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4405B1 -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05B1
KR102254405B1 KR1020190036667A KR20190036667A KR102254405B1 KR 102254405 B1 KR102254405 B1 KR 102254405B1 KR 1020190036667 A KR1020190036667 A KR 1020190036667A KR 20190036667 A KR20190036667 A KR 20190036667A KR 102254405 B1 KR102254405 B1 KR 10225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ross
fixture
alveolar bone
personaliz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411A (ko
Inventor
이기선
신상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to KR102019003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05B1/ko
Priority to CN201980089775.1A priority patent/CN113365571A/zh
Priority to US17/424,797 priority patent/US20220087792A1/en
Priority to EP19923359.4A priority patent/EP3949895A4/en
Priority to PCT/KR2019/014473 priority patent/WO2020204294A1/ko
Priority to JP2021541144A priority patent/JP2022517390A/ja
Publication of KR2020011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8Assembling, disassemb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obo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발치될 치아의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PERSONALIZED CUSTOM DENTAL IMPLANT FIX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CUSTOM IMPLA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연 치근의 형상을 갖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의 임플란트는 치아가 빠진 부위에 인공적으로 제작된 치아를 식립하여 치아가 있는 것과 같이 만들어주는 치료를 말한다. 통상의 임플란트 방법은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골유착(Osseointegration) 재료로 만들어진 고정체(fixture)를 수술을 통해 치조골에 심은 후 그 상부에 보철물인 인공치아를 고정한다.
통상적인 고정체의 식립 방법은, 치조골 절삭에 의해 뼈에 회전 대칭적 구멍을 형성한 후, 적합한 크기의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이다. 다양한 형상, 직경 및 길이로 제작되는 회전 대칭적 임플란트 고정체는 식립 후 수주의 시일이 지나면 치조골과 유착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에서, 치아가 상실된 직후(치아 발치 직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하는 경우, 발치한 이후에 남아있는 치아 발치와(tooth socket)와 기성품의 임플란트의 단면 모양은 서로 맞지 않기 때문에, 치아 발치와 내에서 임플란트의 고정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발치 후 뼈가 먼저 회복된 이후에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안정된 시술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치아 발치 후 발치와는 자연치유 과정에서 치조골의 높이와 폭의 소실을 초래하며, 이후의 임플란트 식립 및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서, 치아 발치전 치조골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치아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 발치와(tooth socket)와 임플란트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기 위해서 다양한 골 이식제를 이식하고 차폐막을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국제 공개특허 WO2017/007248호는 발치와 형태에 맞는 개인 맞춤형 스캐폴드 이식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제 공개특허 WO2007/038817호는 치근형태의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발치와에 기존과 같은 회전대칭체를 가지는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는 경우, 발치와와 임플란트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초기 고정력과 치조골 외형의 변화를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골이식제와 차폐막을 사용하는 경우 골이식제와 주변골 임플란트간의 유착에는 수개월 이상의 상당기간의 치유기간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치근형 임플란트의 경우 추가적인 골삭제 없이 발치와에 임플란트 고정체에 압력을 가하여 식립함으로써 초기고정력이 약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치아 치주염이 심한 상태로 인하여 치아 발치를 하는 경우 치조골의 깊이가 매우 낮아 이러한 기존의 치근형 임플란트를 직접 적용하기 어렵다. 그 결과, 기존 방식의 치근형 임플란트는 치조골이 건전한 상태의 치아 발치의 경우로서, 극히 제한적인 사례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보철의 경우 연결방식에 대한 기술의 제시가 없고, 제작 디자인 형태로 예상할 경우 접착형태의 보철물 형태만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치근형 임플란트의 형상을 제작하는 방식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제시가 없어 기존의 치근형 임플란트의 실용화 방식의 구체성이 떨어져 실제로 시술된 예도 드문 실정이다.
* 관련 선행문헌
국제 공개특허 WO2017/007248호 (2017. 01. 12. 공개)
국제 공개특허 WO2007/038817호 (2007. 04. 1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치 후 임플란트를 즉시 식립하는 경우라도 발치와와 임플란트 사이의 갭이 최소화되어 발치와에 정확히 맞는 형태의 개인 맞춤형 형상을 가지며, 치아 발치전 치아 외상, 우식 또는 치주염 등에 의하여 발치와 상부의 오염된 치조골 대신 발치와 하부의 건전 치조골의 절삭 및 해당 절삭공간과 임플란트와의 결체를 통한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의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발치될 치아의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횡단면은 상기 치아의 자연적인 외곽면이 갖는 비대칭 횡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횡단면은 상기 치조골에 대한 드릴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횡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고정체부는 상기 치조골에 대하여 비회전 방법에 의하여 직접 삽입될 수 있게 실린더 또는 원추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고정체부는 골유착 결합력의 증대를 위한 제1표면형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고정체부는 초기 고정력 증대를 위한 제2표면형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표면형상부와 상기 제2표면형상부는 나사산 또는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고정체부의 상부에 지대주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고정체부의 상부에 상기 치조골의 외측에 노출되는 상부 보철물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방법은, 두경부의 단층촬영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치조골과 발치될 치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모델로부터 발치 예정부위의 치아를 가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고정체를 디자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발치될 상기 치아의 상기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방법은, 상기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를 디자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식립에 사용되는 수술용 가이드를 디자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상기 수술용 가이드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횡단면은 상기 치아의 자연적인 외곽면이 갖는 비대칭 횡단면이고, 상기 제2횡단면은 상기 치조골에 대한 드릴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횡단면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은, 두경부의 단층촬영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치조골과 발치될 치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부; 상기 3차원 모델로부터 발치 예정부위의 치아를 가상으로 제거하고, 상기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디자인을 생성하는 임플란트 디자인 생성부;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식립에 사용되는 수술용 가이드의 디자인을 생성하는 가이드 디자인 생성부; 및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상기 수술용 가이드를 3D프린팅 또는 밀링에 의해 제작하는 기계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발치될 상기 치아의 상기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하면, 발치될 치아의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와, 제1고정체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고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갖는 형태로서, 일반적인 임플란트 식립 술식에 따른 치조골 드릴 방법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을 통하여 발치 즉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가 발치와에 정확하게 식립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경우 치주 질환이 진행되어 발치와 주변골의 흡수가 상당량이 진행된 경우에도, 드릴링에 의해 형성되는 홀에 제2고정체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므로, 단순한 치근형태의 기존의 자연 발치형 임플란트에 의하여 달성할 수 없는 식립후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적용대상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건전 치아인 경우(a)와 치주질환이 있는 치아인 경우(b)를 대비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치주질환이 없는 발치전 치아와 그 치아가 발치된 상태에서 식립된 임플란트의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 개념적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치주질환이 있는 발치전 치아와 그 치아가 발치된 상태에서 식립된 임플란트의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 개념적 단면도들이다.
도 4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와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3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와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표면형상부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적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그 제작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건전 치아인 경우(a)와 치주질환이 있는 치아인 경우(b)를 대비하여 보인 도면이다. 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된 환자의 경우(b)는 건전 치아의 경우(a)와 달리 치조골의 높이가 낮고 자연 치아(NT)를 둘러싸고 있는 치조골(AB)도 약해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발치를 하여 바로 치아(NT) 형상 그대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라도 발치된 치아(NT)를 덮고 있는 깊이가 얕고 면적도 적으므로 식립된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이와 같이 치조골(AB)의 깊이가 낮은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초기 고정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치주질환이 없는 발치전 치아와 그 치아가 발치된 상태에서 식립된 임플란트의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 개념적 단면도들이다.
도 2와 같이, 예를 들어, 뿌리가 두 갈래로 형성된 치아(NT)가 있는 경우(a)에 발치된 치아(NT)를 대신하여 바로 식립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100)의 일 예시는 오른쪽의 도면(b)과 같다.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100)는 발치될 치아(NT)의 치조골(AB)에 의하여 덮인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110)와, 제1고정체부(110)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고정체부(120)를 갖는다. 도 4(I)와 같이, 제1고정체부(110)의 제1횡단면은 치아(NT)의 자연적인 외곽면이 갖는 비대칭(asymmetric) 횡단면이다. 이때, 제1고정체부(110)의 외주면과 치조골(AB)의 발치와 사이에는 거의 빈 공간이 없다. 제2고정체부(120)는 제1고정체부(110)의 하단에서 치조골(AB)에 대한 치아(NT)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형태이다. 도 4(Ⅱ)와 같이, 제2횡단면은 치조골(AB)에 대한 드릴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횡단면이다.
제2고정체부(120)는 자연치아(NT)의 뿌리들보다 약간 깊게 식립될 수 있다. 이는 치주염이 상당히 진행되어 발치와(TS)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 고정체의 초기 고정력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고정체부(120)는 치조골(AB)에 대하여 비회전 방법 즉, 스크류에 의한 방법이 아닌 직접 삽입 또는 압입 방법으로 드릴링 홀에 고정된다. 제1고정체부(110)가 비대칭 또는 비정형 형상을 갖는 것과 달리, 제1고정체부(110)는 드릴링 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실린더 또는 원추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체부(110) 및 제2고정체부(120)는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을 포함하여 골유착(Osseointergration)의 특성이 있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체부(110)의 표면에는 골유착 결합력의 증대를 위한 제1표면형상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체부(120)의 표면에도 초기 고정력의 증대를 위한 제2표면형상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표면형상부(111)와 제2표면형상부(121)는 나사산(thread) 또는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치조골(AB)의 유착시 결합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외에, 제1표면형상부(111) 및 제2표면형상부(121)에는 치조골(AB)의 유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표면처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표면처리는 금속에 흡수되는 모래 입자를 강한 압력을 이용하여 타격을 함으로써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식(RBM; Resorbable blast media), RBM 표면에 산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요철 내부에 더 미세한 분화구 고조를 형성시키는 방식(SA; Sandblasted and acid etched), 금속에 흡수가 되지 않는 산화알루미늄 입자를 강한 압력으로 타격한 후 산 용액 처리를 하는 방식(SLA; Sandblasted, Large-grit acid etched), 고정체 표면에 골기질 성분인 수산화인회석을 입히는 방식(HA; Hydroxyapatite coating) 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치주질환이 있는 발치전 치아와 그 치아가 발치된 상태에서 식립된 임플란트의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 개념적 단면도들이다. 본 예에서는 실제로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치조골(AB')에 박힌 치아(NT')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자연치근 형상을 갖는 임플란트 고정체(200)도 상대적으로 고정을 위한 깊이가 충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200)도, 앞의 예와 같이, 제1고정체부(210)와 함께 제2고정체부(220)를 가지며, 제1고정체부(110)는 발치될 치아(NT')의 치조골(AB')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치아 형상 그대로의 비대칭 제1횡단면을 가지고 있고, 제2고정체부(220)도 치조골(AB')에 대한 치아(NT')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는 원형의 제2횡단면을 갖는다(도 4(Ⅲ) 및 도 4(Ⅳ) 참조).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표면형상부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제1고정체부(110, 210)와 제2고정체부(120, 220)의 치조골과의 골유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표면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도 5(a)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보이며, 도 5(b)과 같이 수평한 반복적인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도 5(c) 내지 도 5(g)와 같이 나사산이나 요철을 이루는 각이 상이하거나 기하학적인 형상을 다양화함으로써 골유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형상부는 제1고정체부(110, 210)와 제2고정체부(120, 220)의 둘레면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홈 또는 요철을 갖는 것이거나 높이에 따른 위치의 변화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적 단면도들이다. 본 예에서는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치아(NT)를 발치한 후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100)를 식립하는 과정을 보인다. 도 6(a) 내지 도 6(d)의 각 2개의 도면 중 아래쪽 도면은 발치와(TS)와 치조골(AB)의 종단면도이고, 위쪽 도면은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6(a)와 같이, 치아(NT)를 발치한 위치에는 발치와(TS)가 형성되며, 곧바로 식립되기 위해 기본적으로 발치와(TS)에 대응하는 외형과 유사한 임플란트를 후술하는 제작방법에 제작하여 발치와(TS)를 채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6(b)와 같이, 두 갈래로 형성된 치아(NT)의 뿌리와 다른 뿌리 사이에 있는 중간부위 치조골(BS)은 제거된다. 이러한 중간부위 치조골(BS)은 존치되는 경우라도 그에 의해 골유착이 치밀하게 이루어지기 보다는 반대로 골이 채워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거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발치와(TS)와의 가장 깊은 부위에서 핸드피스(170) 및 드릴(171)을 통하여 드릴링 홀(DH)을 형성한다. 이러한 드릴링 홀(DH)은 일체로 형성되는 제1고정체부(110)와 제2고정체부(120)가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기준 가이드 역할을 하며, 나아가, 제2고정체부(120)와의 접촉 및 골유착을 통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드릴링 홀(DH)을 형성하기 위하여, 발치와(TS)에 적합한 수술용 가이드(180)가 사용될 수 있다.
드릴링 홀(DH)이 형성되면, 제1고정체부(110)와 제2고정체부(120)를 갖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100)를 바로 삽입한다. 이때, 제2고정체부(120)의 상부에는 치조골(AB)의 외측에 노출되는 상부 보철물(150, 도 2 참조)이 직접 부착되거나, 도 5(d)의 위쪽 도면과 같이 지대주(abutment) 또는 상부 보철물(15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형상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보철물(150)이 부착 또는 체결되기 전에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100)이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힐링 기간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은, 데이터 획득부, 3차원 모델링부, 임플란트 디자인 생성부, 가이드 디자인 생성부, 기계가공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는 두경부의 CT와 같은 단층촬영에 의하여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다. 3차원 모델링부는 이러한 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치조골과 발치될 치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3차원 모델이 생성되면, 임플란트 디자인 생성부는 이로부터 발치 예정부위의 치아를 가상으로 제거하고,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tooth socket)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디자인을 생성한다. 또한, 가이드 디자인 생성부는 이와 같은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식립에 사용되는 전용의 수술용 가이드의 디자인을 생성한다. 기계가공부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수술용 가이드의 3D 프린팅 또는 밀링에 의해 제작한다. 여기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앞서 설명된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110) 및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120)를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장비 또는 요소들을 통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데이터 획득부에 의해 환자의 두경부의 단층촬영 데이터 정보를 수신한다(S10). 수신되는 데이터 정보는 CT와 같은 단층촬영 영상정보이다.
다음으로, 3차원 모델링부는 두경부 CT의 DICOM 파일을 이용하여 치조골과 치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제작한다(S20).
이를 통해, 임플란트 디자인 생성부는 3차원 모델에서 발치 에정부위의 치아를 가상으로 제거하고(S30), 치아 제거에 따른 발치와를 기반으로 발치와에 맞춤형의 임플란트 고정체 상부 부위인 제1고정체부(110)와, 하부에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을 이용하여 절삭 후 식립될 형태의 임플란트 첨부 부위인 제2고정체부(120)를 디자인한다(S40). 가이드 디자인 생성부는 임플란트 디자인 생성부와 별도로 또는 통합되어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고정을 위한 부위의 디자인 및 임플란트 식립시 사용할 수술용 가이드의 디자인을 생성한다(S50).
기계가공부는 디자인이 완료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3D프린팅 또는 밀링에 의하여 제작하며(S41), 수술용 가이드도 3D프린팅 또는 밀링에 의하여 제작하며(S51)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수술용 가이드는 발치 전에 전에 제작 및 준비되어 발치 직후 수술이 곧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임플란트가 직접 식립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200: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110, 210: 제1고정체부
111: 제1표면형상부 120, 220: 제2고정체부
121: 제2표면형상부 130: 체결형상부
150: 상부 보철물 170: 핸드피스
171: 드릴 180: 수술 가이드
NT, NT': 자연 치아
AB, AB': 치조골 T: 잇몸
TS: 발치와 BS: 중간부위 치조골
DH: 드릴링 홀

Claims (14)

  1. 발치될 치아의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횡단면은 상기 치아의 자연적인 외곽면이 갖는 비대칭 횡단면이고,
    상기 제2횡단면은 상기 치조골에 대한 드릴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횡단면인,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체부는 상기 치조골에 대하여 비회전 방법에 의하여 직접 삽입될 수 있게 실린더 또는 원추형 형태로 형성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부는 골유착 결합력의 증대를 위한 제1표면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체부는 초기 고정력 증대를 위한 제2표면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형상부는 나사산 또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부의 상부에 지대주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형상부가 형성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부의 상부에 상기 치조골의 외측에 노출되는 상부 보철물이 직접 부착된,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10. 두경부의 단층촬영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치조골과 발치될 치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모델로부터 발치 예정부위의 치아를 가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고정체를 디자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발치될 상기 치아의 상기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횡단면은 상기 치아의 자연적인 외곽면이 갖는 비대칭 횡단면이고,
    상기 제2횡단면은 상기 치조골에 대한 드릴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횡단면인,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를 디자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식립에 사용되는 수술용 가이드를 디자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상기 수술용 가이드는 3D프린팅에 의해 제작되는,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작방법.
  13. 삭제
  14. 두경부의 단층촬영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치조골과 발치될 치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부;
    상기 3차원 모델로부터 발치 예정부위의 치아를 가상으로 제거하고, 상기 치아를 제거함에 의해 형성되는 발치와에 식립될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디자인을 생성하는 임플란트 디자인 생성부;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의 식립에 사용되는 수술용 가이드의 디자인을 생성하는 가이드 디자인 생성부; 및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및 상기 수술용 가이드를 3D프린팅 또는 밀링에 의해 제작하는 기계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발치될 상기 치아의 상기 치조골에 의하여 덮힌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제1횡단면을 갖는 제1고정체부; 및
    상기 제1고정체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에 대한 상기 치아의 뿌리 부분의 위치와 방향으로부터 결정되며, 제2횡단면을 갖는, 제2고정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횡단면은 상기 치아의 자연적인 외곽면이 갖는 비대칭 횡단면이고,
    상기 제2횡단면은 상기 치조골에 대한 드릴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원형홀에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횡단면인,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KR1020190036667A 2019-03-29 2019-03-29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Active KR10225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67A KR102254405B1 (ko) 2019-03-29 2019-03-29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CN201980089775.1A CN113365571A (zh) 2019-03-29 2019-10-30 个性化定制型种植牙固定装置、其制作方法及利用其的定制型种植牙系统
US17/424,797 US20220087792A1 (en) 2019-03-29 2019-10-30 Personalized implant fix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ersonalized implant system using the same
EP19923359.4A EP3949895A4 (en) 2019-03-29 2019-10-30 CUSTOMIZED IMPLANT DEVICE,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AND INDIVIDUALLY ADJUSTED IMPLANT SYSTEM WITH IT
PCT/KR2019/014473 WO2020204294A1 (ko) 2019-03-29 2019-10-30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JP2021541144A JP2022517390A (ja) 2019-03-29 2019-10-30 オーダーメイドインプラント固定体、その製作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オーダーメイド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67A KR102254405B1 (ko) 2019-03-29 2019-03-29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411A KR20200119411A (ko) 2020-10-20
KR102254405B1 true KR102254405B1 (ko) 2021-05-21

Family

ID=7266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67A Active KR102254405B1 (ko) 2019-03-29 2019-03-29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87792A1 (ko)
EP (1) EP3949895A4 (ko)
JP (1) JP2022517390A (ko)
KR (1) KR102254405B1 (ko)
CN (1) CN113365571A (ko)
WO (1) WO202020429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3934B2 (ja) 2002-02-27 2010-03-31 アルスリン エス アー 特に歯科に使用する骨形成ツールおよびそれを操作する器具
KR101175822B1 (ko) * 2004-02-20 2012-08-24 부트벨딩 아게 골조직에 이식되는 보형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식 방법
KR101554158B1 (ko) 2015-03-03 2015-09-1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9166C2 (de) * 1996-05-11 1999-06-02 Heraeus Kulzer Gmbh Halbzeug zur paßgenauen Herstellung einer zum implantierenden Prothese
DE19625975C2 (de) * 1996-06-28 2003-06-12 Wolfgang Doerken Zahnmedizinisches Implantat, Schablone zum Einsetzen eines zahnmedizinischen Implantat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iesen
CA2313540A1 (en) * 1997-12-10 1999-06-17 Douglas Alan Schappert Integrated guided-tissue-regeneration barrier for root-form dental implants
CN1351482A (zh) * 2000-02-21 2002-05-29 张相健 牙槽嵴保护的方法和材料
AT502881B1 (de) 2005-10-05 2007-08-15 Pirker Wolfgang Ddr Zahnimplantat
US8602780B2 (en) * 2006-10-16 2013-12-10 Natural Dental Implants, Ag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for periodontal or osseointegration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3092744A1 (en) * 2011-12-21 2013-06-27 3Shape A/S Virtually designing a customized healing abutment
JP5225482B1 (ja) * 2012-04-09 2013-07-03 修 小坂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9730771B2 (en) * 2014-01-13 2017-08-15 Brock B. WESTOVER Endosseous dental implant assembly
KR101663906B1 (ko) 2015-07-08 2016-10-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치와 치료 및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스캐폴드 제작 방법
CN106725936B (zh) * 2016-12-23 2022-07-22 大连三生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云技术的牙科3d打印系统
KR102430728B1 (ko) * 2017-06-13 2022-08-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CN108236508B (zh) * 2018-03-14 2023-12-15 华南理工大学 一种NiTi记忆个性化自膨胀螺纹槽嵌多孔结构种植牙及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3934B2 (ja) 2002-02-27 2010-03-31 アルスリン エス アー 特に歯科に使用する骨形成ツールおよびそれを操作する器具
KR101175822B1 (ko) * 2004-02-20 2012-08-24 부트벨딩 아게 골조직에 이식되는 보형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식 방법
KR101554158B1 (ko) 2015-03-03 2015-09-18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65571A (zh) 2021-09-07
EP3949895A4 (en) 2022-12-14
KR20200119411A (ko) 2020-10-20
WO2020204294A1 (ko) 2020-10-08
JP2022517390A (ja) 2022-03-08
EP3949895A1 (en) 2022-02-09
US20220087792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4689A (en) Endosseous plastic implant
US4199864A (en) Endosseous plastic implant method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US20050048440A1 (en) Dental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and use
AU2012212284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mplants
KR20160130838A (ko) 치과 임플란트
US20180036103A1 (en) Multi-piece abutment and digital method for preparation of a dental implant surgical site for the promotion of a desired emergent sulcus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US11903791B2 (en) Dental prosthesis
KR20200078782A (ko) 악골 재생용 디지털 브리지장치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JP2019005614A (ja) 一体型インプラント
KR102391077B1 (ko) 지지나사 가이드를 갖는 측벽지지 임플란트 시스템
US10849720B2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US20210068931A1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KR102254405B1 (ko)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US2022000817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KR101626347B1 (ko) 골유도재생블록 제조방법
EP3905987A1 (en) Dental implants,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Soardi et al. Clinical and radiological 12-year follow-up of full arch maxilla prosthetic restoration supported by dental implants positioned through guide flapless surgery
KR200444952Y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US20250090279A1 (en)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KR101928738B1 (ko)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20100011796A (ko) 수직날을 가진 덴탈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