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143B1 -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 Google Patents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1143B1 KR102221143B1 KR1020190068901A KR20190068901A KR102221143B1 KR 102221143 B1 KR102221143 B1 KR 102221143B1 KR 1020190068901 A KR1020190068901 A KR 1020190068901A KR 20190068901 A KR20190068901 A KR 20190068901A KR 102221143 B1 KR102221143 B1 KR 102221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xophone
- player
- evaluation
- performance
- k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색소폰을 이용한 음악 연주 모습이나 연주곡을 휴대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촬영 또는 녹음하고, 촬영된 영상파일 또는 녹음된 녹음파일을 온라인으로 업로드를 후 서버 자체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주자의 연주 실력을 여러 단계로 평가하고,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교육 및 색소폰 연주 숙련도를 단계별로 평가할 수 있는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은 악기를 이용한 자신의 연주곡이 담긴 영상파일이나 녹음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영상파일 또는 녹음파일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고, 단계별로 평가 결과를 연주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언제든지 연주자 자신의 연주 실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은 음정과 박자의 타이밍 등의 자신의 취약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연주 실력 및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취약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photographs or records music performances or performance songs using a saxophone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records a captured video file or a recorded recording file. After uploading online, the server's own program evaluates the player's playing ability in several stages, and through the online site,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education and saxophone playing skill step by step,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bout.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loads a video file or a recorded file containing his or her performance using an instrument to a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alyzes and evaluates the video file or recorded file from the server, and evaluates it step by step. By providing the results to the p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ayer can check his or her performance at any time. In addition,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eck the weak parts such as the pitch and timing of the beat, and practice by intensively practicing the weak parts by accurately grasping their playing ability and current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색소폰을 이용한 음악 연주 모습이나 연주곡을 휴대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촬영 또는 녹음하고, 촬영된 영상파일 또는 녹음된 녹음파일을 온라인으로 업로드를 후 서버 자체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주자의 연주 실력을 여러 단계로 평가하고,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교육 및 색소폰 연주 숙련도를 단계별로 평가할 수 있는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photographs or records music performances or performance songs using a saxophone through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records a captured video file or a recorded recording file. After uploading online, the server's own program evaluates the player's playing ability in several stages, and through the online site,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education and saxophone playing skill step by step,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About.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 또는 악기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늘어가는 추세인 반면에 종래 연주자의 실력이 어떤지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는 평가자가 귀로 듣고 평가하였으므로 평가가 쉽지 않고 주관적이며, 아마추어 취미 연주인들의 연주는 정확한 연주를 하는지 구분 및 평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While the number of players who play musical instruments or people who want to learn musical instrument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skill level of conventional players is not easy and subjective because the evaluator listened to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amateur hobbyist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nd evaluate whether or not they are performing correctly.
이에 따라, 연주자들끼리 타인의 연주 실력보다 자신의 연주실력이 높다고 생각하여 타인의 연주 실력을 폄하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일반적인 아마추어 연주자의 경우 정확한 박자와 정확한 음정의 교육이 쉽지 않다. Accordingly, there is a frequent phenomenon of degrading the playing ability of others because the players think that their playing ability is higher than the playing ability of others, and it is not easy for the general amateur player to teach the correct beat and the correct pitch.
따라서, 메트로놈(박자기)과 튜닝기(음정기)가 복합된 프로그램을 통해 정확히 평가하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of accurately evaluating through a complex program of a metronome (time signature) and a tuner (tu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악기를 이용한 연주곡이 담긴 영상파일이나 녹음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영상파일 또는 녹음파일을 평가시스템을 통해 분석 및 단계별로 평가하여 연주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언제든지 자신의 연주 실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의 사람이 하는 주관적인 평가보다 평가시스템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uploading a video file or a recorded file containing a performance song using an instrument through the Internet, and analyzing the uploaded video file or recorded file through an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ng step by step This is to provide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evaluation system, which enables more accurate and objective evaluation through the evaluation system than the subjective evaluation made by the existing person.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은 연주자에 의해 특정패턴으로 조작되는 색소폰의 키 조작음 및 색소폰으로 연주한 연주음을 포함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녹음할 수 있도록 녹음부가 구비되고, 녹음부를 통해 녹음된 연주자음원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연주자단말기와; 연주자가 색소폰을 조작해야 하는 특정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연주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연주자음원정보와 저장된 표본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연주자음원정보에 대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연주자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구비한다.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key operation sound of the saxophone manipulated in a specific pattern by the player and the performance sound played by the saxophone. A player terminal that is provided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recorded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through the recording unit; Sample information including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for which the player must manipulate the saxophone and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that the player can play is stored, and the player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layer terminal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player source information and the stored sample information And a server that compares with each other to evaluate player proficiency information for the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player.
상기 서버는 상기 색소폰의 특정 키 조작음이 튜너를 통해 특정 주파수로 튜닝된 상태에서 상기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음정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의 키를 순차적으로 규정된 속도에 맞춰 정확하게 작동시키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타이밍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의 피스와 리드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색소폰의 키 조작음 간격이 0.05초 사이로 연주되는 레가토 팅잉과, 0.1초 사이로 연주되는 스타카토 텅잉의 타이밍을 분석 및 평가하는 텅잉평가모듈과, 연주자가 주어진 악보를 메트로놈의 템포 120에 맞춰 시창하여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시창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 24개의 키를 1옥타브 내지 3옥타브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을 포함하는 평가부를 구비한다.The server includes a pitch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the operation sound for each key of the saxophone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sound of the tuner while the specific key operation sound of the saxophone is tuned to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a tuner, and A timing evaluation module tha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keys are sequentially operated at a prescribed speed, and a legato tinting in which the saxophone's key operation sound interval is played within 0.05 seconds in a state in which the pieces and leads of the saxophone are combined, and 0.1 Tongue evaluation module that analyzes and evaluates the timing of staccato tongue played between seconds, and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interval between notes and notes falls within the set reference error range by compensating the given score according to the tempo of the
상기 키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의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 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40에 맞춰 0.3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제1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색소폰의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 F#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20~180에 맞춰 0.5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제2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색소폰의 C, C#, D, Eb, E, F, F#, G, G#, A, Bb, B 메이저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50에 맞춰 0.5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제3 키숙련도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에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key of the saxophone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 is operated within an error range of 0.3 seconds according to the
한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은 녹음 기능이 구비된 연주자단말기를 통해 색소폰의 각 키를 특정패턴으로 조작할 때 발생하는 조작음 및 특정 연주곡을 연주한 연주음을 포함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단계와; 상기 녹음단계에서 녹음된 연주자음원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1송수신단계와; 서버에 수신된 연주자음원정보를 연주자가 색소폰을 조작해야 하는 특정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와 비교하여 연주자음원정보에 대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평가하는 평가단계와;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연주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송수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단계는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음정평가단계와, 색소폰의 키를 순차적으로 규정된 속도에 맞춰 정확하게 작동시키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타이밍평가단계와, 색소폰의 피스와 리드를 결합한 상태로 색소폰의 키 조작음 간격이 0.05초 사이로 연주되는 레가토 팅잉과, 0.1초 사이로 연주되는 스타카토 텅잉의 타이밍을 분석 및 평가하는 텅잉평가단계와, 연주자가 주어진 악보를 메트로놈의 템포 120에 맞춰 시창하여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시창평가단계와,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키숙련도평가단계와, 색소폰 24개의 키를 1옥타브 내지 3옥타브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주숙련도평가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cludes the operation sound generated when each key of the saxophone is manipulated in a specific pattern through a player terminal equipped with a recording function and the player playing a specific performance song. A recording step of recor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 first transmission/recep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ording step to a server; An evaluation step of comparing the player's sound sour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with sample information including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for which the player must manipulate the saxophone and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that the player can play, and evaluating player skill information for the player's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a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player skill information evaluated in the evaluation step to a player terminal, wherein the evaluation step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operation sound for each key of the saxophone matches the reference sound of the tuner Steps and timing evaluation steps to analyze and evaluate whether the saxophone keys are sequentially operated at the prescribed speed, and legato tinging in which the saxophone key operation sound interval is played within 0.05 seconds with the saxophone piece and lead combined. And, a tongue evaluation step that analyzes and evaluates the timing of the staccato tongue played between 0.1 seconds, and analyzes whether the interval between notes and notes falls within the set reference error range by compiling the given score at the tempo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은 악기를 이용한 자신의 연주곡이 담긴 영상파일이나 녹음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로부터 영상파일 또는 녹음파일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고, 단계별로 평가 결과를 연주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언제든지 연주자 자신의 연주 실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loads a video file or a recorded file containing his or her performance using an instrument to a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alyzes and evaluates the video file or recorded file from the server, and evaluates it step by step. By providing the results to the p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ayer can check his or her performance at any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은 음정과 박자의 타이밍 등의 자신의 취약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연주 실력 및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취약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eck the weak parts such as the pitch and timing of the beat, and practice by intensively practicing the weak parts by accurately grasping their playing ability and current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내지 도 1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을 통해 연주자가 연주하는 연주곡정보 또는 패턴정보를 나타낸 악보.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12 are sheet music showing performance song information or pattern information performed by a player through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hown in FIGS. 1 to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은 연주자단말기(100)와, 서버(200)를 구비한다.1 to 12 illustrate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1 to 12,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연주자단말기(100)는 연주자의 음성 및 연주자에 의해 연주되는 색소폰 등과 같은 악기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도록 녹음 기능을 갖는 녹음부(110)와, 녹음 기능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연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120) 및 녹음부(110)에서 녹음된 녹음정보 및 카메라(120)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녹음정보 및 영상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무선으로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부(140)를 구비한다. The
연주자단말기(100)는 통상의 스마트폰을 적용할 수도 있고, 마이크로폰, 캠, 카메라(120) 등이 설치되며 인터넷 가능한 PC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연주자는 연주자단말기(1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고,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에 저장된 특정 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 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The player accesses the
연주자단말기(100)의 녹음부(110)를 통해 녹음되는 녹음정보는 연주자에 의해 특정패턴으로 조작되는 색소폰의 키 조작음 및 색소폰으로 연주한 연주음, 악보를 따라 시창하는 연주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포함한다.The recording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연주자음원정보에 포함되는 색소폰의 키 조작음은 1옥타브(C~C), 2옥타브(D~C), 3옥타브(D~F)의 음에 해당하는 키를 순차적으로 눌러 발생하는 소리(음정평가대상음원), 색소폰의 저음 도부터 3 옥타브 미에 해당하는 키를 상하행으로 눌러 발생하는 소리(타이밍평가대상음원), 색소폰의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 에 해당하는 각 키를 설정된 템포(일 예로, 메트로놈 140)에 맞춰 누를 때 발생하는 소리(제1 평가대상키음원), 색소폰의 각 키를 활용하여 C, C#, D, Eb, E, F, F#, G, G#, A, Bb, B 메이저에 해당하는 키를 설정된 템포(일 예로, 메트로놈 150)에 맞춰 누를 때 발생하는 소리(제2 평가대상키음원) 및 색소폰의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 F#에 해당하는 각 키를 설정된 템포(일 예로, 메트로놈 120~180)에 맞춰 누를 때 발생하는 소리(제3 평가대상키음원), 색소폰의 각 키를 이용하여 특정 연주곡(일 예로, "그대 내 맘에 들어오면", "안동역", "paroles paroles paroles", "LAURA", "limensita", "MY WAY", "月亮代表我的心(월량대표 아적심)", "DANNY BOY", "MAGIA", "it's a lonesome old town", "HEY JUDE" 등)을 연주할 때의 연주음(제1 내지 11평가대상연주음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key operation sound of the saxophone included in the performance consonant source information is a sound generated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notes of 1 octave (C~C), 2 octaves (D~C), and 3 octaves (D~F).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the sound generated by pressing a key corresponding to 3 octaves of the saxophone up and down (timing assessment target sound source), the saxophone C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The sound generated when each key corresponding to B MAJOR is pressed at a set tempo (for example, the metronome 140) (the first evaluation target key sound source), and C, C#, D, Eb, E, and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F, F#, G, G#, A, Bb, and B majors are pressed at a set tempo (for example, the metronome 150) and the saxophone'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 C and, 3 octaves C, C#, D, D#, E, F, F# sound generated when each key corresponding to the set tempo (for example,
서버(200)는 연주자가 색소폰을 조작해야 하는 특정 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 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10)와, 연주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평가부(230)의 평가 결과를 연주자단말기(100)로 전송하는 통신부(220)와,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연주자음원정보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표본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연주자음원정보에 대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평가하는 평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평가부(230)는 음정평가모듈(231)과, 타이밍평가모듈(232)과, 텅잉평가모듈(233)과, 시창평가모듈(234)과, 키숙련도평가모듈(235)과, 연주숙련도평가모듈(2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음정평가모듈(231)은 색소폰의 2옥타브 도#에 해당하는 키의 조작음을 악기 튜너를 통해 442KHz로 튜닝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보에 맞춰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The
음정평가모듈(231)에서 평가하는 항목은 1) 알토색소폰 1 옥타브 C = 156.0Hz, 2)알토색소폰 1 옥타브 D = 174.0Hz, 3) 알토색소폰 1 옥타브 E = 196.0Hz, 4) 알토색소폰 1 옥타브 E = 196.0Hz, 5) 알토색소폰 1 옥타브 F = 207.7Hz, 6) 알토색소폰 1 옥타브 G = 233.1Hz, 7) 알토색소폰 1 옥타브 A = 262.2Hz, 8) 알토색소폰 1 옥타브 B = 293.5Hz, 9) 알토색소폰 1 옥타브 C = 311.0Hz, 10) 알토색소폰 2 옥타브 D = 349.0Hz, 11) 알토색소폰 2 옥타브 E = 391.0Hz, 12) 알토색소폰 2 옥타브 F = 349.0Hz, 13) 알토색소폰 2 옥타브 G = 207.5Hz, 14) 알토색소폰 2 옥타브 A = 524.0Hz, 15) 알토색소폰 2 옥타브 B = 588.0Hz, 16) 알토색소폰 2 옥타브 C = 622.0Hz, 17) 알토색소폰 3 옥타브 D = 698.0Hz, 18) 알토색소폰 3 옥타브 E = 785.0Hz, 19) 알토색소폰 3 옥타브 F = 831.0Hz에 각각 해당하는 위의 각 소리가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며, 모든 음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9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 The items evaluated by the
음정평가모듈(231)에는 기준음과 연주자음원정보에 포함된 음정평가대상음원의 각 음이 일치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해 음정평가대상음원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측정모듈 및 타이밍을 평가하기 위한 메트로놈이 더 구비된다.The
타이밍평가모듈(232)은 도 6에 도시된 악보에 맞춰 색소폰의 저음 도부터 3 옥타브 미 음역대를 메트로놈의 템포 80에 맞춰 상하행으로 조작하여 색소폰의 키를 규정된 속도에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작동시키는지를 평가하며,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8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텅잉평가모듈(233)은 색소폰의 피스와 리드를 결합한 상태로 도 7에 도시된 악보를 따라 연주한 연주음 즉, 색소폰의 키 조작음 간격이 0.05초 사이로 연주되는 레가토 팅잉과, 0.1초 사이로 연주되는 스타카토 텅잉의 타이밍을 분석 및 평가하며,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7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
시창평가모듈(234)은 연주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어진 악보를 메트로놈의 템포 120에 맞춰 한 음씩 시창하여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0.3초의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며,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6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sight-changing
키숙련도평가모듈(235)은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것으로서, 제1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제2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제3 키숙련도평가모듈을 포함한다.The key
제1 키숙련도평가모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보에 맞춰 색소폰의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에 해당하는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40에 맞춰 0.3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5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 In the first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the keys corresponding to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 of the saxophone are at the
제2 키숙련도평가모듈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보에 맞춰 색소폰의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 F#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20~180에 맞춰 0.5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4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second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is 1 octave of the saxophon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according to the score as shown in FIG.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F# keys are the
제3 키숙련도평가모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보에 맞춰 색소폰의 C, C#, D, Eb, E, F, F#, G, G#, A, Bb, B 메이저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50에 맞춰 0.5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3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In the third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each key of the saxophone C, C#, D, Eb, E, F, F#, G, G#, A, Bb, B major is the metronome tempo according to the score as shown in FIG.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operation is operated within the error range of 0.5 seconds according to 150,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3rd grade certificate is given.
연주숙련도평가모듈(236)은 색소폰 24개의 키를 1옥타브 내지 3옥타브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것으로서,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에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The performance
더욱 상세하게 연주숙련도평가모듈(236)은 2등급 인증서 내지 9단 인증서를 부여하는 제1 연주숙련도평가모듈 내지 제11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playing
제1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특정 연주곡("그대 내 맘에 들어오면")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 130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에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2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first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Using each scale of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as shown in Fig. 12 ("You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note of "If you like me") is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specific tempo of the
제2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안동역")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템포 134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에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1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second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and each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Andong Station") performed using the scales of F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sound is accurately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s tempo 134,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first-class certificate is given.
제3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paroles paroles paroles")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134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1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third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and F of specific performances ("paroles paroles paroles")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note is correctly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134,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first 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4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LAURA")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81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2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4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Each note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LAURA") played using each scale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it is played correctly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81,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two-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5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limensita")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70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3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5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Each note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limensita") played using each scale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it is played correctly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70,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standard, a 3-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6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MY WAY")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78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4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6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and each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MY WAY") performed using the scales of F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sound is accurately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78,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4-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7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月亮代表我的心 (월량대표 아적심)")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77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5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7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Specific performances performed using each scale ("月亮代表我的心 (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note of "Wolyang Representative Ajeokshim") is accurately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77,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standard, a 5-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8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DANNY BOY")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60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6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8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and each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DANNY BOY") performed using the scales of F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sound is accurately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60,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standard, a six-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9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MAGIA")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템포 78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7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9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Each note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MAGIA") played using each scale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metronome plays correctly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s tempo 78,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7-level certificate is given.
제10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it's a lonesome old town")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129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8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10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performed using each scale ("it's a lonesome old town" ),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note is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129,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n 8-speed certificate is given.
제11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HEY JUDE")의 각 음이 메트로놈 템포 72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9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11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consists of 24 saxophone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Each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HEY JUDE") performed using the scales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sound is accurately played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72, and if the evaluation result meets the criteria, a 9-level certificate is give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은 녹음단계(S100)와, 제1송수신단계(S200)와, 평가단계(S300)와, 제2송수신단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recording step (S100), a first transmission/reception step (S200), an evaluation step (S300), and a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step ( 400).
녹음단계(S100)는 녹음 기능이 구비된 연주자단말기(100)를 통해 색소폰의 각 키를 특정패턴으로 조작할 때 발생하는 조작음 및 특정 연주곡을 연주한 연주음을 포함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녹음한다.The recording step (S100) records the player's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ound generated when each key of the saxophone is manipulated in a specific pattern through the
제1송수신단계(S200)는 연주자단말기(100)에 구비된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200) 또는 서버(200)에서 운영되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녹음단계(S100)에서 녹음된 연주자음원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first transmission/reception step (S200) is connected to the
평가단계(S300)는 서버(200)에 수신된 연주자음원정보를 연주자가 색소폰을 조작해야 하는 특정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와 비교하여 연주자음원정보에 대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평가한다.The evaluation step (S300) compares the performance consonant sour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평가단계(S300)는 음정평가단계(S310)와, 타이밍평가단계(S320)와, 텅잉평가단계(S330)와, 시창평가단계(S340)와, 키숙련도평가단계(S350)와, 연주숙련도평가단계(S360)를 포함한다.The evaluation step (S300) includes a pitch evaluation step (S310), a timing evaluation step (S320), a tongue evaluation step (S330), a sight window evaluation step (S340), a key proficiency evaluation step (S350), and a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It includes step S360.
음정평가단계(S310)는 음정평가모듈(231)을 통해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 상세하게는 색소폰의 2옥타브 도#에 해당하는 키의 조작음을 악기 튜너를 통해 442KHz로 튜닝한 상태에서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The pitch evaluation step (S310)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operation sound for each key of the saxophone matches the reference tone of the tuner through the
타이밍평가단계(S320)는 타이밍평가모듈(232)을 통해 색소폰의 키를 순차적으로 규정된 속도에 맞춰 정확하게 작동시키는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 상세하게는 색소폰의 저음 도부터 3 옥타브 미 음역대를 메트로놈의 템포 80에 맞춰 상하행으로 조작하여 색소폰의 키를 규정된 속도에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작동시키는지를 평가하며,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8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timing evaluation step (S320)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keys of the saxophone are sequentially operated correctly at a prescribed speed through the
텅잉평가단계(S330)는 색소폰의 피스와 리드를 결합한 상태로 색소폰의 키 조작음 간격이 0.05초 사이로 연주되는 레가토 팅잉과, 0.1초 사이로 연주되는 스타카토 텅잉의 타이밍을 분석 및 평가하며,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7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Tongue evaluation step (S330) analyzes and evaluates the timing of the legato tinging played between 0.05 seconds and the staccato tinging played between 0.1 seconds and the saxophone key operation sound interval in a state in which the pieces and leads of the saxophone are combined. If it meets the criteria, a grade 7 certificate is given.
시창평가단계(S340)는 연주자가 주어진 악보를 메트로놈의 템포 120에 맞춰 시창하여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 상세하게는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0.3초의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며,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면 6등급 인증서를 부여한다.In the sight-changing evaluation step (S340), the player complies with the
키숙련도평가단계(S350)는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한다. 상세하게는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며, 앞서 설명한 제1 키숙련도평가모듈 내지 제3 키숙련도평가모듈을 통해 세부적인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진다.Key proficiency evaluation step (S350)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specific keys of the saxophone are operated within a reference error range set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In detail, i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certain keys of the saxophone are operated within the reference error range se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and detailed analysis and evaluation through the first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to the third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described above. Is made.
연주숙련도평가단계(S360)는 색소폰 24개의 키를 1옥타브 내지 3옥타브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며, 앞서 설명한 제1 연주숙련도평가모듈 내지 제11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을 통해 세부적인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지며, 평가 결과에 따라 2등급 인증서 내지 9단 인증서를 부여한다.The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step (S360)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note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played by using a scale of 1 to 3 octaves of each of the 24 saxophone keys is played within the standard error range se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In addition, detailed analysis and evaluation ar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to the eleventh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
제2송수신단계(400)는 평가단계(S300)에서 평가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연주자가 연주자단말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연주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step 400 transmits the player skill information evaluated in the evaluation step S300 to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ave various modifications therefrom.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연주자단말기
110 : 녹음부
120 : 카메라
130 : 저장부
140 : 통신부
200 :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통신부
230 : 평가부
231 : 음정평가모듈
232 : 타이밍평가모듈
233 : 텅잉평가모듈
234 : 시창평가모듈
235 : 키숙련도평가모듈
236 : 연주숙련도평가모듈
S100 : 녹음단계
S200 : 제1송수신단계
S300 : 평가단계
S310 : 음정평가단계
S320 : 타이밍평가단계
S330 : 텅잉평가단계
S340 : 시창평가단계
S350: 키숙련도평가단계
S360: 연주숙련도평가단계
S400 : 제2송수신단계100: player terminal
110: recording unit
120: camera
130: storage unit
14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 server
210: database
220: communication department
230: evaluation unit
231: pitch evaluation module
232: timing evaluation module
233: Tongue evaluation module
234: sight window evaluation module
235: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236: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S100: recording stage
S200: first transmission/reception step
S300: Evaluation stage
S310: Pitch evaluation step
S320: Timing evaluation step
S330: Tongue evaluation step
S340: Sight window evaluation step
S350: Key proficiency evaluation stage
S360: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stage
S400: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ep
Claims (4)
연주자가 색소폰을 조작해야 하는 특정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연주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연주자음원정보와 저장된 표본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연주자음원정보에 대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연주자에게 전송하는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색소폰의 특정 키 조작음이 튜너를 통해 특정 주파수로 튜닝된 상태에서 상기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음정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의 키를 순차적으로 규정된 속도에 맞춰 정확하게 작동시키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타이밍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의 피스와 리드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색소폰의 키 조작음 간격이 0.05초 사이로 연주되는 레가토 팅잉과, 0.1초 사이로 연주되는 스타카토 텅잉의 타이밍을 분석 및 평가하는 텅잉평가모듈과,
연주자가 주어진 악보를 메트로놈의 템포 120에 맞춰 시창하여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시창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상기 색소폰 24개의 키를 1옥타브 내지 3옥타브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을 포함하는 평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A player who has a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key operation sound of the saxophone manipulated in a specific pattern by the player and the performance sound played by the saxophone,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recorded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through the recording unit. A terminal;
Sample information including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for which the player must manipulate the saxophone and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that the player can play is stored, and the player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layer terminal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player source information and the stored sample information A server for comparing with each other to evaluate the player skill information for the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player; and,
The server
A pitch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the operation sound for each key of the saxophone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sound of the tuner while the specific key operation sound of the saxophone is tuned to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a tuner;
A timing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the keys of the saxophone are sequentially operated accurately at a prescribed speed;
Tongue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timing of legato tinging played between 0.05 seconds and staccato tinging played between 0.1 seconds with the saxophone piece and lead combined,
A sight-changing evaluation module tha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interval between notes and notes falls within the set reference error range by singing the given score in accordance with the metronome's tempo 120; and
A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specific keys of the saxophone are operated within a reference error range set according to a specific tempo of a metronome;
Including a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tha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note of a specific performance song played by using each scale of 1 octave to 3 octaves of the saxophone keys is played within a reference error range set for a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valuation unit.
상기 키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의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 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40에 맞춰 0.3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제1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색소폰의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 F#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20~180에 맞춰 0.5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제2 키숙련도평가모듈과,
색소폰의 C, C#, D, Eb, E, F, F#, G, G#, A, Bb, B 메이저의 각 키들이 메트로놈의 템포 150에 맞춰 0.5초의 오차 범위 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제3 키숙련도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주숙련도평가모듈은
색소폰 24개의 key 1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2 옥타브 C, C#, D, D#, E, F, F#, G, G#, A, A#, B, C와, 3 옥타브 C, C#, D, D#, E, F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오차 범위 0.5% 이내에서 정확히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 연주 평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The first key proficiency evaluation tha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key of the saxophone C MAJOR, D MAJOR, E MAJOR, F MAJOR, G MAJOR, A MAJOR, B MAJOR is operated within a 0.3 second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metronome tempo 140 Module,
Saxophone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G# ,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F# to analyze and evaluate whether each key is operated within the error range of 0.5 seconds according to the tempo of the metronome 120 ~ 180 A second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A system tha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each key of the saxophone's C, C#, D, Eb, E, F, F#, G, G#, A, Bb, and B majors is operated within an error of 0.5 seconds according to the tempo of the metronome 150 3 Including key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The performance proficiency evaluation module
Saxophone 24 keys 1 octave C, C#, D, D#, E, F, F#, G, G#, A, A# ,B, C and, 2 octaves C, C#, D, D#, E, F, F#, G , G#, A, A#, B, C, and 3 octaves C, C#, D, D#, E, F Each note of a specific performance played using each scale is within 0.5% of the error range according to the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analyze and evaluate whether it is played correctly in.
녹음 기능이 구비된 연주자단말기를 통해 색소폰의 각 키를 특정패턴으로 조작할 때 발생하는 조작음 및 특정 연주곡을 연주한 연주음을 포함하는 연주자음원정보를 녹음하는 녹음단계와;
상기 녹음단계에서 녹음된 연주자음원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제1송수신단계와;
서버에 수신된 연주자음원정보를 연주자가 색소폰을 조작해야 하는 특정패턴정보 및 연주자가 연주 가능한 복수의 연주곡정보를 포함하는 표본정보와 비교하여 연주자음원정보에 대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평가하는 평가단계와;
상기 평가단계에서 평가된 연주자숙련도정보를 연주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송수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단계는 색소폰의 각 키에 대한 조작음이 튜닝기의 기준음에 일치하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음정평가단계와, 색소폰의 키를 순차적으로 규정된 속도에 맞춰 정확하게 작동시키는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타이밍평가단계와, 색소폰의 피스와 리드를 결합한 상태로 색소폰의 키 조작음 간격이 0.05초 사이로 연주되는 레가토 팅잉과, 0.1초 사이로 연주되는 스타카토 텅잉의 타이밍을 분석 및 평가하는 텅잉평가단계와, 연주자가 주어진 악보를 메트로놈의 템포 120에 맞춰 시창하여 음과 음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에 해당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시창평가단계와, 색소폰의 특정 키들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조작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키숙련도평가단계와, 색소폰 24개의 키를 1옥타브 내지 3옥타브의 각 음계를 활용하여 연주한 특정 연주곡의 각 음이 메트로놈의 특정 템포에 맞춰 설정된 기준 오차 범위 이내에서 연주되는 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주숙련도평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 색소폰 연주 평가 방법.
In the stepwis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recording step of recording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an operation sound generated when each key of the saxophone is operated in a specific pattern through a player terminal equipped with a recording function and a performance sound performed by a specific performance song;
A first transmission/recep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player sound sourc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ecording step to a server;
An evaluation step of comparing the player's sound sour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with sample information including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for which the player must manipulate the saxophone and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that the player can play, and evaluating player skill information for the player's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a seco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of transmitting the player skill information evaluated in the evaluation step to the player terminal,
The evaluation step includes a pitch evaluation step of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the operation sound for each key of the saxophone matches the reference sound of the tuner, and a timing evaluation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the keys of the saxophone are sequentially operated accurately at a prescribed speed. The step, a legato tinging in which the saxophone's key operation sound interval is between 0.05 seconds, and the staccato tingling timing of 0.1 seconds in a state in which the pieces and reeds of the saxophone are combined, and the tonging evaluation stage are given by the player. A sight song evaluation step that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the score is tuned to the metronome's tempo 120 and the interval between notes and notes falls within the set standard error range, and the specific keys of the saxophone are within the standard error range set for a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The key proficiency evaluation stage, which analyzes and evaluates whether it is manipulated in, and each note of a specific song played by using each scale of 1 to 3 octaves on 24 saxophone keys is within the standard error range set for a specific tempo of the metronome. Step-by-step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rformance skill evaluation step of analyzing and evaluating whether it is play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67059 | 2018-06-11 | ||
| KR20180067059 | 2018-06-11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40420A KR20190140420A (en) | 2019-12-19 |
| KR102221143B1 true KR102221143B1 (en) | 2021-02-26 |
Family
ID=6905632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68901A Active KR102221143B1 (en) | 2018-06-11 | 2019-06-11 |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2114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02775A (en) | 2022-12-23 | 2024-07-03 | 주식회사 아몽아트드림 | Onli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instructor and membe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11489B1 (en) | 2012-09-10 | 2015-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Cell Manufacturing Device for Improvement of Productivity |
| KR101459324B1 (en) | 2013-08-28 | 2014-11-07 | 이성호 | Evaluation method of sound source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sound using it |
| KR20150069660A (en) * | 2013-12-16 | 2015-06-24 | 이성호 | Management method for performance of playing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therefor and database being used for it |
-
2019
- 2019-06-11 KR KR1020190068901A patent/KR102221143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02775A (en) | 2022-12-23 | 2024-07-03 | 주식회사 아몽아트드림 | Onli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through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instructor and memb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40420A (en) | 2019-12-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1874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in playing a music instrument | |
| JP4934180B2 (en) | Pluck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 |
| US9613542B2 (en) | Sound source evaluation method, performance information analys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in, and sound source evaluation apparatus using same | |
| US20220383842A1 (en) | Estimation model construction method, performance analysis method, estimation model construction device, and performance analysis device | |
| US20120266738A1 (en) | Music game improvements | |
| JP6539887B2 (en) | Tone evaluation device and program | |
| WO2019180830A1 (en) | Singing evaluating method, singing evaluating device, and program | |
| KR102221143B1 (en) |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a saxophon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 |
| US7379869B2 (en) | Voice evaluation for comparison of a user's voice to a pre-recorded voice of another | |
| Jaime et al. | A new multiformat rhythm game for music tutoring | |
| Konev et al. | The program complex for vocal recognition | |
| KR20190121080A (en) | media contents service system using terminal | |
| JP5807754B2 (en) | Stringed instrument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nd stringed instrument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 |
| Sephus et al. | Enhancing online music lessons with applications in automating self-learning tutorials and performance assessment | |
| JP6788560B2 (en) | Singing evaluation device, singing evaluation program, singing evaluation method and karaoke device | |
| Dzhambazov et al. | Sing master: an intelligent mobile game for teaching singing | |
| CN111653153A (en) | Music teaching system based on-line card punching scoring | |
| Bando et al. | A chord recognition method of guitar sound using its constituent tone information | |
| JP757180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achine learning system | |
| Maezawa et al. | Violin fingering estimation based on violin pedagogical fingering model constrained by bowed sequence estimation from audio input | |
| Yamada et al. | A rhythm practice support system with annotation-free real-time onset detection | |
| Dyroy | Development of Virtual Musical Keyboard Layout Interfaces for Invented and Evolved Tuning Systems | |
| Ferm | Exploring Alignment Methods in an Audio Matching Scenario for a Music Practice Tool: A Study of User Demands, Technical Aspects, and a Web-Based Implementation | |
| Vollmer et al. | In Search of the “Phonograph Effect”: Sonic Gestures in Violin Performance and Their Modification by Early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s (1901–1933) | |
| JP2016194629A (en) | Pluck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music performance device, and pluck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