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595B1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4595B1 KR102354595B1 KR1020197017525A KR20197017525A KR102354595B1 KR 102354595 B1 KR102354595 B1 KR 102354595B1 KR 1020197017525 A KR1020197017525 A KR 1020197017525A KR 20197017525 A KR20197017525 A KR 20197017525A KR 102354595 B1 KR102354595 B1 KR 102354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sensing layer
- lines
- switch
- fingerpr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및 터치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는 터치센싱층과 지문감지층이 배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터치센싱모드에서 상기 윈도우(151a)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부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층 및 지문감지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센싱모드 및 지문감지모드에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Claims (19)
- 윈도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감지층;
특정 영역은 상기 지문감지층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센싱층;
상기 지문감지층은 상기 터치센싱층의 어느 일 라인과 같은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라인들, 및 상기 터치센싱층의 상기 일 라인과 같은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제2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지문정보를 처리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터치센싱층 및 상기 지문감지층에 의하여 감지된 터치입력을 처리하는 제2 회로기판;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지문감지층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지문감지층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지문감지층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라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4 스위치; 및
터치센싱모드에서 상기 윈도우 상에 인가되는 상기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 시키며, 지문감지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싱모드에서 상기 특정 영역 상에 인가되는 터치는 상기 터치입력을 감지되며,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제1 라인들은 그룹핑 되어 하나의 센싱라인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제4 스위치에서 분기된 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감지층의 상기 제1 라인들 중 일부와 상기 제2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정보가 획득되는 동안, 상기 지문감지층의 상기 제1 라인들과 상기 제2 회로기판을 단락하도록 상기 제3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센싱라인들은 Rx라인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윈도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문감지층;
특정 영역은 상기 지문감지층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센싱층;
상기 지문감지층과 연결되어 지문정보를 처리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터치센싱층과 연결되어 상기 터치센싱층에 의하여 감지된 터치입력을 처리하는 제2 회로기판;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싱층은 복수의 Rx라인 및 복수의 Tx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감지층은 복수의 Tx라인 및 복수의 Rx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감지층의 상기 복수의 Rx라인은 상기 터치센싱층의 복수의 Rx라인 중 일부와 중첩되는 제1 Rx라인 및 상기 복수의 Rx라인의 나머지인 제2 Rx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지문감지층의 복수의 Rx라인 각각은 상기 제1 회로기판과 연결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Rx라인과 상기 제1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일 단은 상기 제1 Rx라인과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제1 Rx라인과 제1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제4 스위치에서 분기된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제1 Rx라인들이 그룹핑 되어 하나의 센싱라인으로 동작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표시영역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며 제1 감지해상도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센싱층; 및
상기 터치센싱층의 일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터치센싱층 사이에 배치되며, 특정 영역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상기 제1 감지해상도 보다 높은 제2 감지해상도로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싱층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센싱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감지층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지문센싱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센싱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2 지문센싱라인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지문센싱라인은 상기 제2 센싱라인과 중첩되는 제1 라인들, 및 상기 제2 센싱라인과 중첩되지 않는 제2 라인들을 포함하고,
회로기판과 상기 제1 라인들을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일 단이 상기 제1 라인들과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제1 라인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제4 스위치에서 분기된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특정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영역에 손가락이 터치되는 것에 근거한 터치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영역의 제2 감지해상도가 상기 제1 감지해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지문감지층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제1 라인들은 그룹핑 되어 하나의 센싱라인으로 동작됨으로써, 상기 특정 영역의 제2 감지해상도가 상기 제1 감지해상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특정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 및 복수의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각 제1 라인이 상기 제1 지문센싱라인과 함께 지문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제1 라인을 각각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정보가 획득되는 동안, 상기 제1 센싱라인과 상기 제2 회로기판을 단락시키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하나의 제2 센싱라인의 일 영역 상에 중첩되는 상기 제1 라인들을 하나의 센싱라인으로 상기 제1 센싱라인과 함께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상기 제1 라인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문센싱라인 중 상기 제1 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라인에 연결된 제5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라인과 상기 제1 회로기판을 단락시키도록 상기 제5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센싱라인은 Rx라인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층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지문감지층이 배치되고,
상기 터치센싱층 및 상기 지문감지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터치센싱층으로부터 상기 지문감지층으로 전기장을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버 글래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글래스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홀 및 이에 충진되는 투광성 도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치센싱층의 Rx라인과 연장방향이 동일한 상기 지문감지층의 일부 라인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감지해상도로 특정 기능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센싱모드에서 상기 제2 감지해상도로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지문감지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모드에서 상기 특정 영역에 터치가 인가된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모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이 수신되지 않도록 상기 터치센싱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제어명령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인가된 터치입력에 근거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해당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감지층에 근거하여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인가된 터치에 근거하여 터치입력이 수신된 경우 및 상기 지문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7/000609 WO2018135675A1 (ko) | 2017-01-18 | 2017-01-18 | 전자장치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82933A KR20190082933A (ko) | 2019-07-10 |
| KR102354595B1 true KR102354595B1 (ko) | 2022-01-24 |
Family
ID=629088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7017525A Active KR102354595B1 (ko) | 2017-01-18 | 2017-01-18 | 전자장치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10976860B2 (ko) |
| KR (1) | KR102354595B1 (ko) |
| WO (1) | WO20181356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54884B1 (ko) * | 2016-12-28 | 202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장치 |
| CN108089756A (zh) * | 2017-12-29 | 2018-05-29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一种触控面板及其驱动控制方法、触控显示装置 |
| CN110096320B (zh) * | 2018-01-29 | 2023-09-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认证窗口的显示方法和装置 |
| KR20210091546A (ko) | 2020-01-14 | 2021-07-2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
| KR102865457B1 (ko) * | 2020-01-14 | 2025-09-29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
| CN111312774A (zh) * | 2020-02-25 | 2020-06-1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装置 |
| KR20250033463A (ko) * | 2023-08-30 | 2025-03-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NO20131423A1 (no) * | 2013-02-22 | 2014-08-25 | Idex Asa | Integrert fingeravtrykksensor |
| US10203816B2 (en) * | 2013-05-07 | 2019-02-12 | Egis Technology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FT fingerprint sensor |
| US9176614B2 (en) | 2013-05-28 | 2015-11-03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Adapative sensing component resolution based on touch location authentication |
| KR20150012384A (ko) * | 2013-07-25 | 2015-02-04 | 주식회사 솔루팜 |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 WO2016112727A1 (zh) | 2015-01-13 | 2016-07-21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触摸屏和指纹识别实现装置及终端设备 |
| KR102350727B1 (ko) * | 2015-01-29 | 2022-01-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 센서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
| KR102277453B1 (ko) * | 2015-02-05 | 2021-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KR102336492B1 (ko) * | 2015-05-28 | 2021-12-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2324659B1 (ko) * | 2015-05-29 | 2021-11-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구동방법 |
| TWI581152B (zh) * | 2016-01-20 | 2017-05-01 | Intelligent touch touch device | |
| KR102563736B1 (ko) * | 2016-04-08 | 2023-08-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 KR102518377B1 (ko) * | 2016-05-20 | 2023-04-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장치 |
| KR102635898B1 (ko) * | 2016-10-25 | 2024-02-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센서 일체형 터치 스크린 장치 |
| KR102254884B1 (ko) * | 2016-12-28 | 202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장치 |
| KR102356812B1 (ko) * | 2017-05-19 | 2022-01-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지문 감지가 가능한 전자장치 |
| KR102364418B1 (ko) * | 2017-07-11 | 2022-02-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지문 센서 일체형 터치 표시 장치 |
| JP2019067342A (ja) * | 2017-10-05 | 2019-04-25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センサ、及び表示装置 |
-
2017
- 2017-01-18 WO PCT/KR2017/000609 patent/WO2018135675A1/ko not_active Ceased
- 2017-01-18 US US16/478,688 patent/US10976860B2/en active Active
- 2017-01-18 KR KR1020197017525A patent/KR102354595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10976860B2 (en) | 2021-04-13 |
| WO2018135675A1 (ko) | 2018-07-26 |
| KR20190082933A (ko) | 2019-07-10 |
| US20200050360A1 (en) | 2020-02-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56812B1 (ko) | 지문 감지가 가능한 전자장치 | |
| KR102281133B1 (ko) |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 KR102329420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182401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254884B1 (ko) | 전자장치 | |
| KR10241493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205281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2354595B1 (ko) | 전자장치 | |
| KR20190025382A (ko) | 전자장치 | |
| KR102406557B1 (ko) |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 |
| KR102367889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228978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412849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2375521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2398834B1 (ko) | 이동단말기 | |
| US10567562B2 (en) | Mobile terminal | |
| KR102526492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2342558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 KR20160148401A (ko) | 이동 단말기 | |
| KR10169569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 KR1024123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기능 객체 정렬 방법 | |
| KR10160481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1576461B1 (ko) |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 KR2016003296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158215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