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50B1 -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3650B1 KR102313650B1 KR1020210079080A KR20210079080A KR102313650B1 KR 102313650 B1 KR102313650 B1 KR 102313650B1 KR 1020210079080 A KR1020210079080 A KR 1020210079080A KR 20210079080 A KR20210079080 A KR 20210079080A KR 102313650 B1 KR102313650 B1 KR 102313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terminal pin
- coil
- primary coil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5—Impregnating or encapsula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방식을 기본 튜브나 테이프 에폭시 및 3중절연동선의 적용 대신 단순한 공정으로 절연 효과를 향상시키는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or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improving the insulation effect by a simple process instead of applying the insulation method to the basic tube or tape epoxy and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트랜스포머는 전기를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변환장치이다.A transformer is a power supply converter that converts electricity into a required value.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을 포함하며, 일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이차 코일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일차 코일의 전압과 전달되는 이차 코일의 전압의 비는 코일을 감는 권선수의 비와 대응된다.A transformer includ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that are magnetically coupled, and the basic principle is that when current flows in the primary coil, current also flows in the secondary coil due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ratio of the voltage of the primary coil and the transmitted voltage of the secondary coil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turns winding the coil.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일차 코일 주위를 둘러싼 자기장이 이차 코일 주위에 전압을 유도시키며, 코일에 감은 권선수의 비를 변화시켜 원하는 출력 전압을 모두 얻을 수 있다. In such a transformer, a magnetic field surrounding the primary coil induces a voltage around the secondary coil, and the desired output voltage can all be obtained by chang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turns wound around the coil.
또한,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트랜스포머에 여러가지 종류의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하여 여러 개의 일차 코일 또는 이차 코일을 권선하고,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을 조합하여 여러 다른 전압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may obtain different voltages by winding several primary coils or secondary coils in one transformer to obtain various types of output voltages, and combin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트랜스포머는 기본 용도별로 구분하면 공진형 LCC 파워 트랜스포머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가 있다. Transformers are classified by basic use, and there are resonant LCC power transformers and flyback transformers.
공진형 LCC 파워 트랜스포머(LLC Power Transfomer)는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을 구분해서 권선하여 보빈 간 거리 및 코일의 권선 수에 따라 Lk값에 적합한 설계를 한다. 이러한 공진형 LCC 파워 트랜스포머는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의 보빈이 구분되어 있어 설계상 절연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에 유리한 반면, Lk값이 30uH~80uH로 높아 Lk값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The resonant LCC power transformer (LLC Power Transformer) separates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for winding, and designs appropriate for the Lk valu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bbins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This resonant LCC power transformer has a bobbin for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so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a safe distance for insulation by design.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mer)는 한 개의 보빈에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을 모두 권선하여 Lk값을 낮춘다. 그런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한 개의 보빈에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을 모두 권선해야 하므로 절연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에 에폭시를 충전하거나, 3중절연동선, 동선 절연용 튜브 및 절연 테이프를 최대한 적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트랜스포머의 전체 부피가 확대되고 공정이 복잡하며 수작업으로 제조가 진행되어야 하는 단점과 3중절연동선과 같은 고가의 동선 적용으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FlyBack Transformer reduces Lk by winding bo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on one bobbin. However, in the flyback transformer,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afe distance for insulation because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must be wound on one bobbin. Therefore, there is a hassle of fill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with epoxy or applying as much as possible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copper wire insulation tube and insulating tape, which increases the overall volume of the transformer, complicates the process, and requires manual manufactur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proceed with the high-priced copper wire such as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본 발명의 목적은 3중절연동선을 최소화하면서 코일들 간의 절연이 확보되고, 단자핀들 간 절연 거리가 확보되며, 누설 인덕턴스(Lk)를 낮추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ensure insulation between coils while minimizing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and improve efficiency by lowering leakage inductance (Lk) will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a core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제1 일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1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보빈과, 이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이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2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보빈과, 제2 일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2 일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3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된 제3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보빈의 제3 관통공에 상기 제2 보빈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보빈의 제2 관통공에 상기 제1 보빈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상기 제2 일차 코일의 사이에 상기 이차 코일이 배치된다.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bobbin wound with a first primary coil and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first primary coil, a first bobbi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coil wound around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A second bobbin having two terminal pins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 third terminal pin having a second primary coil wound there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rimary coil, a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3 bobbins, wherein the second bobbin is fitted into a third through hole of the third bobbin and the first bobbin is fitted into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bobbin,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The secondary coil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imary coils.
상기 제1 단자핀과 상기 제3 단자핀은 각각 복수 개이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Each of the first terminal pin and the third terminal pin is plural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단자핀은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단자핀은 바깥쪽에 배치된다.The first terminal pin is disposed on the inside and the third terminal pin is disposed on the outside.
상기 제3 단자핀은 상기 제1 단자핀 보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인출된다.The third terminal pin is drawn ou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han the first terminal pin.
상기 제2 단자핀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A plurality of the second terminal pi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트랜스포머가 실장되는 기판에서 상기 제1 단자핀 중 하나와 상기 제3 단자핀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One of the first terminal pins and one of the third terminal pi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transformer is mounted.
상기 제1 보빈에 상기 제1 일차 코일 2개가 권선되고 각각의 단부가 4개의 제1 단자핀에 연결된다. The two first primary coils are wound around the first bobbin, and each end thereof is connected to four first terminal pins.
상기 제1 보빈에 권선되는 제1 일차 코일 중 하나는 3중절연동선을 사용하고, 나머지 제1 일차 코일, 상기 제2 일차 코일 및 상기 이차 코일은 USTC 동선을 사용한다.One of the first primary coils wound on the first bobbin uses a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and the remaining first primary coil, the second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use a USTC copper wire.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는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어 있다.The bobbin assembly to which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are coupled is molded by a molding unit.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상기 제1 단자핀이 연결되는 부분, 상기 이차 코일과 상기 제2 단자핀이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2 일차 코일과 상기 제3 단자핀이 연결되는 부분은 납땜 후 상기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고, 상기 제1 단자핀, 상기 제2 단자핀 및 상기 제3 단자핀의 단부 부분은 상기 몰딩부의 외부로 돌출된다.A portion where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first terminal pin are connected, a portion where the secondary coil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re connected, and a portion where the second primary coil and the third terminal pin are connected are formed after soldering. part, and end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pin, the second terminal pin, and the third terminal pi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lding part.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은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빈과 상기 제3 보빈의 상부 플랜지는 상기 단차면의 폭만큼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3 관통공으로 돌출된 돌출리브가 포함되어, 상기 단차면이 상기 돌출리브와 상하로 겹쳐진다.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include a winding portion on which a coil is wound, and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coil with the wind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respectively.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have a stepped surface formed along an edge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bobbin by the width of the stepped surface. A protruding rib protruding through the three through-holes is included, so that the step surface overlaps the protruding rib up and down.
상기 제2 보빈은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부분에 단차진 안착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 상기 제3 보빈의 하부 플랜지의 하면이 안착된다.In the second bobbin, a stepped seating surface is further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along the ed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third bobbin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상기 제3 보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권선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테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된다.The third bobbin includes a winding portion on which a coil is wound, and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ly to support the coil with the wind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taper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d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 addition is formed.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은 제1 단자핀을 구비한 제1 보빈에 제1 일차 코일을 권선하고 상기 제1 일차 코일의 단부를 상기 제1 단자핀에 납땜하여 결합하는 단계와 제2 단자핀을 구비한 제2 보빈에 이차 코일을 권선하고 상기 이차 코일의 단부를 상기 제2 단자핀에 납땜하여 결합하는 단계와 제3 단자핀을 구비한 제3 보빈에 제2 일차 코일을 권선하고 상기 제2 일차 코일의 단부를 제3 단자핀에 납땜하여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를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하여 몰딩부를 포함한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includes winding a first primary coil on a first bobbin having a first terminal pin, soldering an end of the first primary coil to the first terminal pin, and bonding a second terminal pin. winding a secondary coil on a second bobbin and soldering an end of the secondary coil to the second terminal pin; winding a second primary coil on a third bobbin having a third terminal pin; The steps of soldering an end to a third terminal pin and coupling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and the bobbin to which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are coupled and insert-injecting the assembly into a mold to form a body including a molding part.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3 보빈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3 관통공에 상기 제2 보빈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제2 보빈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2 관통공에 상기 제1 보빈을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상기 제2 일차 코일의 사이에 이차 코일이 배치되게 한다.In the step of coupling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the second bobbin is fitted into a thir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obbin. The first bobbin is fitted into the formed second through-hole so that the secondary coil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second primary coil.
본 발명은 3개의 보빈을 적용하여 제1 일차 코일-이차 코일-제2 일차 코일의 샌드위치 구조가 되므로 제1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 사이, 이차 코일과 제2 일차 코일의 사이의 누설 인덕턴스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ree bobbins are applied to form a sandwich structure of the first primary coil, secondary coil, and second primary coil, the leakage inductance between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nd between the secondary coil and the second primary coil is greatly reduced. can hav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3개의 보빈에 각각 단자핀이 있어 제1 보빈과 제3 보빈의 코일이 코일끼리 연결되는 것이 없이 기판에서 연결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three bobbins has a terminal pin, the coils of the first bobbin and the third bobbin can be connected on the board without connecting the coils to each other, thereby facilitating manufacturing.
특히, 본 발명은 보빈 각각에 코일을 권선하고 코일과 단자핀을 납땜하여 자체 완료한 다음 서로 끼움 결합하고 몰딩부를 사출하면 제조가 완료되므로, 자동 권선 및 자동 결선이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winds a coil on each bobbin, solders the coil and terminal pin to complete self-completion, and then fitting each other and injecting the molding part to complete the manufacturing, so automatic winding and automatic wiring are possible,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easy. have.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자핀과 제3 단자핀이 일렬로 배열되되 제1 단자핀이 안쪽에 배치되고 제3 단자핀은 바깥쪽에 배치되므로 제1 보빈과 제3 보빈의 결합이 용이하고 제1 보빈과 제3 보빈의 결합 후 단자핀 간을 이격시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단자핀과 제3 단자핀을 기판에서 연결하기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erminal pin and the third terminal pin are arranged in a line, the first terminal pin is disposed on the inside and the third terminal pin is disposed on the outside,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bobbin and the third bobbin is easy and After the first bobbin and the third bobbin are combined, a safe distance can be secured by separating the terminal pins from each other, and it is easy to connect the first terminal pin and the third terminal pin on the board.
또한, 본 발명은 각 보빈의 상부 플랜지 또는 하부 플랜지에 상하로 겹쳐지는 단차가 형성되므로 상호 끼움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적이며 이후 진행되는 몰딩부의 형성시 얇고 균일하게 형성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s easy and stable to be coupled during inter-fitting since a step overlapping up and down is formed on the upper flange or the lower flange of each bobbin, and it is easy to form thinly and uniformly when forming the molding part to be proceeded thereafter.
또한, 본 발명은 샌드위치 구조로 결합되는 3개의 보빈을 적용함에 의해 코일 간의 절연 방식을 기본 튜브나 테이프 에폭시 및 3중절연동선의 적용 대신 단순한 공정으로 절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insulation effect through a simple process instead of applying the basic tube or tape epoxy and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for the insulation method between the coils by applying three bobbins combined in a sandwich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상부측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하부측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로, 본체에 코어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본체를 제1 보빈, 제2 보빈 및 제3 보빈으로 분리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및 결선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을 보인 과정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id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id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e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the main body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of FIG. 4 separated into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and a third bobbi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pi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상부측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하부측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id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id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10)는 본체(100) 및 본체(100)에 결합되는 코어(200)를 포함한다. 1 and 2 , the
본체(100)는 내부에 코일을 포함하고 외부에 코일과 연결된 단자핀(125,145,165)을 포함한다. The
단자핀(125,145,165)은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단자핀(125,145,165)은 서로 이격되고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일측에 배열되어 있는 단자핀(125,165)이 입력단자이고 본체(100)의 타측에 배열되어 있는 단자핀(145)이 출력단자이다.A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로, 본체에 코어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e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100)는 양측을 몰딩 플랜지(101)가 형성하며 그 사이를 코어 결합부(102)가 형성한다. 몰딩 플랜지(101)는 후술할 보빈 결합체(100')를 몰딩부(170)가 소정의 두께로 감싸 형성된 부분이다. 코어 결합부(102)는 양측 몰딩 플랜지(101)의 사이에 단차진 부분이다. 코어 결합부(102)는 중앙 부분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115)이 형성된다. 코어 결합부(102)와 제1 관통공(115)에 코어(200)가 결합된다. 코어 결합부(102)의 폭 및 길이는 코어 결합부(102)에 결합되는 코어(200)의 크기를 고려하여 미리 설계된다.As shown in FIG. 3 , the
코어(200)는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20)를 포함한다. 상부 코어(210)는 본체(100)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하부 코어(220)는 본체(100)의 하부에서 결합된다.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된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20)는 본체(100)에 포함된 코일을 둘러싸 자로를 형성함으로써 코일의 전기 흐름을 제어한다. 일 예로, 본체(100)는 일차 코일(120,160)과 이차 코일(140)을 포함하고, 일차 코일(120,160)로 유입된 높은 전압은 근접해있는 이차 코일(140)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낮은 전압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The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20)는 평판부(a), 양측 다리부(b) 및 중앙 다리부(c)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20)는 양측 다리부(b)가 평판부(a)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 다리부(c)가 양측 다리부(b)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E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20)는 평판부(a)가 코어 결합부(1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되고 양측 다리부(b)가 코어 결합부(102)의 폭방향 양측면에 밀착되며, 중앙 다리부(c)가 제1 관통공(11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본체(100)에 결합된다. 제1 관통공(115)은 실질적으로 후술할 제1 보빈(도 6의 도면부호 110)에 형성된 부분이다.The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20)는 자성 재료로 형성된다. 자성 재료는 강한 자속을 얻을 수 있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높은 주파수에서 손실이 적은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성 재료는 Mn-Zn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The
본체(100)에 포함된 코일은 제1 일차 코일(NP)-이차 코일(NS)-제2 일차 코일(NP)의 샌드위치 구조로 된다. 이하에서는 본체(100)에 포함된 샌드위치 코일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coil included in the
도 4는 도 3의 본체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본체를 제1 보빈, 제2 보빈 및 제3 보빈으로 분리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main body of FIG. 3 ,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in body of FIG. 4 separated into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and a third bobbi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100)는 3개의 보빈(110,130,150)을 사용하고 각각의 보빈(110,130,150)에 코일(120,140,160)을 권선한 다음 상호 끼움 결합하여 제1 일차 코일(NP)(120)-이차 코일(NS)(140)-제2 일차 코일(NP)(160)의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한다. 일차 코일(120,160)과 이차 코일(140) 간은 보빈(110,130,150)으로 절연하여 일차 코일(120,160)과 이차 코일(140) 사이의 누설 인덕턴스(Lk)를 줄인다. 즉, 제1 일차 코일(120)과 이차 코일(140)의 사이, 이차 코일(140)과 제2 일차 코일(160)의 사이를 보빈(110,130,150)으로 절연하여 제1 일차 코일(120)과 이차 코일(140)의 사이, 이차 코일(140)과 제2 일차 코일(160)의 사이의 누설 인덕턴스를 줄인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제1 보빈(110)은 일측에 하부로 돌출된 제1 단자핀(125)이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제1 관통공(115)이 형성된다. 제1 관통공(115)에 상부 코어(200)와 하부 코어(200)가 결합된다. 제1 보빈(110)은 제1 일차 코일(120)이 권선된다. 제1 보빈(110)에 권선된 제1 일차 코일(120)의 단부는 제1 단자핀(125)에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일 예로, 제1 보빈(110)에 권선된 제1 일차 코일(120)의 단부 동선을 제1 단자핀(125)에 감아 연결시킨 다음 납땜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제2 보빈(130)은 타측에 하부로 돌출된 제2 단자핀(145)이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제2 관통공(135)이 형성된다. 제2 관통공(135)에는 제1 보빈(110)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움 결합된다. 제2 보빈(130)은 이차 코일(140)이 권선된다. 제2 보빈(130)에 권선된 이차 코일(140)의 단부는 제2 단자핀(145)에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일 예로, 제2 보빈(130)에 권선된 이차 코일(140)의 단부 동선을 제2 단자핀(145)에 감아 연결시킨 다음 납땜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제3 보빈(150)은 일측에 하부로 돌출된 제3 단자핀(165)이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제3 관통공(155)이 형성된다. 제3 관통공(155)에는 제2 보빈(130)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끼움 결합된다. 제3 보빈(150)은 제2 일차 코일(160)이 권선된다. 제3 보빈(150)에 권선된 제2 일차 코일(160)의 단부는 제3 단자핀(165)에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일 예로, 제3 보빈(150)에 권선된 제2 일차 코일(160)의 단부 동선을 제3 단자핀(165)에 감아 연결시킨 다음 납땜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제3 보빈(150)의 제3 관통공(155)에 제2 보빈(130)이 끼움 결합되고 제2 보빈(130)의 제2 관통공(135)에 제1 보빈(110)이 끼움 결합되어, 제1 일차 코일(120)과 제2 일차 코일(160)의 사이에 이차 코일(140)이 배치되는 샌드위치 구조가 된다. The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100')는 몰딩부(170)에 의해 몰딩되어 있다. 몰딩부(17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일차 코일(120,160)과 이차 코일(140)을 외부와 절연하고, 내습 등으로부터 코일을 보호한다.The
구체적으로, 제1 보빈(110)에 권선된 제1 일차 코일(120)과 제2 보빈(130)에 권선된 이차 코일(140)은 제2 보빈(130)에 의해 절연되고, 제2 보빈(130)에 권선된 이차 코일(140)과 제3 보빈(150)에 권선된 제2 일차 코일(160)은 제3 보빈(150)에 의해 절연되며, 몰딩부(170)에 의해 최종적으로 외부와 절연된다.Specifically, the first
실시예에서 제1 일차 코일(120)과 제1 단자핀(125)이 연결되는 부분, 이차 코일(140)과 제2 단자핀(145)이 연결되는 부분 및 제2 일차 코일(160)과 제3 단자핀(165)이 연결되는 부분은 납땜 후 몰딩부(170)에 의해 몰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1 단자핀(125), 제2 단자핀(145) 및 제3 단자핀(165)의 단부측은 몰딩부(17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단자핀(165)은 제1 단자핀(125) 보다 상부에서 돌출되고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65)의 단부는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그 결과, 몰딩 후, 제3 단자핀(165)은 제1 단자핀(125) 보다 본체(100)의 상부에서 인출된다. Referring to FIG. 4 , in a state in which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hird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erspective view shown.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111,131,151) 및, 권선부(111,131,151)를 사이에 두고 각각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113,133,153)와 하부 플랜지(114,134,154)를 포함한다.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된다.4 to 8 , the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은 상호 끼움 결합할 때 잘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 플랜지(113,133,153) 또는 하부 플랜지(114,134,154)에 상하로 겹쳐지는 단차가 형성된다. The
구체적으로,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30)은 상부 플랜지(113,133)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단차면(113a,133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보빈(130)과 제3 보빈(150)의 상부 플랜지(113,133)는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30)에 형성된 단차면(113a,133a)의 폭만큼 제2 관통공(135)과 제3 관통공(155)으로 돌출된 돌출리브(133b,153b)가 포함된다. 제2 보빈(130)과 제3 보빈(150)의 돌출리브(133b,153b)는 상부 플랜지(133,153)가 제2 관통공(135) 및 제3 관통공(155)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그에 따라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30)에 끼워지고 제2 보빈(130)이 제3 보빈(150)에 끼워지면 단차면(113a,133a)이 돌출리브(133b,153b)의 저면과 상하로 겹쳐지게 되어 끼움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적이다(도 4 참조). Specifically, the
또한, 제1 보빈(110)은 단차면(113a)과 수직인 단턱부(113b)가 더 형성되어 제2 보빈(130)의 돌출리브(133b)의 단부와 밀착된다. In addition, the
제2 보빈(130)은 하부 플랜지(134)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부분에 단차진 안착면(134a)이 더 형성되고, 안착면(134a)에 제3 보빈(150)의 하부 플랜지(154)의 하면이 안착된다. 또한, 제1 보빈(110)은 하부 플랜지(114)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 부분에 단차진 안착면(114a)이 더 형성되고, 안착면(114a)에 제2 보빈(130)의 하부 플랜지(134)의 하면이 안착된다.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보빈(130)의 제2 관통공(135)에 제1 보빈(110)이 끼움 결합되면, 제1 보빈(110)의 상부 플랜지(113)의 단차면(113a)과 단턱부(113b)가 제2 보빈(130)의 상부 플랜지(133)의 돌출리브(133b)의 저면과 단부에 겹쳐지고, 제1 보빈(110)의 하부 플랜지(114)의 안착면(114a)이 제2 보빈(130)의 하부 플랜지(134)의 일부 저면과 상하로 겹쳐져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30)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된다. 4 and 5 , when the
또한, 제3 보빈(150)의 제3 관통공(155)에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30)이 끼움 결합되면, 제2 보빈(130)의 상부 플랜지(133)의 단차면(133a)이 제3 보빈(150)의 상부 플랜지(153)의 돌출리브(153a)와 상하로 겹쳐지고, 제2 보빈(130)의 하부 플랜지(134)의 안착면(134a)이 제3 보빈(150)의 하부 플랜지(154)의 일부 저면과 상하로 겹쳐져 제2 보빈(130)과 제3 보빈(150)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제3 보빈(150)은 상부 플랜지(153)의 상면에 테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상대적으로 얇은 테이퍼부(153a)가 형성된다. 테이퍼부(153a)는 제3 보빈(150)의 상부 플랜지(153)의 바깥부분을 얇게 형성하여 몰딩부(170)의 두께를 확보한 부분으로 본체(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강화한다. 즉, 테이퍼부(153a)의 공간만큼 몰딩부(170)의 두께가 확보되므로 보빈 결합체(100')와 몰딩부(170)의 결합 강도가 보다 견고해진다.In addition, the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100')에서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65)은 보빈 결합체(100')의 일측에 배열되고, 제2 단자핀(145)은 보빈 결합체(100')의 타측에 배열된다. In the
또한, 제3 단자핀(165)은 제1 단자핀(125) 보다 본체(100)의 상부에서 인출된다. In addition, the third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100')는 몰딩부(170)에 의해 몰딩된 후, 상부 코어(210) 및 하부 코어(220)를 결합하여 트랜스포머(10)로 제조된다.After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및 결선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pi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65)은 복수 개이고 본체(100)의 일측에 일렬로 나란히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되, 제1 단자핀(125)이 안쪽에 배치되고 제3 단자핀(165)은 바깥쪽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6 to 9 , a plurality of first
즉, 제3 보빈(150)의 크기가 제1 보빈(110)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45)을 일렬로 나란히 배열하기 위해 제3 단자핀(165)이 최외각측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제1 단자핀(125)들이 배치되게 한다.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상기한 구조는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65)이 기판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보빈들끼리 동선을 연결할 필요가 없고 제조가 용이하게 한다.The above structure allows the first
일 예로, 제1 보빈(110)에 제1 일차 코일(120) 2개가 권선되고 각각의 단부가 4개의 제1 단자핀(12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빈(130)에 이차 코일(140) 2개가 권선되고 각각의 단부가 4개의 제3 단자핀(16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보빈(150)에 제2 일차 코일(160) 1개가 권선되고 각각의 단부가 2개의 제3 단자핀(165)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wo first
구체적으로, 제1 단자핀(125)은 2, 3, 4, 5, 6번 핀을 포함하고 제3 단자핀(165)은 1,7번 핀을 포함하며, 1번 핀에서 7번 핀은 본체(100)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또한, 트랜스포머(10)는 1번 핀과 2번 핀을 기판에서 쇼트시키고, 2번 핀과 연결된 3번 핀, 2번 핀, 1번 핀, 1번 핀과 연결된 7번 핀에서 누설 인덕턴스(Lk)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에서 쇼트하는 방식은 제1 보빈(110)의 제1 코일(120)에서 동선을 빼서 제3 보빈(150)의 제1 코일(160)의 동선과 연결해야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1 보빈(110)에 권선되는 제1 일차 코일(120) 중 하나는 3중절연동선을 사용하고, 나머지 제1 보빈(110)과 제3 보빈(150)에 권선되는 일차 코일(120,160) 및 제2 보빈(130)에 권선되는 이차 코일(140)은 USTC 동선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first
3중절연동선은 동선의 외부에 3개층의 외부 절연층을 형성한 것이고, USTC 동선은 에나멜 와이어를 이용하여 여러가닥의 균일한 형태로 꼬아 접합시킨 형태의 와이어의 외부에 나일론, 면, 노맥스 등으로 외부절연한 것이다. 일 예로 3중절연동선은 소선경이 0.3mm이고 소선수는 2개로 될 수 있으며, USTC 동선은 소선경이 0.1mm 소선수가 50~60개로 되어 직경이 약 1.0~1.15mm인 것일 수 있다.Triple insulated copper wire has three layers of external insulat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pper wire, and USTC copper wire uses enameled wire and twisted in a uniform shape to connect nylon, cotton, and Nomax to the outside of the wire. It is externally insulated, etc. For example, the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may have a diameter of 0.3mm and the number of cores may be two, and the USTC copper wire may have a diameter of 0.1mm and 50 to 60 cores and a diameter of about 1.0 to 1.15mm.
3중절연동선은 절연 효과가 우수하나 고가인 단점이 있고, USTC 동선은 저가이나 절연을 위해 에폭시를 충전하거나 절연용 튜브, 절연 테이프를 최대한 적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3중절연동선은 절연막이 굵어서 권선수가 늘어나서 많이 사용하면 공간이 커지므로 누설인덕턴스(Lk)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Triple insulated copper wire has excellent insulation effect, bu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USTC copper wire is low-priced, but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fill in epoxy or use an insulation tube and insulation tape as much as possible for insulation. In addition, the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has a thick insulating film, so the number of turns increases and the space increases when used a lot, so there is a limit in lowering the leakage inductance (Lk).
이러한 3중절연동선과 USTC 동선의 절연 문제를 3개 보빈과 몰딩부로 해결한다. 단, 1차측의 높은 전압을 고려하여 제1 보빈(110)에 권선되는 제1 일차 코일(120) 중 하나는 3중절연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ulation problem between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and USTC copper wire is solved with three bobbins and a molding part.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voltage of the primary side, it is preferable to use a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for one of the first
트랜스포머(10)는 제1 보빈(110)에 권선된 제1 일차 코일(120) 중 하나의 단부가 2번과 3번의 제1 단자핀(125)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가 5번과 6번의 제1 단자핀(125)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보빈(110)에는 2종류의 제1 일차 코일(120)이 권선되고 하나의 제1 일차 코일은 USTC 동선을 사용하여 2번과 3번의 제1 단자핀(125)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일차 코일(120)은 3중절연동선을 사용하여 5번과 6번의 제1 단자핀(125)에 연결된다. 4번의 제1 단자핀(125)은 더미핀일 수 있다. In the
제3 보빈(150)에 권선된 제2 일차 코일(160)의 단부는 1번과 7번의 제3 단자핀(165)에 연결된다. 일 예로, 제3 보빈(150)에는 1개의 제2 일차 코일(160)이 권선되고 1개의 제2 일차 코일(160)은 USTC 동선을 사용하여 1번과 7번의 제3 단자핀(165)에 연결된다. An end of the second
제2 보빈(130)에 권선된 이차 코일(140) 중 하나의 단부가 8번과 9번의 제2 단자핀(145)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가 11번과 12번의 제2 단자핀(145)에 연결된다. 일 예로 제2 보빈(130)에는 2개의 이차 코일(140)이 권선되고 하나의 이차 코일은 USTC 동선을 사용하며 8번과 9번의 제2 단자핀(145)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이차 코일(140)은 USTC 동선을 사용하며 11번과 12번의 제2 단자핀(145)에 연결된다. 10번의 제2 단자핀(145)은 더미핀일 수 있다.One end of the
상술한 트랜스포머(10)는 3개의 보빈(110,130,150)과 몰딩부(170)로 일차 코일(120,160)과 이차 코일(140) 간을 절연하고 외부와도 절연할 수 있으며, 3개의 보빈(110,130,150)에 각각 단자핀(125,145,165)이 있어 제일 안쪽에 있는 제1 보빈(110)과 제일 바깥쪽에 있는 제3 보빈(150)의 코일을 단자핀을 통해 기판에서 연결할 수 있고, 제1 일차 코일-이차 코일-제2 일차 코일의 샌드위치 구조가 되어 누설 인덕턴스(Lk)를 낮출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을 보인 과정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은 제1 단자핀(125)을 구비한 제1 보빈(110)에 제1 일차 코일(120)을 권선하고 제1 일차 코일(120)의 단부를 제1 단자핀(125)에 납땜하여 결합하는 단계(S1)와, 제2 단자핀(145)을 구비한 제2 보빈(130)에 이차 코일(140)을 권선하고 이차 코일(140)의 단부를 제2 단자핀(145)에 납땜하여 결합하는 단계(S2)와, 제3 단자핀(165)을 구비한 제3 보빈(150)에 제2 일차 코일(160)을 권선하고 제2 일차 코일(160)의 단부를 제3 단자핀(165)에 납땜하여 결합하는 단계(S3)와,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을 결합하는 단계(S4)와,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100')를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하여 몰딩부(170)를 포함한 본체(100)를 형성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 in the transformer manufacturing method, a first
제1 보빈, 제2 보빈 및 제3 보빈을 결합하는 단계(S3)에서, 제3 보빈(15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3 관통공(155)에 제2 보빈(130)을 끼움 결합하고 제2 보빈(13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2 관통공(135)에 제1 보빈(110)을 끼움 결합하여 제1 일차 코일(120)과 제2 일차 코일(160)의 사이에 이차 코일(140)이 배치되는 샌드위치 구조가 되게 한다.In the step (S3) of coupling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the
제1 보빈(110), 제2 보빈(130) 및 제3 보빈(150)은 상호 끼움 결합할 때 잘 결합할 수 있도록 상부 플랜지(113,133,153) 또는 하부 플랜지(114,134,154)에 상하로 겹쳐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끼움 결합이 용이하고 안정적이므로 이후 진행되는 몰딩부(170)의 형성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된다.The
제1 보빈, 제2 보빈 및 제3 보빈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65)은 복수 개로 되고 보빈 결합체(100')의 일측에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되, 제1 단자핀(125)이 안쪽에 배치되고 제3 단자핀(165)은 바깥쪽에 배치되며, 제2 단자핀(145)은 복수 개로 되고 보빈 결합체(100')의 타측에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게 한다.In the step of coupling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the first
3개의 보빈을 사용한 제1 일차 코일-이차 코일-제2 일차 코일의 샌드위치 구조는 코일 간의 절연을 확보하고 외부 절연을 확보하며 단자핀 간을 이격시켜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낮춘다. 일 예로, 단자핀 간 간격은 4.5~5mm 범위이며, 단자핀의 직경은 0.8mm일 수 있다.The sandwich structure of the first primary coil-secondary coil-second primary coil using three bobbins secures insulation between coils, secures external insulation, and secures an insulation distance by separating terminal pins to lower leakage inductance.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pins may be in the range of 4.5 to 5 mm, and the diameter of the terminal pins may be 0.8 mm.
몰딩부(170)를 포함한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후, 제1 단자핀(125), 제2 단자핀(145) 및 제3 단자핀(165)은 몰딩부(170)의 외부로 돌출되며, 제1 단자핀(125)과 제3 단자핀(165)은 트랜스포머(10)가 실장되는 기판에서 연결되게 한다.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including the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본체(100)에 코어(200)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코어(200)는 본체(100)의 코어 결합부(102)에 밀착되면서 제1 관통공(11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하며 코어(200)와 본체(100)가 접하는 면에는 에폭시 본딩하여 코어(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한다. 에폭시 본딩은 방수성을 높이고 파손시 파편을 최소화하여 크랙 확인도 용이하게 한다.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upling the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보빈에 권선된 제1 일차 코일은 USTC 동선과 3중절연동선이다. USTC 동선은 소선경이 0.1mm 소선수가 60개로 된 것이며 제1 보빈에 8턴 권선한 다음 양 단부를 3번과 2번의 제1 단자핀에 연결하고, 3중절연동선은 소선경이 0.3mm 소선수가 2개로 된 것을 3개층의 절연층으로 감아 형성한 것이며 제1 보빈에 3턴 권선한 다음 양 단부를 5번과 6번의 제1 단자핀에 연결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the first primary coil wound on the first bobbin is USTC copper wire and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USTC copper wire has a diameter of 0.1mm and has 60 cores, and after winding 8 turns on the first bobbin, connect both ends to the first terminal pins of No. 3 and No. 2, and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has a diameter of 0.3mm It is formed by winding a thing with two wires with three layers of insulating layers. After winding three turns on the first bobbin,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ins of No. 5 and No. 6.
또한, 제2 보빈에 권선된 이차 코일은 소선경이 0.1mm 소선수가 50개로 된 USTC 동선이며, 하나는 제2 보빈에 18턴 권선한 다음 양 단부를 8번과 9번의 제2 단자핀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제2 보빈에 6턴 권선한 다음 양 단부를 11번과 12번의 제2 단자핀에 연결하였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cond bobbin is a USTC copper wire with a diameter of 0.1mm and 50 elements, and one is wound 18 turns on the second bobbin, and then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s of No. 8 and No. 9. The other one was wound on the second bobbin for 6 turns, and then both ends we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s of Nos. 11 and 12.
또한, 제3 보빈에 권선한 제1 코일은 소선경이 0.1mm 소선수가 60개로 된 USTC 동선이며, 제3 보빈에 7턴 권선한 다음 1번과 7번의 제3 단자핀에 연결하였다. In addition, the first coil wound on the third bobbin was a USTC copper wire having a wire diameter of 0.1 mm and 60 elements, and 7 turns were wound on the third bobbin, and then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pins of No. 1 and No. 7.
그리고 2번의 제1 단자핀과 7번의 제3 단자핀을 기판에서 쇼트시키고 3, 2, 1, 7번 단자핀에서 누설 인덕턴스(Lk)를 측정하였다. Then, the first terminal pin of No. 2 and the third terminal pin of No. 7 were short-circuited from the board, and leakage inductance (Lk) was measured at the terminal pins of No. 3, 2, 1 and 7.
측정 결과, 누설 인덕턴스(Lk)가 10uH 이하로 측정되었다.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leakage inductance (Lk) was measured to be 10uH or less.
위 결과로부터, 3개의 보빈과 몰딩부를 적용한 제1 일차 코일-이차 코일-제2 일차 코일의 샌드위치 구조의 트랜스포머를 제조하면 누설 인덕턴스(Lk)를 낮출 수 있음이 확인된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leakage inductance (Lk) can be lowered by manufacturing a transformer having a sandwich structure of a first primary coil, a secondary coil, and a second primary coil to which three bobbins and a molding part are applied.
본 발명은 3개 보빈을 적용하여 코일들 간을 절연하고 몰딩부를 적용하여 외부와 절연하므로 3중절연동선을 최소화하면서 절연을 확보할 수 있고, 각각의 보빈에 단자핀이 있어 안쪽의 코일과 바깥쪽의 코일을 내부가 아닌 기판에서 연결할 수 있으며 단자핀 간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보빈에 단차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시 상하로 겹쳐져 잘 안착되게 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잇으며, 이로 인해 누설 인덕턴스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bobbins are applied to insulate between the coils and a molding part is applied to insulate from the outside, so insulation can be secured while minimizing triple insulated copper wires, and each bobbin has a terminal pin so that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The coil on the side can be connected from the board rather than inside, and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pins can be secured. ,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leakage inductance and improve the efficiency.
상기한 트랜스포머는 TV, 모니터, LED 드라이브 전원장치, PC 파워서플라이 등에 설치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핀 내지 제3 단자핀의 개수와 코일의 턴수는 임의로 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단자핀의 개수 및 코일의 턴수는 변경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transformer can be installed in a TV, monitor, LED drive power supply, PC power supply, etc. to enable stable power supply. In the embodiment, the number of first to third terminal pins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have been arbitrarily determined and described, but the number of terminal pins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in the specifica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트랜스포머 100: 본체
101: 몰딩 플랜지 102: 코어 결합부
110: 제1 보빈 111: 권선부
113: 상부 플랜지 113a: 단차면
113b: 단턱부 114: 하부 플랜지
115: 제1 관통공 120: 제1 일차 코일
125: 제1 단자핀 130: 제2 보빈
131: 권선부 133: 상부 플랜지
133a: 단차면 133b: 돌출리브
134: 하부 플랜지 135: 제2 관통공
140: 이차 코일 145: 제2 단자핀
150: 제3 보빈 151: 권선부
153: 상부 플랜지 154: 하부 플랜지
155: 제3 관통공 160: 제2 일차 코일
165: 제3 단자핀 170: 몰딩부
200: 코어 210: 상부 코어
220: 하부 코어 a: 평판부
b: 양측 다리부 c: 중앙 다리부10: transformer 100: body
101: molding flange 102: core coupling portion
110: first bobbin 111: winding part
113:
113b: stepped portion 114: lower flange
115: first through hole 120: first primary coil
125: first terminal pin 130: second bobbin
131: winding portion 133: upper flange
133a: stepped
134: lower flange 135: second through hole
140: secondary coil 145: second terminal pin
150: third bobbin 151: winding part
153: upper flange 154: lower flange
155: third through hole 160: second primary coil
165: third terminal pin 170: molding part
200: core 210: upper core
220: lower core a: flat portion
b: both leg parts c: central leg part
Claims (15)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 일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1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보빈;
이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이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2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보빈; 및
제2 일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2 일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3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된 제3 보빈;
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보빈의 제3 관통공에 상기 제2 보빈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보빈의 제2 관통공에 상기 제1 보빈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상기 제2 일차 코일의 사이에 상기 이차 코일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은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빈과 상기 제3 보빈의 상부 플랜지는 상기 단차면의 폭만큼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3 관통공으로 돌출된 돌출리브가 포함되어, 상기 단차면이 상기 돌출리브와 상하로 겹쳐지는 트랜스포머. main body; and
a core coupled to the body;
including,
the body is
a first bobbin on which a first primary coil is wound, a first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first primary coil is provided, and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 second bobbin on which a secondary coil is wound, a second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is provided,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third bobbin on which a second primary coil is wound, a third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second primary coil is provided, and a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es,
The second bobbin is fitted into a third through hole of the third bobbin and the first bobbin is fitted into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bobbin, between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second primary coil The secondary coil is disposed on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a winding unit on which the coil is wound; and
and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coil, respectively, with the wind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are formed with a stepped surface along the ed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The upper flanges of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include protruding ribs protrud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as much as the width of the stepped surface, so that the stepped surface overlaps the protruding rib vertically.
상기 제1 단자핀과 상기 제3 단자핀은 각각 복수 개이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트랜스포머.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erminal pin and the third terminal pin are each in plurality,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단자핀은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단자핀은 바깥쪽에 배치되는 트랜스포머.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erminal pin is disposed on the inside and the third terminal pin is disposed on the outside.
상기 제3 단자핀은 상기 제1 단자핀 보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인출되는 트랜스포머.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rd terminal pin is drawn ou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an the first terminal pin.
상기 제2 단자핀은 복수 개이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트랜스포머.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pins is a transformer tha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트랜스포머가 실장되는 기판에서 상기 제1 단자핀 중 하나와 상기 제3 단자핀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3. The method of claim 2,
A transformer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one of the first terminal pins and one of the third terminal pins on a board on which the transformer is mounted.
상기 제1 보빈에 상기 제1 일차 코일 2개가 권선되고 각각의 단부가 4개의 제1 단자핀에 연결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A transformer in which the two first primary coils are wound around the first bobbin and each end is connected to four first terminal pins.
상기 제1 보빈에 권선되는 제1 일차 코일 중 하나는 3중절연동선을 사용하고, 나머지 제1 일차 코일, 상기 제2 일차 코일 및 상기 이차 코일은 USTC 동선을 사용하는 트랜스포머. 8. The method of claim 7,
One of the first primary coils wound on the first bobbin uses triple insulated copper wire, and the remaining first primary coil, the second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use USTC copper wire.
상기 제1 보빈, 상기 제2 보빈 및 상기 제3 보빈이 결합된 보빈 결합체는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어 있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bbin assembly to which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and the third bobbin are coupled is molded by a molding unit.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상기 제1 단자핀이 연결되는 부분, 상기 이차 코일과 상기 제2 단자핀이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2 일차 코일과 상기 제3 단자핀이 연결되는 부분은 납땜 후 상기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고,
상기 제1 단자핀, 상기 제2 단자핀 및 상기 제3 단자핀의 단부 부분은 상기 몰딩부의 외부로 돌출된 트랜스포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first terminal pin are connected, the portion where the secondary coil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re connected, and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primary coil and the third terminal pin are connected are formed after soldering. molded by wealth,
End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pin, the second terminal pin, and the third terminal pi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lding unit.
상기 제2 보빈은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부분에 단차진 안착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 상기 제3 보빈의 하부 플랜지의 하면이 안착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bbin is further formed with a stepped seating surface in a certain portion along the ri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 transformer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third bobbin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 일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1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보빈;
이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이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2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보빈; 및
제2 일차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2 일차 코일과 연결되는 제3 단자핀이 구비되며 중앙 부분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된 제3 보빈;
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보빈의 제3 관통공에 상기 제2 보빈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보빈의 제2 관통공에 상기 제1 보빈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일차 코일과 상기 제2 일차 코일의 사이에 상기 이차 코일이 배치되며,
상기 제3 보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면에 테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main body; and
a core coupled to the body;
including,
the body is
a first bobbin on which a first primary coil is wound, a first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first primary coil is provided, and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 second bobbin on which a secondary coil is wound, a second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is provided,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third bobbin on which a second primary coil is wound, a third terminal pin connected to the second primary coil is provided, and a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includes,
The second bobbin is fitted into a third through hole of the third bobbin and the first bobbin is fitted into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bobbin, between the first primary coil and the second primary coil The secondary coil is disposed on
The third bobbin is
a winding unit on which the coil is wound; and
and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coil, respectively, with the wind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transformer in which a tapered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d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9080A KR102313650B1 (en) | 2021-06-18 | 2021-06-18 |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79080A KR102313650B1 (en) | 2021-06-18 | 2021-06-18 |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13650B1 true KR102313650B1 (en) | 2021-10-18 |
Family
ID=782712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79080A Active KR102313650B1 (en) | 2021-06-18 | 2021-06-18 |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13650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77029B1 (en) * | 2021-10-25 | 2022-12-16 | (주)세현전자 | Transformer |
| KR20230058774A (en) *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 Transform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32231B1 (en) * | 2010-07-02 | 2011-05-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s and Display Devices Having the Same |
| KR20120076299A (en) * | 2010-12-29 | 2012-07-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590132B1 (en) * | 2015-07-31 | 2016-0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plate coil shaped parts |
| KR101686975B1 (en) * | 2015-10-08 | 2017-01-20 | 티디케이한국 주식회사 | Coil device |
-
2021
- 2021-06-18 KR KR1020210079080A patent/KR1023136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32231B1 (en) * | 2010-07-02 | 2011-05-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s and Display Devices Having the Same |
| KR20120076299A (en) * | 2010-12-29 | 2012-07-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590132B1 (en) * | 2015-07-31 | 2016-0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plate coil shaped parts |
| KR101686975B1 (en) * | 2015-10-08 | 2017-01-20 | 티디케이한국 주식회사 | Coil device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77029B1 (en) * | 2021-10-25 | 2022-12-16 | (주)세현전자 | Transformer |
| KR20230058774A (en) *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 Transformer |
| WO2023075239A1 (en) * | 2021-10-25 | 2023-05-04 |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 Transformer |
| KR102647723B1 (en) * | 2021-10-25 | 2024-03-14 |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 Transform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91117B1 (en) | Transform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 KR102407673B1 (en) | Nested flat wound coils forming windings for transformers and inductors | |
| US8009007B2 (en) | Inductance part | |
| KR101913172B1 (en) |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 |
| KR102313650B1 (en) |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US9153371B2 (en) | Coil device | |
| US8866577B2 (en) | Coil component | |
| KR101610339B1 (en) |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 |
| US7948350B2 (en) | Coil component | |
| KR20090108165A (en) | Coil Nested Insulation Transformer | |
| AU2003270988A1 (en) |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 |
| CN209388843U (en) | A kind of vertical transformer | |
| KR101806443B1 (en) | Indu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2429668B1 (en) | Transformer | |
| KR102603589B1 (en) | Coil component | |
| KR102647723B1 (en) | Transformer | |
| KR20130084342A (en) | Transformer | |
| KR102477029B1 (en) | Transformer | |
| KR101729101B1 (en) | Transformer manufacturing method | |
| KR102702198B1 (en) | Transformer | |
| CN110189904A (en) | Transfor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KR101112752B1 (en) | Multilayer surface mounting type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2352174B1 (en) | Coil component | |
| CN112823401B (en) | Transform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TWI771711B (en) | Magnetic induction componen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