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2032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032B1
KR102252032B1 KR1020140117906A KR20140117906A KR102252032B1 KR 102252032 B1 KR102252032 B1 KR 102252032B1 KR 1020140117906 A KR1020140117906 A KR 1020140117906A KR 20140117906 A KR20140117906 A KR 20140117906A KR 102252032 B1 KR102252032 B1 KR 10225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obile terminal
plate
display unit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839A (ko
Inventor
이민종
설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32B1/ko
Priority to US14/662,782 priority patent/US9483081B2/en
Priority to CN202011453031.4A priority patent/CN112689035B/zh
Priority to CN201510219966.9A priority patent/CN106210178B/zh
Priority to EP18189656.4A priority patent/EP3422141B1/en
Priority to EP15171809.5A priority patent/EP2993551B1/en
Priority to EP19214735.3A priority patent/EP3640766B1/en
Priority to EP19214729.6A priority patent/EP3640765B1/en
Publication of KR2016002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펴진 상태인 제1 상태 및 접힌 상태인 제2 상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다만, 힌지부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접힘상태 및 펼친상태로 변형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주름이 생기므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변형고정에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부를 보다 평평하게 유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펴진 상태인 제1 상태 및 접힌 상태인 제2 상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을 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보다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 출력품직을 향상시키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상태변격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 사이를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부를 기준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접힘상태에서 힌지부를 감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만큼 이동 상대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의하여 펼침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전체적으로 평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펼침 및 접힘 상태의 반복되는 변형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접히는 영역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접히는 영역의 이미지 출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실장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제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상태로 변형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1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모듈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모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바디부(101, 102)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1 바디부(10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바디부(102)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나머지 영역을 지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각을 이루면서 상대회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 사이를 연결하는 영역에 고정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지게 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적어도 일 영역이 중첩되도록 접히는 상태 제2 상태가 된다.
도 1b의 (a)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힌상태인 제2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b의 (b)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펴진상태인 제1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과 상기 나머지 영역이 각도를 이루면서 구부러지는 상태도 존재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서로 중첩된 상태가 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일 영역과 상기 나머지 영역 사이의 공간은 곡면을 이루면서 구부러진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기 설정된 베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각각 기 설정된 두께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이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기 설정된 형상의 바디부에 고정되어 제1 및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바디부에 밀착된 상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 및 힌지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상기 힌지부(10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힌지부(103)는 힌지축(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일 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부착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 바디부(101)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상기 일 면은 표면으로부터 리세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영역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101)는 상기 일 면과 반대되는 타면으로부터 리세스되어 상기 제2 바디부(102)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나머지 영역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01')을 더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공간(101')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제2 바디부(10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두께(d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접힌상태인 제2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제2 바디부(102)는 상기 내부공간(101')에 모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상기 타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외부면은 실질적으로 평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03)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제1 바디부(101)와 고정되며,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일 단부는 상기 힌지부(10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일 단부는 상기 힌지축보다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바디부(102)의 일 단부는 상기 힌지부(103)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출(미도시)의 위치보다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바디부(102)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2a)는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바디부(101)로부터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103)에 연결된다.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가 서로 완전히 중첩되기 위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102a)는 상기 힌지부(103)의 중심인 상기 힌지축의 위치보다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2a)는 상기 힌지부(103)의 일 영역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일 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102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 각각의 단부가 하나의 단부를 이루도록 서로 중첩된다. 한편,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 각각의 일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타 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나머지 영역이 장착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타면 사이에 접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은 상기 제1 바디부(101)에 고정되는 영역과 상기 제2 바디부(102)에 고정되는 영역 및 미부착 영역(S)이 형성된다. 상기 미부착 영역(S)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03)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미부착 영역(S)는 접촉이 제한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상기 제1 플레이트(101a)와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2 바디부(102)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104)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2a)를 기준으로 사기 디스플레이부가 연장되는 방향, 즉 도면 상에서 제1 향(D1)을 따라 왕복이동 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102b)를 가이드 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b를 A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c는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는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이며, 상기 수납공간(101')이 노출된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 홈(104a) 및 가이드 돌기(104b)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104a)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타 면으로부터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04b)는 상기 가이드 홈(104a)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02a)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04b)는 상기 가이드 홈(104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I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2 플레이트(102b)는 상기 가이드 홈(104a)를 따라, 상기 제1 바디부(101), 즉 상기 힌지부(10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 상기 미부착 영역(S)는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멀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1, 102)로부터 장력을 받아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상기 제2 바디부(102)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상태를 설명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조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d의 (a)는 제1 상태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2d의 (c)는 제2 상태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2d의 (b)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또는 이와 반대로) 변형되는 중간상태에 해당된다.
도 2d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2a)의 제1 단부(102a')와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제2 단부(102b') 사이의 길이를 제1 길이(l1)으로 정의한다. 도 2d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길이(l1)은 상기 미부착 영역(S)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d의 (b)는 상기 제1 바디부(101)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02a)가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2 바디부(102)가 상기 제1 바디부(101)를 기준으로 상대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102a', 102b') 사이의 길이는 제2 길이(l2)가 되며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2)보다 작다. 또한, 상기 미부착 영역(S)의 일부는 상기 힌지부(103)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도 2d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는 상기 수납영역(101')에 수납된다. 즉, 순차적으로 중첩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나머지 영역이 사기 수납영역(101')에 삽입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외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단부(102a', 102b') 사이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사라지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102a', 102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힌지부(151)의 외주의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길이(l1)은 상기 힌지부의 외주의 반에 해당되는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지름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접힘상태에서 힌지부를 감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만큼 이동 상대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의하여 펼침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전체적으로 평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펼침 및 접힘 상태의 반복되는 변형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접히는 영역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접히는 영역의 이미지 출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실장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부(101)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102)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제1 두께(d1)로 형성되는 수납공간(101')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힌지부(103)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바디부(101)의 타단부에 상기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제1 실장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연장되는 길이 및 상기 수납공간(101')의 두께(d1)와 상기 힌지부(103)의 중심으로부터의 반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장공간에 상기 전원공급부(190)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장공간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에 해당되므로 용량이 향상된 배터리 등을 실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실장공간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102)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101)는 상기 힌지부(103)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부착되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101') 사이의 두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101) 기 설정된 두께로 인하여 형성되는 제2 실장공간에 전자부품에 따른 전기신호를 형성하는 회로기판(181)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장공간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제1 바디부와 부착되는 일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실장공간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 실장공간의 형상 및 상대적인 크기도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실장공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바디부(101)는 도 3a의 수납공간(101')이 형성되지 아니한다. 도 3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부착된 상기 제2 바디부(102)는 상기 제1 바디부(101)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도 3b의 (a)는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단면도이고, 도 3b의 (b)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 각각의 두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실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바디부(101)의 상기 제1 실장공간에는 넓고 얇게 형성되는 전원공급부(190)가 실장되고, 상기 제2 바디부(102)의 상기 제2 실장공간에는 상기 회로기판(181)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연장되므로 보다 넓고 얇은 실장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장공간이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0)에 모두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바디부(101, 102)의 무게를 보다 균형있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플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따라 평평하게 변형되기 위한 장력을 제공받는다. 이하에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제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d 및 도 4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102c)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102c)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의 총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2a)의 제1 단부(102a')와 상기 측벽부(102c) 사이에 상기 제1 길이(l1)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102c)는 상기 제2 단부(102b')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격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02c)와 상기 제1 플레이트(102a)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107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107a)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측벽부(102c)와 상기 제1 플레이트(102a)는 서로 멀어지는 힘을 받고, 이에 따라 상기 측벽부(102c)에 고정된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와 상기 제1 플레이트(102a)가 서로 멀어지려는 장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측벽부(102c)는 상기 제1 탄성부재(107a)가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도는 기 설정된 깊이의 제1 홈(102c')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미부착 영역(S)에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도 4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107a)는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동안 인가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탄성부재(107a)는 상기 제1 홈(102c')에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02a, 102b)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102a)가 이동하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미부착 영역(S)를 더욱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제2 바디부에 형성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102b)는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타단부,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03)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제2 홈(1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102)는 상기 제2 홈(102')에 일부가 수납 및 고정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와 상기 힌지부(103)사이를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107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107b)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03)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102b)를 밀어내는 힘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102b)는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더 멀리 이동하게 되고, 상기 미부착 영역(S)를 더욱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4c를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수납되는 제3 탄성부재(107c)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104)가 상기 힌지부(103)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돌기(104b') 및 상기 힌지부(103)와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가이드돌기(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104b', 104b'')가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제1 길이(l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104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탄성부재(107c)는 상기 가이드 홈(104a)에 수납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04b'')와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가이드 홈(104a)을 이루는 내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04b'')와 상기 가이드 홈(104a)을 이루는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내면 사이의 제3 길이(l3)은 상기 제1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2제3 탄성부재는 수축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107c)를 수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04b'')와 상기 제2 플레이트(102b)의 내면 사이의 제4 길이(l4)는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3 탄성부재(107c)는 상기 가이드부의 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탄성부재(107c)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으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보다 심플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여, 변형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부착되는 변형가이드 부재(1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변형 가이드 부재(106)는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평평해지도록 스스로 변형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형가이드 부재(106)는 평평해지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변경가능한 밴딩센서 및 기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하려는 힘을 갖는 형상기억부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가이드 부재(106)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영역 또는 전체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미부착 영역(S)에 형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르면 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별도의 구조없이, 상기 변형가이드 부재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 따른 상기 제2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를 상대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도 2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도 2a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힌지부(203)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204) 및 탄성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는 제1 및 제2 삽입홈(201', 2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201', 202')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4)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홈(201', 202')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204a, 204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205)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204a, 204b)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로부터 탄성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탄성부재(205a, 205b)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203)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탄성부재(205b)는 상기 제2 플레이트(202)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밀어낸다. 반대로 상기 제1 탄성부재(205a)는 상기 힌지부(203)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201)를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203)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 20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에 부분적으로 고정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01, 202)에 의하여 고정되지 아니하는 미부착영역(S)를 포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미부착 영역(S)은 상기 힌지부(203)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 20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미부착 영역(S)에 장력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1 상태에서 상기 미부착영역(S)은 바디부에 의하여 지지되지 아니하더라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201)는 제1 단부(201a) 및 제2 단부(20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01)는 제1 단부(202a) 및 제2 단부(202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201)의 상기 제2 단부(201b)와 상기 제2 플레이트(202)의 상기 제2 단부(202b)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a, 201b)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힌지부(203)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 202)의 상기 제2 단부(201b, 202b)는 상기 힌지부(20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203)의 외주면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 201)의 제2 단부(201b, 202b)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기 미부착 영역(S)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 202)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01, 201)의 제1 단부(201a, 202a)는 하나의 단부를 이루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단부((201a, 202a)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205)는 제1 및 제2 삽입홈(201', 202')의 내부에서 보다 수축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205)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고자 하는 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탄성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므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보다 컴팩트한 이동 단말기를 구현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실시예 따른 상기 제2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를 상대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303) 및 가이드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는 도 2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도 2a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의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는 각각 상기 힌지부(30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는 기 설정된 길이의 가이드 홈(304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304a)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304b)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30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의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돌기(304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51)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는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30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 상에 형성되는 제3 바디부(306)를 구비한다. 상기 제3 바디부(306)은 상기 이동 단말기(30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자부품을 실장할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 상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3 바디부(306)의 일 면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바디부(306)의 두께는 상기 힌지부(303)의 지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302)의 단부는 일치하도록 형성되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302)의 단부 사이에 이격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531)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 사이에 스페이서(3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05)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531)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 사이를 지지하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351) 보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의 단부가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직접적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므로 구조가 보다 간편하고, 반복적인 변형이 있어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바디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제2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제2 상태에서 한 쌍의 바디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300)의 상기 제3 바디부(306)는 상기 한 쌍의 제3 바디부(306)가 마주보는 영역의 일부가 리세스 되어 형성되는 홈(307)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홈(307)에 손가락을 넣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바디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제2 상태에서 한 쌍의 바디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30)의 한 상의 제3 바디부는 각각 극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자석부(308a, 30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부(308a)는 돌출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자석부(308b)는 상기 제1 자석부(308a)와 대응되는 함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극의 자석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자석부(308a, 308b)는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301, 302)가 제2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제공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상태로 변형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기 설정된 각도(θ)로 구부러지는 제3 상태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8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힌지부(103)에 장착되는 스토퍼모듈(109)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03)는 기 설정된 영역에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홈부(103')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모듈(109)은 상기 제2 바디부(102)를 지지하는 스토퍼(109a) 및 상기 홈부(103')에 수납되어 상기 스토퍼(109a)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109b)를 포함한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모듈(109)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제1 플레이트(102a) 사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8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09a)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하여 눌리며, 상기 스토퍼(109a)는 상기 홈부(103')로 수납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제3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제1 플레이트(10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02a)는 상기 탄성부(109b)에 의하여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09a)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2a)를 지지하므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2b)는 더 이상 이동이 차단된다.
상기 스토퍼(109b)는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2b)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기 설정된 각도(θ)로 구부러진 상태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모듈에 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더 이상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커버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펴진 상태인 제1 상태 및 접힌 상태인 제2 상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지지하고, 제1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회전가능 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나머지 영역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 -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함 -; 및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를 밀어내도록 배치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 단부 사이는 제1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 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 단부가 서로 만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상대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힌지부의 외주 길이의 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실장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실장공간은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을 위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의 가장자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 영역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부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평평해지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변형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펴진 상태인 제1 상태 및 접힌 상태인 제2 상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바디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영역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를 상기 제2 바디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 -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바디부에 대한 상기 제1 바디부의 회전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도록 함 -;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에서 확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상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 면에 리세스되도록 형성된 수납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바디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영역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홈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영역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단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단부 사이에 길 설정된 이격거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타면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3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 및 상기 한 쌍의 제3 바디부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석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기 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지는 경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힌지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117906A 2014-09-04 2014-09-04 이동 단말기 Active KR10225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06A KR102252032B1 (ko) 2014-09-04 2014-09-04 이동 단말기
US14/662,782 US9483081B2 (en) 2014-09-04 2015-03-19 Mobile terminal
CN201510219966.9A CN106210178B (zh) 2014-09-04 2015-04-30 移动终端
CN202011453031.4A CN112689035B (zh) 2014-09-04 2015-04-30 移动终端
EP18189656.4A EP3422141B1 (en) 2014-09-04 2015-06-12 Mobile terminal
EP15171809.5A EP2993551B1 (en) 2014-09-04 2015-06-12 Mobile terminal
EP19214735.3A EP3640766B1 (en) 2014-09-04 2015-06-12 Mobile terminal
EP19214729.6A EP3640765B1 (en) 2014-09-04 2015-06-12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06A KR102252032B1 (ko) 2014-09-04 2014-09-0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839A KR20160028839A (ko) 2016-03-14
KR102252032B1 true KR102252032B1 (ko) 2021-05-14

Family

ID=5340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906A Active KR102252032B1 (ko) 2014-09-04 2014-09-0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3081B2 (ko)
EP (4) EP3640765B1 (ko)
KR (1) KR102252032B1 (ko)
CN (2) CN112689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6688B (zh) * 2015-01-19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移动终端
CN104836865B (zh) * 2015-04-01 2017-05-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345270B1 (ko) * 2015-06-15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900156B (zh) * 2015-06-16 2017-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D783603S1 (en) * 2015-06-29 2017-04-11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04980545B (zh) * 2015-07-13 2016-10-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分离滑动的柔性屏移动终端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421579B1 (ko)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06847103B (zh) * 2016-12-28 2019-05-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36943B1 (ko) * 2016-09-29 2020-07-23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 팔찌
CN109845234A (zh) * 2016-10-11 2019-06-04 夏普株式会社 电子设备
CN108076172B (zh) * 2016-11-17 202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133664B (zh) * 2016-12-01 2020-08-14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承载结构
CN106886253A (zh) * 2017-02-21 2017-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盖板、显示屏组件及移动终端
KR102373875B1 (ko) 2017-05-22 202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7232700A (zh) * 2017-06-12 2017-10-10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KR102364129B1 (ko) * 2017-09-28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US10264678B1 (en) * 2017-10-03 2019-04-16 Rfmicron, Inc. Integrated and flexible battery securing apparatus
CN107885636A (zh) * 2017-11-07 2018-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提醒方法、装置及终端
CN108052247A (zh) * 2017-11-29 2018-05-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桌面图标调整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14445B1 (ko) * 2017-12-27 202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한 컨버터블 타입 전자 장치
KR102410217B1 (ko) * 2018-02-08 2022-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527231B1 (ko) * 2018-02-14 2023-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290235B (zh) 2018-03-19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600428B (zh) * 2018-04-02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CN108520702B (zh) * 2018-04-02 2022-05-1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产品
KR102588619B1 (ko) * 2018-07-1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69088B (zh) * 2018-07-27 2025-0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US11256304B2 (en) 2018-08-31 2022-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spensions for displays
US11481003B2 (en) 2018-09-21 2022-10-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890949B2 (en) 2018-10-12 2021-01-12 Google Llc Hinge mechanism by gear set with slider for foldable display device
CN109547591B (zh) * 2018-10-16 2023-08-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折叠终端、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0809767B2 (en) * 2018-10-25 2020-10-20 Google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1609611B2 (en) * 2018-11-13 2023-03-21 Google Ll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09521840B (zh) * 2018-11-13 2020-03-1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480190B (zh) * 2018-11-23 2022-04-15 Lg电子株式会社 柔性显示装置
KR102544073B1 (ko) * 2018-11-23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919188B (zh) * 2018-11-26 2024-07-02 谷歌有限责任公司 具有电磁调节的柔性显示器
US10820433B2 (en) * 2019-01-31 2020-10-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93338B2 (en) 2019-01-31 2021-04-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03217B2 (en) 2019-01-3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62389B1 (ko) * 2019-02-08 202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7600B1 (ko) * 2019-02-19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09874262B (zh) * 2019-02-23 2024-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电路板组件及终端
CN109872630B (zh) * 2019-03-01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可折叠装置和电子设备
JP1646025S (ko) * 2019-04-10 2021-11-08
EP3955236B1 (en) * 2019-04-11 2023-11-15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122479A (ko) * 2019-04-18 2020-10-28 박철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
CN111831059A (zh) * 2019-04-19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859226B1 (ko) * 2019-04-25 2025-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CN113348424A (zh) * 2019-06-06 2021-09-03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铰链装置及可弯折组件
CN210640914U (zh) * 2019-06-20 2020-05-29 安费诺飞凤(安吉)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运动机构及内折柔性屏终端
KR102760562B1 (ko) * 2019-06-24 2025-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278302B (zh) * 2019-06-26 2021-05-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终端及显示控制方法
CN112153188B (zh) * 2019-06-28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式终端
TWM592168U (zh) * 2019-07-03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10336904B (zh) * 2019-07-16 2021-07-0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0557481B (zh) * 2019-08-28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447098A (zh) * 2019-09-03 2021-03-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滚动条式显示设备以及滚动条式显示设备的调变方法
KR20220125211A (ko) * 2019-09-03 2022-09-14 마이클 제이. 얼 스프링-장전형 언폴딩-디스플레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CN110570767A (zh) * 2019-09-10 2019-12-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以及终端设备
CN110706598B (zh) * 2019-10-23 2024-09-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10910767B (zh) * 2019-11-29 2020-12-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11010829B (zh) * 2019-12-26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344644B1 (ko) * 2020-01-08 202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3244B1 (ko) 2020-01-08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61048B (zh) * 2020-02-28 2021-08-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TWI726651B (zh) * 2020-03-11 2021-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折疊式螢幕與可攜式電子裝置
CN213270696U (zh) 2020-05-27 2021-05-25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内折柔性屏终端的运动机构及内折柔性屏终端
CN111683166B (zh) 2020-05-28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1251775A1 (ko) 2020-06-10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딩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전자 장치
KR102836603B1 (ko) * 2020-06-10 202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251774A1 (ko) 2020-06-10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딩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전자 장치
WO2022050544A1 (ko) 2020-09-03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274481B1 (ko) * 2020-10-12 2021-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187979A (zh) * 2020-10-21 2021-01-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机构、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112596580B (zh) * 2020-12-14 2023-12-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电子产品
WO2022241621A1 (en) * 2021-05-17 2022-11-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foldable-slider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13763819B (zh) * 2021-09-14 2023-05-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I784850B (zh) * 2021-12-22 2022-11-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釋放結構及折疊設備
KR102598622B1 (ko) * 2022-01-19 2023-11-07 주식회사 파인엠텍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US12181916B2 (en) 2022-10-13 2024-12-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push-to-open detection and power control
US12081256B2 (en) 2022-10-19 2024-09-03 Fellowes Mobile Llc Cover for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prot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4399A1 (en) * 2011-06-07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oldable assembly
US20130194741A1 (en) * 2012-01-30 2013-08-01 Lenovo (Singapore) Pte. Ltd. Dual shaft hinge with angle timing shaft mechanism
WO2014087951A1 (ja) * 2012-12-05 2014-06-12 Saito Takashi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5055B2 (en) * 2008-12-26 2013-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TWI383343B (zh) * 2010-05-21 2013-01-21 Wistron Corp 可提供顯示面板平面支撐之電子裝置
KR101292974B1 (ko) *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TWI416444B (zh) * 2011-03-21 2013-11-21 Wistron Corp 顯示器
TWI449991B (zh) * 2011-03-21 2014-08-21 Wistron Corp 顯示器及具有該顯示器的電子裝置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908365B2 (en) * 2012-06-25 2014-12-09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having a continuous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s
KR101911047B1 (ko) * 2012-07-25 2018-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US8971031B2 (en) *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US8804349B2 (en) *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9013864B2 (en) * 2012-11-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EP2728433A1 (en) * 2012-11-02 2014-05-07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2020659B1 (ko) * 2013-06-03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1547640B1 (ko) * 2013-09-16 2015-08-27 (주) 프렉코 가이드부재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CN103744477B (zh) * 2013-12-25 2017-02-22 三星半导体(中国)研究开发有限公司 可分离式双屏终端及其控制系统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3914273B (zh) * 2014-03-25 2017-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4399A1 (en) * 2011-06-07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oldable assembly
US20130194741A1 (en) * 2012-01-30 2013-08-01 Lenovo (Singapore) Pte. Ltd. Dual shaft hinge with angle timing shaft mechanism
WO2014087951A1 (ja) * 2012-12-05 2014-06-12 Saito Takashi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2141B1 (en) 2024-01-17
EP3640765A1 (en) 2020-04-22
EP2993551B1 (en) 2018-09-26
US20160070303A1 (en) 2016-03-10
EP3422141A1 (en) 2019-01-02
CN106210178A (zh) 2016-12-07
CN112689035A (zh) 2021-04-20
US9483081B2 (en) 2016-11-01
EP3640766A1 (en) 2020-04-22
CN112689035B (zh) 2023-05-23
EP2993551A1 (en) 2016-03-09
KR20160028839A (ko) 2016-03-14
CN106210178B (zh) 2021-01-05
EP3640765B1 (en) 2022-04-27
EP3640766B1 (en) 202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03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10217B1 (ko) 이동 단말기
KR10268920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5655B1 (ko) 이동 단말기
KR102398836B1 (ko) 이동 단말기
KR2022012838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1392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83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407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5031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599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03461B1 (ko) 이동 단말기
KR102364083B1 (ko) 이동 단말기
KR102528675B1 (ko) 이동 단말기
KR10279034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3462B1 (ko) 이동 단말기
KR10268920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21669B1 (ko) 알림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2364B1 (ko) 이동 단말기
KR102174643B1 (ko) 이동 단말기
KR2022003804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34388A (ko) 이동 단말기
KR1026628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3576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83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