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04B1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8104B1 KR102328104B1 KR1020170105603A KR20170105603A KR102328104B1 KR 102328104 B1 KR102328104 B1 KR 102328104B1 KR 1020170105603 A KR1020170105603 A KR 1020170105603A KR 20170105603 A KR20170105603 A KR 20170105603A KR 102328104 B1 KR102328104 B1 KR 1023281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 area
- layer
- region
- b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5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01L27/3246—
-
- H01L27/3262—
-
- H01L27/3276—
-
- H01L51/0097—
-
- H01L51/525—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벤딩된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배선,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제2 배선 및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보상패턴을 포함하며, 벤딩영역에 있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일부 영역은 서로 중첩하며, 보상패턴은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중첩영역에 있다.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t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A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and on a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wir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compensation pattern on the second wiring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where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overlaps each other, and the compensation pattern includes the overlapping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s in the area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capable of minimizing defects in the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표시장치에 대해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 등의 성능을 개발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As we enter the information age in earnest, the field of display devices that visually display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is developing rapidly, and research to develop performance such as thinness, weight reduc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for various display devices is continuing.
대표적인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Representative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and the like.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구현, 응답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device, and 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so it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and thin form.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not only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ue to low voltage driving, but also has excellent color realizatio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R),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유기발광 표시장치에는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물을 사용한 발광층(Emissive Layer; EML)을 배치한다. 애노드에서의 정공(Hole)을 발광층으로 주입시키고, 캐소드에서의 전자(Electron)를 발광층으로 주입시키면,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서로 재결합하면서 발광층에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며 발광한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L) is disposed between two electrodes of an anode and a cathode. When holes from the anode are injected into the emission layer and electrons from the cathode are injected into the emission layer,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with each other to form excitons in the emission layer and emit light.
이때, 발광층에는 호스트(Host) 물질과 도펀트(Dopant) 물질이 포함되어 두 물질의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호스트는 전자와 정공으로부터 여기자를 생성하고 도펀트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도펀트는 소량이 첨가되는 염료성 유기물로, 호스트로부터 에너지를 받아서 광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layer contains a host material and a dopant material, so that the two materials interact. The host generates excitons from electrons and holes and serves to transfer energy to the dopant, and the dopant is a dye-type organic material added in a small amount, and serves to receive energy from the host and convert it into light.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리(Glass), 금속(Metal) 또는 필름(Film)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봉지(Encapsulation)하여 외부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내부로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여 발광층 및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made of an organic material encapsulat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glass, metal, or film, thereby allowing moisture or oxygen to ent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It blocks the inflow to prevent oxida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electrode, and protects it from mechanical or physical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표시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장치의 동일 면적에서 유효 표시 화면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표시영역(Active Area; A/A)의 외곽부인 베젤(Bezel) 영역을 축소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As the display device becomes smaller,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bezel area, which is the outer portion of the active area (A/A),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 display screen size in the same area of th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비표시영역(Non-active Area; N/A)에 해당하는 베젤영역에는 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 및 구동회로가 배치되기 때문에, 베젤영역을 축소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In general, since wiring and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screen are disposed in a bezel area corresponding to a non-active area (N/A),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bezel area.
최근 개발되고 있는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연성재료의 플렉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을 적용하여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는 배선 및 구동회로를 위한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베젤영역을 축소시키기 위해서 플렉시블 기판의 비표시영역을 벤딩(Bending)하여 베젤영역을 축소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다. In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maintain display performance even when bent by applying a flexible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lastic, which has been recently developed, the bezel area is reduced while securing the area for wiring and driving circuits. In order to do this,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bezel area by bending the non-display area of the flexible substrate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그리고, 플라스틱 등과 같이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되는 각종 절연층 및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배선 등의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addition,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a flexible substrate such as plastic, it is necessary to secure flexibility such as a substrate, various insulating layer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wir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배선의 경우, 배선이 형성된 기판을 벤딩하면 벤딩에 의한 인장력에 기인하여 배선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 배선에서 크랙이 발생되면, 정상적인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박막 트랜지스터나 유기발광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고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불량으로 이어진다. In the case of wiring, when a substrate on which wiring is formed is bent, cracks may be generated in the wiring due to tensile force caused by bending. When a crack is generated in the wiring, normal signal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thin film transistor 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not operate normally, leading to a defect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절연층의 경우, 절연층을 구성하는 무기막 또는 유기막 물질 자체가 취성(brittleness)의 특성을 가지므로, 절연층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배선에 비해 플렉서빌리티가 상당히 떨어진다. 따라서, 절연층이 형성된 기판을 벤딩하면 벤딩에 의한 인장력에 기인하여 절연층에도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nsulating layer, since the inorganic or organic material itself constituting the insulating layer has a characteristic of brittleness, the insulating layer has considerably lower flexibility than a wiring formed of a metal. Accordingly, when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is bent, cracks may also occur in the insulating layer due to the tensile force caused by bending.
중립면(Neutral Plane; N/P)은 어떤 구조물이 벤딩되는 경우, 그 구조물에 인가되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상쇄되어 응력을 받지 않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벤딩될때 중립면을 기준으로 상면에 배치되는 층은 늘어나게 되어 인장력을 받고, 하면에 배치되는 층은 압축되게 되므로 압축력을 받는다. 이때, 배선이나 절연층의 경우 동일한 크기의 압축력과 인장력 중 인장력을 받는 경우에 더 취약하므로, 인장력을 받지 않거나, 인장력을 받더라고 그 힘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립면을 최적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 neutral plane (N/P) refers to a virtual plane that is not subjected to stress because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applied to the structure cancel each other when a structure is bent. When bending, the lay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neutral plane is stretched to receive a tensile force, and the layer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is compressed and thus receives a compressive force. At this time, since the wiring or insulating layer is more vulnerable when subjected to tensile force among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of the same magnitude, it is very important to optimize the neutral plane in order to minimize the magnitude of the force even if it does not receive tensile force or receives tensile force. .
그리고, 중립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조물들로 인해서 중립면이 급격하게 바뀌는 경우, 중립면이 급격하게 바뀌는 영역에서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서 중립면이 급격하게 바뀌는 영역의 절연층이 크랙이 발생되어 중립면을 가능하면 변화가 적도록 유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when the neutral plane is abruptly changed due to structures disposed adjacent to the neutral plane, compressive force and tensile force may simultaneously act in a region where the neutral plane is abruptly changed. For this reason, cracks occur in the insulating layer in the region where the neutral plane changes rapidly, an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neutral plane as little as possible.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벤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에서의 크랙으로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invente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defects caused by cracks in wiring formed in a bent reg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그리고,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해상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배선을 배치할 공간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 배선을 보다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In addi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recognized that the space to arrange wiring is insufficient as the resolu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gradually increased, and developed a new stru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 which wiring can be more freely arranged in a limited space. invent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벤딩된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배선,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제2 배선 및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보상패턴을 포함하며, 벤딩영역에 있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일부 영역은 서로 중첩하며, 보상패턴은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중첩영역에 있다.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t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A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and on a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wir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compensation pattern on the second wiring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where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overlaps each other, and the compensation pattern includes the overlapping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s in the area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 외곽을 두르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비표시영역에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이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영역,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비표시영역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기판 및 제1 평탄화층 상에 각각 있는 배선 및 벤딩영역에 있는 배선의 일부 영역과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배선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영역 상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벤딩영역의 중립면이 플렉시블 기판에서 멀어지게 하는 보상패턴을 포함한다.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nd a flexible substrate in the non-display area.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the bending area including the bent area,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including the bending area, the wiring and the bending area o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respectively It is disposed on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a partial region of the interconnection and a part region of the interconnection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overlap, and includes a compensation pattern that moves the neutral plane of the bending region away from the flexible substrate to prevent damage to the bending region. do.
본 명세서는 벤딩영역에 보상패턴을 구성함으로써, 벤딩영역의 중립면을 최적화하여 벤딩영역에 형성되는 크랙으로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defects caused by cracks formed in the bending region by optimizing the neutral plane of the bending region by configuring the compensation pattern in the bending region.
본 명세서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배선을 제한된 공간 내에서 보다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that wiring used in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can be more freely arranged in a limited space.
본 명세서는 벤딩영역에 두 개의 배선들을 연결하는 영역을 구성함으로써, 벤딩 시에 집중되는 응력에도 배선이 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되므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configuring a region connecting two wirings in the bending region, the resistance of the wiring to stress is strengthened even in stress concentrated during bending,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racks.
본 명세서는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배치되는 배선 중 적어도 일부분은 벤딩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사선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크랙 발생을 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ing including the bending region to extend in an oblique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bend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ensile forc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cracks.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명세서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명세서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described in the problems to be solved above,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laims, the scope of the claims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및 그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제1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제2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pixel included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included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nding region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enlarged views of a portion of a bending region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area of a bending area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econd area of a bending area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도 1을 참조하면,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영상처리부(110), 타이밍 컨트롤러(120), 데이터드라이버(130), 게이트드라이버(140) 및 표시패널(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영상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처리부(110)는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 외에도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타이밍컨트롤러(120)는 영상처리부(110)로부터 데이터인에이블신호(DE) 또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컨트롤러(1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드라이버(140)의 동작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드라이버(130)의 동작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The
데이터드라이버(130)는 타이밍컨트롤러(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컨트롤러(1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드라이버(130)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The
게이트드라이버(140)는 타이밍컨트롤러(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드라이버(140)는 게이트라인들(GL1~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The
표시패널(150)은 데이터드라이버(130) 및 게이트드라이버(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화소(160)가 발광하면서 영상을 표시한다. 화소(160)의 상세구조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다.The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화소의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pixel included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의 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40), 구동 트랜지스터(250), 보상회로(260) 및 유기발광소자(2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a pixel of the
유기발광소자(270)는 구동 트랜지스터(250)에 의해 형성된 구동전류에 따라 발광하도록 동작한다.The organic
스위칭 트랜지스터(240)는 게이트라인(220)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라인(230)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apacitor)에 데이터 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The switching
구동 트랜지스터(250)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대응하여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GND) 사이로 일정한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The driving
보상회로(260)는 구동 트랜지스터(350)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며, 보상회로(260)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보상회로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전계발광 표시장치(200)의 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40), 구동 트랜지스터(250),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소자(270)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지만, 보상회로(260)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1C, 6T2C, 7T1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xel of the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화소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included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기판(310)은 상부에 배치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최근에는 플렉시블(Flexible) 특성을 가지는 연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판(310)은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The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은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형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including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ester-based polymer, a silicone-based polymer, an acrylic polymer, a polyolefin-based polymer, and a copolymer thereof.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실란 (polysilane), 폴리실록산 (polysiloxane), 폴리실라잔 (polysilazane), 폴리카르보실란 (polycarbosilane),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acrylat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olymethyl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polyethylacrylate),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metacrylate),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 (COC), 사이클릭 올레핀 폴리머 (COP),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이미드 (P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스타이렌 (PS), 폴리아세탈 (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스테르설폰 (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PVDF), 퍼플루오로알킬 고분자 (PFA), 스타이렌아크릴나이트릴코폴리머 (SAN)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silane (polysilane), polysiloxane (polysiloxane), polysilazane (polysilazane), polycarbosilane (polycarbosilane), polyacrylate (polyacrylate) ), polymethacrylate, polymethyl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olyethylacrylate, polyethylmethacrylate, cyclic olefin copolymer ( COC), cyclic olefin polymer (COP),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imide (PI),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styrene (PS), polyacetal (POM), polyether Etherketone (PEEK), polyester sulfone (PE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PC),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erfluoroalkyl polymers ( PFA), styrene-acrylnitrile copolymer (SAN), and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기판(310) 상에 버퍼층을 더 배치할 수 있다. 버퍼층은 기판(310)을 통한 수분이나 다른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310) 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버퍼층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기판 (310) 의 종류나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320)의 종류에 따라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A buffe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기판(310) 상에 배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320)는 게이트전극(322), 소스전극(324), 드레인전극(326) 및 반도체층(328)을 포함한다.The
반도체층(328)은 비정질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비정질 실리콘보다 우수한 이동도(Mobility)를 가져서 에너지 소비 전력이 낮고 신뢰성이 우수하여, 화소 내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할 수 있는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최근에는 산화물(Oxide) 반도체가 이동도와 균일도가 우수한 특성으로 각광받고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4원계 금속 산화물인 인듐 주석 갈륨 아연 산화물 (InSnGaZnO) 계 재료, 3원계 금속 산화물인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 (InGaZnO) 계 재료,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 (InSnZnO) 계 재료, 인듐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 (InAlZnO) 계 재료, 주석 갈륨 아연 산화물 (SnGaZnO) 계 재료, 알루미늄 갈륨 아연 산화물 (AlGaZnO) 계 재료, 주석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 (SnAlZnO) 계 재료, 2원계 금속 산화물인 인듐 아연 산화물 (InZnO) 계 재료, 주석 아연 산화물 (SnZnO) 계 재료,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 (AlZnO) 계 재료, 아연 마그네슘 산화물 (ZnMgO) 계 재료, 주석 마그네슘 산화물 (SnMgO) 계 재료, 인듐 마그네슘 산화물 (InMgO) 계 재료, 인듐 갈륨 산화물 (InGaO) 계 재료나, 인듐 산화물 (InO) 계 재료, 주석 산화물 (SnO) 계 재료, 아연 산화물 (ZnO) 계 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소의 조성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Recently, oxide semiconductors have been spotlighted for their excellent mobility and uniformity. The oxide semiconductor is a quaternary metal oxide indium tin gallium zinc oxide (InSnGaZnO)-based material, a ternary metal oxide indium gallium zinc oxide (InGaZnO)-based material, indium tin zinc oxide (InSnZnO)-based material, indium aluminum zinc oxide (InAlZnO) ) based material, tin gallium zinc oxide (SnGaZnO) based material, aluminum gallium zinc oxide (AlGaZnO) based material, tin aluminum zinc oxide (SnAlZnO) based material, indium zinc oxide (InZnO) based material as binary metal oxide, tin zinc Oxide (SnZnO)-based material, aluminum zinc oxide (AlZnO)-based material, zinc magnesium oxide (ZnMgO)-based material, tin magnesium oxide (SnMgO)-based material, indium magnesium oxide (InMgO)-based material, indium gallium oxide (InGaO)-based material material, an indium oxide (InO)-based material, a tin oxide (SnO)-based material, a zinc oxide (ZnO)-based material, or the like,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ele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반도체층(328)은 p형 또는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소스영역(Source Region), 드레인영역(Drain Region), 및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사이에 채널(Channel)을 포함할 수 있고, 채널과 인접한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사이에는 저농도 도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게이트절연층(331)은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된 절연막이며, 반도체층(328)에 흐르는 전류가 게이트전극(322)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실리콘산화물은 금속보다는 연성이 떨어지지만, 실리콘질화물에 비해서는 연성이 우수하며 그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게이트전극(322)은 게이트라인을 통해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박막 트랜지스터(320)를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도전성 금속인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네오디뮴(Nd) 등이며, 이에 대한 합금으로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소스전극(324) 및 드레인전극(326)은 데이터라인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기신호가 박막 트랜지스터(320)에서 유기발광소자(340)로 전달되도록 한다. 소스전극(324) 및 드레인전극(326)은 도전성 금속인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네오디뮴(Nd) 등의 금속 재료나 이에 대한 합금으로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게이트전극(322)과 소스전극(324) 및 드레인전극(326)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서 실리콘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의 단일층이나 다중층으로 구성된 층간절연층(333)을 게이트전극(322)과 소스전극(324) 및 드레인전극(326)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In order to insulate the
박막 트랜지스터(320) 상에 실리콘산화물(SiOx), 실리콘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막으로 구성된 패시베이션층(335)을 배치한다. 패시베이션층(335)은 박막 트랜지스터(320)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을 막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손상 등을 막을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335)은 박막 트랜지스터(320) 및 유기발광소자(340)의 구성 및 특성에 따라서 생략할 수도 있다.A
박막 트랜지스터(320)는 박막 트랜지스터(3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위치에 따라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와 코플래너(Coplanar) 구조로 분류될 수 있다. 인버티드 스태거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을 기준으로 게이트전극이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코플래너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320)는 반도체층(328)을 기준으로 게이트전극(322)이 소스전극(324) 및 드레인전극(326)과 같은편에 위치한다. The
도 3에서는 코플래너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320)가 도시되었으나,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인버티드 스태거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중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으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도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배선으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배선으로부터의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전원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애노드로 전달하며, 애노드로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을 제어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illustrated among various thin film transist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but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 capacitor, and the lik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t this time, when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gate line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he signal from the data line is transferr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ansmits a current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wiring to the anode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controls light emission by the current transmitted to the anode.
박막 트랜지스터(320)를 보호하고 박막 트랜지스터(320)로 인해서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키며, 박막 트랜지스터(320)와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 유기발광소자(340) 들간의 사이에 발생되는 기생정전용량(Parasitic-Capacitance)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320) 상에 평탄화층(337)이 배치한다.The
평탄화층(337)은 아크릴계 수지 (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페놀 수지 (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 (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 (Polyimides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 (Polyphenylene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Benzocyclobutene)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그리고, 평탄화층(337)은 복수의 층들로도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한다. Also, the
평탄화층(337)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340)는 애노드(342), 발광부(344) 및 캐소드(346)를 포함한다.The organic
애노드(342)는 평탄화층(33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애노드(342)는 발광부(344)에 정공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극으로, 평탄화층(337)에 있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애노드(342)는 투명 도전성 물질인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그리고, 전계발광 표시장치(300)가 캐소드(346)가 배치된 상부로 광을 발광하는 탑에미션(Top Emission)일 경우 발광된 광이 애노드(342)에서 반사되어 보다 원활하게 캐소드(346)가 배치된 상부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애노드(342)는 투명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투명 도전층과 반사층이 차례로 적층된 2층 구조이거나, 투명 도전층, 반사층 및 투명 도전층이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일 수 있으며, 반사층은 은(Ag) 또는 은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애노드(342) 및 평탄화층(337) 상에 배치되는 뱅크(350)는 실제로 광을 발광하는 영역을 구획할 수 있는 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애노드(342) 상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형성한 후에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에 의해 뱅크(350)를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는 광의 작용에 의해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변화되는 감광성 수지를 말하며,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및 현상하여 특정 패턴이 얻어질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Positive Photoresist)와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Negative photoresist)로 분류될 수 있다.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는 노광으로 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증가되는 포토레지스트를 말하며,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면 노광부가 제거된 패턴이 얻어진다. 그리고,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는 노광으로 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크게 저하되는 포토레지스트를 말하며,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면 비노광부가 제거된 패턴이 얻어 진다. The
유기발광소자(340)의 발광부(344)를 형성하기 위해서 증착마스크인 FMM(Fine Metal Mask)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뱅크(350) 상에 배치되는 증착마스크와 접촉하여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고, 뱅크(350)와 증착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뱅크(350) 상부에 투명 유기물인 폴리이미드, 포토아크릴 및 벤조사이클로뷰텐(BCB) 중 하나로 구성되는 스페이서(Spacer; 352)를 배치할 수도 있다.In order to form the
애노드(342)와 캐소드(346) 사이에는 발광부(344)가 배치된다. 발광부(344)는 광을 발광하는 역할을 하며,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전계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조나 특성에 따라 발광부(444)의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발광층은 유기발광층 및 무기발광층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A
정공주입층은 애노드(342) 상에 배치하여 정공의 주입이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주입층은, 예를 들어, HAT-CN(dipyrazino[2,3-f:2’,3’-h]quinoxaline-2,3,6,7,10.11-hexacarbonitrile), CuPc(phthalocyanine), 및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e injection layer is disposed on the
정공수송층은 정공주입층 상에 배치하여 발광층으로 원활하게 정공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수송층은, 예를 들어,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s-TAD(2,2’,7,7’-tetrakis(N,N-dimethylamino)-9,9-spirofluorene), 및 MTDATA(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le transport layer is dispos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to smoothly transfer holes 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is, for example, NPD (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TPD (N,N'-bis) -(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s-TAD(2,2',7,7'-tetrakis(N,N-dimethylamino)-9,9-spirofluorene) , and MTDATA (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
발광층은 정공수송층 상에 배치되며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물질은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includes a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to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material.
발광층이 적색(Red)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하는 피크파장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으며, CBP(4,4'-bis(carbazol-9-yl)biphenyl) 또는 mCP(1,3-bis(carbazol-9-yl)benzene)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 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emission layer emits red light, the emission peak wavelength may be in the range of 600 nm to 650 nm, and CBP (4,4'-bis (carbazol-9-yl) biphenyl) or mCP (1,3) -bis(carbazol-9-yl)benzene) containing host material,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 iridium), PQIr (tris(1-phenylquinoline) iridium) and PtOEP (octaethylporphyrin platinum).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including PBD:Eu(DBM)3(Phen) or Perylene.
여기서, 피크파장(λmax)은 EL(ElectroLuminescence)의 최대 파장을 말한다. 발광부를 구성하는 발광층들이 고유의 광을 내는 파장을 PL(PhotoLuminescence)이라 하며, 발광층들을 구성하는 층들의 두께나 광학적 특성의 영향을 받아 나오는 광을 에미턴스(Emittance)라 한다. 이때, EL(ElectroLuminescence)은 전계발광 표시장치가 최종적으로 방출하는 광을 말하며, PL(PhotoLuminescence) 및 에미턴스(Emittance)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peak wavelength λmax refers to the maximum wavelength of EL (ElectroLuminescence). The wavelength at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s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unique light is called PL (PhotoLuminescence),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thickness or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yers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layers is called the emittance. In this case, EL (ElectroLuminescence) refers to light finally emitted by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ay be expressed as a product of PL (PhotoLuminescence) and an emittance (Emittance).
발광층이 녹색(Green)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하는 피크 파장은 520nm 내지 540nm 범위가 될 수 있으며,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Ir(ppy)3(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Ir complex와 같은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emission layer emits green light, the emission peak wavelength may be in the range of 520 nm to 540 nm, and includes a host material including CBP or mCP, and Ir(ppy) 3 (tris(2-phenylpyridine)iridium ) may be made of a phosphorescent material including a dopant material such as an Ir complex containing.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f a fluorescent material including Alq 3 (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발광층이 청색(Blue)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하는 피크 파장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으며,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FIrPic(bis(3,5-difluoro-2-(2-pyridyl)phenyl-(2-carboxypyridyl)iridium)를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nyl), DSA(1-4-di-[4-(N,N-di-phenyl)amino]styryl-benzene), PFO(polyfluorene)계 고분자 및 PPV(polyphenylenevinylene)계 고분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emission layer emits blue light, the emission peak wavelength may be in the range of 440 nm to 480 nm, and includes a host material including CBP or mCP, and FIrPic(bis(3,5-difluoro-2) -(2-pyridyl)phenyl-(2-carboxypyridyl)iridium) may be formed of a phosphorescent material including a dopant material, and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 Any of -1-yl)biphenyl), DSA (1-4-di-[4-(N,N-di-phenyl)amino]styryl-benzene), PFO (polyfluorene)-based polymer, and PPV (polyphenylenevinylene)-based polymer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including one.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을 배치하여 발광층으로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전자수송층은, 예를 들어, Liq(8-hydroxyquinolinolato-lithium), PBD(2-(4-biphenyl)-5-(4-tert-butylphenyl)-1,3,4-oxadiazole), TAZ(3-(4-biphen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spiro-PBD,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및 BAlq(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um)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electrons 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for example, Liq (8-hydroxyquinolinolato-lithium), PBD (2- (4-biphenyl) -5- (4-tert-butylphenyl) -1,3,4-oxadiazole), TAZ (3- (4-biphenyl)4-phenyl-5-tert-butylphenyl-1,2,4-triazole), spiro-PBD, BCP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and BAlq (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o)aluminum).
전자수송층 상에 전자주입층을 더 배치할 수 있다. 전자주입층은 캐소드(346)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유기층으로, 전계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서 생략할 수 있다. 전자주입층은 BaF2, LiF, NaCl, CsF, Li2O 및 BaO와 같은 금속 무기 화합물일 수 있고, HAT-CN(dipyrazino[2,3-f:2’,3’-h]quinoxaline-2,3,6,7,10.11-hexacarbonitrile), CuPc(phthalocyanine), 및 NPD(N,N’-bis(naphthalene-1-yl)-N,N’-bis(phenyl)-2,2’-dimethylbenzidin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An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is an organic layer that facilitates injection of electrons from the
발광층과 인접한 위치에 정공 또는 전자의 흐름을 저지하는 전자저지층(Electron Blocking Layer) 또는 정공저지층(Hole Blocking Layer)을 더 배치하여 전자가 발광층에 주입될때 발광층에서 이동하여 인접한 정공수송층으로 통과하거나 정공이 발광층에 주입될 때 발광층에서 이동하여 인접한 전자수송층으로 통과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further disposing an electron blocking layer or a hole blocking layer that blocks the flow of holes or electron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ght emitting layer, when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they move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pass through the adjacent hole transport layer or When a hole i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that the hole moves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passes to the adjacent electron transport layer, thereby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캐소드(346)는 발광부(344) 상에 배치되어, 발광부(344)로 전자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캐소드(346)는 전자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인 마그네슘(Mg), 은-마그네슘(Ag:Mg)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계발광 표시장치(300)가 탑에미션 방식의 경우, 캐소드(346)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i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일 수 있다.The
유기발광소자(340) 상에는 전계발광 표시장치(300)의 구성요소인 박막 트랜지스터(320) 및 유기발광소자(340)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 산소 또는 불순물들로 인해서 산화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봉지부(36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봉지층, 이물보상층 및 복수의 베리어필름(Barrier Film)이 적층되어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rganic
봉지층은 박막 트렌지스터(320) 및 유기발광소자(340)의 상부 전면에 배치되며, 무기물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알루미늄(AlyOz)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이물보상층 상에는 봉지층이 추가로 더 적층되어 배치할 수 있다. The encapsulation layer is dispos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이물보상층은 봉지층 상에 배치되며, 유기물인 실리콘옥시카본(SiOCz), 아크릴(Acryl) 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레진(Resin)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이물이나 파티클(Particle)에 의해서 발생된 크랙(Crack)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때 이물보상층에 의해서 굴곡 및 이물이 덮히면서 보상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compensation layer is dispos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and an 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ycarbon (SiOCz), acryl or epoxy resin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a defect occurs due to a crack generated by a foreign material or particles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it can be compensated for by being covered by the foreign material compensation layer and bending.
봉지층 및 이물보상층 상에 베리어필름을 배치하여 전계발광 표시장치(300)가 외부에서의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지연시킬 수 있다. 베리어필름은 투광성 및 양면 접착성을 띠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며, 올레핀(Olefin) 계열, 아크릴(Acrylic) 계열 및 실리콘(Silicon)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절연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COP(Cyclolefin Polymer), COC(Cycloolefin Copolymer) 및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된 베리어필름을 더 적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y disposing a barrier film on the encapsulation layer and the foreign material compensation layer, the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400)는 플렉시블 기판(41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소자를 통해서 실제로 광을 발광하는 화소가 배치되는 표시영역(Active Area; A/A) 및 표시영역(A/A)의 가장자리의 외곽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Non-active Area; N/A)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그리고,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400)의 플렉시블 기판(410)이 벤딩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플렉시블 기판(410)의 비표시영역(N/A)에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400)의 구동을 위한 회로 및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410) 상에 GIP(Gate in Panel)로 배치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플렉시블 기판(410)에 연결될 수도 있다.A circuit and wiring for driving the
플렉시블 기판 (410)의 비표시영역(N/A)의 일부를 화살표와 같은 벤딩방향으로 구부려서 벤딩영역(B/A)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410)의 비표시영역(N/A)은 화면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 및 구동회로가 배치되며,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아니므로, 플렉시블 기판(410)의 상면에서 시인될 필요가 없으며, 플렉시블 기판(410)의 비표시영역(N/A)의 일부영역을 벤딩하여 배선 및 구동회로를 위한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베젤영역을 축소시킬 수 있다.A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N/A of the
플렉시블 기판(410)의 벤딩영역(B/A)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 에서 설명한다.The bending region B/A of the
플렉시블 기판(410) 상에는 다양한 배선들이 형성된다. 배선은 기판(410)의 표시 영역(A/A)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는 회로배선(420)는 구동회로 또는 게이트드라이버, 데이터드라이버 등을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Various wirings are formed on the
회로배선(420)은 도전성물질로 형성하며, 플렉시블 기판(410)의 벤딩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A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영역(A/A)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도전성물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및 은(Ag) 과 마그네슘(Mg) 의 합금 등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티타늄 (Ti)/알루미늄(Al)/티타늄(Ti) 3층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벤딩영역(B/A) 에 형성되는 회로배선(420)은 벤딩되는 경우 인장력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410) 상에서 벤딩방향(화살표로 표시)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로배선(420)이 가장 큰 인장력을 받게 되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크랙이 심할 경우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회로배선(420)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벤딩영역(B/A)을 포함하여 배치되는 회로배선(420) 중 적어도 일부분은 벤딩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사선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크랙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벤딩영역(B/A) 을 포함하여 배치되는 회로배선(4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다리꼴파 형상, 삼각파 형상, 톱니파 형상, 정현파 형상, 오메가 (Ω) 형상,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플렉시블 기판(410)의 벤딩영역(B/A)을 포함하여 배치되는 회로배선(4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도 1에서 설명한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는 외부에서부터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400)의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되는 회로배선(420)을 거쳐서 표시영역(A/A)에 배치되어 있는 화소로 전달되어 발광되도록 한다. The gate signal and data signal described in FIG. 1 ar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A/A through the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nding region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510) 상에 배리어필름(520)이 배치된다. 배리어필름(520)은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5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500)의 적어도 표시영역(A/A)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필름(520)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리어필름(520) 상의 편광판(5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플렉시블 기판(510) 하부에는 백플레이트(540)가 배치된다. 플렉시블 기판(510)이 폴리이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렉시블 기판(510) 하부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500) 제조공정이 진행되고, 제조공정이 완료된 후 지지기판이 분리되어 릴리즈될 수 있다. A
지지기판이 릴리즈된 이후에도 플렉시블 기판(5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필요하므로, 플렉시블 기판(510)을 지지하기 위한 백플레이트(540)가 플렉시블 기판(5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540)는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플렉시블 기판(510)의 다른 영역에서 벤딩영역(B/A)에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Since components for supporting the
백플레이트(540)는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다른 적합한 폴리머들, 이들 폴리머들의 조합 등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백플레이트들(540) 사이에는 지지부재(570)가 배치되고, 지지 부재(570)는 접착층(560)에 의해 백플레이트(540)와 접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570)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다른 적합한 폴리머들, 이들 폴리머들의 조합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형성된 지지부재(570)의 강도는 지지부재(570)의 두께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들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570)는 유리, 세라믹, 금속 또는 다른 강성이 있는(rigid) 재료들 또는 전술한 재료들의 조합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A
플렉시블 기판(510)의 벤딩영역(B/A) 상에는 마이크로 코팅층 (Micro Coating Layer; 550)이 배치된다. 마이크로 코팅층(550)은 배리어필름(520)의 일 측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코팅층(550)은 벤딩 시에 플렉시블 기판(510) 상에 배치되는 배선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미세 크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진(Resin)을 벤딩되는 위치에 얇은 두께로 코팅하여 배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
플렉시블 기판(510)의 끝단에 절연필름(580)이 연결된다. 절연필름(580) 상에는 표시영역(A/A)에 배치된 화소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이 형성된다. 절연필름(580)은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절연필름(580)에는 구동소자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절연필름(650)과 함께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과 같은 구동 패키지(Package)를 형성하며, 절연필름(580) 상에 형성된 배선에 연결되어 구동 신호 및 데이터를 표시영역(A/A)에 배치된 화소에 제공한다.An insulating
절연필름(580)과 연결되는 회로기판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영역(A/A)에 배치된 화소에 에 다양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일 수 있다.The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insulating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및 그에 대한 확대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enlarged views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a 및 도 6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500)에서 벤딩영역(B/A)의 배선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벤딩영역(B/A)의 일부에 대해서 도시한다. 주요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주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6A and 6B are enlarged plan views of the wiring of the bending area B/A in the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610)의 벤딩영역(B/A)에 순차적으로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배치한다.6A and 6B , the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600)의 벤딩영역(B/A)을 포함한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되는 배선이 단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배선을 배치하기 위한 많은 공간이 요구된다. 도전성 물질을 증착한 후, 형성하고자 하는 배선의 형상으로 도전성 물질을 에칭 등의 공정으로 패터닝하는데, 에칭 공정의 세밀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배선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한계로 인하여 많은 공간이 요구되므로, 비표시영역(N/A)의 면적이 커지게 되어 네로우 베젤 구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wiring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A including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이와 함께, 하나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배선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배선이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신호가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10)을 벤딩하는 과정에서 배선 자체가 크랙이 발생하거나 다른 층이 크랙이 발생되어 크랙이 배선에 전파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선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전달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single wire is used to transmit one signal, the corresponding signal may not be transmitted when a crack occurs in the corresponding wire.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600) 의 벤딩영역(B/A)을 포함한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되는 배선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이중배선 형태로 배치된다.Accordingly, the wirings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A including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도전성물질로 형성하며, 플렉시블 기판(610)의 벤딩 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A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영역(A/A)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도전성물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및 은(Ag) 과 마그네슘(Mg) 의 합금 등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며, 예를 들어, 티타늄 (Ti)/알루미늄(Al)/티타늄(Ti) 3층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 물질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보호하기 위한 무기막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에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배치할 수도 있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상부 및 측부를 둘러싸도록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수분 등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도 있다.The
벤딩영역(B/A) 에 형성되는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벤딩되는 경우 인장력을 받게 된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610) 상에서 벤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이 가장 큰 인장력을 받게 되고,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크랙이 심하면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선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벤딩영역(B/A)을 포함하여 배치되는 배선 중 적어도 일부분은 벤딩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사선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크랙 발생을 줄일 수 있다. When bent, th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600)의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벤딩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Zig-Zag)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600)에 따라서 배선의 형상을 마름모 형상, 삼각파 형상, 정현파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각각 벤딩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영역 (620a, 630a)과,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동일층에 인접한 두 배선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패턴인 제2 영역(620b, 63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은 벤딩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1 영역 (620a, 630a)의 지그재그 형상에서 변곡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의 일부 영역은 서로 중첩하여 형성된다. 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각각 제1 영역 (620a, 630a) 및 제2 영역(620b, 630b)을 모두 포함하여 형성되어 인접한 두 배선이 하나의 신호가 들어가게 되므로, 인접한 두 배선 중 하나의 배선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하나의 배선이 더 있어서 신호를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지그재그 형상을 포함할 때, 벤딩 시의 응력이 지그재그 형상의 변곡점에 가해지면서 이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1 영역 (620a, 630a)의 변곡점을 벤딩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서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을 연결하여 벤딩 시에 집중되는 응력에도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되어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플렉시블 기판(610) 상에 제1 배선(620)이 배치되고 제1 배선(620) 상에 제1 평탄화층(650)이 배치된다. 제1 평탄화층(650) 상에는 제2 배선(630)이 배치되고, 제2 배선(630) 상에 제2 평탄화층(660)이 배치된다. 제1 평탄화층(650) 및 제2 평탄화층(660)은 아크릴계 수지 (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페놀 수지 (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 (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 (Polyimides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 (Polyphenylene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Benzocyclobutene)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제2 평탄화층(650) 상에는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이 서로 중첩하는 영역에 보상패턴(640)을 형성한다. 이때, 보상패턴(640)은 도 3에서 설명한 뱅크(350) 또는 스페이서(352)와 동일층 및 동일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보상패턴(640)의 높이에 따라서 뱅크(350) 또는 스페이서(352), 뱅크(350)와 스페이서(352)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벤딩영역에 형성되는 중립면(N/P)은 벤딩영역(B/A)의 배선 및 절연층의 크랙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립면을 최적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은 일부 영역이 서로 중첩하면서 중립면(N/P)의 변동이 급격하게 일어나며, 이에 따라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서 중립면이 급격하게 바뀌는 영역의 절연층이 크랙이 더 쉽게 발생될 수 있다. The neutral plane N/P formed in the bending reg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rack formation of the wiring and the insulating layer of the bending region B/A, and it is very important to optimize the neutral plane. In 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의 중첩영역 상에 보상패턴(640)을 형성하여 중립면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하여 크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보상패턴(640)의 넓이는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의 중첩영역보다 적어도 각 변이 대략 1.5μm 떨어지도록 하여 공정상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플렉시블 기판(610) 의 벤딩영역(B/A) 의 단면구조에 대해서는 도 7,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ending region B/A of the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제1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area of a bending area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7은 도 6a에서 I-I' 영역의 단면도이며,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1 영역 (620a, 630a)을 나타낸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벤딩영역(B/A)의 일부에 대해서 도시한다. 주요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주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II′ in FIG. 6A , showing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610) 상에 제1 영역(620a)을 포함한 제1 배선(620)이 배치되고 제1 배선(620) 상에 제1 평탄화층(650)이 배치된다. 제1 평탄화층(650) 상에는 제1 영역(630a)을 포함한 제2 배선(630)이 배치되고, 제2 배선(630) 상에 제2 평탄화층(660)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7 , a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도전성물질로 형성하며, 플렉시블 기판(610)의 벤딩 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A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영역(A/A)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도전성물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및 은(Ag) 과 마그네슘(Mg) 의 합금 등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며, 예를 들어, 티타늄 (Ti)/알루미늄(Al)/티타늄(Ti) 3층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 물질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보호하기 위한 무기막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에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배치할 수도 있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상부 및 측부를 둘러싸도록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수분 등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도 있다.The
제1 배선(620) 상에는 상부를 평탄화 하기 위해서 제1 평탄화층(650)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제1 평탄화층(650)은 도 3에서 설명한 평탄화층(33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리고, 제1 평탄화층(650)은 아크릴계 수지 (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페놀 수지 (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 (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 (Polyimides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 (Polyphenylene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Benzocyclobutene)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제1 평탄화층(660) 상에는 제2 배선(630)을 배치한다. 제2 배선(630)이 제1 평탄화층(660) 상에 배치됨에 따라, 표시영역(A/A) 내에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의 수를 보다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다.A
제2 배선(630) 상에는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해 제2 평탄화층(660)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제2 평탄화층(660)은 도 3에서 설명한 평탄화층(33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리고, 제2 평탄화층(660)은 아크릴계 수지 (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페놀 수지 (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 (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 (Polyimides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 (Polyphenylene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Benzocyclobutene)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제2 평탄화층(660) 상에는 플렉시블 기판(610)의 벤딩영역(B/A)에 벤딩 시에 플렉시블 기판(610)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미세 크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진(Resin)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코팅층(670)을 상부에 형성하여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코팅층(670)은 얇은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On the
중립면(N/P)은 어떤 구조물이 벤딩되는 경우, 그 구조물에 인가되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상쇄되어 응력을 받지 않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벤딩될 때 중립면(N/P)을 기준으로 상면에 배치되는 층은 늘어나게 되어 인장력을 받고, 하면에 배치되는 층은 압축되게 되므로 압축력을 받는다. The neutral plane (N/P) refers to an imaginary plane that is not subjected to stress because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applied to the structure cancel each other when a structure is bent. When bending, the lay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neutral plane (N/P) is stretched to receive a tensile force, and the layer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is compressed and thus receives a compressive forc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 와 같은 배선은 동일한 크기의 압축력과 인장력 중 인장력을 받는 경우에 더 취약하므로, 인장력을 받지 않거나, 인장력을 받더라도 인장력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립면(N/P)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평탄화층(660) 상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코팅층(670)의 두께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배치된 영역의 중립면(N/P)은 상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코팅층(670)의 인장력과 서로 상쇄되어 응력을 받지 않아야 되기 때문에 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립면(N/P) 보다 더 기판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Since the wirings such as the
도 8a 및 8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벤딩영역(B/A)의 제2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econd area of a bending area B/A of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8a 및 도 8b는 도 6a에서 II-II' 영역의 단면도이며,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 (620b, 630b)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벤딩영역(B/A)의 일부에 대해서 도시한다. 주요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주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region II-II′ in FIG. 6A , showing the first and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기판(610) 상에 제2 영역(620b)을 포함한 제1 배선(620)이 배치되고 제1 배선(620) 상에 제1 평탄화층(650)이 배치된다. 제1 평탄화층(650) 상에는 제2 영역(630b)을 포함한 제2 배선(630)이 배치되고, 제2 배선(630) 상에 제2 평탄화층(660)이 배치된다. 8A and 8B , a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도전성물질로 형성하며, 플렉시블 기판(610)의 벤딩 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Au),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연성이 우수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영역(A/A)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도전성물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및 은(Ag) 과 마그네슘(Mg) 의 합금 등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도전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티타늄 (Ti)/알루미늄(Al)/티타늄(Ti) 3층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 물질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은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을 보호하기 위한 무기막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에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배치할 수도 있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상부 및 측부를 둘러싸도록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수분 등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도 있다.The
제1 평탄화층(650) 및 제2 평탄화층(660)은 도 3에서 설명한 평탄화층(33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리고, 제1 평탄화층(650) 및 제2 평탄화층(660)은 아크릴계 수지 (Acrylic Resin),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페놀 수지 (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 (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 (Polyimides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 (Polyphenylene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Poly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Benzocyclobutene)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제2 평탄화층(660) 상에는 플렉시블 기판(610)의 벤딩영역(B/A)에 벤딩 시에 플렉시블 기판(610)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미세 크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진(Resin)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코팅층(670)을 상부에 형성하여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코팅층(670)은 얇은 두께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On the
중립면(N/P)은 어떤 구조물이 벤딩되는 경우, 그 구조물에 인가되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상쇄되어 응력을 받지 않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벤딩될 때 중립면(N/P)을 기준으로 상면에 배치되는 층은 늘어나게 되어 인장력을 받고, 하면에 배치되는 층은 압축되게 되므로 압축력을 받는다. The neutral plane (N/P) refers to an imaginary plane that is not subjected to stress because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applied to the structure cancel each other when a structure is bent. When bending, the lay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neutral plane (N/P) is stretched to receive a tensile force, and the layer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is compressed and thus receives a compressive force.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 와 같은 배선은 동일한 크기의 압축력과 인장력 중 인장력을 받는 경우에 더 취약하므로, 인장력을 받지 않거나, 인장력을 받더라도 인장력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립면(N/P)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 평탄화층(660) 상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코팅층(67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이 배치된 영역의 중립면(N/P)은 상부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코팅층(670)의 인장력과 서로 상쇄되어 응력을 받지 않아야 되기 때문에 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립면(N/P)보다 더 기판에 인접하게 형성 된다. Since the wirings such as the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지그재그 형상의 변곡점에서 벤딩방향과 수직하여 형성되는 제1 배선(620) 및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20b, 630b)의 일부 영역은 서로 중첩하여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A , a second region ( Some regions of 620b and 630b ar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제1 배선(620)의 제2 영역의 상부의 일부 영역에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이 서로 중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배선(620) 또는 제2 배선(630)이 단독으로 배치된 영역의 중립면(N/P) 보다 제1 배선(620)의 제2 영역(620b)과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30b)이 서로 중첩된 영역의 중립면(N/P)은 마이크로 코팅층(670)의 인장력과 서로 상쇄되어 응력을 받지 않아야 되기 때문에 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립면(N/P) 및 제1 배선(620) 또는 제2 배선(630)가 단독으로 배치된 영역의 중립면(N/P)보다 더 기판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중립면(N/P)이 주위 영역보다 변동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영역은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제1 배선(620)의 제2 영역(620b)과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30b)이 서로 중첩된 영역은 주위 영역보다 더 중립면(N/P)이 급격하게 바뀌는 영역으로 절연층이 크랙이 더 쉽게 발생될 수 있다. In the region where the neutral plane N/P fluctuates more rapidly than the surrounding region, compressive force and tensile force may act simultaneously in some cases, and the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배선(620)의 제2 영역과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이 서로 중첩된 영역에서 제2 평탄화층(660) 상에 보상패턴(640)을 형성하여 중립면(N/P)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절연층에서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 8B , a
벤딩영역(B/A)에 형성되는 중립면(N/P)의 상부가 되는 제2 평탄화층(660) 상에 제1 배선(620)의 제2 영역(620b)과 제2 배선(630)의 제2 영역(630b)이 서로 중첩된 영역에 형성되는 보상패턴(640)은 주위 영역보다 기판에 더 인접하게 형성되는 중립면(N/P)을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여 주위 영역의 중립면(N/P)에 비해서 변동폭을 일정한 수치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The
보상패턴(640)은 도 3에서 설명한 뱅크(350) 또는 스페이서(352)와 동일층 및 동일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보상패턴(640)의 높이에 따라서 뱅크(350) 또는 스페이서(352), 뱅크(350)와 스페이서(352)를 모두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보상패턴(640)의 높이는 보상패턴(640)이 배치되는 영역의 인접영역의 중립면(N/P)과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하며, 제2 평탄화층(660)의 상면에서 기판방향으로 1μm 이하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eight of th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벤딩된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배선,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여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제2 배선 및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보상패턴을 포함하며, 벤딩영역에 있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일부 영역은 서로 중첩하며, 보상패턴은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중첩영역에 있다.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t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A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and on a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a first wir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a compensation pattern on the second wiring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where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overlaps each other, and the compensation pattern includes the overlapping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s in the area
벤딩영역에 있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may have a zigzag shape.
벤딩영역에 있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은 각각 동일층에 인접한 두 배선간을 연결하는 더 연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may include a further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wo wirings adjacent to the same layer.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중첩영역은 연결패턴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may be a partial region of the connection pattern.
제1 배선과 기판 사이에 있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buffer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wiring and the substrate.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은 유기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보상패턴의 넓이는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중첩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compensation pattern may be wider tha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뱅크 및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bank and a spacer made of an organic material.
보상패턴은 뱅크 또는 스페이서와 동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pensation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bank or spacer.
플렉시블 기판과 연결된 절연필름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절연필름에는 구동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An insulating film connected to the flexible substrat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driving element may be disposed on the insulating film.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은 각각 복수의 금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tal layers.
벤딩영역의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마이크로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micro cover layer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of the bending region may be further included.
보상패턴의 높이는 벤딩영역의 제1 배선 및 제2 배선의 중첩영역에서 중립면이 제2 평탄화층 상면에서 기판 방향으로 1μm 이하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compensation pattern may be 1 μm or less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to the neutral plane in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 외곽을 두르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비표시영역에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이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영역, 표시영역, 및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비표시영역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기판 및 제1 평탄화층 상에 각각 있는 배선 및 벤딩영역에 있는 배선의 일부 영역과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배선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영역 상에 배치되며, 벤딩영역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벤딩영역의 중립면이 플렉시블 기판에서 멀어지게 하는 보상패턴을 포함한다.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nd a flexible substrate in the non-display area.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the bending area including the bent area,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including the bending area, the wiring and the bending area o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respectively It is disposed on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a partial region of the interconnection and a part region of the interconnection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overlap, and includes a compensation pattern that moves the neutral plane of the bending region away from the flexible substrate to prevent damage to the bending region. do.
벤딩영역에 있는 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may have a zigzag shape.
벤딩영역에 있는 배선은 동일층에 인접한 두 배선간을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ing in the bending area may include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wo wirings adjacent to the same layer.
배선간 중첩영역은 연결패턴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The overlapping region between wirings may be a partial region of the connection pattern.
보상패턴의 넓이는 배선간 중첩되는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compensation pattern may be wider than a region overlapping the interconnections.
벤딩영역에서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마이크로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micro cover layer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in the bending region may be further included.
보상패턴의 높이는 벤딩영역에서 배선간 중첩되는 영역의 중립면이 제2 평탄화층 상면에서 플렉시블 기판 방향으로 1μm 이하에 위치하는 높이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compensation pattern may be a height at which the neutral plane of the region overlapping the interconnections in the bending region is located 1 μm or les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in the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500, 600: 전계발광 표시장치
110: 영상처리부 120: 타이밍 컨트롤러
130: 데이터드라이버 140: 게이트드라이버
150: 표시패널
160: 화소
220: 게이트라인
230: 데이터라인
240: 스위칭트랜지스터 250: 구동트랜지스터
260: 보상회로
270, 340: 유기발광소자
310, 410, 510, 610: 기판
320: 박막 트랜지스터 322: 게이트전극
324: 소스전극 326: 드레인전극
328: 반도체층 331: 게이트절연층
333: 층간절연층 335: 패시베이션층
337: 평탄화층 342: 애노드
344: 발광부 346: 캐소드
350: 뱅크 352: 스페이서
360: 봉지부 420: 회로배선
520: 배리어 필름 530: 편광판
540: 백플레이트
550, 670: 마이크로 코팅층
560: 접착층 570: 지지부재
580: 회로기판
620: 제1 배선
620a: 제1 배선의 제1 영역 620b: 제1 배선의 제2 영역
630: 제2 배선
630a: 제2 배선의 제1 영역 630b: 제2 배선의 제2 영역
640: 보상패턴
650: 제1 평탄화층 660: 제2 평탄화층
A/A: 표시영역 N/A: 비표시영역
B/A: 벤딩영역 N/P: 중립면
I-I': 제1 영역 단면
II-II : 제2 영역 단면100, 200, 300, 400, 500, 600: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10: image processing unit 120: timing controller
130: data driver 140: gate driver
150: display panel
160: pixel
220: gate line
230: data line
240: switching transistor 250: driving transistor
260: compensation circuit
270, 34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310, 410, 510, 610: substrate
320: thin film transistor 322: gate electrode
324: source electrode 326: drain electrode
328: semiconductor layer 331: gate insulating layer
333: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35: passivation layer
337: planarization layer 342: anode
344: light emitting part 346: cathode
350: bank 352: spacer
360: encapsulation unit 420: circuit wiring
520: barrier film 530: polarizing plate
540: back plate
550, 670: micro coating layer
560: adhesive layer 570: support member
580: circuit board
620: first wiring
620a: first area of
630: second wiring
630a: first region of
640: reward pattern
650: first planarization layer 660: second planarization layer
A/A: Display area N/A: Non-display area
B/A: bending area N/P: neutral plane
I-I': cross section of the first region
II-II: Section 2 of the second region
Claims (20)
상기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 상에 있는 제1 배선;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제2 배선; 및
상기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보상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벤딩영역에 있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의 일부 영역은 서로 중첩하며, 상기 보상패턴은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의 중첩영역에 있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bending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and bent;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the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the display area and the bending area;
a first wiring on the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the display area and the bending area;
a second wiring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including the display area and the bending area; and
a compensation pattern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overlaps with each other, and the compensation pattern includes a port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in an overlapping area.
상기 벤딩영역에 있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include a zigzag shape.
상기 벤딩영역에 있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은 각각 동일층에 인접한 두 배선간을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wo wirings adjacent to the same layer.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의 중첩영역은 상기 연결패턴의 일부 영역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An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is a partial region of the connection pattern.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기판 사이에 있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uffer layer between the first wiring and the substrate.
상기 제1 평탄화층 및 상기 제2 평탄화층은 유기물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ar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상기 보상패턴의 넓이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의 중첩영역보다 넓은,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and an area of the compensation pattern is wider than an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상기 발광소자는 유기물로 구성되는 뱅크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es a bank and a spacer made of an organic material,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상기 보상패턴은 상기 뱅크 또는 상기 스페이서와 동일층으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mpensation pattern is composed of the same layer as the bank or the spacer,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연결된 절연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필름에는 구동소자가 배치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film connected to the flexible substrate,
A driv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film,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은 각각 복수의 금속층으로 구성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are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tal layers,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마이크로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icro cover layer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in the bending region.
상기 보상패턴의 높이는 상기 제1 배선 및 상기 제2 배선의 중첩영역에서 상기 벤딩영역의 중립면이 상기 제2 평탄화층 상면에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 방향으로 1μm 이하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eight of the compensation pattern is 1 μm or less in the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to the neutral plane of the bending region in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wiring and the second wiring.
상기 표시영역 상에 있는 발광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비표시영역에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영역;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벤딩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있는 제1 평탄화층 및 제2 평탄화층;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평탄화층 상에 각각 있는 배선; 및
상기 벤딩영역에 있는 상기 배선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평탄화층 상에 있는 상기 배선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벤딩영역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벤딩영역의 중립면이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서 멀어지게 하는 보상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thin film transistor on the display area;
a bending area in the non-display area and including an area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a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o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including the bending area;
wirings respectively on the substrate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and
It is disposed on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a partial region of the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and a partial region of the wiring i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overlap, and a neutral plane of the bending region is formed to prevent damage to the bending region. A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mpensation pattern moving away from the flexible substrate.
상기 벤딩영역에 있는 상기 배선은 지그재그 형상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includes a zigzag shape.
상기 벤딩영역에 있는 상기 배선은 동일층에 인접한 두 배선간을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wiring in the bending region includes a connection pattern connecting two wirings adjacent to the same layer.
상기 중첩영역은 상기 연결패턴의 일부 영역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overlapping region is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attern, the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상기 보상패턴의 넓이는 상기 중첩영역보다 넓은,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area of the compensation pattern is wider than that of the overlapping area.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제2 평탄화층 상에 있는 마이크로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icro cover layer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in the bending region.
상기 보상패턴의 높이는 상기 벤딩영역에서 상기 중첩영역의 중립면이 상기 제2 평탄화층 상면에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 방향으로 1μm 이하에 위치하는 높이인,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height of the compensation pattern is a height at which the neutral plane of the overlapping region in the bending region is located 1 μm or les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in the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05603A KR102328104B1 (en) | 2017-08-21 | 2017-08-21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05603A KR102328104B1 (en) | 2017-08-21 | 2017-08-21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20535A KR20190020535A (en) | 2019-03-04 |
| KR102328104B1 true KR102328104B1 (en) | 2021-11-17 |
Family
ID=657598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05603A Active KR102328104B1 (en) | 2017-08-21 | 2017-08-21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2810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30082A (en) | 2021-08-23 | 2023-03-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 CN119297172A (en) * | 2022-07-01 | 2025-01-10 |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Chip-on-film and display module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6644B1 (en) * | 2013-12-31 | 2020-03-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463838B1 (en) * | 2015-08-24 | 2022-11-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7
- 2017-08-21 KR KR1020170105603A patent/KR10232810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20535A (en) | 2019-03-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10592B2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US12193316B2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 |
| KR102593488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450068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 |
| KR20190035103A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854042B1 (en) | Flexibl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KR20190135173A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 |
| KR20210058433A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KR102624508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636009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452831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340920B1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KR20230004110A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KR102328104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261213B1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KR20190043676A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696416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 |
| KR102020824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569736B1 (en) | TOUCH-INTEGRATE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102656855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 |
| KR102588338B1 (en) |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 KR20210053710A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8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