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164B1 - Multi-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164B1 KR102326164B1 KR1020170084424A KR20170084424A KR102326164B1 KR 102326164 B1 KR102326164 B1 KR 102326164B1 KR 1020170084424 A KR1020170084424 A KR 1020170084424A KR 20170084424 A KR20170084424 A KR 20170084424A KR 102326164 B1 KR102326164 B1 KR 1023261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image
- display module
- present specification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의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한다.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plays an image wit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include a side encapsulant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mage display area, and are partially overlapped so that the side encapsulant is vertically staggered.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ulti-display device.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대면적 또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종 정보나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베이스 기판(base substrate)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면적은 제한적이다.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application range of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ends to gradually expand.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large-area display device. A large-area or large-sized display device is used as a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advertisements. However, the area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one base substrate is limited.
따라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복수의 표시모듈을 조합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표시모듈들을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웃하는 표시모듈들을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현된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Multi-Display Apparatus) 또는 타일링 디스플레이 장치(Tiling Display Apparatus)로 지칭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an alternative to this, a method for implementing a large-area display devic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a large-area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arranging four display modules side by side on the same plane and fixing neighboring display modules to each other. The large-area display apparatus implemented in this way may be referred to as a multi-display apparatus or a tiling display apparatus.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모듈들이 타일링 방식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각 표시모듈들 사이에 이음새(seam)가 존재하게 된다. 이음새는 블랙 색상의 실런트(sealant)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이음새는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장치로부터의 빛이 블랙 색상의 실런트에 의해 차단되므로, 이음새가 시청자에게 인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the multi-display apparatus,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combined in a tiling manner to implement one large screen. Accordingly, a seam exists between each of the adjacent display modules. The seam is treated using a black colored sealant. The seam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where no image is implemented, and since the light from the display device is blocked by the black color sealant, the seam is perceived by the viewer.
또한, 표시모듈의 측면은 봉지재로 처리되며, 표시모듈이 상호 이웃하여 배열되는 경우 양측 표시모듈의 측면 봉지재 영역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비표시 영역은 더욱 넓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module are treated with an encapsulant, and when the display modul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ide encapsulant areas of both display modules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that the non-display area becomes wider.
이러한 비표시 영역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인식되는 경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여, 영상 몰입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non-display area is recognized by a viewer watching the multi-display device, it prevents recogni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multi-display device as a single screen, thereby reducing image immers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는 표시모듈 사이에 있는 비표시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양질의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multi-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high-quality image information by reducing a non-display area between display modul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ulti-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image and a side encapsulant that is disposed in a partially overlapping state such that the side encapsulant is vertically stagger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은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제1표시모듈 및 제2표시모듈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영상을 표시한다.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ulti-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image A first display module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display module having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based on the front area from which the image is emitted, including a side encapsulant, the side encapsulant is vertically staggered and displays image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heights of the first display module and the second display module.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모듈들을 배열할 시 표시모듈의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표시모듈의 측면 봉지재로 인해 발생하는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inimizes the area of the non-display area generated by the side encapsulant of the display module by arranging the display modules in a partially overlapping state such that the side encapsulants of the display modules are vertically staggered when arranging the display modules. can do.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엇갈린 상태로 배열된 각 표시모듈의 높이 차이에 따라 입력된 영상 대비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제공함으로써,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표시모듈이 제공하는 영상과 동일하게 시인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enlarges or reduces the input image compared to the image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each display module arranged in a staggered state, thereby providing the same image as the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modules arranged on the same pla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ually recognizable image.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와 비교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module constituting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module constituting 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multi-display device and a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multi-display device of FIG. 6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state of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state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state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specifica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ary and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identical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을 포함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제공된 하나의 영상을 표시모듈(100)들의 면적에 대응하는 큰 화면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을 통해,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영상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이 상호 조합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이웃하는 표시모듈들 사이에 이음새(seam) 영역(S)이 존재한다. 이음새 영역(S)이 시청자에게 인지될 경우, 영상을 시청할 시에 몰입감을 방해시킨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표시장치(10)는 이러한 이음새 영역(S)인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이음새 영역(S)의 인지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 Since the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4개의 표시모듈(10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이 동일한 면적 및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 , a case in which the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을 덮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112)을 포함한다. 봉지 기판(112)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및 산소 등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에 배치된 소자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복수의 픽셀(PIX)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들 각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의 일측에는, 표시모듈(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와 연결되는 패드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The thin film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유기화합물층과 유기화합물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를 포함한다. 유기화합물층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통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vi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n organic compound layer and an anode and a cathode facing each other with the organic compound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organic compound layer includes an emission layer (EML),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 At least one common layer of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may be further included.
표시모듈(100)의 측면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지지 고정하는 측면 봉지재(B)가 배치된다. 측면 봉지재(B)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의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플라스틱,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 side encapsulant B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thin film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은 표시패널(201), 백라이트 유닛(202),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01)과 백라이트 유닛(202)은 이들을 고정하는 케이스 부재들과 함께 조립되어 표시모듈(100)로 구현될 수 있다.The
표시패널(201)은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층(213)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제1 기판(210), 제2 기판(212), 하부 편광 필름(미도시), 및 상부 편광 필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1)은 각 픽셀 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213)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213)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층(213)은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한 모드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12)의 구체적인 구성은 구동 모드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제1 기판(2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복수의 픽셀(PIX)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PIX)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픽셀 전극, 및 픽셀 전극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213)의 구동 방식에 따라 제2 기판(2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기판(210)의 일측에는 표시패널(2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는 패드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212)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제1 기판(2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패널(201)이 COT(Color filter On TFT), 또는 TOC(TFT On Color filter)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컬러 필터는 제1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백라이트 유닛(202)은 표시패널(201)의 아래에 구비되어, 표시패널(201)의 배면(背面)에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202)은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에지형(edge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202)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표시패널(201)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시트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202)은 도광판을 통해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된 빛을 표시패널(201)에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202)은 표시패널(201)의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확산판을 통해 확산된 빛을 표시패널(201)에 조사한다. The
표시모듈(100)의 측면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지지 고정하는 측면 봉지재(B)가 배치된다. 측면 봉지재(B)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의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한다. 이러한, 측면 봉지재(B)는 금속, 플라스틱,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 side encapsulant B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thin film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와 비교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모듈(100)들 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들 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nd a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도 6의 (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이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된다.Referring to FIG. 6A , in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 plurality of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B)를 포함한다.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은 도 3에서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포함하거나, 도 5에서 설명한 표시패널(201) 및 백라이트 유닛(2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side encapsulant (B)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측면 봉지재(B)를 갖는 표시모듈(100)들은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각 표시모듈(100)들 사이의 이음새는 측면 봉지재(B)에 의해 각 표시모듈(100)들이 조합된다. 따라서, 측면 봉지재(B)로 인해 발생하는 비표시 영역은 양 측 측면 봉지재(B)의 폭(W)의 2배인 2W만큼 비표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The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모듈(100)들이 각기 다른 평면상에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열된다.Referring to FIG. 6B , in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B)를 포함한다. 표시모듈(100)의 영상의 표시영역은 도 3에서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0) 및 봉지 기판(112)을 포함하거나, 도 5에서 설명한 표시패널(201) 및 백라이트 유닛(2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side encapsulant (B)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표시모듈(100)은 측면 봉지재(B)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봉지재(B)로 인해 발생하는 비표시 영역은 양 측 측면 봉지재(B)의 폭인 2W보다 감소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교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이음새로 인한 비표시 영역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음새 영역의 인지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duce the width of the non-display area due to the seam, and may lower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seam area, compared to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도 7은 도 6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multi-display device of FIG. 6 .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모듈(100-1, 100-2)의 상부에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30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표시모듈(100-1, 100-2)들은 측면 봉지재(B-1, B-2)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표시모듈(100-1, 100-2)의 두께(d)만큼 커버 윈도우(300)로부터의 높이(h1, h2)의 차이가 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are partially overlapped so that the side encapsulants B-1 and B-2 are vertically staggered,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is The difference in heights h1 and h2 from the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300)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표시모듈(100-1)은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가까운 표시모듈(100-2)은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는 표시모듈(100-1, 100-2)의 두께(d)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00-1 that is relatively far from the
이러한 높이의 차이로 인해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영상은 각기 다른 원근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 높이(h1)를 갖는 제1표시모듈(100-1)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 높이(h2)를 갖는 제2표시모듈(100-2)에 표시된 영상에 비해 더 작게 시인될 수 있다.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the images of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have different perspectives. For example, a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odule 100-1 having a first height h1 that is relatively far from the
따라서,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높이(h1, h2)에 따라 입력된 영상보다 확대 혹은 축소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each display module 100-1, 100- having a height difference by providing an image enlarged or reduced from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height h1, h2 of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The images displayed in 2) may be viewed as images having the same perspective.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state of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모듈(100-1, 100-2)들의 상부에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30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표시모듈(100-1, 100-2)들은 측면 봉지재(B1, B-2)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각 표시모듈(100-1, 100-2)은 커버 윈도우(300)로부터의 높이가 차이가 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are partially overlapped so that the side encapsulants B1 and B-2 are vertically staggered,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has a cover window. The height from 300 may be different.
각 표시모듈(100-1, 100-2)에서 일괄적으로 원본 영상 "I"을 표시할 경우,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영상은 각기 다른 원근감을 갖게 된다. 즉, 커버 윈도우(30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표시모듈(100-1)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작게 시인되고, 커버 윈도우(30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표시모듈(100-2)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크게 시인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collectively display the original image "I", the images of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hat is,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odule 100-1 having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the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높이에 따라 입력된 원본 영상 "I"보다 확대된 영상 "I1"을 표시하거나, 축소된 영상 "I2"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모듈(100-1, 100-2)이 높이에 따라 확대 혹은 축소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자는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henomen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nlarged image "I 1 " than the input original image "I"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or The reduced image "I 2 " can be displayed.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displays an enlarged or reduced image according to the height, so that the viewer of the multi-display device is displayed on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having a height difference The images to be used can be recognized as images having the same perspective.
여기서, 영상의 확대 비율과 축소 비율은 표시모듈(100)의 크기, 표시모듈들(100-1, 100-2) 간의 높이 차이, 타깃이 되는 시청자의 시청거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 크기,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Here, the enlargement ratio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image are the size of the
또한, 제1표시모듈(100-1)은 원본 영상 "I"를 표시하고, 제2표시모듈(100-2)은 축소 영상 "I2"를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2표시모듈(100-2)은 원본 영상 "I"를 표시하고 제1표시모듈(100-1)은 확대 영상 "I1"을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first display module 100-1 may display the original image “I” and the second display module 100-2 may display the reduced image “I 2 ”. Conversely,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econd display module 100-2 to display the original image “I” and the first display module 100-1 to display the enlarged image “I 1 ”.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state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모듈들(100-1, 100-2)의 상부에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300-1, 300-2)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cover windows 300-1 and 300-2 protecting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
표시모듈(100-1, 100-2)들은 측면 봉지재(B-1, B-2)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각 표시모듈(100-1, 100-2)은 커버 윈도우(300-1, 300-2)로부터의 높이가 차이가 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are partially overlapped so that the side encapsulants B-1 and B-2 are vertically staggered,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is Heights from the cover windows 300 - 1 and 300 - 2 may be different.
각 표시모듈(100-1, 100-2)에서 일괄적으로 원본 영상 "I"을 표시할 경우,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영상은 각기 다른 원근감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300-1, 300-2)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제1표시모듈(100-1)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작게 시인되고, 커버 윈도우(300-1, 300-2)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표시모듈(100-2)에 표시된 영상은 상대적으로 크게 시인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collectively display the original image "I", the images of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have different perspectives. For example, a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odule 100-1 having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is viewed as relatively small, and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are viewed relatively small. ),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odule 100 - 2 having a relatively close distance can be viewed relatively large.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의 높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300-1, 300-2)에 광학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이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phenomen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forming an optical pattern on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according to the height of 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the height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spectiv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having a difference can be recognized as images having the same perspective.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표시모듈(100-1, 100-2)들을 보호하고, 표시모듈(100-1, 100-2)들을 제 위치에 정렬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된 원본 영상 "I"를 확대 혹은 축소함으로써 사용자가 원본 영상 "I"와 같은 영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may serve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and to align and fix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in place. have.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enlarge or reduce the original image “I” displayed on the respectiv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same image as the original image “I”. let it be
제1표시모듈(100-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록 렌즈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광학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표시모듈(100-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오목 렌즈와 유사하게 기능하는 광학패턴이 형성되거나, 도 9와 같이 평판 타입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An optical pattern that functions similarly to a convex lens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module 100-1, and an optical pattern that functions similarly to a concave le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module 100-2 An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or it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type pattern as shown in FIG. 9 .
이와 같이 광학패턴을 갖는 커버 윈도우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다중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ver window having the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as shown in FIG. 9 .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유리,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cover windows 300 - 1 and 300 - 2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any one of glass, plastic, and fil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9와 같이 커버 윈도우(300-1, 300-2)가 다중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커버 윈도우(300-1, 300-2)는 베이스 기재(BL), 및 베이스 기재(BL)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하드코팅층(HL1, HL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재(BL)는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AR(polyarylate), PSF(polysulfone), COC(cyclic-olefin copolym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코팅층(HL1, HL2)은 베이스 기재(BL)를 덮도록 구비되어, 베이스 기재(BL)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광학 패턴은 커버 윈도우(300-1, 300-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 , when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are formed of multiple layers,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are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BL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substrate BL, respectively. The formed hard coating layers HL1 and HL2 may be included. Base substrate (BL) is PI (Polyimid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PC (polycarbonate), PES (polyethersulfone), PAR (polyarylate), PSF (polysulfone), COC (cyclic-olefin copolymer)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he hard coating layers HL1 and HL2 are provided to cover the base substrate BL, and may function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BL. The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s of the cover windows 300 - 1 and 300 - 2 , or may be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windows 300 - 1 and 300 - 2 .
커버 윈도우(300-1, 300-2)가 도 9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광학 패턴(310)은 상부 하드코팅층(HL1) 또는 하부 하드코팅층(HL2)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부 하드코팅층(HL1, HL2)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패턴은 사출성형, 또는 연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9, the optical pattern 3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hard coat layer HL1 or the lower hard coat layer HL2, and It may be formed on both of the coating layers HL1 and HL2. The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using a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or polish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커버 윈도우(300-1, 300-2)에 형성된 광학패턴이 볼록 렌즈 타입(300-1)으로 형성된 경우, 표시모듈(100-1)에 표시되는 원본 영상 "I"보다 확대된 영상 "I'"가 표시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오목 렌즈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원본 영상 "I"보다 축소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광학패턴이 평판 타입(300-2)으로 형성된 경우, 표시모듈(100-2)에 표시되는 원본 영상 "I"와 동일한 크기의 영상(I)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optical pattern formed on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is formed in the convex lens type 300-1, the enlarged image "I' than the original image "I"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0-1 "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when the concave lens type is formed, an image reduced from the original image "I" may be displayed. When the optical pattern is formed in the flat plate type 300-2, an image I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riginal image “I”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0-2 may be displayed.
각각의 표시모듈(100-1, 100-2)이 높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300-1, 300-2)에 볼록 렌즈, 오목 렌즈, 평판 타입의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시청자는 높이 차이를 갖는 각 표시모듈(100-1, 100-2)에 표시되는 영상들을 동일한 원근감을 갖는 영상으로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Each display module 100-1, 100-2 forms an optical pattern of a convex lens, a concave lens, and a flat panel type on the cover windows 300-1 and 300-2 according to the height, so that each display module 100- 1 and 100-2),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viewer can recognize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having the height difference as images with the same perspective. .
여기서, 영상의 확대 비율과 축소 비율은 표시모듈(100-1, 100-2)의 크기, 표시모듈(100-1, 100-2) 간의 높이 차이, 타깃이 되는 시청자의 시청거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 크기,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최적화될 수 있다.Here, the enlargement ratio and the reduction ratio of the image are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modules 100-1 and 100-2, the viewing distance of the target viewer, and the multi-display device. It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full screen size of the screen and the type of image to be mainly displayed (text, image, video, etc.).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state of a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예를 들어, 표시모듈의 사이즈가 55 inch이고 두께(d)가 3cm인 경우, 커버 윈도우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표시모듈 B에 표시된 영상의 적절한 비율은 102% 정도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모듈 A와 표시모듈 B 간의 영상의 크기 차이는 약 2%정도 발생할 수 있다. 표시모듈의 사이즈 또는 두께가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module is 55 inches and the thickness d is 3 cm, an appropriate ratio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 relatively far from the cover window can be calculated to be about 102%. For example, a difference in image size between the display module A and the display module B may occur by about 2%.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display module does not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에, 표시패널 A는 원본 영상 대비 1%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고 표시모듈 B는 원본 영상 대비 1%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두 표시모듈 간의 높이 차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A displays an image reduced by 1% compared to the original image, and the display module B displays an image enlarged by 1% compared to the original image, thereby reduc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splay modules.
커버 윈도우에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높이 차이를 완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표시모듈 B의 상부에 위치한 커버 윈도우에 볼록 렌즈 타입의 광학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모듈 A와 표시모듈 B 간의 영상의 크기 차이가 약 2%정도 발생하는 경우 55inch 기준으로 최소 62.35cm에서 약 1217cm 사이의 곡률, 구체적으로는 608.5cm의 곡률을 갖는 볼록 렌즈 타입의 광학패턴을 형성하여 두 표시모듈 간의 높이 차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it is desired to reduce the height difference by forming an optical pattern on the cover window, a convex lens type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cover window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B. FIG. When the difference in image size between display module A and display module B is about 2%, a convex lens type optical pattern having a curvature of at least 62.35 cm to about 1217 cm based on 55 inches, specifically, a curvature of 608.5 cm is formed. Thus,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splay modules.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퍼블릭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은 대형 또는 대면적의 표시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a large or large-area display module such as a public display or a digital signage. Digital signage can be installed in public or commercial space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ulti-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image. A side encapsulant is included, and the side encapsulant is disposed in a partially overlapping state so that the vertical encapsulant is staggered.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may include a first display module having a first height based on a front area from which an image is emitted and a second display module having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축소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module may display an enlarged image compared to the input image, and the second display module may display a reduced image compared to the input image.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 대비 축소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module may display an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nput image, and the second display module may display a reduced image compared to the input image.
제1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대비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모듈은 입력된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module may display an enlarged image compared to the input image, and the second display module may display an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nput image.
표시모듈 상부에 배치된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window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커버 윈도우는, 제1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과, 제2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window may include an optical pattern for enlarg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odule and an optical pattern f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odule.
커버 윈도우는, 제2 표시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window may include an optical pattern for reducing an image display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module.
커버 윈도우는, 제1 표시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window may include an optical pattern for magnifying an image display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modul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모듈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모듈은,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은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제1표시모듈 또는 제2표시모듈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영상을 표시한다.A multi-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ulti-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image. A first display module including a side encapsulant and having a first height based on the front area from which an image is emitted and a second display module having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re arranged such that the side encapsulant is vertically staggered. and displays image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display module or the second display module.
제1 표시모듈은 제2 표시모듈보다 확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module may display a larger image than the second display module.
제2 표시모듈은 제1 표시모듈보다 축소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module may display a smaller image than the first display modul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표시모듈 B : 측면 봉지재
300 : 커버 윈도우100: display module B: side sealing material
300: cover window
Claims (12)
상기 표시모듈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모듈은,
상기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고,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일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측면 봉지재; 및
상기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제1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하는 광학패턴과,
상기 제2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을 축소하는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o display an image; and
and a cover window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 side encapsulant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image and partially overlapping to form a vertical staggered state; and
A first display module having a first height based on a front area from which the image is emitted and a second display module having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The cover window is
an optical pattern magnify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module;
A multi-display device comprising an optical pattern for reduc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module.
상기 복수의 표시모듈은,
상기 영상의 표시영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측면 봉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 영역을 기준으로 제1높이를 갖는 제1 표시모듈과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는 제2 표시모듈은 상기 측면 봉지재가 상하로 엇갈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표시모듈 또는 상기 제2표시모듈의 높이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multi-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nd a side encapsulant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display area of the image,
A first display module having a first height based on the front area from which the image is emitted and a second display module having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re arranged such that the side encapsulants are vertically staggered, A multi-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having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display module or the second display module.
상기 제1 표시모듈은 상기 제2 표시모듈보다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display module is a multi-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larger image than the second display module.
상기 제2 표시모듈은 상기 제1 표시모듈보다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display module displays a reduced image than the first display module, a multi-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84424A KR102326164B1 (en) | 2017-07-03 | 2017-07-03 | Multi-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84424A KR102326164B1 (en) | 2017-07-03 | 2017-07-03 | Multi-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04170A KR20190004170A (en) | 2019-01-11 |
| KR102326164B1 true KR102326164B1 (en) | 2021-11-16 |
Family
ID=650280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84424A Active KR102326164B1 (en) | 2017-07-03 | 2017-07-03 | Multi-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26164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62920B1 (en) | 1996-03-18 | 2000-08-01 | 니시무로 타이죠 | Image display device |
| JP2016095502A (en) * | 2014-11-11 | 2016-05-26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666718B2 (en) * | 1994-02-21 | 1997-10-2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321373B1 (en) * | 2007-03-16 | 2013-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display apparatus |
-
2017
- 2017-07-03 KR KR1020170084424A patent/KR1023261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262920B1 (en) | 1996-03-18 | 2000-08-01 | 니시무로 타이죠 | Image display device |
| JP2016095502A (en) * | 2014-11-11 | 2016-05-26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04170A (en) | 2019-01-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364630B2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flexible display panel | |
| CN110794628B (en) | display screen | |
| KR102670532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Light Valve | |
| US9128324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1157425B1 (en) | Large size display device of tiled method | |
| US9664959B2 (en) | Display device | |
| CN102981329B (en) | Display device | |
| US10141379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reflectance | |
| CN105044964A (en) | Spliced display device | |
| US9229278B2 (en) | Liquid crystal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090060043A (en) | LCD Display | |
| CN105518770A (en) |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 TW202014776A (en) | Display device | |
| CN104280798A (en) | Prism sheet member and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CN105788464A (en) | Display device | |
| JP2017037179A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US20150340001A1 (en) | Display apparatus | |
| KR102305653B1 (en) | Tiling Display Device | |
| KR10264957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US20130106678A1 (en) | Pixel structures of 3d display devices | |
| US20120268697A1 (en) | Display device | |
| US20120008063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US20160054606A1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 |
| KR102714766B1 (en) | Display apparatus | |
| US11392000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