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76B1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Google Patents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2076B1 KR102362076B1 KR1020200006818A KR20200006818A KR102362076B1 KR 102362076 B1 KR102362076 B1 KR 102362076B1 KR 1020200006818 A KR1020200006818 A KR 1020200006818A KR 20200006818 A KR20200006818 A KR 20200006818A KR 102362076 B1 KR102362076 B1 KR 102362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opening
- latch
- damper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3213 extrap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메커니즘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방법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레버(300)와 푸셔(500)와 푸셔 구동부(600)가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한 후, 도어 개방 동작을 진행하기 위해 모터의 1회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턴스탑스위치의 변화와 개방감지스위치의 변화를 통해 도어 자동 개방 동작에 관여하는 각 부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mechanism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oking appliance or the user turns on the power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lever 300 and the pusher 500 ) and the pusher driving unit 600 executes a control to be align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after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 command, abnormalities in each part involved in the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through the change of the return stop switch and the change of the open detection switch that occur during one rotation of the motor to proceed with the door opening operation can check whe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와 그 도어의 작동 제어방법, 그리고 도어의 개방 속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n automatic opening structure is applied to automatically open a door,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ning speed of the door.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같은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의 조리실이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조리실 전방에 도어가 구비된다.A cooking appliance such as an oven or a microwave oven has an overall rectangular parallelepiped appearance, an inner cooking chamber is opened forward, and a doo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도어의 개방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힌지 연결된 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나 홈(groove)이 마련된 것이 대부분이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types of opening of the door, a method in which a hinged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it around a rotation axis is widely used. Most of these types of doors are provided with handles or grooves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최근에는 조리기기 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들에 구현된 도어의 자동 개방 방식은 도어의 폐쇄력을 부가하기 위해 도어에 가세된 탄성력을 이기며 도어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출력이 높은 구동부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cooking appliance door has been added. However, the automatic door opening method implemented i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use a driving unit having a high output because the door has to be opened while overcoming an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door to add a closing force of the door.
또한 종래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는 공간이 협소한 도어의 회전축 부근에 설치되어 구조 설계와 제조가 복잡하고, 조리실의 뜨거운 환경에 노출되어 오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 driving unit that provides an opening force for opening the door is installed near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with a narrow space, so the structure design and manufacture is complicated, and there are frequent cases of malfunction due to exposure to the hot environment of the cooking room.
특허문헌 1에는 스윙 도어의 래치를 캠으로 들어올려 개방을 해제하는 도어 자동 개방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스윙 도어의 래치는 도어의 일측에 상하 2개 구비되며, 이들 래치는 서로 연동한다. 즉 하나의 래치의 동작과 다른 래치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를 열어주는 캠은 두 래치 어느 하나의 래치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주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래치는 래치 홀더의 상부에 마련된 경사면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도어 개방 방식은 래치가 상호 연동되는 구조를 가짐을 전제한 것이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어느 하나의 래치를 들어올리면 다른 하나의 래치가 이에 연동하여 들어올려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단순히 어느 하나의 래치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래치가 본체의 걸림턱을 넘어가도록 하기만 하면 도어가 개방된다.However, the door opening method of
일반적으로 스윙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래치는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하기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풀 다운(pull down) 방식의 도어 구조가 적용된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에 각각 마련된 래치는, 스윙 도어와 대비하여, 두 래치의 설치 거리가 매우 멀어 이들을 연동시키는 구조를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고, 두 래치를 연동시킬 경우 도어의 전자파 누설 구조와 본체의 전자파 누설 구조를 모두 재설계 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도어 자동 개방 구조는 풀 다운 방식의 도어에 적용하기 어렵다. In general, there is no difficulty in configuring the latch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wing door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However, in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a pull-down type door structure is applied, the latches provided on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of the door are very far apart compared to the swing door, so it is difficult to apply a structure that interlocks them. In case of interlocking the two latches, it is difficult to redesign both the electromagnetic wave leakage structure of the door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leakage structure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 automatic door opening structure of
이런 연유로, 종래의 풀 다운 도어의 자동 개방 구조는 좌측의 래치와 우측의 래치를 각각 들어올리는 구조를 본체의 양쪽에 모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풀 다운 방식의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는 스윙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조리기기에 비해, 본체의 양측면 쪽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 아울러 양 쪽의 래치가 동시에 들어올려져서 걸림 해제되지 않으면,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the pull-down door, a structure for lifting the left latch and the right latch, respectively, had to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wever, in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pull-down door, the spac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is insufficient compared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wing-type door. In addition, if the latches on both sides are lifted at the same time and not released, the automatic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not performed smoothly.
한편 특허문헌 1의 도어 개방 방식은 래치를 들어올리는 힘을 캠의 동작으로 구현하는데, 캠이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직결되어 있고, 캠의 원주 방향을 따라 5개의 곡면 프로파일이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캠의 구동력 확보를 위해 그만큼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필요하거나, 감속기 설치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계는 매우 무거울 수밖에 없다. 무거운 구동계는 그만큼 관성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캠의 프로파일이 스위치를 누른다 하더라도 캠이 즉각적으로 그 위치에서 멈추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opening method of
캠이 정위치에 정지되지 않으면 도어를 닫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어를 닫아 래치가 래치 홀더에 들어오더라도 래치의 후크 하단부가 캠을 누르는 힘이 무거운 구동계를 회전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래치가 래치 홀더에 완전히 안착되지 못하고, 불완전하게 걸쳐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는 도어 닫힘을 감지한 센서의 오감지를 유발하고, 조리기기는 도어가 정확히 닫히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작동하지 않게 된다.If the cam is not stopped in place, problems will occur when closing the door.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latch enters the latch holder, the lower part of the hook of the latch cannot rotate the heavy drive system with the force that presses the cam. Accordingly, the latch is not fully seated in the latch holder, and remains incompletely hung. This causes a false sense of the sensor detecting the door closing, and the cooking appliance recognizes that the door is not correctly closed and does not operate.
한편 위와 같은 도어의 자동 개방 기능들은 대부분 모터와, 이에 의해 회전하는 캠을 포함하고, 모터의 회전 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캠에 의해 눌리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automatic opening functions of the door include a motor and a cam rotated thereby, and a micro switch pressed by the cam to control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motor.
특허문헌 2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잠금부재)를 구비하는 도어 자동 개방 메커니즘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오븐 도어 잠금부재가 적절한 잠김 또는 잠김 해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오븐 도어 잠금부재가 적정 위치에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모니터링 장치는 잠금부재가 정 위치에 오도록 모터에 반복적으로 펄스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나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동을 감안할 수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식의 제어 메커니즘은 한 번의 펄스 신호 후 잠금부재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since variations 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canno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above metho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may not be constant after one pulse signal.
또한 위와 같은 방식은, 신호를 연속적으로 보내어 잠금부재의 정 위치 제어가 한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펄스 신호를 수회에 걸쳐 인가해야 하는 방식이므로, 신호 사이의 간격이 많이 발생하여, 고장을 감지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in the above method, the position control of the lock member is not performed at once by sending a signal continuously, but a pulse signal must be applied several times. It's bound to take more
아울러 위와 같은 방식의 고장 감지 방식은, 잠금부재의 작동과는 별도의 절차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잠금부재의 작동을 위한 입력 전원과, 잠금부재의 고장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펄스 전원이 별도로 운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제품 전원 제어를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failure detection method of the above method proceeds as a separate procedure from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Therefore, the input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pulse power required for detecting the failure of the locking member should be operated separately. This method makes the product power control complicated.
한편, 풀 다운 방식의 도어가 잠금 해제된 뒤 도어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는 경우, 도어의 개방각이 커짐에 따라 도어의 개방력도 점점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도어의 개방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힌지모듈은 도어의 개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와, 도어의 개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감쇠력을 가하는 구조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by its own weight after the pull-down type door is unlocked,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gradually increase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However, the conventional hinge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speed of the door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and a structure in which a damping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이러한 종래의 힌지모듈 구조는, 대부분 사람이 도어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어를 열 때 사람이 도어의 자중을 심하게 느끼지 않는 정도에서 탄성력과 감쇠력이 설계되었다. 그러나 도어가 폐쇄각에서 완전개방각까지 자동으로 열리는 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설계방식으로는 도어의 개방속도를 제어하기가 어렵다.In most of the conventional hinge module structures, the elastic force and damping force are desig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person does not feel the weight of the door severely when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person grips the door. 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oor automatically opens from the closing angle to the fully open angl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opening speed of the door in the conventional design method.
가령 도어의 개방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의 감쇠력을 높이면, 초기의 개방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초기의 개방속도를 높이기 위해 감쇠력을 낮추면, 도어의 개방각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개방력이 감쇠력을 압도하여 도어가 너무 세게 열려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example, if the damping force of the door is increased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opening speed of the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itial opening speed is excessively slow. On the other hand, if the damping force is lowered to increase the initial opening speed, the opening force, which is increased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overwhelms the damping force, and the door is opened too strong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 래치가 독립적으로 거동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구조가 어느 한 쪽 래치에 적용되더라도 도어의 자동 개방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even if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latches act independently is applied to either latch. intended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저출력의 구동부로도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even with a low-output driv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의 뜨거운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자동 개방 동작의 신뢰성이 보장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reliability of an automatic opening operation is guaranteed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the hot environment of the cooking chamber.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열어주기 위한 구조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깔끔한 미관을 제공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provides a neat appearance because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될수록 도어의 개방력이 더욱 커지는 도어의 자동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개방 속도를 충분히 제어할 수 있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controlling the opening speed of a door in an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a door in which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increases as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될수록 도어의 개방력이 더욱 커지는 도어의 자동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개방 초기에도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어 가는 시점에서도 도어가 제어된 속도로 천천히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the door, in which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increases as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opened smoothly even at the initial stage of opening, and the door is slowly opened at a controlled speed even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comple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복적인 펄스 신호 대신 조리기기에 통상적으로 입력되는 전원(연속적인 구형파 교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여 신호를 연속적으로 인가하여 모터를 구동하면서도, 모터 및 그 관련 구동부가 정 위치에 있음이 보장되는 조리기기의 자동 개방 도어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ower (continuous square wave AC power) normally input to the cooking appliance instead of the repetitive pulse signal as it is and continuously applies the signal to drive the motor while driving the motor and i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utomatic opening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a related driving unit is guaranteed to be in the correct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장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모터를 구동하지 않고 통상적인 입력 신호를 사용하면서도, 소정의 시간 동안 스위치와 같은 모니터링 장치의 감지 신호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작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자동 개방 도어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a separate failure detection signal to check the detection signal of a monitoring device such as a switch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using a normal input signal without driving the moto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opening door ope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that can monitor the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자동 개방 작동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도어의 자동 개방 메커니즘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 개방 도어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opening door operation that can quickly check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in an automatic opening mechanism of the door while the automatic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풀 다운 방식의 도어 자동 개방 동작에 있어서, 도어의 초기 개방 속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도어의 말기 개방 속도의 증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도어 개방 속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final opening speed of the door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initial opening speed of the door in the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of the pull-down method. do.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캐비티)을 구비하는 본체(710)와, 상기 조리실(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하강 개방되는 구조이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스프링(823)에 의해 탄성 가세되는 풀 다운 방식의 조리기기(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구조는, 상기 도어(720)가 상기 본체(710)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본체(710)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도어(720)에 마련된 수평의 피봇축(2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래치(200)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7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200)가 마련된 위치와 대응하는 본체(710) 부분에는, 상기 래치(200)와 걸려 상기 도어(7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래치(200)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도어(720)가 개방되도록 하는 래치 홀더(10)가 구비되는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automatic door open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urface of th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래치 홀더(10)의 내부에, 상기 래치 홀더(10) 내부의 후크 수용공간(180)에 인입된 래치(200)를 도어(720)의 개방 방향으로 밀어내는 레버(300)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300)를 이용하여 래치(200)가 래치 홀더(10)에서 걸림 해제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이를 위해 상기 레버(300)는 상기 래치(200)를 들어올리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밀어낸다. 상기 도어(720)는, 상기 레버(300)에 의해 약간 개방된 각도(a1)에서, 상기 도어(720)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려는 힘이 상기 스프링(823)의 가세력보다 더 커서, 상기 도어(720)가 자중에 의해 개방된다.To this end, the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레버(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어의 자동 개방 구조를 적용하더라도 그러한 구조가 외부로 보이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고, 품질 감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또한 도어(7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도어(720)를 완전 개방되는 위치까지 구동할 필요 없이, 도어(720)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자동 개방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여기서 상기 래치(200)는 도어(720)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두 래치(200)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며, 상기 레버(300)는 두 래치(200)의 래치 홀더(10) 중 어느 한 래치 홀더(10)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두 래치 중 어느 한 래치를 밀어내는 동작만으로도 두 래치가 모두 걸림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도어가 자중에 의해 아무런 감쇠 없이 하방으로 열리면,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와 본체의 연결 부위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If the door is opened downward without any damping by its own weight,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door or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door and the body.
이에, 본 발명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방각(a1)보다 더 큰 개방각(a2)에서 완전 개방각(a3)까지, 상기 도어(720)가 개방되는 방향에 대해 그 반대방향으로 감쇠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상기 감쇠력이 작용하기 시작하는 개방각(a2)은 30° 이상 40° 이하가 되도록 하여 충분히 감쇠력을 받아 도어가 천천히 열리도록 하면서도, 도어가 너무 천천히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 angle a2 at which the damping force starts to act may be set to be 30° or more and 40° or less to receive sufficient damping force to allow the door to be opened slowly, while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too slowly.
상기 도어의 일측 하단부와 타측 하단부에 각각 힌지모듈(8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힌지모듈은 감쇠돌입각(a2)이 30° 이상 40° 이하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힌지모듈은 감쇠돌입각(a2')이 60° 이상 80° 이하일 수 있다.A
즉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는 도어의 개방각이 감쇠돌입각(a2)에 이르렀을 때 감쇠에 돌입하고,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는 도어의 개방각이 상기 감쇠돌입각(a2)보다 더 큰 추가 감쇠돌입각(a2')에 이르렀을 때 감쇠에 돌입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힌지모듈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본체(710)에 고정된 하우징(810); 상기 하우징(810)에 개폐회전축(8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720)에 고정되는 도어 바(840); 상기 도어 바(840)에 도어 바 연결힌지(83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8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너링크하우징(830); 및 피스톤(851)과 실린더(852)를 포함하고, 피스톤과 실린더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8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odule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도어 바 연결힌지(831)는 상기 개폐회전축(814)에 대해 소정의 거리(r, r')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그리고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전진함에 따라 함께 전진하고,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전진함에 따라 함께 전진하다가 소정의 거리(d2, d2')만큼 전진한 뒤에는 하우징(810)에 의해 간섭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아니할 수 있다.And any one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소정의 거리(d2)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소정의 거리(d2')보다 더 짧도록 하여, 두 힌지모듈의 감쇠돌입각(a2, a2')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d2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d2'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the damping intrusion angle of the two hinge modules (a2, a2')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850)는,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853)과, 상기 하우징(810)에 설치되고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댐퍼 지지핀(813)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거리(d2, d2')가 상기 슬롯(85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도어 바 연결힌지(831)와 개폐회전축(814) 사이의 거리(r)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도어 바 연결힌지(831)와 개폐회전축(814) 사이의 거리(r')보다 더 멀도록 설정할 수 있다.Next, the distance (r) between the door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르면, 동일한 도어의 개방각에 대응하는 이너링크하우징(830)의 이동거리가 달라지게 되는바, 이러한 기구학적 구조를 활용하여 두 힌지모듈의 감쇠돌입각(a2, a2')을 서로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물론, 두 힌지모듈의 슬롯(853)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 방법과, 두 힌지모듈의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를 서로 다르게 하는 방법을 혼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ix a method of making the lengths of the
한편 동일한 도어의 개방각에 대해,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의 스트로크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의 스트로크가 서로 다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구현한 일 예로서, 앞서 설명한 힌지모듈의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 조절 방안이 예시될 수 있다.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gle of the same door, the stroke of the
동일한 도어의 개방각에 대해 댐퍼의 스트로크가 각각 다르면, 두 힌지모듈에 동일한 댐퍼를 사용하더라도, 각각의 힌지모듈이 도어에 가하는 감쇠력을 서로 달리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의 감쇠계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동일한 도어의 개방각에 대해 댐퍼의 스트로크에 차이를 두어 서로 다른 시점에 적용되는 감쇠력(Fd1, Fd2)을 서로 달리 조절할 수 있다.한편, 상기 감쇠력은 상기 도어의 최대 개방각(a3)보다 0° ~ 5° 전에 해제되도록 하여, 도어가 불완전하게 개방되지 않고 완전히 개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f the strokes of the dampers are different for the opening angle of the same door, even if the same damper is used for both hinge modules, the damping force applied to the door by each hinge modul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even if the damping coefficients of the
상기 래치(200)는, 도어로부터 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바(220)와, 상기 래치바(220)의 단부에서 하향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후크부(2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래치(200)는, 상기 후크부(230)가 하향하는 방향으로 가세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230)에서 도어와 가까이 마주하는 이면에는, 후크부(230)의 하단부에서 래치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이면경사면(231)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7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이면경사면(231)은 상기 래치 홀더(10)의 내경사면(112)과 간섭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상기 내경사면(112)은, 상기 이면경사면(231)과 대응하도록, 본체에서 도어 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래치 홀더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The inner
레버(300)가 단순히 래치(200)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는 래치(200)가 래치 홀더에서 걸림 해제되어 빠져나가도록 할 수 없다. 래치(200)는 상기 레버(30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동안,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밀려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상기 레버(300)는, 상기 래치(200)를 전방과 상방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래치(200)는, 상기 래치를 걸어주던 구조를 넘어서서 래치 홀더 바깥쪽으로 이탈할 수 있다.The
상기 레버(300)에는 상기 래치(200)와 접하는 푸쉬부(330)가 구비되고, 상기 푸쉬부(330)는 상기 레버(300)의 회전중심보다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부(330)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 상부를 향하는 법선을 가지는 밀어올림경사면(333)이 구비되고,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대응하여, 상기 래치(200)의 선단 하부에는, 후방 하부를 향하는 법선을 가지고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과 접하는 선단하부경사면(23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200)의 상부 선단에는 도어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의 상부경사면(221)이 마련될 수 있다.Correspondingly, at the lower end of the tip of the
상기 래치 홀더(10)의 전방에는 상기 래치(200)가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통로가 되는 래치 입출공(110)이 마련된다.A latch entry/
만약 래치(200)가 레버에 의해 전방 상부로 들어올려지며 래치 홀더로부터 밀려나가는 과정에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간섭이 발생하여 도어가 열리는 것이 어느 정도 저지됨으로 인해 래치(200)의 윗면이 래치 입출공(110)의 천장면에 닿아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상기 레버(300)가 래치(200)를 계속 전방으로 밀면서 들어올리는 동작이 계속되도록 하면, 상기 래치(200)의 상부면이 상기 천장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래치(200)는 결국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도어를 밀어낼 수 있게 된다.If the
즉 상기 래치(200)의 상부 선단에 마련된 상부경사면(221)은, 래치(200)가 레버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 입출공(110)의 천장면인 상부벽면(113)에 접한 후 개방 방향으로 접동하게 됨으로써, 레버(300)가 래치(200)를 밀어내는 힘이 부드럽게 도어까지 잘 전달되도록 해준다.That is, the upper
상기 레버(300)에 의해 상기 래치(200)가 걸림 해제되어 개방 방향으로 밀려난 후, 상기 래치(200)는, 탄성에 의해, 상기 래치 홀더(10)의 전방에 마련된 래치 입출공(110)의 바닥에 마련된 외경사면(111)에 안착된다. 상기 외경사면(111)은 상기 본체에서 도어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를 구비하므로,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래치(200)가 도어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오히려 래치(200)가 하강하는 힘이 외경사면(111)과 상호작용하여 도어를 더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된다.After the
상술한 도어 개방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래치 홀더는, 래치 홀더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홀더바디(100); 상기 홀더바디(100)의 전방에 마련되고, 래치(200)가 드나드는 통로가 되는 래치 입출공(110); 상기 래치 입출공(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외경사면(111); 및 상기 래치 입출공(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벽면(113); 상기 래치 입출공(11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레버 지지부(120); 상기 래치 입출공(110)과 레버 지지부(120) 사이에 마련되는 후크 수용공간(180); 상기 레버 지지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선단부에 마련된 푸쉬부(330)가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의 하부에 수용되는 레버(300); 상기 레버(300)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레버 지지부(120)를 회동시키는 푸셔(500); 및 상기 푸셔(500)를 구동시키는 푸셔 구동부(600);를 포함한다.The latch holder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door opening mechanism includes a
상기 푸쉬부(330)는, 상기 레버(300)의 선단부에 마련된 내삽부재(331)와, 상기 내삽부재(331)에 외삽되는 외삽부재(332)를 포함하고, 상기 외삽부재(332)가 상기 래치(200)와 접동하며 상기 래치(200)를 상기 도어(720)의 개방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그리하여 외삽부재(332)와 그 외의 레버(300)를 이종 재질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구성이 발휘해야 하는 성능에 맞는 재질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상기 외삽부재(332)는 상기 내삽부재(331)보다 내마모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적은 윤활성 표면을 가지는 수지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레버 지지부(120)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래치 입출공(110)을 통해 상기 래치 홀더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면부(123)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래치 홀더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한다.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레버(300)는, 상기 레버 지지부(120)의 제2측면에 마련된 제2레버지지축부(1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레버 지지부(120)의 제2측면에 인접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레버 지지부(120)에 힌지 결합되는 축부(310)와, 상기 축부(3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작용부(320)를 구비한다.The
레버(300)는 상기 차폐면부(123)를 우회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푸쉬부(330)는 상기 작용부(320)의 선단부에서 제1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상기 차폐면부(123)는 레버 입출공(110)에 대해 측방으로 오프셋 배치되도록 하여, 푸쉬부(330)가 차폐면부(123)를 위회하여 설치되더라도, 푸쉬부(330)가 레버(300)의 작용부(320)로부터 측방으로 편심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shielding
상기 푸쉬부(330)는: 윗면(334), 상기 윗면(334)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윗면(334)보다 더 전방까지 연장되는 저면(335), 상기 윗면(334)의 전방 단부와 저면(335)의 전방 단부가 경사지도록 연결된 밀어올림경사면(333) 및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푸쉬부(330)에서 가장 전방으로 돌출된 밀어냄부(336)를 더 구비한다.The
상기 레버(300)가 회동하여 상기 푸쉬부(330)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에 수용되어 걸려 있던 래치(200)는 상기 윗면(334)과 밀어올림경사면(333)의 경계 부근에서 시작하여 밀어올림경사면(333)의 하단부까지 접동하며 상기 레버(300)로부터 힘을 받아 들어올리게 된다.As the
상기 푸쉬부(330)는 상기 레버(300)의 회전중심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30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밀어냄부(336)는 상기 레버(300)의 회전 중심과 대응하는 높이 이상의 높이까지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상기 푸쉬부(330)는 상기 레버(300)를 상방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The
상기 레버(300)는, 상기 레버(300)의 회전 중심에서 연장되고,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레버(300)를 회동시키는 힘을 받는 힘점부(3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힘점부(340)와 상기 홀더바디(100)는, 상기 푸쉬부(330)가 내려가는 방향으로 상기 힘점부(340)를 가세하는 리턴스프링(630)에 의해 연결된다.The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의 하부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00)가 설치되고,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는 상기 푸쉬부(33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후크 수용공간(180)에 래치가 인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리턴스프링(630)에 의해 하강한 푸쉬부(330)는 상기 트리거(420)를 누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푸쉬부(330)가 단독으로 개방감지스위치(400)를 눌러 조리기기가 오작동하지 않도록 한다.An
상기 힘점부(340)는, 푸셔(500)에 의해, 상기 리턴스프링의 가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푸셔(500)가 힘점부(340)를 가압하면, 그 힘은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을 이기며 상기 힘점부(340)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레버(300)가 회동하여 푸쉬부(330)가 래치(200)를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푸셔(500)가 복귀하면 레버(300)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상기 푸셔(500)는: 모터(6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520)과; 상기 회전판(520)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판(520)이 회전함에 따라 선회함으로써, 상기 힘점부(340)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푸셔캠(540);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판(520)이 회전하는 변위에 따라, 상기 푸셔캠(540)이 레버를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게 된다.The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판(520)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판(520)이 회전함에 따라 선회하더라도 상기 레버(300)와 만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누름돌기(530)가 더 마련되고, 상기 푸셔(500) 부근에는, 상기 회전판(520)이 회전하여 상기 누름돌기(530)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눌리고, 상기 소정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는 눌리지 않는 트리거(622)를 구비하는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설치되어, 회전판(520)의 회전과 정지 지점을 제어할 수 있다.The rotary plate has a
가령,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의 트리거(622)가 눌릴 때 상기 푸셔(500)를 구동하는 푸셔 구동부(600)가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푸셔의 작동이 정확히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개방 도어 작동 제어방법은,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710)와, 상술한 조리기기의 자동 개방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utomatic opening door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applied to the
본 발명의 자동 개방 도어 작동 제어방법은,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레버(300)와 푸셔(500)와 푸셔 구동부(600)가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제어를 실행한다.The automatic opening door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oking device or the user turns on the power of the cooking device, the
가령 모터(610)와 연결된 푸셔(500)는 푸셔가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누르고 있는 상태, 즉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 개방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모터(610)가 푸셔(500)를 움직이도록 한 후, 푸셔(500)가 다시 리턴스탑스위치를 누르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조리기기의 초기 기동(전원 공급 시작, 전원 버튼 누름 등) 시, 상기 푸셔(500)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푸셔(500)가 정위치에 있도록 정렬하기 위해, 조리기기가 기동되었을 때 상기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모터(610)에 전원을 공급하여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를 누를 때까지 모터(610)를 회전시킨다. 모터(610)가 회전하여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를 누르면,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은 차단된다.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initially started (power supply starts, power button is pressed, etc.), the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은 조리기기에 공급되는 전원, 즉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은 펄스 형태나 간헐적인 형태가 아니라, 연속적인 형태로 공급된다.Power supplied to the motor may be power supplied to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AC power. In addition, the power is supplied in a continuous form, not in a pulse form or an intermittent form.
래치 홀더의 모터에 연속적인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구동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위와 같은 초기 정 위치 정렬은 매우 의미가 있는 구동 제어이다.In applying the motor driving method of continuousl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of the latch holder, the above initial in-place alignment is a very meaningful driving control.
본 발명의 래치 홀더 구동 원리에 따르면, 도어의 자동 개방 제어를 위해 푸셔(500)의 정확한 위치 파악 및 정렬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어 방안에서는,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기간, 리턴스탑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그리고 개방감지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으로,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가 실제 회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가 없더라도, 푸셔의 정 위치 제어와 도어 자동 개방 제어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latch holder driv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positioning and alignment of the
상술한 래치 홀더는, 래치(200)가 래치 홀더(10) 내에 수용되어 걸림 상태가 되었을 때, 래치의 후크부(230)가 레버(30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누르는 위치까지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latch holder, when the
따라서 도어가 정확히 닫혀 있다면, 래치 홀더(10) 내의 푸셔(500)는 초기 정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door is correctly closed, the
조리기기의 초기 기동 시점에, 도어는 닫혀 있거나 열려 있을 수 있으며, 도어가 열려 있다 하더라도, 정전 등의 사유로 푸셔(500)가 정 위치에 있지 않고 리턴스탑스위치를 누르는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 있을 수 있다.At the initial start-up tim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door may be closed or open, and even if the door is open, the
이에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초기 기동 시, 푸셔(500)를 정렬하는 제어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방법은, 조리기기의 전원을 켰을 때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오프 상태인 경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시간(t0)이 경과한 뒤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온 상태로 전환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제1단계로 돌아가는 제4-1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o align the
위와 같은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면, 조리기기의 초기 기동 시점에, 푸셔(500)를 정 위치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above control algorithm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align the
한편, 상기 제3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계속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된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리턴스탑스위치나 모터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턴스탑스위치 또는 모터의 고장을 알림을 알리기 위한 제4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고 조리기기를 중단시키는 제4-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step, there is a case in which it is confirmed that the
물론 상기 제1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620)가 온 상태임이 확인된 경우에는, 이미 푸셔(500)가 정 위치에 있으므로, 푸셔(500)의 정 위치 정렬 제어가 필요 없다. 오히려 푸셔(500)가 정 위치에 있음에도 위와 같은 정렬을 하게 되면, 닫혀 있던 도어가 열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Of course, when it is confirmed in the first step that the
본 발명의 래치 홀더에 따르면,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레버와 푸셔의 연동 구조에 의해 푸셔가 정 위치에 있음이 예정되는바, 조리기기의 초기 기동 시 리턴스탑스위치가 눌려 있음이 확인되면 굳이 정렬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latch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closed, the pusher is expected to be in the correct position by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lever and the pusher. There is no need to sort.
위와 같은 푸셔(500)의 초기 정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사용자가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가 기동된 후, 상기 제어부는 지속적으로 리턴스탑스위치와 개방감지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 그리고 모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When the initial position alignment of the
푸셔(500)의 정 위치 제어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던, 처음부터 푸셔(500)가 정 위치에 있었음이 확인되어 정 위치 제어를 하지 않았던 상관 없이, 제1단계에서 푸셔(500)가 정 위치에 있음이 확인되고, 사용자가 도어 오픈 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대기하는 제5단계에 진입한 뒤, 사용자의 도어 오픈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도어 자동 개방 동작을 위한 제어에 돌입한다.When the procedur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5단계에서 사용자의 도어 오픈 명령이 입력된 경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제6단계를 거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door open command is input in the fifth step, a sixth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checking whether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s performed.
제6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제7단계를 거친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step 6,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or is operating normally. In this cas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seventh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turned off is performed.
만약 제7단계에서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레버가 래치를 정상적으로 밀어내어 래치가 래치 홀더로부터 걸림 해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제8단계를 거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7 that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turned off, the lever normally pushes the latch,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atch is released from the latch holder. In this case, an eighth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return stop switch is turned on is performed.
만약 제8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리턴스탑스위치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1단계로 돌아가는 제9-1단계를 거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8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turned 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also operating normally. In this case, step 9-1 returns to the first step.
이처럼 위 제6단계, 제7단계, 제8단계 및 제9-1단계는, 모니터링 신호(리턴스탑스위치 신호, 개방감지스위치 신호, 모터의 전원 공급 기간)를 통해, 모터의 정상 작동과 도어의 정상적인 개방동작(래치의 걸림해제)과 리턴스탑스위치의 정상 작동이 모두 확인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는 단계라 할 수 있다.As such, in the above 6th, 7th, 8th and 9-1 step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door This can be said to be a step that can be made when both the normal opening operation (release of the latch)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return stop switch are confirmed.
상기 제6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모터가 움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모터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지만,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었음에도 모터가 움직이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모터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f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the sixth step,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otor has moved when power is supplied,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is normal, but the return stop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on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or does not move even though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motor.
그리고, 상기 제6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지만 소정 시간(모터에 의해 푸셔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푸셔가 정 위치로 복귀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지나도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모터가 정상적으로 움직이고 있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였으므로 모터와 리턴스탑스위치는 정상 작동 중임을 확인할 수 있고, 래치가 래치 홀더에서 이탈하지 못하는 등 도어 개방 동작 내지 래치 동작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And, although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the sixth step, the return stop switch remains in the on stat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amount of time that the pusher is operated by the motor and the pusher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has elapsed.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OFF state without switchi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or and return stop switch are operating normally because the motor is operating normally and the return stop switch has detected this, and the door opening operation such as the latch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latch hold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latch operation.
다음으로 제6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후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로 전환되었음에도, 소정의 시간(모터에 의해 푸셔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푸셔가 정 위치로 복귀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지나도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모터는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고 이에 따라 래치도 래치 홀더에서 정상적으로 걸림 해제되었지만, 원 위치된 푸셔를 리턴스탑스위치가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Next, even after the return stop switch is turned off in step 6 and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turned off, a predetermined time (the amount of time for which the pusher is operated by the motor and the pusher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 if the return stop switch remains off, the motor is operating smoothly and the latch is also normally released from the latch holder,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did not detect the original push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return stop switch.
또한 제6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온 상태를 유지함에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로 전환된 경우, 모터는 정상적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래치도 걸림 해제되었지만, 모터와 푸셔가 정상적으로 움직여서 푸셔가 리턴스탑스위치를 누르지 않는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though the return stop switch does not switch to the off state in step 6 and maintains the on state, if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motor operates normally, and the latch is released according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does not detect this even though the pusher is in a position where the return stop switch is not pressed because the motor and the pusher move normally, and accordingl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turn stop switch.
이러한 알고리즘과 시퀀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se algorithms and sequenc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사용자의 개방 명령 입력에 따라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이 확인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한 뒤, 상기 제8단계에서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리턴스탑스위치의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알리는 제2 에러 신호를 발생시킨 후 조리기기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After it is confirmed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user's open command input an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t is confirmed that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in the off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in step 8, the return stop When the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n state and maintained in the off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abnormal, and a second error signal is generated to inform this,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terminated.
그리고, 사용자의 개방 명령 입력에 따라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이 확인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래치 동작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알리는 제1 에러 신호를 발생시킨 후 조리기기의 작동을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user's open command input, and after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ff state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maintains the on state. In this case, after determin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latch operation and generating a first error signal indicating this,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terminated.
그리고, 사용자의 개방 명령 입력에 따라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온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 모터나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음을 예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user's open command inpu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without being switched to the off stat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and may generate an error signal accordingly.
모터나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은 순서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판단은 소정의 시간(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면 모터가 회전하여 푸셔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레버가 래치를 래치 홀더로부터 밀어낼 수 있응ㄹ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 도어가 닫혀 있어서 온 상태로 있던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진행할 수 있다.It is determined in the following order as to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either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Such judgment is made afte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motor operates normally, the motor rotates to operate the pusher and accordingly the lever can push the latch out of the latch holder), the door is closed and returned to the ON state. You can proceed by checking whether the existing open det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6단계에서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할 때 도어가 닫혀 있어 상기 개방감지스위치가 온 상태였던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는 제12단계를 마련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xth step,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in the on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Prepare the 12th step of verification.
상기 제12단계에서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음이 확인된 경우, 모터는 정상적이고 리턴감지스위치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턴감시스위치의 이상을 알리는 제2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3-1단계를 거칠 수 있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step 1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or is normal and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turn detection switch, and accordingly, a second error signal notifying the abnormality of the return detection switch is generated Step 13-1 may be followed.
반면 상기 제12단계에서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아니하고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된 경우에는, 모터가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터의 이상을 알리는 제3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3-2단계를 거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in step 12 that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ff state and maintained in the on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is abnormal, and accordingly, a third error signal notifying the abnormality of the motor is generated. It may go through step 13-2.
물론 위와 같이 모터나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디에 이상이 있었는지 판단할 때에는 도어가 닫혀 있다가 정상적으로 열리는지를 참조하므로,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때부터 이미 개방감시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모터와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바, 이 때는 모터와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4 에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Of course, as above, whe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it refers to whether the door is normally opened after being closed. ),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either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서로 독립적으로 거동하는 한 쌍의 래치가 설치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구조가 어느 일측 래치 홀더에 적용된 레버의 설치와 구동만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래치의 연동 구조 없이도, 그리고 두 래치의 개방 구조 없이도 도어의 자동 개방이 가능한바, 도어의 설계가 단순하고, 조리기기의 캐비티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provided with a pair of latches that ac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an be implemented simply by installing and driving a lever applied to a latch holder on either side. Accordingly,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without an interlocking structure of a pair of latches or an opening structure of the two latches, so the design of the door is simple and the cavity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further secured.
또한 본 발명은 레버를 사용하여 도어 개방력을 증폭시키고, 자중에 의해 도어가 저절로 열리도록 하는 위치까지만 도어를 초기 개방하면 족하므로, 저출력의 구동부로도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mplifies the door opening force using a lever, and since it is sufficient to initially open the door only to a position where the door is opened by its own weight by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even with a low-output driving unit. .
또한 본 발명은 구동계 자체가 가볍기 때문에, 도어를 닫아 래치가 래치 홀더에 수용되었을 때, 레버와 푸셔가 정위치에서 약간 어긋나 있더라도 래치가 레버를 누르는 힘에 의해 레버와 푸셔가 정위치로 재정렬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도어 닫힘 동작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system itself is l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latch is accommodated in the latch holder, even if the lever and the pusher are slightly shifted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lever and the pusher are realig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force that the latch presses on the lever possible, and accordingly, the door closing operation may also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자동 개방 구조는 조리실의 뜨거운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됨은 물론, 그 구성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의 우려가 없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not affected by the hot environment of the cooking chamber and its componen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no fear of malfunction and a neat appearance can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는, 도어가 개방될수록 도어의 개방력이 더욱 커지는 도어의 자동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개방 초기에도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어 가는 시점에서도 도어가 제어된 속도로 천천히 개방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을 충분히 제어하여 부드럽게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the door in which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increases as the door is opened, the opening is smoothly performed even at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and even at the tim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completed. Since the door can be opened slowly at a controlled speed, it can be implemented smoothly by sufficiently controlling the automatic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as a who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공급되는 통상적인 연속 교류 전원 외에 다른 형태의 전원을 생성하여 모터에 공급할 필요 없이, 통상적인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면서도, 모터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인 리턴스탑스위치와, 도어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인 개방감지스위치의 신호만으로도,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의 각 구성의 오류나 이상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모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나, 래치가 래치 홀더에서 정 위치를 제대로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별도의 센서 없이도, 자동 개방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the automatic door opening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generate and supply other types of power to the motor other than the normal continuous AC power supplied to the cooking appliance, while supplying the normal power to the motor, It is possible to monitor errors or abnormalities in each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only with signals from the return stop switch, which is a component for determining the stop position of the motor, and the open detection switch, which is a component for check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at is, the automatic opening operation can be precisely controlled without a separate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motor is operating or a separate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latch properly maintains the correct position in the latch hol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로 도어의 자동 개방 작동의 오류를 확인하는 작업 없이도,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과 리턴스탑스위치 및 개방감지스위치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으로 도어 자동 개방 구조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and signals of the return stop switch and the open detection switch are continuously monitored while the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without separately checking the error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door opening structure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센서나 별도의 제어수단 없이도, 종래의 래치 홀더에 더하여, 단순히 모터와 푸셔(캠)와, 레버와 리턴스탑스위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tomatic door opening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adding a motor, a pusher (cam), a lever and a return stop switch,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latch holder, without a separate sensor or separate control means, The automatic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can be precisely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래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래치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래치 홀더의 홀더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래치 홀더의 레버의 축부와 작용부와 푸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래치(미도시)가 삽입 고정된 상태의 래치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푸셔가 레버를 밀어주어, 레버의 부쉬부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래치가 빠진 상태에서 푸셔와 레버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래치 홀더가 설치된 조리기기에서, 조리기기의 캐비티 전방을 도어로 닫아 래치 홀더에 래치가 삽입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푸셔가 레버를 밀어 레버의 푸쉬부의 밀어올림경사면이 래치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래치를 들어올리는 과정이 더 진행되어 레버의 밀어냄부가 래치를 밀어내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래치가 밀려나간 뒤 하강하여 외경사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과 같이 래치의 걸림이 해제된 후, 도어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와 같이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하강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도어 힌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도어 힌지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도어 힌지 구조에서 실린더의 슬롯의 길이를 연장하여 도어의 개방에 대한 댐퍼의 개입 시점을 더 늦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도어 힌지 구조에서 개폐회전축에 대한 도어 바 연결힌지의 거리를 축소하여 도어의 개방에 대한 댐퍼의 개입 시점을 더 늦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어의 개방각도에 따른 도어의 개방력과 스프링의 개방저지력, 그리고 댐퍼의 감쇠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레버의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자동 개방 구조의 전반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다.
도 20은 도 19에서 에러신호 발생단계만을 별도로 나타낸 플로우차트다.
도 21은 도 19에서 조리기기의 초기 기동 시 모터와 푸셔를 정 위치로 초기화하는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tch holder to which an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holder of FIG.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body of the latch holder of Figure 2;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haft portion, the acting portion, and the push portion of the lever of the latch holder of FIG. 2 .
FIG. 5 is a side view of FIG. 1, showing a latch holder in a state in which a latch (not shown) is inserted and fix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er of FIG. 5 pushes the lever, and the bush portion of the lever is lifted.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er and the lever are returned to their initial posi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is removed.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atch holder by closing the front of the c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with a door in the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latch holder is installed.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usher pushes the lever in FIG. 8 and the push-up inclined surface of the push part of the lever lifts the latch.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ushing part of the lever pushes out the latch as the process of lifting the latch is further advanced in FIG. 9 .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is pushed out and then descends to be seated on the external slope.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door is opened by its own weight after the latch is released as shown in FIG. 11 .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hinge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lower and open the door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12 .
1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door hinge structure of FIG. 13 .
1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vening point of the damper with respect to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layed further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slot of the cylinder in the door hinge structure of FIG. 14 .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vening point of the damper for opening the door is delayed further by reducing the distance of the door bar connection hinge with respect to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in the door hinge structure of FIG. 14 .
17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the opening prevent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damping force of the damper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18 is a view showing the geometric shape of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chart separately showing only the error signal generation step in FIG. 19 .
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initializing the motor and the pusher to the original positions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initially started in FIG. 19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o complete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cooking equip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automatic door ope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first describ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가 예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조리기기가 전자레인지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2 , a microwave oven is exemplified as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clear that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icrowave oven.
상기 조리기기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며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710)와, 상기 본체(7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720)를 포함한다.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본체(710)는 전체적인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캐비티가 마련된 이너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는 조리실을 구성한다. 본체(710)의 상부와 후방, 측방에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마련된다.The
상기 도어(720)는 도어의 하단부에 수평의 힌지축(814; 도 13, 14 참조)을 가지는 풀-다운(pull down)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가진다. 즉 도어(720)는 상기 본체에 대해 전방 하부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후방 상부로 회동하여 폐쇄된다.The
상기 도어(720)의 면적은, 단지 조리실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면적일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은 물론 조리실 상부 공간의 전방을 모두 덮는 면적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조리실의 상부 공간에 대응하는 도어(7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널 등의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상기 본체(710)의 측방 상부에는 도어(7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주고,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래치 홀더(10)가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720)에는, 상기 래치 홀더(10)에 걸려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래치 홀더(10)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래치(200)가 마련된다.A
래치는 도어의 양단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본체(710)의 래치 홀더(10)는, 상기 래치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본체의 양단 전방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래치 홀더(10)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래치가 드나들 수 있는 래치 입출공(110)을 구비한다.The latches are install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door. The
상기 래치의 걸림을 자동 해제(release)하는 래치 홀더(10)는 두 래치 중 어느 한 래치와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한 쪽에는 자동 해제 기능이 없는 종래의 통상적인 래치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두 래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거동하도록 도어에 설치된다. 두 래치는 선단부의 후크부가 하향하도록 도어 내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두 래치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동일할 수 있다.The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와 도어의 하부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23)과 댐퍼(850)가 설치된 힌지모듈(800)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823)은 도어(720)가 후방 상부로 회동하는 방향, 즉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가세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823)은 도어가 열리며 하강할 때 도어가 세게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A
또한 댐퍼(850)는 상기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회전력을 감쇠하여 도어가 천천히 열리도록 해준다. 필요에 따라 상기 댐퍼(850)는 도어가 열릴 때에만 감쇠력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도어가 열리는 방향과 닫히는 방향으로 모두 감쇠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모든 회동각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회동각의 범위 중 일부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댐퍼(850)는 도어의 소정의 개방각 구간에서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고, 상기 개방각을 벗어나는 구간에서는 감쇠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댐퍼(850)가 도 12의 a2와 a3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작동하는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서 감쇠가 시작되는 감쇠 돌입각(a2)은 35 ± 5° 일 수 있다(도 12 참조).The
[래치 홀더][Latch Holder]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장치인 래치 홀더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latch holder, which is an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of a cooking appliance to which the automatic door opening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본 발명의 래치 홀더는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는 홀더바디(100)와, 홀더바디(100)의 전방에 마련된 래치 입출공(110), 상기 홀더바디(100)에 설치된 레버(300), 개방감지스위치(400), 푸셔(500), 푸셔 구동부(600)를 포함한다.The latch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래치 홀더의 전방으로부터 래치 입출공(110)을 통해 도어(720)의 래치(200)가 인입 인출된다. 래치 입출공(110)의 안쪽에는 래치의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공간(180)이 마련된다. 후크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개방감지스위치(400)가 설치되어 항기 후크 수용공간(180)에 후크가 수용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감지한다.The
후크 수용공간(180)의 후방에는 레버(3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지지부(120)가 마련된다. 레버(300)는 레버 지지부(1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작용부(320)와 상기 작용부(320)의 선단부에서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으로 연장되는 푸쉬부(330)를 구비하고, 레버 지지부(1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향 연장된 힘점부(340)를 구비한다.A
후크 수용공간(180)의 하부에는 개방감지스위치(400)가 설치된다. 개방감지스위치(400)는 상기 푸쉬부(3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트리거(420)를 구비한다. 트리거(420)는 상기 푸쉬부(330)와 접촉하여 눌리지만, 트리거(420)를 누르는 힘은 후크 수용공간(180)에 수용된 래치(200)가 제공한다.An
레버 지지부(120) 상부에는 상기 레버(300)의 힘점부(340)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500)와, 상기 푸셔(50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푸셔 구동부(600)가 설치된다. 푸셔 구동부(600)의 모터(610)는 홀더바디(100)의 제2측 면에 고정되고, 푸셔(500)는 홀더바디(100)의 제1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61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모터(610)의 회전변위는 리턴스탑스위치(62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는, 푸셔(500)의 회전 각도 변위에 따라, 상기 푸셔에 설치된 누름돌기(530)가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의 트리거(622)를 누르게 되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A
레버(300)의 힘점부(340)는 리턴스프링(630)을 통해 홀더바디(1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리턴스프링(630)에 의해 전방으로 가세되는 힘을 받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홀더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홀더바디][Holder body]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홀더의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는 홀더바디(10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즉 제1측방과 제2측방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을 포함하는 베이스면(101)을 포함한다.The
상기 홀더바디(100)의 전방 하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래치 입출공(110)이 마련된다. 상기 래치 입출공(110)은 전방으로부터 래치(200)가 상기 홀더바디(100) 내부로 진입하거나, 상기 홀더바디(100)로부터 래치가 전방으로 빠져 나가는 경로가 된다.At the lower front of the
상기 래치 입출공(110)은, 하부로는 외경사면(111)이 그 경계를 규정하고, 상부로는 상부벽면(113)이 그 경계를 규정하며, 양 측방으로는 측벽면(114)이 그 경계를 규정한다.The latch entry/
래치입출공(110)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의 외경사면(111)이 마련된다. 래치(200)가 홀더바디(100) 내부로 진입할 때, 래치(200)의 후크부(230)의 선단하부경사면(232)이 상기 외경사면(111)을 타고 오르게 된다.At the lower portion of the latch entry/
외경사면(111)의 후방 단부에는 내경사면(112)이 구비된다. 내경사면(112)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형 경사진 형태이다. 내경사면(112)의 상당부와 외경사면(111)의 상단부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상호 연결된다. An inner
내경사면(112)은 홀더바디(100) 내부에 진입한 래치(200)의 후크부(230)의 이면경사면(231)과 접하며 상기 래치(200)가 전방으로 이탈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한편으로, 상기 내경사면(112)은,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하기 위해 도어를 전방으로 잡아당길 때, 상기 래치(200)의 이면경사면(231)이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제공한다. 상기 이면경사면(231)은 평면이거나 약간 볼록하게 만곡한 곡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ner
상부벽면(113)은 래치 입출공(110)의 상부에 마련된 수평한 천장면을 포함한다.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레버(300)가 상기 래치(200)를 밀어낼 때, 상기 상부벽면(113)은 래치(200)의 상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래치(200)의 상부경사면(221)과 접하며 상기 상부경사면(221)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The
상기 상부벽면(113)과 외경사면(111)은 측벽면(114)에 의해 제1측방과 제2측방이 상하로 상호 연결된다. 두 측벽면(114) 사이의 간격은 래치(200)의 폭보다 더 넓으므로 래치(200)와 간섭되지 아니한다.The
상기 래치 입출공(110)의 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보았을 때, 상기 래치 입출공(110)을 통해 내부가 보이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면부(123)가 구비된다. 차폐면부(123)는 전후방향의 법선을 가지는 평판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면부(123)가 상기 래치 입출공(11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됨으로써 마련되는 후크 수용공간(180)에 래치(200)의 후크부(230)가 수용된다.At the rear of the latch entry/
상기 차폐면부는 상기 베이스면(101)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면(101)에 연결됨으로써, 홀더바디(100)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차폐면부의 후방에는, 레버(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300)는 홀더바디(100)에 고정되어 있는 래치(200)의 걸림 상태를 해지하는 작동을 하는 부품이다.The shielding surfac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레버 지지부(120)는 레버를 지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 강성이 필요한데, 이러한 강성은 상기 차폐면부(123)에 의해 어느 정도 충족된다.The
차폐면부(123)가 상기 래치 입출공(110)을 가로막고 있으므로, 상기 레버 지지부(120)에 설치되는 레버(300)는 상기 차폐면부(123)와 레버 지지부(120)를 회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레버 지지부(120)는, 상기 베이스면(101)에서 연장되며, 상기 차폐면부(123)와 연결되는 연장부재(121)와, 상기 연장부재(121)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지지축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레버지지축부(122)에 축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연장부재(121)의 제2측면에 접하여 회동 안내된다. Since the shielding
레버(300)의 선단부에는 상기 레버(300)의 선단부에서 제1측방으로 연장되는 푸쉬부(300)를 구비하는데, 상기 푸쉬부(300)가 상기 차폐면부(123)와 래치 입출공(110) 사이에 마련된 후크 수용공간(180)에 위치하게 된다.The front end of the
상기 차폐면부(123)는 상기 레버입출공(110)에 대해 제1측방으로 약간 오프셋 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힘이 작용하는 레버(300)의 푸쉬부(330)와 힘점부(340) 간의 측방으로의 편심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shielding
상기 래치입출공(110)과 상기 레버 지지부(120)의 하부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스위치(400)가 고정되는 개방감지스위치 고정부(150)가 마련된다. 개방감지스위치 고정부(150)는, 측방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입출공(110)의 하부와 레버 지지부(120)의 하부를 상호 연결한다.An opening detection
상기 개방감지스위치 고정부(150)는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00)의 스위치바디(41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벽(15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벽(15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버 지지부(120)와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The opening detection
상기 개방감지스위치 고정부(150)에 스위치바디(4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는,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을 향해 상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300)가 상기 트리거(420)를 누를 수 있는 궤적을 가진다.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홀더바디(100)는, 레버(300)를 구동하기 위한 푸셔(500)와 푸셔 구동부(600)를 지지하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홀더바디(100)에는, 상기 래치(20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300)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버(300)를 밀어주는 푸셔(50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면(101)에는, 상기 푸셔(500)를 지지하는 푸셔 지지부(130)가 마련된다. 푸셔 지지부(130)는 푸셔(500)의 회전축(510)이 삽입되는 홀(131)을 포함하고, 상기 홀(131) 주변에서 상기 푸셔(500)의 회전판(520)을 지지하는 제1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은 상기 회전판(520)의 제2측면에 마련된 누름돌기(530)와 접하여 상기 회전판(520)을 지지한다.A
상기 베이스면(101)에서 상기 푸셔(500)가 설치되는 면(제1측면)의 반대면(제2측면)에는, 상기 푸셔(500)를 구동하는 푸셔 구동부(600)를 고정하는 푸셔 구동부 고정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 구동부(600)는 회전 모터(610)일 수 있으며, 상기 모터(610)의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면(101)의 제2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surfac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first side) where the
상기 홀더바디(100)의 베이스면(101)에는. 리턴스탑스위치(620)를 고정하는 리턴스탑스위치 고정부(160)가 마련된다.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는 상기 푸셔(500)의 누름돌기(530)에 의해 눌리게 되는 트리거(622)를 구비한다. 상기 트리거(622)는 상기 푸셔(500)가 레버(300)를 밀어준 후 리턴하여 돌아와야 하는 위치에서 상기 누름돌기(530)에 의해 눌림으로써, 모터(610)의 회전 구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리턴스탑스위치(620)는, 상기 트리거(622)가 상기 푸셔(500)의 리턴 위치에서 상기 누름돌기(530)에 의해 눌리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탑스위치 고정부(160)는 상기 푸셔 지지부(1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On the
또한 레버(300)가 래치(200)를 밀어내고 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홀더바디(100)에는 리턴스프링 지지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리턴스프링 지지부(140)는 상기 푸셔 지지부(130)보다 상기 레버 지지부(12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 지지부(140)는 리턴스프링(630)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링을 걸기 위한 후크걸이(14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레버][lever]
상기 레버(300)는, 그 축부(310)가 상기 홀더바디(100)의 레버지지축부(122)에 체결됨으로써, 레버 지지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레버지지축부(122)는 제2측방으로 연장되는 축 형상을 포함하고, 축부(310)는 상기 축 형상을 수용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반대로, 레버지지축부(122)가 홀 형상이고, 축부(310)가 축 형상일 수 있다.The
상기 레버(300)는, 상기 축부(3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작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작용부(320)의 선단부에는, 제1측방으로 연장되는 푸쉬부(330)가 구비된다. 레버(300)가 홀더바디(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푸쉬부(330)는 상기 홀더바디(100)의 후크 수용공간(180)에 배치된다.The
레버(300)는 래치(200)를 밀어내는 힘을 전달하므로, 상대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푸쉬부(330)는 래치(200)와 미끄럼 접촉하는 부위이므로 내마모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30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일 수 있다.Since the
푸쉬부(330)는 상기 레버(300)의 전체적인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상기 레버(300)와 일체로 제작되는 내삽부재(331)와, 상기 내삽부재(331)에 외삽되는 외삽부재(332)를 포함한다. 상기 내삽부재(331)는 상기 푸쉬부(330)의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 외삽부재(332)는 마찰계수가 낮고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어 래치(200)와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푸쉬부(330)는 상기 래치(200)와 미끄럼 접촉하며 상승하여, 밀어냄부(336)가 상기 래치(200)의 선단면(232, 233)을 확실히 밀어내도록 작동하는바, 상기 외삽부재(332)를 표면의 경도나 내마모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낮으며 윤활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상기 내삽부재(331)는 레버(300)와 함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반면 상기 외삽부재(332)는 수지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수지계 재질은 표면 경도가 크면서도, 금속 재질과 대비하였을 때 탄성 변형과 복원 작용이 뛰어나 깨지거나 부스러지지 아니하므로, 래치에 의해 외삽부재(33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표면이 파손될 우려가 훨씬 적다. 따라서 외삽부재는 래치와 접동하면서도 파손되지 아니하고, 탄성 변형과 복원을 통해 래치를 밀어주는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다.The
반면 내삽부재(331)가 직접 래치와 접촉하도록 하면, 금속 재질 간의 접촉에 의해 어느 한 쪽 표면에 영구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는 큰 마찰력을 유발하여 손상 부위가 확대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지계 재질 정도의 탄성복원력 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래치의 개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푸쉬부(33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쉬부(330)의 저면(335)은, 푸쉬부(330)의 하부에 마련된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를 누르는 누름면이 된다. 상기 푸쉬부(330)의 윗면(334)은 후크 수용공간(180)에 수용된 래치(200)의 후크부(230)가 놓여지는 면이 된다. 즉 상기 래치(200)는 상기 푸쉬부(330)의 윗면에서 상기 푸쉬부(330)를 하향 압박하게 되고, 래치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푸쉬부(330)는 트리거(420)를 누르게 된다. The
트리거(420)가 스위치바디(410)에 대해 가지는 상방 가세력이 푸쉬부(330)의 하중보다 더 크기 때문에, 래치(200)가 없이 푸쉬부(330)만이 트리거(420)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푸쉬부(330)가 트리거(420)를 눌러 내리지 못하고 트리거(420) 상에 살짝 올려진 상태가 된다.Since the upward biasing force of the
푸쉬부(330)은 전방면에는 밀어올림경사면(333)이 마련된다.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은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이다.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은 약간 볼록한 곡면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래치(200)의 선단하부경사면(232)과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레버(300)의 힘을 래치(200)로 전달하는 면이다.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의 하단부는 래치(200)의 선단을 가장 마지막까지 밀어주는 밀어냄부(336)를 구성한다.The
상기 레버(300)는 상기 축부(31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힘점부(340)를 더 포함한다. 푸쉬부(330)가 래치를 들어올리고 밀어내는 힘을 증폭시키기 위해, 상기 축부(310)와 푸쉬부(330)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축부(310)와 힘점부(340)의 힘점 사이의 거리가 더 멀게 설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푸셔 구동부(600)를 더 저출력이면서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래치 홀더를 더 컴팩트하게 제작하기 위해, 상기 힘점부(340)는 대략 ““L”” 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힘점은 힘점부(340)의 상단부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힘점부(340)는 푸셔(500)에 의해 힘을 받게 되고, 그 힘은 상기 푸쉬부(330)에 전달된다.In order to make the latch holder more compact, the
상기 힘점부(340)에는 푸셔(500)가 힘점부(340)에 힘을 가한 후 다시 복귀하였을 때, 상기 레버(300)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630)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스프링고정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342)는 상기 힘점부(340)의 힘점보다 상기 축부(310)에 가깝게 배치된다. 레버(300)가 래치(200)를 밀어낼 때와 달리, 레버(300)가 래치를 밀어낸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는 강한 복귀력이 필요 없다. 따라서 스프링고정부(342)는 푸셔(500)의 힘점보다 축부(310)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고정부(342)는 리턴스프링(630)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 링을 걸기 위한 후크걸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리턴스프링(630)은 상기 레버(300)가 원위치 되는 정도의 힘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턴스프링(630)이, 원위치에 돌아온 레버(300)를 계속적으로 가세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레버(300)의 푸쉬부(330)가 단독으로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를 누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레버(300)는 제1측방을 바라보는 제1면과 제2측방을 바라보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이, 제2측방을 바라보는 상기 레버지지부(120)의 제2면에 접하여 지지된다.The
[푸셔][Pusher]
푸셔(500)는 상기 레버(300)의 힘점을 밀어주는 부품으로서, 상기 홀더바디(100)에 설치된다. 푸셔(500)는 상기 레버(300)의 힘점부(34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푸셔(500)는 제1측방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상의 회전판(520)과, 상기 회전판의 제2측면(제2측방을 바라보는 면)에서 상기 회전판(520)의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510)과, 상기 제2측면에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마련된 누름돌기(530)와, 상기 회전판(520)의 제1측면(제1측방을 바라보는 면)에서 회전판(52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련된 푸셔캠(540)을 포함한다.The
상기 회전판(52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원반 형상이며, 상기 레버(300)의 힘점부(340)는 상기 회전판(520)의 제1측면에 마주하여 배치된다. The
상기 회전축(510)은 제2측방을 향해 연장된다. 즉 상기 회전축(510)은,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기 회전판(5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축(510)의 선단부(회전판으로부터 먼 끝부분)는 상기 홀더바디의 홀(131)에 삽입되어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홀더바디(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판(520)의 반대편에 마련된 모터(610)의 회전구동축(611)에 축 이음 고정된다.The
누름돌기(530)는 상기 회전축(510)의 기단부(회전판과 가까운 끝부분)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520)의 제2측면에 구비된다. 누름돌기(530)는 회전판(520)의 원주방향에서 어느 일 부분에 마련되고, 누름돌기(53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리턴스탑스위치(620)의 트리거(622)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누름돌기(530)는 상기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트리거(622)를 누르기 때문에, 선단부에 볼록한 곡면부(531)가 구비된다. 이러한 누름돌기(530)의 곡면부(531)는, 적어도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트리거(622)가 곡면부(531)의 볼록한 형상을 따라 접하며 눌리게 된다.The
상기 곡면부(531)는 양측에 마련된 곡면 프로파일(5311)과, 상기 곡면 프로파일(5311)을 연결하는 누름 유지 프로파일(5312)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 유지 프로파일(5312)는, 회전판(520)이 소정 각도(a) 회전하더라도 트리거(622)가 눌린 상태를 유지해준다. 관성에 의해 트리거(622)가 눌리자마자 모터(61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모터(610)와 회전판(520)이 가지는 관성에 의해 회전판(520)이 조금 더 회전하여 누름돌기(530)가 트리거(622)를 벗어나면, 트리거(622)의 눌림 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상기 누름 유지 프로파일(5312)는 모터와 회전판의 관성에 의해 회전판이 조금 더 회전하더라도 누름돌기가 트리거를 누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판(520)이 1회 회전하는 동작과 레버의 개방 동작이 연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의 1회 회전 제어는 상기 누름 유지 프로파일(5312) 구조에 의해 더욱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반면 앞서 설명한 특허문헌 1의 캠 구조는 캠이 구동부에 직결되어 무겁고, 캠의 1/5 회전과 레버의 상승 동작이 연계되므로, 회전하던 캠이 정 위치에 멈추지 못하고 더 회전할 우려가 있으며, 이렇게 캠이 정위치에 멈추지 못한 경우, 도어가 닫혀 래치가 캠을 누르더라도 캠이 정위치로 다시 돌아가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On the other hand, the cam structure of
상기 푸셔캠(540)은 상기 회전판(520)의 제1측면에서 제1측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푸셔(5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푸셔캠(540)의 원기둥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판(520)의 제1측면과 가까이 배치되는 상기 레버(300)의 힘점부(340)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The
[푸셔 구동부][Pusher drive part]
푸셔 구동부(600)는 상기 홀더바디(100)의 제2측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바디(100)를 관통하는 푸셔(500)의 회전축(510)과 결합하는 모터(610)와, 상기 홀더바디(100)의 제1측면 쪽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610)가 멈춤을 제어하는 리턴스탑스위치(620)를 구비한다.The
모터(610)의 하우징(612)은 상기 홀더바디(100)에 고정되고, 회전구동축(611)은 상기 푸셔의 회전축(510)과 동축 고정된다.The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도어를 자동으로 열고자 하는 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모터(610)에 전원이 공급되어 회전구동축(611)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610)는, 상기 푸셔의 누름돌기(530)가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의 트리거(622)를 누를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의 트리거(622)가 상기 누름돌기(530)에 눌리게 되면, 상기 모터(61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축(611)과 푸셔(500)는 상기 누름돌기(530)가 트리거(622)를 누르는 위치에서 회전하기 시작하여, 누름돌기(530)가 다시 상기 트리거(622)를 누를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와 같이 누름돌기(530)가 원주방향으로 1개 구비된 경우, 푸셔(500)는 항상 1회전하고 정지한다. 만약 누름돌기(530)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2개 구비되어 있다면, 푸셔(500)는 항상 반바퀴를 회전하고 정지할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power is supplied to the
상기 리턴스탑스위치(620)는 그 스위치바디(621)가 상기 푸셔(500)의 바깥쪽에서 상기 푸셔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트리거(622)는 상기 누름돌기(530)와 간섭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The
리턴스탑스위치(620)로 푸셔(500)의 회전 정지 지점을 제어하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먼저, 항상 소정 각도의 회전(실시예에서는 1회전)이 아주 간단한 구조로 물리적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정전 등에 의해 푸셔(500)가 회전하는 도중에 멈추었더라도, 다시 전원이 들어올 때 푸셔(500)가 회전하도록 모터(61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기만 하면, 푸셔(500)가 초기 위치에 정확히 정렬되어 멈추게 된다.Controlling the rotation stop point of the
[개방감지스위치][Open detection switch]
개방감지스위치(400)는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의 하부에 마련된 개방감지스위치 고정부(150)의 고정벽(151)에 고정 설치되는 스위치바디(410)와, 상기 스위치바디(410)에서 상향 돌출된 트리거(420)를 구비한다. 트리거(42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상향 돌출되도록 탄성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트리거(420)를 누르던 외력이 사라지면, 트리거(420)는 상향 돌출된다.The
앞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트리거(420)는, 후크 수용공간(180)에 래치(200)가 수용되어 그 후크부(230)가 상기 내경사면(112)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200)가 상기 레버의 푸쉬부(330)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푸쉬부(330)에 의해 눌리게 된다. 반면, 래치(200)가 래치 입출공(110)으로부터 인출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 래치(200)가 상기 푸쉬부(330)를 누르지 않고, 푸쉬부(330)가 단독으로 트리거(420)에 올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트리거(420)가 상기 푸쉬부(330)에 의해 눌리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트리거(420)의 상방 가세력은 래치(200)가 누르는 힘보다는 약하고 푸쉬부(330)가 단독으로 누르는 힘보다는 세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상기 래치(200)는 도어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래치의 걸림 구조인 외경사면(111)과 내경사면(112)을 구비하는 래치 홀더 역시 조리기기의 본체에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캐비티의 개구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감지스위치(400) 역시 2개소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은 이상, 조리기기의 도어가 열려 있다고 판단하고 조리기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물론 양측의 래치 홀더 중, 레버와 푸셔 등을 포함하는 상술한 본 발명의 래치 자동 해제(release) 구조는 어느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의 래치 홀더에 설치된 개방감지스위치(400)는 래치(200)가 수용되었을 때 레버(300)에 의해 간접적으로 눌리고, 타측의 래치 홀더에 설치된 개방감지스위치는 래치가 수용되었을 때 래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릴 수 있다.Of course, among the latch holders on both sides, the automatic latch rele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ing a lever and a pusher may be provided on either side. Therefore, the
[래치 홀더의 작동][Operation of the latch holder]
도 5를 참조하면, 후크 수용공간(180)에 후크가 수용된 상태, 즉 조리기기의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레버의 푸쉬부(330)가 후크에 의해 눌리고, 이에 따라 푸쉬부(330)가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를 누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레버지지축부(122)를 중심으로 레버(300)가 가장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가 된다.5,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is accommodated in the
사용자가 상기 후크 수용공간(180)에서 후크를 이탈시키기 위한 명령, 즉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가 회전하여 푸셔(50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방향은 무관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푸셔(500)가 회전함이 예시된다. 푸셔(500)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300)는 푸셔캠(540)에 의해 밀려 레버지지축부(122)를 중심으로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쉬부(330)는 전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푸쉬부(330) 상에 놓여있던 후크 역시 들어올려질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detaching the hook from the
푸셔(500)가 더 회전하여 레버의 힘점부(340)를 가장 후방으로 밀어내고 난 후 다시 도 7에 도시된 위치까지 회전하여 정지하면, 레버(300)는 리턴스프링(630)에 의해 상기 레버지지축부(12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도어의 잠금 해제 동작][Door unlocking action]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작동 원리를 가지는 래치 홀더(10)를 조리기기에 설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by installing the
본 발명의 래치 홀더(10)와 함께 사용되는 래치(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피봇축(210)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탄성 가세되는 래치바(220)와, 상기 래치바(220)의 선단부에서 하향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는 후크부(230)를 포함한다.The
래치(200)의 선단 상부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하는 완만한 경사면 형태의 상부경사면(221)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경사면(221)은 래치(200)가 레버(300)에 의해 상승하며 전방으로 힘을 받을 때, 가령 도어의 개방 동작에 예기치 못한 장해가 발생한 경우, 래치 입출공(110)의 상부벽면(113)에 접하며 슬라이드 되는 면이다.An upper
후크부(230)의 선단은 평평한 선단평면(233)이 구비되고, 선단평면(233)의 하부에는 곡면 형태의 선단하부 경사면(232)이 마련된다. 그리고 후크부(230)의 이면 쪽에는 상술한 래치입출공(110)의 내경사면(112)에 접하며 걸리는 이면경사면(231)을 구비한다. The tip of the
상기 래치(200)의 형상은 도어의 좌우에 마련된 래치가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The
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래치 홀더(10)의 레버(300)가 래치(200)를 전방 상부로 밀어내더라도, 도어의 타측에 마련된 래치는 상기 일측의 래치와 연동하여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레버(300)가 일측의 래치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려는 힘이 타측에도 전달되므로, 도어의 타측에 마련된 래치(200)의 후크부(230)의 이면경사면(231)은 내경사면(112)을 타고 오르며 타측의 래치홀더로부터 이탈하게 된다.Even if the
또한 상기 이면경사면(231)은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도어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도어의 양쪽에 각각 마련된 래치의 후크부(230)의 이면경사면(231)이 래치입출공(110)의 내경사면(112)을 타고 오르며 래치(200)가 상기 래치 입출공(110)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 래치 홀더(10)에 레버(300)와 푸셔(500)와 푸셔 구동부(600)를 두어, 래치(200)를 래치입출공(110)으로부터 자동 이탈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정전이나 조리기기 고장, AS 등을 할 때 도어를 수동으로 열어야 하는 상황이 얼마든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수동으로도 개방 가능하도록 양쪽 래치(200)의 후크부(230)에 이면경사면(231)을 형성하고, 양쪽 래치 홀더에 내경사면(112)과 외경사면(111)을 마련하였다.Also, the rear
도 8을 참조하면, 래치(200)의 후크부(230)가 후크 수용공간(180)에 진입하여 이면경사면(231)이 내경사면(112)에 걸려 있는 상태, 즉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후크부(230)의 저면이 레버(300)의 푸쉬부(330)의 윗면(334)에 놓여지고, 후크부가 하향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푸쉬부(330)는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를 누른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8 , a state in which the
래치 홀더(10)는 본체의 양측에 모두 설치되어 있고,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혀 있다면 상기 두 래치 홀더(10)의 개방감지스위치(400)는 모두 눌려 있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조리 기기의 제어부는 도어가 닫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된 컨트롤패널을 조작하면, 조리가 시작될 수 있다.The
한편,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된 컨트롤패널에서 도어 오픈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도어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의 일측 래치(200)가 본체 일측의 래치 홀더(10)에 걸려 있는 상태를 해제하고, 이러한 동작과 함께 도어의 타측 래치도 본체 타측의 래치 홀더에 결려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야 한다. Meanwhile,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opening the door from the control panel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door, the door may be automatically opened. In order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first, the
이를 위해 제어부는, 모터(610)를 회전시킨다. 모터(610)가 회전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500)가 회전하며 푸셔캠(540)이 레버(300)의 힘점부(340)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레버(300)는 축부(31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레버(300)의 전방에 마련된 푸쉬부(330)는 상향 전방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300)의 축부(310)가 푸쉬부(330)보다 후방 상부에 있으므로, 레버(300)가 회전하면 푸쉬부(330)는 전방 상부로 회동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rotates the
이때, 축부(310)와 힘점부(340)간 거리가 축부(310)와 푸쉬부(330) 간 거리보다 더 길기 때문에, 모터(610)의 힘은 푸쉬부(330)에 증폭되어 전달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푸쉬부(330)는 축부(310)를 기준으로 공전하며 상승하므로, 푸쉬부(330) 자체도 약간 자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쉬부(330)의 밀어올림경사면(333)이 래치(200)의 선단하부경사면(232)과 접동하며 상기 래치(200)를 전방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푸쉬부(330)의 외삽부재(332)는 윤활성 있고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동작은, 레버와 래치의 궤적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푸쉬부(330)의 재질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이거나, 내마모성이 낮은 재질이라면, 래치(200)가 푸쉬부(330)를 파손시킬 뿐만 아니라, 푸쉬부(330)가 래치(200)를 들어올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Since the
푸쉬부(330)가 상승하며 래치(200)를 전방으로 밀며 들어올림에 따라, 개방감지스위치(400)의 트리거(420)는 눌림 해제된다.As the
그리고 상기 래치(200)의 후크부(230)는 내경사면(112)을 넘어 외경사면(1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푸쉬부(330)의 상승이 계속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밀어올림경사면(333)의 가장 하단부 모서리인 밀어냄부(336)가 레버(300)를 가장 멀리 밀어내게 되고, 상기 래치(200)는 탄성에 의해 다시 하강 회동한다.When the
하강 회동하는 래치(200)의 힘이 외경사면(111)을 타며 수평 방향으로 전환되어, 도어는 더욱 전방으로 개방된다.The force of the down-rotating
한편 경우에 따라, 가령 도어가 열리는 궤적에 장애물 등이 있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더 큰 개방력이 요구되는 경우, 푸쉬부(330)가 상승하더라도 래치(200)가 전방으로 원활히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승하기만 하는 동작이 일어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oor opening trajectory and a greater opening force is requi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이러한 경우라 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00)의 상부경사면(221)은 래치 입출공의 상부벽면(113)에 접하게 된다. 래치(200)가 상부벽면(113)에 접한 상태에서, 푸쉬부(330)가 더욱 상승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밀어올림경사면(333)의 가장 하단부 모서리인 밀어냄부(336)가 레버(300)를 가장 멀리 밀어내게 된다. 이때 래치(200)는, 그 상부경사면(221)이 래치 입출공의 상부벽면(113)에 접동하며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Eve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 the upper
이때, 상부경사면(221)은 전체적으로 상부벽면(113)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부경사면(221)이 상부벽면(113)에 대해 부드럽게 접동하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래치(200)가 들어올려졌을 때, 상부벽면(113)과 접하는 상부경사면(221)은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만약 상부경사면(221)이 상부벽면에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지 않고, 어느 쪽으로든 약간 기울어지게 되면, 상부경사면(221)이 수평을 이루는 경우보다 자연스러운 인출이 더 어려울 수 있다.If the upper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요구되는 개방력이 작은 경우 상기 래치(200)는 도 8, 도 9 및 도 11의 순으로 거동하며 잠김이 해제될 수 있고, 도어에 요구되는 개방력이 큰 경우에도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의 순으로 거동하며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어떠한 경우라 하더라도, 도어의 자동 잠김 해제 동작에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제품 별로 힌지모듈(800)의 스프링(823)이 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힘에 편차가 발생하여 자동 개방을 위해 도어에 작용해야 하는 개방력에 편차가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래치 홀더(10)는 래치의 잠김 해제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 force required for the door is small, the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경우라 하더라도, 레버(300)에 의해 잠김이 해제되는 위치에 도달하여 하강 회동하는 래치(200)의 힘이 외경사면(111)을 타며 수평 방향으로 전환되어, 도어는 더욱 전방으로 개방되므로 도어의 개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in any case, the force of the
도 18를 참조하면, 레버(300)가 축부(31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먼저 밀어올림경사면(333)의 상단부가 래치와 접동하며 래치를 들어올리기 시작한다. 이어서, 레버(30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해감에 따라, 래치(200)와 접하는 밀어올림경사면(333)의 위치는 점차 밀어올림경사면(333)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레버(30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상기 밀어냄부(336)가 상기 축부(310)와 동일한 높이까지 올라갔을 때, 상기 레버(300)가 래치를 바깥쪽으로 가장 많이 밀어내게 된다. 즉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은 도 1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래치(200)를 들어올리며 밀어내게 된다.Referring to FIG. 18 , when the
밀어냄부(336)가 축부(3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까지 올라가거나 이를 넘어서 더 올라가는 경우, 래치(200)는 푸쉬부(330)의 궤적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가세되는 탄성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상부벽면(113)과 접하던 래치는,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래치(200)는 도 18에 도시된 화살표의 수평 방향 이상으로 더 밀려났기 때문에, 외경사면(111)에 놓여지게 된다. 즉 래치(200)의 후크는 더 이상 내경사면(112)에 걸리지 아니하고, 도어가 열림에 따라 후크부(230)의 하부가 외경사면(111)을 타고 내려갈 수 있게 된다.When the push-out
축부(310)에 대해 푸쉬부(330)가 전방 하부에 배치되므로, 푸쉬부(330)가 축부(310)와 동일한 높이까지 올라옴에 따라 밀어올림경사면(333)의 상단부는, 원래 위치보다 m 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200)의 선단하부 경사면(232)은 상기 밀어올림경사면(333)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접동하므로, 래치(200)는 n 만큼 더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Since the
도 12에는 도 11과 같이 래치(200)가 바깥 쪽으로 밀려 나가서 도어가 개방된 개방각(a1)이 도시되어 있다. 도어가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a1 정도의 각도만큼 기울어짐에 따라,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는 저절로 열리게 된다. 그런데, 도어가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는 것에 대한 속도 제어를 하지 않는다면, 도어가 열리며 가속되어 쿵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어(720)가 열릴 때, 소정의 각도(a2)에서 댐퍼가 작용하기 시작하여 최종 열림 각도(a3)까지 천천히 제어된 속도로 열리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힌지 모듈(800)에 무리가 가고 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도어가 자동 개방되는 과정을 보면서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FIG. 12 shows an opening angle a1 at which the door is opened as the
[도어 자동 개방 작동][Door automatic opening operation]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등을 터치하여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면, 도 5 내지 도 7의 순서로 래치 홀더(10)가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8 내지 도 11의 순서로 래치(200)가 래치홀더(10)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도어가 소정 각도(a1)만큼 밀려나게 된다.When the user inputs a door open command by touching the display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door, the
상기 소정 각도(a1)는 도어가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릴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각도(a1)는 가령 1~7° 정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정도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angle a1 may be set to such a degree that the door can be opened by itself by its own weight. The angle a1 may be, for example, about 1 to 7°, preferably about 1 to 3°.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710)와 도어(720)를 연결하는 힌지모듈(800)은, 도어(720)에 고정되는 도어 바(840) 부분과, 본체(710)에 고정되는 하우징(810) 부분이 개폐회전축(814)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13 and 14 , the
하우징(810)에 대해 도어 바(840)가 회전함에 따라, 도어 바(840)에는 감쇠력이 전달된다.As the
상기 하우징(810) 내부에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너링크하우징(830)이 구비된다. 이너링크하우징(830)의 선단부는 상기 도어 바(840)와 도어 바 연결힌지(831)에서 힌지 연결된다. 상기 도어 바 연결힌지(831)는 상기 개폐회전축(814)에서 r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므로, 도어(720){도어 바(840)}가 열리면 상기 개폐회전축(814)을 기준으로 선회하며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도 상기 하우징(81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An
도어(720) 또는 도어 바(840)는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전방으로 수평으로 누운 상태까지 개방되므로, 최대 개방각(a3)은 90도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힌지(831) 역시 상기 개폐회전축(814)을 중심으로 90도 선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이 90도 선회하는 수평거리(d3)만큼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의 후방에는 스프링 내삽핀(820)이 설치된다. 스프링 내삽핀(820)은 이너링크하우징(830)의 후방부와 내부하우징 관절핀(822)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 관절핀(822)의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810)에 마련된 관절핀 가이드슬롯(815)에 끼워져 있다. 관절핀 가이드슬롯(815)은 상기 하우징(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상이다.A
스프링 내삽핀(820)에는 탄성이 매우 강한 압축코일 스프링(823)이 이미 압축된 상태로 외삽된다. 상기 스프링 내삽핀(820)은 상기 하우징(810)에 고정된 스프링 걸림판(811)을 관통하여 하우징(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823)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810)의 스프링걸림판(811)에 걸리게 된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823)의 가세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810)에는 상기 스프링걸림판(811)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핀(812)이 더 설치될 수 있다.A
상기 스프링 내삽핀(8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스프링(823)의 후단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핀(8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핀(821)은 하우징(810)과 간섭되지 않는다.A
따라서 도어 바(840)가 개방되면, 내부하우징 관절핀(822)이 하우징(810)의 가이드슬롯(815)의 안내를 받으며 이너링크하우징(830)과 스프링 내삽핀(82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823)은 스프링 걸림판(811)과 스프링 지지핀(821) 사이에서 압축되어 가며 점점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823)의 압축 길이는 상기 개폐회전축(814)의 수평 이동거리(d3)와 대응하며, 도어의 개방각이 작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823)의 탄성력이 작지만, 도어의 개방각이 커짐에 따라 스프링(823)의 탄성력도 커진다. 상기 탄성력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스프링(823)이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가세력은, 도어의 개방각 a1에서 a3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823)이 도어의 개방각 a1에서 가지는 가세력은, 개방각 a1에서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저절로 열리려는 힘(개방력)보다 더욱 작아, 레버(300)가 개방각 a1까지 밀어준 도어가 저절로 열리도록 설정된다.The biasing force that the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 내부에는 댐퍼(850)가 설치된다. 댐퍼(850)의 피스톤(851)은 이너링크하우징(830)에 일체로 고정된 댐퍼 가압면(8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피스톤(851)에는 실린더(852)가 외삽된다. 실린더(852)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810)에 고정된 댐퍼 지지핀(813)이 끼워지는 슬롯(853)이 마련된다. 즉 상기 실린더(852)는 상기 슬롯(853)의 길이만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에는,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의, 댐퍼(850)의 슬롯(853)과 하우징(810)의 댐퍼 지지핀(813) 간의 위치가 개시되어 있다.A
도어가 개방되며 소정의 각도(a2)만큼 회동함에 따라, 이너링크하우징(830)이 d2만큼 수평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댐퍼(850)도 이너링크하우징(830)의 댐퍼 가압면(832)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며 함께 이동한다. 댐퍼가 전방으로 밀려남에 있어서, 댐퍼 가압면(832)은 댐퍼(850)의 피스톤(851)을 전방으로 밀지만, 아직 실린더(852)의 슬롯(853)은 댐퍼 지지핀(813)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댐퍼(850)는 이너링크하우징(83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되, 아무런 감쇠력도 발생시키지 않는다.As the door is opened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a2, the
도어의 개방각이 a2를 넘어서는 순간, 전방으로 이동하던 댐퍼(850)의 슬롯(853)이 댐퍼 지지핀(813)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댐퍼(850)는 압축되기 시작한다. 댐퍼(850)가 압축되며 발생하는 감쇠력은, 도어가 개방각 a2 ~ a3 구간에서 감쇠되며 개방되도록 해준다.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exceeds a2, the
댐퍼(850) 고유의 최대 감쇠 거리(Lmax), 즉 댐퍼가 축소되며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 스트로크는, 도어에 댐핑력이 가해지는 동안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이동하는 거리(d3-d2) 이상으로 설정된다.The intrinsic maximum damping distance (Lmax) of the
구체적으로, 닫혀 있던 도어가 a2까지 열리는 동안, 상기 도어 바 연결힌지(831)도 a2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과 스프링 내삽핀(820)은 d2만큼 전방으로 이동한다. d2의 거리만큼 이동하는 동안, 댐퍼(850)의 슬롯(853)은 댐퍼 지지핀(813)을 타고 이동하므로, 댐퍼는 눌리지 않는다. 즉 도어의 개방각이 0에서 a2에 이르는 구간은, 스프링(823)의 탄성력이 도어의 개방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개방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Specifically, while the closed door is opened up to a2, the door
닫혀 있던 도어가 a3까지 열리는 동안, 상기 도어 바 연결힌지(831)도 a3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너링크하우징(830)과 스프링 내삽핀(820)은 d3만큼 전방으로 이동한다. 즉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823)은 d3만큼 압축된다. 즉 상기 스프링(823)의 탄성력은, 도어의 개방각이 0도에서 a3에 이르는 구간까지, 도어의 개방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개방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While the closed door is opened up to a3, the door
상기 최대 개방각(a3)은 상기 내부하우징 관절핀(822)의 슬라이드 이동거리를 규제하는 하우징(810)의 관절핀 가이드슬롯(815)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The maximum opening angle a3 may be regulated by the joint
상기 댐퍼(850)가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는 각도 범위는, 가령 도어가 약 30°~40° 정도 되었을 때 시작되어 대략 90°가 될 때까지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도어는 초기 개방각(a1)까지 래치 홀더(10)에 의해 개방된 후, 자중에 의해 천천히 자중에 의해 가속 개방되다가 a2(약 30°~40°) 정도 되었을 때 댐퍼의 감쇠력을 받아 천천히 개방될 수 있다. 도어의 이러한 개방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해준다.The angle range at which the
도어가 개방되면서 감쇠가 너무 일찍 시작되면, 도어가 개방되기를 기다리는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오히려 불편함을 유발한다. 반면 도어의 감쇠가 너무 늦게 시작되면, 도어가 상당 수준 열리는 범위까지 도어가 너무 빨리 열리게 되어 사용자가 놀라거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빨리 열리는 도어에 부딪혀 다칠 우려도 있다.If the damping starts too early while the door is opened, the waiting time for the door to be opened is too long, causing in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if the damping of the door starts too late, the door opens too quickly to the extent that the door opens to a considerable extent, which may surprise or feel uncomfortable to the user, and may cause injury by hitting the door that opens quickly.
이러한 점에서, 상기 댐퍼(850)가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기 시작하는 감쇠 돌입각(a2)은, 35 ± 5°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regard, the damping intrusion angle a2 at which the
그리고 상기 감쇠력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90° 까지 지속되거나, 그보다 5° 정도 작은 85°까지 지속될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구간까지 전부 감쇠력이 작용하면,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고 1~2° 정도 덜 열릴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감쇠력이 85° 이후에는 작용하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ping force may last until 90° when the door is fully opened, or up to 85°, which is about 5° smaller than that. If the damping force is applied to the section where the door is fully opened,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damping force does not act after 85° in order to dispel the fear that the door does not open completely and opens by 1~2° less.
이처럼 상기 감쇠 돌입각(a2)은 상기 강제 개방각(a1)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강제 개방각(a1)와 감쇠 돌입각(a2) 사이, 즉 1°~7° 이상 30~40° 이하의 구간은 도어가 아무런 댐퍼(850)에 의해 감쇠되지 아니하고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는 구간이 된다. 물론 이 구간에서도 상술한 스프링(823)의 탄성력은 도어의 개방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는 구간에서 도어가 급 가속되는 현상은 충분히 방지된다.As such, the damping rush angle a2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forced opening angle a1. And the section between the forced opening angle (a1) and the damping rush angle (a2), that is, 1° to 7° or more and 30 to 40° or less, is a section where the door is not damped by any
이러한 도어 자동 개방 구조를 적용하면, 사용자 불안감을 줄일 수 있고, 품질 감성이 높아지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삭제할 수 있어 특히 빌트인 설치 시 우수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If such an automatic door opening structure is applied, user anxiety can be reduced, quality sensi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handle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door can be removed, which can provide an excellent aesthetic feeling, especially during built-in installation.
[도어 자동 개방 작동][Door automatic opening operation]
통상 건물의 도어에 사용하는 댐퍼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스프링을 가세하되 도어가 세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계요소이다. 이러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은, 도어가 최대각으로 열렸을 때 가장 크며, 도어가 점점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적정한 수준의 감쇠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댐퍼를 설치하면, 도어가 점점 닫힘에 따라, 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가세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점점 약해지므로, 댐퍼의 감쇠력이 도어의 닫힘 속도에 더 영향력을 가지게 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가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A damper normally used for a door of a building is a mechanical element installed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tightly closed while biasing the spr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is greatest when the door is opened at the maximum angle, and becomes smaller as the door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gradually closed. Therefore, if a damper capable of exerting an appropriate level of damping force is installed, as the door clos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pplied in the door closing direction becomes weaker. , the door closing speed is gradually reduced.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도어가 풀 다운 방식으로 열리는 작동 과정에 댐퍼를 닫게 되면, 도어를 개방하는 개방력은 도어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들과 달리,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시스템은, 댐퍼의 감쇠가 진행될수록 점점 감쇠해야 하는 힘이 커지는 시스템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amper is closed during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oor in a pull-down mann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force for opening the door is composed of a moment due to the door's own weight.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doors, the automatic door ope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at the force to be damped gradually increases as the damping of the damper progresses.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의 자중에 의해 가해지는 개방력은 도어의 개방각도에 대한 사인 함수로 규정될 수 있다. 반면, 스프링(823)에 의한 개방저지력은 스프링상수에 대한 1차 함수로 규정될 수 있다. 댐퍼의 감쇠력은 감쇠되는 운동의 속도에 비례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거의 정속으로 떨어지도록 제어되는바, 댐퍼의 감쇠력은 상수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opening force applied by the door's own weight may be defined as a sine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stopping force by the
즉 감쇠력은 도어의 개방 각도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어 가는 시점에 작용하는 큰 개방력에 대한 충분한 감쇠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댐퍼의 감쇠계수가 매우 커야 한다. 그런데, 댐퍼의 감쇠계수가 크면, 그만큼 초기 개방 단계에서 개방력을 저지하는 감쇠력이 커지기 때문에, 초기 개방 동작이 매우 느려지거나, 초기 개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댐퍼의 감쇠력(Fd1)이 너무 크면, 초기 개방 동작이 원활하지 않고, 댐퍼의 감쇠력(Fd1)이 작으면, 개방각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개방력을 감쇠력이 커버하지 못하게 된다.That is, the damping force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a sufficient damping force against a large opening force applied at a time 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damper must be very large. However, if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damper is large, the damping force that blocks the opening force in the initial opening step increases accordingly, so that the initial opening operation becomes very slow or the initial ope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smoothly. That is, if the damping force Fd1 of the damper is too large, the initial opening operation is not smooth. If the damping force Fd1 of the damper is small, the damping force cannot cover the opening force that increases as the opening angle increases.
이에 본 발명에서는, 풀 다운 도어의 두 힌지 부분에 각각 적용되는 힌지모듈(800)을 서로 달리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가령 어느 한 쪽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는, 도 14와 같이 설계되어, 보다 빠른 시점의 감쇠돌입각(a2)에서 제1댐핑력(Fd1)으로 감쇠가 시작되고, 다른 한 쪽의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는, 도 15 또는 도 16과 같이 설계되어, 보다 늦은 시점의 추가 감쇠돌입각(a2')에서 제2댐핑력(Fd2)으로 감쇠가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ifferently designing the
이에 따르면, 추가 감쇠돌입각(a2')에 접어들어, 개방각의 증가와 함께 커진 개방력을 충분히 감쇠할 수 있는 댐핑력(Fd1 + Fd2)이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의 개방각이 커짐에 따라 하나의 댐퍼로는 감당할 수 없었던 개방력의 증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additional damping rush angle a2' is reached, a damping force (Fd1 + Fd2) capable of sufficiently damping the opening force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opening angle act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over the increase in the opening force that one damper could not handle.
상기 추가 감쇠돌입각(a2')은 약 60~80°, 즉 70° ± 10° 정도일 수 있다.The additional damping rush angle a2' may be about 60 to 80°, that is, about 70°±10°.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감쇠돌입각(a2)에 감쇠가 시작되는 도 14의 힌지모듈(800)과 대비하여, 추가 감쇠돌입각(a2')에 감쇠가 시작되는 도 15의 힌지모듈(800)은, 댐퍼(850)의 실린더(852)의 슬롯(853) 길이(d2')가 더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4와 도 15의 두 힌지모듈(800)은 모두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가 동일하므로,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이동하는 구간(d3)은 서로 동일하다. 하지만, 슬롯(853)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댐퍼의 감쇠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이동하는 구간(d2, d2')은 서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 in contrast to the
아울러, 도 14와 도 15의 힌지모듈은,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가 동일하므로, 동일한 개방각에 대해 발생하는 감쇠력이 서로 동일하다. 즉 도 17의 Fd1과 Fd2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r between the opening/
한편 도 14와 도 16을 참조하면, 감쇠돌입각(a2)에 감쇠가 시작되는 도 14의 힌지모듈(800)과 대비하여, 추가 감쇠돌입각(a2')에 감쇠가 시작되는 도 16의 힌지모듈(800)은,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가 더 축소된 형태일 수 있다.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가 더 짧으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전진하는 거리(d3')가 더 줄어든다. 즉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가 줄어든 만큼, 동일 개방각에 대해 이너링크하우징(830)이 전진하는 거리(d3')가 더 줄어든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4 and 16 , compared to the
도 14와 도 16의 두 힌지모듈(800)은 모두 댐퍼(850)의 실린더(852)의 슬롯(853) 길이(d2)가 동일하므로, 이너링크하우징(830)이 감쇠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d2)는 동일하다. 하지만,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너링크하우징(830)을 동일한 거리(d2)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도어(720) 또는 도어 바(840)가 회동해야 하는 각도에 서로 차이가 있다. 즉 도 14의 힌지모듈(800) 구조에서, 이너링크하우징(830)을 d2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회동해야 하는 도어의 개방각은 a2 라면, 도 16의 힌지모듈(800) 구조에서 이너링크하우징(830)을 d2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회동해야 하는 도어의 개방각은 a2'가 된다.In both hinge
한편, 도 14의 힌지모듈과 대비하여, 도 16의 힌지모듈은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가 더 짧으므로, 동일한 개방각에 대해 댐퍼의 감쇠 거리가 더 짧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감쇠력도 줄어든다. 즉 도 16의 힌지모듈은 도 14의 힌지모듈과 대비하여, 동일한 개방각을 회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감쇠력이 더 작다. 다시 말해, 도 17의 Fd1보다 Fd2가 더 작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the hinge module of FIG. 14 , in the hinge module of FIG. 16 , the distance r′ between the opening/
도 14와 도 15의 힌지모듈의 관계, 그리고 도 14와 도 16의 힌지모듈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풀 다운 도어의 양쪽 힌지 부분에 설치되는 힌지모듈의 감쇠 돌입각을 서로 달리하여, 점점 커지는 도어의 개방력에 대항할 수 있는 감쇠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nge modules of FIGS. 14 and 15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nge modules of FIGS. 14 and 16, the damping intrusion angles of the hinge modules installed on both hinges of the pull-down do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amping force that can counteract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이러한 감쇠 돌입각의 차이는, 동일한 힌지모듈 구조를 적용하되, 실린더의 슬롯(853)의 길이(d2, d2')를 달리하거나,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 r')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두 감쇠 돌입각(a2, a2')에 돌입할 때 주어지는 댐핑력의 크기(Fd1, Fd2) 역시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 r')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The difference in the attenuation intrusion angle applies the same hinge module structure, but the lengths d2 and d2' of the
따라서 도어의 자중이나 크기에 따라 개방력이 달라지더라도, 매번 힌지모듈의 설계를 다시 할 필요 없이, 양 쪽에 설치되는 힌지모듈의 실린더의 슬롯(853)의 길이(d2, d2')를 달리하거나, 개폐회전축(814)과 도어 바 연결힌지(831) 사이의 거리(r, r')를 달리하는 정도의 변경만으로, 점점 커지는 도어의 개방력에 대항할 수 있는 최적의 감쇠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even if the opening for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r size of the door, there is no need to redesign the hinge module each time, and the lengths (d2, d2') of the
그리고 서로 다른 감쇠력과 감쇠돌입각을 적용함에 더하여, 스프링(823)의 스프링상수(도 17의 기울기), 그리고 스프링의 초기 압축정도(도 17의 탄성력 그래프의 초기 값)을 추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도어의 개방력에 대항하여 도어가 제어된 속도로 개방될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상수와 초기 압축정도는, 초기 개방각(a1; 래치 홀더가 래치를 밀어내어 도어가 개방되는 각도)에서 도어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개방력과 같거나 그보다 작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의 이점쇄선은 이와 같이 감쇠력과 스프링상수를 조절하여 댐퍼와 스프링에 의해 발생하는, 개방력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낸다.And in addition to applying different damping force and damping rush angle, by additionally adjusting the spring constant (inclination of FIG. 17) of the
[도어 자동 개방 동작 제어 방법][How to control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이하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 개방 동작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1 .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은 모터(610)의 1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터가 1회전하는 동안 푸셔(5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푸셔에 편심 배치된 푸셔캠(540)이 레버(300)를 밀어 주었다가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레버(300)는 상기 푸셔캠(540)에 의해 래치(300)를 전방 상부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도어는 자동 개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performed by one rotation of the
상술한 래치 홀더(10)의 구조 상,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래치 홀더는 크게 네 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첫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 있어 래치(200)가 래치 홀더(10) 내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고, 래치(200)의 하향 가압력에 의해 레버(300)가 가장 시계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배치되고,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누르고 있는 정 위치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둘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이고, 푸셔(500)가 정 위치에 정렬되어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누르고 있는 상태인 경우이다.The second is a case in which the door is open as shown in FIG. 7 , and the
셋째는 정전 등의 문제로 푸셔(500)가 돌다가 멈추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를 누르는 상태에서 벗어나 있고, 레버(300)의 푸쉬부(330)가 들려 있으며,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인 경우이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는 레버(300)의 푸쉬부(330)가 래치 홀더(10)의 입구를 막고 있기 때문에, 래치(200)가 래치 홀더 내부로 들어올 수 없고, 이에 따라 도어가 닫혀 있을 수 없다.Third, the
넷째는 도 6의 상태와 도 7의 상태 사이, 즉 푸쉬부(330)가 래치 홀더(10)의 입구를 막고 있지는 않고 그보다 약간 하강한 상태에서, 푸셔의 누름돌기(530)가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누르지 않은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래치(200)가 래치 홀더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데, 래치가 래치 홀더 내부로 들어오면, 래치의 하중이 레버를 누르므로, 레버가 강제로 회전하게 되고, 레버가 회전하며 푸셔(500)를 이동시켜 결국 도 8과 같은 상태로 바뀌게 된다.The fourth is between the state of Figure 6 and the state of Figure 7,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500)가 일회전하며 도어의 개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푸셔(500)는 정 위치 즉 도 8의 위치에서부터 회전 운동하기 시작하여 1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푸셔(500)가 1회전하면, 레버(300)의 푸쉬부(330)가 1회 정확히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도어의 자동 개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푸셔(500)가 정위치에 있지 않고 도 6과 같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 개방 동작을 위한 푸셔(500)의 회전이 시작된다면, 도어 자동 개방 동작에 대한 신뢰성은 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기가 처음 시작될 때, 가령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켜는 경우, 상기 푸셔(500)가 정 위치에 있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started for the first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connects the power plug of the cooking appliance to an outlet, or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도 8이나 도 7과 같이 이미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눌러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라는 신호를 보내는 경우에는, 이미 정 위치에 있음이 확인되므로 굳이 푸셔(500)의 정 위치 정렬을 위한 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도 8과 같이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정 위치 정렬을 위해 푸셔(500)를 회전시킨다면, 오히려 닫혀 있던 도어가 열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8 or 7,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 오픈 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such a state,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until the user inputs a door open command.
반면 도 6과 같이 푸셔(500)가 리턴스탑스위치(620)를 누르는 정 위치를 떠나 있는 상태에서는, 어차피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임이 예상되므로, 푸셔(500)의 정 위치 정렬을 위해 푸셔를 회전시켜도, 사용자가 보기에 도어가 닫혀 있던 도어가 열리는 것과 같은 이상 동작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 in a state in which the
즉 조리기기가 기동(전원을 연결하거나 전원 버튼을 켜는 상황)될 때,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 즉 눌리지 않은 상태임이 감지된다면, 도 20에 도시된 푸셔(500)의 정 위치 정렬을 실시하게 된다.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in an off state, that is, not pressed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started (a situation in which the power is connected or the power button is turned on), the
초기 정 위치 정렬 절차는, 먼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모터가 통상적인 회전과 다른 회전이 되도록 하는 전원(펄스 전원 등)의 공급 없이, 통상적인 연속 전원(교류 전원일 수 있음)을 공급하여 모터를 구동한다.The initial in-situ alignment procedure is to first apply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rmal continuous power supply (which may be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is supplied to drive the motor without supplying power (pulse power supply, etc.) that causes the motor to rotate different from the normal rotation.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는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셔(500)가 회전하여 도 7과 같은 위치에 이르면, 리턴스탑스위치(620)가 눌려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은 차단되고, 이에 따라 푸셔는 정 위치 정렬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the motor rotates. Accordingly, when the
제어부는 모터가 1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t0)이 지난 후, 리턴스탑스위치가 눌리는지 확인한다. 만약 리턴스탑스위치가 눌리는 것이 확인된다면, 모터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리턴스탑스위치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푸셔(500)가 초기 정 위치에 정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확인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 오픈 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fter a sufficient time (t 0 ) for the motor to rotate onc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return stop switch is presse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press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or operates normally, the return stop switch also operates normally, and the
만약 상기 시간(t0)이 지난 후에도 리턴스탑스위치가 눌리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이는 모터 또는 리턴스탑스위치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도 6과 같은 상태에서는 도어가 닫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개방감지스위치(400)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고,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의 이동에 의해 도어가 열렸는지 여부를 통해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면 제어부는 모터 또는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4 에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후속 조치로 조리기기의 작동을 종료할 수도 있다.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pressed even after the time t 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is abnorm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oor cannot be closed in the state shown in FIG. 6 , the
푸셔(500)가 정 위치 정렬된 후, 사용자의 도어 개방 명령을 대기하는 상태는 모두 도 7 또는 도 8과 같은 상태임이 예상된다. 도 7과 같은 상태, 즉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도어 개방 명령이 입력되어 푸셔(500)를 일회전 시키더라도, 제품의 동작에 별다른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After the
물론 도 7과 같은 상태, 즉 리턴스탑스위치는 눌려 있지만 개방감지스위치는 눌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해도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제어 알고리즘의 단순화를 위해 도 7이나 도 8의 상태를 구분해서 도어 개방 명령에 대응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Of course, in the state shown in FIG. 7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turn stop switch is pressed but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not pressed, power may not be supplied to the motor even if the user inputs a door open command.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control algorithm, it is not necessary to respond to the door open command by dividing the states of FIG. 7 or FIG. 8 .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는 자동으로도, 또한 수동으로도 개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작동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more helpful to understand the automatic door opening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사용자의 도어 개방 명령 입력에 의해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잠시 후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지 확인한다.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면, 모터가 정상적으로 회전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If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by the user's door open command input, check if the return stop switch is turned off after a while. If the return stop switch is turned off,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or has started to rotate normally.
그리고, 모터가 일 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t0)이 경과한 뒤,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약 도 8과 같은 상태였다면 도어가 열리면서 온 상태였던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것이고, 도 7과 같은 상태였다면 계속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였을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든 상관 없이, 상기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임이 확인되면, 래치는 정상적으로 래치 홀더로부터 빠져나간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n, after a time (t 0 ) sufficient for the motor to rotate one revolution has elapsed, it is checked whether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in the OFF state. If the state was as shown in FIG. 8, the open detection switch that was in the on state while the door was opened would be switched to the off state, and if it was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Therefore, regardless of any cas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in the OFF stat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atch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normally released from the latch holder.
다음으로, 모터가 일 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뒤, 리턴스탑스위치가 다시 온 상태가 되는지 확인한다. 모터가 정상적으로 돌아 원 위치에 왔다면, 상기 리턴스탑스위치가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리턴스탑스위치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턴스탑스위치가 눌리면,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은 즉시 차단되므로, 푸셔 역시 초기 정 위치에 위치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Next, after enough time has elapsed for the motor to rotate once, check whether the return stop switch is turned on again. When the moto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return stop switch is pressed, and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operating normally. Also, when the return stop switch is presse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immediately cut off, 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usher is also in the initial position.
이 때, 제어부는 다시 사용자의 도어 개방 명령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s again in a state of waiting for the user's door open command.
반면 모터가 일 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모터 또는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turn stop switch does not turn on even after sufficient time has elapsed for the motor to rotate once, it can be expect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만약 상기 소정 시간 동안 개방감지스위치는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는데(즉 도어는 개방됨이 확인되었는데), 소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단된다면,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2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고,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If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door is confirmed to be open), but the return stop switch does not turn 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return stop switch is faulty. It can be sensed that there is If it is determined in this way, a second error signal notify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turn stop switch may be generated,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ay be cut off.
반면 이미 도어가 개방된 상태이어서, 상기 소정 시간 동안 개방감지스위치가 계속 오프 상태였다면, 모터와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다만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했을 때 일단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음이 확인된 상태이므로, 모터보다는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판단된다면,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제2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고,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oor is already in an open state and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continuously turned off for the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ich of the motor and the return stop switch is abnormal. However, since it is confirmed that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it is more likely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return stop switch than in the motor.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this way, a second error signal notify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turn stop switch may be generated,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ay be cut off.
즉 어떠한 경우든 리턴스탑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면, 리턴스탑스위치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고 제2 에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in any case, if the return stop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n state, it is possible to check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return stop switch and generate a second error signal.
한편, 사용자의 도어 개방 명령 입력에 의해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터가 일 회전하기에 충분한 시간(t0)이 경과한 뒤에도, 개방감지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모터는 정상적으로 회전하고 있으나,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에 장애물이 있어 도어 개방에 방해가 되거나, 도어 래치가 래치 홀더에 잘못된 형태로 걸려 버려 도어가 제대로 개방되지 않는 상황임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래치 동작의 이상을 알리는 제1에러신호를 발생시키고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by the user's door open command input and the return stop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even after a sufficient time (t 0 ) for the motor to rotate once elapses, the open detection switch In the ON state, the motor rotates normally, but it is not expected that the door is not opened properly because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oor opening direction, or the door latch is caught in the wrong shape by the latch hold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irst error signal notifying an abnormality in the latch operation and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한편, 사용자의 도어 개방 명령 입력에 의해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턴스탑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도 20과 같은 에러 신호 발생 단계에 돌입할 수 있다. 즉 이 때에는 모터나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음이 명백하다. 다만 추가적인 신호 확인을 통해 모터와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turn stop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ff state even though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by the user's input of a door open command, the error signal generation step as shown in FIG. 20 may be entered. That is, at this time, it is clear that there is an error in either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However,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error between the motor and the return stop switch by checking additional signals.
이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 여부를 근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시점에는 개방감지스위치가 온 상태, 즉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였는데,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다면,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모터는 정상적이라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리턴스탑스위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제2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고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한 뒤 종료할 수 있다.This can be confirmed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open as shown in FIG. 21 . That i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in the on state, that is, the door is closed. If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oor is open. This results in the motor being normal. Therefore, in such a situ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turn stop switch, and the second error signal is genera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cut off, and then the operation can be terminated.
반면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시점에는 개방감지스위치가 온 상태, 즉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였는데,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에도 개방감지스위치가 계속 온 상태라면, 도어가 여전히 닫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모터가 이상이라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모터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제3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고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한 뒤 종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on, that is, the door is closed. This results in the motor being faulty. Therefore, in such a situ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motor, a third error signal is genera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cut off, and then the operation can be terminated.
그러나, 이미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던 시점부터 개방감지스위치가 오프인 상태, 즉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라면, 개방감지스위치를 통해서는 모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모터나 리턴스탑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났음을 알리는 제4 에러신호를 발생시키고,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며,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However, if the open detection switch is off from the time when power is already supplied to the motor, that is, if the door is open,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motor is operating through the open detection switch, so either the motor or the return stop switch A fourth error signal notifying that one has failed may be generate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ay be cut off, and control may be terminated.
상술한 제어방법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공급되는 통상적인 연속 교류 전원 외에 다른 형태의 전원을 생성하여 모터에 공급할 필요 없이, 통상적인 전원을 모터에 공급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there is no need to generate and supply other types of power to the motor in addition to the normal continuous AC power supplied to the cooking appliance, and supply the normal power to the motor.
그리고, 모터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모터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어차피 필요한 구성인 리턴스탑스위치와, 도어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부터 사용되어 오던 구성인 개방감지스위치의 신호를 활용하여 자동 개방 구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 가능하다.In additio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to detect whether the motor is operating, the return stop switch, which is a necessary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the stop position of the motor, and a configuration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to check whether the door is open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the automatic opening structure is operating normally by using the signal of the open detection switc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래치 홀더
100: 홀더바디
101: 베이스면
110: 래치 입출공
111: 외경사면
112: 내경사면
113: 상부벽면
114: 측벽면
120: 레버 지지부
121: 연장부재
122: 레버지지축부
123: 차폐면부
130: 푸셔 지지부
131: 홀
140: 리턴스프링 지지부
141: 후크걸이
150: 개방감지스위치 고정부
151: 고정벽
160: 리턴스탑스위치 고정부
170: 푸셔 구동부 고정부
180: 후크 수용공간
200: 래치
210: 래치 피봇축
220: 래치바
221: 상부경사면
230: 후크부
231: 이면경사면
232: 선단하부경사면
233: 선단평면
300: 레버
310: 축부
320: 작용부
330: 푸쉬부
331: 내삽부재
332: 외삽부재
333: 밀어올림경사면
334: 윗면
335: 저면
336: 밀어냄부
340: 힘점부
342: 스프링고정부
350: 방향전환부
400: 개방감지스위치
410: 스위치바디
420: 트리거
500: 푸셔
510: 회전축
520: 회전판
530: 누름돌기
531: 곡면부
5311: 곡면 프로파일
5312: 누름 유지 프로파일
540: 푸셔캠
600: 푸셔 구동부
610: 모터
611: 회전구동축
612: 하우징
620: 리턴스탑스위치
621: 스위치바디
622: 트리거
630: 리턴스프링
710: 본체
720: 도어
800: 힌지모듈
810: 하우징
811: 스프링걸림판
812: 스프링걸림판 지지핀
813: 댐퍼 지지핀
814: 개폐회전축
815: 관절핀 가이드슬롯
820: 스프링 내삽핀
821: 스프링 지지핀
822: 내부하우징 관절핀
823: 스프링
830: 이너링크하우징
831: 도어 바 연결힌지
832: 댐퍼 가압면
840: 도어 바
850: 댐퍼
851: 피스톤
852: 실린더
853: 슬롯 10: latch holder
100: holder body
101: base surface
110: latch entry and exit
111: external slope
112: inner slope
113: upper wall surface
114: side wall
120: lever support
121: extension member
122: lever support shaft portion
123: shielding surface portion
130: pusher support
131: Hall
140: return spring support
141: hook hook
150: open detection switch fixed part
151: fixed wall
160: return stop switch fixed part
170: pusher driving unit fixing unit
180: hook accommodation space
200: latch
210: latch pivot axis
220: latch bar
221: upper inclined surface
230: hook part
231: two slopes
232: tip lower slope
233: tip plane
300: lever
310: shaft
320: action part
330: push unit
331: interpolation member
332: extrapolation member
333: push-up slope
334: top
335: bottom
336: push-out part
340: power point
342: spring fixing part
350: direction change unit
400: open detection switch
410: switch body
420: trigger
500: pusher
510: axis of rotation
520: rotating plate
530: push button
531: curved part
5311: surface profile
5312: press-and-hold profile
540: pusher cam
600: pusher drive unit
610: motor
611: rotary drive shaft
612: housing
620: return stop switch
621: switch body
622: trigger
630: return spring
710: body
720: door
800: hinge module
810: housing
811: spring stop plate
812: spring stop plate support pin
813: damper support pin
814: opening and closing rotation shaft
815: joint pin guide slot
820: spring interpolation pin
821: spring support pin
822: inner housing joint pin
823: spring
830: inner link housing
831: door bar connection hinge
832: damper pressure surface
840: door bar
850: damper
851: piston
852: cylinder
853: slot
Claims (13)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로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과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은 각각 피스톤(851)과 실린더(852)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850)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함께 전진하고,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함께 전진하다가 소정의 거리(d2, d2')만큼 전진한 뒤에는 간섭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아니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소정의 거리(d2)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소정의 거리(d2')보다 더 짧아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댐퍼(850)는 각각 서로 다른 감쇠돌입각(a2, a2')을 갖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7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opening speed of the home appliance As a regulator,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door 720 and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door 720, respectively, as the piston 851 and the cylinder 852 move relatively. a damper 850 that provides a damping force;
Any one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damper 850 advances together as the door is opened, and the other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damper 850 advances together as the door is opened, and then moves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d2 , after advancing by d2'), it interferes and does not advance further,
Since the predetermined distance d2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i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d2'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the dampers 85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oor 720 are ) is a door opening speed control device having different damping intrusion angles (a2, a2'), respectively.
상기 댐퍼(850)는,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853)과, 하우징(810)에 설치되고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댐퍼 지지핀(8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거리(d2, d2')는 상기 슬롯(85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mper 850 includes a slot 853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damper 850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damper support pin 813 installed in the housing 810 and fitted into the slot. ) further compris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d2, d2')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slot (853),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상기 힌지모듈(80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하우징(810);
상기 하우징(810)에 개폐회전축(8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 바(840);
상기 개폐회전축(814)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 바(840)에 배치된 도어 바 연결힌지(831); 및
상기 도어 바 연결힌지(831)를 통해 상기 도어 바(8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8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후 방향 이동이 가이드되되, 전진 이동할 때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전진하는 이너링크하우징(830);을 더 포함하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module 800,
a housing 810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oor bar 8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810 about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a door bar connection hinge (831) disposed on the door bar (84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bar 840 through the door bar connection hinge 831 and guided by the housing 810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ut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damper 850 when moving forward. Inner link housing (830) that advances with any one; further comprising,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로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과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은 각각:
피스톤(851)과 실린더(852)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850);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하우징(810);
상기 하우징(810)에 개폐회전축(8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 바(840);
상기 개폐회전축(814)으로부터 소정의 거리(r, r')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 바(840)에 배치된 도어 바 연결힌지(831);
상기 도어 바 연결힌지(831)를 통해 상기 도어 바(8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810)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이 가이드되되, 전진 이동할 때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전진하는 이너링크하우징(83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도어 바 연결힌지(831)와 개폐회전축(814) 사이의 거리(r)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도어 바 연결힌지(831)와 개폐회전축(814) 사이의 거리(r')보다 더 멀어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댐퍼(850)는 각각 서로 다른 감쇠돌입각(a2, a2')을 갖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7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opening speed of the home appliance As a regulator,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one lower end of the door 720 and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other lower end of the door 720 are:
a damper 850 that provides a damping force as the piston 851 and the cylinder 852 move relatively;
a housing 810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oor bar 8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810 about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a door bar connection hinge 831 disposed on the door bar 84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 r');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bar 840 through the door bar connection hinge 831, and is guided by the housing 810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cluding; an inner link housing (830) that advances with any one
The distance r between the door bar connection hinge 831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the door bar connection hinge 831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nd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 814) farther than the distance r', the dampers 85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oor 720 have different damping rush angles a2 and a2', respectively, the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함께 전진하고, 상기 댐퍼(850)의 피스톤과 실린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함께 전진하다가 소정의 거리만큼 전진한 뒤에는 간섭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아니하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ne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damper 850 advances together as the door is opened, and the other of the piston and the cylinder of the damper 850 advances together as the door is opened and then advanc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door opening speed control device that interferes and does not advance any more after it has been done.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로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과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은 각각 피스톤(851)과 실린더(852)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850)를 포함하고,
동일한 도어의 개방각에 대해,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의 스트로크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의 스트로크가 서로 달라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댐퍼(850)는 각각 서로 다른 감쇠돌입각(a2, a2')을 갖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7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opening speed of the home appliance As a regulator,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door 720 and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door 720, respectively, as the piston 851 and the cylinder 852 move relatively. a damper 850 that provides a damp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gle of the same door, the stroke of the damper 850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is different from the stroke of the damper 850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The damper 85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has different damping intrusion angles a2 and a2', respectively, a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의 댐퍼(850)의 감쇠계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amping coefficient of the damper 850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damper 850 of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re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로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의 댐퍼(850)와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의 댐퍼(850)는 각각 서로 다른 감쇠돌입각(a2, a2')을 갖고,
상기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이 상기 도어에 가하는 감쇠력(Fd1)의 크기와, 상기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모듈이 상기 도어에 가하는 감쇠력(Fd2)의 크기가 서로 다른,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7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opening speed of the home appliance As a regulator,
The damper 850 of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door 720 and the damper 850 of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door 720 have different damping intrusion angles, respectively. having (a2, a2'),
A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damping force Fd1 applied to the door by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damping force Fd2 applied to the door by the hinge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로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와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는 각각 서로 다른 감쇠돌입각(a2, a2')을 갖고,
상기 감쇠돌입각(a2)은 30°~40°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추가 감쇠돌입각(a2')은 60°~80° 범위 내에 있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7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opening speed of the home appliance As a regulator,
The damper 850 installed in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one lower end of the door 720 and the damper 850 installed in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other lower end of the door 7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aving an angle of entry (a2, a2'),
The damping rush angle (a2) is in the range of 30° to 40°,
The additional damping rush angle (a2') is within the range of 60 ° to 80 °,
Door opening speed control device.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스프링(823)에 의해 탄성 가세되는,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door is elastically biased by a spring (82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전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로서,
상기 도어(72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와 상기 도어(72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모듈(800)에 설치된 댐퍼(850)는 각각 서로 다른 감쇠돌입각(a2, a2')을 갖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스프링(823)에 의해 탄성 가세되고,
상기 도어는 래치 홀더(10)에 의해 강제 개방되고,
상기 래치 홀더(10)에 의해 강제 개방되는 각도(a1)에서 상기 도어(720)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려는 힘이 상기 스프링(823)의 가세력보다 더 큰,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ain body 7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7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opening speed of the home appliance As a regulator,
The damper 850 installed in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one lower end of the door 720 and the damper 850 installed in the hinge module 800 installed at the other lower end of the door 7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aving an angle of entry (a2, a2'),
The door is elastically biased by a spring 82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The door is forcibly opened by the latch holder 10,
The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wherein the force to open the door 720 by its own weight at the angle (a1) forcibly opened by the latch holder (10) is greater than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823).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 및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도어와 본체는 청구항 1 내지 9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가전기기.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710 and rotatably connects the door 720 to the main body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and the main body are connected by the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11.
상기 캐비티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720); 및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개폐회전축(814);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회전축(814)은, 본체(7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72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도어와 본체는 청구항 10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가전기기.
a body 710 having a cavity therein;
a door 7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cavity; and
and an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movement of the door;
The opening/closing rotation shaft 814 is locat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710 and rotatably connects the door 720 to the main body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oor and the main body are connected by the door opening speed adjusting device of claim 10.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06818A KR102362076B1 (en) | 2018-04-11 | 2020-01-17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KR1020220016065A KR102474971B1 (en) | 2020-01-17 | 2022-02-08 | A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42414A KR102070117B1 (en) | 2018-04-11 | 2018-04-11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KR1020200006818A KR102362076B1 (en) | 2018-04-11 | 2020-01-17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42414A Division KR102070117B1 (en) | 2018-03-27 | 2018-04-11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16065A Division KR102474971B1 (en) | 2020-01-17 | 2022-02-08 | A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9112A KR20200009112A (en) | 2020-01-29 |
| KR102362076B1 true KR102362076B1 (en) | 2022-02-10 |
Family
ID=8025379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06818A Active KR102362076B1 (en) | 2018-04-11 | 2020-01-17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6207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150929A1 (en) * | 2023-01-12 | 2024-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ok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068208B (en) * | 2021-12-23 | 2024-11-12 | 中山市享利莱电器有限公司 | Door-controlled switch structure of cooking applian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50522A (en) | 2001-02-23 | 2002-09-06 | Sanyo Electric Co Ltd | Heating cooker |
| US20030056328A1 (en) * | 2001-09-27 | 2003-03-27 | Mansfield Assemblies Co. | Dampened hinge system for appliance door |
| CN107419986A (en) | 2017-08-28 | 2017-12-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Damping hinge and device provided with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225804B2 (en) | 2004-11-12 | 2007-06-05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Motor driven oven door latch |
| GB2455783B (en) | 2007-12-21 | 2012-07-18 | Panasonic Mfg Uk Ltd | Controlled door opening in domestic appliances |
| DE102011008252B4 (en) * | 2011-01-11 | 2022-05-05 | Laag S.R.L. | Hinge for the flap of a household appliance |
-
2020
- 2020-01-17 KR KR1020200006818A patent/KR1023620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50522A (en) | 2001-02-23 | 2002-09-06 | Sanyo Electric Co Ltd | Heating cooker |
| US20030056328A1 (en) * | 2001-09-27 | 2003-03-27 | Mansfield Assemblies Co. | Dampened hinge system for appliance door |
| CN107419986A (en) | 2017-08-28 | 2017-12-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Damping hinge and device provided with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150929A1 (en) * | 2023-01-12 | 2024-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ok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9112A (en) | 2020-0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1919063B (en) | Device for adjusting door opening speed of cooking equipment applying automatic opening structure | |
| KR102690382B1 (en) | A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and an Auto Opening Latch Holder | |
| KR101971273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040222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001224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362076B1 (en)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 KR102369772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368211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n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 |
| KR20250005037A (en)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ing automatic door thereof | |
| CN217054764U (en) | Door lock device and cooking utensil | |
| KR102364484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432825B1 (en) | A Latch Module,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070117B1 (en)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 KR102401368B1 (en) | A Control Method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 KR20220024294A (en) | A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 KR102106846B1 (en) | A Door Opening Speed Controller for Cook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 |
| KR102816384B1 (en) | Multi link hinge | |
| KR200481321Y1 (en) | Apparatus for closing door | |
| CN119593654A (en) | Door hinge for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for household applian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41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4241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