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4982B1 -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982B1
KR102304982B1 KR1020200016449A KR20200016449A KR102304982B1 KR 102304982 B1 KR102304982 B1 KR 102304982B1 KR 1020200016449 A KR1020200016449 A KR 1020200016449A KR 20200016449 A KR20200016449 A KR 20200016449A KR 102304982 B1 KR102304982 B1 KR 10230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leg
height
driving body
walking a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4982B9 (en
KR20210101907A (en
Inventor
김태훈
전진훈
한창희
박찬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982B1/en
Publication of KR2021010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82B1/en
Publication of KR10230498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82B9/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레그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며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바디와, 상기 레그 본체 및 상기 구동바디의 상부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외측면이 하향의 원뿔형태로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 탄성체를 포함하는 가변레그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 바디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또는 고정되는 결합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가변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수직압력을 가하면 상기 경사부로 인해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가 이격되고, 상기 가변레그는 고정해제 되어 상부 이동 또는 하부 이동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a leg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driving body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rst driving body and a second driving body, the leg body and a slope coupled through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driving body,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a downward conical shape a variable leg driving module including a switch including a portion and a driving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and a variable leg formed at one end of a coupling part that is vertically movable or fixed inside the driving body, and when a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the first driving body and the second driving body are spaced apart due to the inclined part, and the The variable leg provides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variable by moving upward or downward by being released.

Description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시스템{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thereof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고령자의 안전한 보행과 사회적 고립해소를 위한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and to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for safe walking and resolving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세계적으로 생활문화와 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명이 연장되어 노인 인구가 급증하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빠른 속도로 진입하고 있다. 생애주기 마지막 단계인 노인 단계에서는 신체 기능이 노화하여 그에 따른 문제가 수반되며, 질병에 걸리지 않더라도 신체적 문제는 정신적, 사회적 장애를 유발하여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living culture and medical technology around the world, life expectancy is extended,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we are entering an aging society, and Korea is also rapidly entering. In the elderly stage, which is the last stage of the life cycle, physical functions are aging and accompanying problems are accompanied, and even if they do not get sick, physical problems can cause mental and social disability and cause conflict.

일례로 노인의 신체적 변화 중 근감소증은 신체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 감각이 저하되어 운동이나 이동 중 낙상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며 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할 수 있다. For example, sarcopenia among physical changes in the elderly may cause asymmetry of the body, and internally decreased sensation may increase the incidence of falls during exercise or movement. This incurs economic and social costs, which can also be said to be at a level that cannot be ignor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보조 수단으로써 보행보조기(보행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평지에서는 용이하게 이동을 도와줄 수 있지만 불규칙한 경사면이나 계단에서는 걷는 힘이 부족한 고령자에게는 보행기를 들고 계단이나 장애물을 넘어가기 힘들 수 있으며,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에서는 중심을 잡기 힘들어 보행이 위험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walker (walker) can be used as a mobility aid. It can help you move easily on flat ground, but for the elderly who lack walking strength on irregular slopes or stairs, you can use a walker to climb stairs or obstacles. It can be difficult, and walking downhill or uphill has a limit that can be dangerou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cus.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보행보조기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자동제어 기능이 있는 보행보조기는 이미 일본에서는 상용화되어 수입하고 있으며, 예로써 일본기업인 코와 제작소는 자동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경사로에서 자동보행보조기능을 추가한 'little keypace'를 출시한 바 있다. 산지가 많고 비탈길이 많은 우리나라 특성상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들에게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나, 비싼 가격 때문에 쉽게 보급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To solve this problem, a walking aid having an automatic control function has been developed. Currently, walking aids with automatic control function have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nd imported in Japan. For example, a Japanese company, Kowa Manufacturing, has released a 'little keypace' that adds an automatic control function and adds an automatic walking assistance function on a slope. . Due to the nature of Korea, where there are many mountainous areas and slopes, walking aids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re essential for the elderly with limited mobility, but they are not easily distributed due to their high price.

한국공개특허 제 10-2015-0050738호(공개일: 2015. 05. 1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50738 (published on: May 11, 2015) 한국공개특허 제 10-2020-0004147호(공개일: 2020. 01. 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4147 (published date: January 13, 20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단 또는 경사지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량화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stairs or slopes and reducing the weight thereof,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경사지 보행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ntrol function to provide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apable of ensuring safe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walking on an incline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레그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며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바디와, 상기 레그 본체 및 상기 구동바디의 상부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외측면이 하향의 원뿔형태로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 탄성체를 포함하는 가변레그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 바디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또는 고정되는 결합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가변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수직압력을 가하면 상기 경사부로 인해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가 이격되고, 상기 가변레그는 고정해제 되어 상부 이동 또는 하부 이동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g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riving body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rst driving body and a second driving body, the leg body and a slope coupled through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driving body,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a downward conical shape a variable leg driving module including a switch including a portion and a driving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and a variable leg formed at one end of a coupling part that is vertically movable or fixed inside the driving body, and when a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the first driving body and the second driving body are spaced apart due to the inclined part, and the The variable leg can provide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variable by moving upward or downward by being released.

상기 가변레그는, 상기 스위치에 수직압력이 풀리면 상기 길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가 상승하고, 상기 구동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가 결합되어 상기 가변레그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variable leg, when the vertical pressure on the switch is released, the switch rises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is changed,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 bodi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rive elastic body to fix the variable leg. can

상기 가변레그는, 하단부에 바퀴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variable leg may be a wheel coupled to the lower end.

상기 스위치는 보행자가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가압날개부와, 상기 가압날개부와 상기 레그본체 상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스위칭 탄성체와, 상기 가압부의 하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구동바디의 상부 내측면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unit that the pedestrian applies pressure, the pressing wing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unit, and a switching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the pressing wing and the upper side of the leg body, the pressing unit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상기 구동 탄성체는 상기 스위치 경사부의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elastic body may be coupl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movement section of the switch inclined portion.

상기 구동 탄성체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The driving elastic body may be coupl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upling part.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자와의 거리를 센싱하거나 노면의 각도를 센싱하여 보행자의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센서제어부; 및 상기 센서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구동모터 또는 전력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보행자와의 거리, 보행 방향, 또는 보행자의 속력을 연산하여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walking state of the pedestrian by sensing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or sensing the angle of the road surface in the height control walking aid;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or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ensor control unit, and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the walking direction, or the speed of the pedestrian to adjust or stop the speed. A control system can be provided.

상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walking aid control system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monitoring and prov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edestri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시스템은 계단 또는 경사지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자동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경사지 보행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서, 고령자의 보행에 대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여 사회적 고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nd it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stairs or slopes and light-weight, and have an automatic control function to ensure safe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walking on slopes. can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on walking of the elderly, and to induce safe walk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social iso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length, thickness, etc.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height-controlled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eight-controlled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this It is a control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는 레그 본체(100)와 가변레그 구동모듈(200)과 가변레그(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eg body 100 , a variable leg driving module 200 , and a variable leg 300 .

상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는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상부 프레임과 연결된 두 쌍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 이상의 레그가 레그 본체(100), 가변레그 구동모듈(200) 및 가변레그(300)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may include two pairs of leg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s shown in FIG. 2 or FIG. 3, and one or more pairs of legs include a leg body 100, a variable leg driving module 200 and a variable leg ( 300) can be configured.

레그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가변레그 구동모듈(200)이 내부에 위치하며, 가변레그(300)의 일단부는 가변레그 구동모듈(200) 내에서 상하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The leg body 100 ha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so that the variable leg driving module 200 is located therein, and one end of the variable leg 300 can be vertically moved or fixed within the variable leg driving module 200 . .

가변레그 구동모듈(200)은 구동바디(210)와 스위치(220) 및 구동탄성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바디(210)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며,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220)는 상기 레그 본체(100) 및 상기 구동바디(200)의 상부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외측면이 하향의 원뿔형태로 형성된 경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able leg driving module 200 may include a driving body 210 , a switch 220 , and a driving elastic body 230 . The driving body 21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driving body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and the switch 220 is the leg body 100 and the driving body. Doedoe coupled through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body 20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22 formed in a downward cone shape.

가변레그(300)는 구동 바디(2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또는 고정되는 결합부(310)가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10)는 가변레그(300)의 이동변위(B)에 따라 구동바디(210)의 하측면(217)를 관통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단턱이 형성되어 길이가 가변된 후 가변레그(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가변레그(300)는 하단부에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 시 보행자의 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The variable leg 300 may have a coupling part 310 that moves vertically or is fixed inside the driving body 210 at one end thereof. The coupling part 310 is formed with a step corresponding to a region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217 of the driving body 210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placement B of the variable leg 300 to change the length of the variable leg 300 . ) can be fixed. Furthermore, the variable leg 300 may reduce the power of the pedestrian during movement by having a wheel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provide convenience to the movement.

상기 레그 본체(100)와 가변레그 구동모듈(200) 및 가변레그(300)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는 스위치(220)에 수직압력을 가하면 상기 경사부(222)로 인해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가 이격되고, 상기 가변레그(300)는 고정해제 되어 상부 이동 또는 하부 이동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including the leg body 100 and the variable leg driving module 200 and the variable leg 300 applies a vertical pressure to the switch 220, the first driving body (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are spaced apart, and the variable leg 300 is released and the length can be changed by moving upward or downward.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220)는 보행자가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224)와, 상기 가압부(224)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가압날개부(226)와, 상기 가압날개부(226)와 상기 레그본체(100) 상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스위칭 탄성체(S)와, 상기 가압부(224)의 하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222)와, 상기 경사부(222)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구동바디(210)의 상부(215) 내측면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단턱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고령자가 가압부(224)의 주변을 누르더라도 스위치(22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날개부(226)가 위치할 수 있으며, 스위칭 탄성체(S)를 구비함으로써 1회의 가압으로도 스위칭을 위한 가압과 가압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턱부(228)로 인해 경사부(222)의 스위칭 구간(A)을 조절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witch 220 includes a pressing part 224 for which a pedestrian applies pressure, a pressing blade part 226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part 224, and the pressing blade part 226 and A switching elastic body (S) coup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eg body (100), the inclined part (222)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224), and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art (222) are formed. It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228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215 of the driving body 210 . Even if an elderly person presses the periphery of the pressing part 224, the pressing blade part 226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20 is possible. Pressurization and depressuriz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witching section (A) of the inclined portion 222 due to the stepped portion (228).

상기 스위치(220)의 미동작 시에는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는 구동 바디(210)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100)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탄성체(230)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변레그(300)는 구동바디(210)와 구동탄성체(23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switch 220 is not operated, the first driving body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are a driving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100 ( 230)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leg 300 may be fixed by the driving body 210 and the driving elastic body 230 .

스위치(220)에 수직압력을 가하면, 즉 가압부(224)를 누르면 스위칭 탄성체(S)가 압축되고, 경사부(222)가 하강할 수 있다. 상부의 원주가 더 큰 경사부(222)의 하강으로 인해 구동바디(210)는 내부에서 외부로 힘을 받게 되고,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는 서로 이격이 되며 구동탄성체(230)는 압축이 될 수 있다. 구동바디(210)와 구동탄성체(23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었던 가변레그(300)는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의 이격으로 인해 고정해제되어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다. When a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220 , that is, when the pressing part 224 is pressed, the switching elastic body S is compressed, and the inclined part 222 may descend. Due to the descent of the inclined portion 222 with a larger circumference at the top, the driving body 210 receives a forc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driving body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riving elastic body 230 may be compressed. The variable leg 300, the position of which was fixed by the driving body 210 and the driving elastic body 230, is released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driving body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so that it can descend or rise. have.

구동 탄성체(231)는 상기 스위치 경사부의 이동 구간(A)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구동 바디(210)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100) 내측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의 가압 전후 스위치(220)의 이동에 대한 압력을 구동 탄성체(232)에 전달되는 것에 더욱 도움을 주어, 스위칭에 따른 구동바디(210)의 이격과 결합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The driving elastic body 231 may be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100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section A of the switch inclined portion. Therefore, the pressure for the movement of the switch 220 before and after the pedestrian's pressurization is further helped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elastic body 232, so that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driving body 210 according to the switching can be made easier.

이후, 상기 스위치(220)에 수직압력이 풀리면, 상기 가변레그(300)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가 상승하고, 상기 구동 탄성체(230)의 복원력으로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가 결합되어 상기 가변레그(300)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스위치(220)에 수직압력이 풀리면, 즉 상기 스위치(220)를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스위칭 탄성체(S)가 복원되어 경사부(222)는 그에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상부의 원주가 더 큰 경사부(222)의 상승과 구동탄성체(230)의 복원으로 인해 구동바디(210)는 외부에서 내부로 힘을 받게 되고,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는 서로 접할 수 있다. 구동바디(210)와 구동탄성체(230)에 의해 길이가 가변된 가변레그(300)는 제 1 구동바디(212)와 제 2 구동바디(214)의 결합으로 인해 가변된 길이로 고정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vertical pressure on the switch 220 is released, the switch 220 rises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variable leg 300 is changed, and the first driving body 21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riving elastic body 230 . )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may be coupled to fix the variable leg 300 . When the vertical pressure on the switch 220 is released, that is, when the force pressing the switch 220 is removed, the switching elastic body S is restored and the inclined portion 222 can rise accordingly. The driving body 210 receives a force from the outside due to the rise of the inclined portion 222 with a larger circumference and the restoration of the driving elastic body 230, and the first driving body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may be tangent to each other. The variable leg 300 whose length is changed by the driving body 210 and the driving elastic body 230 may be fixed to a variable length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riving body 212 and the second driving body 214 . .

나아가서, 구동 탄성체(232)는 상기 결합부(310)의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B)에 상기 구동 바디(210)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100) 내측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레그(300)의 고정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가압과 압력해제의 1회의 스위칭 작동으로 가변레그(300)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driving elastic body 232 may be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100 in a region B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upling part 3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assist in fixing the variable leg 300 . Therefore, the length of the variable leg 300 may be changed by one switching operation of pressurization and pressure release.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전면 한 쌍에 가변레그(300)가 위치하는 경우, 첫 계단의 상면에 가변레그(300) 한 쌍을 위치시키고, 스위치(220)를 누르면, 가변레그(300)의 결합부(310)가 상승하여 전면 레그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또는 도 2와 같이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후면 한 쌍에 가변레그(300)가 위치하는 경우, 첫 계단 앞의 지면에 가변레그(300) 한 쌍을 위치시키고, 스위치를 누르면, 가변레그(300)의 결합부(310)가 하강하여 후면 레그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변되는 길이(B)는 계단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ariable leg 300 is positioned on the front pair of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variable legs 3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p, and the switch 220 is pressed, Th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variable leg 300 rises so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leg may be reduced. Alternatively, if the variable leg 300 is positioned on the rear pair of 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variable legs 300 is positioned on the ground in front of the first step, and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 variable leg 300 Th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lowering may extend the length of the rear leg. Due to this, the variable length B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tairs.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1회의 스위칭 작동으로 가변된 길이가 고정될 수 있고, 보행자는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계단을 올라가며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계단을 내려가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사진 길에서도 스위칭 작동으로 가변레그(300)의 길이를 조절하며 보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ariable length can be fixed by one switch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and the pedestrian can safely walk up the stairs as shown in FIG. 2 or FIG. 3 . As another example, the case of going down the stair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walk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variable leg 300 by a switching operation even on an inclined road.

마지막 계단 또는 평지에서 다시 스위치(220)를 작동시키면, 즉, 가압부(224)를 누르면 1회의 스위칭 작동으로 가변레그(300)의 길이가 변화하고, 평지에 맞는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When the switch 220 is operated again on the last step or on the flat ground, that is, when the pressurizing part 224 is pressed, the length of the variable leg 300 is changed by one switching operation and can be changed to a shape suitable for the flat grou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는 계단 또는 경사지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고령자의 보행에 대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서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여 사회적 고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stairs or slope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weight, and can prevent accidents on walking of the elderly, and further induce safe walking and social isolation has the effect of resolving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자와의 거리를 센싱하거나 노면의 각도를 센싱하여 보행자의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센서제어부 및 상기 센서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구동모터 또는 전력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보행자와의 거리, 보행 방향, 또는 보행자의 속력을 연산하여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리막길에서는 속도가 너무 빨라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자동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오르막길에서는 조금만 밀어도 보행보조기 스스로 전진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고령자의 보행을 더욱 원활하게 도울 수 있다.In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described above, the sensor controller and the sensor for determining the walking state of the pedestrian by sensing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or sensing the angle of the road surface It includes a driv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or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and may adjust the speed or stop the spe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the walking direction, or the speed of the pedestrian.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the automatic brake function to help prevent the speed from becoming too fast on a downhill road. In addition, on an uphill road, the walking aid can move forward on its own with a slight push, making it easier for elderly people with relatively weak strength to walk more smoothly. can help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을 설명하면, 보행자의 보행 시작이 감지되면, 센서를 통하여 토크를 측정할 수 있으며(S110A), 그와 동시에 사용자와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S110B). 예를 들어, 자이로 각속도 센서를 통하여 토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초음파 센서와 같은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와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사이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adjustment walking ai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when the pedestrian's walking start is detected, the torque can b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S110A), and at the same time, the The interval may be measured in real time (S110B). For example, the torque may be measured through the gyro angular velocity sens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height control walking aid may be continuously detected using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측정된 토크값을 전압으로 변환을 하고(S120A), 보행자와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사이의 간격을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S120B).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와 보행자와의 간격이 임계값 이상이면 보행자가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에서 멀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S140), 그 자리에 멈추어 서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가 해당 자리에 올 때까지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The measured torque value may be converted into a voltage (S120A),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height-controlled walking aid may be compared with a threshold value (S120B).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eight-controlled walker and the pedestria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moved away from the height-controlled walker, and afte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height-controlled walker (S140), it can be controlled to stand still . Therefore,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until the pedestrian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seat.

이 경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는 스텝모터와 같은 모터가 장착된 것일 수 있으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은 스텝 모터의 구동을 위한 모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 제어부는 센서 제어와 연계되어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서,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은 모터와 센서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는 정격전압 12V 리튬 이온 배터리를 구비하고, 모터와 모터 제어를 위한 Atmega 보드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그를 통해 각기 다른 전압을 사용하는 칩들 또는 센서들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으로써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바퀴와 연결된 발전모듈을 구비하여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Atmega 보드의 MCU는 모터의 PWM 데이터 제어와 자이로 각속도 센서와 초음파센서의 거리 값, 방향 값 측정에 부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may be equipped with a motor such as a step motor, and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control system may include a motor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tep motor, and the motor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control to control the motor. can be controlled Furthermore,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control system may also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senso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has a rated voltage of 12V lithium-ion battery, can provide power to the motor and the Atmega board for motor control, and also provides power to chips or sensors using different voltages through it, including the regulator. can prov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ower by providing a power gener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wheel of the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 as a power supply. Furthermore, the MCU of the Atmega board can be used to control the PWM data of the motor and to measure the distance and direction values of the gyro angular velocity sensor and the ultrasonic sensor.

이후, 상기 변환 전압값을 0V값과 비교를 하여(S130), 0V로 측정이 되면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140). 0V로 측정이 되면 보행자가 이동을 멈추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에 따라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를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0V가 아니면, 계속 이동 중인 것을 의미하므로, 지속적으로 보행자와의 간격을 감지하며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verted voltage value is compared with the 0V value (S130), and when the measured value is 0V, the movement can be stopped (S140). When it is measured as 0V, it means that the pedestrian has stopped moving, so the height-adjustable walker can be stopped accordingly. In addition, if it is not 0V, it means that it is continuously moving, so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ense a distance from a pedestrian and perform a movement operation.

다음으로,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S150A), 그와 동시에 경사도(S150B)를 측정할 수 있다. Next, the angular velocity may be measured (S150A), and at the same time the inclination (S150B) may be measured.

그리고, 측정된 각속도 값에 따라 각속도의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S160A), 경사도 측정값으로 인한 역토크와 각속도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S160B). Then, a compensation value of the angular velocity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angular velocity value (S160A), and a reverse torque and an angular velocity compensation value due to the measured gradient value may be calculated (S160B).

다음으로, 보상값에 따라 구동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S170), 구동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고(S180), 보행자의 이동 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S150 내지 S180의 과정을 통하여 보행자와의 거리, 보행자의 방향, 보행자의 속도 등을 연산함으로써 알맞은 모터의 속도를 구하여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의 이동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가 급격하게 기울어지거나 사용자가 손잡이에 힘을 주지 않거나 놓치게 되는 경우 보상 값이 계산되어 정지시킬 수 있다.Next, a driving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value (S170), a motor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trol signal (S180), and movement assistance of a pedestrian may be performed. That is, by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the direction of the pedestrian, the speed of the pedestrian, etc. through the processes of S150 to S180, the appropriate motor speed can be obtained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height-adjusting walking ai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the angle is sharply inclined. In case of loss or if the user does not apply force to the handle or misses it, a compensation value is calculated and can be stopped.

나아가서 상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의 보행 패턴이 연산되어 별도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치매로 인한 배회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height adjustment walking aid control system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monitors and prov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pedestrian. Accordingly, the pedestrian's gait pattern may be calculated and provided to a separate terminal, the pedestrian's loitering due to dementia may be determined, and may be provided to the guardian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및 그 제어 시스템은 계단 또는 경사지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자동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경사지 보행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서, 고령자의 보행에 대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여 사회적 고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and it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stairs or slopes and light-weight, and have an automatic control function to ensure safe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walking on slopes. can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on walking of the elderly, and to induce safe walk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social isol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레그본체
200; 가변레그 구동모듈
210; 구동바디
212; 제 1 구동바디
214; 제 2 구동바디
220; 스위치
222; 경사부
224; 가압부
226; 가압날개부
228; 단턱부
S; 스위칭 탄성체
230; 구동 탄성체
300; 가변레그
310; 결합부
100; leg body
200; Variable leg drive module
210; drive body
212; 1st drive body
214; 2nd drive body
220; switch
222; slope
224; pressurized part
226; pressurized wing
228; step
S; switching elastomer
230; drive elastomer
300; adjustable leg
310; joint

Claims (8)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레그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며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구동바디와, 상기 레그 본체 및 상기 구동바디의 상부 중심영역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외측면이 하향의 원뿔형태로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 탄성체를 포함하는 가변레그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 바디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또는 고정되는 결합부가 일단부에 형성된 가변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탄성체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미동작 시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가변레그는 구동바디와 구동탄성체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에 수직압력을 가하면 상기 경사부로 인해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가 이격되고, 상기 가변레그는 고정해제 되어 상부 이동 또는 하부 이동하여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스위치는 보행자가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양측부에서 연장되는 가압날개부와, 상기 가압날개부와 상기 레그본체 상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스위칭 탄성체와, 상기 가압부의 하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구동바디의 상부 내측면과 대응하여 위치하고 경사부의 스위칭 구간을 조절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보행자와의 거리를 센싱하거나 노면의 각도를 센싱하여 보행자의 보행상태를 판단하는 센서제어부; 및 상기 센서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구동모터 또는 전력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보행자와의 거리, 보행 방향, 또는 보행자의 속력을 연산하여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a leg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driving body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rst driving body and a second driving body, the leg body and an inclined plane coupled through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driving body,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a downward conical shape a variable-leg driving module including a switch including a part, and a driving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and
and a variable leg formed at one end of a coupling part that is vertically movable or fixed inside the driving body;
When the switch is not operated by the driving elastic body, the first driving body and the second driving body ar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leg is fixed by the driving body and the driving elastic body,
When a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the first driving body and the second driving body are spaced apart due to the inclination portion, and the variable leg is released and the length is changed by moving upward or downward,
The switch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art, the pressing part to which the pedestrian applies pressure, the pressing par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essing part, the switching elastic body coupled between the pressing blade part and the upper side of the leg body, and the pressing part and a step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to adjust the switching s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a sensor controller for sensing a distance from a pedestrian or sensing an angle of a road surface to determine a pedestrian's walking state;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or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ensor control unit, and a height adjustment walking aid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or stopping the spe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pedestrian, the walking direction, or the speed of the pedestrian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레그는, 상기 스위치에 수직압력이 풀리면 상기 길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가 상승하고, 상기 구동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제 1 구동바디와 제 2 구동바디가 결합되어 상기 가변레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variable leg, when the vertical pressure on the switch is released, the switch rises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is changed,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bodi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riving elastic body to fix the variable leg.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레그는, 하단부에 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leg,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is coupled to the lower en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탄성체는 상기 스위치 경사부의 이동 구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elastic body is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section of the inclination portion of the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탄성체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구동 바디의 외측면과 상기 레그 본체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elastic body is a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bod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보행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ontrol system, the height-adjustable walking aid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monitoring and prov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edestrian.



KR1020200016449A 2020-02-11 2020-02-11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Active KR102304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49A KR102304982B1 (en) 2020-02-11 2020-02-11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49A KR102304982B1 (en) 2020-02-11 2020-02-11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07A KR20210101907A (en) 2021-08-19
KR102304982B1 true KR102304982B1 (en) 2021-09-23
KR102304982B9 KR102304982B9 (en) 2022-01-24

Family

ID=7749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49A Active KR102304982B1 (en) 2020-02-11 2020-02-11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98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973A (en) 1987-04-28 1988-10-18 Kotaro Nakajima Alternate walker having extensible/contractible front and rear legs
JP2007503264A (en) 2003-08-25 2007-02-22 イー. カラシン、クレイグ Walker
KR100843484B1 (en) * 2008-03-04 2008-07-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aid
US20120298160A1 (en) 2011-05-24 2012-11-29 Hamilton James T Walker for use on stairs
US20130061892A1 (en) 2011-09-13 2013-03-14 Junbiao Huang Height self-adjusting walking aid
US20130334784A1 (en) 2012-06-18 2013-12-19 Posturnom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articulating walking aid
KR101460767B1 (en) * 2013-10-15 2014-11-14 주식회사 명진 Walking assistiv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40B1 (en) * 2014-01-16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motive apparatus for assisting user in walking
KR20150050738A (en) 2013-10-31 2015-05-11 근로복지공단 Management System of a walker for the aged
KR101892616B1 (en) * 2016-12-29 2018-08-2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supporter easy to going up step
KR20200004147A (en) 2018-07-03 2020-01-13 비에스티케이(주) Walker and reduction apparatus for walk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973A (en) 1987-04-28 1988-10-18 Kotaro Nakajima Alternate walker having extensible/contractible front and rear legs
JP2007503264A (en) 2003-08-25 2007-02-22 イー. カラシン、クレイグ Walker
KR100843484B1 (en) * 2008-03-04 2008-07-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aid
US20120298160A1 (en) 2011-05-24 2012-11-29 Hamilton James T Walker for use on stairs
US20130061892A1 (en) 2011-09-13 2013-03-14 Junbiao Huang Height self-adjusting walking aid
US20130334784A1 (en) 2012-06-18 2013-12-19 Posturnom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articulating walking aid
KR101460767B1 (en) * 2013-10-15 2014-11-14 주식회사 명진 Walking assistiv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982B9 (en) 2022-01-24
KR20210101907A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965B2 (en) Locomotion assisting device and method
KR101342009B1 (en)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KR101242460B1 (en) Walking Support Machine for Conveniently and Safely Guiding in Ramp/Obstacles Section
KR101394490B1 (en) Assistive device to prevent accidents of pedestrians hurt
KR102070575B1 (en) The driving method of driving device to climb stairs
KR20150068598A (en) Electromotive apparatus for assisting user in walking
KR102304982B1 (en) Height adjustable walking aids and control systems of thereof
KR102395512B1 (en) Self Safe braking motor-driven elderly walking assist device
KR20130101777A (en) Electric-powered walker for the safety of the aged
KR20090074315A (en) Intelligent electric walker supports safe walking of the elderly / disabled
JP5905553B1 (en) Walking assistance vehicle
KR20210083456A (en) Smart safety stroller for old people
CN118236251A (en) Intelligent interactive control de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walking aid
KR20230126746A (en) Walking assistive apparatus for the elderly
CN205459439U (en) Electronic wheelchair of intelligence horizontal
KR101509452B1 (en) Power artificial foot
KR201500624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road su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user in walking
CN208500075U (en) A kind of apparatus for ride instead of walk position regulating system
KR102544382B1 (en) Lift chair capable of self-movement and monitoring of user's condition
CN112660964B (en) Automatic stair climbing device for helping old people
KR20220115118A (en) Active walking aid apparatus
CN108557615B (en) A walking device position adjustment system
CN205234888U (en) Walking stick for blind person
KR20210083479A (en) Wheelchair carrier
KR20250128067A (en) Walking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5-oth-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6-oth-X000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220124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2304982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21092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