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639B1 - Structure of clean room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clean 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4639B1 KR102244639B1 KR1020180126048A KR20180126048A KR102244639B1 KR 102244639 B1 KR102244639 B1 KR 102244639B1 KR 1020180126048 A KR1020180126048 A KR 1020180126048A KR 20180126048 A KR20180126048 A KR 20180126048A KR 102244639 B1 KR102244639 B1 KR 102244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fu
- room
- air
- cle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에 팬 필터 유닛(FFU: Fan Filter Unit)을 설치해서 측면 송풍을 수행하면서 송풍 기류를 조정하도록 구현한 클린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부와 분리 또는 격리시켜 주면서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한 룸부; 및 룸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룸부의 내부를 클린해 주는 FFU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room structure in which a fan filter unit (FFU) is installed on the side to adjust the air flow while performing side blowing, and has a space of a certain size while separating or isolating it from the outside. A room portion formed so as to be; And an FFU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om unit to clean the inside of the room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클린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에 팬 필터 유닛(FFU: Fan Filter Unit)을 설치해서 측면 송풍을 수행하면서 송풍 기류를 조정하도록 구현한 클린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room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o a clean room structure in which a fan filter unit (FFU) is installed on the side to adjust the air flow while performing side blowing.
클린룸은, 액정 표시 장치나 반도체 등과 같은 제품의 생산 중에 기판 등을 보관 및 이동시키는 스토커 및 인덱서 등을 내부에 설치해 두기 위한 곳으로, 그 구조는, 난류방식, 수평층류방식, 수직층류방식으로 설계되고 있는데, 대부분은 수직층류방식을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다.The clean room is a place to install stockers and indexers that store and move substrates during the production of product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semiconductors. The structure is a turbulent flow method, a horizontal laminar flow method, and a vertical laminar flow method. It is designed, but most of them are using the vertical laminar flow method.
수직층류방식의 클린룸은, 상부 천정에 팬 필터 유닛(FFU: Fan Filter Unit)을 설치하고, 바닥에는 타공 격자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FFU가 공기를 필터링하여 크레인, 랙마스터 로봇 및 선반의 상측에서 청정 공기를 송풍하고, 타공 격자의 하부에 진공 펌프가 설치되어 청정 공기를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타공 격자에서 흡입된 공기는 다시 팬 필터 유닛으로 순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클린룸 내에 어떠한 움직임도 없게 되면, 청정 공기는 상부 천정에서 하부 바닥으로 유동하게 되어, 즉 기류가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클린룸 내의 환경성 미립자들은 기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 주게 된다.In the vertical laminar flow type clean room, a fan filter unit (FFU) is installed on the upper ceiling and a perforated grid is formed on the floor, so that the FFU filters the air from the top of the crane, rack master robot, and shelf. Clean air is blown, and a vacuum pump is installed under the perforated grid to suck in clean air. In this way, the air sucked from the perforated grid is circulated back to the fan filter unit. When there is no movement in the clean room by this configuration, the clean air flows from the upper ceiling to the lower floor, that is, the air flow stably descends so that environmental particulates in the clean room do not affect the substrate.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6706호(2007.06.27 공개)는 클린룸 내의 기류를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환경성 미립자에 의한 반도체 및 표시 장치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기류 제어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클린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와, 이동 통로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봇과, 천정에 설치되어 공기를 하향 송풍하는 FFU와, 바닥에 설치되어 FFU에서 송풍된 공기를 흡입하는 타공 격자와, 이동 통로의 전후단에 구비된 기류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클린룸의 기류 제어 장치를 반도체, LCD 제조 공장의 클린룸에서, 특히 자동화 라인에 적용한다면, 클린룸에서 가장 중요한 기류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클린룸 내에서 기류 문제로 인한 모든 불량이 감소되어 품질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66706 (published on 27 June 2007) stably regulates the air flow in the clean room to reduce defects in semiconductors and display devices caused by environmental particulates. It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the clean room.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moving passag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robot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moving passage, an FFU installed on the ceiling to blow air downward, and a perforated grid installed on the floor to suck air blown from the FFU And, by including air flow eliminator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oving passage, the air flow control device of the clean room is the most important air flow in the clean room if it is applied to the clean room of semiconductor and LCD manufacturing plants, especially to the automation line. The flow of air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us, all defects due to air flow problems in the clean room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quality defects.
한국등록특허 제10-1260943호(2013.04.29 등록)는 클린룸용 FFU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공조관과 연통 가능하게 상부의 일측 개방통로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에어 챔버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필터 하우징과, 필터 하우징에 마운팅 브래킷을 매개로 장착 고정된 송풍 팬 어셈블리와, 송풍 팬 어셈블리의 하부에 대응되는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기밀하게 설치된 필터 어셈블리와,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기밀하게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에어 챔버의 내벽의 상부 모서리부 전체에는 제1 곡면부가 형성되며, 일측 개방통로는 제1 곡면부와 제1 확장 개방형 공기유동구로 구성되며, 제1 확장 개방형 공기유동구를 감싸도록 단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유동커버에 의해 형성되고, 필터 하우징의 하측 단부에는 토출 개구부가 형성되고, 토출 개구부에는 에어 직류 토출형 에어 블레이드가 힌지수단을 매개로, 하 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필터 하우징의 내벽에는 필터를 하방에서 탈착 가능하게 탄력성 고정레버수단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탄력성 고정레버수단은 제1축에 의해 회전하는 캠 브래킷(Cam Bracket)과, 캠 브래킷과 제2축에 의해 회전하는 캠으로 구성되며, 일측 개방통로의 유입측에는 에어의 유입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댐퍼가 설치되고, 유동커버의 단부측은, 에어 챔버의 상부벽의 유입구를 둘러싸며, 제1 확장 개방형 공기유동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 챔버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에어의 유동성을 증대시키도록 곡률을 갖는 제2 확장 개방형 공기유동구가 내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블로어 팬 필터(BFU: Blower Filter Unit) 방식의 송풍기에 의해 야기되던 난류, 기류의 혼란 및 심각한 소음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클린룸 내부에 기류의 변화 없이 FFU 방식의 청정도 및 수직 층류를 제공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0943 (registered on April 29, 2013) discloses a clean room FFU, an air chamber in which one open passage at the top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conditioning pipe, and a hollow cavity with an open lower part. A filter housing having a structure, a blowing fan assembly mounted and fixed to the filter housing via a mounting bracket, a filter assembly airtightly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blower fan assembly, and airtight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Including the installed filter, a first curved portion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edge of the inner wall of the air chamber, and one open passage is composed of a first curved portion and a first extended open air flow port, and surrounds the first extended open air flow port. The cross section is formed by a flow cover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 discharge opening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using, and an air DC discharge type air blade is supported by a hinge means to allow the hinge to rot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hinge means. On the inner wall of the filter housing, an elastic fixing lever means is fixedly installed so that the filter can be detached from below, and the elastic fixing lever means is a cam bracket rotating by a first axis, a cam bracket, and It is composed of a cam that rotates by a second shaft, and a damper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one open passage to perform the function of introducing and blocking air, and the end side of the flow cover surrounds the inlet of the upper wall of the air chamber.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extended open air flow port having a curvatur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tended open air flow port increases the fluid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of the air chamb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urbulence, confusion of airflow, and serious noise caused by blower filter unit (BFU) type blowers. Cleanliness and vertical laminar flow can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린룸에는, ISO 클래스(Class) 3 이상의 상부 FFU/하부 플로어(Floor) 방식과, ISO 클래스 1,000을 유지하는 상부 FFU/측면 배기 방식이 있는데, 상부 FFU/하부 플로어 방식은 상부에 FFU를 배치해서 하단부 천공마루 밑으로 먼지를 떨어뜨리는 방식이며, 상부 FFU/측면 배기 방식은 상부에 FFU을 설치해서 기류를 측면으로 빼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방식 모두는, 클린룸의 상부 천정에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가 비싸고, 유지비가 높으며, 레이아웃(Layout) 변경이나 이설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lean room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n upper FFU/lower floor method of ISO class 3 or higher, and an upper FFU/side exhaust method that maintains ISO class 1,000, and the upper FFU/lower floor method is FFU is placed on the upper part to drop dust under the perforated floor at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FFU/side exhaust method is a method to remove airflow to the side by installing an FFU on the upper part. However, since both of these methods have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ceiling of the clean room,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and it is impossible to change or relocate the layou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에 팬 필터 유닛(FFU: Fan Filter Unit)을 설치해서 측면 송풍을 수행하면서 송풍 기류를 조정하도록 구현한 클린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clean room structure implemented to adjust the air flow while performing side air blowing by installing a fan filter unit (FFU) on the side. Is to prov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와 분리 또는 격리시켜 주면서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한 룸부; 및 상기 룸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룸부의 내부를 클린해 주는 FFU부를 포함하는 클린룸 구조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om part formed to have a space of a certain size while separating or isolating from the outside; And an FFU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om unit to clean the interior of the room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룸부는, 틀을 형성해 주기 위한 틀부재; 상기 틀부재를 덮어씌워 상기 틀부재를 분리 또는 격리해 주기 위한 커버부재; 및 바닥을 형성해 주기 위한 바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om portion, a frame member for forming a frame; A cover member covering the frame member to separate or isolate the frame member; And a floor member for forming a flo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틀부재는,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quare pip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틀부재는, 보강철파일로 조립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ssembling a reinforcement iron fi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제전 비닐로 형성시켜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member is formed of an antistatic vinyl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therein from being charg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부재는, 제전 타일로 형성시켜 바닥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loor member is formed of an antistatic tile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floor from being charg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룸부는,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틀부재에 결합시켜 주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om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frame me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틀부재에 라인홈을 형성시켜, 상기 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할 시에,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라인홈에 삽입한 후에 고정바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라인홈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forms a line groove in the frame member, and when the frame member and the cover member are coupled, the cov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ine groove and then the cover member is fixed to the cover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inserting into the line groov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라인홈의 양측 라인으로 걸림턱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바 중 상기 라인홈에 삽입되는 부분에 걸림돌기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바를 상기 라인홈에 삽입할 시에 상기 걸림돌기라인이 상기 걸림턱라인에 끼워져 상기 고정바가 상기 라인홈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 locking jaw line at both sides of the line groove, and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line at a portion of the fixing bar inserted into the line groove, so that the fixing bar is attached to the line groove. When inserted, the locking protrusion lin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 line so that the fixing bar is fixed to the line groov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FFU부는, 복수 개의 FFU로 상기 룸부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하거나, 복수 개의 FFU를 상기 룸부의 측면에 복수 개의 단으로 적재 배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FU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FUs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ide of the room unit, or a plurality of FFUs are stacked on the side of the room unit in a plurality of stag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FFU부는, 정상 가동 시에, 청정 공기를 기 설정된 최대 거리까지 측면 송풍시켜, 측면 송풍된 공기를 상기 룸부 측면의 반대편 단부의 상부 또는 전후부에 설치된 흡입부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FU unit, during normal operation, blows clean air to the side up to a preset maximum distance, and discharges the side-ventilated air through a suc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r a front and rear portion of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of the room uni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FFU부는, 휴식 가동 시에, 양압만 유지해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내부 송풍량을 기 설정해 둔 양압유지량 이하로 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FU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rest operation, in order to maintain only the positive pressure and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 the internal airflow amount is set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positive pressure maintenance amou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FFU부는, 휴식 후 재가동 시에,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클린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강제 기류 조정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FFU unit, when restarting after rest, performs a forced airflow adjustment mode in order to achieve a preset cleanliness within a preset ti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FFU부는, 상기 룸부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설치해서 송풍 또는 송풍-흡인하여 필요한 부분에 청정 공기가 집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FU unit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room unit to blow or blow-suck the clean air to be concentrated in a necessary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FFU부는, 상기 룸부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배치해서, 송풍과 송풍을 각각 수행하거나, 송풍과 흡인을 각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FU un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room unit to perform blowing and blowing, respectively, or performing blowing and suction, respectivel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클린룸 구조는, 상기 룸부 측면의 반대편 단부의 상부 또는 전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룸부의 내부 공기를 흡입해 주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lean room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r front and rear portions of an end opposite to a side surface of the room unit to suck air inside the room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룸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룸부 측면의 반대편 단부의 상부 또는 전후부로 기류 조정하여 상기 룸부의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flow is adjusted to the upper portion or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room portion to exhaust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room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FFU부가 상기 룸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룸부의 청정 공기 필요 부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하며, 상기 룸부의 내부 공기를 상기 룸부의 청정 공기 필요 부분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기류 조정하여 상기 룸부의 외부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unit, when the FFU un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om unit, is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clean air required part of the room, and the air inside the room part is provided to the clean air required part of the roo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flow is adjusted to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room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room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룸부 내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FFU부로 배출시켜 청정 공기로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cked in the room unit is discharged to the FFU unit to be filtered as clean air.
본 발명의 효과로는, 측면에 팬 필터 유닛(FFU: Fan Filter Unit)을 설치해서 측면 송풍을 수행하면서 송풍 기류를 조정하도록 구현한 클린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설치비 및 유지비가 저렴하며, 레이아웃(Layout) 변경이나 이설이 가능하다는 것이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fan filter unit (FFU) on the side to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implemented to adjust the air flow while performing side air blow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re inexpensive, and the layout ( Layout) can be changed or relocat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 또는 중간 부분에서 송풍 기류를 조정할 수 있어 필요한 부분에 높은 클린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린룸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FFU를 배치해서 송풍 또는 송풍-흡입으로 기류 조정하여 높은 클린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lown air flow at the top or the middle portion, and thus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high degree of cleanliness in the required por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FU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clean room to adjust the airflow by blowing or blowing-suction, thereby maintaining a high degree of cleanlin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린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룸부 및 FFU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결합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FFU부의 정상 가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FFU부의 휴식 가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FFU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는 FFU부의 송풍과 송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있는 FFU부의 송풍과 흡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ean roo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om unit and an FFU unit in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member in FIG. 2.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normal operation of the FFU unit in FIG.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st operation of the FFU unit in FIG. 2.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FFU unit in FIG. 2.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blowing and blowing of the FFU unit in FIG. 2.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lowing and suction of the FFU unit in FIG. 2.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the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린룸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clean roo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린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룸부 및 FFU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는 결합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있는 FFU부의 정상 가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있는 FFU부의 휴식 가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2에 있는 FFU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있는 FFU부의 송풍과 송풍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2에 있는 FFU부의 송풍과 흡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ean roo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om part and an FFU part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member in FIG. 2,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FFU unit in Fig. 2,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st operation of the FFU unit in Fig. 2,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FU unit in Fig.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lowing and blowing of the FFU unit in FIG. 2,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lowing and suction of the FFU unit in FIG. 2.
도 1을 참조하면, 클린룸 구조(100)는, 룸부(110), FFU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룸부(110)는, 외부와 분리 또는 격리시켜 주면서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룸부(110)는, 대형 플로어(Floor) 방식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가동할 경우에, 전면과 후면 간의 거리 * 측면 간의 거리 * 높이의 크기를 예로, 6(m)*10(m)*3(m)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측면 간의 거리를 두 배로 하여 크기를 예로, 6(m)*20(m)*3(m)로 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룸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부재(111), 커버부재(112), 바닥부재(113)를 포함하여 제조비용을 아주 저렴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틀부재(111)는, 룸부(110)의 틀을 형성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틀부재(111)는,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틀부재(111)는, 도 2의 확대 도면과 같이, 보강철파일로 조립하여 형성시켜 줄 수 있어, 조립이 단순하며,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커버부재(112)는, 틀부재(111)를 덮어씌워 틀부재(111)를 분리 또는 격리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112)는, 제전 비닐로 형성시켜 룸부(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대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바닥부재(113)는, 룸부(110)의 바닥을 형성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바닥부재(113)는, 제전 타일(또는, 클린룸용 에폭시 코팅)로 형성시켜 룸부(110)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대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룸부(110)는, 도 2의 확대 도면과 같이, 결합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결합부재(114)는, 커버부재(112)를 틀부재(111)에 결합시켜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부재(111)에 라인홈(1141)을 형성시켜, 틀부재(111)와 커버부재(112)를 결합할 시에, 커버부재(112)를 라인홈(1141)에 삽입한 후에 긴 막대 모양의 고정바(Bar)(1142)로 커버부재(112)를 라인홈(1141)에 끼워 고정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라인홈(1141)에는 양측 라인으로 걸림턱라인(1143)을 구비하고, 고정바(1142)에는 라인홈(1141)에 삽입되는 부분에 걸림돌기라인(1144)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바(1142)를 라인홈(1141)에 삽입할 시에 걸림돌기라인(1144)이 걸림턱라인(1143)에 끼워져 고정바(1142)가 라인홈(1141)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룸부(110)는, 내부 측면에 FFU부(120)를 설치해 줄 수 있으며, 다르게는 측면에 개구를 형성시켜 해당 개구에 FFU부(120)를 설치해 줌으로써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설치도 용이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때, FFU부(120)를 개구에 설치할 시에, 개구에 있는 틀부재(111)와 FFU부(120) 간의 틈을 제거하기 위해서, 부착제 등을 이용해서 커버부재(112)를 개구에 있는 틀부재(111)와 FFU부(120) 사이에 부착 설치해 주어, 개구에 있는 틀부재(111)와 FFU부(120) 사이의 틈을 없애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FU부(120)는, 룸부(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룸부(110)의 내부를 클린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FFU로 룸부(110)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FFU를 룸부(110)의 측면에 복수 개의 단으로 쌓아 배치(즉, 적재 배치)시켜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복수 개의 FFU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복수 개의 FFU 사이의 틈을 제거시키기 위해서, 부착제 등을 이용해서 커버부재(112)를 복수 개의 FFU 사이에 부착 설치해 주어, 복수 개의 FFU 사이의 틈을 없애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대형 플로어 방식으로 룸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가동할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가동 시에, 한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FFU를 가동시켜 청정 공기(Clean Air)를 기 설정된 최대 거리(예를 들어, 10(m))까지 측면 송풍해 줄 수 있으며, 이때 측면 송풍된 공기를 룸부(110) 측면의 반대편 단부의 상부 또는 전후부에 설치된 흡입부(130)를 통해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대형 플로어 방식으로 룸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가동할 경우에, 1(m)*1(m) 크기의 FFU를 복수 단의 적재로 높이를 조절해 줄 수도 있다. 이때, FFU를 복수 단으로 적재할 시에, 부착제 등을 이용해서 FFU 간 접촉되는 부분을 서로 부착 고정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적재된 복수 개의 FFU가 일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FFU의 외면을 밴딩기구물 등으로 밴딩시켜 더욱더 단단히 고정시켜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대형 플로어 방식으로 룸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가동할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식 가동 시에, 작업자를 룸부(110)의 외부로 나오도록 하고, 양압만 유지해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내부 송풍량을 기 설정해 둔 양압유지량(예를 들어, 정상 가동 시의 30%) 이하로 설정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운전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을 시에, 기 설정해 둔 양압유지량(예를 들어, 정상 가동 시의 30%)로 내부 송풍량을 조절하여 외부 먼지의 유입만을 막아 클린도를 유지시켜 유지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휴식하려 나올 때와 다시 입실할 때에, 별도의 에어 샤워(Air Shower)를 거치지 않아도 작업 공간(즉, FFU부(120)와 근접한 지역)에 걸어서 도달하도록 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대형 플로어 방식으로 룸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가동할 경우에, 휴식 후 재가동 시에,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분) 이내에 기 설정된 클린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강제 기류 조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강제 기류 조정 모드 수행 시에, 기 설정해 둔 강제기류조정송풍량(예를 들어, 정상 가동 시보다 30% 증가된 송풍량)으로 측면 송풍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부(110)의 양측면(즉, 우측면과 좌측면)에 설치되어, 좁은 공간에서 슈퍼 클린(Super Clean)(클래스 1)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룸부(110)의 크기를 예로, 6(m)*20(m)*3(m)로, 즉 측면 간의 거리를 두 배로 하는 경우에, 양방향(즉, 양측면)에 설치시켜, 중간 부분으로 양압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룸부(110)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FFU를 배치해서 송풍 또는 송풍-흡인해 줌으로써, 필요한 부분에 청정 공기가 집중되도록 하여 높은 클린도를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소형 테이블(Table) 위에서 조립, 검사 등을 수행하는 테이블 방식의 경우에, 룸부(110)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설치해서 양쪽에서 송풍하거나 송풍-흡입하여 최상의 클린도를 상시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FFU부(120)는, 룸부(11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 FFU를 배치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과 송풍을 각각 수행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과 흡인을 각각 수행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클린룸 구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흡입부(130)는, FFU부(120)가 설치되어 있는 룸부(110) 측면의 반대편 단부의 상부 또는 전후부에 설치되어, 룸부(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해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흡입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부(110) 내부의 공기를 룸부(110) 측면의 반대편 단부의 상부 또는 전후부로 기류 조정하여 룸부(110)의 외부로 배기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흡입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U부(120)가 룸부(110)의 양측면(즉, 우측면과 좌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룸부(110)의 청정 공기 필요 부분(예를 들어, 룸부(110)의 중앙 부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룸부(110) 내부의 공기를 룸부(110)의 청정 공기 필요 부분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기류 조정하여 룸부(110)의 외부로 배기해 줌으로써, 배기되는 기류에 의해서 상시 0.3(um/m3) 이상의 클래스(Class) 1이 가능하며, 파티클((Particle)이 제로 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흡입부(130)는, 룸부(110) 내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FFU부(120)로 배출시켜 청정 공기로 필터링되도록 해 줄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흡입부(130)는, 강제 기류 조정 모드 수행 시에, 기 설정해 둔 강제기류조정흡입량(예를 들어, 정상 가동 시보다 30% 증가된 흡입량)으로 룸부(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클린룸 구조(100)는, 룸부(110)의 측면에 FFU부(120)를 설치해서 측면 송풍을 수행하면서 송풍 기류를 조정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클린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비 및 유지비가 저렴하며, 레이아웃 변경이나 이설이 가능하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클린룸 구조(100)는, 룸부(110)의 상단 또는 중간 부분에서 송풍 기류를 조정할 수 있어 필요한 부분에 높은 클린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으며, 룸부(110)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FFU부(120)를 배치해서 송풍 또는 송풍-흡입으로 기류 조정하여 높은 클린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클린룸 구조(100)는, 룸부(110)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설치해서 송풍-송풍 또는 송풍-흡인으로 최단 공간 내 최상의 클린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테이블 위에 설치하여 검사, 조립, 인쇄, 도장 등과 같은 정밀 작업에서의 클래스 1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도중에도 최상의 클린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클린룸 구조(100)는, 분리 또는 격리된 룸부(110) 내에 출입할 시에, 별도의 에어 샤워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항상 양압이 걸려 있어, 작업자의 클린복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작업 공간이 있는 FFU부(120)와 근거리 구역에 도달하면, 작업자, 작업복의 클린도 및 룸부(110)의 클린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클린룸 구조(100)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 상부에서 내려오는 기류와 상부에서 내려와서 하단으로 빠지거나 좌우측으로 빼내는 구조로 천정 배관, 바닥의 액세스 플로어 등을 설치하여 설치비가 많이 들고 와류 조절 및 설비비 등도 과다한 점을 완벽하게 개선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this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클린룸 구조
110: 룸부
111: 틀부재
112: 커버부재
113: 바닥부재
114: 결합부재
1141: 라인홈
1142: 고정바
1143: 걸림턱라인
1144: 걸림돌기라인
120: FFU부
130: 흡입부100: clean room structure
110: room part
111: frame member
112: cover member
113: floor member
114: coupling member
1141: line groove
1142: fixed bar
1143: locking jaw line
1144: stumbling line
120: FFU unit
130: suction unit
Claims (5)
상기 FFU부는,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을 시에, 별도의 에어 샤워를 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기 설정해 둔 양압유지량으로 내부 송풍량을 조절하여 외부 먼지의 유입만을 막아 클린도를 유지시키며; 휴식 후 재가동 시에,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클린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강제 기류 조정 모드를 수행하며; 강제 기류 조정 모드 수행 시에, 기 설정해 둔 강제기류조정송풍량인, 정상 가동 시보다 30% 증가된 송풍량으로 측면 송풍해 주며; FFU를 복수 단의 적재로 높이를 조절해 주며, FFU를 복수 단으로 적재할 시에, FFU 간 접촉되는 부분을 서로 부착 고정시켜 주며, 또한 적재된 복수 개의 FFU가 일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FFU의 외면을 밴딩기구물로 밴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구조.
A room part formed to have a space of a certain size while being separated or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an FFU uni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om unit to clean the inside of the room unit. The room portion, a frame member for forming a frame; A cover member covering the frame member to separate or isolate the frame member; And a floor member for forming a floor; The floor member is formed of an antistatic tile or an epoxy coating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on the floor from being charged; The FFU unit, during normal operation, laterally blows clean air up to a preset maximum distance, and discharges the side-ventilated air through a suction unit installed in an upper portion or a front and rear portion of the opposite end of the side of the room unit;
The FFU unit maintains cleanliness by preventing only the inflow of external dust by adjusting the internal airflow amount with a preset positive pressure maintenance amount in order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going through a separate air shower when not working; Upon restarting after rest, a forced airflow adjustment mode is performed to achieve a preset cleanliness within a preset time; When performing the forced air flow adjustment mode, the side air is blown with the previously set forced air flow adjustment air volume, which is 30% higher than the normal operation; It adjusts the height of the FFU by loading multiple stages, and when the FFU is loaded in multiple stages, the parts in contact between the FFUs are attached and fixed to each other. Clean roo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FU is bent and fixed with a bending mechanism.
보강철파일로 조립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member,
Clean roo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ssembling reinforced iron piles.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틀부재에 결합시켜 주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구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om unit,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frame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26048A KR102244639B1 (en) | 2018-10-22 | 2018-10-22 | Structure of clean 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26048A KR102244639B1 (en) | 2018-10-22 | 2018-10-22 | Structure of clean roo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5233A KR20200045233A (en) | 2020-05-04 |
| KR102244639B1 true KR102244639B1 (en) | 2021-04-26 |
Family
ID=707326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26048A Active KR102244639B1 (en) | 2018-10-22 | 2018-10-22 | Structure of clean roo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44639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41269Y1 (en) * | 1999-04-26 | 2001-09-25 | 김희남 | A clean booth |
| JP2011231989A (en) * | 2010-04-28 | 2011-11-17 | Kyowa Kogyo Kk | Clean booth |
| KR101178787B1 (en) * | 2006-09-13 | 2012-09-07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Substrate storage facility, substrate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ubstrate storage facility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66706A (en) | 2005-12-22 | 2007-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flow Control Unit and Clean Room |
| KR101156039B1 (en) | 2009-12-10 | 2012-06-19 | (주)에이치엔씨 | Hepa filter unit for clean room |
| KR101314278B1 (en) * | 2011-11-30 | 2013-10-02 | (주)신성이엔지 | Clean booth |
-
2018
- 2018-10-22 KR KR1020180126048A patent/KR1022446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41269Y1 (en) * | 1999-04-26 | 2001-09-25 | 김희남 | A clean booth |
| KR101178787B1 (en) * | 2006-09-13 | 2012-09-07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Substrate storage facility, substrate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ubstrate storage facility |
| JP2011231989A (en) * | 2010-04-28 | 2011-11-17 | Kyowa Kogyo Kk | Clean booth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5233A (en) | 2020-05-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635244B2 (en) | Sheet-like electronic component clean transfer device and sheet-like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system | |
| JP6613864B2 (en) | Mini-environment device | |
| KR100524359B1 (en) | Storage facility for use in a clean-room | |
| TWI720603B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 JP7065264B2 (en)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 |
| KR102244639B1 (en) | Structure of clean room | |
| KR102815673B1 (en) | Efem with humidity control function | |
| KR20170052169A (en) | Module type assembly panner for clean room ceiling | |
| JP4629282B2 (en) | Dust-proof device for clean room entrance | |
| JP3697275B2 (en) | Interface box and its clean room for local cleaning | |
| KR20100089770A (en) | Substrate buffering unit | |
| US20250075938A1 (en) | Air filtering device | |
| KR102823924B1 (en) | Method for using load lock device | |
| JP2003214668A (en) | Clean room | |
| KR102325766B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preventing vortex | |
| JP2016196985A (en) | Clean booth device | |
| JPH06178907A (en) | Clean bench and its arrangement structure | |
| JPS62182541A (en) | clean room | |
| JPH07310941A (en) | Clean room | |
| KR102746664B1 (en) | Efem integrated air flow generator and efem including the same. | |
| JP2009218309A (en) | Mini-environment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 |
| JP2001284426A (en) | Wafer lifting device | |
| JP4256185B2 (en) | Airflow control structure in a clean room | |
| KR20040040790A (en) | Mini environment | |
| KR102774336B1 (en) | Clean t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09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0414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