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687B1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nd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nd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687B1 KR102315687B1 KR1020140194760A KR20140194760A KR102315687B1 KR 102315687 B1 KR102315687 B1 KR 102315687B1 KR 1020140194760 A KR1020140194760 A KR 1020140194760A KR 20140194760 A KR20140194760 A KR 20140194760A KR 102315687 B1 KR102315687 B1 KR 1023156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region
- display
- scan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8347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77 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57 sulf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A display panel is provided.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second region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mage, and a first driving unit positioned on the third region to drive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가 주로 이용된다.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is mainly used as the display device.
최근 표시 장치는 시스템의 발달 및 대중화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 분야의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벤딩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주 표시 영역과 보조 표시 영역으로 구분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주 표시 영역과 보조 표시 영역은 전체로써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 별개의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Recently, a flexible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s a display device not only apply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a system.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spotlighted as a new technology in the field of display device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based on the bent area.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may display one image as a whole, or may display separate images, respectively.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각각의 표시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주 표시 영역과 보조 표시 영역을 함께 구동한다. 즉, 표시 영역에서 주 표시 영역에만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라도, 구동부는 주 표시 영역과 보조 표시 영역 모두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보조 표시 영역에는 블랙 이미지 데이터를 인가되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일측에 위치한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타측으로 진행할수록 신호 감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품질이 저하된다.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driver for driving each display area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he driving unit drives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together. That is, even when an image is displayed only in the main display area in the display area, the driving unit supplies signals to both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Black image data is applied to the auxiliary display area in response to the signal, and thu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In addition, as the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located on one side progresses toward the other side, a signal attenuation phenomenon may occur, and thus display quality is deteriorated.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의 소비를 절감하고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panel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mproving display qualit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력의 소비를 절감하고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mproving display qualit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the first area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an area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located on the second area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located on the third area,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s.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일 수 있다.Here, the first driver may be a scan driver that provides a scan signal to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구동 IC 및 상기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스캔 구동부에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스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flexible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non-display area that is an outer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to provide a data volt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driving IC and the data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d unit providing a data control signal and a scan control signal to the scan driving unit.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구동할 수 있다.and a second driver positioned in a non-display region that is an outer reg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driver drives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river drives the second display unit can drive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1 스캔 선택 신호와 제2 스캔 선택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스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an signal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signal controlle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first scan selection signal and a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to the scan driver.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의 복수의 스캔 라인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복수의 스캔 라인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는 턴온될 수 있다.The scan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ransistor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n lines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transistor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n lin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first scan selection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first transistors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a sign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ransistors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표시 소자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표시 소자 각각과 연결되어 스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스캔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each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in a matrix form, the scan driv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to provide a scan signal, and the scan driver amplifies the scan signal.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unit.
상기 제1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이며, 상기 제2 영역은 기 설정된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곡면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region may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and the second region may have a curved shap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curvature.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reg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gion.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될 수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bent so that the second regions face each oth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접힌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area, a second area fold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 substrate including three regions,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region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second region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positioned on the third region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일 수 있다.The first driver may be a scan driver that provides a scan signal to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제3 영역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third region may have flexibility.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Als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have flexibility.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하며, and a second driver positioned in a non-display region that is an outer reg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driver drives the first display;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구동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may drive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접힐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may be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reg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가요성을 가진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panel comprising: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a third area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having a flexibility;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region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second region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on the third regi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display units.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일 수 있다.The first driver may be a scan driver that provides a scan signal to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구동할 수 있다.The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second driver positioned in a non-display area that is an outer reg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herein the first driver drives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river drives the first display area. 2 The display unit can be driven.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구동부를 표시 영역의 일부에 형성할 수 있는 바, 비표시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며, 네로우 베젤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driver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the size of the non-display area may be reduced, and a narrow bezel may be provided.
또한, 스캔 신호의 전송 거리가 줄어들 수 있어 스캔 신호가 감쇄되는 신호의 전송 거리가 감소될 수 있어 스캔 신호가 감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scan signal may be reduced,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signal at which the scan signal is attenuated may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scan signal from being attenuated.
또한, 표시 영역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area can be individually drive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B-B´을 따라 표시 패널을 벤딩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2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3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 구동부와 표시 영역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Ⅵ-Ⅵ′을 따라 절단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표시 패널을 Ⅷ-Ⅷ´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9의 B-B´을 따라 표시 패널을 벤딩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표시 패널을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벤딩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 구동부와 표시 영역의 블록도이다.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B-B´을 따라 표시 패널을 벤딩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 구동부와 표시 영역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display panel bent along line BB′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2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3 .
6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of a scan driver and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6 .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9 taken along line VIII-VIII'.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panel bent along line BB′ of FIG. 9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of the display panel of FIG. 10 .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13 .
15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6 is a block diagram of a scan driver and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panel bent along line BB′ of FIG. 17 .
19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20 is a block diagram of a scan driver and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식별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B-B´을 따라 표시 패널을 벤딩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display panel bent along BB′ of FIG. 1 , and FIG. 4 is the display panel of FIG. 2 . ,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3 .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을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한다.1 to 5 , the
여기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D1)에 제1 표시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영역(D2)에 제2 표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순차적으로 턴온되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밝기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1)은 표시 영역(D)의 주 표시 화면일 수 있으며, 제2 영역(D2)은 표시 영역(D)의 보조 표시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전체로써 하나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화상을 각각 표시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may be areas for displaying an image. That is, the first display unit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D1 ,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area D2 . That is,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that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display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data voltage. The first area D1 may be a main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area D, and the second area D2 may be a secondary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area D,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may display one image as a who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ifferent images may be respectively displayed.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D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D1)의 일단과 제2 영역(D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을 사이에 두고 제1 영역(D1)과 연속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D2), 제3 영역(D3) 및 제1 영역(D1)은 제1 방향(X)과 수직인 제2 방향(Y)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region D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 The third region D3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region D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D2 . That is, the second region D2 may be continuously positioned with the first region D1 with the third region D3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area D2 , the third area D3 , and the first area D1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
여기서, 표시 패널(100)의 기판은 접힌 상태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접힌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을 따라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의 일측에 형성된 벤딩 라인(Bending Line, B-B')을 따라 벤딩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에 대하여 접힐 수 있다. 제2 영역(D2)의 벤딩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시계 방향(R1)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역(D2)의 벤딩 방향은 이와 반대인 시계 방향(R2)일 수도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의 상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즉, 제3 영역(D3)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을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반 시계 방향(R1)으로 기 설정된 만큼 벤딩되는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과 일정한 내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내각(θ1)의 크기와 제3 영역(D3)의 외부 곡면의 거리(d1)는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즉, 내각(θ1)이 작아질수록 외부 곡면의 거리(d1)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곡면의 거리(d1)는 제3 영역(D3)의 단면적일 수 있으며, 후술할 구동부가 실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D3)의 외부 곡면의 거리(d1) 및 내각(θ1)의 크기는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벤딩 스트레스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0)은 주 표시 영역인 제1 영역(D1)에서 연장되어 확장된 제2 영역(D2)을 포함하기에, 보다 넓은 화상 또는 다양한 화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substrate of the
여기서, 표시 패널(100)의 기판은 적어도 가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D3)은 가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영역(D3)을 기준으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현재 접힌 방향이 아닌 현재 접힌 방향과 반대 방향 또는 평평한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100)의 기판은 가요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은 모두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에 비해 보다 빈번하게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보다 더 유연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ubstrate of the
여기서, 제3 영역(D3)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서 휘어진 부분에 해당하며, 이는 사용자의 눈(E)에 인식되지 않는 비가시 영역(Invisible region)일 수 있다. 즉,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경계면에 해당하나 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에 용이하게 인식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이 하나의 화상을 함께 표시하거나,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이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하더라도 제3 영역(D3)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는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은 하나의 표시 영역(D)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의 테두리 부에 형성되어 표시 영역(D)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N)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외곽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D3) 또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을 각각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third region D3 corresponds to a curv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which may be an invisible region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user's eye E. That is, the third area D3 may correspond to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but may not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s view because it is curved. Therefore, even if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display one image together or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display different images, the third area D3 Degradation of display quality due to this may be minimized. That is, the first area D1 , the second area D2 , and the third area D3 may be defined as one display area D . In addi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블록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벤딩되기 전 상태의 표시 패널(100)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도 6을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은 표시 영역(D)의 외곽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은 표시 영역(D)에서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제1 내지 제4 비표시 영역(N1, N2, N3, N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에는 표시 영역(D)에 위치하는 표시 소자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와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의 표시 소자는 제공된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표시 패널(100)은 패드부(101), 구동 IC(102), 스캔 구동부(103)을 포함할 수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여기서, 패드부(101)는 제2 비표시 영역(N2)에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10)는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단자부(101c)패드부(101)는 외부 신호를 구동 IC(102)로 전달할 수 있다. 단자부(101c)Here, the
구동 IC(102)는 제2 비표시 영역(N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IC(102) 및 패드부(101)의 형성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 IC(102)는 제공된 외부 신호에 대응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여 제1 영역(D1)의 제1 표시부 및 제2 영역(D2)의 제2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다.The driving
스캔 구동부(103)는 스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캔 신호를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의 표시 소자는 상기 스캔 신호에 의해 턴-온(Turn-on)되어 구동 IC(102)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스캔 구동부(103)는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지 않으며 표시 영역(D)의 벤딩 영역에 해당하는 제3 영역(D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스캔 구동부(103)를 표시 영역(D)의 벤딩 영역인 제3 영역(D3)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좁은 비표시 영역(N)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보다 좁은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함에 따라 보다 확대된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의 제3 영역(D3)은 스캔 구동부(103)뿐만 아니라 각 화소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발광 제어부 또는 각 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표시 영역(N)은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은 보다 좁은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region D3 of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not only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스캔 구동부(103)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스캔 신호의 전송 거리가 줄어들 수 있어 스캔 신호가 감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나아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을 각각 구동할 수 있다. 즉, 제3 영역(D3)에 배치된 스캔 구동부(103)는 제1 영역(D1) 및/또는 제2 영역(D2)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스캔 구동부(103)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urthermore,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may be driven, respectively. That is,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 구동부와 표시 영역의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scan driver and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스캔 구동부(103)는 복수의 스테이지(s1, ..., sn), 복수의 스테이지(s1, ..., sn)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버퍼부(b1, ..., bn), 복수의 버퍼부(b1, ..., bn)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은 상술한 스캔 신호의 제어를 위한 스캔 신호 제어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각각의 스테이지(s1, ..., sn)는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응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스캔 신호는 각각의 스테이지(s1, ..., sn)와 연결된 버퍼부(b1, ..., bn)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신호는 제1 스테이지(s1) 에서 제n 스테이지(sn)로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각 스캔 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스테이지(s1)는 스캔 제어 신호(SL)에 대응하여 제1 스캔 신호를 제1 버퍼(b1) 및 제2 스테이지(s2)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스테이지(s2)는 제1 스캔 신호에 대응하여 제2 스캔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 버퍼(b2) 및 제3 스테이지(s3)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스테이지(s1, ..., sn)는 생성된 스캔 신호를 다음 스테이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음 스테이지는 이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테이지(s1, ..., sn)에는 게이트 온 전압(미도시), 게이트 오프 전압(미도시)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다음 스테이지의 스캔 신호는 이전 스테이지로 피드백되어 이전 스테이지의 스캔 신호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Each of the stages s1, ..., sn may correspond to respective scan lines of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and may provide scan signals to the corresponding scan lines, respectively. . The scan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buffer units b1, ..., bn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tages s1, ..., sn. Here, the scan signal may be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first stage s1 to the n-th stage sn, and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to each scan line. That is, the first stage s1 may provide the first scan signal to the first buffer b1 and the second stage s2 in response to the scan control signal SL. The second stage s2 may generate a second scan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signal and provide it to the second buffer b2 and the third stage s3 . As such, each of the stages s1, ..., sn may provide the generated scan signal to the next stage, and the next stage may form the scan signal in response thereto. In addition, a gate-on voltage (not shown), a gate-off voltage (not shown), etc. may be provided to each of the stages s1, ..., sn, and the scan signal of the next stage is fed back to the previous stage and fed back to the previous stag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can signal output of
복수의 버퍼부(b1, ..., bn)는 각각 연결된 복수의 스테이지(s1, ..., sn)에서 제공된 스캔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이를 제1 노드(N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노드(N1)에 제공된 스캔 신호는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일단으로 각각 전송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ffer units b1, ..., bn may amplify the scan signal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stages s1, ..., sn respectively connected, and may output them to the first node N1. . The scan signal provided to the first node N1 may be transmitted to one end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 respectively.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1 스캔 선택 신호(En1) 및 제2 스캔 선택 신호(En2)에 응답하여 각각 턴 온(Turn-On)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송된 스캔 신호를 이와 연결된 스캔 라인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 소자(PX)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PX)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등 다양한 표시 소자의 일 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소자(PX)는 유기 발광 소자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respectively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selection signal En1 and the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En2, and thus the transmitted Each sca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scan line connected thereto.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PX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display device PX may be one pixel of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electrophoretic devic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PX is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영역(D1)의 복수의 표시 소자(PX)는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1, ..., S1n)에 대응하여 턴-온(Turn-on)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IC(102)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D11, ..., D1m)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제2 영역(D2)의 복수의 표시 소자(PX)는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21, ..., S2n)에 대응하여 턴-온(Turn-on)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IC(102)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D21, ..., D2j)을 인가 받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PX in the first region D1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to nth scan signals S11, ..., S1n, and accordingly, the driving IC The data voltages D11, ..., D1m provided in 102 may be applied. The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PX in the second region D2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to n-th scan signals S21, ..., S2n, and accordingly, the driving IC The data voltages D21, ..., D2j provided in 102 may be applied.
스캔 신호 제어부(104)는 스캔 구동 단자부(101a)로부터 스캔 선택 신호(En)를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스캔 신호 제어부(104)는 제1 스캔 선택 신호(En1) 및 제2 스캔 선택 신호(En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캔 신호 제어부(104)는 제1 스캔 선택 신호(En1)와 제2 스캔 선택 신호(En2)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 구동부(103)에 제공할 수 있다. 스캔 신호 제어부(10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비표시 영역(N2)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영역(D)의 제3 영역(D3)에 형성될 수 도 있다.The scan
제1 영역(D1)만을 표시하려는 경우, 스캔 신호 제어부(104)는 스캔 선택 신호(En)에 의해 제1 스캔 선택 신호(En1)만을 출력하여 제1 트랜지스터(Tr1)만을 턴 온(Turn-on)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D2)만을 표시하려는 경우, 스캔 선택 신호(En)에 의해 스캔 신호 제어부(104)는 제2 스캔 선택 신호(En2) 만을 출력하여 제2 트랜지스터(Tr2)만을 턴 온(Turn-on)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을 모두 표시하려는 경우, 제1 스캔 선택 신호(En1) 및 제2 스캔 선택 신호(En2)를 모두 출력하여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를 모두 턴 온(Turn-on)할 수 있다.When only the first region D1 is to be displayed,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스캔 구동부(130)는 선택적으로 제1 영역(D1) 및/또는 제2 영역(D2)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도 8은 도 6의 Ⅵ-Ⅵ′을 따라 절단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8은 제1 영역(D1)과 제2 비표시 영역(N2)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후술할 제1 영역(D1)의 구조는 제2 영역(D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6 . Here, FIG.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non-display area N2,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area D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 second area D2. The same can be applied to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이다. 표시 패널(100)은 단자부(101c), 제1 기판(106), 반도체 패턴(108), 게이트 절연막(110), 게이트 전극(112), 층간 절연막(114), 소스 전극(116), 드레인 전극(118), 중간막(120), 평탄화막(122), 제1 전극(124), 화소 정의막(126), 유기 발광층(128), 제2 전극(130), 보호막(132), 제2 기판(134), 및 실런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부(101c)는 패드 단자(110_1c) 및 보조 단자(110_2c)는 단자부(101c)를 이룰 수 있다.The
제1 기판(106)은 고내열성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106)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폴리아릴렌에테르 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6)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기판(106)은 롤링(rolling), 폴딩(folding), 벤딩(bending) 등으로 형태 변형이 가능한 기판일 수 있다.The
제1 기판(106)은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표시 영역(D)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 및 표시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은 실런트(136) 및 단자부(101c)가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은 제1 기판(106)의 에지와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N)은 제1 기판(106)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The display area D may be an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D may be a region in which a display device for substantially displaying an image and a thin film transis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re located. Here, the display device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on-display area N may be an are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Also, the non-display area N may be an area in which the
비표시 영역(N)은 표시 영역(D)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은 표시 영역(D)을 모두 둘러싸는 원형의 도넛 형상일 수 있다.The non-display area N may surround the display area D.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non-display area N may have a circular donut shape surrounding all of the display area D.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기판(106) 상에는 버퍼막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막은 제1 기판(106)으로부터 금속 원자들, 불순물들 등이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버퍼막은 제1 기판(106)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제1 기판(106)의 표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uffer layer may be positioned on the
반도체 패턴(108)은 제1 기판(10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패턴(108)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제1 기판(106) 상에 버퍼막이 형성되었다면, 반도체 패턴(108)은 버퍼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108)은 비정질 반도체, 미세결정 반도체, 또는 다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결정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도체 패턴(108)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 패턴(108)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부와, 채널부의 양 옆으로 p+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부 및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핑되는 이온 물질은 붕소(B)와 같은 P형 불순물로서, 예컨대 B2H6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게이트 절연막(110)은 버퍼막 상에 반도체 패턴(108)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0)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금속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게이트 전극(112)은 게이트 절연막(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은 게이트 절연막(110) 중에서 아래에 반도체 패턴(108)이 위치하는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12)과 채널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 전극(112)의 치수 및/또는 채널부의 치수는 이들을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에 요구되는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The
패드 단자(101_1c)도 게이트 절연막(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패드 단자(101_1c)는 제1 기판(106)의 비표시 영역(N)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 단자(101_1c)는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드 단자(101_1c)는 게이트 전극(11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드 단자(101_1c)는 게이트 전극(112)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The pad terminal 101_1c may also be formed on the
층간 절연막(114)은 게이트 절연막(110) 상에 게이트 전극(112) 및 패드 단자(101_1c)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4)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및 비표시 영역(N)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4)은 게이트 전극(112) 및 패드 단자(101_1c)의 프로파일을 따라 게이트 절연막(110)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층간 절연막(114)에는 게이트 전극(112) 및 패드 단자(101_1c)에 인접하는 단차부가 생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14)은 실리콘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층간 절연막(114)은 후속하여 형성되는 소스 전극(116)과 드레인 전극(118)으로부터 게이트 전극(112)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층간 절연막(114)은 반도체 패턴(108)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 및 패드 단자(101_1c)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택홀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콘택홀은 반도체 패턴(108)의 소스부 및 드레인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같이, 반도체 패턴(108) 상에 게이트 절연막(110)이 위치할 경우, 제1 콘택홀은 게이트 절연막(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콘택홀은 제1 기판(106)의 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콘택홀은 제1 기판(106)의 비표시 영역(N)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콘택홀은 패드 단자(101_1c)의 중심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콘택홀은 제1 기판(106)의 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소스 전극(116)과 드레인 전극(118)은 층간 절연막(1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전극(116)과 드레인 전극(118)은 제1 콘택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소스 전극(116)과 드레인 전극(118)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은 게이트 전극(11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게이트 전극(11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은 층간 절연막(114) 및 게이트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반도체 패턴(108)의 소스부 및 드레인부에 각기 접촉될 수 있다.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은 각기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층간 절연막(114) 상에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이 형성됨에 따라, 제1 기판(106) 상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스위칭 소자로서 반도체 패턴(108), 게이트 절연막(110), 게이트 전극(112),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탑 게이트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As the
보조 단자(101_2c)도 층간 절연막(11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단자(101_2c)는 제2 콘택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조 단자(101_2c)는 제1 기판(106)의 비표시 영역(N)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패드 단자(101_1c) 및 하나의 보조 단자(101_2c)는 하나의 단자부(101c)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101c)에는 구동 IC(102)가 장착될 수 있다.The auxiliary terminal 101_2c may also be formed on the
중간막(120)은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막(120)은 층간 절연막(114) 상에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막(120)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중간막(120)은 소스 전극(116) 및 드레인 전극(118)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간막(12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평탄화막(122)은 중간막(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122)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122)의 표면은 평평할 수 있다. 즉, 평탄화막(122)은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어, 화소가 위치하는 일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평탄화막(122)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평탄화막(122)은 드레인 전극(118)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아홀은 드레인 전극(118)의 중심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비아홀은 기판의 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제1 전극(124)은 평탄화막(1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124)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4)은 비아홀에 삽입되어 드레인 전극(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124)은 애노드(anode) 전극 또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24)이 애노드 전극일 경우, 제2 전극(130)은 캐소드 전극이 되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가정하고 실시예들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다만, 제1 전극(124)이 캐소드 전극이고, 제2 전극(130)이 애노드 전극일 수도 있다. The
제1 전극(124)이 애노드 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제1 전극(124)은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가 배면 발광형 표시 장치일 경우, 제1 전극(124)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물질이나, 이들의 적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전면 발광형 표시 장치일 경우, 제1 전극(124)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또는 Ca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24)은 이들 중 서로 다른 2 이상의 물질을 이용하여 2층 이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When the
화소 정의막(126)은 제1 전극(12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제1 전극(124)의 일부 영역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 Cyclo Butene, BCB),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아마이드(poly amaide, PA), 아크릴 수지 및 페놀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또한 검정색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화소 정의막(126)은 차광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유기 발광층(128)은 제1 전극(12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28)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28)에 전류가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28) 내의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recombination)하여 여기자(exciton)을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한다. The
유기 발광층(128)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128)은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정공 저지층(hole blocking layer, HBL), 발광층(Emitting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및 전자 저지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제2 전극(130)은 유기 발광층(12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30)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30)이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제2 전극(130)은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3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또는 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유기 발광층(128) 상에 제2 전극(130)이 형성됨에 따라, 제1 기판(106) 상에는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로서 제1 전극(124), 유기 발광층(128), 및 제2 전극(13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As the
보호막(132)은 제2 전극(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32)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32)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표시 소자를 보호하여 표시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보호막(132)은 유기막, 무기막 또는 이들의 다중층일 수 있다. 보호막(132)은 증발법, CVD 또는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제2 기판(134)은 보호막(13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판(134)은 보호막(132)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기판(134)과 보호막(132) 사이에는 질소 등이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기판(134)은 제1 기판(106)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기판(134)은 제1 기판(106)의 표시 영역(D)의 전부 및 비표시 영역(N)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판(134)은 실런트(136)와 함께 표시 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봉지할 수 있다.The
제2 기판(134)은 투명한 플라스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기판(134)은 제1 기판(106)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실런트(136)는 제1 기판(106) 및 제2 기판(134)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런트(136)는 제1 기판(106)의 비표시 영역(N)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런트(136)는 제1 기판(106) 상에 위치한 층간 절연막(114)과 접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이트 절연막(110) 또는 제1 기판(106)과 접촉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런트(136)는 층간 절연막(114) 및 제2 기판(134)과 접촉하여 표시 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봉지할 수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표시 패널을 Ⅷ-Ⅷ´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of FIG. 9 taken along line VIII-VIII'.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은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은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1 영역(D1)과 연속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D1)은 표시 영역(D)의 주 표시 화면일 수 있으며, 제2 영역(D2)은 표시 영역(D)의 보조 표시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D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D1)의 일단과 제2 영역(D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을 사이에 두고 제1 영역(D1)과 연속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3 영역(D3)은 벤딩(Bending)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 영역(D)의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을 따라 벤딩(Bending)될 수 있다.9 and 10 , the
여기서, 표시 패널(200)의 제1 영역(D1)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이며, 제2 영역(D2)은 기 설정된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곡면 형태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D2)은 기 설정된 곡률 반경(R)을 갖도록 시계 반대 방향(R1)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제2 영역(D2)은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갖는 원주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D2)은 상기 원주의 사분의 일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D2)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200)은 보다 개선된 그립(Grip)감 및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rea D1 of the
그 밖의 표시 패널(200)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식별부호 또는 동일한 명칭을 갖는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패널(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Other descriptions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패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other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은 도 9의 B-B´을 따라 표시 패널을 벤딩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표시 패널을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벤딩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panel bent along line BB′ of FIG. 9 ,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FIG. 10 CC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panel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FIG. 13 .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은 제1 영역(D1), 제2 영역(D2a, D2b) 및 제3 영역(D3a, D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D1)은 표시 영역(D)의 주 표시 화면일 수 있으며, 제2 영역(D2a, D2b)은 표시 영역(D)의 보조 표시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to 14 , the
여기서, 제3 영역(D3a, D3b)은 제1 영역(D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영역(D3a, D3b)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D3a)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D1)의 일단과 일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a)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3 영역(D3b)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D1)의 타단과 타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b)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일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a)은 제3 영역(D3a)을 사이에 두고 제1 영역(D1)과 연속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타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b)은 제3 영역(D3b)를 사이에 두고 제1 영역(D1)과 연속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영역(D)은 제1 방향(X)과 수직인 제2 방향(Y)에 따라, 제2 영역(D2a), 제3 영역(D3a,) 제1 영역(D1), 제3 영역(D3b) 및 제2 영역(D2b)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third regions D3a and D3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gion D1 . That is, the third regions D3a and D3b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s D2a and D2b. The third region D3a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region D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D2a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third region D3b may It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gion D1 and one end of the second region D2b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area D2a disposed on one side may be continuously positioned with the first area D1 with the third area D3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area D2b disposed on the other side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area ( It may be position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region D1 with D3b)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display area D has a second area D2a, a third area D3a, and a first area D1 and a third area in a second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D3b) and the second region (D2b)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제3 영역(D3a, D3b)은 벤딩(Bending)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의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a, D2b)은 제3 영역(D3)을 따라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D2a, D2b)은 벤딩 라인(Bending Line, B-B')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일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a)은 제3 영역(D3a)의 일측에 형성된 벤딩 라인을 따라 반 시계 방향(R1)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타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b)은 제3 영역(D3b)의 타측에 형성된 벤딩 라인을 따라 시계 방향(R2)으로 벤딩될 수 있다. 즉, 제 2 영역(D2a, D2b)은 제3 영역(D3a, D3b)을 따라 서로 대향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D2a, D2b)은 제1 영역(D1)의 상부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The third regions D3a and D3b may be bending regions.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s D2a and D2b of the display area D may be bent along the third area D3. That is, as shown in FIGS. 12 and 13 , the second regions D2a and D2b may be bent along the bending line B-B′. The second region D2a disposed on one side may be ben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R1 along a bending lin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region D3a, and the second region D2b disposed on the other side may be bent in the third It may be bent in a clockwise direction R2 along a bending lin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gion D3b. That is, the second regions D2a and D2b may be bent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third regions D3a and D3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illustrated in FIG. 14 , the second regions D2a and D2b may be bent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D1 .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300)은 표시 영역(D)의 좌우가 벤딩된 형태로 보다 확장된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제2 영역(D2a, D2b)은 제1 영역(D1a, D1b)의 좌우에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역(D2a, D2b)은 상하 또는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여기서, 표시 패널(300)은 벤딩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 영역(D3)은 가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접힌 방향과 반대 방향 또는 평평한 상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패널(300)의 기판은 가요성 물질로 전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영역(D1), 제2 영역(D2a, D2b), 제3 영역(D3a, D3b)은 모두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에 비해 보다 빈번하게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보다 더 유연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제3 영역(D3a, D3b)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서 휘어진 부분에 해당하며, 이는 사용자의 눈(E)에 인식되지 않는 비가시 영역(Invisible region)일 수 있다. 즉, 제3 영역(D3a, D3b)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의 경계면에 해당하나 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에 용이하게 인식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이 하나의 화상을 함께 표시하거나,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 D2b)이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하더라도 제3 영역(D3)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는 최소화될 수 있다. 제3 영역(D3a, D3b)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을 각각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블록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 구동부와 표시 영역의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block diagram of a scan driver and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영역(D3a)은 제1 스캔 구동부(303a)를 포함하며, 제3 영역(D3b)는 제2 스캔 구동부(30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캔 구동부(303a)는 일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a)과 제1 영역(D1)에 스캔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스캔 구동부(303b)는 타측에 배치된 제2 영역(D2b)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15 and 16 , the third region D3a may include the
제1 스캔 구동부(303a)는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복수의 스테이지(s1, ..., sn), 복수의 스테이지(s1, ..., sn)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고 생성된 스캔 신호를 증폭하는 복수의 버퍼부(b1, ..., bn), 복수의 버퍼부(b1, ..., bn)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캔 구동부(303b)는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복수의 스테이지(s1, ..., sn) 및 복수의 스테이지(s1, ..., sn)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Tr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캔 구동부(303b)은 타측에 배치도니 제2 영역(D2a)에만 스캔 신호를 제공하기에 버퍼부는 생략될 수 있다. The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Tr1, Tr2, Tr3)는 제1 내지 제3 스캔 선택 신호(En1, En2, En3)에 각각 응답하여 턴 온(Turn-On)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송된 스캔 신호를 이와 연결된 스캔 라인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스캔 구동부(303a) 및 제2 스캔 구동부(303b)는 제1 내지 제3 스캔 선택 신호(En1, En2, En3)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캔 신호를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에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transistors Tr1, Tr2, and Tr3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to third scan selection signals En1, En2, and En3, respectively, and accordingly, the transmitted sca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scan lines connected thereto. That is, the
제1 내지 제3 스캔 선택 신호(En1, En2, En3)는 스캔 신호 제어부(340)에서 생성될 수 다. 스캔 신호 제어부(340)는 스캔 선택 신호(En)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3 스캔 선택 신호(En1, En2, En3)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스캔 선택 신호(En1, En2, En3)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영역(D1) 또는 제2 영역(D2)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scan selection signals En1 , En2 , and En3 may be generated by the scan signal controller 340 . The scan signal controller 340 may generate first to third scan selection signals En1, En2, and En3 in response to the scan selection signal En, and the first to third scan selection signals En1, En2, At least one of En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D1 or the second region D2.
그 밖의 표시 패널(300)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식별부호 또는 동일한 명칭을 갖는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패널(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Other descriptions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B-B´을 따라 표시 패널을 벤딩한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play panel bent along line B-B′ of FIG. 17 .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400)은 표시 영역(D)과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은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D1)은 표시 영역(D)의 주 표시 화면일 수 있으며, 제2 영역(D2)은 표시 영역(D)의 보조 표시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7 and 18 , the
여기서,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D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영역(D1)의 일단과 제2 영역(D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을 사이에 두고 제1 영역(D1)과 연속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영역(D)은 제1 방향(X)과 수직인 제2 방향(Y)에 따라, 제2 영역(D2), 제3 영역(D3) 제1 영역(D1)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third region D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D1 and the second region D2 . The third region D3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region D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gion D2 . The second area D2 may be continuously positioned with the first area D1 with the third area D3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display area D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area D2, the third area D3, and the first area D1 in the second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have.
제3 영역(D3)은 벤딩(Bending)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의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을 따라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D2)은 제3 영역(D3)의 일측에 형성된 벤딩 라인(Bending Line, B-B')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제3 영역(D3)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서 휘어진 부분에 해당하며, 이는 사용자의 눈(E)에 인식되지 않는 비가시 영역(Invisible region)일 수 있다. 즉, 제3 영역(D3)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경계면에 해당하나 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에 용이하게 인식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이 하나의 화상을 함께 표시하거나,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이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하더라도 제3 영역(D3)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는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D3)는 제1 영역(D1)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40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표시 영역(N)은 제2 영역(D2)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40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third area D3 may be a bending area.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of the display area D may be bent along the third area D3. That is, as shown in FIG. 15 , the second region D2 may be bent along a bending line B-B′ formed at one side of the third region D3 . The third region D3 corresponds to a curv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may be an invisible region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user's eye E. That is, the third area D3 may correspond to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but may not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s view because it is curved. Therefore, even if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display one image together or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D2 display different images, the third area D3 Degradation of display quality due to this may be minimized. Here, the third region D3 may include a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블록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 구동부와 표시 영역의 블록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block diagram of a scan driver and a display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3 영역(D3)은 제1 구동부(403a)를 포함하며, 비표시 영역(N) 중 제3 비표시 영역(N3)은 제2 구동부(40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부(403a)는 제1 영역(D1)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스캔 구동부일 수 있으며, 제2 구동부(403b)는 제2 영역(D2)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스캔 구동부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패널(400)은 제1 영역(D1)을 구동하는 제1 스캔 구동부(403a)를 표시 영역(D)의 벤딩 영역인 제3 영역(D3)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좁은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400)은 제1 스캔 구동부(403a)가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스캔 신호의 전송 거리가 줄어들 수 있어 스캔 신호가 감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도 있다. 19 and 20 , the third area D3 includes the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400)은 구동 IC(402) 및 패드부(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IC(402)는 비표시 영역(N) 중 제1 비표시 영역(N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패드부(401)는 제2 비표시 영역(N2)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 IC(402), 제1 스캔 구동부(403a) 및 제2 스캔 구동부(403b)에 데이터 제어 신호, 제1 스캔 제어 신호(SL1) 및 제2 스캔 제어 신호(SL2)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구동 IC(402) 및 패드부(401)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 IC(402)는 제3 영역(D3)에 형성될 수도 있어, 비표시 영역은 보다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Also, the
제1 스캔 구동부(403a)와 제2 스캔 구동부(403b)는 복수의 스테이지(s1, ..., s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캔 구동부(403a)의 복수의 스테이지(s1, ..., sn)는 제1 영역(D1)의 각각의 스캔 라인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스캔 구동부(403b)의 복수의 스테이지(s1, ..., sn)는 제2 영역(D2)의 각각의 스캔 라인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신호는 제1 스테이지(s1) 에서 제n 스테이지(sn)로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각 스캔 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스테이지(s1, ..., sn)는 생성된 스캔 신호를 다음 스테이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다음 스테이지는 이전 스테이지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스캔 구동부(403a)의 제1 스테이지(s1)와 제2 스캔 구동부(403b)의 제1 스테이지(s1)는 제1 스캔 제어 신호(SL1)와 제2 스캔 제어 신호(SL2)에 대응하여 스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스캔 구동부(403a)와 제2 스캔 구동부(403b)의 구동은 제1 스캔 제어 신호(SL1)와 제2 스캔 제어 신호(SL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여기서, 패드부(401)는 제1 스캔 제어 신호(SL1)와 제2 스캔 제어 신호(SL2)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제1 스캔 구동부(403a) 및 제2 스캔 구동부(403b)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패드부(401)는 제1 스캔 제어 신호(SL1) 및/또는 제2 스캔 제어 신호(SL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역(D1)만을 구동하는 경우, 제1 스캔 제어 신호(SL1)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영역(D2)만을 구동하는 경우, 제2 스캔 제어 신호(SL2)만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을 모두 구동하는 경우, 제1 스캔 제어 신호(SL1)와 제2 스캔 제어 신호(SL2)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400)의 패드부(401)는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D3)에 실장되는 구동 회로는 상술한 표시 패널(100)의 구동 회로에 비해 간단한 구성일 수 있으므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사이 영역인 제3 영역(D3)의 면적은 보다 감소될 수 있다.That is, the
그 밖의 표시 패널(400)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식별부호 또는 동일한 명칭을 갖는 도 1 내지 도 8의 표시 패널(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Other descriptions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3은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터치 패널(140), 투명 보호창(150) 및 하우징(160)를 포함한다.21 to 23 , the
표시 패널(100´)은 상술한 표시 패널(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표시 패널(100´) 상에는 터치 패널(1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40)은 정전 용량 방식, 저항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0)은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패널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의 화상이 표시되는 상부에 배치되기에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과 표시 영역(D)의 외곽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은 터치 영역(T)과 터치 영역(T)의 외곽에 배치된 배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
여기서 표시 영역(D)은 제1 영역(D1), 제2 영역(D2a, D2b) 및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영역(D3a, D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은 화상을 표시 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3 영역(D3a, D3b)는 벤딩 영역이며,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a, D2b)을 각각 구동하는 구동부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Here, the display area D includes a first area D1, second areas D2a, D2b, and third areas D3a and D3b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s D2a and D2b. may include. Here,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s D2a and D2b may be areas for displaying an image, the third areas D3a and D3b may be bending areas, and the first area D1 and the second area ( It may be a region in which a driver driving each of D2a and D2b) is formed.
터치 영역(T)은 제1 터치 영역(T1) 및 제2 터치 영역(T2a, T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과 터치 패널(140)의 터치 영역(T)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과 터치 패널(140)의 배선 영역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D1)과 제1 터치 영역(T1)은 서로 대응되도록 얼라인(Align)되고, 제2 영역(D2a, D2b)와 제2 터치 영역(T2a, T2b)은 서로 대응되도록 얼라인(Align)된 후, 터치 패널(140)과 표시 패널(100´)은 결합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0)과 결합된 표시 패널(100´)의 양측은 제3 영역(D3a, D3b)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140)은 제1 터치 영역(T1)과 제2 터치 영역(T2) 사이에 표시 패널(100´)의 제3 영역(D3a, D3b)에 대응되는 이격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터치 패널(140)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The touch area T may include a first touch area T1 and second touch areas T2a and T2b. Here, the display area D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touch area T of the
터치 패널(140)과 결합된 표시 패널(100´)은 투명 보호창(150) 및 하우징(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투명 보호창(150)은 표시 패널(1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측 상면에 표시 패널(100´)의 접힌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투명 보호창(150)은 터치 패널(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및 터치 패널(14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으며, 투명 보호창(150)의 일단과 타단은 하우징(160)의 일단과 타단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투명 보호창(150)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화면이 잘 투과될 수 있을 정도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창(150)은 외부의 충격 및 스크래치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의 벤딩된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는 지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패널(140)과 표시 패널(100´) 및 터치 패널(140)과 투명 보호창(150) 사이에는 상호간의 구성을 결합하는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하우징(160)은 지지부(161)와 안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1)는 표시 패널(100´)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지지부(161)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고 표시 패널(100´)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안착부(162)는 표시 패널(100´)과 터치 패널(140)의 말단부가 고정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안착부(162)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과 터치 패널의 배선 영역이 외부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60)의 일단 및 타단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보호창(150)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결합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구동부가 제3 영역(D3)에 형성되어 비표시 영역이 줄어 확대된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표시 영역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기에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도 있다. I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표시 장치
100, 200, 300, 400: 표시 패널
D1: 제1 영역
D2: 제2 영역
D3: 제3 영역
140: 터치 패널
150: 투명 보호창
160: 하우징10: display device
100, 200, 300, 400: display panel
D1: first area
D2: second area
D3: third area
140: touch panel
150: transparent protective window
160: housing
Claims (20)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이고,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1 스캔 선택 신호와 제2 스캔 선택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스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second area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 first driving unit positioned on the third region and configured to drive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driver is a scan driver that provides a scan signal to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scan signal controlle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first scan selection signal and a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to the scan driver.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구동 IC 및
상기 구동 IC와 상기 스캔 구동부에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스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non-display area that is an outer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 driving IC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to provide a data volt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pad unit providing a data control signal and a scan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IC and the scan driving unit.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구동하는 표시 패널.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driving unit positioned in a non-display area that is an outer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first driving unit drives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riving unit drives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의 복수의 스캔 라인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복수의 스캔 라인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트랜지스터는 턴온되는 표시 패널.According to claim 1,
The scan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transistor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n lines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transistor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can lin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 plurality of first transistors ar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selection signal;
The plurality of second transistors ar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매트릭스 형태의 복수의 표시 소자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표시 소자 각각과 연결되어 스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스캔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each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in a matrix form,
The scan driv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to provide a scan signal,
The scan driver further includes a buffer for amplifying the scan signal.
상기 제1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이며,
상기 제2 영역은 기 설정된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곡면 형태인 표시 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gion is substantially planar in shape;
The second area is a display panel having a curved shap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curvature.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인 표시 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에 형성되는 표시 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are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rea.
상기 가요성 기판은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벤딩되는 표시 패널.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so that the second regions face each other.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이고,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1 스캔 선택 신호와 제2 스캔 선택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스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a substrate comprising: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fold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second area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a first driving unit positioned on the third region and configured to drive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driving unit is a scan driving unit providing a scan signal to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scan signal controlle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first scan selection signal and a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to the scan driver.
상기 제3 영역은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패널.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ird area is a flexible display panel.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패널.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ave flexibility.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구동하는 표시 패널.13. The method of claim 12,
a second driving unit positioned in a non-display area that is an outer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first driving unit drives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riving unit drives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접힌 표시 패널.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area is a display panel tha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상기 제1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1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화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3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 각각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이고,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제1 스캔 선택 신호와 제2 스캔 선택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스캔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third region having flexibility;
a first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unit positioned on the second area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a first driving unit positioned on the third region and configured to drive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first driving unit is a scan driving unit providing a scan signal to each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scan signal controlle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first scan selection signal and a second scan selection signal to the scan driver.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표시부를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표시부를 구동하는 표시 패널.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second driver positioned in a non-display area that is an outer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first driving unit drives the first display unit,
The second driving unit drives the second display unit.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4/658,116 US10255863B2 (en) | 2014-04-02 | 2015-03-13 |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including a drive portion on the third region |
| CN201510145603.5A CN104978899B (en) | 2014-04-02 | 2015-03-30 | Display panel |
| EP15162271.9A EP2927901A3 (en) | 2014-04-02 | 2015-04-01 | Display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39399 | 2014-04-02 | ||
| KR1020140039399 | 2014-04-02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15618A KR20150115618A (en) | 2015-10-14 |
| KR102315687B1 true KR102315687B1 (en) | 2021-10-22 |
Family
ID=543577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94760A Active KR102315687B1 (en) | 2014-04-02 | 2014-12-31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nd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1568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26724B1 (en) * | 2016-05-19 | 2023-05-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348595B1 (en) | 2016-10-26 | 2022-01-07 | 주식회사 토비스 | a Large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
| CN107564413B (en) * | 2017-07-24 | 2020-05-2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Folding display device |
| KR102808926B1 (en) * | 2019-03-13 | 2025-05-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ugmented reality provi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48185B1 (en) * | 2019-04-03 | 2024-03-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649236B1 (en) | 2019-04-04 | 2024-03-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673772B1 (en) * | 2019-07-29 | 2024-06-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including image corrector |
| US11837130B2 (en) | 2019-11-22 | 2023-12-0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KR102775873B1 (en) * | 2020-06-30 | 2025-03-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20220031289A (en) | 2020-09-04 | 2022-03-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69661B1 (en) * | 2009-05-02 | 2017-08-18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Display device |
| KR101697503B1 (en) * | 2010-07-13 | 2017-01-1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1862347B1 (en) * | 2011-02-01 | 2018-07-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nd display set having the same |
| KR101320384B1 (en) * | 2011-06-30 | 2013-10-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
-
2014
- 2014-12-31 KR KR1020140194760A patent/KR10231568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15618A (en) | 2015-10-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15687B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nd having the same | |
| US10255863B2 (en) | Display panel hav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including a drive portion on the third region | |
| US10943970B2 (en) | Display device | |
| EP3588477B1 (en) | Display apparatus | |
| US12250868B2 (en) | Display apparatus | |
| EP4513475A1 (en) | Display panel | |
| US11398543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connective wirings within a display area thereof | |
| KR20200015868A (en) | Display panel | |
| KR20210130331A (en) | Display device | |
| US12382808B2 (en)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overlapping elements | |
| US9263474B2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 US20240206229A1 (en) | Display apparatus | |
| KR20220089776A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 US20240040863A1 (en) | Display apparatus | |
| US20230064938A1 (en) | Display apparatus | |
| KR20230006692A (en) | Display apparatus | |
| US12190807B2 (en) | Display apparatus | |
| US20230403879A1 (en) | Display device | |
| US20240196676A1 (en) | Display apparatus | |
| US20220069033A1 (en) |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9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