제3 검출기(D1, D2, D3) 각각은 제1 내지 제3 소우필터(Saw1, Saw2, Saw3)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제1 내지 제3 대역 신호 각각에서 신호의 파형을 검출한다. The signal detection module 50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ers and a plurality of detectors D1, D2, D3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saw filters Saw1, Saw2, and Saw3 of each of the band detection module 40. Each of the first to third detectors (D1, D2, D3) of the signal detection module 50 is a signal in each of the first to third band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to third saw filters (Saw1, Saw2, Saw3), respectively. Detect the waveform.

이에 따라, 제어모듈(120)은 복수의 검출기(D1, D2, D3)가 검출한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며, 위상고정루프(PLL)를 필요한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위상고정루프(PLL)를 제어한다. 제어모듈(120)은 복수의 검출기(D1, D2, D3)가 검출한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향링크 채널에서 음성이 아닌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120)은 해당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장치(200)의 위치를 추적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20 analyzes the waveform of the band signal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detectors D1, D2, D3, and controls the phase lock loop (PLL) to output the required frequency to the phase lock loop (PLL). do. The control module 120 can detect a rescue request signal by analyzing the waveforms of the band signal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detectors D1, D2, D3, and detecting a data signal having a periodic pattern other than a voice in the uplink channel. have.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20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200 by continuously detecting a data signal having a corresponding pattern.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Then,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use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nput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 storage unit 240, and a control unit 250.

통신부(210)는 기본적으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로 음성 혹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로 음성 혹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부(210)는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인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50)로부터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는 데이터 신호인 구조요청 신호를 전달 받고, 해당 구조요청 신호를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basicall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through uplink and downlink, and may transmit voice or data as an uplink signal to a base station, and may receive voice or data as a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 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structure request signal, which is a data signal having a periodic pattern, through an uplink channel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Tx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Rx for low-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modem that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 rescue request signal, which is a data signal having a periodic pattern, from the controller 250, and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an uplink channel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입력부(220)는 사용자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 종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표시부(2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표시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2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220 receives a user's key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the user device 200,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250.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various keys for controlling the user device 200. When the display unit 230 is made of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220 may perform functions of various keys on the display unit 230, and when all functions can be performed only with the touch screen, the input unit 220 will be omitted. May be.

표시부(230)는 사용자장치(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230)는 사용자장치(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표시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2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230)는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특히, 표시부(230)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부(220)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부(2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30 visually provides a menu of the user device 200, input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23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screens such as a boot screen, a standby screen, a menu screen, and the like of the user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23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3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s), or the like. Meanwhile, the display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30 includes a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detects a user's touch input. The touch sensor may be composed of a touch sensing sensor such as a capacitive overlay, a pressure type, a resistive overlay, or an infrared beam, or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 sensor. . In addition to the above sensors, all types of sensor devices capable of sensing contact or pressure of an object may be used as the touch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detects a user's touch inpu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50.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unit 230 is formed of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22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저장부(240)는 사용자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240)는 사용자장치(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40 serves to store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200.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40 is an area in which user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user device 200 is stored. Each type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may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제어부(250)는 사용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장치(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장치(200)의 각 종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2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BP(baseband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구조 요청을 위한 입력을 감지하면,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구조요청 신호는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의 크기가 일정하며 일정 패턴을 가지는 형태로 반복되는 데이터 업로드를 위한 데이터 신호이다. 제어부(250)는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통신부(210)를 통해 상향링크 음성 채널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25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an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200 and a signal flow between internal blocks of the user device 200,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of processing data.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basically performs a role of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user device 200. The controller 250 may exemplif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baseband processor (BP),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 the like. When the control unit 250 detects an input for a rescue reques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10, th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rescue request signal.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s a data signal for uploading data repeatedly in a form having a constant power and a constant pattern, as shown in FIGS. 2B and 3. After genera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he controller 250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the uplink voice channe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 데이터 신호를 이용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Next, a method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n upload dat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cking a location using an upload data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장치(200)의 제어부(250)는 S110 단계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구조 요청을 위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S120 단계에서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구조요청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업로드를 위한 데이터 신호이며, 이러한 데이터 신호는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의 크기가 일정하며 일정 패턴을 가지는 형태로 반복되며,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신호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데이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구조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250)는 S130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상향링크 음성 채널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250 of the user device 200 may detect an input for a rescue reques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10 in step S110. Then, th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rescue request signal in step S120.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is a data signal for uploading data, as shown in FIG. 3, and the data signal has a constant power size and a certain pattern, as shown in FIGS. 2B and 3 Repeatedly, the width of the signa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structure request signal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data to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After genera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the uplink voice channe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in step S130.

추적장치(100)의 제어모듈(120)은 수신모듈(110)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복수의 대역 신호에서 신호의 파형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대역 신호는 복수의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음성 채널로 사용하는 대역의 신호이다. 따라서 복수의 대역 신호에는 사용자장치(200)가 전송한 구조요청 신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어모듈(120)은 S140 단계에서 수신모듈(110)이 검출한 복수의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아닌 데이터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모듈(120)은 S150 단계에서 검출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장치(200)의 위치를 추적한다. The control module 120 of the tracking device 100 detects a waveform of a signal from a plurality of band signal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the receiving module 1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is a band signal used as an uplink voice channel used by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include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device 200. Therefore, the control module 120 analyzes th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detected by the reception module 110 in step S140 and detects a data signal other than a voice signal in the voice channel, and detects the detected data signal as a rescue request signal. I can. Then, the control module 120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rescue request signal detected in step S150.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s that can be rea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magneto-optical media),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wires such as those made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wir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equivalence theory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present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추적장치 110: 안테나모듈
120: 상향링크추출모듈 130: 위상고정모듈
140: 대역검출모듈 150: 신호검출모듈
160: 제어모듈 200: 사용자장치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저장부 240: 표시부
250: 제어부
100: tracking device 110: antenna module
120: uplink extraction module 130: phase fixing module
140: band detection module 150: signal detection module
160: control module 200: user device
210: communication unit 220: input unit
230: storage unit 240: display unit
250: control unit

Claims (6)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인 대역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검출된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고, 신호의 전력 레벨의 크기가 일정하게 반복되는 데이터 신호만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신호의 파형인 사각파의 폭이 조절되는 데이터 신호의 기 설정된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In the device for tracking the location,
A receiving module for detecting a waveform of a target band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d
Control for detecting the detected data signal as a rescue request signal when only a data signal is detected that does not contain a voice signal in the voice channel by analyzing the waveform of the detected band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signal's power level is constantly repeated Module; including,
The control module,
The use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data signal is identified by using a preset pattern of the data signal in which the width of the square wave, which is the waveform of the signa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and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user device is tracked. doing
A device for tracking loc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 중 음성 채널의 상향링크 신호를 추출하는 상향링크추출모듈;
상기 상향링크 신호로부터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를 대역별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대역검출모듈; 및
상기 복수의 대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대역 신호 각각으로부터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신호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module is
An antenna module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 uplink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n uplink signal of a voice channe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 band detection module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a plurality of bands from the uplink signal,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a plurality of bands by classifying each band; And
And a signal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waveform of a signal from each of a plurality of band signals divided by the plurality of bands.
A device for tracking lo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중간주파수 전압으로 다운컨버젼하되, 검출된 위상차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eiving module is
And a phase fixing module for detec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uplink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down-converting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voltage,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with a voltage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hase difference;
A device for tracking location.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장치가 데이터 신호로 형성되는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장치가 상향링크 음성 채널을 통해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추적장치가 복수의 이동통신 신호로부터 구조요청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대상인 복수의 대역 신호의 파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추적장치가 상기 복수의 대역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상기 음성 채널에서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고, 신호의 전력 레벨의 크기가 일정하게 반복되는 데이터 신호만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데이터 신호를 구조요청 신호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적장치가 상기 검출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적하는 단계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신호의 파형인 사각파의 폭이 조절되는 데이터 신호의 기 설정된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
In the method for tracking the location,
Generating, by a user device, a structure request signal formed of a data signal;
Transmitting, by a user equipment,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an uplink voice channel;
Detecting, by the tracking device, waveforms of a plurality of band signals, which are target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rescue request signal from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When the tracking device analyzes the waveforms of the plurality of band signals and detects only a data signal that does not contain a voice signal in the voice channel and has a constant repetition of the power level of the signal, the detected data signal is requested to be rescued. Detecting with a signal; And
Including, by the tracking device,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detected rescue request signal,
The tracking step,
The use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data signal is identified by using a preset pattern of the data signal in which the width of the square wave, which is the waveform of the signa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ata, and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user device is tracked. doing
A way to track your location.
삭제delete
KR1020190176414A 2019-12-27 2019-12-27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Active KR102226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14A KR102226063B1 (en) 2019-12-27 2019-12-27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14A KR102226063B1 (en) 2019-12-27 2019-12-27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063B1 true KR102226063B1 (en) 2021-03-10

Family

ID=7514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14A Active KR102226063B1 (en) 2019-12-27 2019-12-27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06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153A (en) * 2003-11-12 2006-12-01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Non-Vo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398297B1 (en) * 2008-06-05 2014-05-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btaining non-speech data embedded in a vocoder packet
KR20160103446A (en) * 2015-02-24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 looked loop using received signal
KR20170029298A (en)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The apparatus of smart wearable of auto emergency rescue signal transfer and a customizable module
JP2019520722A (en) * 2016-04-26 2019-07-18 ラピッドエスオーエス,インク.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153A (en) * 2003-11-12 2006-12-01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Non-Vo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398297B1 (en) * 2008-06-05 2014-05-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btaining non-speech data embedded in a vocoder packet
KR20160103446A (en) * 2015-02-24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 looked loop using received signal
KR20170029298A (en)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The apparatus of smart wearable of auto emergency rescue signal transfer and a customizable module
JP2019520722A (en) * 2016-04-26 2019-07-18 ラピッドエスオーエス,インク.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4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 thereof
US10051412B2 (en)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291747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availability of critical functionalities on devices using cellular operating systems
EP2977951A1 (en) Operating method and device for disaster information
KR201800511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49079B2 (en) Power control for synchronization and discovery messages in D2D communication
CN105657479B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240195444A1 (en) Radio frequenc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102801B2 (en) Location based access to selected communication bands
CN112425224A (en) Optimized positioning method for mobile equipment
KR102226063B1 (en)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using upload data signal and method therefor
JP6379305B1 (en) User context detection using mobile devices based on wireless signal characteristics
US12232095B2 (en) Ultra-wideband radio system with detect-and-avoid capability
US11006241B2 (en) Electronic radio frequency ID (RFID) tracker
CN113810912A (en) Radio frequency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8274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evice to device discovery message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cheme
US97531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101269B1 (en) Record media recording the emergency reporting system, method and method for executing the emergency reporting system
US9008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radio in portable terminal
US20180081026A1 (en) Last mile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7068668A1 (en) Wireless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wireless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US112909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service avail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04704B2 (e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832748B1 (en) Synchronizing beacon data among user devices
KR101697145B1 (en) Apparatus of tracking position using wired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