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745B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8745B1 KR102388745B1 KR1020210156307A KR20210156307A KR102388745B1 KR 102388745 B1 KR102388745 B1 KR 102388745B1 KR 1020210156307 A KR1020210156307 A KR 1020210156307A KR 20210156307 A KR20210156307 A KR 20210156307A KR 102388745 B1 KR102388745 B1 KR 1023887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ost
- fitting
- fitting shaft
- backrest
- lif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등받이부가 높이조절연결부에 의해 좌판의 지지포스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의자는 지지포스트가 구비되는 좌판과,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가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지지포스트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포스트를 연결하는 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끼움홀부와, 상기 끼움홀부에 각각 삽입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 및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끼움축부를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위치고정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chair that improves ease of us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support post of the seat plate by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to fit the user's body is disclosed.
The disclosed chair includes a seat plate provided with a support post, a backrest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st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the backrest and the support so that the height of the backrest is adjusted at the support post by manipulation by an external force.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osts,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st,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protrude from the backrest so as to sl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 fixing guide for guiding the fitting shaft portion to be formed and the fitting shaft portion to be fixed in position when the fitting shaft portion slides in the fitting hole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부가 높이조절연결부에 의해 좌판의 지지포스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in which the height of the backres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st of the seat plate by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and set to fit the user's bod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일반적으로, 의자는 바닥에 지지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부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 및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로 구성된다.In general, a chair includes a leg part supported on the floor, a seat plate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part for a user to sit on, an armrest part supporting the user's arm, and a backrest part supporting the user's back.
여기서, 다리부는 좌판부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회전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착석할 수 있고, 다리부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 다리부와의 상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 가능하다.Here, the leg par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eat plat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it to be able to sit in a desired direction.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adjusted to fit the body type of the user.
그러나, 최근에는 다리부의 높이 조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상체에 적합하도록 등받이부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등받이 높이 조절 수단이 연구되고 있다.However, recently, a number of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that can adjust the backrest to suit the user's upper body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leg have been studied.
대표적인 예로써, 등록특허 제10-1104214호 및 등록고안 제20-0292592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104214호의 경우 제3자에 의하여 등받이의 높이가 임의로 조정될 수 있어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등록고안 제20-0292592호에 개시된 등받이의 높이조절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반드시 직접 일어나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As a representative example, registered patent No. 10-1104214 and registered design No. 20-0292592 are disclosed. However, in the case of Registered Patent No. 10-1104214, the height of the backres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a third party, causing the user to feel uneasy.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et up and control yoursel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등받이부가 높이조절연결부에 의해 좌판의 지지포스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ight of the backrest par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st of the seat plate by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and set to fit the user's body, thereby providing a chair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지지포스트가 구비되는 좌판과,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가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지지포스트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포스트를 연결하는 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끼움홀부와, 상기 끼움홀부에 각각 삽입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 및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끼움축부를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위치고정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late provided with a support post, a backrest dispos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st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the backrest is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and the support post so as to be height-adjusted in the support post, and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tting hole part formed in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upport post, and the fitting hole part A plurality of fitting shaft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backrest so as to slide while being inserted, respectively, and a position fix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itting shaft portion to be fixed in position when the fitting shaft portion slides in the fitting hole portion.
상기 위치고정안내부는 상기 끼움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끼움홀부에서 상기 끼움축부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플레이트와,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회동부재와, 상기 끼움축부의 상승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단계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포스트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최상으로 이동시 상기 탄성회동부재를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 해제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최하로 이동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복원시키는 회동작동안내부를 포함한다.The position fixing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fitting shaft por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tting shaft portion from the fitting hole portion, and an elastic rotation member provided to be elastically rotatable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and the fitting shaft portion A plurality of locking jaws and the fitting shaf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so that the elastically pivoting member is caught and supported in stages when ascending, the elastic pivoting member is placed on the locking jaw when the fitting shaft moves to the top from the fitting hole It rotates to release the lock, and includes an inside during a rotation operation to restore the elastic rotation member to be hooked on the locking jaw when the fitting shaft moves to the lowest position in the fitting hole.
상기 회동작동안내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끼움축부가 최대로 상승시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지지포스트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와, 상기 끼움축부가 최대로 하강시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지지포스트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에 상기 승강부재가 걸림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승강부재로 삽입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에 상기 승강부재가 걸림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되는 출몰안내홀부를 포함한다.The insid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includes a lift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on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so as to lower the lifting member from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when the fitting shaft is raised to the maximum. A first locking member, a second lock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to lift the lifting member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when the fitting shaft is lowered to the maximum, and the lifting member on the first locking member The elastic pivo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member when caught, and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member, it includes a protrusion guide hole formed in the elevating member so that the elastic pivot member protrudes from the elevating member .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시 승강방지부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서 임의적인 승강이 방지되고, 상기 승강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되는 탄성수용부재를 포함한다.In the lifting member, when the elastic rotation member is caught in the locking jaw portion, arbitrary elevation is prevent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by the elevation prevention part, and the elevation prevention par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air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and an elastic accommodating member provided in the elevating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latchably received in any one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engaging groove portion.
상기 끼움축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끼움홀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 저항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싱이 구비될 수 있다.An elastic bushing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shaft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hole portion to exert frictional res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등받이부가 높이조절연결부에 의해 좌판의 지지포스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support post of the seat plate by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and setting it to fit the user's body.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를 상승시킬 경우 다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부를 하강시킬 경우 자연스럽게 등받이부의 하중에 의하여 지지포트스트에서 내려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when the backrest is raised, it can be fixed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in multiple stages, and when the backrest is lowered, it can naturally descend from the support post by the load of the backr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등받이부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등받이부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ckrest part rises in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ckrest part is lowered in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등받이부가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등받이부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hair, FIG. 4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rises in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backrest part in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descending stat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판(100), 등받이부(200) 및 높이조절연결부(300)를 포함한다.1 to 5 ,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좌판(100)은 지지포스트(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좌판(100)은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지지포스트(110)는 높이조절연결부(30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이때, 좌판(100)의 하측에는 지면에 접하여 이동되는 이동다리부(120)가 구비되고, 지지포스트(110)는 좌판(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조절연결부(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결합부(111)와 지지결합부(111)에 연결되어 높이조절연결부(300)의 노출을 방지시키는 노출방지커버(112)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외부에서 높이조절연결부(30)의 노출이 방지된 상태로 높이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그리고, 등받이부(200)는 지지포스트(110)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준다. 이러한 등받이부(200)는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힘이 작용하면 지지포스트(110)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역할을 수행한다.And, the
한편, 높이조절연결부(300)는 등받이부(200)가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지지포스트(110)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등받이부(200)와 지지포스트(110)를 연결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구체적으로, 높이조절연결부(300)는 지지포스트(110)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끼움홀부(310)와, 끼움홀부(310)에 각각 삽입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등받이부(200)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320) 및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에서 슬라이드 이동시 끼움축부(320)를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위치고정안내부(3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height
이때, 끼움축부(320)는 외력으로 등받이부(200)를 잡아올리면 끼움홀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이동하다가 외력이 제거되는 순간 위치고정안내부(330)에 의해 끼움홀부(310)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끼움홀부(310)에 걸리도록 외력으로 등받이부(200)를 최상의 위치로 잡아올리면 끼움홀부(310)에서 최하의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끼움축부(320)의 둘레면에는 끼움홀부(3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 저항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싱(3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등받이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싱(320)이 끼움홀부(310)에 접촉된 채로 등받이부(200)의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보다 부드럽게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n
이를 위해, 위치고정안내부(330)는 지지포스트(110)의 내측에서 끼움축부(320)와 결합되어 끼움홀부(310)에서 끼움축부(32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플레이트(331)와, 이탈방지플레이트(331)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회동부재(332)와, 끼움축부(320)의 상승시 탄성회동부재(332)가 단계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지지포스트(110)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부(333) 및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에서 최상으로 이동시 탄성회동부재(332)를 걸림턱부(333)에 걸림 해제되도록 회동시키고,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에서 최하로 이동시 탄성회동부재(332)가 걸림턱부(333)에 탄성 걸림 가능하도록 복원시키는 회동작동안내부(334)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osition fixing guide part 330 is coupled with the
이러한 이탈방지플레이트(331)는 사용자가 등받이부(200)를 외력으로 상승시키면 끼움축부(320)의 이동을 따라 상승하고, 탄성회동부재(332)는 이탈방지플레이트(331)를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턱부(333)에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된다. When the user raises the
이때, 탄성회동부재(332)는 회동작동안내부(332)에 의해 등받이부(200)가 최대로 상승되면 걸림턱부(333)에 걸림 해제되도록 회동되어 이탈방지플레이트(331)를 초기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등받이부(200)가 최하로 하강되면 걸림턱부(333)에 걸림 가능하도록 복원되어 이탈방지플레이트(331)가 끼움축부(320)의 이동을 따라 다시 상승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회동작동안내부(334)는 이탈방지플레이트(331)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334a)와, 끼움축부(320)가 최대로 상승시 이탈방지플레이트(331)에서 승강부재(334a)를 하강시키도록 지지포스트(1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334b) 및 끼움축부(320)가 최대로 하강시 이탈방지플레이트(331)에서 승강부재(334a)를 상승시키도록 지지포스트(1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334c) 및 제1걸림부재(334b)에 승강부재(334a)가 걸림시 탄성회동부재(332)가 승강부재(334a)로 삽입되고, 제2걸림부재(334c)에 상기 승강부재(334a)가 걸림시 탄성회동부재(332)가 승강부재(334a)에서 돌출되도록 승강부재(334a)에 형성되는 출몰안내홀부(334d)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otational operation, the inner 334 includes a
즉, 탄성회동부재(332)는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에서 최대로 상승하여 승강부재(334a)가 제1걸림부재(334b)에 걸려서 하강하면 출몰안내홀부(334d)로 삽입되도록 젖혀져 걸림턱부(333)로부터 걸림 해제되기 때문에 이탈방지플레이트(331)가 저항력 없이 하강할 수 있게 한다. That is, the
반대로, 탄성회동부재(332)는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에서 최대로 하강하여 승강부재(334a)가 제2걸림부재(334c)에 걸려서 상승하면 출몰안내홀부(334d)에서 돌출되도록 복원 회동되어 걸림턱부(333)에 탄성 걸림 가능하기 때문에 다시 이탈방지플레이트(331)의 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게 한다.Conversely, in the
이때, 승강부재(334a)는 탄성회동부재(332)가 걸림턱부(333)에 걸림시 승강방지부(335)에 의해 이탈방지플레이트(331)에서 임의적인 승강이 방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승강방지부(335)는 이탈방지플레이트(331)에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335a) 및 걸림홈부(335a)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승강부재(334a)에 구비되는 탄성수용부재(335b)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탄성수용부재(335b)는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할 때 승강부재(334a)가 임의적으로 하강하여 탄성회동부재(332)가 출몰안내홀부(334d)를 통해 승강부재(334a)로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도록 한 쌍의 걸림홈부(335a) 중 상측에 위치하는 걸림홈부(335a)에 수용된다.This elastic accommodating member (335b) has the
반대로, 탄성수용부재(335b)는 끼움축부(320)가 끼움홀부(3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승할 때 승강부재(334a)가 임의적으로 상승하여 탄성회동부재(332)가 출몰안내홀부(334d)에서 돌출되어 걸림턱부(333)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시키도록 한 쌍의 걸림홈부(335a) 중 하측에 위치하는 걸림홈부(335a)에 수용된다.Conversely, in the elastic accommodating member (335b),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등받이부(200)를 상승시킬 경우 다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고정될 수 있고, 등받이부(200)를 하강시킬 경우 자연스럽게 등받이부(200)의 하중에 의하여 지지포트스트(110)에서 내려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좌판 110: 지지포스트
120: 이동다리부 200: 등받이부
300: 높이조절연결부 310: 끼움홀부
320: 끼움축부 321: 탄성부싱
330: 위치고정안내부 331: 이탈방지플레이트
332: 탄성회동부재 333: 걸림턱부
334: 회동작동안내부 335: 승강방지부100: seat plate 110: support post
120: moving leg part 200: backrest part
300: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310: fitting hole
320: fitting shaft portion 321: elastic bushing
330: position fixing guide 331: escape prevention plate
332: elastic rotation member 333: engaging jaw portion
334: inside during rotation operation 335: elevating prevention unit
Claims (5)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가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지지포스트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포스트를 연결하는 높이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연결부는 상기 지지포스트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끼움홀부와, 상기 끼움홀부에 각각 삽입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 및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끼움축부를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위치고정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안내부는 상기 끼움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끼움홀부에서 상기 끼움축부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플레이트와,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회동부재와, 상기 끼움축부의 상승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단계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포스트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최상으로 이동시 상기 탄성회동부재를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 해제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끼움축부가 상기 끼움홀부에서 최하로 이동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복원시키는 회동작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 seat plate provided with a support post;
a backrest portion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st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and a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and the support post so that the height of the backrest part is adjusted in the support post by manipula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height adjustment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st, a plurality of fitting shaft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backrest so as to sl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portions, and the fitting shaft portion is the fitting hole portion Including a position fixing guide for guiding the fitting shaft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when moving in the slide,
The position fixing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fitting shaft por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tting shaft portion from the fitting hole portion, and an elastic rotation member provided to be elastically rotatable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and the fitting shaft portion A plurality of locking jaws and the fitting shaf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so that the elastically pivoting member is caught and supported in stages when ascending, the elastic pivoting member is placed on the locking jaw when the fitting shaft moves to the top from the fitting hole and an insid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to rotate to release the engagement, and restore the elastic rotation member so that it can be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when the fitting shaft moves to the lowest position in the fitting hole.
상기 회동작동안내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
상기 끼움축부가 최대로 상승시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지지포스트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
상기 끼움축부가 최대로 하강시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서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지지포스트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에 상기 승강부재가 걸림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승강부재로 삽입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에 상기 승강부재가 걸림시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되는 출몰안내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claim 1,
During the rotation, the inside is
a lifting member provided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a first lock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so as to lower the lifting member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when the fitting shaft is raised to the maximum;
a second lock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to lift the lifting member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when the fitting shaft is lowered to the maximum; and
When the lifting member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member, the elastic rota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member, and when the lifting member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member, the lifting member so that the elastic rotation member protrudes from the lifting member an appearance and exit guide hole formed in the;
A chair comprising a.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탄성회동부재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시 승강방지부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서 임의적인 승강이 방지되고,
상기 승강방지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에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되는 탄성수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ifting member is prevented from arbitrarily lifting and lowering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by the lifting prevention unit when the elastic rotating member is caught in the engaging jaw portion,
The lifting prevention unit,
A pair of locking grooves form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and
an elastic accommodating member provided in the elevating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latchably received in any one of the engaging grooves;
A chair comprising a.
상기 끼움축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끼움홀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마찰 저항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ccording to claim 1,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ushing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shaf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hole portion to exert friction resistan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56307A KR102388745B1 (en) | 2021-11-15 | 2021-11-15 |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56307A KR102388745B1 (en) | 2021-11-15 | 2021-11-15 | Chai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88745B1 true KR102388745B1 (en) | 2022-04-20 |
Family
ID=813981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56307A Active KR102388745B1 (en) | 2021-11-15 | 2021-11-15 | Chai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88745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2592Y1 (en) * | 2002-07-29 | 2002-10-28 | 이세환 | a height adjuster for an easy chair |
| KR20150021341A (en) * | 2013-08-20 | 2015-03-02 | 주식회사 디비케이 | A Height Adjustable Auxiliary Backrest for Car Seat |
| KR102228102B1 (en) * | 2020-11-11 | 2021-03-17 | 주식회사 퍼맥스 | Multi-function chair |
-
2021
- 2021-11-15 KR KR1020210156307A patent/KR1023887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2592Y1 (en) * | 2002-07-29 | 2002-10-28 | 이세환 | a height adjuster for an easy chair |
| KR20150021341A (en) * | 2013-08-20 | 2015-03-02 | 주식회사 디비케이 | A Height Adjustable Auxiliary Backrest for Car Seat |
| KR102228102B1 (en) * | 2020-11-11 | 2021-03-17 | 주식회사 퍼맥스 | Multi-function chai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861205B2 (en) | Armrest mechanism for a chair | |
| US8061778B2 (en) | Adjustable arm for chair | |
| WO2008112919A1 (en) | Six bar mechanism and control for chair | |
| KR101623817B1 (en) | Multi functional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 KR20190069732A (en) | Simply adjustable armrest | |
| JP4062534B2 (en) | Armrest device for computer work installed on chair | |
| KR102388745B1 (en) | Chair | |
| KR100743935B1 (en) | Chair Armrest Adjuster | |
| KR20230156857A (en) | Chair | |
| KR101902770B1 (en)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 US20250017376A1 (en) | Tiltable armrest assembly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 |
| US20250017375A1 (en) | Height adjustable armrest assembly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 |
| KR102246019B1 (en) | Height control device for furniture | |
| CN113440351A (en) | Wheelchair bed | |
| CN215924271U (en) | Locking assembly and lifting platform with same | |
| KR101446462B1 (en) | Control device of seat | |
| CN214803618U (en) | Seat base and seat thereof | |
| JP4217116B2 (en) | Seat slide mechanism | |
| JPH07222636A (en) | Elevatable chair with locking function | |
| KR101974037B1 (en) | Hinge unit and arm-rest having the hinge unit | |
| CN113180400A (en) | Seat base and seat thereof | |
| EP2995224B1 (en) | Hairdresser chair | |
| RU2847357C2 (en) | Tiltable arm rest for an assembled chair and chair incorporating such an arm rest | |
| JP4640005B2 (en) | Chair massage machine | |
| KR102270058B1 (en) | Height adjustment tab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