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033B1 - Hammock - Google Patents
Hamm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5033B1 KR102305033B1 KR1020200082294A KR20200082294A KR102305033B1 KR 102305033 B1 KR102305033 B1 KR 102305033B1 KR 1020200082294 A KR1020200082294 A KR 1020200082294A KR 20200082294 A KR20200082294 A KR 20200082294A KR 102305033 B1 KR102305033 B1 KR 102305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mmock
- wire
- fixing
- binding
- ex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22—Hammocks; Hammock sprea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해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먹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제1,2주름부에 제1,2걸이고정부를 구비하여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먹으로 사용하고, 해먹의 몸체 양단에 제1,2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이 제1,2손잡이를 서로 결합하고 몸체의 중앙을 절첩하여 사용자가 운반용백으로 사용하며, 해먹의 몸체에 복수개의 어깨걸이부와 복수개의 고정와이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등에 짊어질수 있는 백팩(등산배낭)으로 사용하도록 한 다용도 해먹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ammock, and more particularly,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ooking parts on the first and second fol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mmock body, installed on a support, and used as a hammock by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 of the body is folded for the user to use as a carrying bag.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hammock equipped to be used as a backpack (climbing backpack) that can be carried on the user's back.
일반적으로, 해먹(Hammock)은 직사각형의 네트나 직물의 양 끝을 옥내나 옥외의 입목(立木) 사이에 줄로 매달아 사용하는 침구이다.In general, a hammock (Hammock) is a bedding that is used by hanging both ends of a rectangular net or fabric with a rope between indoor or outdoor standing trees.
상기와 같이 입목에 줄을 매달아 사용하는 침구인 해먹(Hammock)은 페루와 브라질 원주민이 처음 사용하였으며, 오늘날은 야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a hammock, a bedding that is used by hanging a string from a neck, was first used by indigenous peoples of Peru and Brazil, and is now widely used outdoors.
이러한 해먹은 현재에는 면, 마, 나일론 등의 끈으로 그물처럼 뜬 것이 보편적이며 야외에서 많이 사용하고 흔히 그물침대라고도 한다. These hammocks are now commonly knitted like a net with strings of cotton, hemp, nylon, etc., and are often used outdoors and are often called hammocks.
상기와 같이 상기 해먹은 입목사이에 줄로 매달아 설치하여 사람이 나무 그늘에서 두러 누워 침상으로 쓰이는 이외에 별다른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hammock is installed by hanging with a rope between the trees,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at it does not have any special function other than being used as a bed for a person to lay in the shade of a tree.
또한, 본 발명의 해먹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제1,2주름부에 제1,2걸이고정부를 구비하여 이 제1,2걸이고정부를 양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먹으로 사용하고, 해먹의 몸체 양단에 제1,2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이 제1,2손잡이를 서로 결합하고 몸체의 중앙을 절첩하여 사용자가 운반용 백으로 사용하며, 해먹의 몸체에 복수개의 어깨걸이부와 복수개의 고정와이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등에 짊어질 수 있는 백팩(등산배낭)으로 사용하도록 한 다용도 해먹이 제공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엇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anging fixing parts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folds formed on both ends of the hammock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ing fixing parts are installed on both supports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s a hammock,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of the body,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 of the body is folded to be used as a carrying bag by the user.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a multi-purpose hammock that is equipped with and used as a backpack (climbing backpack) that can be carried on the user's back cannot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해먹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제1,2주름부에 제1,2걸이고정부를 구비하여 이 제1,2걸이고정부를 양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먹으로 사용하고, 해먹의 몸체 양단에 제1,2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이 제1,2손잡이를 서로 결합하고 몸체의 중앙을 절첩하여 사용자가 운반용 백으로 사용하며, 해먹의 몸체에 복수개의 어깨걸이부와 복수개의 고정와이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등에 짊어질 수 있는 백팩(등산배낭)으로 사용하도록 한 새로운 다용도 해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hanging fixing parts in the first and second fol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mmock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ing fixing parts are installed on both supports to provide a user The hammock is used as a hammock,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of the hammock,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 of the body is folded for the user to use as a carrying ba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ulti-purpose hammock equipped with a hook and a plurality of fixing wires to be used as a backpack (climbing backpack) that can be carried on the user's back.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단에 걸이고정부(10)를 구비한 몸체(20)를 구비한 해먹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보강부재(3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주름으로 구성된 제1주름부(40a)와; 상기 제1주름부(40a)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결합되어 결속설치된 제1걸이고정부(10a)와; 상기 몸체(20)의 타측에 다수개의 주름으로 구성된 제2주름부(40b)와; 상기 제2주름부(40b)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결합되어 결속설치된 제2걸이고정부(10b)와; 상기 제1주름부(40a)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손잡이부(50a)와; 상기 제2주름부(40b)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손잡이부(5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mmock having a
또한, 몸체(20)의 전,후방단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삽입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0)의 중앙에 상기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연통된 입출통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60)의 내부양단에 양단이 고정설치된 인장와이어(62)와,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중앙은 상기 입출통공(61)에 노출되어 구비된 중앙노출부(62a)와, 상기 중앙노출부(6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 설치된 고정부(6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또한, 인장와이어(62)의 일단은 상기 삽입부(60)의 일단에 형성된 통공(61a)에 노출되어 구비된 일단노출부(62c)와, 상기 일단노출부(62c)의 끝단은 매듭으로 결속되어 일단 매듭결속부(62d)로 구성되어 상기 일단 매듭결속부(62d)가 상기 통공(61a)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구비되며; 상기 인장와이어(62)의 타단은 상기 삽입부(60)의 타단에 형성된 통공(61b)에 노출되어 구비된 타단노출부(62e)와, 상기 타단노출부(62e)의 끝단은 매듭으로 결속되어 타단 매듭결속부(62f)로 구성되어 상기 타단 매듭결속부(62f)가 상기 통공(61b)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또한, 제1손잡이(50a)의 일단은 상기 몸체(20)의 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손잡이(50a)의 타단은 상기 몸체(20)의 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손잡이(50b)의 일단은 상기 몸체(20)의 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손잡이(50b)의 타단은 상기 몸체(20)의 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handle (50a)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20) by sewing means,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andle (50a) is at the rear end of the body (20). is fixedly installed by One end of the
또한, 제1,2주름부(40a,40b)중 선택된 어느 한 주름부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설치된 결속고정부(40c)와, 상기 결속고정부(40c)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어깨걸이부(40)로 구비되고;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41)와, 상기 고리부(41)는 상기 몸체(20)의 일측 전방단에 고정설치된 고정와이어(42)에 구비된 걸고리(43)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41)와, 상기 고리부(41)는 상기 몸체(20)의 타측 전방단에 고정설치된 고정와이어(42)에 구비된 걸고리(43)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leats (40a, 40b), a binding fixing portion (40c) installed under reduced pressure a plurality of times on the outer periphery of any selected one of the pleats, and a shoulder portion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inding fixing portion (40c), respectively provided with (40); A
또한, 양 고정와이어(42)의 끝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부(44)와, 상기 연결고리부(44)를 갖는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20)의 일측전방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부(45)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고리부(44)를 갖는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20)의 타측 전방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부(45)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connecting
또한, 양 어깨걸이부(40)와 상기 양 고정와이어(42)가 서로 맞닿게 하기 위해서,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에 일측이 연결설치된 결속부재(46)와, 상기 결속부재(46)의 일측이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bring both
또한, 제1손잡이(50a)의 중앙에 설치된 제1와이어(51a)와, 상기 제1와이어(51a)에 설치된 연결고리부(52)로 구비되고; 상기 제2손잡이(50b)의 중앙에 설치된 제2와이어(51b)와, 상기 연결고리부(52)와 결합되게 상기 제2와이어(51b)에 설치된 연결부(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first wire (51a)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andle (50a), and a connecting ring portion (52) installed on the first wire (51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cond wire (51b)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andle (50b), and a connection part (53) installed on the second wire (51b)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ring part (52).
또한, 연결고리부(52)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52a)와, 상기 개방부(52a)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방부(52a)의 하부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개폐부(52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본 발명은 해먹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제1,2주름부에 제1,2걸이고정부를 구비하여 이 제1,2걸이고정부를 양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먹으로 사용하고, 해먹의 몸체 양단에 제1,2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이 제1,2손잡이를 서로 결합하고 몸체의 중앙을 절첩하여 사용자가 운반용백으로 사용하며, 해먹의 몸체에 복수개의 어깨걸이부와 복수개의 고정와이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등에 짊어질수 있는 백팩(등산배낭)으로 사용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anging fixing parts in the first and second folds formed on both ends of the hammock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hanging fixing parts are installed on both supports to use as a hammock by the user, and the body of the hammock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formed at both ends,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center of the body is fold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s a carrying bag. This has the effect of using it as a backpack (climbing backpack) that can be carried on the user's ba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주름부와 제1손잡이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주름부와 제2손잡이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와 입출통공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의 통공과 인장와이어와 타단 매듭결속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걸이부와 고정와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손잡이부와 제1,2와이어, 연결고리부, 연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백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리부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pleats and a first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pleats and a second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entry and exit through-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hrough-hol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tension wire and the other end knot bin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fix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a connecting r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carry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i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ng 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saf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주름부와 제1손잡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주름부와 제2손잡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와 입출통공을 나타낸 개략도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의 통공과 인장와이어와 타단 매듭결속부를 나타닌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걸이부와 고정와이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손잡이와 제1,2와이어와, 연결고리부와, 연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백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리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pleated portion and a first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pleated portion and a second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entry and exit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hrough hole of the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wire and the other end knot binding portion, Figure 6 is a shoulde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xed wire,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nd the first and second wires, a connecting r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use of the carry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gure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i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ng 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해먹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ultipurpose hamm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해먹은 걸이고정부(10)와, 제1,2걸이고정부(10a,10b)와, 몸체(20)와, 보강부재(30)와, 제1,2주름부(40a,40b)와, 제1,2손잡이부(50a,50b)와, 삽입부(60)로 구성된다.The multipurpose hamm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nging
걸이고정부(10)는 해먹의 몸체(20)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hanging
이러한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걸이고정부(10)는 기립된 양 지지대(미도시)중 일측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몸체(2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걸이고정부(10)는 기립된 양 지지대(미도시)중 타측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The
즉, 상기 양 걸이고정부(10)를 갖는 상기 몸체(20)는 상기 양 지지대(미도시)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걸이고정부(10)는 제1,2걸이고정부(10a,10b)로 구분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몸체(20)는 그 양단에 상기 걸이고정부(1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몸체(20)는 사용자가 드러누울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보강부재(30)는 상기 몸체(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중 선택된 어느 한면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몸체(20)의 상,하부면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한편,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몸체(20)의 상,하부면의 중앙에 상기 몸체(20)의 길이와 동일하게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30)를 상기 몸체(20)의 상,하부면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것은, 상기 몸체(30)가 해먹으로 사용시,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드러누워서 사용자의 하중이 제일 많이 가중되는 부위로서, 장기간 상기 몸체(30)상에 사용자가 드러누웠다가 일어나는 반복과정으로 인해 상기 몸체(20)가 손상 및 훼손되어 상기 몸체(20)에 사용자가 드러누워 해먹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상기 보강부재(30)를 더 설치하여서, 상기 몸체(20)에 상기 보강부재(30)로 상기 몸체(20)에 강성을 보강하여 사용자가 반복하는 드러누웠다가 일어나는 반복과정으로 인해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몸체(20)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Fixing and installing the reinforcing
제1주름부(40a)는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주름으로 구성된다.The first
이러한 상기 제1주름부(40a)에 상기 제1걸이고정부(10a)가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제1걸이고정부(10a)를 이루는 와이어가 상기 제1주름부(40a)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form the first hooking
또한, 상기 제1주름부(40a)는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주름부(40a)에 고정설치된 상기 제1걸이고정부(10b)가 기립된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pleated portion (40a)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20) and the first hanging portion (10b) fixed to the first pleated portion (40a) is erected on a support (not shown). It is fixedly installed and constructed.
제2주름부(40b)는 상기 몸체(20)의 타측에 다수개의 주름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이러한 상기 제2주름부(40b)에 상기 제2걸이고정부(10b)가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제2걸이고정부(10b)를 이루는 와이어가 상기 제2주름부(40b)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order to form the second hooking
또한, 상기 제2주름부(40b)는 상기 몸체(2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주름부(40b)에 고정설치된 상기 제2걸이고정부(10b)가 기립된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상기 제1걸이고정부(10a)는 상기 제1주름부(40a)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결합되어 결속설치되어 구성된다.The first hooking part (10a) is configured to be coupled under reduced pressure a plurality of tim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wrinkled part (40a).
이러한 상기 제1걸이고정부(10a)를 이루는 와이어는 상기 제1주름부(40a)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되어 고정설치된후 상기 지지대(미도시)에 결합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The wire constituting the first hooking
상기 제2걸이고정부(10b)는 상기 제2주름부(40b)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결합되어 결속설치되어 구성된다.The second hooking portion (10b) is configured to be coupled under reduced pressure a plurality of tim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wrinkled portion (40b) is installed.
이러한 상기 제2걸이고정부(10b)를 이루는 와이어는 상기 제2주름부(40b)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되어 고정설치된후 상기 지지대(미도시)에 결합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The wire constituting the second hooking
제1손잡이부(50a)는 상기 제1주름부(40a)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20)의 상부면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The
또한, 상기 제1손잡이(50a)의 일단은 상기 몸체(20)의 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손잡이(50a)의 타단은 상기 몸체(20)의 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handle (50a)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body (20) by sewing means,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andle (50a) is sewn on the rear end of the body (20). It is fixedly installed by
제2손잡이부(50b)는 상기 제2주름부(40b)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20)의 상부면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2손잡이(50b)의 일단은 상기 몸체(20)의 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손잡이(50b)의 타단은 상기 몸체(20)의 후방단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몸체(20)의 전,후방단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삽입부(6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삽입부(60)의 중앙에 상기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연통된 입출통공(6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그리고 상기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된 인장와이어(52)로 구성된다. And it is composed of a tension wire (52)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part (60).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양단은 상기 삽입부(60)의 내부양단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Both ends of the
이러한 상기 인장와이어(62)는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삽입설치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중앙은 상기 입출통공(61)에 노출되어 구비된 중앙노출부(62a)로 구성된다.The center of the
이러한 상기 중앙노출부(6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 설치된 고정부(62b)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fixing part (62b)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exposed part (62a).
또한,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일단은 상기 삽입부(60)의 일단에 형성된 통공(61a)에 노출된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일단노출부(62c)로 구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상기 일단노출부(62c)의 끝단은 매듭으로 결속되어 일단 매듭결속부(62d)로 구성되어 상기 일단 매듭결속부(62d)가 상기 통공(61a)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end of the one end exposed
그리고 상기 인장와이어(62)의 타단은 상기 삽입부(60)의 타단에 형성된 통공(61b)에 노출된 상기 인장와이어(62)의 타단노출부(62e)로 구성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상기 타단노출부(62e)의 끝단은 매듭으로 결속되어 타단 매듭결속부(62f)로 구성되어 상기 타단 매듭결속부(62f)가 상기 통공(61b)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구성된다.The end of the other end exposed
상기와 같은 상기 몸체(2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상기 삽입부(60)의 상기 중앙노출부(62b)에서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상기 중앙노출부(62a)를 상기 입출통공(61)에서 외부로 잡아당긴 후, 상기 입출통공(61)에서 잡아당겨진 상기 중앙노출부(62a)를 상기 고정부(62b)로 고정한 다음에, 상기 제1손잡이(50a)와, 상기 제2손잡이(50a)를 서로 모아서 상기 몸체(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절첩되어 운반용백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몸체(20)의 절첩된 부위 내측에 다양한 물품을 수용하여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The central exposed
또한, 상기 제1,2주름부(40a,40b)중 선택된 어느 한 부위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설치된 결속고정부(40c)와, 상기 결속고정부(40c)에 각각 연결되는 어깨걸이부(40)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binding fixing
이러한 상기 양 어깨걸이부(40)에 몸체(20)의 전방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설치된 상기 고정와이어(42)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등에 짊어질수 있는 백팩(등산용 배낭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된다.A backpack that can be carried on the user's back by the fixing
따라서 상기 제1,2주름부(40a,40b)중 선택된 어느 한 부위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설치된 결속고정부(40c)로 구성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이러한 상기 결속고정부(40c)의 양단에 설치되는 어깨걸이부(40)로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a
상기 양 어깨걸이부(40)중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41)로 구성된다. It consists of a
상기 고리부(41)는 상기 몸체(20)의 일측 전방단에 고정설치된 고정와이어(42)에 구비된 걸고리(43)에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은 상기 걸고리(43)는 상기 고리부(41)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된다.The
상기 양 어깨걸이부(40)중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41)로 구성된다. It consists of a
상기 고리부(41)는 상기 몸체(20)의 타측 전방단에 고정설치된 고정와이어(42)에 구비된 걸고리(43)에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상기와 같은 상기 걸고리(43)는 상기 고리부(41)에서 결합 및 이탈되게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의 끝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부(44)로 구성된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이러한 상기 연결고리부(44)를 갖는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20)의 일측 전방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부(45)와 연결되어 구성된다.Any one of the two fixing
그리고 상기 연결고리부(44)를 갖는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20)의 타측 전방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부(45)와 연결되어 구성된다.And any one of the two fixing
한편, 상기 양 어깨걸이부(40)와 상기 양 고정와이어(42)가 서로 맞닿게 하기 위해서,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에 일측이 연결설치된 결속부재(46)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ring the both
이러한 상기 결속부재(46)의 일측이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와 연결되게 구성된다.One side of the binding
상기와 같이, 상기 양 어깨걸이부(40)와 상기 양 고정와이어(42)가 서로 맞닿게 하게 하는 결속부재(46)로 구성되는 것은,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및 상기 고정와이어(42)와,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및 상기 고정와이어(42)가 상기 결속부재(46)로 인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양 어깨걸이부(40)를 어깨에 착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결속부재(46)로 상기 양 어깨걸이부(40) 및 상기 양 고정와이어(42)를 사용자의 가슴전방에서 결속고정하여 사용자의 양팔이 상기 양 어깨걸이부(40)로 빠지지 않고 상기 양 어깨걸이부(40)가 사용자의 어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착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제1손잡이(50a)의 중앙에 설치된 제1와이어(51a)로 구성된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first wire (51a)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andle (50a).
이러한 상기 제1와이어(51a)에 설치된 연결고리부(52)로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제2손잡이(50b)의 중앙에 설치된 제2와이어(51b)로 구성된다.And it is composed of a second wire (51b)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andle (50b).
이러한 상기 제2와이어(51b)에 구비된 연결부(53)로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a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연결고리부(52)와 결합되게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연결고리부(52)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52a)와, 상기 개방부(52a)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방부(52a)의 하부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개폐부(52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n
그리고 상기 개방부(52a)를 폐쇄했던 상기 탄성개폐부(52b)를 상기 개방부(52a)에서 개방하고 난 다음에, 상기 개방부(52a)에 상기 연결부(53)가 삽입되어 진 후,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개방부(52a)를 통해 외부로 퇴출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52a)를 상기 탄성개폐부(52b)가 폐쇄하도록 구성된다.And after opening the elastic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50a)의 중앙에 설치된 제1와이어(51a)와, 상기 제1와이어(51a)에 설치된 연결고리부(52)와, 상기 연결고리부(52)가 결합되게 상기 제2손잡이(50b)의 중앙에 설치된 제2와이어(51b)에 구비된 연결부(53)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손잡이(50a)에 연결된 상기 제1와이어(51a)에 구비된 상기 연결고리부(52)를 상기 제2손잡이(50b)에 연결된 상기 제2와이어(51b)에 구비된 상기 연결부(53)에 연결하게 되면, 상기 제1,2손잡이(50a,50a)가 서로 모아져 상기 몸체(20)가 절반으로 절첩되어 지면, 상기 제1와이어(51a)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53)와 연결된 상기 연결고리부(52)를 기립되어진 벽과 같은 곳에 설치된 걸이구(미도시)에 걸어서 상기 몸체(20)의 부피를 줄여서 상기 몸체(20)를 보다 용이하고 손쉽게 보관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상술하는 본 발명은 해먹 상기 몸체(20)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제1,2주름부(40a,40b)에 상기 제1,2걸이고정부(10a,10b)를 구비하여 이 상기 제1,2걸이고정부(10a,10b)를 양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먹으로 사용하고, 해먹의 상기 몸체(20) 양단에 상기 제1,2손잡이부(50a,50b)를 형성하여 이 상기 제1,2손잡이(50a,50b)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몸체(20)의 중앙을 절첩하여 사용자가 운반용백으로 사용하며, 해먹의 상기 몸체(20)에 복수개의 상기 어깨걸이부(40)와 복수개의 고정와이어(42)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등에 짊어질수 있는 백팩(등산배낭)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걸이고정부 10a : 제1걸이고정부
10b : 제2걸이고정부 20 : 몸체
30 : 보강부재 40 : 어깨걸이부
40a : 제1주름부 40b : 제2주름부
40c : 결속고정부 41 : 고리부
42 : 고정와이어 43 : 걸고리
44 : 연결고리부 45 : 결합고리부
46 : 결속부재 50a : 제1손잡이부
50b : 제2손잡이부 51a : 제1와이어
51b : 제2와이어 52 : 연결고리부
52a : 개방부 52b : 탄성개폐부
53 : 연결부 60 : 삽입부
61 : 입출통공 61a,61b : 통공
62a : 중앙노출부 62b : 고정부
62c : 일단노출부 62d : 일단 매듭결속부
62e : 타단노출부 63f : 타단 매듭결속부10:
10b: second hook and part 20: body
30: reinforcing member 40: shoulder part
40a: first
40c: binding fixing part 41: ring part
42: fixed wire 43: hook
44: connecting ring portion 45: connecting ring portion
46: binding
50b:
51b: second wire 52: connecting ring portion
52a:
53: connection part 60: insertion part
61: entry and exit through
62a: central
62c: one end exposed
62e: the other end exposed part 63f: the other end knot binding part
Claims (9)
상기 몸체(20)에 재봉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보강부재(3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주름으로 구성된 제1주름부(40a)와;
상기 제1주름부(40a)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결합되어 결속설치된 제1걸이고정부(10a)와;
상기 몸체(20)의 타측에 다수개의 주름으로 구성된 제2주름부(40b)와;
상기 제2주름부(40b)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결합되어 결속설치된 제2걸이고정부(10b)와;
상기 제1주름부(40a)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손잡이부(50a)와;
상기 제2주름부(40b)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손잡이부(50b)로 구성되고,
몸체(20)의 전,후방단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삽입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0)의 중앙에 상기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연통된 입출통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6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60)의 내부양단에 양단이 고정설치된 인장와이어(62)와, 상기 인장와이어(62)의 중앙은 상기 입출통공(61)에 노출되어 구비된 중앙노출부(62a)와, 상기 중앙노출부(6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 설치된 고정부(62b)로 구성되는 다용도 해먹에 있어서,
인장와이어(62)의 일단은 상기 삽입부(60)의 일단에 형성된 통공(61a)에 노출되어 구비된 일단노출부(62c)와, 상기 일단노출부(62c)의 끝단은 매듭으로 결속되어 일단 매듭결속부(62d)로 구성되어 상기 일단 매듭결속부(62d)가 상기 통공(61a)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구비되며, 상기 인장와이어(62)의 타단은 상기 삽입부(60)의 타단에 형성된 통공(61b)에 노출되어 구비된 타단노출부(62e)와, 상기 타단노출부(62e)의 끝단은 매듭으로 결속되어 타단 매듭결속부(62f)로 구성되어 상기 타단 매듭결속부(62f)가 상기 통공(61b)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해먹.In the hammock having a body (20) having a hanging part (10) at both ends,
a reinforcing member 30 fixed to the body 20 by a sewing means;
a first pleated portion 40a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eats on one side of the body 20;
a first hooking portion 10a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rrugated portion 40a by decompression coupling a plurality of times;
a second pleated portion 40b composed of a plurality of pleats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0;
a second hooking part 10b which is coupled under reduced pressure a plurality of tim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wrinkle part 40b and is installed;
a first handle portion 50a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wrinkle portion 40a;
Consists of a second handle portion (50b)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pleated portion (40b),
An insertion part 60 having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dy 20 , and an entry/exit hole 61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insertion part 6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art 60 . formed;
The tension wire 62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part 60 and installed and both ends are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insertion part 60, and the center of the tension wire 62 is the entry/exit hole 61. In a multipurpose hammock comprising a central exposed portion 62a provided exposed to, and a fixing portion 62b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exposed portion 62a,
One end of the tension wire 62 is exposed to the through hole 61a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unit 60, and one end exposed portion 62c is provided, and the end of the one end exposed portion 62c is bound with a knot and has one end. It is composed of a knot binding part 62d so that one end of the knot binding part 62d is not drawn into the through hole 61a,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wire 62 is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part 60. The other end exposed portion 62e provided exposed to the formed through hole 61b, and the end of the other end exposed portion 62e is bound with a knot to form the other end knot binding portion 62f, and the other end knot binding portion 62f. Multipurpose hamm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not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through hole (61b).
제1,2주름부(40a,40b)중 선택된 어느 한 주름부의 외측둘레에 다수회 감압설치된 결속고정부(40c)와 상기 결속고정부(40c)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어깨걸이부(40)로 구비되고,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41)는 상기 몸체(20)의 일측 전방단에 고정설치된 고정와이어(42)에 구비된 걸고리(43)에 연결되어 구비되며,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 끝단에 형성된 고리부(41)는 상기 몸체(20)의 타측 전방단에 고정설치된 고정와이어(42)에 구비된 걸고리(43)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해먹.The method of claim 1,
The binding fixing part 40c which is installed under reduced pressure a plurality of times on the outer periphery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leats 40a and 40b selected from among the pleats 40a, 40b and the shoulder part 40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inding fixing part 40c The hook part 41 formed at the end of the shoulder part 40 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hook hook 43 provided on the fixing wire 42 fixedly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one side of the body 20. and the hook part 41 formed at the end of the shoulder part 40 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hook 43 provided on the fixing wire 42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front end of the body 20. Multipurpose hammock featuring.
고정와이어(42)의 끝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부(44)와, 상기 연결고리부(44)를 갖는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20)의 일측 전방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부(45)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고리부(44)를 갖는 상기 양 고정와이어(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20)의 타측 전방단에 형성된 결합고리부(45)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해먹.6. The method of claim 5,
A connection ring portion 44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wire 42, and any one of the both fixing wires 42 having the connection ring portion 44 is a coupling formed at one front end of the body 20 It is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45, and any one of the two fixing wires 42 having the connecting ring portion 44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ring portion 45 formed at the other front end of the body 20 and is configured. Multipurpose hammock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어깨걸이부(40)와 고정와이어(42)가 서로 맞닿게 하기 위해서, 타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에 일측이 연결설치된 결속부재(46)와, 상기 결속부재(46)의 일측이 일측의 상기 어깨걸이부(40)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해먹6. The method of claim 5,
In order to bring the shoulder part 40 and the fixing wire 42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ne side of the binding member 46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houlder part 40, and one side of the binding member 46 is one side. Multipurpose hamm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houlder part (40) of
제1손잡이부(50a)의 중앙에 설치된 제1와이어(51a)와, 상기 제1와이어(51a)에 설치된 연결고리부(52)로 구비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50b)의 중앙에 설치된 제2와이어(51b)와 상기 연결고리부(52)와 결합되게 상기 제2와이어(51b)에 설치된 연결부(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해먹.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with a first wire 51a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andle portion 50a, and a connecting ring portion 52 installed in the first wire 51a, and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handle portion 50b. A multipurpose hammock comprising a second wire (51b) and a connecting portion (53) installed on the second wire (51b)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ring portion (52).
연결고리부(52)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52a)와, 상기 개방부(52a)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방부(52a)의 하부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개폐부(52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해먹.
9. The method of claim 8,
An opening (52a)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part (52), and an elastic opening and closing part (52b) having an elastic force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52a)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52a) Multipurpose hammock.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82294A KR102305033B1 (en) | 2020-07-03 | 2020-07-03 | Hamm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82294A KR102305033B1 (en) | 2020-07-03 | 2020-07-03 | Hammock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05033B1 true KR102305033B1 (en) | 2021-09-23 |
Family
ID=7792651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82294A Active KR102305033B1 (en) | 2020-07-03 | 2020-07-03 | Hammoc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05033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490478A (en) * | 1994-10-04 | 1996-02-13 | Cole; Teddi A. | Animal hammock |
| US20140310872A1 (en) * | 2011-12-14 | 2014-10-23 | Tamar Rozman | Baby hammock apparatus |
| KR20200017073A (en) * | 2018-08-08 | 2020-02-18 | 이진안 | Hammock with corrugation part |
-
2020
- 2020-07-03 KR KR1020200082294A patent/KR1023050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490478A (en) * | 1994-10-04 | 1996-02-13 | Cole; Teddi A. | Animal hammock |
| US20140310872A1 (en) * | 2011-12-14 | 2014-10-23 | Tamar Rozman | Baby hammock apparatus |
| KR20200017073A (en) * | 2018-08-08 | 2020-02-18 | 이진안 | Hammock with corrugation par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092702A (en) | Multi-purpose bag and method for its use | |
| US8132585B2 (en) | Collapsible food protective enclosure | |
| US3225806A (en) | Carrying bag construction | |
| US6886195B2 (en) | Foldable cradle for babies | |
| JPH08117026A (en) | Loading tool on one's back and string thereof | |
| US8973627B2 (en) | Modular scarf purse | |
| KR101644026B1 (en) | A knapsack within an umbrella | |
| GB2581438A (en) | Safety tether for a hand-held article | |
| US6658801B2 (en) | Portable fire curtain system | |
| KR102305033B1 (en) | Hammock | |
| US6276305B1 (en) | Compact dog leash | |
| JP6283783B1 (en) | Auxiliary bag | |
| KR20210008406A (en) | Portable self-standing hammock frame with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of hanging a shortened hammock on the frame | |
| KR20180003588A (en) | Strap | |
| US20050201642A1 (en) | Flexible reach-through cord holder | |
| JP2851253B2 (en) | Portable container that can be obtained in three types of loading | |
| CN210841959U (en) | Mosquito-proof hammock and mosquito-proof screen panel | |
| CN211459131U (en) | Bag hanging belt and zipper bag | |
| CN209403920U (en) | Integrally connected formula hammock | |
| CN208329826U (en) | A kind of spliced double clothes-changing tent | |
| US20220378219A1 (en) | Bunk Bed Travel Curtain | |
| JP6320236B2 (en) | Car trunk room goods holder | |
| CN214127430U (en) | Novel hammock system | |
| CN223025605U (en) | A single-shoulder bag fixing belt structure and single-shoulder bag | |
| CN223081279U (en) | Multifunctional hammoc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