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785B1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7785B1 KR102237785B1 KR1020190128435A KR20190128435A KR102237785B1 KR 102237785 B1 KR102237785 B1 KR 102237785B1 KR 1020190128435 A KR1020190128435 A KR 1020190128435A KR 20190128435 A KR20190128435 A KR 20190128435A KR 102237785 B1 KR102237785 B1 KR 102237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cleaning
- rotation shaft
- moisture
- food was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와 미생물 처리기와 분쇄물 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쇄물 분리기는,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고형분의 찌꺼기를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청소 블레이드를 가지며, 거름망을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 모듈과 동기되어 회전하며 하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망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장치 내에 고형분 찌꺼기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로 유입된 수분을 원활하게 배수시키며, 장치 내에 잔존하는 고형분 찌꺼기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을 줄이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food waste shredder, a microbial processor, and a ground waste separator, wherein the ground waste separator rotates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It has a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for discharging solid matter residues remaining on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nd through the solid matter discharge port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rot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lade module with a siev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lower c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eaning modu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umulation of solid residues in the device, smoothly drain the moisture that has flowed into the device, and prevent clogging caused by solid residues remaining in the device to reduce device failure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s. , I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comforta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만을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염분에 의한 미생물이 사멸되는 등의 문제를 막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crushing food waste and separating water from the solid content of the crushed food waste and introducing only the solid content into the microbial processor, the wast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is smoothly performed and salt content. It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problem such as the death of microorganisms caused by.
주방의 싱크대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한 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토양 매립이나 해양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 및 각 자치단체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쓰레기 종량제 실시를 비롯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만들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As soil reclamation or ocean dumping for food waste generated after cooking various foods in the kitchen sink is prohibite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a volume-based garbage system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and dispose of collected food waste. Various methods are being attempted, such as making it into fertilizer or feed or using it as an energy source.
통상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는 그 처리량이 적어도 몇 십톤 이상이 되어야만 설비 유지의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재정이 열약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이러한 대형의 음식물 처리 설비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equipment for treating food waste is considered to be economical in maintaining equipment only when the amount of treatment is at least several tens of tons or more. Accordingly,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with poor finances, such large-scale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not being built.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근래에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의 하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즉 디스포저(Disposer)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미생물 처리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In view of this reality, in recent years, a plan has been proposed to treat food waste by itself in a home or restaurant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food waste generated in homes or restaurants. Accordingly, it is a device for directly installing and disposing of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under the sink of a home or restaurant. A food waste shredder that crushes food by attaching to the bottom of the sink, that is, a disposer, and food using microorganisms. A microbial treatment device that treats the cells has been used.
일 예로, 선행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80129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 중 고형분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미생물 처리기와, 미생물 처리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분쇄물 중 상기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을 미생물 처리기로 이동시키고 수분을 배출시키는 분쇄물 분리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을 분리하여 고형분만을 미생물 처리기로 투입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쓰레기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에 포함된 염분으로 미생물이 사멸되는 등의 문제점을 막을 수 있다.For example, as a prior art, the'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80129 includes a food waste shredder for crushing 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a drain of a sink, and a food waste shredder crushed in a food waste shredder. A microbial processor that decomposes solids in the pulverized material using microorganisms, and a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icrobial processor to separate the solids and moisture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to move the solids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discharge moisture, By crushing food waste and separating water from the solid content of the pulverized food waste and putting only the solid content into the microbial processor, the wast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is smoothly performed, and problems such as the death of microorganisms by the salt contained in the moisture can be prevented. have.
특히, 선행기술로 제시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분쇄기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연결관을 통해 이동하여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분쇄물 유입부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 내부로 유입되고, 분쇄물 분리기 내부로 낙하는 분쇄물 중 수분은 거름망을 통과하여 거름망의 하부로 떨어져 하부 케이스의 수분 배출구를 통해 수분 배수관으로 배출된다.In particular,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proposed as the prior art, th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in the food pulverizer move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and flows into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through the pulverized material inlet formed in the upper case, and falls into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Moisture in the pulveriz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sieve and falls to the bottom of the siev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moisture outlet of the lower case to the moisture drainage pipe.
그리고, 분쇄물 유입부를 통해 낙하는 고형분은 거름망에 걸리고, 회전 블레이드가 거름망의 상부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부 표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름망에 걸린 고형분을 밀어 이동시켜 고형분 통과구를 통해 거름망의 하부로 낙하시키게 되고, 하부 케이스의 고형분 배출구를 통과하여 미생물 처리기의 처리기 본체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olids falling through the pulverized material inlet are caught in the sieve, and the rotating blade rotat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eve to push and move the solids caught in the sieve through the sieve through the solids passage hole. It is dropped to the lower part of an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processor body of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 content outlet of the lower case.
한편, 분쇄물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어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고형분 중 일부가 망 형태의 거름망을 통과하여 그 하부 표면에 붙어있는 경우, 청소 블레이드가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하부 표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름망의 하부 표면에 잔존하는 고형분 찌꺼기를 접촉에 의해 하부 케이스로 밀어 떨어뜨린다.On the other hand, if some of the solids that flow through the pulverized material inlet and m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lade pass through the mesh-shaped sieve and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the cleaning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and the lower surface. I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olid residue remai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is pushed down by contact with the lower case.
그런데, 선행기술로 제시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물 분리기의 하부 케이스에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측벽으로 연결된 한 쌍의 분리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하부 케이스를 수분 배출 공간과 고형분 배출 공간으로 분리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proposed in the prior art, a pair of separation walls connecte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to the side walls are formed in the lower cas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nd thus the lower case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space. Separated by solids discharge space.
이에 따라, 청소 블레이드는 회전시 한 쌍의 분리벽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벽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Accordingly, the cleaning blad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wall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pair of separation walls during rotation.
그런데, 선행기술로 제시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청소 블레이드가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밀착하지 않으며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청소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거름망의 하부 표면에 잔존했던 고형분 찌꺼기는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낙하하고, 낙하한 고형분 찌꺼기의 일부는 한 쌍의 분리벽에 의해 고형물 배출구로 이동하지 않고, 수분 배출 공간에 적체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proposed by the prior art, since the cleaning blade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rotates in a spaced state, solid residue remai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removed by the cleaning blade. Fall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and some of the dropped solid residue does not move to the solids discharge port by a pair of separation walls, but accumulates in the water discharge space.
따라서, 하부 케이스에 고형분 찌꺼기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체되어, 거름망을 통과한 수분이 하부 케이스의 수분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소 블레이드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고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분 배출구가 고형분 찌꺼기로 인해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형분 찌꺼기의 적체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lid residues accumulate in the lower case over time, and the moist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ieve is not smoothly drained through the water outlet of the lower ca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eaning blade is not able to rotate smoothly, leading to a failure, as well as clogging the water outlet port due to solid residu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n odor is generat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solid residues,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 내에 고형분 찌꺼기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로 유입된 수분을 원활하게 배수시키며, 장치 내에 잔존하는 고형분 찌꺼기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을 줄이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umulation of solid residues in the device, smoothly drain the moisture flowing into the device, and blockage due to the solid residue remaining in th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at can be used hygienically and comfortably, thereby reducing failure of the devic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dor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대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 중 고형분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미생물 처리기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물 중 상기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여 상기 고형분을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이동시키고 상기 수분을 배출시키는 분쇄물 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 분리기는,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와 연통되는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형분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형분 통과구가 마련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및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물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상기 고형분의 찌꺼기를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청소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거름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동기되어 회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망 청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od waste shredder for crushing 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a drain of a sink; A microbial processor for decomposing solids of the pulverized products pulverized in the food waste shredder using microorganisms; A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crobial processor and configured to separate the solid and moisture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to move the solid content to the microbial processor and discharge the moistur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comprises: a lower case having a 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moisture is discharged, and a solid content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microbial processor; A siev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through which the moisture can pass and provided with a solids passage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lids discharge port; One or more rotating blade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eve and discharging the solid content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 content passage port and the solid content discharge port by rotating the solid content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sieve A blade module having;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with the blade modul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ositioned above the moisture outlet to form a pulverized material inlet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is introduced; Rotating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discharging the residue of the solid content remai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 content outlet. It is achieved by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net cleaning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rot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lade module with the siev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rotatably provided in the lower case.
여기서,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복수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가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축 결합되어 동기 회전하는 청소 회전축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청소 블레이드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rotation blades; A cleaning rotation shaf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xially coupled to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to rotate synchronously; A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cas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It may include a position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and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to detec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on blade and the cleaning blade.
또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가 상기 수분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는 상기 청소 회전축부에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cleaning blades may b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cleaning rotation shaft so that a pair of adjacent cleaning blades are disposed with the water discharge port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마크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마련되어, 회전하는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상기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청소 블레이드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ion unit, a mark provided in a region of the blade rotation shaft; It may include a Hall sensor provided in the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rk of the rotating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to detec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rotating blade and the cleaning blade.
또한, 상기 홀센서는 상기 수분 배출구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마크는 한 쌍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 사이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ll senso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xtension line of the central axis of the water outlet, and the mark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between the pair of cleaning blades.
그리고, 상기 홀센서가 상기 마크를 감지할 때 상기 수분 배출구는 한 쌍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rk, the moisture outlet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the cleaning blades.
또한, 상기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망 청소 모듈이 회전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마크는 상기 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ade module and the net cleaning module do not rotate, the mark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detected by the hall sensor.
그리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청소 블레이드는 각각 복수의 동일한 수량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복수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는 상기 거름망에 밀착하며 연직하게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blade and the cleaning blade may each have a plurality of the same quantity,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and the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eve and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에 마련되어, 상기 거름망을 통과하며 상기 청소 회전축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다각형 축과; 상기 청소 회전축부에 마련되어, 상기 다각형 축이 축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된 다각형 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lygonal shaft provided on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trainer and protruding toward the cleaning rotation shaft portion; It may include a polygonal groove that is provided on the cleaning rotation shaft and is recessed so that the polygonal shaft is axially coupled.
상기 미생물 처리기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수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배수되는 수분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 배수관으로 자연 유하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microbial processor includes a water drainage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lower case is drain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port naturally flows into the water drainage pipe. I can.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내에 고형분 찌꺼기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로 유입된 수분을 원활하게 배수시키며, 장치 내에 잔존하는 고형분 찌꺼기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을 줄이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umulation of solid residues in the device, to smoothly drain moisture that has flowed into the device, and to prevent clogging due to solid residues remaining in the device, thereby causing failure of the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dor, and being able to use it hygienically and comforta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와 미생물 처리기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의 상부 케이스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의 걸림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분쇄물 분리기의 분쇄기 본체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분쇄물 분리기의 블레이드 모듈과 거름망과 망 청소 모듈과 하부 케이스의 조립도이고,
도 13은 분쇄물 분리기의 망 청소 모듈의 회전 정지시 망 청소 모듈과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bi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bi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nd the microbial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upper cas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rib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3,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3,
11 is a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pulverizer body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12 is an assembly view of a blade module, a sieve, a net cleaning module and a lower case of a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13 is a view showing a net cleaning module and a lower case when rotation of the net cleaning module of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is stopp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같은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폐수 혼합물(이하, '음식물 쓰레기'라 함)을 분쇄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쇄물을 분해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 분해 또는 최소한으로 발생시키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데 있어, '분쇄물'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결과물로, 고형의 고형분과, 이에 포함된 물이나 폐수 등의 수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sink to pulverize a food waste and wastewater mix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such as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of the sink, and use microorganisms. Then, the pulverized material is decomposed, so that the food waste is completely decomposed or treated to a minimum. In describing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pulverized material' is a result of being pulverized by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 미생물 처리기(300), 연결관(500), 및 분쇄물 분리기(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는 싱크대의 배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연결관(500)을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 측으로 이동한다.The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고형분과 수분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짐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의 구성은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by the
연결관(500)의 일측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미생물 처리기(300)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미생물 처리기(300) 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관(500)과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의 연결 부분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연결관(500)과 미생물 처리기(300)의 연결 부분은 그 연결이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One side of the
한편, 미생물 처리기(300)는 연결관(500)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로부터 이동해오는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는 처리기 본체(320) 및 상부 커버(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처리기 본체(320)와 상부 커버(330)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케이스(310)가 상부 파트(311), 하부 파트(312) 및 전면 파트(313)로 구분되어 조립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Meanwhile, the
분쇄물 분리기(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 처리기(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분쇄물 분리기(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00)과 연결되어 연결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 중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하고, 고형분을 미생물 처리기(300)로 이동시키고, 수분이 미생물 처리기(30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출시킨다.The pulveriz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와 미생물 처리기(300)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는, 하부 케이스(460), 상부 케이스(410), 거름망(440), 및 블레이드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ulverized
하부 케이스(460)는 미생물 분리기의 상부 커버(330)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460)에는 분쇄물 중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462)와, 분쇄물 중 고형분 배출구(461)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하부 케이스(460)와 상부 케이스(410)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블레이드 모듈(430)과, 거름망(4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거름망(440)은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는데, 블레이드 모듈(430)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고형분이 미생물 처리기(300)로 낙하할 수 있도록 절취된 고형분 통과구(441)가 마련된다.Between the
블레이드 모듈(430)은 거름망(44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거름망(440)의 상부에 걸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고형분 통과구(441) 측으로 밀어 고형분을 거름망(440)의 고형분 통과구(441)와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의 처리기 본체(320) 내부로 이동시킨다.The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모듈(430)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블레이드(433), 링 기어(432) 및 블레이드 구동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는 분쇄물 분리기(4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 블레이드(433)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로부터 반경 방향 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3개의 회전 블레이드(433)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그 개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blade
회전 블레이드(433)는 상부 케이스(410)와 거름망(440) 사이에서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거름망(440)에 걸린 고형분을 거름망(440)의 고형분 통과구(441) 측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고형분이 고형분 통과구(441)와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의 내부로 낙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블레이드(433)가 후술할 청소 블레이드(452)와 동일한 복수의 수량을 가진다.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433)와 복수의 청소 블레이드(452)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440)에 밀착하며, 연직하게 상호 대향 배치된다.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블레이드(433)가 청소 블레이드(452)와 동일한 수량으로 3개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블레이드(433)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링 기어(432)는 회전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링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링 기어(43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기어 이가 형성된다. 여기서, 블레이드 구동부(434)는 링 기어(432)의 원주 방향 외측,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링 기어(432)의 기어 이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링 기어(43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블레이드(433)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 구동부(434)가 작은 용량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큰 용량의 하나의 블레이드 구동부가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상부 케이스(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름망(440)과 블레이드 모듈(430)을 사이에 두고 하부 케이스(460)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60)의 수분 배출구(462)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쇄물 유입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분쇄물 유입부(420)는 연결관(500)과 연결되어 연결관(500)으로부터 고형분과 수분이 유입되어 분쇄물 분리기(400) 내부로 유입된다.The
또한, 상부 케이스(410)의 중앙 영역에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415)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ulverized
먼저,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은 연결관(500)을 통해 이동하여 상부 케이스(410)에 형성된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분쇄물 분배기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분쇄물 유입부(420)로 유입되어 분쇄물 분리기(400) 내부로 낙하는 분쇄물 중 수분은 거름망(440)을 통과하여 거름망(440)의 하부로 떨어져 하부 케이스(460)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물 유입부(420)가 수분 배출구(462)의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낙하는 수분의 대부분이 바로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First, the pulverized material pulverized by the
그리고,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낙하는 고형분(일부 수분 포함)은 거름망(440)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 때, 블레이드 구동부(43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433)는 거름망(440)의 상부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부 표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름망(440)에 걸린 고형분을 밀어 이동시켜 고형분 통과구(441)를 통해 거름망(440)의 하부로 낙하시키게 되고,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과하여 미생물 처리기(300)의 처리기 본체(32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olids (including some moisture) falling through the pulveriz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쇄물을 고형분과 수분으로 분리하고, 수분이 미생물 처리기(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킴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고형분의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에 포함된 염분에 의해 미생물 처리기(300) 내부의 미생물이 사멸하는 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by separating the pulverized material into solids and moisture, and blocking or minimizing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한편,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케이스(410)에 형성된 분쇄물 유입부(420)는 분쇄물 유입구(422a), 분쇄물 낙하구(421a) 및 배수트랩관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Referring to FIG. 6, the pulverized
분쇄물 유입구(422a)는 연결관(500)과 연결되어, 연결관(500)을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분쇄물 낙하구(421a)는 걸림망을 사이에 두고 수분 배출구(462)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pulverized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 유입부(420)가 상부 케이스(410)의 판면에 형성되는 상향 개방된 하부 하우징(421)과, 하부 하우징(4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하우징(422)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며, 이 때 분쇄물 유입부(420)는 상부 하우징(422)에 형성되고, 분쇄물 낙하부는 하부 하우징(421)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ulverized
그리고, 분쇄물 유입구(422a)와 분쇄물 낙하구(421a)는 배수트랩관부(423)에 의해 연통된다. 여기서, 배수트램관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422)과 하부 하우징(4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데, 분쇄물 낙하구(421a) 방향으로부터 분쇄물 유입구(422a)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In addition, the pulverized
이에 따라, 분쇄물 유입구(422a)를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 즉 수분과 고형분 중 일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부(423)에 잔존한 행태로 배수트랩관부(423)를 폐쇄함으로써, 분쇄물 분배기나 미생물 처리기(300)로부터 분쇄물 낙하구(421a)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냄새나 세균 등이 연결관(500)과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100)를 통해 싱크대 외부로 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관(500)을 U-트랩과 같은 배수트랩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싱크대 하부의 설치 공간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ome of the pulverized material, that is, moisture and solids, introduced through the pulverized material inlet (422a), as shown in FIG. 6, the drain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블레이드 모듈(430)은 망 청소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망 청소 모듈(450)은 거름망(440)과 하부 케이스(460) 사이에 설치되어 거름망(440)의 하부 표면과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을 청소한다.Again, referring to FIG. 4, the
본 발명에 따른 망 청소 모듈(450)은 청소 회전축부(451)와, 청소 블레이드(45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청소 회전축부(451)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와 축결합하여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의 회전에 동기되어 회전한다.As an example, the
청소 회전축부(451)에는 다각형 홈(451a)을 함몰 형성하고,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에는 거름망(440)을 통과하며 청소 회전축부(451)의 다각형 홈(451a)에 끼움 결합하는 다각형 축(431a)을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청소 회전축부(451)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는 축결합하여, 청소 회전축부(451)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의 회전에 동기되어 회전한다.A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 회전축부(451)에 다각형 홈(451a)을 함몰 형성하고,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에 다각형 축(431a)을 돌출 형성하여, 청소 회전축부(451)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는 축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 회전축부(451)에 다각형 축을 돌출 형성하고,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에 다각형 홈을 함몰 형성하여, 청소 회전축부(451)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를 축결합할 수도 있다.Here, in this embodiment, a
그리고, 청소 블레이드(452)는 청소 회전축부(451)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연장되고, 청소 회전축부(4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거름망(440)의 하부 표면 및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과의 접촉을 통해 거름망(440)의 하부 표면과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에 잔존하는 고형분의 찌꺼기를 제거하여,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미생물 처리기(300)로 배출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해, 분쇄물 유입부(420)를 통해 유입되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고형분 중 일부가 망 형태의 거름망(440)을 통과하여 그 하부 표면에 붙어있는 경우, 이를 청소 블레이드(452)가 접촉에 의해 밀어 떨어뜨림으로써, 고형분 찌꺼기가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름망(440)을 통과한 수분을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수분 배수관(300)으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에 고형분 찌꺼기가 적체되지 않아 고형분 찌꺼기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고장을 줄이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when some of the solids that are introduced through the pulverized
또한, 청소 블레이드(452)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레이드(433)와 동일한 복수의 수량을 가진다. 복수의 청소 블레이드(452)와 복수의 회전 블레이드(433)는 거름망(440)에 밀착하며, 연직하게 상호 대향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 블레이드(452)가 회전 블레이드(433)와 동일한 수량으로 3개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 블레이드(452)는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한편, 복수의 청소 블레이드(452) 중 인접하는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가 수분 배출구(46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청소 회전축부(45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이로써,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가 수분 배출구(462)를 사이에 두고 회전 정지한 경우,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가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분 배출구(462)의 둘레를 커버하게 되고, 이에 의해 거름망(440)을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의 수분 배출구(462) 둘레 근처로 떨어진 수분은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에 의해 고형물 배출구(461)로 유입되지 않고,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의 경사를 따라 수분 배출구(462)로 유입된다.Accordingly, when the pair of
또한,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은 수분 배출구(46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9 참조), 거름망(440)을 통해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으로 떨어지는 수분이 수분 배출구(462)로 원활하게 흘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상부 케이스(410)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의 상부 케이스(410)에는 내부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시 회전 블레이드(433)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리브(4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나의 걸림 리브(412)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그 개수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여기서, 걸림 리브(4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41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시 회전 블레이드(433)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Here, the locking
도 8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 블레이드(433)가 회전할 때 각각의 회전 위치에서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축 방향에서부터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걸림 리브(412)와 접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에 따라 고형분을 밀어 이동시킬 때, 고형분이 회전 블레이드(433)에 붙어 쌓이면서 회전 블레이드(433)의 상부 측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에 따라 회전 블레이드(433)의 상부측이 걸림 리브(412)에 접촉하며 쓸리면서 회전 블레이드(433)의 상부측이 붙어 있던 고형분이 다시 걸림망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a) of FIG. 8,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도 8의 (b)는 걸림 리브(412)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걸림 리브(412)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 방향을 따라 휜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걸림 리브(412)와 회전 블레이드(433)의 접촉 간격이 회전 블레이드(433)의 회전 속도에 비례할 수 있게 된다.Figure 8 (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ing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케이스(310)의 상부 파트(311)에는 분쇄물 유입부(420)의 분쇄물 유입구(422a)의 노출을 위한 제1 노출구(314)와, 미생물의 투입을 위한 제2 노출구(315)가 형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the
그리고, 분쇄물 분리기(400)의 상부 케이스(4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출구(315)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미생물 투입구(411)가 형성된다. 여기서, 미생물 투입구(411)의 하부에는 거름망(440)의 고형분 통과구(441)와 하부 케이스(460)의 고형분 배출구(461)가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생물 투입구(411)를 통해 미생물을 투입시키면 고형분 통과구(441) 및 고형분 배출구(461)를 통해 처리기 본체(320)의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여기서, 미생물 투입구(4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마개(411a)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미생물의 투입시만 개방하여 투입하고 평시에는 폐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파트(311)의 제2 노출구(315)도 개폐 커버(316)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쇄물 분리기(400)는 회전축 결합부(415)와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에 마련되어, 회전 블레이드(433) 및 청소 블레이드(452)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ulverized
위치 감지부(600)는 마크(610)와 홀센서(620)를 포함한다.The
마크(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의 일 영역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33) 사이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The
홀센서(620)는 회전축 결합부(415)에 마련되어, 회전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431)에 마련된 마크(610)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홀센서(620)는 수분 배출구(462)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회전 블레이드(433)와 청소 블레이드(452)는 동기되어 회전하므로, 홀센서(620)가 마크(610)를 검출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각 회전 블레이드(433) 및 각 청소 블레이드(452)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블레이드 모듈(430) 및 망 청소 모듈(450)이 회전 동작하지 않을 때 마크(610)가 홀센서(620)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블레이드 모듈(430) 및 망 청소 모듈(450)은 회전 제어된다. 이로써, 홀센서(620)가 마크(610)를 감지할 때, 수분 배출구(462)는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 사이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출구(462)를 사이에 두고 회전 정지함에 따라,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가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분 배출구(462)의 둘레를 커버하게 되고, 이에 의해 거름망(440)을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의 수분 배출구(462) 둘레 근처로 떨어진 수분은 한 쌍의 청소 블레이드(452)에 의해 고형물 배출구(461)로 유입되지 않고, 하부 케이스(460)의 바닥면(461a)의 경사를 따라 수분 배출구(462)로 유입된다.Accordingly, as the pair of
이하에서는, 도 3, 도 5,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처리기 본체(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 개방된 개구를 갖지며, 내부에 분해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330)는 분쇄물 분리가의 하부 케이스(460)가 설치된 상태로 처리기 본체(320)의 상부의 개구를 커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처리기(300)는, 도 3,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수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배수관(340)은 처리기 본체(320)의 일측 벽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수분 배수관(340)의 상부에는 상부 유입구(34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배수구(342)가 마련된다.Here, the
이 때, 수분 배수관(340)의 상부 유입구(3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물 분리기(400)의 하부 케이스(460)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462)와 연통되고, 수분 배수관(340)의 하부 배수구(342)는 처리기 본체(320)의 하부에서 처리기 본체(320)의 분해 공간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분 배출구(462)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수분 배수관(340)을 통해 처리기 본체(320)의 분해 공간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처리기 본체(320)의 하부에는 외부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321)가 마련되고, 수분 배수관(340)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배수관 연결부(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a drain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처리기 본체(320)의 측벽에 형성된 수분 배수관(340)을 통해 처리기 본체(32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하지 않고 분쇄물 분리기(400)에 의해 분리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pulverized
또한, 처리기 본체(320)의 분해 공간 하부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고, 처리기 본체(32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이 함께 배수 가능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배수 구조를 통해 분쇄물 분리기(400) 및 미생물 처리기(300)로부터 발생하는 수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ulverized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수관(340)의 하부 배수구(342)는 배수관 연결부(321)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처리기 본체(320)의 바닥면(320a)은 하부 배수구(342) 측으로부터 배수관 연결부(321) 측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됨으로써, 배수관 연결부(321)로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9, the
한편, 미생물 처리기(3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가 설치된다. 교반 블레이드(360)는 교반 구동부(35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분해 공간 내부의 고형분의 분해를 촉진시킨다.Meanwhile, a pair of stirring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교반 구동부(351)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교반 구동부(351)가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361)을 회전시키고,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구동부(351)의 반대측에 해당 회전축(36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전달 기어(362)가 제2 전달 기어(363)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2 전달 기어(363)의 회전축(364)이 나머지 하나의 교반 블레이드(360)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교반 블레이드(36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pair of stirring
교반 블레이드(360)의 하부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기 본체(320)의 바닥면(320a)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차단망(370)이 설치됨으로써, 고형분이 차단망(370)에 걸린 상태로 교반 블레이드(360)에 의해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Under the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or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 300 : 미생물 처리기
310 : 외부 케이스 311 : 상부 파트
312 : 하부 파트 313 : 전면 파트
314 : 제1 노출구 315 : 제2 노출구
316 : 개폐 커버 320 : 처리기 본체
320a : 바닥면 321 : 배수관 연결부
330 : 상부 커버 340 : 수분 배수관
341 : 상부 유입구 342 : 하부 배수구
351 : 교반 구동부 360 : 교반 블레이드
361,364 : 회전축 362 : 제1 전달 기어
363 : 제2 전달 기어 370 : 차단망
400 : 분쇄물 분리기 410 : 상부 케이스
411 : 미생물 투입구 411a : 개폐 마개
412 : 걸림 리브
420 : 분쇄물 유입부 421 : 하부 하우징
421a : 분쇄물 낙하구 422 : 상부 하우징
422a : 분쇄물 유입구 423 : 배수트랩관부
430 : 블레이드 모듈 431 : 블레이드 회전축부
432 : 링 기어 433 : 회전 블레이드
440 : 거름망 441 : 고형분 통과구
450 : 망 청소 모듈 451 : 청소 회전축부
452 : 청소 블레이드 460 : 하부 케이스
461 : 고형분 배출구 462 : 수분 배출구
500 : 연결관 600 : 위치 감지부
610 : 마크 620 : 홀센서100: food waste shredder 300: microbial processor
310: outer case 311: upper part
312: lower part 313: front part
314: first exposure port 315: second exposure port
316: opening and closing cover 320: processor body
320a: bottom surface 321: drain pipe connection
330: upper cover 340: water drainage pipe
341: upper inlet 342: lower drain
351: stirring drive unit 360: stirring blade
361,364: rotation shaft 362: first transmission gear
363: second transmission gear 370: blocking net
400: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410: upper case
411:
412: jam rib
420: pulverized material inlet 421: lower housing
421a: crushed material drop port 422: upper housing
422a: pulverized material inlet 423: drain trap pipe part
430: blade module 431: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432: ring gear 433: rotating blade
440: strainer 441: solid matter passage hole
450: net cleaning module 451: cleaning rotating shaft part
452: cleaning blade 460: lower case
461: solid content outlet 462: moisture outlet
500: connector 600: position detection unit
610: mark 620: hall sensor
Claims (10)
상기 분쇄물 분리기는,
상기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구와, 상기 미생물 처리기와 연통되는 고형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수분이 통과 가능한 망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형분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형분 통과구가 마련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걸린 상기 고형분을 회전에 의해 상기 고형분 통과구 측으로 밀어 상기 고형분을 상기 고형분 통과구 및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를 갖는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분쇄물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거름망의 하부 표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상기 고형분의 찌꺼기를 상기 고형분 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생물 처리기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청소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거름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레이드 모듈과 동기되어 회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망 청소 모듈과;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가 마련되는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복수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가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와 축 결합되어 동기 회전하는 청소 회전축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청소 블레이드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가 상기 수분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복수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는 상기 청소 회전축부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A food waste shredder for crushing food waste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a drain of the sink; A microbial processor for decomposing solids of the pulverized products pulverized in the food waste shredder using microorganisms; A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icrobial treatment unit and configured to separate the solid and moisture from the pulverized material to move the solid content to the microbial treatment unit and discharge the moisture; In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separator,
A lower case having a moistur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moisture is discharged and a solid content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microbial processor;
A siev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through which the moisture can pass and provided with a solids passage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lids discharge port;
One or more rotating blade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eve and discharging the solids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s passage port and the solids discharge port by rotating the solids caught on the upper side of the sieve A blade module having;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with the blade modul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ositioned above the moisture outlet to form a pulverized material inlet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is introduced;
Rotating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to discharge the residue of the solids remai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e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to the microbial processor through the solids discharge port A net cleaning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rot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blade module with the siev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rotatably provided in the lower case;
A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rotation blades;
A cleaning rotation shaf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provid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xially coupled to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to rotate synchronously;
A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cas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It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and the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to detec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on blade and the cleaning bla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herein the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cleaning rotation shaft so that a pair of adjacent cleaning blades are disposed with the water discharge port therebetween.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마크와;
상기 회전축 결합부에 마련되어, 회전하는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의 상기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청소 블레이드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 detection unit,
A mark provided in a region of the blade rotation shaft;
And a hall sensor provided in the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of the mark of the rotating blade rotation shaft portion to detect a rotation position of the rotation blade and the cleaning blade.
상기 홀센서는 상기 수분 배출구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마크는 한 쌍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 사이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hall sensor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xtension of a central axis of the water outlet, and the mark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enter between the pair of cleaning blades.
상기 홀센서가 상기 마크를 감지할 때 상기 수분 배출구는 한 쌍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rk, the water outlet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leaning blades.
상기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망 청소 모듈이 회전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마크는 상기 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blade module and the net cleaning module do not rotate, the mark is located at a position detected by the hall sensor.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청소 블레이드는 각각 복수의 동일한 수량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복수의 상기 청소 블레이드는 상기 거름망에 밀착하며 연직하게 상호 대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blade and the cleaning blade each have a plurality of the same quantity, and the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and the plurality of cleaning bla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eve and are vertically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부에 마련되어, 상기 거름망을 통과하며 상기 청소 회전축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다각형 축과;
상기 청소 회전축부에 마련되어, 상기 다각형 축이 축 결합되도록 함몰 형성된 다각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olygonal shaft provided on the blade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strainer and protruding toward the cleaning rotation shaft;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polygonal groove provided in the cleaning rotation shaft and recessed so that the polygonal shaft is axially coupled.
상기 미생물 처리기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기 수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배수되는 수분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 배수관으로 자연 유하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bial processor includes a water drain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of the lower case is drained,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moisture discharge port naturally flows into the moisture drainage pipe.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28435A KR102237785B1 (en) | 2019-10-16 | 2019-10-16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PCT/KR2020/012954 WO2021075751A1 (en) | 2019-10-16 | 2020-09-24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CN202080072459.6A CN114585455B (en) | 2019-10-16 | 2020-09-24 | Food garbage treat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28435A KR102237785B1 (en) | 2019-10-16 | 2019-10-16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37785B1 true KR102237785B1 (en) | 2021-04-07 |
Family
ID=754691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28435A Active KR102237785B1 (en) | 2019-10-16 | 2019-10-16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37785B1 (en) |
| CN (1) | CN114585455B (en) |
| WO (1) | WO2021075751A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56077A (en) * | 2009-11-20 | 2011-05-26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Tooth-type food waste discharge structure and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the same |
| KR101655318B1 (en) * | 2009-09-21 | 2016-09-08 | 코웨이 주식회사 | Transfer Unit for Food Treatment System and Transfer control method for Food Treatment System |
| KR20160112602A (en) * | 2015-03-20 | 2016-09-28 | 신상임 | Food waste crushing and drying device |
| KR101680129B1 (en) | 2015-10-20 | 2016-11-28 | 주식회사 허머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KR101835559B1 (en) * | 2016-10-19 | 2018-03-07 | 주식회사 허머 | Disposer with microorganism for Waste Food |
Family Cites Familie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AUPR490201A0 (en) * | 2001-05-10 | 2001-06-07 | Aaqua Clarus Holdings Pty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onsite treatment of organic waste |
| JP3786005B2 (en) * | 2001-12-20 | 2006-06-1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dishwasher |
| JP2005013867A (en) * | 2003-06-26 | 2005-01-20 | Hitachi Hometec Ltd | 厨 芥 Processing machine |
| US20050279676A1 (en) * | 2004-06-21 | 2005-12-22 | Izzy Zuhair A | Fluid filter assembly for a dispensing faucet |
| JP2008302363A (en) * | 2008-09-25 | 2008-12-18 | Aichi Electric Co Ltd | Crushing apparatus |
| JP2010125438A (en) * | 2008-12-01 | 2010-06-10 | Panasonic Corp | Solid/liquid separator |
| KR20120083114A (en) * | 2011-01-17 | 2012-07-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 CN205577072U (en) * | 2016-04-26 | 2016-09-14 | 江苏中路新材料科技发展有限公司 | Pipe drainage device |
| CN106823551A (en) * | 2017-02-22 | 2017-06-13 | 四川弘毅智慧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 A kind of high efficiency sewage treatment facility |
| CN106976730B (en) * | 2017-05-04 | 2019-11-05 | 王丕新 | Self-cleaning type airlock |
| CN109011797A (en) * | 2018-08-06 | 2018-12-18 | 安伟 | A kind of filter device |
-
2019
- 2019-10-16 KR KR1020190128435A patent/KR102237785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9-24 WO PCT/KR2020/012954 patent/WO2021075751A1/en not_active Ceased
- 2020-09-24 CN CN202080072459.6A patent/CN114585455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55318B1 (en) * | 2009-09-21 | 2016-09-08 | 코웨이 주식회사 | Transfer Unit for Food Treatment System and Transfer control method for Food Treatment System |
| KR20110056077A (en) * | 2009-11-20 | 2011-05-26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Tooth-type food waste discharge structure and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60112602A (en) * | 2015-03-20 | 2016-09-28 | 신상임 | Food waste crushing and drying device |
| KR101680129B1 (en) | 2015-10-20 | 2016-11-28 | 주식회사 허머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KR101835559B1 (en) * | 2016-10-19 | 2018-03-07 | 주식회사 허머 | Disposer with microorganism for Waste Fo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4585455B (en) | 2023-10-03 |
| CN114585455A (en) | 2022-06-03 |
| WO2021075751A1 (en) | 2021-04-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40903B1 (en) | foodwaste shredder for sink | |
| KR10141388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 KR101121099B1 (en) | Refuse structure food sweeping for a sink | |
| KR101835559B1 (en) | Disposer with microorganism for Waste Food | |
| JP2009172505A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 KR102530299B1 (en) | Automatic food waste disposer combined and assembled with sink | |
| KR20170045818A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 KR101899425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 |
| KR102260310B1 (en) | External input and disposal device for food waste | |
| CN109226178A (en) | A kind of kitchen refuse processing apparatus | |
| KR101680129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 KR20170041350A (en) | Food Waste Treatment System | |
| KR102237785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
| JP6169672B2 (en) | Garbage crusher and garbage processing device | |
| KR10184709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 KR101682059B1 (en) | Kitchen waste disposer | |
| KR102659252B1 (en) | Apparatus for crushing and reduction discharge food waste | |
| KR200197006Y1 (en) | Apparatus of removing food dregs for sink | |
| KR200245093Y1 (en) | A Garbage disposer | |
| KR200285087Y1 (en) | Food-waste Segregated Collec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 |
| CN111320496A (en) | Equipment for treating kitchen wet garbage to form organic fertilizer | |
| KR200188213Y1 (en) | Dis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 |
| KR101345231B1 (en) | Food waste disposer in collection | |
| JPH0329000B2 (en) | ||
| KR100378638B1 (en) | Apparatus of separating food dregs for sin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