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912B1 -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response system for urban flooding and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response system for urban flooding and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3912B1 KR102243912B1 KR1020200137680A KR20200137680A KR102243912B1 KR 102243912 B1 KR102243912 B1 KR 102243912B1 KR 1020200137680 A KR1020200137680 A KR 1020200137680A KR 20200137680 A KR20200137680 A KR 20200137680A KR 102243912 B1 KR102243912 B1 KR 102243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rate
- fluid
- water level
- senso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1100000167 toxic age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claims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14 correlation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F22/02—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volving measurement of press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01F23/2961—Acoustic waves for discrete lev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8—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variation of an electric variable directly affected by the flow, e.g. by using dynamo-electric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만관 및 비만관 시에 관계없이, 유속 및 수위를 정확하게 센싱하여 이로부터 유량을 계측할 수 있고, 센서의 개수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정밀한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유량뿐 아니라 맨홀 내의 유해물질 등의 센싱을 함께 수행하도록 하여 배관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는, 유체의 상부에서 유체와 비접촉 방식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레이더 방식의 제1 유속 센서와, 초음파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수위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된 유속과 수위를 기반으로 배관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1 유량 계측부; 유체에 침전되어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초음파 크로스콜러레이션 방식의 제2 유속 센서와, 유체로부터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의 압력값에 따라서 유체의 수위를 연산 측정하는 제2 수위 센서 및 제2 유속 센서와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유속과 수위를 기반으로 배관의 유량을 계측하되,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값을 기설정된 개수의 유체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유체 구간 중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일 유체 구간이 속하는 구간의 유속과, 각 유체 구간의 수위 및 압력을 이용하여 전체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제2 유량 계측부; 및 배관이 비만관 시 제1 유량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고, 배관이 만관 시 제2 유량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되, 제1 수위 센서 및 제2 수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배관의 수위값에 따라서 비만관 및 만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gardless of the case of full or obese pipes,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can be accurately sensed and the flow rate can be measured from this, and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sensors, it enables precise flow measurement, and at the same time, sensing not only the flow rate but also the harmful substances in the manhole. It provides a technology that enables integrated management of piping by allowing it to be performed together. To this end, the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responding to urban inun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a radar-type first flow rate sensor that measures the flow rate in a non-contact method with the fluid at the top of the fluid. And, a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pipe based on the measured flow rate and water level, including a first water level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by the ultrasonic method; A second flow sensor of ultrasonic cross-collation method that is deposited in the fluid and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and a second level sensor and a second level sensor that calculates and measures the level of the flui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from the fluid. The flow rate of the pipe is measured based on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measured from the flow rate sensor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and the water level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level sensor is divided into a preset number of fluid sections, and the second of the divided fluid sections. A second flow rate measurement unit including a flow rate calculator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entire fluid using the flow rate of the section to which one fluid section belongs,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and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of each fluid section; And when the pipe is obese, the flow measured by the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is determined as the final flow rate, and when the pipe is full,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measurement unit is determined as the final flow rate. 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esity pipe and the full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value of the pipe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수도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만관 및 비만관 시에 관계없이, 유속 및 수위를 정확하게 센싱하여 이로부터 유량을 계측할 수 있고, 센서의 개수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정밀한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유량뿐 아니라 맨홀 내의 유해물질 등의 센싱을 함께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a fluid that is installed in a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and flows inside the pipe, and specifically, regardless of the case of a full pipe or an obese pipe,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can be accurately sensed and the flow rate can be measured therefrom. In addition,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precise flow rate measurement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sensors and simultaneously senses not only the flow rate but also harmful substances in a manhole.
파이프의 내측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파이프의 파손 등의 사고 방지 및 홍수나 가뭄 등에 있어서의 대비와 함께, 평상시의 평균 유량 측정을 통한 지역 내 상하수도 설계 등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파이프의 내측을 흐르는 유체를 측정한 일반적인 방식은, 용적식, 터빈식, 차압식, 와류식, 전자식, 레이더식, 초음파식 등을 적용한 방식과, 질량을 측정하는 코리올리스식 등의 방식이 있으며, 그 중 초음파방식을 채택한 유량계는 센서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계측장치로서, 현재 유체 양을 측정하는 분야의 전반에 걸쳐 폭 넓게 응용되었다. Measuring the flow rate of a fluid flowing inside a pipe is an essential technology for designing water and sewage systems in an area through measurement of an average flow rate in an ordinary time, as well as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damage to the pipe and preparing for flood or drought. Typical methods for measuring fluid flowing inside a pipe include a method that applies a volume type, a turbine type, a differential pressure type, a vortex type, an electronic type, a radar type, an ultrasonic type, etc., and a method such as a Coriolis type that measures the mass. The flow meter adopting the medium ultrasonic method is a measuring device that uses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sensor, and has been widely applied throughout the field of measuring the amount of fluid at present.
이 중 레이더 유량계는 배관이 비만관시에는 측정이 가능하나, 레이더 유량계가 침수되는 경우에는 유량의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초음파 유량계의 경우, 유체가 불규칙하게 흐르거나, 수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이를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Among these, the radar flowmeter can be measured when the pipe is obes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when the radar flowmeter is flooded.In the case of an ultrasonic flowmeter, when the fluid flows irregularly or the water level is not consta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is.
이에, 기존의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617652호 등에서는, 다수의 포인트에 초음파 수발신부로 구성되는 센서를 부착하여, 파이프 내부의 각 영역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유속을 각각 측정하여, 유속에 해당영역의 단면적을 곱한 값을 유량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게시하고 있다.Thus, as a conventional prior ar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7652, etc., by attaching a sensor composed of an ultrasonic receiving/transmitting unit to a plurality of points, dividing each area inside the pipe and measuring the flow velocity for it, respectively, A function that calculates the flow rate multipli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rea is poste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측정 장치는, 결국 초음파 방식의 유량계라는 점에서 유체가 불규칙하게 흐르거나 수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치되는 센서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한 쌍의 수발신 부위로 1회선 측정을 하는 센서의 특성상, 한 개의 센서 고장으로 인해 해당 면적의 유속 값 측정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measur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is when the fluid flows irregularly or the water level is not constant in that it is an ultrasonic flow meter.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installed sensors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maintain, and due to the nature of sensors that measure one line with a pair of receiving and receiving parts, it i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rea due to a failure of one sensor. There is this.
이에 본 발명은, 비만관 시와 만관 시에 관계없이, 정밀한 유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의 초음파 방식 또는 레이더 방식에 비하여 정밀도가 매우 높은 유량 측정 방식을 채택함에 있어서, 센서의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의 정밀도가 높은 측정 방식에 비하여 비용 절감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recise flow measurement regardless of obesity and fullness, and minimizes the number of sensors in adopting a flow measurement method with very high precis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ultrasonic method or radar method. One object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high-precision measurement method by enabling precise measurement while still being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유량 측정 이외에,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원격의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 내의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in a pipe by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in addition to flow measuremen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는, 유체의 상부에서 유체와 비접촉 방식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레이더 방식의 제1 유속 센서와, 초음파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수위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된 유속과 수위를 기반으로 배관의 유량을 계측하는 제1 유량 계측부; 유체에 침전되어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초음파 크로스콜러레이션 방식의 제2 유속 센서와, 유체로부터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의 압력값에 따라서 유체의 수위를 연산 측정하는 제2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유속 센서와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유속과 수위를 기반으로 배관의 유량을 계측하되,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값을 기설정된 개수의 유체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유체 구간 중 상기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일 유체 구간이 속하는 구간의 유속과, 각 유체 구간의 수위 및 압력을 이용하여 전체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제2 유량 계측부; 및 배관이 비만관 시 상기 제1 유량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고, 배관이 만관 시 상기 제2 유량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되, 상기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배관의 수위값에 따라서 비만관 및 만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building an urban flood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a radar method that measures the flow velocity in a non-contact method with the fluid at the top of the fluid. A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pipe based on the measured flow rate and water level, including a first flow rate sensor and a first water level sensor measuring a water level by an ultrasonic method; The second flow sensor of the ultrasonic cross-collation method that is deposited in the fluid and measures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the second level sensor that calculates and measures the level of the flui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from the fluid, and the second flow rate sensor. 2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pipe based on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measured from the flow rate sensor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but divide the water level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into a preset number of fluid sections, and divide the fluid section A second flow rate measurement unit including a flow rate calculator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entire fluid using the flow rate of the section to which one fluid section belongs,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sensor, and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of each fluid section; And when the pipe is obese,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is determined as the final flow rate value, and when the pipe is full,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measurement unit is determined as the final flow rate value, and the first water lev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ese pipe or full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value of the pip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상기 제1 유량 계측부는, 상기 제1 유속 센서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더가 유체에 반사된 결과 수광부에 입사 시의 파장 변화에 따라서 유속을 측정하며, 상기 제1 수위 센서는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에 입사 시까지의 시간에 기반하여 수위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the first flow rate sensor measures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when the radar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as a result of reflection of the fluid, and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i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It is preferable to sense the water level based on the time until the ultrasonic wave is incident on the ultrasonic receiver.
상기 유량 산출부는, 상기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일 유체 구간의 유속과,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연산 측정된 수위 및 압력을 입력값으로 갖고,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출력값으로 갖는 연관 함수에 각 유체 구간의 수위와 압력을 입력하여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도출한 뒤, 모든 유체 구간의 유속의 평균을 유체의 평균 유속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와 기 저장된 배관의 단면적으로부터 산출된 유체의 단면적과 상기 평균 유속을 곱한 결과를 전체 유체의 유량으로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rate calculation unit has a flow rate of the one fluid section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sensor, a water level and pressure calculated and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as input values, and a correlation function having a flow rate of each fluid section as an output value After deriving the flow rate of each fluid section by inputting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of each fluid section to the, the average of the flow rates of all fluid sections is calculated as the average flow rate of the fluid, and the water level measured from the second level sensor and the pre-stored pipe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average flow rate b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calculated from the cross-sectional area of, as the flow rate of the entire fluid.
상기 제2 수위 센서는, 미리 설정된 압력 센서가 설치된 배관의 사이즈 데이터에 따라서 압력값에 비례하도록 유체의 수위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calculates the level of the fluid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value according to size data of a pipe in which a preset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상기 연관 함수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압력에 비례하고, 상기 일 유체 구간의 유속 및 각 유체 구간의 중심 수위에 반비례하는 제1 출력값이 유체의 가속도로 산출되고, 상기 제1 출력값을 시간으로 적분한 결과를 각 유체 구간의 유속으로 도출하는 제1 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ssociation function is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a first output value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low velocity of the one fluid section and the center water level of each fluid section is calculated as the acceleration of the fluid, and the first output value 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first function that derives the result of integration as the flow velocity of each fluid section.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적어도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유해물질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최종 유량값과 함께, 상기 유해물질 센싱부에 의하여 센싱된 유해물질 데이터를 원격의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hazardous substance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pipe and sensing an amount of a toxic substance including at least hydrogen sulfide;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ogether with the determined final flow rate value, the harmful substance sensed by the toxic substance sensing unit.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substance data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이 상기 배관마다 기설정된 침수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유속이 상기 배관마다 기설정된 임계 유속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이 상기 침수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유해물질 센싱부에 의하여 센싱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기설정된 임계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 상기 배관으로부터의 사고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when the water level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exceeds a threshold value preset for each pipe, the flow rate measured from the second flow rate sensor exceeds a threshold flow rate preset for each pipe, and the When at least one of a case in which the water level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exceeds the immersion threshold valu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toxic substance sensed by the toxic substance sensing unit exceeds a preset critical concentration, the pip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from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에 의하면, 비만관시에는 상부에 장착 가능한 레이더 측정 방식의 유속 센서 및 초음파 방식의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유속 및 수위를 센싱함으로써 유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한편, 만관에 의하여 레이더 측정 및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유속 및 수위의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초음파 크로스콜러레이션 방식의 유속 센서 및 압력 센싱 방식의 수위 센서를 이용하여 유속 및 수위를 정확하게 센싱하여 유량을 계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obesit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flow rate by sensing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by using a radar measurement type flow rate sensor and an ultrasonic type water level sensor that can be mounted on the top, while using a radar measurement and ultrasonic method by a full tube. Therefore, when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respectively, the flow rate can be measured by accurately sensing the flow rate and water level using the flow rate sensor of the ultrasonic cross-collation method and the water level sensor of the pressure sensing method.
특히, 압력 센싱 방식의 수위 센서에 의하여, 단일 센서를 이용하여 유체가 흐르는 영역을 수위에 따라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Q-Curve 및 연관 함수를 이용하여 다수의 구간에서의 유속을 각각 정확하게 예측한 뒤, 이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측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by using a pressure sensing type water level sensor, a single sensor is used to divide the fluid flow area into a number of section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the flow rates in multiple sections are accurately predicted using Q-Curve and related functions.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using this.
이에 의하여, 다수의 센서를 이용했을 때보다 더욱 정밀한 유량 계측이 가능한 동시에, 비만관 시 및 만관 시에도 매우 정밀한 유량 계측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 효과 및 유량 정밀 계측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easure more precise flow rate than when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with high precision even when the pipe is obese or full, thereby reducing cost and achieving the effect of measuring flow rate at the same time. have.
또한 상술한 구성들은 유량 계측부를 비만관 시 및 만관 시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의 상부 및 벽면 등에 유량 계측부들을 각각 설치할 수 있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투사 및 이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be used by dividing the flow rate measurement unit into an obese tube and a full tube, the flow rate measurement units can be installed respectively on the top and wall of the pipe,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projection and foreign matter flowing from the outside. There is.
또한 유량 계측 시 손실되지 않는 연속 계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유량 형상과 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그래프 등의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계측 데이터의 이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continuous measurement without loss is possible during flow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graph for confirming an accurate flow rate shape and pattern,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measurement data is greatly improved.
한편, 배관 내 유해물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를 함께 활용하고, 데이터를 원격의 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어, 통합적인 모니터링 및 침수 시의 피해 예방 및 예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a sensor that can monitor harmful substances in the pipe is used together and data can be managed in a remote server,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integrated monitoring and damage prevention and prediction in the event of floo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의 구성 및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계측 데이터 활용 전환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사용되는 Q-Curve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체 구간이 구분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일 유체 구간의 유속 및 전체 유량이 유추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데이터가 관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configuration and layout diagram of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responding to urban inun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2 is an example of conversion of measurement data utilization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Q-Curve used to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fluid section is di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low in which a flow rate and a total flow rate of one fluid section are infer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data is managed in a remot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illustrative purposes,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disclosed to aid 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the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s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ing"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corresponding feature and/or compon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doing.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ome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or excessively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describe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corresponding illustrated matters refer to the technical features and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lurality of drawings will be simultaneously referred to and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one technical feature or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의 구성 및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계측 데이터 활용 전환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사용되는 Q-Curve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체 구간이 구분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일 유체 구간의 유속 및 전체 유량이 유추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원격의 관리 서버에서 데이터가 관리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and layout diagram of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responding to urban inun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Q-Curve used for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fluid sec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low in which the flow rate and the total flow rate of one fluid section are infer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remot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data is managed.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는, 제1 유량 계측부(10), 제2 유량 계측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해물질 센싱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building an urban flood response system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ow
제1 유량 계측부(1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속 센서(11) 및 제1 수위 센서(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속 센서(11)와 제1 수위 센서(12)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flow
제1 유속 센서(11)는 유체의 상부에서 유체와 비접촉 방식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레이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방식의 유속 센서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레이더 유속 센서 또는 기타 레이더(광파) 유속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유속 센서(11)는 상술한 마이크로파 레이더 유속 센서인 경우, 도 1과 같이 유체의 표면에 대한 하방 연직 각도를 90도로 정의 시, 약 30 내지 50도의 입사각으로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레이더(마이크로파)가 유체의 표면에서 산란되어 되도록아오는 것이 수광부에 입사될 시, 예를 들어 도플러 효과 등에 의하여 변경되는 파장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표면 유속을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제1 유속 센서(11)는 상술한 예 이외에, 광을 조사하고, 유체의 표면 또는 유체 내의 입자 등에 의하여 반사(산란)되는 광을 측정하여, 이에 대한 파장 변화 등을 이용하여 표면 또는 유체 내부의 유속을 측정하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first
한편 제1 수위 센서(12)는 제1 유속 센서(11)와 유사하게 유체의 상부에서 유체와 비접촉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eanwhile, similar to the first
제1 수위 센서(12)는 예를 들어 초음파 거리 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연직 하방으로 초음파를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송신으로, 유체의 표면에 의하여 반사되어 오는 초음파를 초음파 수신부에서 입사시켜, 이들의 시간차 및 정해진 배관의 스펙에 의하여 수위를 측정하게 된다.The first
이때 초음파 거리 센서 이외에, radar 방식, laser 방식, load cell 방식, nuclear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거리 센서가 제1 수위 센서(12)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ultrasonic distance sensor, it will be natural that various types of distance sensors such as a radar method, a laser method, a load cell method, and a nuclear method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제1 유속 센서(11) 및 제1 수위 센서(12)로부터 유속 및 수위가 검출되면, 제1 유량 계측부(10)는, 각 센서와 별도로 구비되는 프로세서에서, 유량(Q) = 단면적(A) x 유속(V)의 공식을 통해서 유량을 계측한 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단면적(A)는 원형 배관의 경우, A = r(배관의 반지름)^2(C(중심각) - sinC)/2로 연산될 수 있고, C = 2(cos^-1((r-h)/r)로 연산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 계산 방식은 제1 유량 계측부(10) 이외에, 후술하는 제2 유량 계측부(2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flow velocity and the water level are detected from the first
한편, 제2 유량 계측부(20)는, 제2 유속 센서(21)와 제2 수위 센서(22) 및 제2 유속 센서(21)와 제2 수위 센서(22)에서 측정된 값을 기분으로 유량을 계측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low
제2 유속 센서(21)는 유체에 침전되어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초음파 크로스콜러레이션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크로스콜러레이션 방식의 초음파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유체 표면과 하방 연직 각도를 90도로 정의 시 이와 다른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구체적으로, 제2 유속 센서(21)는 배관 내의 입자의 위치 및 이동을 통해서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게 되는데, 초음파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초음파가 유체의 입자에 반사되어 초음파 수신부로 입사되는 시간에 따라서 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며, 그 주파수 차이에 따라서 입자의 속도를 측정하여 입자의 위치 및 속도를 통해서 유체의 유속을 파악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second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도 1에는 제2 유속 센서(21)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하나의 하우징에 제2 유속 센서(21)는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음파 센서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즉 도 1의 제2 유속 센서(21)와 같은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설치되고, 제2 초음파 센서는 유체의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유속의 평균값을 현재 배관 내의 유체의 유속의 평균값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도플러 방식의 초음파 유속 센서보다, 면 단위의 입자의 위치 및 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그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accuracy, FIG. 1 shows that the second
즉, 초음파 센서부 각각은 유체의 흐름에 대해서 수직 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초음파의 송수신 면적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즉 이물질의 이동 측정 범위가 넓게 설정될 수 있어, 선 또는 일정 면 단위의 이물질의 유속을 측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면 단위의 입자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단일 입자에 한정되지 않아 더욱 정밀한 유속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That is, each of the ultrasonic sensor units is set and installed in an inclined direction rather tha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of the fluid, so that the range of the transceiving area of the ultrasonic wave can be widened. That is, since the movement measurement range of the foreign material can be set to be wide, the flow velocity of the foreign material in the unit of a line or a certain plane is measured. Specifically, by measuring the velocity of the particles in a pla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limited to a single particle, and thus more precise measurement of the flow velocity is possible.
한편 제2 수위 센서(22)는 유체로부터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의 압력값에 따라서 비례하도록 유체의 수위를 연산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관의 스펙(지름) 및 유체의 밀도를 파악하면, 배관 일 부분에 설치된 압력 센서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에 비례하도록 유체의 수위(단면적)이 연산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다. Meanwhile, the second
이때 제2 유량 계측부(20)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유량 산출부(미도시)는, 제2 유속 센서(21)와 제2 수위 센서(22)로부터 측정된 유속과 수위를 기반으로 배관의 유량을 계측하되, 제2 수위 센서(22)로부터 측정된 수위 값을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6)의 유체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유체 구간 중 제2 유속 센서(2!)로부터 측정된 일 유체 구간이 속하는 구간의 유속과, 각 유체 구간의 수위 및 압력을 이용하여 전체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유량 계측부(20)의 세부 구성이다. At this time, the flow rate calculation unit (not shown) including the processor of the second flow
이때 상술한 기존의 선행기술에서는, 상술한 분할된 유체 구간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수의 초음파 송수신 모듈이 배관 내에 다수 설치되어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측정하여 왔다. 이로서, 결정된 유속을 각 단면적에 따라서 연산하여 각 부분의 유량을 산출하여 합하거나, 결정된 유속의 평균값에 단면적을 연산하여 전체 유량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of the divided fluid section, a plurality of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modules are installed in the pipe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of each fluid section. Accordingly, the determined flow rate is calculated according to each cross-sectional area to calculate and sum the flow rate of each portion, or the total flow rat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cross-sectional area to the average value of the determined flow rat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존의 선행기술은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나, 다수의 센서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그 복잡성이 매우 커지고, 설치 및 유지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한 쌍의 수발신 부위로 1회선 측정을 하는 센서의 특성상, 한 개의 센서 고장으로 인해 해당 면적의 유속 값 측정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uch a conventional prior art is capable of precise measurement, but since a number of sensors must be attached, the complexity increases,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a sensor that performs one-line measurement with a pair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portion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flow velocity value of a corresponding area due to a failure of one sensor.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제2 유속 센서(21)는 단일 초음파 콜로레이션 방식의 유속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한 영역에서의 유속을 각각 정밀한 연산을 통해서 유추함으로써, 기존의 기술에 거의 근접한 정확도를 갖는 유속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contrast, the second
이에 대한 설명은 3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Q)는 동일한 유속 및 압력 하에서 배관(1) 내의 수위(H)에 따라서 일정한 곡률을 갖는 커브 값으로 유추될 수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3 to 6. Referring to the above drawings together, first, as shown in FIG. 3, the flow rate Q may be inferred as a curve valu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H in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만관 시 이후에 제2 유량 계측부(20)에 의하여 측정된 유량값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만관을 가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은 16개의 유체 구간(A1 ~ A16)으로 분할될 수 있다. 물론, 만관을 넘어 침수 단계까지 가는 경우에는 그 구간을 다시 나누거나, 만관 시의 유량 및 맨홀(2)에 설치될 수 있는 제3 수위 센서(미도시)의 측정값 및 맨홀(2) 하부의 연결관의 사이즈에 따라서 유량을 연산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rate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flow
이때, 각 유체 구간(A1 ~ A16)에서의 유속(VA1 ~ VA16)을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센서를 이용하여 연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균 유속(Avg(VAn))을 연산한 뒤, 도 6과 같이 상술한 유량 계측 공식으로서, 전체 유량(Dt)는 전체 단면적(St)에 평균 유속(Avg(VAn))을 곱한 값으로 도출되는 것을 이용하여 유량을 연산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low velocity (VA1 ~ VA16) in each fluid section (A1 ~ A16) is calculated using a single sens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average flow velocity (Avg(VAn)) is calculated based on this,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as the flow rate measurement formula, the total flow rate Dt is calculated a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St by the average flow rate Avg (VAn).
이때 구체적으로 도 1,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속 센서(21)로부터는 일 유체 구간(A5, C)의 유속(VA5)이 상술한 크로스 콜로레이션 방식에 의하여 면단위 등으로 측정될 수 있고, 제2 수위 센서(22)로부터 연산 측정된 수위 및 압력을 입력값으로 갖으며,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출력값으로 갖는 연관 함수에 각 유체 구간의 수위와 압력을 입력하여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도출한다. 이후 모든 유체 구간의 유속의 평균을 유체의 평균 유속으로 산출하고, 제2 수위 센서(22)로부터 측정된 수위와 기 저장된 파이프의 단면적으로부터 산출된 유체의 단면적과 평균 유속을 곱한 결과를 전체 유체의 유량으로 연산하게 된다. At this tim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flow velocity VA5 of one fluid section A5 and C is measured in a plane unit, etc. by the above-described cross-collation method from the second
이때 연관 함수는, 만관 이후의 유량을 연산하는 과정이어서, 도 5와 같이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압력(P)에 비례하고, 일 유체 구간(A5)의 유속(Vg) 및 각 유체 구간의 중심(A4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4) 수위에 반비례하는 제1 출력값이 유체의 가속도로 산출되고, 제1 출력값을 시간으로 적분한 결과를 각 유체 구간의 유속(Van)으로 도출하는 제1 함수를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rrelation function is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flow rate after full pipe, and is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P sensed from the pressure sensor as shown in FIG. 5, and the flow velocity (Vg) of one fluid section (A5) and the center of each fluid section ( In the case of A4, as shown in Fig. 5 (PA4), the first output valu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ater level is calculated as the acceleration of the fluid, and the result of integrating the first output value with time is derived as the flow velocity (Van) of each fluid section. 1 can mean a function.
일반적으로 유체에 관련된 함수에 있어서 유체의 가속도(g)는 g=P/ρH로 연산되는데, P는 압력, H는 수위(유체 최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되, 일 유체 구간의 유속(Vg)는 상술한 연관 함수를 이용하면 해당 유체 구간에서의 압력 및 수위가 결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관 함수를 역 연산하여 상수 ρ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상술한 유체의 가속도 산출 함수에 적용함으로써, 연관 함수 중 제1 함수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in a fluid-related function, the fluid acceleration (g) is calculated as g = P/ρH, where P is the pressure and H is the water level (height from the lowest surface of the fluid). Using this, but the flow velocity (Vg) of one fluid section is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and water level in the fluid section are determin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association function, so the constant ρ can be calculated by inverse computation of the association function. By applying it to the function of calculating the acceleration of the fluid,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first function among the related functions.
이를 이용하여 일 유체 구간에서의 유속만을 측정하면, 나머지 유체 구간에서의 유속을 비교적 매우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평균값과 수위를 이용하여 전체 유량을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f only the flow velocity in one fluid section is measured using this, the flow velocity in the remaining fluid section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very accurately, and the total flow rat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average value and water level thereof.
한편 제어부(30)는, 배관(1)이 비만관 시(A) 제1 유량 계측부(10)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고, 배관이 만관 시(B) 제2 유량 계측부(20)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되, 제1 수위 센서(11) 및 제2 수위 센서(22)에 의하여 측정되는 배관의 수위값에 따라서 비만관 및 만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도 2와 같이, 스위칭 회로(31)가 제어부(30)에 포함하여 배관(1)의 만관 또는 비만관 여부를 판단할 것인데, 제1 수위 센서(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식 센서이고, 제2 수위 센서(22)는 압력 센서(23)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수위 센서(12)는 배관(1)이 비만관 시(A)에만 작동하여 수위가 측정된 값이 도출될 것이며, 제2 수위 센서(22)는 배관(1)이 만관 시(B)에만 작동하여 수위가 측정된 값이 도출될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switching
이때 만관에 도달하여 제1 수위 센서(12)에서 수위가 측정되지 않거나 배관(1)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더 큰 임계 수위 값(Ht)으로 측정되는 경우 스위칭 회로(31)는 제2 유량 계측부(20)로부터 계측된 값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한다. 반대로, 비만관이어서, 제2 수위 센서(22)에서 수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즉 압력 센서(23)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0인 경우(압력 센서(23)가 도 1과 같이 배관(1)의 상면에 장착될 시), 또는 압력 센서(23)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이 임계 값(Pt) 미만인 경우(압력 센서(23)가 도 1과 달리 배관(1)의 측면 등에 설치된 경우)에는 스위칭 회로(31)는 제1 유량 계측부(10)로부터 계측된 값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water level is not measured by the first
기본적으로 단일 초음파 콜로레이션 센서만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 시, 상술한 비만관 시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해당 센서는 배관(1)의 하면에 설치될 것인데, 이 경우 배관(1) 내의 이물질 등에 의하여 센서의 측정값이 부정확할 수 있다.Basically, when measuring the flow rate using only a single ultrasonic collation sensor, the sensor will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1) for accurate measurement in the above-described obese pipe. In this case, the sensor i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in the pipe (1). The measured value of may be inaccurat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비만관 시 및 만관 시 각각 더로 다른 방식의 유량계(10, 20)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음파 콜로레이션 센서가 포함된 제2 유량 계측부(20)가 배관(1)의 하면에 위치될 필요가 없이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될 수 있어, 배관(1) 내의 이물질 등에 의하여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유량 계측 시 손실되지 않는 연속 계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유량 형상과 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그래프 등의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계측 데이터의 이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continuous measurement without loss is possible during flow measuremen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graph for confirming an accurate flow rate shape and pattern,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measurement data is grea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해물질 센싱부(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유해물질 센싱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센서(4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물질 센싱부(40)는 유체로부터 발생되어, 작업자가 호흡 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황화수소와 같은 유해물질을 주로 센싱하기 때문에 맨홀(2)의 인근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mful
제어부(30)는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유량 계측부(10) 및 제2 유량 계측부(20)에 의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서 결정된 최종 유량값과 함께, 상기 유해물질 센싱부(40)에 의하여 센싱된 유해물질 데이터를 원격의 관리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해물질의 양 및 유량에 따라서 침수에 대한 사고 경고 알림을 관리 서버(50)에 전송하게 되면, 다양한 데이터 이력 관리와 함께 사고 예측 및 조기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f an accident warning notification about flooding is transmitted to the
이를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 유량값과 유해물질 데이터 이외에, 제어부(30)는 제2 수위 센서(22)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이 배관(1)마다 기설정된 침수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유속 센서(21)로부터 측정된 유속이 배관(1)마다 기설정된 임계 유속을 초과하고, 제2 수위 센서(22)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이 침수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및 유해물질 센싱부(40)에 의하여 센싱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기설정된 임계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 배관(1)으로부터의 사고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50)에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해 발생 시의 알람 기능과 함께 유해물질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이력 관리가 가능해진다.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final flow rate value and hazardous substance data, the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components without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may be included,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more inclusive. In addi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유체에 침전되어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초음파 크로스콜러레이션 방식의 제2 유속 센서와, 유체로부터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의 압력값에 따라서 유체의 수위를 연산 측정하는 제2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유속 센서와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유속과 수위를 기반으로 배관의 유량을 계측하되,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값을 기설정된 개수의 유체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유체 구간 중 상기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일 유체 구간이 속하는 구간의 유속과, 각 유체 구간의 수위 및 압력을 이용하여 전체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 산출부를 포함하는 제2 유량 계측부; 및
배관이 비만관 시 상기 제1 유량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고, 배관이 만관 시 상기 제2 유량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유량을 최종 유량값으로 결정하되, 상기 제1 수위 센서 및 상기 제2 수위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배관의 수위값에 따라서 비만관 및 만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산출부는,
상기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일 유체 구간의 유속과,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연산 측정된 수위 및 압력을 입력값으로 갖고,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출력값으로 갖는 연관 함수에 각 유체 구간의 수위와 압력을 입력하여 각 유체 구간의 유속을 도출한 뒤, 모든 유체 구간의 유속의 평균을 유체의 평균 유속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와 기 저장된 배관의 단면적으로부터 산출된 유체의 단면적과 상기 평균 유속을 곱한 결과를 전체 유체의 유량으로 연산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는,
미리 설정된 압력 센서가 설치된 배관의 사이즈 데이터에 따라서 압력값에 비례하도록 유체의 수위를 연산하고,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적어도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유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유해물질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최종 유량값과 함께, 상기 유해물질 센싱부에 의하여 센싱된 유해물질 데이터를 원격의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pipe based on the measured flow rate and water level, including a radar-type first flow rate sensor that measures the flow rate in a non-contact method with the fluid from the top of the fluid, and a first water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water level by an ultrasonic method. A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The second flow rate sensor of the ultrasonic cross-collation method that is deposited in the fluid and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e second level sensor that calculates and measures the level of the flui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pressure from the fluid, and the second flow rate sensor. 2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pipe based on the flow velocity and water level measured from the flow velocity sensor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but divide the water level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into a preset number of fluid sections, and divide the fluid section A second flow rate measurement unit including a flow rate calculator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entire fluid using the flow rate of the section to which one fluid section belongs,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sensor, and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of each fluid section; And
When the pipe is obese,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is determined as the final flow rate, and when the pipe is full,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second flow rate measurement unit is determined as the final flow rate value, and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ese pipe or a full pi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water level value of the pipe measured by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The flow rate calculation unit,
The flow rate of the one fluid section measured from the second flow rate sensor,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calculated and measured from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are input values, and the flow rate of each fluid section is used as an output value. After deriving the flow rate of each fluid section by inputting the water level and pressure, the average of the flow rates of all fluid sections is calculated as the average flow rate of the fluid, and the water level measured from the second level sensor and the previously stored sectional area of the pipe are calculated.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by the average flow rate is calculated as the flow rate of the entire flui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Calculate the fluid level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value according to the size data of the pipe with a preset pressure sensor installed,
A harmful substance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pipe and sensing an amount of a toxic substance including at least hydrogen sulfid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n urban inundation response system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the hazardous substance data sensed by the hazardous substance sensing unit together with the determined final flow rate value to a remot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1 유량 계측부는,
상기 제1 유속 센서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더가 유체에 반사된 결과 수광부에 입사 시의 파장 변화에 따라서 유속을 측정하며, 상기 제1 수위 센서는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에 입사 시까지의 시간에 기반하여 수위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low rate measurement unit,
The first flow velocity sensor measures the flow velocity according to the wavelength change when the radar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cident on the fluid as a result of being reflected on the fluid, and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is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is incident on the ultrasound receiving unit.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building an urban flood response system characterized by sensing the water level based on the time until hour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상기 연관 함수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압력에 비례하고, 상기 일 유체 구간의 유속 및 각 유체 구간의 중심 수위에 반비례하는 제1 출력값이 유체의 가속도로 산출되고, 상기 제1 출력값을 시간으로 적분한 결과를 각 유체 구간의 유속으로 도출하는 제1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
The method of claim 1,
The association function,
A first output value that is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low velocity of the one fluid section and the center water level of each fluid section is calculated as the acceleration of the fluid, and the result of integrating the first output value with time is each A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building an urban flood response system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first function derived from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s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이 상기 배관마다 기설정된 침수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유속이 상기 배관마다 기설정된 임계 유속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수위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값이 상기 침수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유해물질 센싱부에 의하여 센싱된 유해물질의 농도가 기설정된 임계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 상기 배관으로부터의 사고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침수 대응체계 구축에 적합하며 환경 정보 센싱이 가능한 스마트 관망 관리 유량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water level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for immersion for each pipe, the flow rate measured from the second flow rate sensor exceeds a preset critical flow rate for each pipe,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An accident from the pipe occurs in at least one of a case in which the water level measured from exceeds the immersion threshold valu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toxic substance sensed by the toxic substance sensing unit exceeds a preset critical concentration.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meter suitable for building an urban flood response system and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37680A KR102243912B1 (en) | 2020-10-22 | 2020-10-22 |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response system for urban flooding and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37680A KR102243912B1 (en) | 2020-10-22 | 2020-10-22 |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response system for urban flooding and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43912B1 true KR102243912B1 (en) | 2021-04-23 |
Family
ID=757380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37680A Active KR102243912B1 (en) | 2020-10-22 | 2020-10-22 |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response system for urban flooding and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43912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65920B1 (en) * | 2021-09-13 | 2022-02-23 | (주)우리기술 | Non-contect type flow control apparatus for sewage pipes using flow rate and level of iot based digital filter type |
| CN115564192A (en) * | 2022-09-20 | 2023-01-03 | 厦门市政水务集团有限公司 | Water supply pipeline water quality risk assess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27820A (en) * | 2004-03-10 | 2004-04-01 | 정진만 | dreg sludge height and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ing pressure gauge and sewage water level and velocity gauge |
| KR20110017333A (en) * | 2009-08-13 | 2011-02-21 |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 Flowmeter using Cross Collaboration Measurement |
| KR101856186B1 (en) * | 2017-12-21 | 2018-05-11 | (주)수인테크 | Hybrid radar flowmeter including ultrasonic flow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2020
- 2020-10-22 KR KR1020200137680A patent/KR1022439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27820A (en) * | 2004-03-10 | 2004-04-01 | 정진만 | dreg sludge height and flow rate measurement system using pressure gauge and sewage water level and velocity gauge |
| KR20110017333A (en) * | 2009-08-13 | 2011-02-21 | 주식회사 마커스코리아 | Flowmeter using Cross Collaboration Measurement |
| KR101856186B1 (en) * | 2017-12-21 | 2018-05-11 | (주)수인테크 | Hybrid radar flowmeter including ultrasonic flow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65920B1 (en) * | 2021-09-13 | 2022-02-23 | (주)우리기술 | Non-contect type flow control apparatus for sewage pipes using flow rate and level of iot based digital filter type |
| CN115564192A (en) * | 2022-09-20 | 2023-01-03 | 厦门市政水务集团有限公司 | Water supply pipeline water quality risk assess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56186B1 (en) | Hybrid radar flowmeter including ultrasonic flow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US545394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and pipeline temperature modelling method and apparatus | |
| EP0953827A1 (en) | Open channel flowmeter utilizing surface velocity and lookdown level devices | |
| KR102037873B1 (en) | Multi-level input type deposition ultrasonic flowmeter | |
| KR102243912B1 (en) | Smart pipe network management flow meter suitable for establishing a response system for urban flooding and sen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 |
| US20080028838A1 (en) | System for Sand Detection at Constrictions or Flow Obstacles in a Pipe or Similar | |
| WO2015105559A1 (en) | Self-checking flow meter and method | |
| US20230101202A1 (en) | Flow and level monitor for fluid systems | |
| CN104641118A (en) | Centrifugal pump with ultrasound flow-through measurement device | |
| CN115248071B (en) | A flow detection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 |
| US20170153132A1 (en) | Measurement of flow through pipelines | |
| Munasinghe et al. | Ultrasonic-based sensor fusion approach to measure flow rate in partially filled pipes | |
| US11885653B2 (en) | Flow and level monitoring fluid system including nadir-facing and angle flow sensors with MIMO phase radar sensors | |
| WO2009037501A1 (en) | Measurement of flow in a channel | |
| KR101440924B1 (en) | Flowmeter system without contacting fluid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 Johari et al. | Direct measurement of circulation using ultrasound | |
| CN212867529U (en) | Drilling fluid outlet flow measuring device | |
| KR102243911B1 (en) | Section-divided cross correlation flowmeter capable of precise measurement | |
| KR102088845B1 (en) | Method for measuring flow rate of ultrasonic flow meter including recessed ultrasonic transducer | |
| WO2022268721A1 (en) | Non-invasive method and system to measure the surface velocity of a fluid flowing in a river, open channel or in an underground pipe | |
| JP2005241343A (en) | In-pipe fluid measuring device | |
| TWM625907U (en) | Radar wave water level indicator | |
| JPH11351924A (en) | Flowmeter for open channel utilizing surface velocity detector and look down water level detector | |
| JP3251309U (en) | Radar-based sewer water level and flow rate measuring device | |
| KR101820050B1 (en) | Flow rate measuring apparatus in drainpipe using temperature diferen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