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178B1 -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 Google Patents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2178B1 KR102332178B1 KR1020190139512A KR20190139512A KR102332178B1 KR 102332178 B1 KR102332178 B1 KR 102332178B1 KR 1020190139512 A KR1020190139512 A KR 1020190139512A KR 20190139512 A KR20190139512 A KR 20190139512A KR 102332178 B1 KR102332178 B1 KR 102332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unit
- key buttons
- key
- key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9개의 키버튼을 사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누름키패드부; 상기 누름키패드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한글에 대응되는 점자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버튼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키버튼마다 할당된 소리를 출력해주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a keypad unit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using nine key buttons; a display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ress keypad unit to display Braill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Hangul; It provides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assigned to each key button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수단인 키보드와 그에 대한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특히,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as a text input means and a display device as an output means for the keyboard, particularly to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한글 등의 문자를 입력하는 대표적인 장치로서 키보드가 있다. 다만, 일반적 형태의 키보드는 108 key로 구성되며,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1) 문자입력키, 2) 컴퓨터의 특수 기능을 단축 실행시키는 기능키, 3) 커서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방향키 등 복잡하고 많은 키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노약자 뿐만 아니라 장애인은 기존 키보드의 조작에 중압감을 느끼게 되고, 오조작에 대한 두려움을 갖을 수 있다.A typical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such as Hangul is a keyboard. However, the general type of keyboard is composed of 108 keys, and it is complicated and complicated such as 1) character input key, 2) function key for shortcut execution of special computer function, 3) direction key to move the cursor position up, down, left and right. Contains many keys. As a result,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the disabled may feel pressure to operate the existing keyboard, and may have a fear of erroneous operation.
이에 대한 인식으로, 최근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다수의 전용 키보드가 출시되어 있지만, 그 형태를 보면 여전히 종래 키보드와 유사한 부분이 많다. 그 결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 주변 움직임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인을 포함해 신체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게 키보드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한다.In recognition of this, although a number of dedicated keyboards developed for the disabled have been released recently, there are still many similarities to the conventional keyboard in terms of its shape. As a result, in order to input a character, movement around the user's hand is required. This limits the use of the keyboard to us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cluding the disabled.
또한, 종래 스마트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천지인, 쿼티 등 별도의 키보드 앱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런 키보드 앱에서 사용되는 16 key로 구성되는 키보드 역시 장애인이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xt input method using a smart phone was made through a separate keyboard app, such as Cheonjiin and QWERTY. However, the keyboard composed of 16 keys used in such a keyboard app was still inconvenient for the disabled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각 장애인, 키보드가 잘 보이지 않는 노인,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 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 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rtcut keyboard system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the elderly who cannot see the keyboar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또한, 키버튼의 수를 최소화하여 타이핑을 위한 움직임의 범위를 축소하고, 동시에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별도의 전용 키보드 장치 이외에도 개개인이 소지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축 키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입력되는 문자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제3자 등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buttons, the range of movement for typing is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In addition to a separate dedicated keyboard devic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hortcut keyboard using a smart device possessed by an individual. In addition, input characters are visually output so that a third party can recognize th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9개의 키버튼을 사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키는 누름키패드부; 상기 누름키패드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한글에 대응되는 점자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버튼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키버튼마다 할당된 소리를 출력해주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ress keypad unit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by using nine key buttons; a display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ress keypad unit to display Braill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Hangul; It provides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assigned to each key button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상기 키버튼은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되고, 상기 키버튼 중 1) 2행 전체와 2열 전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십자(+) 위치에는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5개의 문자키버튼이 배치되며, 2) 나머지 위치에는 상기 문자키버튼에 의해 형성된 문자를 처리하는 4개의 기능키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The key buttons are arranged in a square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and 1) of the key buttons 5 character key buttons forming consonants and vowels are located at the cross (+) position formed by crossing the entire 2nd row and 2nd column. 2) Four function key buttons for processing the characters formed by the character key buttons may be disposed at the remaining positions.
자음은 1행2열, 2행1열, 2행3열 및 3행2열에 배치되는 문자키버튼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되고, 모음은 모든 문자키버튼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onant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pressing order of the letter key buttons arranged in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며, 9개의 터치식키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름키패드부와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한글을 형성하는 터치키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in software on the user's smart device, consists of nine touch-type key buttons,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a touch keypad unit that forms Hangul selectively or in parallel with the press keypad unit; further includes can do.
상기 터치키패드부는 상기 터치식키버튼이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되며, 상기 터치식키버튼 중 1) 2행과 2열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십자(+) 위치에는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5개의 터치식문자키버튼이 배치되고, 2) 나머지 위치에는 상기 터치식문자키버튼에 의해 형성된 문자를 처리하는 4개의 터치식기능키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touch keypad unit, the touch-type key buttons are arranged in a square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and 1) of the touch-type key buttons are formed by crossing the 2nd row and the 2nd column at a cross (+) position, which forms a consonant and a vowel. A touch-type character key button is disposed, and 2) four touch-type function key buttons for processing characters formed by the touch-type character key button may be disposed in the remaining positions.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누름키패드부 및 상기 터치키패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단계; 미리 설정된 조합으로 상기 키버튼 또는 상기 터치식키버튼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눌러 사용자가 의도한 자음 또는 모음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누름과 미세한 시차를 두고, 상기 키버튼 또는 상기 터치식키버튼에 대응하는 고유한 소리를 출력하는 제3단계; 및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점자 또는 한글로 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using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ress keypad unit and the touch keypad unit; a second step of forming a consonant or vowel intended by the user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key button or the touch-type key button in a preset combination in a preset order;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unique sound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r the touch-type key button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from the pressing in the second step; and a fourth step of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consonants or vowels in Braille or Korean using a display unit; provides a method of using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including.
상기 제1단계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터치키패드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9개의 터치식키버튼을 식별하는 부착형식별부를 액정 위에 부착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누름키패드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누름키패드부의 전원 스위치를 On으로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무선 연결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ep is to convert any one of the selected state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nput enabled state, when the touch keypad unit is selected, after execut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attaching to identify nine touch-type key buttons Step 1-1 attaching each type part on the liquid crystal; and when the press keypad unit is selected,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changing the power switch of the press keypad unit to On and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display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exhibiting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 키보드가 잘 보이지 않는 노인,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 등이 편리하게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단축 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cut keyboard system in which the visually impaired, the elderly who cannot see the keyboar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can conveniently use the keyboard.
또한, 별도의 전용 키보드 장치 이외에도 개개인이 소지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축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문자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제3자 등이 인식할 수 있다.Also, in addition to a separate dedicated keyboard device, a shortcut keyboard may be provided using a smart device possessed by an individual. In addition, input characters may be visually output to be recognized by a third party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누름키패드부에 대한 자판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자판 배열을 2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에 대한 흐름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keyboard arrangement for the push keypad unit of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keyboard arrangement of FIG. 2 divided into two groups;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forming consonants and vowels using the keyboard arrangement of FIG. 2;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using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related known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누름키패드부에 대한 자판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자판 배열을 2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keyboard arrangement of the press keypad unit of FIG. 1, and FIG. 3 is the keyboard arrangement of FIG. It is a diagram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IGS.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forming consonants and vowels using the keyboard arrangement of FIG.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은 누름키패드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사운드출력부(300), 터치키패드부(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의 형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독립적인 개별 장치일 수 있다. 단축 키보드 시스템은 특히, 신체적 장애로 인해 종래 키보드를 통한 타이핑(typing)에 불편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다.The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누름키패드부(100)는 9개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킬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키패드부(100)는 종래 키보드와 달리 키버튼의 수를 대폭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키버튼이 배열되는 물리적 면적 또한 축소시켰다. 그 결과, 타이핑을 위한 손목, 손가락 등의 움직임 역시 최소화되었다. 동시에 한 손만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한 타이핑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9개의 키버튼은 평면적 배치 형태인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9개의 키버튼에 대한 배열은 3차원 공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누름키패드부(100)는 키버튼이 안착되어 배열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몸체부, 몸체부의 어느 일 측에 형성되어 누름키패드부(100)의 전원 상태를 On/Off로 변경시키는 전원 스위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9개의 키버튼은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을 갖는 경우, 문자키버튼(120)과 기능키버튼(140)으로 구별되는 2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문자키버튼(120)은 5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문자키버튼(120)은 2행 전체와 2열 전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십자(+) 위치에 배치된다. 즉, 5개의 문자키버튼(120)은 서로 인접하는 십자(+)자 위치에 집합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문자키버튼(120)을 누르는 주된 손가락으로 중지를 사용하고, 보조적으로 검지와 약지를 사용하여 보다 원활하게 타이핑할 수 있다.When the nine key buttons have a three-row, three-column rectangular keyboard, the nine key buttons may be composed of two groups divided into a
기능키버튼(140)은 4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되며, 문자키버튼(120)에 의해 형성된 문자를 처리한다. 기능키버튼(140)은 문자키버튼(120)의 배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즉, 기능키버튼(140)은 정사각 자판 내의 각 코너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키패드부(100)는 주로 한글을 입력하는 용도를 갖는다. 한글은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의 형태로 구성된다. 자음은 쌍자음을 포함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키패드부(100)에서 자음은 정사각 자판에서 1행2열, 2행1열, 2행3열 및 3행2열에 배치되는 문자키버튼(120)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되고, 모음은 정사각 자판에서 모든 문자키버튼(120)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된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키버튼(120)의 상면에는 1 내지 5의 숫자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능키버튼(140)의 상면에는 예를 들어, &, $, *, # 등의 특수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키버튼의 상면에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시각 장애인이 키버튼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자키버튼(120)에 표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자음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ㄱ=15, ㄴ=43, ㄷ=143, ㄹ=1543, ㅁ=4153, ㅂ=4513, ㅅ=145, ㅇ=1435, ㅈ=453, ㅊ=14533, ㅋ=154, ㅌ=1453, ㅍ=1443, ㅎ=11453 처럼, 2행2열의 키버튼을 제외한 각 문자키버튼(120)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ㄱ' 문자는 숫자 1이 표시된 버튼을 누른 후, 바로 숫자 5가 표시된 버튼을 눌러 형성한다. 자음의 경우, 각 자음의 모양, 각 자음의 획을 쓰는 순서 등을 고려한다. 다만, 자음을 형성함에 있어, 정중앙에 배치되는 2행2열의 키버튼이 제외된다. 한편, 쌍자음의 경우, 예를 들어, ㄲ=1515 로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단자음을 형성할 때, 발생되는 누름을 한 번 더 반복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A method of forming consonants using the numbers displayed on the character
한편, 모음의 경우, ㅏ=42,ㅐ=425, ㅑ=422, ㅒ=4225, ㅓ=25, ㅔ=255, ㅕ=225, ㅖ=2255, ㅗ=23, ㅘ=2342, ㅙ=23425, ㅚ=235, ㅛ=223, ㅜ=12, ㅝ=1225, ㅞ=12255, ㅟ=125, ㅠ=122, ㅡ=3, ㅢ=35, l=5처럼, 모든 문자키버튼(120)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ㅏ' 문자는 숫자 4가 표시된 버튼을 누른 후, 바로 숫자 2가 표시된 버튼을 눌러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owels, α=42, ㅐ=425, ㅑ=422, ㅒ=4225, ㅓ=25, ㅔ=255, ㅕ=225, ㅖ=2255, ㅗ=23, ㅘ=2342, ㅙ=23425, Like ㅚ=235, ㅛ=223, TT=12, ㅝ=1225, ㅞ=12255, ㅟ=125, ㅠ=122, ㅡ=3, ㅢ=35, l=5, pressing all the character
다음으로, 4개의 기능키버튼(140)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다만, 각 기능은 예시에 불과하다. 1) 기능키버튼(140)은 문자키버튼(120)을 이용하여 형성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통해, 제3자 등이 형성된 문자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문자는 자음 단위 또는 모음 단위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ㄱ'이 형성되면, 기능키버튼(140)을 눌러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Next, each of the four
또한, 2) 기능키버튼(140)은 어느 한 문자(자음 또는 모음)가 형성되면, 그 다음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새롭게 형성하기 위해 이전 문자의 형성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3) 기능키버튼(140)은 이미 형성된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획 단위로 또는 글자 단위로 삭제하는 기능을 한다. 4) 기능키버튼(140)은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이미 출력되어 있는 모든 문자를 일시에 삭제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2) the
디스플레이부(200)는 누름키패드부(1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문자(한글)에 대응되는 점자를 표시해준다. 이런, 디스플레이부(200)는 예를 들어, LED 등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는 누름키패드부(100) 등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통신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전술한 것처럼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의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는 점자 또는 누름키패드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한글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점자 뿐만 아니라, 누름키패드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한글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사운드출력부(300)는 키버튼의 작동과 동시에 키버튼마다 할당된 소리를 출력해준다. 사운드출력부(300)는 누름키패드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각 키버튼에 부여된 고유의 소리를 듣고, 어떤 키버튼을 눌렀는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은 터치키패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키패드부(400)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며, 9개의 터치식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터치키패드부(4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누름키패드부(100)와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한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갖는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한편, 터치키패드부(400)는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누름키패드부(100)라는 입력 장치가 없더라도 사용자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The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식키버튼은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된다. 한편, 터치식키버튼 중 1) 2행과 2열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십자(+) 위치에는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5개의 터치식문자키버튼이 배치되고, 2) 나머지 위치에는 터치식문자키버튼에 의해 형성된 문자를 처리하는 4개의 터치식기능키버튼이 배치된다. 즉, 터치식키버튼은 전술한 누름키패드부(100)의 키버튼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식키버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키버튼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touch-type key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rranged in a square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touch-type key buttons, 1) five touch-type character key buttons forming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osed at the cross (+) position formed by crossing the second row and the second column, and 2) the touch-type character key at the remaining positions. Four touch-type function key buttons for processing characters formed by the buttons are arranged. That is, the touch-type key button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key buttons of the
또한, 터치키패드부(400)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액정 위에 부착하면 사용자의 촉감에 의해 터치식키버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는 탈부착형으로 형성되며 9개의 터치식키버튼을 식별시킨다. 한편, 식별부가 부착되면, 스마트디바이스는 이를 인식하여, 식별부에 대한 터치를 통해서만 터치식키버튼을 누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The method of using the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first to fourth steps.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단계는 누름키패드부(100) 및 터치키패드부(4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본인에게 편리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제1단계는 선택 이후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후속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터치키패드부(400)를 선택한 경우,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9개의 터치식키버튼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액정 위에 부착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누름키패드부(100)를 선택한 경우, 누름키패드부(100)의 전원 스위치를 On으로 변경하고 디스플레이부(200)와 무선 연결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step is a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the
다음으로, 제2단계는 9개의 키버튼이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되는 키버튼 또는 터치식키버튼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눌러 사용자가 의도한 자음 또는 모음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3행3열의 정사각 자판 중 특히, 십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5개의 키버튼 또는 터치식키버튼을 이용하여 문자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형성된 문자에 대한 처리는 4개의 기능키버튼(140) 또는 4개의 터치식기능키버튼을 통해 이루어진다.Next, the second step is a step of forming a consonant or vowel intended by the user by sequentially pressing a key button or a touch-type key button in which nine key buttons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in a preset ord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form a character by using, in particular, five key buttons or touch-type key buttons arranged in a cross (+) shape among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of a square keyboard. However, the processing of the formed characters is made through four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누름과 미세한 시차를 두고, 키버튼 또는 터치식키버튼에 대응하는 고유한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누름키패드부(100)는 소리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터치키패드부(400)는 스마트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third step is a step of outputting a unique sound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r the touch-type key button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from the pressing in the second step. To this end, the
제4단계는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부(200)를 사용하여 점자 또는 한글로 표시하는 단계이다. 다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한 표시를 위해 전술한 기능키버튼(140) 또는 터치식기능키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The fourth step is a step of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consonants or vowels in Braille or Korean using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00: 누름키패드부 200: 디스플레이부
300: 사운드출력부 400: 터치키패드부
120: 문자키버튼 140: 기능키버튼100: press keypad unit 200: display unit
300: sound output unit 400: touch keypad unit
120: character key button 140: function key button
Claims (7)
상기 누름키패드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한글에 대응되는 점자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버튼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키버튼마다 할당된 소리를 출력해주는 사운드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키패드부에서,
상기 키버튼은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되고,
상기 키버튼 중 1) 2행 전체와 2열 전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십자(+) 위치에는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5개의 문자키버튼이 배치되며, 2) 나머지 위치에는 상기 문자키버튼에 의해 형성된 문자를 처리하는 4개의 기능키버튼이 배치되고,
자음은 1행2열, 2행1열, 2행3열 및 3행2열에 배치되는 문자키버튼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되며, 모음은 모든 문자키버튼의 누름 순서를 조합하여 형성되고, 쌍자음은 단자음을 형성할 때, 발생되는 누름을 한번 더 반복하여 형성되며,
제1기능키버튼은 문자키버튼을 이용하여 형성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하고, 제2기능키버튼은 어느 한 문자(자음 또는 모음)가 형성되면 그 다음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새롭게 형성하기 위해 이전 문자의 형성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을 하며, 제3기능키버튼은 이미 형성된 문자(자음 또는 모음)를 획 단위 또는 글자 단위로 삭제하는 기능을 하고, 제4기능키버튼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이미 출력되어 있는 모든 문자를 일시에 삭제하는 기능을 하며,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며, 9개의 터치식키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름키패드부와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한글을 형성하는 터치키패드부와, 상기 터치식키버튼을 식별시키며 스마트디바이스의 액정 위에 부착되면 스마트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키패드부는 상기 터치식키버튼이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되며,
상기 터치식키버튼 중 1) 2행과 2열이 교차되어 형성되는 십자(+) 위치에는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는 5개의 터치식문자키버튼이 배치되고, 2) 나머지 위치에는 상기 터치식문자키버튼에 의해 형성된 문자를 처리하는 4개의 터치식기능키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식별부가 스마트디바이스의 액정 위에 부착되면 사용자의 촉감에 의해 터치식키버튼을 식별시키며, 상기 식별부가 부착되면, 상기 식별부에 대한 터치를 통해서만 터치식키버튼을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a keypad unit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using nine key buttons;
a display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ress keypad unit to display Braill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Hangul; and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assigned to each key button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key button; and
In the press keypad unit,
The key buttons are arranged in a square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Among the key buttons, 1) 5 letter key buttons forming consonants and vowels are arranged at a cross (+) position formed by crossing the entire 2nd row and 2nd column, 2) At the remaining positions, by the letter key button Four function key buttons for processing the formed characters are arranged,
Consonant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pressing order of the letter key buttons disposed in 1st row 2 columns, 2nd row 1 column, 2nd row 3 columns, and 3rd row 2 columns, and vowel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pressing order of all the letter key buttons, The double consonant is formed by repeating the pressing that is generated when forming a single consonant,
The first function key button functions to instruct a character formed using the character key button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function key button serves to instruct the next character (consonant) when any one character (consonant or vowel) is formed. or vowel) has a function of notifying that the formation of a previous character has been completed, and the third function key button functions to delete already formed characters (consonants or vowels) in stroke units or character units, and a fourth function The key button has the function of deleting all the characters already printed through the display unit at once.
A touch keypad unit installed in software on the user's smart device, consisting of nine touch-type key button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to form Hangul selectively or in parallel with the press keypad unit, and the touch-type key It identifies the button and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unit recognized by the smart device when it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 device,
In the touch keypad unit, the touch-type key buttons are arranged in a square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Among the touch-type key buttons, 1) five touch-type letter key buttons forming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osed at a cross (+) position formed by crossing the second row and the second column, and 2) the touch-type letter key at the remaining positions. Four touch-type function key buttons that process the characters formed by the button are arranged,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 device, the touch type key button is identified by the user's touch, and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is attached, the touch type key button can be pressed only by touching the identification unit for the disabled. Shortcut keyboard system.
상기 누름키패드부 및 상기 터치키패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단계;
9개의 키버튼이 3행3열의 정사각 자판으로 배열되는 상기 키버튼 또는 상기 터치식키버튼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눌러 사용자가 의도한 자음 또는 모음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누름과 미세한 시차를 두고, 상기 키버튼 또는 상기 터치식키버튼에 대응하는 고유한 소리를 출력하는 제3단계; 및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점자 또는 한글로 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
As a method of using the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ep of selecting any one of the press keypad unit and the touch keypad unit;
a second step of forming consonants or vowels intended by the user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key buttons or the touch-type key buttons in which nine key buttons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keyboard of 3 rows and 3 columns;
a third step of outputting a unique sound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r the touch-type key button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from the pressing in the second step; and
A method of using a shortcut keyboard system for the disabled, including; a fourth step of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consonants or vowels in Braille or Korean using a display unit.
상기 터치키패드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에 설치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9개의 터치식키버튼을 식별하는 식별부를 액정 위에 부착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누름키패드부를 선택한 경우, 상기 누름키패드부의 전원 스위치를 On으로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무선 연결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의 사용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tep is to convert any one selected state from a standby state to an input enabled state;
When the touch keypad unit is selected, after execut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a step 1-1 of attaching a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nine touch-type key buttons on the liquid crystal; and
and a first-2 step of changing the power switch of the press keypad unit to On and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ss keypad unit is sel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39512A KR102332178B1 (en) | 2019-11-04 | 2019-11-04 |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39512A KR102332178B1 (en) | 2019-11-04 | 2019-11-04 |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53648A KR20210053648A (en) | 2021-05-12 |
| KR102332178B1 true KR102332178B1 (en) | 2021-11-26 |
Family
ID=759190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39512A Active KR102332178B1 (en) | 2019-11-04 | 2019-11-04 |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321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64985B1 (en) * | 2022-12-07 | 2023-08-10 | 목승환 | Apparatus for converting key input into voice signal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74707B1 (en) * | 2016-09-20 | 2017-09-05 | 박제상 | Bluetooth IoT Keyboard Capable of Keyboard Mapping For Each Personal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89356A (en) | 2004-03-04 | 2005-09-08 | 신동훈 | Portable keyboard and the control device thereof |
| US20060097983A1 (en) * | 2004-10-25 | 2006-05-11 | Nokia Corporation | Tapping input on an electronic device |
| KR101156960B1 (en) | 2010-03-15 | 2012-06-20 | 주식회사 유니템 | Portab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for the blind and mehtod for operating thereof |
| KR101583275B1 (en) * | 2013-10-22 | 2016-01-19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 method for operating a smart-phon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remote control programs using the same |
-
2019
- 2019-11-04 KR KR1020190139512A patent/KR1023321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74707B1 (en) * | 2016-09-20 | 2017-09-05 | 박제상 | Bluetooth IoT Keyboard Capable of Keyboard Mapping For Each Perso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53648A (en) | 2021-05-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517226A2 (en) | Input key and input apparatus | |
| CN102422621A (en) | Method and device for letter input | |
| KR100599210B1 (en) |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2332178B1 (en) |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 |
| KR101285413B1 (en) | Letter input method of touch type using touch screen | |
| KR20130069517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japanese compact keyboard | |
| JP2010518530A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 KR20110088310A (en) | Hanalul Character Input Method | |
| KR10220706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 based on hologram | |
| KR101173537B1 (en) | Speed touch key pad | |
| KR102307004B1 (en) |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 |
| KR101637163B1 (en) |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 |
| KR101483170B1 (en) |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 |
| KR101001082B1 (en) | Hangul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Phoneme Components | |
| KR101368718B1 (en) | Input pad of korean characters for touchscreen | |
| KR101445061B1 (en) | the hangul input button layout structure for smartphone | |
| KR20100101993A (en) | Method for inputting korean on touch p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KR20090070357A (en) | Hangul Input Method Editor and Hangul Input Method | |
| KR20100014163A (en) |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circular key arrangement | |
| KR102119482B1 (en) | Screen Arrangement Method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One-hand Keyboard of Smartphone | |
| KR20240085051A (en) |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 |
| KR20250128283A (en) | Single button based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 |
| KR20050115792A (en) |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 |
| US20200150779A1 (en) | Keyboard | |
| KR101499904B1 (en) | A touch screen input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