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755B1 - Structure for Wiring Connection of the Se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Wiring Connection of the Sea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3755B1 KR102333755B1 KR1020200041627A KR20200041627A KR102333755B1 KR 102333755 B1 KR102333755 B1 KR 102333755B1 KR 1020200041627 A KR1020200041627 A KR 1020200041627A KR 20200041627 A KR20200041627 A KR 20200041627A KR 102333755 B1 KR102333755 B1 KR 102333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wiring
- seatback
- connecto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ical connection, e.g. wiring, plugs or US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 B60N2002/02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는 시트쿠션, 시트쿠션에 체결되는 시트백, 상기 시트백에 위치하는 구동유닛, 상기 시트백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체결되도록 와이어링 일단에 위치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상기 시트백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롯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시트쿠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 길이는 상기 슬롯 유닛에 의해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The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cushion, a seatback fastened to the seat cushion, a driving unit positioned in the seatback,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atback, and one end of a wiring so as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a connector positioned on the seat and a slo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connector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back, and a wiring length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seat cushion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by the slot unit It includes a wiring connection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폴딩이 가능한 후석 시트 내측에 위치하는 히터 또는 전기적 장치의 와이어링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트백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링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nd more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length of the wiring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tback in performing wiring connection of a heater or electric device located inside a foldable rear seat seat It relates to a shee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that becomes
통상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단순히 승객이 착석하는 기능 외에 카고 활용을 위한 격납 기능, 3열 승객의 승강 편의를 위한 워크-인 기능, 2열 및 3열 풀-플렛 기능 등의 여러 가지 편의적인 기능의 추가로 점차 복잡해져 가는 추세에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폴드 앤 다이브(이하 폴딩) 시트로서, 시트 백을 시트쿠션 쪽으로 접는 동시에 시트쿠션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뒤쪽 공간을 화물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Generally,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imply seating passengers, the vehicle seat adds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such as a storage function for cargo utilization, a walk-in function for the convenience of getting on and off the third row passengers, and a full-flat function in the second and third rows. One of them is a fold-and-dive (hereafter, folding) seat, which folds the seat back toward the seat cushion and moves the seat cushion downwards so that the space behind it can be used as a cargo space. will be.
종래 차량용 폴딩 시트(후열 시트)는, 플로어 패널을 향해 하방향으로 다이브되는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을 향해 폴딩 가능한 시트 백과, 시트 백의 상단에 마련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된다.A conventional folding seat (rear row seat) for a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that dives downward toward a floor panel, a seat back foldable toward the seat cushion, and a headrest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 back to support the head of a passenger.
따라서, 후열 시트를 폴딩 시트로 대체한 차량의 경우, 트렁크의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vehicle in which the rear row seat is replaced with a folding seat, the space of the trunk can be expanded and us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다만, 최근 고급 차량의 경우, 후열 시트에 다양한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구동유닛으로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와이어링 연결이 요구되는바, 후열 시트의 폴딩에 따라 후열 시트백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링의 단선 또는 파손의 위험이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a recent luxury vehicle, a rear row seat includes various driving units, and a wiring connection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is required. Therefore, depending on the folding of the rear row seat, the wiring connected to the rear row seatback is disconnected or There was a risk of breakage.
따라서, 최근에는 시트백의 폴딩 상태에서도 단선이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와이어링 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Accordingly, recently, interest in a wiring structure in which disconnection or damage does not occur even in a folded state of the seatback ha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하여, 폴딩 가능한 시트백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링부가 이동가능한 시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structure in which a wiring part is movable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foldable seatback.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롯 유닛을 포함하여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prevent disconnection by including a slot unit that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back.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an be seen more clearly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The shee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트쿠션; 시트쿠션에 체결되는 시트백; 상기 시트백에 위치하는 구동유닛; 상기 시트백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체결되도록 와이어링 일단에 위치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상기 시트백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롯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시트쿠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 길이는 상기 슬롯 유닛에 의해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 cushion; Seatback fastened to the seat cushion; a driving unit positioned on the seatback; a connector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back and positioned at one end of a wiring so as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and a slot unit in which the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back, wherein a wiring length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seat cushion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by the slot unit. provide structure.
또한, 상기 슬롯 유닛은, 상기 시트백의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그루브; 상기 와이어링이 관통되고,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lot unit may include: a groove configur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eatback; A sliding unit through which the wiring is passed and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groove provide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또한, 상기 슬롯부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원복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slot portion, wherein the elastic member provide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sliding unit.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가장 가까운 상기 그루브 타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unit provide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ove closest to the connector when the seatback is folded.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시트백이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가장 먼 상기 그루브 일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unit provide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groove farthest from the connector when the seat back is in an upright state.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시트백에 위치하는 백 판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provide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fixed to a back panel positioned on the seat back.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바,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e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disconnect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또는 와이어링의 교체가 용이한 시트백 구조를 제공하여 정비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in maintenance by providing a seatback structure that facilitates replacement of connectors or wi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에 위치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에 위치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의 기립상태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의 기립상태에 따른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의 기립상태에 따른 와이어링 연결 구조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의 폴딩상태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의 폴딩상태에 따른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백의 폴딩상태에 따른 와이어링 연결 구조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positioned in a seatb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positioned in the seat b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ide view showing a seatback according to an upright stat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ear view according to the standing state of the seatback.
3C is an enlarged view of the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anding state of the seatb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ide view of the seat 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Figure 4b shows a rear view according to the folded state of the seat b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n enlarged view of the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lded state of the seat b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the first, the second, etc., in order to distinguish the names of the components in the same relationship, and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후열 시트 중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폴딩 시트백(100) 구성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시트백(100)이 분할되어 각각의 시트백(100)이 폴딩될 수 있는 후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iguration of a
더 바람직하게,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는 '구동유닛'을 대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구동유닛'은 히터 유닛, 송풍기, 안마 유닛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전기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that requires electrical connection is disclosed below, but the 'drive un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a heater unit, a blower, a massage unit, etc., which can be electrically driven It can contain any configuration.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폭 방향'은 차량 내에 시트 백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바, 차량의 폭 방향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Moreover, in this specification, the 'width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seat back is positioned in the vehicle, and may be interpreted as referring to a direction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시트 와이어링(500)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시트백(100)의 사시도 및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1 to 2 are perspective and enlarged views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열 시트의 시트쿠션(200)은 벤치 시트로 구성되고, 시트백(100)은 6:4 분할 또는 5:5 분할되어 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할된 시트백(100)은 각각 폴딩이 되도록 구성되는바, 시트백(100)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유닛(미도시)에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링(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시트 와이어링(500) 연결 구조는 시트백(100)에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와이어링(500)부는 시트백(100) 내측 또는 시트백(100) 쿠션패드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400)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시트백(100) 배면 하단을 따라 시트쿠션(200)부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여 위치된다.In addition, the
시트백(100)은 시트 백 판넬(600) 상부에 위치하는 시트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 패드 내측에 매설되어 위치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유닛은 전력이 인가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구동유닛은 시트 백 판넬(600)에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시트 패드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유닛은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유닛의 플러그는 시트백(100) 배면을 통해 시트백(100)에 위치하는 커넥터(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may be fixedly positioned on the
커넥터(400)는 백 판넬(6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쿠션패드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400)의 일단은 와이어링(500)이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와이어링(500) 타단은 배터리와 연결되어 구동유닛으로 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The
와이어링(500)은 커넥터(400)의 일단과 체결되고 시트쿠션(200)을 따라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커넥터(400)와 인접한 위치에 와이어링(500)이 체결되는 슬롯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롯 유닛(300)은 와이어링(500)이 관통되는 슬라이딩 유닛(320)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유닛(320)이 시트백(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그루브(310)를 포함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더 바람직하게, 그루브(310)는 시트백(100)에 위치하는 커넥터(400)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 질 수 있으며,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irection of the
슬라이딩 유닛(320)은 커넥터(400)와 체결된 와이어링(500)과 인접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유닛(320)은 그루브(310) 내측에 커넥터(400)와 가장 먼 끝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320)이 커넥터(400)와 가장 먼 그루브(310)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커넥터(400)의 일단과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은 가장 긴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The sliding
이와 반대로, 시트백(100)이 폴딩 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유닛(320)이 그루브(310) 내측 커넥터(400)와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닛(320)은 커넥터(400)와 가장 가까운 그루브(310)의 타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On the contrary, in the folded state of the seat back 100, the
따라서, 후열 시트백(100)의 폴딩 또는 기립상태에 따라 커넥터(400)의 일단과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링(500)에 인가되는 장력을 제거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유닛(320)은 커넥터(400)의 일단과 시트쿠션(200)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부를 기준으로 시트백(100)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시트백(100)의 구동상태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유닛(320)이 그루브(310) 내측을 따라 커넥터(400)와 인접하여 시트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바, 커넥터(400)와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커넥터(400)와 슬라이딩 유닛(3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그루브(310) 내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유닛(320)의 일단에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하는바, 시트백(100)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330)는 압축되고, 슬라이딩 유닛(320)이 원복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One end of the sliding
더 바람직하게, 시트백(100)이 폴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30)는 압축되는바, 시트백(100)이 기립상태로 전환될 때 슬라이딩 유닛(320)이 커넥터(400)와 가장 먼 그루브(310) 일단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에서 슬롯 유닛(3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3A to 3C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는 시트백(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이 가능한 상태로 시트쿠션(200)과 시트백(100)은 90도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고정되어 위치한다.As shown in FIG. 3A , the seat back 100 is in an upright state in which the user can be seated through the fixing part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at back 100, and the
더욱이,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에서는 커넥터(400) 일단과 체결되고 시트쿠션(200)을 따라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슬라이딩 유닛(320)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320)을 따라 커넥터(400)와 가장 먼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in a state in which the
이처럼, 시트백(100)의 구동상태에 따라 와이어링(500)이 관통하여 위치하는 슬라이딩 유닛(320)이 그루브(310) 내측을 이동하는바, 와이어링(500)에 발생하는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유닛(320)과 체결되는 와이어링(500)이 시트백(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와이어링(500)이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depending on the driving state of the
즉, 도 3b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00) 하면에 형성되는 시트 와이어링(500) 연결구조는 시트백(100)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루브(310)를 포함하고, 그루브(310)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닛(320)을 포함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3B to 3C, the
슬라이딩 유닛(320)은 커넥터(400)와 연결된 일단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와이어링(500)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와이어링(500)은 슬라이딩 유닛(320)을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시트쿠션(200)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링(500)은 그루브(310) 내측의 슬라이딩 유닛(320)의 위치에 따라 시트백(100)의 폭 방향으로 우회하여 커넥터(400)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The sliding
즉, 커넥터(400)와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유닛(320)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링(500)이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시트백(100)이 폴딩된 상태와 비교하여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에서는 시트백(100)과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딩 유닛(320)이 커넥터(400)와 가장 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딩 유닛(32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링(500)은 슬라이딩 유닛(3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경유하여 커넥터(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이처럼,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에서 커넥터(400)와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의 일부는 슬라이딩 유닛(320)을 경유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딩 유닛(320)은 커넥터(400)와 가장 멀리 떨어진 그루브(310) 일단에 위치하는바, 와이어링(500)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되어 꼬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way, a portion of the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시트백(100)이 폴딩된 상태에서 시트 와이어링(500) 연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4A to 4C illustrat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시트 폴딩 상태의 경우, 시트쿠션(200) 상면으로 시트백(100)의 전면이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트쿠션(200)과 시트백(100)사이에 위치하는 회전 브라켓을 기준으로 시트백(100)이 전면으로 회전되어 시트쿠션(200) 상면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In the case of the seat folded state, it means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seat back 100 is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시트백(100)이 폴딩된 상태에서 시트백(100) 하면에 위치하는 슬롯 유닛(300)은 시트백(100)의 기립 상태와 비교하여 높은 위치로 이동된다. 더욱이, 커넥터(400)가 시트백(100) 또는 백 판넬(600) 상에 고정된 상태로 시트백(100)의 하면이 높이지도록 구성되는바, 와이어링(500)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슬롯 유닛(300)은 와이어링(500)에 인가되는 장력에 따라 슬라이딩 유닛(320)이 그루브(310) 내측일단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시트백(100)이 회전개방되어 시트백(100) 하단이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슬라이딩 유닛(320)은 커넥터(400)와 가장 인접한 그루브(310)의 일단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400)와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의 길이는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와 비교하여 축소되도록 구성된다.The
즉, 시트백(100)이 기립된 상태와 비교하여, 시트백(100)이 폴딩된 상태에서는 커넥터(400)와 시트쿠션(200) 사이에 슬라이딩 유닛(320)을 경유하여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축소된다.That is, in comparison with the
더 바람직하게, 슬롯 유닛(300)의 그루브(310)의 형상 및 그루브(310)가 위치하는 폭의 길이에 따라 커넥터(400)와 시트쿠션(200)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500)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escribed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described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00: 시트백
200: 시트쿠션
300: 슬롯 유닛
310: 그루브
320: 슬라이딩 유닛
330: 탄성부재
400: 커넥터
500: 와이어링
600: 백 판넬100: seatback
200: seat cushion
300: slot unit
310: groove
320: sliding unit
330: elastic member
400: connector
500: wiring
600: back panel
Claims (6)
시트쿠션에 체결되는 시트백;
상기 시트백에 위치하는 구동유닛;
상기 시트백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체결되도록 와이어링 일단에 위치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상기 시트백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롯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시트쿠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링 길이는 상기 슬롯 유닛에 의해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 유닛은,
상기 시트백의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그루브;
상기 와이어링이 관통되고,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링은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
seat cushion;
Seatback fastened to the seat cushion;
a driving unit positioned on the seatback;
a connector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back and positioned at one end of a wiring so as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and
and a slot unit in which the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back.
The wiring length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seat cushion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by the slot unit,
The slot unit,
a groove configur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seatback;
and a sliding unit through which the wiring passes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groove, wherein the wiring is configur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sliding unit.
상기 그루브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이 원복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located inside the groove;
The elastic member i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sliding unit.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가장 가까운 상기 그루브 타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ing unit i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ove closest to the connector when the seatback is folded.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시트백이 기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와 가장 먼 상기 그루브 일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ing unit i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groove farthest from th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back is in an upright state.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시트백에 위치하는 백 판넬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와이어링 연결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a seat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be fixed to a back panel positioned on the seat back.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1627A KR102333755B1 (en) | 2020-04-06 | 2020-04-06 | Structure for Wiring Connection of the Seat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1627A KR102333755B1 (en) | 2020-04-06 | 2020-04-06 | Structure for Wiring Connection of the Seat for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23870A KR20210123870A (en) | 2021-10-14 |
| KR102333755B1 true KR102333755B1 (en) | 2021-12-01 |
Family
ID=781515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41627A Active KR102333755B1 (en) | 2020-04-06 | 2020-04-06 | Structure for Wiring Connection of the Sea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3375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85681B1 (en) | 2022-07-28 | 2025-03-21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Seat wiring system for vehicle |
| KR102767227B1 (en) * | 2022-11-24 | 2025-02-11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Wiring support structure of posture change sea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98932A (en) * | 2002-09-11 | 2004-04-02 | Sumitomo Wiring Syst Ltd | Spool protector for wire harness |
| JP2006038225A (en) | 2004-07-22 | 2006-02-09 | Honda Motor Co Ltd | Tension compensation assembly for mechanical control cables |
| KR101705610B1 (en) | 2015-11-13 | 2017-02-10 | 현대다이모스(주) | Compensation device for length of cable for vehicle |
| US20190047450A1 (en) * | 2017-08-14 | 2019-02-1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Seat Assemblies Having Seat Heater Wire Harnesses Connected To Child Restraint Brackets For Vehicle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739673B2 (en) | 2001-08-15 | 2004-05-25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Seating system |
| KR101063268B1 (en) * | 2009-06-19 | 2011-09-07 | (주) 미창케이블 | Cable for folding seats of adjustable length car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627A patent/KR1023337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98932A (en) * | 2002-09-11 | 2004-04-02 | Sumitomo Wiring Syst Ltd | Spool protector for wire harness |
| JP2006038225A (en) | 2004-07-22 | 2006-02-09 | Honda Motor Co Ltd | Tension compensation assembly for mechanical control cables |
| KR101705610B1 (en) | 2015-11-13 | 2017-02-10 | 현대다이모스(주) | Compensation device for length of cable for vehicle |
| US20190047450A1 (en) * | 2017-08-14 | 2019-02-1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Seat Assemblies Having Seat Heater Wire Harnesses Connected To Child Restraint Brackets For Vehicl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23870A (en) | 2021-10-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731226B2 (en) | Vehicle seat side air bag assembly | |
| KR102333755B1 (en) | Structure for Wiring Connection of the Seat for Vehicle | |
| CN110267848A (en) | Vehicle seat | |
| US20060214487A1 (en) | Adjustable side bolsters | |
| US11292370B2 (en) | Rear seat for vehicle | |
| KR101987006B1 (en) | Electric-powered sliding console for vehicle | |
| US7850246B2 (en) | Shingled thin seat construction for vehicle | |
| KR20220085420A (en) | Moving console box for van | |
| KR101372960B1 (en) | Apparatus for folding and walk-in motions of vehicle seat | |
| KR102557232B1 (en) |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 |
| KR102563449B1 (en) | Armrest device with level maintenance | |
| JP7112465B2 (en) | seat table | |
| JP4174908B2 (en) | Vehicle seat | |
| CN216002425U (en) | Rear seat of vehicle and vehicle | |
| JP7252118B2 (en) | car seat | |
| KR20020090668A (en) | Headrest of automobiles | |
| JP2004056948A (en) |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 KR102680799B1 (en) | Moving console box for car | |
| KR102868588B1 (en) | Portable table device for console box | |
| US12365273B2 (en) | Luggage gap cover device for vehicle rear seat | |
| KR102663948B1 (en) | Moving console box for automobile with armrest support device | |
| KR100521589B1 (en) | Fold and div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 |
| KR100361986B1 (en) | Spring connector for use in a power seat | |
| KR0123794Y1 (en) | Headrest in the center of the rear seat of the passenger car linked to the armrest | |
| JP2024052480A (en) | Vehicle sea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5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