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29713B1 - footwear - Google Patents

foot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713B1
KR102329713B1 KR1020207004352A KR20207004352A KR102329713B1 KR 102329713 B1 KR102329713 B1 KR 102329713B1 KR 1020207004352 A KR1020207004352 A KR 1020207004352A KR 20207004352 A KR20207004352 A KR 20207004352A KR 102329713 B1 KR102329713 B1 KR 10232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ie
footwear
sole
attached
waterp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2714A (en
Inventor
옌즈 하이덴펠터
알리 아므르 마흐무트 함디 코바이시
알렉산더 자글
안드레아 주포니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아티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아티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7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1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6Waterproof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신발류(2)는 갑피 조립체(4)와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밑창(6)을 포함하며, 상기 갑피 조립체는 외부 구성(40, 42)을 포함하고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51)로 형성된 부티(5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54)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56, 58)을 포함하고,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상기 부티는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90)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신발류의 뒤꿈치 영역(96)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92)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The footwear (2) includes an upper assembly (4) and a sole (6) attached thereto, the upper assembly including an outer component (40, 42) and a bootie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51). (50) further comprising: said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comprising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54)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56, 58), said bootie being elastic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 wherein the bootie is fixed in position in the toe region 90 of the footwear and is fixed in position in the heel region 96 of the footwear, wherein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exterior construction above the midfoot portion 92 of the bootie. .

Figure 112020015549921-pct00002
Figure 112020015549921-pct00002

Description

신발류footwear

본 발명은 신발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 주위에 전면적인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신발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footwea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that provides an all-over waterproof structure around the wearer's feet.

방수 신발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최근, 착용자의 발 주위에 전면적인 방수 구조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통기성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자의 발에서 나온 수분과 땀이 신발의 내부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신발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신발은 보통, 신발의 내부 공간 주위에서 연장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막(membrane)으로도 지칭되는 다양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기능성 층으로 이루어진 장치(arrangement)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 발 아래의 하부 기능성 층이 착용자 발의 상측 및 양 측면 상의 상부 기능성 층과 조합될 수도 있으며, 이들 두 개의 기능성 층은 그 주변부를 따라 봉제 이음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용자의 발 주위에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주머니(bag)가 제공될 수도 있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신발류에 대한 이전의 접근 방식은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못하였다.Waterproof shoes have been known for a long time. Recently, by providing an overall waterproof structure around the wearer's feet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breathability, waterproof and breathable shoes that allow moisture and sweat from the wearer's feet to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shoe have been developed. Such shoes usually have an arrangement of various waterproof and breathable functional layers, also referred to as waterproof and breathable membranes, that extend around the interior space of the shoe. For example, a lower functional layer under the wearer's foot may be combined with an upper functional layer on the upper side and either side of the wearer's foot, the two functional layers being connected by a seam seam along its perimeter. In this way, a waterproof and breathable bag may be provided around the wearer's feet. Previous approaches to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have not been completely satisfactory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이에 따라, 방수성 및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있는 신발류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Accordingly, it is advantageous to provide footwear that can improve wearer comfort while maintaining waterproofness and breathabilit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부 구성과 부티(bootie)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와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된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류를 포함한다. 상기 부티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을 포함한다.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상기 부티는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신발류의 뒤꿈치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ootwear including an upper assembly including an exterior configuration and a bootie, and a sole attached to the upper assembly. The bootie is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comprising a single functional layer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wherein the bootie is elastic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the bootie is fixed in position in the toe region of the footwear and fixed in position in the heel region of the footwear, wherein the bootie is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above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doesn't happe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발 착용 시에 사용자의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단일체의 기능성 층을 구비하며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부티를 제공함으로써,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의 외부 구성에 대한 자유로운 움직임과 함께, 신발의 안정감과 비구속감 간의 최적의 절충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또한 신발류 내에서 인지되는 높은 수준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된다.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과 뒤꿈치 영역에서의 부티의 위치 고정 및 부티의 원주 방향 탄성에 의해, 사용자는 신발류 내에서 명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될뿐만 아니라 착용자 발 주위에서 부티가 탄성적으로 조여짐으로 인해 전체적인 안정감이 보장된다. 부티가 신발의 앞뒤에 부착되며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춤으로써 착용자에게 지지력뿐만 아니라 자세 안전감을 제공하지만, 부티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인지되는 높은 수준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된다. 밝혀진 바와 같이,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의 외부 구성과 부티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 가능성은 착용자의 안정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높은 수준의 편안함을 유도할뿐만 아니라 신발류에 의해 구속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부착/비부착 특성과 부티의 탄성을 조합하여 안정성과 자유로운 움직임을 최적의 방식으로 절충함으로써 착용자의 편안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부티가 단일체의 기능성 층을 구비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모든 효과가 향상된다. 단일체의 특성상 착용자의 발 주위에서 부티가 즉각적으로 탄성을 발휘하므로 사용자는 부티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느끼게 된다. 또한, 부티가 최대 한 개의 이음매만 갖도록 하는 단일체의 특성상, 후술되는 바와 같이, 편안함 손상 정도가 매우 낮거나 심지어 전혀 없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s comfort to be improved when wearing shoes.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bootie having a single functional layer and having elastic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optimal compromise between the stability of the shoe and the feeling of non-constraint is provided, along with fre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of the bootie. , thus also ensuring a perceived high level of freedom of movement within the footwear.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bootie in the toe region and heel region of the footwear and the circumferential elasticity of the bootie, not only the user can take a clear posture within the footwear, but also the overall overall effect of the bootie being elastically tightened around the wearer's foot. stability is guaranteed. Although the bootie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hoe and has elastic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to provide support as well as postural safety to the wearer, the perceived high level of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nstruction above the midfoot of the bootie. free movement of As it turns out, the relative movement potential between the bootie and the external configur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of the bootie not only induces a high level of comfort without compromising the wearer's stability, but also avoids feeling constrained by the footwear. . The wearer's comfort can be increased by combining the adhesive/non-adhering properties described above with the elasticity of the bootie to optimally compromise stability and freedom of movement. All of the above effects are enhanced by the inclusion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with a single functional layer in the bootie. Since the bootie immediately exerts elasticity around the wearer's fee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body, the user feels the bootie stable and comfortable. Also, due to the monolithic nature of the bootie to have at most one seam, there is very little or even no loss of comfort, as described below.

용어 "부티"는 착용자 발의 신발 삽입 시에 발을 감싸는 양말 형상의 구조를 지칭한다. 부티는 일반적으로,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과 밑창 사이의 공간, 즉 신발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부티는 또한 갑피 조립체의 칼라(collar) 영역에서 신발의 내부 공간 밖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티는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부티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부티는 최대 한 개의 이음매를 제외하고는 착용자의 발 주위 전체에 결쳐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양말 형상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부티 구성에 의해 착용자의 발에서 나온 수증기가 부티를 통과하여 그리고 외부 구성 및/또는 밑창을 통해 신발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term "bootie" refers to a sock-shaped structure that wraps around the foot upon insertion of the wearer's foot into the shoe. The bootie is generall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ole and the exterior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ie, the interior space of the shoe. The bootie may also extend ou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shoe in a collar region of the upper assembly. In other words, the bootie may extend upwardly from an exterior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Booties are formed from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In this way, as described below, the bootie provides a waterproof and breathable sock-like construction all around the wearer's foot except for at most one seam. Such waterproof and breathable bootie constructions allow water vapor from the wearer's feet to drain out of the footwear through the bootie and through the outer construction and/or sole.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용어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은 단일체의 기능성 층의 일측에 직물 층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단일체의 양측 각각에 직물 층이, 즉 두 개의 직물 층이 제공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직물 층이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직물 층은 다수의 직물 조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이 기능성 층의 일측 상의 하나의 직물 층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직물 층은 함께 재봉되는 다수의 직물 조각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단일체의 기능성 층에는 원래 별개의 직물 조각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직물 층이 제공될 수도 있다.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comprises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Such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at least one textile layer may span substantially the same space. The term "at least one fabric layer" is intended to specify that a fabric lay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unctional layer of the monolith or a fabric layer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onolith, i.e. two fabric layers. . It is also possible for one or more fabric layers to be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In addition, each fabric layer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fabric strips. For example,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may include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one fabric layer on one side of the functional layer, in which case one fabric layer consists of multiple fabric pieces sewn together. . In other words,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layers of fabric that originally consist of separate fabric pieces.

기능성 층이 단일체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도 단일체 구조로 간주된다. 이것은 직물 층이 원래 별개의 직물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다. 직물 층이 원래 별개의 직물 조각으로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라미네이트가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다수의 직물 조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단일체의 라미네이트 구조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부티는 연속적인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며 단일체 구조로도 간주된다. 특히, 부티는 본래 부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절단 및 접힘 과정을 거친 다음 함께 재봉 또는 접착되어 부티를 형성할 수 있는 연속적인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된다.Since the functional layer has a monolithic structure, a laminate with waterproof and breathable properties is also considered a monolithic structure. This is independent of whether the fabric layer is originally composed of discrete fabric pieces. Where the fabric layer is originally composed of separate fabric pieces, it can be seen that a monolithic laminate structure exists, at least in that the laminate is formed of a single functional layer and a plurality of fabric pieces. Therefore, the bootie is formed from a continuous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and is also considered a monolithic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bootie may b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bootie in nature or formed into a continuous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at can be cut and folded and then sewn or glued together to form a bootie.

전자의 경우에 따른 부티의 예시적인 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직물 층이 복수 개의 직물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직물 조각은 양말 형상의 직물 층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결정되어 함께 재봉될 수 있다. 양말 형상의 직물 층은 라스트(last)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라스트 위에서 기능성 층이 신장되어 양말 형상의 직물 층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기능성 층이 직물 층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부티의 고유한 형상을 갖는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 및 부티 모두 이음매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원래 별개의 직물 조각 사이의 이음매는, 만약 존재한다면, 선행 단계 제품의 이음매로 간주되며 부티의 라미네이트의 이음매로는 간주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 중 하나 이상이 또한 이음매가 없는 것도 가능하다.An exemplary method of configuring the bootie according to the former case is as follows. The fabric layer may be formed from a plurality of fabric pieces. A plurality of fabric pieces may be sized and sewn together in such a way that a sock-shaped fabric layer is formed. A sock-shaped fabric layer may be disposed over the last, over which the functional layer may be stretched into contact with the sock-shaped fabric layer. A functional layer is attached to the fabric layer, thereby forming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is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has the unique shape of a bootie. Both laminates and booties that are waterproof and breathable are considered seamless. The seam between the original separate pieces of fabric, if any, is considered a seam of the preceding stage product and not of the laminate of the bootie.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or more of the at least one fabric layer is seamless.

부티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 및 접힘 과정을 거친 다음 재봉/접착되는 라미네이트의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단일체의 기능성 층 그리고 원래 별개의 직물 조각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직물 층을 일측에 구비한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라미네이트는 접힘 시에 양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절단된다. 이어서, 라미네이트의 가장자리가 함께 재봉되거나 접착됨으로써, 양말 형상이 유지된다.As an alternative to laminates that are cut and folded to form a bootie and then sewn/glued, for example, substantially having a single functional layer and a fabric layer on one side likely to be originally formed into separate pieces of fabric.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in a flat form is provided. These laminates are cut to form a sock shape when folded. The edges of the laminate are then sewn or glued together to maintain the sock shape.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기능성 층과 직물 층으로 구성된 2층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또한, 기능성 층이 그 양측 상의 제1 직물 층과 제2 직물 층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3층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또한, 추가의 물 차단 층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포함함으로써 물이 기능성 층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통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용어 "기능성 층"은 신발류의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방수성 및 통기성의 특성이 조합되어 있는 층을 지칭한다. 대안적으로, 기능성 층은 또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막으로도 지칭된다.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may be a two-layer laminate consisting of a functional layer and a fabric layer.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may also be a three-layer laminate in which a functional layer is sandwiched between a first fabric layer and a second fabric layer on both sides thereof.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layers, such as an additional water barrier layer, to prevent water from accessing the functional layer to ensure breathability. The term “functional layer” is a term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footwear, and refers to a layer having a combination of waterproof and breathable properties. Alternatively, the functional layer is also referred to as a waterproof and breathable membrane.

기능성 층은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춘 막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막 자체일 수 있다. 이러한 막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코폴리에테르 아미드뿐만 아니라 다른 적절한 열가소성 및 탄성중합체 필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막이 플루오로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미세 다공성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제조될 수 있다. 미세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은 Gore의 미국 특허 제3,953,566호 및 제4,187,390호에 교시된 바와 같은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막이다. 이러한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은 상표명 GORE-TEX®의 직물로서 메릴랜드주 엘크톤 소재 W. L. Gore and Associates, Inc.의해 시판되고 있다.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춘 기능성 층은 실질적으로 메릴랜드주 엘크톤 소재 W. L. Gore and Associates, Inc.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4,194,041호 및 미국 특허 제4,942,214호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피복 미세 다공성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unctional layer may include a membrane that is breathable and waterproof, or it may be the membrane itself. Such membranes may be selected from polyurethane, polyester, polyether, polyamide, polyacrylate, copolyether ester and copolyether amide, as well as other suitable thermoplastic and elastomeric films. In certain embodiments,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membrane may be formed from a fluoropolymer, in particular from microporous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Micro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are membranes made of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as taught in US Pat. Nos. 3,953,566 and 4,187,390 to Gore. This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is marketed by W. L. Gore and Associates, Inc. of Elkton, Maryland under the trade designation GORE-TEX®. The breathable and waterproof functional layer is a polyurethane coated microporous expanded polytetrafluorocarbon prepared substa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U.S. Patent Nos. 4,194,041 and 4,942,214 assigned to WL Gore and Associates, Inc. of Elkton, Maryland. It may be composed of a roethylene membrane.

부티는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착용자가 신발에 발을 삽입하면, 착용자의 발이 들어갈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부티가 신장될 수 있고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티가 착용자의 발의 형태에 맞춰지므로, 부티를 순응성 부티라고도 한다. 부티가 탄성적이라는 것은, 착용자가 발을 삽입할 때 착용자의 발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탄성에 의해, 착용자가 발을 삽입하기 전에는 부티를 그 형상을 향하게 만드는 힘이 구축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착용자가 발을 넣으려고 힘을 가한 후에 부티가 그 이전 형태로 회복된다. 부티의 탄성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탄성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특정 예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되고 있는, WO 95/32093 A1호에 제공되어 있다.The bootie is elast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wearer inserts the foot into the shoe, the bootie can be stretched and elastically expanded to make room for the wearer's foot to enter. In this process, the bootie is adapted to the shape of the wearer's foot, so the bootie is also called a conformable bootie. By being elastic, it is meant that the wearer applies a force against the wearer's foot as it is inserted. In other words, this elasticity builds up a force that directs the bootie into its shape before the wearer inserts the foot. This force restores the bootie to its former shape after the wearer applies force to insert the foot. The elastic properties of the bootie may be achieved in any suitable manner. A specific example of making an elastic laminate is provided in WO 95/32093 A1,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부티는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이 표현은, 부티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인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부티는 그 길이의 상당 부분을 따라 탄성적이다. 특히, 부티는 발 중간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일 수 있다. 그러나, 부티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인 것도 가능하다.The bootie is elast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expression does not require that the bootie be elast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its entire length. The bootie is elastic along much of its length. In particular, the bootie may be circumferentially elastic in the midfoot portio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bootie to be elast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its entire length.

부티는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의 아래에 그 내측을 향해 배치된다. 용어 "외부 구성"은 일반적으로, 밑창 상측의 신발의 외부에서 보이는 신발 부분을 지칭한다. 외부 구성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연장되는 부분, 예를 들어 라스트에 끼워진 갑피 재료를 포함한다. 외부 구성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발의 위쪽 및 측면 상의 추가의 구조, 예를 들어 숨겨진 설포(tongue)를 추가로 포함한다.The bootie is disposed below and inwardly of the outer component of the upper assembly. The term “external construction” generally refers to the portion of the shoe tha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shoe above the sole. The exterior construction also includes an invisibly extending portion made of a material as described above, eg, an upper material fitted to the last. The external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dditional structures on the top and sides of the foot that are not externally visible, such as hidden tongues.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부티는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의 외부 구성에 대한 부착부/부착 지점이 없다. 다시 말해, 부티는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 외부 구성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인다. 특히, 부티가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의 발 중간 부분에 부착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nstruction above the midfoot of the bootie. In other words, the bootie has no attachment/attachment points to the exterior configur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In other words, the bootie moves freely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configur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hat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midfoot por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라미네이트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추고 있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는 부티 또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는다. 부티가 양말 형상을 얻기 위해 기능성 층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이음매를 갖는 경우, 이 이음매 영역은 방수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방수성 이음매 테이프가 이음매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부티가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신발류도 전체적으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신발류로 지칭될 수 있다. 부티는 착용자의 발 주위에 방수 주머니를 형성하여 신발류에 전체적으로 방수성을 부여한다. 외부 구성이 통기성 외부 재료를 구비하고 및/또는 밑창이 통기성이므로 신발류는 통기성이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창이 통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통기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laminate is waterproof and breathable. Booties formed from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are also waterproof and breathable. If the bootie has a seam connecting the edges of the functional layer to obtain a sock shape, this seam area is formed to be waterproof. For example, a waterproof seam tape may be disposed along the seam area. Since the bootie is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may also be referred to as overall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Booties form waterproof pockets around the wearer's feet, giving the footwear overall waterproofness. The footwear is breathable because the outer construction has a breathable outer material and/or the sole is breathable. As discussed below, the sole may be formed of a breathable material and/or may have a breathable structure.

용어 "갑피 조립체" 및 "밑창"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신발 제조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차례로 제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그러나, 신발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갑피 조립체 및 밑창이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갑피 조립체와 밑창의 조합체가 3D 편직물로서 또는 다른 3D 제조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갑피 조립체와 밑창을 모두 포함하는 이러한 일체형 구조 또한 본 명세서에서 청구되고 있는 바와 같은 신발류에 포함된다. 갑피 조립체가 착용자 발 주위에,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되는 통기성 외부 재료와 안창을 구비하며 부티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일체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rms “upper assembly” and “sole” generally refer to structures that are manufactured individually or in turn according to traditional footwear manufacturing, as described herein. However, as footwear manufacturing technology advance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pper assembly and the sole to be formed as a unitary structure.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assembly and the sole may be manufactured as a 3D knitted fabric or according to other 3D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integral structures, including both an upper assembly and a sole, are also included in the footwear as claimed herei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pper assembly to include an integral structure having an insole and a breathable outer material formed as one integral structure around the wearer's foot and into which the bootie is insert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의 외부 구성과 부티의 사이에 공기 간극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은 신발류에 발을 삽입하지 않았을 때 존재한다. 발이 신발류에 삽입되었을 때 공기 간극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티와 외부 구성 사이의 공기 간극에 의해, 다른 재료에 의한 저항 없이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부티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이 특히 자유롭게 움직이게 됨으로써, 착용자의 극도의 편안함뿐만 아니라 인지되는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re is an air gap between the bootie and the outer configuration above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These air gaps exist when the foot is not inserted into the footwear. It is also possible that an air gap still exists when the foot is inserted into the footwear. The air gap between the bootie and the outer construction allows the bootie to expand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without resistance by other materials. In this way,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art of the bootie is allowed to move particularly freely, thereby ensuring the wearer's extreme comfort as well as perceived freedom of movem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성 재료 층이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의 외부 구성과 부티의 사이에 존재한다. 압축성 재료는 또한,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기 간극과 비교하여 발에 어느 정도 더 강력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틀을 제공한다.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의 외부 구성과 부티의 사이에 압축성 재료 및 공기 간극이 모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성 재료가 부티의 상측이나 외부 구성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구성에 대한 부티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압축성 재료가 외부 구성과 부티 모두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layer of compressible material is present between the bootie and the outer configuration on top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The compressible material also provides a frame that provides freedom of movement while providing some greater stability to the foot compared to air gaps. It is also possible for both a compressible material and an air gap to be provided between the bootie and the outer configur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A compressible material may be affixed to either the top of the bootie or to the outer component. However, the compressible material may not be attached to both the outer component and the bootie so as not to impai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otie with respect to the outer compon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 및 외부 구성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공동으로 연장 가능하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부티의 원주 방향 탄성에 의해, 착용자의 발 삽입 시에 부티의 확장이 허용된다. 부티와 외부 구성이 공동으로 연장 가능함에 따라, 이들 두 개의 구조가 공동으로 착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이들 두 개의 구조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이 보장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and the outer configuration are jointly extend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As discussed above, the circumferential elasticity of the bootie allows expansion of the bootie upon insertion of the wearer's foot. As the bootie and the outer component are jointly extensible, these two structures can jointly support the wearer's foot. Due to the absence of attachment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art, the possibility that these two structures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s ensur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 중간 부분은 발의 주상골 부위에 대응하는 갑피 조립체의 발등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발의 중족골 1번-지골 관절에 대응하는 갑피 조립체의 볼(ball) 부분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특히 적어도 90%를 따라, 더 나아가 특히 100%를 따라 연장된다. 다시 말해, 부티의 상측은, 적어도 부티의 상측 상에서, 발의 주상골 부위에 대응하는 갑피 조립체의 발등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발의 중족골 1번-지골 관절에 대응하는 갑피 조립체의 볼 부분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특히 적어도 90%를 따라, 더 나아가 특히 100%를 따라서는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 발의 주상골 부위와 발의 중족골 1번-지골 관절은 사람 발의 해부학적으로 명확한 부분이다. 이들 부위는 특히, 주어진 발 크기에 대해 명확하기 때문에, 주어진 신발 크기에 대한 갑피 조립체의 대응하는 발등 부분과 대응하는 볼 부분의 도출을 허용한다. 밝혀진 바와 같이, 주상골 부위와 중족골 1번-지골 관절 사이의 발 상측의 상당히 넓은 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서 외부 구성에 대한 부티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인지되는 높은 수준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높은 수준의 편안함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midfoot portion is at least 80% of the length from the dorsa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scaphoid region of the foot forward to the bal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the foot. along, in particular along at least 90% and further particularly along 100%. In other words, the upper side of the bootie is, at least on the upper side of the bootie, at least 80% of the length from the dorsa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scaphoid region of the foot forward to the bal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the foot. along, in particular along at least 90% and even more particularly along 100%, are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The navicular region of the foot and the metatarsal 1st-phalangeal joint of the foot are anatomically distinct parts of the human foot. As these regions are particularly specific for a given foot size, they allow for derivation of the corresponding instep and corresponding cheek portions of the upper assembly for a given shoe size. As has been shown, by allow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otie to the external configuration in a fairly large portion or the entire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foot between the scaphoid region and the metatarsal 1 -phalangeal joint, a perceived high level of freedom of movement and a high level of comfort are achieved. can be achiev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 중간 부분은 외부 구성의 갑피 설포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외부 구성의 앞심 부위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특히 적어도 90%를 따라, 더 나아가 특히 100%를 따라 연장된다. 다시 말해, 부티는 외부 구성의 갑피 설포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앞심 부위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특히 적어도 90%를 따라, 더 나아가 특히 100%를 따라서는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의 상측의 비부착 부분이 밑에 있는 신발 구성과 관련하여 최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외부 구성의 칼라 영역에 부티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 갑피 설포 부분과, 나머지 신발 구성에 부티가 추가로 부착되는 앞심 부위 사이의 부위가, 부착 지점 없이 유지될 수 있어, 발 중간 부분에서의 부티 상측 상에서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주어진 신발 구성에 맞춰 최대화될 수 있다. 신발류 기술에 있어서, 앞심 부위는 발의 발가락 부분이 특정 신발류 구성 안으로 끼워지는 신발의 명확히 알 수 있는 부분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idfoot portion extends along at least 80%, in particular along at least 90%, and further particularly along 100% of the length from the upper tongue por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forward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do. In other words,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along at least 80%, particularly along at least 90%, and even more particularly along 100% of the length from the upper tongue por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forward to the anterior portion. In this manner, the upper non-attached portion of the bootie may be formed to its maximum size with respect to the underlying shoe configuration. In particular, the portion between the upper tongue portion, where the bootie may be attached to the collar reg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and the forefoot portion, where the bootie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rest of the shoe configuration, may be maintained without an attachment point, such that in the midfoot portion Freedom of movement on the upper side of the bootie can be maximized for a given shoe configuration. In the art of footwear, the forefoot is the distinct portion of the shoe where the toe portion of the foot fits into a particular footwear configur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발 중간 부분에서 부티의 둘레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60%, 더 나아가 특히 적어도 65%의 주위에서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부티의 둘레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60%, 더 나아가 특히 적어도 65%는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부티의 둘레의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60%, 더 나아가 특히 적어도 65%는 신발류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이 자유로운 둘레 부분이 부티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이들 주어진 값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을 따라 모든 단면과 관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 중간 부분에서 부티가 넓은 면적에 걸쳐 미부착 상태이므로, 착용자는 자유로운 움직임을 특히 잘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즉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미부착 부분이, 부티의 발 중간 부분 둘레의 50% 내지 90%, 특히 60% 내지 85%, 더 나아가 특히 65% 내지 85%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둘레의 특히 10% 내지 15%의 작은 부분이 부착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부착 부분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하측, 즉 밑창 또는 안창을 향해 제공된다. 부티는 또한, 발 중간 부분의 전체 둘레 주위에서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음을 강조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at least 50%, in particular at least 60%, even more particularly at least 65%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otie in the midfoot part. In other words, at least 50%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otie, in particular at least 60%, even more particularly at least 65%,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In other words, at least 50%, in particular at least 60% and even more particularly at least 65%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otie is free to move within the footwear, and this free-moving circumferential portion forms the upper part of the bootie. These given values relate to all cross sections along the midfoot of the bootie. In this way, the wearer can feel the freedom of movement particularly well, since in the midfoot the bootie is unattached over a large area. In particular,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art of the bootie, ie the unattached part of the midfoot part of the bootie, is at 50% to 90%, in particular 60% to 85%, even more particularly 65% to 85%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idfoot part of the bootie. can be extended Accordingly, a small portion, particularly between 10% and 15%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can be used for attachment. These small attachments are provided under the midfoot of the bootie, ie towards the sole or insole. It is also emphasized that the bootie may not be attach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idfoo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이음매가 없다.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전술한 바 및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완전히 이음매가 없을 수 있고, 또는 가장자리를 함께 재봉/접착함으로써 부티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하나의 단일체의 기능성 층/라미네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부티는 직물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물 조각의 개수와 상관없이 단일체의 부티로서 간주된다. 전자의 경우, 부티는 이음매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후자의 경우, 부티는 이음매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음매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이 상기 이음매를 갖지 않는 방식으로, 즉 이음매가 없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간략한 예시의 일 예로서, 하나의 이음매를 갖는 단일체 부티가 라스트의 주위를 감싸면서 가장자리가 함께 재봉되는 라미네이트의 특정 절단부로서 그려질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의 절단부는 라스트를 완전히 덮는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이음매는 라미네이트를 사람 발의 복잡한 형상에 맞추기 위한 다양한 부분 이음매를 가질 수 있지만, 여전히 단일체의 기능성 층/라미네이트의 가장자리를 함께 유지하는 단일 이음매로 간주된다. 전술한 이음매를 따라 방수성의 이음매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부티의 방수성이 보장될 수 있다.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단일체의 기능성 층이 이음매가 없는 이러한 특징은 전술한 이음매가, 만약 존재한다면,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영역에서는 연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이음매가, 만약 존재한다면, 발 중간 부분에서 부티의 하측을 따라 연장되도록 부티가 배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부티의 상측 전체에 걸쳐 이음매가 없다. 또한, 단일체의 기능성 층이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이음매가 없어, 전술한 모든 층을 포함하는 전체 부티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 상에서 이음매가 없을 수 있다는 점에 명백히 유의한다.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 이음매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발의 상부가 이음매에 의해 쓸리는 일이 없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편안함이 배가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seamless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may be completely seamless as described above and below, or it may be formed of one monolithic functional layer/laminate made in the form of a bootie by sewing/gluing the edges together. In either case, as noted above, the bootie is considered a monolithic booti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fabric pieces used to form the fabric layer. In the former case, the bootie is considered seamless. In the latter case, the bootie is considered to have a seam. Such a seam may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art of the bootie is free from said seam, ie in a seamless manner. As an example of a simplified illustration, a one-piece monolithic bootie may be drawn as a specific cut in a laminate where the edges are sewn together while wrapping around the last. The cuts in this laminate are shaped to completely cover the last. The seam thus obtained may have various partial seams to fit the laminate to the complex shape of the human foot, but is still considered a single seam holding together the edges of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laminate. The waterproofness of the bootie can be ensured by using the waterproof seam tape along the seam described above. This feature that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seamless on top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means that the aforementioned seam, if present, does not extend in the upper region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Instead, the bootie is positioned such that a seam, if present, extends along the underside of the bootie in the midfoot portion. In certain embodiments,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seamless throughout the upper side of the bootie. It is also explicitly noted that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seamless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so that the entire bootie including all of the aforementioned layers may be seamless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As there is no seam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of the bootie, the upper part of the foot is not swept by the seam, and the user's perceived comfort is doubl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이음매가 없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성 층이 이음매가 없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인 경우, 부티도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직물 조각의 개수와 상관없이 이음매 없는 단일체의 부티로 간주된다. 특히, 기능성 층은 본래, 예를 들어 라스트와 직물 층 위에서 기능성 층을 확장시킴으로써, 부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이음매를 갖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 기능성 층/라미네이트는 기능성 층/라미네이트의 상이한 부분을 서로 부착할 필요없이 부티의 형상을 갖도록, 즉 양말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기능성 층/라미네이트의 가장자리를 함께 재봉하거나 접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부티 형상의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기능성 층의 구성 자체가, 예컨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되고 있는 WO 2015/123482 A1호에 알려져 있다. 특히, 기능성 층이 어떻게 평면 층에서 부티 형상의 구조로 변환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져 있다. 상기 제조 공정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WO 2015/123482 A1호를 참조한다. 이음매 없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이에 따라 이음매 없는 단일체의 부티를 제공함으로써, 이음매로 인해 안정감, 형태 일치감 및 자유로운 움직임 전반이 손상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특히 높은 수준의 착용자의 편안함이 보장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a seamless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s noted above, if the functional layer is a seamless, monolithic functional layer, the bootie is also considered a seamless monolithic booti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fabric pieces used to make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In particular, the functional layer can be naturally formed into the shape of a bootie, for example by extending the functional layer over the last and fabric layer, and thus is seamless. In other words, the functional layer/laminate can be made to have the shape of a bootie, ie to have a sock shape, without the need to attach different parts of the functional layer/laminate to each other.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sew or glue the edges of the functional layer/laminate together. The construction of such a bootie-shaped waterproof and breathable functional layer itself is known, for example, from WO 2015/123482 A1,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particular, it is known how a functional layer can be transformed from a planar layer to a bootie-shaped structure. See WO 2015/123482 A1 for detail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 particularly high level of wearer comfort is ensured by providing a seamless,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thus by providing a seamless monolithic bootie, since the seam does not impair stability, shape conformity and overall freedom of movement.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 조립체는 조립체 안창을 포함하며, 부티는 발가락 영역에서 외부 구성과 조립체 안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며 뒤꿈치 영역에서 외부 구성과 조립체 안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다. 조립체 안창은 부티 아래에 배치된다. 외부 구성은 조립체 안창의 외측 둘레 부분에서 조립체 안창에 부착될 수도 있고, 예컨대 외부 구성의 갑피 재료가 조립체 안창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조립체 안창은 수증기가 조립체 안창을 통해 신발류의 밑창으로 배출되도록 통기성일 수 있다. 그러나, 조립체 안창이 통기성 재료로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 및 뒤꿈치 영역 모두에서, 부티가 외부 구성 및 조립체 안창 중 하나에 또는 외부 구성과 조립체 안창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an upper assembly includes an assembly insole, wherein the bootie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component and assembly insole in the toe region an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component and assembly insole in the heel region. The assembly insole is disposed under the bootie. The outer configuration may be attached to the assembly insole at a portion of the outer perimeter of the assembly insole, eg, the upper material of the outer configuration may be retained on the assembly insole. The assembly insole may be breathable such that water vapor is expelled through the assembly insole and into the sole of the footwear.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ssembly insole is not formed of a breathable material. In both the toe region and the heel region of footwear, the bootie may be attached to one of the outer component and assembly insole or to both the outer component and assembly insol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하측에서 조립체 안창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는 발 중간 부분에서 전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해서, 발의 중간 부분에서의 주변 신발 구성에 대한 자유로운 움직임이 착용자의 발에 맞춰 최대화된다. 탄성적인 부티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감과 발의 발 중간 부분의 최대의 유연성은 짝을 이룬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assembly insole below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In this way, the bootie is not entirely attached at the midfoot. In this way, freedom of movement relative to the surrounding shoe configuration in the mid-portion of the foot is maximized to fit the wearer's foot. The stability provided by an elastic bootie is paired with maximum flexibility in the midfoot of the foot.

부티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하측에서 조립체 안창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한다. 특히,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 둘레의 최대 50%, 특히 최대 40%, 더 나아가 특히 최대 30%, 더 나아가 특히 최대 20%, 더 나아가 특히 최대 10%의 주위에서 조립체 안창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어진 값에 의하면, 안정성과 유연성 사이의 원하는 절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발 중간 부분에서 소정 형태의 부착을 제공함으로써, 신발류 내부에서 부티가 명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된다. 다시 한 번 말하자면, 이와 같은 주어진 값은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모든 단면과 관련이 있다.Note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bootie to be attached to the assembly insole under the midfoot of the bootie. In particular, the bootie may be attached to the assembly insole around at most 50%, in particular at most 40%, further in particular at most 30%, further in particular at most 20%, further in particular at most 10%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idfoot part of the bootie. . Given these values, a desired compromise between stability and flexibility can be achieved, while providing some form of attachment in the midfoot area allows the bootie to be clearly positioned inside the footwear. Again, a given value like this relates to all cross-sections of the midfoot of the booti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신발류의 밑창을 향한 갑피 조립체의 가장 바깥쪽 하측 부분을 형성하며, 부티는 발가락 영역에서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과 밑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며 뒤꿈치 영역에서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과 밑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다. 갑피 조립체의 가장 바깥쪽 하측 부분을 형성하는 부티는 부티의 아래에 별도의 조립체 안창이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특히, 부티의 하부가 조립체 안창의 기능을 취할 수 있어, 제조 동안 갑피 조립체의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밑창에 부착하기 위한 갑피 조립체의 명확한 하측 부분이 제공된다. 이 경우, 밑창이 부티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발가락 영역 및 뒤꿈치 영역 모두에서, 부티가 외부 구성과 밑창 중 하나에 또는 이들 구조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forms an outermost, lowermost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facing the sole of the footwear, wherein the bootie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an exterior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in a toe region and a sole and a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in a heel region.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component and the sole. The bootie forming the outermost lower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means that no separate assembly insole is provided underneath the bootie. In particular, the lower portion of the bootie may function as an assembly insole, providing a distinct lower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for attachment to the sole while providing stability of the upper assembly during manufacture. In this case, the sole may be attached directly to the bootie. Note that, in both the toe region and the heel region, the bootie may be attached to one or both of the outer construction and the sol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하측에서 밑창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발류의 발 중간 부분에서 부티의 최대의 자유로운 움직임 및 유연성이 제공된다. 부티가 또한,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하측에서 밑창에 부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특히, 밑창이 조립체 안창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부티 둘레 부분을 따라 부티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사출 성형된 밑창 관한 특정 경우에, 밑창이 부티 상에 그리고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 상에 직접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그 과정에서, 밑창이 부티에 강력하게 부착될 수도 있으면서, 제조 과정에서 부착 면적이 면밀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 면적은 또한 부티의 높은 수준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작은 면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sole at the under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In this way, maximum freedom of movement and flexibility of the bootie is provided in the midfoot portion of the footwear. Note that the bootie may also be attached to the sole at the underside of the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In particular, the sole may be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bootie along the sam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ooti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assembly insole. In certain cases regarding injection molded soles, the sole may be injection molded directly onto the bootie and onto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In the process, while the sole may be strongly attached to the bootie, the attachment area can be closely controll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is attachment area can also be kept small to ensure a high level of freedom of movement of the bootie. hav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가 신발류의 칼라 영역에서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에 부착된다. 특히, 부티가 신발 발등 부분 주위에서, 즉 착용자가 자신의 발을 삽입하는 개구 주위에서 외부 구성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가락 영역 및 뒤꿈치 영역 외에 제3 부착 영역이 제공됨으로써,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안함을 고려할 때 상당히 바람직한 바와 같이, 부티가 발 중간 부분에서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신발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위치 고정된다.In accordance with yet another embodiment, a bootie is attached to an exterior component of the upper assembly in a collar region of the footwear. In particular, the bootie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onfiguration around the instep of the shoe, ie around the opening through which the wearer inserts their foot. In this way, a third attachment area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e area and the heel area, so that the bootie maintains free movement in the midfoot area while remaining free from the rest of the footwear, as would be highly desirable given the user's comfort as discussed above. is strongly fixed in posi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 중간 부분에서의 부티의 발 중간 부분 둘레가 발 중간 부분에서의 발 둘레의 6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 더 나아가 특히 80% 내지 90%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는 발이 삽입되면 확장되며, 그 탄성에 의해, 즉 발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분좋은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한다. 부티의 주어진 발 중간 부분의 둘레 값에 의해, 약간의 배압이 주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용감과 배압에 의한 제약을 느끼는 일 없는 충분히 자유로운 움직임 간의 특히 기분좋은 절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발 둘레는 주어진 신발 크기에 대한 전형적인 발의 둘레이다. 전형적인 발은 변형되지 않은 발, 즉 비정상적인 변형이 없는 발이다. 따라서, 발 둘레는 발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즉 의학 교재에 주어진 바와 같은 특성에 따라 정의될 수도 있다. 발 둘레를 관련된 세트의 발 둘레 측정치의 평균 또는 중간 값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idfoot circumference of the bootie at the midfoot portion is between 60% and 99%, in particular between 70% and 95%, and even in particular between 80% and 90% of the circumference at the midfoot area. In this way, the bootie expands when the foot is inserted, and by its elasticity, i.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oot, provides a pleasing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With a given midfoot girth value of the bootie, a particularly pleasing compromise can be made between a comfortable and secure fit provided by a slight back pressure and sufficient freedom of movement without feeling constrained by back pressure. Foot circumference is the typical foot circumference for a given shoe size. A typical foot is an undeformed foot, that is, a foot without abnormal deformation. Accordingly, the foot circumference may be defined according to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ot, i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s given in medical textbooks.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foot circumference as the mean or median value of a related set of foot circumference measurement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부티의 종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가 부티의 원주 방향 및 부티의 종방향 모두에서 탄성을 가짐으로써, 착용자에게 향상된 방식으로 안정성 및 편안함을 제공한다. 원주 방향 탄성에 추가하여 종방향 탄성을 가질 경우, 부티는 또한 2축 탄성을 갖는다고도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is elast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In this way, the bootie has elasticity in bo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thereby providing stability and comfort to the wearer in an improved manner. A bootie is also said to be biaxially elastic when it has longitudinal elasticity in addition to circumferential elasticit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부티의 종방향으로 10% 연신 시에 최대 15 N/cm, 특히 최대 5 N/cm의 종방향 탄성을 갖는다. 탄성은 10% 연신 시에 샘플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으로서 측정되며, cm 단위의 값은 부티의 시험 샘플의 폭과 관련이 있다. 탄성은 2005년 7월 버전의 DIN EN 14704-1에 따라 측정된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러한 주어진 값은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발의 구속감을 피하면서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발에 소정 힘을 인가하는 특히 편안한 착용감을 부티에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부티는 부티의 종방향으로 10% 연신 시에 적어도 0.5 N/cm의 종방향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정성 및 편안한 착용감을 위한 최소한의 압력이 달성될 수 있다. 부티의 탄성은, 예컨대 원하는 수축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용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has a longitudinal elasticity of at most 15 N/cm, in particular at most 5 N/cm at 10%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Elasticity is measured as the force required to hold the sample at 10% elongation, and the value in cm is related to the width of the test sample in the bootie. Elasticity is measured according to DIN EN 14704-1 of the July 2005 vers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se given values provide the bootie with a particularly comfortable fit that applies a certain force to the foot for a stable and comfortable fit while avoiding the feeling of restraint on the foot due to excessive pressure. In certain embodiments, the bootie has a longitudinal elasticity of at least 0.5 N/cm at 10%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In this way, minimal pressure for stability and a comfortable fit can be achieved. The elasticity of the booti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using a fabric for at least one fabric layer having a desired retractive forc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30% 연신 시에 최대 15 N/cm, 특히 최대 5 N/cm의 원주 방향 탄성을 갖는다. 원주 방향에서의 연신은 부티 샘플, 예컨대 부티가 절단 개방되는 경우의 부티 재료와 관련하여 정의된다. 다시 말해, 부티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해서는 부티의 두 개의 층을 동시에 신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신 값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발류에 삽입되는 바와 같은 부티에 대해 정의되는 것은 아니다. 밝혀진 바와 같이, 주어진 탄성 값은 발의 원주 방향 압력과, 전달 안정성, 그리고 편안한 착용감을 서로 매우 편안한 방식으로 절충하는 동시에 탄성 압력을 방해 작용으로서 인식되지 않는 값으로 유지한다. 특히,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30% 연신 시에 적어도 0.5 N/cm의 원주 방향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용자의 발에 편안한 최소의 배압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부티의 탄성은, 예를 들어 원하는 수축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용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has a circumferential elasticity of at most 15 N/cm, in particular at most 5 N/cm, at 30%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defined with respect to a bootie sample, such as a bootie material when the bootie is cut open. In other words, an elongation value is not defined for a bootie as inserted in footwear described herein, as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stretch two layers of the bootie for the bootie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can be seen, a given elastic value compromises the circumferential pressure of the foot, transmission stability, and comfortable fit with each other in a very comfortable manner, while maintaining the elastic pressure at a value that is not perceived as a disturbing action. In particular, the bootie may have a circumferential elasticity of at least 0.5 N/cm at 30%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In this way, a comfortable minimum back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wearer's feet. The elasticity of the booti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using a fabric for at least one fabric layer with a desired retractive forc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티는 부티의 종방향과 부티의 원주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75%의 탄성 회복력을 갖는다. 특히, 부티는 부티의 종방향 및 원주 방향 모두에서 적어도 75%의 탄성 회복력을 갖는다. 탄성 회복력은 2005년 7월 버전의 DIN EN 14704-1에 따라 재차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회복력에 의해, 부티의 편안한 착용감 그리고 이에 따라 신발류의 편안한 착용감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부티는 사용 후에 거의 또는 전적으로 그 원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음번 신발류를 사용할 때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편안한 착용감을 경험하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ootie has an elastic recovery force of at least 75% in at least one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In particular, the bootie has an elastic recovery force of at least 75%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bootie. The elastic recovery force can be measured again according to DIN EN 14704-1 of the July 2005 version. By this elastic recovery force, the comfortable fit of the bootie and thus the comfortable fit of the footwear can be maintain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bootie can return almost or entirely to its original shape after use, so that the user experiences the same or nearly the same comfortable fit the next time the footwear is us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확장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ePTFE),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테르(PES)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고밀도 P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 주어진 재료 모두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기능성 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며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을 달성하기에 적당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능성 층은 ePTFE 막이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가 언급된 재료들 중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층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PU 층뿐만 아니라 ePTFE 층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PU 층은 ePTFE 층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ePTFE 층의 통기성이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polyurethane (PU), polypropylene (PP), polyester (PES)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E). include All of these given materials are suitable for forming functional layers that are waterproof and breathable and are suitable for achieving elasticity as described hereinabove. 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is an ePTFE film. It is also possible for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o have layer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mong the mentioned materials. For example,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may have a PU layer as well as an ePTFE layer, in which case the PU layer blocks water from entering the ePTFE layer and thus prevents the ePTFE layer's breathability from being damaged by water. prev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은 편직, 직조 또는 부직 직물 중 하나이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 각각이 편직, 직조 또는 부직 직물 중 하나일 수 있다. 편직, 직조 또는 부직 직물은, 이들 재료가 특히 유리한 탄성적/신장 가능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발류의 부티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들 직물은 부티의 탄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물 및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직물에 있어서, 섬유는 예를 들어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로 형성되는 섬유, 특히 상표명 Lycra로 시판되고 있는 예를 들어 엘라스턴스(elastance)나 스판덱스와 같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섬유,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적일 수도 있다. 직물이 신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든 섬유가 탄성일 필요는 없다. 상이한 섬유, 예를 들어 20%의 폴리우레탄과 80%의 폴리아미드로 형성되는 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장 가능한 직물은 또한, 적절한 섬유 구조, 예를 들어 편직물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직물의 섬유를 텍스쳐링 가공, 예를 들어 크림핑 가공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t least one fabric layer is one of a knitted, woven or non-woven fabric. In particular, each of the at least one fabric layer may be one of a knitted, woven or non-woven fabric. Knitted, woven or non-woven fabrics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booties of footwear described herein, since these materials can be made in a particularly advantageous elastic/stretchable manner. In this way, these fabrics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elasticity of the bootie. In these and other types of fabrics that may be used, the fibers are made of, for example, fibers formed from polyamides, such as nylon, in particular polyurethanes, for example elastance or spandex,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Lycra. It may be elastic, such as the fibers formed, or rubber. Not all fibers need to be elastic in order for a fabric to be stretchable. It is possible to use different fibers, for example yarns formed from 20% polyurethane and 80% polyamide. Stretchable fabrics may also be provided by providing an appropriate fiber structure, such as a knitted fabric, or by texturing the fibers of the fabric, such as crimping.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구성은 통기성 외부 재료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외부 구성이 본질적으로 통기성 외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 및 통기성 외부 재료는 매우 적은 개수의 층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으로의 수증기 배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증기 배출이 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component comprises a breathable outer material. In certain embodiments, the outer construction may consist essentially of a breathable outer material. In this way, the bootie and breathable exterior material can provide a path for water vapor release to the exterior environment using very few layers. In this way, water vapor discharge can be achieved in a particularly efficient man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은 밑창의 측방 면을 향해 및/또는 밑창의 바닥면을 향해 수증기 배출 홀을 구비하며, 발에서 나온 수증기는 부티를 통해, 밑창 내부를 통해, 그리고 수증기 배출 홀을 통해 신발류의 외부 환경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밑창을 통해 수증기 배출이 달성됨으로써, 발의 밑면으로부터 신발류의 외부 환경으로의 짧고 효과적인 수증기 배출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밑창이 통기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밑창 전체를 통기성 밑창으로 볼 수 있다. 밑창을 통한 수증기 배출은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을 통한 수증기 배출에 추가하여, 특히 갑피 조립체의 통기성 외부 재료를 통한 수증기 배출에 추가하여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ole has vapor evacuation holes toward the lateral side of the sole and/or towards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wherein water vapor from the foot passes through the booti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ole, and through the vapor evacuation holes. It is discharged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footwear through In this way, vapor evacu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sole, thereby providing a short and effective vapor evacuation path from the underside of the foo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footwear. Thus, the entire sole can be viewed as a breathable sole, whether or not the sole is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Evacuat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sole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emiss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exterior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particularly in addition to emiss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breathable exterior material of the upper assembl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신발류에 사용하기 위한 부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부티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신발류와 관련하여 전술한 변형예, 추가 특징 및 효과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신발류에 사용하기 위한 부티에 적용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bootie for use in footwear as described in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wherein the bootie is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e laminate comprises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wherein the bootie is elast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The variants, additional features and effec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ootwear apply in a similar manner to a bootie for use in said footwear.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부 구성을 구비한 갑피 조립체와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는 부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을 포함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인 단계; 그리고 상기 갑피 조립체와 상기 밑창의 내부 공간에 상기 부티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티는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신발류의 뒤꿈치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신발류와 관련하여 전술한 변형예, 추가 특징 및 효과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신발류 제조 방법에 적용된다. 용어 "갑피 조립체와 밑창의 내부 공간"은 발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신발류의 공간을 나타낸다. 갑피 조립체와 밑창 모두가 이러한 공간의 주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갑피 조립체와 밑창의 내부 공간이라고 나타내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갑피 조립체가 이러한 전체 공간을 감싸며, 밑창은 조립체 안창과 같은 갑피 조립체의 일부에 의해 이러한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용어 "갑피 조립체와 밑창의 내부 공간"에 포함된다. 용어 "갑피 조립체와 밑창의 내부 공간에서의 부티 배치"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부티 삽입뿐만 아니라 부티 주위에서의 신발류의 외부 구성의 생성을 포괄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comprising a sole and an upper assembly having an exterior configuration,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bootie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wherein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comprises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wherein the bootie is elasti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and placing the booti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upper assembly and the sole, wherein the bootie is fixed in position in a toe region of the footwear and fixed in position in a heel region of the footwear, wherein the bootie is positioned in a midfoot portion of the bootie. and not being attached to the external component from above. The variants, further features and effec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ootwear apply in a similar manner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footwear. The term “interior space of the upper assembly and sole” refers to a space in footwear intended to receive a foot. Because both the upper assembly and the sole are disposed around this space, what may be referred to as the interior space of the upper assembly and the sole.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he upper assembly encloses this entire space and the sole is separated from this space by a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such as an assembly insole. Such configurations are encompassed by the term “interior space of the upper assembly and sole.” The term “bootie placement in the interior space of an upper assembly and sole” encompasses insertion of a bootie into the interior space as well as creation of an exterior configuration of the footwear around the booti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이음매 없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이며, 상기 부티를 제공하는 단계는 라스트 위에서 이음매 없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a seamless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providing the bootie comprises extending the seamless monolithic functional layer over the last.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종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보여준다.
도 2는 횡단면도로 도시된 도 1의 신발류를 보여준다.
도 3은 종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보여준다.
도 4는 횡단면도로 도시된 도 3의 신발류를 보여준다.
도 5는 사람의 발의 해부학적 구조를 평면도로 보여준다.
도 6은 횡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보여준다.
도 7은 횡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에 사용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Furth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shows a footwe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 2 shows the footwear of FIG. 1 shown in cross-section;
3 shows a footwea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 4 shows the footwear of Fig. 3 shown in cross-section;
5 shows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human foot in a plan view.
6 shows a footwea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7 shows a footwea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cross-section;
8 shows, in cross-section,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used in footwe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2)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도 1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신발류(2)의 중심을 관통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류(2)는 갑피 조립체가 착용자의 발목 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츠형 신발로도 지칭되는 부츠이다. 도시된 부츠형 신발은 사실상 예시이며, 다른 유형의 신발류/신발, 특히 발목이 낮은 신발이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1 shows a footwear 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longitudinal cross-section, wherein the cross-section of FIG. 1 substantiall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ootwear 2 .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 footwear 2 is a boot, also referred to as a boot-like shoe, with an upper assembly extending upwardly above the wearer's ankle. The boot-like shoes shown are exemplary in nature, and other types of footwear/shoes, particularly low-ankle shoes, may be constructed in a similar manner.

신발(2)은 갑피 조립체(4)와 밑창(6)을 포함한다. 신발은 라스트에 끼워진 구성이다. 갑피 조립체(4)는 가죽, 스웨이드, 직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은 통기성 외부 재료(40) 및 조립체 안창(44)을 포함한다. 통기성 외부 재료(40)는 바닥으로부터 조립체 안창(44) 상에 주변을 따라 유지된다. 특히, 통기성 외부 재료(40)는 그 주변을 따라 영구 접착제에 의해 조립체 안창(44)의 바닥에 접착된다.The shoe 2 includes an upper assembly 4 and a sole 6 . The shoe is a configuration that is fitted into the last. Upper assembly 4 includes an assembly insole 44 and a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such as leather, suede, fabric, or any other suitable material.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is held along the perimeter on the assembly insole 44 from the bottom. In particular,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is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assembly insole 44 by a permanent adhesive along its periphery.

갑피 조립체(4)는 설포(42)를 더 포함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포(42)는 통기성 외부 재료(40)와 원래 별개의 구조이고, 예를 들어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외부 재료에 부착된다. 설포(42) 및 통기성 외부 재료(44)가 연속적인 재료 조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기성 외부 재료(40) 및 설포(42)는 신발류(2)의 외부 구성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신발류(2)의 외부 구성은 3차원 편물과 같은 단일의 일체형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가죽 신발/부츠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다양한 원래 별개의 통기성 재료 조각으로 조립될 수 있다.The upper assembly 4 further includes a tongue 42 .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 tongue 42 is originally a separate structure from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material, for example, by sewing or gluing. It is also possible for tongue 42 and breathable outer material 44 to be integrally formed from a continuous piece of material.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ongue 42 form the outer configuration of footwear 2 . In general, the outer construction of footwear 2 may be a single unitary structure, such as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or may be assembled from a variety of originally discrete pieces of breathable material, as is common in, for example, leather shoes/boots.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밑창(6)은 비통기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실형 구조, 예를 들어 중실형 플라스틱 구조이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밑창(6)은 갑피 조립체(4)의 하측 상에 사출되어, 사출 과정에서 외부 재료(40)의 라스트에 끼워진 부분과 조립체 안창(44)에 강력한 접합부를 형성한다. 밑창(6)은 또한, 갑피 조립체(4)의 하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밑창(6)이 가죽과 같은 고유의 통기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및/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창이 밑창을 통한 통기성을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1 , the sole 6 is a solid construction made of a non-breathable material, for example a solid plastic construction. 1 , the sole 6 is injected on the underside of the upper assembly 4 to form a strong bond to the assembly insole 44 and the last-fitted portion of the outer material 40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do. The sole 6 may also be glued to the underside of the upper assembly 4 .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ole 6 to be formed of an inherently breathable material such as leather, and/or it is possible for the sole to have a structure that permits breathability through the sole, as described below.

갑피 조립체(4)는 부티(50)를 더 포함한다. 부티(50)는 통기성 외부 재료(40)와 설포(42)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의 외부 구성과 조립체 안창(44)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양말 형상 구조이다. 갑피 조립체(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 부티(50)는 신발 삽입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티(50)의 상단은 외부 재료(4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부티(50)의 상단이 외부 재료(40)의 상단 아래에서 끝나거나 외부 재료(40)의 상단 위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upper assembly 4 further includes a bootie 50 . The bootie 50 is a sock-shaped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assembly insole 44 and an outer component of the upper assembly including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he tongue 42 . Being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of upper assembly 4 , bootie 5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hoe insert.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 the top of the bootie 50 is flush with the top of the outer material 40 . It is also possible for the top of the bootie 50 to end below the top of the outer material 40 or extend above the top of the outer material 40 .

부티(50)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된다. 특히, 도 1의 예시적인 부티(50)는 양말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이다. 이러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신발 라스트 위에서 기능성 층을 신장시켜 제조되는 단일체의 이음매 없는 기능성 층을 포함한다. 또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기능성 층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기능성 층에 부착되는 2개의 직물 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부티(50)는 3층으로 이루어진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된다.The bootie 50 is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In particular, the exemplary bootie 50 of FIG. 1 is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formed in a sock-like shape. Thes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s include a monolithic, seamless functional layer made by stretching the functional layer over the last of the shoe. The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also includes two fabric layer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functional layer and attached to the functional layer. Accordingly, the bootie 50 is formed of a three-layer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신발류(2)는 발 앞 부분(90), 발 중간 부분(92) 및 발 뒷 부분(94)으로 구성된다. 발 앞 부분(90), 발 중간 부분(92) 및 발 뒷 부분(94)은 도 1에서 점선으로 구분되어 있다. 발 앞 부분(90)은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발 뒷 부분(94)은 뒤꿈치 영역(96)과 칼라 영역(98)을 포함한다. 도 1의 부츠(2)가 발목이 상당히 낮은 구조를 가지므로,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 뒷 부분(94)은 뒤꿈치 영역(96)과 칼라 영역(98)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에서는 뒤꿈치 영역(96)과 칼라 영역(98)의 사이에 추가의 영역이 개재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ootwear 2 is composed of a forefoot portion 90 , a midfoot portion 92 , and a back foot portion 94 . The forefoot portion 90 , the midfoot portion 92 , and the back foot portion 94 are separated by dotted lines in FIG. 1 . The forefoot portion 90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toe region of the footwear. The back portion 94 includes a heel region 96 and a collar region 98 . Since the boot 2 of FIG. 1 has a fairly low ankle structu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 the back portion 94 consists of a heel region 96 and a collar region 98 . However, in other configura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additional region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heel region 96 and the collar region 98 .

부티(50)는 발 앞 부분/발가락 영역(90), 뒤꿈치 영역(96) 및 칼라 영역(98)에서 통기성 외부 재료(40), 설포(42) 및 조립체 안창(44)에 부착된다. 특히, 부티(5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접착제 부분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부티(50)는 부티(50)의 둘레를 둘러싸는 제1 접착제 부분(70)을 통해 칼라 영역(98)에서 통기성 외부 재료(40) 및 설포(42)에 부착된다. 부티(50)는 제2 접착제 부분(72)을 통해 뒤꿈치 영역(96)에서 외부 재료(40)에 부착된다. 제2 접착제 부분(72)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원형 방식으로 부티(50)의 둘레의 일부 주위에서 연장된다. 부티(50)는 제3 접착제 부분(74)을 통해 뒤꿈치 영역(96)에서 조립체 안창(44)에 부착된다. 제3 접착제 부분(74)은 착용자 발뒤꿈치의 스탠스 부위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연장 길이를 갖는다. 부티(50)는 또한, 제4 접착제 부분(76)을 통해 발 앞 부분/발가락 영역(90)에서 조립체 안창(44)에 부착된다. 또한, 부티(50)는 제5 접착제 부분(78)을 통해 발 앞 부분/발가락 영역(90)에서 통기성 외부 재료(40)에 부착된다. 제4 접착제 부분(76) 및 제5 접착제 부분(78)은 발 앞 부분(90)에서 갑피 조립체(4)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가로 질러 연장된다. 접착제 부분의 배치는 사실상 예시이며, 발가락 영역, 뒤꿈치 영역 및 칼라 영역에서의 부티의 위치 고정이 또한 다른 접착제 배치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Bootie 50 is attached to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 tongue 42 and assembly insole 44 in forefoot/toe region 90 , heel region 96 and collar region 98 . In particular, the bootie 50 is held in position by various adhesive portions as described below. The bootie 50 is attached to the tongue 42 and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in the collar region 98 via a first adhesive portion 70 surrounding the perimeter of the bootie 50 . The bootie 50 is attached to the outer material 40 in the heel region 96 via a second adhesive portion 72 . The second adhesive portion 72 extends around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bootie 50 , for example,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manner. The bootie 50 is attached to the assembly insole 44 at the heel region 96 via a third adhesive portion 74 . The third adhesive portion 74 has an extended length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tance portion of the wearer's heel. The bootie 50 is also attached to the assembly insole 44 at the forefoot/toe region 90 via a fourth adhesive portion 76 . The bootie 50 is also attached to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in the forefoot/toe region 90 via a fifth adhesive portion 78 . A fourth adhesive portion 76 and a fifth adhesive portion 78 extend across substantially the entire width of the upper assembly 4 at the forefoot portion 90 . The placement of the adhesive portion is exemplary in nature, and it is understood that securing the position of the bootie in the toe region, heel region and collar region may also be achieved through other adhesive placements.

부티(50)는 발 중간 부분(92)의 갑피 조립체(4)의 나머지 부분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특히,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티(50)는 발 중간 부분(92)에서는 통기성 외부 재료(40)와 설포(42)를 포함하는 외부 구성 및 조립체 안창(44) 어느 것에도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50)는 발 중간 부분(92)에서는 갑피 조립체의 주변 요소들에 대해 움직임이 자유롭다. 발 중간 부분에서 달성되는 이와 같이 완전히 자유로운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된다. 특히, 부티(50)는 갑피 조립체(4)의 앞심 부위의 시작부와 갑피 설포 부분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발 중간 부분의 갑피 조립체(4)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The bootie 50 is not attached to the remainder of the upper assembly 4 of the midfoot portion 92 . In particula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 the bootie 50 is attached to any of the outer construction and assembly insoles 44 including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he tongue 42 at the midfoot portion 92 . there is not In this manner, bootie 50 is free of movement relative to surrounding elements of the upper assembly at midfoot portion 92 . This complete freedom of relative movement achieved in the midfoot region provides a comfortable fit for the user. In particular, the bootie 50 is not attached to the remainder of the upper assembly 4 in the midfoo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between the upper tongue portion and the beginning of the proxima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4 .

발 중간 부분(92)에서는, 부티의 둘레가 착용자의 발 둘레보다 짧다. 이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다. 통기성 외부 재료(40) 및 설포(42)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4)의 외부 구성은, 착용자의 발의 형상 및 크기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 중간 부분(92)의 부티(50)의 상측 위에 공기 간극(52)이 존재한다. 공기 간극(52)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부티(50)의 둘레는 외부 구성의 확장 형태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착용자의 발 둘레보다 짧다.In the midfoot portion 92, the circumference of the bootie is shor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foot. This is shown in FIG. 1 and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configuration of upper assembly 4 including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ongue 42 is shown to approximately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wearer's foot. As can be seen in FIG. 1 , there is an air gap 52 over the top of the bootie 50 in the midfoot portion 92 . As the air gap 52 illustrates, the circumference of the bootie 50 is shor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foot, which approximately corresponds to the expanded form of the outer configuration.

부티(50)는 적어도 발 중간 부분(92)에서 원주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티(50)는 착용자의 발이 삽입될 때에 확장될 수 있다. 부티(50)의 이와 같은 탄성 확장에 의해 발 중간 부분(92)에서 부티의 상측이 통기성 외부 재료(40)와 설포(42)를 향해 밀어짐으로써,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경우 공기 간극(52)이 축소되거나 없어진다. 통기성 외부 재료(40) 또는 설포(42)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확장 시에, 부티는 그 탄성으로 인해 착용자의 발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착용자는 발 중간 부분(92)에서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착용감을 경험하게 되는 한편, 갑피 조립체(4)의 주변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어, 자유로운 움직임이 보장될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경험하는 편안함의 수준이 높아진다.The bootie 50 is circumferentially elastic at least in the midfoot portion 92 . In this way, the bootie 50 can expand when the wearer's foot is inserted. This elastic expansion of the bootie 50 pushes the upper side of the bootie at the midfoot portion 92 towards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ongue 42, thereby causing an air gap 52 when the wearer's foot is inserted. is reduced or eliminated. Air may escape through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or tongue 42 . Upon extension, the bootie exerts a force on the wearer's foot due to its elasticity. In this way, the wearer experiences a stable and comfortable fit in the midfoot portion 92 while allowing movement relative to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4, thereby ensuring freedom of movement as well as allowing the wearer to The level of comfort experienced increases.

신발류의 신발 사이즈가 "43"인 특정 예에서, 부티는 발 중간 부분을 따라 모든 단면에서 둘레가 200 mm 내지 225 mm일 수 있다. 이러한 부티의 경우 발 중간 부분의 30% 연신 시에 약 5 N/cm의 원주 방향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부티는 발 중간 부분에서 종방향 탄성을 가질 수 있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티는 발 중간 부분의 10% 연신 시에 약 5 N/cm의 종방향 탄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specific example where the shoe size of footwear is "43", the bootie may have a circumference of 200 mm to 225 mm in all cross-sections along the midfoot. In the case of such a bootie, it may have a circumferential elasticity of about 5 N/cm at 30% elongation of the middle part of the foot. The bootie may or may not have longitudinal elasticity in the midfoot portion. For example, the bootie may have a longitudinal elasticity of about 5 N/cm at 10% elongation of the midfoot.

도 2는 도 1의 신발류(2)의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특히, 도 2는 도 1의 A-A로 지시된 단면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2)를 보여준다. 도 2의 단면은 발 중간 부분(92)의 대략 중간을 따라 절단한 평면이다.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twear 2 of FIG. 1 . In particular, FIG. 2 shows the footwear 2 of FIG. 1 taken along the cross section indicated by A-A in FIG. 1 . The cross-section of FIG. 2 is a plane cut along approximately the middle of the midfoot portion 92 .

전술한 바와 같이, 부티(50)는 발 중간 부분(92)에서 완전히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도 2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티(50)와 주변 신발 구조, 즉 조립체 안창(44)과 통기성 외부 재료(40) 그리고 설포(42)의 사이에 접착제 부분이나 다른 부착 수단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2에도 공기 간극(52)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공기 간극(52)의 높이가 신발 중앙에서의 조립체 안창(44)과 설포(42) 사이의 공간의 높이의 약 2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실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예시적인 예를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하며, 공기 간극(52)의 높이가 조립체 안창(44)과 설포(42) 사이의 거리의 1% 내지 20%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간극(52)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서, 압축성 재료가 부티(50)와 통기성 외부 재료(40)/설포(4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As noted above, the bootie 50 is not fully attached at the midfoot portion 92 . 2 , there is no adhesive portion or other attachment means between the bootie 50 and the surrounding shoe structure, ie, the assembly insole 44 and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he tongue 42 , as further shown in FIG. 2 . Not shown. Also shown in FIG. 2 is an air gap 52 .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air gap 52 is shown to be about 20% of the height of the space between the assembly insole 44 and the tongue 42 at the center of the sho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are intended to convey illustrative examples, wherein the height of the air gap 52 is between 1% and 20%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ssembly insole 44 and the tongue 42 . ca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or as an alternative to the air gap 52 , a compressible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otie 50 and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lingual 42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2)를 보여준다. 도 3의 신발류(2)는 도 1 및 도 2의 신발류(2)와 유사하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지 않는 특징부/요소에 대해서는 위의 도 1 및 도 2의 신발류의 설명을 참조한다.3 shows a footwear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wear 2 of FIG. 3 is similar to the footwear 2 of FIGS. 1 and 2 . Reference is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footwear of FIGS. 1 and 2 above for features/element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3 .

도 3의 신발류(2)도 갑피 조립체(4)와 밑창(6)을 포함한다. 도 3의 갑피 조립체(4)의 구성은 조립체 안창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의 갑피 조립체(4)와 상이하다. 다시 말해, 도 3의 갑피 조립체(4)에는 조립체 안창이 없으며, 즉 착용자의 발 아래에 배치되어 갑피 조립체의 제조 동안 피봇을 형성하는 전용의 구조적 요소가 없다. 대신, 부티(50)의 하부가 갑피 조립체의 제조 동안 피봇의 기능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전용 조립체 안창은 아니지만, 도 3의 부티(50)의 하부가 조립체 안창의 기능성을 갖고 있다.The footwear 2 of FIG. 3 also includes an upper assembly 4 and a sole 6 .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assembly 4 of FIG. 3 differs from the upper assembly 4 of FIG. 1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n assembly insole. In other words, the upper assembly 4 of FIG. 3 has no assembly insole, ie, no dedicated structural element to be placed under the wearer's foot to form a pivot during manufacture of the upper assembly. Instead, the lower portion of the bootie 50 serves as a pivot during manufacture of the upper assembly. In other words, although not a dedicated assembly insole, the lower portion of the bootie 50 of FIG. 3 has the functionality of an assembly insole.

조립체 안창을 구비하지 않는 도 3의 갑피 조립체(4)에 의하면, 통기성 외부 재료(40)가 부티(50)의 하측에 유지된다. 특히, 뒤꿈치 영역(96)에 배치된 제3 접착제 부분(74)에 의해 부티(50)와 통기성 외부 재료(40)가 부착된다. 유사하게, 발가락 영역(90)에 배치된 제4 접착제 부분(76)에 의해 부티(50)와 통기성 외부 재료(40)가 부착된다. 도 1의 신발류와 비교하여, 제3 접착제 부분(74)은 부티(50)를 따라 더 짧은 종방향 연장 길이를 갖는다. 통기성 외부 재료(40)의 유지된 부분은, 도 1과 비교하여, 도 3의 실시예에서 더 긴 종방향 연장 길이를 갖는다.With the upper assembly 4 of FIG. 3 without the assembly insole,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is retained on the underside of the bootie 50 . In particular, the bootie 50 and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re attached by a third adhesive portion 74 disposed in the heel region 96 . Similarly, the bootie 50 and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re attached by a fourth adhesive portion 76 disposed in the toe region 90 . Compared to the footwear of FIG. 1 , the third adhesive portion 74 has a shorter longitudinal extension length along the bootie 50 . The retained portion of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has a longer longitudinal extension length in the embodiment of FIG. 3 as compared to FIG. 1 .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3의 신발류(2)의 밑창(6)도 사출된 밑창이다. 그러나, 조립체 안창이 없는 경우, 도 3의 밑창(6)이 통기성 외부 재료(40)의 유지된 부분 상으로 그리고 부티(50)의 바로 밑면으로 사출된다. 사출 시에, 특히 사출 성형 시에, 밑창(6)의 재료가 부티(50)에 도달하여 함께 접착제 접합부를 형성한다. 밑창(6)의 재료는 또한, 통기성 외부 재료(40)의 유지된 부분과 제3 및 제4 접착제 부분(74, 76)에 인접한 부티(50)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또한, 밑창의 재료가 통기성 외부 재료(40)의 유지된 부분의 밑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출된 밑창 재료에 의해 밑창(6), 통기성 외부 재료(40) 및 부티(50) 사이의 강력한 접착체 접합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부티(50)는 그 전체 밑면을 따라 발 중간 부분(92)에서 밑창(6)에 부착된다. 특히, 부티(50)는 제3 및 제4 접착제 부분(74, 76)의 사이에서 그 전체 밑면을 따라 밑창(6)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이 신발류(2)의 모든 종단면의 경우에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티(50)의 밑면과 밑창(6) 사이의 부착은 비교적 좁은 부착 영역으로 한정된다.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sole 6 of the footwear 2 of FIG. 3 is also an extruded sole. However, in the absence of an assembly insole, the sole 6 of FIG. 3 is ejected onto the retained portion of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into the immediate underside of the bootie 50 . Upon injection, particularly during injection molding, the material of the sole 6 reaches the bootie 50 and forms an adhesive bond together. The material of the sole 6 also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retained portion of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he bootie 50 adjacent the third and fourth adhesive portions 74 , 76 . Also, the material of the sole is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retained portion of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 In this way, a strong adhesive bond between the sole 6 ,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and the bootie 50 is provided by the extruded sole material. Accordingly, the bootie 50 is attached to the sole 6 at the midfoot portion 92 along its entire underside. In particular, the bootie 50 is attached to the sole 6 along its entire undersid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adhesive portions 74 , 76 .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is configuration does not have to be applied to all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footwear 2 . As shown in FIG. 4 , the attachment between the sole 6 and the underside of the bootie 50 is limited to a relatively narrow attachment area.

도 4는 도 3의 신발류(2)의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특히, 도 4는 도 3의 A-A로 지시된 단면을 따라 취한 도 3의 신발류(2)를 보여준다. 도 4의 단면은 발 중간 부분(92)의 대략 중간을 절단한 평면이다.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twear 2 of FIG. 3 . In particular, FIG. 4 shows the footwear 2 of FIG. 3 taken along the cross section indicated by A-A in FIG. 3 . The cross section of FIG. 4 is a plane cut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midfoot portion 92 .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밑창(6)은 통기성 외부 재료(40)의 유지된 부분 및 부티(50)의 밑면에 부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발 중간 부분의 단면에서, 밑창은 그 중심 부분에서 부티(50)의 밑면에 부착된다. 용어 "중심 부분"은 횡방향에서의 부티의 중심 주위 영역을 지칭한다. 밑창(6)과 부티(50)의 밑면 사이의 부착은 발 중간 부위의 모든 횡단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밑창(6)과 부티(50) 사이의 부착역이 비교적 작은 면적으로 한정된다. 전체 신발류 구성에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부착 면적은 작게 유지함으로써, 신발류(2) 내에서의 부티(50)의 고도로 유연한 배치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인지하는 높은 수준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유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ole 6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3 and 4 is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bootie 50 and a retained portion of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 In the cross-section of the midfoot portion shown in FIG. 4 , the sole is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bootie 50 at its central portion. The term “central portion” refers to the area around the center of the booti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attachment between the sole 6 and the underside of the bootie 50 may be the same or similar in all cross-sections of the midfoot region. In this way, the area of attachment between the sole 6 and the bootie 50 is limited to a relatively small area. Keeping the attachment area small while providing some stability to the overall footwear configuration results in a highly flexible placement of the bootie 50 within the footwear 2 as well as a high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perceived by the wearer.

밑창(6)과 부티(50) 사이의 부착 면적이 특정 용례의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컨대, 밑창(6)이 통기성 외부 재료(40)의 유지된 부분들 사이의 전체 폭에 걸쳐 부티(5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부착 면적은 제조 과정 동안 잘 제어될 수 있다. 밑창 재료가 도달하지 않아야 하는 부분에서는 부티 상에 보호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은, 밑창(6)이 사출된 이후, 그 측면 부분을 따라 부티(50)의 밑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Note that the area of attachment between the sole 6 and the bootie 5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ole 6 to be attached to the bootie 50 over the entire width between the retained portions of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 This attachment area can be well controll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 protective layer may be arranged over the bootie where the sole material should not reach. This protective layer can be pulled outward from the underside of the bootie 50 along its side portions after the sole 6 has been ejected.

도 5는 사람의 발의 해부학적 구조를 평면도로 보여준다. 특히, 도 5에는 개개의 원주 방향 선으로 지시된, 뼈 주위의 오른발 및 왼발의 연장선을 포함하는 오른발(100) 및 왼발(102)의 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발(100, 102)의 모양은 의학 교재에 제공된 바와 같은 사람 발의 표준 모양이다.5 shows the anatomical structure of a human foot in a plan view. In particular, FIG. 5 shows the bones of the right foot 100 and left foot 102 including extensions of the right and left feet around the bones, indicated by respective circumferential lines. The shape of the feet 100 and 102 shown in FIG. 5 is the standard shape of a human foot as provided in medical textbooks.

오른발(100)과 왼발(102) 모두에서, 주상골이 도면 부호 "104"로 지시되어 있다. 주상골의 윤곽을 발의 주상골 부위(104)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오른발(100)과 왼발(102) 모두에서, 중족골 1번이 도면 부호 "108"로 지시되어 있다. 각 중족골 1번(108)의 전방 단부가 지골 관절에서 끝난다. 이러한 전방 단부는 도면 부호 "106"으로 지시되어 있고, 본원에서 중족골 1번-지골 관절로 지칭된다.In both the right foot 100 and the left foot 102 , the navicular bone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4 . The contour of the navicular bone may be referred to as the navicular region 104 of the foot. Also, in both right foot 100 and left foot 102 , metatarsal number 1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8 . The anterior end of each metatarsal no. 1 108 terminates at the phalangeal joint. This anterior end is design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6” and is referred to herein as the metatarsal 1-phalangeal joint.

전술한 바와 같이, 발 중간 부분 상측의 외부 구성과 부티 사이의 자유로운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신발 착용자의 높은 수준의 편안함이 제공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다. 주상골 부위(104)와 중족골 1번-지골 관절(106) 사이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특히 적어도 90%를 따라, 더 나아가 특히 100%를 따라 이러한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공됨으로써, 착용자의 특히 높은 수준의 편안함이 제공된다는 점 또한 알려져 있다. 주상골 부위(104)의 최전방 부분으로부터 중족골 1번-지골 관절(106)의 최전방 부분까지 측정된 길이가 사람 발 길이의 약 40%에 해당한다.As mentioned above, it is already known that a high level of comfort for the wearer of the shoe is provided by the fre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ootie and the outer configuration above the midfoot portion. This freedom of movement is provided along at least 80% of the length between the navicular region 104 and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106 , in particular along at least 90% and further particularly along 100%, whereby the wearer's particularly high It is also known that a level of comfort is provided. The length measured from the anteriormost portion of the scaphoid region 104 to the anteriormost portion of the metatarsal 1-phalangeal joint 106 corresponds to about 40% of the length of a human foo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2)를 보여준다. 도 6의 신발류(2)는 도 1 및 도 2의 신발류(2)의 변형예이다. 특히, 도 6의 신발류(2)의 갑피 조립체(4)는 도 1 및 도 2의 갑피 조립체(4)와 동일하지만, 도 6의 신발류(2)의 밑창(6)은 도 1 및 도 2의 밑창(6)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2의 단면도와 유사한 단면도를 보여준다.6 shows a footwear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wear 2 of FIG. 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ootwear 2 of FIGS. 1 and 2 . In particular, the upper assembly 4 of the footwear 2 of FIG. 6 is the same as the upper assembly 4 of FIGS. 1 and 2 , but the sole 6 of the footwear 2 of FIG. 6 is the same as the upper assembly 4 of FIGS. 1 and 2 . This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sole 6 . FIG. 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that of FIG. 2 .

도 6의 신발류(2)의 밑창(6)은 통기성 밑창이다. 특히, 밑창(6)은 통기성 구조로 되어 있다. 밑창(6)은 둘레 부분(60) 및 안정화 바(bar)(62)를 구비한다. 안정화 바(62) 및 둘레 부분(60)은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안정화 바(62)가 도 6의 단면도에 종방향 바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안정화 바(62)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안정화 바(62)는 둘레 부분(60)의 내에 안정화 격자를 형성할 수 있다. 안정화 바(62)/안정화 격자는 밑창(6)의 하나 이상의 부분 위에서, 예를 들어 밑창(6)의 발 앞 부분 및/또는 밑창(6)의 뒤꿈치 부분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The sole 6 of the footwear 2 of FIG. 6 is a breathable sole. In particular, the sole 6 has a breathable structure. The sole 6 has a perimeter portion 60 and a stabilizing bar 62 . The stabilization bar 62 and the perimeter portion 60 may be integrally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Although the stabilizing bar 62 is shown as a longitudinal bar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 the stabilizing bar 62 may be disposed in other orientations. In particular, the stabilizing bar 62 may form a stabilizing grating within the peripheral portion 60 . The stabilization bar 62/stabilization grating may extend over one or more portions of the sole 6 , for example over a forefoot portion of the sole 6 and/or over a heel portion of the sole 6 .

안정화 바(62)/안정화 격자의 사이에 수증기 배출 홀(66)이 제공된다. 수증기 배출 홀(66)은 비교적 직경이 크고, 이에 따라 밑창(6)을 통한 다량의 수증기의 배출을 허용한다. 수증기 배출 홀(66)은 실질적으로 밑창(6)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된다. 수증기 배출 홀(66)의 위에 배리어 재료(64)가 제공된다. 특히, 배리어 재료는 밑창(6)의 둘레 부분(60) 사이에서, 조립체 안창(44)의 아래로, 그리고 안정화 바(62)의 위에 제공된다. 이러한 배리어 재료는 통기성, 즉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며, 그 위의 갑피 조립체(4)를 수증기 배출 홀(66)을 통과할 수 있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A water vapor discharge hole 66 is provided between the stabilization bar 62/stabilization grating. The water vapor discharge hole 66 is relatively large in diameter, thus allowing the discharge of a large amount of water vapor through the sole 6 . The water vapor evacuation hole 66 extends substantially vertically through the sole 6 . A barrier material 64 is provided over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 In particular, a barrier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peripheral portions 60 of the sole 6 , below the assembly insole 44 , and above the stabilization bar 62 . This barrier material is breathable, ie, permeable to water vapor, and protects the upper assembly 4 thereon from foreign matter that may pass through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

도 6의 신발류(2)는 통기성 외부 재료(40) 뿐만 아니라 밑창(6)을 통한 수증기 배출을 허용한다. 수증기는 착용자의 발 밑면으로부터 부티(50)를 통과해, 조립체 안창(44)을 통과해, 배리어 재료(64)를 통과해, 그리고 수증기 배출 홀(66)을 통과해 신발의 외부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부티가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발이 물로부터, 또한 수증기 배출 홀(66)을 통해 유입되는 물로부터 보호된다.The footwear 2 of FIG. 6 allows for the evacuat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sole 6 as well as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 Water vapor may travel from the underside of the wearer's foot through the bootie 50 , through the assembly insole 44 , through the barrier material 64 , and through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shoe. have. By forming the bootie from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e wearer's feet are protected from water and also from water entering through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2)를 보여준다. 도 7의 신발류(2)는 도 1 및 도 2의 신발류(2)의 변형예이다. 특히, 도 7의 신발류(2)의 갑피 조립체(4)가 도 1 및 도 2의 갑피 조립체(4)와 동일하지만, 도 7의 신발류(2)의 밑창(6)은 도 1 및 도 2의 밑창(6)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2의 단면도와 유사한 단면도를 보여준다.7 shows a footwear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wear 2 of FIG. 7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ootwear 2 of FIGS. 1 and 2 . In particular, although the upper assembly 4 of the footwear 2 of FIG. 7 is the same as the upper assembly 4 of FIGS. 1 and 2 , the sole 6 of the footwear 2 of FIG. This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sole 6 . FIG. 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imilar to that of FIG. 2 .

도 7의 신발류(2)의 밑창(6)은 도 6의 신발류(2)의 밑창(6)과 마찬가지로 통기성 밑창이다. 도 6의 밑창(6)은 밑창 바닥을 향해 이루어지는 수증기 배출에 의존하는 반면, 도 7의 밑창(6)은 밑창의 측방면을 향해 이루어지는 수증기 배출에 의존한다. 도 7의 밑창(6)의 바닥면에는 수증기 배출 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의 밑창은 바닥 및 측면 모두를 향해 수증기 배출 홀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le 6 of the footwear 2 of FIG. 7 is a breathable sole like the sole 6 of the footwear 2 of FIG. 6 . The sole 6 of FIG. 6 relies on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towards the sole bottom, while the sole 6 of FIG. 7 relies on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towards the lateral side of the sole. The water vapor discharge hole is no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6 of FIG. 7 . Howev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o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water vapor discharge holes toward both the sole and the side.

도 7의 밑창(6)은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68"로 지시되어 있는, 공기가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재료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 또는 재료(68)는 공기가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 또는 재료일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신발 측방면 및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 또는 재료(68)는, 예를 들어 채널 구조, 스페이서 섬유, 과립형 충전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 또는 재료일 수 있다. 밑창(6)은 복수 개의 수증기 배출 홀(66)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7의 단면도에는 복수 개의 수증기 배출 홀(66) 중 두 개가 도시되어 있다. 적절한 개수의 수증기 배출 홀(66)이 밑창(6)의 주변부 주위에 배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The sole 6 of FIG. 7 has a structure or material that allows air to flow therethrough, general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68 . This structure or material 68 may be any suitable structure or material that permits air to flow therethrough, thereby allowing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shoe to be transferred to the lateral surface and exterior of the shoe. This structure or material 68 may be, for example, a channel structure, spacer fiber, granular filler, or any other suitable structure or material. The sole 6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vapor discharge holes 66 . Two of the plurality of water vapor discharge holes 66 are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 It is understood that any suitable number of water vapor exhaust holes 66 may be arrang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ole 6 .

수증기 배출 홀(66)은 상기 구조 또는 재료(68)로부터 밑창(6)의 측방면을 향해 제공된다. 특히, 수증기 배출 홀(66)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있다. 또한, 수증기 배출 홀(66)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이다. 그러나, 수증기 배출 홀이 임의의 적절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water vapor evacuation hole 66 is provided from the structure or material 68 toward the lateral side of the sole 6 . In particular,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is substantially horizontal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7 . Further, the water vapor discharge hole 66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7 . However, the water vapor discharge hole may have any suitable cross-sectional shape.

도 7의 신발류(2)는 또한, 통기성 외부 재료(40)뿐만 아니라 밑창(6)을 통한 수증기 배출을 허용한다. 수증기가 착용자의 발 밑면으로부터 부티(50)를 통과해, 조립체 안창(44)을 통과해, 구조나 재료(68)의 내부로 그리고 이를 통과해, 그리고 수증기 배출 홀(66)을 통과해 신발의 외부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밑창(6)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마련된 직선형 공기 유로에 의해, 밑창(6)을 통한 효율적인 수증기 배출이 달성될 수 있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부티를 제조함으로써, 착용자의 발이 물로부터, 또한 수증기 배출 홀(66)을 통해 유입되는 물로부터 보호된다.The footwear 2 of FIG. 7 also allows for the evacuat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sole 6 as well as the breathable outer material 40 . Water vapor passes through the bootie 50 from the underside of the wearer's foot, through the assembly insole 44 , into and through the structure or material 68 , and through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of the shoe. It can mov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a straight air flow path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ole 6 , an efficient discharge of water vapor through the sole 6 can be achieved. By making the bootie from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the wearer's feet are protected from water and also from water entering through the water vapor exhaust hole 66 .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용의 부티(50)에 사용될 수 있는 라미네이트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a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3층 라미네이트(51)를 보여준다. 3층 라미네이트(51)는 도 8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ePTFE 막인 기능성 층(54)과, 제1 직물 층(56), 그리고 제2 직물 층(58)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직물 층(56, 58)은 도 8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편직 층이다.8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laminate that may be used in a bootie 50 fo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shows a three-layer laminate 51 that is waterproof and breathable. The three-layer laminate 51 includes a functional layer 54 , which is an ePTFE film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8A , a first textile layer 56 , and a second textile layer 58 . The first and second fabric layers 56 , 58 are knit layer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8A .

도 8b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2층 라미네이트(51)를 보여준다. 2층 라미네이트(51)는 도 8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ePTFE 막인 기능성 층(54) 그리고 도 8b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편직 층인 직물 층(56)을 포함한다. 라미네이트(51)는 부티(50)용의 임의의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즉 2층 라미네이트(51)는 기능성 층(54)이 착용자의 발과 대면하는 상태로 그리고 직물 층(56)이 착용자의 발과 대면하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8B shows a two-layer laminate 51 that is waterproof and breathable. The two-layer laminate 51 includes a functional layer 54 which is an ePTFE film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8B and a fabric layer 56 which is a knit lay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8B . Laminate 51 may be used in any orientation for bootie 50, ie, two-layer laminate 51 with functional layer 54 facing the wearer's foot and fabric layer 56 facing the wearer's foot. It can be used while facing the foot.

시험 방법 및 정의Test Methods and Definitions

기능성 층과 라미네이트는 DIN EN 343(2010)에 명시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즉 EN 20 811(1992)에 따른 유체 정역학적 수압에 관한 액체 상태 물의 내수성 시험이 8000 Pa 이상의 액체 상태 물의 내수성(Wp)을 산출하는 경우 방수 특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한다.Functional layers and laminates meet the requirements specified in DIN EN 343 (2010), i.e. water resistance (Wp) of liquid water above 8000 Pa in the water resistance test for hydrostatic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EN 20 811 (1992) If it is calculated, it is considered to have waterproof properties.

기능성 층 및 이러한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수증기 투과성을 "컵 시험(Cup Test)"으로도 알려진 EN ISO 15496의 정의에 따라 시험한다.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이루어진 크기가 20 cm x 20 cm 또는 Ø100 mm인 샘플을 물이 담긴 용기에 배치하고 막으로 덮는다. 이어서, 칼륨 아세테이트를 담고 있으며 동일한 막으로 덮인 컵을 샘플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수증기가 라미네이트를 통과하여 컵으로 들어감에 따라 컵의 중량 증가를 판정한다. 수증기 투과성이 0.01 g/(Pa*㎡*h)와 같거나 이보다 크면 라미네이트를 수증기 투과성 또는 통기성이라고 간주한다. 필요한 크기의 샘플을 얻을 수 없는 경우, 표준에 명시된 양의 절반의 칼륨 아세테이트, 즉 100 g 대신 50 g을 준비하여 15.6 g의 물과 혼합한 칼륨 아세테이트가 담긴 크기가 더 작은 컵을 사용한 측정에는 크기가 더 작은 샘플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수증기 투과성" 및 "통기성"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이에 따라,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또한, 방수성을 갖춘 수증기 투과성 라미네이트로도 지칭될 수 있다.Water vapor permeability as used herein in relation to functional layers and laminates comprising such functional layers is tes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EN ISO 15496, also known as "Cup Test". A sample measuring 20 cm x 20 cm or Ø100 mm made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is placed in a container with water and covered with a membrane. A cup containing potassium acetate and covered with the same membrane is then placed over the sample. The cup's weight gain is then determined as water vapor passes through the laminate and into the cup. A laminate is considered water vapor permeable or breathable if the water vapor permeabil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0.01 g/(Pa*m2*h). If a sample of the required size cannot be obtained, measurements using a smaller cup of potassium acetate mixed with 15.6 g of water by preparing half the amount of potassium acetate specified in the standard, i.e. 50 g instead of 100 g, may include: A smaller sample may be used. The terms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breathable” ar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Accordingly,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waterproof, water vapor permeable laminate.

신발의 방수성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되고 있는, 미국 특허 제5,329,807호에 기술된 원심 분리기 시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원심 분리기 시험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30분 이후에도 누출이 없다면 신발류 물품이 방수성인 것으로 간주된다.The waterproofness of a sho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centrifuge test described in US Pat. No. 5,329,807,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The centrifuge test can be performed for 30 minutes. If there is no leakage after 30 minutes, the article of footwear is considered waterproof.

신발류의 통기성은 국방부 군화 온도 기후 사양에 따른 일반 부츠 수증기 투과율 시험의 판정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사양은 다음과 같다:The breathability of footwear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general boot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test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Defense military boots temperature and climate specification. Specifications are as follows:

일반 부츠 통기성Normal Boots Breathable

부츠 통기성 시험은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 사이의 수증기 농도차에 의해 시험 샘플의 수증기 투과율(MVTR)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The boot breathability test shall be such as to indicate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MVTR) of the test sample by the difference in water vapor concentration between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장치Device

a. 외부 시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전체 시험 기간 동안 23(±1)℃ 및 50%±2%의 상대 습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a. The external test environment control system shall be capable of maintaining 23(±1)°C and 50%±2% relative humidity during the entire test period.

b. 체중계는 ±0.01g의 정확도로 물이 채워진 시험 샘플의 중량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b. The scale shall be able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test sample filled with water with an accuracy of ±0.01 g.

c. 물 보유 주머니는 시험 샘플에 삽입되어 내부 윤곽에 맞춰질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여야 하고; 접힘부가 공기 간극을 생성하지 않도록 충분히 얇아야 하며; 시험할 신발류 제품보다 MVTR이 상당히 높아야만 하고; 그리고 액체 상태의 물이 아닌 수증기만이 신발류 제품의 내부와 접촉하도록 방수성이어야 한다.c. The water retention bag must be flexible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test sample and conform to the internal contour; The folds should be thin enough not to create air gaps; The MVTR must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ootwear product to be tested; And it must be waterproof so that only water vapor, not liquid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ootwear product.

d. 시험 샘플의 내부 히터는 시험 샘플의 액체 상태의 물의 온도를 35(±1)℃로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d. The internal heater of the test sample shall be capable of uniform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water of the test sample to 35(±1)℃.

e. 시험 샘플의 칼라 주위의 밀봉 방법은 액체 상태의 물과 수증기 모두에 대해 불투과성이어야 한다.e. The sealing method around the collar of the test sample shall be impermeable to both liquid water and water vapor.

절차procedure

a. 적어도 12시간 동안 샘플을 시험 환경과 조건에 배치한다.a. Place the sample in the test environment and conditions for at least 12 hours.

b. 가열 장치를 물 보유 주머니 내로 삽입한 다음, 완성 조립체를 시험 샘플 개구에 넣고, 안창으로부터 측정한 5 cm의 높이까지 물을 채운다.b. After inserting the heating device into the water retention bag, the finished assembly is placed in the test sample opening and filled with water to a height of 5 cm measured from the insole.

c. 신발류의 상단 주위의 플라스틱 랩(wrap)으로 칼라 주위의 개구를 밀봉하고 포장 테이프를 사용하여 그 위에 테이프를 덮는다.c. Seal the opening around the collar with plastic wrap around the top of the footwear and tape over it using wrapping tape.

d. 시험 샘플의 물을 35℃로 가열한다.d. The water of the test sample is heated to 35°C.

e. 시험 샘플의 중량을 측정하고 Wi로 기록한다.e. Weigh the test sample and record it as Wi.

f. 최소 4시간 동안 중량을 측정한 후 시험 샘플의 온도를 유지한다.f. After weighing for at least 4 hours, the temperature of the test sample is maintained.

g. 최소 4시간 후에 시험 샘플의 중량을 재측정한다. 중량을 Wf로 기록하고 시험 기간을 Td로 기록한다.g. Re-weigh the test sample after a minimum of 4 hours. Record the weight as Wf and the duration of the test as Td.

h. 아래 수식에서 시험 샘플의 MVTR을 g/h 단위로 계산한다:h. Calculate the MVTR of the test sample in g/h from the formula below:

Figure 112020015549921-pct00001
Figure 112020015549921-pct00001

본 시험은 ASTM D8041(2016)을 준수한다.This test complies with ASTM D8041 (2016).

예를 들어, 유럽 신발 사이즈 "42"의 발목이 낮은 신발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계산된 값이 1.5 g/h을 초과하면 신발류가 통기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신발 크기가 더 커지거나/작아지면, 상기 한계값은 신발의 표면적 증가/감소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For example, for a European shoe size "42" low ankle shoe, the footwear may be considered breathable if the calculated value as described above exceeds 1.5 g/h. As the shoe size becomes larger/smaller, the threshold can be estimated as the shoe's surface area increases/decreases.

부티의 전체적인 방수성 및 통기성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 분리기 시험 및 일반 부츠 수증기 투과율 시험을 각각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overall waterproofness and breathability of the bootie can also be determined using the centrifugal separator test and the general boot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test,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라미네이트 및 부티의 탄성을 DIN EN 14704-1(2005년 7월)의 방법 A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시험은 하기 구성의 시험 샘플을 사용하면서 해당 시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시험 샘플 폭=25 mm, 시험 샘플의 시험 길이=50 mm (DIN EN에서 게이지 길이, 인장 기계 클램프 간의 샘플 길이로 지칭되는 시험 길이), 시험 샘플의 전체 길이=100 mm 내지 150 mm. 시험 샘플당 3회 내지 5회의 연속적인 시험 사이클을 거친다. 각각의 시험 사이클에서, 시험 샘플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절단된 샘플에서는 게이지 길이의 30%의 그리고 종방향으로 절단된 샘플에서는 게이지 길이의 10%의 일정한 신장을 거치며, 마지막 사이클의 최대 힘을 측정한다. 샘플의 신장률 및 수축률은 250 mm/min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최종 사이클 완료 이후 샘플을 평평한 표면에 놓고 눈금자를 이용하여 게이지 길이 이내의 적용된 기준 표식 사이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길이를 측정한다. 백분율로 나타내어진 탄성 회복률은 상기 기준 표식 사이의 원래 길이로부터 상기 적용된 기준 표식 사이의 최종 길이를 뺀 다음, 상기 기준 표식 사이의 원래 길이로 나누고, 마지막으로 결과치에 100을 곱하여 산출된다. 그외 다른 방식으로, 시험 조건은 DIN EN 14704-1(2015년 7월) 방법 A에 명시된 바와 같다. 탄성은 재료가 힘 인가시에 또는 신장 시에 신장된 다음, 인가된 힘이 제거되거나 신장 완료 후에 원래 길이로 회복되는 재료의 특성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시료의 탄성은 신장 적용 동안 기록된 힘(또는 그 반대)과 상기 인가된 힘이 제거되거나 신장 완료 후에 원래 길이로 회복되는 재료의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The elasticity of laminates and booties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method A of DIN EN 14704-1 (July 2005). This test can be performed as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test using test samples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est sample width=25 mm, test length of test sample=50 mm (gauge length in DIN EN, sample between tensile mechanical clamps) test length, referred to as length), the overall length of the test sample=100 mm to 150 mm. Three to five consecutive test cycles per test sample. At each test cycle, the test sample undergoes a constant elongation of 30% of the gauge length for samples cu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formed as above and 10% of the gauge length for sample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last cycle. Measure the maximum force. The elongation and shrinkage of the sample should be set to 250 mm/min. After completion of the final cycle, measure the length of the sample by placing the sample on a flat surface and using a ruler to measure the length between the applied reference marks within the gauge length. The elastic recovery rate expressed as a percentage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final length between the applied reference marks from the original length between the reference marks, then dividing by the original length between the reference marks, and finally multiplying the result by 100. Otherwise, the test conditions are as specified in DIN EN 14704-1 (July 2015) Method A. Elasticity is defined as the property of a material to be stretched upon application of a force or upon extension and then return to its original length upon removal of the applied force or completion of stretching. Thus, the elasticity of a sample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orce recorded during stretching application (or vice versa) and the ability of the material to recover to its original length after the applied force is removed or the stretching is complete.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구성 요소들이 등가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맞춰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조정하도록 다수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adapt a particular situation or material to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scope thereof.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include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5)

외부 구성(40, 42)을 포함하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51)로 형성된 부티(bootie)(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4)로서,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51)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54)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56, 58)을 포함하는 것인, 갑피 조립체(4); 및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밑창(6)
을 포함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상기 부티는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90)의 위치에서 고정되고 신발류의 뒤꿈치 영역(96)의 위치에서 고정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92)의 상측에서의 상기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부티의 상기 발 중간 부분(92)의 상측에서의 상기 외부 구성(40, 42)과 상기 부티(50) 사이에 공기 간극(52)이 존재하는 것인 신발류(2).
An upper assembly (4) comprising an outer component (40, 42) and further comprising a bootie (50)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51), said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51) an upper assembly (4) comprising a unitary functional layer (54)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56, 58); and
a sole (6) attached to the upper assembly
includes,
The bootie has elastic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the bootie is secured in position in the toe region (90) of the footwear and secured in the position in the heel region (96) of the footwear;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92 of the bootie;
footwear (2) wherein there is an air gap (52) between the bootie (50) and the outer components (40, 42)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92) of the booti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와 상기 외부 구성(40, 42)은 상기 부티의 상기 발 중간 부분(92)의 상측 상에서 공동으로 연장 가능한 것인 신발류(2).2. 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bootie (50) and said outer component (40, 42) are jointly extendable on an upper side of said midfoot portion (92) of said booti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 중간 부분(92)은 발의 주상골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갑피 조립체의 발등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발의 중족골 1번-지골 관절에 대응하는 상기 갑피 조립체의 볼(ball) 부분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2).3. The ball of claim 1 or 2, wherein the midfoot portion (92) corresponds to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f the foot forward from the dorsal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scaphoid portion of the foot. ) extending along at least 80% of the length to the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 중간 부분(92)은 상기 외부 구성의 갑피 설포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외부 구성의 앞심 부위까지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2).3. 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idfoot portion (92) extends along at least 80% of the length from the upper tongue por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forward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outer configuration.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상기 발 중간 부분(92)에서 부티의 둘레의 적어도 50%의 주위에서 상기 외부 구성(40, 42)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신발류(2).3. Footwea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otie (50)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40, 42) around at least 50%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otie at the midfoot portion (92).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체의 기능성 층은 이음매 없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인 것인 신발류(2).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monolithic functional layer is a seamless monolithic functional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 조립체(4)는 조립체 안창(44)을 포함하며, 상기 부티(50)는, 발가락 영역(90)에서 상기 외부 구성(40, 42)과 상기 조립체 안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고, 뒤꿈치 영역(96)에서 상기 외부 구성과 상기 조립체 안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2).3.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upper assembly (4) comprises an assembly insole (44), said bootie (50) comprising said outer component (40, 42) and said assembly in a toe region (90). The footwear (2)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insoles and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assembly insole and the outer component in a heel region (9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상기 부티의 상기 발 중간 부분(92)의 하측에서 상기 조립체 안창(44)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신발류(2).The 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said bootie (50) is not attached to said assembly insole (44) under said midfoot portion (92) of said booti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신발류의 밑창(6)을 향한 상기 갑피 조립체(4)의 가장 바깥쪽 하측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부티는, 발가락 영역(90)에서 상기 갑피 조립체의 상기 외부 구성(40, 42)과 상기 밑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고, 뒤꿈치 영역(96)에서 상기 갑피 조립체의 상기 외부 구성과 상기 밑창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2).3. The bootie (50)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otie (50) forms an outermost lower portion of the upper assembly (4) facing the sole (6) of the footwear, wherein the bootie, in the toe region (90) The footwear (2)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sole and the outer component (40, 42) of the upper assembly and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sole and the outer component of the upper assembly (96) in a heel region (96).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부티의 상기 발 중간 부분(92)의 하측에서 상기 밑창(6)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신발류(2).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said bootie (50) is not attached to said sole (6) under said midfoot portion (92) of a booti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신발류의 칼라 영역(98)에서 상기 갑피 조립체(4)의 상기 외부 구성(40, 42)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2).3. 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bootie (50) is attached to said outer component (40, 42) of said upper assembly (4) in a collar region (98) of the footwe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의 상기 발 중간 부분(92)에서의 발 중간 부분 둘레가, 상기 발 중간 부분에서의 발 둘레의 60% 내지 99%인 것인 신발류(2).The footwea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idfoot circumference at the midfoot portion (92) of the bootie (50) is between 60% and 99% of the foot circumference at the midfoot portion (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부티의 종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인 신발류(2).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bootie (50) has elastic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부티의 종방향으로 10% 연신 시에 최대 15 N/cm의 종방향 탄성을 갖는 것인 신발류(2).14. 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said bootie (50) has a longitudinal elasticity of at most 15 N/cm at 10%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30% 연신 시에 최대 15 N/cm의 원주 방향 탄성을 갖는 것인 신발류(2).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otie (50) has a circumferential elasticity of at most 15 N/cm at 30% elong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티(50)는 부티의 종방향 및 부티의 원주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75%의 탄성 회복력을 갖는 것인 신발류(2).The footwear (2)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otie (50) has an elastic recovery force of at least 75% in at least one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ie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6)은 밑창의 측방 면 및 밑창의 바닥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향한 수증기 배출 홀을 구비하여, 발에서 나온 수증기가 상기 부티(50)를 통과해, 상기 밑창 내부를 통과해, 그리고 상기 수증기 배출 홀을 통해 신발류의 외부 환경으로 배출되는 것인 신발류(2).3. The sole (6)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ole (6) has a water vapor discharge hole facing at least one of a lateral surface of the sol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ole so that water vapor from the foot passes through the bootie (50). ,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ole, and through the vapor discharge hole to the exterior environment of the footwear (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신발류에 사용하기 위한 부티(50)로서, 상기 부티는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인 부티(50).A bootie (50) for use in footwea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bootie is formed of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said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comprising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and at least one fabric. A bootie (50) comprising a layer, wherein the bootie has elastic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외부 구성(40, 42)을 구비한 갑피 조립체(4)와 밑창(6)을 포함하는 신발류(2)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51)로 형성되는 부티(50)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51)는 단일체의 기능성 층(54)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 층(56, 58)을 포함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원주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인, 부티 제공 단계; 및
상기 갑피 조립체(4)와 상기 밑창(6)의 내부 공간에 상기 부티(50)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티는 신발류의 발가락 영역(90)의 위치에서 고정되고 신발류의 뒤꿈치 영역(96)의 위치에서 고정되며, 상기 부티는 부티의 발 중간 부분(92)의 상측에서 상기 외부 구성에 부착되지 않는 것인, 부티 배치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티의 상기 발 중간 부분(92)의 상측에서의 상기 외부 구성(40, 42)과 상기 부티(50) 사이에 공기 간극(52)이 존재하는 것인 신발류를 제조하는 방법.
A method of making a footwear (2) comprising an upper assembly (4) having an outer component (40, 42) and a sole (6),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bootie (50) formed from a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51), said waterproof and breathable laminate (51) comprising a monolithic functional layer (54) and at least one fabric layer (56, 58) ) comprising, wherein the bootie has elastic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otie, the bootie providing step; and
placing the bootie (50)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upper assembly (4) and the sole (6), wherein the bootie is secured in position in the toe region (90) of the footwear and in the heel region (96) of the footwear. secured in position, wherein the bootie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component above the midfoot portion (92) of the bootie.
wherein an air gap (52) exists between the bootie (50) and the outer components (40, 42) on the upper side of the midfoot portion (92) of the booti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7004352A 2017-07-17 2017-07-17 footwear Expired - Fee Related KR1023297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68030 WO2019015741A1 (en) 2017-07-17 2017-07-17 FOOT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714A KR20200032714A (en) 2020-03-26
KR102329713B1 true KR102329713B1 (en) 2021-11-22

Family

ID=5959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352A Expired - Fee Related KR102329713B1 (en) 2017-07-17 2017-07-17 footwear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46390A1 (en)
EP (1) EP3654796A1 (en)
JP (1) JP2020527078A (en)
KR (1) KR102329713B1 (en)
CN (1) CN110944539A (en)
CA (1) CA3069808A1 (en)
WO (1) WO201901574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3794B2 (en) 2013-06-25 2020-12-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AU2014303042B2 (en) 2013-06-25 2017-06-15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9668544B2 (en) 2014-12-10 2017-06-06 Nike, Inc. Last system for articles with braided components
US20160345675A1 (en) 2015-05-26 2016-12-01 Nike, Inc. Hybrid Braided Article
US11103028B2 (en) 2015-08-07 2021-08-31 Nike, Inc. Multi-layered brai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US11202483B2 (en) 2017-05-31 2021-12-21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051573B2 (en) 2017-05-31 2021-07-06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0806210B2 (en) 2017-05-31 2020-10-20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20190150552A1 (en) * 2017-11-20 2019-05-23 Nike, Inc. Multi-layer braided upper
JP2022519155A (en) * 2018-12-10 2022-03-22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How to make your footwear permanently waterproof
US20210298424A1 (en) * 2020-03-31 2021-09-30 Mizuno Corporation Shoe Upper Structure, Sho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
JP7654433B2 (en) * 2020-03-31 2025-04-01 美津濃株式会社 Sh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99771B (en) * 2020-12-22 2023-04-21 張中豪 Composite membran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s
JP7568539B2 (en) * 2021-02-19 2024-10-16 株式会社アシックス How shoes are manufactured
CN113243622A (en) * 2021-06-10 2021-08-13 广东九沣鞋业有限公司 Beautiful leather sho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uppers thereof
US20230284737A1 (en) * 2021-08-16 2023-09-14 Orthofeet, Inc. Easy-entry shoe with an inner part
IT202200005696A1 (en) * 2022-03-23 2023-09-23 Marco Primiceri DEMOUNTABLE RECYCLABLE FOOTWEAR
EP4327686A1 (en) 2022-08-22 2024-02-28 W.L. Gore & Associati S.r.l. Waterproof and water vapour permeable footwear
EP4327687A1 (en) 2022-08-22 2024-02-28 W.L. Gore & Associati S.r.l. Waterproof and breathable footwear
DE102023118679A1 (en) 2023-07-14 2025-01-16 Mayer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Achim Mayer) Method for producing a shoe with an insole-side inse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436A1 (en) 2000-07-26 2002-09-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US20120011744A1 (en) 2010-07-19 2012-01-19 Nike, Inc. Decoupled Foot Stabiliz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2582B (en) 1970-05-21 1977-04-04 Gore & Ass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A POROST MATERIAL, BY EXPANDING AND STRETCHING A TETRAFLUORETENE POLYMER PREPARED IN AN PASTE-FORMING EXTENSION PROCEDURE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JPH01133407U (en) * 1988-03-07 1989-09-11
US4942214A (en) 1988-06-29 1990-07-17 W. L. Gore & Assoc. Inc. Flexible breathable polyurethane coatings and films, and the prepolymers from which they are made
US5329807A (en) 1993-06-18 1994-07-19 W. L. Gore & Associates, Inc. Centrifuge test apparatus for footwear and apparel
US5529830A (en) 1994-05-25 1996-06-25 W. L. Gore & Associates, Inc.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JP3725224B2 (en) * 1995-11-29 2005-12-07 ジオックス エス.ピイ.エイ. shoes
ITPD20060274A1 (en) * 2006-07-06 2008-01-07 Geox Spa FOOTWEAR, WATER-RESISTANT AND PERMEABLE TO WATER STEAM
JP4944653B2 (en) * 2007-03-29 2012-06-06 チャコット株式会社 Toe shoes wearing aid
DE102010006150A1 (en) * 2010-01-29 2011-08-04 W. L. Gore & Associates GmbH, 85640 Shaft assembly for footwear and footwear with it
KR20130101049A (en) * 2010-09-03 2013-09-12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e assembly and for manufacturing a shoe
US20150027001A1 (en) * 2013-07-24 2015-01-29 Starensier, Inc. Tapeless waterproof footwear
JP3191265U (en) * 2013-11-26 2014-06-19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W.L. Gore & Associates,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footwear
KR20160124174A (en) * 2014-02-14 2016-10-26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Conformable seamless booties and footwear assemblies, and methods and lasts therefor
KR20160124173A (en) * 2014-02-14 2016-10-26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Conformable seamless shoe inserts and footwear assemblies and methods therefor
WO2017016593A1 (en) * 2015-07-28 2017-02-02 W.L. Gore & Associates Gmbh Footwear assembly
US20170027272A1 (en) * 2015-07-31 2017-02-02 II Kenneth L. Yeglinski Wearable shoe insole
US10524541B2 (en) * 2017-12-05 2020-01-07 Chih-Fang Lo Footwea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436A1 (en) 2000-07-26 2002-09-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US20120011744A1 (en) 2010-07-19 2012-01-19 Nike, Inc. Decoupled Foot Stabiliz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44539A (en) 2020-03-31
US20200146390A1 (en) 2020-05-14
WO2019015741A1 (en) 2019-01-24
EP3654796A1 (en) 2020-05-27
KR20200032714A (en) 2020-03-26
CA3069808A1 (en) 2019-01-24
JP2020527078A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713B1 (en) footwear
US12042011B2 (en) Molded footwear up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609987B2 (en) Footwear with a sock-like upper
CN101460072B (en) Inner and upper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CN101448421B (en) Foot-support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KR101666334B1 (en)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and air permeable portion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rrangement
EP3289907A1 (en) Upper for a shoe
US20020088145A1 (en) Shoe construction
CN111938263A (en) Shoes without shoelaces
US20070214682A1 (en) Ventilated shoe sole construction with improved medical support
KR20140135807A (en) Stretchable insole
WO2013152211A2 (en) Socks and other footwear with selective friction reducing features
US20140215851A1 (en) Footwear with flexible outer sole attached to water resistant textile upper
US20140196306A1 (en) Foot protector
EP3893685B1 (en) Method for permanently waterproofing footwear
US20250009073A1 (en) Vamp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170013837A (en) Footwear assembly
WO2015028045A1 (en)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050588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and sole structure having substantially equal coefficients of friction
HK1220587B (en) Footwear with air permeable layer and air permeable portion in a lower peripheral area of the uppe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1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