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436B1 - Safty air tight container - Google Patents
Safty air tight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7436B1 KR102327436B1 KR1020200055282A KR20200055282A KR102327436B1 KR 102327436 B1 KR102327436 B1 KR 102327436B1 KR 1020200055282 A KR1020200055282 A KR 1020200055282A KR 20200055282 A KR20200055282 A KR 20200055282A KR 102327436 B1 KR102327436 B1 KR 1023274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ntainer body
- flange
- cut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666 vacuum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920 food preserv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85 pack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5/024—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making containers from preformed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1—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losures before appl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0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 B65D77/20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the cover being maintained by projections or recesses on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6—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disposed beneath a wrapper, label, or other element of sheet material securing a lid, cover, or container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 등의 물품이 내부에 수납되고 절취부가 절취되기 전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진공 부압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전에 뚜껑과 용기 본체가 밀폐된 형태로 구성되어 소비자가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포장 용기의 뚜껑을 쉽게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여 식품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취부의 절취 후에는 뚜껑의 최초 개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최초 개방을 위해 뚜껑의 일부를 절취한 후에도 뚜껑의 개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safety packaging container, and in particular, a form in which the lid and the container body are sealed before the consumer purchases by allowing negative vacuum pressure to act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before items such as food are stored therein and the cutout is cut. Food preservation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consumer from easily opening the lid of the packaging container displayed on the shelf of the store. It relates to an airtight safety packaging container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lid can be opened and closed even after a part of it is cut off.
일반적으로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식품이 포장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될 경우, 내부 공기와 외부공기가 통하지 않게 됨으로써, 신선도가 떨어지고, 식품의 변질의 우려마저 있게 된다.In general, when foods such as fruits or vegetables are stored for a long time in a packaged state, the internal air and the external air do not pass through, so that freshness is deteriorated, and there is even a risk of deterioration of the food.
또한, 이러한 경우 식품의 상태를 포장된 상태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가 없게 되므로 소비자가 변질된 식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case, since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observe the state of the food in the packaged state, consumers often purchase spoiled food.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포장지를 개봉하지 않고도 포장된 식품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을 소재로 한 포장용기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cently, packaging container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film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and sold in the market so that the state of packaged food can be visually identified without opening the packaging paper. the current situation.
상기한 합성수지재의 포장용기는 본체와 뚜껑의 일측면이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어서, 본체와 뚜껑이 이탈되지 않으며, 본체와 뚜껑을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완벽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와 뚜껑체를 연결하는 체결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In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connected by a connection part, so that the main body and the lid are not separated. A separate fastening part is provided.
여기서, 본체, 뚜껑 및 연결부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는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계값을 넘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Here, the main body, the lid, and the connecting part are integrally manufactured using synthetic resin, and since this synthetic resin has elasticity, it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by elasticity before an external force exceeding a critical value acts.
이러한 특징은 본체와 뚜껑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본체와 뚜껑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에서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뚜껑이 체결부를 통해 본체에 완전히 체결되어 있지 않다면,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본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심한 경우에는 뚜껑이 완전히 젖혀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Since this featur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lid, and can also occur i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id, if the lid is not completely fasten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astening part, 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in an open state. In severe cases, the lid may be fully retracted.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가 진열대에 놓여져 있는 포장용기에서 발생된다면, 소비자들의 구매 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occurs in the packaging container placed on the display stand, it may lower the purchase motivation of consumers, and may cause undesirable hygienic conditions.
더욱이, 부피가 큰 포장용기나, 보다 무거운 식품의 포장을 위해 보다 두꺼운 합성수지가 이용되는 포장용기의 경우에는, 연결부의 탄성력이 보다 강화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a bulky packaging container or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thicker synthetic resin is used for packaging heavier food,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is further strengthene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reases. have
기존 포장용 용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291호 "포장용 용기"(등록일자 : 2012.06.2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식품이 수납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기 위한 뚜껑부재; 및 네 개의 변을 갖는 판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네 개의 변 중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이 몸체연결부와 뚜껑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변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두 개의 모서리부를 갖도록 접혀져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모서리부 각각은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에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것이다.As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packaging contain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62291 "Packaging container" (registration date: 2012.06.27), a body member for accommodating food; a lid member for covering the open top surface of the body member; and a plate-shaped connecting member having four sides,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has two opposite sides of the four sides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ng portion and the lid member, respectively, and a surface formed by the two sides is folded to have two corners, and each of the two corners has a plurality of corners forming an acute angle and an obtuse angle folded parallel to the two opposite sides.
그런데, 진열대 매장에 진열되는 식품 포장 용기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제품 확인을 위해 뚜껑을 개방하여 용기 내의 식품을 만져서 오염시키거나 훼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뚜껑의 최초 개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식별할 수 있는 안전 포장 용기가 요구된다.However, in the case of food packaging containers displayed in store shelves, there is a risk that consumers open the lid to check the product and touch the food in the container to contaminate or damage the food. Safe packaging is required.
기존에는 필름만으로 용기의 상측 플랜지 날개면을 열처리 씰링하여 필름과 용기 본체를 결합시키거나, 포장용 용기 내부를 진공 부압 상태로 밀폐시켜 뚜껑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필름 씰링 결합방식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한 후에 개방시키기 어렵고, 포장용 용기가 밀폐 상태일 경우에는 내부에 진공부압이 작용하게 되어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용기 뚜껑의 개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Conventionally, the film and the container body are joined by heat-treating the upper flange wing surface of the container only with the film, or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sealed under vacuum to prevent the lid from being easily opened. It is difficult to open the product after purchase, and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is closed, vacuum negative pressure acts inside, so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or the elderly to open the container lid.
종래 밀폐형 포장 용기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213호 "밀폐형 포장 용기 뚜껑 개방부 구조"(등록일자 : 2002.07.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되는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뚜껑 주연부에 구비된 뚜껑 개방부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뚜껑의 주연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손잡이부를 중심으로 이 고정손잡이부 좌우측에 각각 좌측손잡이와 우측손잡이를 대칭적으로 구비하고 이 좌,우측손잡이와 고정손잡이부는 각각 절취가 쉽도록 절취홈으로 연결 설치하고, 뚜껑의 상측주연부와 가로단 사이 모서리에 절취홈을 형성하되 뚜껑 전체직경의 대략 절반 범위에만 절취홈을 요입형성하고 나머지 대략 절반범위의 상측주연부와 가로단 사이는 절취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 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conventional sealed packaging container,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82213 "Closed packaging container lid opening structure" (registration date: 2002.07.05), sealed safety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 composing the lid opening structur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packaging container lid, left and right handles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ed handle, respectively, centering on the fixed hand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lid, and the left and right The handle and the fixed hand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ut-out groove for easy cutting, and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the corner between the upper periphery and the horizontal end of the li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ut-out groove is not formed between the upper periphery and the transverse end of the .
그런데 기존 원통형 밀폐형 포장 용기의 경우에는 절취선을 따라 개방이 용이하지만 사각형 테두리를 갖는 용기와 뚜껑의 개폐구조에는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sealed packaging container, it is easy to open along the perforation line, but it is not suitabl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and the lid having a rectangular rim,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olding is not easy.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품 등의 물품이 내부에 수납되고 절취부가 절취되기 전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에 진공 부압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전에 뚜껑과 용기 본체가 밀폐된 형태로 구성되어 소비자가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포장 용기의 뚜껑을 쉽게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여 식품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취부의 절취 후에는 쉽게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allow vacuum negative pressure to act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before items such as food are stored therein and the cutouts are cut, so that before the consumer purchases The lid and container body are configured in a sealed form, so that consumers cannot easily open the lid of the packaging container displayed on the store shelf, thereby improving food preserv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ed saf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초 개방을 위해 뚜껑의 일부를 절취한 후에도 뚜껑의 개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ed safety packaging container whos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lid can be performed even after a part of the lid is cut off for initial open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측의 가장자리에 제1플랜지가 형성되어 뚜껑과 결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밀착되게 결합되며 테두리 부위에 상기 제1플랜지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제2플랜지 일부가 절취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고,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storage space, the upper side is opened, the first flang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opened container body is coupled to the lid; a lid which is closely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has a second flan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formed on an edge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mean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flange of the lid is cut off;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제2플랜지가 4변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플랜지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2손잡이와, 상기 제1,2손잡이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4변 중 3개의 변이 연결되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취부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단턱진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결합시 상기 지지턱의 상측에 안착되는 고정턱이 상기 뚜껑의 하측면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에 상기 철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결합시 상기 요홈부 내에 철부가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means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flange has four sides,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handles protruding outward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lange,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It is composed of a cutout formed so that it can be cut using a perforation line to which three of the sides are connected,
A stepped support jaw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a convex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is formed on the support jaw, and a fixed jaw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jaw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are combined is the lid of the lid. It is formed to be stepped on the lower side, and a concave groove-shaped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onvex portion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xed jaw, so that the convex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in the concave manner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are coupled. do.
상기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절취부의 한 변에 산과 골이 연속된 파형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된 제1파형부와, 상기 제1파형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플랜지의 한 변에 상기 제1파형부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2파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파형부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상기 제2파형부의 수평방향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의 절취시 상기 제2파형부의 골 부위와 상기 제2플랜지의 하측면 사이에 통기 유로가 형성된다.The opening means corresponds to a first waveform part formed so that the peaks and valleys are curved in a continuous waveform on one side of the cut-out part, and the first waveform part on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form par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aveform portion in the form of a shape to be forme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waveform por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waveform portion, so that when the cutout portion is cut, the valley portion of the second waveform portion and the second A ventilation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flanges.
상기 제2파형부는 하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aveform por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제조공정은 언더컷 성형이 각각 이루어지는 진공 성형용 금형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각 모서리부위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끼움공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탈형시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측에 언더컷 성형용 돌부가 오목홈부측으로 돌출된 회전커버; 및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탈형 중 회전동작되는 회전커버를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의 탈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 진공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at each upper corner of the vacuum forming mold in which the undercut forming is performed, and having fitting holes 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toward each corner; They are respectively dispos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are rotatably provided so as to be turned outward around a hinge pin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are demolded, and a protrusion for undercut molding on the inside protrudes toward the concave groove. turned cover; and a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rotating cover, which is rotated during demold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demold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is completed.
본 발명은 뚜껑의 제2플랜지의 4변 중 3변이 연결되고 제1,2손잡이 중 하나가 포함된 절취부를 절취선을 따라 절취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포장 용기가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경우 절취부가 절취되기 전에는 뚜껑의 개방 전 밀폐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식품 안전성을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으며, 최초 개방을 위한 절취부의 절취동작시에는 제1,2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수납공간 내의 진공 부압 상태가 해제되면서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최초 개방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ut-out part includ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in which three of the four sides of the second flange of the lid can be 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is displayed on a store shelf, the perforation is cut off Before the lid is opened,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sealing state before opening, so that the food safety can be trusted by the consumer. It has the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first open the lid from the container body as the condition is released.
또한, 본 발명은 절취부가 절취되기 전에 뚜껑이 용기 본체에 진공 부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포장 용기 내에 담겨진 식품을 오염시키거나 훼손시킬 수 없게 되어 식품 등의 물품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d is sealed to the container body in a vacuum negative pressure state before the cutout is cut, it is impossible to contaminate or damage the food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displayed on the display stand of the store, so that the storage of goods such as food is improve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improved.
본 발명은 절취부에 제1파형부를 형성시키고 제1플랜지에 상기 제1파형부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더 길이가 긴 제2파형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절취부의 절취동작시 상기 제2플랜지의 하측면과 상기 제2파형부의 골 부위 사이에 통기 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통기 유로를 통해 외기를 수납공간 내에 유입시켜 수납공간 내의 진공 부압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rst corrugated portion in a cutout and forms a second corrugated portion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corrugated portion in the first flang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the It is possible to form a ventilation flow path between the valleys of the second corrugated portion,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in the storage space can be easily released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ventilation flow passage.
그리고 본 발명은 언더컷 성형부와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회전 및 복원동작이 가능한 회전커버를 갖는 진공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한 뚜껑과 용기 본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포장 용기인 용기 본체와 뚜껑의 제작과정에서 금형과의 탈형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the lid and the container body using a vacuum molding mold having a rotary cover that can rotate and restore to facilitate demolding with the undercut molding part, so that the lid and the container body, which are packaging containers, are manufactured. In the process, the demolding operation with the mold is smoothly performed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뚜껑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뚜껑과 용기 본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뚜껑과 절취부의 분리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 개방수단의 변형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서 절취부가 절취된 후의 제2파형부와 제1플랜지 사이에 통기 유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포장 용기가 제작되는 진공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및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led safety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li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lid and the container body.
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lid and the cut-ou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ing means.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ventilation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rrugated portion and the first flange after the cut-out portion in Figure 6a.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 for vacuum molding from which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nd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mold for vacuum molding.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의 포장 용기(10)는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으로 대별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납공간(110)을 가지며 상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측의 가장자리에 제1플랜지(120)가 형성되며 뚜껑(200)과의 결합시 상기 수납공간(110) 내에 진공 부압이 작용하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밀착되게 결합되며 테두리 부위에 상기 제1플랜지(120)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220)가 형성된 뚜껑(200)과; 상기 뚜껑(200)의 제2플랜지(220) 일부가 절취되도록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10) 내로 공급하여 진공 부압상태를 해제시키는 개방수단(300);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수단(300)은 상기 제2플랜지(220)가 4변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플랜지(22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2손잡이(310,320)와, 상기 제1,2손잡이(310,320)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4변 중 3개의 변이 연결되는 절취선(335)을 이용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취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sealed safety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has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본체(100)는 사각형 상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1플랜지(120)가 형성된 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는다.1 and 2, the
상기 뚜껑(200)은 상기 제1플랜지(120)와 동일하게 4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 단면 구조의 제2플랜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220)의 좌측에 제1손잡이(310)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플랜지(220)의 우측에 제2손잡이(320)가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뚜껑(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210)는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10) 내에 감겨진 식품 등의 물품 상부가 수납되는 공간이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측에 단턱진 지지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15)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철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시 상기 지지턱(115)의 상측에 안착되는 고정턱(225)이 상기 뚜껑(200)의 하측면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25)에 상기 철부(13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의 요홈부(230)가 형성되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시 요홈부(230) 내에 철부(130)가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1 and 2, the combination of the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개방수단(300)은 상기 절취부(330)의 한 변에 산과 골이 연속된 파형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된 제1파형부(340)와, 상기 제1파형부(340)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플랜지(120)의 한 변에 상기 제1파형부(340)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2파형부(35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파형부(340)의 수평방향 길이(L1)보다 상기 제2파형부(350)의 수평방향 길이(L2)를 더 길게 형성한 것이다(L1<L2).Referring to FIG. 6A , the opening means 300 includes a first
즉, 제2파형부(350)는 길이가 제1파형부(340)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취부(330)가 제2플랜지(220)로부터 절취되기 전에는 제1,2파형부(340,350)가 요철 형태로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110)의 진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지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파형부(340)가 형성된 절취부(330)가 제2플랜지(220)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외기가 수납공간(1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That is, as the second
이로 인해, 상기 절취부(330)를 제2플랜지(22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절취부(330)를 절취한 후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공간(110) 내로 공급되어 진공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파형부(350)의 골 부위와 상기 제1플랜지(120)의 하측면 사이에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통기 유로(355)가 형성된다.For this reason, after the cut-out
상기 제1파형부(340)가 절취된 후에 형성되는 상기 통기 유로(355)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평면형태의 상기 제2플랜지(220)의 하부면이 마련되고, 하부가 오목한 골 형태를 갖는 제1플랜지(120)의 제2파형부(350)가 구성되어서, 하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6B ,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제조공정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랜지(120,220)의 언더컷 성형이 각각 이루어지는 진공 성형용 금형(40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각 모서리부위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끼움공(452)이 형성된 돌출부(450)와; 상기 돌출부(450)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시 상기 끼움공(452)에 끼워지는 힌지핀(505)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측에 언더컷 성형용 돌부(550)가 오목홈부(405)측으로 돌출된 회전커버(500); 및 상기 포장 용기의 탈형 중 회전동작되는 회전커버(500)를 상기 포장 용기의 탈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600);으로 구성된 진공 성형용 금형(400)에 의해 성형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상기 각각의 회전커버(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탈형시 탈형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탈형되는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이 하측에 위치한 금형의 언더컷 성형용돌부(550)와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외측으로 젖혀지게 회전 동작된다.As shown in FIG. 8, each of the rotary covers 500 has a
이로 인해, 상기 회전커버(500)의 젖힘동작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언더컷 성형부(15)가 상기 회전커버(500)의 언더컷 성형용 돌부(55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금형의 언더컷 성형부(15)와 언더컷 성형용 돌부(550)의 간섭없이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을 용이하게 탈형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8 during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650)은 상기 회전커버(500)의 회전동작시 길이가 길어지도록 신장 동작된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탈형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탈형 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복귀스프링(650)이 수축 동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500)가 상기 복귀스프링(650)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동작된다.After the demolding operation of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귀수단(600)은 상기한 회전커버(500)를 각각 탈형작업이 완료된 후에 원 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반복적인 진공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eturn means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repeated vacuum forming operations of the
상기 회전커버(500)의 젖힘 동작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상기 복귀수단(300)은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400)의 각 변 테두리에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공(610)과, 상기 제1지지공(610)과 수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커버(500)의 상,하로 천공되는 제2지지공(620)과,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400)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공(61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지지홈(630)과, 상기 회전커버(5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공(620)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지지홈(640)과, 상기 제1지지공(6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복귀스프링(650)과, 상기 복귀스프링(65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홈(640)에 수용되는 상부연결바(660), 및 상기 복귀스프링(65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630)에 수용되는 하부연결바(670)로 구성된다.The return means 300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상기 복귀수단(600)은 상기 회전커버(500)를 상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고 복원스프링(65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성형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return means 60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상기 제1,2파형부(340,350)도 상기 언더컷 성형용 돌부(550)에 의해 성형된다.The first and second
또한, 본 발명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조립작업은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10) 내에 식품 등의 물품을 수납한 후에,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밀착시킴과 아울러, 제1플랜지(120)의 상측에 제2플랜지(220)가 밀착되게 결합시키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수납공간(110) 내에 진공 부압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된다.In addition, the assembly operation of the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1,2손잡이(310,320) 중 절취부(330)와 연결된 제1손잡이(310)를 파지한 상태로 잡아 당기면, 상기 절취부(330)가 절취선(335)을 기준으로 제2플랜지(22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절취부(330)가 분리된 부위의 상기 제1,2플랜지(120,2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외기가 상기 틈새를 통해 수납공간(1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수납공간(110) 내의 진공 부압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한다.In order to separate the
평상시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이 밀폐된 상태일 경우 상기 수납공간(110) 내에 진공 부압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뚜껑(200)과 용기 본체(10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만, 초기 뚜껑(200)의 개폐상태가 해제된 후에 상기 수납공간(110) 내의 진공 부압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00)에 대한 뚜껑(20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When the
상기 뚜껑(200)의 초기 개방동작시 절취부(330)에 포함되지 않은 제2손잡이(320)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에 잡아당기면, 상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개방되고, 이후에는 진공 부압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20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When the user grips and pulls the
한편, 상기 제1플랜지(120)에 제2파형부(350)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330)에 제1파형부(34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절취부(330)를 절취선(335)을 기준으로 절취되도록 분리시키면, 상기 제1,2플랜지(120,220) 사이의 통기 유로(355)가 성형되면서 외기가 상기 수납공간(110)의 내부로 유입가능한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상기 통기 유로(355)는 상기 절취된 부위의 제2플랜지(220)의 하측면과 제1플랜지(120)의 제2파형부(350)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2파형부(350)의 골 부위와 상기 제2플랜지(220)의 하측면 사이의 높이 차가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110) 내의 진공 부압 상태를 대기압으로 전환시켜 상기 뚜껑(200)의 개방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뚜껑(200)의 제2플랜지(220)의 4변 중 3변이 연결되고 제1,2손잡이(310,320) 중 하나가 포함된 절취부(330)를 절취선(335)을 따라 절취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포장 용기(10)가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경우 절취부(330)가 절취되기 전일 경우 뚜껑(200)의 밀폐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식품 안전성을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으며, 최초 개방을 위한 절취부(330)의 절취동작시에는 제1,2플랜지(120,220)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수납공간(110) 내의 진공 부압 상태가 해제되면서 뚜껑(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최초 개방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of the four sides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절취부(330)가 절취되기 전에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에 진공 부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매장의 진열대에 진열된 포장 용기(10) 내에 담겨진 식품을 오염시키거나 훼손시킬 수 없게 되어 식품 등의 물품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절취부(330)에 제1파형부(340)를 형성시키고 제1플랜지(120)에 상기 제1파형부(340)의 수평방향 길이(L1)보다 더 길이가 긴 제2파형부(350)를 형성시킴으로써, 절취부(330)의 절취동작시 상기 제2플랜지(220)의 하측면과 상기 제2파형부(350)의 골 부위 사이에 통기 유로(355)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통기 유로(355)를 통해 외기를 수납공간(110) 내에 유입시켜 수납공간(110) 내의 진공 부압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그리고 본 발명은 언더컷 성형부와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회전 및 복원동작이 가능한 회전커버(500)를 갖는 진공 성형용 금형(400)을 이용하여 상기한 뚜껑(200)과 용기 본체(100)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포장 용기인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제작과정에서 금형과의 탈형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포장 용기 100 : 용기 본체
110 : 수납공간 115 : 지지턱
120 : 제1플랜지 130 : 철부
200 : 뚜껑 210 : 고정돌부
220 : 제2플랜지 230 : 요홈부
300 : 개방수단 310 : 제1손잡이
320 : 제2손잡이 330 : 절취부
335 : 절취선 340 : 제1파형부
350 : 제2파형부 355 : 통기 유로
400 : 진공 성형용 금형 405 : 오목홈부
450 : 돌출부 452 : 끼움공
500 : 회전커버 505 : 힌지핀
550 : 언더컷 성형용 돌부 600 : 복귀수단
610,620 : 제1,2지지공 630,640 : 제1,2지지홈
650 : 복귀스프링 660,670 : 상,하부연결바10: packaging container 100: container body
110: storage space 115: support jaw
120: first flange 130: iron part
200: lid 210: fixing protrusion
220: second flange 230: groove
300: opening means 310: first handle
320: second handle 330: cutout
335: perforated line 340: first waveform part
350: second waveform part 355: ventilation flow path
400: mold for vacuum forming 405: concave groove
450: protrusion 452: fitting hole
500: rotation cover 505: hinge pin
550: protrusion for undercut molding 600: return means
610,620: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630,640: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650: return spring 660,670: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
Claims (4)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밀착되게 결합되며 테두리 부위에 상기 제1플랜지(120)와 대응되는 제2플랜지(220)가 형성된 뚜껑(200)과;
상기 뚜껑(200)의 제2플랜지(220) 일부가 절취되도록 형성되는 개방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수단(300)은 상기 제2플랜지(220)가 4변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플랜지(22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2손잡이(310,320)와, 상기 제1,2손잡이(310,320)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4변 중 3개의 변이 연결되는 절취선(335)을 이용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취부(330)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측에 단턱진 지지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15)에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철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시 상기 지지턱(115)의 상측에 안착되는 고정턱(225)이 상기 뚜껑(200)의 하측면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25)에 상기 철부(13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의 요홈부(230)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시 상기 요홈부(230) 내에 철부(130)가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a container body 100 having a storage space 110 and an upper opening, a first flange 120 is formed on an edge of the opened upper side, and coupled to the lid 200;
a lid 200 that is closely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has a second flange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nge 120 formed at an edge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means 300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flange 220 of the lid 200 is cut off;
The opening means 300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flange 220 has four sides,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310 and 320 protruding outward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lange 220, and the It include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310 and 320 and consists of a cutout 330 formed so as to be cutable using a perforated line 335 to which three of the four sides are connected,
A stepped support jaw 115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 and a convex part 130 protruding vertically upwardly on the support jaw 115 is formed, and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are formed. ), a fixed jaw 225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jaw 115 is formed to be stepp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d 200 , and the convex part 130 is fitted to the fixed jaw 225 and coupled A concave groove-shaped recess 230 is formed so that whe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are coupled, the convex part 130 is coupled to the recessed part 230 in a fitting manner. Sealed safe packaging container.
상기 개방수단(300)은 상기 절취부(330)의 한 변에 산과 골이 연속된 파형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된 제1파형부(340)와,
상기 제1파형부(340)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플랜지(120)의 한 변에 상기 제1파형부(340)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2파형부(35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파형부(340)의 수평방향 길이(L1)보다 상기 제2파형부(350)의 수평방향 길이(L2)를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절취부(330)의 절취시 상기 제2파형부(350)의 골 부위와 상기 제2플랜지(220)의 하측면 사이에 통기 유로(3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means 300 includes a first corrugated portion 340 formed to be curved in a continuous waveform with mountains and valleys on one side of the cut-out portion 330,
A second waveform portion 35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form portion 34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flange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veform portion 340,
The horizontal length L2 of the second waveform portion 350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L1 of the first waveform portion 340 , so that when the cut-out portion 330 is cut, the second waveform A sealed safety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flow path (355) is formed between the valley portion of the portion (3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220).
상기 제2파형부(350)는 하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orrugated portion 350 is a sealed safety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제조공정은 언더컷 성형이 각각 이루어지는 진공 성형용 금형(40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각 모서리부위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끼움공(452)이 형성된 돌출부(450)와;
상기 돌출부(450)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탈형시 상기 끼움공(452)에 끼워지는 힌지핀(505)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측에 언더컷 성형용 돌부(550)가 오목홈부(405)측으로 돌출된 회전커버(500); 및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탈형 중 회전동작되는 회전커버(500)를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탈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600);으로 구성된 진공 성형용 금형(400)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each upper corner of the vacuum forming mold 400 in which the undercut forming is performed protrudes upwardly, and the fitting hole ( 452)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50;
They are respectively dispos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450 , and rotate to be turned to the outside around the hinge pin 505 fitted in the fitting hole 452 whe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are demolded. The rotation cover 500 is provided as possible and the undercut molding protrusion 550 protrudes toward the concave groove portion 405 on the inside; and
Return means (600) for returning the rotating cover (500), which is rotated during demolding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demolding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lid (200) is completed. A sealed safe packag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lded by a vacuum molding mold 400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55282A KR102327436B1 (en) | 2020-05-08 | 2020-05-08 | Safty air tight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55282A KR102327436B1 (en) | 2020-05-08 | 2020-05-08 | Safty air tight contain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27436B1 true KR102327436B1 (en) | 2021-11-17 |
Family
ID=787024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55282A Active KR102327436B1 (en) | 2020-05-08 | 2020-05-08 | Safty air tight contai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2743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68250A (en) | 2023-11-09 | 2025-05-16 | 김치곤 | Sealed container structure |
| KR20250085546A (en) | 2023-12-05 | 2025-06-12 | 장성호 | many purposes remover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82213Y1 (en) | 2002-04-30 | 2002-07-22 | 장진철 | Lid opening department structure of closeness cask |
| JP2005059881A (en) * | 2003-08-11 | 2005-03-10 | Kureha Chem Ind Co Ltd | Easily unsealabl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90015971A (en) * | 2006-05-19 | 2009-02-12 |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 Microwave Cooking Package |
| JP2011102128A (en) * | 2009-11-10 | 2011-05-26 | Fp Corp | Pac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62291B1 (en) | 2010-02-26 | 2012-07-04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Package container |
| KR101581017B1 (en) * | 2014-09-16 | 2016-01-11 | 에코그린 (주) | Food storage containers tha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added |
| KR20210070576A (en) * | 2019-12-05 | 2021-06-15 | 김치곤 | Mold structure for vacuum forming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282A patent/KR1023274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82213Y1 (en) | 2002-04-30 | 2002-07-22 | 장진철 | Lid opening department structure of closeness cask |
| JP2005059881A (en) * | 2003-08-11 | 2005-03-10 | Kureha Chem Ind Co Ltd | Easily unsealabl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90015971A (en) * | 2006-05-19 | 2009-02-12 |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 Microwave Cooking Package |
| JP2011102128A (en) * | 2009-11-10 | 2011-05-26 | Fp Corp | Pack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62291B1 (en) | 2010-02-26 | 2012-07-04 |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 Package container |
| KR101581017B1 (en) * | 2014-09-16 | 2016-01-11 | 에코그린 (주) | Food storage containers tha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added |
| KR20210070576A (en) * | 2019-12-05 | 2021-06-15 | 김치곤 | Mold structure for vacuum forming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68250A (en) | 2023-11-09 | 2025-05-16 | 김치곤 | Sealed container structure |
| KR20250085546A (en) | 2023-12-05 | 2025-06-12 | 장성호 | many purposes remov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345510B2 (en) |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 |
| US3401827A (en) | Removable container lid with integral folding handle | |
| US4974738A (en) |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 |
| CA2118233C (en) | Latch for a container | |
| US5012928A (en) | Stackable food container with lid | |
| CA2823863C (en) | Cutlery utensil dispensing package | |
| US5213256A (en) | Container assembly having a removable insert/divider | |
| US3703383A (en) | Food product package | |
| KR102327436B1 (en) | Safty air tight container | |
| US10589906B2 (en) | Tray with re-closeable lid | |
| US20170283129A1 (en) | Container and lid assembly | |
| US4148418A (en) | Dispenser for cartons | |
| US4368840A (en) | Packaging container | |
| JP3451051B2 (en) | Food storage containers | |
| TWI746252B (en) | Container box | |
| KR101358360B1 (en) | Disposable airtight container | |
| KR200482559Y1 (en) | Complex storage box for goods | |
| US20070181574A1 (en) | Packaging for butter or similar products | |
| KR19980067913U (en) | Packaging paper box | |
| KR200403040Y1 (en) | Lock up structure of food keeping container | |
| KR200361205Y1 (en) | Fruit packing container | |
| JP3939790B2 (en) | Packaging container | |
| US20220371793A1 (en) | Airtight container | |
| KR101603850B1 (en) | An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a variable form container | |
| KR200394927Y1 (en) | Packaging box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