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25B1 - Improved deodeok peeling machine of dry process - Google Patents
Improved deodeok peeling machine of dry proc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7425B1 KR102337425B1 KR1020190177053A KR20190177053A KR102337425B1 KR 102337425 B1 KR102337425 B1 KR 102337425B1 KR 1020190177053 A KR1020190177053 A KR 1020190177053A KR 20190177053 A KR20190177053 A KR 20190177053A KR 102337425 B1 KR102337425 B1 KR 102337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odeok
- peeling
- roller
- blade
- d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2007/007—Brush rollers for peeling fruit or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공급된 더덕의 외피를 탈피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돌출날인 칼날롤러부를 갖고 칼날롤러부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 더덕탈피기를 포함하는 더덕 탈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칼날롤러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력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고속회동되는 롤러로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나선돌부가 돌출형성되되 나선돌부 상단에는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더덕의 외피와 선 접촉되는 외측돌출나선이 형성되는 제1탈피롤러; 및 상기 제1탈피롤러와 동일한 지름을 갖고 제1탈피롤러와 수평을 이루게 위치되어 동력전달로 외측방향으로 고속회동되는 롤러인 제2탈피롤러를 구비하는 건식 더덕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맞닿지 않고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쌍회전날인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과 제2탈피롤러의 각 외측돌출나선이 상부에 위치된 더덕의 껍질과 칼날처럼 접촉되면서 절삭된다. 더덕의 껍질이 튕김에도 박피가 이루어지도록 고속회전절삭하므로, 복잡한 끼워서 미는 방식이 아님에도 건식박피가 가능하다. 그 건식박피의 결과로 더덕 진액의 유출을 최소화시켜 맛과 영양분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물의 소비도 줄인다. 더덕표면이 절삭 중에 뭉개지지 않아서 건식박피가 가능하다. 별도의 이송장치가 없어도 자동이송 및 밀어내기가 절삭칼날로 이루어지고, 박피구조도 간단하므로, 개별농가에까지 보급이 되리라 기대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odeok peeling device comprising a deodeok peeling machine having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blade roller part having a blade roller part that is a protruding blade for peeling and moving the shell of the deodeok supplied to the upper part, the blade roller part, A roller that is power-connected by a driving means and rotates at high speed outward. A plurality of spiral protrusions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er protruding spirals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spiral protrusion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make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kin of the deodeok. peeling roller; And it relates to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having a second peeling roller which is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rotates at high spe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rough power transmiss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act each other and each outer protruding spiral of the blade roller part, which is a twin-rotating blade that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by a driv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shell of the deodeok located on the top and like a knife blade. are cut Since the high-speed rotary cutting enables peeling even when the peel of deodeok is bouncing, dry peeling is possible even without a complicated pinch-and-push method. As a result of the dry skin peeling,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leakage of deodeok essence to maintain taste and nutrients. It also reduces water consumption. Dry peeling is possible because the deodeok surface is not crushed during cutting. Even without a separate feeding device, automatic feeding and pushing are performed with a cutting blade, and the peeling structure is simple, 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distributed to individual farm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의 모래연마 탈피기가 물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을 개선하여 개별올가에 보급이 가능한 최초의 건식 더덕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맞닿지 않고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쌍회전날인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과 제2탈피롤러의 각 외측돌출나선이 상부에 위치된 더덕의 껍질과 칼날처럼 접촉되면서 절삭회전됨에 따라 더덕의 껍질이 튕겨져나가면서 박피가 이루어져 박피된 더덕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건식 더덕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rst dry deodeok peeling device that can be supplied to individual olga by improving the necessity of using water in the existing sand abrasive peeling machine. As the outer protruding spirals of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of the blade roller part, which are twin rotating blades, are in contact with the shell of the deodeok located on the upper part like a blade and are cut and rotated, the shell of the deodeok is peeled and peeled. It relates to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that greatly improves the commercial properties of the product.
일반적으로 더덕, 도라지, 인삼, 우엉 등의 다양한 뿌리작물들이 우리의 먹거리 또는 건강보조 식품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식품과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부응하여 그 소비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더덕, 우엉 등과 같은 뿌리 작물의 재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n general, various root crops such as deodeok, bellflower, ginseng, and burdock are used as our food or health supplement. Recently,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modern people who prefer natural and health foods, their consump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according to this trend, the cultivation of root crops such as deodeok and burdock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런데, 이러한 더덕, 우엉 등의 뿌리작물은 표면에 많은 흙이 묻어 있고, 거칠고 질긴 껍질을 갖추고 있으므로, 표면에 묻어 있는 흙을 털어내고, 거칠고 질긴 껍질을 벗겨내야만 먹을 수 있다.However, since root crops such as deodeok and burdock have a lot of soil on the surface and have a rough and tough shell, they can only be eaten by shaking off the soil on the surface and peeling off the rough and tough skin.
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요구에 따라 뿌리작물을 세척하거나 뿌리작물의 껍질을 벗길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은 다양하지만 끼워서 미는 방식의 특허로만 존재하는 건식탈피기와 시중의 모래연마롤러 방식으로 나뉜다. 전자는 모두 무우탈피기의 변형으로 구조가 아주 복잡하여 기업에서나 쓰일 가능성이 있지만 시장에는 없고, 후자는 드럼구조에 물을 써야 해서 번거롭고 맛과 영양이 떨어진다.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such social change, there are various conventional technologies that can wash root crops or peel root crops, but they are divided into dry peeling methods, which exist only in patents of the sandwiching and pushing method, and sand grinding roller methods on the market. The former is a variation of the radish peeler, and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be used only in companies, but it is not in the market.
끼워서 미는 방식의 첫째로,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며 더덕을 도입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된 더덕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65)와; 상기 브러시에서 처리된 더덕을 박피하기 위한 박피수단과;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브러시(65)와, 상기 박피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더덕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케이스(1)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도입구(120)로 유입된 더덕을 브러시(65)측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도입부 이송롤러(20)와, 상기 브러시(65)에서 처리된 더덕을 박피수단측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중간부 이송롤러(25)와, 상기 박피수단에 의해 처리된 더덕을 배출구(125)측으로 이송시키는 한쌍의 배출부 이송롤러(30)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도입부 이송롤러(20), 중간부 이송롤러(25) 및 배출부 이송롤러(30)의 중앙부에는 더덕이 밀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의 안착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65)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관체 형상의 브러시 샤프트(75)와; 회전축(115)으로부터 유입된 공급수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80)과; 상기 브러시 샤프트(75)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브러시 솔(7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80)은, 더덕이 박피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박피수단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115)과; 상기 각각의 회전축(115)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만곡된 형태의 회전 컷팅날(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박피기."가 특허등록 제10-0833576호(2008.05.30.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First of all, as shown in FIGS. 18 and 19, a "
그러나 이런 종래의 더덕 박피기는, 1차적으로 브러시 솔(70)로 세척하고, 2차적으로 종형 및 횡형 배열된 박피수단의 회전 컷팅날(11)로 박피가 이루어지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며, 더덕 박피시 회전 컷팅날(11)이 더덕 내부까지 파고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면의 여러가지 홈에서의 박피가 제대로 이루어지 못해 상품성이 떨어지고 박피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odeok peeler is primarily washed with a
또한, 도 20과 같이, "상부 몸체 판(21)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 축(07)의 외통부에 설치된 베어링의 외부에 출력기어(05) 설치되고, 구동 모터(25)와 구동기어(19)가 설치된 고정 체(23)가 상부 몸체 판(21)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부 몸체 판(21)에 기 설치된 출력기어(05) 와 구동 기어(19)의 중심과 삼각형을 이루는 다른 곳에 베어링 공을 상하로 관통 하여 설치하고 원형 베어링을 설치하며, 전달기어(16)가 설치된 웜 축(15)을 아래에서 위로 끼워 설치한 다음, 타이밍 벨트(17)를 상기 설치된 구동기어(19)등에 설치한 구동수단과, 고정 축(07)의 상부 몸체 판(21)하면으로 돌출한 외통부에 출력기어(05)가 설치되고, 그 하면부에 회전 구동 체(01)가 설치되며, 회전 구동 체(01)의 내부에 길이가 짧고 긴 여러 종류의 와이어로 형성 된 테이퍼 브러시(09)가 설치된 박피수단과, 상부 몸체 판(21)의 조립 판(27) 사이에 웜 축(15)이 설치되고, 한쪽에 웜 기어(29)가 설치되고, 중간부에 스퍼기어가 설치되며 다른 쪽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스프링 판(31)이 6개 이상의 날개 형태로 설치된 회전 축(33)과, 동일한 형태이며, 웜 기어(29)가 설치된 않은 이송 축(32)이 웜기어(29)의 중심과 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하고, 회전 축(33)과 이송 축(32)의 중심거리의 중심이 회전 구동 체(01)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하여 설치된 이송 부 수단이 특징이고, 상부 몸체 판(21)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 축(07)의 외통부에 설치된 베어링의 외부에 출력기어(05) 설치되고, 구동 모터(25)와 구동기어(19)가 설치된 고정체(23)가 상부 몸체 판(21)의 하면에 설치되고, 타이밍 벨트(17)를 상기 설치된 구동기어(19)등에 설치한 구동부수단과, 고정 축(07)의 상부 몸체 판(21)하면으로 돌출한 외통부에 출력기어(05)가 설치되고, 그 하면부에 회전 구동 체(01)가 설치되며, 회전 구동 체(01)의 내부 중심부에 길이가 짧고 긴 여러 종류의 와이어로 형성 된 테이퍼 브러시(09)가 설치된 박피부가 특징인 더덕, 우엉 및 도라지 박피기."가 특허공개 제10-2013-0014994호(2013.02.12. 공개)로 개시된바 있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0, "the
그러나 이런 종래의 더덕, 우엉 및 도라지 박피기는, 잔뿌리가 많은 뿌리작물일 경우 껍질을 벗기는 박피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바, 실질적으로 박피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껍질을 벗기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odeok, burdock and bellflower peel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eel a root crop with a large number of fine roots. Therefore, a peeler cannot be used in practice and a worker is manually peeling the skin.
이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잔뿌리가 많은 뿌리작물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껍질을 벗길 수 있도록, "도라지의 외면둘레부분을 긁어서 박피하는 다수의 곡면홈날부를 가지는 회전박피칼을 포함하는 도라지 박피기에 있어서, 회전박피칼에 의한 박피 전 주근에서 뻗어나온 잔뿌리를 절단하도록 하는 전처리수단인 잔뿌리처리수단(100)과; 상기 잔뿌리처리수단(100)에서 잔뿌리가 제거된 도라지를 곡면홈날부(231)를 가지는 다수의 박피칼(230)이 구비되며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박피칼(210)로 이루어지는 박피수단(200)과; 상기 박피수단(200)에서 박피과정 중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노즐(310)을 가지는 세척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잔뿌리처리수단(100)은, 도넛 형태로 이루어진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와, 상기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잔뿌리 절단날(120)과, 상기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잔뿌리 절단용 동력공급장치(150)로 형성되며, 상기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 내주연에 잔뿌리 절단날(120)이 설치되도록 입구측과 출구측 각각에 잔뿌리용 절단날 끼움홈(112, 113)이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잔뿌리 절단날(120)는 직사각형의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잔뿌리용 절단날 끼움홈(112, 113)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잔뿌리용 절단날 끼움홈(112, 113)의 사이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중심쪽 방향으로 곡면되게 설치됨을 특징하여, 도라지가 잔뿌리가 절단된 후 박피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는, 내주연에 잔뿌리 절단날(120)이 설치되는 내측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a)와; 상기 내측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a)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며, 잔뿌리 절단용 동력공급장치(150)와 연결되며, 회전하도록 베어링(130)으로 지지되는 외측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b)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b)에서 내측 잔뿌리 절단용 회전체(110a)가 탈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박피수단(200)은 한쌍의 회전박피칼(210)로 이루어진 다수의 회전박피기(200a, 200b, 200c, 200d)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회전박피기(200a, 200b, 200c, 200d)에 각각 구비된 회전박피칼(210)은 각각 상이한 각도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라지 세척 겸용 박피기."가 특허등록 제10-1929266호(2018.12.14.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as shown in FIGS. 21 and 22, in order to be able to peel easily even in the case of root crops with many fine roots, "Rotation peeling having a number of curved groove blades that scrape and peel the outer periphery of bellflower" In the bellflower peeler including a knife, the fine root processing means 100 is a pre-processing means for cutting the fine roots extending from the main root before peeling by the rotary peeling knife; A peeling means 200 comprising a plurality of peeling knives 230 having a curved grooved blade portion 231 and a pair of rotating
그러나 이런 종래의 도라지 세척 겸용 박피기는, 박피작업 전에 잔뿌리를 제거 할 수 있도록 하여 잔뿌리 제거 후 박피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완전하게 껍질을 벗길 수 있는 반면에,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고가이며, 회전박피기(200a,200b,200c,200d)의 한 쌍의 회전박피칼(210)로 형성되는 원의 중심에서 다수개의 박피칼(230)이 다양한 각도에서 접촉됨에 따라 더덕 내부로 까지 박피가 진행되어 심한 박피가 이루어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ellflower washing and peeling machine can remove the fine roots before the peeling operation, so that the peeling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removal of the fine roots, so that the skin can be completely peeled, while the structure is too complicated to manufacture and is expensive, In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ed by a pair of
또한, 이외의 종래 더덕탈피기로서, 접시형 또는 여러 긴 롤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늘고 긴 롤러들이 드럼의 원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각 롤러도 돌고 롤러를 잡고 있는 드럼도 돌며 원심력에 의해서 드럼 속에 있는 더덕들이 드럼벽에 붙게 되므로 돌고 있는 각각의 롤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깎이게 되는 구조가 제공된바 있으나, 드럼이 돌지 않으면 각 롤러들의 외접원심력에 의해 통동튀게 되는 것으로 모래연마방식의 롤러이므로 물을 써야 되고, 이렇게 물을 사용하면 더덕의 진액이 빠져서 맛도 없어지고, 영양분의 손실이 크게 되며, 구조가 복잡하고 사람이 일일이 입구에 더덕을 넣어주고 빼내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other conventional deodeok peelers, it is made in a plate shape or several long roller shapes, and long and thin roller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rum, so that each roller rotates and the drum holding the roller rotates, and the deodeok in the drum is removed by centrifugal force. Since it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drum, it has been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it is continuously cut by each rotating roller. If water is used in this way, the essence of the deodeok is lost, the taste is lost, the loss of nutrients is larg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is cumbersome to put the deodeok in the entrance and take it out one by one.
본 발명은 더덕 박피시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상태로 박피가 이루어짐에 따라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덕 진액의 유출을 최소화시켜 맛과 영양분을 최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건식 더덕 탈피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water consumption as the peeling is performed in a dry state without using water and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leakage of deodeok essence to maintain the maximum taste and nutri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끼워 밀면서 칼날에 접촉되는 복잡한 방식이 아닌, 단순화된 구조이면서도 끼워서 미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건식 더덕 탈피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that has a simplified structure and can have the effect of pushing and pushing, rather than a complicated method of contacting the blade while pushing.
또한, 고속회전하는 쌍회전날인 칼날롤러부에 의해 더덕 껍질의 박피가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서서히 이동됨에 따라 이송장치가 별도로 필요 없어서, 구조가 간단한 건식 더덕 탈피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of providing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since a separate transfer device is not needed as the peeling of the deodeok shell is made by the blade roller unit, which is a high-speed rotating twin blade, and at the same time it moves slowly.
또한, 자동밀어내기는 이미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향더덕공급기를 추가하면, 인력없는 완전자동화라인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automatic pushing has already been made, a fully automated line without manpower is possible by adding an upward deodeok feeder.
상기의 단순화를 모두 모으면, 저렴한 비용으로 농가에 보급할 수 있는 개량된 건식 더덕 탈피장치를 제공함이 가능해진다.Collecting all of the above simplifications,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dry deodeok peeling device that can be supplied to farms at low cos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공급된 더덕의 외피를 탈피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돌출날인 칼날롤러부를 갖고 칼날롤러부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는 더덕탈피기를 포함하는 더덕 탈피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odeok peeling device comprising a deodeok peeling machine having a blade roller part that is a protruding blade that peels and moves the outer skin of the deodeok supplied to the upper part and has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blade roller part. in,
상기 칼날롤러부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력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고속회동되는 롤러로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나선돌부가 돌출형성되되 나선돌부 상단에는 회전방향으로 돌출되어 더덕의 외피와 선 접촉되는 외측돌출나선이 형성되는 제1탈피롤러; 및 The blade roller part is a roller that is power-connected by the driving means and rotates outwardly at high speed. A plurality of spiral protrusions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 top of the spiral protrusions protru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 make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kin of the deodeok. a first stripping roller on which a spiral is formed; and
상기 제1탈피롤러와 동일한 지름을 갖고 제1탈피롤러와 수평을 이루게 위치되어 동력전달로 외측방향으로 고속회동되는 롤러로 외측면에 더덕의 외피와 선 접촉으로 탈피가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칼날을 갖는 제2탈피롤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A roller that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is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rotates at high speed in the outward direction by power transmissi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2 peeling rollers.
상기 제2탈피롤러는, 외측면에 더덕의 외피와 선 접촉으로 탈피가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직선돌부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The second peeling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raight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which peeling is made by lin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deodeok.
상기 제2탈피롤러는, 외측면에 다수개의 나선돌부가 형성되되 나선돌부 상단에는 회전방향으로 나선으로 돌출되어 더덕의 외피와 선 접촉되는 외측돌출나선이 형성되어 상면에 위치된 더덕의 외피가 선 접촉으로 탈피가 이루어지면서 이동되는 특징이 있다.The second peeling roller, a plurality of spiral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n outer protruding spiral that protrudes spirally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spiral protrusion and is in line contact with the outer skin of the deodeok is formed.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moving as it molts by contact.
상기 칼날롤러부는 상면에 위치된 더덕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The blade roll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in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eodeok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의 속도가 다른 특징이 있다.The speed of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is different.
상기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의 원가절감을 위하여, 속이 빈 파이프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a hollow pipe is used.
상기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에서의 칼날사이에 오목부위가 있거나 구멍이 있어서, 진액과 껍질의 퇴적기간을 길게 하는 특징이 있다.There is a concave part or a hole between the blades in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and there is a feature to lengthen the deposition period of the essence and the skin.
상기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와 인접되어 고정대에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더덕이 담겨지며 길이방향 사선절단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반원통체인 호퍼; 및a hopper which is adjacent to the blade roller of the deodeok peeler, is installed obliquely on a fixing table, contains a plurality of deodeoks therein, is cut diagon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 semi-cylindrical hopper with an open top; and
상기 호퍼의 경사진 일측단 내측에 경사지게 축결합되어 회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원형회동체로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내측으로 다수개 요부형성되어 더덕이 담겨지는 작은 공간으로 분할되고 자중에 의해 더덕이 낙하되도록 중심방향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중낙하셀을 갖고 반원링형상의 판체로 호퍼 외측단에 고정되어 다수개 자중낙하셀 중 외측면 우측을 가려 회동중 자중낙하셀 내부 더덕의 외부 낙하를 방지하는 외측반원링판을 갖으며 외측반원링판에 고정되어 최상위에 위치된 자중낙하셀에 담겨진 더덕을 칼날롤러부로 낙하유도하는 낙하유도판을 갖고 반원링형상의 판체로 호퍼 내측면에 고정되어 다수개 자중낙하셀 중 외측반원링판에 가려지지 않은 다수개 자중낙하셀 중 내측면 좌측을 가려 회동중 자중낙하셀 더덕의 내부측 낙하를 방지하는 내측반원링판을 갖아 호퍼 내부의 더덕을 순차적으로 상부로 이동시켜 자연낙하로 공급하는 셀이동회전체가 형성된 상향더덕공급기를 더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A circular rotating body that is inclin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clined one end of the hopper and rotated by a rotation motor. On the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inside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deodeok is divided into a small space in which the deodeok is contained and the deodeok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It has a self-weight fall cell whose bottom surface is inclined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hopper with a semi-circular ring-shaped plate. It has a semi-circular ring plate and is fixed to the outer semi-circular ring plate and has a drop guide plate that guides the deodeok contained in the self-weight fall cell located at the top to the blade roller unit. It has an inner semi-circular ring plate that covers the left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multiple self-weight fall cells that are not covered by the middle and outer semi-circular ring plate and prevents the self-weight fall cell deodeok from falling on the inside during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n upward deodeok feeder with a cell moving rotating body supplied to the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맞닿지 않고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쌍회전날인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과 제2탈피롤러의 각 외측돌출나선이 상부에 위치된 더덕의 껍질과 칼날처럼 접촉되면서 절삭회전됨에 따라 더덕의 껍질이 튕겨져나가면서 박피가 이루어져, 그 건식박피로 인하여, 박피된 더덕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act each other and each outer protruding spiral of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of the blade roller part, which is a twin-rotating blade that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like the shell and blade of the deodeok. The peeling is made as the skin of the deodeok is bounced off as it is cut and rotated while in contact, and due to the dry peeling, the marketability of the peeled deodeok is greatly improved.
건식박피의 결과로,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덕 진액의 유출을 최소화시켜 맛과 영양분을 최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of dry peel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water consumption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leakage of deodeok extract, thereby maintaining the maximum taste and nutrients.
또한, 고속회전하는 쌍회전날인 칼날롤러부에 의해 더덕 껍질의 박피가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서서히 이동됨에 따라 이송장치가 별도로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eeling of the deodeok shell is made by the blade roller part, which is a twin-rotating blade that rotates at high speed, and at the same time it moves slowly,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transfer device, 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또한, 구조가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이미 반자동화는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향더덕공급기를 추가한다면, 인력없는 완전자동화라인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is simple, semi-automation has already been made, so if an upward deodeok feeder is added, a fully automated line without manpower is 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의 더덕탈피기가 상향더덕공급기와 결합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의 더덕탈피기가 상향더덕공급기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와 구동수단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의 모습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더덕탈피기의 칼날롤러부의 제1탈피롤러와 제2탈피롤러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저면모습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배면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정면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측면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평면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셀이동회전체의 모습을 보인 정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셀이동회전체의 모습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식 더덕 탈피장치 상향더덕공급기의 셀이동회전체의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17은 도 16의 A-A선 단면도,
도 18은 종래 더덕 박피기의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19는 종래 더덕 박피기의 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20은 종래 더덕 우엉 및 도라지 박피기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1은 종래 도라지 세척 겸용 박피기의 모습을 보인 정명 개략도,
도 22는 종래 도라지 세척 겸용 박피기의 배치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odeok peeler of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n upward deodeok feeder;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odeok peeling machine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the upward deodeok feed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lade roller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deodeok peel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lade roller part and the driving means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deodeok pee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of the blade roller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deodeok pee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of the blade roller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deodeok pee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of the blade roller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deodeok pee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rst peeling roller and the second peeling roller of the blade roller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deodeok peel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view of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view of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moving body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ll moving body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rear view showing the cell moving body of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upward deodeok fee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6;
1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odeok peeler;
19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deodeok peeler;
2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odeok burdock and bellflower peeler;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bellflower washing and peeling machine;
2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bellflower washing and peeling machin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and since the embodiments are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cope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correspond to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optional terms in the examples below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건식 더덕 탈피장치는,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다수개의 더덕이 담겨져 일정 수량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상향더덕공급기(2)와, 상향더덕공급기(2)로 공급된 더덕의 외피를 탈피시킴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칼날롤러부(10)를 갖고 칼날롤러부(1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을 갖는 더덕탈피기(1)로 구성된다.In the dry deodeok pe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eodeoks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from the surface are contained, and a predetermined quantity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upward deodeok feeder (2) and the upward deodeok feeder (2) to peel the skin of the deodeok. It is composed of a deodeok peeler (1) having a blade roller unit (10) that moves at the same time and a driving means (20) for driving the blade roller unit (10).
상기 더덕탈피기(1)는, 상기 상향더덕공급기(2)로 공급된 더덕의 외피를 탈피시키면서 배출구(13)로 이동시키는 칼날롤러부(10)와, 상기 칼날롤러부(1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칼날롤러부(10)는, 제1탈피롤러(11)과, 제2탈피롤러(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탈피롤러(11)와 제2탈피롤러(12)의 상면에 위치한 더덕의 외피가 제1탈피롤러(11)의 외측돌출나선(11d)과 제2탈피롤러(12)의 외측돌출나선(12d)에 의한 선접촉으로 고속마찰되어 탈피가 이루어지면서 배출구(13) 측으로 서서히 이동된다.The
이때, 상기 칼날롤러부(10)의 제1탈피롤러(11)과 제2탈피롤러(12)는 그 사이에 위치되어 더덕 외피의 탈피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충분히 길어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또한, 제작상 등의 문제로 2개 또는 3개 이상의 제1탈피롤러(11)과 제2탈피롤러(12)를 연속적으로 배차하여 칼날롤러부(10)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use two or three or more of the
또한, 외피가 탈피되는 더덕의 배출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칼날롤러부(10)인 제1탈피롤러(11)과 제2탈피롤러(12)를 배출구(13)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discharge movement of the deodeok from which the skin is peeled more smooth, the
상기 제1탈피롤러(11)는, 구동수단(20)의 구동모터(21)에 의해 벨트(22)로 동력연결되어 외측방향(시계방향)으로 고속회동되는 롤러로,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나선요부(11a)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나선으로 요부형성되고, 나선요부(11a)와 인접된 다른 나선요부(11a) 사이에는 나선돌부(11b)가 형성되되, 나선돌부(11b) 상단에는 회전반대방향으로 낮게 경사진 나선경사면(11c)이 형성됨으로 인해, 나선경사면(11c)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인 우측단에는 외측돌출나선(11d)이 형성되고, 나선경사면(11c)을 기준으로 회전반대방향인 좌측단에는 내측나선(11e)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2탈피롤러(12)는, 상기 제1탈피롤러(11)와 동일한 지름을 갖고 제1탈피롤러(11)와 수평을 이루면서 좌측에 위치되어 구동모터(21)와 기어결합되어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종동기어(23)와 종동벨트(24)로 동력전달되어 외측방향(반시계방향)으로 고속회동되는 롤러로,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나선요부(12a)가 시계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나선으로 요부형성되고, 나선요부(12a)와 인접된 다른 나선요부(12a) 사이에는 나선돌부(12b)가 형성되되, 나선돌부(12b) 상단에는 회전반대방향으로 낮게 경사진 나선경사면(12c)이 형성됨으로 인해, 나선경사면(12c)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인 좌측단에는 외측돌출나선(12d)이 형성되고, 나선경사면(12c)을 기준으로 회전반대방향인 우측단에는 내측나선(12e)이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제2탈피롤러(12)는, 상기 나선돌부(12b)와 나선요부(12a) 대신에, 외측면에 더덕의 외피와 선 접촉으로 탈피가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직선돌부(도시않음)가 형성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탈피롤러(11)와 제2탈피롤러(12)의 상면에 위치한 더덕의 외피가 제1탈피롤러(11)의 외측돌출나선(11d)과 제2탈피롤러(12)의 외측돌출나선(12d)에 의한 선접촉으로 고속마찰되어 외피의 탈피가 이루어지는바, 나선경사면(11c,12c)의 의 넓이가 넓을 수록 더덕과의 마찰로 더덕을 밀어내므로 그 넓이는 좁을 수록 더덕의 탈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나선경사면(11c,12c)의 경사각도가 클수록 더덕과의 마찰이 작아지므로 보다 원활한 더덕 외피의 탈피가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The outer skin of the deodeok loc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상기 제1탈피롤러(11)와 제2탈피롤러(12)의 속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제1탈피롤러(11)와 제2탈피롤러(12)의 원가절감을 위하여, 속이 빈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peed of the
상기 제1탈피롤러(11)와 제2탈피롤러(12)에서의 칼날인 나선돌부(12b)와 나선요부(12a) 사이에 오목부위가 있거나 구멍(도시않음)이 있어서, 진액과 껍질의 퇴적기간을 길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상기 상향더덕공급기(2)는, 상부가 개방되는 반원통체인 호퍼(2a)와, 호퍼(2a) 내에 축설치되어 호처(2a) 내부의 다수개 더덕 중 일정양의 더덕을 순차적으로 상기 칼날롤러부(10)로 토출 공급하는 셀이동회전체(2c)로 구성된다.The upward deodeok feeder (2) is a hopper (2a), which is a semi-cylindrical body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 shaft installed in the hopper (2a) to sequentially feed a certain amount of deodeok among a plurality of deodeok inside the hopper (2a) with the blade roller It is composed of a cell moving rotating body (2c) that is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unit (10).
상기 호퍼(2a)는, 상기 칼날롤러부(10)와 인접되어 고정대(2b)에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더덕이 담겨지며 길이방향 사선절단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반원통체이다.The hopper (2a) is adjacent to the
상기 셀이동회전체(2c)는, 상기 호퍼(2a)의 경사진 일측단 내측에 경사지게 축결합되어 회동모터(2e)에 의해 회동되면서 호퍼(2a) 내부의 다수개 더덕 중 일정량을 순차적으로 상부로 이동시켜 자연낙하방식으로 상기 칼날롤러부(10)로 공급하는 원형회동체로,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내측으로 다수개 요부형성되어 더덕이 담겨지는 작은 공간으로 분할되고 자중에 의해 더덕이 낙하되도록 중심방향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중낙하셀(2d)과, 반원링형상의 판체로 호퍼(2a) 외측단에 고정되어 다수개 자중낙하셀(2d) 중 외측면 우측을 가려 회동중 자중낙하셀(2d) 내부 더덕의 외부 낙하를 방지하는 외측반원링판(2f)과, 상기 외측반원링판(2f)에 고정되어 최상위에 위치된 자중낙하셀(2d)에 담겨진 더덕을 칼날롤러부(10)로 낙하유도하는 낙하유도판(2g)과, 반원링형상의 판체로 호퍼(2a) 내측면에 고정되어 다수개 자중낙하셀(2d) 중 외측반원링판(2f)에 가려지지 않은 다수개 자중낙하셀(2d) 중 내측면 좌측을 가려 회동중 자중낙하셀(2d) 더덕의 내부측 낙하를 방지하는 내측반원링판(2h)으로 구성된다.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서로 맞닿지 않고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는 쌍회전날인 칼날롤러부(10)의 제1탈피롤러(11)과 제2탈피롤러(120)의 각 외측돌출나선(11d,12d)이 상부에 위치된 더덕의 껍질과 칼날처럼 접촉되면서 절삭회전됨에 따라 더덕의 껍질이 튕겨져나가면서 세밀한 박피가 이루어져 박피된 더덕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또한, 칼날롤러부(10)의 제1탈피롤러(11)과 제2탈피롤러(120)에 의한 더덕 박피시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상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더덕의 박피시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이로 인해 더덕 진액의 유출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박피완료된 더덕의 맛과 효능을 최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it is made in a dry state that does not use water when peeling deodeok by the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This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merely clearly show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nfer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possible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더덕 탈피기
2 : 상향더덕공급기 2a : 호퍼
2b : 고정대 2c : 셀이동회동체
2d : 자중낙하셀 2e : 회동모터
2f : 외측반원링판 2g : 낙하유도판
2h : 내측반원링판
10 : 칼날롤러부 11 : 제1탈피롤러
11a : 나선요부 11b : 나선돌부
11c : 나선경사면 11d : 외측돌출나선
11e : 내측나선 12 : 제2탈피롤러
12a : 나선요부 12b : 나선돌부
12c : 나선경사면 12d : 외측돌출나선
12e : 내측나선 13 : 배출구
14 : 경사판
20 : 구동수단 21 : 구동모터
22 : 벨트 23 : 종동기어
24 : 종동벨트 1: Deodeok peeling machine
2:
2b: fixed
2d: self-
2f: outer
2h: inner semicircular ring plate
10: blade roller part 11: first peeling roller
11a:
11c:
11e: inner spiral 12: second stripping roller
12a: spiral recessed
12c:
12e: inner helix 13: outlet
14: inclined plate
20: driving means 21: driving motor
22: belt 23: driven gear
24: driven belt
Claims (8)
상기 호퍼(2a)의 경사진 일측단 내측에 경사지게 축결합되어 회동모터(2e)에 의해 회동되는 원형회동체로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내측으로 다수개 요부형성되어 더덕이 담겨지는 작은 공간으로 분할되고 자중에 의해 더덕이 낙하되도록 중심방향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중낙하셀(2d)을 갖고 반원링형상의 판체로 호퍼(2a) 외측단에 고정되어 다수개 자중낙하셀(2d) 중 외측면 우측을 가려 회동중 자중낙하셀(2d) 내부 더덕의 외부 낙하를 방지하는 외측반원링판(2f)을 갖으며 외측반원링판(2f)에 고정되어 최상위에 위치된 자중낙하셀(2d)에 담겨진 더덕을 칼날롤러부(10)로 낙하유도하는 낙하유도판(2g)을 갖고 반원링형상의 판체로 호퍼(2a) 내측면에 고정되어 다수개 자중낙하셀(2d) 중 외측반원링판(2f)에 가려지지 않은 다수개 자중낙하셀(2d) 중 내측면 좌측을 가려 회동중 자중낙하셀(2d) 더덕의 내부측 낙하를 방지하는 내측반원링판(2h)을 갖아 호퍼(2a) 내부의 더덕을 순차적으로 상부로 이동시켜 자연낙하로 공급하는 셀이동회전체(2c)가 형성된 상향더덕공급기(2)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건식 더덕 탈피장치.A hopper (2a), which is a semi-cylindrical body which is adjacent to the blade roller 10 of the deodeok peeler (1), is inclinedly fixed to the holder (2b), contains a plurality of deodeoks, is cut diagon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open top; and
A circular rotating body that is inclin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clined one end of the hopper (2a) and rotated by a rotation motor (2e). It has a self-weight fall cell (2d) whose bottom surface is inclined in the center direction so that the deodeok is dropped by the It has an outer semi-circular ring plate (2f) that prevents the external fall of the self-weight fall cell (2d) inside the self-weight fall cell (2d) during rotation and is fixed to the outer semi-circular ring plate (2f) and cuts the deodeok contained in the self-weight fall cell (2d) located at the top of the blade. It has a fall guide plate (2g) for guiding the fall to the roller unit (10) a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pper (2a) with a semicircular ring-shaped plate and is not covered by the outer semicircular ring plate (2f) among the multiple self-weight fall cells (2d) It has an inner semi-circular ring plate (2h) that covers the left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multiple self-weight fall cells (2d) and prevents the deodeok from falling inside the self-weight fall cell (2d) during rotation so that the deodeok inside the hopper (2a) is sequentially moved upwards. An improved dry deodeok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pward deodeok feeder (2) having a cell moving rotating body (2c) formed by moving it to a natural drop.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77053A KR102337425B1 (en) | 2019-12-27 | 2019-12-27 | Improved deodeok peeling machine of dry proc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77053A KR102337425B1 (en) | 2019-12-27 | 2019-12-27 | Improved deodeok peeling machine of dry proces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84095A KR20210084095A (en) | 2021-07-07 |
| KR102337425B1 true KR102337425B1 (en) | 2021-12-08 |
Family
ID=768623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77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2337425B1 (en) | 2019-12-27 | 2019-12-27 | Improved deodeok peeling machine of dry proces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374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3178508A (en) * | 2022-06-05 | 2023-12-15 | 渡辺精機株式会社 | Apparatus for processing rod-like vegetable |
| ES2963240B2 (en) * | 2022-08-25 | 2025-03-31 | Talleres Jirusa S L | MACHINE FOR PEELING VEGETABLE PRODUCTS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5875B1 (en) * | 2013-05-13 | 2014-07-09 | 주식회사 청하기계 | Corn peel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3576B1 (en) | 2007-02-20 | 2008-05-30 |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Deduct |
| KR20130014994A (en) | 2011-08-01 | 2013-02-12 | 엄재풍 | Peeler of codonopsis lanceolata burdock and ballonflower |
| NL2011369C2 (en) * | 2013-09-02 | 2015-03-03 | Marel Stork Poultry Proc Bv | Skinn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removing skin from slaughtered poultry parts. |
| KR101929266B1 (en) | 2017-10-30 | 2018-12-14 | 이학남 | Peeler and Cleaning device for Bellflower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7053A patent/KR1023374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5875B1 (en) * | 2013-05-13 | 2014-07-09 | 주식회사 청하기계 | Corn peel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84095A (en)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225851B2 (en) | Stalk roll with wide engagement gap | |
| US2813376A (en) | Abrading machine actuated by water pressure | |
| KR102337425B1 (en) | Improved deodeok peeling machine of dry process | |
| CN206005860U (en) | Cleaning peeling and the integrated Radix Raphani processing system of cutting | |
| CN106723131B (en) | Green walnut device for peeling | |
| CN206484622U (en) | A kind of Wheel-type fruit slice device | |
| CN203762244U (en) | Extrusion, washing and automatic cleaning type walnut peeling device | |
| KR101666145B1 (en) | Peeling apparatus | |
| CN210936060U (en) | Cleaning knife roller and friction cleaning machine with same | |
| KR101929266B1 (en) | Peeler and Cleaning device for Bellflower | |
| CN105053141A (en) | Trotter dehairer | |
| KR200450380Y1 (en) | Peel the burdock, burdock and bellflower | |
| CN210610941U (en) | Potato peeling machine | |
| CN214071653U (en) | Centrifugal water chestnut peeling machine | |
| KR101406034B1 (en) | Fruits and vegetables barker | |
| CN218278612U (en) | Chinese chestnut shelling and peeling machine | |
| CN111134268A (en) | Shrimp processing of unloading is with boiling device in convenience | |
| CN112056577B (en) | A water chestnut peeling machine | |
| CN212488346U (en) | Water chestnut peeling machine | |
| CN207531868U (en) | A kind of Green walnut husk husking machine | |
| CN205040540U (en) | Pig hoof machine that moults | |
| CN202197805U (en) | Roller-type potato cleaning machine | |
| KR101548665B1 (en) | A forming-device of oyster | |
| CN208987768U (en) | A kind of de- thorn system of Single Roxburgh Rose Fruit | |
| CN110754672A (en) | But self-cleaning's food processing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