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92B1 -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Google Patents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3692B1 KR102363692B1 KR1020170133736A KR20170133736A KR102363692B1 KR 102363692 B1 KR102363692 B1 KR 102363692B1 KR 1020170133736 A KR1020170133736 A KR 1020170133736A KR 20170133736 A KR20170133736 A KR 20170133736A KR 102363692 B1 KR102363692 B1 KR 102363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ork vehicle
- agricultural work
- engine
- working mach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connection to the front of the trac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엔진프레임에는 상기 전방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gine frame for supporting the engin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at least one of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connected to each of the work machine and the engine frame to support the work machine mounted o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is separated from the engine frame. It relates to a frame device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is possibly conn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used for cultivating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using land.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Agricultural work vehicles are used to grow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using land. For example, a combine, a tractor, etc. correspond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combine is to thresh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A tractor uses traction to perform the work necessary to grow crops.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기 장착을 통해 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로더 작업기, 백호 작업기 등과 같은 작업기가 장착될 수 있다. 로더 작업기는 흙을 치우거나 옮기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백호 작업기는 굴삭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is agricultural work vehicle is implemented to perform more various task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work machine. For exampl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may be equipped with a work machine such as a loader work machine, a backhoe work machine, and the like. The loader working machine is used to remove or move soil, and may be mounted to b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backhoe working machine is used to perform excavation work, and may be mounted to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로더 작업기가 전방 쪽에 위치하도록 엔진프레임에 장착됨과 아울러 백호 작업기가 상기 엔진프레임의 후방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로 구현되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모두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로 구현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e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er working machine is mounted on the engine frame to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the backhoe working machine is mounted to the engine frame so that the backhoe working machine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engine frame. That is,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loader work machine and the backhoe work machine are mounted on the engine frame.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모두가 상기 엔진프레임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엔진프레임에 상당한 크기의 하중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상기 엔진프레임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First,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siderable amount of load is inevitably applied to the engine frame as both the loader work machine and the backhoe work machine are mounted on the engine frame.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engine frame is deformed or the engine frame is damaged or damaged.
둘째, 상기 엔진프레임이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도록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이 방안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엔진프레임의 강도를 증대시킴에 따라 상기 엔진프레임의 중량도 증가하므로, 로더 작업기 및 백호 작업기 중에서 하나의 작업기만 장착하는 경우에도 상당히 무거운 중량으로 이루어진 엔진프레임을 갖춘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엔진프레임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비 저하 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Second,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engine frame to have a supporting force capable of supporting both the loader working machine and the backhoe working machine. 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reases the weight of the engine frame as the strength of the engine frame is increased, so even when only one of the loader working machine and the backhoe working machine is mounted, the weight is quite heavy. It is maintained with an engine frame consisting of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of causing a decrease in fuel efficiency and the like as the overall weight is unnecessarily increased due to the engine fram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작업기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엔진프레임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frame device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apable of reducing deformation occurring in an engine frame due to a load applied by a work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에 대한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엔진프레임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device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apable of reducing the degree of increase in weight with respect to an engine frame in order to provide support for the work machin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엔진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frame for supporting the engin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 front frame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work machine and the engine frame to support the front work machin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a rear frame connected to each of the rear working machine and the engine frame to support the rear working machine mounted on the rear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front frame may include a front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The rear frame may include a rear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The front connecting member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및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로더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이 연결되기 위한 전방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frame for supporting the engin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it may include a front fram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loader working machine and the engine frame to support the loader working machine. The front frame may include a front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he rear frame supporting the backhoe work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및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백호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은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이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gine frame for supporting the engin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a rear fram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backhoe working machine and the engine frame to support the backhoe working machine. The rear frame may include a rear connection hole for connecting the front frame supporting the loader work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작업기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엔진프레임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프레임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hare and support the load applied by the working machine, thereby reducing the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engine frame as well as preventing the engine frame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can contribute to increase.
본 발명은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엔진프레임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reduce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ngine frame in order to have a supporting force that can support the working machin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s well as improving the overall balan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can help to kee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설치된 농업용 작업차량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전방작업기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이 전방작업기 및 엔진프레임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I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가 전방작업기 및 후방작업기를 지지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 및 엔진프레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있어서 후방프레임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평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in which a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ront work machin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frame in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frame is connected to the front working machine and the engine frame in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frame in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ront work machine and the rear work machin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in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frame, the rear frame, and the engine frame in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partial plan sectional view of the rear frame in the frame devic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rame device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트랙터, 콤바인 등일 수 있다.1 and 2 , th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엔진(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엔진프레임(2),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와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3),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와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2),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이 분담하여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엔진프레임(2)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내구성(耐久性)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이 증가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모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전방프레임(3) 및 후방프레임(4)이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만 장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전방프레임(3)이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3)이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전방프레임(3)만 연결될 수 있다.Second,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거나 중량 증가 없이도,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불필요하게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하에서는 상기 엔진프레임(2),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차량본체(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엔진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본체(11) 및 상기 차량본체(11)에 설치된 기구물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뼈대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11)에는 바퀴(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이 발생시킨 구동이 상기 바퀴(12)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11)는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차량본체(11)가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진방향, 및 상기 차량본체(11)가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진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11)에는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운전석(13)이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13)에 탑승하여 조향장치, 조작장치 등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엔진 및 상기 바퀴(12)를 연결하는 변속기(Transmission) 등이 설치될 수 있다.1 and 2 ,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프레임(3) 및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1 to 5 , the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후방작업기(2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흙을 치우거나 옮기는데 이용되는 로더 작업기일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일측이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의 타측은 상기 전방프레임(3)의 일측에 비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전방프레임(3)의 타측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3)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의 일측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전방프레임(3)의 일측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전방프레임(3)은 전방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작업기(1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지지부재(31)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프레임(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의 연결부재(1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전방작업기(100)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어서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작업기(100)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상기 전방작업기(1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지지부재(31)는 상기 엔진프레임(20)에 대해 바깥쪽에서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는 전방지지공(311, 도 3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공(311)은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는 상기 전방지지공(311)에 대응되는 제1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수단(미도시)이 상기 전방지지공(311) 및 상기 제1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은 상기 연결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A front support hole 311 (shown in FIG. 3 )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전방프레임(3)은 전방연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과 함께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front connecting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ront connecting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는 전방연결공(321,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공(321)은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전방연결공(321)에 대응되는 제1고정공(21,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는 제1고정부(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5),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서 상기 전방연결공(3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1고정공(21)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 front connection hole 321 (shown in FIG. 5 )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전방프레임(3)이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3)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전방프레임(3)은 전방보강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를 통해 전달되는 전방작업기(100)의 하중을 상기 전방연결부재(3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3)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전방프레임(3)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전방프레임(3)이 갖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ront reinforcing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을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보강부재(33), 상기 전방지지부재(31),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소정의 판재에 대해 벤딩(Bending)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front reinforcing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강부재(3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3)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부재(33)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reinforcing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들(3, 3')(도 2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전방프레임들(3, 3')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양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을 통해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전방프레임들(3, 3')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프레임(4) 및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한 중량 증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1 to 8 , the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상기 후방작업기(200)만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의 분리를 통해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서 굴삭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백호 작업기일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일측이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의 타측은 상기 후방프레임(4)의 일측에 비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후방프레임(4)의 타측을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3)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의 일측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전방프레임(4)의 일측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후방프레임(4)은 후방지지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41)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에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어서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작업기(200)의 외측을 의미한다. 즉,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상기 후방작업기(2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는 상기 엔진프레임(20)에 대해 바깥쪽에서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는 후방지지공(411,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공(411)은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는 상기 후방지지공(411)에 대응되는 제2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수단(미도시)이 상기 후방지지공(411)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고정할 수 있다.A rear support hole 411 (shown in FIG. 6 ) may be formed in the
상기 후방프레임(4)은 후방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엔진프레임(2)과 함께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는 후방연결공(421,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421)은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후방연결공(421)에 대응되는 제2고정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2고정공에는 제2고정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2고정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2고정공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서 상기 후방연결공(4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2고정공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 rear connection hole 421 (shown in FIG. 5 ) may be formed in the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된 경우,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통해 상기 엔진프레임(3)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When the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41)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41)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부분은, 3중으로 이루어진 지지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1 to 10 ,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비해 더 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횟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더 크다는 것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횟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작업 환경에 따라 굴삭작업이 요구되는 곳이 많지 않으면, 백호 작업기는 굴삭작업이 요구되는 곳에 대해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부재(41)가 백호 작업기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이에 따라, 상기 전방연결부재(3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3)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3)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ront connecting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비해 더 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연결부재(32)가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 대해 바깥쪽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의 외측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비해 더 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4)이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이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분리 빈도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비해 더 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작업기(100)를 장착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제1고정부(5)에 의해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1)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1)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5)는 상기 전방연결공(321), 상기 후방연결공(421), 및 상기 제1고정공(2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1)를 상기 엔진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5),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서 상기 전방연결공(321)이 형성된 내면, 상기 후방연결부재(42)에서 상기 후방연결공(421)이 형성된 내면, 및 상기 엔진프레임(2)에서 상기 제1고정공(21)이 형성된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9 and 10, when the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후방보강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0 , the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를 통해 전달되는 후방작업기(200)의 하중을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엔진프레임(3)의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해 앞뒤 균형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후방프레임(4)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4)이 갖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이용하여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을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보강부재(43), 상기 후방지지부재(41),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소정의 판재에 대해 벤딩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후방보강부재(43)가 간섭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보강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장착부재(4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0 , the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부재(42) 및 상기 장착부재(44)를 이용하여 상기 후방작업기(200)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The mounting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연결부재(42)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44)는 상기 후방작업기(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Hook)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프레임(4)은 보호공(40,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1 to 11 , the
상기 보호공(40)은 보호부(300, 도 1에 도시됨)를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운전석(13)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도(顚倒) 시에 운전자를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운전석(13)에 탑승한 운전자에 비해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도 시에 지면에 지탱됨으로써, 상기 운전석(13)에 탑승한 운전자가 지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은 상기 보호부(300)를 이용하여 ROPS(Roll Over Protect Structure) 구현을 통해 운전자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출 수 있다.The
상기 보호공(40)은 상기 후방프레임(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300)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보호공(4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보호부(30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 절감을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에 대한 제조단가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보호공(40)은 상기 후방연결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공(40)은 상기 후방지지부재(41), 상기 후방보강부재(43), 및 상기 장착부재(44)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4)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들(4, 4')(도 7에 도시됨)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엔진프레임(2)은 상기 후방프레임들(4, 4')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양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을 통해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을 연결하는 작업 및 상기 후방프레임들(4, 4')을 분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전방프레임(3)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로더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로더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전방연결공(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호 작업기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4)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전방연결공(321)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1)는 상기 엔진프레임(2) 및 상기 후방프레임(4)만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프레임(4)은 백호 작업기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백호 작업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더 작업기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3)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후방연결공(421)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2 : 엔진프레임
3 : 전방프레임 4 : 후방프레임
5 : 제1고정부 21 : 제1고정공
31 : 전방지지부재 32 : 전방연결부재
33 : 전방보강부재 40 : 보호공
41 : 후방지지부재 42 : 후방연결부재
43 : 후방보강부재 44 : 장착부재
100 : 전방작업기 110 : 연결부재
200 : 후방작업기 300 : 보호부
311 : 전방지지공 321 : 전방연결공
411 : 후방지지공 421 : 후방연결공1: Frame device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2: Engine frame
3 : Front frame 4 : Rear frame
5: first fixing part 21: first fixing hole
31: front support member 32: front connection member
33: front reinforcement member 40: protection hole
41: rear support member 42: rear connection member
43: rear reinforcement member 44: mounting member
100: front working machine 110: connecting member
200: rear working machine 300: protection part
311: front support hole 321: front connection hole
411: rear support hole 421: rear connection hole
Claims (9)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작업기(1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3); 및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작업기(200)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연결되는 후방프레임(4)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서로 중첩(重疊)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방연결부재(32) 및 상기 후방연결부재(42)가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부분은 3중 지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an engine frame (2) for supporting the engine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a front frame 3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work machine 100 and the engine frame 2 to support the front work machine 100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and
and a rear frame (4) connected to each of the rear working machine (200) and the engine frame (2) to support the rear working machine (200) mounted on the rear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The front frame (3) includes a front connecting member (32)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The rear frame (4) includes a rear connecting member (42)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The front connecting member 32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42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A portion of the front connecting member (32)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42)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has a triple support structure.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전방프레임(3)이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3)들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작업기(1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e front frames 3 are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The front frame (3) is a frame device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front working machine (100) and the engine frame (2) so as to be located outside with respect to the engine frame (2), respectively. .
상기 엔진프레임(2)에는 상기 후방프레임(4)이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후방프레임(4)들은 각각 상기 엔진프레임(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작업기(200) 및 상기 엔진프레임(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e rear frames 4 are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The rear frame (4) is a frame device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rear working machine (200) and the engine frame (2) so as to be positioned outside with respect to the engine frame (2), respectively. .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전방연결부재(3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connecting member (42) is a frame device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outside with respect to the front connecting member (32).
상기 후방프레임(4)에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의 운전석을 보호하는 보호부(300)가 연결되기 위한 보호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frame device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frame (4) is provided with a protection hole (40) for connecting a protection unit (300) that protects the driver's seat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0).
상기 전방프레임(3)은 상기 전방작업기(100)에 연결되는 전방지지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연결부재(32)는 상기 전방지지부재(31)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frame 3 includes a front support member 31 connected to the front working machine 100,
and the front connecting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support member (31).
상기 후방프레임(4)은 상기 후방작업기(200)에 연결되는 후방지지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연결부재(42)는 상기 후방지지부재(41)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엔진프레임(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frame 4 includes a rear support member 41 connected to the rear working machine 200,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42) is connected to the engine frame (2)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support member (41).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7/013398 WO2018124490A2 (en) | 2016-12-27 | 2017-11-23 |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
| EP17888059.7A EP3563653B1 (en) | 2016-12-27 | 2017-11-23 |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
| US15/830,215 US10011302B1 (en) | 2016-12-27 | 2017-12-04 | Frame apparatus for agricultural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60179651 | 2016-12-27 | ||
| KR1020160179651 | 2016-12-27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76279A KR20180076279A (en) | 2018-07-05 |
| KR102363692B1 true KR102363692B1 (en) | 2022-02-16 |
Family
ID=6292036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3736A Active KR102363692B1 (en) | 2016-12-27 | 2017-10-16 |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6369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24364B1 (en) * | 2019-02-28 | 2025-06-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Agricultural Vehicl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022290A (en) | 2008-08-27 | 2009-02-05 | Iseki & Co Ltd | Work vehicle |
| KR101102516B1 (en) * | 2011-10-05 | 2012-01-05 | (주)송현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 KR101482546B1 (en) | 2013-08-12 | 2015-01-19 | 대호 (주)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771301B2 (en) * | 1995-07-07 | 2006-04-26 | 株式会社クボタ | Tractor reinforcement framework structure |
| KR20160038574A (en) * | 2014-09-30 | 2016-04-07 | 대동공업주식회사 | Agricultural vehicle |
-
2017
- 2017-10-16 KR KR1020170133736A patent/KR1023636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022290A (en) | 2008-08-27 | 2009-02-05 | Iseki & Co Ltd | Work vehicle |
| KR101102516B1 (en) * | 2011-10-05 | 2012-01-05 | (주)송현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 KR101482546B1 (en) | 2013-08-12 | 2015-01-19 | 대호 (주)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76279A (en) | 2018-07-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810683B2 (en) | Construction machinery cab support structure | |
| US8419061B2 (en) | Tractor | |
| EP2708453B1 (en) | Semi-generic steering knuckle adapter assembly for a vehicle | |
| CN105073566B (en) | engineering vehicle | |
| EP2960380B1 (en) | Construction machine | |
| US8919725B2 (en) | Exterior mounting apparatus for interior component | |
| US9556588B2 (en) | Floor member and working machine | |
| KR102363695B1 (en) |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
| KR20160038574A (en) | Agricultural vehicle | |
| KR102363692B1 (en) | Frame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
| JP7150081B1 (en) | work vehicle | |
| EP2653370B1 (en) | Semi-generic underframe assembly for a vehicle | |
| US10011302B1 (en) | Frame apparatus for agricultural vehicles | |
| KR102597577B1 (en) | Agricultural vehicle | |
| CN117758821A (en) | Work vehicle | |
| EP3563653B1 (en) | Frame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 |
| JP6424585B2 (en) | Tractor | |
| CN112789215B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 US20240224830A9 (en) | Frame apparatus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 |
| JP2016097930A5 (en) | ||
| JP2020026664A (en) | Floor member of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comprising the same | |
| KR102824364B1 (en) | Agricultural Vehicle | |
| JP2017190010A (en) | Tractor | |
| JP2007112233A (en) | Working vehicle | |
| KR20170111604A (en) | Sub frame reinforcing unit for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9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