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8779B1 -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779B1
KR102278779B1 KR1020190067587A KR20190067587A KR102278779B1 KR 102278779 B1 KR102278779 B1 KR 102278779B1 KR 1020190067587 A KR1020190067587 A KR 1020190067587A KR 20190067587 A KR20190067587 A KR 20190067587A KR 102278779 B1 KR102278779 B1 KR 10227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water
tank
skimmer
tre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0656A (en
Inventor
정태희
유승원
Original Assignee
(주)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9006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779B1/en
Publication of KR2020014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7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는,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 포함된 스키머(skimmer)에 있어서, 부상조에 수용된 피처리수에 침지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오염물질을 수용하는 바스켓(basket)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부상조의 후단에, 상기 부상조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바스켓의 바닥에는, 수용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half-pipe type skimmer and a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kimmer included in a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a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is immersed in the target water accommodated in the flotation tank, a basket for accommodating the levitated contaminants, wherein the basket extends across the flotation tub at the rear end of the flotation tank,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ccommodated sludg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ket do it with

Description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Half-pipe ty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same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f-pipe type skimmer an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용수 처리 공정 기술로 응집, 침전 또는 부상, 여과 및 소독과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집-침전-여과 또는 응집-부상-여과의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다. As water treatment process technology,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processes such as flocculation, sedimentation or flotation, filtration and disinfection may be used. Specifically, it may proceed in the order of flocculation-precipitation-filtration or flocculation-floating-filtration.

여기서, 용수 내의 부유물질을 응집 부상시키는 부상법(flotation)은 용수 내 물보다 가벼운 물질이 많은 경우 작은 공기 방울을 발생시켜 주입하여, 응집된 고형물 덩어리(플록, flock)를 가벼운 기포 부력에 의해 상승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부상법은 공기부상법(air-flotation), 용존공기부상법(DAF: dissolved air-flotation), 진공부상법(vaccum flotation) 등으로 나뉠 수 있다.Here, in the flotation method of cohesive flotation of suspended substances in water, when there are many substances lighter than water in the water, small air bubbles are generated and injected, and the aggregated solid mass (floc) is raised by light bubble buoyancy. tell how to do it The flotation method may be divided into an air-flotation method, a dissolved air-flotation (DAF) method, and a vacuum flotation method.

특히,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 DAF)은 미세기포를 이용하여 수중의 입자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공정이다. 미세기포와 플록이 결합하여 형성된 플로트(float)는 수표면에 축적되며, 이는 수거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제거된다.In particular, dissolved air flotation (Dissolved Air Flotation, DAF) is a process for removing particles in water by flotation using microbubbles. The float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microbubbles and flocs accumulates on the water surface, and i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removed by a collecting device.

용존공기부상법에서 부상된 플로트를 수거하는 수거 장치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발명자는 효과적인 플로트 수거 장치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Various collection devices for collecting floats injured in the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have been developed,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for an effective floa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용존공기부상법에 의한 수처리 장치에서 효율적으로 플로트를 제거할 수 있는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lf-pipe type skimmer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floats from a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a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an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 포함된 스키머(skimmer)에 있어서, 부상조에 수용된 피처리수에 침지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오염물질을 수용하는 바스켓(basket)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부상조의 후단에, 상기 부상조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바스켓의 바닥에는, 수용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파이프형 스키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kimmer included in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a basket is immers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ed in the flotation tank and accommodates the contaminants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Including, the baske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lotation tank, extending to cross the flotation tank, the bottom of the bas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accommodated sludge is formed, a half-pipe type skimmer is provided.

상기 바스켓는 수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 가능할 수 있다.The basket may be lif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상기 바스켓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스켓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스켓이 승강될 수 있다.a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baske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ke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and the basket, wherein the basket can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및a gea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상기 바스켓의 양단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sket,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chain coupled to the holder and engaged with the gear.

상기 바스켓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부상조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양단에 결합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guide rod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ating tank so as to extend i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basket; and a hold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sket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상기 바스켓의 높이는, 상기 부상조 내 피처리수의 수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baske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o be treated in the flotation tank.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오염물질을 배출시키는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hose coupled to 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hose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수를 수용하고, 미세버블을 공급받아 오염물질을 부상시키는 부상조; 및 상기 부상조에 설치되는 반파이프형 스키머(skimmer)를 포함하고, 상기 반파이프형 스키머는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에 해당하는, 수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comprising: a flotation tank that accommodates water to be treated and receives microbubbles to float contaminants; and a half-pipe type skimmer installed in the flotation tank, wherein the half-pipe type skimmer corresponds to one of claims 1 to 7, a water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처리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potential effects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의 슬러지 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and 11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showing a half-pipe type ski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sludge discharge process of the half-pipe type ski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alf-pipe type ski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lf-pipe type ski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related known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alf-pipe type skim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11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복수의 수조를 포함하며, 복수의 수조를 따라 전단에서 후단으로 피처리수(W)를 이송시키면서, 피처리수(W)를 최종적으로 배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처리하는 장치이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tanks, and while transferring the water to be treated (W)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along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to be treated (W) can be finally discharged It is a device for processing.

피처리수(W)는 오수, 폐수, 생활수 등으로서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오염물질 제거 처리가 필요한 액체 물질을 의미한다.The water to be treated (W) is sewage, wastewater, domestic water, etc., and contains contaminants and thus means a liquid material that needs to be treated to remove contaminants.

피처리수(W)는 유량 조절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수의 수조에 순차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피처리수(W)는 어느 한 수조의 수용량을 초과하도록 제공됨으로써 다음 수조로 자동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피처리수(W)는 펌프에 의해 인위적으로 복수의 수조에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water to be treated (W) may be automatically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water tanks sequentially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That is, the water to be treated (W) may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next tank by being provided to exceed the capacity of one tank. Meanwhile, the water to be treated (W) may b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a plurality of water tanks artificially by a pump.

원수조(1)에 저장된 원수(W1)는 원수라인을 통해 수처리장치로 공급된다. 원수는 오수, 폐수, 생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피처리수(W)가 최종적으로 처리되면 처리수(W2)가 되어 처리수조(2)로 집수된다.The raw water W1 stored in the raw water tank 1 is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raw water line. Raw water may include sewage, wastewater, domestic water,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be-treated water W is finally treated, it becomes the treated water W2 and is collected into the treated water tank 2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혼화기(10), 응집조(20), 부상조(30), 수집조(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ixer 10 , a coagulation tank 20 , a floatation tank 30 , and a collection tank 40 .

도 1의 혼화기(10)는 원수(W1)와 약품을 혼합하는 장치이다. 혼화기(10)는 원수(W1)가 이동하는 원수라인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혼화기(10)는 급속혼화기로서 라인믹서(linemixer)일 수 있다. 약품은 PAC 등의 응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은 약품탱크(T)에 저장되었다가 약품펌프(P1)의 작동에 의해 혼화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mixer 10 of FIG. 1 is a device for mixing raw water W1 and chemicals. The mixer 10 may be installed on the raw water line through which the raw water W1 moves. The mixer 10 may be a line mixer as a rapid mixer. The pharmaceutical may include a coagulant such as PAC. The chemical is stored in the chemical tank (T)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er 10 by the operation of the chemical pump (P1).

한편, 도 1의 혼화기는 도 11의 혼화조로 대체될 수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혼화조(10), 응집조(20), 부상조(30), 수집조(4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ixer of FIG. 1 may be replaced with the mixer of FIG. 11 . That i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ixing tank 10 , a coagulation tank 20 , a floating tank 30 , and a collecting tank 40 .

혼화조(10)는 공급된 원수(W1)와 약품을 혼합하는 수조이다. 약품은 PAC 등의 응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은 약품탱크(T)에 저장되었다가 약품펌프(P1)의 작동에 의해 혼화조(1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mixing tank 10 is a water tank for mixing the supplied raw water W1 and chemicals. The pharmaceutical may include a coagulant such as PAC. The chemical is stored in the chemical tank (T)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mixing tank (10) by the operation of the chemical pump (P1).

혼화조(10)에는 교반기(11)가 설치되어 원수와 약품을 효과적으로 혼화할 수 있다. 교반기(11)는 패들형 교반기, 프로펠러형 교반기, 터빈형 교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stirrer 11 is installed in the mixing tank 10 to effectively mix raw water and chemicals. The stirrer 11 may include a paddle-type stirrer, a propeller-type stirrer, a turbine-type stirrer, and the like.

응집조(20)는 혼화된 피처리수(W)를 응집하여, 피처리수(W) 내 오염물질을 플록(flock)화(덩어리화)하는 수조이다. 플록화는 미세버블과 충돌할 수 있을만큼 오염물질의 크기를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록의 크기(직경)는 32㎛ 이상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agulation tank 20 is a water tank in which the mixed water to be treated W is aggregated, and contaminants in the water to be treated W are flocked (agglomerated). Flocculation aims to increase the size of the contaminant so that it can collide with the microbubbles. The size (diameter) of the flock may be 32 μ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응집조(20)에는 교반기(21)가 설치될 수 있고, 교반기(21)는 패들형 교반기, 프로펠러형 교반기, 터빈형 교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응집조(20)의 교반기(21)는 혼화조(10)의 교반기(11)와 다른 종류로 형성될 수 있다. A stirrer 21 may be installed in the coagulation tank 20 , and the stirrer 21 may include a paddle-type stirrer, a propeller-type stirrer, a turbine-type stirrer, and the like. The stirrer 21 of the coagulation tank 20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stirrer 11 of the mixing tank 10 .

응집조(2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응집조(20)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의 플록은 점차 커질 수 있다. 응집조(20)를 통과한 피처리수(W)는 부상조(30)의 전단으로 유입되는데, 피처리수(W)는 특히 부상조(3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agulation tank 2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s i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agulation tanks 20 , the flocs of contaminants may gradually increase. The to-be-treated water W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agulation tank 20 flows into the front end of the flotation tank 30 , and the to-be-treated water W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flotation tank 30 .

한편, 도 11에서는 혼화조(10)와 응집조(20)가 서로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도 11과 달리, 혼화조(10)와 응집조(20)는 혼화응집조로서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11 , the mixing tank 10 and the coagulation tank 20 are shown separately from each other, but unlike FIG. 11 , the mixing tank 10 and the coagulation tank 20 may be integrated into one as a mixing and coagulation tank. .

부상조(30)는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조이며, 미세버블를 공급받아, 오염물질 플록을 미세버블로 부상시킨다. 미세버블은 공기와 이를 둘러싼 막으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로서 직경은 10 ~ 100 ㎛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버블은 미세버블 발생기에 의해 부상조(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flotation tank 30 is a water tank using the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and receives microbubbles to float the contaminant flocs into microbubbles. The microbubbles are made of air and a membrane surrounding the air, and are micro-sized bubbles and may have a diameter of 10 to 1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icrobubbles may be supplied to the flotation tank 30 by a microbubble generator.

미세버블 발생기는 포화조형 장치 또는 펌프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crobubble generator may include a saturated tank type device or a pump type device.

포화조형 장치로서의 미세버블 발생기는, 공기압축기(A) 및 접촉탱크(포화조, saturator)(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압축기(A)는 공기를 압축하여 접촉탱크(B)로 공급한다. 접촉탱크(B)에는 플록이 제거된 피처리수(W)가 공급되는데, 피처리수(W)는 수집조(40)와 접촉탱크(B) 사이에 마련되는 순환라인을 통해 공급된다. 또한, 순환라인에는 순환펌프(P2)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탱크(B) 내에서는 공기와 피처리수(W)가 서로 접촉된다. 접촉탱크(B)에 연결되어 부상조(30)로 연장된 노즐을 통해 미세버블이 부상조(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as a saturation tank device may include an air compressor (A) and a contact tank (saturator) (B). The air compressor (A) compresses air and supplies it to the contact tank (B). The contact tank B is supplied with the treated water W from which the floc has been removed, and the treated water W is supplied through a circulation line provided between the collecting tank 40 and the contact tank B. In addition, a circulation pump P2 may be provided in the circulation line. In the contact tank (B), air and the water to be treated (W)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icrobubbles may be supplied into the flotation tank 30 through a nozzle connected to the contact tank B and extended to the flotation tank 30 .

한편, 펌프형으로서의 미세버블 발생기는 도 1의 도시와 다르며, 상술한 포화조형 장치의 기능이 통합된 미세기포 발생 펌프(DAF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bubble generator as a pump type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 , and may include a microbubble generating pump (DAF pump)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saturation tank molding apparatus is integrated.

이 외에도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세버블 발생기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미세버블 발생기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 of microbubble generat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any known microbubble generator may be used.

부상조(30)는 컨택(contact)조와 분리(separation)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컨택조와 분리조 사이에는 격벽(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31)의 전단은 컨택조이고 격벽(31)의 후단은 분리조일 수 있다. 격벽(31)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처리수(W)의 흐름방향으로 50~70°경사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loating tank 30 may be divided into a contact tank and a separation tank, and a partition wall 31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tank and the separation tank.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wall 31 may be a contact tank and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31 may be a separation tank. The partition wall 3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and may be formed at an inclination of 50 to 70°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컨택조는 미세버블을 공급받는 공간이며, 컨택조에서 피처리수(W)가 미세버블을 만나 피처리수(W) 내 플록과 미세버블이 충돌할 수 있고, 미세버블은 충돌한 플록에 결합하여 플록을 부상시킬 수 있다. 피처리수(W)와 미세버블은 격벽(31)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ntact tank is a space that receives microbubbles, and the treated water (W) meets the microbubbles in the contact tank and the flocs and microbubbles in the treated water (W) can collide. It can injure the flocs. The water to be treated (W) and the microbubbles may move upward along the partition wall (31).

분리조에서는 미세버블에 의해 부상된 플록(플로트(float)라고도 함)(F)가 피처리수(W)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플로트(F)가 상층에 위치하고, 하층에 피처리수(W)가 위치한다. 이러한 플로트(F)는 소정의 두께의 층을 이룰 수 있다. In the separation tank, the flocs (also referred to as floats) F floated by microbubbles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to be treated (W). That is, the float F is located in the upper layer, and the water to be treated W is located in the lower layer. These floats (F) may form a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수면으로 부상된 플록(플로트)(F)은 스키머(skimmer)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스키머는 반파이프형 스키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ocs (floats) F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can be removed by a skimmer. Here, the skimmer may include a half-pipe type skimmer.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를 나타낸 도면이다. 2 to 5 are views showing a half-pipe type ski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바스켓(basket)(1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110)은 부상조(30)에 수용된 피처리수(W)에 침지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오염물질(플로트)(F)을 수용한다. 즉, 바스켓(110)은 피처리수(W) 내부에 위치하되, 부상된 오염물질(F)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최상단이 오염물질 플로트(F)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도록, 피처리수(W)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2 to 5 ,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ket 110 . The basket 110 is immers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W) accommodated in the flotation tank 30, and accommodates the contaminants (floats) F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That is, the basket 110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o be treated (W), so that the uppermost end is located slightly below the float (F) of the pollutants (F) to effectively accommodate the floating contaminants (F), the water to be treated (W) It can be located inside.

바스켓(110)은 중공부를 가지는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양분할한 한 개의 절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형태를 반파이프형라고 칭할 수 있다. The basket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ne half in which a pipe having a hollow portion is divided into tw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is form may be referred to as a half-pipe typ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한편, 절단 전의 파이프의 외주면은 곡면일 수 있으며, 따라서, 반파이프형 바스켓(110)의 외주면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파이프형 바스켓(11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efore cutting may be a curved surface, therefo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lf-pipe-shaped basket 110 may also include a curved surface. Such a half-pipe-shaped basket 110 is shown in FIG. 5 .

바스켓(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US와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ket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such as SUS.

바스켓(110)은 부상조(30) 후단에 설치되는데, 부상조(3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스켓(110)은 피처리수(W) 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피처리수(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반파이프형 바스켓(110)은 절단된 단면 부분이 부상조(30) 수면으로 부상된 플록(F)과 맞닿아 플록(F)을 받아낼 수 있다.The basket 11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tank 30 , and may extend to cross the floating tank 30 . Specifically, the basket 11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and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Accordingly, the half-pipe-type basket 110 may receive the flock (F) by contacting the cut cross-section with the flock (F) floated to the surface of the floating tank (30).

한편, 설명의 편의 상, 바스켓(110) 내로 수용된 플록을 슬러지(sludge)(S)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부상된 플록(F)은 바스켓(110)에 슬러지(S)로서 수용된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lock accommodated in the basket 110 will be referred to as sludge (S). That is, the floated flock (F) is accommodated as sludge (S) in the basket (110).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110)의 바닥에는 배출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스켓(110)의 바닥이라 함은, 절단 전 파이프의 내주면이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5 , an outlet H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ket 110 . Here, the bottom of the basket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efore cutting.

배출구(H)는 바스켓(110)의 바닥을 관통하며, 바스켓(110)에 수용된 슬러지(S)를 배출시킬 수 있다.The outlet (H) passes through the bottom of the basket (110), and may discharge the sludge (S) accommodated in the basket (110).

배출구(H)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H)는 두 개로 형성되고, 바스켓(110) 길이의 1/4, 3/4 인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H) may be formed in plurality. For example, the outlet H is formed in two, and may be formed at 1/4 and 3/4 of the length of the basket 110,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구(H)와 대응되도록 바스켓(110)에 배출관(111)이 형성되고, 배출구(H)와 배출관(111)의 중공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discharge pipe 111 is formed in the basket 110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port H, and the hollow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H and the discharge pipe 11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키머(100)는 호스(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se 120 .

도 4를 참조하면, 호스(120)는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굴곡이 가능하며, 바스켓(110)의 배출구(H)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바스켓(110)에 형성된 배출관(111)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호스(120)는 배출관(111)에 억지끼움되어 피처리수(W)가 배출관(111)을 통해 바스켓(110) 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hose 120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so that it can be bent, and can be connected to the outlet H of the basket 110 . In particular, it may be combined with the discharge pipe 111 formed in the basket 110 . At this time, the hose 120 may be press-fitted to the discharge pipe 111 so that the water to be treated (W) may not flow into the basket 1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1 .

호스(120)는 부상조(30)의 내벽에 마련된 슬러지 배출부(33)와 연결되어, 호스(120)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부(33)를 통해 부상조(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hose 120 is connected to the sludge discharge unit 33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ating tank 30 , and the sludge discharged through the hos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tank 30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unit 33 . can be

호스(12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스켓(110)의 높이에 따라 펴지거나 굴곡될 수 있다. 즉, 호스(120)는 바스켓(110)의 높이 변화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Since the hose 12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 may be stretched or b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asket 110 . That is, the hose 120 can effectively respond to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basket 110 .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의 슬러지 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sludge discharge process of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부상된 플록(F)은 바스켓(11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피처리수(W)는 부상조(3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되며, 부상된 플록(F)은 피처리수(W)의 이송과 함께 부상조(3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송된다. 피처리수(W)는 하부로 이동하며, 부상된 플록(F)은 바스켓(110) 내로 자동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스켓(110)은 플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바스켓(110)의 최상단이 플록(F) 높이의 이하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loated flock F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sket 110 . The water to be treated (W)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flotation tank 30, and the floated flock F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flotation tank 30 together with the transfer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The water to be treated (W) moves downward, and the floated flock (F) may be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basket (110). In this case, the uppermost end of the basket 110 may be located below the height of the flock F so that the basket 110 can accommodate the flock.

도 7을 참조하면, 바스켓(110)에 수용된 슬러지(S)가 배출구(H) 및 호스(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러지(S)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구(H), 호스(120), 슬러지 배출부(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슬러지(S)는 펌프에 의해 인위적으로 배출구(H), 호스(120), 슬러지 배출부(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ludge S accommodated in the basket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H and the hose 120 . In this case, the sludge S may b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H, the hose 120, and the sludge discharge unit 33 by gravity. On the other hand, the sludge (S) may be artifici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H), the hose 120, the sludge discharge unit 33 by a pump.

도 6과 도 7은 슬러지의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의 과정과 도 7의 과정이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6 and 7 are respectively shown to explain the discharge process of sludge, and although the process of FIG. 6 and the process of FIG. 7 may occur independently and sequentially, they do not necessarily occur independently and sequentially, and may occur simultaneously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상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바스켓(110)은 피처리수(W) 수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 가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vable up and down. In particular, the basket 110 may be lif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to be treated (W).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홀더(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스켓(110)과 홀더(130)는 일체적으로 피처리수(W) 수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 가능할 수 있다.2 to 8 ,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130 . Here, the basket 110 and the holder 130 may be integrally raised and lowe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to be treated (W).

홀더(130)는 반파이프형 바스켓(110)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양쪽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여, 슬러지(S)가 바스켓(110)의 양쪽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홀더(130)는 바스켓(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130 supports both ends of the half-pipe type basket 110 and closes the open sides of both sides, so that the sludge S is not discharged through both sides of the basket 110 . The holder 130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sket 110 to form a pair.

홀더(130)는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er 130 may be formed of a disk,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연결부(140), 회전축(150) 및 기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8 ,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140 , a rotation shaft 150 , and a gear 160 .

연결부(140)는 바스켓(110)과 연결되는 구성이며, 스키머(100)가 홀더(130)를 포함하는 경우 홀더(13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홀더(130)의 최상단부에 구멍이 있고, 연결부(140)가 상기 구멍과 체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asket 110 , and when the skimmer 100 includes the holder 130 ,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holder 130 . There is a hole at the uppermost end of the holder 130 , and the connection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hole.

연결부(140)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140)가 체인을 포함하는 경우, 홀더(130)의 최상단부에 구멍이 있고, 체인의 단부가 상기 구멍과 체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40 may include a chain,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140 includes a chain, there is a hole in the uppermost end of the holder 130 , and the end of the chain may be fastened to the hole.

회전축(150)은 바스켓(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바스켓(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150)은 바스켓(110)보다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축(150)의 길이는 바스켓(110)의 길이보다 클 수 있고, 회전축(150)의 양단은 고정대(150')에 의해 부상조(3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대(150')와 회전축(150) 사이에는 베어링(bearing)이 개재되어, 회전축(150)이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축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ket 110 and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ket 110 . The rotation shaft 150 may be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basket 110 .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150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basket 110 , and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150 may be fixed to the floating tank 30 by the fixing table 150 ′. On the other hand,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table 150 ′ and the rotation shaft 150 , and the rotation shaft 150 may be axially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shaft 150 is fixed by the fixing table.

회전축(150)은 연결부(140)에 의해 바스켓(1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150)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140)가 승강되고 결과적으로 바스켓(110)(및 홀더(130))이 승강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basket 110 by the connecting part 140 . In this case, as the rotating shaft 150 is rotated, the connecting part 140 may be raised and lowered, and as a result, the basket 110 (and the holder 130 ) may be raised and lowered.

기어(160)는 회전축(150)에 결합되고, 특히, 회전축(15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축(150)의 회전에 따라 기어(16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기어(160)는 바스켓(110)의 양쪽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160)는 연결부(140)의 체인과 대응되는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150)의 회전에 따라 기어(160)가 회전하고, 연결부(140)의 체인이 기어(160)에 맞물려 승강되면 바스켓(110)(및 홀더(130))이 승강될 수 있다.The gear 160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50 , and in particular,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150 to rotate the gear 160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50 . The gear 160 may be formed as a pair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basket 110 . The gear 160 may include teeth corresponding to the chain of the connection unit 140 . In this case, the gear 16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50 , and when the chain of the connection part 140 is engaged with the gear 160 and ascends and descends, the basket 110 (and the holder 130 ) may be raised and lowered.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회전축(150)의 회전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50 .

구동부는, 모터(M)와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M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unit.

모터(M)는 회전하는 샤프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1 바퀴(152), 상기 상술한 회전축(150)에 결합되는 제2 바퀴(153) 그리고 제1 바퀴(152)와 제2 바퀴(153)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1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M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151 .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first wheel 152 coupled to the shaft, a second wheel 153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 shaft 150, and a rotational force by connecting the first wheel 152 and the second wheel 153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 chain 154 that carries

모터(M)의 샤프트(151)가 회전하게 되면, 제1 바퀴(152)가 회전하고, 제1 바퀴(152)의 회전에 의해 제2 바퀴(153)가 회전하며, 제2 바퀴(15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50)이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shaft 151 of the motor M rotates, the first wheel 152 rotates, the second wheel 153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wheel 152, and the second wheel 153 rotates. The rotation shaft 150 may rotate by the rotation of .

여기서, 상술한 기어(160)의 반경보다 제2 바퀴(153)의 반경이 더 작을 수 있고, 제2 바퀴(153)의 반경보다 제1 바퀴(152)의 반경이 더 작을 수 있다. Here, the radius of the second wheel 153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aforementioned gear 160 , and the radius of the first wheel 152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wheel 153 .

한편, 구동부는 덮개(155)로 커버될 수 있다. 덮개(155)에 의해 체인(154)을 포함한 회전력전달부가 보호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ing unit may be covered with a cover 155 .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unit including the chain 154 may be protected by the cover 155 .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8 ,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170 .

연결부(140)는 일부가 기어(160)에 걸쳐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140)의 일단에는 바스켓(110)이 결합되고, 연결부(140)의 타단에는 추(170)가 결합될 수 있다. 추(170)는 볼트(171)에 의해 연결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추(170)는 적절한 무게를 제공하여 바스켓(110)을 효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40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art spans the gear 160 , the basket 11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0 , and the weight 17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0 . can The weight 17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40 by a bolt 171 . The weight 170 may provide an appropriate weight to allow the basket 110 to be raised and lowered efficiently.

한편, 추(170)는 부상조(30)에 마련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추(170)는 상기 공간 내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추(170)는 피처리수(W)에 침지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ight 170 may be located in the space provided in the floating tank 30, the weight 170 may move up and down in the space. This weight 170 may not be immers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W).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가이드봉(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8 ,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d 180 .

가이드봉(180)은 바스켓(110)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상조(30)의 내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봉(180)은 바스켓(110)의 양단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rod 18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lotation tank 30 so as to extend i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basket 110 . The guide rods 180 may be formed in pairs to correspond to both ends of the basket 110 .

바스켓(110)은 가이드봉(18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바스켓(110)과 결합된 홀더(130)가 가이드봉(18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130)와 가이드봉(180) 사이에 체결부(190)가 개재될 수 있고, 체결부(190)는 가이드봉(180)을 둘러싸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90)의 고리는 가이드봉(18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130) 및 체결부(190)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체결부(190)의 가이드봉(180)에 대한 상하 이동에 따라 홀더(13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스켓(11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봉(180)은 바스켓(110)의 승강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basket 11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guide rod 180 , and in particular, the holder 130 coupled to the basket 11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guide rod 180 .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19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130 and the guide rod 180 , and the fastening part 190 may include a ring surrounding the guide rod 180 . Accordingly, the hook of the fastening part 190 may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rod 180 . Here, the holder 130 and the fastening part 190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older 130 may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astening part 190 with respect to the guide rod 180 . As a result, the basket 110 may move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guide rod 180 may guide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asket 110 .

가이드봉(180)의 양단은 부상조(30)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봉(180)의 하단은 부상조(30)(특히 분리조)의 내측벽에 제1 프레임(181)으로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봉(180)의 하단은 부상조(30)의 최상면에 제2 프레임(182)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81)과 가이드봉(180)은 볼트 결합되고, 제2 프레임(182)과 가이드봉(180)은 볼트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guide rod 180 may be fixed to the floating tank 30 . 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180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floating tank 30 (especially the separation tank) by the first frame 181 ,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180 is the floating tank 30 . The second frame 182 may be fixed to the uppermost surface. Here, the first frame 181 and the guide rod 180 may be bolted, and the second frame 182 and the guide rod 180 may be bolt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부상조(30) 내 피처리수(W) 수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특히, 바스켓(110)의 높이가 부상조(30) 내 피처리수(W) 수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9 and 10 ,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in the flotation tank 30 .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basket 1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in the floating tank (3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파이프형 스키머(100)는 부상조(30)에 설치된 수위 센서(35)와 연동될 수 있다. Here, the half-pipe type skim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35 installed in the flotation tank 30 .

도 9를 참조하면, 도 9(a)에서 도 9(b)로 변화하듯이 수위가 높아져 스키머(100)가 플록(F)을 수용할 수 없게 되면, 바스켓(110)은 수면 이하의 높이로 조절(상승)되어 도 9(c)와 같이 플록(F)을 다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water level increases as shown in FIG. 9(a) to FIG. 9(b) and the skimmer 100 cannot accommodate the flock (F), the basket 110 is raised to a height below the water level. It is adjusted (raised) so that the flock F can be accommodated again as shown in FIG. 9( c ).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에서 도 10(b)로 변화하듯이 수위가 낮아져 스키머(100)가 플록(F)을 수용할 수 없게 되면, 바스켓(110)은 수면 이하의 높이로 조절(하강)되어 도 10(c)와 같이 플록(F)을 다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and the skimmer 100 cannot accommodate the flock (F) as changed from FIG. It is adjusted (lowered) so that the flock F can be accommodated again as shown in FIG. 10( c ).

이러한 스키머(100)(바스켓(110)) 높이 조절은 제어부가 구동부의 모터(M)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9의 경우와 도 10의 경우에 있어서 모터(M)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모터(M)의 회전수는 피처리수(W) 수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kimmer 100 (basket 110)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otor M of the driving unit. That is, in the case of FIG. 9 and the case of FIG. 10 , the motor M may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 additio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M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반파이프형 스키머(100)에 의해 배출된 슬러지는 슬러지 저장조(3)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sludge discharged by the above-described half-pipe type skimmer 100 may be stor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3 .

또한, 부상조(30)에서 처리된 피처리수(W)는 수집조(4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상조(30)와 수집조(40) 사이에 마련된 통로(32)를 통해 피처리수(W)가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o be treated (W) treated in the floating tank 30 may be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tank (40). In this case, the to-be-treated water W may be moved through the passage 32 provided between the floating tank 30 and the collecting tank 40 .

수집조(40)는 피처리수(W)를 여과하는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조(40)에는 여과기가 장착되어 피처리수(W)를 최종적으로 처리수조(2)로 내보내기 전에 여과처리를 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tank 40 may have a function of filtering the water to be treated (W). For example, the collection tank 40 is equipped with a filter, so that the water to be treated (W) may be filtered before finally being discharged to the treatment water tank (2).

수집조(40)에는 수문(41)이 설치될 수 있다. 수문(41)은 수문 구동기(42)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수문(41)의 개폐에 의해 피처리수(W)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A sluice gate 41 may be installed in the collection tank 40 . The sluice gate 41 may be moved up and down by the sluice gate driver 42 ,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o be treated W may be adjus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sluice gate 41 .

수집조(40)에 집수된 피처리수(W)는 순환라인을 통해 미세버블발생기로 순환하여 미세버블발생기의 미세버블 발생에 사용될 수 있다. The water to be treated (W) collected in the collection tank 40 may be circulat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and used to generate the microbubbles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 원수조
W1: 원수
2: 처리수조
W2: 처리수
3: 슬러지 저장조
S: 슬러지
10: 혼화기 또는 혼화조
20: 응집조
11, 21: 교반기
30: 부상조
31: 격벽
32: 통로
33: 슬러지 배출부
40: 수집조
41: 수문
42: 수문 구동부
100: 스키머
110: 바스켓
H: 배출구
111: 배출관
120: 호스
130: 홀더
140: 연결부
150: 회전축
150': 고정대
M: 모터
160: 기어
170: 추
180: 가이드봉
181, 182: 프레임
190: 체결부
1: raw tank
W1: Enemies
2: treatment tank
W2: treated water
3: sludge storage tank
S: sludge
10: blender or blender
20: coagulation tank
11, 21: agitator
30: floating tank
31: bulkhead
32: passage
33: sludge discharge unit
40: Collector
41: sluice gate
42: sluice gate drive unit
100: skimmer
110: basket
H: outlet
111: discharge pipe
120: hose
130: holder
140: connection
150: axis of rotation
150': fixture
M: motor
160: gear
170: weight
180: guide rod
181, 182: frame
190: fastening part

Claims (8)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 포함된 스키머(skimmer)에 있어서,
부상조에 수용된 피처리수에 침지되어, 수면으로 부상되어 소정의 두께의 층을 이루는 오염물질을 수용하는 바스켓(basket)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반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부상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부상조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바스켓의 바닥에는, 수용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스켓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상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바스켓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
상기 바스켓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스켓의 양측을 폐쇄하는 홀더;
일단이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체인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더 및 상기 바스켓은 수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되고,
상기 추가 피처리수에 침지되지 않도록, 상기 부상조의 후단에 상기 추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바스켓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상조의 양 측벽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및
상기 홀더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을 둘러싸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및 상기 바스켓의 승강 시, 상기 체결부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은 상기 부상조의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제1 프레임을 통해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부상조의 상기 측벽의 최상면에 제2 프레임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단은 상기 바스켓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부상조에는 수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의 높이는, 상기 수위 센서에서 측정된 피처리수의 수위에 따라 조절되되, 상기 바스켓의 상단이 상기 오염물질 층의 내에 위치하도록 조절되는,
반파이프형 스키머.
In the skimmer included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the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It is immers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contained in the flotation tank, and includes a basket for accommodating contaminants that float to the surface and form a laye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basket is made of a half of a cylindrical pipe having a hollow part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sket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flotation tank and extends to cross the flotation tank,
At the bottom of the basket,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ccommodated sludge is formed,
a rotating shaf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ket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baske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ket to cross the floating tank;
a gea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hold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sket to close both sides of the basket;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older and including a chain engaged with the gear; and
Further comprising a weigh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s the rotation shaft rotates, the holder and the basket are raised and lowe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surface,
A space for receiving the additionally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tank so as not to be immersed in the additional target water;
a pair of guide rods extending i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basket and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loating tank; and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surrounding the guide rod,
When the holder and the basket are raised and lowered, the fastening par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loating tank through a first frame,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loating tank through a second frame,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part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basket,
A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in the floating tank,
The height of the baske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o be treated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upper end of the basket is adjusted to be located within the contaminant layer,
Half-pipe skimm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오염물질을 배출시키는 호스를 더 포함하는, 반파이프형 스키머.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se coupled to the outlet to discharge contaminants, half-pipe type skimmer.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수를 수용하고, 미세버블을 공급받아 오염물질을 부상시키는 부상조; 및
상기 부상조에 설치되는 반파이프형 스키머(skimmer)를 포함하고,
상기 반파이프형 스키머는 제1항에 해당하는,
수처리 장치.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a flotation tank that accommodates water to be treated and receives microbubbles to float contaminants; and
Including a half-pipe type skimmer (skimmer) installed in the flotation tank,
The half-pipe type skimmer corresponds to claim 1,
water treatment device.
KR1020190067587A 2019-06-07 2019-06-07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Active KR102278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587A KR102278779B1 (en) 2019-06-07 2019-06-07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587A KR102278779B1 (en) 2019-06-07 2019-06-07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56A KR20200140656A (en) 2020-12-16
KR102278779B1 true KR102278779B1 (en) 2021-07-19

Family

ID=7404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587A Active KR102278779B1 (en) 2019-06-07 2019-06-07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7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0423B1 (en) * 2021-11-10 2025-04-28 주식회사 아쿠아웍스 Composite solid-liquid separation system based on pressurized floating b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49Y1 (en) * 2003-12-10 2004-07-19 김관호 apparatu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CN202297204U (en) * 2011-10-23 2012-07-04 中环辽宁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Oil removing device of light oil pool
JP2014023980A (en) * 2012-07-25 2014-02-06 Ebara Corp Pressure float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009B1 (en) * 2016-12-22 2018-07-25 강두석 Mixing apparatus for rice cak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49Y1 (en) * 2003-12-10 2004-07-19 김관호 apparatu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CN202297204U (en) * 2011-10-23 2012-07-04 中环辽宁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Oil removing device of light oil pool
JP2014023980A (en) * 2012-07-25 2014-02-06 Ebara Corp Pressure float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56A (en)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832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EP0193565B1 (en) Apparatus for clarification of water
KR101362858B1 (en) Partition barrier type floatation apparatus using micro or nano bubble
KR102278370B1 (en) Hight adjustabl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10155B1 (en) Dissolved air floatation system
KR101281514B1 (en) A pressure float type pollute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microbubble unit and slanted plate sturcture
JPH0148075B2 (en)
CN209396964U (en) Ozone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ozone treatment device
KR101278958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047166B1 (en) Flotation Separator for Concentrated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KR20170141411A (en) dissolved air flotation type pretreatment device built-in fiber ball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KR101964828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567953B1 (en) Dissolved air flotatio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olid comprising fine plastic
KR101964830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WO2014181583A1 (en)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572774B2 (en)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with integral clarifier
KR102278779B1 (en) Half-pipe skimmer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20238B1 (en) Waste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ing nanoparticle air flotation
KR101270236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oil using bubble
KR101807776B1 (en) Pressure floatation equipment using microbubbles
US67199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 contaminated fluid
KR100743860B1 (en) Scum removing stirrer
KR102406062B1 (en) Seaweed cleaning device of removable microplastic
KR101989834B1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097559B1 (en) Wastewater Disposal Plant Using High-Speed Turbulent Advanced Oxidation Flot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