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928B1 -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7928B1 KR102257928B1 KR1020190084641A KR20190084641A KR102257928B1 KR 102257928 B1 KR102257928 B1 KR 102257928B1 KR 1020190084641 A KR1020190084641 A KR 1020190084641A KR 20190084641 A KR20190084641 A KR 20190084641A KR 102257928 B1 KR102257928 B1 KR 102257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over
- siren
- case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2 epoxy adhesiv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내부에 배터리, 배터리 커버 및 회로기판이 차례로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중앙에 사이렌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 상기 홀을 덮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는 사이렌 커버 및 상기 홀에 수용되되, 상기 회로기판과 마주보는 사이렌 커버의 안쪽에 결합되는 사이렌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가 개방된 측벽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로 그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를 고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a battery, a battery cover, and a circuit board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therein, and is formed to cover an open side of the case, A case cover in which a hole for coupling with a siren cover is formed, a siren cover coupled to the case cover while covering the hole, and a siren accommodated in the hole, bu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ren cover facing the circuit board Including, and the inside of the case includes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open top side wall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he battery cover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Fix the battery.
Description
본 발명은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내부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 커버를 구비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battery by having a battery cover covering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siren module for the vehicle. will be.
오늘날 자동차는 편의성, 안전성, 보안성 등의 기능들에 대한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기능들 중 보안성을 위해 차량 보안 시스템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즉, 차량에 탑재되는 고가 장치(예컨대,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의 수가 최근 들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도난 및 파손이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 도난 등의 위험성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 보안 시스템 또한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차량 보안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열림이나 실내 침입 등이 감지되는 경우, 비정상적인 도어 열림 및/또는 실내 침입이 발생할 때 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BBS(Battery Back-up Siren)와 같은 경보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BBS는 일반적으로 경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렌을 의미한다. In today's automobiles, the application of functions such as convenience, safety, and security is gradually increasing, and among these functions, the application of a vehicle security system is increasing for security. That is, theft and damage are increasing as the number of expensive devices (e.g., navigation, black box, etc.) mounted on a vehicle increases in recent years, and as the risk of vehicle theft increases, vehicle security systems are also increasingly used. It is an increasing trend. Such a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es an alarm means such as BBS (Battery Back-up Siren) as a means for notifying when an abnormal door opening and/or indoor intrusion occurs when a door opening or intrusion of a vehicle is detected. In this case, BBS generally refers to a siren for a vehicle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an alarm sound.
일반적으로 상술한 BBS 즉, 차량용 사이렌은 차량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지만, 차량과 연결된 전원선이 절단되거나 단락되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용 사이렌의 내부에는 비상시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위치한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사이렌에 위치하므로, 차량의 진동에 의해 움직여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동작하지 않을 수 있어 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general, the above-described BBS, that is, a vehicle siren, operates by receiving power directly from a vehicle, but does not operate when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vehicle is cut or short-circuit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in an emergency is located inside the siren for a vehicle. On the other hand, since such a battery is located in a vehicle siren mounted inside a vehicle, it may not operate when it moves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nd thus, a method of more firmly fixing the battery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터리를 배터리 커버로 덮어 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배터리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the battery from the outside while fixing the battery more firmly by covering the battery with a battery cover.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부에 배터리, 배터리 커버 및 회로기판이 차례로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중앙에 사이렌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 상기 홀을 덮은 상태로 상기 케이스 커버에 결합되는 사이렌 커버 및 상기 홀에 수용되되, 상기 회로기판과 마주보는 사이렌 커버의 안쪽에 결합되는 사이렌을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가 개방된 측벽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로 그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를 고정한다. A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a battery, a battery cover, and a circuit board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an interi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formed to cover an open side of the case, and a siren cover in the center Including a case cover in which a hole for coupling with is formed, a siren cover coupled to the case cover while covering the hole, and a siren accommodated in the hole,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ren cover facing the circuit board. The vehicle siren module includes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n open top side wall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in the case, and the battery cover is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Fix the battery.
상기 배터리 커버는, 중앙을 가로지르되 띠 형상을 갖는 배터리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누름부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말단부는 하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tery cover further includes a battery pressing portion crossing the center but having a strip shape, and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strip shape crossing the center, and both end portions are bent downward.
상기 배터리 누름부의 하향 절곡된 양측 말단부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oth end portions of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bent downwardly have elastic force.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측벽 외측에는 케이스의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향할수록 내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 누름부의 양측 말단부가 하향 절곡됨에 따라 측벽의 일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triangular protrus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battery cover includes both ends of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bent downward. As a resul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art formed on a part of the sidewall, and when the battery cover is coupled with the battery receiving part, the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locking part so that the battery cover is fixed to the battery receiving part. .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면에는,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회로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oard support protruding in a columnar shape.
상기 배터리 커버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커버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상기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커버 개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가 겹쳐져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side of the sidewall of the battery cover includes a battery cover opening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and a sidewall of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battery receiving portion opening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and the battery cover is disposed on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When combined, the battery cover opening portion and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opening portion are overlapped to form one through hole.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배면 및 측벽 내부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방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방열 돌출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와 일정 거리 이격됨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배터리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확산을 도와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includes a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rear surface and the sidewall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the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forms a space as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by a certain distance when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receiving part.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dissipation is more effectively achieved by helping the diffusion of heat emitted from the battery through the formed space.
상기 배터리 누름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배터리 커버의 둘레부 외측에는, 중앙에 고정부재의 삽입을 위한 고정부재 삽입홀을 포함하는 원 형상의 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배터리 수용부를 향하는 하부 일측은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기둥부의 상부 일측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수용부 상에 상기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attery cov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pressing part includes a circular joint including a fixing member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in the center, and a lower one side facing the battery receiving part of the coupling part A silver groove is formed, and the battery cover is coupl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as the upper one side of the pillar portion is fitted to the groov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를 배터리 커버로 덮어 배터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배터리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covering the battery with a battery cover to securely fix the battery and to protect the battery from the outside.
또한, 배터리 커버에 배터리 누름부를 구비하여 배터리가 흔들리지 않고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ttery can be fixed more firmly without shaking the battery by providing a battery pressing unit on the battery cover.
또한, 배터리 수용부의 배면 및/또는 측벽 내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방열 돌출부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수용시 일정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배터리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rear surface and/or sidewall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when accommodating the battery, so that heat emitted from the battery can be more effectively diffused.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모듈에 회로기판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결합 모듈에 회로기판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ppend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information described.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a case and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bonding a circuit board to the bonding module of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a case and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bonding a circuit board to the bonding module of FIG. 9.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 A term such as “sub”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사이렌 커버(100), 사이렌(200), 케이스 커버(300), 회로기판(400), 배터리 커버(500), 배터리(600) 및 케이스(7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요소의 결합은 먼저, 케이스(700)의 내부에 배터리(600)가 인입되고 그 상부에 배터리 커버(500)가 결합된다. 배터리 커버(500)의 결합 후, 그 상부 영역에는 회로기판(400)이 위치하며, 회로기판(400)은 고정부재 예컨대, 볼트에 의해 조임 결합되어 케이스(7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이렌(200)과 사이렌 커버(100)는 레이저 융착에 의해 1차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상술한 1차 결합 모듈과 케이스 커버(300)가 레이저 융착에 의해 2차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며, 상술한 2차 결합 모듈과 회로기판(400), 배터리(600) 및 배터리 커버(500)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700)가 레이저 융착에 의해 3차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하나의 차량용 사이렌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융착이란 각기 다른 투과성과 흡수성을 가진 제품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흡수층에서 분자들을 활성화시켜 그 운동 에너지에 의해서 발생한 열이 간접적으로 투과층 재질을 용융시켜 두 모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모듈 간의 결합 시 종래와 같이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융착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 융착을 사용함에 따라 접착을 보다 깔끔하게 할 수 있으며, 구성 간의 접착 시간을 단축시켜 모듈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간의 결합시 레이저를 조사하여 융착함으로써 모듈 간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내부에 배터리(600), 배터리 커버(500) 및 회로기판(400)이 차례로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700), 케이스(700)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중앙에 사이렌 커버(100)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300), 홀을 덮은 상태로 케이스 커버(300)에 결합되는 사이렌 커버(100) 및 홀에 수용되되, 회로기판(400)과 마주보는 사이렌 커버(100)의 안쪽에 결합되는 사이렌(200)을 포함한다.In other words, in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한편, 케이스(700)는 내부에 배터리(60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710)를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710)는 배터리(600)의 형상에 대응되게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600)가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500)를 상부에 결합함으로써, 배터리(6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차량의 진동에 의해 배터리(600)가 움직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6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케이스(700) 내의 배터리 수용부(710) 및 배터리 커버(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모듈에 회로기판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having a battery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ase and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cover,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circuit board to the coupling module of FIG. 4.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700)는 내부에 배터리(600) 형상에 대응하는 배터리 수용부(710)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부(7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측벽을 구비한 형태로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터리(600)를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710)는 배터리(600)의 형태와 대응되게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진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2 to 5, the
한편, 배터리 수용부(710)는 측벽의 외측 방향에 케이스(70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돌출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75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쌍으로 설치된다. 돌출부(750)는 배터리 수용부(710)의 측벽 외측 방향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되,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향할수록 내측 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부(750)는 케이스(700)의 배면방향을 밑변으로 하고,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향할수록 내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돌출부(7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짐에 따라 가이드 역할을 하여 후술하는 배터리 커버(5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부(750)는 후술하는 배터리 커버(500)의 걸림부(530)에 걸려짐에 따라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 커버(500)가 견고히 결합되어질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수용부(710)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770)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770)는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 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후술하는 배터리 커버(500)의 배터리 커버 개방부(570)와 겹쳐져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은 배터리(600)와 회로기판(400)을 연결하는 연결선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배터리 커버(50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커버(500)를 배터리 수용부(710)에서 탈거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술한 관통홀에 걸어 당김으로써 보다 쉽게 결합을 해제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또한, 배터리 수용부(710)는 그 내부의 배면 및 측벽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를 포함한다.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는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600)가 수용되는 경우, 배터리(600)를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함에 따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배터리(600)에서 방출되는 열의 확산을 도와 방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의 일측 즉,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와 배터리(600)가 접하는 일측에는 열전도 성능이 뛰어난 열전도 부재를 더 구비하여 배터리(600)의 방열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배터리 커버(500)는 상술한 배터리 수용부(710)와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배터리 수용부(7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터리(60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커버(500)는 보다 효과적으로 배터리(600)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누름부(51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누름부(510)는 배터리 커버(5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띠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 배터리 누름부(510)는 배터리 커버(5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말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600)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배터리(600)는 상술한 하향 절곡된 배터리 누름부(510)의 양측 말단부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누름부(510)의 양측 말단부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배터리 커버(500)는 배터리 누름부(510)의 양측 말단부가 하향 절곡됨에 따라 측벽의 일부에 형성된 걸림부(530)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530)는 배터리 커버(500)를 배터리 수용부(710)와 결합하는 경우, 상술한 배터리 수용부(710)의 돌출부(750)에 걸려짐에 따라 배터리 커버(500)가 배터리 수용부(710)에 견고히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500)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커버 개방부(5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부(710)와 배터리 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배터리 커버 개방부(570)와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770)는 겹쳐져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은 배터리(600)와 회로기판(400)을 연결하는 연결선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배터리 커버(50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커버(500)를 배터리 수용부(710)에서 탈거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술한 관통홀에 걸어 당김으로써 보다 쉽게 결합을 해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배터리 커버(500)는 상면에 기둥 형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 회로기판 지지부(550)를 더 포함한다. 회로기판 지지부(550)는 배터리 커버(500)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 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 지지부(550)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의 결합 과정에서 배터리 커버(500)의 상부에 회로기판(400)을 위치시키는 경우, 회로기판(400)의 하부와 접하여 밀착됨에 따라 회로기판(400)에 의해 배터리 커버(500)가 하방으로 눌려져 배터리 커버(500)가 배터리 수용부(7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에 따르면 배터리(60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회로기판(400)은 별도의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케이스(7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로기판(400)이 배터리 커버(500) 상에 결합되면서 배터리 커버(500) 상의 회로기판 지지부(550)가 회로기판(400)에 맞대어지면서 눌려 1차적으로 배터리 커버(500)를 고정시키고, 2차적으로 회로기판(400)은 케이스(700)의 배면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부에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케이스(700)에 고정되므로, 배터리(600)는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상술한 바에 따른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 수용부(710)는 배터리(600)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으며, 배터리 커버(500)는 배터리 수용부(7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shap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결합 모듈에 회로기판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including a battery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case and a battery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a circuit board to the coupling module of FIG. 9.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과 동일한 참조부호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 및 동작을 모두 포함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할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describing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5 include all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t will be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s with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케이스(700)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710), 배터리 커버(500) 및 수용되는 배터리(600)의 형태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차량용 사이렌 모듈의 대응되는 구성과 상이하다. 6 to 10, in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사이렌 커버(100), 사이렌(200), 케이스 커버(300), 회로기판(400), 배터리 커버(500), 배터리(600) 및 케이스(7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요소의 결합은 먼저, 케이스(700)의 내부에 배터리(600)가 인입되고 그 상부에 배터리 커버(500)가 결합된다. 배터리 커버(500)의 결합 후, 그 상부 영역에는 회로기판(400)이 위치하며, 회로기판(400)은 고정부재 예컨대, 볼트에 의해 조임 결합되어 케이스(7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6,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렌 모듈은 내부에 배터리(600), 배터리 커버(500) 및 회로기판(400)이 차례로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700), 케이스(700)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되, 중앙에 사이렌 커버(100)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커버(300), 홀을 덮은 상태로 케이스 커버(300)에 결합되는 사이렌 커버(100) 및 홀에 수용되되, 회로기판(400)과 마주보는 사이렌 커버(100)의 안쪽에 결합되는 사이렌(200)을 포함한다.In other words, in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700)는 내부에 배터리(600) 형상에 대응하는 배터리 수용부(7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600)는 사각형 형태임에 따라 배터리 수용부(710)는 배터리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710)는 사각형 형태이되, 상부가 개방되고, 측벽을 구비한 형태로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터리(600)를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The
배터리 수용부(710)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770)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770)는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 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후술하는 배터리 커버(500)의 배터리 커버 개방부(570)와의 사이에 빈 공간 즉,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홀은 배터리(600)와 회로기판(400)을 연결하는 연결선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배터리 커버(50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 커버(500)를 배터리 수용부(710)에서 탈거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술한 관통홀에 걸어 당김으로써 보다 쉽게 결합을 해제할 수도 있다. One side of the sidewall of the
또한, 배터리 수용부(710)는 그 내부의 배면 및 측벽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를 포함한다.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는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600)가 수용되는 경우, 배터리(6000를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함에 따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배터리(600)에서 방출되는 열의 확산을 도와 방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의 일측 즉, 배터리 방열 돌출부(730)와 배터리(600)가 접하는 일측에는 열전도 성능이 뛰어난 열전도 부재를 더 구비하여 배터리(600)의 방열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배터리 커버(500)는 상술한 배터리 수용부(710)와 대응하는 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배터리 수용부(7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배터리(60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커버(500)는 보다 효과적으로 배터리(600)를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누름부(51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누름부(510)는 배터리 커버(5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띠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 배터리 누름부(510)는 배터리 커버(50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말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600)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배터리(600)는 상술한 하향 절곡된 배터리 누름부(510)의 양측 말단부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누름부(510)의 양측 말단부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배터리 커버(500)는 배터리 누름부(5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배터리 커버(500)의 둘레부 외측에 결합부(580)를 포함한다. 결합부(580)는 케이스(700)의 기둥부(780)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 형상일 수 있다. 결합부(580)는 케이스(700)의 기둥부(780)와 결합되어 배터리 커버(500)를 배터리 수용부(710)와 결합한다. 한편, 결합부(580)는 배터리 수용부(710)의 배면 방향인 하부측 즉, 배터리 수용부(710)를 향하는 하부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기둥부(780)의 상부 일측과 끼움 결합되어 배터리 수용부(710) 상에 배터리 커버(5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80)는 중앙에 고정부재의 삽입을 위한 고정부재 삽입홀(581)을 포함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부(710)에 배터리 커버(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회로기판(400)을 얹고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삽입홀(581)을 통과하도록 하여 케이스(700) 상에 배터리 커버(500) 및 회로기판(400)이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700)에는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케이스(700)의 외측 배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의 차량용 사이렌 모듈에서는 케이스(700)의 양측에 날개 형태로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볼트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에 볼트를 결합한 상태에서 사이렌 모듈을 차량에 결합하므로 사이렌 모듈을 차량에 결합함에 있어서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도 6 내지 도 10에 개시된 케이스(700)에는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케이스(700)의 외측 배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사이렌 모듈을 보다 용이하게 차량에 탈부착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include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r claim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features described in sepa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a singl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dividually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or may be properly combined and implemented.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specific order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specific order as shown, or as a series of consecutive orders, or that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to obtain a desired result.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certain environments.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classific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classifica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app components and systems may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package in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100 : 사이렌 커버
200 : 사이렌
300 : 케이스 커버
400 : 회로기판
500 : 배터리 커버
510 : 배터리 누름부
530 : 걸림부
550 : 회로기판 지지부
570 : 배터리 커버 개방부
580 : 결합부
581 : 고정부재 삽입홀
600 : 배터리
700 : 케이스
710 : 배터리 수용부
730 : 배터리 방열 돌출부
750 : 돌출부
770 :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
780 : 기둥부100: siren cover
200: siren
300: case cover
400: circuit board
500: battery cover
510: battery pressing part
530: locking part
550: circuit board support
570: battery cover opening
580: coupling part
581: fixing member insertion hole
600: battery
700: case
710: battery accommodating part
730: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750: protrusion
770: battery receiving portion opening
780: pillar
Claims (8)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가 개방된 측벽을 구비한 배터리 수용부가 포함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가 수용된 상태로 그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가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를 고정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커버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측벽 일측에는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상기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커버 개방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부 개방부가 겹쳐져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이 배터리와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선의 통로 역할을 하며, 배터리 커버를 배터리 수용부에서 탈거할 경우, 상기 관통홀을 이용해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A case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the battery, a battery cover, and a circuit board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therein, a case cover formed to cover an open side of the case, and a case cover in which a hole for coupling with the siren cover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hole In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iren cover coupled to the case cover in a covered state and a siren accommodated in the hole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ren cover facing the circuit board,
The inside of the case includes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idewall with an open top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the battery cov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to fix the battery,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attery cover includes a battery cover opening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One side of the sidewall of the battery receiving unit includes an opening of the battery receiving unit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When the battery cover is coupl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he battery cover opening portion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opening portion overlap to form one through hole, so that the through hole serves as a passage for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circuit board. And, when the battery cover is remove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he through hole allows a user to more easily remove and detach the battery cover.
상기 배터리 커버는,
중앙을 가로지르되 띠 형상을 갖는 배터리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누름부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측 말단부는 하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over,
Crossing the center but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pressing portion having a strip shape,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belt shape crossing the center, and both ends of the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ownwardly bent.
상기 배터리 누름부의 하향 절곡된 양측 말단부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ly bent end portions of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have elastic force.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측벽 외측에는 케이스의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향할수록 내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는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 누름부의 양측 말단부가 하향 절곡됨에 따라 측벽의 일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triangular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ward the insid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The battery cover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med on a part of the sidewall as both end portions of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are bent downward,
When the battery cover is coupled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to fix the battery cover 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면에는,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회로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board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a column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배면 및 측벽 내부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방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방열 돌출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와 일정 거리 이격됨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배터리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확산을 도와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Includes a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rear surface and sidewall of the battery receiving unit,
The battery heat dissipation protrusion, when the battery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forms a space as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by a certain distance, and helps spread heat emitted from the battery through the formed space so that heat dissipation is more effectively achieved. Siren module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배터리 누름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배터리 커버의 둘레부 외측에는, 중앙에 고정부재의 삽입을 위한 고정부재 삽입홀을 포함하는 원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배터리 수용부를 향하는 하부 일측은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기둥부의 상부 일측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 수용부 상에 상기 배터리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배터리 고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렌 모듈.The method of claim 2,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pressing portion includes a circular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fixing member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fixing member in the center,
For a vehic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coupling part toward the battery receiving part, and the battery cover is coupled to the battery receiving part as the upper one side of the pillar part is fitted into the groove. Siren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4641A KR102257928B1 (en) | 2019-07-12 | 2019-07-12 |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4641A KR102257928B1 (en) | 2019-07-12 | 2019-07-12 |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7724A KR20210007724A (en) | 2021-01-20 |
| KR102257928B1 true KR102257928B1 (en) | 2021-05-27 |
Family
ID=743052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84641A Active KR102257928B1 (en) | 2019-07-12 | 2019-07-12 |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57928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11971A (en) * | 2001-04-13 | 2002-10-25 | Kiyoshi Kawachi | Electronic music box |
| KR101000015B1 (en) * | 2008-11-27 | 2010-12-09 |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 Speaker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880080B2 (en) * | 2005-02-11 | 2011-02-01 |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 Junction box for output wiring from solar modul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
| JP4301303B2 (en) * | 2007-02-13 | 2009-07-22 | 株式会社デンソー | Electronic key system portable machine |
| KR101599762B1 (en) * | 2014-03-05 | 2016-03-04 | 주식회사 서연전자 | Potable Remote Control Key assembly for vehicles |
| KR101827368B1 (en) | 2016-11-29 | 2018-02-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Speaker device for vehicle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641A patent/KR1022579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11971A (en) * | 2001-04-13 | 2002-10-25 | Kiyoshi Kawachi | Electronic music box |
| KR101000015B1 (en) * | 2008-11-27 | 2010-12-09 |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 Speake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7724A (en) | 2021-01-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864091A (en) | Shock resistant electrical connection box | |
| KR102494677B1 (en) | Bracket assempbly for a multi-component vision system in an electronic device | |
| US20100195348A1 (en) | Assembling structure for vehicle room illumination lamp | |
| JP5147492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storage box | |
| US10059251B2 (en) | Force-diverting tail light guard | |
| JP2014229746A (en) | Electronic control unit and protective case | |
| JP6036547B2 (en) | Electronic control unit and protective case | |
| KR102257928B1 (en) | Vehicle siren module having an effective battery fixing structure | |
| JP2006243628A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 KR20210079629A (en) | Radar device | |
| JP7235455B2 (en) |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6069017B2 (en) | Head-up display device | |
| JP5818097B2 (en) | Vehicle ceiling structure | |
| KR102780591B1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WO2020170559A1 (en) | Exterior body for electrical wire and wire harness with exterior body | |
| JP6485184B2 (en) | Parts fixing structure | |
| KR102216477B1 (en) | Vehicle siren module combined with laser welding | |
| JP3107003U (en) | Cable support structure | |
| KR102870476B1 (en) | Camera Apparatus | |
| JP6065280B2 (en) |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fixture | |
| KR200473221Y1 (en) | Connect structure for door trim side impact pad assembly | |
| KR20250082775A (en) | Airbag cover assembly | |
| JP5638223B2 (en) | Collision-compatible power supply device | |
| JP2007005703A (en) | Wire harness protector | |
| KR970006254Y1 (en) | Supporting structure of car-stereo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