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2926B1 -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926B1
KR102282926B1 KR1020190158436A KR20190158436A KR102282926B1 KR 102282926 B1 KR102282926 B1 KR 102282926B1 KR 1020190158436 A KR1020190158436 A KR 1020190158436A KR 20190158436 A KR20190158436 A KR 20190158436A KR 102282926 B1 KR102282926 B1 KR 10228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rofile
connector body
connector
profi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879A (ko
Inventor
최미림
Original Assignee
최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림 filed Critical 최미림
Priority to KR102019015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9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9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threaded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 및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구분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구를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고정시켜, 상기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장착되는 연결구본체와, 일측은 상기 연결구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나사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의 조임나사는 상기 연결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본체를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조임나사는 상기 연결구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연결구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ALUMINIUM PROFILE ASSEMBLY}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 조립이 가능한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자동화 설비를 제작하기 위한 구조물인 반도체 장비 제작, 또는 산업용 가구 등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 용도는 어느 특정 부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시켜 수직상태의 프로파일 일면에 수평상태의 프로파일 끝면이 접지되는 상태로 하여 이들을 연결부(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연결 결합시켜 주게 된다.
이때,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각 면에 길이 방향으로 너트홈부(11)를 갖추되, 상기 너트홈부(11)의 전면 중앙에 이와 연통되도록 하는 개방부(12)를 갖추며, 상기 개방부(12)의 양측면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면(13)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서, 제작하고자 하는 자동화설비의 구조물(반도체 장비제작), 또는 산업용 가구 제작 시 제작하고자 하는 크기에 따라 프로파일을 절단시켜 이들을 연결요소(20)에 의해 안정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시켜 기초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연결시켜 주는 종래의 연결부(20)는 서로 연결시켜 주고자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너트홈(11)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모양을 갖고 중간지점의 절곡편(21)을 기점으로 하여 직각의 형태로 절곡되는 연결편(22)을 갖추되, 상기 연결편(22)의 절곡지점인 절곡편(21) 양측면에 개방부(12)를 관통할 수 있도록 절결부(23)를 갖추어 주고 있으며, 상기 절곡된 연결편(22)에 조임나사(25)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공(2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종래의 연결부(20)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연결시켜 주고자 할 경우 수직 또는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되는 어느 하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10) 중 이와 연결시켜 주고자 하는 다른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이 접하게 되는 일면에 갖추어진 너트홈부(11) 내에 연결부(20)의 연결편(22)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편(22)의 나선공(24)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조임나사(25)는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연결편(22)이 너트홈부(11) 내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편(22)이 너트홈부(1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20)를 계속해서 밀어주면 절결부(23)에 의해 개방부(12)를 통해 절곡편(21)이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20)를 원하는 위치에까지 삽입 이동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너트홈부(11) 내에 삽입된 연결부(20)를 원하는 위치에 도달시킨 다음, 조임나사(25)를 조여주게 되면, 이의 끝단면이 너트홈부(11)의 바닥면에 면접지 됨과 아울러, 연결편(22)의 상면이 절곡면(13)에 긴밀히 접지될 때까지 조여줌으로써, 연결편(22)이 너트홈부(11) 내에서 알루미늄 프로파일(10)과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곡된 타측의 연결편(22)을 다른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너트홈부(11) 내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자와 동일한 수단으로 체결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부(2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너트홈부(11) 내에 삽입되어 조임나사(25)의 조임력에 의해 절곡면(13)에 긴밀히 면접지되는 연결편(22)이 단순히 직사각형 모양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절곡면(13)에 접지되어 조임나사(25)의 조임력에 의해서만 결합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연결편(22)의 상면 수평면과 절곡면(13)의 수평면과의 단순 면접지된 상태에서 조임나사(25)의 조임력만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있어 상기 연결편(22)을 너트홈부(11)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한 상태에서 조여줌에 따라 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연결상태가 정확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조임나사(25)를 조여주기 전에 너트홈부(11) 내에 삽입된 연결편(22)을 중앙에 정확히 위치시키더라도 절곡면(13)에 면접지되는 연결편(22)이 평면상으로 되어 있어 조임나사(25)를 조여주는 과정에서 연결편(22)이 일측으로 틀어지는 상태로 조여지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조임나사(25)를 다시 풀어 연결편(22)을 다시 정확히 맞추어 준 다음 조여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양측의 알루미늄 프로파일(10) 각각에 다수 개의 조임나사(25)를 체결해야 함에 따라, 사용되는 부품이 많고, 나사 작업이 많아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1636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편 조립이 가능한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 및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구분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구를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고정시켜, 상기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장착되는 연결구본체와, 일측은 상기 연결구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나사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의 조임나사는 상기 연결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본체를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조임나사는 상기 연결구본체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연결구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빔 형태로 구비되는 프로파일본체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각 면에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으로 내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홈부와,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각 면에 상기 프로파일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개구부와, 상기 홈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홈부의 폭보다 좁아지게 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본체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구본체를 외측부와 내측부로 구분 짓는 숄더면이 외측을 향하는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는 각각, 상기 개구부와 홈부에 측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본체가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홈부와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외측부는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홈부에 위치하며, 상기 숄더면은 상기 단턱부의 내면과 마주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폭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테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홈부에 위치하고, 상기 테일부는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나사는 제1 조임나사와 제2 조임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본체는, 길이 방향 일측에 상기 연결구본체를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조임나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홀과, 상기 제1 나선홀과 이웃하는 길이 방향 타측 형성되며, 상기 제2 조임나사가 체결되는 제2 나선홀과, 상기 연결구본체의 길이 방향 타측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선홀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나선홀과 연통되는 삽입공간부, 및 상기 연결구본체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테일부가 상기 삽입공간부에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테일부는 상기 제2 나선홀에 체결되는 상기 제2 조임나사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부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면은 요철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1 조임나사가 상기 제1 나선홀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조임나사의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홈부 바닥면에 접촉된 후 계속 회전되면, 상기 연결구본체가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개구부 측으로 상승되어, 상기 숄더면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턱부의 내면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요철패턴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숄더면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턱부의 내면에 가압 밀착되면, 상기 요철패턴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턱부의 내면을 파고들어 박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연결구본체의 길이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일부는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며 단면이 'V'자형을 이루되, 외측은 상기 제2 조임나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쐐기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임나사가 상기 제2 나선홀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조임나사의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쐐기홈부의 일측 경사면을 타고 하향 슬라이딩되면, 상기 테일부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어, 상기 테일부가 연장 형성되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면이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턱부의 내면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는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측의 연결구에만 조임나사를 체결하더라도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까지 일거에 고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쉽고 간편한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는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연결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결구의 유동에 따라 재조립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음과 아울러, 알루미늄 프로파일 간의 공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의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의 연결구로서, 연결구본체에 삽입된 연결부재에 조임나사가 체결되기 전 연결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연결부재에 조임나사가 체결된 후 연결부재의 변화된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일반적인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의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의 연결구로서, 연결구본체에 삽입된 연결부재에 조임나사가 체결되기 전 연결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연결부재에 조임나사가 체결된 후 연결부재의 변화된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과, 연결구(120)와, 조임나사(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20)와 조임나사(130)는 함께 직교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을 결합시키는 이너조이트로 작용한다.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은 2개 이상 구비된다. 2개 이상의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이 구비되며,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로 구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로 정의되고,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은 배치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형태, 크기 및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길이 방향 일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길이 방향 단부면이 밀착되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은 프로파일본체(111)와, 홈부(112)와, 개구부(113)와, 단턱부(114)를 구비한다.
프로파일본체(111)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의 외관을 이룬다. 프로파일본체(111)는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로파일본체(111)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빔(beam) 형태로 구비된다.
홈부(112)는 프로파일본체(111)의 외주면을 이루는 각 면에 구비된다. 홈부(112)는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프로파일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홈부(112)는 프로파일본체(111)의 두께 방향으로 내향 형성된다. 이때, 홈부(112)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연결구(120)는 이와 같이 개구되어 있는 홈부(112)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홈부(112)에 위치하게 된다.
개구부(113)는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구비된다. 개구부(113)는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프로파일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13)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부(113)는 홈부(112)의 외측에 구비된다. 개구부(113)는 외부와 홈부(112)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개구부(113)는 홈부(112)의 개방된 외측 영역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홈부(112)와 개구부(113)의 개구되어 있는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통해 연결구(120)가 측방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턱부(114)는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구비된다. 단턱부(114)는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프로파일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단턱부(114)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단턱부(114)는 홈부(112)의 외측에 구비된다. 단턱부(114)는 개구부(113)의 폭 방향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개구부(113)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단턱부(114)는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단턱부(114)로 인해, 개구부(113)의 폭 방향 너비는 홈부(112)의 폭 방향 너비보다 좁게 형성된다.
단턱부(114)는 홈부(112)에 배치되는 연결구(120)와 프로파일본체(111) 간의 결합력을 공고히 하는 역할과 함께 홈부(112)에 배치되는 연결구(120)가 개구부(113)를 통해 프로파일본체(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턱부(114)는, 그 단부가 홈부(112) 방향으로 복수 회 절곡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턱부(114)의 형상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정 형태의 절곡 구조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구(12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연결된다. 즉,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은 연결구(120)를 매개로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연결되고, 조임나사(13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구(120)는 연결구본체(120a)와 연결부재(120b)를 포함한다.
연결구본체(120a)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장착된다. 연결부재(102b)는, 그 일측이 연결구본체(120a)에 연결되며 타측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에 장착된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연결구본체(120a)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에 장착되고, 연결부재(102b)는, 그 일측이 연결구본체(120a)에 연결되며 타측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구본체(120a)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120a)는 바(bar)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연결구본체(120a)의 폭 방향 양측에는 연결구본체(120a)를 외측부와 내측부로 구분 짓는 숄더면(121)이 외측을 향하는 형태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숄더면(121)은 그 표면에 요철패턴(121a)을 가진다. 요철패턴(121a)은,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숄더면(12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패턴(121a)은, 연결구본체(120a)에 조임나사(130)가 체결되어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과 숄더면(121)이 밀착되는 경우, 숄더면(121)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연결구본체(120a)의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숄더면(121)을 경계로 구분되는 연결구본체(120a)의 외측부와 내측부는 각각, 개구부(113)와 홈부(112)에 측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즉, 연결구본체(120a)의 외측부는, 그 단면의 폭이 내측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 혹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구본체(120a)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와 개구부(113)를 통해 측방으로부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면, 연결구본체(120a)의 외측부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개구부(113)에 위치하고, 연결구본체(120a)의 내측부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에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구본체(120a)의 숄더면(121)은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과 마주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연결구본체(120a)는 이에 체결되는 조임나사(130)에 의해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고정되는 한편, 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20b)와 결합되어, 연결부재(120b)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까지 일거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본체(120a)는 제1 나선홀(122)과, 제2 나선홀(123)과, 삽입공간부(125)와, 삽입홀(12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선홀(122)은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된다. 제1 나선홀(122)은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일측에 연결구본체(120a)를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나선홀(122)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제1 나선홀(122)에는 조임나사(130)의 제1 조임나사(131)가 체결된다.
제2 나선홀(123)은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다. 제2 나선홀(123)은 제1 나선홀(122)과 이웃하는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제2 나선홀(123)에는 연결구본체(120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20b)를 고정하는 조임나사(130)의 제2 조임나사(132)가 체결된다.
삽입공간부(125)는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타측 내부에 형성된다. 삽입공간부(125)는 제2 나선홀(123)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삽입공간부(125)는 제2 나선홀(123)과 연통된다. 다만, 삽입공간부(125)는 제1 나선홀(122)과는 연통되지 않는다. 즉, 제2 나선홀(123)은 연결구본체(120a)의 외주면과 삽입공간부(125)를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나선홀(122)은 연결구본체(120a)를 내외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홀(124)은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 삽입홀(124)은 제2 나선홀(123)과 인접한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단부에 형성된다. 즉, 삽입홀(124)은 제2 나선홀(12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삽입홀(124)은 삽입공간부(125)와 연통된다. 이러한 삽입홀(124)은 후술되는 연결부재(120b)의 테일부(127)가 삽입공간부(125)에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데,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부재(120b)는 헤드부(126)와 테일부(127)를 구비한다.
헤드부(126)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헤드부(126)의 길이 방향 폭은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의 개구부(113)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조립 시, 연결부재(120b)가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측방으로부터 삽입되면, 헤드부(126)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홈부(112)에 위치하게 된다.
테일부(127)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일부(127)는 헤드부(126)의 일측면으로부터 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테일부(127)의 직경은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의 개구부(113)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조립 시, 연결부재(120b)가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측방으로부터 삽입되면, 테일부(127)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개구부(113)를 관통하여,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에 위치하는 연결구본체(120a)에 연결,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구본체(120a)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124)을 통해 삽입공간부(125)에 삽입된다.
여기서, 테일부(127)는 연결구본체(120a)의 제2 나선홀(123)에 체결되는 조임나사(130)의 제2 조임나사(132)에 의해 삽입공간부(125)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헤드부(126)가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측으로 당겨지면서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이 헤드부(126)와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사이에서 압착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테일부(127)는 쐐기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쐐기홈부(128)는 테일부(127)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다. 쐐기홈부(128)는, 단면이 'V'자형을 이룬다. 이때, 쐐기홈부(128)의 외측은 제2 조임나사(13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테일부(127)가 연결구본체(120a)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간부(125)에 삽입되는 경우, 테일부(127)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홈부(128)는 제2 조임나사(132)가 체결되는 제2 나선홀(123)과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2 조임나사(132)가 체결되기 전, 제2 나선홀(123)의 중심선과 쐐기홈부(128)의 바닥 꼭지점은 예컨대, 2㎜ 가량 이격될 수 있다.
조임나사(130)는 연결구(120)에 체결된다. 조임나사(130)는 연결구(120)에 체결되어, 연결구(120)를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조임나사(130)는 연결구(120)를 매개로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임나사(130)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이때, 복수 개의 조임나사(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임나사(130)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위치하는 연결구본체(120a)에 체결되어 연결구본체(120a)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고정시킨다. 또한, 다른 하나의 조임나사(130)는 연결구본체(120a)에 체결되고 연결부재(120b)에 결합되어, 연결부재(120b)를 연결구본체(120a)에 고정시키고 연결부재(120b)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을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연결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나사를 제1 조임나사(131)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의 조임나사(130)를 제2 조임나사(132)로 정의한다.
제1 조임나사(131)는 연결구본체(12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선홀(122)에 체결된다.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에 연결구본체(120a)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조임나사(131)가 제1 나선홀(122)에 체결되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구본체(120a)가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고정된다.
즉, 제1 조임나사(131)가 제1 나선홀(122)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1 조임나사(131)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제1 나선홀(122)을 관통하여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 바닥면에 접촉된 후 계속 회전되면, 연결구본체(120a)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개구부(113) 측으로 상승된다. 이에 따라, 연결구본체(120a)의 숄더면(121)이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에 가압 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연결구본체(120a)의 숄더면(121)의 표면에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요철패턴(121a)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연결구본체(120a)의 숄더면(121)이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에 가압 밀착되면, 숄더면(121)의 요철패턴(121a)이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을 파고들어 박히는 형태가 된다. 그 결과,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움직임이 구속된다.
제2 조임나사(132)는 연결구본체(120a)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선홀(123)에 체결된다.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에 연결구본체(120a)가 삽입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홈부(112)에 연결부재(120b)의 헤드부(126)가 위치하고 연결부재(120b)의 테일부(127)가 연결구본체(120a)의 삽입홀(124)을 통해 연결구본체(120a)의 삽입공간부(125)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조임나사(132)가 제2 나선홀(123)에 체결되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이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연결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임나사(132)가 제2 나선홀(123)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2 조임나사(132)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제2 나선홀(123)과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테일부(127)의 쐐기홈부(128)의 일측 경사면을 타고 하향 슬라이딩되면, 제2 조임나사(132)로부터 쐐기홈부(128)의 일측 경사면에 가해지는 하방 압력에 의해, 테일부(127)는 삽입공간부(125)의 내측으로 더 삽입된다. 예를 들어,제2 조임나사(132)에 의해 테일부(127)가 삽입공간부(125)의 내측으로 더 삽입되면, 제2 나선홀(123)의 중심선과 쐐기홈부(128)의 바닥 꼭지점 간의 거리는, 2㎜에서 1㎜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일부(127)가 연장 형성되는 헤드부(126)가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헤드부(126)의 일측면이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단턱부(114)의 내면에 가압 밀착된다. 그 결과,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은 연결부재(120b)의 헤드부(126)와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길이 방향 단부 사이에서 압축 고정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측에 위치하는 연결구본체(120a)에만 조임나사(130)를 체결하더라도, 조임나사(130)에 의해 연결구본체(120a)에 고정되고,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120b)를 통해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까지 일거에 고정시킬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고, 연결구(120)의 유동이 방지되어, 연결구(120)의 유동에 따라 재조립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음과 아울러,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 간의 공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110; 알루미늄 프로파일
110a;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 110b;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
111; 프로파일본체 112; 홈부
113; 개구부 114; 단턱부
120; 연결구 120a; 연결구본체
120b; 연결부재 121; 숄더면
121a; 요철패턴 122; 제1 나선홀
123; 제2 나선홀 124; 삽입홀
125; 삽입공간부 126; 헤드부
127; 테일부 128; 쐐기홈부
130; 조임나사 131; 제1 조임나사
132; 제2 조임나사

Claims (7)

  1.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 및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로 구분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과,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연결되는 연결구(120)와, 적어도 제1 조임나사(131)와 제2 조임나사(132)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구(120)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구(120)를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고정시켜 상기 연결구(120)를 매개로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과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이 연결되도록 하는 조임나사(130)를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110)은 빔 형태로 구비되는 프로파일본체(111)와, 상기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상기 프로파일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두께 방향으로 내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홈부(112)와, 상기 프로파일본체(111)의 각 면에 상기 프로파일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홈부(112)의 외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13)와, 상기 홈부(112)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3)의 폭 방향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113)의 폭이 상기 홈부(112)의 폭보다 좁아지게 하는 단턱부(114)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구(120)는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장착되는 연결구본체(120a)와, 일측은 상기 연결구본체(120a)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에 장착되는 연결부재(120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본체(120a)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연결구본체(120a)를 외측부와 내측부로 구분 짓는 숄더면(121)이 외측을 향하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는 각각 상기 개구부(113)와 홈부(11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본체(120a)가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와 개구부(113)를 통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외측부는 상기 개구부(113)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홈부(112)에 위치하며, 상기 숄더면(121)은 상기 단턱부(114)의 내면과 마주하게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120b)는 상기 개구부(113)보다 큰 폭을 갖는 헤드부(126)와, 상기 헤드부(126)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일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13)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테일부(127)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구본체(120a)는 길이 방향 일측에 상기 연결구본체(120a)를 내외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조임나사(131)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홀(122)과, 상기 제1 나선홀(122)과 이웃하는 길이 방향 타측 형성되며 상기 제2 조임나사(132)가 체결되는 제2 나선홀(123)과, 상기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타측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선홀(123)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나선홀(123)과 연통되는 삽입공간부(125)와, 상기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부(125)와 연통되고 상기 테일부(127)가 상기 삽입공간부(125)에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삽입홀(124)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26)는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홈부(112)에 위치하고, 상기 테일부(127)는 상기 제1 알루미늄 프로파일(110a)의 개구부(113)를 지나 상기 연결구본체(120a)에 삽입되며;
    상기 테일부(127)에는 단면이 'V'자형인 쐐기홈부(128)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며, 쐐기홈부(128)의 외측은 제2 조임나사(13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조임나사(132)가 제2 나선홀(123)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2 조임나사(132)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제2 나선홀(123)과 내외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테일부(127)의 쐐기홈부(128)의 일측 경사면을 타고 하향 슬라이딩되면, 제2 조임나사(132)로부터 쐐기홈부(128)의 일측 경사면에 가해지는 내방 압력에 의해, 테일부(127)는 삽입공간부(125)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숄더면(121)은 요철패턴(121a)을 가지며, 상기 제1 조임나사(131)가 상기 제1 나선홀(122)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조임나사(131)의 길이 방향 단부가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홈부(112) 바닥면에 접촉된 후 계속 회전되면, 상기 연결구본체(120a)가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개구부(113) 측으로 외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숄더면(121)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패턴(121a)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숄더면(121)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에 가압 밀착되면, 상기 요철패턴(121a)이 상기 제2 알루미늄 프로파일(110b)의 단턱부(114)의 내면을 파고들어 박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연결구본체(120a)의 길이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100).
KR1020190158436A 2019-12-02 2019-12-02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Active KR10228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36A KR102282926B1 (ko) 2019-12-02 2019-12-02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36A KR102282926B1 (ko) 2019-12-02 2019-12-02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79A KR20210068879A (ko) 2021-06-10
KR102282926B1 true KR102282926B1 (ko) 2021-07-27

Family

ID=7637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36A Active KR102282926B1 (ko) 2019-12-02 2019-12-02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5459A (zh) * 2021-10-11 2022-01-11 澳铝铝业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口罩机框架用铝型材及其加工工艺
KR102604880B1 (ko) * 2023-03-24 2023-11-2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가구 패널 연결용 미니픽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60Y1 (ko) * 2001-07-14 2001-11-17 훼스텍 주식회사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
KR101525008B1 (ko)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프로파일용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33A (ja) * 1998-01-21 1999-08-06 Kansai Tech Corp 地中埋設管用支持具
KR200416367Y1 (ko) 2006-03-02 2006-05-15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KR20100007834U (ko) * 2009-01-29 2010-08-06 김성우 원터치 방식 직각 고정용 프로파일
DE102015103599A1 (de) * 2014-03-12 2015-09-17 Rittal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zum Montieren von Geräten, insbesondere Elektrogeräten
KR102055789B1 (ko) * 2018-02-06 2019-12-13 주식회사 솔라테크 프로파일의 볼트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60Y1 (ko) * 2001-07-14 2001-11-17 훼스텍 주식회사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
KR101525008B1 (ko)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프로파일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79A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5464B1 (en) Elements and a locking device for an assembled product
JP6852038B2 (ja) 涙滴状切込み及びオフセットした切込み付きブリッジコネクタ
KR102282926B1 (ko) 이너조인트로 결합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체
US8402701B2 (en) Anchor for handling building elements, in particular a concrete panel
KR200416367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EP2118546B1 (en) Bracket for cable ladd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170284156A1 (en) Securing device for securing wires of window shades
JP4472975B2 (ja) アルミニウム製防護屋根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JP4709610B2 (ja) 接続具
KR20200000067U (ko) 조립식 선반
KR102764611B1 (ko) 무용접 프로파일용 클립 조립체
KR101932139B1 (ko)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JP6862638B2 (ja) 床板連結具
JP6876388B2 (ja) 建築用支持具及びその支持具を備えた二層屋根
RU2614174C1 (ru)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круглого поручня из дерева и деревянный поручень,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а
KR102038674B1 (ko) 천장마감조립체
CN105324583A (zh) 槽状元件的附接件
US12442198B2 (en) Deck clip
CN213269587U (zh) 一种角码和组装结构
US20240263460A1 (en) Deck clip
KR102797422B1 (ko)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포함하는 무용접 금속프로파일 조립체
WO199701576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fastening element
KR20190099559A (ko) 모서리 연결장치
KR102486808B1 (ko) 가공이 쉽고 결합력이 강한 패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