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38062B1 -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062B1
KR102338062B1 KR1020140081279A KR20140081279A KR102338062B1 KR 102338062 B1 KR102338062 B1 KR 102338062B1 KR 1020140081279 A KR1020140081279 A KR 1020140081279A KR 20140081279 A KR20140081279 A KR 20140081279A KR 102338062 B1 KR102338062 B1 KR 10233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layer
display device
variable display
main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2556A (en
Inventor
전창우
김진욱
김위용
유경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062B1/en
Publication of KR2016000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0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는 형상 기억층, 상기 형상 기억층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열 공급층, 상기 열 공급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층, 및 상기 형상 기억층 하부에 위치하는 방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hape memory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pe memory layer, an insulating layer positioned on the shape memory layer, a heat supply layer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a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heat supply layer, and and a heat dissipation layer positioned below the shape memory layer.

Description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A shape memory complex and a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형상 기억 복합체의 구동력과 반응성을 개선하여 가변형 표시장치의 가변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pe memory composite and a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pe memory composite capable of reducing the variable driving time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by improving the driving force and reactivity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and a variable type display including the same It is about the display device.

근래에,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평면형 표시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a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In response to thi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F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LED) ), and various flat display devices such as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re being put to practical use.

최근 들어, 원하는 때와 장소에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의 휴대성이 요구됨과 동시에 휴대를 위한 경량성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표시장치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 제조 시 휴대성 및 기타 장치 배열에 따른 공간적 제약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적 제약 및 휴대성을 만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개발에 힘입어 근래에는 접고 펼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Recently, the portability of a display device is required so that information can be accessed at a desired time and place, and lightness for portability is also required. Such a portable display device requir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in order to support various functions,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display unit having a size larger than a certain size due to spatial restrictions due to portability and other device arrangements during the manufacture of a terminal.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a display unit that can satisfy these spatial constraints and portability, a foldable display device has been recently proposed.

가변형 표시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료들로 구성된 패널이 적정 곡률을 가지게 하기 위해 모터(Motor)를 사용하고 있다. 모바일(Mobile)의 경우 모터를 사용하게 되면 모터 구동부의 소음과 모터 유닛(Unit)이 구비되야 한다. 이를 위해, 백플레이트(BACK PLATE) 이외에 추가 구성요소들이 표시장치의 부피를 차지하게되어 두껍고 무거운 폰으로 전락하게 된다.The variable display device uses a motor to allow a panel made of flexible materials to have an appropriate curvature. In the case of mobile, when a motor is used, noise from the motor driving unit and a motor unit must be provided. To this end, additional components other than the back plate take up the volume of the display device, which is reduced to a thick and heavy phone.

이를 해소하기 위해 모터 방식이 아니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자체 발열에 의한 구동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흔히 사용되는 니티놀의 경우 저항값이 낮아(1.0 이하) 실제 자체 발열을 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타입(Wire type)의 가늘고 긴 선으로 설계되어야 발열을 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형상의 변형도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모바일을 굽히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굽힘력을 가져야 함으로 와이어 타입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자체 발열을 위해서 형상 기억 합금이 와이어 타입이어야 하지만, 힘을 내기 위해서는 시트 타입(sheet type)으로 가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trying to drive by self-heating by using shape memory alloy rather than a motor method. However,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nitinol, the resistance value is low (less than 1.0), so in order to actually generate self-heating, it must be designed as a thin and long wire of a wire type to generate heat, and thus the shape can be deformed. . However, in order to bend the mobile, it must have a fairly large bending force, so it cannot be applied to the wire type. Therefore, the shape memory alloy must be a wire type for self-heating,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has to go to a sheet type in order to generate force.

본 발명은 형상 기억 복합체의 구동력과 반응성을 개선하여 가변형 표시장치의 가변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pe memory composite capable of reducing a variable driving time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by improving driving force and reactivity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and a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는 형상 기억층, 상기 형상 기억층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열 공급층, 상기 열 공급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층, 및 상기 형상 기억층 하부에 위치하는 방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ape memory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pe memory layer, an insulating layer positioned on the shape memory layer, a heat supply layer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heat supply lay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and a heat dissipation layer positioned under the shape memory layer.

상기 형상 기억층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pe memory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heet shape.

상기 열 공급층은 면상 발열층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양 측에 위치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supply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nar heating layer and electrode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lanar heating layer.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pe memory composite has a thickness of 0.1 mm to 1 m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 기억 복합체,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표시패널, 메인 프레임 및 형상 기억 복합체를 수납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는 형상 기억층, 상기 형상 기억층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열 공급층, 상기 열 공급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층, 및 상기 형상 기억층 하부에 위치하는 방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a display panel positioned on the main frame, a cover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t least one shape memory complex positioned under the main frame,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cover to accommodate the display panel, the main frame, and a shape memory composite, wherein the shape memory composite includes a shape memory layer, an insulating layer positioned on the shape memory layer, and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a heat supply layer, a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heat supply layer, and a heat dissipation layer positioned below the shape memory layer.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가 휘어지거나 펴지는 힘에 의해 서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ositioned under the main frame, wherein the stopper is interlocked and fixed with each other by a bending or unfolding force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며, 볼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가 휘어지거나 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볼이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located under the main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including a ball, wherein the fixing part is moved and fixed by the force of bending or unfolding the shape memory complex,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t is characterized as a means to do it.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가 휘어지거나 펴지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ide plate located under the main frame, wherein the slide plate i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by moving and fixing the shape memory complex by a bending or unfolding forc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는 형상 기억 복합체의 구동력과 반응성을 개선하여 가변형 표시장치의 가변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상 기억 복합체를 구비한 가변형 표시장치에 다양한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형상 기억 복합체의 구동 없이도 휘어지거나 편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shape memory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variable driving tim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can be shortened by improving the driving force and reactivity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In addition, by providing various fixing members to the varia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hape memory composite can be maintained in a curved or flat shape without dri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합금의 구동 원리를 모식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사용된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사용된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사용된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사용된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사용된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라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가 휘어진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라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가 복원된 것을 나타낸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상 변형 구동을 나타낸 이미지.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principle of a shape memory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hape memory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us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graph measuring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us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graph measuring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used in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graph measuring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used in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graph measuring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cording to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used in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graph measuring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bent according to Example 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n image show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restored according to Example 6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image illustrating shape deformation driving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형상 기억 재료는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 SMA) 또는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 SMP)를 사용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여러 가지 금속 합금 가운데 전이 온도 이하에서 변형하여도 전이 온도 이상이 되면, 변형 이전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합금을 말한다. 전이온도는 물질의 상태가 전이할 때의 그 물질 고유의 일정한 온도를 말한다. 예를 들면, 형상 기억 합금은 변형된 형상을 기억하도록 형성되어, 편평한 형상를 유지하고 있다가 열이 가해져 일정 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휘어진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The shape memory material disclo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shape memory alloy (SMA) or a shape memory polymer (SMP). A shape memory alloy refers to an alloy that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when it becomes above the transition temperature even if it deforms below the transition temperature among various metal alloys. The transition temperature refers to the intrinsic constant temperature of a material when the state of the material is transitioned. For example, the shape memory alloy is formed to memorize a deformed shape, maintains a flat shape, and is configured to deform into a curved shape when heat is applied to reach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합금의 구동 원리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형상 기억 합금의 구동 원리를 살펴보면, 형상 기억 합금은 편평하거나 휘어진 형상을 기억하는 기억 상태(memory state)에서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조직을 가진다. 형상 기억 합금을 냉각시키면 무작위 상태(random state)의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조직으로 변형되고 다시 가열하면 원래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돌아가 원래 기억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즉, 변형이 발생한 후 열을 가할 경우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열탄성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한 형상 기억 효과를 가진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principle of a shape memory all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shape memory alloy has an austenite structure in a memory state that remembers a flat or curved shape. When the shape memory alloy is cooled, it is transformed into a martensite structure of a random state, and when heated again, it returns to the original austenite structure and returns to the shape of the original memory state. That is, when heat is applied after deformation occurs, it has a shape memory effect due to thermoelastic martensitic transformation that returns to an original shape.

한편, 형상 기억 고분자는 고정(단단한)상과 가역(부드러운)상과 같은 다양한 상들이 함께 존재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상은 열적으로 안정된 가교점과 같은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가교점'이란 재료의 최소한 어느 한 부분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는 크리스탈, 유리질 상 또는 엉켜있는 고분자 사슬이 될 수 있다. 반면 가역상은 형상기억고분자의 주된 부분이며 변형이나 회복에 있어서 탄성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일정 온도 이상에서 가역상은 '유체'의 형태가 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이는 반대로 말해,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가역상이 유리질 또는 크리스탈 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정 온도는 일반적으로 유발 온도(triggered temperature)라고 부르며 유리 전이온도(Tg) 또는 용융점(Tm)이 이에 해당한다. 유발 온도 이상에서 잡아당기는 것과 같이 형상기억고분자에 변형이 가해지게 되면 시편의 고분자 사슬은 정렬을 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구조적인 엔트로피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엔트로피적으로 불안정한 또는 선호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미세한 회복 성능을 제외하고 변형이 가해진 상태에서 유발 온도로 급격히 냉각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memory polymer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various phases such as a stationary (hard) phase and a reversible (soft) phase exist together, and the stationary phase acts as a thermally stable crosslinking point. In general, a 'crosslinking point' may be a crystal, a glassy phase, or an entangled polymer chain that prevents the free movement of at least one part of the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e reversible phase is a major part of shape memory polymers and plays an elastic role in deformation or recovery.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 reversible phase becomes a 'fluid' and has the property of being able to move freely. Conversely,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e reversible phase may form a glassy or crystalline structure. This constant temperature is generally called a triggered temperature and corresponds to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r a melting point (Tm). When a strain is applied to the shape memory polymer, such as pulling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induced temperature, the polymer chains of the specimen are aligned, which in turn leads to a decrease in structural entropy. This state can be referred to as an entropy unstable or unfavorable state. This alignment can be maintained by rapidly cooling to the induced temperature in the strained state, except for the fine recovery performance.

형상 기억 고분자의 형상 복원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전이온도(T trans)보다 높은 상태의 온도(Td)에 있어 탄성을 가진 고무 성질을 나타내는 형상기억고분자 재료에 특정 변형을 가하여 변화를 준다. 이때 고분자 사슬들은 변형에 맞추어 정렬을 이루게 된다. 변형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며 재료가 딱딱해질 수 있는 전이 온도 이하(Tf < Ttrans)로 냉각을 하게 되면, 고분자를 구성하는 사슬은 움직일 수 없게 되고 잠재적 변형 에너지의 형태로 변화되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전이온도에서 주어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약간의 일시적인 회복이 일어나게 된다. 형상 회복은 일반적으로 온도를 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어떠한 외부의 힘 없이도 일어나게 되는데 저장되어 있던 변형 에너지가 고분자 사슬이 다시 움직일 수 있게 됨으로써 방출 되게 된다. Looking at the shape restoration process of the shape memory polymer, first, a specific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shape memory polymer material, which exhibits elastic rubber properties at a temperature (Td) higher than the transition temperature (T trans), to give a change. At this time, the polymer chains are aligned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When a force capable of sustaining deformation is continuously applied and the material is cooled below the transition temperature (Tf < Ttrans) at which the material can be hardened, the chains constituting the polymer become immobile and change in the form of potential deformation energy and become fixed. remain in the state When the force given at the transition temperature is removed, a slight temporary recovery occurs. Shape recovery generally occurs without any external force by heating the temperature above the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stored strain energy is released by allowing the polymer chain to move again.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특성을 가진 형상 기억 재료를 포함하는 형상 기억 복합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형상 기억 복합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hape-memory composite including a shape-memory material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perties. A more detailed look at the shape memory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100)는 형상 기억층(110), 절연층(120), 면상 발열층(132)과 전극층(134)을 포함하는 열 공급층(130), 보호층(140) 및 열 확산층(150)을 포함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memory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shape memory composi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heat including a shape memory layer 110 , an insulating layer 120 , a planar heating layer 132 and an electrode layer 134 . It includes a layer 130 , a protective layer 140 , and a heat diffusion layer 150 .

보다 자세하게, 형상 기억층(110)은 형상 기억 복합체(100)의 코어(core)로 작용하며, 형상 기억 재료들로 이루어져 열에 의해 휘어지거나 펴지는 실질적인 변형 층이다. 형상 기억층(110)은 시트(sheet) 형상으로 이루어져 열 공급층(130)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형상이 휘어지거나 편평해진다. 형상 기억층(110)은 형상 기억 재료들로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이나 형상 기억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형상 기억 합금은 니켈계(Ni), 구리계(Cu), 철계(Fe)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을 조합한 Cu-Zn-Ni, Cu-Al-Ni, Ag-Ni, Au-Cd 등 수십 종류의 합금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 기억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테플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hape memory layer 110 serves as a core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100 and is a substantially deformable layer made of shape memory materials that is bent or stretched by heat. The shape memory layer 110 is formed in a sheet shape and is bent or flattened by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 supply layer 130 . The shape memory layer 110 is made of shape memory materials, for example, a shape memory alloy or a shape memory polymer. Shape memory alloys can be classified into nickel-based (Ni), copper-based (Cu), iron-based (Fe), and the like, and include metals such as zinc (Zn), aluminum (Al), gold (Au), and silver (Ag). The combined Cu-Zn-Ni, Cu-Al-Ni, Ag-Ni, Au-Cd, etc.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dozens of alloys. The shape memory polym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hylene propyl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itrile butadiene rubber, and Teflon.

형상 기억층(110) 상에 절연층(120)이 위치한다. 절연층(120)은 열 공급층(130)과 형상 기억층(110)을 절연시키는 것으로,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절연층은(12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이미드(poly imide, PI), 폴리에틸스틸렌(poly ether sulfone, PES) 등의 유기물과,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등의 무기물과, 실리카(silica), 저유전율 금속계의 재료가 유기물에 혼합된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20 is positioned on the shape memory layer 110 . The insulating layer 120 insulates the heat supply layer 130 and the shape memory layer 110 and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an inorganic material, or a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20 is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imide (poly imide, PI), polyethylstyrene (poly ether sulfone, PES)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n organic material,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silica, and a low-k metal-based material may be formed of a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mixed with an organic material.

절연층(120) 상에 열 공급층(130)이 위치한다. 열 공급층(130)은 절연층(120)에 인접한 면상 발열층(132)과, 면상 발열층(132) 상에 위치한 전극층(134)으로 구성된다. 면상 발열층(132)은 전극층(134)의 양 전극으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저항으로 작용하여 열이 발생하는 층으로, 도전재료로 이루어진다. 면상 발열층(132)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등의 도전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저항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재료라면 적용 가능하다. 전극층(134)은 면상 발열층(13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하는 양 전극과 음 전극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양 전극이 면상 발열층(132)의 일측에 라인(line) 형상으로 위치하면, 이와 마주보는 타측에 음 전극이 라인 형상으로 위치한다. 전극층(134)은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구리(Cu), 은(Ag), 금(Au)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금속들은 페이스트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 전극과 음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류가 흐르는 도체인 면상 발열층(132)은 자신의 저항에 따라 열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면상 발열층(132)에서 발생된 열은 절연층(120)을 통해 형상 기억층(110)에 전달되어 형상 기억층(110)의 형상이 변형된다.The heat supply layer 130 is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120 . The heat supply layer 130 includes a planar heating layer 132 adjacent to the insulating layer 120 and an electrode layer 134 positioned on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is a layer that generates heat by acting as a resistance by the current applied from both electrodes of the electrode layer 134,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carbon nano tube (CNT), graphene, or graphi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resistance heat by an applied current is applicable. The electrode layer 134 is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 For example, when the positive electrode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in a line shape, the negative electrode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facing it in a line shape. The electrode layer 134 is made of a metal such as copper (Cu), silver (Ag), or gold (Au)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ow resistance, and these metals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paste. Accordingly, a current flow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which is a conductor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generates heat according to its resistance.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in the planar heating layer 132 is transferred to the shape memory layer 110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120 to deform the shape of the shape memory layer 110 .

열 공급층(130) 상에 보호층(140)이 위치한다. 보호층(140)은 형상 기억 복합체(100)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스틸렌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A passivation layer 140 is positioned on the heat supply layer 130 . The protective layer 140 is to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100 , and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imide, or polyethylene styrene.

한편, 형상 기억층(110)의 하부에 열 확산층(150)이 위치한다. 열 확산층(150)은 형상 기억층(110)의 열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방열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 확산층(150)은 형상 기억층(110)의 열 전도가 잘 되도록 형상 기억층(110)의 하면 전체에 컨택되도록 위치하고, 열 전도도가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열 확산층(150)은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파이트, 알루미늄(Al), 구리(Cu), 텅스텐(W)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diffusion layer 150 is positioned under the shape memory layer 110 . The heat diffusion layer 150 serves to dissipate heat so that the heat of the shape memory layer 110 is easily discharged. Accordingly, the heat diffusion layer 150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hape memory layer 110 so that heat conduction of the shape memory layer 110 is good,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heat diffusion layer 150 may be made of carbon nanotubes (CNT), graphite, aluminum (Al), copper (Cu), tungsten (W), or the lik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상 기억 복합체(100)는 하부로부터 열 확산층(150), 형상 기억층(110), 절연층(120), 열 공급층(130) 및 보호층(140)으로 구성된다. 즉, 형상 기억 복합체(100)는 형상 기억층(110)을 코어로 하여 열 확산층(150), 절연층(120), 열 공급층(130) 및 보호층(140)이 다중 쉘(multi-shell)로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형상 기억 복합체(100)의 두께는 0.1mm 내지 1mm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형상 기억 복합체(100)의 두께가 0.1mm 이상이면 면저항이 증가하여 발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형상 기억 복합체(100)의 두께가 1mm 이하이면 표시장치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ape memory composi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diffusion layer 150 , a shape memory layer 110 , an insulating layer 120 , a heat supply layer 130 , and a protective layer 140 from the bottom. do. That is, the shape memory composite 100 has the shape memory layer 110 as a core and the heat diffusion layer 150 , the insulating layer 120 , the heat supply layer 130 , and the protective layer 140 are multi-shell ) as a wrapper structur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100 is made of 0.1 mm to 1 mm. Here, when the thickness of the shape-memory composite 100 is 0.1 mm or more, the sheet resistance is increased to improve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shape-memory composite 100 is 1 mm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이하, 본 발명의 형상 기억 복합체의 형상 기억층에 관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shape memory layer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직경 0.5mm 및 길이 100mm의 사이즈의 니티놀(NiTi)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로 준비하였다.(도 3a)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도 3b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온도 측정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였고, 니티놀의 저항은 1.2Ω이었다. Nitinol (NiTi) having a size of 0.5 mm in diameter and 100 mm in length was prepared as a shape memory alloy wire. (FIG. 3a) By measuring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n the graph of Table 1 and FIG. 3B indicated. Here,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nd the resistance of nitinol was 1.2 Ω.

시간(초)
time (seconds)
전압(V)Voltage (V)
44 55 66 77 88 99 1010 55 2323 2323 23.523.5 2424 26.526.5 2929 3333 1010 2323 23.223.2 23.923.9 24.524.5 2727 3131 36.336.3 1515 2323 23.423.4 24.224.2 25.625.6 27.627.6 32.232.2 3838 2020 2323 23.423.4 24.524.5 27.127.1 28.628.6 33.233.2 38.538.5 3030 2323 23.523.5 25.525.5 2828 29.829.8 34.234.2 39.339.3

표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직경 0.5mm 및 길이 100mm의 사이즈의 니티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는 4 내지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3 내지 39.3도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1 and FIG. 3B , the nitinol shape memory alloy wire having a diameter of 0.5 mm and a length of 100 mm exhibited an exothermic temperature of 23 to 39.3 degrees when a voltage of 4 to 10V was applied.

<실시예 2><Example 2>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직경 1mm 및 길이 100mm의 사이즈의 니티놀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도 4a)를 준비한 것만 달리하였다.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 및 도 4b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때, 니티놀의 저항은 0.9Ω이었다.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only the shape memory alloy wire (FIG. 4a) was prepared using nitinol having a diameter of 1 mm and a length of 100 mm. The hea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and the graph of FIG. 4B. At this time, the resistance of nitinol was 0.9Ω.

시간(초)
time (seconds)
전압(V)Voltage (V)
44 55 66 77 88 99 1010 55 2323 2323 2323 23.323.3 2424 28.128.1 3131 1010 2323 23.223.2 23.223.2 23.823.8 24.324.3 29.829.8 33.933.9 1515 2323 23.423.4 23.423.4 24.124.1 24.924.9 30.530.5 3535 2020 2323 23.423.4 23.423.4 24.324.3 25.125.1 31.231.2 35.635.6 3030 2323 23.523.5 23.523.5 24.324.3 25.525.5 3232 35.535.5

표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직경 1mm 및 길이 100mm의 사이즈의 니티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는 4 내지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3 내지 35.6도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2 and FIG. 4B , the nitinol shape memory alloy wire having a diameter of 1 mm and a length of 100 mm exhibited an exothermic temperature of 23 to 35.6 degrees when a voltage of 4 to 10V was applied.

<실시예 3><Example 3>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직경 3mm 및 길이 100mm의 사이즈의 니티놀을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도 5a)를 준비한 것만 달리하였다.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 및 도 5b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때, 니티놀의 저항은 0.07Ω이었다.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only the shape memory alloy wire (FIG. 5a) was prepared using nitinol having a diameter of 3 mm and a length of 100 mm. The hea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3 and the graph of FIG. 5B. At this time, the resistance of nitinol was 0.07Ω.

시간(초)
time (seconds)
전압(V)Voltage (V)
44 55 66 77 88 99 1010 55 2323 2323 2323 2323 2323 2323 2323 1010 2323 23.123.1 23.223.2 23.223.2 23.223.2 23.223.2 23.223.2 1515 2323 23.123.1 23.423.4 23.423.4 23.423.4 23.423.4 23.423.4 2020 2323 23.223.2 23.423.4 23.423.4 23.423.4 23.423.4 23.423.4 3030 2323 23.323.3 23.523.5 23.523.5 23.523.5 23.523.5 23.523.5

표 3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직경 3mm 및 길이 100mm의 사이즈의 니티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는 4 내지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3 내지 23.5도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3 and FIG. 5B , the nitinol shape memory alloy wire having a diameter of 3 mm and a length of 100 mm exhibited an exothermic temperature of 23 to 23.5 degrees when a voltage of 4 to 10V was applied.

<실시예 4><Example 4>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폭 10mm, 길이 100mm 및 두께 0.5mm의 사이즈의 니티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도 6a)를 준비한 것만 달리하였다.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 및 도 6b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때, 니티놀의 저항은 0.07Ω이었다.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only a nitinol shape memory alloy wire ( FIG. 6A ) having a size of 10 mm in width, 100 mm in length and 0.5 mm in thickness was prepared. The hea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4 and the graph of FIG. 6B. At this time, the resistance of nitinol was 0.07Ω.

시간(초)
time (seconds)
전압(V)Voltage (V)
44 55 66 77 88 99 1010 55 2323 2323 2323 2323 2323 2323 2323 1010 2323 23.123.1 23.223.2 23.223.2 23.223.2 23.223.2 23.223.2 1515 2323 23.123.1 23.423.4 23.423.4 23.423.4 23.423.4 23.423.4 2020 2323 23.223.2 23.423.4 23.423.4 23.423.4 23.423.4 23.423.4 3030 2323 23.323.3 23.523.5 23.523.5 23.523.5 23.523.5 23.523.5

표 4 및 도 6b를 참조하면, 폭 10mm, 길이 100mm 및 두께 0.5mm의 사이즈의 니티놀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는 4 내지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3 내지 23.5도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4 and Figure 6b, the nitinol shape memory alloy wire having a size of 10mm in width, 100mm in length, and 0.5mm in thickness exhibited an exothermic temperature of 23 to 23.5 degrees when a voltage of 4 to 10V was applied.

<실시예 5><Example 5>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 폭 10mm, 길이 100mm 및 두께 0.5mm의 사이즈의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도 7a)를 준비한 것만 달리하였다.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에 인가한 전압에 따른 발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5 및 도 7b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이때, 형상 기억 복합체의 저항은 20Ω이었다.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only a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 FIG. 7A ) having a size of 10 mm in width, 100 mm in length and 0.5 mm in thickness was prepared. The exothermic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5 and the graph of FIG. 7B . At this time, the resistance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was 20Ω.

시간(초)
time (seconds)
전압(V)Voltage (V)
44 55 66 77 88 55 2828 28.328.3 31.631.6 32.732.7 35.835.8 1010 29.829.8 30.230.2 33.433.4 36.536.5 3939 2020 31.131.1 33.133.1 34.334.3 39.439.4 42.642.6 3030 31.931.9 3535 38.638.6 41.341.3 48.548.5 4040 33.533.5 37.637.6 41.641.6 42.742.7 5555 5050 3535 38.838.8 4444 5151 6565 6060 35.835.8 39.539.5 46.946.9 54.354.3 70.970.9

표 5 및 도 7b를 참조하면, 폭 10mm, 길이 100mm 및 두께 0.5mm의 사이즈의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는 4 내지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28 내지 70.9도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5 and FIG. 7B ,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having a size of 10 mm in width, 100 mm in length, and 0.5 mm in thickness exhibited an exothermic temperature of 28 to 70.9 degrees when a voltage of 4 to 10V was applied.

<실시예 6><Example 6>

전술한 실시예 5에서 개시한 폭 10mm, 길이 100mm 및 두께 0.5mm의 사이즈의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를 준비하였다.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가 전압 인가 전에 곡률 100R로 휘어뜨렸다. 그리고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인가된 전압에 따라 도 8b처럼 편평하게 복원되는 소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샘플 #1은 형상 기억층의 가열변형온도가 70도이고, 샘플 #2는 형상 기억층의 가열변형온도가 50도이다.A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having a size of 10 mm in width, 100 mm in length, and 0.5 mm in thickness described in Example 5 was prepared. As shown in FIG. 8A ,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was bent to a curvature of 100R before voltage application. Then, a voltage was applied to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and the time required for flat restoration as shown in FIG. 8B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6 below. In Sample #1, the shape memory layer had a heat deformation temperature of 70 degrees, and in Sample #2, the shape memory layer had a heat deformation temperature of 50 degrees.

전압(V)/샘플Voltage (V)/Sample #1#One #2#2 44 -- -- 55 -- -- 66 120초120 seconds 60초60 seconds 77 65초65 seconds 45초45 seconds 88 60초60 seconds 40초40 seconds

표 6을 참조하면, 샘플 #1의 형상 기억 복합체는 6V에서 완전 복원되는데 소요 시간이 120초가 소요되었으나, 8V에서 60초가 소요되었다. 또한, 샘플 #2의 형상 기억 복합체는 6V에서 완전 복원되는데 소요 시간이 60초가 소요되었으나, 8V에서 40초가 소요되었다.Referring to Table 6, the shape memory complex of Sample #1 took 120 seconds to fully recover at 6V, but took 60 seconds at 8V. In addition, the shape memory complex of Sample #2 took 60 seconds to fully recover at 6V, but took 40 seconds at 8V.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를 통해, 본 발명의 형상 기억 복합체 시트는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전압인 4 내지 8V의 범위에서 약 70도의 발열 온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시예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형상 기억 복합체는 길게는 120초 짧게는 40초의 완전 복원 시간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형상 기억 복합체가 모바일에 적용 가능함을 증명하였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Examples 1 to 5,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heating temperature of about 70 degrees in the range of 4 to 8 V, which is a voltage applicable to a mobile device. Therefore, as shown in Example 6, the shape memory composite showed a complete recovery time of as long as 120 seconds and as short as 40 seconds, proving that the shape memory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mobile.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를 구비한 가변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상 변형 구동을 나타낸 사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FIG. 12 is a photograph showing shape deformation driving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 상에 유기전계발광소자 패널(220)이 위치하고 유기전계발광소자 패널(220) 상에 커버(230)가 구비된다. 메인 프레임(210)의 하부 일측에는 와셔(washer)(240)가 위치하여 형상 기억 복합체(250)의 열이 메인 프레임(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셔(240)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상 기억 복합체(250)가 배치된다. 형상 기억 복합체(250)는 열을 가해야 휘어지고 냉각하면 편평해지는 것과, 반대로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고 냉각하면 휘어지는 2 종의 형상 기억 복합체(250)를 구비한다. 형상 기억 복합체(250)에 인접해 스토퍼(stopper)(260)가 위치하여, 표시장치의 휘어진 상태나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 프레임(210)의 하부에 후면 커버(280)가 구비되어, 커버(230), 메인 프레임(210) 및 후면 커버(280)의 결합으로 가변형 표시장치(200)가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9 ,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220 is positioned on a main frame 210 and a cover is provid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220 . 230 is provided. A washer 240 is positioned at on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210 to prevent heat from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main frame 210 . At least on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washer 240 .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ncludes two types of shape memory composites 250 that bend when heat is applied and become flat when cooled, and become flat when heat is applied and bend when cooled. A stopper 26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to maintain a curved or flat state of the display device. A rear cover 280 is provided under the main frame 210 , and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cover 230 , the main frame 210 , and the rear cover 280 .

이와 같은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열을 가하면 휘어지는 형상 기억 복합체(250)를 구동하여 표시장치를 휘어지게 한다. 표시장치가 휘어지면 스토퍼(260)끼리 맞물려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형상 기억 복합체(250)를 구동하지 않아도 표시장치는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표시장치를 다시 편평하게 펼칠 경우에는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는 형상 기억 복합체(250)를 구동하면 맞물린 스토퍼(260)를 풀리게 되어 표시장치가 편평해지게 된다.Such a variable display device 200 drives the shape-memory composite 250, which is bent when heat is applied, to cause the display device to be bent. When the display device is bent, the stoppers 26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bent stat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maintains a curved state even if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s not driven. Converse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flattened again, when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that is flattened when heat is applied is driven, the interlocked stopper 260 is releas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becomes flat.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의 후면에 형상 기억 복합체(250)가 구비되고, 스토퍼(260)에 의해 표시장치를 고정함으로써, 형상 기억 복합체(250)에 의해 표시장치가 휘어지거나 편평해지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emory complex 25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210 , and the display device is fixed by a stopper 260 , so that the shape memory A vari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curved or flat can be implemented by the composite 250 .

한편,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 상에 커버(230)와 유기전계발광소자 패널(미도시)이 위치하고, 메인 프레임(210)의 후면에 형상 기억 복합체(250)와 고정부(300)가 구비된다. 커버(230)와 메인 프레임(210)은 후면 커버(270)와 결합되어 표시장치를 구성한다. 형상 기억 복합체(250)는 열을 가하면 휘어지는 제1 형상 기억 복합체(252)와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는 제2 형상 기억 복합체(254)를 포함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가변형 표시장치(200)에 구비된 고정부(300)는 지지부(310)에 고정된 스프링(320)과 스프링(320)의 끝에 구비된 볼(330)(ball)을 구비한다. 지지부(310)는 표시장치의 휨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지지부(310)의 이동에 따라 지지부(310)에 고정된 스프링(320)과 볼(330)이 함께 이동된다. Referring to FIG. 10A ,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23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not shown) are positioned on a main frame 210 , and a main frame 210 is provided. ),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and the fixing part 300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 cover 230 and the main frame 210 are coupled to the rear cover 270 to constitute a display device.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ncludes a first shape memory composite 252 that is bent when heat is applied and a second shape memory composite 254 that becomes flat when heat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0B , the fixing unit 300 provided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pring 320 fixed to the support unit 310 and a ball 330 provided at the end of the spring 320 ( ball) is provided. The support part 31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display device. As the support 310 moves, the spring 320 and the ball 330 fixed to the support 310 move together.

이와 같은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열을 가하면 휘어지는 제1 형상 기억 복합체(252)를 구동하여 표시장치를 휘어지게 한다. 표시장치가 휘어지면 휘어지는 힘에 의해 고정부(300)가 제1 홈(340)에서 제2 홈(350)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보다 자세하게, 스프링(320)이 줄어들면서 지지대(310)가 제1 홈(340)에서 제2 홈(350)으로 이동된다. 이때, 볼(320)이 제1 홀(340)에서 탈착되어 제2 홀(350)으로 이동되고, 볼(320)이 제2 홀(350)에 도달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부(300)가 제2 홈(350)에 결합되면 형상 기억 복합체(250)를 구동하지 않아도 표시장치는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표시장치를 다시 편평하게 펼칠 경우에는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는 제2 형상 기억 복합체(254)를 구동하면, 고정부(300)가 다시 제1 홈(340)으로 이동되어 결합됨으로써, 편평한 표시장치를 유지하게 된다.Such a variable display device 200 drives the first shape memory composite 252, which is bent when heat is applied, to cause the display device to be bent. When the display device is bent, the fixing part 300 is moved from the first groove 340 to the second groove 350 by the bending force and is fixed. In more detail, as the spring 320 is reduced, the support 310 is moved from the first groove 340 to the second groove 350 . At this time, the ball 320 is detached from the first hole 340 and moved to the second hole 350 , and the ball 320 reaches the second hole 350 and is coupled thereto. Accordingly, when the fix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second groove 350 , the display device maintains a curved state even if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s not driven. Converse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flattened again, if the second shape memory composite 254 that becomes flat when heat is applied is driven, the fixing part 300 is moved back to the first groove 340 to be coupled to the flat display device. will keep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의 후면에 형상 기억 복합체(250)가 구비되고, 볼 타입의 고정부(300)에 의해 표시장치를 고정함으로써, 형상 기억 복합체(250)에 의해 표시장치가 휘어지거나 편평해지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emory complex 25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210 , and the display device is fixed by the ball-type fixing unit 300 . By doing so, a vari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curved or flat by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may be implemented.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with reference to FIG. 11 ,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 상에 커버(230)와 유기전계발광소자 패널(미도시)이 위치하고, 메인 프레임(210)의 후면에 형상 기억 복합체(250)가 구비된다. 형상 기억 복합체(250)는 열을 가하면 휘어지는 제1 형상 기억 복합체(252)와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는 제2 형상 기억 복합체(254)를 포함한다. 커버(230)와 메인 프레임(210)은 후면 커버(270)와 결합되어 표시장치를 구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메인 프레임(210)의 상측부에 조정핀(400), 슬라이드 플레이트(410) 및 조정캠(420)이 구비되어 표시장치의 휘어지거나 편평한 형상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23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not shown) are positioned on a main frame 210 , and a main frame 210 is provided. ), the shape memory complex 25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ncludes a first shape memory composite 252 that is bent when heat is applied and a second shape memory composite 254 that becomes flat when heat is applied. The cover 230 and the main frame 210 are coupled to the rear cover 270 to configure the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pin 400 , the slide plate 410 , and the adjustment cam 42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210 to maintain the curved or flat shape of the display device.

보다 자세하게, 제3 실시예의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의 상측에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위치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는 표시장치의 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거나 상측으로 이동되어 표시장치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상측의 양 모서리에는 조정핀(400)이 위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측으로 이동될 때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양 측에는 조정캠(420)이 위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핀(400)과 조정캠(420)에는 각각 스프링(405, 425)이 구비되어 조정핀(400)과 조정캠(420)을 지지한다.In more detail,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20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slide plate 410 is positioned above the main frame 210 . The slide plate 410 is moved downward or upward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display devic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Adjusting pins 400 are positioned at both edges of the upper side of the slide plate 410 to control the moving speed when the slide plate 410 moves downward or moves upward. Adjustment cams 42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plate 410 to fix the slide plate 410 . The adjustment pin 400 and the adjustment cam 42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springs 405 and 425 to support the adjustment pin 400 and the adjustment cam 420 .

이와 같은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열을 가하면 휘어지는 제1 형상 기억 복합체(252)를 구동하여 표시장치를 휘어지게 한다. 표시장치가 휘어지면 휘어지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보다 자세하게, 표시장치가 휘어지면, 휘어지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하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조정핀(400)의 스프링(405)이 늘어나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를 밀어낸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조정캠(420)의 스프링(425)이 줄어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고정이 풀리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이동된다. 표시장치의 휨이 최대로 되었을 때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하측으로 이동이 완전히 끝나면 조정캠(420)의 스프링(425)이 늘어나면서 조정캠(420)이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형상 기억 복합체(250)를 구동하지 않아도 표시장치는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표시장치를 다시 편평하게 펼칠 경우에는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는 제2 형상 기억 복합체(254)를 구동하면, 조정캠(420)의 스프링(425)이 줄어들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조정핀(400)의 스프링(405)이 서서히 줄어들면서 표시장치의 형상 변형을 서서히 일어나게 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이동이 완전히 끝나면, 조정캠(420)의 스프링(425)이 늘어나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를 고정시킴으로써, 편평한 표시장치를 유지하게 된다.Such a variable display device 200 drives the first shape memory composite 252, which is bent when heat is applied, to cause the display device to be bent. When the display device is bent, the slide plate 410 is moved downward by the bending force. In more detail, when the display device is bent, the slide plate 410 is moved downward by the bending force and the spring 405 of the adjustment pin 400 is stretched to push the slide plate 410 . When the slide plate 410 starts to move, the spring 425 of the adjustment cam 420 is reduced and the slide plate 410 is unfixed and the slide plate 410 is moved. When the bending of the display device is maximized, that is, when the slide plate 410 is completely moved downward, the spring 425 of the adjustment cam 420 is extended and the adjustment cam 420 fixes the slide plate 410 . .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maintains a curved state even if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s not driven. Converse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flattened again, if the second shape memory complex 254, which becomes flat when heat is applied, is driven, the spring 425 of the adjustment cam 420 is reduced, and the fixing of the slide plate 410 is released. do. Accordingly, the slide plate 410 is moved upward. At this time, as the spring 405 of the adjustment pin 400 is gradually reduced,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is gradually deformed. When the movement of the slide plate 410 is completely finished, the spring 425 of the adjustment cam 420 is extended to fix the slide plate 410, thereby maintaining a flat display device.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200)는 메인 프레임(210)의 후면에 형상 기억 복합체(250)가 구비되고, 슬라이드 타입으로 표시장치를 고정함으로써, 형상 기억 복합체(250)에 의해 표시장치가 휘어지거나 편평해지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variabl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210 , and the display device is fixed in a slide type, so that the shape memory composite 250 is provided. ), it is possible to realize a varia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curved or fla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는 형상 기억 복합체의 구동력과 반응성을 개선하여 가변형 표시장치의 가변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상 기억 복합체를 구비한 가변형 표시장치에 다양한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형상 기억 복합체의 구동 없이도 휘어지거나 편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memory composite and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variable driving tim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by improving the driving force and reactivity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curved or flat shape can be maintained without driv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by providing various fixing members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other specific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may be practic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형상 기억 복합체 110 : 형상 기억층
120 : 절연층 130 : 열 공급층
140 : 보호층 150 : 열 확산층
100: shape memory complex 110: shape memory layer
120: insulating layer 130: heat supply layer
140: protective layer 150: heat diffusion layer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는 커버;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 기억 복합체;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표시패널, 메인 프레임 및 형상 기억 복합체를 수납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는,
열을 가하면 휘어지고 냉각하면 편평해지는 제1 형상 기억 복합체; 및
열을 가하면 편평해지고 냉각하면 휘어지는 제2 형상 기억 복합체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형상 기억 복합체의 각각은,
형상 기억층, 상기 형상 기억층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열 공급층, 상기 열 공급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층, 및 상기 형상 기억층 하부에 위치하는 열 확산층을 포함하며,
상기 형상 기억층을 코어로 하여 상기 열 확산층, 상기 절연층, 상기 열 공급층 및 상기 보호층이 다중 쉘로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main frame;
a display panel positioned on the main frame;
a cover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t least one shape memory complex positioned under the main frame;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cover to accommodate the display panel, the main frame, and the shape memory composite,
The shape memory complex,
a first shape memory composite that is bent when heated and flattened when cooled; and
a second shape memory composite that flattens when heated and bends when coole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hape memory complexes,
a shape memory layer, an insulating layer positioned on the shape memory layer, a heat supply layer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layer, a protective layer positioned on the heat supply layer, and a heat diffusion layer positioned below the shape memory layer and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 diffusion layer, the insulating layer, the heat supply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surrounded as a multi-shell with the shape memory layer as a cor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와셔; 및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서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의 열이 메인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가 휘어지거나 펴지는 힘에 의해 서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washer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shape memory composite under the main frame,
The washer prevents the heat of the shape memory composit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main frame,
The stopper is fixed to each other by a force that bends or unfolds the shape memory composite,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구비된 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가 휘어지거나 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볼이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art,
The fixing part includes a support part, a spring fixed to the support part, and a ball provided at an end of the spring,
The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i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by moving and fixing the ball by the force of bending or unfold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측 양 모서리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조정핀,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조정캠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가 휘어지거나 펴지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변형 표시장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lide plate located under the main frame,
The slide plate includes an adjustment pin positioned at both upper corners to adjust a moving speed when the slide plate moves upward or downward, and an adjustment cam for fixing the slide plate,
The slide plate i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by moving and fixing the shape memory composite by a bending or unfolding for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층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ape memory layer is a vari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heet shap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층은 면상 발열층 및 상기 면상 발열층의 양 측에 위치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t supply layer includes a planar heating layer and electrode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lanar heating lay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복합체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ape memory composite has a thickness of 0.1 mm to 1 mm.
제5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층은 니켈계(Ni), 구리계(Cu), 철계(Fe), 아연(Zn), 알루미늄(Al), 금(Au), 은(Ag) 등의 금속을 조합한 Cu-Zn-Ni, Cu-Al-Ni, Ag-Ni, Au-Cd의 합금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테플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가변형 표시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1,
The shape memory layer is Cu-Zn in which metals such as nickel-based (Ni), copper-based (Cu), iron-based (Fe), zinc (Zn), aluminum (Al), gold (Au), and silver (Ag) are combined. -Ni, Cu-Al-Ni, Ag-Ni,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alloy system of Au-Cd, or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hylene propylene rubber, chloroprene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itrile Vari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utadiene rubber and Teflon
KR1020140081279A 2014-06-30 2014-06-30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Active KR102338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79A KR102338062B1 (en) 2014-06-30 2014-06-30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79A KR102338062B1 (en) 2014-06-30 2014-06-30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56A KR20160002556A (en) 2016-01-08
KR102338062B1 true KR102338062B1 (en) 2021-12-13

Family

ID=5517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279A Active KR102338062B1 (en) 2014-06-30 2014-06-30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0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6835A1 (en) * 2016-03-30 2019-02-21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KR101815450B1 (en) * 2016-12-19 2018-01-08 황창순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hape of display device
CN108242424B (en) 2016-12-26 2019-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panel, flexible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600961B1 (en) 2018-10-22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844A (en) * 1992-07-01 1994-06-21 Meitec Corp Shape memory actuator
KR101433120B1 (en) * 2010-08-20 2014-08-22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덴샤 Shock-driven actuator
KR101978206B1 (en) * 2012-06-29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970306B1 (en) * 2012-10-26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56A (en)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Caterpillar-inspired soft crawling robot with distributed programmable thermal actuation
US10514724B2 (en) Foldable display neutral axis management with thin, high modulus layers
KR102338062B1 (en) Shape memory composite and variable display device
Choi et al. Stretchable, transparent, and stretch-unresponsive capacitive touch sensor array with selectively patterned silver nanowires/reduced graphene oxide electrodes
CN110728907B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buffer member in bending area
US1124458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hape of the same
US10366583B2 (en) Bistable haptic feedback generator
US9662197B2 (en) Artificial muscle
Lee et al. Advancements in 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for stretchable displays
Oh et al. 3D shape‐morphing display enabled by electrothermally responsive, stiffness‐tunable liquid metal platform with stretchable electroluminescent device
EP2811365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15191011A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17205005A (en) Triboelectric generator
US20130265631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TW201322833A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JP6499235B2 (en) Contact-sensitive element including electroactive film,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active film
KR10203400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187742A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terminal
KR102093626B1 (en) Display device
CN108135437A (en) Variable hardness actuator
Roh et al. Liquid metal covered with thermoplastic conductive composites for high electrical stability and negligible electromechanical coupling at large strains
KR102272048B1 (en) Exothermic sheet and Shape memory composite including the same
WO2020077524A1 (en) Display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KR101738069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hape memory alloy
van Hazendonk et al. Hot Fingers: Individually Addressable Graphene-Heater Actuated Liquid Crystal Grip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