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540B1 -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 Google Patents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8540B1 KR102298540B1 KR1020200094699A KR20200094699A KR102298540B1 KR 102298540 B1 KR102298540 B1 KR 102298540B1 KR 1020200094699 A KR1020200094699 A KR 1020200094699A KR 20200094699 A KR20200094699 A KR 20200094699A KR 102298540 B1 KR102298540 B1 KR 102298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holder
- core
- base body
- pressing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H04N5/2252—
-
- H04N5/2253—
-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용 렌즈 홀더에 사용되는 자석 부재를 렌즈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해 렌즈 홀더를 위치 고정시키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holder fixing device for fixing a position of a lens holder in order to couple a magnet member used in a lens holder for a camera to the lens holder.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전기/전자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 중의 하나가 카메라 모듈(cameramodule)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 is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these technologies are not only a simple phone function, but also various functions such as music, movies, TV, games, etc.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ic/electronic technology. is providing One of the big roles in providing these various functions is the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현재 10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The camera module is changing from the existing 300,000 pixels (VGA level) to the current high-pixel center of 10 million pixels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it is changing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utofocusing (AF) and optical zoom.
또한, 무선 인터넷을 비롯한 파일 전송 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하여 화상 통화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화상 통화와 영상 촬영을 위한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이 단일 커넥터에 의해서 결합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듀얼 카메라(dual camera)가 제작되고 있다.In addition, video calls are made possible due to the development of file transmission systems including the wireless Internet, and two or more camera modules for video calls and video recording are mounted on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by a single connector (dual camera). camera) is being manufactured.
일반적으로, 이러한 듀얼 카메라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13 메가 이상의 고화소 카메라는 일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고, VGA급 이하의 저화소 카메라는 화상 통화용으로 사용된다. In general, in implementing such a dual camera, a high-pixel camera of 13 mega or more is used to take a general image, and a low-pixel camera of VGA level or less is used for video calls.
이렇게 두 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간의 정확한 접합이 요구되기에 제작하기가 어렵고, 기판 간의 접합부에 형성된 패드의 접촉 불량 등이 발생하면 기능 불량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므로 정확하게 카메라모듈과 기판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져야 한다.In this way, two or more camera modules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accurate bonding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is required, and malfunctions inevitably occur when pads formed at the junction between the boards are defective, 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mera module and the board is difficult. should be done
즉, 카메라 모듈을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부착된 연성회로기판(FPCB)을 카메라모듈 밑면의 인쇄회로기판과 정확하게 접합되어야 한다.That is, a flexible circuit board (FPCB) with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amera module to an external device must be accurately bond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module.
한편, 종래의 렌즈 홀더에는 자석 부재 예를 들어 렌즈 홀더의 사면 중 선택된 영역에 손떨림 보정 구동용 자석 부재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lens holder, a magnet member, for example, a magnet member for driving the image stabilization is provided in a selected area among the slopes of the lens holder.
이전에는 전술한 자석 부재를 렌즈 홀더에 결합시키기 위해 회전 방식의 클램프를 이용하였다. 이 경우 클램프가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회전 충격에 의해 렌즈 홀더에 크랙이나 변형이 발생되어 불량율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Previously, a rotating clamp was used to couple the aforementioned magnet member to the lens holder. In this case, cracks or deformations are generated in the lens holder due to the rotational impact generated while the clamp is rotated, thereby increasing the defect rate.
또한, 이전 클램프의 경우 렌즈 홀더를 클램프에 배치 시 렌즈 홀더를 잡아주는 구성이 없어 제품 안착이 불안정하고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증가되고 자석 부재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vious clamp,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hold the lens holder when the lens holder is placed in the clamp, so that the product is unstable, which increases the working tim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ssembly of the magnet member is defective.
나아가, 이전의 클램프는 포켓(pocket) 방식으로 안착되어 유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클램프를 고정 수단에 배치 시 클램프의 위치가 틀어져 본딩 불량이나 자석 부재의 조립 불량 등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the previous clamp is seated in a pocket method, and there is a gap, which causes the position of the clamp to be shifted when the clamp is placed on the fixing means, resulting in poor bonding or assembly of the magnet member.
그리고, 이전의 클램프는 렌즈 홀더를 가압 시 클램프가 렌즈 홀더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렌즈 홀더의 들뜸이 발생되어 본딩 불량이나 자석 부재의 조립 불량 등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vious clamp presses the lens holder in an upward direction when the clamp presses the lens holder, causing the lens holder to float, resulting in bonding defects or assembly defects of the magnet member.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석 부재가 결합되는 렌즈 홀더를 크랙이나 들뜸없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holder fixing device capable of safely and efficiently fixing a lens holder to which a magnet member is coupled without cracks or float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절개부가 마련된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며 자석 부재가 부착될 렌즈 홀더가 안착되는 코어부; 상기 절개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와 같이 이동되며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코어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body provided with a cutout on one side; a core part coupled to the base body and on which a lens holder to which a magnet member is to be attached is seated;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move to the cutout;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mov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part, disposed in the cutout, and pressing the lens holder in a downward direc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lens holder to the core part. have.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돌출 블록에 안착되어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할 수 있다.A protruding block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the core may be seated on the protruding block to support the lens holder.
상기 가압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 바디;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압 바디에 마련되는 돌출 바디; 및 상기 돌출 바디의 단부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렌즈 홀더의 가장자리를 가압시키는 경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may include a pressing bod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unit; a protruding body provided on the pressing body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body to be inclined to press the edge of the lens holder.
상기 돌출 바디는 상기 가압 바디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가압 바디의 상단부에서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상기 가압 바디의 하단부에서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가장 적게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The protruding body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ody, and the inclined surface may be inclined so as to protrude the most from the upper end of the pressuriz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and the least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uriz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have.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가압 바디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동축; 및 일측부는 상기 구동축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축 결합홀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을 원상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shaft at one end passing through the base body and coupled to the pressing body in the cutout, the other end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And one sid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drive shaft and the other side portion is supported by a shaft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base body may include an elastic body for restoring the drive shaft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핀 결합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agnet pin coupled to the pin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base body.
상기 코어부는, 상기 렌즈 홀더가 외벽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 블록에 결합되는 코어 헤드; 및 상기 코어 헤드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코어축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re part may include: a core head in which the lens holder is supported on an outer wall and coupled to the protrusion block; and a core shaft provided on the core head and coupled to the base body, wherein the core part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압부에 의해 렌즈 홀더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코어부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렌즈 홀더의 크랙이나 들뜸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lens holder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pressing part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cracks or lifting of the lens holder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product defects.
또한, 코어부가 자성체로 마련되어 렌즈 홀더의 안착을 안정적으로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감소할 수 있고, 작업성 향상으로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e part is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to stably seat the lens holder, product defects can be reduced, and work time can be saved by improving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구동부가 분해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렌즈 홀더가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를 이용하여 렌즈 홀더에 자석 부재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hold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drive unit in FIG. 1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1 ;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lens holder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a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the magnet member is coupled to the lens holder using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구동부가 분해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hold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4 is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driving unit is disassembled.
또한,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렌즈 홀더가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를 이용하여 렌즈 홀더에 자석 부재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In addition, FIG. 5 is a side view of FIG. 1 ,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lens holder is pressed by the pressing part as an operation diagram of this embodiment, and FIG. 7 is a magnet on the lens holder using this embodiment It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members are coupl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 고정 장치(1)는, 베이스 바디(100)와, 베이스 바디(100)에 결합되며 자석 부재(20)가 부착될 렌즈 홀더(10)가 안착되는 코어부(200)와, 베이스 바디(1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되는 구동부(300)와,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구동부(300)와 같이 이동되며 베이스 바디(100)의 절개부(120)에 배치되어 렌즈 홀더(10)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렌즈 홀더(10)를 코어부(200)에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부(4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lens holder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베이스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에 마련되는 절개부(120)에 의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자석 부재(20)의 부착 시 마그넷 펜을 갖는 부착수단(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상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블록(11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돌출 블록(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결합홀(111)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코어부(200)가 끼워 맞춤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a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전방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20)가 마련되고, 이 절개부(120)는 가압부(400)의 배치 장소와 가압부(400)의 전후 이동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ront of the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의 후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결합홀(130)이 마련되고, 이 축 결합홀(1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320)의 좌측부가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축 결합홀(130)은 구동부(300)의 구동축(310)이 도 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로 제공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at the rear of the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 결합홀(140)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자성을 갖는 복수의 자석핀(500)이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코어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블록(110)에 마련된 코어 결합홀(111)을 통해 돌출 블록(110)과 베이스 바디(100)에 결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부재(20)가 부착될 렌즈 홀더(10)의 안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 코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블록(110)에 결합되는 코어 헤드(210)와, 코어 헤드(2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0)에 결합되는 코어축(220)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20)가 부착될 렌즈 홀더(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헤드(210)에 결합될 수 있고, 그 결합 방식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 예에서 코어부(200)는 전체적으로 자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고, 코어 헤드(210)만 자성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홀더(10)에 부착되거나 부착된 자석 부재(20)와 자성을 갖는 코어부(200) 또는 코어 헤드(210)가 서로 인력이 작용되어 렌즈 홀더(10)는 코어 헤드(2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성 향상으로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코어 헤드(210)는 조도 관리를 통해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구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가압부(400)의 가압 바디(410)에 연결되며 타측부는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외부에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one side of the
본 실시 예에서 구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베이스 바디(100)를 관통하여 절개부(120)에서 가압 바디(410)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베이스 바디(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동축(310)과, 우측부는 구동축(310)에 지지되고 좌측부는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된 축 결합홀(130)에 지지되어 구동축(310)을 원상 복원시키는 탄성체(3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구동부(300)의 구동축(310)은, 가압부(400)의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된 바디홀(411)에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본 실시 예에서 구동축(310)은 탄성체(320)의 우측 단부가 지지되는 영역의 직경이 가장 크고 가압부(400)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가압 바디(410)는 절개부에 의해 마련된 베이스 바디(100)의 공간부에서 이동되어 외부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코어 헤드(210), 가압 바디(410) 및 구동축(310)의 중심 라인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구동축(310)의 가압에 의한 가압부(400)의 이동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이하에서 구동부(3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도 2의 도시된 상태는 렌즈 홀더(10)가 코어 헤드(210)의 안착되기 전의 상태로, 이 상태에서 구동축(310)의 우측 단부를 좌측으로 가압하면 구동축(310)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구동축(310)에 결합된 가압부(400)도 좌측으로 이동된다.First, the state shown in FIG. 2 is a state before the
이 상태에서 가압부(400)의 경사면부(430)는 코어 헤드(21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렌즈 홀더(10)를 코어 헤드(210)에 안착시킨다.In this state, since the
다음으로, 구동축(3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좌측으로 이동된 구동축(310)은 수축된 탄성체(320)가 팽창하면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가압부(400)도 구동축(310)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렌즈 홀더(10)를 가압하여 렌즈 홀더(1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Next,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가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동축(310)과 같이 이동되어 코어 헤드(210)에 안착된 렌즈 홀더(10)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본 실시 예에서 가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10)에 결합되어 구동축(310)과 같이 이동(도 6 참고)되는 가압 바디(410)와, 코어부(2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 바디(410)에 마련되는 돌출 바디(420)와, 돌출 바디(420)의 단부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렌즈 홀더(10)의 가장자리를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시키는 경사면부(43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가압부(400)의 돌출 바디(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바디(41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protruding
가압부(400)의 경사면부(430)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바디(410)의 상단부에서 코어 헤드(210)의 방향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가압 바디(410)의 하단부에서 코어 헤드(210)의 방향으로 가장 적게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 the
이 경우 경사면부(430)로 렌즈 홀더(10)를 가압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430)가 렌즈 홀더(10)를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가압(F)함으로써 렌즈 홀더(10)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의 본딩이나 자석 부재(20)의 부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자석핀(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된 핀 결합홀(140)에 결합되어 베이스 바디(100)가 배치되는 마그넷 펜을 갖는 부착수단(미도시)에 베이스 바디(100)를 자력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 자석핀(500)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압 바디(410)와 근접된 영역의 베이스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자석핀(500)은 베이스 바디(100)에 마련된 핀 결합홀(140)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가압부에 의해 렌즈 홀더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코어부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렌즈 홀더의 크랙이나 들뜸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essing the lens holder downward by the pressing part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re part, cracks or lifting of the lens holder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product defects.
또한, 코어부가 자성체로 마련되어 렌즈 홀더의 안착을 안정적으로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감소할 수 있고, 작업성 향상으로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e part is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to stably seat the lens holder, product defects can be reduced, and work time can be saved by improving workabilit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렌즈 홀더 고정 장치
100 : 베이스 바디 110 : 돌출 블록
111 : 코어 결합홀 120 : 절개부
130 : 축 결합홀 140 : 핀 결합홀
200 : 코어부 210 : 코어 헤드
220 : 코어축 300 : 구동부
310 : 구동축 320 : 탄성체
400 : 가압부 410 : 가압 바디
411 : 바디홀 420 : 돌출 바디
430 : 경사면부 500 : 자석핀
10 : 렌즈 홀더 20 : 자석 부재1: Lens holder fixture
100: base body 110: protrusion block
111: core coupling hole 120: cutout
130: shaft coupling hole 140: pin coupling hole
200: core part 210: core head
220: core shaft 300: driving unit
310: drive shaft 320: elastic body
400: pressurized part 410: pressurized body
411: body hole 420: protruding body
430: inclined surface part 500: magnet pin
10: lens holder 20: magnet member
Claims (7)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며 자석 부재가 부착될 렌즈 홀더가 안착되는 코어부;
상기 절개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와 같이 이동되며 상기 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홀더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코어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a base body provided with a cutout on one side;
a core part coupled to the base body and on which a lens holder to which a magnet member is to be attached is seated;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base body to move to the cutout; and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mov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part, and disposed in the cutout part to press the lens holder in a downward direc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lens holder to the core part.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부에는 돌출 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돌출 블록에 안착되어 상기 렌즈 홀더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sion block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The core part is seated on the protrusion block to support the lens holder.
상기 가압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 바디;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압 바디에 마련되는 돌출 바디; 및
상기 돌출 바디의 단부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렌즈 홀더의 가장자리를 가압시키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urizing part,
a pressing body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part;
a protruding body provided on the pressing body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and
A lens holder fixing device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body to be inclined to press the edge of the lens holder.
상기 돌출 바디는 상기 가압 바디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가압 바디의 상단부에서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상기 가압 바디의 하단부에서 상기 코어부의 방향으로 가장 적게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ruding body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ody,
The lens holder fixing device is provid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protrudes the most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por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body and protrudes the least in the direction of the core por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dy.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가압 바디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동축; 및
일측부는 상기 구동축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축 결합홀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을 원상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rive unit,
a driving shaft at one end passing through the base body and coupled to the pressing body in the cutout, the other end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and
A lens holder fixing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body that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n a shaft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base body to restore the drive shaft.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된 핀 결합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핀을 더 포함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holder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agnet pin coupled to the pin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base body.
상기 코어부는,
상기 렌즈 홀더가 외벽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 블록에 결합되는 코어 헤드; 및
상기 코어 헤드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코어축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자성체로 마련되는 렌즈 홀더 고정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re part,
a core head supported by the lens holder on an outer wall and coupled to the protrusion block; and
and a core shaft provided on the core head and coupled to the base body,
The lens holder fixing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in the core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94699A KR102298540B1 (en) | 2020-07-29 | 2020-07-29 |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94699A KR102298540B1 (en) | 2020-07-29 | 2020-07-29 |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98540B1 true KR102298540B1 (en) | 2021-09-07 |
Family
ID=777969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94699A Expired - Fee Related KR102298540B1 (en) | 2020-07-29 | 2020-07-29 |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9854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177029A1 (en) * | 2022-03-15 | 2023-09-21 | 주식회사 오로스 테크놀로지 | Off-axis lens assembly having incident angl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81522B1 (en) * | 2001-10-30 | 2005-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ructure for fixing lens |
| KR20050042657A (en) * | 2003-11-04 | 2005-05-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Optical system with image surface adjusting part and inclined optical system |
| KR20050109647A (en) * | 2004-05-17 | 2005-11-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transfer module |
| KR20060024033A (en) * | 2004-09-13 | 2006-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rrection lens adjuster of optical pickup |
| KR20180135269A (en) | 2017-06-12 | 2018-12-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
2020
- 2020-07-29 KR KR1020200094699A patent/KR1022985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81522B1 (en) * | 2001-10-30 | 2005-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ructure for fixing lens |
| KR20050042657A (en) * | 2003-11-04 | 2005-05-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Optical system with image surface adjusting part and inclined optical system |
| KR20050109647A (en) * | 2004-05-17 | 2005-11-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transfer module |
| KR20060024033A (en) * | 2004-09-13 | 2006-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rrection lens adjuster of optical pickup |
| KR20180135269A (en) | 2017-06-12 | 2018-12-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177029A1 (en) * | 2022-03-15 | 2023-09-21 | 주식회사 오로스 테크놀로지 | Off-axis lens assembly having incident ang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7976765B (en) | Lens mo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US9857556B1 (en) | Apparatus for auto focus | |
| CN100516960C (en) | Lens unit and imaging device | |
| CN100568039C (en) | Lens unit and imaging device | |
| US12038682B2 (en) | Optical system | |
| KR102186788B1 (en) | Ois module assembling kit for camera | |
| US12360331B2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 KR20160093201A (en) | Bendable display device | |
| US7929851B2 (en) | Camera module with selectable imaging units and method for switching imaging capability of camera module | |
| KR102298540B1 (en) |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 |
| KR101147782B1 (en) | Camera module | |
| KR102186786B1 (en) | Fixing apparatus of lens holder | |
| CN220473828U (en) | Shooting device | |
| US7379253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 |
| KR102238020B1 (en) | Fpcb combination apparatus for camera module | |
| KR102339160B1 (en) | Fpcb combination apparatus for camera module | |
| KR102382859B1 (en) | Ois module assembling kit for camera | |
| CN223155297U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 US8218104B2 (en) | Electronic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backlight unit, and front frame thereof | |
| KR102328484B1 (en) | Lens assemblng apparatus for camera | |
| KR102199457B1 (en) | Lens assemblng apparatus for camera | |
| CN223139931U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 CN223389965U (en) | Optical element drive mechanism | |
| US20250093674A1 (en)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device and optical device | |
| US11506909B2 (en) | Optical mechanis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9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