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711B1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3711B1 KR102323711B1 KR1020200004777A KR20200004777A KR102323711B1 KR 102323711 B1 KR102323711 B1 KR 102323711B1 KR 1020200004777 A KR1020200004777 A KR 1020200004777A KR 20200004777 A KR20200004777 A KR 20200004777A KR 102323711 B1 KR102323711 B1 KR 1023237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stage
- moving
- mounting area
- 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01L21/67265—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of substrates stored in a container, a magazine, a carrier, a boat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8—Monitoring of warpage, curvature, damage, defect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2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plurality of separate clamping members, e.g. clamping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스테이지에 재치된 기판을 교정하는 교정 부재와, 스테이지의 상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정된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기판 처리 장치는, 교정 부재에 의한 교정을 받은 기판이 스테이지에 유지된 후이고, 또한 검출부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에,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교정 부재를 퇴피시키는 퇴피부를 구비하고 있다.Interference with the calibration member for calibrating the substrate placed on the stage and th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cted substrate while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is reliably prevente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retracts the correction member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after the substrate that has been calibrated by the correction member is held on the stage and before the detection unit starts to move. skin is provided.
Description
이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FPD용 유리 기판, 반도체 웨이퍼, 포토마스크용 유리 기판, 컬러 필터용 기판, 기록 디스크용 기판, 태양 전지용 기판, 전자 페이퍼용 기판 등의 정밀 전자 장치용 기판,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이하, 간단하게 「기판」이라고 칭한다)을 교정 부재로 교정한 후에 기판을 유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판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cision electronics such as a glass substrate for FP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a semiconductor wafer, a glass substrate for a photomask, a substrate for a color filter, a substrate for a recording disk, a substrate for a solar cell, a substrate for electronic paper, etc. It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technique in which a substrate for a device and a substrate for a semiconductor packag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ubstrate") are calibrated with a calibration member, and then the substrate is held and a predetermined process is performed.
종래, 기판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도포액의 도포 등의 처리를 기판에 행하는 도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 참조). 이 도포 장치는, 스테이지의 상면에 재치(載置)된 기판의 하면을 흡착하여 유지하는 기판 유지 장치와, 기판 유지 장치에 의하여 유지된 기판의 상면과 근접한 상태로 당해 기판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기판의 상면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슬릿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coating apparatus which performs processes, such as application|coating of a coating liquid, to a board|substrate as an example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s known (refer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7-112197, for example). This coating device includes a substrate holding device for adsorbing and holding a lower surface of a substrat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and a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he substrate in a state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by the substrate holding device. It has a slit nozzle for applying a coating liqui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y moving to the
이 기판 유지 장치에서는, 기판의 주변부 부근에 생기는 휨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테이지의 주위에 압압 부재(본 발명의 「교정 부재」의 일례에 상당)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의 휨이 큰 경우에는, 압압 부재가 기판의 상면의 주변부를 상방으로부터 압압하여 기판의 휨을 교정한다. 따라서, 기판 전역을 스테이지 상에 흡착 유지할 수 있어, 도포 처리 등의 기판 처리를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is substrate holding apparatus, a pressing member (corresponding to an example of the "corr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round the stage in order to suppress the influence of the warpage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periphery of the substrate. And when the warpage of the substrate is large,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from above to correct the warpage of the substrate. Therefore, the entire substrate can be adsorbed and held on the stag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substrate processing such as coating processing satisfactorily.
그런데, 도포 장치에서는, 슬릿 노즐의 하단부가 되는 토출구와 기판이 근접된 상태로, 슬릿 노즐이 기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기판의 상면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거나, 기판과 그것을 유지하는 유지면 사이의 이물에 의하여 기판에 융기부가 있으면, 이들 이물이나 융기부가 슬릿 노즐과 접촉하여, 슬릿 노즐의 손상, 기판의 손상, 혹은, 도포 불량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물 등이 슬릿 노즐과 접촉하기 전에 검출부를 기판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기판의 상면에 대하여 표면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이물 등이 슬릿 노즐과 접촉하기 전에 슬릿 노즐의 상대 이동을 정지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2006-16761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5-85773호 공보 참조). 그래서, 당해 기술을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에 기재된 기판 처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By the way, in the coating apparatus, the slit nozzle is moved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board|substrate in the state which the discharge port used as the lower end of a slit nozzle and the board|substrate adjoined. For this reason, if a foreign material adher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r there is a raised portion on the substrate due to a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holding surface holding it, these foreign material or the raised portion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it nozzle, causing damage to the slit nozzle and damage to the substrate. Or,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coating defect etc. may arise. Therefore,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detected while the detection unit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efore the foreign material or the lik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t nozzle,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relative of the slit nozzle before the foreign material or the lik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t nozzle A technique for stopping movement has been proposed (refer to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2006-167610 and 2005-85773). Then, it is proposed to apply the said technique to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in the said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7-112197.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6-167610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5-85773호 공보에 기재된 검출 기술을 기판의 휨을 교정하는 압압 부재를 구비한 기판 처리 장치에 적용하면, 이물 검출을 위한 범퍼 부재(일본국 특허공개 2006-167610호 공보 참조)나 검출 센서(일본국 특허공개 2005-85773호 공보 참조)가 압압 부재와 간섭하는 경우가 있고, 이것이 도포 처리 등의 기판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요인의 하나가 된다.However, when the detection technology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67610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85773 is applied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ressing member for correcting warpage of the substrate, a bumper member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67610) or a detection sensor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85773) may interfere with the pressing member, which i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substrate processing such as coating processing. become one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테이지에 재치된 기판을 교정하는 교정 부재와, 스테이지의 상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정된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a calibration member for calibrating a substrate placed on a stage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librated substrate while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It aims at providing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which can prevent reliably.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판 처리 장치이며, 기판이 재치되는 재치 영역이 상면에 설치되고, 재치 영역에 재치된 기판을 유지하는 스테이지와, 스테이지의 상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제1 방향으로의 이동체의 이동과 더불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스테이지에 의한 기판의 유지 전에, 재치 영역에 재치된 기판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위치에 위치하여 상면 주변부를 스테이지 측에 눌러 교정하는 교정 부재와, 교정 부재에 의한 교정을 받은 기판이 스테이지에 유지된 후이고, 또한 검출부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에,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교정 부재를 퇴피시키는 퇴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ge having a mounting area on which a substrate is mounted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holding a substrate placed on the mounting area; a movable body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while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after the correction member positioned in the upper position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periphery to the stage side for correction, and the substrate subjected to the correction by the correction member are held on the stage and before the movement of the detection unit is sta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etract for retracting the orthodontic member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기판 처리 방법이며, 스테이지의 상면에 설치된 재치 영역에 재치된 기판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위치로 교정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면 주변부를 스테이지 측에 눌러 교정하는 공정과, 교정 부재에 의한 교정을 받은 기판을 스테이지에서 유지하는 공정과,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방으로부터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교정 부재를 퇴피시키는 공정과, 교정 부재가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이동체를 스테이지의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검출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moving a calibration member to a position above the upper surface periphery of a substrate placed in a mounting are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peripheral portion to the stage side; A step of holding the substrate that has been calibrated by the calibration member on the stage, the step of retracting the calibration member from above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tep of detecting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while moving the movable body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tage and moving the detection unit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positioned at the stage.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서는, 검출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교정 부재가 스테이지의 재치 영역에 재치된 기판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위치에 위치하여 기판의 교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기판의 상방에 검출부 및 교정 부재가 위치하는 기간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겹치면, 양자가 간섭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교정 처리를 행한 교정 부재가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방으로부터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퇴피하고, 그 퇴피 상태로 이동체의 이동과 더불어 검출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한다. 또한, 「이동체의 이동과 더불어 검출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란, 검출부를 이동체와 일체적 혹은 이동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In the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while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Further, the calibration member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periphery of the substrate placed in the mounting region of the stage to calibrate the substrate. Thus, when the period in which the detection part and the calibration member are located above the board|substrate fully or partially overlap, both will interfer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ibration member subjected to the calibration process is retrac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detection unit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in the retracted state. while detecting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In addition, "moving the detection unit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means moving the detection unit integrally with the movable body or independently from the movable bod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정 부재가 스테이지에 유지된 기판의 상방으로부터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퇴피한 상태로 검출부가 이동하여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기 때문에, 교정 부재와 검출부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moves in a state in which the calibration member is retrac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detect the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nterference of the detector can be reliab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도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포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도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교정 기구의 교정 블록과 당해 교정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에 의한 교정 블록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에 의한 교정 블록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교정 기구의 교정 블록과 당해 교정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에 의한 교정 블록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에 의한 교정 블록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교정 블록에 연결되어 교정 블록과 기판의 사이에 에어층을 강제적으로 형성하는 에어층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고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로 차트에 의하여 실행되는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가 장비하는 에어층 형성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ating apparatus as 1st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application|coating apparatus shown in FIG.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coating apparatus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rrection block of the correction mechanism in 1st Embodiment, and the moving part for moving the said correction block.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movement of the correction block by the moving part in 1st Embodiment.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movement of the correction block by the moving part in 1st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rrection block of the correction mechanism in 2nd Embodiment, and the moving part for moving the said correction block.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movement of the correction block by the moving part in 2nd Embodiment.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movement of the correction block by the moving part in 2nd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layer forming unit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block to forcibly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calibration block and the substrate.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an example of board|substrate fixation in 2nd Embodiment.
11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10 .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n air layer forming unit equipped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도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포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도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 도 2 및 이후의 각 도면에는 그들의 방향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Z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고, XY평면을 수평면으로 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적절히 첨부하고 있다. 또한, 이해 용이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각부의 치수나 수를 과장되게 또는 간략화하여 그리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ating apparatus as 1st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addition, FIG. 2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coating device shown in FIG. In addi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application|coating apparatu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e 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Figs. 1, 2 and subsequent drawings, an XYZ Cartesian coordinate system with the Z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XY plane as the horizontal plane is appropriately attached.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easy understanding, the dimension and number of each part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as needed, and are drawn.
도포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 컴퓨터인 컨트롤러(10)를 구비하고, 컨트롤러(10)에 의하여 장치 각부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등으로부터 수취한 기판(S)의 상면(Sa)(도 5b 참조)에 처리액의 일례로서 도포액을 공급하여 도포한다. 이 도포 장치(100)의 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S)의 종류는 다양하다. 특히 도포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판(S)의 휨을 교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구리 등의 금속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기판(S)을 처리하는 데에 적합하다. 즉, 이러한 다층 기판(S)은 각층의 열팽창율의 차이에 기인하여 휘기 쉬운 것에 대하여, 도포 장치(100)는 그 휨을 교정한 후에 당해 기판(S)을 유지하고, 도포액을 도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S)의 형상도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을 갖는 기판(S)에 대하여 도포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도포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화강암 등의 석재로 구성된 스테이지(1)를 갖고 있다. 스테이지(1)의 상면(11) 중 (+X)측에는, 대략 수평인 평탄면으로 가공되어 기판(S)을 재치하는 재치 영역(11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재치 영역(11a)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통기 구멍이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기 구멍은, 에어 공급부(112) 및 에어 흡인부(113)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가, 에어 공급부(112)에 의하여 통기 구멍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통기 구멍으로부터 재치 영역(11a) 상의 기판(S)에 에어를 블로하거나, 에어 흡인부(113)에 의하여 통기 구멍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기판(S)을 재치 영역(11a)에 흡착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도포 장치(100)는, 로봇(도시 생략)으로부터 수취한 기판(S)을 재치 영역(11a)에 재치하기 위한 복수의 리프트 핀(12)을 구비한다. 즉, 스테이지(1)에는, 재치 영역(11a)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핀 수납 구멍(114)이 Z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각 핀 수납 구멍(114)에 리프트 핀(12)이 수용되어 있다. 각 리프트 핀(12)은 Z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 설치된 핀 형상을 갖고, 컨트롤러(10)가 리프트 핀 액추에이터(A112)에 의하여 리프트 핀(12)을 승강시킴으로써, 리프트 핀(12)이 핀 수납 구멍(114)에 대하여 진퇴한다. 그리고, 로봇이 재치 영역(11a)의 상방에 기판(S)을 반송해 오면, 리프트 핀 액추에이터(A112)의 구동에 의하여 상승한 복수의 리프트 핀(12)이 핀 수납 구멍(114)으로부터 재치 영역(11a)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각각의 상단에서 기판(S)을 수취한다. 계속해서, 리프트 핀 액추에이터(A112)의 구동에 의하여 복수의 리프트 핀(12)이 강하하여 핀 수납 구멍(114) 내에 들어감으로써, 복수의 리프트 핀(12)의 상단으로부터 재치 영역(11a)에 기판(S)이 재치된다.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동일하게, 기판(S)의 유지에 앞서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상태로,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S)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위치 조정 기구(2)가 설치됨과 더불어, 기판(S)의 휨을 교정하기 위하여 교정 기구(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apparatu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7-112197, in the state mounted on the mounting area|
위치 조정 기구(2)에 의한 위치 조정 및 교정 기구(3)에 의한 휨 교정을 받은 기판(S)은 스테이지(1)에서 유지된 후에, 슬릿 노즐(4)에 의한 도포 처리를 받는다. 이 슬릿 노즐(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의 개구부인 토출구를 갖고 있고, 이동 기구(5)에 의하여 X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 기구(5)는, 주된 구성으로서, 브리지 구조의 노즐 지지체(51)와, 노즐 지지체(51)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이동부(52)를 갖고 있다. 노즐 지지체(51)는, 스테이지(1)에 유지된 기판(S)의 상면(Sa)을 향하여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을 토출 가능한 자세로 슬릿 노즐(4)을 지지한다. 노즐 지지체(51)는, Y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슬릿 노즐(4)을 지지하는 빔 부재(51a)와, 빔 부재(51a)의 Y방향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1쌍의 기둥 부재(51b)를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지지체(5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1)의 좌우 양단부에 Y방향을 따라 걸쳐 있고, 스테이지(1)의 상면(11)에 걸쳐 있는 가교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노즐 지지체(51)와 그것에 고정 유지된 슬릿 노즐(4)을, 노즐 이동부(52)가 스테이지(1) 상에 유지되는 기판(S)에 대하여 X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킨다. 이 X방향은 스테이지(1)의 상면(11)을 따른 제1 방향이다. 이와 같이 노즐 지지체(51)가 토출구를 제1 방향(X)과 대략 직교하는 수평 방향(Y)을 따르도록 슬릿 노즐(4)을 고정 유지하고, 슬릿 노즐(4)을 일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본 발명의 「유지부」의 일례에 상당함과 더불어, 본 발명의 「이동체」로서 기능한다.After the board|substrate S which received the position adjustment by the
이와 같이 X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슬릿 노즐(4) 및 노즐 지지체(51) 중, 슬릿 노즐(4)에 대하여 일본국 특허공개 2006-167610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동일하게 범퍼 부재(61)와 진동 센서(도시 생략)로 이루어지는 제1 검출부(6)가 장착되고, 또한 노즐 지지체(51)에 대하여 일본국 특허공개 2005-85773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동일하게 복수의 검출 센서(71, 72)로 이루어지는 제2 검출부(7)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제1 검출부(6) 및 제2 검출부(7)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S)의 상면(Sa)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여 슬릿 노즐(4)의 이동 중에 기판(S)의 이물 등이 슬릿 노즐(4)과 하단부와 접촉하여 슬릿 노즐(4)의 손상, 기판(S)의 손상, 혹은, 도포 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Among the
노즐 이동부(52)는, ±Y측의 각각에 있어서, 슬릿 노즐(4), 범퍼 부재(61) 및 검출 센서(71, 72)의 이동을 X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3)과, 구동원인 리니어 모터(54)와, 슬릿 노즐(4)의 토출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55)를 구비하고 있다.The
2개의 가이드 레일(53)은 각각, 스테이지(1)의 Y방향의 양단부에 X방향을 따라 노즐 대기 위치(도 1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포 종료 위치(재치 영역(11a)의 +X측 단부 위치)까지의 구간을 포함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이동부(52)에 의하여 2개의 기둥 부재(51b)의 하단부가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53)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슬릿 노즐(4)은 노즐 대기 위치와 스테이지(1) 상에 유지되는 기판(S)에 대향하는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The two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리니어 모터(54)는, 고정자(54a)와 이동자(54b)를 갖는 AC 코어리스 리니어 모터로서 구성된다. 고정자(54a)는, 스테이지(1)의 Y방향의 양 측면에 X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동자(54b)는, 기둥 부재(51b)의 외측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리니어 모터(54)는, 이들 고정자(54a)와 이동자(54b)의 사이에 생기는 자력에 의하여 노즐 이동부(52)의 구동원으로서 기능한다.In this embodiment, each
또한, 각 위치 센서(55)는 이른바 리니어 인코더의 구성을 갖고 있고, 각각 스케일부(55a)와 검출부(55b)를 갖고 있다. 스케일부(55a)는 스테이지(1)에 고정 설치된 리니어 모터(54)의 고정자(54a)의 하부에 X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한편, 검출부(55b)는, 기둥 부재(51b)에 고정 설치된 리니어 모터(54)의 이동자(54b)의 더욱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케일부(55a)에 대향 배치된다. 스케일부(55a)에는 일정 간격으로 격자 눈금이 설치되어 있고, 스케일부(55a)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검출부(55b)가 눈금을 판독할 때마다, 검출부(55b)로부터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검출부(55b)의 출력 신호는 컨트롤러(10)에 입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케일부(55a)와 검출부(55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Y방향에 있어서의 슬릿 노즐(4)의 토출구의 위치가 검출된다.Moreover, each
다음으로, 위치 조정 기구(2) 및 교정 기구(3)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교정 기구의 교정 블록과 당해 교정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에 의한 교정 블록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스테이지(1)에 대하여 위치 조정 기구(2) 및 교정 기구(3)를 수용 가능한 피트(13)가 설치되어 있는 점과, 슬릿 노즐(4)이 노즐 지지체(51)와 일체적으로 X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에 위치 조정 기구(2) 및 교정 기구(3)가 피트(13)로 퇴피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크게 상이한 한편, 위치 조정 기구(2) 및 교정 기구(3)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Next, the structure of the
피트(1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치 영역(11a)과 스테이지(1)의 측단면(11b)의 사이에 스테이지(1)의 상면(11)으로부터 하방으로 파내려 간 오목부 형상의 공간이며, 재치 영역(11a)을 사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기판(S)의 각 변에 대응하여 위치 조정 수단(20) 및 교정 수단(30)을 설치한 것에 대응하는 것이다.The
다음으로, 위치 조정 수단(20)을 갖는 위치 조정 기구(2) 및 교정 수단(30)을 갖는 교정 기구(3)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 조정 기구(2)는,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재치 영역(11a) 상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이다. 이 위치 조정 기구(2)는, 재치 영역(11a)의 각 변에 2개씩 배치된 합계 8개의 위치 조정 수단(20)을 갖고, 각 위치 조정 수단(20)은, Z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 설치된 핀 형상의 얼라인먼트 핀(21)을 갖는다. 즉, 피트(13)의 측면 중 재치 영역(11a)과 인접하는 측면에는, 당해 측면에 수직으로 잘라내어져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절결부(115)가 2개씩 형성되어 있고, 각 절결부(115) 내에 얼라인먼트 핀(21)이 배치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핀(21)의 상단은 절결부(115)로부터 재치 영역(11a)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위치 조정 수단(20)은, 얼라인먼트 핀(21)을 위치 조정 액추에이터(A21)에 의하여 절결부(115)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얼라인먼트 핀(21)의 재치 영역(11a)보다 상방 부분을 기판(S)의 주연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 수단(20)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치 영역(11a)의 각 변에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위치 조정 수단(20)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교정 기구(3)에 있어서 재치 영역(11a)의 각 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교정 블록(31)과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movement of the
교정 기구(3)는,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상면 주변부에 접촉하여 기판(S)을 재치 영역(11a)에 압압하여 기판(S)의 휨을 교정하는 것이고, 재치 영역(11a)의 각 변에 1개씩 배치된 합계 4개의 교정 수단(30)을 갖는다. 각 교정 수단(30)은, 재치 영역(11a)이 대응하는 변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면 주변부를 직접 스테이지(1)의 상면(11)에 눌러 기판(S)의 휨을 교정하는 교정 블록(31)을 갖는다.The
교정 블록(31)은 재치 영역(11a)의 각 변에 1개씩 설치되어 있고, 각 교정 블록(31)의 구성은 공통되어 있다. 교정 블록(31)은, 프레임(33)과, 프레임(33)의 하면에 장착된 대향 평판(34)을 갖는다. 대향 평판(34)은, 재치 영역(11a)이 대응하는 변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3)의 하면에, 절결부(32)를 제외하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부(35)에 의하여 교정 블록(31)이 기판(S)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대향 평판(34)의 하부에 장착된 접촉 부재(341)가 당해 상면 주변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부(35)에 의하여 교정 블록(31)이 강하되면, 접촉 부재(341)가 기판(S)의 상면 주변부에 접촉하고, 또한 스테이지(1)의 상면(11)에 누른다.One
이동부(35)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원으로서 2개의 수직 액추에이터(351, 352)와, 1개의 수평 액추에이터(353)를 갖고 있다. 수직 액추에이터(351, 352)는, 각각 컨트롤러(10)로부터의 구동 지령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로드(351r, 352r)를 갖고 있다. 이들 중 로드(351r)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으로 완성된 브래킷(361)을 통하여 교정 블록(31)의 프레임(3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한쪽의 로드(352r)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으로 완성된 브래킷(362)을 통하여 수직 액추에이터(351)의 실린더부(351s)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수직 액추에이터(352)의 실린더부(352s)는 이동 플레이트(371)에 지지되어 있다.The moving
이동 플레이트(371)는 스테이지(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373)가 스테이지(1)에 고정되고, 또한 당해 베이스 부재(373) 상에 레일(372)이 이동 플레이트(371)를 수평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371)에 대하여 수평 액추에이터(353)가 접속되어 있고, 이동 플레이트(371)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moving
이와 같이 이동부(35)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수직 액추에이터(351, 352)가 로드(351r, 352r)를 최상 위치로 전진시킨 후에 수평 액추에이터(353)가 이동 플레이트(371)를 스테이지(1) 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 블록(31)은 스테이지(1)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바닥면, 즉 대향 평판(34) 중 기판(S)과 대향하는 하면은 스테이지(1) 상의 기판(S)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높이 위치(H1)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동일한 도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교정 블록(31)의 이동에 따라 위치 조정 수단(20)도 스테이지(1)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직 액추에이터(352)의 로드(352r)를 신장시킨 상태인 채로 컨트롤러(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수직 액추에이터(351)의 로드(351r)가 실린더부(351s)로 후퇴함에 따라 접촉 부재(341)가 스테이지(1) 상의 기판(S)에 접근하고, 후퇴량에 따른 높이 위치(H2, H3)에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기판(S)의 상면 주변부를 스테이지(1)의 상면(11)에 눌러 휨을 교정한다. 또한, 당해 교정 동작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moving
이와 같이 스테이지(1)의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위치(H3)로 교정 블록(31)을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상면 주변부를 스테이지(1) 측에 눌러 교정되지만, 이 후에 교정 블록(31)에 의한 교정을 받은 기판(S)이 스테이지(1)에 흡착 유지된다.In this way, by moving the
기판(S)의 유지 완료 후에, 다음과 같이 하여 교정 블록(31)의 퇴피 처리가 실행된다. 컨트롤러(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수평 액추에이터(353)가 이동 플레이트(371)를 스테이지(1)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수직 액추에이터(351, 352)가 로드(351r, 352r)를 실린더부(351s, 352s)로 후퇴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 블록(31)은 퇴피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 5b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교정 블록(31)과 일체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위치 조정 수단(20)도 퇴피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퇴피 위치는, 교정 블록(31)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로부터 떨어진 위치이고, 또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에 유지되는 교정 완료된 기판(S)의 상면(Sa)의 높이 위치(H4)(도 5b 중의 일점 쇄선)보다 낮은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정 블록(31) 및 위치 조정 수단(20)의 퇴피 위치에 대한 위치 결정에 의하여, 교정 블록(31)이 범퍼 부재(61)와 충돌하거나, 검출 센서(71, 72)의 사이에 투광되는 센서광(73)을 차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블록(31)의 퇴피 후에 있어서, 슬릿 노즐(4)의 이동 전방 측,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 측에서 슬릿 노즐(4)의 이동 중에 슬릿 노즐(4)과 간섭하는 기판(S) 상의 대상물(이물이나 융기부 등)을 고정밀도로 검출하면서 도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holding of the substrate S, the evacuation process of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테이지(1)의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위치(높이 위치(H3))로 교정 블록(31)을 이동시켜 접촉 부재(341)에 의하여 기판(S)의 교정을 행한다. 그리고, 기판(S)을 스테이지(1)에서 유지한 후에,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4)보다 낮은 위치로 퇴피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교정 블록(31)이 (+X)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정된 기판(S)의 상면(Sa)의 표면 상태(슬릿 노즐(4)과 간섭하는 기판(S) 상에 이물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6) 및 제2 검출부(7)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포 처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그런데,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교정 블록(31)의 접촉 부재(341)를 기판(S)의 상면 주변부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당해 상면 주변부를 스테이지(1)의 상면(11)에 눌러 교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판(S) 중 접촉 부재(341)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미지가 도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접촉에 의하여 먼지나 파티클 등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판(S)의 상면(Sa)과 교정 블록(31)의 하면의 사이에 기체층을 형성하고, 기체층에 의하여 상면 주변부를 하방으로 눌러 기판(S)의 휨을 교정하는 도포 장치(100)가 제안되고 있다. 이 도포 장치(100)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6, 도 7, 도 8a, 도 8b,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By the way, in the first embodiment,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교정 기구의 교정 블록과 당해 교정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부에 의한 교정 블록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 평판(34)에 대하여 접촉 부재(341) 대신에 복수의 관통 구멍(342)(도 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층 형성부(38)가 추가적으로 설치되고, 교정 블록(31)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교정 블록(31)의 대향 평판(34)과 기판(S)의 사이에 에어층(기체층)을 강제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에어층에 의하여 기판(S)의 상방 주변부의 기판(S)의 휨을 교정한다. 또한, 그들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FIG. 7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oving part for moving the correction block of the correction mechanism in 2nd Embodiment, and the said correction block. 8A and 8B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movement of the calibration block by the moving unit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42 ( FIG. 7 ) are formed for the opposing
도 9는 교정 블록에 연결되어 교정 블록과 기판의 사이에 에어층을 강제적으로 형성하는 에어층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교정 블록(31)과 기판(S)의 사이에 에어층(39)을 강제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교정 블록(31)에 대하여 에어층 형성부(38)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에어층 형성부(38)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프레서 등의 압축부(381), 온도 조절부(382), 필터(383), 니들 밸브(384), 유량계(385), 압력계(386) 및 에어 오퍼레이션 밸브(387)를 갖고 있다. 에어층 형성부(38)에서는, 압축부(381)에 의하여 압축된 에어를 온도 조절부(382)로 소정의 온도로 조정하여 에어층 형성용 압축 에어를 생성한다. 이 압축 에어를 유통시키는 배관에는, 필터(383), 니들 밸브(384), 유량계(385), 압력계(386) 및 에어 오퍼레이션 밸브(38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에어 오퍼레이션 밸브(387)가 열리면, 필터(383)를 통과하여 청정화된 압축 에어가 니들 밸브(384)에 의하여 압력 조절된 후에 유량계(385), 압력계(386), 에어 오퍼레이션 밸브(387)를 통과하여 교정 블록(31)에 압송된다. 이것에 의하여, 대향 평판(34)에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342)(도 7 중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이 분출 구멍으로서 기능하고, 당해 관통 구멍(342)으로부터 압축 에어가 하방으로 분출되며, 기판(S)의 상면 주변부와 교정 블록(31)의 사이에 에어층(39)(도 9에 있어서 도트를 붙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영역)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층(39)을 형성한 채로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1, H2, H3)로 하강시킴으로써 에어층(39)에 의하여 기판(S)의 상면 주변부를 스테이지(1)에 눌러 휨을 교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layer forming unit connected to the calibration block to forcibly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calibration block and the substrate. In order to forcibly form the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고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로 차트에 의하여 실행되는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에어의 흐름에 대해서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고, 기판(S), 얼라인먼트 핀(21) 및 교정 블록(31)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며, 에어층(39)에 대해서는 도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부호 H1~H3은 교정 블록(31)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연직 방향(Z)에 있어서의 대향 평판(34)의 하면(대향면)의 높이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부호 H4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직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에 유지되는 교정 완료된 기판(S)의 상면(Sa)의 높이 위치(H4)를 나타내고 있다.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an example of board|substrate fixation in 2nd Embodiment. 11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10 . 11, the flow of air is indicated by a dotted arrow, the movement of the substrate S, the
재치 영역(11a)의 4변 각각에 설치된 교정 블록(31)이 퇴피 위치(도 8b에 나타내는 위치)로 퇴피함과 더불어 위치 조정 수단(20)도 퇴피 위치에 위치하면서 각 얼라인먼트 핀(21)이 이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퇴피 위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평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로부터 떨어진 위치이고, 또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에 유지되는 교정 완료된 기판(S)의 상면(Sa)의 높이 위치(H4)(도 8b 중의 일점 쇄선)보다 낮은 위치를 의미하고 있다.While the
이와 같이 다음의 기판(S)의 반입 가능한 반입 준비 상태로 로봇이 기판(S)을 재치 영역(11a)의 상방으로 반송해 온다. 이것에 대응하여 각 리프트 핀(12)이 핀 수납 구멍(114)으로부터 상승하여 각 리프트 핀(12)의 상단이 기판(S)에 맞닿고(단계 S101), 각 리프트 핀(12)이 로봇으로부터 기판(S)을 수취한다(단계 S102). 그리고, 각 리프트 핀(12)이 강하하여 각 리프트 핀(12)의 상단이 핀 수납 구멍(114) 내에 들어가면, 각 리프트 핀(12)의 상단으로부터 재치 영역(11a)에 기판(S)이 재치된다(단계 S103). 또한, 도 11의 (a)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S)의 주변부가 활 형상으로 휘어져 있고, 기판(S)의 주연이 재치 영역(11a)으로부터 떨어져 있다.In this way, the robot conveys the board|substrate S to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area|
단계 S104에서는, 이동부(35)에 의하여 수직 액추에이터(351, 352)가 로드(351r, 352r)를 최상 위치로 전진시킨 후에 수평 액추에이터(353)가 이동 플레이트(371)를 스테이지(1)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교정 블록(31)이 높이 위치(H1)에 위치 결정된다. 이 높이 위치(H1)는 기판(S)의 주변부의 휨량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고, 최대 휨량보다 약간 높은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교정 블록(31)이 기판(S)과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기판(S)의 주변부와 교정 블록(31)의 하면의 사이에 공간이 확실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층 형성부(38)가 에어를 교정 블록(31)으로 압송하여 교정 블록(31)의 관통 구멍(342)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시킨다(단계 S105). 이것에 의하여, 도 11의 (a)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S)의 상면 주변부와 교정 블록(31)의 사이에 에어층(39)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층(39)의 형성은 다음에 설명하는 교정 동작 및 얼라인먼트 동작(기판(S)의 위치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된다.In step S104 , after the
에어층(39)을 형성한 채로 이동부(35)에 의하여 수직 액추에이터(351)의 로드(351r)가 후퇴하여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2)까지 하강시킨다(단계 S106). 이때, 휜 상태의 기판 주변부는, 교정 블록(31)과 비접촉 상태인 채로, 에어층(39)에 의하여 스테이지(1)를 향하여 눌린다. 이것에 의하여 휨이 어느 정도 교정되고, 휨량이 소정 값(얼라인먼트 핀(21)의 높이보다 작은 값) 이하가 된다(가(假)교정 처리). 즉, 이른바 기판(S)의 가(假)압압이 행해지고, 기판(S)의 주변부의 높이는 높이 위치(H2)보다 낮게 억제되며, 얼라인먼트 핀(21)의 상단보다 낮게 되어 있다.With the
기판(S)의 가교정 처리가 완료되면, 도 11의 (b)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공급부(112)가 스테이지(1)의 통기 구멍으로부터 재치 영역(11a) 상의 기판(S)의 하면에 에어 블로를 개시한다(단계 S107). 이것에 의하여, 기판(S)의 하면이 재치 영역(11a)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기판(S)의 하면과 재치 영역(11a) 사이의 마찰력의 저하가 도모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108에서는, 도 11의 (c)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얼라인먼트 핀(21)이 기판(S)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재치 영역(11a) 상에서의 기판(S)의 위치가 조정된다(위치 조정 처리). 그리고, 위치 조정 처리가 완료되면, 에어 공급부(112)는 에어 블로를 정지한다(단계 S109).When the provisional calibration process of the substrate S is completed, as shown in the column (b) of FIG. 11 , the
다음의 단계 S110에서는, 에어층(39)을 형성한 채로 이동부(35)에 의하여 수직 액추에이터(351)의 로드(351r)가 더 후퇴하여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3)까지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도 11의 (d)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주변부는 교정 블록(31)과 비접촉 상태인 채로 에어층(39)에 의하여 스테이지(1)에 눌려, 기판(S)의 형상이 제1 재치 영역(11a)의 형상을 따르도록 교정된다(최종 교정 처리).In the next step S110, the
교정 블록(31)의 높이 위치(H3)로의 강하가 완료되면, 도 11의 (e)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흡인부(113)가 통기 구멍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기판(S)을 재치 영역(11a)에 흡착시킨다(단계 S111). 이것에 의하여, 기판(S)이 재치 영역(11a)에 고정된다. 그에 이어서, 에어층 형성부(38)는 교정 블록(31)으로의 에어 압송을 정지함과 더불어 이동부(35)는 교정 블록(31) 및 위치 조정 수단(20)을 일체적으로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11의 (f)란 참조). 이것에 의하여, 교정 블록(31) 및 위치 조정 수단(20)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로부터 떨어진 위치이고, 또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스테이지(1)에 유지되는 교정 완료된 기판(S)의 상면(Sa)의 높이 위치(H4)(도 8b, 도 11의 (f)란 중의 일점 쇄선)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교정 블록(31)이 범퍼 부재(61)와 충돌하거나, 검출 센서(71, 72)의 사이에 투광되는 센서광(73)을 차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블록(31)의 퇴피 후에 있어서, 슬릿 노즐(4)의 이동 전방 측,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 측에서 슬릿 노즐(4)의 이동 중에 슬릿 노즐(4)과 간섭하는 기판(S) 상의 대상물(이물이나 융기부 등)을 고정밀도로 검출하면서 도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descent to the height position H3 of the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지(1)의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위치(H3)로 교정 블록(31)을 이동시킴으로써 기판(S)을 에어층(39)에 의하여 재치 영역(11a)에 압압하여 기판(S)의 교정을 행한다. 그리고, 기판(S)을 스테이지(1)에서 유지한 후에,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4)보다 낮은 위치로 퇴피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교정 블록(31)이 (+X)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정된 기판(S)의 상면(Sa)의 표면 상태(슬릿 노즐(4)과 간섭하는 기판(S) 상에 이물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6) 및 제2 검출부(7)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포 처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2nd Embodiment, the
또한, 교정 블록(31)은, 스테이지(1)의 재치 영역(11a) 상의 기판(S)을 에어층(39)에 의하여 재치 영역(11a)에 압압함으로써 기판(S)의 휨을 비접촉으로 교정한 후에 기판(S)을 스테이지(1)에 흡착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휨의 교정 시에 기판(S)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은 에어층(39)이 되고, 접촉 부재(341)를 직접 접촉시켜 교정하는 제1 실시 형태에 비하여 기판(S)에 대미지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먼지 발생의 문제를 해소하면서 기판(S)의 전역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기판(S)의 하면을 에어 블로하여 기판(S)의 하면과 재치 영역(11a) 사이의 마찰력을 저하시킨 상태로 얼라인먼트 핀(21)에 의한 기판(S)의 위치 조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조정 처리에 있어서의 기판(S)의 위치 조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위치 조정 처리를 도 11의 (c)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2)까지 하강시킨 후에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재치 영역(11a)에 재치된 기판(S)의 휨이 비교적 큰 경우이더라도, 기판(S)의 휨이 어느 정도 교정된 상태로 위치 조정 처리가 실행된다. 그 결과, 스테이지(1) 상에서의 기판(S)의 위치 조정에 대한 기판(S)의 휨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Moreover,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substrate S is air blown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substrate S and the mounting area|
또한, 도 11의 (d)란 및 (e)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층(39)을 통하여 기판(S)의 주변부를 압압하는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3)까지 하강시킴으로써 기판(S)의 주변부를 재치 영역(11a)에 밀착시킨 후에 기판(S)의 재치 영역(11a)에 대한 흡착을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치 영역(11a)에 대한 기판(S)의 흡착 유지를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the column (d) and column (e) of Fig. 11, by lowering the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 평판(34)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342)의 모두가 압축 에어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 구멍으로서 기능하지만,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42)의 일부를 흡인 구멍(343)으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즉, 에어층 형성부(38)가, 압축 에어의 공급계(=압축부(381)+온도 조절부(382)+필터(383)+니들 밸브(384)+유량계(385)+압력계(386)+에어 오퍼레이션 밸브(387)) 이외에 에어층(39)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하여 에어층(39)의 압력 및 확산을 안정화시키는 흡인계(388)를 갖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흡인계(388)에서는, 흡인 구멍(343)에 접속된 흡인 배관에, 흡인 수단으로서의 블로어(388a)와, 압력계(388b)와, 릴리프 밸브(388c)를 구비하고, 블로어(388a)에 의하여 얻어지는 흡인 압력보다 흡인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는 흡인 구멍(343) 내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 릴리프 밸브(388c)로부터 흡인 구멍(343) 및 흡인 배관을 통하여 에어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에어층(39)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미조정을 행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ll of the plurality of through-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교정 블록(31)의 높이 위치에 관계없이, 니들 밸브(384)에 의하여 압력 조절된 압축 에어를 일률적으로 압송하고 있지만, 교정 블록(31)의 높이 위치에 따라 압축 에어의 압력이나 토출 유량을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높이 위치 H1로부터 높이 위치 H2로 교정 블록(31)을 하강시키는 동안, 즉 가교정 처리를 행하는 동안에 있어서는 압축 에어의 유량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한편, 높이 위치 H2로부터 높이 위치 H3으로 교정 블록(31)을 하강시키는 동안, 즉 최종 교정 처리를 행하는 동안에 있어서는 압축 에어의 유량을 억제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 소비량을 억제하여 러닝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regardless of the height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 에어를 이용하여 에어층(39)을 형성하고 있지만, 그 외의 기체, 예를 들면 질소 가스나 불활성 가스 등을 이용해도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X)방향 및 Y방향이 각각 본 발명의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가 본 발명의 「검출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교정 블록(31)이 본 발명의 「교정 부재」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이동부(35)가 본 발명의 「퇴피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피트(13)가 본 발명의 「오목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 슬릿 노즐(4)이 본 발명의 「노즐」의 일례에 상당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correspond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In addition, a 1st detection part and a 2nd detection part correspond to an example of the "detection part"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술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물 검출하기 위하여 2종류의 검출부(6, 7)를 설치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bove-mentioned embodiment, Unless it deviates from the meaning,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changes other than what w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in order to detect a foreign material, two types of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종류의 검출부(6, 7)를 슬릿 노즐(4) 및 노즐 지지체(51)와 일체적으로 X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필수 요건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2 검출부(7)를 슬릿 노즐(4) 및 노즐 지지체(51)로부터 독립적으로 X방향으로 이동하여 도포 처리 전에 이물 검출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it is comprised so tha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지(1)의 상면(11)에 피트(13)를 설치하고, 당해 피트(13)의 내부 공간이 교정 블록(31)을 퇴피시키는 퇴피 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7-112197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는 기대(基臺) 위에 스테이지가 고정되어 있는 도포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퇴피 공간을 확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테이지의 두께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트(13)의 깊이와 동일한 정도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퇴피부로서 기능하는 이동부(35)를 스테이지에 인접시키면서 기대 상에 설치하고, 교정 블록을 스테이지의 측단면과 인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교정 블록을 높이 위치(H4)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 결정해도 된다. 또한, 스테이지가 피트(13)의 깊이보다 얇은 경우에는, 기대의 상면 중 스테이지에 인접하는 영역에 피트를 설치하고, 당해 피트에 교정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교정 블록을 높이 위치(H4)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 결정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포 처리 전에 교정 블록(31)을 높이 위치(H4)보다 낮은 위치로 퇴피시키고 있지만, 더 낮은 위치, 예를 들면 스테이지(1)의 상면(11)보다 낮은 위치로 교정 블록(31)을 퇴피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제2 검출부(7)를 구성하는 검출 센서(71, 72)를 스테이지(1)의 상면(11)의 바로 위쪽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도포 장치(100)에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판을 교정 블록으로 교정한 후에 기판을 유지하여 기판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판 처리 장치도 본 발명의 적용 대상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슬릿 노즐 대신에 인쇄 헤드나 노광 헤드 등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테이지(1)에 유지된 기판(S)의 상면(Sa)에 대하여 인쇄 처리나 노광 처리를 실시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is invention is applied to the application|
이 발명은, 기판을 교정 부재로 교정한 후에 기판을 유지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판 처리 기술 전반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This invention can be suitably applied to the whole substrate processing technique which holds a board|substrate and performs predetermined processing after a board|substrate is calibrated with a calibration member.
1 스테이지
3 교정 기구
4 슬릿 노즐
6 제1 검출부
61 범퍼 부재
7 제2 검출부
71, 72 검출 센서
11 (스테이지의)상면
11a 재치 영역
11b 측단면
13 피트(오목부)
31 교정 블록
35 이동부(퇴피부)
38 에어층 형성부
39 에어층
51 노즐 지지체(이동체)
100 도포 장치
341 접촉 부재
H1, H2, H3, H4 높이 위치
S 기판
Sa (기판의)상면
X 제1 방향
Y 수평 방향
3 orthodontic instruments
4 slit nozzle
6 first detection unit
61 Bumper member
7 second detection unit
71, 72 detection sensor
11 (of the stage)
11a tact area
11b side section
13 feet (recess)
31 Calibration Block
35 Moving part (retracted skin)
38 Air layer forming part
39 air layer
51 Nozzle support (moving body)
100 applicator
341 contact member
H1, H2, H3, H4 height position
S board
Sa (of the substrate)
X first direction
Y horizontal direction
Claims (6)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체의 이동과 더불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지에 유지된 상기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스테이지에 의한 상기 기판의 유지 전에, 상기 재치 영역에 재치된 상기 기판의 상면 주변부의 상방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상면 주변부를 상기 스테이지 측에 눌러 교정하는 교정 부재와,
상기 교정 부재에 의한 교정을 받은 상기 기판이 상기 스테이지에 유지된 후이고, 또한 상기 검출부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스테이지에 유지된 상기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교정 부재를 퇴피시키는 퇴피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함과 더불어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을 따른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교정 부재를 사이에 끼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검출 센서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면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검출 센서의 사이를 투광되는 센서광에 의하여 상기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장치.a stage having a mounting area on which a substrate is place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holding the substrate placed on the mounting area;
a movable body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while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in the first direction;
a correction member positioned above the upper surface periphery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mounting area before holding the substrate by the stag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periphery toward the stage to correct it;
After the substrate that has been calibrated by the correction member is held on the stage and before movement of the detection unit is started, the correction member is retract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to provide a retractable skin,
The detection unit has a pair of detection sensors arranged to sandwich the substrate and the calibration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detecting the surface state by sensor light projected between the pair of detection sensors along the
상기 스테이지에서는, 상기 재치 영역과 상기 스테이지의 측단면의 사이에서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파내려 간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퇴피부는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오목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age, a concave portion dug dow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area and a side end surface of the stage,
and the recessed portion positions the correcting member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by moving the correcting member to the recessed portion.
상기 퇴피부는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스테이지의 측단면과 인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tracted portion positions the correction member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by moving the correction member so as to be adjacent to a side end face of the stage.
상기 퇴피부는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교정 부재를 퇴피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etractor retracts the calibration member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상기 스테이지에 유지된 상기 기판을 향하여 처리액을 토출하는 슬릿형의 토출구를 갖는 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재치 영역에 걸쳐 있는 가교 구조를 가지며, 상기 토출구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노즐을 고정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처리액을 토출하는 상기 노즐을 상기 유지부로 유지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노즐의 이동 전방 측에서 상기 노즐의 이동 중에 상기 노즐과 간섭하는 상기 기판 상의 대상물을 검출하는, 기판 처리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nozzle having a slit-typ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rocessing liquid toward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The movable body has a cross-linked structure extending over the mounting area, has a holding part for fixing and holding th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port follows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processing liquid from the discharge port The nozzle is held by the holding part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The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an object on the substrate that interferes with the nozzle during movement of the nozzle at a movement front side of the nozzle.
상기 교정 부재에 의한 교정을 받은 상기 기판을 상기 스테이지에서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스테이지에 유지된 상기 기판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상면의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교정 부재를 퇴피시키는 공정과,
상기 교정 부재가 상기 높이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이동체를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함과 더불어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상면을 따른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교정 부재를 사이에 끼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검출 센서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을 따라 센서광을 투광하는 검출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스테이지에 유지된 상기 기판의 상면의 표면 상태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처리 방법.moving the calibration member to a position above the upper surface periphery of the substrate mounted on the placement are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peripheral portion to the stage side;
holding the substrate, which has been calibrated by the calibration member, on the stage;
retracting the calibration member from above the substrate held on the stage to a position lower than a height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While the correcting membe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position, while moving the movable body in a first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the first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In two directions, between a pair of detection sensors disposed to sandwich the substrate and the calibration member, the detection unit for projecting sensor light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being held on the stage. and a step of detecting a surface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2019027647A JP6869279B2 (en) | 2019-02-19 | 2019-02-19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JPJP-P-2019-027647 | 2019-02-19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01277A KR20200101277A (en) | 2020-08-27 |
| KR102323711B1 true KR102323711B1 (en) | 2021-11-08 |
Family
ID=721113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04777A Active KR102323711B1 (en) | 2019-02-19 | 2020-01-14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JP (1) | JP6869279B2 (en) |
| KR (1) | KR102323711B1 (en) |
| CN (1) | CN111584391B (en) |
| TW (1) | TWI74361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2050918A (en) * | 2020-09-18 | 2022-03-31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Vacuum processing apparatus |
| JP7264857B2 (en) * | 2020-09-18 | 2023-04-25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SUBSTRATE HOLDING DEVICE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 JP7337766B2 (en) * | 2020-09-18 | 2023-09-04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Vacuum processing equipment |
| JP7597462B2 (en) * | 2020-11-16 | 2024-12-10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holding mechanism and substrate mounting method |
| CN113070169B (en) * | 2021-04-19 | 2022-08-05 | 深圳市弘德胜自动化设备有限公司 | Electronic paper coating equipmen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085773A (en) | 2003-09-04 | 2005-03-31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treating device |
| JP2013175622A (en) * | 2012-02-27 | 2013-09-05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Application device, substrate holding device,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 JP2017112197A (en) | 2015-12-16 | 2017-06-22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Substrate holding device, coating apparatus,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35386A (en) * | 2003-01-30 | 2004-08-19 | Sharp Corp | Positioning table and positioning method |
| JP2006170733A (en) * | 2004-12-15 | 2006-06-29 | Sharp Corp | Substrate positioning and holding method and apparatus |
| JP2007250851A (en) * | 2006-03-16 | 2007-09-27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ubstrate treatment |
| JP2008078304A (en) * | 2006-09-20 | 2008-04-03 | Olympus Corp | Substrate holding mechanism and substrate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2013168461A (en) * | 2012-02-15 | 2013-08-29 | Tokyo Electron Ltd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2019
- 2019-02-19 JP JP2019027647A patent/JP6869279B2/en active Active
- 2019-11-29 CN CN201911203575.2A patent/CN111584391B/en active Active
- 2019-12-05 TW TW108144463A patent/TWI743614B/en active
-
2020
- 2020-01-14 KR KR1020200004777A patent/KR1023237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085773A (en) | 2003-09-04 | 2005-03-31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treating device |
| JP2013175622A (en) * | 2012-02-27 | 2013-09-05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Application device, substrate holding device,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 JP2017112197A (en) | 2015-12-16 | 2017-06-22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Substrate holding device, coating apparatus,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1584391B (en) | 2022-04-05 |
| KR20200101277A (en) | 2020-08-27 |
| JP2020136480A (en) | 2020-08-31 |
| CN111584391A (en) | 2020-08-25 |
| TW202032623A (en) | 2020-09-01 |
| JP6869279B2 (en) | 2021-05-12 |
| TWI743614B (en) | 2021-10-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23711B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 JP6928134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and mounting method, and package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 |
| TWI595594B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coating device, substrate holding method | |
| KR101543677B1 (en) | Substrate fixing apparatus, substrate working apparatus, and substrate fixing method | |
| JP5150949B2 (en) | Proximity scan expos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4950530B2 (en) | Substrate fixing device | |
| JP2007150280A (en) | Substrate support apparatus, substrate support metho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onstituent member | |
| KR102336820B1 (en) | Substrate hold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
| KR20110137374A (en) |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 |
| KR20210103968A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 US6381002B1 (en) | Process for controlling a gap between a mask and a workpiece in proximity exposure and a proximity exposure device | |
| JP6673753B2 (en) | Substrate clamping device an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 |
| CN101105635A (en) |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 |
| JP2007316561A (en) |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 |
| KR20210018031A (en) | Die bon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 JP2006049490A (en) | Board loading apparatus,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board loading method | |
| KR101814329B1 (en) | Exposure apparatus for LDI | |
| JP2000307299A (en) | Part mounting device | |
| JP4537223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
| KR20120074226A (en) |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 |
| JP2004337744A (en) | Stage device, paste appl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paste application method | |
| CN120527258A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
| JP4216086B2 (en) | Cassette support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
| KR20190053381A (en) | Exposure apparatus for LDI | |
| TW202534865A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hold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