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125B1 -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2125B1 KR102282125B1 KR1020200047994A KR20200047994A KR102282125B1 KR 102282125 B1 KR102282125 B1 KR 102282125B1 KR 1020200047994 A KR1020200047994 A KR 1020200047994A KR 20200047994 A KR20200047994 A KR 20200047994A KR 102282125 B1 KR102282125 B1 KR 102282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force
- telescopic
- telescopic element
- steering column
- energy absorb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 텔레스코픽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n electric telescopic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occurring during a collision.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운전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스티어링 칼럼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상 가진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거동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나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충돌 시와 같은 상황에서 운전자의 보호를 위해 스티어링 휠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의 흡수를 위해 스티어링 칼럼이 함몰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가 사용되고 있다.A steering column assembly of a vehicle usually has a telescopic function to enable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operator's convenience. In addition, the telescopic behavior of the steering column may be achieved by the driver's manipulation or by the force of an actuator such as a motor. Meanwhile, a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bsorbing the shock while the steering column is depressed is used to absorb the shock cau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steering wheel for the protection of the driver in a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ollision.
기존의 충격 흡수 구조로 톨러런스 링, J형 에너지 흡수 스트랩 등 다양한 방식이 소개되었으나, 구조가 복잡하거나 안정적인 충격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Various methods, such as a tolerance ring and a J-type energy-absorbing strap, have been introduced as existing shock-absorbing structure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or that stable shock energy absorption cannot be achiev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안정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한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전동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capable of stably absorbing shock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텔레스코픽 요소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를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 상기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로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유닛, 그리고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과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구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의 이동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어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는 에너지 흡수 스트랩을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나선형 롤(spiral roll) 타입으로 형성되는 형태 변형부를 포함한다.A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teering column including a telescopic element, a telescopic actua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telescopic element in a telescopic direction, and a driving force of the telescopic actuator to the telescopic element,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moving a connection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telescopic element by an impact applied to the telescopic element, and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and the telescopic element, respectively,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by the impact and an energy absorbing strap for performing energy absorption by changing a shape by mov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s removed. The energy absorbing strap includes a shape deformable portion formed in a spiral roll type.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상기 형태 변형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The energy absorbing strap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ape deforming part.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fixed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fixed to the telescopic element.
상기 형태 변형부는 파단 라인(tearing line)에 의해 제1 및 제2 사이드 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롤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롤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deformable portion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ide rolls by a tearing line, and an intermediate ro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rolls. The first and second side roll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unit, and the intermediate roll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unit.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에너지 흡수 과정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파단 라인을 따른 파단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이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move together with the telescopic element during the energy absorption proces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ide rolls are unfolded while breaking along the breaking line.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전단될 수 있는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telescopic element by a shearable fastening member that may be sheared by an impact applied to the telescopic element.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핀들 샤프트, 상기 스핀들 샤프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선형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스핀들 너트,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체결되는 구동 부재,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스핀들 너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스핀들 너트와 상기 구동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spindle shaft rota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telescopic actuator, a spindle nut screwed to the spindle shaft and configured to linearly move by rotation of the spindle shaft, a shearable fastening member and a driving member fastened to the telescopic element by means of a method,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pindle nut and the driving member so that the driving member moves together with the spindle nut.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상기 형태 변형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The energy absorbing strap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ape deformable part of the energy absorbing strap.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fixed to the driv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fixed to the telescopic el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흡수 부재가 나선형 롤 타입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작으면서 안정적인 형상 변형이 가능한 충격 에너지 흡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ergy absorbing member is formed in a spiral roll type, an impact energy absorbing structure having a small volume and stable shape deformation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품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동식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품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스티어링 칼럼이 붕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충격 에너지 흡수 스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충격 에너지 흡수 스트랩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충격 에너지 흡수 스트랩의 충격 흡수 시 형상 변경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electric steering column assembly are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steering column assembly of FIG. 2 ;
4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of the electric steering column assembly are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column in FIG. 4 is collaps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energy absorbing strap of a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n impact energy absorbing strap of a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shape during shock absorption of an impact energy absorbing strap of a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전동 방식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의 길이방향의 이동, 즉 텔레스코픽 거동을 일으키는 전동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진다.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10)은 차체에 체결되는 마운팅 브라켓(mounting bracket)(20)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마운팅 브라켓(20)에 대해 길이방향의 상대 이동, 즉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column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torized telescopic structure that caus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ie, telescopic behavior, by electric power. A steering column (1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a mounting bracket (20)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installed to enable relativ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20), that is, telescopic movement.
스티어링 칼럼(10)은 텔레스코픽 방향(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40)는 텔레스코픽 방향(5)으로의 스티어링 칼럼(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40)는 전동 모터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모터라고 칭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칼럼(10)은 틸팅 기능을 틸트 방향(6)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터일 수 있는 틸트 액추에이터(30)가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거동을 위한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The
스티어링 칼럼(10)은 고정 요소와 텔레스코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요소는 텔레스코픽 거동 시 이동하지 않는 요소를 의미하며, 텔레스코픽 요소는 텔레스코픽 거동 시 이동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스티어링 칼럼(10)은 자켓(jacket)(11)과 그 내부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도시되지 않음)이 스티어링 샤프트(12)의 상단(12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스티어링 샤프트(12)는 베어링(1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자켓(11) 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티어링 샤프트(12)의 하단부에는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12)와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함께 회전하고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베어링(14)에 의해 지지 하우징(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자켓(11)과 스티어링 샤프트(12)는 텔레스코픽 요소에 해당하며,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고정 요소에 해당한다.The
텔레스코픽 거동 시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지 않으며, 자켓(11)과 스티어링 샤프트(12)는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서로에 대해 체결된다. 한편, 자켓(11)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며, 조향 시 자켓(11)은 회전하지 않으면서 스티어링 샤프트(12)와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자켓(11)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During telescopic behavior the lower steering shaft does not mov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the
지지 하우징(50)은 자켓(11)의 하측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텔레스코픽 거동 시 자켓(11)과 스티어링 샤프트(12)가 지지 하우징(50) 내에서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향 시에는 함께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12)와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베어링(14)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하우징(50) 내에서 회전한다. 한편, 틸팅 시에는 스티어링 칼럼(10)과 지지 하우징(50)이 함께 틸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자켓(11)과 스티어링 샤프트(12)가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하며, 모터(40)의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 유닛(60)에 의해 자켓(11)으로 전달된다. 구동력 전달 유닛(60)은 정상적인 텔레스코픽 거동 시에는 자켓(11)을 이동시키도록 모터(40)의 구동력을 자켓(11)으로 전달하여 자켓(11)과 그에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12)가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구동력 전달 유닛(60)은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에 의해 자켓(11)에 연결되며, 구동력 전달 유닛(60)은 스티어링 칼럼(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자켓(11)과의 함께 이동하는 연결 관계가 제거되면서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변형에 의해 자켓(11)에 가해진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도록 구성된다.The
구동력 전달 유닛(60)은 나사 결합을 통해 서로 체결되는 스핀들 샤프트(spindle shaft)(61)와 스핀들 너트(spindle nut)(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 샤프트(61)는 모터(4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핀들 너트(62)는 스핀들 샤프트(61)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스핀들 샤프트(61)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 샤프트(6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터(40)는 지지 하우징(50)에 고정되는 기어 하우징(63)에 장착될 수 있으며, 모터(40)의 회전 구동력은 기어 하우징(63)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스핀들 샤프트(61)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91)가 기어 하우징(63)에 체결공(631)과 지지 하우징(50)에 형성된 체결공(51)에 체결됨으로써 기어 하우징(63)이 지지 하우징(5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핀들 샤프트(61)의 일측 단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기어 유닛에 연결되고 타측 단은 베어링(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의해 스핀들 샤프트(61)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스핀들 샤프트(61)의 길이방향 축은 텔레스코픽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2 and 3 , the
스핀들 너트(62)는 회전이 차단된 상태로 스핀들 샤프트(6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스핀들 샤프트(61)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텔레스코픽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한다. 스핀들 너트(62)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65, 66)에 의해 자켓(11)에 체결되는 구동 부재(67)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스핀들 너트(62)는 회전이 차단된 상태로 자켓(11)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스핀들 샤프트(6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연결 부재(65, 66), 구동 부재(67)에 의한 연결에 의해 자켓(11)과 함께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제1 및 제2 연결 부재(65, 66)는 스핀들 너트(62)의 회전을 차단하면서 스핀들 너트(62)와 함께 선형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스핀들 너트(62)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스핀들 너트(62)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 체결 돌기(621)와 하부 체결 돌기(622)가 각각 형성되고, 제1 및 제2 연결 부재(65, 66)는 스핀들 너트(62)와의 동반 선형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들 체결 돌기(621, 622)에 각각 체결되는 걸림부(651, 661)를 각각 구비한다. 이때 상부 체결 돌기(621)와 하부 체결 돌기(622)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걸림부(651, 661)도 대응하는 원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 돌기(621, 622)와 걸림부(651, 661)의 체결에 의해 제1 및 제2 연결 부재(65, 66)가 함께 선형 이동을 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제1 연결 부재(65)와 제2 연결 부재(66)는 체결 볼트(92)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65)와 제2 연결 부재(66)는 서로 접촉하는 지지부(652, 662)를 구비하며, 체결 볼트(92)는 지지부(652, 662)에 형성되는 체결 구멍(653, 66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65)의 걸림부(651)와 지지부(652)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부재(66)의 걸림부(661)와 지지부(662)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제2 연결 부재(66)는 지지부(662)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체결부(664)를 포함한다. 체결 구멍(665)이 체결부(664)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 부재(67)는 체결 구멍(665)에 삽입되어 체결 돌기(671)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뒤에서 설명할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제1 고정부(71)가 체결부(664) 상에 밀착될 수 있으며, 체결 볼트(93)가 제1 고정부(71)에 형성된 체결 구멍(711)을 통과하여 체결 돌기(671)에 형성된 체결 구멍(672)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연결 부재(66)의 체결부(664), 구동 부재(67) 및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제1 고정부(71)가 서로 구속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구동 부재(67)는 자켓(11)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자켓(11)과의 체결이 끊어질 수 있도록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94)에 의해 자켓(11)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94)는 구동 부재(67)의 체결 구멍(673)과 자켓(11)의 체결 구멍(111)에 설치되는 리벳일 수 있다. 구동 부재(67)가 제1 및 제2 연결 부재(65, 66)을 통해 스핀들 너트(62)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자켓(11)에 가해지는 경우, 체결 부재(94)가 전단되면서 자켓(11) 및 이에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12)가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함몰된다.The driving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은 자켓(11)과 스티어링 샤프트(12)의 함몰 과정 중 형상 변경을 통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은 제1 고정부(71), 제2 고정부(72)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부(71, 72)를 연결하는 형상 변형부(73)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7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 볼트(93)에 의해 구동 부재(67)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72)는 체결 부재(95)에 의해 자켓(11)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95)는 자켓(11)에 형성된 체결 구멍(112)과 제2 고정부(72)에 형성되는 체결 구멍(721)에 체결되는 리벳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 상태, 즉 자켓(11)이 체결 부재(94)에 의해 구동 부재(67)에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자켓(11) 및 그에 체결된 스티어링 샤프트(12)가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하여 통상적인 텔레스코픽 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텔레스코픽 거동 시에는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다.The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체결 부재(94)가 전단되고 자켓(11) 및 스티어링 샤프트(12)의 붕괴가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붕괴 과정에서,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제1 고정부(71)는 구동 부재(67)에 체결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고정부(72)는 자켓(11)과 함께 선형 거동을 하고,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형태 변형부(73)는 형상 변경을 겪게 된다. 형태 변형부(73)의 형상 변형에 의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an impact of a certain size or more is applied to the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은 구동력 전달 유닛(60)과 텔레스코픽 요소인 자켓(11)에 각각 연결되며, 스티어링 칼럼(10)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전단 가능한 요소인 체결 부재(94)가 전단되어 자켓(11)으로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이 제거된 상태에서 자켓(11)의 이동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어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은 제1 고정부(71), 제2 고정부(72) 및 형태 변형부(73)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71)는 체결 부재(93)에 의해 구동 부재(67)에 고정되며, 제2 고정부(72)는 체결 부재(95)에 의해 자켓(11)에 고정된다. 형태 변형부(73)는 스티어링 칼럼(10)의 붕괴 중 에너지 흡수 기능을 수행한다. 형태 변형부(7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롤(spiral roll)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형태 변형부(73)는 다층을 이루도록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6 and 7 , the
형태 변형부(73)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사이드 롤(731), 중간 롤(733) 및 제2 사이드 롤(7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함몰 홈 형태인 파단 라인(tearing line)(734, 735)에 의해 구획된다. 제1 및 제2 사이드 롤(731, 732)은 제1 고정부(71)에 연결되고, 중간 롤(733)은 제2 고정부(72)에 연결된다.The shape-deforming
도 4는 일반 상태에서의 구동력 전달 유닛(60) 및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을 도시하며, 도 5는 스티어링 칼럼(10)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구동력 전달 유닛(60)과 자켓(11)을 연결하는 전단 가능 요소인 체결 부재(94)가 전단된 후 스티어링 칼럼(10)의 텔레스코픽 요소인 자켓(11)과 스티어링 샤프트(12)가 붕괴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칼럼(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단 가능한 요소인 체결 부재(94)가 1차적으로 전단되면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고 그 후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변형에 의해 추가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4 shows the driving
도 8은 체결 부재(94)의 전단이 이루어진 후 자켓(11)의 이동에 따른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변형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의 (a)에는 변형 전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의 (b), (c) 및 (c)에는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형상 변형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다. 도 8에서 에너지 흡수 스트랩(70)의 제1 고정부(71)는 구동력 전달 부재(67)에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고정부(72)는 자켓(11)에 고정되어 제1 고정부(71)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8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고정부(72)가 이동함에 따라 파단 라인(734, 735)을 따른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제1 및 제2 사이드 롤(731, 732)가 직선 형태로 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는 형상 변형부(73)가 파단 라인을 가지는 나선형 롤 타입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파단 라인을 따른 파단에 의한 에너지 흡수 및 다층 구조로 말린 형상 변형부(73)의 펴짐에 의한 에너지 흡수가 동시에 일어난다. 이에 의해 안정적인 에너지 흡수가 가능하며, 또한 형상 변형부(73)가 나선형 롤 타입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우수한 에너지 흡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8 shows a deformation process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10: 스티어링 칼럼
20: 마운팅 브라켓
30: 틸트 액추에이터
40: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
50: 지지 하우징
11: 자켓
12: 스티어링 샤프트
13, 14: 베어링
60: 구동력 전달 유닛
61: 스핀들 샤프트
62: 스핀들 너트
63: 기어 하우징
64: 베어링
65: 제1 연결 부재
66: 제2 연결 부재
67: 구동 부재
93: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
94: 체결 부재
70: 에너지 흡수 스트랩
71: 제1 고정부
72: 제2 고정부
73: 형상 변형부
731, 732: 사이드 롤
733: 중간 롤
734, 735: 파단 라인10: steering column
20: mounting bracket
30: tilt actuator
40: telescopic actuator
50: support housing
11: Jacket
12: steering shaft
13, 14: bearing
60: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61: spindle shaft
62: spindle nut
63: gear housing
64: bearing
65: first connecting member
66: second connecting member
67: drive member
93: shearable fastening member
94: fastening member
70: energy absorption strap
71: first fixing part
72: second fixing part
73: shape deformation part
731, 732: side roll
733: middle roll
734, 735: break line
Claims (7)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를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
상기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로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유닛, 그리고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과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구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의 이동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어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는 에너지 흡수 스트랩
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나선형 롤(spiral roll) 타입으로 형성되는 형태 변형부, 그리고 상기 형태 변형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고정되고,
상기 현태 변형부는 파단 라인(tearing line)에 의해 제1 및 제2 사이드 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롤로 구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은 상기 제1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간 롤은 상기 제2 고정부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a steering column comprising telescopic elements;
a telescopic actua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telescopic element in a telescopic direction;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driving force of the telescopic actuator to the telescopic element, and configured such that a connectio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telescopic element can be removed by an impact applied to the telescopic element; and
An energy absorbing strap tha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and the telescopic element and is changed in shape by mov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for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is removed by the impact to absorb energy
including,
The energy absorbing strap includes a shape deforming part formed in a spiral roll type, and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ape deforming part,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to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telescopic element;
The current deformation portion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ide rolls by a tearing line, and an intermediate ro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rolls,
The first and second side rol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The intermediate roll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art
steering column assembly.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에너지 흡수 과정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파단 라인을 따른 파단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롤이 펴지도록 구성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In claim 1,
The second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move together with the telescopic element during the energy absorption proces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ide rolls are unfolded while breaking along the breaking line is made.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전단될 수 있는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In claim 1,
wherein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telescopic element by a shearable fastening member capable of being sheared by an impact applied to the telescopic element.
상기 구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텔레스코픽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핀들 샤프트,
상기 스핀들 샤프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선형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스핀들 너트,
전단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체결되는 구동 부재,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스핀들 너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스핀들 너트와 상기 구동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In claim 1,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unit is
A spindle shaft rota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telescopic actuator;
a spindle nut screwed to the spindle shaft and configured to linearly move by rotation of the spindle shaft;
a drive member fastened to the telescopic element by a shearable fastening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pindle nut and the driving member so that the driving member moves together with the spindle nut
containing
steering column assembly.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상기 에너지 흡수 스트랩은 상기 형태 변형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In claim 6,
The energy absorbing strap is
The energy absorbing strap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hape deformation part,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to the driving member,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telescopic element.
steering column assembl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7994A KR102282125B1 (en) | 2020-04-21 | 2020-04-21 |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7994A KR102282125B1 (en) | 2020-04-21 | 2020-04-21 |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82125B1 true KR102282125B1 (en) | 2021-07-28 |
Family
ID=7712615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47994A Expired - Fee Related KR102282125B1 (en) | 2020-04-21 | 2020-04-21 |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212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866093B2 (en) * | 2021-12-30 | 2024-01-09 |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 Energy absorption strap assembly with customizable control bracket |
Citation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84010A (en) * | 2007-03-14 | 2008-09-19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hock-absorb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 |
| JP2011516323A (en) | 2008-03-31 | 2011-05-26 | ティッセンクルップ・プレス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Automotive steering column |
| US8375822B2 (en) | 2009-05-29 | 2013-02-19 |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 US8403364B2 (en) | 2008-06-04 | 2013-03-26 |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
| US8500168B2 (en) | 2007-05-11 | 2013-08-06 |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 Energy absorption position-keeping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steering column |
| KR20140065844A (en) * | 2012-11-22 | 2014-05-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device of vehicles |
| KR20160106236A (en) * | 2015-03-02 | 2016-09-12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170115701A (en) | 2016-04-08 | 2017-10-18 | 남양공업주식회사 | Steering device for damping collision type of vehicles |
| KR20190123457A (en) * | 2018-04-24 | 2019-11-01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093228B1 (en) * | 2018-11-23 | 2020-03-25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
-
2020
- 2020-04-21 KR KR1020200047994A patent/KR1022821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84010A (en) * | 2007-03-14 | 2008-09-19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hock-absorb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 |
| US8500168B2 (en) | 2007-05-11 | 2013-08-06 |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 Energy absorption position-keeping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steering column |
| JP2011516323A (en) | 2008-03-31 | 2011-05-26 | ティッセンクルップ・プレス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Automotive steering column |
| US8403364B2 (en) | 2008-06-04 | 2013-03-26 |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
| US8375822B2 (en) | 2009-05-29 | 2013-02-19 |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
| KR20140065844A (en) * | 2012-11-22 | 2014-05-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device of vehicles |
| KR20160106236A (en) * | 2015-03-02 | 2016-09-12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20170115701A (en) | 2016-04-08 | 2017-10-18 | 남양공업주식회사 | Steering device for damping collision type of vehicles |
| KR20190123457A (en) * | 2018-04-24 | 2019-11-01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093228B1 (en) * | 2018-11-23 | 2020-03-25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866093B2 (en) * | 2021-12-30 | 2024-01-09 |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 Energy absorption strap assembly with customizable control brack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060223B2 (en) | Shock absorbing steering device | |
| EP1245472B1 (en) | Steering apparatus | |
| KR102190492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 US11312407B2 (en) | Vehicle steering column | |
| EP2716521B1 (en) | Steering device | |
| JP2019127176A (en) | Steering device | |
| JP4940798B2 (en) | Shock absorption structure | |
| JP2023019570A (en) | steering column device | |
| WO2014119630A1 (en) | Steering column | |
| KR102282125B1 (en) |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
| JP2008006953A (en) | Shock absorber for steering device with electric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 |
| KR101307648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 JP2009035104A (en) | Steering device | |
| JP4507974B2 (en) | Steering device | |
| KR101181124B1 (en) |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 JP2006347243A (en) | Steering device | |
| KR20210076351A (en) | Electric column with variable collision energy absorption | |
| KR100804467B1 (en)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 Steering Column | |
| KR100971885B1 (en) | Steering column of car | |
| KR101247041B1 (en) | Tilt and telescopic steering system having stopper | |
| JP2021003925A (en) | Steering gear | |
| CN107107944A (en) | Steering angle variable steering device | |
| WO2020075639A1 (en) | Steering column and steering device | |
| KR101248312B1 (en)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 CN216546354U (en) | Pipe column collaps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7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72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