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6326B1 -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326B1
KR102316326B1 KR1020170029047A KR20170029047A KR102316326B1 KR 102316326 B1 KR102316326 B1 KR 102316326B1 KR 1020170029047 A KR1020170029047 A KR 1020170029047A KR 20170029047 A KR20170029047 A KR 20170029047A KR 102316326 B1 KR102316326 B1 KR 10231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ight
electrode
emitting devic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2422A (en
Inventor
오태수
김선옥
여환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326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32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 H01L27/3248
    • H01L27/3276
    • H01L27/328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기판과,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홀을 구비하는 평탄화층, 및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covering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planarization layer having an accommodating hole, and an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planarization layer, the electrode pattern The sil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light transmissive and has an uneven portion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Figure R1020170029047
Figure R1020170029047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서 박막형, 플렉서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반해, 현재 상용화된 주요 디스플레이는 LCD(Liguid Crystal Display)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LCD의 경우에 빠르지 않은 반응 시간과, 플렉서블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AMOLED의 경우에 수명이 짧고, 양산 수율이 좋지 않다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Recently, in the field of display technology, a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a thin film type and a flexible type has been developed. In contrast, currently commercialized main displays are represented by LCD (Liguid Crystal Display) and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However, in the case of LCD,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response time is not fast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flexible, and in the case of AMOLED, there are weaknesses in that the lifespan is short and the mass production yield is not good.

한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잘 알려진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 well-know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 current into light. It has been used as a light source for display imag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ly,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implementing a display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proposed.

따라서, 최근에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화질과 고신뢰성을 갖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각광받고 있다. 다만,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이크로 발광 소자를 이용하기에, 형광체나 배선 등이 외부에 많이 드러나는 경우에, 발광 효율이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display device using a micro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s been conducted, and since such a display device has high image quality and high reliability, it is in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display. However, since such a display device uses a micro light emit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luminous efficiency or contrast is lowered when a lot of phosphors or wirings are exposed to the outsid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구성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기반으로 하되, 배선이 용이하면서도, 광추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isplay device of a new structure that is based on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iz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while easy wiring, and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광 소자를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배선공정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wiring process for connecting a light emitting device to a circuit in a display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easy.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선이 용이하면서도,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optical performance while easy wiring.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컵(cup) 형태의 수용홀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칩 인 컵(CIC, Chip in Cup)에서, 투명 배선이나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부에 요철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광추출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배선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hip in cup (CIC) in which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a cup-shaped accommodating hole, as a concave-convex structure is formed under a transparent wiring 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to make the wiring process easier while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기판과,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홀을 구비하는 평탄화층, 및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패턴은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한다.As a specific example,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to cove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lanarization layer having a receiving hole in which the device is accommodated, and an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electrodes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planarization layer. The electrode pattern is made of light-transmitting, and has an uneven portion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층의 제1홀을 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제2도전형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층의 제2홀을 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공통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 및 공통전극 패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pixel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a first hol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pattern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hole of the planarization layer. The concave-convex portions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이 오버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공통전극 패턴과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이 오버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공통전극 패턴이 상기 평탄화층을 덮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n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overlap.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overlap. The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over the planarization lay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은 각각 광투과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의 리세스된 부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typ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electrode are each formed to be transparent.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수용홀의 바닥에 부착된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면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홈들에 충전되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는 반사막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hole by an adhesive layer.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illed in the grooves. A reflective film may be formed under the adhesive lay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전극 패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층은 광투과성의 감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pattern. 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photosensit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평탄화층의 수용홀에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치함에 따라, 픽셀 간을 격벽으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수용홀 내에서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의 얼라인이 용이하게 되어, 높은 정밀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receiving hole of the planarization layer, the pixels are separated by barrier ribs. As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in the accommodating hole as described above, alignmen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facilitated, and thus the display device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precis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소비전력을 개선한다. 또한, 전극 패턴에 요철부를 형성함에 따라, 식각에 의하여 간단하게 요철부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is improved through the concavo-convex portion, and furthermore, the power consumption is improved. In addition, as the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electrode pattern, the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simply implemented by etch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면에 홈을 형성하고, 접착층이 상기 홈을 충전함에 따라, 접착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층에서 반도체 발광소자로 반사되는 빛이 접착층에서 보다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s the adhesive layer fills the groov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is improved,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adhesive layer to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easier on the adhesive layer. to be extracted.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and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BB and CC of FIG. 2 .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flip chip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3 .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forms of implementing colors in relation to a flip-chip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7 ;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8 .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shown in FIG. 10 .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0 .
13,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also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such as a layer,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intervening elements in between. There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nd a slate PC. , Tablet PC, Ultra Book, digital TV,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a display capable device even in a new product form to be develop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displayed using a flexibl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display that can be bent, bent, twisted, folded, or roll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may be a display manufactured on a thin and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 bent, bent, folded, or rolled like paper while maintain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평면이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상기 제2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is not bent (eg, a state having an infinite radius of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becomes a flat surface. In a state bent by an external force in the first state (eg, a state having a finite radius of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the display area may be a curved surface. As shown,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state may be visual information output on the curved surface. Such visual information is implemen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unit pixel means a minimum unit for realizing one color.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위 화소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도 단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The unit pixel of the flexible display may be implemented by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exemplified as a type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converts current into light. The light emitting diode is formed to have a small size, so that it can serve as a unit pixel even in the second state.

이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display implemented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며, 도 4는 도 3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BB and CC of FIG. 2,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lip-chip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3A,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forms of implementing colors in relation to a flip-chip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 2, 도 3a 및 도 3b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2, 3A and 3B ,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a passive matrix (PM)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exemplified as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owever,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also applicable to an active matrix (AM)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 제1전극(120), 전도성 접착층(130), 제2전극(1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substrate 110 , a first electrode 120 , a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 a second electrode 140 , and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판(11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be a flexible substrate. For example, to implement a flexible display device, 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glass or polyimide (PI). In addition, any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used as long as it has insulating properties and is flexible. Also, the substrate 110 may be made of either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상기 기판(110)은 제1전극(1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전극(120)은 기판(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be a wiring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disposed, and thus the first electrode 120 may be located on the substrate 110 .

도시에 의하면, 절연층(160)은 제1전극(120)이 위치한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60)에는 보조전극(17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된 상태가 하나의 배선기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1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상기 기판(1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the insulating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20 is positioned, and the auxiliary electrode 170 may be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160 . In this case,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160 is laminated on the substrate 110 may be a single wiring board. More specifically, the insulating layer 160 is made of an insulating and flexible material such as polyimide (PI, Polyimide), PET, or PEN,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10 to form a single substrate.

보조전극(170)은 제1전극(120)과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서, 절연층(160)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170)은 닷(dot) 형태이며, 절연층(160)을 관통하는 전극홀(171)에 의하여 제1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홀(171)은 비아 홀에 도전물질이 채워짐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electrode 170 is an electrod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 is located on the insulating layer 160 , and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0 . For example, the auxiliary electrode 170 may have a dot shap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by an electrode hole 171 penetrating the insulating layer 160 . The electrode hole 171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절연층(160)의 일면에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층(160)과 전도성 접착층(130)의 사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가 형성되거나, 절연층(160)이 없이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절연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6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laye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is formed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160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 or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without the insulating layer 160 . is also possibl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may serve as an insulating layer.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접착성과 전도성을 가지는 층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에서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과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접착층(130)은 연성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may be a layer having adhesiveness and conductivity, and for this purpose,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may be mixed i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 In additi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has ductility, thereby enabling a flexible function in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예로서, 전도성 접착층(1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두께를 관통하는 Z 방향으로는 전기적 상호 연결을 허용하나, 수평적인 X-Y 방향으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레이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Z축 전도층으로 명명될 수 있다(다만, 이하 '전도성 접착층'이라 한다).For this exampl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may be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an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a solution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or the lik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may be configured as a layer that allows electrical interconnection in the Z direction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but has electrical insulation in the horizontal X-Y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may be referred to as a Z-axis conductive layer (howe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ductive adhesive layer').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이방성 전도매질(anisotropic conductive medium)이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부분만 이방성 전도매질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위하여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열 및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가해지거나 UV 경화 등이 될 수 있다.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a film in which an anisotropic conductive medium is mixed with an insulating base member, and when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only a specific portion has conductivity by the anisotropic conductive medium.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o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but other methods are also possible in order for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to have partial conductivity. In this method, for example, only one of the heat and pressure may be applied or UV curing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매질은 예를 들어, 도전볼이나 전도성 입자가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부분만 도전볼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물질의 코어가 폴리머 재질의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절연막이 파괴되면서 코어에 의하여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코어의 형태는 변형되어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는 층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열 및 압력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접착되는 상대물의 높이차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전기적 연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nisotropic conductive medium may be, for example, conductive balls or conductive particles. As shown, in this exampl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a film in which conductive balls are mixed with an insulating base member, and when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only a specific portion has conductivity by the conductive balls.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co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contains a plurality of particles covered by an insulating film made of a polymer material. .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core may be deformed to form a lay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s a more specific example,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o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s a whole, and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Z-axis direction is partially formed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ounterpart adhered by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다른 예로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 코어에 전도성 물질이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전도성 물질이 변형되어(눌러 붙어서)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도성 물질이 Z축 방향으로 절연성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도성 물질은 뾰족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be in a state in which an insulating core contains a plurality of particle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is deformed (pressed) in the portion to which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so that it has conductiv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s another example, a form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penetrates the insulating base member in the Z-axis direction to have conductiv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have a pointed end.

도시에 의하면,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배열 이방성 전도성 필름(fixed array ACF)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성 베이스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며, 도전볼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의 바닥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전볼과 함께 변형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As shown,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be a fixed array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in which conductive balls are inserted into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base member. More specifically, the insulating base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roperty, and the conductive balls are intensively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base member, and when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from the base member, it is deformed together with the conductive balls. It has conducti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도전볼이 랜덤하게 혼입된 형태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어느 한 층에 도전볼이 배치되는 형태(double-ACF) 등이 모두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has a form in which conductive balls are randomly mixed in an insulating base member, o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conductive balls are arranged on one layer (double- ACF) are all possible.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와 도전볼의 결합형태로서, 절연성 및 접착성의 베이스 물질에 도전볼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은 전도성 particle 혹은 nano 입자를 함유한 형태의 솔루션이 될 수 있다.The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is a combination of a paste and a conductive ball, and may be a paste in which a conductive ball is mixed with an insulating and adhesive base material. Also, a solution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may be a solution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or nano particles.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전극(140)은 보조전극(170)과 이격하여 절연층(160)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하는 절연층(160) 상에 배치된다.Referring back to the drawing, the second electrode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is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160 . That is,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160 in which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are located.

절연층(160)에 보조전극(170)과 제2전극(14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 후에,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플립 칩 형태로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제1전극(120) 및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fter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i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are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160,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connected in a flip-chip form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 flip 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p형 전극(156), p형 전극(156)이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155), p형 반도체층(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54), 활성층(154)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53) 및 n형 반도체층(153) 상에서 p형 전극(1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n형 전극(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p형 전극(156)은 보조전극(170)과 전도성 접착층(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n형 전극(152)은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p-type electrode 156 , a p-type semiconductor layer 155 on which the p-type electrode 156 is formed, an active layer 154 form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155 , and an active layer ( It includes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153 formed on the 154 , and an n-type electrode 152 spaced apart from the p-type electrode 15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153 . In this case, the p-type electrode 15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 and the n-type electrode 1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40 .

다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보조전극(17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나의 보조전극이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을 중심으로 좌우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p형 전극들이 하나의 보조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2, 3A and 3B , the auxiliary electrode 17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one auxiliary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 For example, p-type electrodes of left and right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auxiliary electrode.

보다 구체적으로, 열 및 압력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130)의 내부로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압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p형 전극(156)과 보조전극(170) 사이의 부분과,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n형 전극(152)과 제2전극(140) 사이의 부분에서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압입이 없어 전도성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130)은 반도체 발광소자(150)와 보조전극(170) 사이 및 반도체 발광소자(150)와 제2전극(140) 사이를 상호 결합시켜줄 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까지 형성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press-fitted into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by heat and pressure, and through this, between the p-type electrode 156 and the auxiliary electrode 170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 Only a portion and a portion between the n-type electrode 152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have conductivity, and there is no press-fitting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remaining portion, so that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oes not have conductiv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not only interconnects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 but also 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발광 소자 어레이(array)를 구성하며, 발광 소자 어레이에는 형광체층(18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constitute a light emitting device array, and the phosphor layer 180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단위 화소를 구성하며, 제1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전극(120)은 복수 개일 수 있고, 반도체 발광소자들은 예컨대 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luminance values. Each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constitutes a unit pixe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 For examp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120 ,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arranged in, for example, several columns, a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of each colum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또한, 반도체 발광소자들이 플립 칩 형태로 접속되므로, 투명 유전체 기판에 성장시킨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은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re connected in a flip-chip form,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grown on a transparent dielectric substrat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for exampl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Sinc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has excellent luminance, individual unit pixels can be configured even with a small size.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사이에 격벽(1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도성 접착층(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a barrier rib 19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190 may serve to separate individual unit pixels from each other,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 For example, by insert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nto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the base member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form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1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member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black, the barrier rib 190 may have reflective properties and increase contrast even without a separate black insulator.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격벽(1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블랙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를 증가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reflective barrier rib may be separately provided as the barrier rib 190 . In this case, the barrier rib 190 may include a black or white insulato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barrier ribs made of a white insulator are used, reflectivity may be increased, and when the barrier ribs made of a black insulator are used, it is possible to have reflective properties and increase contrast.

형광체층(180)은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이고, 형광체층(180)은 상기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형광체층(1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181) 또는 녹색 형광체(182)가 될 수 있다. The phosphor layer 180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a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blue (B) light, and the phosphor layer 180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blue (B) light into a color of a unit pixel. The phosphor layer 180 may be a red phosphor 181 or a green phosphor 182 constituting an individual pixel.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1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1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1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1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1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20)의 각 라인을 따라 하나의 색상의 형광체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120)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즉, 제2전극(140)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That is, a red phosphor 181 capable of converting blue light into red (R) light may be stacked on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1 at a position forming a unit pixel of red color, and a position constituting a unit pixel of green color In , a green phosphor 182 capable of converting blue light into green (G) light may be stacked on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1 . In addition, only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1 may be used alone in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blue unit pixel. In this case, unit pixel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may form one pixel. More specifically, a phosphor of one color may be stacked along each line of the first electrode 120 . Accordingly, one line in the first electrode 120 may be an electrode for controlling one color. That is, red (R), green (G), and blue (B)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second electrode 140 , thereby realizing a unit pixel.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대신에 반도체 발광소자(150)와 퀀텀닷(QD)이 조합되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을 구현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stead of the phospho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and the quantum dot (QD) are combined to implement unit pixel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have.

또한,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층들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1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1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black matrix 191 may be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phosphor layers to improve contrast. That is, the black matrix 191 may improve contrast of light and dark.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other structures for implementing blue, red, and green colors may be applied.

도 5a를 참조하면, 각각의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을 비롯한 다양한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each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mainly uses gallium nitride (GaN), and indium (In) and/or aluminum (Al) are added together to emit a variety of light including blue light.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이 경우,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각각 단위 화소(sub-pixel)를 이루기 위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일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R, G, B)가 교대로 배치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루며, 이를 통하여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may be a red, green, and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o form a sub-pixel, respectively. For example, red, green, and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R, G, and B are alternately disposed, and unit pixels of red, green, and blue are formed by the red, green and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The pixels form one pixel, through which a full-color display can be realized.

도 5b를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소자는 황색 형광체층이 개별 소자마다 구비된 백색 발광 소자(W)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위 화소를 이루기 위하여,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반복되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W in which a yellow phosphor layer is provided for each device. In this case, a red phosphor layer 181 , a green phosphor layer 182 , and a blue phosphor layer 183 may be provided on the white light emitting device W to form a unit pixel. In addition, a unit pixel may be formed on the white light emitting device W by using a color filter in which red, green, and blue are repeated.

도 5c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 소자(UV)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UV)까지 전영역에 사용가능하며, 자외선(UV)이 상부 형광체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 사용가능한 반도체 발광소자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a structure in which a red phosphor layer 181 , a green phosphor layer 182 , and a blue phosphor layer 183 are provided o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UV is also possible. In this way,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used in the entire region not only for visible light but also for ultraviolet (UV) light, and can be extended to form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ultraviolet (UV) can be used as an excitation source of the upper phosphor. .

본 예시를 다시 살펴보면,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전도성 접착층(130) 상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this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position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to constitute a unit pixel in the display device. Sinc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has excellent luminance, individual unit pixels can be configured even with a small size. The size of the individu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may have a side length of 80 μm or less, and may be a rectangular or square device. In the case of a rectangle, the size may be 20X80㎛ or less.

또한,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사각형의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단위 화소로 이용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기 위한 충분한 밝기가 나타난다. 따라서, 단위 화소의 크기가 한 변이 600㎛, 나머지 한변이 300㎛인 직사각형 화소인 경우를 예로 들면, 반도체 발광소자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HD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a squa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having a side length of 10 μm is used as a unit pixel, sufficient brightness to form a display device appears.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the unit pixel is a rectangular pixel having one side of 600 μm and the other side of 300 μm, the distance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is relatively large. Accordingl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HD image quality.

상기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by a new type of manufacturing method.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된 절연층(160) 상에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다. 제1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되어 하나의 기판(또는 배선기판)을 형성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제1전극(120),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 제1전극(120)과 제2전극(140)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기판(110) 및 절연층(160)은 각각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first,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60 on which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are positioned. An insulating layer 160 is laminat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to form one substrate (or wiring board), and the wiring substrate includes a first electrode 120 , an auxiliary electrode 170 , and a second electrode 140 . this is placed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disposed in a mutually orthogonal dir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a flexible display device,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insulating layer 160 may each include glass or polyimide (PI).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절연층(160)이 위치된 기판에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도포될 수 있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3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for this purpos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be applied to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sulating layer 160 is located.

다음에,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들의 위치에 대응하고,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위치된 제2기판(112)을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Next, the second substrate 11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electrodes 140 and on which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constituting individual pixels are located is formed wit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 ) is disposed to face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

이 경우에, 제2기판(112)은 반도체 발광소자(150)를 성장시키는 성장 기판으로서, 사파이어(spire) 기판 또는 실리콘(silicon) 기판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substrate 112 is a growth substrate on whi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grown, and may be a sapphire substrate or a silicon substrate.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웨이퍼(wafer) 단위로 형성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룰 수 있는 간격 및 크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formed in a wafer unit,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display device by having an interval and a size that can form a display device.

그 다음에,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을 열압착한다. 예를 들어,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ACF press head 를 적용하여 열압착될 수 있다. 상기 열압착에 의하여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본딩(bonding)된다. 열압착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특성에 의해 반도체 발광소자(150)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의 사이의 부분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전극들과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에,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소자(150) 사이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Then, the wiring board and the second board 112 are thermocompression-bonded. For example, the wiring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112 may be thermocompression-bonded by applying an ACF press head. The wiring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112 are bonded by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Due to the properties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having conductivity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only the port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17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has conductivity, and through this, the electrodes a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ssion. The device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inserted into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through which a barrier rib may be form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

그 다음에,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제2기판(112)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법(Laser Lift-off, LLO) 또는 화학적 리프트 오프법(Chemical Lift-off, CLO)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n, the second substrate 112 is removed. For example, the second substrate 112 may be removed using a laser lift-off (LLO) method or a chemical lift-off (CLO) method.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하여 반도체 발광소자들(15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필요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150)가 결합된 배선기판 상을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코팅하여 투명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Finally, the second substrate 112 is removed to expos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50 to the outside. If necessary, a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by coating silicon oxide (SiOx) or the like on the wiring board to whi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coupled.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50)의 일면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적색 형광체 또는 녹색 형광체가 상기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면에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phosphor layer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50 is a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blue (B) light, and a red or green phosphor for converting the blue (B) light into the color of the unit pixel is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laye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evice.

이상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 예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직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r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an example, a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also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vertical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변형예 또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In addition, in the modification or embodiment described below,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in the previous example,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7 ,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8 . am.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play device may be a display device using a passive matrix (PM) typ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210), 제1전극(220), 전도성 접착층(230), 제2전극(2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0)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210 , a first electrode 220 , a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 a second electrode 240 , and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기판(210)은 제1전극(2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The substrate 210 is a wiring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220 is disposed, and may include polyimide (PI) to implement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addition, any material that has insulating properties and is flexible may be used.

제1전극(220)은 기판(210) 상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20)은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20 is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 and may be formed as a bar-shaped electrode long in one direction. The first electrode 220 may serve as a data electrode.

전도성 접착층(230)은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기판(210)상에 형성된다.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2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도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230)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is formed on the substrate 2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220 is positioned. Like a display device to which a flip chip type light emitting element is applie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is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an anisotropic conductive paste, and a solution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 and so on. However,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case in whic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is implemented by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exemplified.

기판(210) 상에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소자(2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가 제1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제1전극(2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positioned on the substrate 2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electrode 220 is positioned, wh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connect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the firs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220 .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220 .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부분적으로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성된다. 따라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는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부분(231)과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부분(232)으로 구획된다.The electrical connection is created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has conductiv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in part. Accordingly,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divided into a conductive portion 231 and a non-conductive portion 232 in the thickness direction.

또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접착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도성 접착층(230)은 반도체 발광소자(250)와 제1전극(220)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까지 구현한다.In addition, sinc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contains an adhesive component,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implements not only electrical connection but also mechanical bonding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and the first electrode 220 .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position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and constitutes individual pixels in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is. Sinc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has excellent luminance, individual unit pixels can be configured even with a small size. The size of such an individu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have a side length of 80 μm or less, and may be a rectangular or square device. In the case of a rectangle, the size may be 20X80㎛ or less.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수직형 구조가 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have a vertical structure.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에는, 제1전극(2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전극(240)이 위치한다.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240 are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는 p형 전극(256), p형 전극(256)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255), p형 반도체층(2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54), 활성층(254)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53) 및 n형 반도체층(253) 상에 형성된 n형 전극(2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한 p형 전극(256)은 제1전극(220)과 전도성 접착층(2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n형 전극(252)은 후술하는 제2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전극을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p-type electrode 256 , a p-type semiconductor layer 255 formed on the p-type electrode 256 , and an active layer 254 form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255 . ),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253 formed on the active layer 254 , and an n-type electrode 252 formed on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253 . In this case, the lower p-type electrode 25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20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 and the upper n-type electrode 252 may be a second electrode 240 to be described later. )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chip can be reduced because electrodes can be arranged up and down.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일면에는 형광체층(28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251)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2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광체층(2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281) 및 녹색 형광체(282) 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 a phosphor layer 28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a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1 emitting blue (B) light, and a phosphor layer 280 for converting the blue (B) light into the color of a unit pixel is provided. can be In this case, the phosphor layer 280 may be a red phosphor 281 and a green phosphor 282 constituting individual pixels.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2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2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2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2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2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That is, a red phosphor 281 capable of converting blue light into red (R) light may be stacked on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1 at a position constituting a unit pixel of red color, and a position constituting a unit pixel of green color In , a green phosphor 282 capable of converting blue light into green (G) light may be stacked on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1 . In addition, only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1 may be used alone in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blue unit pixel. In this case, unit pixel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may form one pixel.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in a display device to which a flip 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is applied, other structures for realizing blue, red, and green may be applied.

다시 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소자들(250) 사이에 위치하고, 반도체 발광소자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소자들(25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소자들(250)의 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lectrode 24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second electrode 2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columns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소자(25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소자들(2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constituting individual pixels is sufficiently large, the second electrode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제2전극(240)은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전극과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40 may be formed as a bar-shaped electrode long in one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electrode.

또한,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제2전극(240)에서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전극이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n형 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전극은 오믹(ohmic) 접촉을 위한 오믹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은 인쇄 또는 증착에 의하여 오믹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n형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electrode 240 a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electrode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240 .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electrode may be an n-typ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 For example, the n-type electrode is formed as an ohmic electrode for ohmic contact, and the second electrode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ohmic electrode by printing or deposition. Through this, the second electrode 240 and the n-typ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250)가 형성된 기판(210) 상에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절연층이 형성된 후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킬 경우, 상기 제2전극(240)은 투명 절연층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또는 투명 절연층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the second electrode 240 may be position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 In some cases, a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not shown) including silicon oxide (SiOx)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 on whi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formed. When the second electrode 240 is positioned after the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240 is positioned on the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24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or the transparent insulating layer.

만약 반도체 발광소자(250) 상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키기 위하여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한다면, ITO 물질은 n형 반도체층과는 접착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250) 사이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킴으로써,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투명한 재료 선택에 구속되지 않고, n형 반도체층과 접착성이 좋은 전도성 물질을 수평 전극으로 사용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f a transparent electro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s used to position the second electrode 240 o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the ITO material has a problem of poor adhesion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hav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using a transparent electrode such as ITO by locating the second electrode 240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using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good adhesion to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s a horizontal electrod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selec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소자(250)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2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접착층(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소자(2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a barrier rib 29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That is, in order to isolat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constituting individual pixels, a barrier rib 2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290 may serve to separate individual unit pixels from each other,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 For example, by insert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nto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the base member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form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 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2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member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black, the barrier rib 290 may have reflective properties and increase contrast even without a separate black insulator.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2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the barrier rib 190 , a reflective barrier rib may be separately provided. The barrier rib 290 may include a black or white insulato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display device.

만일 제2전극(240)이 반도체 발광소자(250) 사이의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바로 위치된 경우, 격벽(290)은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250) 및 제2전극(240)의 사이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소자(250)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고, 반도체 발광소자(250)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제2전극(240)을 반도체 발광소자(25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HD 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If the second electrode 240 is directly position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 the barrier rib 290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and the second electrode 240 . can be located between Accordingly, individual unit pixels can be configured with a small siz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250 is relatively large enough to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240 to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 ), and there is an effect of realiz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HD picture quality.

또한, 도시에 의하면,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2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as illustrated, a black matrix 291 may be disposed between each phosphor in order to improve a contrast ratio. That is, the black matrix 291 may improve contrast of light and dark.

상기 설명과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positioned on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230 and constitutes individual pixels in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is. Sinc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50 has excellent luminance, individual unit pixels can be configured even with a small size. Accordingly, a full-color display in which unit pixel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constitute one pixel can be implemented by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는 성장기판에서 성장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방성 전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배선기판에 전사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제조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제조비가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에 플렉서블의 성질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In the display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grown on the growth substrate is transferred to the wiring board us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However, this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manufacturing reliabilit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igital signage, since a flexible property is not required, a different approach is required for a display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난점을 극복하고 목표로 하는 초소형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기반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하여, 새로운 방식의,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구성되는 초소형 청색 발광 다이오드 기반의 디스플레이용 픽셀 구조를 제안한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technical difficulties described above and to realize a high-resolution display based on a micro light emitting diode, a new method, a pixel structure for a display based on a micro blue light emitting diode consisting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in size suggest

더욱 상세하게는, 평탄화층의 수용홀에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치함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의 얼라인이 용이하게 되어, 높은 정밀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광투과성의 전극 패턴을 통하여 배선공정이 간단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시한다. 나아가, 요철부를 통하여 광추출 효율이 개선된 배선구조가 구현된다.More specifically, by dispo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receiving hole of the planarization layer, the alignmen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facilitated,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display device with high precision, as well as providing a light-transmitting electrode pattern. A display device through which the wiring process is simplified is presented. Furthermore, a wiring structure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lemented through the uneven portion.

이하, 얼라인이 용이하고 배선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광학 성능이 개선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lignment is easy, wiring process is simple, and optical performance is improv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shown in FIG. 10 ,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0 .

도 10, 도 11 및 도 12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10, 11 and 12 , the display device 1000 using an active matrix (AM)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exemplified as the display device 1000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owever,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also applicable to a passive matrix (PM) typ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서 액티브 매트릭스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예시한다.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display device 1000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an active matrix is exemplified as the display device 1000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1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포함한다. The display apparatus 1000 includes a substrate 1010 and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

기판(10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bstrate 1010 is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ay be made of a glass or plastic material.

상기 기판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표시 영역은 기판(10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어레이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기판(1010)에서 상기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기판(10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substrate may include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In this case, the display area is a portion other than an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1010 , and may be defined as an area in which a pixel array displaying an image is disposed. The non-display area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substrate 1010 excluding the display area, and may be defined as an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1010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또한, 상기 기판(101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PL), 복수의 공통 전원 라인(CL) 및 복수의 화소(SP)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1010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 plurality of driving power lines PL, a plurality of common power lines CL, and a plurality of pixels SP. can do.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각각은 기판(1010)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기판(1010)의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타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하도록 상기 기판(1010)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타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1010 , extends in one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10 ,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ther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1010 to cross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extend along the other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ne direction.

상기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PL)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각각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각각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PL) 각각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구동 전원을 인접한 화소(SP)에 공급한다.The plurality of driving power lines PL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may be formed together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power lines PL supplies pixel driving power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adjacent pixels SP.

상기 복수의 공통 전원 라인(CL)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각각과 평행하도록 상기 기판(1010)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각각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통 전원 라인(CL) 각각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통 전원을 인접한 화소(SP)에 공급한다.The plurality of common power lines CL 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1010 to be paralle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nd may be formed together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on power lines CL supplies common power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adjacent pixels SP.

상기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마련된다.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실제 빛이 발광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서, 서브 화소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화소는 실제 빛이 발광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서 하나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한다. 인접한 적어도 3개의 화소는 컬러 표시를 위한 하나의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단위 화소는 인접한 적색의 화소, 녹색의 화소 및 청색의 화소를 포함하며, 휘도 향상을 위해 백색의 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SP is provided in a pixel area defined by a gate line GL and a data line DL.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SP is a region of a minimum unit in which actual light is emitted, and may be defined as a sub-pixel. The sub-pixel is a region of a minimum unit in which actual light is emitted and includes on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t least three adjacent pixels may constitute one unit pixel for color display. For example, one unit pixel includes adjacent red pixels, green pixels, and blue pixels, and may further include white pixels to improve luminance.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적색의 화소, 녹색의 화소 및 청색의 화소에 각각 배치되는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 and a 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gre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respectively disposed in a red pixel, a green pixel, and a blue pixel can be provided.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n-Gan, p-Gan, AlGaN, InGan 등 다양한 계층으로 형성되는 질화갈륨 박막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는 녹색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로 구현되거나,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와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are mainly made of gallium nitride (GaN), and indium (In) and/or aluminum (Al) are added together to emit blue light. can be implemented. For this example,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may be gallium nitride thin films formed in various layers such as n-Gan, p-Gan, AlGaN, InGan, and the like.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implemented as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green light, or may include a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 gre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칩은 서브 화소에서 발광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 1 내지 100 마이크로 미터의 스케일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 micro light emitting diode chip. Here, the micro light emitting diode chip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area in the sub-pixel, and for example, may have a scale of 1 to 100 micrometer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는 각각, 제1도전형 전극(1156), 제1도전형 전극(1156)이 형성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154), 활성층(1154) 상에 형성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 상에서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도전형 전극(1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타면에는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1153a)이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e gre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e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5 in which a first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6 and a first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6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active layer 1154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5 ,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3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3 formed on the active layer 1154 ,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3 . It includes a second conductive type electrode 1152 spaced apart from the electrode 115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electrode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3 , and an undoped semiconductor layer 1153a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3 . )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은 각각 n형 전극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n형이 되고 제2도전형이 p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6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5 may be a p-type electrode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2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152 , respectively. The semiconductor layer 1153 may be an n-type electrode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examples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is p-type are also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성 또는 도핑된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1도전형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순물 주입에 의하여 p-n 접합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활성층과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활성층에 대한 열거 사항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type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by implanting impurities into the intrinsic or doped semiconductor substrate. Also, a region in which a p-n junction is formed by the impurity implantation may serve as the active layer. Listing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active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기판(1010)의 일면에는 상기 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홀(1061)을 구비하는 평탄화층(106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lanarization layer 1060 having an accommodation hole 1061 in whi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10 to cover the substrate.

예를 들어, 상기 평탄화층(1060)은 기판을 덮는 보호막의 역할과 배선전극을 덮어 평면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로서, 또한, 상기 평탄화층(1060)은 포토레지스트, 광학 고분자 소재, 기타 공업용 플라스틱 소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serves as a protective film for covering the substrate and for forming a plane by covering the wiring electrode,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an example,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may include photoresist, an optical polymer material, or other industrial plastic material.

도시에 의하면, 상기 수용홀(1061)은 복수의 화소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홀(1061)은 서브 화소에 정의된 발광 영역에 마련되어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수납한다.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 각각은 해당 화소(SP)의 화소 회로(PC)와 연결됨으로써 화소 회로(PC), 즉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로부터 공통 전원 라인(CL)으로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밝기로 발광한다.As illustrated, the accommodating hole 1061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The accommodating hole 1061 is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defined in the sub-pixel to accommodat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Each of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is connected to the pixel circuit PC of the corresponding pixel SP, and thus is proportional to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pixel circuit PC, that i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to the common power line CL. light with a brightness of

이 경우에, 상기 평탄화층(106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홀(1061)은 상기 평탄화층(1060)으로부터 오목하게 마련된다. 상기 수용홀(1061)은 상기 평탄화층(1060)의 상면으로부터 기판을 향하여 리세스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홀(1061)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보다 넓은 크기를 갖는 컵(cup)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홀(1061)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두께(또는 전체 높이)보다 크기가 큰 깊이를 가지도록 상기 평탄화층(106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is formed to cover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 and the accommodation hole 1061 is provided to be concave from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 The accommodation hole 1061 is recessed toward the substrat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hole 1061 may have a cup shap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a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In this case, the accommodating hole 1061 may be concavely form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to have a depth greater than a thickness (or an overall heigh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도시에 의하면,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1도전형 전극은 제1컨택홀(CH1)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고, 제2도전형전극은 제2컨택홀(CH2)을 통해서 공통 전원 라인(CL)에 연결된다. As shown,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CH1,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is the second contact It is connected to the common power line CL through the hole CH2.

이와 같은, 본 예시에서는 화소의 발광 영역에 오목하게 마련된 수용홀(1061)에 반도체 발광소자(1050)가 수납되고,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전극들이 컨택홀(CH1, CH2)을 통해서 화소 회로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연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xampl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1061 concavely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of the pixel, and the electrodes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are connected to the pixel circuit through the contact holes CH1 and CH2.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can be simplified by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of the .

도시에 의하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게이트 전극(GE), 반도체층(SCL), 오믹 컨택층(OCL),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includes a gate electrode GE, a semiconductor layer SCL, an ohmic contact layer OCL, a source electrode SE, and a drain electrode DE.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기판(2010) 상에 게이트 라인(GL)과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층(1112)에 의해 덮인다.The gate electrode GE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10 together with the gate line GL. The gate electrode GE is covered by the gate insulating layer 1112 .

상기 게이트 절연층(1112)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ate insulating layer 1112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the like.

상기 반도체층(SCL)은 게이트 전극(GE)과 중첩(overlap)되도록 게이트 절연층(2112) 상에 미리 설정된 패턴(또는 섬)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반도체층(SCL)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산화물(oxide) 및 유기물(organic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miconductor layer SCL is provided in a preset pattern (or island) shape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112 to overlap the gate electrode GE. The semiconductor layer SCL may be made of a semiconductor material made of any one of amorphous silicon, polycrystalline silicon, oxide, and an organ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오믹 컨택층(OCL)은 반도체층(SCL) 상에 미리 설정된 패턴(또는 섬)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오믹 컨택층(PCL)은 반도체층(SCL)과 소스/드레인 전극(SE, DE) 간의 오믹 컨택을 위한 것으로, 생략 가능하다.The ohmic contact layer OCL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set pattern (or island) on the semiconductor layer SCL. Here, the ohmic contact layer PCL is for ohmic contact between the semiconductor layer SCL and the source/drain electrodes SE and DE, and may be omitted.

상기 소스 전극(SE)은 반도체층(SCL)의 일측과 중첩되도록 오믹 컨택층(OCL)의 타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소스 전극(SE)은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한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거나 돌출된다.The source electrode S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hmic contact layer OCL to overlap one side of the semiconductor layer SCL. The source electrode SE is formed together with a data line (not shown), and is branched or protruded from an adjacent data line.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층(SCL)의 타측과 중첩되면서 소스 전극(SE)과 이격되도록 오믹 컨택층(OCL)의 타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데이터 라인 및 소스 전극(SE)과 함께 형성된다.The drain electrode 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hmic contact layer OCL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SE while overlapping the other side of the semiconductor layer SCL. The drain electrode D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data line and the source electrode SE.

층간 절연층(1114)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덮도록 기판(10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층(1114)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또는 포토 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0 to cover the pixel circuit including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14 may be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or an organic material such as benzocyclobutene or photo acryl.

상기 평탄화층(1060)은 층간 절연층(1114)을 덮도록 기판(10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평탄화층(106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보호하면서 층간 절연층(1114) 상에 평탄면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층(1060)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또는 포토 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anarization layer 10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0 to cover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14 .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provides a flat surface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14 while protecting the pixel circuit including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according to an example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benzocyclobutene or photo acryl.

나아가, 수용홀(1061)은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게이트 절연막(1112), 층간 절연층(1114) 및 평탄화층(1060)이 모두 제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용홀(1061)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보다 넓은 크기를 갖는 컵(cup) 형태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accommodation hole 1061 may be formed by removing all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1112 ,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14 ,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overlapping the light emitting region of the sub-pixel. The accommodating hole 1061 may have a cup shap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a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이 경우에, 상기 평탄화층(1060)은 기판(1010)의 수용홀(1061)에 배치된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주변을 충전하는 충전부(10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탄화층(1060)은 멀티 레이어로 형성되며, 기판 위에 적층되는 베이스부(1062)와, 수용홀을 충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1062)에 적층되는 충전부(1063)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1062)와 충전부(1063)는 각각 광투과성의 감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62)와 충전부(1063)는 서로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1063 for charging the periphery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disposed in the receiving hole 1061 of the substrate 1010 . For example,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may include a multi-layered base portion 1062 stacked on a substrate, and a charging portion 1063 stacked on the base portion 1062 while filling a receiving hole. have. In this case, each of the base part 1062 and the charging part 1063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photosensi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base part 1062 and the charging part 106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충전부(1063)는 반도체 발광소자(1050)가 부착된 수용홀(1061)의 주변 공간에 충전된다. 상기 충전부(1063)는 수용홀(1061)의 주변 공간에 충진된 후, 경화됨으로써 수용홀(1061) 내의 에어 갭을 제거하면서 수용홀(1061)의 주변 공간 상면을 평탄화시킨다. 또한, 상기 충전부(1062)는 후술하는 화소 전극 패턴(AE)과 공통 전극 패턴(CE) 각각을 지지하면서 반도체 발광소자의 패시베이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063 is charged in a space around the receiving hole 1061 to whi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is attached. The filling part 1063 is filled in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receiving hole 1061 and then cured to flatt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receiving hole 1061 while removing the air gap in the receiving hole 1061 . In addition, the charging unit 1062 may serve as a passivation function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hile supporting each of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상기 수용홀(106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에 의하면, 제1도전형 전극(1156)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SE)에 연결되고, 제2도전형 전극(1152)은 공통 전원 라인(CL)에 연결된다. 반도체 발광소자의 빛을 상측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은 각각 광투과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hole 1061 . As shown,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S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is connected to the common power line CL. In order to emit light from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pwar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may be respectively formed to be light-transmissive.

도시에 의하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과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1060)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극 패턴은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090)를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has an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 includes In this case,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made of light-transmitting, and may include a concave-convex portion 1090 formed on the su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패턴은 화소 전극 패턴(AE) 및 공통 전극 패턴(CE)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a common electrode pattern CE.

상기 화소 전극 패턴(AE)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SE)과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1도전형 전극(1156)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 예에 따른 화소 전극 패턴(AE)은 평탄화층(1060)에 마련된 제1컨택홀(CH1)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로 연장되어, 소스 전극(SE)과 연결되면서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연결된다.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electrically connects the source electrode S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an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extends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2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CH1 provid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 and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S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 of the first conductive type electrode 1156 is connected.

상기 공통 전극 패턴(CE)은 공통 전원 라인(CL)과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2도전형 전극(11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 예에 따른 공통 전극 패턴(CE)은 평탄화층(1060)에 마련된 제2컨택홀(CH2)을 통해서 박막 트랜지스터(T2)로 연장되어 공통 전원 라인(CL)과 연결되면서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2도전형 전극(1152)과 연결된다.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electrically connects the common power line CL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according to an example extends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2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CH2 provid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1060 and is connected to the common power line CL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type electrode 1152 of

상기 화소 전극 패턴(AE)과 공통 전극 패턴(CE) 각각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 패턴은 TiO2, AZO, ZnO, ITO, GZO, IZO 또는 두 층이상으로 구성된 산화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 패턴은 Pedot:PSS 계열 전도성 소재나 Graphene 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of TiO 2 , AZO, ZnO, ITO, GZO, IZO, or an oxide layer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of a Pedot:PSS-based conductive material or graphene.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전극 패턴의 요철부(1090)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AE) 및 공통전극 패턴(CE)에 각각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요철부(1090)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AE) 및 공통전극 패턴(CE)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s illustrated, the concavo-convex portions 1090 of the electrode pattern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1090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상기 요철부(1090)는 식각을 이용한 텍스처링 공정에 의하여 복수의 미세한 홈을 구비하며, 상기 미세홈들을 상기 화소전극 패턴(AE)이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을 덮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각은 ICP, RIE 등을 이용한 건식 공정이나 chemical etchant 을 이용한 습식 공정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각에 의하여 미세홈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 경우에, 상기 평탄화층은 광투과성의 감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cave-convex portion 1090 may have a plurality of microgrooves by a texturing process using etching, and the microgrooves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covers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 have. For the etching, both a dry process using ICP, RIE, or a wet process using a chemical etchant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photosensitive material so that microgrooves can be formed by the etching.

예를 들어, 상기 요철부(1090)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AE)과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이 오버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부분(109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을 투과하여 상기 제1부분(1091)으로 입사된 빛은 요철 구조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화소전극 패턴(AE)의 표면에서 추출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는 상기 제1부분(1091)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의 전체를 덮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부분(1091)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의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cave-convex portion 109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091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overlap.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incident to the first portion 1091 may be more easily extracted from the surface of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due to the uneven structure. In this example, the first portion 1091 is shown to cover the entir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1091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type electrode 1156 .

또한, 상기 요철부(1090)는 상기 공통전극 패턴(CE)이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을 덮는 부분에 형성되는 미세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철부(1090)는 상기 공통전극 패턴(CE)과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이 오버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부분(109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을 투과하여 상기 제2부분(1092)으로 입사된 빛은 요철 구조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공통전극 패턴(CE)의 표면에서 추출될 수 있다.Also, the concave-convex portion 1090 may include microgroove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covers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 For example, the concave-convex portion 1090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1092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overlap. Even in this cas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and incident to the second portion 1092 may be more easily extracted from the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due to the uneven structure.

또한, 상기 제1부분(1091)과 유사하게, 본 예시에서 상기 제2부분(1092)은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의 전체를 덮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2부분(1092)은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의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similarly to the first portion 1091 , in this example, the second portion 1092 covers the entir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econd portion 1092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

이 때에,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상기 전극 패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에서 상기 전극패턴으로 빛의 진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이 멀티 레이어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측 레이어가 상기 전극패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이 단일 레이어인 경우에는,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의 자체가 상기 전극패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pattern. This is to facilitate the propagation of light from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to the electrode pattern.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152 are formed of multi-layers, the upper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electrode patter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2 are a single layer, the first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6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electrode 1152 itself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pattern.

본 예시에서 기판(1010)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수용홀(1061)에 고정시키는 접착층(1120)을 더 포함한다.In this example, the substrate 1010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1120 for fix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to the receiving hole 1061 .

상기 접착층(1120)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와 수용홀(1061)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수용홀(1061)의 바닥면에 부착시킨다. 이 경우에, 상기 수용홀(1061)의 바닥면은 평탄화층에 형성되거나,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120)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측에서 반사된 빛이 상측을 향하여 투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1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hole 1061 to atta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hole 1061 .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hole 1061 may b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or formed on the substrate. The adhesive layer 1120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ward the upper side.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예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기판(1010)의 상면을 덮는 봉지층(1080)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an encapsulation layer 108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0 may be provided.

상기 봉지층(1080)은 화소(SP)와 발광 소자(1050)를 덮도록 상기 기판(1010)의 상면에 코팅됨으로써 상기 기판(1010)에 마련된 화소(SP) 및 발광 소자(1050)를 보호한다. 상기 봉지층(1080)은 열 및/또는 광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져 액상 상태로 상기 기판(1010)의 상면에 코팅된 후, 열 및/또는 광을 이용한 경화 공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The encapsulation layer 1080 protects the pixel SP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50 provided on the substrate 1010 by being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0 to cover the pixel SP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50 . . The encapsulation layer 1080 may be formed of a heat and/or photo-curable resin and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10 in a liquid state, and then cured by a curing process using heat and/or light.

한편, 상기 봉지층(1080)은 형광체층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후술하는 구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the encapsulation layer 1080 may be replaced with a phosphor layer, and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도시에 의하면, 상기 블랙 매트릭스(BM) 및 컬러필터층(CF)가 상기 봉지층(10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black matrix BM and the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1080 .

상기 블랙 매트릭스(BM)는 상기 기판(1010)에 마련된 각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정의한다. 즉, 블랙 매트릭스(BM)는 각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인접한 개구 영역 사이의 혼색을 방지한다. The black matrix BM defines an opening area overlapping the emission area of each pixel SP provided on the substrate 1010 . That is, the black matrix BM is provided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aperture area overlapping the emission area of each pixel SP, thereby preventing color mixing between adjacent aperture areas.

상기 개구 영역에는 컬러필터층(CF)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층(CF)은 출력되는 빛의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컬러필터층(CF)은 광추출층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광추출층은 투명 물질로 이루어져 발광 소자(105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외부로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발광 소자(1050)와 마주하는 광추출층의 대향면은 발광 소자(105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직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렌즈 형태를 가질 수 있다.A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area. Also, the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region to improve color purity of output light. As another example, the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replaced by a light extraction layer. The light extraction lay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serves to extra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50 to the outsid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ight extraction layer fac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have a lens shape for increasing the stra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50 .

상기에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요철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소비전력을 개선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above,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is improved through the concavo-convex por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further improved.

상기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Hereinafter, these modific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3,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예시에서는, 앞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의 각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구체적으로, 요철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예시의 구성과 동일하다.In the example of FIG. 13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concavo-convex par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요철부(2090)는 제1부분(2091)과 제2부분(2092)에 더하여, 상기 화소전극 패턴(AE)과 상기 공통전극 패턴(CE)이 상기 평탄화층(2080)을 덮는 부분(2093)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drawing, in the concave-convex portion 2090 , in addition to the first portion 2091 and the second portion 2092 ,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E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E are form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2080 . ) may be formed on the covering portion 2093 .

예를 들어, 상기 요철부(2090)는 전극패턴의 상면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은 상기 전극패턴에서 봉지재(2080)에 의하여 덮이는 면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cave-convex portion 2090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ttern. Here, the upper surface may be a surface covered by the encapsulant 2080 in the electrode pattern.

이 때에, 상기 요철부는 위치에 따라서 요철이 형성되는 피치가 서로 다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분(2091)과 제2부분(2092)에서는 요철의 간격이 상기 평탄화층을 덮는 부분(2093)보다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소자(2050)의 빛이 방출되는 주된 경로상에서 광추출 효율을 보다 높이면서, 제조가 용이한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cave-convex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pitch at which the concavo-convex is forme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 For example, in the first portion 2091 and the second portion 2092 , the gap between the irregularities may be denser than that of the portion 2093 covering the planarization layer. Through this,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n the main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2050 is emitted is improved, and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is realized.

도 14의 예시에서는, 앞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의 각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구체적으로, 도전형 전극들과 요철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예시의 구성과 동일하다.In the example of FIG. 14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pecifically, except for the conductive electrodes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소자(3050)의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은 각각 광투과성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3050 are each formed to be transpar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 및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는 각각, 제1도전형 반도체층(3155)에 배치되는 제1도전형 전극(3156)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3153)에 배치되는 제2도전형 전극(3152)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r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e gre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3156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3155 , respectively.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3152 disposed at 3153 may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3156)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31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전형 전극(315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3153)은 각각 n형 전극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n형이 되고 제2도전형이 p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electrode 3156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3155 may be a p-type electrode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electrode 3152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3152 , respectively.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3153 may be an n-type electrode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examples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is p-type are also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성 또는 도핑된 반도체기판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1도전형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순물 주입에 의하여 p-n 접합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활성층과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type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by implanting impurities into the intrinsic or doped semiconductor substrate. Also, a region in which a p-n junction is formed by the impurity implantation may serve as the active layer.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의 리세스된 부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oncavo-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예를 들어, 상기 제1도전형 전극(3156) 및 제2도전형 전극(3152)의 상면에는 각각 복수의 미세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홈들에 대응하는 미세홈들이 상기 요철부(309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제1도전형 전극(3156) 및 제2도전형 전극(3152)은 식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micro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3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3152 , and the microgrooves corresponding to the microgrooves are formed in the concave-convex portion 3090 . can be formed in For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3156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3152 may be formed of an etchable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제1도전형 전극(3156)은 멀티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로서, 제1도전형 전극(3156)은 제1레이어(3156a)와 제2레이어(3156b)를 구비할 수 있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레이어(3156a)는 식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레이어(3156b)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가 상기 제1레이어(3156a)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돌기에서 상기 화소전극 패턴(AE)이 각각 연장되어 요철부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2도전형 전극(315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전형 전극(3152)은 제1레이어(3152a)와 제2레이어(3152b)를 구비하며, 상측에 배치되는 제1레이어(3152a)는 식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레이어(3152b)의 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가 상기 제1레이어(3152a)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돌기에서 상기 공통전극 패턴(CE)이 각각 연장되어 요철부(3090)를 구현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3156 is formed of a multi-layer. For this example,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3156 may include a first layer 3156a and a second layer 3156b. The first layer 3156a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formed of an etchable material. As show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3156b,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 the first layer 3156a. Each of the pixel electrode patterns AE extends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implement the uneven portions. This structure may also be applied to the second conductive type electrode 3152 . Accordingly,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3152 includes a first layer 3152a and a second layer 3152b, and the first layer 3152a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formed of an etchable material.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layer 3152b,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 the first layer 3152a. Each of the common electrode patterns CE extends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implement the concave-convex portion 3090 .

도 15의 예시에서는, 앞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의 각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본 예시에서는, 접착층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구조가 전술한 예시들과 달라진다. 또한, 본 예시에서는 단일 색상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며, 봉지재 대신에 형광체를 이용하여 색상을 구현하는 구조를 예시한다. 다만, 본 예시에서 설명하는 접착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단일 색상 반도체 발광소자 및 형광체는 각각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시들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5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In this example, the structures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xamples. In addition, in this exampl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a single color is provided, and a structure in which a color is realized using a phosphor instead of an encapsulant is exemplified. However, the adhesive layer,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single col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hosphor described in this example may be appli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 respectively.

본 예시에서,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4050)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n-Gan, p-Gan, AlGaN, InGan 등 다양한 계층으로 형성되는 질화갈륨 박막이 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4050 are mainly made of gallium nitride (GaN), and indium (In) and/or aluminum (Al) are added together and are implemented as high power light emitting devices that emit blue light. can be For this example,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may be gallium nitride thin films formed in various layers such as n-Gan, p-Gan, AlGaN, InGan, and the like.

한편, 전술한 예시의 봉지층은 형광체층으로 대체된다. 상기 형광체층(4080)은 적색의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형광체부(4081)와 녹색의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형광체부(40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형광체부(4081)과 제2형광체부(4082)의 각각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의 청색 광을 적색 광이나 녹색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ncapsulation layer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replaced with a phosphor layer. The phosphor layer 4080 may include a first phosphor part 4081 disposed at a position forming a red pixel and a second phosphor part 4082 disposed at a position forming a green pixel.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phosphor part 4081 and the second phosphor part 4082 may include a red phosphor and a green phosphor capable of converting the blue light of the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to red light or green light. have.

상기 제1형광체부(4081)과 제2형광체부(4082)을 구획하기 위하여, 평탄화층(4060)의 일부가 상기 블랙 매트릭스(BM)까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평탄화층(4060)의 베이스부(4062)에 적층되는 충전부(4063)가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BM)까지 돌출되어 형광체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In order to partition the first phosphor part 4081 and the second phosphor part 4082 , a portion of the planarization layer 4060 may protrude to the black matrix BM. As an example, the charging part 4063 stacked on the base part 4062 of the planarization layer 4060 protrudes from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to the black matrix BM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hosphor is charged.

이 때에, 청색의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색을 변환하지 않는 광투과성 물질(408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물질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높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에폭시 계열의 PR(포토 레지스트), PDMS(polydimethylsiloxane), 레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4083 that does not convert a col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nstituting the blue pixel. The light-transmitting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high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ray region, and for example, an epoxy-based photoresist (PR), polydimethylsiloxane (PDMS), or resin may be used.

다른 예로서, 상기 제1형광체부(4081)과 제2형광체부(4082)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의 청색 광을 황색 광이나 백색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황색 형광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황색 광이나 백색 광이 컬러필터를 투과하면서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변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yellow phosphor capable of converting blue light from a blu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to yellow light or white ligh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phosphor part 4081 and the second phosphor part 4082 . In this case, yellow light or white light may be converted into red, green, and blu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or filter.

또한, 도시에 의하면, 상기 블랙 매트릭스(BM) 및 컬러필터층(CF)가 상기 형광체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Also, as illustrated, the black matrix BM and the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on the phosphor layer.

상기 블랙 매트릭스(BM)는 상기 기판(4010)에 마련된 각 화소(SP)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개구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개구 영역에는 컬러필터층(CF)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SP)에 배치된 발광 소자(4050)가 청색 광을 방출하고, 황색 형광체층에 의하여 백색 광으로 변환된 경우에 상기 컬러필터층(CF)에서 적색이나 녹색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컬러필터층(CF)은 적색 파장, 녹색 파장 및 청색 파장을 필터링하는 부분들을 각각의 서브 화소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층(CF)은 출력되는 빛의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형광체층(4080)의 색상 외에는 필터링하도록 상기 개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ack matrix BM defines an opening area overlapping the emission area of each pixel SP provided on the substrate 4010 . A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area. For example,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4050 disposed in each pixel SP emits blue light and is converted into white light by the yellow phosphor layer, red or green may be implemented in the color filter layer CF. have.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layer CF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portions for filtering a red wavelength, a green wavelength, and a blue wavelength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each sub-pixel. In addition, the color filter layer CF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area to filter out colors of the phosphor layer 4080 in order to improve color purity of output light.

본 예시에서는 접착층(4120)이 반도체 발광소자(4050)와 수용홀(4061)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반도체 발광소자(4050)를 수용홀(4061)의 바닥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접착층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측에서 반사된 빛이 상측을 향하여 투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adhesive layer 4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405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hole 4061 to atta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405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hole 4061 .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light reflec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ward the upper side.

이 때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면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4120)은 상기 홈들에 충전되는 복수의 돌기(412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언도프된 반도체층(4153a)의 하면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들을 상기 접착층(4120)이 채우면서, 상기 접착층(4120)에는 복수의 돌기(4121)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접착층(4120)의 하부에는 반사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기판의 일부에 반사막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막을 통하여 반사된 빛이 상기 접착층을 투과하게 된다. 상기 접착층의 복수의 돌기(4121)에 의하여 상기 접착층(4120)을 투과하는 빛의 광추출 효율이 증대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dhesive layer 4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21 filled in the groov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ndoped semiconductor layer 4153a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hile the adhesive layer 4120 fills the plurality of groov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21 are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4120 . In this case, a reflective film (not shown) may be formed under the adhesive layer 4120 . For this example, a reflective film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light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ve film is transmitt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dhesive layer 4120 is increased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121 of the adhesive lay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면에 홈을 형성하고, 접착층이 상기 홈을 충전함에 따라, 접착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층에서 반도체 발광소자로 반사되는 빛이 접착층에서 보다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s the adhesive layer fills the groov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is improved,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adhesive layer to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easier on the adhesive layer. to be extracted.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may be

Claims (12)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기판;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수용되는 수용홀을 구비하는 평탄화층; 및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은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 planarization layer formed to cover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hole in which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accommodated; and
and an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planarization layer;
The electrode pattern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층의 제1홀을 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제2도전형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층의 제2홀을 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연장되는 공통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 및 공통전극 패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pattern is
a pixel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a first hol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common electrode pattern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exte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a second hole of the planarization layer;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이 오버랩되는 부분 및 상기 공통전극 패턴과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이 오버랩 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n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overlap and a portion where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overlap.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공통전극 패턴이 상기 평탄화층을 덮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portion where the pixel electrode pattern and the common electrode pattern cover the planarizatio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은 각각 광투과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re light-transmissi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요철부의 리세스된 부분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s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수용홀의 바닥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hole by an adhesive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면에는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홈들에 충전되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illed in the groov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는 반사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flective film is formed under the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 및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전극 패턴보다 굴절률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pattern.
삭제delete
KR1020170029047A 2017-03-07 2017-03-07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tive KR1023163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047A KR102316326B1 (en) 2017-03-07 2017-03-07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047A KR102316326B1 (en) 2017-03-07 2017-03-07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22A KR20180102422A (en) 2018-09-17
KR102316326B1 true KR102316326B1 (en) 2021-10-22

Family

ID=6372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047A Active KR102316326B1 (en) 2017-03-07 2017-03-07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3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566B1 (en) * 2018-10-31 2023-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102702650B1 (en) 2019-02-28 2024-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manufactruing process of electronic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transferring method
KR102668651B1 (en) 2019-06-17 2024-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20367774A1 (en) * 2019-09-18 2022-11-1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micro 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694326B1 (en) * 2019-10-11 202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odule and mana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829631B1 (en) * 2020-03-03 2025-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2382651B (en) * 2020-11-30 2025-05-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599336B1 (en) 2021-06-09 2023-1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olorimetric detection method of pH change for food using a film containing nanocellulose-bromocresol purple composite
US20250275335A1 (en) * 2021-08-18 2025-08-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3063457A1 (en) * 2021-10-15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7716801B2 (en) * 2021-10-19 2025-08-01 高麗大学校産学協力団 Light-emitting element-thin film transistor integration structure
KR102766104B1 (en) * 2021-10-19 2025-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Led-tft integration structure
CN114639696B (en) * 2022-03-16 2025-09-02 南京芯视元电子有限公司 Micro L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240126618A (en) * 2023-02-14 202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50104310A (en) * 2023-12-29 2025-07-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 tft integra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601B1 (en) 2005-10-18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183605A (en) 2006-01-05 2007-07-19 Samsung Electro Mech Co Ltd Flexible display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28773A (en) 2010-07-27 2012-02-09 Theleds Co Lt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628374B1 (en) 2009-10-15 2016-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apparatus
US20160163765A1 (en) 2014-12-08 2016-06-09 Apple Inc. Wearable display
US20160181476A1 (en) 2014-12-17 2016-06-23 Apple Inc. Micro led with dielectric side mirr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555A (en) * 2009-01-14 2010-07-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53408B1 (en) * 2013-07-11 2019-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AU2014307433B2 (en) * 2013-08-14 2017-03-16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el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601B1 (en) 2005-10-18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183605A (en) 2006-01-05 2007-07-19 Samsung Electro Mech Co Ltd Flexible display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8374B1 (en) 2009-10-15 2016-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apparatus
JP2012028773A (en) 2010-07-27 2012-02-09 Theleds Co Lt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60163765A1 (en) 2014-12-08 2016-06-09 Apple Inc. Wearable display
US20160181476A1 (en) 2014-12-17 2016-06-23 Apple Inc. Micro led with dielectric side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22A (en)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326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742991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781049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85091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2650341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6063378B (en) Use the display device of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CN105051804B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413330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605472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591412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KR102605471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16325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2227086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47927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716558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KR102435798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56740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57645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442052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11687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13757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KR101761209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462881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459573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721662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