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89B1 - Power generating system by using syngas th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 Google Patents
Power generating system by using syngas th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5889B1 KR102235889B1 KR1020190058913A KR20190058913A KR102235889B1 KR 102235889 B1 KR102235889 B1 KR 102235889B1 KR 1020190058913 A KR1020190058913 A KR 1020190058913A KR 20190058913 A KR20190058913 A KR 20190058913A KR 102235889 B1 KR102235889 B1 KR 102235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unit
- pyrolysis
- fuel
- power gene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2309 gas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9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22 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16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and in particu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9 combusti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3 diox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6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04—Cyclic processes, e.g. alternate blast and ru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10J3/22—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valves or flu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16—Biom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8—Details of the gasification process, e.g. loops, autothermal operation
- C10J2300/1807—Recycle loops, e.g. gas, solids, heating mediu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연료를 건조하는 건조저장사이로를 포함하는 연료건조투입부와; 상기 연료건조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연료를 열분해 가스화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열분해가스부와; 상기 열분해가스부에서 이송되는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집진수단, 냉각수단, 혼합수단을 포함하는 가스정제부와; 상기 가스정제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는 발전을 하는 가스발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스정제부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상기 집진수단 또는 상기 냉각수단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성 폐연료(바이오매스, 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할 수 있고, 가스 터빈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정도의 균질화 되고 안정적인 품질을 갖는 정제된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drying input unit including a dry storage silo for drying organic waste fuel; A pyrolysis gas unit for producing syngas by pyrolysis gasification of fuel input from the fuel drying input unit; A gas purification uni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unit, a cooling unit, and a mixing unit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as transferred from the pyrolysis gas unit; And a gas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us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purification unit, wherein the purified synthetic gas of the gas purification unit is circula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or the cooling unit.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d synthetic gas after removing impurities mixed in gas generated by pyrolysis of organic waste fuel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household,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 etc.)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produce purified syngas with a homogeneous and stable quality enough to generate power with a turb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성 폐연료(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모든 가연성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고체 및/또는 액체 연료를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 응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한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and in particular, organic waste fuels (solids that can be utilized as all combustible materials including living,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s, etc.) Or, it relates to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that has improved the system so that the purified syngas after removing impurities mixed in the gas generated by pyrolysis of liquid fuel can be used and applied.
사람들이 생활하는 과정, 산업 생산 활동, 의료산업 등의 모든 분야에서 생산적인 활동을 한 이후에 불필요한 쓰레기 내지 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Unnecessary garbage or waste is generated after productive activities in all fields such as the process of life, industrial production, and medical industry.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땅 속에 묻은 후 땅속에서 쓰레기 등이 분해되면서 서서히 안정화되는 매립, 높은 온도에서 태워 부피를 줄이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할 수 있는 소각, 필요로 하는 쓰레기 등을 분리하여 재사용하거나 재활용, 육지로부터 다소 떨어진 해양에 분뇨 등을 배출 등의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 특히 해양에 분뇨를 배출하는 등의 방법은 국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추세이다.Methods of disposing of such waste include landfill, which is gradually stabilized by decomposition of garbage in the ground after being buried in the ground, incineration that can reduce the volume by burning it at a high temperature and utilize the heat generated during this process, and separate required garbage. There are methods such as re-use, recycling, and discharging of manure into the ocean somewhat away from the land. Among these methods, in particular, methods such as discharging manure into the ocean are being banned internationally.
요즘 폐플라스틱의 미처리 문제로 지구환경 오염이 심각하나,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내지 가스 등을 이용한 에너지화는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폐기물 매립으로부터 생성되는 메탄가스 발생량을 줄여 메탄가스(바이오가스)의 높은 지구온난화지수(이산화탄소의 21배)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나 탄산가스나 미세분진 등 2차 지구 오염을 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선진국에서는 가연성폐기물의 고형연료화(RDF)와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등 폐기물 에너지화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노력이 활발하다.These days, the global environment pollution is serious due to the unprocessed problem of waste plastics, but energy conversion using heat or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replaces fossil fuels and reduces the amount of methane gas generated from landfilling, methane gas (biogas). There is a problem of secondary global pollution such as carbon dioxide gas and fine dust, as well as a mean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caused by the high global warming index (21 times carbon dioxide). Therefore, in developed countries,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es are actively made by converting waste into energy such as solid fuel conversion (RDF) of combustible waste and biogas conversion of organic waste.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도 참고문헌 등을 포함하여 관련 분야에서 다수의 기술을 제안하여 왔고, 현재도 다양한 분야에서 제안을 하고 있다. In line with this trend,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Korea, and the inventors have also proposed a number of technologie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references, and are currently making proposals in various fields.
폐기물 중 유기성 폐연료(바이오매스, 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로 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 재생(고형화 하지 않은 것도 포함) 연료를 열분해 내지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도 제안되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방법은 열분해 등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고 생산된 스팀을 활용하여 스팀 터빈을 가동시켜 전력을 얻는 것이다.A technology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using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yrolysis or incineration of combustible renewable (including non-solidified) fuels that can be used as organic waste fuels (biomass, household,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 etc.) among wastes. Was proposed. Most of the methods currently applied are to produce steam using heat generated in a process such as pyrolysis, and use the produced steam to operate a steam turbine to obtain power.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가연성 재생 연료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유독 가스는 물론 미세 분진이 다량 발생하여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효율이 낮아 생산단위 전력 당 CO2 발생량이 많아 지구 온난화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in the process of incineration of combustible renewable fuels, various toxic gases including dioxins as well as large amounts of fine dust are generated, which aggravates air pollution and has low efficiency, resulting in global warming due to the large amount of CO 2 generated per power generation unit. It has a problem of weighting.
이에, 연소하는 과정에서 완전 연소를 유도하는 1차로 열분해가스화 하여 가스연소를 통해 발생한 가스를 통해 발생한 열을 회수하여 스팀 발전 등으로 재활용하였으나, 근래에 와서는 그 기술이 진일보하여 열분해가스화 하고 그 가스를 정제하여 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재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매우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combustion, the heat generated through the gas generated through gas combustion was recovered and recycled by steam power generation by converting the first pyrolysis gas to induce complete combustion, but in recent years, the technology has advanced into pyrolysis gas and the gas It is highly desirable in an efficient and eco-friendly way to produce gas by purifying it and recycle it.
특히 폐기물 중에서도 유기성 폐연료(바이오매스, 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로 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가스엔진 또는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mong wastes, a gas engine or gas turbine can be operated using purified synthetic gas after removing impurities mixed in the gas generated by pyrolysis of combustible renewable fuels that can be used as organic waste fuels (biomass, household,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 etc.).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it.
[참고문헌] [references]
등록특허공보 제10-0899185호 (2009.05.26.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99185 (announced on May 26, 2009)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9316호 (2010.02.18. 공개)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9316 (published on February 18, 2010)
등록특허공보 제10-0742159호 (2007.07.25.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42159 (2007.07.25. Announcement)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4033호 (2018.04.04. 공개)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4033 (published on April 4, 2018)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성 폐연료(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매스)로 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purified synthetic gas after removing impurities mixed in gas generated by pyrolysis of combustible renewable fuel that can be used as organic waste fuel (biomass including living,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 etc.) It is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 엔진이나 터빈을 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정제된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capable of producing purified syngas having a stable quality enough to use a gas engine or turbin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순물이 혼입된 가스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퍼지용 또는 펄스용 가스로 폭발의 위험 등으로 인해 질소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제된 합성가스를 재활용하여 폭발 위험성을 예방함과 동시에 질소 가스 대신에 생산 되고 정제된 합성가스를 사용하므로 가스의 열량(질)을 유지하면서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이오매스을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nitrogen gas due to the risk of explosion as a purge or pulse gas in the process of purifying a gas containing impuriti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ied synthetic gas is recycled to explode.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containing biomass that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the calorific value (quality) of the gas, as it prevents danger and uses purified synthetic gas instead of nitrogen ga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제된 합성가스를 쇼트 블라스트 이송유체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 생산가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that can utilize the production ga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use of purified syngas as a shot blast transfer fluid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건조하는 건조저장사이로를 포함하는 연료건조투입부와; 상기 연료건조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연료를 열분해 가스화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열분해가스부와; 상기 열분해가스부에서 이송되는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집진수단, 냉각수단, 혼합수단을 포함하는 가스정제부와; 상기 가스정제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는 발전을 하는 가스발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스정제부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상기 집진수단 또는 상기 냉각수단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drying input unit including a dry storage silo for dry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containing biomass; A pyrolysis gas unit for producing syngas by pyrolysis gasification of fuel input from the fuel drying input unit; A gas purification uni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unit, a cooling unit, and a mixing unit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as transferred from the pyrolysis gas unit; It is achieved by a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gas pow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ower us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purification unit, and circulating the purified synthetic gas of the gas purification uni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or the cooling unit.
또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열분해가스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냉각시키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의 하류에 배치되어 가스 중의 분진 및 타르를 제거 가능하게 마련된 사이클론 또는 사이클론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집진기 하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열교환기와, 상기 냉각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가스를 냉각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냉각스크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수단은, 상기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 하류에 배치된 냉각폐열보일러 및 백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열교환기와 상기 냉각스크러버 사이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상기 혼합챔버로 순환시켜 급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oling means is downstream of a dust collector including a mixing chamber for cooling the gas generated in the pyrolysis gas unit, and a cyclone or cyclone electric dust collect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mixing chamber to remove dust and tar from the gas. And a cooling heat exchang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oling heat exchanger to cool the incoming gas, and a cooling scrubb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oling heat exchanger to cool the gas and remove impurities, and the dust collecting means comprises the dust collector and the dust collector. It includes a cooling waste heat boiler and a bag filter, and it is preferable to circulate the purified syngas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cooling scrubber to the mixing chamber for rapid cooling.
또한, 상기 냉각스크러버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발전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균질화시키는 혼합버퍼탱크의 하류에서 분기되어 이송되는 가스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압축가스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가스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가스를 상기 백필터의 펄스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ncludes a compressed gas storage tank for compressing and storing the gas branched and transferred from the downstream of the mixing buffer tank which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oling scrubber to homogenize the gas supplied to the gas generator, and the compressed gas storage tank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tored compressed gas for the pulse of the bag filter.
또한, 상기 가스화 발전 시스템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열분해가스부, 상기 가스정제부 또는 상기 가스발전부를 퍼지시키는 유체는 상기 가스발전부에서 배기되는 산소 5wt% 이하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압축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is stopped, the pyrolysis gas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or the fluid purging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compresses and stores exhaust gas containing 5 wt% or less of oxygen exhausted from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건조투입부, 상기 열분해가스부, 상기 가스정제부 및 상기 가스발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발전부에서 요구하는 설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열분해가스부에 포함되어 열분해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램이 연료를 이송하는 속도 및 량을 제어하는 것과 열분해 공기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혼합버퍼탱크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열분해 가스화의 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y injection unit, the pyrolysis gas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and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is the pyrolysis gas unit so as to maintain a set quality required by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ram for transferring the fuel containing pyrolysis gasif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speed and amount of fuel transfer, controls the pyrolysis air, and controls the amount of pyrolysis gas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mixing buffer tank. Do.
또한, 상기 건조투입부, 상기 열분해가스부, 상기 가스정제부 및 상기 가스발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스정제부에는 상기 가스정제부에서 정제된 합성가스를 상기 가스발전부로 균질하고 균일하게 공급 가능하게 마련된 혼합버퍼탱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합버퍼탱크에 저장된 가스의 압력에 기초하여 열분해가스 생산량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발전부에서 요구하는 압력과 량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자동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y injection unit, the pyrolysis gas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and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mixed buffer tank provided to uniformly and uniformly supply the syngas purified by the gas purification unit to the gas gener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gas stored in the mixed buffer tank. Thu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control valve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pyrolysis gas production, and to adjust the pressure and amount required by the gas generator.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성 폐연료(바이오매스, 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d synthesis after removing impurities mixed in gas generated by pyrolysis of combustible renewable fuel that can be used as organic waste fuel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household,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capable of using gas.
또한, 가스 엔진이나 터빈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정도의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정제된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capable of producing purified syngas having a stable quality such that a gas engine or turbine can operate normally.
또한, 불순물이 혼입된 가스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폭발의 위험 등으로 인해 질소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스발전 후 배출가스를 재활용하여 폭발 위험성을 예방함과 동시에 질소 가스에 비하여 저렴한 배기가스를 사용하므로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nitrogen gas is used due to the risk of explosion in the process of purifying the gas containing impuriti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gas is recycled after gas power generation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and at the same time, inexpensive exhaust gas is reduced. Since it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that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또한, 정제된 합성가스를 쇼트 블라스트에 필요한 이송 유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 transfer fluid required for shot blasting of purified synga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b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에서 정제된 합성가스를 순환시켜 활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irculating and utilizing the purified syngas in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에서 정제된 합성가스를 순환시켜 활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to 2B are pyrolysis gasification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And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irculating and utilizing the purified syngas in the gas power generation system,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100, 이하에서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이라 함)은 크게 나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부분은 유기성 폐연료의 건조 투입하는 건조투입부(110) 영역이며, "나" 부분은 유기성 폐연료를 열분해 가스화하여 합성가스연료를 생산하는 열분해가스부(120) 영역이고, "다" 부분은 생산된 합성가스를 정제(합성가스에 포함된 분진 등 이물질을 제거 과정으로 건식 또는 습식 장치를 사용)하는 가스정제부(미도시) 영역이며, "라" 부분은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가스엔진 또는 가스터빈으로 발전하는 가스발전부(155) 영역이다. 여기서, 가스정제부는 냉각수단인 재순환된 가스와 혼합되는 혼합챔버(141)와 냉각열교환기(146) 및 냉각스크러버(147)와 냉각폐열보일러(143)를 포함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수단인 사이클론 또는 사이클론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집진기(142), 백필터(14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사이클론과 습식전기집진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yrolysis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is largely divided, as shown in FIG. The "A" part is the area of the
이러한 "가" 부분에서 "라" 부분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분도 포함되지만 "나" 부분에서 생성된 열분해 합성가스를 정제하고 안정적으로 "라" 부분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이다. 즉, 가스엔진이나 가스터빈에 소요되는 청정가스의 품질은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까다로운 조건에 부합한 청정가스를 생산하는 데 종래기술에서는 매우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 본 발명이다.In the process of proceeding from the "A" part to the "D" part, other parts are included, but the method of purifying the pyrolysis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B" part and stably supplying it to the "D" part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tter.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clean gas required for gas engines or gas turbines requires very demanding conditions, and in producing clean gas that meets these demanding conditions,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re solved. One is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가스엔진에 소요되는 청정가스가 구비해야 할 요건은, 첫째, 청정가스의 발열량은 일정발열량 이상이고, 둘째, 청정가스의 성분이 설정치 이상이며 변동 폭이 ±2%/30초(30초 동안 변동 폭이 2% 이하) 이내이며, 셋째, 청정가스에 타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넷째, 청정가스에 존재하는 수분이 25℃ 포화 수분 이하이어야 한다. 이러한 최적의 요건을 구현할 수 있는 후술하는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100)을 본 발명자는 관련 분야의 다양한 경험, 연구 및 기존 특허 기술들을 활용하여 도출하게 되었다.For example, the requirements that the clean gas required for a gas engine must have are: First, the clean gas has a heating value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heat, and second, the clean gas component is more than a set value, and the fluctuation width is ±2%/30 seconds ( The fluctuation range for 30 seconds is within 2%), third, no tar should exist in the clean gas, and fourth, the moisture present in the clean gas should be less than 25℃ saturated moisture. The inventors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100)에서는 순전히 일반 공기가 이용되므로 합성가스의 발열량은 LNG나 LPG 등과 달리 아주 낮고(1,000 ~ 2,000Kcal/Nm3) 투입되는 폐연료 조건에 따라 생산되는 합성가스의 량과 질이 아주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변동 가능성이 많은 조건을 극복하고 가스발전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과 다르게 구사된다.In the pyrolysis gasification
먼저, "가" 공정에서 폐고체 유기성분을 갖는 연료는 선별 파쇄 되어 투입 되고 간이 건조저장사이로(111)를 거쳐 압축투입장치(115)를 통해 열분해가스부(120)로 유입된다.First, in the "A" process, the fuel having the waste solid organic component is selectively crushed and input, and is introduced into the
유입된 압축연료는 회전분쇄기(분배기, 미도시)를 거쳐 분쇄되어 골고루 하부로 공급되고 하부 가열 공기 주입 회전분배기에서 공급하는 가열 공기에 의해 연료건조존(121)에서 건조되고, 건조 후 연료는 계속 하부로 이동되며 이송그레이트(고정설치도 가능) 근처에서부터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troduced compressed fuel is pulverized through a rotary grinder (distributor, not shown) and supplied to the lower part, and is dried in the
건조화존공기공급팬(122)에 의하여 공급된 가열 공기의 대부분은 상부에서 이송되는 연료를 건조한 후 연료에서 건조된 공기와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퍼지팬(1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온도가 상승한 가스에서 폐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마련된 열회수장치(예를 들면, 엔진배출가스열교환기, 미도시)에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어 다시 열분해가스화로로 공급되며 일부는 열분해가스화 공기로 이용 가스화 되고 나머지는 열분해로 상부 건조공기용으로 재순환 공급된다.Most of the heated air supplied by the dried zone
그리고, 그레이트 상부에서 열분해가 이루어진 연료는 그레이트 사이로 낙하된다. 이때, 낙하량을 조절하기 위해 그레이트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며 고정그레이트의 경우에는 하부에 회전이송장치(124)의 주기적 회전에 의해 하부로 낙하 이송된다.Then, the fuel that has undergone pyrolysis in the upper part of the grates falls between the grates. At this time, the grate moves periodically to control the amount of fall, and in the case of the fixed grate, the grate is dropped and transferred downward by the periodic rotation of the
하부로 낙하된 연료는 휘발 물질의 열분해가 대부분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다음 단계인 가스화가 진행될 수 있다. 가스화를 위하여 가스화공기공급팬(125) 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하부의 특수노즐(미도시)을 통해 가열된 상태로 주입되어 낙하된 연료의 가스화를 촉진시키며 어느 정도 가스화가 진행되면 이송램에 의해 다음 단계로 교반 이송된다. Since most of the fuel dropped to the bottom has undergone pyrolysis of volatile substances, the next step, gasification, can proceed. For gasification, the air supplied by the gasification
이때 이송램이 연료를 이송시키면 교반에 의해 폭발적으로 가스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료의 가스화를 조절하기 위해 이송램으로 연료의 이송 속도 및 이송량을 조절하고 용량에 따라 한 단에 한 개 이상의 다수의 램을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스화단 역시 용량에 따라 한 단 이상 다단의 예를 들면 10여 개 이상의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transfer ram transfers the fuel, gasification occurs explosively by stirring. In order to control the gasification of such fuel, a transfer ram may control a transfer speed and a transfer amount of fuel, and one or more rams may b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capacity. In addition, the gasification stage may also be installed in one or more multi-stage, for example, 10 or more multi-stages depending on capacity.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가스화가 이루어진 연료는 회분만 남게 되며 최종적으로 회분 속 잔류탄소를 가스화한 후 회분만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잔류탄소를 완벽하게 가스화하기 위해 플라즈마 등을 이용한 용융풀속을 거쳐 잔류탄소를 완전하게 가스화 시키고 남은 잔재만을 외부로 배출 할 수도 있다.The fuel gasified through this process leaves only ash, and finally, after gasification of residual carbon in the ash, only as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letely gasify the residual carbon, the residual carbon may be completely gasified through a molten pool using plasma or the like, and only the residual carbo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본 공정에서 압축연료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연료를 압축하여 연료 중의 공기를 퍼지 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process through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by purging the air in the fuel by compressing the fuel in order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compressed fuel.
투입되는 연료를 열분해로 내의 열분해가스화 부분으로 투입하기 전 최대한으로 가열 공기와 퍼지팬(123)을 이용 건조한다.Before the input fuel is injected into the pyrolysis gasification part in the pyrolysis furnace, the heating air and the
투입된 연료의 열분해가스화가 순간적으로 대량 발생(이송램 등의 작동 시 대량 발생)하지 않도록 이송램을 2개 이상(10여개 이상도 가능) 장착하고 각각의 작동 시간과 속도를 조절하게 한다. Two or more transfer rams (more than 10 are possible) are installed so that the thermal decomposition gasification of the injected fuel does not occur in an instant (mass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ram, etc.), and each operation time and speed are adjusted.
그리고, 일반적인 소각로의 경우에 연소나 열분해를 하고 남은 회분은 수봉장치(물로 밀봉하는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량의 증기가 발생 유입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회분이 압축되어 배출되므로, 회분 배출시에서 외부공기가 연소, 열분해 과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a general incinerator, since a large amount of steam is generated and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through a water sealing device (a device that seals with water), the remaining ash after combustion or pyrolysis is mechanically compressed to prevent this. Since it is discharged, it can be blocked so that outside air does not flow into the combustion and pyrolysis process when the ash is discharged.
발생된 열분해가스는 800 ~ 1000°C 정도의 온도를 가지며, 하류로 흐르면서 가스분해챔버(126)에서 분진은 원심 분리되어 낙하되어 회분이 배출되는 측으로 이동하고, 타르 및 고분자 화합물은 분해된 후 가스와 함께 정제하는 영역인 “다” 부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분해되지 않고 존재하는 타르가 이후 냉각폐열보일러(143)에 부착되는 경우 냉각폐열보일러(143) 내부에 부착된 타르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쇼트 블라스트로 냉각폐열보일러(143) 내부를 클리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enerated pyrolysis gas has a temperature of 800 ~ 1000 °C, and as it flows downstream, the dust in the
정제 영역에 속하는 “다” 부분에 유입된 가스에 유리 카본 성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를 위해 급격한 냉각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정제장치 냉각 후 백필터(145) 후단의 냉각열교환기(146) 출구의 냉각된 가스(60℃ 내외)를 혼합챔버(141)로 혼합챔버순환블로워(171)를 이용하여 순환시켜 열분해가스와 혼합시켜 800 ~ 1000℃ 가스를 500°C로 급냉시킬 수 있다(도 2a의 ‘L113’ 참조).Rapid cooling is requir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free carbon components in the gas introduced into the “C” part of the refining area. To this end, after cooling the purifier, the outlet of the
급랭을 거친 가스는 사이클론식 전기집진기(142, 필요에 따라 사이클론만 설치 할 수 있음)를 통해 분진을 제거한 후 집진기(142 하류에 배치된 냉각폐열보일러(143) 형식의 포함하는 냉각장치 내지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된다. 여기서, 냉각폐열보일러(143)는 미세한 정도라도 유입될 수 있는 타르나 분진에 막힘이 없도록 입형 연관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 방식을 이용한 클리닝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고, 수관식으로 적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에 활용되는 가스는 도 2a에 도시된 ‘L115’를 따라 폐열보일러순환블로워(173)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L115는 제습기(153)를 거쳐 가스발전부(155)의 상류에서 분기된 라인이며 상측에 표시하지 않은 라인은 집진기(142) 퍼지용으로 활용되는 배관 라인이다.The gas that has undergone rapid cooling is a cooling device or cooling means including a cooling
가스에 혼입된 분진의 제거를 위해 가스는 냉각폐열보일러(143)의 하류에 배치된 백필터(145)로 유입된다. 백필터(145)는 습식 전기집진기로 설치 또는 대체될 수도 있다.In order to remove the dust mixed in the gas, the gas is introduced into the
백필터(145)에서 분진이 제거된 가스는 냉각열교환기(146, 예를 들면, 에코노마이저 타입)를 통해 60℃ 정도로 냉각된 후 일부 가스는 혼합탱크순환블로워(171)에 의해 혼합챔버(141)로 순환되고, 나머지 가스는 냉각스크러버(scrubber)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면서 냉각된다.After the gas from which the dust has been removed from the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하류의 냉각폐열보일러(143) 등으로 많은 량의 분진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집진기(142가 적용되고, 집진기(142를 통과한 미세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백필터(145)가 배치되며, 수 분사에 의해 폐기물 중 산성가스 등 유해가스 제거용으로 사용하며 바이오매스 연료의 경우에는 필요치 않을 수도 있으나 최종 냉각 및 유해가스 제거용으로 사용되는 냉각스크러버(147)가 각각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아울러 필요에 따라 백필터(145)와 냉각스크러버(147) 대신에 습식 전기집진기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instead of the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제된 합성가스는, 로터리블로워(151)를 통해 가압 이송 되어 혼합버퍼탱크(152)에 저장 된다. 혼합버퍼탱크(152) 내에서 정제된 합성가스는 시간의 차이(예를 들면, 20초 이상)를 두고 혼합되도록 설정된 혼합장치(미도시)에 의해 혼합되어 저장된다.The syngas purified through this process is transferred under pressure through the
혼합버퍼탱크(152)에 저장된 정제된 합성가스는 제습기(153)를 통해 제습되고 최종적으로 압력자동조절밸브(154)를 통해 설정된 적정 압력과 적정량으로 가스발전부(155, 예를 들면, 가스엔진, 가스터빈)로 유입된다. 유입되는 정제된 합성가스에 의해 가스발전부(155)에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urified syngas stored in the
그리고, 추가적으로 혼합버퍼탱크(152)의 하류에서 분기되어 가스압축기(161)로 압축(예를 들면, 6~8 bar)된 가스는 압축가스저장탱크(163)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고압으로 압축되어 정제된 합성가스는 전술한 백필터(145)의 펄스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도 2b의 ‘L211’ 참조). 여기서, 연료가 열분해가스부(120)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등의 퍼지용 가스는 엔진 출구의 배기가스를 흡입 압축(미도시)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as branched downstream of the
이러한 과정에서 집진기(142는 퍼지용 유체, 백필터(145)는 펄스용 유체, 냉각폐열보일러(143)의 쇼트 블라스트용 유체, 급냉 시 냉각용 유체가 각각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일반 소각로의 경우에 이러한 퍼지용, 펄스용 또는 냉각용 등에 사용되는 유체는 공기를 압축한 압축공기가 사용된다. 반면에, 열분해 가스화 공정에서 퍼지용, 펄스용 또는 냉각용 등에 적용되는 유체는 폭발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불활성가스인 질소를 사용한다. 열분해 가스화 공정의 경우 질소를 사용하면 질소의 가격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된 합성가스 또는 이를 압축한 가스에 비하여 훨씬 비싸 경제성에서 차이를 많이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펄스용, 퍼지용 또는 냉각용으로 질소가 사용되면 정제된 합성가스 내부에 질소의 함량이 증가하여 정제된 합성가스의 발열량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펄스용에는 비교적 고압의 정제된 합성가스가 사용되고, 혼합용 또는 퍼지용 등에는 저압의 정제된 합성가스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process, the
즉, 가스발전부(155)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정제된 합성가스에는 산소가 0wt%이고, 발열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CH4, H2, CO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정제된 합성가스가 퍼지용, 펄스용 및 냉각용으로 혼입이 되더라도 동일한 가스로 폭발을 예방할 수 있고 생산된 합성가스의 질을 변화시키지 않아 효율적이다. 또한, 시스템 정지 시와 같은 경우의 안전 퍼지용으로 이용되는 가스발전부의 배기가스는 산소가 5wt% 이하이고 나머지는 질소와 이산화탄소로서 불활성가스적 성질을 가지므로 이러한 가스는 합성가스와 혼합하여도 폭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벗어나므로 폭발을 예방할 수 있어 시스템을 운영하는 과정에 사용하면 안전성이 확보되고 경제적이다.That is, the purified synthesis gas capable of operating the gas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된 합성가스를 재순환시켜 활용을 하면 가스발열량을 변동시키거나 전체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스질을 균질화(순환, 혼합으로)시켜 발전기의 작동을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질소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품질이 향상되어 효율이 높고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ed synthetic gas is recycled and utilized, the gas heat quantity is not changed or the entire process is not affected, and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can be stabilized by homogenizing the gas quality (by circulation, mixing), and nitrogen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ed, the quality is improved, so that the efficiency is high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한편, 가스발전부(155)에 나오는 배가스를 미도시된 열회수장치에 의하여 냉각되고 냉각된 배가스를 압축기를 통해 압축시켜 압축된 공기를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시켜 저장된 압축 배가스를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100)이 정지되는 경우 공정 라인의 퍼지(purge)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haust gas from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는 통상의 제어부(180)와 마찬가지로 본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100)을 제어, 통제할 수 있는 중앙제어반뿐만 아니라 각 구성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 등에 설치된 유량계, 온도계, 압력계 등의 센서류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구성들을 제어 통제하는 등의 다양한 공지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또는 제어부(180)는 중앙제어반뿐만 아니라 각 구성에 인접된 로컬제어반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100)의 작동 내지 제어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r control process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압축투입장치(115)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으로 차단한다. 외부 공기 유입이 있을 경우 강제로 조절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외부 공기는 1차적으로 연료압축에 의해 퍼지 차단되고 압축연료 투입 과정에서 유입되는 소량의 외부공기는 퍼지팬(123)에 의해 건조공기와 같이 혼합 배출된다.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가열되는 열분해 가스화 주입 공기가 적어져 가스화 효율이 낮고 발생 가스의 연소가 이루어져 합성가스 발열량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First, as shown in FIG. 3, the inflow of external air is blocked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fuel
이송램이 일반 소각로와 같이 대형이고 대용량으로 제작되어 일순간에 작동할 경우에 폭발적으로 가스가 대량 발생되므로 작은 용량의 이송램을 여러 개(용량에 따라 한 개 이상 수십 개를 포함하는 다수도 가능)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이송장치 역시 여러 개로 구비 되어 교반시키는 시간 차이를 두고 작동시켜 이송되는 연료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 발생하는 합성 가스의 열량 및 성분이 안정적이면서도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조절한다(도 3의 ‘S117’ ‘S119’ 참조).As the transfer ram is large and large like a general incinerator, i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gas explosively when it is operated in an instant, so several transfer rams with small capacity (multiple including one or more doze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capacity) It is preferably made of. Agitating and transferring devices are also provided in a number of units, operating at a time difference for stirring, and controlled so that the amount of fuel to be transferred is within a set range so that the amount of heat and components of the generated synthesis gas are stably and uniformly generated ('S117' in Fig. 3). S119').
발생된 가스를 균질화하기 위해 순환 사이클을 사용(도 2a 등 참조)하고 또한 혼합버퍼탱크(152)에서 가스의 최종 균질화를 유도하였다.In order to homogenize the generated gas, a circulation cycle was used (see FIG. 2A, etc.), and the final homogenization of the gas was induced in the mixing
가스의 발생량은 혼합버퍼탱크(152)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반 PLC를 포함하는 제어부(180)에 의해 연료 투입량 이송교반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연료투입장치(미도시) 및 열분해 가스화 주입공기조절밸브를 조정한다(도 3의 ‘S113’ ‘S115’ 참조)The amount of gas generated is a fuel injection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fuel input amount transfer and stirring device (not shown) by the
그리고, 제어부(180)에서 가스발전부(155) 발전량 증가를 감지하여 혼합버퍼탱크(152)의 압력과 비교 생산 가스량을 조절, 제어하고, 가스발전부(155)에서 필요로 하는 공급되는 정제된 합성가스의 압력을 압력자동조절밸브(154)를 이용하여 조절 한다(도 3의 ‘S211’ ‘S213’ 참조).In addition,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성 폐연료(생활, 산업, 폐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열분해하여 발생한 가스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rification after removing impurities mixed in gas generated by pyrolysis of combustible renewable fuel that can be used as organic waste fuel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including biomass including household, industrial, waste synthetic resin,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capable of using the synthesized gas.
또한, 가스 엔진이나 터빈을 안정적으로 작동 할 수 있는 정도의 안정된 품질을 갖는 정제된 합성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capable of producing purified syngas having a stable quality enough to stably operate a gas engine or turbine.
또한, 불순물이 혼입된 가스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폭발의 위험 등으로 인해 질소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제된 합성가스를 재활용하여 폭발 위험성을 예방함과 동시에 질소 가스에 비하여 저렴한 정제된 합성가스를 사용하므로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nitrogen gas is used due to the risk of explosion in the process of purifying the gas containing impuriti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ied synthesis gas is recycled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urified synthesis gas is inexpensive compared to nitrogen gas. Because of the use of,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that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또한, 정제된 합성가스를 쇼트 블라스트의 이송유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가연성 재생 연료를 이용한 열분해 가스화 및 가스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yrolysis gasification an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combustible renewable fuel including biomass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 transfer fluid of shot blasting of purified syngas.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Her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odify the present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or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열분해 가스화 발전 시스템 110 : 연료건조투입부
111 : 건조저장사이로 115 : 압축투입장치
120 : 열분해가스부 121 : 연료건조존
122 : 건조화존공기공급팬 123 : 퍼지팬
124 : 회전이송장치 125 : 가스화공기공급팬
126 : 가스분해챔버 130 : 배출스텍
141 : 혼합챔버 142 : 전기집진기
143 : 냉각폐열보일러 145 : 백필터
146 : 냉각열교환기 147 : 냉각스크러버
151 : 로터리불로워 152 : 혼합버퍼탱크
153 : 제습기 154 : 압력자동조절밸브
155 : 가스발전부 161 : 가스압축기
163 : 압축가스저장탱크 171 : 혼합탱크순환블로워
173 : 폐열보일러순환블로워 180 : 제어부100: pyrolysis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110: fuel drying input unit
111: between dry storage 115: compression injection device
120: pyrolysis gas part 121: fuel drying zone
122: dry zone air supply fan 123: purge fan
124: rotary transfer device 125: gasified air supply fan
126: gas decomposition chamber 130: exhaust stack
141: mixing chamber 142: electric dust collector
143: cooling waste heat boiler 145: bag filter
146: cooling heat exchanger 147: cooling scrubber
151: rotary blower 152: mixed buffer tank
153: dehumidifier 154: pressure automatic control valve
155: gas generator 161: gas compressor
163: compressed gas storage tank 171: mixed tank circulation blower
173: waste heat boiler circulation blower 180: control unit
Claims (6)
상기 연료건조투입부에서 투입되는 연료를 열분해 가스화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열분해가스부와;
상기 열분해가스부에서 이송되는 가스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집진수단, 냉각수단, 혼합수단을 포함하는 가스정제부와;
상기 가스정제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는 발전을 하는 가스발전부를 포함하되,
가연성 재생연로는 상기 건조저장사이로에서 1차로 건조된 후 상기 열분해가스부의 연료건조존에서 2차로 건조되며,
상기 열분해가스부는 횡형과 입형을 혼합한 형식으로 열분해가스의 온도는 800 ~ 1000도 범위이며, 타르가 분해되고 분진이 제거 가능한 가스분해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분해챔버를 거친 혼합챔버로 유입되는 고온의 가스를 상기 가스정제부의 정제되고 냉각되어 순환시킨 합성가스와 상기 혼합챔버에서 혼합시켜 고온의 가스를 급냉시켜 카본 재생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A fuel drying input unit including a dry storage silo for dry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A pyrolysis gas unit for producing syngas by pyrolysis gasification of fuel input from the fuel drying input unit;
A gas purification uni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unit, a cooling unit, and a mixing unit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gas transferred from the pyrolysis gas unit;
Including a gas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us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purification unit,
The combustible recycled fuel is first dried in the drying storage silo and then secondly dried in the fuel drying zone of the pyrolysis gas unit,
The pyrolysis gas unit includes a gas cracking chamber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pyrolysis gas is in the range of 800 to 1000 degrees, and the tar is decomposed and dust is removed, in a form in which a horizontal type and a vertical type are mixed,
Gas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temperature gas flowing into the mixing chamber passing through the gas decomposition chamber is mixed with the purified, cooled and circulated synthetic gas of the gas purification unit in the mixing chamber to rapidly cool the high-temperature gas to prevent carbon regener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열분해가스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급속 냉각시키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의 하류에 배치되어 가스 중의 분진 및 타르를 제거 가능하게 마련된 사이클론 또는 사이클론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집진기 하류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열교환기와, 상기 냉각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가스를 냉각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냉각스크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수단은, 상기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 하류에 배치된 냉각폐열보일러 및 백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열교환기와 상기 냉각스크러버 사이의 정제된 합성가스를 상기 혼합챔버로 순환시켜 급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means is disposed downstream of a dust collector including a mixing chamber for rapidly cooling the gas generated from the pyrolysis gas unit, and a cyclone or cyclone electric dust collector disposed downstream of the mixing chamber to remove dust and tar from the gas. A cooling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cool the incoming gas, and a cooling scrubb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oling heat exchanger to cool the gas and remove impurities,
The dust collecting means includes the dust collector, a cooling waste heat boiler and a bag filt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dust collector,
A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apid cooling by circulating the purified syngas between the 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cooling scrubber to the mixing chamber.
상기 냉각스크러버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발전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균질화시키는 혼합버퍼탱크의 하류에서 분기되어 이송되는 가스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압축가스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가스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가스를 상기 백필터의 펄스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A compressed gas storage tank disposed downstream of the cooling scrubber to compress and store the gas branched and transferred from the downstream of the mixing buffer tank to homogenize the gas supplied to the gas generator,
And using the compressed gas stored in the compressed gas storage tank for pulses of the bag filter.
상기 가스화 발전 시스템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열분해가스부, 상기 가스정제부 또는 상기 가스발전부를 퍼지시키는 유체는 상기 가스발전부에서 배기되는 산소 5wt% 이하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압축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is stopped, the pyrolysis gas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or the fluid purging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gas containing 5wt% or less of oxygen exhausted from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is compressed and stored and used. Gasific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상기 연료건조투입부, 상기 열분해가스부, 상기 가스정제부 및 상기 가스발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발전부에서 요구하는 설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열분해가스부에 포함되어 열분해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연료를 이송하는 이송램이 연료를 이송하는 속도 및 량을 제어하는 것과 열분해 공기를 제어하는 것과 상기 혼합버퍼탱크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열분해 가스화의 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el drying injection unit, the pyrolysis gas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and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peed and amount at which the fuel is transferred by the transfer ram included in the pyrolysis gas part to transfer the pyrolytic gasification fuel so as to maintain the set quality required by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and controls the pyrolysis air.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pyrolysis gas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mixed buffer tank.
상기 연료건조투입부, 상기 열분해가스부, 상기 가스정제부 및 상기 가스발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가스정제부에는 상기 가스정제부에서 정제된 합성가스를 상기 가스발전부로 균질하고 균일하게 공급 가능하게 마련된 혼합버퍼탱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합버퍼탱크에 저장된 가스의 압력에 기초하여 열분해가스 생산량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발전부에서 요구하는 압력과 량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자동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화 발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el drying injection unit, the pyrolysis gas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and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The gas purific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mixed buffer tank provided to uniformly and uniformly supply the syngas purified by the gas purification unit to the gas power gen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automatic control valve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pyrolysis gas produced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gas stored in the mixed buffer tank, and to adjust the pressure and amount required by the gas generator.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8913A KR102235889B1 (en) | 2019-05-20 | 2019-05-20 | Power generating system by using syngas th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8913A KR102235889B1 (en) | 2019-05-20 | 2019-05-20 | Power generating system by using syngas th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33536A KR20200133536A (en) | 2020-11-30 |
| KR102235889B1 true KR102235889B1 (en) | 2021-04-02 |
Family
ID=7364198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58913A Active KR102235889B1 (en) | 2019-05-20 | 2019-05-20 | Power generating system by using syngas th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35889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27903B1 (en) * | 2021-10-20 | 2022-08-04 | (주)에스지이에너지 | A biomass gasification system |
| KR20240075092A (en) | 2022-11-21 | 2024-05-29 | 이은관 | Methods and systems for upcycling waste plastics with high value-added resourc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82675B1 (en) * | 2020-11-06 | 2023-01-0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Waste plastic pyrolysis system with auxiliary heat sources |
| KR102335513B1 (en) | 2021-03-08 | 2021-12-06 | 김돈한 | Non-flow type waste plastic rapid pyrolysis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operation |
| KR102498715B1 (en) * | 2021-07-02 | 2023-02-13 | 엔탑기술 주식회사 | Continuous low-temperature pyrolysis system |
| US12331251B2 (en) | 2021-07-02 | 2025-06-17 | Entop Technology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low-temperature pyrolysis |
| KR102477495B1 (en) * | 2021-12-17 | 2022-12-15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An emul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pyrolysis furnace for pyrolyzing combustible waste by blocking oxygen and air and continuously supplying it, and a gas char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gas and carbonized by products connected thereto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12956A (en) | 2003-10-06 | 2005-04-28 | Nippon Steel Corp | Gasification method for biomass |
| KR101367370B1 (en) | 2011-09-16 | 2014-02-27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R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ynthesis gas from biomass |
| KR101527931B1 (en) * | 2014-12-02 | 2015-06-11 | 삼양에코너지 주식회사 | The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using a biomass gasification |
| KR101632147B1 (en) | 2015-04-01 | 2016-06-22 | (주)정석이엔씨 | Power plant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biomass |
| KR101837650B1 (en) * | 2011-09-29 | 2018-03-13 | 한국전력공사 | Gasifier Using Synthesis Gas Cooling System |
-
2019
- 2019-05-20 KR KR1020190058913A patent/KR1022358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12956A (en) | 2003-10-06 | 2005-04-28 | Nippon Steel Corp | Gasification method for biomass |
| KR101367370B1 (en) | 2011-09-16 | 2014-02-27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R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ynthesis gas from biomass |
| KR101837650B1 (en) * | 2011-09-29 | 2018-03-13 | 한국전력공사 | Gasifier Using Synthesis Gas Cooling System |
| KR101527931B1 (en) * | 2014-12-02 | 2015-06-11 | 삼양에코너지 주식회사 | The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using a biomass gasification |
| KR101632147B1 (en) | 2015-04-01 | 2016-06-22 | (주)정석이엔씨 | Power plant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biomass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27903B1 (en) * | 2021-10-20 | 2022-08-04 | (주)에스지이에너지 | A biomass gasification system |
| WO2023068454A1 (en) * | 2021-10-20 | 2023-04-27 | (주)에스지이에너지 | Biomass gasification system |
| KR20240075092A (en) | 2022-11-21 | 2024-05-29 | 이은관 | Methods and systems for upcycling waste plastics with high value-added resourc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33536A (en) | 2020-11-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35889B1 (en) | Power generating system by using syngas that pyrolysis and gasification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 |
| US970255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energy from waste | |
| RU2287010C2 (en) | Environmental safe process for obtaining energy from coal (options) | |
| CN101479020B (en) | gas adjustment system | |
| KR102181822B1 (en) | Pyrolysis and Gasification System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including biomass | |
| JP5938788B2 (en) | Method for thermochemical carbonization and gasification of wet biomass | |
| HU216910B (en) | Integrated carbonaceous fuel drying and gas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 |
| JP7050043B2 (en) | Waste treatment system | |
| US20110308157A1 (en) | Biomass gasification device and process | |
| KR101528759B1 (en) | Power Generation Plant for Coal Gasification using Fixed Gasifier | |
| KR102458037B1 (en) | A waste plastic gasification system removing ta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CN104520645B (en) | Improvements in waste processing | |
| JP7039793B2 (en) | How to stop the slag discharge system, slag discharge system an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 |
| KR102254729B1 (en) | Hydrogen and carbon dioxid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mbustible waste | |
| JP7106367B2 (en) | Gasification equipment and its operation method | |
| CN113348230A (en) | Full steam gasification with solid fuel preparation system | |
| JP6590359B1 (en) | Hydrogen production method using biomass as raw material | |
| CA2568029C (en) | Improved gasifier | |
| KR101465931B1 (en) | Thermal Power Plant system Using wood bio masses | |
| KR102860915B1 (en) | Hydrogen Production and High Quality Gas Production System using combustible renewable fuels Pyrolysis Gasification and Steam-plasma Gasification Reform | |
| KR20040022642A (en) | Regenerating device of waste plastics pyrolyzing oil | |
| Htut et al.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ilot Scale Downdraft Gasifier | |
| JP4783582B2 (en) | Asphalt plant using flammable gas generated from biomass | |
| JP7458795B2 (en) | Filter regeneration system,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filter regeneration method | |
| JP2020059024A (en) | Waste treatment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