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39B1 - Channel correction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 Google Patents
Channel correction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039B1 KR102315039B1 KR1020200040466A KR20200040466A KR102315039B1 KR 102315039 B1 KR102315039 B1 KR 102315039B1 KR 1020200040466 A KR1020200040466 A KR 1020200040466A KR 20200040466 A KR20200040466 A KR 20200040466A KR 102315039 B1 KR102315039 B1 KR 102315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orrection
- channel
- module
- transce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04B2001/1072—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by tuning the receiver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상 동작 모드에서 다중 채널을 통해 RF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및 RF 보정 모드에서 RF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벌룬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 국부 신호를 상기 벌룬 모듈에 제공하는 국부 발진부 및 RF 보정 모드에서 교정 신호를 벌룬 모듈에 제공하고 교정 신호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수신된 RF 신호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성된 가중 RF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된 RF 신호에 적용하는 가중치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RF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nd a method, comprising at least a transceiver modul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RF signal through multiple channels in a normal operation mode and a balloon module for providing an RF correction signal in an RF correction mode One transceiver, a local oscillator that provides a local signal to the balloon module, and a delay correction signal generated by providing a calibration signal to the balloon module in the RF correction mode and delaying the calibration signal by applying a weight to the received RF signal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omprising an RF correction unit including a weight calcula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generated weighted RF signal and applies the weighted RF signal to the transmitted RF sig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내에서 알고 있는 신호 또는 직접 만들어낸 신호를 기준 신호로 사용하여 자가 보정 기능을 가지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correctable multi-channel transmission/recep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nnel-correctable multi-channel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method having a self-correction function by using a signal known in the device or a signal directly created as a reference signal. it's about
최근 디지털 통신 시스템이나 레이다, 라이다, 5G 통신, GNSS 수신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열안테나를 사용한 디지털 빔포밍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디지털 빔포밍 시스템은 안테나 개수만큼의 이득을 얻으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빔조향이 가능하고 동시에 원치 않는 잡음 또는 간섭 신호의 제거가 가능하다.Recently, digital beamforming systems using array antenna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radar, lidar, 5G communication, and GNSS receivers. A digital beamforming system can steer a beam in a desired direction while gaining a gain equal to the number of antennas, and at the same time remove unwanted noise or interference signals.
디지털 빔포밍 시스템에서 각 채널의 송수신보드(이하 T/R보드) 이득 및 위상 오차는 빔의 형성 또는 재밍 제거의 기능에 대해 방향오차 또는 크기오차를 가져오게 되고, 이것은 배열안테나를 사용하는 디지털 빔포밍 시스템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된다. T/R보드의 오차는 각 RF 소자들이 모두 정상동작 영역 안에 있더라도 온도와 습도에 따라 또는 입력신호의 크기, 종류, RF 소자의 개체별 특성, 위상 그리고 이득에 따라 조금씩 다르고, 이 값들의 누적으로 인해 더 큰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디지털 빔포밍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측기 또는 외부 정밀 보정 장치와 연결하여 T/R보드를 각각 보정해 주어야 하고, 이것은 제작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In the digital beamforming system, the gain and phase error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R board) of each channel bring a direction error or magnitude error for the function of beam forming or jamming removal, which is a digital beam using an array antenna. It is the main cause of lowering the performance of the forming system. The error of the T/R board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r the size, type of input signal,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F device, phase, and gain, even if each RF device is within the normal operating range, and the accumulation of these values This results in larger errors. In order to be applied to the digital beamform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calibrate the T/R board in connection with a measuring instrument or an external precision compensator,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한국등록특허 제10-2061620(2019.12.26)호는 위상 배열 안테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상 배열 안테나 모듈은 기판, 제1, 제2, 제3 및 제4 안테나들, 커플러(coupler) 및 빔포머 칩을 포함하고, 제1, 제2, 제3 및 제4 안테나들은 기판의 제1 면 상에 형성되고, 2*2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커플러는 기판의 제1 면 상에 형성되고, 제1, 제2, 제3 및 제4 안테나들의 신호들을 공통으로 센싱하며, 제1, 제2, 제3 및 제4 안테나들로부터의 제1, 제2, 제3 및 제4 거리들이 모두 동일하도록 배치되며, 빔포머 칩은 기판의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형성되고, 커플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제2, 제3 및 제4 안테나들의 신호들을 제공하거나 수신하며, 제1, 제2, 제3 및 제4 안테나들의 신호들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회로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No. 10-2061620 (2019.12.26) relates to a phased array antenna module, a phased array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signal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he phased array antenna module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ntennas, a coupler and a beamformer chip, where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ntennas are formed on a first side of the substrate, and a 2*2 matrix The coupler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commonly senses signal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ntennas,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ntenna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istances are all the same, and the beamformer chip is forme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pler, and the first , a correction circuit for providing or receiving signal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antennas, and compensating for the signal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ntennas.
한국공개특허 제 10-2007-0032548(2007.03.22)호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방향 사운딩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역방향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과정과, 순방향 채널정보가 웨이팅(weighting)된 역방향 사운딩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역방향 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역방향 채널정보와 상기 제2 역방향 채널정보를 이용해 각 안테나 쌍에 대한 보정 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역방향 채널정보를 상기 산출된 보정값들을 이용해 보정하여 보정된 채널응답 행렬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32548 (2007.03.22)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a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st reverse channel by receiving a reverse sounding signal. information estimating, receiving a reverse sounding signal weighted with forward channel information and estimating second reverse channel information, each using the first revers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verse channel information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for the antenna pair; and obtaining a corrected channel response matrix by correcting the first reverse channel information us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valu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알고 있는 신호 또는 직접 만들어낸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가중치를 연산할 수 있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apable of calculating a weight based on a known signal or a signal directly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 및 RF 보정 모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correctable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 normal operation mode and an RF correction mode through a switch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신 신호에 대한 가중치 생성을 기초로 송신 신호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apable of determining a weight for a transmission signal based on generation of a weight for the received signal.
실시예들 중에서,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다중 채널을 통해 RF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및 RF 보정 모드에서 RF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벌룬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 국부 신호를 상기 벌룬 모듈에 제공하는 국부 발진부 및 상기 RF 보정 모드에서 교정 신호를 상기 벌룬 모듈에 제공하는 교정 신호 발생 모듈 및 상기 교정 신호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중간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중간 신호에 적용하는 가중치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RF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includes at least one transceiver including a transceiver module that transmits or receives an RF signal through multiple channels in a normal operation mode and a balloon module that provides an RF correction signal in the RF correction mode. A local oscillator for providing a negative and local signal to the balloon module, a calibration signal generating module for providing a calibration signal to the balloon module in the RF correction mode, and a delay calibration signal generated by time delaying the calibration signal and from the transceiver and an RF compensator including a weight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weight based on the received intermediate signal and applies the weight to the intermediate signal.
상기 송수신부는 RF 하향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상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RF 신호를 기초로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을 통해 IF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RF 보정 모드인 경우에 상기 RF 보정 신호를 기초로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을 통해 상기 중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further includes an RF down-conversion module, and generates an IF digital signal through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based on the RF signal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and the RF correction signal in the RF correction mode. Based on , the intermediate signal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상기 송수신부는 송수신 선택 스위치를 통해서 송신 및 수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may determin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through a transmission/reception selection switch.
상기 RF 보정부는 상기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중간 신호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위상 및 이득의 계수를 산출하여 상기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The RF compensator may generate the weight by calculating phase and gain coefficients such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correction signal and the intermediate signal is minimized.
상기 RF 보정부는 최소 자승법을 통해 상기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The RF compensator may generate the weights through a least-squares method.
상기 RF 보정부는 상기 송수신부의 동작 모드가 RF 보정 모드인 경우에 상기 중간 신호를 통해 생성된 제1 보정 신호를 기초로 제2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RF compensator may generate a second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intermediate signal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ransceiver is the RF correction mode.
상기 RF 보정부는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시간 지연된 상기 제2 보정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가중치를 재생성할 수 있다.The RF compensator may regenerate the weights such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the time-delayed second correction signal is minimized.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송신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may generate the transmission signal by providing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RF down-conversion module.
실시예들 중에서,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방법은 RF 보정 모드에서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단계, 상기 교정 신호 및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벌룬 모듈에 제공하여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을 통해 중간 신호를 생성하는 중간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교정 신호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상기 중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상기 중간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가중치를 연산하는 가중치 연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embodiments, a channel-correctable multi-channe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includes a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calibration signal and a local oscillation signal in an RF correction mode, providing the calibration signal and the local oscillation signal to a balloon module to generate an RF correction signal, An intermediate signal generating step of providing the RF correction signal to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generating an intermediate signal through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and a delay correction signal generated by delaying the calibration signal and the intermediate signal by receiving the intermediate signal and calculating a weight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correction signal and the intermediate signal is minimized.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은 알고 있는 신호 또는 직접 만들어낸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가중치를 연산할 수 있다.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a weight based on a known signal or a signal directly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은 스위치 조작을 통해 정상 동작 모드 및 RF 보정 모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normal operation mode and the RF correction mode through a switch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은 수신 신호에 대한 가중치 생성을 기초로 송신 신호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weight for a transmission signal based on generation of a weight for the received signal.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의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의 RF 보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에 의해 가중치를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of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RF correction unit of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weight by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lso includ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transmission/
도 1을 참조하면,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hannel-correctable multi-channel transmission/
사용자 단말(110)은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에 의해 생성된 가중치를 확인하고 정상 동작 모드, RF 보정 모드, 수신 모드 및 송신 모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들을 기초로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중간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중간 신호 및 딜레이 교정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channel-correctable
데이터베이스(150)는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들을 기초로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중간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중간 신호 및 딜레이 교정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50)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가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들을 기초로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중간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중간 신호 및 딜레이 교정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프로세서(210)는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들을 기초로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중간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중간 신호 및 딜레이 교정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는 과정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송수신부(310), 국부 발진부(330), RF 보정부(35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구성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RF 보정부(35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송수신부(310)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다중 채널을 통해 RF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및 RF 보정 모드에서 RF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벌룬 모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모드 선택 스위치(312)를 통해 정상 동작 모드 및 RF 보정 모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정상 동작 모드인 경우에는 송수신 모듈의 안테나를 통해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내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정상 동작 모드인 경우에 수신한 외부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313)에 제공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외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송수신부(310)는 RF 보정 모드인 경우, 국부 발진부(330)로부터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하고 RF 보정부(350)로부터 교정 신호를 수신하여 벌룬 모듈(31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벌룬 모듈을 통해 수신한 해당 국부 발진 신호 및 교정 신호를 기초로 RF 보정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벌룬(BALUN)은'Balance-Unbalance'의 줄임말으로서, 'Balanced Signal'을 'Unbalanced Signal'로 또는 그역으로 변환해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벌룬(BALUN)은 같은 전송 대역을 사용하는 I신호와 Q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한측을 GND로 만들고 다른 측으로 신호를 몰아 I신호 또는 Q신호를 분리시킬 수 있다. 벌룬 모듈(311)은 보정신호 변조스위치 및 벌룬(BALUN)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10)는 RF 하향 변환 모듈(313)을 더 포함하고, 정상 동작 모드인 경우에 RF 신호를 기초로 RF 하향 변환 모듈(313)을 통해 IF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RF 보정 모드인 경우에 RF 보정 신호를 기초로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313)을 통해 중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면서 원하는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는 RF 하향 변환 모듈(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F 하향 변환 모듈(313)은 수신 RF 하향 변환 모듈(313a) 및 송신 RF 하향 변환 모듈(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RF 하향 변환 모듈(313a)은 RF 보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기초로 중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정상 동작 모드인 경우에, 안테나를 통해 외부 RF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RF 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IF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RF 동작 모드인 경우에, RF 보정부로부터 내부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요구하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중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10)는 송수신 선택 스위치(314)를 통해서 송신 및 수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외부 안테나와 연결되는 송수신 선택 스위치(314)를 통해서,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국부 발진부(330)는 국부 신호를 벌룬 모듈(31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부 발진부(330)는 국부 신호를 벌룬 모듈(311)및 RF 하향 변환 모듈(313)에 제공할 수 있다. RF 하향 변환 모듈(313)은 국부 발진부(330)를 통해 전달받은 국부 신호를 통해서 RF 보정 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The
RF 보정부(350)는 RF 보정 모드에서 교정 신호를 벌룬 모듈(311)에 제공하는 교정 신호 발생 모듈(351) 및 교정 신호(353)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354) 및 송수신부(310)로부터 수신한 중간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고 가중치를 중간 신호에 적용하는 가중치 연산 모듈(3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보정부(350)는 교정 신호 발생 모듈(351)을 통해 생성된 교정 신호를 벌룬 모듈(311) 및 시간 지연시켜 가중치 연산 모듈(35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는 수신 가중치(355a) 및 송신 가중치(35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가중치 연산 모듈(352a)은 중간 신호 및 딜레이 교정 신호(354)를 기초로 수신 가중치(355a)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송신 가중치 연산 모듈(352b)은 제1 보정 신호 및 수신 가중치(355a)가 적용된 교정 신호의 시간 지연 값을 기초로 송신 가중치(355b)를 생성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RF 보정부(350)는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중간 신호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위상 및 이득의 계수를 산출하여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보정부(350)는 능동 필터 회로로 구성된 가중치 연산 모듈(352)을 통해서 가중치를 연산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RF 보정부(350)는 최소 자승법을 통해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최소 자승법은 실제에 가깝도록 근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딜레이 교정 신호(351)와 중간 신호 간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만드는 위상 및 이득의 계수를 산출하여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RF 보정부(350)는 송수신부(310)의 동작 모드가 RF 보정 모드인 경우에 중간 신호를 통해 생성된 제1 보정 신호를 기초로 제2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보정부(350)는 제1 보정 신호 및 딜레이 된 가중치가 적용된 교정 신호 간의 최소 자승법 적용을 통해 송신 가중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보정부(350)는 송신 가중치(355b) 및 교정 신호(353) 간의 믹싱을 통해서 제2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중간 신호 및 딜레이 교정 신호(351) 간의 최소 자승법을 통해 생성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성된 제1 보정 신호 및 가중치가 적용된 교정 신호에 대해 최소 자승법을 적용하여 송신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 실시예에서, RF 보정부(350)는 제1 보정 신호 및 시간 지연된 제2 보정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가중치를 재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보정부(350)는 제1 보정 신호 및 시간 지연된 제2 보정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송신 가중치를 재생성하고 재생성된 송신 가중치를 기초로 제2 보정 신호를 재생성할 수 있다. 송신 가중치를 재생성하는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10)는 제2 보정 신호를 송신 RF 하향 변환 모듈(313b)에 제공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10)는 RF 보정부(350)로부터 제공된 제2 보정 신호를 송신 RF 하향 변호나 모듈(313b)에 제공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송수신 선택 스위치(314)에 의해 송신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에 송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제어부(370)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송수신부(310), 국부 발진부(330) 및 RF 보정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에 의해 화물 운송 비용을 산출 및 재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nd recalculating freight transportation costs by the channel-correctable
도 6을 참조하면,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의 송수신부(310)는 국부 발진부(330) 및 RF 보정부(350)로부터 RF 보정 모드에서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S610).Referring to FIG. 6 , the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송수신부(310)를 통해, 교정 신호 및 국부 발진 신호를 벌룬 모듈에 제공하여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모듈에 제공하고, RF 하향 모듈을 통해 중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630).The channel-correctable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130)는 RF 보정부(350)를 통해, 교정 신호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중간 신호를 수신하여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중간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가중치를 연산할 수 있다(S650).The channel-correcta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송수신부 311: 벌룬 모듈
312: 모드 선택 스위치 313: RF 하향 변환 모듈
330: 국부 발진부
350: RF 보정부 351: 교정 신호 발생 모듈
352: 가중치 연산 모듈 352a: 수신 가중치 연산 모듈
352b: 송신 가중치 연산 모듈 353: 교정 신호
354: 딜레이 교정 신호 355a: 수신 가중치
355b: 송신 가중치 370: 제어부100: multi-channe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110: user terminal
130: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transceiver 311: balloon module
312: mode select switch 313: RF downconversion module
330: local oscillation unit
350: RF compensator 351: calibration signal generation module
352:
352b: transmit weight calculation module 353: calibration signal
354: delay
355b: transmit weight 370: control unit
Claims (8)
상기 RF 보정 모드에서 국부 발진 신호를 상기 벌룬 모듈(311)의 상기 벌룬에 제공하는 국부 발진부(330); 및
상기 RF 보정 모드에서 교정 신호를 상기 벌룬 모듈(311)의 상기 보정신호 변조스위치에 제공하는 교정 신호 발생 모듈(351) 및 상기 교정 신호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상기 송수신부(310)로부터 수신한 중간 신호를 기초로 가중치를 연산하고 상기 가중치를 상기 중간 신호에 적용하는 가중치 연산 모듈(352)을 포함하는 RF 보정부(350)를 포함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A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RF signal through multiple channels, an RF down-conversion module 313 and a balloon module 311 for providing an RF correction signal to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313 in an RF correction mode - the balloon module (311) at least one transceiver 310 including - including a correction signal modulation switch and a balloon (BALUN);
a local oscillation unit 330 for providing a local oscillation signal to the balloon of the balloon module 311 in the RF correction mode; and
A calibration signal generating module 351 that provides a calibration signal to the calibration signal modulation switch of the balloon module 311 in the RF calibration mode, and a delay calibration signal generated by time-delaying the calibration signal and the transceiver 310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omprising an RF corrector (350) including a weight calculation module (352) for calculating a weight based on the intermediate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and applying the weight to the intermediate signal.
정상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RF 신호를 기초로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을 통해 IF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RF 보정 모드인 경우에 상기 RF 보정 신호를 기초로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을 통해 상기 중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In the case of a normal operation mode, an IF digita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based on the RF signal, and in the case of the RF correction mode, the intermediate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based on the RF correction signal.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송수신 선택 스위치를 통해서 송신 및 수신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are determined through a transmission/reception selection switch.
상기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중간 신호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위상 및 이득의 계수를 산출하여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F compensator
and generating the weight by calculating phase and gain coefficients such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correction signal and the intermediate signal is minimized.
최소 자승법을 통해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F compensator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generated through a least-squares method.
상기 송수신부의 동작 모드가 RF 보정 모드인 경우에 상기 중간 신호를 통해 생성된 제1 보정 신호를 기초로 제2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F compensator
and generating a second correction signal based o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intermediate signal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ransceiver is an RF correction mode.
상기 제1 보정 신호 및 시간 지연된 상기 제2 보정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가중치를 재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보정 신호를 송신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F correction unit
regenerating the weight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rrection signal and the time-delayed second correction signal is minimized;
the transceiver
A multi-channel transceiver capable of channel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rrection signal is provided to a transmission RF down-conversion module to generate a transmission signal.
상기 교정 신호를 벌룬 모듈의 보정신호 변조스위치에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상기 벌룬 모듈의 벌룬에 제공하여 RF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RF 보정 신호를 RF 하향 변환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RF 하향 변환 모듈을 통해 중간 신호를 생성하는 중간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교정 신호를 시간 지연시켜 생성된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상기 중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딜레이 교정 신호 및 상기 중간 신호 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가중치를 연산하는 가중치 연산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보정 가능한 다중 채널 송수신 방법.
a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calibration signal and a local oscillation signal in an RF correction mode;
The correction signal is provided to a correction signal modulation switch of the balloon module or the local oscilla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balloon of the balloon module to generate an RF correction signal and the RF correc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RF down-conversion module, and the RF down-conversion signal is provided. an intermediate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intermediate signal through a conversion module; and
and a weight calculation step of receiving the delay correction signal and the intermediate signal generated by delaying the correction signal and calculating a weight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correction signal and the intermediate signal is minimized.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0466A KR102315039B1 (en) | 2020-04-02 | 2020-04-02 | Channel correction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0466A KR102315039B1 (en) | 2020-04-02 | 2020-04-02 | Channel correction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23122A KR20210123122A (en) | 2021-10-13 |
| KR102315039B1 true KR102315039B1 (en) | 2021-10-21 |
Family
ID=781151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40466A Active KR102315039B1 (en) | 2020-04-02 | 2020-04-02 | Channel correction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15039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43608B1 (en) * | 2005-08-17 | 2006-1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matic Calibration Circuit and Method of High Frequency Receiver Chip |
| US20090227214A1 (en) | 2002-09-03 | 2009-09-10 | Theodore Georgantas |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multi-mode, multi-standard transmitter and receiver |
| KR101405260B1 (en) | 2013-07-05 | 2014-06-27 | 국방과학연구소 | Self calibration Method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beamforming and Apparatus thereof |
| KR101971685B1 (en) * | 2019-01-24 | 2019-04-23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Self-Calibration Apparatus of Beam Forming GPS Anti-Jamm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66293B1 (en) * | 2000-01-28 | 2002-12-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Calibration |
| KR20070032548A (en) | 2005-09-16 | 2007-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Channel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
| KR20140098605A (en) * | 2013-01-31 | 2014-08-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of frequency offset |
| KR101871908B1 (en) * | 2016-12-01 | 2018-07-03 | 넵코어스 주식회사 | Anti-jamming apparatus f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and anti-jamming method f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 KR102061620B1 (en) | 2018-11-15 | 2020-01-02 | 한국과학기술원 | Phased array antenna module, phased array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alib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2020
- 2020-04-02 KR KR1020200040466A patent/KR1023150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90227214A1 (en) | 2002-09-03 | 2009-09-10 | Theodore Georgantas |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multi-mode, multi-standard transmitter and receiver |
| KR100643608B1 (en) * | 2005-08-17 | 2006-1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matic Calibration Circuit and Method of High Frequency Receiver Chip |
| KR101405260B1 (en) | 2013-07-05 | 2014-06-27 | 국방과학연구소 | Self calibration Method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beamforming and Apparatus thereof |
| KR101971685B1 (en) * | 2019-01-24 | 2019-04-23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Self-Calibration Apparatus of Beam Forming GPS Anti-Jamm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23122A (en) | 2021-10-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41131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plurality of RF signal paths | |
| CN108461918B (en) | Antenna tuning apparatus and antenna tuning method | |
| US12323174B2 (en) | Amplitude-to-phase error correction in a transceiver circuit | |
| US20170310004A1 (en) | Phased Array Antenna Calibration | |
| US8354960B2 (en) | Method for low sidelobe operation of a phased array antenna having failed antenna elements | |
| US20100123625A1 (en) | Compensation of beamforming errors in a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widely spaced antenna elements | |
| CN100373812C (en) | Calib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of array receiver | |
| JP4858555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 |
| TW201019631A (en) | Method and system for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forming with GPS guidance | |
| US20190149250A1 (en) | Method for calibrating an antenna system, control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 |
| US1103860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alog phased antenna array | |
| CN115765771A (en) | Millimeter Wave (MMWAVE) system and method | |
| KR102315039B1 (en) | Channel correction multichannel transceiver and method | |
| JP2009002909A (en) | Signal processing device, angle measur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ngle measuring method | |
| CN102656747A (en) | Antenna beam directivity device and antenna beam directivity method | |
| US12416700B2 (en) | Estimation method and estimation device | |
| US10212011B2 (en) |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ase | |
| US110186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digital pre-distortion of cellular transmitter | |
| US2021010505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beamformed signals using a plurality of received signals | |
| CN118524412A (en) | Multi-base general sense integrated method, system,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duct | |
| WO2005015773A1 (en) | Array antenna receiver apparatus and received signal correcting method | |
| US20240006774A1 (en) | Modem supporting digital pre-distortion, antenn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 KR2023010241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hase Calibration of Phased Array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 |
| KR2012003786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atellite navigation signal processing navigation signal adaptively | |
| WO202210580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srs radio frequency emission channel,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