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039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8039B1 KR102348039B1 KR1020150025109A KR20150025109A KR102348039B1 KR 102348039 B1 KR102348039 B1 KR 102348039B1 KR 1020150025109 A KR1020150025109 A KR 1020150025109A KR 20150025109 A KR20150025109 A KR 20150025109A KR 102348039 B1 KR102348039 B1 KR 102348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check valve
- water
- valve body
- wash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호스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듀얼체크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듀얼체크밸브는, 내부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1 부재;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듀얼체크밸브를 통해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고, 듀얼체크밸브를 설치할 때, 설치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설치구조가 단순화되어 누수의 위험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al check valve installed on a hose to prevent reverse flow of wash water, and the dual check valve includes: a valve body for flowing wash water into the washing machine; a first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flowing wash water in only one direction; and a second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flowing wash water in only one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ouble prevent the back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one dual check valve, can reduce the installation time when installing the dual check valve,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water leakage 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 함.)에 묻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도록 세탁, 헹굼 또는 탈수 과정을 진행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washes laundry using the emulsification action of detergent, the water flow ac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ub or laundry blades, and the impact action applied by the laundry blades. Hereinafter, it is referred to as 'cloth') and proceeds with washing, rinsing, or dehydration to remove contamination.
그리고 세탁기는 세탁수를 공급받아 순환시키면서 상기 포의 오염을 제거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receives and circulates washing water to remove the contamination of the fabric.
여기서 상기 세탁수가 유동되는 배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된다.Here, a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pipe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flows.
상기 체크밸브는 순간적인 압력변화 또는 역삼투압 등에 의해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check valve prevents reverse flow of wash water due to an instantaneous pressure change or reverse osmosis pressure.
특히, 종래 세탁기는 체크밸브가 손상 또는 파손될 경우를 대비하여, 하나의 배관에 2개의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어느 하나가 파손되어도 세탁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installs two check valves in one pipe in case the check valve is damaged or damaged, and through this, the washing machine can operate normally even if any one of the check valves is damaged.
그런데 종래와 같이 하나의 배관에 2개의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경우,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wo check valves are installed in one pip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더불어, 복수개의 체크밸브를 설치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증가되어 조립성이 악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check valves ar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time is increased and the assembly property is deteriorated.
또한, 하나의 배관에 복수개의 체크밸브를 설치하기 때문에, 조립 불량으로 인해 누수 등이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check valves are installed in one pipe,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possibility that water leakage or the like may occur due to poor assembly is increased.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듀얼체크밸브가 설치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ual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hing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된 듀얼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check valve made of one par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호스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듀얼체크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듀얼체크밸브는, 내부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1 부재;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al check valve installed on a hose to prevent backflow of wash water, and the dual check valve includes: a valve body for flowing wash water into the washing machine; a first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flowing wash water in only one direction; and a second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flowing wash water in only one direction.
상기 제 1 부재는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1 체크밸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2 체크밸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크밸브부 및 제 2 체크밸브부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ember includes a first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h water, the second member includes a second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h water, the first check valve and the second check The valve part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 1 부재는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게 밸브중공이 형성된 부재바디; 상기 부재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 상기 부재바디의 타측으로 돌출된 2개의 판으로 구성되고, 그 끝이 뾰족하게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세탁수에 대해 체크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체크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ember may include: a member body having a hollow valve formed therein so that washing water flows; a lock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ember body and forming mutual locking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It may include; it is composed of two plates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ember body, the end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heck valve for performing a check valve function for the wash water; may include.
상기 제 2 부재는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게 밸브중공이 형성된 부재바디; 상기 부재바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 상기 부재바디 내측으로 돌출된 2개의 판으로 구성되고, 그 끝이 뾰족하게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크밸브부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에 대해 체크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체크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 member body having a hollow valve formed therein so that washing water flows; a lock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mber body and forming a mutual engagement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he second plate is composed of two plates protruding inside the member body, the ends ar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heck valve part, and perform a check valve function for the wash water. It may include a check valve unit.
상기 제 1 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밸브바디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member to fix the firs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상기 제 2 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밸브바디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to fix the second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포를 수용하여 회전되는 드럼;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에 공급하는 급수유닛; 상기 급수유닛에서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급수유닛 및 분사노즐을 연결시켜 세탁수를 안내하는 호스; 상기 호스에 설치되고, 상기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이중으로 억제하는 듀얼체크밸브;를 포함한다.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 tub for accommodating wash water; a drum disposed in the tub and rotated by accommodating the cloth therein; a water supply unit that receives wash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supplies it to the tub; a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into the drum; a hos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spray nozzle to guide washing water; It includes; a dual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hose and double suppressing the reverse flow of the wash water.
상기 듀얼체크밸브는, 내부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1 부재;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2 부재; 상기 제 1 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밸브바디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제 2 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밸브바디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check valve includes a valve body for flowing wash water therein; a first mem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flowing wash water in only one direction; a second mem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flowing wash water in only one direction; a first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member to fix the firs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and a second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to fix the second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상기 제 1 부재는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게 밸브중공이 형성된 부재바디; 상기 부재바디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 상기 부재바디의 타측으로 돌출된 2개의 판으로 구성되고, 그 끝이 뾰족하게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세탁수에 대해 체크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체크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member may include: a member body having a hollow valve formed therein so that washing water flows; a lock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ember body and forming mutual locking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It may include; it is composed of two plates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ember body, the end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heck valve for performing a check valve function for the wash water; may include.
상기 제 2 부재는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게 밸브중공이 형성된 부재바디; 상기 부재바디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 상기 부재바디 내측으로 돌출된 2개의 판으로 구성되고, 그 끝이 뾰족하게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크밸브부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에 대해 체크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체크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 member body having a hollow valve formed therein so that washing water flows; a lock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mber body and forming mutual locking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he second plate is composed of two plates protruding inside the member body, the ends ar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heck valve part, and perform a check valve function for the wash water. It may include a check valve unit.
본 발명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하나의 듀얼체크밸브를 통해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uble prevent the reverse flow of washing water through one dual check valve.
둘째, 본 발명은 호스에 듀얼체크밸브를 설치할 때, 설치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고, 설치구조가 단순화되어 누수의 위험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water leakage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time and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when installing the dual check valve in the hose.
셋째, 본 발명은 세탁수의 역류를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듀얼체크밸브만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because only one dual check valve is installed in order to double prevent the reverse flow of washing wat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듀얼체크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듀얼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듀얼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듀얼체크밸브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check valve shown i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check valve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check valve shown in FIG.
8 is a front view of a dual check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wash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 an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22)와, 터브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포를 수용하여 회전되는 드럼(124)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13)와,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상기 터브(122)에 공급하는 급수유닛(132)과, 상기 급수유닛(132)에서 공급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124)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51)과, 세탁 세제가 수용되고, 세탁수를 세탁 세제와 혼합시키는 세제박스(133)와,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켜 다시 상기 터브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136)와, 상기 펌프(136)에 의해 순환되는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순환노즐(139)을 포함한다.The
캐비닛(111)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가 구비된다. 캐비닛(111)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117)이 형성된다. 캐비닛(111)의 전면에는 포 출입홀(117)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10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유닛(170) 및 댐퍼(160)에 의해 완충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의 내부에는 드럼(124)이 배치된다.The
터브(122)에는 터브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기(121)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전극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으로 수위를 측정한다. 터브(122) 내부에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3)가 구비될 수 있다.The
드럼(124)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124b)이 형성된다. 드럼(124) 내벽에는 드럼(124)의 회전 시 포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124a)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he
드럼(124)은 완전히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124)의 후방부가 수평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에 구비되어, 터브(122)와 캐비닛(111)을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출입홀(117)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개스킷(128)은 한가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터브(122)와의 체결 강도 및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터브(122)와 체결되는 부분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캐비닛(111)과 체결되는 부분은 터브(122)로부터 캐비닛(11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분사노즐(151) 및 순환노즐(139)과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152)이 구비된다.The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회전시킨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다양한 회전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13)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클러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세제박스(133)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헹굼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표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세탁기(100)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원(H.W)과 온수호스(115a)를 통하여 연결되고, 외부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원(C.W)과 냉수호스(115b)를 통해 연결된다. 온수호스(115a)와 냉수호스(115b)를 통해 유입된 물은 급수유닛(132)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세제박스(133), 스팀유닛(145) 및/또는 분사노즐(151)로 공급된다.The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온수호스(115a) 및 냉수호스(115b)와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유닛(132)과, 급수유닛(132)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2)의 동작에 따라 냉수원(C.W)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세제박스(133)로 안내하는 제1급수호스(131a) 및 제2급수호스(131b)와, 급수유닛(132)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2)의 동작에 따라 냉수원(C.W)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분사노즐(151) 및 세제박스(133)로 안내하는 제3급수호스(131c)가 구비된다. 제3급수호스(131c)는 급수유닛(132)으로부터 분지되어 각각 분사노즐(151) 및 세제박스(133)에 연결된다.Inside the
또한,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급수유닛(132)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2)의 동작에 따라 냉수원(C.W)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스팀유닛(145)으로 안내하는 제4급수호스(131d)와, 급수유닛(132)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2)의 동작에 따라 온수원(H.W)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세탁수를 세제박스(133)로 안내하는 제5급수호수(131e)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fourth water supply hose ( 131d), and a fifth water supply lake 131e that is connected to the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세제박스(1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122) 내로 유입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water supply pipe 134 through which washing water mixed with detergent in the
급수유닛(132)은 제1급수호수(131a)와 연결되는 프리밸브(132a), 제2급수호스(131b)와 연결되는 메인밸브(132b), 제3급수호스(131c)와 연결되는 블리치밸브(132c), 제4급수호스(131d)와 연결되는 스팀밸브(132d), 및 제5급수호수(131e)와 연결되어 고온의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온수밸브(132e)를 포함한다.The
프리밸브(132a)는 개방시 제1급수호수(131a)를 통하여 세제박스(133)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프리밸브(132a)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의 세제가 수용되는 부분을 통과하여 예비세탁용 세제와 혼합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예비세탁용 세제가 없는 경우 프리밸브(132a)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예비세탁용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When the
메인밸브(132b)는 개방시 제2급수호수(131b)를 통하여 세제박스(133)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메인밸브(132b)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의 세제가 수용되는 부분을 통과하여 세탁세제와 혼합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When the
블리치밸브(132c)는 개방시 제3급수호스(131c)를 통하여 분사노즐(151) 및 세제박스(133)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블리치밸브(132c)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의 일부는 분사노즐(151)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블리치밸브(132c)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의 다른 일부는 세제박스(133)에서 표백제와 혼합되어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표백제가 없는 경우 블리치밸브(132c)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표백제와 혼합되지 않고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When the
스팀밸브(132d)는 개방시 제4급수호스(131d)를 통하여 스팀유닛(145)으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스팀밸브(132d)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스팀유닛(145)에서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된다. 스팀유닛(145)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호스(146)를 통하여 스팀노즐(152)로 공급되고 스팀노즐(152)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When the
온수밸브(132e)는 개방시 제5급수호수(131e)를 통하여 세제박스(133)로 고온의 세탁수를 공급한다. 온수밸브(132e)에 의해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박스(133)를 통과하여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When the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135)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136)와, 세탁수가 순환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하도록 순환노즐(139)과 연결된 순환호스(137)와,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호스(138)가 구비된다.Inside the
펌프(136)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킨다. The
상기 배수관(135)을 통해 펌프(136)로 이동된 세탁수는 배수호스(138)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거나, 순환호스(137)를 통해 터브(122) 내로 순환된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136)는 순환펌프와 배수펌프로 구비되어 각각 순환호스(137)와 배수호스(138)로 연결될 수 있다.Wash water moved to the
순환호스(137)는 펌프(136)와 순환노즐(139)을 연결한다. 펌프(136)가 터브(122)에서 유출시킨 세탁수는 순환호스(137)를 통하여 순환노즐(139)에서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The
컨트롤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14b)와, 세탁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The
세탁 코스는 포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표준 코스 외에 란제리/울 코스, 삶음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포손상 방지 코스, 조용조용 코스, 및 에너지 절약 코스 등이 있다. 세탁기(100)의 동작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나뉘며 각각의 행정 내에서 급수 단계, 세탁 단계, 헹굼 단계, 배수 단계, 탈수 단계 또는 건조 단계 등이 행하여 진다.Laundry courses include lingerie/wool course, boiling course, speed wash course, functional clothing course, fabric damage prevention course, quiet and quiet course, and energy saving course in addition to the standard course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fabric. The operation of the
분사노즐(151)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분사노즐(151)은 스팀노즐(12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분사노즐(151)은 제1급수호수(131a)와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드럼(124) 내로 분사한다.The
분사노즐(151)은 개스킷(128)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 분사노즐(151)은 개스킷(128)의 하부 또는 개스킷(128)과 캐비닛(111) 사이, 캐비닛(111), 터브(122)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분사노즐(151)은 세탁수를 미세화하여 드럼(124)의 측면 및 후면에 분사하는 아토마이징 노즐(atomizing nozzle)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스팀노즐(152)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한다. 스팀노즐(152)은 스팀호스(146)와 연결되어 스팀유닛(145)에서 생성된 스팀을 드럼(124) 내로 분사한다.The
스팀노즐(152)은 개스킷(128)의 상부에 분사노즐(151)과 인접하여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스팀노즐(152)은 개스킷(128)의 하부 또는 개스킷(128)과 캐비닛(111) 사이, 캐비닛(111), 터브(122)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순환노즐(139)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로 펌프(136)에 의하여 순환되는 세탁수를 분사한다. 순환노즐(139)은 순환호스(137)와 연결되어 펌프(136)가 순환시킨 세탁수를 드럼(124) 내로 분사한다. 순환노즐(139)은 개스킷(128)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순환노즐(139)은 드럼(124)의 회전축 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상방향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노즐(139)은 복수로 구비되어 2개의 순환노즐이 개스킷(128)의 하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순환노즐(139a)은 개스킷(128)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124)의 내부를 향해 세탁수를 우측 상방향으로 분사하고, 제2순환노즐(139b)은 개스킷(128)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124)의 내부를 향해 세탁수를 좌측 상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순환노즐(139)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순환호스(137)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순환호스(137a)는 제1순환노즐(139a)에 연결되고, 제2순환호스(137b)는 제2순환노즐(139b)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드럼(124)에 수용된 세탁수가 터브(122)에 구비된 배수관(135)을 따라 펌프(136)로 이동한다. 펌프(136)는 세탁수가 순환호스(137)를 통해 순환노즐(139)에 이르도록 한다. 세탁수는 순환노즐(139)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듀얼체크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듀얼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듀얼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check valve shown in FIG. 2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al check valve shown in FIG. 5 ,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al check valve shown in FIG. 2 .
본 실시예의 상기 듀얼체크밸브(200)는 제3급수호스(131c)에 설치된다.The
상기 제3급수호스(131c)는 분사노즐(151)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호스이다.The third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듀얼체크밸브(200)는 상기 세탁수가 유동되는 다른 호스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상기 듀얼체크밸브(200)는 내부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밸브바디(250)와, 상기 밸브바디(25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1 부재(210)와, 상기 밸브바디(250)의 타측으로 삽입되고, 세탁수를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키는 제 2 부재(220)와, 상기 제 1 부재(2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부재(210)를 상기 밸브바디(250)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230)와, 상기 제 2 부재(22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부재(220)를 상기 밸브바디(250)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240)를 포함한다.The
상기 밸브바디(250)는 내부에 형성되고, 세탁수가 유동되는 밸브바디중공(251)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밸브바디림(252)을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바디(2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바디(250)가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ㄱ" 또는 "ㄴ"의 엘보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더불어, "Y" 형태로 형성되어, 3개의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Y" shape, three members may be installed.
상기 제 1 부재(210)는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게 밸브중공(211)이 형성된 부재바디(212)와, 상기 부재바디(212)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250)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마찰부(214)와, 상기 부재바디(21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250)의 일측에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216)와, 상기 부재바디(212)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250) 내부로 삽입되며, 유동되는 세탁수에 대해 체크밸브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체크밸브부(218)를 포함한다. The
상기 부재바디(2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member body 2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마찰부(214)는 상기 부재바디(212)에 링형태로 형성된다. The friction part 214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member body 212 .
상기 걸림부(216)는 상기 부재바디(21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250)의 일측에 걸림된다.The
상기 제 1 체크밸브부(218)는 상기 바디부재(212)에서 연장된 2개의 판 끝이 뾰족하게 밀착되어 형성된다.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체크밸브부(218)는 그 끝단이 부재바디(212)의 바깥에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end of the first
상기 제 2 부재(220)는 상기 제 1 부재(21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The
그래서 상기 제 2 부재(220)는 부재바디(222), 마찰부(224), 걸림부(226)의 형태가 제 1 부재(21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Therefore, the
다만, 제 2 체크밸브부(228)의 형태만 제 1 체크밸브부(218)와 다르게 형성된다.However, only the shape of the second
상기 제 2 체크밸브부(228)는 상기 부재바디(222)에서 절곡되어 그 끝단이 상기 부재바디(222) 내측에 위치된다.The second
즉, 상기 제 2 체크밸브부(228)의 끝단은 상기 걸림부(226)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at is, the end of the second
그래서 상기 제 1 체크밸브부(218) 및 제 2 체크밸브부(228)는 그 끝단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Therefore,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부재(230) 및 제 2 고정부재(240)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상기 제 1 고정부재(230) 또는 제 2 고정부재(240)는 상기 제 1 부재(210) 또는 제 2 부재(220) 내부에 삽입되고, 각 부재(210)(220)를 밸브바디(250)에 밀착시킨다. The
한편, 상기 밸브바디(250)의 외주에는 제3급수호스(131c)가 끼워진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water supply hose (131c)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alve body (250).
그리고 상기 제3급수호스(131c)에는 클램프(260)가 체결되어 상기 제3급수호스(131c)를 상기 밸브바디(250)에 고정시킨다. And a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부재(210)는 상기 밸브바디(250)의 일측에서 끼워지고, 제 2 부재(220)는 상기 밸브바디(250)의 타측에서 끼워진다. Referring to FIG. 7 , the
제 1 부재(210) 및 제 2 부재(2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부재(210) 및 제 2 부재(220) 사이에는 사이공간(201)이 형성된다. When the assembly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부재(210)에서 제 2 부재(220)로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제 1 체크밸브부(218) 및 제 2 체크밸브부(228)에 의해 유동이 억제된다. In this embodiment, wash water may flow from the
반대방향으로 유동이 형성되는 경우, 2개의 판이 서로 밀착되어 세탁수의 유동을 차단한다.
When the flow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two plat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block the flow of wash water.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듀얼체크밸브의 정면도이다. 8 is a front view of a dual check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체크밸브(300)는 Y 자 형태의 밸브바디(35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바디(350)의 각 단에 제 1 부재(210) 또는 제 2 부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다. 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제 1 부재(21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고, 1개의 제 2 부재(220)를 통해 세탁수를 토출시키도록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wash water is supplied through two
본 실시예와 달리 1개의 제 1 부재(21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고, 2개의 제 2 부재(220)를 통해 세탁수를 토출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on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밸브바디(350)는 T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체크밸브는 세탁수가 분지되거나 합지되는 구조에서 이중으로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ual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double wash water from flowing backward in a structure in which wash water is branched or laminated.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13: 구동부 114: 컨트롤패널
122: 터브 124: 드럼
128: 개스킷 132: 급수유닛
132a: 프리밸브 132b: 메인밸브
132c: 블리치밸브 132d: 스팀밸브
132e: 온수밸브 133: 세제박스
136: 펌프 137: 순환호스
138: 배수호스 139: 순환노즐
141: 제어부 151: 분사노즐
200 : 듀얼체크밸브 210 : 제 1 부재
211 : 밸브중공 212 : 부재바디
214 : 마찰부 216 : 걸림부
218 : 제 1 체크밸브부 220 : 제 2 부재
211 : 밸브중공 212 : 부재바디
214 : 마찰부 216 : 걸림부
218 : 제 1 체크밸브부 230 : 제 1 고정부재
240 : 제 2 고정부재 250 : 밸브바디113: driving unit 114: control panel
122: tub 124: drum
128: gasket 132: water supply unit
132a: pre-valve 132b: main valve
132c:
132e: hot water valve 133: detergent box
136: pump 137: circulation hose
138: drain hose 139: circulation nozzle
141: control unit 151: spray nozzle
200: dual check valve 210: first member
211: hollow valve 212: member body
214: friction part 216: engaging part
218: first check valve 220: second member
211: hollow valve 212: member body
214: friction part 216: engaging part
218: first check valve unit 230: first fixing member
240: second fixing member 250: valve body
Claims (10)
상기 호스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듀얼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체크밸브는:
일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세탁수가 토출되는 밸브바디;
일측이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유입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1 부재; 및
일측이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토출되고, 타측이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타측에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체크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타측에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밸브부를 구비하는 세탁기.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ose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It includes a dual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hose to prevent reverse flow of washing water,
The dual check valve is:
a valve body in which wash water is introduced to one side and 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a first member having one si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inside the valve body to prevent reverse 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A second member having one sid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to discharge washing water,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inside the valve body to prevent reverse flow of washing water;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unit for preventing the reverse flow of washing water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member is a washing machine having a second check valve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wash water on the other side.
상기 제 1 부재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1 밸브중공이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부재바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걸림되는 걸림부; 및
상기 부재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제1 마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크밸브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부재바디에서 연장된 2개의 판 끝이 뾰족하게 밀착되어 형성되는 세탁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ember
a member body having a first hollow valv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outsid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ember;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member and caught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and a first fric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body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friction force;
The first check valve unit is formed by sharply contacting the ends of two plates extending from the member body of the first member.
상기 제 2 부재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제2 밸브중공이 상기 제2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부재바디;
상기 제2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걸림되는 걸림부;
상기 부재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제2 마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크밸브부는 상기 제2 부재의 부재바디에서 절곡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 부재의 부재바디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부의 끝단은 상기 제2 부재의 걸림부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member
a member body having a second hollow valve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ember;
a lock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member and caught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a second fric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body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body to form a friction force,
The second check valve part is bent at the member body of the second member so that the end is located inside the member body of the second member,
The end of the second check valve part is formed to face the engaging part of the second member.
상기 제1 밸브중공을 통해 상기 제 1 부재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밸브바디에 밀착시키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member through the first hollow of the valve and attaches the first member to the valve body.
상기 제2 밸브중공을 통해 상기 제 2 부재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밸브바디에 밀착시키는 제 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a second fix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 through the second valve hollow and configured to attach the second member to the valv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5109A KR102348039B1 (en) | 2015-02-23 | 2015-02-23 |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25109A KR102348039B1 (en) | 2015-02-23 | 2015-02-23 |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02707A KR20160102707A (en) | 2016-08-31 |
| KR102348039B1 true KR102348039B1 (en) | 2022-01-05 |
Family
ID=568772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25109A Active KR102348039B1 (en) | 2015-02-23 | 2015-02-23 |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480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642625A (en) * | 2017-10-31 | 2018-01-30 | 樊旭 | A kind of use in washing machine one-in-and-two-out turns the sealing structure of water valve |
| KR102843458B1 (en) * | 2020-04-16 | 2025-08-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drying machine |
| KR102592654B1 (en) * | 2021-05-18 | 2023-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08506B1 (en) * | 2006-01-06 | 2012-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water pressure of wash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40007274A (en) * | 1992-09-04 | 1994-04-26 | 유은종 | Water supply valve device to prevent backflow of washing machine |
| TW457137B (en) | 1999-04-28 | 2001-10-01 | Sharp Kk | Washer having a partial washing apparatus |
-
2015
- 2015-02-23 KR KR1020150025109A patent/KR1023480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08506B1 (en) * | 2006-01-06 | 2012-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water pressure of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02707A (en) | 2016-08-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35873B1 (en) | Laundry machine | |
| AU2010313878B2 (en) |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 |
| EP2845941B1 (en) | Washing machine with supply nozzles | |
| JP5497903B2 (en) |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 |
| KR101600795B1 (en) |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 |
| KR102032278B1 (en) | Detergent mixer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same | |
| KR20190052995A (en) | Laundary treating apparatus | |
| KR101608657B1 (en) | Washing machine | |
| KR102206465B1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 KR20130125199A (en) | Laundry treatment machine | |
| KR102348039B1 (en) | Washing machine | |
| KR102592654B1 (en) | Washing machine | |
| KR102042216B1 (en) | A washing machine | |
| KR20110086421A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 |
| KR20100095933A (en)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 KR20110053081A (en) | Laundry method and washing machine | |
| KR102360871B1 (en) | Washing machine | |
| KR102322513B1 (en) | Washing machine | |
| KR102042217B1 (en) | A washing machine | |
| KR10247794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
| KR101095552B1 (en) | Washing machine | |
| KR20200001448A (en) | Washing machine | |
| KR101250548B1 (en) | Water circulation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 |
| KR102342116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a laundry | |
| JP2016182500A (en) |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