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12B1 -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0912B1 KR102280912B1 KR1020200141146A KR20200141146A KR102280912B1 KR 102280912 B1 KR102280912 B1 KR 102280912B1 KR 1020200141146 A KR1020200141146 A KR 1020200141146A KR 20200141146 A KR20200141146 A KR 20200141146A KR 102280912 B1 KR102280912 B1 KR 102280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ishing
- wastewater
- lens
- abrasive
- water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연마폐수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부로 토출되면서 회전류를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 바깥쪽 둘레 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안쪽 둘레 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골이 형성된 역원뿔대통 형상의 메시망 및 입구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된 채 상기 메시망의 내부에 장착되고, 바깥쪽 둘레 면이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서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하부로 토출되는 연마폐수에 의해 상기 메시망의 안쪽 둘레 면에 밀착되고,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한 환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직포포대를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formed in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form a rotational flow while the polishing wastewater pumped by the submersible pump is introduced from the top and discharged to the bott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An inverted frusto-cylindrical mesh network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adi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valley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let are mounted inside the mesh network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casing A non-woven sack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network by the polishing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bottom while forming a rotational flow from the upper part of the Disclosed is a lens abrasive wastewater filtration device compri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습기로부터 발생하는 안경렌즈 연마폐수에서 슬러지와 부유물질을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 연마기로 플라스틱 안경렌즈를 연마 가공 시 발생하는 연마폐수에서 렌즈파티클, 렌즈미세입자, 미세플라스틱 등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여 연마수로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연마폐수를 배출하지 않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posing of sludge and suspended substances from the spectacle lens polishing wastewater generated from the oxid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device generated when a plastic spectacle lens is polished with a lens polishing machine. It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and a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that does not discharge polishing wastewater by separating and removing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such as lens particles, lens microparticles, and microplastics, and circulating the polishing water for reuse. .
일반적으로 렌즈 연마기로 렌즈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연마수단과 피가공체인 렌즈와의 마찰에 의해 열과 함께 매우 많은 분진과 파티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연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process of polishing a lens with a lens polishing machine, a lot of dust and particles are generated along with heat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olishing means and the lens as a workpiece, which may result in a polishing defect.
또한, 연마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렌즈 또는 연마수단의 물성이 변하거나 파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ens or the polishing means may be changed or damaged by heat generated during the polishing proces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 연마기로 렌즈를 가공할 때 연마수단과 렌즈의 접촉부에 연마수를 공급하여 연마수단 및 렌즈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분진이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processing a lens with a lens polisher, grinding water is supplied to the contact part between the grinding means and the lens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grinding means and the lens, and to prevent dust from flying.
예컨대, 안경렌즈는 원형으로 제조되고 안경테는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되는 특성상 안경렌즈를 안경테에 안정적으로 끼우기 위해서 일명 옥습기(Edger)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를 안경테의 형상과 홈에 맞게 가공하고 있다.For example, because spectacle lenses are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and spectacle frames are designed in various shapes, the edges of spectacle lenses are processed to match the shape and groove of spectacle frames with a so-called edger in order to stably fit spectacle lenses to spectacle frames.
이러한 옥습기는 분당 3,000~6,000rpm의 속도로 회전하는 다이아몬드 지석이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안경렌즈 등의 렌즈를 깎을 때 마찰에 의하여 900℃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므로, 연마 시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작용과 냉각작용을 하는 연마수를 순환시키거나 부식방지제와 이물질이 다이아몬드 지석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삭력을 높여주는 청정제 등이 들어있는 냉각제를 사용하고 있다.When the diamond grindstone rotating at a speed of 3,000 to 6,000 rpm per minute sharpens lenses such as glasses lenses made of glass or plastic, high heat of 900 ° C or higher is generated due to friction in this oxidizer, to prevent damage to the lenses during polishing. A coolant is used that circulates grinding water, which acts as a lubricating and cooling agent, or contains a cleaning agent that increases grinding power by preventing corrosion inhibitors and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diamond grindstone.
옥습기에서 안경렌즈를 연마 시 발생하는 렌즈파티클, 렌즈미세입자, 미세플라스틱 등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은 연마수와 섞여 연마폐수로 배출되므로, 이를 집수통에 수집하여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필터로 여과하여 연마수로 재사용하다가 슬러지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더 이상의 여과가 곤란하면 하수구를 통해 방류하고 있는 실정이다.Floating substances of fine particles such as lens particles, lens microparticles, and microplastics, which are generated during polishing of spectacle lenses in the oxidizer, are mixed with the polishing water and discharged into the polishing wastewater. After filtering and reusing the grinding water, if sludge is excessively generated and further filtration is difficult,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sewer.
그런데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부유물질은 입자가 작아 하수처리시설에서도 걸러지지 않고 하수관을 타고 강과 바다로 흘러가 어패류와 해양 생태계를 2차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다.However, th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abrasive wastewater has small particles, so it is not filtered by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flows into rivers and seas through sewer pipes, which is highly likely to cause secondary pollution of fish and shellfish and marine ecosystems.
즉, 연마폐수에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페놀, 시안, 1.4-다이옥신, 포름알데히드와 중금속 등의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COD가 기준치의 6~13배, SS(부유물질)가 기준치의 25~31배까지 높아 심각한 수질오염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polishing wastewater contains carcinogenic or suspected substances such as dichloromethane, chloroform, phenol, cyanide, 1.4-dioxin, formaldehyde and heavy metals, and has a COD value of 6 to 13 times the standard value, and SS (suspended matter) As it is 25 to 31 times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serious 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이에 따라 최근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2019.10.17. 개정; 2021.01.01. 시행; 2021.06.30. 신고)에서는 안경원의 렌즈 연마폐수가 법 제도권 내에서 관리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개정된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렌즈 연마폐수는 2021년 1월부터 외부 배출(하수구)이 금지되므로 국내 10,500 여개의 모든 안경원은 적법한 시설을 갖추고 2021년 1월부터 6월까지 관할 행정관청에 이를 자진하여 신고하도록 의무화되었다.Accordingly, the recent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revision on October 17, 2019; enforcement on January 1, 2021; report on June 30, 2021) stipulates that 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of opticians should be managed within the legal system. According to the amended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external discharge (sewer) of lens polishing wastewater is prohibited from January 2021. It is mandatory to report voluntarily.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기타수질오염원 설치 및 관리자로 구분되는 안경원에서 렌즈를 제작하는 시설은 폐수를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처리하여 배출하려는 경우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 등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해야 하고, 여과 처리를 할 때에는 부직포 등의 재질로 제작된 평균 공극 크기 10㎛ 이하 또는 이와 동등 이상 성능을 가진 여과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때 발생되는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여과장치의 기능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According to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f the facility that manufactures lenses in an optical shop, which is divided into installations and managers of other water pollutants, treats wastewater below the permissible discharge standard and intends to discharge it, treatment with appropriate methods such as filtration to remove water pollutants In the case of filtration, a filtration device with an average pore size of 10 μm or less or equivalent or higher performanc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should be used, and the sludge generated at this time should be periodically removed to ensure that the filtration device functions properly. should be kept
특허문헌 1에는 저장조에 유입된 연마수가 혼탁하면 내부 하측에 여과필터를 구비한 여과조에 연마수를 공급하여 연마수가 자중에 의하여 하부의 저장조에 떨어지면서 이물질이 여과필터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고, 여과필터에 적재된 이물질은 히터부재로 수분을 제거한 후, 제거하는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grinding 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tank is turbid, the grinding water is supplied to a filtration tank having a filtration filter on the inner lower side, and the grinding water falls into the lower storage tank by its own weight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by the filtration filter. A method and a regenerating apparatus for regenerating lens abrasive water for removing moisture from foreign substances loaded in the heater member and then removing are disclosed.
이는 연마폐수의 여과 및 재사용을 통해 물 소비량을 줄일 수 있고, 연마폐수를 여과하는 데 섬유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연마입자에 대한 효과적인 여과가 가능할 수 있으나, 렌즈의 가공량이 많은 경우에 연마입자에 의한 필터의 막힘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의 잦은 교체가 불가피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is can reduce water consumption through filtration and reuse of abrasive wastewater, and effective filtration of abrasive particles can be achieved by using a fiber filter to filter the abrasive wastewater. Because of the frequent clogging of the filter, frequent replacement of the filter is unavoidable, resulting in poor economic efficienc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는 옥습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수집하는 집수통 입구에 직경 1㎜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필터와, 집수통 출구에 직경 1㎜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집수통 내부에 슬러지만 걸러내는 슬러지 여과망을 구비하고, 내부에 수집된 연마폐수에 고주파 진동을 전달하여 슬러지의 응집을 향상시키며 슬러지 여과망의 막힘을 방지하는 초음파발진기를 집수통 하부에 구비하는 옥습기용 연마폐수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first filter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with a diameter of 1 mm or more at the inlet of a water collecting tank that collects abrasiv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izer, and a filter that filters foreign materials with a diameter of 1 mm or more at the outlet of the collecting tank. and a sludge filtration net that filters only sludge inside the collection bin, and transmits high-frequency vibration to the abrasive wastewater collected therein to improve sludge agglomeration and prevent clogging of the sludge filtration net. An abrasiv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moisture is disclosed.
그러나 이는 제1필터와 필터가 금속 메시 타입이어서 분해, 세척한 후 재사용이 가능할 뿐 여전히 렌즈의 가공량이 많은 경우에 연마입자에 의한 필터의 막힘이 빈번히 발생하여 필터를 자주 분해 및 세척해야만 하는 상당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filter and filter are of a metal mesh type, they can be disassembled and washed and reused. However, when the processing amount of the lens is large, the filter is frequently clogged by abrasive particles, which is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that the filter must be disassembled and cleaned frequently There is a problem that comes with loneliness and discomfort.
또한, 렌즈 가공 시 연마수와 냉각수 등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이 포함된 분진 및 연소가스가 작업공간에 퍼짐으로써 심한 악취와 함께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espite the use of grinding water and cooling water during lens processing, due to the high heat generated by friction, dust and combustion gases containing carcinogenic or suspected substances are spread in the work space, causing severe odors and harmful to the health of workers. There i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따라서 필터의 잦은 교체나 분해 및 세척 없이 연마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 및 환원시켜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고, 연마폐수에서 렌즈파티클, 렌즈미세입자, 미세플라스틱 등의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악취와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을 흡입할 수밖에 없는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polishing wastewater can be efficiently filtered and reduced without frequent replacement, disassembly, and washing of filters, and can be reused as polishing water, and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abrasive wastewater such as lens particles, lens fine particles, and microplastics are efficiently filtered. There is a need for a lens polishing wastewater filtration device and abrasive wastewater reduction system that can remove and remove odors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hat inevitably inhales odors and carcinogenic substances or suspicious substances.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렌즈 연마폐수 처리장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발상에서, 메시 타입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렌즈파티클, 렌즈미세입자, 미세플라스틱 등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여과 및 제거하여 필터의 소비량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을 위한 연마수로 순환시킴으로써 물 소비량을 줄이며, 연마폐수를 전혀 배출하지 않아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has an idea to solv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lens particles and lens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without using a mesh-type filter. Minimizes filter consumption by filtering and removing suspended solids of fine particles such as particles and microplastics, reduces water consumption by circulating grinding water for reuse, and prevents 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not discharging grinding wastewater.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a lot of effort to develop a filtering device for polishing wastewater and a reduction system for polishing wastewater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achieve the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필터의 잦은 교체나 세척 없이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여과 및 제거하여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ing device and polishing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that filters and removes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without frequent replacement or washing of the filter so that it can be reused as polishing wat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stewater reduction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렌즈의 연마 중 발생하는 악취와 발암성 물질, 의심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polishing wastewater filtering device and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that can create a clean working environment by removing odors, carcinogenic substances, and suspicious substances generated during lens polishing.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간편하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polishing wastewater filtration device and abrasive wastewater reduction system that can completely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ludg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and discharg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렌즈 연마기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polishing wastewater filtering device and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r type of the lens polishing machine.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수중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연마폐수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부로 토출되면서 회전류를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 바깥쪽 둘레 면이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안쪽 둘레 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골이 형성된 역원뿔대통 형상의 메시망 및 입구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된 채 상기 메시망의 내부에 장착되고, 바깥쪽 둘레 면이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서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하부로 토출되는 연마폐수에 의해 상기 메시망의 안쪽 둘레 면에 밀착되고,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한 환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직포포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를 제시한다.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abrasive wastewater pumped by the submersible pump A casing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form a rotational flow while being introduced from the top and discharged to the bott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and a plurality of radial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verted frusto-cylindrical mesh network and the inlet in which the trough is formed are mounted inside the mesh network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while forming a rotational flow in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Lens polishing waste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sh by the polishing wastewater, and includes a nonwoven fabric bag for discharging the reduced water removed by filtering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to the outside. Suggest a filter.
이로써 본 발명은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렌즈파티클, 렌즈미세입자, 미세플라스틱 등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여과 및 제거하여 재사용을 위한 연마수로 순환시킬 수 있고, 연마폐수를 전혀 배출하지 않아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ilter and remove suspended substances of fine particles such as lens particles, lens fine particles, and microplastics contain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and circulate it to the polishing water for reuse. It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여과장치 및 렌즈 연마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저장하고, 상기 렌즈 연마기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는 수중펌프에 의해 저장된 연마폐수를 상기 여과장치에 압송하는 연마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장치에서 배출되는 환원수를 상기 렌즈 연마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제시한다.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the polish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ing device and the lens polishing machine, and pressurize the stored polishing wastewater to the filtering device by a submersible pump that interlock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ens polishing machine. It includes a polishing water tank, and proposes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the reduc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ing device to the lens polishing machi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연마수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 연마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부유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렌즈 연마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여과하는 거름망이 구비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polishing water tank is configured to block relatively large particles of suspended materials among fine particles of suspended materials contain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lens polishing machine from entering the inside. A sieve for filtering the polish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lens polishing machin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수중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연마폐수를 상기 여과장치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연마폐수관에서 분기하여 상기 연마수탱크의 탱크커버에 설치된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연마수탱크 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분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마폐수를 상기 연마수탱크의 상측에서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nch pipe and the branch pipe installed on the tank cover of the polishing water tank branching from the polishing waste water pipe installed to supply the polishing waste water pressurized by the submersible pump to the filtering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connected to the engine and spraying the polishing wastewater supplied through the branch pipe from the upper side of the polishing water tank to the inside in order to remove bubbles in the polishing water tan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연마수탱크 내 연마폐수의 흐름이 일어나도록 상기 연마수탱크의 내부 바닥으로 연마폐수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선단에 연마폐수를 사방으로 분사하기 위해 장착된 디퓨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ube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and supplying polishing wastewater to the inner bottom of the polishing water tank so that the polishing wastewater flows in the polishing water tank and the tub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ffuser mounted to the front end to spray the abrasive wastewater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탱크커버의 하면에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마폐수가 튀어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이 형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wall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cover to prevent the abrasive waste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from being splashed and leak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연마수탱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입자 및 초미세입자를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장치 및 상기 수중펌프와 상기 여과장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중펌프의 정지 시 압력 변화로 인해 상기 여과장치에서 상기 수중펌프로 역류하는 공기의 압력을 낮추는 에어포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odorizing device for sucking air inside the grinding water tank to filter fine particles and ultra-fine particles and then discharging to the outside, and the submersible pump and the filtering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pocket for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back from the filtration device to the submersible pump due to a change in pressure when the submersible pump is stopp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의 잦은 교체나 세척 없이 장시간 연마폐수에서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 및 제거하여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for a long time without frequent replacement or washing of the filter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abrasive wastewater It can be reused as grinding water by effectively filtering and removing suspended substances from grinding wastewater.
따라서 필터의 소비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임은 물론 절수효과를 볼 수 있고, 연마폐수를 전혀 배출하지 않아 수질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filter, as well as to save water, and to prevent 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by not discharging polishing wastewater at all.
또한, 렌즈 연마 시 발생하는 악취와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clean working environment by removing odors and carcinogenic or suspicious substances generated during lens polishing.
또한, 슬러지 내에 함유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간편하게 분리배출할 수 있어 수질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ludge and easily separate and discharge it, there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source of water pollution.
또한, 렌즈 연마기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렌즈 연마기만 구동하여도 전체적인 시스템이 연동함으로써 사용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r type of the lens polisher, and even if only the lens polisher is driven, the overall system is linked to improve usability and convenience.
더구나 분사노즐을 통해 연마폐수가 분사되면서 연마수탱크 내의 거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Moreover, as the polishing wastewater is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the bubbles in the polishing water tank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게다가 튜브와 디퓨저를 통해 연마수탱크 내 연마폐수의 자연스럽고 원활한 흐름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연마폐수에 섞여 있는 미세플라스틱 가루가 연마수탱크 내의 구석이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atural and smooth flow of the grinding wastewater in the grinding water tank continues through the tube and diff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croplastic powder mixed in the abrasive wastewater from being deposited in the corners or floors of the grinding water tank.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에어포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마수탱크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마수탱크의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연마수탱크의 디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ocket constitut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olishing water tank constituting 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olishing water tank constituting 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ffuser of the polishing water tank constituting 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specified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comprising' or 'having', 'having', etc. mean that the features, number,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et forth in this specification exist, one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r adding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unit" and "unit" means a module form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a unit or role for processing a certain operation of a system, which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or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operation or a means through such a method.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And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은 렌즈 연마기(이하 '옥습기'라 한다)(10)로 공급할 연마폐수를 저장하고, 옥습기(10)로부터 렌즈 연마 가공 신호가 있으면, 수중펌프(120)를 구동하여 저장된 연마폐수를 여과장치(200)로 압송하는 연마수탱크(100)와, 이 연마수탱크(100)로부터 압송되는 연마폐수를 여과한 후 옥습기(10)에 공급하는 여과장치(200)를 포함하고 있다.1 to 8, 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polishing wastewater to be supplied to the lens polish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xidizer') 10, and polishes the lens from the 
         또한, 옥습기(10)에서 렌즈 연마 가공 시 발생하는 연기(공기 중에 분산되면서 악취를 내뿜는 초미세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분해하여 냄새를 흡착 및 제거한 깨끗한 공기로 배출하는 탈취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즉, 탈취장치(300)는 옥습기(10)로부터 연마수탱크(100)에 집수되는 연마폐수(W1)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G1)를 흡기관 연결부(350)를 통해 수집하여 악취와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을 포함하는 초미세입자를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G2)로 배출한다.That is, the 
         따라서 여과장치(200)에서 공급되는 연마수를 사용하여 렌즈를 연마 가공할 때 발생하는 옥습기(10)의 연마폐수(W1)는 연마수탱크(100)로 집수되고, 수중펌프(120)에 의해 여과장치(200)로 압송되어 여과된 상태로 다시 옥습기(10)에 연마수로 공급되는 순환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polishing wastewater W1 of the 
또한, 옥습기(10)에서 렌즈 연마 가공에 따라 발생한 악취와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을 포함하는 초미세입자가 섞인 공기(G1)는 탈취장치(300)에서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G2)로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G1) mixed with ultra-fine particles containing odor and carcinogenic substances or suspected substances generated by lens polishing in the oxidizer (10) is filtered by the deodorizer (300) and discharged as clean air (G2) can do.
         즉, 옥습기(10)에서 렌즈를 연마 가공할 때 발생하는 렌즈파티클(P1) 및 렌즈미세입자(P2)가 섞인 연마폐수(W1)는 자중에 의하여 옥습기(10)의 하부에 위치한 옥습기 연결부(101)를 통해 연마수탱크(100)에 집수된다. That is, the polishing wastewater (W1) mixed with the lens particles (P1) and the lens fine particles (P2) generated when the lens is polished in the 
         옥습기 연결부(101)는 옥습기(10)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옥습기(10)에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연마수탱크(100)의 상부에는 연마폐수(W1) 내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렌즈파티클(P1) 등을 1차로 필터링하는 거름망(110)이 구비되어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거름망(110)은 단시간에 구멍이 막혀서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렌즈파티클(P1) 및 가공 중이나 가공 전후에 연마수탱크(100)로 떨어질 수 있는 렌즈 또는 렌즈 고정척 등이 걸러지도록  20~30메시인 메시필터(Mesh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즉, 거름망(110)은 연마폐수(W1)의 필터링이 장시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잦은 교체 또는 세척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That is, the 
         거름망(110)에서 렌즈파티클(P1)이 걸러진 후 연마수탱크(100)에 모인 연마폐수(W2)에는 생태계에서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는 렌즈미세입자(P2)가 포함되어 있다.After the lens particles P1 are filtered from the 
         연마수탱크(100)에 모인 연마폐수(W2)는 렌즈미세입자(P2)와 함께 수중펌프(120)에 의하여 여과장치(200)로 압송된다.The polishing wastewater W2 collected in the polishing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 옥습기(10)에는 렌즈 연마 가공을 위해 공급되는 연마수를 적정량 저장하고 있는 상태를 이루다가 가동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자연증발과 동시에 여과장치(200)에서 걸러지는 렌즈미세입자(P2)의 더미(이하 '슬러지'라 한다)와 함께 제거되어 그 저수량이 줄어든다.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the 
         따라서 연마수탱크(100)는 저수량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마수를 보충해 줄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연마수탱크(100)는 저수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에는 렌즈 연마 가공에 필요한 적정량의 연마수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 저수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옥습기(10)가 렌즈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으로 인하여 연마수탱크(100)에 여유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최소 저수량과 함께 최대 저수량을 표시하는 눈금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an extra space is required in the polishing 
         연마수탱크(100)의 저수량이 최소 저수량 이하로 떨어지거나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면, 옥습기(10)를 통해 연마수를 공급하거나 연마수탱크(100)의 탱크커버(130)를 통해 최대 저수량 이하로 연마수를 보충할 수 있다.When the storage amount of the 
한편, 옥습기(10)가 렌즈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에는 렌즈미세입자(P2)가 달라붙어 있기 때문에 거품을 제거하지 않으면 거품에 달라붙어 있는 렌즈미세입자(P2)는 연마수탱크(100) 내의 연마폐수(W2) 속으로 침전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ns fine particles (P2) are attached to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olishing the lens by the oxidizer (10), if the bubbles are not removed, the lens fine particles (P2) attached to the bubbles are stored in the polishing water tank. It does not settle into the abrasive wastewater (W2) in (100).
         따라서 옥습기(10)가 렌즈를 연마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억제 및 제거하기 위하여 옥습기(10) 또는 연마수탱크(100)에 소포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ject the antifoaming agent into the 
소포제는 소포기능과 함께 탈취기능을 갖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ifoaming agent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together with an antifoaming function.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수탱크(100)의 탱크커버(130)에는 수중펌프(120)에 의해 압송되는 연마폐수를 여과장치(2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연마폐수관(L1)에서 분기하는 분기관(L3)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abrasive wastewater installed in the 
         그리고 분기관(L3)의 선단에는 연마수탱크(100) 내의 거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분기관(L3)을 통해 공급되는 연마폐수를 연마수탱크(100)의 상측에서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140)이 장착되어 있다.And at the tip of the branch pipe (L3), in order to more reliably remove the bubbles in the abrasive water tank (100), a plurality of spraying abrasive wastewater supplied through the branch pipe (L3) from the upper side of the abrasive water tank (100) to the inside 
         여기서 분사노즐(140)은 연마폐수의 확산 분무가 일어나도록 나선형 콘 스프레이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탱크커버(130)의 하면에는 분사노즐(140)에서 분사되는 연마폐수가 튀어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13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blocking 
         그리고 연마수탱크(100) 내 연마폐수의 흐름이 일어나도록 연마수탱크(100)의 내부 바닥으로 연마폐수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튜브(150)가 분기관(L3)과 연결되어 있다.And a plurality of 
         즉, 튜브(150)는 연마수탱크(100) 내의 연마폐수에 섞여 있는 미세플라스틱 가루가 수중펌프(120)에서 멀리 떨어진 구석이나 바닥에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마폐수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일으킬 수 있다.That is, the 
         여기서 튜브(150)의 선단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50)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사방으로 확산 분사하기 위한 디퓨저(151)가 장착될 수 있다.Here, a 
         여과장치(200)는 연마수탱크(100)로부터 연마폐수(W2)를 전달받아 연마폐수(W2)에 섞여 있는 렌즈미세입자(P2)를 분리하여 바닥에 적층하고, 렌즈미세입자(P2)가 걸러진 환원수(W3)를 옥습기(10)에 연마수로 공급한다.The 
         여기서 여과장치(200)는 밸브를 통해 여러 대를 병렬로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여과장치(200) 내의 부직포포대(214)에 슬러지가 가득 차더라도 다른 하나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장치(200)의 연마폐수관 연결부(201)를 통해 상부유입구(220)로 유입되는 연마폐수(W2)는 수중펌프(120)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필터(210)의 상부에서 회전류를 형성하며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원심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마폐수(W2)에 섞여 있던 렌즈미세입자(P2)는 연마폐수(W2)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필터(210)의 하부에 적층되며, 렌즈미세입자(P2)와 분리된 환원수(W3)는 필터(210)의 저면을 통해 하부토출구(230)로 토출된 후 환원수관 연결부(202)와 연결된 연마수공급라인을 통해 옥습기(10)로 제공된다.As shown in FIG. 8 , the abrasive wastewater W2 flowing into the 
         여기서 필터(210)는 렌즈미세입자(P2)를 기계적인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사이클론 원리를 적용한 필터로서, 사이클론 현상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 케이싱(Casing)(211)과, 메시망(Mesh Net)(212)과 부직포포대(214)를 포함하고 있다.Here, the 
         케이싱(211)은 수중펌프(120)에 의해 압송되는 연마폐수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부로 토출되면서 회전류를 형성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메시망(212)은 바깥쪽 둘레 면이 케이싱(21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안쪽 둘레 면에 사이클론 현상을 극대화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의 골이 형성된 역원뿔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메시망(212)은 케이싱(21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재단한 후 원형으로 말아서 케이싱(211)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부직포포대(214)는 연마폐수(W2)로부터 분리된 렌즈미세입자(P2)가 적정량 적층되면 이를 여과장치(200)로부터 쉽게 제거하기 위해 입구가 케이싱(211)의 상부에 고정된 채 메시망(21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The 
         즉, 부직포포대(214)는 그 바깥쪽 둘레 면이 케이싱(211)의 상부에서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하부로 토출되는 연마폐수에 의해 메시망(212)의 안쪽 둘레 면에 밀착되고,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한 환원수를 외부로 배출한다.That is, the 
         또한, 부직포포대(214)는 여과장치(200)의 가동 시 상부유입구(220)로 유입되면서 회전류를 형성하는 연마폐수(W2)와 그 연마폐수(W2)로부터 분리되어 필터(210)의 하부에 쌓이는 렌즈미세입자(P2)를 담을 수 있도록 케이싱(211)의 상부에 억지끼움되는 고정링(213)에 의하여 입구가 개방된 채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여과장치(200)의 정지 시 부직포포대(214)를 빼냄으로써 그 안에 적층된 렌즈미세입자(P2)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한꺼번에 여과장치(2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removing the 
         즉, 부직포포대(214)는 렌즈미세입자(P2)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조직이 성글지만, 사이클론 원리를 통해 바닥에 적층된 렌즈미세입자(P2) 슬러지는 부직포포대(214) 내에 남아있게 되고, 렌즈미세입자(P2)가 분리된 환원수(W3)만이 부직포포대(214)를 통과하여 배출된다.That is, the 
         한편, 부직포포대(214)에 담긴 슬러지에는 연마폐수(W2)가 일부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남은 연마폐수(W2)의 수분을 흡수하고 고형화하는 흡수성 응고제를 투입하여 점도가 높은 슬러지와 연마폐수(W2)를 작은 입자가루의 형태로 변형 고형화시킨 후 간편하게 분리배출 및 종량제 봉투에 담아 폐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some polishing wastewater (W2) remains in the sludge contained in the 
         여과장치(200)의 상부에는 연마폐수(W2)가 수중펌프(120)의 이송압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상부유입구(220)로 유입되는 특성상 압력뚜껑(203)과, 이 압력뚜껑(203)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로킹암(205)과 로킹후크(20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압력뚜껑(203)의 상부에는 개폐용 손잡이(20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handle (204) for opening and clos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lid (203).
         도 5의 참조번호 400은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400)이다.
         전원장치(400)는 옥습기(10)의 온/오프에 연동하여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옥습기(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플러그와 연결되는 옥습기 연동콘센트(402)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스위치(401)와, 연마수탱크(100)의 수중펌프(120)의 전원플러그와 탈취장치(300)의 전원플러그를 각각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콘센트(403)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메인스위치(401)는 누전차단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일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메인스위치(401)가 온(On)된 상태에서 옥습기(10)가 가동되면, 옥습기 연동콘센트(402)를 통해 전원이 시스템에 공급되며, 방수콘센트(403)를 통해 수중펌프(120) 및 탈취장치(300)에 전원이 공급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탈취장치(300)의 전면에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들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수단들은 탈취장치(300)를 온/오프 하는 구동스위치(301)와, 시스템과 연동 또는 독립적으로 탈취장치(300)만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스위치(302)와, 탈취장치(300)의 구동시간을 지정할 수 있어 모드스위치(302)가 연동모드일 때에 옥습기(10)가 오프(Off)되어도 일정시간 동안 구동되도록 하는 타이머(303) 및 탈취장치(300)의 구동여부를 표시하는 구동램프(304)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또한, 탈취장치(300)의 후면에는 전원장치(400)의 방수콘센트(403)와 연결되어 옥습기(10)와 연동하여 구동하는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연동전원 콘센트(305)와 옥습기(10)의 구동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탈취장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해 외부전원을 직접 인가받기 위한 직접전원 콘센트(306)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연동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옥습기(10)의 구동에 따라 탈취장치(300)는 팬(360)이 구동되어 옥습기(10)로부터 연마수탱크(100)에 집수되는 연마폐수(W1)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G1)를 흡기관(L2) 연결부(350)를 통해 흡입한다.When the interlocking mode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흡입된 공기(G1)는 탈취장치(3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캐빈필터(Cabin Filter)(320)에서 1차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가 여과되고, 탄소입자들로 이루어진 탄소필터(310)에서 2차로 악취물질 등이 여과되며, 마지막으로 헤파필터(HEPA Filter)(330)에서 3차로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인 초미세입자가 여과됨으로써 배기구를 통해 깨끗한 공기(G2)가 배출된다.As the sucked air (G1) is mov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탈취장치(300)는 3차에 걸친 필터링을 통해 미세먼지를 비롯한 악취뿐만 아니라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을 포함하는 초미세입자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G2)로 배출한다.The 
         한편, 고가의 헤파필터(330)에 탄소필터(310)로부터 유입되는 탄소입자를 차단하기 위해 저가의 부직포시트(340)가 탄소필터(310)와 헤파필터(330) 사이에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lock carbon particles flowing from the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포켓(500)은 수중펌프(120)에서 여과장치(200)로 연결되는 연마폐수관(L1)의 도중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9 , the 
         수중펌프(120)에서 연마폐수관(L1)을 통해 여과장치(200)로 이송되는 연마폐수(W2)가 수중펌프(120)의 이송압에 의해 여과장치(200)의 상부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고 하부토출구(230)를 통해 환원수(W3)가 토출되기 때문에 수중펌프(120)의 구동이 정지되면 여과장치(200) 내의 압력이 수중펌프(120)의 압력보다 높아져서 여과장치(200) 내의 공기가 연마폐수관(L1)을 타고 이동하여 수중펌프(120)에 공기가 차게 된다.The abrasive wastewater W2 transferred from the 
         수중펌프(120)에 공기가 차게 되면 수중펌프(120)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옥습기(10)를 구동하기 전에 연마폐수관(L1)에서 공기를 빼주어야 하는 수고로움과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중펌프(120)에서 여과장치(200)로 연결되는 연마폐수관(L1) 도중에 에어포켓(500)이 구비되어 있다.To solve this, an 
         에어포켓(500)의 하부에는 수중펌프(120)와 연결되는 수중펌프측 연결부(530)가, 상부에는 여과장치(200)와 연결되는 여과장치측 연결부(540)가, 내부에는 공기버퍼(510)와 연마폐수버퍼(520)가 형성되어 있다.A submersible pump 
         따라서 수중펌프(120)가 정지하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여과장치(200) 내의 공기가 연마폐수관(L1)을 타고 여과장치측 연결부(540)를 통해 공기버퍼(510)에 유입된다. Therefore, when the 
         이때, 연마폐수관(L1)에 비해 넓은 공간을 갖는 공기버퍼(510)를 만나면서 역류하던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에어포켓(500) 내부를 채우고 있던 연마폐수(W2)를 수중펌프(120)까지 밀어낼 힘을 상실함으로써 다시 옥습기(10)를 구동 시 수중펌프(120)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t meets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마폐수 환원시스템은, 렌즈미세입자를 걸러내는 필터의 잦는 교체나 세척 없이 장시간 연마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 및 순환시켜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고, 렌즈파티클 및 렌즈미세입자 등의 부유물질을 연마폐수로부터 효과적으로 여과 및 제거할 수 있다.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filtering device and the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fficiently filter and circulate polishing wastewater for a long time without frequent replacement or washing of the filter that filters out lens fine particles, so that it can be reused as polishing water. and suspended substances such as lens particles and lens fine particles can be effectively filtered and removed from the abrasive wastewater.
또한, 렌즈의 연마 중 발생하는 악취와 발암성 물질 또는 의심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 working environment by removing odors and carcinogenic or suspicious substances generated during lens polishing.
         즉, 연마수탱크(100) 내의 거름망(100)에서 입자가 큰 슬러지, 거품 등을 분리하고, 수중펌프(120)를 통해 작은 슬러지와 연마수를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탈취장치(300)에 의해 탈취할 수 있다.That is, the sludge with large particles, bubbles, etc. are separated from the 
        
          
             또한, 여과장치(200)의 필터(210)에서는 연마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분리함으로써 연마폐수를 정화하여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여러 개의 렌즈를 연속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연마폐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순환하기에 청결한 옥습기 작업환경 조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several lenses in succession, and it is possible to create a clean working environment for the abrasive machine because polishing wastewater does not accumulate and circulates continuously.
또한, 여과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간편하게 분리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연마기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ed sludge can be completely remov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it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r type of the lens polisher.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연마수탱크              101: 옥습기 연결부
102: 배기관 연결부           110: 그름망
120: 수중펌프                130: 탱크커버
131: 차단벽                  140: 분사노즐
150: 튜브                    151: 디퓨저
200: 여과장치                201: 연마폐수관 연결부
202: 환원수관 연결부		203: 압력뚜껑
204: 손잡이				205: 로킹암
206: 로킹후크			210: 필터
211: 필터 케이싱		      212: 메시망
213: 고정링				214: 부직포포대
220: 상부유입구               230: 하부토출구
300: 탈취장치			301: 구동스위치
302: 모드스위치			303: 타이머
304: 구동램프			305: 연동전원 콘센트
306: 직접전원 콘센트
310: 탄소필터			320: 캐빈필터
330: 헤파필터			340: 부직포시트
350: 흡기관 연결부		360: 팬
400: 전원장치			401: 메인스위치
402: 옥습기 연동콘센트		403: 방수콘센트
500: 에어포켓			510: 공기버퍼
520: 연마폐수버퍼			530: 수중펌프측 연결부
540: 여과장치측 연결부
L1: 연마폐수관			L2: 흡기관
L3: 분기관100: abrasive water tank 101: oxidizer connection part
 102: exhaust pipe connection 110: mesh
 120: submersible pump 130: tank cover
 131: barrier wall 140: spray nozzle
 150: tube 151: diffuser
 200: filtration device 201: abrasive waste water pipe connection
 202: reduced water pipe connection 203: pressure cap
 204: handle 205: rocking arm
 206: locking hook 210: filter
 211: filter casing 212: mesh mesh
 213: fixing ring 214: non-woven bag
 220: upper inlet 230: lower outlet
 300: deodorization device 301: drive switch
 302: mode switch 303: timer
 304: driving lamp 305: interlocking power outlet
 306: direct power outlet
 310: carbon filter 320: cabin filter
 330: HEPA filter 340: non-woven sheet
 350: intake pipe connection 360: fan
 400: power supply 401: main switch
 402: oximeter interlocking outlet 403: waterproof outlet
 500: air pocket 510: air buffer
 520: abrasive wastewater buffer 530: submersible pump side connection
 540: filter device side connection
 L1: Abrasive waste water pipe L2: Intake pipe
 L3: branch pipe
      
Claims (9)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재단한 후 원형으로 말아서 상기 케이싱(21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바깥면이 상기 케이싱(211)의 내벽에 밀착되고, 안쪽면은 방사상으로 다수의 골이 형성되어, 상기 연마폐수에서 미세렌즈입자가 분리되어 상기 케이싱(211)의 저면부에 슬러지로 적층되도록 상기 회전류의 형성을 가속화하는 메시망(212); 및
상기 미세렌즈입자가 통과하는 조직을 가진 부직포로 형성한 포대로서, 입구가 상기 케이싱(211)의 상부에 고정된 채 상기 메시망(212)의 내부에 장착되고, 바깥면이 상기 케이싱(211)의 상부에서 회전류를 형성하면서 하부로 토출되는 연마폐수에 의해 상기 메시망(212)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저면으로부터 적층된 상기 슬러지를 포대째로 외부로 배출하는 부직포포대(214);
를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A casing 211 having a vertical cross-section tape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form a rotational flow while the polishing wastewater pumped by the submersible pump 120 is introduced from the top and discharged to the bottom;
After cutting into a sectoral or trapezoidal shape, it is rolled into a circle and inserted into the casing 211, the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211, and the inner surface is radi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valleys, the polishing a mesh network 212 for accelerating the formation of the rotational flow so that the fine lens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wastewater and stacked as sludg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211; and
A bag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structure through which the fine lens particles pass, the inle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211 and mounted inside the mesh network 2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211 Non-woven fabric sacks 214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esh network 212 by the grinding wastewater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while forming a rotational flow from the upper part of the and discharge the sludge stacked from the bottom to the outside as a whole;
Containing, a filtration device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렌즈 연마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저장하고, 상기 렌즈 연마기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는 수중펌프(120)에 의해 저장된 연마폐수를 상기 여과장치(200)에 압송하는 연마수탱크(100);
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장치(200)에서 배출되는 환원수를 상기 렌즈 연마기에 공급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The filtering device of claim 1 (200); and
a polishing water tank 100 for storing the polish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lens polishing machine, and for pressurizing the polishing wastewater stored by the submersible pump 120 to the filter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ens polishing machine;
includes,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for supplying the reduc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ing device 200 to the lens polishing machine.
상기 연마수탱크(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 연마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 내에 함유된 미세한 입자의 부유물질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부유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렌즈 연마기에서 배출되는 연마폐수를 여과하는 거름망(110);
을 더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Discharged from the lens abrasive so as to be provided inside the polishing water tank 100 and to block relatively large suspended solids among fine particles of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polish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lens abrasive from entering the inside. Filtering net 110 to filter the polishing wastewater;
Further compris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상기 수중펌프(120)에 의해 압송되는 연마폐수를 상기 여과장치(2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한 연마폐수관(L1)에서 분기하여 상기 연마수탱크(100)의 탱크커버(130)에 설치된 분기관(L3); 및
상기 분기관(L3)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수탱크(100) 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분기관(L3)을 통해 공급되는 연마폐수를 상기 연마수탱크(100)의 상측에서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140);
을 더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Branched from the abrasive wastewater pipe (L1) installed to supply the abrasive wastewater pumped by the submersible pump 120 to the filtering device 200, and installed on the tank cover 130 of the abrasive water tank 100 organ (L3); and
The abrasive wastewater installed at the tip of the branch pipe (L3) and supplied through the branch pipe (L3) to remove bubbles in the abrasive water tank (100) from the upper side of the abrasive water tank (100) to the inside a plurality of jet nozzles 140 for jetting;
Further compris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상기 분기관(L3)과 연결되고, 상기 연마수탱크(100) 내 연마폐수의 흐름이 일어나도록 상기 연마수탱크(100)의 내부 바닥으로 연마폐수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튜브(150);
를 더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tubes 150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L3 and supplying polishing wastewater to the inner bottom of the polishing water tank 100 so that the polishing wastewater flows in the polishing water tank 100;
Further compris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상기 튜브(150)의 선단에 연마폐수를 사방으로 분사하기 위한 디퓨저(151)가 장착된,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equipped with a diffuser 151 for spraying the polishing wastewater in all directions at the tip of the tube 150.
상기 탱크커버(130)의 하면에 상기 분사노즐(140)에서 분사되는 연마폐수가 튀어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131)이 형성된,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having a blocking wall 13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cover 130 to prevent the abrasive waste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140 from leaking out by splashing.
상기 연마수탱크(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입자 및 초미세입자를 여과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탈취장치(300);
를 더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deodorizing device 300 for sucking air inside the abrasive water tank 100 to filter fine particles and ultrafine particles and then discharging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상기 수중펌프(120)와 상기 여과장치(2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중펌프(120)의 정지 시 압력 변화로 인해 상기 여과장치(200)에서 상기 수중펌프(120)로 역류하는 공기의 압력을 낮추는 에어포켓(500);
를 더 포함하는 렌즈 연마폐수 환원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It is provided between the submersible pump 120 and the filtration device 200, and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back from the filtration device 200 to the submersible pump 120 due to a pressure change when the submersible pump 120 is stopped. Air pockets (500) to lower the;
Lens polishing wastewater redu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41146A KR102280912B1 (en) | 2020-10-28 | 2020-10-28 |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 
| US17/789,524 US20230032171A1 (en) | 2020-04-01 | 2021-03-31 | Filtering apparatus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and system for reducing polishing wastewater | 
| JP2021543289A JP7249063B2 (en) | 2020-04-01 | 2021-03-31 | Filtration Device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and Polishing Wastewater Recycling System | 
| PCT/KR2021/003960 WO2021201579A1 (en) | 2020-04-01 | 2021-03-31 | Filtering apparatus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and system for reducing polishing waste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41146A KR102280912B1 (en) | 2020-10-28 | 2020-10-28 |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80912B1 true KR102280912B1 (en) | 2021-07-26 | 
Family
ID=771247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41146A Active KR102280912B1 (en) | 2020-04-01 | 2020-10-28 |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0912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52762B1 (en) * | 2021-08-20 | 2022-01-17 | 민병직 | Sludge and smell purifier for edging machine | 
| KR20230030387A (en) * | 2021-08-25 | 2023-03-06 | 박상호 | Eyeglass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230143713A (en) | 2022-04-06 | 2023-10-13 | 유한회사 울림환경기술원 | Apparatus for treating abrasive waste water with multiporous carbon material fast adsorbent for removing heavy metal | 
| CN116922247A (en) * | 2023-09-18 | 2023-10-24 | 四川炬美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 Basalt fiber board cutting surface polishing device and method |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39323A (en) * | 2001-07-31 | 2003-02-13 | Nidek Co Ltd | Grinding water tank device for grinding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lens grind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JP2003266307A (en) * | 2002-03-12 | 2003-09-24 | Topcon Corp | Grinding 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lens grinding equipment | 
| KR20030081789A (en) * | 2002-04-12 | 2003-10-22 | 주식회사 알오환경시스템 | Treatment system for glasses process waste water | 
| KR100419351B1 (en) | 2001-09-26 | 2004-02-19 | 최명희 | water regeneration apparatus for grinding lens and the method | 
| KR200420463Y1 (en) * | 2006-04-18 | 2006-07-04 | 이재중 | Purification device of lens polishing device | 
| KR100680653B1 (en) | 2005-09-23 | 2007-02-08 | 이종배 | Lens Polishing Water Regeneration Device | 
| KR20070016241A (en) * | 2005-08-02 | 2007-02-08 | 이희권 | High Density Filtration Device Using Contact Filter | 
| KR100833899B1 (en) | 2007-12-28 | 2008-06-03 | 김재호 | Glasses Lens Polishing Water Regeneration and Sludge Removal Device | 
| KR101889229B1 (en) | 2017-11-20 | 2018-08-16 | 박성주 |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Lens Edger | 
- 
        2020
        - 2020-10-28 KR KR1020200141146A patent/KR1022809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39323A (en) * | 2001-07-31 | 2003-02-13 | Nidek Co Ltd | Grinding water tank device for grinding spectacle lens and spectacle lens grind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KR100419351B1 (en) | 2001-09-26 | 2004-02-19 | 최명희 | water regeneration apparatus for grinding lens and the method | 
| JP2003266307A (en) * | 2002-03-12 | 2003-09-24 | Topcon Corp | Grinding 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lens grinding equipment | 
| KR20030081789A (en) * | 2002-04-12 | 2003-10-22 | 주식회사 알오환경시스템 | Treatment system for glasses process waste water | 
| KR20070016241A (en) * | 2005-08-02 | 2007-02-08 | 이희권 | High Density Filtration Device Using Contact Filter | 
| KR100680653B1 (en) | 2005-09-23 | 2007-02-08 | 이종배 | Lens Polishing Water Regeneration Device | 
| KR200420463Y1 (en) * | 2006-04-18 | 2006-07-04 | 이재중 | Purification device of lens polishing device | 
| KR100833899B1 (en) | 2007-12-28 | 2008-06-03 | 김재호 | Glasses Lens Polishing Water Regeneration and Sludge Removal Device | 
| KR101889229B1 (en) | 2017-11-20 | 2018-08-16 | 박성주 |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Lens Edger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52762B1 (en) * | 2021-08-20 | 2022-01-17 | 민병직 | Sludge and smell purifier for edging machine | 
| KR20230030387A (en) * | 2021-08-25 | 2023-03-06 | 박상호 | Eyeglass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2610901B1 (en) * | 2021-08-25 | 2023-12-06 | 박상호 | Eyeglass lens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230143713A (en) | 2022-04-06 | 2023-10-13 | 유한회사 울림환경기술원 | Apparatus for treating abrasive waste water with multiporous carbon material fast adsorbent for removing heavy metal | 
| CN116922247A (en) * | 2023-09-18 | 2023-10-24 | 四川炬美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 Basalt fiber board cutting surface polishing device and method | 
| CN116922247B (en) * | 2023-09-18 | 2023-11-21 | 四川炬美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 Basalt fiber board cutting surface polishing device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80912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 |
| JP7249063B2 (en) | Filtration Device for Lens Polishing Wastewater and Polishing Wastewater Recycling System | |
| JP4394990B2 (en) | Suspension water treatment equipment | |
| KR102212199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 |
| CN101516570B (en) | Cooling liquid purification device for machine tool | |
| JP4181440B2 (en) | Filtration apparatus and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JP2008284457A (en) | External filter media cleaning device for filtration equipment | |
| JP2008093783A (en) | Filter device | |
| KR100740655B1 (en) | Polishing wastewater treatment device of spectacle lens | |
| KR101235941B1 (en) | Grinding water treating apparatus of lens grinding means | |
| JPH11276818A (en) | Coolant purification system | |
| US6616835B2 (en) | Coolant recycling system | |
| JP2008119556A (en) | Clogging prevention device of coating booth filtration screen | |
| US6974369B2 (en) | Grinding water tank unit for eyeglass lens processing and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JP2007307539A (en) | Drainage purifying method for cleaning filter and purifying drainage simultaneously and device using this method | |
| KR20230121234A (en) | Filtering apparatus | |
| KR101334313B1 (en) |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of separating, raising, auto-washing and sorting water and filter media in purification plant, then charging washed filter media into purification plant | |
| JP5756578B1 (en) | Cutting fluid purification device | |
| JPH1132040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grinding bubbles from ball mill | |
| KR101880260B1 (en) | Sludge separation unit | |
| KR101760901B1 (en) | Oil mist collecting device with drain filter | |
| KR101475805B1 (en) | Prevent sedimentation coolant tank | |
| JP2003225514A (en) | Impurity separation apparatus | |
| JP2003305623A (en) | Filtering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of high-viscosity liquid for finishing machine | |
| JP2005046671A (en) | Dust coll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