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20B1 - Bone cement infus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Google Patents
Bone cement infus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4320B1 KR102254320B1 KR1020190088771A KR20190088771A KR102254320B1 KR 102254320 B1 KR102254320 B1 KR 102254320B1 KR 1020190088771 A KR1020190088771 A KR 1020190088771A KR 20190088771 A KR20190088771 A KR 20190088771A KR 102254320 B1 KR102254320 B1 KR 1022543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pipe
- cannula
- bone cement
- vertebral body
- c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61B17/8819—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characterised by the introducer proximal part, e.g. cannula handle, or by parts which are inserted inside each other, e.g. stylet and cannul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4—Solid vertebral fillers; devices for inserting such fill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7—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e.g. balloon; devices for inserting or filling such im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61B17/8811—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characterised by the introducer tip, i.e. the part inserted into or onto the b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0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 A61B17/8805—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 A61B17/8822—Equipment for handling bone cement or other fluid fillers for introducing fluid filler into bone or extracting it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expulsion of fluid from the introducer, e.g. a screw pump plunger, hydraulic force transmissions, application of vibrations or a vacu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5—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 A61B17/8852—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capable of being assembled or enlarged, or changing shape, inside the bone or disc
- A61B17/8855—Tools for expanding or compacting bones or discs or cavities therein capable of being assembled or enlarged, or changing shape, inside the bone or disc inflatable, e.g. kyphoplasty ballo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척추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부에 전방토출구 및 다수의 사이드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유도파이프, 유도파이프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캐뉼러와; 캐뉼러와 결합한 상태로 그 선단부가 캐뉼러와 함께 척추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천공니들과; 본시멘트의 주입 후, 유도파이프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를 밀어 척추체 내부로 압입하는 푸셔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는, 캐뉼러에, 전방토출구 이외에도 다수의 사이드토출구가 형성되어, 본시멘트를 캐뉼러의 길이방향 뿐 아니라 반지름 방향으로도 동시 토출하므로 그만큼 본시멘트의 토출범위가 넓고, 그에 따라 척추체 내부의 공간을 고르게 채울 수 있어 치료의 효과를 한층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되는 본시멘트의 유동단면적이 넓으므로 본시멘트를 짜내는데 큰 힘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본시멘트가 최적 점도를 가질 때 까지 기다린 후 주입함으로써, 본시멘트의 리킹(leaking)에 의한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캐뉼러 내부의 푸셔의 진행 방식도 나사식이므로, 잔류 본시멘트도 힘들이지 않고 간단히 토출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This includes a guide pipe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and a plurality of side discharge ports form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a cannula having a handl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pipe; a perforating needle for which the tip portion enters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together with the cannula while engaged with the cannula; After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it has a pusher that pushes the bone cement remaining in the guide pipe into the vertebral body.
The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side outlets formed in the cannula in addition to the front outlet, so that the bone cement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but also in the radial direction. The ejection range of the bone cement is wide, and accordingly, the space inside the vertebral body can be evenly filled, thereby enhancing the treatment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d main cement is wide, a large force is not required to squeeze the main cement. Therefore, by injecting after waiting until the main cement has the optimum viscosity, medical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the main cement are prevented.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progress method of the pusher inside the cannula is also a screw type, the residual bone cement can be easily discharged without eff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피적 척추 성형술에 사용되는 본시멘트(Bone cement)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시멘트의 토출면적이 넓어, 보다 적은 힘으로 신속한 주입이 가능하여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양호한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used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more particularly, the injection area of the bone cement is wide, enabling rapid injection with less force, thereby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that can obtain good surgical results.
최근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노인성 질환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노인성 질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척추 압박골절도 포함된다. 척추 압박골절은 골다공증을 가진 노인에게서 대부분 발생한다.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various geriatric diseases is also increasing.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geriatric diseases, including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Spinal compression fractures most often occur in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척추의 압박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척추체의 앞쪽이 마치 깡통과 같이 찌그러져 척추체가 쐐기의 모양이 되고 매우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척추 압박골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척추체내의 찌그러진 골절부분을 풍선을 이용해 들어 올리고 그 내부에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이른바 경피적 척추 성형술이 알려져 있다.When a compression fracture of the spine occurs, the front of the vertebral body is distorted like a can, and the vertebral body becomes wedge-shaped and very painful. As a method for treating such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so-called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 which a crushed fracture portion in the vertebral body is lifted using a balloon and bone cement is injected therein is known.
상기 경피적 척추 성형술은, 천공니들을 이용해, 무너진 골절부위에 연결된 통로를 확보한 후, 풍선이 달린 바늘을 상기 통로를 통해 척추체의 내부로 삽입한 후 풍선을 부풀려 골절부분의 내부에 공간을 확보한 다음, 공간에 본시멘트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시멘트는 척추체의 내부에 주입된 상태로 굳어 복원된 척추체의 높이를 유지한다.In the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 passage connected to the collapsed fracture site is secured using a perforation needle, a needle with a balloon is inserted into the vertebral body through the passage, and then the balloon is inflated to secure a space inside the fractured portion. Next, it includes the process of injecting bone cement into the space. The bone cement is hardened in the state injected into the vertebral body and maintains the height of the restored vertebral body.
이러한 경피적 척추 성형술은,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 조절이 잘 되지 않거나,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또는 악성종양에 의한 뼈 질환을 갖는 환자에게 비교적 적합한 시술 방법이라 할 수 있다.Such percutaneous vertebroplasty can be said to be a relatively suitable procedure for patients with poor pain control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a high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r a patient with bone disease caused by a malignant tumor.
한편, 본시멘트를 척추체 내부로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금속관 형태의 캐뉼러가 사용된다. 가령,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06525호를 통해 개시된 풍선 척추 성형술용 벌룬시스템에서의 캐뉼러와 같이 단순한 튜브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 tool used to inject bone cement into the vertebral body, a cannula in the form of a metal tube having a certain diameter and length is used. For example, it takes the form of a simple tube, such as a cannula in the balloon system for balloon vertebroplasty disclosed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6525.
그런데 종래의 캐뉼러는, 양단이 개방된 단순한 튜브의 형태를 취하므로, 본시멘트가 기껏해야 캐뉼러의 길이방향으로만 토출된다는 한계를 갖는다. 가령, 본시멘트가 캐뉼러의 반지름 방향으로는 펼쳐지지 못하는 것이다. 보통, 척추체 내부에 주입되는 본시멘트는 굳기 시작하는 단계에 있으므로 유동성이 좋지 않아, 본시멘트가 캐뉼러의 단부로만 토출된다면, 척추체 내부의 공간이 본시멘트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nnula takes the form of a simple tube with both ends ope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ement is discharg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at most. For example, the bone cement cannot sprea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nnula. Usually, the bone cement injected into the vertebral body is in the stage of starting to harden, so the fluidity is not good, and if the bone cement is discharged only at the end of the cannula, the space inside the vertebral body may not be completely filled with the bone cemen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본시멘트의 토출범위가 넓고 그에 따라 척추체 내부의 공간을 고르게 채울 수 있어 치료의 효과를 한층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본시멘트가 최적 점도를 가질 때 까지 기다린 후 주입함으로써 본시멘트의 리킹(leaking)에 의한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ejection range of the bone cement is wide and accordingly, the space inside the vertebral body can be evenly filled, so that the effect of treatment can be further increas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that can prevent a medical accident due to leakage of the bone cement by post-inj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는,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본시멘트(bone cement)를 체내 척추체의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척추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부에 전방토출구 및 다수의 사이드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유도파이프, 상기 유도파이프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캐뉼러와; 상기 본시멘트의 주입 전에, 상기 캐뉼러와 결합한 상태로 그 선단부가 캐뉼러와 함께 척추체의 내부로 진입한 후 캐뉼러를 놔두고 캐뉼러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에 피어싱팁을 가지고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피어싱팁이 유도파이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니들본체, 상기 니들본체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캐뉼러의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피어싱팁의 돌출정도를 유지시키는 커넥터가 포함된 천공니들과; 상기 본시멘트의 주입 후, 유도파이프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를 밀어 척추체 내부로 압입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주면에 면접하는 푸싱로드, 상기 푸싱로드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푸싱로드를 이동시켜 유도파이프 내부의 잔류 본시멘트가 상기 전방토출구 및 사이드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가압핸들을 갖는 푸셔가 포함되고, 상기 전방토출구는; 본시멘트를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구멍이고, 상기 사이드토출구는; 상기 유도파이프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본시멘트를 유도파이프의 측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구멍으로서,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되, 각각의 사이드토출구는 유도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라인 상에 하나씩만 형성되며,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트러스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푸싱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트러스트홈에 삽입된 상태로 푸싱로드의 축회전시 트러스트홈을 따라 주행하며 트러스트홈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주행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천공니들이 분리된 후, 캐뉼러가 척추체 내에서 단독으로 추가 진입할 수 있도록, 척추체 내부 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선단날부 또는 선단톱니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도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척추체의 내부 뼈조직에 접하며, 유도파이프의 축회전시 상기 뼈조직에 지지되어 추진력을 제공받는 나선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파이프의 선단부 내부에는, 유도파이프의 전체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져, 토출순간의 본시멘트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출통로가 형성된다.The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guide bone cement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pipe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and a plurality of side discharge ports form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vertebral body; a cannula having a handl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pipe; Prior to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the distal e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vertebral body together with the cannula in a state coupled with the cannula, and is separated from the cannula by leaving the cannul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iercing tip at the distal end A needle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and having a length at which the piercing ti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ip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handle of the cannula,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iercing tip A perforating needle including a connector for maintaining the; After the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the bone cement remaining in the guide pipe is pushed into the vertebral body, and a pushing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fac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ing rod and fixed to the pushing rod a pusher having a pressing handle for moving the guiding pipe so that residual cement inside the induction pipe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side discharge port, the front discharge port; It is a hole for discharging the cement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uction pipe, the side discharge port; A hol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guide pipe to discharge the c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and each side outlet is a virtual hol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Only one is formed on the line, and a thrust groove extending spi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and the pushing rod is inserted into the thrust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ing rod. When the shaft rotates, a plurality of running projections are formed that travel along the thrust groove and receive support from the thrust groove.
In addition, after the perforating needles are separated, the tip of the guide pipe is provided with a tip blade or a tip sawtooth that can cut the tissue inside the vertebral body so that the cannula can enter the vertebral body alone.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ipe,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bone tissue of the vertebral body, when the shaft rotation of the guide pipe is supported by the bone tissue is provided with a helical groove is formed with a driving force.
In addition, inside the tip of the guide pipe, an extrusion passage is formed that has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compared to the entir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ipe, and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cement at the moment of dischar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는, 캐뉼러에, 전방토출구 이외에도 다수의 사이드토출구가 형성되어, 본시멘트를 캐뉼러의 길이방향 뿐 아니라 반지름 방향으로도 동시 토출하므로 그만큼 본시멘트의 토출범위가 넓고, 그에 따라 척추체 내부의 공간을 고르게 채울 수 있어 치료의 효과를 한층 상승시킬 수 있다.The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side outlets formed in the cannula in addition to the front outlet, so that the bone cement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as well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The ejection range of bone cement is wide, and accordingly, the space inside the vertebral body can be evenly filled,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reatment.
또한, 토출되는 본시멘트의 유동단면적이 넓으므로 본시멘트를 짜내는데 큰 힘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본시멘트가 최적 점도를 가질 때 까지 기다린 후 주입함으로써, 본시멘트의 리킹(leaking)에 의한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d main cement is wide, a large force is not required to squeeze the main cement. Therefore, by injecting after waiting until the main cement has the optimum viscosity, medical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the main cement are prevented. can be prevented
아울러, 캐뉼러 내부의 푸셔의 진행 방식도 나사식이므로, 잔류 본시멘트도 힘들이지 않고 간단히 토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gress method of the pusher inside the cannula is also a screw type, the residual bone cement can be easily discharged without effo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캐뉼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캐뉼러에 대한 천공니들이나 푸셔의 고정방식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도파이프의 선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에서의 유도파이프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에서의 유도파이프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에서의 유도파이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니들본체 및 가압로드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의 사용 방식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nnula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fixing method of a drilling needle or pusher for the cannula shown in FIG. 1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ront end of the guide pipe shown in Figure 1;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pipe in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pipe in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pipe in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needle body and the pressure rod.
8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use of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본시멘트 주입장치는, 경피적 척추 성형술에 사용되는 도구로서, 척추체 내부에 본시멘트(bone cement)를 보다 효율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효율적으로 주입한다는 의미는, 본시멘트를 여러 방향으로 동시 토출하여, 본시멘트가 척추체 내부의 보다 넓은 범위를 보다 빠른 속도로 채워지게 주입한다는 것이다. Basically, the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l used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more efficiently inject bone cement into the vertebral body. Efficient injection means that the bone cement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in several directions, and the bone cement is injected so that a wider area inside the vertebral body is filled at a faster rate.
공지의 사실과 같이, 압박골절이 발생한 척추체 내부에 본시멘트를 주입하기 위해서, 풍선을 이용해 척추체내에 빈공간을 먼저 확보하고, 상기 빈공간에 본시멘트를 채우는데, 종전의 주입장치로는 효과적인 주입이 어려웠다. 그 이유는 본시멘트가 캐뉼러의 길이방향 단방향으로만 주입되기 때문이었다. 본시멘트가 빈공간을 알아서 찾아 들어갈 수 있는 유동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굳기 시작하며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지기 때문에, 캐뉼러의 측방향에는 본시멘트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As is known, in order to inject the bone cement into the vertebral body where the compression fracture has occurred, an empty space is first secured in the vertebral body using a balloon, and the bone cement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This was difficult. The reason was that the bone cement was injected only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nnula. Since the bone cement does not have the fluidity to find empty space on its own, but it begins to harden and has a certain viscosity, the bone cement is often not properly fi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annula.
이러한 이유로, 의사는, 캐뉼러의 삽입깊이를 조절한다거나, 토출구의 위치를 이리저리 움직여야 하는 등 수술에 불편함이 있었다.For this reason, the doctor had to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cannula, o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outlet, there was inconvenience in the operation.
본 발명의 본시멘트 주입장치는, 다수의 토출방향을 제공하므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기본 구성은,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본시멘트(bone cement)를 체내 척추체의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척추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부에 전방토출구 및 다수의 사이드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유도파이프, 상기 유도파이프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캐뉼러와; 상기 본시멘트의 주입 전에, 상기 캐뉼러와 결합한 상태로 그 선단부가 캐뉼러와 함께 척추체의 내부로 진입한 후 캐뉼러를 놔두고 캐뉼러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에 피어싱팁을 가지고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피어싱팁이 유도파이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니들본체, 상기 니들본체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캐뉼러의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피어싱팁의 돌출정도를 유지시키는 커넥터가 포함된 천공니들과; 상기 본시멘트의 주입 후, 유도파이프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를 밀어 척추체 내부로 압입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주면에 면접하는 푸싱로드, 상기 푸싱로드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푸싱로드를 이동시켜 유도파이프 내부의 잔류 본시멘트가 상기 전방토출구 및 사이드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가압핸들을 갖는 푸셔로 이루어진다.The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 problem by provi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directions, and its basic configuration is to guide bone cement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in the body, a guide pi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and a plurality of side discharge ports form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vertebral body; a cannula having a handl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pipe; Prior to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the distal e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vertebral body together with the cannula in a state coupled with the cannula, and is separated from the cannula by leaving the cannul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iercing tip at the distal end A needle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and having a length at which the piercing ti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ip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handle of the cannula,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iercing tip A perforating needle including a connector for maintaining the; After the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the bone cement remaining in the guide pipe is pushed into the vertebral body, and a pushing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fac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ing rod and fixed to the pushing rod It consists of a pusher having a pressing handle that moves the guiding pipe so that the remaining bone cement inside the induction pipe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side discharge po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캐뉼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캐뉼러에 대한 천공니들이나 푸셔의 고정방식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one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10)는, 캐뉼러(20), 천공니들(30), 푸셔(40)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천공니들(30)과 푸셔(40)는 캐뉼러(20)와 차례로 결합하여 사용된다. 말하자면, 천공니들(30)은 환자의 척추체로 향하는 경피적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푸셔(40)는 유도파이프(21)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를 척추체내에 압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the
상기 캐뉼러(20)는, 직선으로 연장된 유도파이프(21)와 손잡이(25)를 구비한다. 유도파이프(21)는 일정직경을 갖는 중공튜브로서 그 선단부에 전방토출구(21c)를 갖는다. 전방토출구(21c)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55)을 내보내는 통로이기도 하고, 도 9c와 같이 본시멘트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배출하는 토출구의 역할을 한다.The
또한 캐뉼러(20)의 선단부에는 선단날부(21b)가 마련되어 있다. 선단날부(21b)는, 캐뉼러(20)로부터 천공니들이 분리된 후, 캐뉼러가 척추체 내에서 단독으로 추가 진입할 수 있도록, 척추체 내부 조직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캐뉼러(20)는 단독으로는 척추체(도 9의 51) 내부로 진입할 수 없고,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니들(30)과 결합한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천공니들(30)의 피어싱팁(31a)이 전방토출구(21c) 전방으로 돌출되어 뚫는 작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천공니들(30)은 캐뉼러(20)의 단부가 척추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외부로 빠진다. 캐뉼러(20)만 남게 되는 것이다.The
이 상태에서, 환부의 상태에 따라, 캐뉼러(20)를 조금 더 전진시켜야 할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천공니들(30)을 다시 끼우는 것이 아니라, 캐뉼러(20) 자체를 좌우로 비틀며 전진시킨다. 상기 선단날부(21b)가 캐튤러(20)의 자체적 전진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In this stat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affected part, it may often occur that the
선단날부(21b)는 날카로운 블레이드로서 척추체(51) 내부의 조직을 절단하며 유도파이프(21)가 얼마간 추가 전진할 수 있게 한다.The
한편, 상기 선단날부(21b)의 후방에는 다수의 사이드토출구(21d)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토출구(21d)는 유도파이프(21)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본시멘트를 유도파이프의 측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사이드토출구(21d)는, 유도파이프(21)의 일측에 n개, 180도 방향 반대측에 n+1개가 형성된다. 가령, 일측에 2개의 사이드토출구(21d)가 형성되었다면 반대측에는 3개의 사이드토출구(21b)가 위치하는 것이다. 특히 각각의 사이드토출구(21d)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어긋나 있다.The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도파이프(21)의 선단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ip of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파이프(21)의 일측에 배열된 세 개의 사이드토출구(21d)와, 반대측에 배열된 두 개의 사이드토출구(21d)는 상호 어긋나 있다. 말하자면, 각 사이드토출구(21d)는 유도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라인 상에 하나씩만 형성된 것이다. 즉, 임의의 사이드토출구(21d)에서 출발하여 원주방향으로 한 바퀴 돌아 다시 사이드토출구(21d)에 도달하는 라인상에는 사이드토출구가 없는 것이다.As shown, the three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이드토출구(21d)를 포함하며 유도파이프(2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A)은 일정간격(z)을 이룬다. 상기 간격(z)은 사이드토출구(21d)의 내경보다 크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virtual plane A including each
사이드토출구(21d)의 위치를 상기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유도파이프(21)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유도파이프의 선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령, 유도파이프에 전달되는 길이방향 압축하중이나 비틀림 하중에 의해 선단부가 휘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position of the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도파이프(21)의 외주면에 눈금(21a)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눈금(21a)은 유도파이프(21)의 체내 삽입 깊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 it can be seen that a
상기 손잡이(25)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유도파이프(21)의 후단부와 결합하되 유도파이프를 후방으로 개방시킨다. 손잡이(25)는 좌우 대칭이며 중앙에 수용홈(25a)과 홀더부(25c)를 갖는다.The
수용홈(25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33)나 가압핸들(43)을 선택적으로 수용 지지한다. 커넥터(33)나 가압핸들(43)이 수용홈(25a)에 결합함으로써, 캐뉼러(20)에 대한 천공니들(30), 캐뉼러(20)에 대한 푸셔(40)의 결합이 유지된다.The receiving
상기 홀더부(25c)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부분으로서 유도파이프(21)를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천공니들(30)의 니들본체(31)나 푸셔(40)의 푸싱로드(41)는, 홀더부(25c)에 화살표 c방향으로 삽입되어 유도파이프(21) 내에 끼워진다.The
홀더부(25c)는, 본시멘트 주입용 주사기(미도시)가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주사기에서 압출된 본시멘트는 홀더부(25c)를 통과해 유도파이프(21)로 공급된다.The
아울러 수용홈(25a)의 일측에는 정위치홈(25b)이 마련되어 있다. 정위치홈(25b)은 커넥터(33)와 가압핸들(43)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기(33b,43b)가 끼워지는 홈이다. 수용홈(25a)에 끼움돌기(33b,43b)를 끼움으로서, 캐뉼러(20)에 대한 천공니들(30), 캐뉼러(20)에 대한 푸셔(40)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In addition, a positioning groove (25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5a). The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부(25c)의 좌우측에는 지지홈(25d)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홈(25d)은 중앙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을 갖는 홈으로서 삼각돌기(33a,43a)를 수용한다. 커넥터(33)의 삼각돌기(33a)는 커넥터(33)를 수용홈(25a)에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홈(25d)에 수용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가압핸들(43)의 삼각돌기(43a)는 가압핸들(43)을 수용홈(25a)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지홈(25d)에 수용 지지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한편, 상기 천공니들(30)은, 니들본체(31)와 커넥터(33)로 이루어진다. 니들본체(31)는 선단부에 피어싱팁(31a)을 가는다. 피어싱팁(31a)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파이프(21)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뿐으로서 외력에 의해 척추체(51)의 내부로 뚫고 들어간다.On the other hand, the
커넥터(33)는 니들본체(31)의 후단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전방에 두 개의 삼각돌기(33a)을 갖는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삼각돌기(33a)는 손잡이(25)의 지지홈(25d)에 끼워진다. 또한 커넥터(33)의 일측에는 손잡이(25)의 정위치홈(25b)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3b)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3)를 손잡이(25)에 장착함으로써 유도파이프(21) 단부에 대한 피어싱팁(31a)의 돌출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상기 천공니들(30)은, 캐뉼러(20)와 결합한 상태로 그 선단부가 캐뉼러와 함께 척추체(도 9의 51)의 내부로 진입한 후, 캐뉼러를 놔두고 캐뉼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척추체(51)의 내부가 유도파이프(21)를 통해 체외로 개방되도록 한다.The
푸셔(40)는, 본시멘트의 주입 후, 유도파이프(21)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를 척추체 내부로 밀어 넣는 것으로서, 직선 연장된 환봉형 푸싱로드(41)와 가압핸들(43)을 갖는다.The
푸싱로드(41)는 유도파이프(21)의 내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전진하여, 유도파이프(21)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가 전방토출구(21c) 및 사이드토출구(21d)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마치, 주사기에서의 피스톤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pushing
또한, 푸싱로드(41)의 선단부에는 선단곡면(41a)과 박리에지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곡면(41a)은 푸싱로드(41)의 단면을 오목하게 가공한 부분으로서 박리에지부(41b)가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게 한다.In addition, a tip
박리에지부(41b)는 선단곡면(41a)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유도파이프(21)의 내주면에 붙어 있는 본시멘트를, 내주면으로부터 벗겨 올리는 역할을 한다. 박리에지부(41b)의 작용에 의해 유도파이프(21) 내부의 본시멘트의 배출이 완벽히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eeling
박리에지부(41b)가 없다면, 내주면에 붙어 있는 본시멘트의 일부가, 전진하는 푸싱로드의 외주면과 유도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서 잼(jam) 현상을 유발하여 푸싱로드(41)의 전진을 방해한다. 그 자체가 위험한 척추 수술 중 수술도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다는 것은 큰 문제로서 의료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If there is no peeling
상기 가압핸들(43)은 푸싱로드(41)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부속으로서 삼각돌기(43a)와 끼움돌기(43b)를 갖는다. 삼각돌기(43a)는 손잡이의 지지홈(25d)에 끼워지고, 끼움돌기(43b)는 정위치홈(25b)에 삽입 지지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10)에서의 유도파이프(21)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파이프(21)의 선단부에 선단톱니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톱니부(21e)는, 도 1에 설명한 선단날부(21b)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천공니들(30)이 분리된 후, 캐뉼러가 척추체 내에서 단독으로 추가 진입할 수 있도록 척추체의 내부 조직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캐뉼러(20)를 전방으로 가압하면서 좌우로 회전시키면, 선단톱니부(21e)가 전방의 조직을 절단하며 유도파이프(21)가 전진할 수 있다.As shown, a tip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에서의 유도파이프(21)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파이프(21)의 선단부 외주면에 나선홈부(21f)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선홈부(21f)는 유도파이프(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사이드토출구(21d)의 사이를 적절히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나선홈부(21f)는, 척추체(51)의 내부 뼈조직에 접하며, 유도파이프(21)의 축회전시 상기 뼈조직에 지지되어 추진력을 제공받는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a
유도파이프(21)에 있어서 척추체(51)내에 삽입된 부분은, 척추체(51)의 내부 뼈조직에 감싸이며 어느 정도 압박된 상태가 된다. 나선홈부(21f)도 뼈조직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유도파이프(21)를 축회전시키면 나선홈부(21f)가 뼈조직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유도파이프(2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The portion of the
이는, 나무판자에 나사못을 박아 회전시킬 때, 나사못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과 같은 원리에 따른 것이다.This is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the screw moves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screw is driven into the wooden plank and rota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에서의 유도파이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니들본체 및 가압로드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pipe in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needle body and the pressure rod.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파이프(21)의 선단부 내부에 압출통로(21m)가 마련되어 있다. 압출통로(21m)는 유도파이프(21) 내부의 메인 관통로(21g)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통로로서, 토출순간의 본시멘트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an extrusion passage (21m)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guide pipe (21). The extrusion passage (21m) is a passage having a relatively smaller inner diameter than the main passage (21g) inside the guide pipe (21), and serves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cement at the moment of discharge.
일정압력을 받으며 메인 관통로(21g)를 통과해 유동하는 본시멘트가, 압출통로(21m)로 진입하면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전방토출구(21c) 및 사이드토출구(21d)를 통한 토출압력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이다. 본시멘트의 토출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본시멘트가 척추체(51)의 내부에 보다 강한 힘으로 채워지게 된다.When the cement flowing through the
도면부호 21k는 걸림부이다. 걸림부(21k)는 메인 관통로(21g)와 압출통로(21m) 내경의 차이에 따라 형성된 걸림턱이다.
이러한 형태의 유도파이프(21)와 함께 사용될 니들본체(31)나 푸싱로드(41)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부(21k)에 걸리는 단차부(31c,41c)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파이프(21)의 내주면에 트러스트홈(21p)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트러스트홈(21p)은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홈이다. 트러스트홈(21p)은 유도파이프(21)의 선단부에서 후단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피치를 갖는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또한 푸싱로드(4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주행돌기(41f)가 형성된다. 각 주행돌기(41f)는 트러스트홈(21p)에 삽입된 상태로, 푸싱로드의 축회전시 트러스트홈을 따라 주행하며 트러스트홈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다. 즉, 푸싱로드(41)를 축회전시키면, 주행돌기(41f)의 작용에 의해 푸싱로드(41)가, 유도파이프(21)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unning projections (41f)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shing rod (41). Each of the traveling
이와 같이, 트러스트홈(21p)과 주행돌기(41f)를 적용함으로써, 푸셔(40)를 통한 잔류 본시멘트의 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유도파이프(21) 내부에 본시멘트가 잔류한 상태에서, 유도파이프(21)의 후단부에 푸싱로드(41)를 끼워 주행돌기(41f)를 트러스트홈(21p)에 맞춘 상태로 푸셔(40)를 축회전 시키기만 하여도 잔류 본시멘트가 토출되는 것이다.In this way, by applying the
푸셔(40)가 축회전함에 따라, 푸싱로드(41)가 전진하며 잔류 본시멘트를 유도파이프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은, 푸싱로드(41)를 유도파이프(21) 내부로 단순히 밀어 넣는 것보다 한결 수월하다. 더욱이, 푸셔(40)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본시멘트의 토출이 정지되므로, 본시멘트의 토출량도 정밀 제어할 수 있다.As the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시멘트 주입장치의 사용 방식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a to 9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use of the ceme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도 9a는, 상호 결합한 상태의 캐뉼러(20)와 천공니들(30)의 선단부가 척추체(51)의 내부로 삽입된 모습을 보인다. 도면부호 51a가 골절부위이다. 압박 골절의 경우 척추체가 내려 앉아 찌그러진 형태를 취하므로, 골절부위(51a)를 들어 올리고 그 사이에 본시멘트를 주입하여야 한다.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도 9a와 같이, 캐뉼러(20)가 천공니들(30)의 도움에 의해, 척추체(51) 내부의 목표 지점 부근에 도달하였다면, 천공니들(30)을 빼내고, 캐뉼러(20)를 통해 공지의 풍선기구(미도시)를 삽입한다. 풍선기구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풍선기구의 세팅이 완료된 후 풍선(55)을 부풀리면 내려앉았던 척추체(51)가 들어 올려진다. As shown in FIG. 9A , if the
이 상태에서 풍선기구를 빼낸 후 유도파이프(21)를 통해 본시멘트를 주입한다. 주입되는 본시멘트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토출구(21c)와 사이드토출구(21d)를 통해 동시에 토출하며 주입공간(51b)을 채운다. 특히 본시멘트가 사이드토출구(21d)를 통해 측방향1으로 토출되므로, 유도파이프(21)의 측부 공간에도 빠짐없이 본시멘트가 채워진다. In this state, after taking out the balloon device, bone cement is injected through the induction pipe (21). The injected cement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참고로, 종전에는 본시멘트가 전방토출구로만 토출되어, 유도파이프(21) 측부의 구석부위에는 충분히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For reference, in the past, the cement wa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in many cases, it did not reach the corner of the guiding
본시멘트의 주입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다면, 상기 푸셔(40)를 유도파이프(21) 후방에 끼운 상태로 전진시켜, 잔류 본시멘트를 척추체내에 압입한 후 캐뉼러(20)를 빼낸다. If the injection of bone cement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주입장치 20:캐뉼러 21:유도파이프
21a:눈금 21b:선단날부 21c:전방토출구
21d:사이드토출구 21e:선단톱니부 21f:나선홈부
21g:관통로 21k:걸림부 21m:압출통로
21p:트러스트홈 25:손잡이 25a:수용홈
25b:정위치홈 25c:홀더부 25d:지지홈
30:천공니들 31:니들본체 31a:피어싱팁
31c:단차부 33:커넥터 33a:삼각돌기
33b:끼움돌기 40:푸셔 41:푸싱로드
41a:선단곡면 41b:박리에지부 41c:단차부
41f:주행돌기 43:가압핸들 43a:삼각돌기
43b:끼움돌기 51:척추체 51a:골절부위
51b:주입공간 55:풍선10: injection device 20: cannula 21: induction pipe
21a:
21d:
21g: Through
21p: Thrust Groove 25: Handle 25a: Receiving Groove
25b:
30: perforation needle 31:
31c: step part 33:
33b: fitting projection 40: pusher 41: pushing rod
41a: tip
41f: running projection 43: pressure handle 43a: triangular projection
43b: fitting process 51:
51b: injection space 55: balloon
Claims (6)
상기 본시멘트의 주입 전에, 상기 캐뉼러와 결합한 상태로 그 선단부가 캐뉼러와 함께 척추체의 내부로 진입한 후 캐뉼러를 놔두고 캐뉼러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에 피어싱팁을 가지고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피어싱팁이 유도파이프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니들본체, 상기 니들본체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캐뉼러의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피어싱팁의 돌출정도를 유지시키는 커넥터가 포함된 천공니들과;
상기 본시멘트의 주입 후, 유도파이프 내에 잔류하는 본시멘트를 밀어 척추체 내부로 압입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주면에 면접하는 푸싱로드, 상기 푸싱로드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푸싱로드를 이동시켜 유도파이프 내부의 잔류 본시멘트가 상기 전방토출구 및 사이드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가압핸들을 갖는 푸셔가 포함되고,
상기 전방토출구는;
본시멘트를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구멍이고,
상기 사이드토출구는;
상기 유도파이프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본시멘트를 유도파이프의 측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구멍으로서,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되, 각각의 사이드토출구는 유도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라인 상에 하나씩만 형성되며,
상기 유도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유도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트러스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푸싱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트러스트홈에 삽입된 상태로 푸싱로드의 축회전시 트러스트홈을 따라 주행하며 트러스트홈으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주행돌기가 형성된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A guide pipe for guiding bone cement injec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and a plurality of side discharge ports formed at an e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ebral body, the induction pipe a cannula having a handl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ipe;
Prior to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the distal e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vertebral body together with the cannula in a state coupled with the cannula, and is separated from the cannula by leaving the cannul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iercing tip at the distal end A needle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and having a length at which the piercing ti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ip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bod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handle of the cannula,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iercing tip A perforating needle including a connector for maintaining the;
After injection of the bone cement, the bone cement remaining in the guide pipe is pressed into the vertebral body, and a pushing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facing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ing rod and fixed to the pushing rod A pusher having a pressing handle that moves the guiding pipe so that the remaining cement inside the induction pipe is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and the side discharge port is included,
The front discharge port;
It is a hole for discharging the 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uction pipe,
The side outlet;
A hol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guide pipe to discharge the c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and each side outlet is a virtual hol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Only one is formed on the lin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duction pipe,
A thrust groove extending spir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ipe is formed,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ing rod with a plurality of running protrusions that travel along the thrust groove when the shaft rotat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ust groove and receive support from the thrust groove.
상기 유도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천공니들이 분리된 후, 캐뉼러가 척추체 내에서 단독으로 추가 진입할 수 있도록, 척추체 내부 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선단날부 또는 선단톱니부가 형성된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According to claim 1,
At the tip of the induction pipe,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 which a tip blade or a tip sawtooth capable of cutting internal tissues of the vertebral body are formed so that the cannula can enter the vertebral body alone after the perforation needles are separated.
상기 유도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척추체의 내부 뼈조직에 접하며, 유도파이프의 축회전시 상기 뼈조직에 지지되어 추진력을 제공받는 나선홈부가 형성된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duction pipe,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 which a helical groove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bone tissue of the vertebral body and is supported by the bone tissue and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when the guide pipe is axially rotated.
상기 유도파이프의 선단부 내부에는,
유도파이프의 전체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져, 토출순간의 본시멘트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출통로가 형성된 경피적 척추 성형술용 본시멘트 주입장치.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tip of the guide pipe,
A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that has a relatively small inner diameter compared to the total inner diameter of the induction pipe and has an extrusion passage that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bone cement at the moment of discharg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8771A KR102254320B1 (en) | 2019-07-23 | 2019-07-23 | Bone cement infus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8771A KR102254320B1 (en) | 2019-07-23 | 2019-07-23 | Bone cement infus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11635A KR20210011635A (en) | 2021-02-02 |
| KR102254320B1 true KR102254320B1 (en) | 2021-06-22 |
Family
ID=745597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88771A Active KR102254320B1 (en) | 2019-07-23 | 2019-07-23 | Bone cement infus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543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040879A (en) * | 2021-04-07 | 2021-06-29 | 田碧云 | Universal percutaneous puncture vertebral body expansion forming and bone cement injection instrument system |
| CN113974795B (en) * | 2021-11-11 | 2023-08-29 | 中南大学湘雅二医院 | a puncture needle |
| KR102628019B1 (en) * | 2021-11-26 | 2024-01-19 | 신정수 | Medical perforator easy to recycle |
| CN120549657A (en) * | 2025-07-30 | 2025-08-29 |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 Bone cement injection device for skull repair |
| CN120585521A (en) * | 2025-08-08 | 2025-09-05 | 首都医科大学宣武医院 | Skull repairing combined devi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00036381A1 (en) * | 2008-08-07 | 2010-02-11 | Ryan Vanleeuwen | Cavity creator with integral cement delivery lumen |
| US20140188120A1 (en) | 2000-06-30 | 2014-07-03 | DePuy Synthes Products, LLC | Device For Injecting Bone Cement |
| US20170056029A1 (en) * | 2015-09-02 | 2017-03-02 | Centric Medical, LLC | Medical Instrument Set and Method of Use for Treating Bony Aberrations of The Calcaneu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WO2010044462A1 (en) * | 2008-10-17 | 2012-03-15 | 学校法人 聖マリアンナ医科大学 | Puncture needle for bone cement injection |
| KR101206525B1 (en) | 2011-09-06 | 2012-11-30 | (주)세원메디텍 | Balloon system for Spinal Fractures |
-
2019
- 2019-07-23 KR KR1020190088771A patent/KR1022543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40188120A1 (en) | 2000-06-30 | 2014-07-03 | DePuy Synthes Products, LLC | Device For Injecting Bone Cement |
| US20100036381A1 (en) * | 2008-08-07 | 2010-02-11 | Ryan Vanleeuwen | Cavity creator with integral cement delivery lumen |
| US20170056029A1 (en) * | 2015-09-02 | 2017-03-02 | Centric Medical, LLC | Medical Instrument Set and Method of Use for Treating Bony Aberrations of The Calcane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11635A (en) | 2021-02-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54320B1 (en) | Bone cement infusion device fo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
| US10603051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vertebrostenting | |
| US7922690B2 (en) | Curable material delivery device | |
| US10085783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bone tissue | |
| JP5653908B2 (en) | Posterior spinal fixation | |
| US6679886B2 (en) | Tools and methods for creating cavities in bone | |
| US8282648B2 (en) | Bone cement needle | |
| EP2361568A1 (en) | Bone cement injection needle | |
| US8361032B2 (en) | Curable material delivery device with a rotatable supply section | |
| JP3877982B2 (en) | Biomedical cement injection device with tissue collection function | |
| WO2011066465A1 (en) | Steerable and curvable vertebroplasty system with clog-resistant exit ports | |
| US10307142B2 (en) | Biopsy needle | |
| CN209611286U (en) | A kind of novel bone filler delivery instrument | |
| KR200298806Y1 (en) | Bone cement injecting device set | |
| TW202500099A (en) | Internal fixation device and treatment instrument | |
| TW202504557A (en) | Medical instru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