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8542B1 -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42B1
KR102288542B1 KR1020140188458A KR20140188458A KR102288542B1 KR 102288542 B1 KR102288542 B1 KR 102288542B1 KR 1020140188458 A KR1020140188458 A KR 1020140188458A KR 20140188458 A KR20140188458 A KR 20140188458A KR 102288542 B1 KR102288542 B1 KR 10228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s
wearable device
capacitor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933A (ko
Inventor
우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42B1/ko
Priority to US14/666,710 priority patent/US10250063B2/en
Priority to CN201510316192.1A priority patent/CN106208400B/zh
Publication of KR2016007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웨어러블 기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장착되고,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AC/DC 변환부; 및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DEVICE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NI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wireless recharge)이란 휴대용 기기 등의 소형 제품에 장착된 배터리를 별도의 충전 어댑터나 전원 케이블의 물리적 연결 없이 충전패드 등과 같은 충전기 상에 위치시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비접촉 충전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의 무선 충전은 상기 휴대용 기기의 1차측 코일과 충전기의 2차측 코일 간의 일대일 전자기유도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웨어러블 휴대용 기기는 휘어지거나 꺾여 있는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일대일 전자기유동 방식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충전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휴대용 기기의 휘어진 구조에 의해 1차측 코일이 충전기의 2차측 코일에 충분히 근접해있지 않은 경우 충전 효율이 떨어지거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신호 수신 방향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장착되고,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AC/DC 변환부; 및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와 상기 AC/DC 변환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안테나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매칭부 사이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가 선택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중 선택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강도가 변화되면 상기 스위치를 모두 턴온시키고, 상기 안테나 매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를 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곡면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타입의 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매칭부는 서로 병렬 연결된 인덕터와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C/DC 변환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AC/DC 변환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AC/DC 변환 서브 유닛은 제1 단자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 단자와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단자 및 접지단자와 연결된 제1 다이오드; 제1 단자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된 제3 커패시터; 및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수신 방향에 상관없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무선 충전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매칭부와 AC/DC 변환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1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2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3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1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2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3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1)의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1)의 무선 충전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은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전력 공급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101)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신 안테나(111, 112, 113), 다수의 스위치(121, 122, 123), 다수의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 다수의 AC/DC 변환부(141, 142, 143)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안테나(111, 112, 113)는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가 손목 시계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는 곡면을 갖는 시계줄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는 상기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에 장착되어 상기 전력 공급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신호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 안테나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구조에 따라 더 많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1, 122, 123)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21, 122,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21, 122, 123)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21, 122, 123)는 전기적으로 하이 또는 로우 신호에 온 또는 오프되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121, 122, 12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상기 스위치의 개수는 상기 수신 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121, 122, 123)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를 통해 각각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 매칭부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상기 안테나 매칭부의 개수는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스위치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AC/DC 변환부(141, 142, 143)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AC/DC 변환부(141, 142, 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AC/DC 변환부(141, 142, 143)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를 통해 각각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여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AC/DC 변환부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상기 AC/DC 변환부의 개수는 상기 안테나 매칭부, 수신 안테나 및 스위치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AC/DC 변환부(141, 142, 14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강도 비교를 통해 가장 큰 강도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를 선별하고, 선별된 안테나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중 상기 제 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가장 크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제 1 수신 안테나(111)와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11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고, 나머지 제2 및 제 3 스위치(112, 113)를 모두 턴온시켜 상기 제 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각기 다른 위치에 분포되어 있는 안테나 중 상기 제 1 수신 안테나(111)가 상기 전력 공급부(200)의 송신 안테나(210)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배터리의 충전 중에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강도가 변화되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충전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신 안테나(111, 112, 113)의 선별 과정을 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수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신 신호의 강도가 제1 기준치 미만으로 감소될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122, 123)를 모두 턴온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수신 안테나(111, 112, 11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치(121)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이미 온 상태에 있으므로 상태가 바뀌지 않는다. 상기 제1 기준치는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수신 안테나(111, 112, 113)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를 선별하고, 해당 안테나와 연결된 스위치만을 턴온시켜 배터리의 충전이 계속해서 진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터리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충전을 위해 다른 안테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micro computer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과 연결되어 보다 효율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력 공급부(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공지된 통상의 무선 충전기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1)의 수신 안테나(111, 112, 1113)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송신 안테나(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매칭부와 AC/DC 변환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안테나 매칭부(131, 132, 133) 각각은 서로 병렬 연결된 인덕터(L)와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AC/DC 변환부(141)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AD/DC 변환 서브 유닛(141a, 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D/DC 변환 서브 유닛(141a, 141b)은 제1 및 제2 AD/DC 변환 서브 유닛(141a, 141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AC/DC 변환부(141)을 대표로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AC/DC 변환부(141, 142, 14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AD/DC 변환 서브 유닛(141a)은 제2 커패시터(C2), 제1 다이오드(D1), 제3 커패시터(C3)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제1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제2 단자 및 접지 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3 커패시터(C3)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커패시터(C3)의 제2 단자는 상기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2 AD/DC 변환 서브 유닛(141b)은 상기 제1 AD/DC 변환 서브 유닛(141a)와 유사하게 제4 커패시터(C4), 제3 다이오드(D3), 제5 커패시터(C5) 및 제4 다이오드(D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커패시터(C3)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커패시터(C3)의 제2 단자는 상기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3 다이오드(D3)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 및 상기 제5 커패시터(C5)의 제1 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5 커패시터(C5)의 제2 단자는 상기 제4 다이오드(D4)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AD/DC 변환 서브 유닛이 두 개가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이들이 추가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1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TP1 지점에서 약 9.8V의 AC 신호가 검출되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2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TP2 지점에서 약 13.8V의 DC 신호가 검출되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수신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3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TP3 지점에서 약 30.4V의 DC 신호가 검출되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신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1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TP1 지점에서 약 14.6V의 AC 신호가 검출되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신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1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TP2 지점에서 약 28.5V의 DC 신호가 검출되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신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되어 도 3에 도시된 TP3 지점에서 측정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5c를 참조하면, TP3 지점에서 약 56.3V의 DC 신호가 검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을 위한 수신 안테나가 웨어러블 기기의 다양한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신호 수신 방향에 상관없이 최적의 수신 안테나를 선택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효율적인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 방향이 변경될 경우 최적의 수신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시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무선 충전 시스템 100: 무선 충전 장치
101: 웨어러블 기기 111: 제1 수신 안테나
112: 제2 수신 안테나 113: 제3 수신 안테나
121: 제1 스위치 122: 제2 스위치
123: 제3 스위치 131: 제1 안테나 매칭부
132: 제2 안테나 매칭부 133: 제3 안테나 매칭부
141: 제1 AC/DC 변환부 141a: 제1 AC/DC 변환 서브유닛
141b: 제2 AC/DC 변환 서브유닛 142: 제2 AC/DC 변환부
143: 제3 AC/DC 변환부 150: 제어부
200: 전력 공급부 210: 송신 안테나
10: 배터리 팩

Claims (9)

  1. 웨어러블 기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장착되고,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AC/DC 변환부; 및
    상기 AC/DC 변환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테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타입의 수신 안테나이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곡면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매칭부는 서로 병렬 연결된 인덕터와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AC/DC 변환부는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AC/DC 변환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AC/DC 변환 서브 유닛은,
    제1 단자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 단자와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단자 및 접지단자와 연결된 제1 다이오드;
    제1 단자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된 제3 커패시터; 및
    캐소드 전극이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제2 단자와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이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과 연결된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AC/DC 변환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을 각각 수행하는 다수의 안테나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매칭부 사이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가 선택되도록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중 선택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강도가 변화되면 상기 스위치를 모두 턴온시키고, 상기 안테나 매칭부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강도를 각각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안테나 중 강도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를 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곡면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88458A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228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458A KR102288542B1 (ko)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US14/666,710 US10250063B2 (en) 2014-12-24 2015-03-24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system for wearable device
CN201510316192.1A CN106208400B (zh) 2014-12-24 2015-06-10 用于电子设备的无线充电设备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458A KR102288542B1 (ko)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933A KR20160077933A (ko) 2016-07-04
KR102288542B1 true KR102288542B1 (ko) 2021-08-11

Family

ID=5616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458A Active KR102288542B1 (ko)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0063B2 (ko)
KR (1) KR102288542B1 (ko)
CN (1) CN106208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3658B2 (en) * 2014-03-06 2017-06-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non-contact capacitive coupling type battery apparatus
WO2018027313A1 (en) * 2016-08-08 2018-02-15 Bigmo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US10355514B2 (en) 2016-08-29 2019-07-16 Apple Inc. Rectifier arbitration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JP7041160B2 (ja) 2017-01-23 2022-03-23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マルチコイル走査を用いる無線充電システム
CN108400658A (zh) * 2017-02-04 2018-08-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终端电池续航能力的方法、装置及终端
CN106849380A (zh) * 2017-04-17 2017-06-13 华南师范大学 一种基于Butler矩阵的相控微波能量收集装置及方法
CN107332363B (zh) * 2017-08-21 2020-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US10476539B1 (en) * 2017-09-15 2019-11-12 Marvell International Ltd. Automatic gain control adjustment in multi-antenna short-range wireless system
KR101969103B1 (ko) 2018-01-19 2019-04-16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CN111030201A (zh) * 2018-10-10 2020-04-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90088921A (ko) 2019-04-09 2019-07-29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스트랩
US20220376561A1 (en) * 2021-05-20 2022-11-24 Msc Engineering Services, Llc Receiver for wirelessly receiving energy and a method thereof
JP7734521B2 (ja) * 2021-07-20 2025-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24019319A1 (ko) * 2022-07-21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무선충전 구조 및 그 방법
CN115425772A (zh) * 2022-08-15 2022-1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方法、待充电设备及无线充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399A (ja) *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非接触電力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7799A (en) * 1999-05-14 2000-10-03 Gte Internetwork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ing and recharging
US20070027321A1 (en) * 2003-09-02 2007-02-01 Kamenecka Theodore M Bipyridyl amines and ethers as modulators of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5
KR20050098474A (ko) 2004-04-07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펙트럴 파워를 활용한 전원공급장치
EP1959825B1 (en) * 2005-10-24 2020-04-22 Powerca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rectification for various loads
US20070273216A1 (en) * 2006-05-24 2007-11-29 Farbarik John M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Losses in a Medical Device
AU2007293383A1 (en) * 2006-09-01 2008-03-13 Powercast Corporation Hybrid power harvesting and method
US7808206B2 (en) * 2006-10-31 2010-10-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ic powe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US20090006720A1 (en) * 2007-06-27 2009-01-01 Shai Traister Scheduling phased garbage collection and house keeping operations in a flash memory system
US8461817B2 (en) * 2007-09-11 2013-06-11 Powerca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o a load device
AU2009296413A1 (en) * 2008-09-27 2010-04-0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20110017546A1 (en) * 2009-06-25 2011-01-27 Nichols Jr Steven 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directed to safety harnesses, and tool bags and holders, for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like
US8129862B2 (en) * 2009-10-23 2012-03-06 Analog Devices, Inc. Scalable highest available voltage selector circuit
CA2785181C (en) * 2010-01-07 2018-01-02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energy
US8599089B2 (en) * 2010-03-30 2013-12-03 Apple Inc. Cavity-backed slot antenna with near-field-coupled parasitic slot
CN102130492B (zh) * 2010-07-31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源选择装置和方法
EP2540663B1 (en) * 2011-06-30 2019-07-31 Neste Oyj Method for adjusting hydrogen to carbon monoxide ratio in synthesis gas
KR101847813B1 (ko) * 2011-09-05 2018-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1979459B1 (ko) * 2012-12-03 2019-05-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TWI556073B (zh) * 2012-12-28 2016-11-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可擴展近距離無線通信距離的可擕式電子裝置
JP5823433B2 (ja) 2013-03-13 2015-11-25 株式会社東芝 無線給電システム、送電ユニット、受電ユニット、送電制御装置、および、受電制御装置
KR101963906B1 (ko) 2013-03-19 2019-03-29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40120786A (ko) 2013-04-04 2014-10-14 공석태 팔목에차는 이동단말기 무선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399A (ja) *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非接触電力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8400A (zh) 2016-12-07
KR20160077933A (ko) 2016-07-04
US20160190854A1 (en) 2016-06-30
US10250063B2 (en) 2019-04-02
CN106208400B (zh)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542B1 (ko)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US10819150B2 (en)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system, terminal device,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device, and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method
KR101255904B1 (ko) 유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방법
US11233425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having an antenna assembly and charger for enhanced power delivery
US9793758B2 (en) Enhanced transmitter using frequency contro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9859797B1 (en) Synchronous rectifier design for wireless power receiver
US20150326072A1 (en) Boost-Charger-Boost System for Enhanced Power Delivery
US20150326143A1 (en) Synchronous Rectifier Design for Wireless Power Receiver
US9735607B2 (en)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US20130057205A1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ulti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76363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act/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KR101983174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50115726A1 (en) Electronic device
JP2018148638A (ja) 非接触給電装置
CN104641536A (zh) 无线电力输送单元、电子装置和控制无线电力输送单元的方法
JP2018113831A (ja) 非接触給電装置
CN104600857A (zh) 超声波远程无线充供电的便携电脑
CN104600872A (zh) 超声波远程无线充供电的oled柔屏电子设备
WO2016171037A1 (ja) 通信装置、受電装置、およびアンテナ切替方法
CN104600866A (zh) 超声波远程无线充供电的电脑周边电子设备
KR101101766B1 (ko) 무선 에너지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CN106329157B (zh) 一种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04600858A (zh) 超声波远程无线充供电的便携电子设备
KR20160022691A (ko)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CN104779712A (zh) 超声波远程无线充供电的led屏幕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