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9391B1 - Flat type transformer - Google Patents

Flat type transfo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391B1
KR102399391B1 KR1020200103952A KR20200103952A KR102399391B1 KR 102399391 B1 KR102399391 B1 KR 102399391B1 KR 1020200103952 A KR1020200103952 A KR 1020200103952A KR 20200103952 A KR20200103952 A KR 20200103952A KR 102399391 B1 KR102399391 B1 KR 10239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coil
primary coil
cover member
flange
type transfor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2694A (en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주) 트랜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트랜스온 filed Critical (주) 트랜스온
Priority to KR102020010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391B1/en
Publication of KR2022002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6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39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이 요구되는 구성부에 대하여 몰딩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뛰어난 절연성과 내구성 및 소음 차폐성을 가지며, 슬림(slim)하면서도 고용량화가 가능하여 얇고 고부하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일부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어 제작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리 코일의 구성을 위한 인쇄회로기판(PCB)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 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코일이 구비되는 1차 코일 장착부와 2차코일이 구비되는 2차 코일 장착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이 각각 형성되는 보빈 어셈블리; 상기 보빈 어셈블리를 감싸 절연시키도록 몰딩 형성되되, 상기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이 노출되게 몰딩 형성되는 몰딩 커버 부재; 상기 몰딩 커버 부재에 구비되는 상하부 코어 부재;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절연 테이프; 및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insulation, durability, and noise shielding properties by introducing a molding method for components requiring insulation, and can be applied to thin and high-load products because it is slim and high-capacity can be applied to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A flat-type transformer that can automate some processes, significantly increasing manufacturability and productivity, and can improve economic feasibility 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s it does not requir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oil is ab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coil mounting unit provided with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unit provided with a secondary coil are formed, and a primary coil connecting pin and a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from both ends, respectively. bobbin assembly; a molding cover member molded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bbin assembly, the molding cover member being molded to expose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an upper and lower core member provided on the molding cover member; an insulating tape provided while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and a bas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lding cover member.

Description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FLAT TYPE TRANSFORMER}Flat type transformer {FLAT TYPE TRANSFORMER}

본 발명은 플랫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이 요구되는 구성부에 대하여 몰딩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뛰어난 절연성과 내구성 및 소음 차폐성을 가지며, 슬림(slim)하면서도 고용량화가 가능하여 얇고 고부하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일부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어 제작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리 코일의 구성을 위한 인쇄회로기판(PCB)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 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type transformer, and more particularly, by introducing a molding method for a component requiring insulation, has excellent insulation, durability, and noise shielding properties. Product competitiveness can be secured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It relates to a flat-type transformer that can improve economic efficiency by lowering the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 (Television), monitor (Monitor), PC (Personal computer), OA (Office automation) devices and the like require various types of power sources.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며, 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이용된다.Therefore, such electronic devices are generally provided with a device for converting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power required for each electronic application device, and a switching transformer is mainly used.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switching transformers convert 85-265V AC power to 3-30V DC power by high-frequency oscillation of 25-100KHz.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core and bobbin compared to a general transformer that converts 85-265V AC power to 3-30V AC power with frequency oscillation of 50-60Hz. Since it can stably supply low-voltage, low-current DC power to electronic application devices, it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application devices that are in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in recent year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종래 트랜스포머(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와, 1차코일(40)과,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과,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transformer 1 i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ransformer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ower and upper cores 10a and 10b, the primary coil 40, and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coils 30a and 30b, and lower and upper brackets 20a and 20b.

여기에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 20b)은 각 코일들을 유지 고정시키는 보빈체로서 역할을 한다.Here, the lower and upper brackets 20a and 20b serve as a bobbin body for holding and fixing each coil.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에는 중앙 다리부(12)와 외측 다리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1차코일(40)은 기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다리부(12)에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되고,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리드 핀(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공(42)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lower and upper cores 10a and 10b are provided with a central leg portion 12 and an outer leg portion 11 . And the primary coil 40 is made in the form of a substrate, an insertion hole 41 to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leg portion 12 is formed, and an external lea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ower and upper cores 10a and 10b. An insertion hole 42 into which a pin (not shown) is inserted is formed.

또한, 상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은, 내부에 1차코일(40)의 도체 패턴과 절연 거리를 가지는 도체 와이어(31)를 적어도 2장의 절연체로 둘러싸여져 절연될 수 있는 다중 절연 와이어(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중 절연 와이어(32)는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의 중앙 다리부(12)와 외측 다리부(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 다리부(12)를 중심으로 권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may be insulated by being surrounded by at least two insulators of a conductor wire 31 having an insulation distance from the conductor pattern of the primary coil 40 therein. made of an insulated wire (32). And the multi-insulated wire 32 is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entral leg part 12 and the outer leg part 11 of the lower and upper cores 10a and 10b, and the central leg part 12 is the center can be wound with

또한, 보빈체로서 역할을 하는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은, 중앙 다리부(12)에 삽입되도록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1)의 전후로 벤딩부(22)가 형성되어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 내에 삽입 조립될 때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의 와이어(31,32)가 인출되도록 하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본래 위치에서 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lower and upper brackets 20a and 20b serving as a bobbin body, an insertion hole 21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leg portion 12, and the insertion hole 21 is bent forward and backward (22). is formed so that the wires 31 and 32 of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are drawn out when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are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lower and upper cores 10a and 10b. and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are maintained in an assembled state at their original position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을 구비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가늘고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져 있어, 조립시 쉽게 변형이 되어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린다.The transformer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the lower and upper brackets 20a and 20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thin and flexible, so it is easily deformed during assembly. loses its original form.

이에 따라, 상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며 조립이 어렵고, 조립 후에도 하부 및 상부 코어(10a,10b) 내에서 정확하게 고정될 수 없어 변형되거나 본래 위치에서 이탈되기 쉽다. 더욱이, 상기 하부 및 상부 브라켓(20a,20b)은 그 구조상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의 조립성 향상에 기여하거나,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이 본래 조립 위치나 자세를 유지하는 데 있어 기여하는 바가 크지 않다.Accordingly,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maintain their original shapes and are difficult to assemble, and even after assembly, they cannot be accurately fixed in the lower and upper cores 10a and 10b, so they are deformed or separated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easy to become Furthermore, the lower and upper brackets 20a and 20b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ssembly properties of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in terms of their structure, or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are located in the original assembly position or It does not contribute much to maintaining the posture.

또한, 1차 코일(40)은 기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1차 코일용 기판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로 하며, 이는 제작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imary coil 40 is composed of a substrate, a separat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for the primary coil is required, which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코어(10a)의 중앙 다리부(12)에, 하부 브라켓(20a), 하부 2차코일(30a), 1차코일(40), 상부 2차코일(30b), 상부 브라켓(20b)이 삽입 및 설치되어 도 2와 같은 조립 상태가 되며, 이어서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코어(10b)로 상부 브라켓(20b)의 상부를 커버하여 조립을 완료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transformer 1 including each of the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central leg portion 12 of the lower core 10a, a lower bracket 20a, The lower secondary coil 30a, the primary coil 40, the upper secondary coil 30b, and the upper bracket 20b are inserted and installed to obtain an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2, and the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racket 20b with the core 10b.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1)는, 모든 부품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부품이 적층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2차코일(30a,30b)의 본래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모든 부품이 본래의 자리에 조립되기 어렵다. 특히, 상부 2차코일(30b) 및 상부 브라켓(20b)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코어(10a)의 중앙 다리부(12)에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상부 2차코일(30b)과 상부 브라켓(20b)은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nsformer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ssembled in the form of sequentially stacking all parts, the original shape of the lower and upper secondary coils 30a and 30b is changed while each part is stacked. It can be deformed,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all the parts in pla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upper secondary coil 30b and the upper bracket 20b, as shown in FIG. 2, since they cannot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leg portion 12 of the lower core 10a, the upper secondary coil 30b ) and the upper bracket (20b) are separated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이에 따라 상기 상부코어(10b)의 조립도 용이하지 않게 되고, 이렇게 조립된 트랜스포머(1)는 본래의 성능을 구현하기 어렵다.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assemble the upper core 10b,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original performance of the transformer 1 assembled in this way.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677호에는 제품의 외형을 슬림화하여 설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변압장치(트랜스포머)를 제안하고 있다.As a part of solving this problem,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677 proposes a transformer (transformer) capable of increasing installation compatibility by slimm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그러나 이러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677호의 트랜스포머는, 보빈부와 고정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다수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어 조립 공수가 증가하고 조립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감소되며, 또한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transformer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8-0000677,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obbin part and the fixing part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so the assembly man-hour increases and the assembling property decreases, the productivit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also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rability is deteriorat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0677(2018.03.08.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2018-0000677 (published on March 8, 20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31481(2008.04.08.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31481 (published on 2008.04.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1653(2018.04.25.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51653 (2018.04.25.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0865(2013.03.11.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40865 (2013.03.11. Announcement)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연이 요구되는 구성부에 대하여 몰딩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뛰어난 절연성과 내구성 및 소음 차폐성을 가지며, 슬림(slim)하면서도 고용량화가 가능하여 얇고 고부하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has excellent insulation, durability, and noise shielding properties by introducing a molding method for a component that requires insulation, and has a slim and high capacity, so that it is thin and high loa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lat-type transformer that can be applied to products and can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또한, 본 발명은 코일 설치 공정, 몰딩 커버 부재 형성 공정 등 일부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어 제작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리 코일의 구성을 위한 인쇄회로기판(PCB)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 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some processes such as the coil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molding cover member forming process,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manufacturability and productivity, and does not requir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co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type transformer capable of improving economic feasibility 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1차 코일이 구비되는 1차 코일 장착부와 2차코일이 구비되는 2차 코일 장착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이 각각 형성되는 보빈 어셈블리; 상기 보빈 어셈블리를 감싸 절연시키도록 몰딩 형성되되, 상기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이 노출되게 몰딩 형성되는 몰딩 커버 부재; 상기 몰딩 커버 부재에 구비되는 상하부 코어 부재;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절연 테이프; 및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coil mounting unit provided with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unit provided with a secondary coil are formed, and both ends are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a bobbin assembly in which a primary coil connecting pin and a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are formed, respectively; a molding cover member molded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bbin assembly, the molding cover member being molded to expose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an upper and lower core member provided on the molding cover member; an insulating tape provided while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and a bas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lding cover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어셈블리는, 중앙부에 1차 코일이 권선 구비되는 1차코일 장착부 및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2차 코일이 장착 구비되는 2차코일 장착부가 형성되며, 일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1차코일 연결핀이 이격 구비되는 보빈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보빈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2차코일 연결핀이 이격 구비되는 2차코일 연결 브라켓; 및 상기 보빈 본체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 간에 형성되어 보빈 본체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assembly is formed with a primary coil mounting part having a primary coil wound in the central part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part having a pair of secondary coil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a bobbin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imary coil connecting pins spaced apart; a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bb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coupling means formed between the bobbin body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bobbin body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본체는, 통 형상의 중앙 바디; 상기 중앙 바디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하단 플랜지; 및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각각에 형성되는 2차코일 장착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은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각각의 내측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깊이의 고리형 장착슬롯으로 형성되어 각각 외측 플랜지부와 내측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2차코일이 삽입 장착되도록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body, the central body of the cylindrical shape; Upper and lower flanges including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ral body;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formed in eac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herein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is formed as an annular mounting slot of a predetermined depth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t is composed of an outer flange portion and an inner flange portion, respectively, and one end may be opened so that the secondary coil is inserted and moun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플랜지의 개구 측의 그 상하단 플랜지에는 소정 크기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utout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n the opening sid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 연결핀 간의 하단 플랜지에는 1차코일 단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 플랜지의 일단에는 상기 1차코일 장착부에 권선되는 1차 코일의 일단부가 걸어 고정되는 복수의 코일단 고정돌기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slot for guiding the end of the primary coil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between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s, and one end of the primary coil wound on the primary coil mounting unit is hook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 plurality of coil end fix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본체는,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연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몰드 고정 돌기와, 상기 상하단 플랜지에서 외측을 향하는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누름 돌기, 및 상기 상하단 플랜지에서 외측을 향하는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거리 유지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body, one or more mold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one or more press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outside from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outward i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 돌기는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내연 측의 상면에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며, 상기 거리 유지 돌기는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연 측의 상면에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a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dge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distance maintaining protrusion i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edge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with a gap therebetwee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은, 바디 블록과, 상기 블록 바디의 일단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빈 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1차코일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블록과, 상기 바디 블록과 결합 블록의 경계부에서 직교되게 돌출되며, 서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 및 상기 바디 블록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 사이에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ㄷ"자형의 코일쇼트방지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의 세로벽이 접하는 상기 바디 블록에 2차코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2차코일 연결핀을 상기 세로벽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 블록의 하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includes a body block, a coupling block integrally protruding from one end surface of the block body and fitted to the primary coil moun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bobbin body; The protruding walls for the left and right stoppers that protrude orthogonally from the boundary of the body block and the coupling block and are formed with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body block are integrally formed,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 gap between the protruding walls for the left and right stoppers It includes a "C"-shaped coil short prevention partition wall, a secondary coil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block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wall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is connected to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 및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의 개구측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후크 체결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may include: a hook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and a hook fastening hole formed in a flange portion of an opening side of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몰딩 커버 부재는, 상기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을 노출시키면서, 중앙부에 중앙 관통부를 갖고 상기 보빈 어셈블리의 외측에 몰딩 형성되며, 일측 외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재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중앙 관통부에 끼움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그 몰딩 커버 부재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ing cover member, exposing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has a central penetrating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is mold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ssembly, and extends outwardly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A base member coupling piece is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have an insertion portion fitted to the central penetration portion of the molding cover member,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coupl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lding cover member. may be abs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면과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측면 일부가 절개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베이스부재 결합편이 끼움 장착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ember has an upper surface,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pen,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closur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cut, and a guide slot in which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of the molding cover member is fitted to one end of the base member. can be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외측을 향하는 외측 레일은 내측 레일보다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slot is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formed along one end of the base member, and an outer rail facing the outside of the pair of rails may be formed to extend more than the inner rail.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flat 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본 발명은 절연이 요구되는 구성부에 대하여 몰딩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뛰어난 절연성과 내구성 및 소음(변전) 차폐성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ransformer having excellent insulation, durability, and noise (transformation) shielding properties by introducing a molding method for a component requiring insulation.

둘째, 본 발명은 몰딩 커버 부재의 형성과 동시에 절연 강화를 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전기 절연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초슬림 및 고용량의 트랜스포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ultra-slim and high-capacity transformer capable of satisfying electrical insulation standards by securing a distance for insulation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as the molding cover member is formed.

셋째,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슬림(slim)화가 가능하여 얇은 트랜스포머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고용량화가 가능하여 고부하(고용량 변압)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slim as a whole,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a thin transformer, and also having a high capacity,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products of high load (high capacity transformer).

넷째, 본 발명은 코일 설치 공정, 몰딩 커버 부재 형성 공정 등 일부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어 제작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some processes such as a coil installation process and a molding cover member forming process,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manufacturability and productivity.

다섯째,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 코일(즉, 1차 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에 따라 이를 위한 별도의 제작 공정을 배제하여 트랜스포머의 제작 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inted circuit board for forming the primary coil (that is, the primary coil), thus excluding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is,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ransformer and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oduct competitiveness.

여섯째, 프라이머리 코일과 세컨더리 코일이 접속 고정되는 코일 단자 연결핀을 동일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coil terminal connecting pins to which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connected and fixed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direc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인 베이스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몰딩 커버 부재와 상하부 코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보빈 본체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보빈 본체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에 2차 코일이 구비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에 2차 코일이 구비된 상태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몰딩 커버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몰딩 커버 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ase member, which is a part constitut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lding cover member and upper and lower cores constitut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body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body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econdary coil is provided in a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econdary coil is provided in a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lding cover member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lding cover member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member constitut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nclude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step is located “on” or “before” another step, this means not only a case in which a step is in a direct time-series relationship with another step, but also a step of mixing after each step and Likewise, the order of two stages includes the same rights as in the case of an indirect time series relationship in which the time series order can be chang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인 베이스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몰딩 커버 부재와 상하부 코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보빈 본체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보빈 본체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의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에 2차 코일이 구비된 상태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보빈 어셈블리에 2차 코일이 구비된 상태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몰딩 커버 부재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몰딩 커버 부재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5에서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을 생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member constituting a part of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molding cover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cores constituting the .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body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and FIG.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 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of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 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econdary coil is provided in a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a flat 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and FIG. 14 is a secondary coil in the bobbin assembly constituting the flat 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other side in the provided stat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lding cover member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lding cover member constituting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member constituting 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in FIG. 5,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are omitted.

아래에서 설명되는 보빈 어셈블리의 설명에서, 1차 코일(프라이머리 코일)과 2차 코일(세컨더리 코일)은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일을 구분하기 위한 기수적 표현으로 구분한 코일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bobbin assembly to be described below, the primary coil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secondary coil) are coils divided by a radix expression for distinguishing coils constituting the transformer.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는, 도 4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보빈 어셈블리(A: 100, 200. 250); 몰딩 커버 부재(300); 상하부 코어 부재(400: 400A, 400B); 절연 테이프(450); 및 베이스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17, largely includes bobbin assemblies (A: 100, 200. 250); Molding cover member 300;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400: 400A, 400B; insulating tape 450; and a base member 500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는, 도 8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코일(프라이머리 코일)(미도시)과 2차 코일(세컨더리 코일)(C2)이 각각 구비되는 1차 코일 장착부(101)와 2차 코일 장착부(102)가 형성되고, 동일 방향에 각각 1차코일 연결핀(P1)과 2차코일 연결핀(P2)이 구비되는 보빈 어셈블리(A: 100, 200. 250); 상기 1차코일 연결핀(P1)과 2차코일 연결핀(P2)을 노출시킨채 몰딩 형성되어 상기 보빈 어셈블리(A)를 감싸 절연시키도록 구비되는 몰딩 커버 부재(300);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에 구비되는 상하부 코어 부재(400: 400A, 400B);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400)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절연 테이프(450); 및 상기 1차코일 연결핀(P1)과 2차코일 연결핀(P2)이 구비되는 측의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flat 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to 17, a primary coil (primary coil) (not shown) and a secondary coil (secondary coil) (C2) each provided with 1 A bobbin assembly (A: 100, 200) in which a primary coil mounting unit 101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unit 102 are formed, and a primary coil connecting pin P1 and a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P2 are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respectively 250); a molding cover member 300 formed by molding while exposing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P1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P2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bbin assembly (A);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400: 400A, 400B provided on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an insulating tape 450 provided to surround and fix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400; and a base member 500 coupled to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on the side where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 P1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P2 ar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

상기 보빈 어셈블리(A)는 중앙부의 1차코일 장착부(101)에 복수 층의 1차 코일이 권선되어 구비되고, 상기 1차 코일의 상부와 하부 측의 2차코일 장착부(102)에 도우넛 형상의 2차 코일(C2)이 구비되며, 2차 코일(C2)이 상하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조립되고, 일단부에 상기 2차 코일(C2)의 코일 단부를 접속 고정시키기 위한 2차코일 연결핀(P2)을 갖는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bobbin assembly (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of primary coils wound around the primary coil mounting unit 101 in the central part, and a donut-shaped secondary coil mounting unit 102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imary coil. A secondary coil (C2) is provided, and the secondary coil (C2) is assembled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provided, and a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having a P2),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4 .

상기 보빈 어셈블리(A)는 크게 보빈 본체(100);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 및 결합 수단(250);을 포함한다.The bobbin assembly (A) is largely a bobbin body 100;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and coupling means 250 .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 어셈블리(A)는, 도 8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1차 코일(프라이머리 코일)이 권선 구비되는 1차코일 장착부(101) 및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2차 코일(세컨더리 코일)(C2)이 장착 구비되는 2차코일 장착부(102)가 형성되며, 일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1차코일 연결핀(P1)이 이격되어 구비되는 보빈 본체(100); 일단부가 상기 보빈 본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2차코일 연결핀(P2)이 이격되어 구비되는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 및 상기 보빈 본체(100)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 간에 구성되어 보빈 본체(100)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8 to 14, the bobbin assembly (A) includes a primary coil mounting part 101 having a primary coil (primary coil) wound in the central part,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parts. The secondary coil (secondary coil) (C2)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coil mounting portion 102 is mounted, a plurality of primary coil connecting pins (P1)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is provided with a spaced apart bobbin body 100; a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bbin body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s P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a coupling means 250 configured between the bobbin body 100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bobbin body 100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보빈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풀리(pulley)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1차 코일(프라이머리 코일)이 권선 구비되는 1차코일 장착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1차코일 장착부(101)에 장착된 1차 코일의 상부 및 하부 측에 한 쌍의 2차 코일(세컨더리 코일)(C2)이 장착 구비되는 2차코일 장착부(102)가 형성되며, 일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1차코일 연결핀(P1)이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The bobbin body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ulley as a whole, and a primary coil mounting part 101 having a primary coil (primary coil) wound therein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primary coil mounting part 101 is formed. A secondary coil mounting unit 102 having a pair of secondary coils (secondary coils) C2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imary coil mounted on the The pins P1 are configured to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 본체(100)는, 단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 형태로 형성되는 통형의 중앙 바디(110)와, 상기 중앙 바디(11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상단 플랜지(120A), 하단 플랜지(120B)), 및 상기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2차코일 장착슬롯(102)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obbin body 100 has a cylindrical central body 110 formed in a cylindr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central body 110,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upper and lower flanges 120 (upper flange 120A, lower flange 120B) having a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formed inwardly from one end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 .

상기 중앙 바디(110)와 상하단 플랜지(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1차 코일이 권선 구비되는 1차코일 장착부(101)로 되고,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102)는 2차 코일이 각각 삽입 구비되는 2차코일 장착부가 된다.The space formed between the central body 110 and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is a primary coil mounting part 101 in which a primary coil is wound, and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is a secondary coil, respectively. It becomes a secondary coil mounting part that is inserted.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102)은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 벽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102)은 상기 상단 플랜지(210A)와 하단 플랜지(210B) 각각의 내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는 고리형의 장착슬롯으로 형성되며, 2차코일(C2)이 삽입 장착되도록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된다.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 and the inner wall surface is opened. In other words,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is formed as an annular mounting slot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radially outward from the inside of each of the upper flange 210A and the lower flange 210B, and the secondary coil ( One end is opened so that C2) is inserted and mounted.

이에 따라 상기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는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102)의 형성으로 한 쌍의 플랜지부, 즉 외측 플랜지부(121)와 내측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지며, 이들 외측 플랜지부(121)와 내측 플랜지부(122) 사이의 내측벽은 개구되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are formed of a pair of flange portions, that is, an outer flange portion 121 and an inner flange portion 122 by the formation of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and these outer flanges The inner wall between the branch portion 121 and the inner flange portion 122 is formed to be opened.

또한, 상기 외측 플랜지부(121)는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 크기의 절개부(121a)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상단 및 하단 플랜지부(120)의 타단부 측에서, 즉 2차코일 장착슬롯(102)의 입구 측에서의 상기 외측 플랜지부(121)와 내측 플랜지부(122)의 외측은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has a cutout portion 121a of a predetermined size based on the center line thereof, and also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120, that is, a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 102), the outer sid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and the inner flange portion 122 at the inlet side is formed with a part of the opening.

이에 따라 상기 외측 플랜지부(121)는 내측 플랜지부(122)에 대하여 탄성 변위가 가능하고, 특히 2차코일 장착슬롯(102)의 입구 측에서 외측 플랜지부(121)와 내측 플랜지부(122)의 내측과 외측 모두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내측 플랜지부(122)에 대한 외측 플랜지부(121)의 탄성 변위는 쉽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 수단(25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inner flange portion 122 , and in particular,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and the inner flange portion 122 at the inlet side of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 Bot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is formed to be opened, so that elastic displacement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with respect to the inner flange portion 122 is easily made,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means 25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made more easily. can

여기에서, 상기 1차코일 장착부(101)에 구비되는 1차 코일은 반경방향으로 권선되어 적층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102)에 구비되는 2차 코일(C2)은 평면적으로 와선형태로 적층 권선되는 도우넛 형의 본딩 코일로 이루어진다.Here, the primary coil provided in the primary coil mounting part 101 is made of a plurality of coil layers laminated by wi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secondary coil provided in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 C2) consists of a donut-type bonding coil that is laminated and wound in a spiral shape on a plane.

상기 1차 코일의 적층 권선은 자동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와선형태로 형성된 2차 코일은 자동화 장치를 통해 2차코일 장착 슬롯(102)에 자동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stacked winding of the primary coil may be automated, and the secondary coil formed in the spiral shape may b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02 through an automated device.

상기 1차코일 연결핀(P1) 각각은 상기 하단 플랜지(120)의 끝단 하면에 형성되며, 이들 1차코일 연결핀(P1) 간의 하단 플랜지(120)에는 1차코일 단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롯(123)이 형성된다.Each of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s (P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of the lower flange (120), and in the lower flange (120) between these primary coil connecting pins (P1), a guide slot ( 123) is formed.

또한, 상기 상단 플랜지(120A)의 일단에는 1차코일 장착부(101)에 1차코일이 권선될 시 입력측 코일단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코일단 고정돌기(12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oil end fixing protrusion 124 capable of fixing the input side coil end when the primary coil is wound on the primary coil mounting unit 1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120A.

여기에서, 상기 코일단 고정돌기(124)의 끝단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1차코일의 입력측 코일단부를 걸어 고정할 때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124a)가 형성된다.Here, a protrusion 124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or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of the coil end fixing protrusion 124 so as not to deviate to the outside when the input side coil end of the primary coil is hung and fixed.

상기 코일단 고정돌기(124)는 복수 구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게 구비된다.The coil end fixing protrusion 124 is configured in plurality, and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코일단 고정돌기(124)는 1차코일의 입력측 코일단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결선 크로스를 방지하고, 쇼트 방지를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coil end fixing protrusion 124 not only allows the input side coil end of the primary coil to be hooked and fixed, but also prevents wiring cross and provides an extra space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계속해서, 상기 보빈 본체(100)에서, 상기 상단 플랜지(120A)와 하단 플랜지(120B) 중 적어도 하나의 외연에는 몰드 고정 돌기(125)가 형성된다.Subsequently, in the bobbin body 100 , a mold fixing protrusion 125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120A and the lower flange 120B.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보빈 어셈블리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C2)이 설치된 상태에서 보빈 어셈블리(A)를 몰드(mold)에 넣고 몰딩하여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절연 및 고정시키면서, 1차 코일 연결핀(P1)과 2차 코일 연결핀(P2)의 하단부를 노출시킨 채 보빈 어셈블리의 외측을 둘러싸는 몰딩 커버 부재(30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몰드 고정 돌기(125)는 보빈 어셈블리(A)를 몰드(mold)(몰딩 금형)에 고정(예를 들면, 억지끼움 접촉 또는 몰드에 상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여 몰딩 시 몰딩 압력에 의해서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pecifically, in the bobbi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assembly (A) is put into a mold in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C2) are installed and molded to insulate and fix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bobbin assembly is formed while exposing the lower ends of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P1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P2. At this time, the mold fixing protrusion 125 is the bobbin The assembly (A) is fixed to the mold (molding mold) (for example, by force fitting contact or by seating and fixing in a seating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ld)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even by the molding pressure during molding. do.

상기 몰드 고정 돌기(125)는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 fixing protrusions 125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therebetween.

또한, 상기 보빈 본체(100)의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의 외측 플랜지부(121)의 외면(바깥쪽을 향하는 면)에는 보빈 본체(100)를 몰딩하여 몰딩 커버 부재(300)를 형성시킬 때, 몰드에 의해 눌려져서 몰딩 압력에 의하여 코일(2차 코일)(C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누름 돌기(126)가 복수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bobbin body 100 is molded on the outer surface (outward-facing surfac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of the bobbin body 100 to form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 When pressed by the mold,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126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to prevent the coil (secondary coil) C2 from being separated by the molding pressure.

여기에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121)의 내측이 개구 형성되어 어느 정도의 탄성 변위가 가능하므로, 상기 누름 돌기(126)는 외측 플랜지부(121)의 내연 측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is opened and a certain amount of elastic displacement is possible, the pressing protrusion 126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edge sid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 .

또한, 상기 외측 플랜지부(121)의 외면에는 몰딩 시 몰딩 금형과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리 유지 돌기(127)가 복수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tance maintaining protrusions 127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lding mold during molding.

여기에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121)는 내측이 개구 형성되고 외측은 폐쇄되어 형성되므로, 그 외측은 상대적으로 변위(탄성 변형)가 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거리 유지 돌기(127)는 외측 플랜지부(121)의 외연 측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is formed with an open inner side and a closed outer side, the outer side of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has relatively little displacement (elastic deformation), and thus the distance maintaining protrusion 127 is formed on the outer flang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edge side of (121).

상기한 보빈 본체(100)는 1차코일 연결핀(P1)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되어 형성, 즉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obbin body 10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in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 P1 is inserted, that is, by insert injection molding.

다음으로,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은 상기한 보빈 본체(100)에 1차 코일 및 2차 코일(C2)이 구비된 상태에서 보빈 본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Next,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is provided by being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bbin body 100 in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C2 are provided in the bobbin body 100 .

구체적으로,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은 도 11 및 도 12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입방체의 바디 블록(210)와, 상기 블록 바디(210)의 일단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빈 본체(100)의 일단부에서 상단 플랜지(120A)와 하단 플랜지(120B) 사이(즉, 1차 코일 장착부(101))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 블록(220)과, 상기 바디 블록(210)과 결합 블록(220)의 경계부에서 바디 블록(210)의 상면과 하면에서 직교되게 돌출되며, 서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결합 블록(220)의 삽입 결합 시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의 끝단에 접촉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는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230), 및 상기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230) 사이에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바디 블록(210)을 대칭되게 구획하며 그 바디 블록(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ㄷ"자형의 코일쇼트방지 구획벽(24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ubic body block 210 and one end surface of the block body 210, and the At one end of the bobbin body 100, a coupling block 220 that is fitted between the upper flange 120A and the lower flange 120B (that is, the primary coil mounting unit 101), and the body block 210 and At the boundary of the coupling block 220, it protrudes orthogonally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lock 210, and is formed with an interval from each other to contact th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when the coupling block 22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left and right stopper protruding walls 230 serving as a stopper, and the left and right stopper protruding walls 230 are formed with a gap between them, and the body block 210 is symmetrically partitioned and the body block 210 is It includes a "C"-shaped coil short protection partition wall 240 that is integrally formed.

상기 구획벽(240)의 세로벽(241)을 기준으로 바디 블록(210)의 좌우측 하면에는 2차코일 연결핀(P2)이 각각 형성된다. 2차코일 연결핀(P2)을 갖는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 또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Secondary coil connection pins P2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lower surfaces of the body block 21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241 of the partition wall 240 .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having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P2 may also be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상기 구획벽(240)의 세로벽(241)이 접하는 바디 블록(210)에는 2차코일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며, 이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240)과 스토퍼용 돌출벽(230) 사이의 간격 또한 2차코일이 가이드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A secondary coil guide groove 211 is formed in the body block 210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wall 241 of the partition wall 240, 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the partition wall 240 and the protruding wall for the stopper The gap between the 230 also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ary coil is guided.

계속해서, 상기 결합 수단(250)은 상기 보빈 본체(100)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 간에 형성되어 보빈 본체(100)에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을 조립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Subsequently, the coupling means 250 is formed between the bobbin body 100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to assemble and fix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to the bobbin body 100 . .

상기 결합 수단(250)은 후크 및 후크홈의 결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means 250 may be configured in a coupling method of a hook and a hook groove.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수단(250)은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의 일단에서, 즉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의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230) 각각의 전면(보빈 본체(100)을 향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251), 및 상기 상단 및 하단 플랜지(120)의 외측 플랜지부(121)에 형성되는 후크 체결구멍(2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upling means 250 is at one end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that is, the front side of each of the protruding walls 230 for the left and right stoppers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bobbin body 100). It may be formed of a hook protrusion 25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facing), and a hook fastening hole 252 formed in the outer flange portion 121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 수단(250)은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의 결합 블록(220)을 상단 플랜지(120A)와 하단 플랜지(120B) 사이의 공간으로 끼움과 동시에, 상기 후크 돌기(251)가 후크 체결구멍(252)으로 삽입 장착되어 보빈 본체(100)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200) 간은 조립되어 일체화된다.The coupling means 250 configured in this way fits the coupling block 220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into the space between the top flange 120A and the bottom flange 120B,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protrusion 251 ) is inserted into the hook fastening hole 252, and the bobbin body 100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00 are assembled and integrated.

다음으로,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코일 연결핀(P1)과 2차코일 연결핀(P2)을 노출시키고, 중앙부에 중앙 관통부(301)를 가지면서 상기 보빈 어셈블리(A)의 외측에 몰딩 형성되어 상기 보빈 어셈블리(A)를 감싸 절연시키도록 이루어진다.Next,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exposes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P1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P2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central penetrating portion 301 in the center of the bobbin. Molding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ssembly (A) is made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bbin assembly (A).

이때,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는 일측 외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is configured such that a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상기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은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50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510)에 끼움 장착되어 몰딩 커버 부재(300)와 베이스 부재(500) 간이 안정적으로 장착 결합되도록 한다.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is fitted into a guide slot 510 formed in a base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and the base member 500 are stably mounted and coupled.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은 트랜스포머에서 도체 간 절연 거리인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를 증가시켜 다양한 규격에서 요구되는 규정을 만족시키는 기능도 제공한다.Here,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also provides a function of satisfying the regulations required in various standards by increasing the creepage distance, which is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conductors in the transformer.

다음으로,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4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B)로 이루어진다.Next,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400 are formed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400A and 400B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as shown in FIG. 6 . is done

상기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중앙부에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의 중앙 관통부(301)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그 중앙 관통부(301)로 삽입되는 삽입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410)와 외벽 사이에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의 테두리부와 상응하게 형성되는 안착부(420)가 형성되어 이들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B) 사이에 몰딩 커버 부재(300)의 중앙 테두리부가 안착되게 된다.The upper core member 400A and the lower core member 400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nd are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penetrating portion 301 of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and the central penetrating portion 301 . An insertion part 41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The central edge portion of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is seated between the 400A) and the lower core member 400B.

상기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의 중앙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upper core member 400A and the lower core member 400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

이때, 상기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B)는 몰딩 커버 부재(300)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 등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core member 400A and the lower core member 400B may be more stably fixed to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using an adhesive such as epoxy.

그리고 상기 절연 테이프(450)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의 중앙부분을 감싸게 구비되는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의 외측을 감싸 이들 상부 코어 부재(400A)와 하부 코어 부재(400)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tape 450 surrounds the outer sides of the upper core member 400A and the lower core member 400 provided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to cover the upper core member 400A and the lower core member. (400) is made to fix.

상기 절연 테이프(450)는 절연성을 갖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tape 4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heet having insulation, and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sulating tape 450 .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 부재(500)는 도 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차코일 연결핀(P1)과 2차코일 연결핀(P2)이 구비되는 측의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에 결합되되, 1차코일 연결핀(P1)과 2차코일 연결핀(P2)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5 and 17, the base member 500 is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on the side where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P1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P2 are provided. Doedoe coupled to,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 (P1)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P2) is provided coupled to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500)는 상면과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측면 일부가 절개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base member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closure in which an upper surface,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re opened, 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cut off.

상기 베이스 부재(500)의 일단부에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300)의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이 끼움 장착되는 가이드 슬롯(510)이 형성된다.A guide slot 510 into which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of the molding cover member 300 is fitt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member 500 .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롯(510)은 베이스 부재(500)의 일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511)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e slot 510 may be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511 formed along one end of the base member 500 .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레일(511) 중 외측을 향하는 외측 레일(511a)은 상대적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도 그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을 기준으로 하는 외측과 내측 간을 보다 확실하게 격리시켜 절연성을 더욱 확실하게 하고, 베이스부재 결합편(310)에 의한 연면 거리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outer rail 511a facing the outside of the pair of rails 511 is formed to be relatively extended to strengthen the coupling of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and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 By more reliably isolating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as a reference, the insulation is further ensured, and the creepage distance by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310 can be further exten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타입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높은 절연이 요구되는 구성부에 대하여 몰딩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뛰어난 절연성과 내구성 및 소음(변전) 차폐성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몰딩 커버 부재의 형성과 동시에 절연 강화를 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전기 절연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초슬림 및 고용량의 트랜스포머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lat-typ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nsformer having excellent insulation, durability, and noise (transformation) shielding properties by introducing a molding method for a component requiring high insulation, and a molding cov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distance for insulation reinforcement at the same time as the member is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ultra-slim and high-capacity transformer that can satisfy electrical insulation standard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슬림(slim)화가 가능하여 얇은 트랜스포머를 구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용량화가 가능하여 고부하(고용량 변압)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으며, 코일 설치 공정, 몰딩 커버 부재 형성 공정 등 일부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어 제작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whole slim (slim) so that a thin transformer can be realized, and it can be applied to high-load (high-capacity transformer) products because of high capacity, coil installation process, molding cover member forming process, etc. Some processes can be automat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manufacturability and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프라이머리 코일(즉, 1차 코일)을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구성하지 않아 이를 위한 별도의 제작 공정을 배제하여 트랜스포머의 전체 제작 단가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리 코일과 세컨더리 코일이 접속 고정되는 코일 단자 연결핀을 동일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imary coil (ie, the primary coil) provided in the bobbin assembly is no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is is excluded,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transformer and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There i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operation because the coil terminal connecting pins to which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connected and fixed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ation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2: 2차 코일
P1: 1차코일 연결핀
P2: 2차코일 연결핀
A: 보빈 어셈블리
100: 보빈 본체
101: 1차코일 장착부
102: 2차코일 장착부(2차코일 장착 슬롯)
110: 중앙 바디
120: 플랜지
120A: 상단 플랜지
120A: 하단 플랜지
121: 외측 플랜지부
121a: 절개부
122: 내측 플랜지부
123: 가이드 슬롯
124: 코일단 고정돌기
124a: 돌출부
125: 몰드 고정 돌기
126: 누름 돌기
127: 거리 유지 돌기
200: 2차코일 연결 브라켓
210: 바디 블록
220: 결합 블록
230: 스토퍼용 돌출벽
240: 코일쇼트방지 구획벽
241: 세로벽
250: 결합 수단
251: 후크 돌기
252: 후크 결합구멍
300: 몰딩 커버 부재
301: 중앙 관통부
310: 베이스부재 결합편
400: 상하부 코어 부재
400A: 상부 코어 부재
400B: 하부 코어 부재
410: 삽입부
420: 안착부
450: 절연 테이프
500: 베이스 부재
510: 가이드 슬롯
511: 레일
511a: 외측 레일
C2: secondary coil
P1: Primary coil connection pin
P2: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A: Bobbin assembly
100: bobbin body
101: primary coil mounting part
102: secondary coil mounting part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110: central body
120: flange
120A: top flange
120A: bottom flange
121: outer flange portion
121a: cutout
122: inner flange portion
123: guide slot
124: coil end fixing projection
124a: protrusion
125: mold fixing projection
126: push button
127: distance keeping turn
200: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210: body block
220: bonding block
230: protrusion wall for stopper
240: coil short protection partition wall
241: vertical wall
250: coupling means
251: hook turn
252: hook coupling hole
300: molding cover member
301: central penetration
310: base member coupling piece
400: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400A: upper core member
400B: lower core member
410: insertion part
420: seating part
450: insulation tape
500: base member
510: guide slot
511: rail
511a: outer rail

Claims (12)

1차 코일이 구비되는 1차 코일 장착부와 2차코일이 구비되는 2차 코일 장착부가 형성되며, 양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이 각각 형성되는 보빈 어셈블리; 상기 보빈 어셈블리를 감싸 절연시키도록 몰딩 형성되되, 상기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이 노출되게 몰딩 형성되는 몰딩 커버 부재; 상기 몰딩 커버 부재에 구비되는 상하부 코어 부재;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를 감싸 구비되는 절연 테이프; 및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 어셈블리는, 중앙부에 1차 코일이 권선 구비되는 1차코일 장착부 및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2차 코일이 장착 구비되는 2차코일 장착부가 형성되며, 일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1차코일 연결핀이 이격 구비되는 보빈 본체; 일단부가 상기 보빈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의 하면에 복수의 2차코일 연결핀이 이격 구비되는 2차코일 연결 브라켓; 및 상기 보빈 본체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 간에 형성되어 보빈 본체와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 본체는, 통 형상의 중앙 바디; 상기 중앙 바디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를 포함하는 상하단 플랜지; 및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각각에 형성되는 2차코일 장착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은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각각의 내측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깊이의 고리형 장착슬롯으로 형성되어 각각 외측 플랜지부와 내측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2차코일이 삽입 장착되도록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a bobbin assembly in which a primary coil mounting part hav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part having a secondary coil are formed, and a primary coil connecting pin and a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t both ends, respectively; a molding cover member molded to surround and insulate the bobbin assembly, the molding cover member being molded to expose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an upper and lower core member provided on the molding cover member; an insulating tape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and a bas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lding cover member,
The bobbin assembly includes a primary coil mounting unit having a primary coil wound in a central portion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unit having a pair of secondary coils mounted thereon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plurality of primary coils on a lower surface of one end. a bobbin body having connecting pins spaced apart; a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bb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coupling means formed between the bobbin body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and configured to couple the bobbin body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The bobbin body, the central body of the cylindrical shape; Upper and lower flanges including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from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ral body; and a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formed in eac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herein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is formed as a ring-shaped mounting slot of a predetermined depth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t is composed of an outer flange portion and an inner flange portion,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opened so that the secondary coil is inserted and mounted.
Flat type transform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플랜지의 개구 측의 그 상하단 플랜지에는 소정 크기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n the opening side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re characterized in that a cutout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Flat type transfor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 연결핀 간의 하단 플랜지에는 1차코일 단부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 플랜지의 일단에는 상기 1차코일 장착부에 권선되는 1차 코일의 일단부가 걸어 고정되는 복수의 코일단 고정돌기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primary coil is guided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between the primary coil connecting pins,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 plurality of coil end fixing protrusions to which one end of the primary coil wound on the primary coil mounting unit are hooked and fixe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lat type transfor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본체는,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외연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몰드 고정 돌기와, 상기 상하단 플랜지에서 외측을 향하는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누름 돌기, 및 상기 상하단 플랜지에서 외측을 향하는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거리 유지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bobbin body may include one or more mold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one or more pressing protrusions formed on a surface facing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nd a surface facing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flang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protrusions formed in one or more
Flat type transform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돌기는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내연 측의 상면에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며,
상기 거리 유지 돌기는 상기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연 측의 상면에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7. The method of claim 6,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he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dge side,
The distance maintain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y.
Flat type transfor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은, 바디 블록과, 상기 바디 블록의 일단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빈 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1차코일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블록과, 상기 바디 블록과 결합 블록의 경계부에서 직교되게 돌출되며, 서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 및 상기 바디 블록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좌우측 스토퍼용 돌출벽 사이에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ㄷ"자형의 코일쇼트방지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의 세로벽이 접하는 상기 바디 블록에 2차코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2차코일 연결핀을 상기 세로벽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 블록의 하면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includes a body block, a coupling block integrally protruding from one end surface of the body block and fitted to the primary coil mount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bobbin body, and the body block and the coupling block The left and right stopper protruding walls protruding orthogonally from the boundary of Including a coil short prevention partition wall,
A secondary coil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block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wall of the partition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coil connecting pi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block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Flat type transform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2차코일 연결 브라켓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 및
상기 2차코일 장착슬롯의 개구측의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후크 체결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upling means,
a hook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bracke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of the opening side of the secondary coil mounting slot
Flat type transfor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커버 부재는, 상기 1차코일 연결핀과 2차코일 연결핀을 노출시키면서, 중앙부에 중앙 관통부를 갖고 상기 보빈 어셈블리의 외측에 몰딩 형성되며, 일측 외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재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코어 부재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중앙 관통부에 끼움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그 몰딩 커버 부재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코어 부재와 하부 코어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molding cover member, exposing the primary coil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ary coil connection pin, has a central penetrating portion in a central portion and is mold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ssembly, and a base member coupling piece extending outwardly on one outer surface is formed becomes,
The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include a pair of upper and lower core members having an insertion portion fitted to a central penetration portion of the molding cover member and coupl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lding cover member.
Flat type transform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면과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측면 일부가 절개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몰딩 커버 부재의 베이스부재 결합편이 끼움 장착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ase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clos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 front and the rear are open, and a part of the side is cut,
A guide slot into which the base member coupling piece of the molding cover member is fitt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member
Flat type transform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외측을 향하는 외측 레일은 내측 레일보다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guide slot is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formed along one end of the base member,
The outer rail facing the outside of the pair of rails is formed to extend more than the inner rail
Flat type transformer.
KR1020200103952A 2020-08-19 2020-08-19 Flat type transformer Active KR102399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52A KR102399391B1 (en) 2020-08-19 2020-08-19 Flat type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52A KR102399391B1 (en) 2020-08-19 2020-08-19 Flat type transfor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94A KR20220022694A (en) 2022-02-28
KR102399391B1 true KR102399391B1 (en) 2022-05-18

Family

ID=8049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952A Active KR102399391B1 (en) 2020-08-19 2020-08-19 Flat type transfor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3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177B1 (en) * 2022-06-30 2024-09-04 (주) 트랜스온 Transformer with single bracket to accommodate two bobbins
KR20240048239A (en) * 2022-10-06 2024-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ansfor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8754A1 (en) * 2014-09-19 2016-03-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eader for mounting a planar transformer on a motherboard
KR101984631B1 (en) 2018-04-16 2019-05-31 (주)테라비 A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1481A (en) 2005-08-01 2008-04-08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Transformer manufacturing method and transformer
KR101240865B1 (en) 2011-12-02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489787Y1 (en) 2016-08-29 2019-08-07 주식회사 필룩스 Transformer
KR101851653B1 (en) 2017-08-11 2018-04-25 (주)아세아에프에이 Transformer
KR102030570B1 (en) * 2018-01-25 2019-10-10 주식회사 이랜텍 Planar transform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8754A1 (en) * 2014-09-19 2016-03-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eader for mounting a planar transformer on a motherboard
KR101984631B1 (en) 2018-04-16 2019-05-31 (주)테라비 A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94A (en)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449B2 (en) Transformer and plate coil molded body
TWI381612B (en) Transformer structure
US6927650B2 (en) Common mode choke coil with vertically arranged edgewise windings of rectangular wire
KR101422898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US20080088401A1 (en) Transformer
US4745388A (en) Transformer with wire lead isolation slots
CN100543890C (en) transformer
US8922318B1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2399391B1 (en) Flat type transformer
KR20120025377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001248U (en) Flat type transformer
KR200495034Y1 (en) Flat type transformer
KR200495510Y1 (en) Flat type transformer
KR20220085601A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having the same
KR101989172B1 (en) Flat type transformer
KR101153521B1 (en) Transformer, Power modul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43868B1 (en) Flat type transformer
CN113921246B (en) Coi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098037B (en) Coil device
CN101645347B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1153515B1 (en) Transformer, Power modul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550269B1 (en) Transformer assembled by rotation
JPS62125610A (en) transformer
CN114078625A (en) Transformer device
CN1357148A (en) Simplified laminar core transofrmer and method of mf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