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98B1 - Fabric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abric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4898B1 KR102254898B1 KR1020200046717A KR20200046717A KR102254898B1 KR 102254898 B1 KR102254898 B1 KR 102254898B1 KR 1020200046717 A KR1020200046717 A KR 1020200046717A KR 20200046717 A KR20200046717 A KR 20200046717A KR 102254898 B1 KR102254898 B1 KR 102254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er
- base
- cradle
- steam generation
- generation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실과, 상기 처리실의 하측으로 기계실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기계실의 바닥을 규정하는 베이스; 상기 처리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조화시키는 히트펌프모듈; 상기 히트펌프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히트펌프모듈의 하측으로,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영역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 상기 수용영역 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처리실 내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모듈; 및 상기 히트펌프모듈 및 스팀생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수용영역 내에서 상기 스팀생성모듈의 아래에 배치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 processing chamber in which clothes are placed, and a casing forming a machine chamber below the processing chamber; A base defining a floor of the machine room; A heat pump module for conditioning air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At least one supporter supporting the heat pump module and defin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area between the base and the lower side of the heat pump module; A steam generation module fixedly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to generate steam to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heat pump module and the steam generation module, and is disposed below the steam generation module in the receiving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개선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The clothes handling device refers to all devices for managing clothes such as washing, drying, wrinkle improvement, etc. of clothes in a home or in a laundry.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For example, a clothes handling device i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that combines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and a steamer that improves unnecessary wrinkles in clothes. (Steamer) and so on.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A refresher is a device for making the state of clothing pleasant and fresh,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drying clothing, supplying fragrance to clothing, preventing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in clothing, and improving wrinkles in clothing.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고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A steamer is a device that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by simply supplying steam to clothes. Unlike a general iron, a steamer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without directly applying heat to clothes.
이러한 리프레셔 및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functions of a refresher and a steamer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removing wrinkles and odors of clothing stored therein by using steam and hot air.
도 7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700)는 케이싱(710)의 하부에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기계실에 설치되는 장치들로는 도면에 도시된 송풍장치(730), 압축기(740)를 포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팀생성모듈, 히트펌프모듈, 컨트롤러 등이 있다. 이들 장치들 중 특히, 스팀생성모듈, 히트펌프모듈 및/또는 컨트롤러는 유지, 보수를 위해 기계실로부터 인출하여야 할 시, 도면에서 보이듯이, 송풍장치(730)나 압축기(740)와 같은 다른 장치들과 간섭되기 때문에, 상기 다른 장치들을 제거하지 않고서는 기계실로부터 인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먼저 간섭을 일으키는 장치들을 차례로 제거한 후, 유지, 보수가 필요한 장치를 제거하거나, 장치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720) 자체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장치들의 유지, 보수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7 shows a machine room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ferring to FIG. 7, in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기계실 내의 장치들의 배치를 개선함으로써, 장치들의 유지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devices by improving the arrangement of devices in a machine room.
둘째, 특정 장치를 기계실로부터 인출할 시 다른 장치들까지 함께 인출하여야 하였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econd, it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 in which other devices have to be pulled out together when a specific device is pulled out of the machine room.
셋째, 특히, 컨트롤러, 스팀생성모듈, 히트펌프모듈 등이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기계실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in particular, it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controller, a steam generation module, a heat pump module, and the like can be independently withdrawn from a machine room.
넷째, 기계실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Fourth, it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improves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machine room.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거치되는 처리실과, 상기 처리실의 하측으로 기계실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기계실의 바닥을 규정하는 베이스; 상기 처리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조화시키는 히트펌프모듈; 상기 히트펌프모듈을 지지하며, 상기 히트펌프모듈의 하측으로,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영역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 상기 수용영역 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처리실 내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모듈; 및 상기 히트펌프모듈 및 상기 스팀생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수용영역 내에서 상기 스팀생성모듈의 아래에 배치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tment chamber in which clothes are placed, and a casing forming a machine room below the treatment chamber; A base defining a floor of the machine room; A heat pump module for conditioning air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At least one supporter supporting the heat pump module and defin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area between the base and the lower side of the heat pump module; A steam generation module fixedly disposed in the receiving area to generate steam to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chamber;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heat pump module and the steam generation module, and is disposed below the steam generation module in the receiving area.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들의 유지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air of devices, and ha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또한, 특정 장치를 기계실로부터 인출할 시 다른 장치들까지 함께 인출하여야 하였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device is removed from the machine room,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in which other devices have to be pulled out together.
또한, 기계실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machine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장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치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베이스에 서포터가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히트펌프모듈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device assembly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assembly of FIG. 2;
4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device assembly of FIG. 2.
5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er is installed on the base.
6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eat pump module.
7 shows a machine room of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parts to be displayed are different, the reference numerals do not coincid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y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such as experimenters and measurers, their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장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치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베이스에 서포터가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히트펌프모듈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device assembly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assembly of FIG. 2; 4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device assembly of FIG. 2. 5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er is installed on the base. 6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eat pump modul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면이 개방된 처리실(11)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처리실(11)의 개방된 전면을 여닫는 도어(20)를 포함한다.1 to 6, the
처리실(11)의 상부에는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가 걸리는 헹거(30)가 구비된다. 헹거(30)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처리실(11) 내에서 전후,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은 일정한 주기를 갖는 왕복 운동이 바람직하다.A
케이싱(10) 내에는 처리실(11)의 외측(바람직하게는, 처리실(11)의 하측)에 기계실(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기계실(12) 내에는 히트펌프모듈(110), 컨트롤러(120), 스팀생성모듈(130) 등을 포함하여, 각 종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케이싱(10)은 기계실(12)의 바닥을 규정하는 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00)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한편, 처리실(11)의 하부에는 송풍장치(140)에 의해 압송된 공기를 처리실(11) 내로 토출하는 송풍구(51) 및/또는 스팀생성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처리실(11) 내로 토출하는 스팀 토출구(5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실(11)의 하부를 규정하는 처리실 하부 패널(50)에 송풍구(51)와 스팀 토출구(52)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스팀생성모듈(130)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스팀생성모듈(130)은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히터 작동에 의해 생성된 스팀은 소정의 스팀공급유로(미도시)를 통해 스팀 토출구(52)로 안내될 수 있다.The
스팀생성모듈(130)로 공급되는 물을 담기 위한 급수통(41)이 처리실(11)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급수통(41)은 케이싱(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급수통(41)을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한 후, 물을 보충할 수 있다.A
기계실(12)에는 스팀생성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섬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처리실(11)과도 유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처리실(11)의 바닥에 모인 응축수가 상기 섬프로 모일 수 있다.The
베이스(400)에는 상기 섬프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42)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18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42)은 케이싱(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배수통(42)을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한 후, 모인 응축수를 버릴 수 있다. 상기 섬프는 급기덕트(13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섬프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펌프(182)를 통해 배수통(42)으로 배출하기 위한 노즐모듈(181)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베이스(400)에는 급수통(41) 내의 물을 스팀생성모듈(13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186)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186)는 급수호수(185)를 통해 스팀생성모듈(130)과 유로 연결될 수 있다.A
히트펌프모듈(110)은 처리실(11)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조화시키는 것으로, 냉매유로를 통해 압축기(160)와 연결되며, 압축기(16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냉매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차례로 통과하는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히트펌프모듈(110)은 내측으로 응축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에는 상기 응축기가 수용된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10a)와, 유입구(110a)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응축기 뿐만 아니라, 증발기도 하우징(1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송풍장치(140)는 공기를 숭풍시키는 장치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송풍구(142)가 하우징(111)의 유입구(110a)와 연통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4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유입구(110a)를 통해 하우징(111) 내로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됨으로써, 하우징(111)의 토출구(110b)를 통해 고온의 공기가 토출된다. 실시예에서, 송풍장치(140)는 입구(141)를 통해 송풍팬(원심팬)의 회전 축방향을 따라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 주변을 감싸는 스크롤 형태의 유로를 따라 송풍구(142)로 안내하여 토출하는 원심형 송풍장치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송풍장치(140)의 입구(141)로 공기를 안내하는 급기덕트(150)가 송풍장치(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덕트(150)는 송풍장치(1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베이스(400)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An
베이스(400)에는 송풍장치 설치 탭(420)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 설치 탭(420)은 베이스(400)를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수직하게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나사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송풍장치(140)가 송풍장치 설치 탭(420)에 결합될 수 있다A
기계실(12) 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150)는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통로는 전후 방향의 폭이 좌우방향의 폭에 비해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급기덕트(150)는 상부에 입구(15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송풍장치(140)의 송풍구(141)와 연통된 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151)를 통해 처리실(11) 내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in the
서포터(170)는 히트펌프모듈(110)을 지지하며, 히트펌프모듈(110)의 하측으로 베이스(400)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영역(S)을 한정한다. 즉, 히트펌프모듈(110)은 서포터(17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베이스(400)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배치되며, 히트펌프모듈(110)이 베이스(40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허용되는 수용영역(S)은 다른 장치들, 특히, 스팀생성모듈(130)과, 컨트롤러(12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서포터(170)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베이스(40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서포터(170)가 구비되었다. 이하, 각각의 서포터(170)에 다른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필요에 따라 앞쪽에 위치한 서포터(170(1))와 뒤쪽에 위치한 서포터(170(2))를 구분하기로 한다.A plurality of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터(170)는 베이스(400) 상에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다리(171, 172)와,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다리들(171, 172)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171, 172)의 하단에는 베이스(400)와 대향하는 면을 갖는 서포터 고정 탭(17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400)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의 전후방향으로 서포터 고정 탭(174)이 삽입되는 서포터 체결구(411)를 갖는 서포터 고정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서포터 고정부(410)는, 베이스(400)를 서포터 고정 탭(174)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즉, 서포터 체결구(411)) 주변의 일정한 영역(412)을 상측으로 가압(pressing)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서포터 고정 탭(174)이 서포터 체결구(411)를 통해 서포터 고정부(41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서포터(170)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서포터 고정 탭(174)이 서포터 체결구(411) 주변 영역(412)의 배면에 걸림으로써 제지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서포터(170)는 2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서포터(170) 중 상대적으로 베이스(400)의 앞쪽부분에 설치되는 것(170(1))은 전방으로의 이동 동작을 통해 서포터 고정 탭(174)이 서포터 체결구(411) 내로 삽입되며, 베이스(400)의 뒷쪽부분에 설치되는 것(170(2))은 후방으로의 이동 동작을 통해 서포터 고정 탭(174)이 전방을 향해 개구된 서포터 고정부(4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400)와 서포터(170)는, 서포터 고정부(410)와 서포터 고정 탭(174)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170)는 소성 가공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재질의 판재를 정해진 설계대로 절단한 후 접는 과정을 통해 다리(171, 172), 서포터 고정 탭(174) 및 거치대(173)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서포터(17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부품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The
히트펌프모듈(110)은 거치대(173)에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173)는 외주면이 전방과 후방을 각각 향하는 한 쌍의 측면(173b)과, 외주면이 상방을 향하며 한 쌍의 측면(173b) 사이를 연결하는 상면(17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173)는 금속판재를 적어도 두 번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1)의 하측에는 거치대(173)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15, 1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결합부(115)는 거치대(173)의 상면(173a)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면(115a)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접촉면(115a)은 상면(173a)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 1 접촉면(115a)을 거치대(173)의 상면(173a) 상에 올린 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 1 접촉면(115a)과 거치대(173)의 상면(173a)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t least one
도 6의 (b)를 참조하면, 결합부(116)는 거치대(173)의 측면(173b)과 접촉되는 제 2 접촉면(116a)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접촉면(116a)은 측면(173b)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거치대(173)의 측면(173b)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접촉면(115a)는 서포터(170(1))의 상면(173a)과 체결되며, 제 2 접촉면(116a)는 서포터(170(2))의 측면(173b)와 체결된다. Referring to FIG. 6B, the
컨트롤러(120)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장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모듈(110), 스팀생성모듈(130), 송풍장치(140) 및/또는 압축기(160) 등은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상기 회로기판은 컨트롤러(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에 수용된다. 컨트롤러(120)는 서포터(170)와 베이스(400) 사이의 수용영역(S)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400) 상에 배치된다.The circuit board is accommodated in a main body forming the exterior of the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20)의 본체에는 컨트롤러 고정 탭(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400)에는 컨트롤러 고정 탭(121)이 삽입되는 컨트롤러 체결구(414)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 고정 탭(121)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 고정 탭(121)이 컨트롤러 체결구(41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컨트롤러(120)의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컨트롤러 고정 탭(121)이 베이스(400)의 저면에 걸림으로써 제지된다.3 and 5, a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 고정 탭(121)은 컨트롤러(120)의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베이스(400) 상에서의 컨트롤러(120)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컨트롤러 체결구(414) 내로 삽입되거나 이탈이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케이싱(10)의 후방부에는 적어도 컨트롤러(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도 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히트펌프모듈(110)과 스팀생성모듈(130)의 통과 역시 허용되도록 형성된다.An opening (refer to FIG. 7) formed to allow at least the
실시예에 따라, 케이싱(10)은 상기 개구부를 차페하는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은 케이싱(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컨트롤러(120)를 베이스(400)에 설치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해 베이스(400)로부터 컨트롤러(120)를 분리할 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컨트롤러(120)가 기계실(12)을 출입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와 같이, 히트펌프모듈(110)이 컨트롤러(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장치(140)가 컨트롤러(1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송풍장치(140) 또는 컨트롤러(120)가 컨트롤러(120)의 분리 과정에서 장애가 되지 않기 때문에, 히트펌프모듈(110) 또는 송풍장치(140)를 장치 조립체(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컨트롤러(120)를 기계실(12)로부터 인출할 수 있어, 컨트롤러(120)의 수리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스팀생성모듈(130)은 수용영역(S) 내에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생성모듈(130)은 서포터(1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팀생성모듈(130) 및 서포터(170) 중 어느 하나에는 스팀생성모듈 고정 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스팀생성모듈 고정 탭이 삽입되는 스팀생성모듈 설치구(175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팀생성모듈 설치구(175)는 한 쌍의 서포터(170)들 중에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팀생성모듈 설치구(175)는 한 쌍의 서포터(170)들 중 앞쪽에 위치한 것(170(1))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스팀생성모듈 설치구(175)는 거치대(173)의 측면(173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생성모듈 고정 탭이 스팀생성모듈 설치구(175)에 삽입된 상태로 스팀생성모듈(130)이 서포터(170)에 가설치되고, 이렇게 스팀생성모듈(130)이 앞 쪽에 있는 서포터(170(1))에 가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뒤쪽에 있는 서포터(170(2))와 스팀생성모듈(130)을 체결할 수 있다.The steam generatio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장치 조립체(2)가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4에서 표시된 점선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위치와 체결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0)에 압축기(1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서포터(170)에 히트펌프모듈(110)이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히트펌프모듈(110)의 결합부(115, 116)를 거치대(173)에 고정시킨다.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배관이 압축기(160)와 히트펌프모듈(110) 간에 연결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 process of configuring the
도 4의 (b)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20)는 서포터(170) 아래의 수용영역(S)으로 삽입된 후, 베이스(400)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 고정 탭(121)이 컨트롤러 체결구(414)에 삽입되어 컨트롤러(120)가 정위치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컨트롤러(120)와 베이스(400)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도 4의 (c)를 참조하면, 송풍장치(140)가 서포터(17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40)가 체결부재에 의해 송풍장치 설치 탭(420)에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a
도 4의 (d)를 참조하면, 베이스(400)에는 배수펌프(182)와 급수펌프(186)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40)의 양측으로 각각 배수펌프(182)와 급수펌프(186)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d) of FIG. 4, a
도 4의 (e)를 참조하면, 송풍장치(140)의 전방에 급기덕트(150)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40) 및 급기덕트(150)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을 상기 핀 삽입공에 삽입함으로써 급기덕트(150)를 정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급기덕트(150)와 송풍장치(140)를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e) of FIG. 4, the
도 4의 (f)를 참조하면, 스팀생성모듈(130)이 서포터(170) 아래의 수용영역(S) 내로 삽입된 후, 스팀생성모듈(130)에 형성된 스팀생성모듈 고정 탭이 스팀생성모듈 설치구(175)에 삽입됨으로써, 스팀생성모듈(130)이 정위치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스팀생성모듈(130)과 서포터(170)가 결합될 수 있다. 유지 보수시, 케이싱(10) 후방에 위치한 개구부(도 7 참조)를 통해 스팀생성모듈(13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는 한 쌍의 서포터(170) 중 뒤쪽에 위치한 것(170(2))과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 of FIG. 4, after the
도 4의 (g)를 참조하면, 노이즈 필터(183)와, 장치 조립체(2)를 사용자가 이동시킬 시 파지하는 핸들(184)이 베이스(400)에 설치될 수 있다. 노이즈 필터(183)은 컨트롤러(120)로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필요한 성분만 통과시키고, 노이즈 성분을 감쇠시킨다.Referring to FIG. 4G, a
도 4의 (h)를 참조하면, 급수펌프(186)와 스팀생성모듈(130)을 연결하는급수호스(185), 노즐모듈(181), 노즐모듈(181)과 섬프를 연결하는 호스, 노즐모듈(181)과 배수펌프(182)를 연결하는 호스 등의 각종 호스들이 장치들에 연결될 수 있다.4(h), a
Claims (21)
상기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실; 및
상기 처리실의 하부에 상기 처리실과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영역을 형성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실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전방에 위치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장치로 안내하는 급기덕트;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모듈;
상기 수용영역에 위치하고, 스팀을 발생시켜 스팀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처리실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생성모듈;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케이싱과 분리가능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을 분리시 상기 서포터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 casing with an input port formed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processing chamber provided inside the casing to accommodate clothes; And
A machine room providing a space separated from the processing chamber under the processing chamber;
A base forming the floor of the machine room;
A supporter coupled to the base to form a predetermined receiving area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blowing devic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pporter to suck air in the processing chamber;
An air supply duct positioned in front of the blowing device and guiding the sucked air to the blowing device;
A heat pump module supported by the supporter and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blower;
A steam generation module located in the receiving area and generating steam to supply steam to the processing chamber through a steam supply passage;
An opening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 panel shiel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and separable from the casing;
When the panel is separated, the supporter is exposed.
상기 케이싱의 좌우측면중 상기 서포터에 가까운 일측면;
상기 케이싱의 좌우측면중 상기 일측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타측면; 및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히트펌프모듈에 공급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타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sing close to the supporter;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asing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And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and supplies it to the heat pump module;
The compressor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between the supporter and the other side.
상기 서포터는
상기 히트펌프모듈을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모듈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팀생성모듈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supporter
Includes; a cradle for supporting the heat pump module,
The heat pump modul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The steam generating module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radle.
상기 송풍장치, 상기 히트펌프모듈 및 상기 스팀생성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팀생성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패널을 분리시,
상기 컨트롤러도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lowing device, the heat pump module and the steam generation module,
The controller is located under the steam generation module,
When removing the panel,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is also exposed.
상기 스팀생성모듈 및 상기 히트펌프모듈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steam generation module and the heat pump modu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one side.
상기 서포터는
상기 케이싱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다리 ;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영역은 상기 베이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다리 및 상기 거치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supporter
At least two leg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base; And
It includes a cradle supported by the at least two legs,
The receiving area is formed by the base, the at least two legs, and the cradle.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다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다리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면을 갖는 서포터 고정 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서포터 고정 탭이 삽입되는 서포터 체결구가 형성된 서포터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서포터 고정 탭과 상기 서포터 고정부를 통해 상기 서포터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at least two legs
And a supporter fixing tab bent at the bottom of the at least two legs and having a surface facing the base,
The base is
Including a supporter fixing portion formed with a supporter fastener into which the supporter fixing tab is inserted,
And the supporter is coupled to the base through the supporter fixing tab and the supporter fixing part.
상기 서포터 고정부는
상기 서포터 고정 탭을 일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서포터 고정 탭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를 소정 길이 절개한 후, 상기 서포터 고정 탭이 삽입되는 쪽의 부분을 상기 기계실의 내부 방향으로 융기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er fixing part
In order to insert the supporter fixing tab in one direction, the base is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er fixing tab is insert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upporter fixing tab, and then a portion of the machine room where the supporter fixing tab is inserte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protruding in an inward direction.
상기 서포터 고정 탭이 상기 서포터 고정부에 삽입된 후,
상기 서포터 고정 탭과 상기 서포터 고정부를 체결부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supporter fixing tab is inserted into the supporter fixing par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upling the supporter fixing tab and the supporter fixing part with a fastening member.
상기 스팀생성모듈은
상기 수용영역에서 상기 베이스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eam generation modu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area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upled to the supporter.
상기 스팀생성모듈 및 상기 서포터 중 어느 하나에는 스팀생성모듈 고정탭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스팀생성모듈 고정탭과 결합하는 스팀생성모듈 설치구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생성모듈 고정탭이 상기 스팀생성모듈 설치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0,
One of the steam generation module and the supporter is provided with a steam generation module fixing tab,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 steam generation module installation port coupled with the steam generation module fixing tab,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am generation module fixing tab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ion module installation port.
상기 서포터는
상기 송풍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서포터; 및
상기 제1서포터보다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생성모듈 설치구는
상기 제1서포터 및 상기 제2서포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above supporter
A first support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blower; And
Including; a second supporter positioned clos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than the first supporter,
The steam generation module installation port i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of the first supporter and the second supporter.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lowing device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ase.
상기 급기덕트는 상기 송풍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5,
The air supply duct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lower.
상기 급기덕트 혹은 상기 송풍장치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핀을 상기 핀 삽입공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송풍장치를 정렬시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6,
Any one of the air supply duct or the blower includes a pin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In the other, a pi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is formed,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pin insertion hol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upply duct and the blower are aligned and coupled.
상기 서포터는
상기 송풍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서포터; 및
상기 제1서포터보다 상기 케이싱의 후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포터는
상기 케이싱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다리;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제1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서포터는
상기 케이싱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다리;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모듈은 상기 제1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supporter
A first support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blower; And
Includes; a second supporter positioned clos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than the first supporter
The first supporter
At least two first leg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base; And
And a first cradle supported by the at least two first legs,
The second supporter
At least two second leg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base; And
And a second cradle supported by the at least two second legs,
The heat pump module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first cradle and the second cradle.
상기 히트펌프모듈은
상기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위한 증발기와 응축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와 각각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거치대와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거치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8,
The heat pump module is
A housing forming a space accommodating an evaporator and a condens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sucked air;
Including;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cradle and the second crad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radl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cradle.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거치대의 상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거치대의 측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radl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cradle.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6717A KR102254898B1 (en) | 2014-12-19 | 2020-04-17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KR1020210059759A KR102352402B1 (en) | 2020-04-17 | 2021-05-10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KR1020210059758A KR102378140B1 (en) | 2020-04-17 | 2021-05-10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KR1020210059757A KR102378139B1 (en) | 2020-04-17 | 2021-05-10 | Fabric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84787A KR102369585B1 (en) | 2014-12-19 | 2014-12-19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KR1020200046717A KR102254898B1 (en) | 2014-12-19 | 2020-04-17 | Fabric treating apparatu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84787A Division KR102369585B1 (en) | 2014-12-19 | 2014-12-19 | Fabric treating apparatu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59758A Division KR102378140B1 (en) | 2020-04-17 | 2021-05-10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KR1020210059759A Division KR102352402B1 (en) | 2020-04-17 | 2021-05-10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KR1020210059757A Division KR102378139B1 (en) | 2020-04-17 | 2021-05-10 | Fabric tr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3355A KR20200043355A (en) | 2020-04-27 |
| KR102254898B1 true KR102254898B1 (en) | 2021-05-24 |
Family
ID=704676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46717A Active KR102254898B1 (en) | 2014-12-19 | 2020-04-17 | Fabric tr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54898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2375B1 (en) * | 2007-01-23 | 2007-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drying and storag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02900B1 (en) * | 2007-08-13 | 2009-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er |
| KR101053631B1 (en) * | 2009-12-15 | 2011-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lothing processing device |
-
2020
- 2020-04-17 KR KR1020200046717A patent/KR1022548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2375B1 (en) * | 2007-01-23 | 2007-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drying and storage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3355A (en) | 2020-04-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757414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JP6656254B2 (en) | Aroma appliance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EP2896740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 |
| KR102378139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20180132591A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20180133365A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USRE50220E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254898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235181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148659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017695B1 (en) | Laundry Machine | |
| KR102019134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019136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019135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102114624B1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20180133826A (en) | Fabric treating apparatus | |
| KR20240121103A (en) | Clothes care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121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18478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0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121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18478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