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20B1 -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3320B1 KR102293320B1 KR1020197028389A KR20197028389A KR102293320B1 KR 102293320 B1 KR102293320 B1 KR 102293320B1 KR 1020197028389 A KR1020197028389 A KR 1020197028389A KR 20197028389 A KR20197028389 A KR 20197028389A KR 102293320 B1 KR102293320 B1 KR 1022933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interaction
- circuit
- erasing
- handwri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43K29/093—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with calcul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06F3/03546—Pens or stylus using a rotatable ball at the tip as position detecting memb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지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회로와, 도 2의 예의 태블릿 단말의 전자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다른 구성예에 대응한,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제2 지시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지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자 회로와,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의 전자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지시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9)
-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지시하는 위치가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되는, 펜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는 위치 지시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지시부와 제2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지시부에는,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는,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캐패시턴스 소자와 자성체에 권회된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된 공진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전자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2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2 회로 요소는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상기 인터랙션은, 신호 발진 회로와 상기 신호 발진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도전체로 구성된 신호 발신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정전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2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2 회로 요소는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션 회로가 구비하는, 캐패시턴스 소자와 자성체에 권회된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된 공진 회로에 기초하는 전자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1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1 회로 요소는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상기 인터랙션 회로가 구비하는, 신호 발진 회로와 상기 신호 발진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도전체로 구성된 신호 발신 회로에 기초하는 정전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제1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제1 회로 요소는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회로는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동일 종류의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의 상기 센서면에 대향하는 면적은,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대해서 상기 유지부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상기 소거 부재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상기 소거 부재는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된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펜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한 위치 지시기를 상기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조작함으로써, 상기 위치 지시기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위치 지시기와 상기 센서 사이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위치 지시기는,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 지시부와 제2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지시부에는,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필적을 시인 가능하게 형성하는 심체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1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는,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해서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제2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제2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면에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상기 제1 지시부에 마련된, 상기 심체에 의한 필적을 시각적으로 기록하는 시트 모양 부재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상기 위치 지시기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면에 대한,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인지,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인지를 검지하고,
상기 센서면에 대한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의 검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시트 모양 부재로의 시각적인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제1 필기 정보 기록 처리를 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면에 대한 상기 제2 지시부에 의한 위치 지시 조작의 검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지시부의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필기 정보 기록 처리에서 기록된 필기 정보와는 식별 가능하게 기록하는 제2 필기 정보 기록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필기 정보 기록 처리에서 기록되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상기 시트 모양 부재로의 시각적인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필기 정보 기록 처리에서 기록되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는, 식별 정보에 의해서 서로가 식별 가능하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필기 정보 처리에서 기록되는 상기 위치 지시기의 필기 조작에 대응한 위치 정보에 부가되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제1 지시부 및 상기 제2 지시부가 동일 종류의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의 상기 센서면에 대향하는 면적은,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대해서 상기 유지부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센서의 센서면 상에서 지시하는 위치가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센서로 검출되는, 펜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는 위치 지시기로서,
상기 하우징의 축심 방향의 제1 단부에 지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센서와 상기 지시부가 인터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랙션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시부에는,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필적을 시각적으로 소거하기 위한 소거 부재가, 상기 축심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지시되는 위치가 상기 인터랙션 회로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상기 인터랙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요소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소거 부재는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기여하는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지부가 상기 회로 요소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에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인터랙션은, 캐패시턴스 소자와 자성체에 권회된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된 공진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전자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회로 요소는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와 상기 센서의 상기 인터랙션은, 신호 발진 회로와 상기 신호 발진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도전체로 구성된 신호 발신 회로를 구비하는 인터랙션 회로에 기초하는 정전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지시부에 배설된 상기 회로 요소는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소거 부재를 유지하는 상기 유지부는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신호 발신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체와 함께, 상기 센서와의 상기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회로 요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의한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소거 부재의 소거 능력에 대한 기록 능력을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제2 회로 요소에 의한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소거 부재의 상기 소거 능력을 상기 센서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형성된 필적의 데이터에 대한 소거에 대한 선택성을 실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1 회로 요소에 의한 상기 센서와의 인터랙션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시부의, 상기 제2 지시부의 상기 소거 부재의 소거 능력에 대한 기록 능력을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지시부에 의해서 상기 센서면 상에서 형성된 필적의 데이터의 소거를 허가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를 상기 센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17-040084 | 2017-03-03 | ||
| JP2017040084 | 2017-03-03 | ||
| PCT/JP2017/034403 WO2018158993A1 (ja) | 2017-03-03 | 2017-09-25 | 位置指示器及び筆記情報処理装置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25372A KR20190125372A (ko) | 2019-11-06 |
| KR102293320B1 true KR102293320B1 (ko) | 2021-08-25 |
Family
ID=633707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7028389A Active KR102293320B1 (ko) | 2017-03-03 | 2017-09-25 |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7)
| Country | Link |
|---|---|
| US (1) | US10963115B2 (ko) |
| EP (1) | EP3579088B1 (ko) |
| JP (1) | JP6901548B2 (ko) |
| KR (1) | KR102293320B1 (ko) |
| CN (1) | CN110291494B (ko) |
| TW (1) | TWI737827B (ko) |
| WO (1) | WO20181589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95710A1 (ja) * | 2018-11-09 | 2020-05-14 | 株式会社ワコム | 電子消去具及び筆記情報処理システム |
| CN112689814A (zh) * | 2018-11-30 | 2021-04-20 |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 笔迹清除工具、书写设备和书写系统 |
| JP7482706B2 (ja) * | 2020-07-08 | 2024-05-14 | 株式会社ワコム | 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 |
| EP3995940A1 (de) * | 2020-11-10 | 2022-05-11 | RAFI GmbH & Co. KG | Manuell betätigbare befehlseingabe-vorrichtung sowie sensor-anordnung für dessen betrieb |
| CN114840075A (zh) * | 2022-04-06 | 2022-08-02 | 华为技术有限公司 | 手写笔及终端设备 |
| WO2024070383A1 (ja) * | 2022-09-26 | 2024-04-04 | ゼブラ株式会社 |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 |
| CN120477707B (zh) * | 2025-05-16 | 2025-10-03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帕金森诊断用患者笔迹行为手部动态采集仪及采集系统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006272A1 (ja) * | 2014-07-11 | 2016-01-14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の入力制御方法 |
| WO2016129614A1 (ja) * | 2015-02-12 | 2016-08-18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 |
| JP2017037670A (ja) * | 2009-05-28 | 2017-02-16 | ケント ディスプ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筆記タブレット情報記録デバイス |
Family Cites Families (2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250306B2 (ko) | 1972-02-04 | 1977-12-23 | ||
| JP3071553B2 (ja) | 1992-03-24 | 2000-07-31 | 株式会社ワコム | 可変容量コンデンサ及びこれを利用した位置指示器 |
| US5528002A (en) * | 1993-07-15 | 1996-06-18 | Pentel Kabushiki Kaisha | Noiseproof digitizing apparatus with low power cordless pen |
| JP3414517B2 (ja) * | 1994-08-26 | 2003-06-09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座標入力装置 |
| JP2767098B2 (ja) * | 1995-06-06 | 1998-06-18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ユニット及びスタイラスペン |
| JP2006107124A (ja) | 2004-10-05 | 2006-04-20 | Ricoh Co Ltd | タブレット及び情報読み取り方法 |
| JP2007094932A (ja) * | 2005-09-30 | 2007-04-12 | Pentel Corp | 筆跡入力システム |
| JP2007249670A (ja) | 2006-03-16 | 2007-09-27 | Wacom Co Ltd |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 |
| TW200945120A (en) * | 2008-04-17 | 2009-11-01 | Lirlink Internat Inc | Digital pen structure and data input method |
| JP5250306B2 (ja) | 2008-05-22 | 2013-07-3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デジタルペンデータ処理装置 |
| JP5430339B2 (ja) * | 2009-10-19 | 2014-02-26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指示器 |
| JP2011145819A (ja) * | 2010-01-13 | 2011-07-28 | Panasonic Corp | 入力装置及びモード切替方法 |
| JP5534419B2 (ja) | 2010-03-09 | 2014-07-02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可変容量コンデンサ及び入力装置 |
| JP5275283B2 (ja) | 2010-03-30 | 2013-08-28 | 株式会社東芝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1887327B (zh) * | 2010-07-02 | 2013-03-20 | 深圳市宇恒互动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多输入大面积书写方法、装置及系统 |
| JP5892595B2 (ja) | 2012-02-06 | 2016-03-23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 |
| JP2015022442A (ja) * | 2013-07-17 | 2015-02-02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
| JP6249486B2 (ja) * | 2013-08-19 | 2017-12-20 | 株式会社ワコム | 描画装置 |
| WO2016031329A1 (ja) * | 2014-08-29 | 2016-03-03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及び位置指示器用カートリッジ |
| JP5869193B1 (ja) * | 2014-08-29 | 2016-02-24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及び位置指示器用カートリッジ |
| WO2016084424A1 (ja) * | 2014-11-28 | 2016-06-02 | 株式会社ワコム | 電子ペン |
| JP2016212737A (ja) * | 2015-05-12 | 2016-12-1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手書き入力装置、接触体判別プログラムおよび接触体判別方法 |
| WO2016121477A1 (ja) | 2015-01-29 | 2016-08-04 | 株式会社ワコム | 電子ペン |
| JP2016189098A (ja) * | 2015-03-30 | 2016-11-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情報入力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KR102440965B1 (ko) * | 2016-03-28 | 2022-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EP3508955B1 (en) * | 2016-09-02 | 2024-10-30 |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 Handwriting input apparatus |
-
2017
- 2017-09-25 CN CN201780086149.8A patent/CN110291494B/zh active Active
- 2017-09-25 KR KR1020197028389A patent/KR102293320B1/ko active Active
- 2017-09-25 WO PCT/JP2017/034403 patent/WO2018158993A1/ja not_active Ceased
- 2017-09-25 EP EP17899024.8A patent/EP3579088B1/en active Active
- 2017-09-25 JP JP2019502443A patent/JP6901548B2/ja active Active
- 2017-09-30 TW TW106133855A patent/TWI737827B/zh active
-
2019
- 2019-08-30 US US16/557,807 patent/US1096311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037670A (ja) * | 2009-05-28 | 2017-02-16 | ケント ディスプレイ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筆記タブレット情報記録デバイス |
| WO2016006272A1 (ja) * | 2014-07-11 | 2016-01-14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の入力制御方法 |
| WO2016129614A1 (ja) * | 2015-02-12 | 2016-08-18 | 株式会社ワコム | 位置指示器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TW201833735A (zh) | 2018-09-16 |
| KR20190125372A (ko) | 2019-11-06 |
| TWI737827B (zh) | 2021-09-01 |
| EP3579088A4 (en) | 2020-07-22 |
| US20190384425A1 (en) | 2019-12-19 |
| EP3579088A1 (en) | 2019-12-11 |
| JPWO2018158993A1 (ja) | 2019-12-26 |
| CN110291494B (zh) | 2024-02-20 |
| EP3579088B1 (en) | 2022-04-27 |
| US10963115B2 (en) | 2021-03-30 |
| WO2018158993A1 (ja) | 2018-09-07 |
| CN110291494A (zh) | 2019-09-27 |
| JP6901548B2 (ja) | 2021-07-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93320B1 (ko) | 위치 지시기 및 필기 정보 처리 장치 | |
| EP3333678B1 (en) | Electronic pen | |
| KR102460220B1 (ko) | 자필 정보 처리 장치, 자필 정보 처리 방법 및 자필 정보 처리용 프로그램 | |
| CN107111379B (zh) | 位置指示器 | |
| JP5999803B1 (ja) | 位置指示器 | |
| US11977693B2 (en) | Position indicator and input system | |
| US11797109B2 (en) | Electronic pen an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 |
| US11662834B2 (en) | Electronic erasing device and 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US20220253210A1 (en) | Handwriting input device | |
| US12333093B2 (en) | Electronic pen,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central rod for electronic pen | |
| CN103632577A (zh) | 点读笔 | |
| CN115885242A (zh) | 位置指示器 | |
| CN111045536A (zh) | 触摸输入系统 | |
| JP2025159231A (ja) | 電子ペン、手書き入力装置及び電子ペン用芯体 | |
| CN120202453A (zh) | 笔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