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870B1 - 3d 프린터 및 생성적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및 생성적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3870B1 KR102283870B1 KR1020207025693A KR20207025693A KR102283870B1 KR 102283870 B1 KR102283870 B1 KR 102283870B1 KR 1020207025693 A KR1020207025693 A KR 1020207025693A KR 20207025693 A KR20207025693 A KR 20207025693A KR 102283870 B1 KR102283870 B1 KR 102283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space
- coating device
- building space
- mov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2—Sand moulds or like moulds for shaped cas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22F10/14—Formation of a green body by jetting of binder onto a bed of metal pow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22—Driving means
- B22F12/224—Driving means for motion along a direction within the plane of a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60—Planarisation devices; Compression devices
- B22F12/67—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90—Means for process control, e.g. cameras or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5—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6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combination of solid and fluid materials, e.g. a powder selectively bound by a liquid binder, catalyst, inhibitor or energy absor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7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ultiple 3D objects
- B29C64/182—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ultiple 3D objects in parallel ba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9/00—Aspects linked to processes or compositions used in powder metallu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3D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3D 프린터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3D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3D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B2: 제2 축조 공간 B3: 제 축조 공간
3,13,23: 코팅장치 5: 프린팅 장치
H1: 제1 방향 H2: 제2 방향
H3: 제3 방향 H4: 제4 방향
C: 제어장치 7: 프린트 헤드
S,S1,S2,S21,S22: 이동거리 9: 캐리어 가이드
Claims (15)
- 제1 축조 공간(B1) 및 그에 인접한 제2 축조 공간(B2)에 하나 이상의 3차원 제품을 층들로 구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코팅장치(3)가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할당되고 제2 코팅장치(13)가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할당되며, 상기 코팅장치들이 각각의 축조 공간에 고형화될 축조 재료의 균일한 축조 재료 층 형태의 축조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H1)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과 평행한 제3 방향(H3)으로 이동 가능하고,
공동 프린팅 장치(5)가,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 층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 층의 일부 영역에 유동성 처리제를 제어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3 방향(H1,H3)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된 제2 방향(H2)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코팅장치(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방향(H1)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2 코팅장치(1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3 방향(H3)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1 방향(H1)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S21)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3 방향(H3)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해 이동될 거리(S3)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S22)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의 상기 제1 코팅장치(3)의 이동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3 방향(H3)으로의 상기 제2 코팅장치(13)의 이동이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의 상기 프린팅 장치(5)의 이동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의 상기 프린팅 장치(5)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와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으로의 축조 재료 공급 및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으로의 축조 재료 공급이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 층에 유동성 처리제의 제어된 출력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변위 가능한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C)는,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축조 재료층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축조 재료층을 여러번 선택적으로 프린트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 헤드(7)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변위 가능한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C)는,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질러 완전 구불 구불한 패턴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축조 재료층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축조 재료층을 여러번 선택적으로 프린트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 헤드(7)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변위 가능한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C)는, 상기 프린트 헤드(7)가 U-자형 경로 또는 S-자형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질러 완전 구불 구불한 패턴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축조 재료층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축조 재료층을 여러번 선택적으로 프린트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 헤드(7)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방향(H1)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는 상기 제2 방향(H2)를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S21)보다 적어도 1.2배 크고, 또는
상기 제3 방향(H3)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해 이동될 거리(S3)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S22)보다 적어도 1.2배 더 크고,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 및 상기 제2 코팅장치(13)가 각각 양방향 코팅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프린팅 장치(5)가 양방향 프린팅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조 공간(B1)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은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갖고, 또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은 상기 제2 방향(H2)에서 볼 때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또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또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은 각각 2변이 길고 2변이 짧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 B2)은 2개의 긴 변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또는 상기 제1 방향(H1) 및 상기 제3 방향(H3)은 각각 제1 축조 공간의 긴 변 및 제2 축조 공간의 긴 변과 평행하고, 또는
상기 프린팅 장치의 프린트 헤드(7)의 출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H2) 또는 상기 제1 방향(H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는
상기 제2 방향(H2)에 수직인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H1)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7)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보다 짧고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보다 짧고, 또는
상기 제2 방향(H2)에 수직인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H1)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7)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보다 절반 또는 절반 이하이며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보다 절반 또는 절반 이하이고, 또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 거리(S21)는 1.0m 내지 1.4m이고, 또는
제2 방향(H2)을 따라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 거리(S22)는 1.0m 내지 1.4m이고, 또는
상기 제어장치(C)는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서 볼 때 공동의 제1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서 볼 때 반대쪽 제2 측으로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 재료 및 유동성 처리제를 분배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후속적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가 제2 측에서 제1 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 재료 및 유동성 처리제를 다시 한번 분배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어장치(C)는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프린트 헤드(7)를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서 볼 때 공동의 제1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서 볼 때 반대쪽 제2 측으로 이동시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 재료 및 유동성 처리제를 분배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후속적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프린트 헤드(7)가 제2 측에서 제1 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 재료 및 유동성 처리제를 다시 한번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3 축조 공간(B3), 및 상기 제3 축조 공간(B3)에 할당되고 고형화될 축조 재료의 균일한 축조 재료의 형태로 축조 재료를 상기 제3 축조 공간(B3)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3 축조 공간(B3)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1 방향(H1)에 평행한 제4 방향(H4)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코팅장치(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제3 축조 공간(B3)에서 하나 이상의 3차원 제품을 층들로 구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3 축조 공간(B3)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층의 일부 영역에 유동성 처리제를 제어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3 축조 공간(B3)을 가로질러 상기 제2 방향(H2)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코팅장치(2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4 방향(H4)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3 축조 공간(B3)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4 방향(H4)을 따라 상기 제3 축조 공간(B3)을 가로질러 상기 제3 코팅장치(23)에 의해 이동될 거리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3 축조 공간(B3)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보다 크거나 같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C)는, 관련 축조 공간을 가로지르는 코팅장치의 각 이동이 상기 축조 공간들(B1, B2, B3) 중 적어도 하나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의 이동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상기 제3 코팅장치(2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제 5항에 있어서,
축조 재료를 코팅장치와 연동되는 각각의 축조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축조 공간들(B1, B2, B3)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층에 유동성 처리제의 제어된 출력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상기 제3 코팅장치(2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3D 프린터의 제1 축조 공간(B1)에서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제품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3D 프린터의 제2 축조 공간(B2)에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성적 제조방법으로서,
각 층을 도포하기 위해 제1 방향(H1)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코팅장치(3)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서 미립자 축조 재료의 층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각 층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제3 방향(H3)으로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제2 코팅장치(13)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서 미립자 축조 재료의 층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각 축조 재료층의 선택적인 고형화에 기여하는 유동성 처리제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서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서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층의 일부 영역에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3 방향(H1,H3)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열되는 제2 방향(H2)에서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서 각 일부 영역에 수개의 인접하는 축조 재료층을 선택적으로 프린팅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서 각 일부 영역에 수개의 인접하는 축조 재료층을 선택적으로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팅장치(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방향(H1)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2 코팅장치(1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3 방향(H3)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1 방향(H1)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된 거리(S1)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된(단일) 거리(S21)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3 방향(H3)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해 이동된 거리(S3)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된(단일) 거리(S22)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의 상기 제1 코팅장치(3)의 이동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3 방향(H3)으로의 상기 제2 코팅장치(13)의 이동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의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의 이동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의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와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3차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성적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으로의 축조 재료 공급 및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으로의 축조재료 공급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 중 적어도 하나의 축조재료의 미리 도포된 층에 유동성 처리제의 제어된 출력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성적 제조방법.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제품은 캐스트 몰드 또는 주조 코어이고, 또는 상기 미립자 축조 재료는 모래입자를 포함하는 3차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성적 제조방법.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변위 가능한 공동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 프린트 헤드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축조 재료층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축조 재료층을 선택적으로 프린팅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방향(H2)으로 여러 번 이동되고, 또는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변위 가능한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어장치(C)는,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질러 완전 구불 구불한 패턴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축조 재료층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축조 재료층을 여러번 선택적으로 프린트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 헤드(7)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변위 가능한 프린트 헤드(7)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C)는, 상기 프린트 헤드(7)가 U-자형 경로 또는 S-자형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질러 완전 구불 구불한 패턴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방향(H2)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축조 재료층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축조 재료층을 여러번 선택적으로 프린트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 헤드(7)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1 방향(H1)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된 거리(S1)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된 (단일)거리(S21)보다 적어도 1.2 배 더 크고, 또는
상기 제3 방향(H3)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해 이동된 거리(S3)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된 (단일)거리(S22)보다 적어도 1.2배 더 크고,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 및 상기 제2 코팅장치(13)는 각각 양방향 코팅장치로서 작동되고 상기 프린팅 장치(5)가 양방향 프린팅 장치로서 작동되고, 또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이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갖고, 또는
제1 축조 공간(B1) 및 제2 축조 공간(B2)은 제2 방향(H2)에서 볼 때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또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또는
상기 제1 축조 공간(B1)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은 각각 2변이 짧고 2변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 B2)은 2개의 긴 변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또는 여기서 상기 제1 방향(H1) 및 상기 제3 방향(H3)은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B1,B2)의 긴 변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프린팅 장치의 프린트 헤드(7)의 출력 영역이 상기 제2 방향(H2)에 수직인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H1)으로 연장되고, 또는
상기 제2 방향(H2)에 수직인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H1)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7)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보다 짧고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보다 짧고, 또는
상기 제2 방향(H2)에 수직인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H1)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7)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보다 절반 또는 절반 이하이고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보다 절반 또는 절반 이하이며, 또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 거리(S21)는 1.0m 내지 1.4m이고, 또는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되는 단일 거리(S22)는 1.0m 내지 1.4m이고, 또는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프린트 헤드(7)는 상기 제1 및 제3 방향에서 볼 때 공동의 제1 측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축조 공간을 가로질러 제1 및 제3 방향에서 볼 때 반대쪽 제2 측으로 이동되어 미립자 재료 및 유동성 처리제를 각각 분배하고, 여기서 선택적으로 이어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프린트 헤드(7)는 제2 측에서 다시 제1 측으로 이동하여 미립자 재료와 유동성 처리제를 각각 다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적 제조방법. - 제1 축조 공간(B1) 및 그에 인접한 제2 축조 공간(B2)에 하나 이상의 3차원 제품을 층들로 구축하도록 구성되고,
제1 코팅장치(3)가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할당되고 제2 코팅장치(13)가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할당되며, 상기 코팅장치들이 각각의 축조 공간에 고형화될 축조 재료의 균일한 축조 재료 층 형태의 축조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H1)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과 평행한 제3 방향(H3)으로 이동 가능하고,
공동 프린팅 장치(5)가,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 층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 층의 일부 영역에 유동성 처리제를 제어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3 방향(H1,H3)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된 제2 방향(H2)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코팅장치(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방향(H1)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2 코팅장치(1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3 방향(H3)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1 방향(H1)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될 거리(S1)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S21)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3 방향(H3)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해 이동될 거리(S3)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지르는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될 (단일)거리(S22)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으로의 축조 재료 공급 및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으로의 축조 재료 공급이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 층에 유동성 처리제의 제어된 출력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코팅장치(3), 상기 제2 코팅장치(13) 및 상기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10). - 3D 프린터의 제1 축조 공간(B1)에서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제품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3D 프린터의 제2 축조 공간(B2)에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성적 제조방법으로서,
각 층을 도포하기 위해 제1 방향(H1)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코팅장치(3)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서 미립자 축조 재료의 층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각 층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제3 방향(H3)으로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제2 코팅장치(13)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서 미립자 축조 재료의 층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각 축조 재료층의 선택적인 고형화에 기여하는 유동성 처리제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서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서 미리 도포된 축조 재료층의 일부 영역에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3 방향(H1,H3)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열되는 제2 방향(H2)에서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이동되는 공동 프린팅 장치(5)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서 각 일부 영역에 수개의 인접하는 축조 재료층을 선택적으로 프린팅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서 각 일부 영역에 수개의 인접하는 축조 재료층을 선택적으로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팅장치(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1 방향(H1)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2 코팅장치(13)의 출력 영역은 상기 제3 방향(H3)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에 완전히 걸쳐 있고,
상기 제1 방향(H1)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해 이동된 거리(S1)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1 축조 공간(B1)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된(단일) 거리(S21)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3 방향(H3)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해 이동된 거리(S3)는 상기 제2 방향(H2)을 따라 상기 제2 축조 공간(B2)을 가로질러 상기 프린팅 장치(5)에 의해 이동된(단일) 거리(S22)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코팅장치(3)에 의한 상기 제1 축조 공간(B1)으로의 축조 재료 공급 및 상기 제2 코팅장치(13)에 의한 상기 제2 축조 공간(B2)으로의 축조재료 공급은 상기 제1 축조 공간(B1) 및 상기 제2 축조 공간(B2) 중 적어도 하나의 축조재료의 미리 도포된 층에 유동성 처리제의 제어된 출력과 시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생성적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DE102018102753.2 | 2018-02-07 | ||
| DE102018102753.2A DE102018102753A1 (de) | 2018-02-07 | 2018-02-07 | 3d-drucker und generatives fertigungsverfahren |
| PCT/EP2018/067367 WO2019154528A1 (de) | 2018-02-07 | 2018-06-28 | 3d-drucker und generatives fertigungsverfahre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08488A KR20200108488A (ko) | 2020-09-18 |
| KR102283870B1 true KR102283870B1 (ko) | 2021-08-03 |
Family
ID=628461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7025693A Active KR102283870B1 (ko) | 2018-02-07 | 2018-06-28 | 3d 프린터 및 생성적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11717881B2 (ko) |
| EP (1) | EP3749470B1 (ko) |
| JP (1) | JP7043613B2 (ko) |
| KR (1) | KR102283870B1 (ko) |
| DE (1) | DE102018102753A1 (ko) |
| WO (1) | WO20191545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523927B (zh) * | 2019-09-30 | 2023-09-05 | 华南农业大学 | 一种砂芯3d打印机及其打印方法 |
| EP3851266A1 (en) * | 2020-01-20 | 2021-07-21 | Vito NV | A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318251A1 (en) | 2013-12-23 | 2016-11-03 | Voxeljet Ag | Device and method for 3d printing methods, with accelerated execution |
| JP2017532218A (ja) | 2014-08-29 | 2017-11-02 | エクスワン ゲーエムベーハー | 3dプリンタ、3dプリンタ装置および生成造形工程 |
Family Cites Families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AU2001216453A1 (en) * | 2000-09-25 | 2002-04-08 | Generis Gmbh | Method for producing a part using a deposition technique |
| DE102009051552A1 (de) * | 2009-10-31 | 2011-05-05 | Mtu Aero Engines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
| DE102009056696B4 (de) | 2009-12-02 | 2011-11-10 | Prometal Rct Gmbh | Baubox für eine Rapid-Prototyping-Anlage |
| DE102012107297A1 (de) * | 2012-08-08 | 2014-06-18 | Ralph Stelzer | Arbeits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en, Aushärten und Oberflächenbearbeitung von pulverförmigen Werkstoffen auf Bauflächen |
| EP3127684B1 (en) | 2014-03-31 | 2020-09-30 | Cmet Inc. | Three-dimensional molding device |
| DE102014112469A1 (de) | 2014-08-29 | 2016-03-03 | Exone Gmbh | Beschichteranordnung für einen 3d-drucker |
| DE102014112454A1 (de) * | 2014-08-29 | 2016-03-03 | Exone Gmbh | Beschichteranordnung für einen 3D-Drucker |
| BR112017015820A2 (pt) | 2015-01-30 | 2018-07-1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geração de objetos 3d |
| DE102016002777A1 (de) * | 2016-03-09 | 2017-09-14 | Voxeljet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3D-Formteilen mit Baufeldwerkzeugen |
| JP6443410B2 (ja) * | 2016-08-10 | 2018-12-2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三次元造形システムおよび三次元造形方法 |
-
2018
- 2018-02-07 DE DE102018102753.2A patent/DE102018102753A1/de not_active Ceased
- 2018-06-28 KR KR1020207025693A patent/KR102283870B1/ko active Active
- 2018-06-28 EP EP18738233.8A patent/EP3749470B1/de active Active
- 2018-06-28 JP JP2020542370A patent/JP7043613B2/ja active Active
- 2018-06-28 WO PCT/EP2018/067367 patent/WO2019154528A1/de not_active Ceased
- 2018-06-28 US US15/733,478 patent/US1171788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318251A1 (en) | 2013-12-23 | 2016-11-03 | Voxeljet Ag | Device and method for 3d printing methods, with accelerated execution |
| JP2017532218A (ja) | 2014-08-29 | 2017-11-02 | エクスワン ゲーエムベーハー | 3dプリンタ、3dプリンタ装置および生成造形工程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DE102018102753A1 (de) | 2019-08-08 |
| EP3749470A1 (de) | 2020-12-16 |
| EP3749470B1 (de) | 2022-05-25 |
| JP2021508625A (ja) | 2021-03-11 |
| WO2019154528A1 (de) | 2019-08-15 |
| US20210101335A1 (en) | 2021-04-08 |
| JP7043613B2 (ja) | 2022-03-29 |
| US11717881B2 (en) | 2023-08-08 |
| KR20200108488A (ko) | 2020-09-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093065B2 (en) | Device and method for 3D printing methods, with accelerated execution | |
| KR101834278B1 (ko) | 3d 프린터, 3d 프린터 배열, 및 생성적 제조 방법 | |
| US11577425B2 (en) | Coater assembly for a 3D printer | |
| KR20160132498A (ko) | 모형을 레이어로 제작하는 장치 | |
| US20120133080A1 (en) |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for Improved Curl Control and Sidewall Quality | |
| KR102829925B1 (ko) | 베이닝된 효과를 갖는 복합 석재 및/또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 슬래브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로봇 아일랜드 및 장치 | |
| US11524454B2 (en) | Coater arrangement for a 3D printer | |
| US12397352B2 (en) | Coater for a 3D printer, 3D printer having the coater, use of the coater and use of the 3D printer | |
| KR102283870B1 (ko) | 3d 프린터 및 생성적 제조방법 | |
| CN104428123A (zh) | 带有沿出料容器可运动的储备或填料容器的用于构造多层体的设备 | |
| US20240342994A1 (en) | Closure device, 3d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3d-molded parts | |
| JP2020147038A (ja) | 3dプリンタ用のプリントヘッドコータモジュール、プリントヘッドコータモジュールの使用、およびプリントヘッドコータモジュールを含む3dプリンタ | |
| CN113579259A (zh) | 一种粘结剂喷射3d打印机的双向铺粉双向打印系统 | |
| JP2019521005A (ja) | 3次元印刷 | |
| HK1181709A (en) | Building-space changing device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with a building-space changing device | |
| HK1059761B (en) |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apid prototyp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