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53117B1 -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17B1
KR102253117B1 KR1020190077816A KR20190077816A KR102253117B1 KR 102253117 B1 KR102253117 B1 KR 102253117B1 KR 1020190077816 A KR1020190077816 A KR 1020190077816A KR 20190077816 A KR20190077816 A KR 20190077816A KR 102253117 B1 KR102253117 B1 KR 10225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lock
lock device
key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553A (en
Inventor
강재욱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강재욱
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욱, 강재석 filed Critical 강재욱
Priority to KR102019007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17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1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카드 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커버의 내측에서 레버 삽입 구멍의 주변에 설치된 레버 프레임과,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전진 상태 또는 후진 상태로 유지되는 엘리베이터와, 키 홈에 카드 키가 삽입되면 키 실린더가 이동하는 키 실린더 모듈과,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manually unlock a door by using a card key. To this end,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frame installed around the lever insertion hole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an elevator maintained in a forward or backward state on the lever frame, and a key cylinder when a card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It includes a key cylinder module to move, and a lifter for moving the elevator back and forth while interlocking with the key cylinder.

Description

카드 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카드 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manually unlock a door by using a card key.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the case of mechanical door locks, sinc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key, in most cases, electric door locks that can open the door through password or fingerprint input are widely used.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푸쉬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푸쉬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최근에는 가벼운 터치만으로 입력이 용이하며 디자인적인 미감을 발휘하는 터치스크린을 전기 작동식 도어락에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The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has a push button or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 user inputs a passwor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or touching the touch screen. Recently, there are many cases of employing an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with a touch screen that allows easy input with only a light touch and exhibits a design aesthetic.

그러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경우 대부분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만약 사전에 배터리 방전을 인지하지 못하고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도어락의 작동이 정지되어 문을 열 수 없게 되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most of the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s operate using batteries, if the battery is discharged without recognizing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in advance,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may be stopped and the door may not be open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락 외부에 배터리 단자를 노출시킨 제품이 출시되었다. 배터리 단자가 노출된 도어락의 경우 배터리 방전에 따른 작동 정지를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으나, 배터리 방전에 대비하여 다른 배터리를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역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product that exposes the battery terminal outside the door lock has been released. In the case of a door lock with an exposed battery terminal, operation stoppage due to battery discharge can be conveniently solved,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other battery in preparation for battery discharge.

따라서 전기 작동식과 기계식의 장점을 모두 갖춘 새로운 방식의 도어락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type of door lock device that has the advantages of both electric and mechanical type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83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583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문을 열 수 있는 동시에 수동으로도 문을 열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that can open a door by entering a password and at the same time manually open the do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capable of manually opening a door without using a general ke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커버의 내측에서 레버 삽입 구멍의 주변에 설치된 레버 프레임과,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전진 상태 또는 후진 상태로 유지되는 엘리베이터와, 키 홈에 카드 키가 삽입되면 키 실린더가 이동하는 키 실린더 모듈과,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frame installed around a lever insertion hole on the inside of the cover, an elevator maintained in a forward or backward state on the lever frame, and a card key in the key groove. When inserted, the key cylinder includes a key cylinder module that moves, and a lifter that moves the elevator forward and backward while interlocking with the key cylinder.

여기서, 상기 키 실린더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리프터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전진 상태에서 후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when the key cylinder moves upward, the lifter moves upward and the elevator switches from a forward state to a reverse state.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며, 상기 리프터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가 전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levator is installed on a spring, and the spring is compressed when the elevator is in a reverse state, and when the lifter moves downward, the elevator is converted to a forward state by a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가 전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스토퍼 역할을 하여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스토퍼 역할이 사라져 레버의 회전 반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is in a forward state, it acts as a stopper on the lever fram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and when the elevator is in a backward state, the stopper role disappears from the lever frame, thereby increas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lever. It is done.

한편, 상기 키 홈은 상기 커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key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카드 키를 대면 근접통신을 통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도어락 장치에 키 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 홈에 상기 카드 키가 삽입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 device that is unlocked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when a card key is faced. It is formed in a key groove in the door lock device, and is locked when the card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e is released.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키 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기 커버와, 상기 외기 커버의 삽입 구멍에 설치된 외기 레버와, 상기 외기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외기 레버가 회전하지 못하다가 상기 키 홈에 카드 키가 삽입되면 상기 외기 레버가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ide air cov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door and having a key groove, an outside air lever installed in an insertion hole of the outside air cover, and a locking device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outside air lever. When the outside air lever is not rotated when the locking device is in a locked state, and a card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the outside air lever is rotated and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외기 커버는 그 내측에서 삽입 구멍의 주변에 외기 레버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면서 전진 상태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키 홈에 카드 키가 삽입되면 키 실린더가 이동하면서 키 실린더에 연동하는 리프터가 상기 엘리베이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outside air cover, an outside air lever frame is installed around the insertion hole from the inside thereof, and the elevator moves on the outside air lever frame to maintain a forward or reverse state, and when a card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the key As the cylinder moves, a lifter interlocking with the key cylinder moves the elevator back and for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방식으로 문을 열 수 있는 한편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한 카드 키를 이용해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oor can be opened digitally and the door can be manually opened using a card key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커버의 저면에 키 홈을 형성하여 종래의 도어락처럼 일반적인 열쇠 구멍을 전면에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외부인이 열쇠 구멍을 찾을 수 없어서 수동으로 문을 열려는 시도를 할 수 없다는 효과가 있다.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key groove on the bottom of the cover and does not form a general key hole on the front like a conventional door lock, so the exterior is not only beautiful, but also because an outsider cannot find the key hole, the door is manually opened. Has the effect of not being able to try.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와 카드 키에는 근접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서 카드 키를 도어락 장치에 대면 문이 열리는 동시에 카드 키를 도어락 장치의 키 홈에 삽입하면 수동으로도 문을 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나의 카드 키를 이용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built-in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the door is opened when the card key is placed against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door can be opened manually by inserting the card key into the key groove of the door lock device. Has the effect of opening the door automatically or manually using a single card k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의 삽입 전 외기 커버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의 삽입 전 도어락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의 삽입 후 외기 커버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의 삽입 후 도어락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outside air cover before inserting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door lock device before inserting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outside air cover after insertion of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fter insertion of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Note that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 for known components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는 외기 커버(10)와 외기 레버(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도어락 장치가 도어 외측에 설치된 모습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어 내측에도 동일한 형태로 내기 커버와 내기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oor lock device includes an outside air cover 10 and an outside air lever 20. In FIG. 1, only the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but the inside of the door is also provided with a bet cover and a bet lever.

외기 레버(20)는 외기 커버(10)의 구멍에 삽입되어 잠금장치(미도시)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내기 레버도 내기 커버의 구멍에 삽입되어 잠금장치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The outside air lever 20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outside air cover 10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cking device (not shown), and similarly, the inside air lever is also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inside cover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는 외기 레버(2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어를 열 수 없다. 이와 같이 도어락 장치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외기 레버(20)에 설치된 버튼 어레이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외기 레버(20)를 아래로 잡아 당길 수 있게 되므로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When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locked state, the outside air lever 20 does not rotate, so the door cannot be open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in the locked state, when the user inputs the password through the button array installed on the outdoor air lever 20,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and the outside air lever 20 can be pulled downward, so that the door is opened. You will be able to open i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비밀번호 입력 방식 외에 카드 키 방식으로 외기 레버(20)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기 커버(10)의 하단에 설치된 키 홈에 카드 키(30)를 삽입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n the door by rotating the outside air lever 20 in a card key method in addition to the password input method. That is, the user can open the door by inserting the card key 30 into the key groov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utdoor air cover 10.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장치는 상자형 잠금장치로서 도어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고, 잠금장치의 양측에 외기 레버(20)와 내기 레버가 연결되어 있다. 장금장치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외기 레버(20)가 회전하지 못하다가 키 홈에 카드 키(30)가 삽입되면 외기 레버(20)가 회전하면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type locking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door, and an outside air lever 20 and an inside lever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cking device. When the locking device is in the locked state, when the outside air lever 20 is not rotated and the card key 30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the outside air lever 20 rotates and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를 나타낸 것이다. 2 shows a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키(30)는 납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지갑에 쉽게 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30)에는 NFC 등의 근접통신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락 장치에도 근접통신 모듈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카드 키(30)를 도어락 장치에 대면 근접통신을 통해 카드 키(30)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도어락 장치에 전송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ard key 30 is manufactured in a flat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it in a wallet.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NFC may be embedded in the card key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is also installed in the door lock device, and when a user puts the card key 30 on the door lock device, a password stored in the card key 30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through proximity communication to open the door.

사용자는 카드 키(30)를 도어락 장치에 대어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하거나 카드 키(30)를 도어락 장치의 키 홈에 삽입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The user can automatically open the door by placing the card key 30 on the door lock device or manually open the door by inserting the card key 30 into the key groove of the door lock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의 삽입 전 외기 커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도 4는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3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utside air cover before insertion of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cross section thereof.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기 커버(10)의 내측에서 외기 커버의 삽입 구멍의 주변에 레버 프레임(11)이 설치되어 있고, 레버 프레임(11) 상에는 엘리베이터(12)가 전진 상태 또는 후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3 and 4, the lever frame 11 is installed around the insertion hole of the outdoor air cover from the inside of the outside air cover 10, and the elevator 12 is in the forward or backward state on the lever frame 11 It is installed so that it remains in a state.

외기 커버(10)의 저면에는 키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키 홈을 통해 카드 키(30)가 삽입되면, 카드 키(30)가 키 실린더 모듈(14)의 키 실린더에 삽입된다. A key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side air cover 10, and when the card key 30 is inserted through the key groove, the card key 30 is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of the key cylinder module 14.

엘리베이터(12)가 전진 상태에 있을 때, 외기 커버(10)에 밀착되어 있어서 레버 프레임(11) 상에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게 된다. When the elevator 12 is in the forward stat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cover 10 to act as a stopper on the lever frame 11.

외기 레버(10)가 외기 커버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켓 모듈(22)이 연결되어 있고 소켓 모듈(22)에는 바 모듈(23)이 연결되어 있으며, 바 모듈(23)의 내부에는 모터(24)가 내장되어 있다. The socket module 22 is connected to the part where the outdoor air lever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outdoor air cover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and the bar module 23 is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22, and the bar module 23 ), the motor 24 is built-in.

도 4에서, 엘리베이터(12)가 전진 상태에 있는 경우, 외기 레버(10)에 연결된 소켓 모듈(22)이 레버 프레임(13) 상에서 회전할 때 엘리베이터(12)가 스토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걸리게 된다. In FIG. 4, when the elevator 12 is in the forward state, the elevator 12 acts as a stopper when the socket module 22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lever 10 rotates on the lever frame 13, so it is caught.

즉, 외기 레버(10)를 아래로 당겨 회전시키고자 할 때 전진 상태의 엘리베이터(12)에 걸려 외기 레버(10)의 회전이 제한된다. 외기 레버(10)의 회전이 제한되면 잠금장치의 래치가 인입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utside air lever 10 is pulled down and rotated, the elevator 12 in the forward state is caught and the rotation of the outside air lever 10 is restricted. When the rotation of the outside air lever 10 is restricted, the latch of the locking device is not retracted,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can be maintain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키의 삽입 후 외기 커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은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5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utdoor air cover after insertion of the card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cross section thereof.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12)의 전진 상태에서 외기 커버(10)의 키 홈을 통해 카드 키(30)를 삽입하면 키 실린더 모듈(14)의 키 실린더에 카드 키(30)가 들어가면서 키 실린더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5 and 6, when the card key 30 is inserted through the key groove of the outdoor air cover 10 in the advanced state of the elevator 12, the card key 30 is inserted into the key cylinder of the key cylinder module 14. As it enters, the key cylinder moves upward.

키 실린더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키 실린더 모듈(14)에 연결된 리프터(15)가 키 실린더에 연동하여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프터(15)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프터(15)와 접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12)가 전진 상태에서 후진 상태로 위치가 변경된다. When the key cylinder moves upward, the lifter 15 connected to the key cylinder module 14 interlocks with the key cylinder and moves upward together. When the lifter 15 moves upward, the elevator 12 in contact with the lifter 15 changes its position from the forward state to the reverse state.

엘리베이터(12)와 리프터(15)는 서로 경사지게 접촉되어 있다. 엘리베이터(12)와 리프터(15)가 경사면으로 접촉되어 있어서 리프터(15)의 상방 이동 시에 엘리베이터(12)가 경사면을 따라 가압되면서 뒤로 밀리게 된다. The elevator 12 and the lifter 15 are in obliqu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levator 12 and the lifter 15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when the lifter 15 moves upward, the elevator 12 is pres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pushed back.

엘리베이터(12)가 후진 상태로 전환되면, 엘리베이터(12)가 외기 레버(10)로부터 떨어지면서 스토퍼 역할이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엘리베이터(12)의 스토퍼 역할이 사라지면 외기 레버(10)에 연결된 소켓 모듈(22)의 회전이 자유로워지므로 외기 레버(10)가 엘리베이터의 전진 상태보다 더 많이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elevator 12 is switched to the reverse state, the stopper role disappears as the elevator 12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air lever 10. When the stopper role of the elevator 12 disappears, the socket module 22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lever 10 becomes free to rotate, so that the outside air lever 10 rotates more than the elevator's forward state.

도 6에서, 외기 레버(10)를 아래로 당겨 회전시키면 레버 프레임(11) 상에서 엘리베이터(12)의 스토퍼 역할이 사라져 외기 레버(10)의 회전 반경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회전각 α<β)In FIG. 6,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outside air lever 10 is pulled downward and rotated, the stopper role of the elevator 12 on the lever frame 11 disappears, thereby increasi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outside air lever 10. (Rotation angle α<β)

외기 레버(10)의 회전 반경이 증가하면 잠금장치의 래치가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When the turning radius of the outside air lever 10 increases, the latch of the locking device can be retracted,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is released and the door is opened.

한편, 엘리베이터(12)에는 스프링(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엘리베이터(12)가 후진 상태로 될 때 스프링(13)이 압축되고, 키 홈에 삽입된 카드 키(30)를 빼면서 키 실린더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연동하여 리프터(15)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엘리베이터(12)가 전진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12 is equipped with a spring 13, so that when the elevator 12 is in a reverse state, the spring 13 is compressed, and the key cylinder is lowered while the card key 30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is removed. When the lifter 15 is also moved downward by moving to and interlocking therewith, the elevator 12 is switched to the forward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ologi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기 커버 11: 외기 레버 프레임
12: 엘리베이터 13: 스프링
14: 키 실린더 15: 리프터
20: 외기 레버 22: 소켓 모듈
23: 바 모듈 24: 모터
30: 카드 키
10: outside air cover 11: outside air lever frame
12: elevator 13: spring
14: key cylinder 15: lifter
20: outside air lever 22: socket module
23: bar module 24: motor
30: card key

Claims (8)

커버의 내측에서 레버 삽입 구멍의 주변에 설치된 레버 프레임과,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전진 상태 또는 후진 상태로 유지되는 엘리베이터와,
키 홈을 통해 카드 키가 삽입되면 키 실린더가 이동하는 키 실린더 모듈과,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여,
상기 키 실린더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리프터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전진 상태에서 후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A lever frame installed around the lever insertion hole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An elevator maintained in a forward state or a reverse state on the lever frame,
A key cylinder module that moves the key cylinder when the card key is inserted through the key groove,
Including a lifter for moving the elevator back and forth while interlocking with the key cylinder,
When the key cylinder moves upward, the lifter moves upward and the elevator switches from a forward state to a reverse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스프링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며, 상기 리프터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가 전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vator is installed on a spring, the spring is compressed when the elevator is in a reverse state, and when the lifter moves downward, the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is converted to the forward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전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스토퍼 역할을 하여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레버 프레임 상에서 스토퍼 역할이 사라져 레버의 회전 반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elevator is in a forward state, it acts as a stopper on the lever fram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and when the elevator is in a backward state, the stopper role disappears from the lever frame, thereby increas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lever. Door loc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홈은 상기 커버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lock device, wherein the key groove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77816A 2019-06-28 2019-06-28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Active KR102253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16A KR102253117B1 (en) 2019-06-28 2019-06-28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816A KR102253117B1 (en) 2019-06-28 2019-06-28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53A KR20210001553A (en) 2021-01-06
KR102253117B1 true KR102253117B1 (en) 2021-05-14

Family

ID=7412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816A Active KR102253117B1 (en) 2019-06-28 2019-06-28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31A1 (en)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아마다스 Door lock device capable of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by using card ke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53Y1 (en) * 2003-03-14 2003-06-11 김경수 Automatic and manual card key door lock
KR100756673B1 (en)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Door Loc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34Y1 (en) 2011-10-14 2013-03-12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combination structure of emergency key cylinder for digital door 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53Y1 (en) * 2003-03-14 2003-06-11 김경수 Automatic and manual card key door lock
KR100756673B1 (en)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Door Lo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53A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4983B (en) Lock body with main locking dog capable of automatically locking and quickly unlocking
US7350383B1 (en) Electronic lock
EP3425142B1 (en) Thin hasp lock easy to operate
KR101142425B1 (en) Door lock unlocking device
CN110670976A (en) Puzzle lock
CN206581711U (en) A thin buckle that is easy to operate
CN106760987B (en) Puzzle lock
CN106948671A (en) A kind of intelligent case and bag fingerprint electronic lock
KR102253117B1 (en) Door lock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locked state using card key
KR101598958B1 (en)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Mortise Lock
CN205743319U (en) Electronic lock control mechanism
KR101876476B1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with safty lock
KR102498722B1 (en) Dial padlock for easy locking and password reset
CN210768208U (en) Double-quick false mortise lock body
CN205591653U (en) Door handle structure
CN109098564A (en) A kind of fingerprint bag lock and the luggage using the lock
KR101695847B1 (en)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Doorlock Mortise having Transient Opening Function
CN212897979U (en) Case lock
TWM567293U (en) Safety linkage door lock
CN207245378U (en) An intelligent electric buckle lock
KR100623160B1 (en) Digital door lock
KR200495519Y1 (en) Digital doorlock
CN222835549U (en) Coded lock with electric unlocking function
KR102697515B1 (en) Unlocking structure of the latch bolt for a handle-fixed door lock device
CN109339630A (en) The safe joint control safe panel of separated electron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