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59B1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Luggage room stor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1459B1 KR102291459B1 KR1020200053735A KR20200053735A KR102291459B1 KR 102291459 B1 KR102291459 B1 KR 102291459B1 KR 1020200053735 A KR1020200053735 A KR 1020200053735A KR 20200053735 A KR20200053735 A KR 20200053735A KR 102291459 B1 KR102291459 B1 KR 102291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hook
- guide
- rail guide
- luggage roo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러기지룸 측면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레일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부;를 포함하되, 레일부는, 러기지룸 외측을 향하는 레일외측면에 전후로 연장 형성된 레일가이드홀; 레일가이드홈 상단에 전후로 형성된 상부레일가이드; 및 상부레일가이드와 대응되도록 레일가이드홈 하단에 전후로 형성된 하부레일가이드;를 포함하고, 후크부는, 레일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된 후크바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내측면에 형성된 걸이부; 후크내측면과 대향하는 후크외측면에서, 레일가이드홀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부레일가이드에 접촉 지지되는 상부가이드돌기; 및 상부가이드돌기의 하측에서, 레일가이드홀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하부레일가이드에 접촉 지지되는 하부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이 제공된다.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unit installed on a luggage trim forming a side of the luggage room; and at least one hook part fastened to the rail par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rail part comprising: a rail guide hole extending back and forth on an outer surface of the rail facing the outside of the luggage room; an upper rail guide formed at the top of the rail guide groove back and forth; and a lower rail guide formed back and forth at the lower end of the rail guide groove to correspond to the upper rail guide, wherein the hook unit includes: a hook body fasten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il unit; a hook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facing the inside of the luggage room; an upper guide protrus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ail guide hole on the hook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rail guide; and a lower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guide protrusion toward the rail guide hole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ail gu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러기지룸에 화물 등을 적재하기 위한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system for loading cargo or the like in a luggage room of a vehicle.
차량 후방에는 화물 등의 적재를 위한 러기지룸이 구비될 수 있다. 러기지룸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 크기 등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적재된 화물이 운행 중 소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SUV, 왜건 등과 같이 러기지룸이 객실과 연결되어 있는 차량에서 보다 문제될 수 있다. 또한 러기지룸은 대체로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화물은 차량 운행 중 이동되어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이를 쉽게 찾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A luggage room for loading cargo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luggage room may be loaded with cargos of various types and sizes, and in some cases, the loaded cargo may cause noise during operation. This can be more problematic in vehicles such as SUVs and wagons where the luggage room is connected to the cabin. In addition, since the luggage room is generally formed as a single space, small cargo may be moved and dama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or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it.
한편 종래부터 러기지룸의 공간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은 다양하게 모색되어 왔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936997호(특허문헌 1)은 러기지룸의 헤드라이닝에서 하강되는 러기지보드를 개선한 러기지룸의 화물적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10582호(특허문헌 2)는 러기지보드를 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공간 활용도 등을 개선한 러기지룸 어셈블리를 제안한 바 있다.Meanwhile, various methods for using the space of the luggage room more effectively have been sought in the past. As an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936997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cargo loading device for a luggage room in which a luggage board that is lowered from the headlining of the luggage room is improved.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0582 (Patent Document 2) has proposed a luggage room assembly in which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by forming a luggage board to be foldable.
본 발명은 러기기룸 내 화물의 유동 소음을 저감시키고, 수납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the flow noise of cargo in the luggage room and improving storage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러기지룸 측면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림에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부는, 상기 러기지룸 외측을 향하는 레일외측면에 전후로 연장 형성된 레일가이드홀; 상기 레일가이드홈 상단에 전후로 형성된 상부레일가이드; 및 상기 상부레일가이드와 대응되도록 상기 레일가이드홈 하단에 전후로 형성된 하부레일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레일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된 후크바디; 상기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내측면에 형성된 걸이부; 상기 후크내측면과 대향하는 후크외측면에서, 상기 레일가이드홀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가이드에 접촉 지지되는 상부가이드돌기; 및 상기 상부가이드돌기의 하측에서, 상기 레일가이드홀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레일가이드에 접촉 지지되는 하부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unit installed on a luggage trim forming a side of the luggage room; and at least one hook part fastened to the rail part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herein the rail part includes: a rail guide hole extending back and forth on an outer surface of the rail facing the outside of the luggage room; an upper rail guide formed back and forth on the top of the rail guide groove; and a lower rail guide formed back and forth at the lower end of the rail guide groove to correspond to the upper rail guide, wherein the hook part includes: a hook body fasten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il part; a hook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facing the inside of the luggage room; an upper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ail guide hole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ok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rail guide; and a lower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ail guide hole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guide protrusion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ail gui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은 러기지트림에 레일부가 설치되고, 레일부에 화물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후크부가 구비되어, 보다 쉽고 안전하게 화물의 적재가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수납시스템은 러기지룸의 공간 구조상 버려지는 공간으로 그 활용도가 미비하였던 측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unit is installed on the luggage trim, and a hook unit capable of mounting cargo or the like on the rail unit is provided, so that loading of cargo can be made more easily and safely. In particular, such a storage system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utilize the side space, which is a wasted space due to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luggage roo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은 화물 등이 후크부에 거치되어 고정 보조되고, 이와 같은 후크부가 상하 및 좌우로 복수개 배치되어 화물 등을 복수개소에서 거치함으로써, 러기지룸 내 화물의 유동 소음을 저감시키고, 유동으로 인한 화물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rgo is mounted on a hook and fixedly assisted, and a plurality of such hooks are dispos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 hold cargo, etc. at a plurality of places, It can reduce the flow noise of cargo in the base room and prevent damage to cargo due to flow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후크부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의 화물에 대응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이 수납시스템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화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move the hook part as necessary, so that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cargo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in some cases, the cargo is mounted in the storage system. It is possible to move the cargo even in the closed stat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부 및 후크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일부 및 후크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rail unit shown in FIG. 1 .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rail unit and the hook unit shown in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rail part and the hook part shown in FIG. 3 .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rail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6 is a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in u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f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이하, "수납시스템(100)"으로 지칭)은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되는 레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레일부(110)는 러기지룸의 측면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11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부(110)는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110)는 적재된 화물 등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가급적 견고한 구조에 의해 러기지트림(10)에 장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레일부(110)는 러기지트림(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적재된 화물 등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레일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폐루프를 형성하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레일부(110)는 상부레일부(111) 및 하부레일부(112)를 구비하고, 상부레일부(111)와 하부레일부(112)의 양단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일부(110)는 적재된 화물 등이 상하의 복수 개소에서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화물의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The
한편, 본 실시예의 수납시스템(100)은 레일부(110)에 체결되는 후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후크부(120)는 레일부(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120)는 레일부(110)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부(110)가 후크부(120)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후크부(120)는 레일부(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후크부(120)는 후크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바디(121)는 전후로 연장된 후크장착홀(123)을 구비하고, 레일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크부(120)는 레일부(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The
후크부(120)는 걸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122)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바디(12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22)는 화물 등이 걸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후크바디(12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이부(122)는 상단이 후크바디(1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화물 등의 걸림을 위한 소정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하단이 후크바디(121)에 연결되어 화물 등을 접촉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화물 등을 좀 더 용이하게 후크부(120)에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후크부(120)는 소정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후크부(120)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소정 정도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후크부(120)의 이동 및 위치 고정과 관련된다.The
후크부(1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후크부(120)를 예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후크부(120)는 상부레일부(111) 및 하부레일부(112)에 동일한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부레일부(111)에 배치된 후크부(120)가 화물 등의 상측을 고정 지지하고, 하부레일부(112)에 배치된 후크부(120)가 화물 등의 하측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경우, 화물 등은 수납시스템(100)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고, 래틀 소음 등도 저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레일부(111)에 전후로 2개의 후크부(120)가 구비되고, 하부레일부(112)에 전후로 2개의 후크부(12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복수의 후크부(120)는 각각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rail unit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레일부(110)는 전방레일부(113) 및 후방레일부(114)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전방레일부(113)는 후단이 개방된 "U"자형의 레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레일부(114)는 이와 대응되도록 전단이 개방된 "U"자형의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레일부(113) 및 후방레일부(114)는 각 단부가 연결편(115)을 통해 연결 조립되어 폐루프 형태의 레일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후크부(120)는 전방레일부(113) 또는 후방레일부(11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레일부(113) 및 후방레일부(114)로 레일부(110)를 분할 형성한 것은 후크부(120)의 조립 편의성을 함께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후크부(120)가 미리 후방레일부(114)에 조립되고, 연결편(115)에 의해 다시 전방레일부(113)와 후방레일부(114)가 연결 조립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부 및 후크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일부 및 후크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of the rail unit and the hook unit shown in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the rail part and the hook part shown in FIG. 3 .
참고로, 도 3 및 4는 레일부(110) 및 후크부(120)를 러기지룸 외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의 "LI"로 표시된 방향이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방향, "LO"로 표시된 방향이 러기지룸 외측을 향하는 방향임을 알려둔다.For reference, FIGS. 3 and 4 show the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레일부(110)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해 배치된 레일내측면(110a), 레일내측면(110a)과 대향하도록 러기지룸 외측을 향해 배치된 레일외측면(110b), 레일내측면(110a) 및 레일외측면(110b)의 상단을 연결하는 레일상단면(110c), 레일내측면(110a) 및 레일외측면(110b)의 하단을 연결하는 레일하단면(110d)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내측면(110a), 레일외측면(110b), 레일상단면(110c) 및 레일하단면(110d) 간은 완만한 곡면 형태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레일부(110)는 레일내측면(110a), 레일외측면(110b), 레일상단면(110c) 및 레일하단면(110d)이 소정의 횡단면을 이루며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레일외측면(110b)에는 레일가이드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가이드홀(116)은 레일외측면(110b)을 따라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부(110)는 레일외측면(110b) 부위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A
레일가이드홀(116) 상단에는 상부레일가이드(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레일가이드(117)은 레일가이드홀(116)을 따라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레일가이드(117)에는 함입부(117a) 및 돌출부(117b)가 형성될 수 있다. 함입부(117a) 및 돌출부(117b)는 레일가이드홀(116)을 따라 복수개가 교대로 반복되며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함입부(117a) 및 돌출부(117b)는 소정 곡률을 가진 원호 형태로 함입 또는 돌출되되, 연결부가 완만한 곡선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 형성될 수 있다.An
레일가이드홀(116) 하단에는 하부레일가이드(118)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레일가이드(118)은 상부레일가이드(117)과 대응되도록 함입부 및 돌출부가 교번하여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가이드홀(116)은 전후 방향을 따라 상하 폭이 넓어지거나(함입부), 좁아지는(돌출부) 형태가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A
레일부(110)는 상기와 같이 전후로 레일가이드홀(116)이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횡단면을 가지므로, 후크부(120)에 거치된 화물 등의 하중을 적절히 지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부(11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스틸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레일가이드홀(116)은 가급적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의도되고, 후크부(120)의 이동은 후크부(1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Since the
한편, 후크부(120)는 레일부(110)의 횡단면을 감싸는 형태로 레일부(110)의 외측 둘레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120)는 러기지룸 내측을 향해 배치된 후크내측면(120a), 후크내측면(120a)과 대향하도록 러기지룸 외측을 향해 배치된 후크외측면(120b), 후크내측면(120a) 및 후크외측면(120b)의 상단을 연결하는 후크상단면(120c), 후크내측면(120a) 및 후크외측면(120b)의 하단을 연결하는 후크하단면(120d)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내측면(120a), 후크외측면(120b), 후크상단면(120c) 및 후크하단면(120d)은 레일부(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완만한 곡면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후크외측면(120b)에는 후크절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절개부(124)는 후크외측면(120b)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크외측면(120b)을 상하로 분할할 수 있다. 후크부(120)는 이러한 후크절개부(124)를 통해 소정 정도 탄성 변형될 수 있다.A
후크절개부(124)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부가이드돌기(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가이드돌기(125)는 후크절개부(124) 상측에서 후크부(120)의 후크내측면(120a)을 향해 소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가이드돌기(125)는 전술한 함입부(117a) 및 돌출부(117b)의 곡률에 대응되는 소정 곡률의 반원 또는 원호(arc)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레일가이드(117)의 형상에 따른 후크부(120)의 원활한 이동 및 고정을 위함이다. 상부가이드돌기(125)는 상부레일가이드(117)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An
후크절개부(124)를 중심으로 하측에는 하부가이드돌기(126)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돌기(126)는 상부가이드돌기(125)와 유사하게 후크부(120)의 후크외측면(120b)에서 후크내측면(120a)을 향해 돌출되어,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돌기(126)는 하부레일가이드(118)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A
상부가이드돌기(125) 및 하부가이드돌기(126)는 각각 상부레일가이드(117) 및 하부레일가이드(118)에 체결되어 후크부(120)의 이동이나 위치 고정을 보조하게 된다. 후크부(120)의 이동시 상부가이드돌기(125) 및 하부가이드돌기(126)는 후크절개부(124)를 중심으로 상호 인접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후크부(120)의 이동을 가능케 하고 소정의 작동감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후크부(120)의 위치 고정시 상부가이드돌기(125) 및 하부가이드돌기(126)는 함입부(117a)에 배치되어 후크부(120)의 위치 고정을 보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가이드돌기(125) 및 하부가이드돌기(126)는 후크부(120)의 재질 및 후크절개부(124)에 의해 함입부(117a)에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되므로, 후크부(120)나 화물의 이동을 적절히 제한하면서도 불필요한 래틀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of the rail shown in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5는 도 2와 같이 조립된 레일부(110)를 러기지룸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조립된 레일부(110)는 레일외측면(110b)에 전후로 연장된 레일가이드홀(116)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110)가 상부레일부(111) 및 하부레일부(112)를 포함하는 경우, 레일가이드홀(116)은 상부레일부(111) 및 하부레일부(112)에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5 shows a view of th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6 is a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system shown in FIG. 1 in use.
도 6을 참조하면, 화물 등은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된 형태로 러기지트림(10)에 거치될 수 있다. 화물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후크부(120)는 적절한 배치 위치로 이동되어 화물을 거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cargo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luggage trim 10 in the form of being engaged with the
본 실시예에서는 화물의 한 형태로 박스 형상의 수납함(130)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납함(130)은 러기지트림(10)을 향해 배치된 측면에 걸개(131, 132)가 구비될 수 있고, 걸개(131, 132)가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되어 수납시스템(100)에 적절히 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개(131, 132)는 상부걸개(131) 및 하부걸개(1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걸개(131)는 상부레일부(111)에 배치된 후크부(120)와, 하부걸개(132)는 하부레일부(112)에 배치된 후크부(120)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안정적인 수납함(130)의 거치가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a box-shaped
후크부(120)는 수납함(130) 등의 거치 이전에 레일부(110)를 따라 적절한 위치로 미리 이동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함(130) 등을 거치한 상태로 적절히 전후 이동될 수 있다. 후크부(120)의 이동 및 위치 고정은 전술한 상, 하부가이드돌기(125, 126) 및 상, 하부레일가이드(117, 118)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The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수납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수납함(130)이 포함된 형태로 모듈화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시스템(100)은 러기지트림(10)에 레일부(110)가 설치되고, 레일부(110)에 화물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후크부(120)가 구비되어, 보다 쉽고 안전하게 화물의 적재가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수납시스템(100)은 러기지룸의 공간 구조상 버려지는 공간으로 그 활용도가 미비하였던 측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시스템(100)은 화물 등이 후크부(120)에 거치되어 고정 보조되고, 이와 같은 후크부(120)가 상하 및 좌우로 복수개 배치되어 화물 등을 복수개소에서 거치함으로써, 러기지룸 내 화물의 유동 소음을 저감시키고, 유동으로 인한 화물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후크부(120)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의 화물에 대응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이 수납시스템(100)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화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러기지트림 100: 수납시스템
110: 레일부 111: 상부레일부
112: 하부레일부 113: 전방레일부
114: 후방레일부 115: 연결편
116: 레일가이드홀 117: 상부레일가이드
117a: 함입부 117b: 돌출부
118: 하부레일가이드 110a: 레일내측면
110b: 레일외측면 110c: 레일상단면
110d: 레일하단면 120: 후크부
121: 후크바디 122: 걸이부
123: 후크장착홀 124: 후크절개부
125: 상부가이드돌기 126: 하부가이드돌기
120a: 후크내측면 120b: 후크외측면
120c: 후크상단면 120d: 후크하단면
130: 수납함 131: 상부걸개
132: 하부걸개10: luggage trim 100: storage system
110: rail portion 111: upper rail portion
112: lower rail portion 113: front rail portion
114: rear rail portion 115: connecting piece
116: rail guide hole 117: upper rail guide
117a:
118:
110b: rail
110d: rail bottom surface 120: hook part
121: hook body 122: hook part
123: hook mounting hole 124: hook cutout
125: upper guide projection 126: lower guide projection
120a: hook
120c: hook
130: storage box 131: upper hanger
132: lower cover
Claims (5)
상기 레일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110)는,
러기지룸 외측을 향하는 레일외측면(110b)에 전후로 연장 형성된 레일가이드홀(116);
상기 레일가이드홀(116) 상단에 전후로 형성된 상부레일가이드(117); 및
상기 상부레일가이드(117)와 대응되도록 상기 레일가이드홀(116) 하단에 전후로 형성된 하부레일가이드(118);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120)는,
상기 레일부(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된 후크바디(121);
상기 러기지룸 내측을 향하는 후크내측면(120a)에 형성된 걸이부(122);
상기 후크내측면(120a)과 대향하는 후크외측면(120b)에서 상기 레일가이드홀(116)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레일가이드(117)에 접촉 지지되는 상부가이드돌기(125);
상기 상부가이드돌기(125)의 하측에서 상기 레일가이드홀(116)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레일가이드(118)에 접촉 지지되는 하부가이드돌기(126); 및
상기 후크외측면(120b)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돌기(125)과 상기 하부가이드돌기(126) 사이에 형성되는 후크절개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레일가이드(117) 및 상기 하부레일가이드(118)는,
상기 레일가이드홀(116)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117b); 및
상기 돌출부(117b)와 반대되게 인입 형성된 함입부(117a);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17b) 및 상기 함입부(117a)는, 완만한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레일가이드(117) 및 상기 하부레일가이드(118)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돌기(125) 및 상기 하부가이드돌기(126)는, 반원 또는 원호(arc)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a rail unit 110 installed on the luggage trim 10; and
Including; and a hook part 120 fastened to the rail part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rail unit 110,
a rail guide hole 116 extending back and forth on the rail outer surface 110b facing the outside of the luggage room;
an upper rail guide 117 formed in front and back at the top of the rail guide hole 116; and
and a lower rail guide 118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ail guide hole 116 to correspond to the upper rail guide 117, and
The hook part 120,
a hook body 121 that is fasten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il unit 110 and partially or entire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 hook portion 122 formed on the hook inner side surface 120a facing the inside of the luggage room;
an upper guide projection 125 tha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ail guide hole 116 from the hook outer surface 120b opposite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k 120a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rail guide 117;
a lower guide protrusion 126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guide protrusion 125 toward the rail guide hole 116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rail guide 118; and
and a hook cutout 124 formed between the upper guide protrusion 125 and the lower guide protrusion 126 on the hook outer surface 120b.
The upper rail guide 117 and the lower rail guide 118 are,
a protrusion (117b) protruding toward the rail guide hole (116); and
Containing;
The protrusion 117b and the recessed portion 117a form a gentle curve and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rail guide 117 and the lower rail guide 118,
The upper guide protrusion 125 and the lower guide protrusion 126 are formed to protrude in a semicircle or arc shape,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상기 레일부(110)는,
상기 러기지트림(10)에 전후로 연장 형성된 상부레일부(111); 및
상기 상부레일부(111)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후로 연장 형성된 하부레일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1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레일부(111) 및 상기 하부레일부(112)에 각각 하나 이상씩 배치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unit 110,
an upper rail portion 111 extending back and forth on the luggage trim 10; and
and a lower rail part 112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ail part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nded back and forth.
The hook part 120,
A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is disposed at least one in each of the upper rail part (111) and the lower rail part (112).
상기 후크부(120)에 걸림 결합되어 소정의 화물을 내부에 수납 가능한 수납함(1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함(130)은,
상기 상부레일부(111)에 배치된 상기 후크부(120)와 걸립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함(130)의 일면에 마련되는 상부걸개(131); 및
상기 하부레일부(112)에 배치된 상기 후크부(120)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걸개(131)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하부걸개(132);를 포함하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box 130 that is engaged with the hook part 120 and can accommodate a predetermined cargo therein,
The storage box 130,
an upper hanger 131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box 13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ok unit 120 disposed on the upper rail unit 111; and
Luggage roo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53735A KR102291459B1 (en) | 2020-05-06 | 2020-05-06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53735A KR102291459B1 (en) | 2020-05-06 | 2020-05-06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91459B1 true KR102291459B1 (en) | 2021-08-20 |
Family
ID=774665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53735A Active KR102291459B1 (en) | 2020-05-06 | 2020-05-06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91459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60028693U (en) * | 1995-02-24 | 1996-09-17 | Garbage Collection Structure of Vehicles | |
| KR20020045111A (en) * | 2000-12-07 | 2002-06-19 | 이계안 | Luggage shake prevention net support means of automobile |
| KR20030024199A (en) * | 2001-09-17 | 2003-03-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Cargo hook device for truck |
| KR101610582B1 (en) | 2015-03-20 | 201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wo-stage luggage room assembly for Vehicle |
| KR101936997B1 (en) | 2016-12-16 | 2019-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go loading apparatus of luggage room for vehicle |
-
2020
- 2020-05-06 KR KR1020200053735A patent/KR1022914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60028693U (en) * | 1995-02-24 | 1996-09-17 | Garbage Collection Structure of Vehicles | |
| KR20020045111A (en) * | 2000-12-07 | 2002-06-19 | 이계안 | Luggage shake prevention net support means of automobile |
| KR20030024199A (en) * | 2001-09-17 | 2003-03-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Cargo hook device for truck |
| KR101610582B1 (en) | 2015-03-20 | 2016-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Two-stage luggage room assembly for Vehicle |
| KR101936997B1 (en) | 2016-12-16 | 2019-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go loading apparatus of luggage room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552256B2 (en) | C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 |
| US8714614B2 (en) | Instrument panel | |
| US20220194311A1 (en) | Truck bracket assembly | |
| KR20130058832A (en) | Transverse trim for vehicle | |
| KR102291459B1 (en)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
| KR102506240B1 (en) | Roof box for vehicles | |
| KR102318978B1 (en)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
| KR102307652B1 (en)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
| JP2012091644A (en) | Deck board for vehicle | |
| JP4959409B2 (en) | Luggage board support structure | |
| JP7033002B2 (en) | Fixed structure of support member | |
| JPH11170925A (en) | Vehicle tail end member trim structure | |
| KR102307649B1 (en) | Luggage room storage system | |
| WO2012108241A1 (en) | Tonneau cover device | |
| JPH11104U (en) | Clip mounting seat for body interior parts | |
| KR102413571B1 (en) | Door-guard for automobile | |
| JP7322399B2 (en) | Instrument panel housing structure | |
| KR100373126B1 (en) | Luggage shake prevention net support means of automobile | |
| JP4697592B2 (en) | Interior trim article storage structure | |
| JPH05124477A (en) | Bumper construction | |
| KR101787700B1 (en) | Barrier net apparatus for vehicle | |
| JP2006335096A (en) | Rear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 |
| KR20190054303A (en) | Door Trim Armrest for vehichle | |
| KR950009018Y1 (en) | Attachment Structure of Automotive Console Box | |
| JP3952137B2 (en) | Rear body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2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