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90821B1 -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821B1
KR102390821B1 KR1020217008694A KR20217008694A KR102390821B1 KR 102390821 B1 KR102390821 B1 KR 102390821B1 KR 1020217008694 A KR1020217008694 A KR 1020217008694A KR 20217008694 A KR20217008694 A KR 20217008694A KR 102390821 B1 KR102390821 B1 KR 10239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op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693A (ko
Inventor
후미에 카타야마
테츠로 타케다
유타 타카세
아키노리 이자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841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795651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8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크랙이 억제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이와 같은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커버 유리와 제1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과 제2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과 제2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의 비 G1'/G2'가 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셀과, 표시 셀의 시인 측에 배치된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화상 표시를 실현하고/실현하거나 당해 화상 표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광학 적층체(예컨대, 편광판)가 사용되고 있다. 광학 적층체는 소정 형상으로 절단된 후, 절단면을 절삭에 의한 마무리 가공에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근래 광학 적층체를 직사각형 이외로 가공(이형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절삭 가공에서는, 엔드 밀에 의한 절삭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엔드 밀에 의해 절삭 가공된 광학 적층체는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 적층체는 커버 유리를 적층한 상태(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에서 제공되는 경우가 있는 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에서도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877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02214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주된 목적은 크랙이 억제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이와 같은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커버 유리와 제1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과 제2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해당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과 해당 제2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과의 비 G1'/G2'가 1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은 5.0×106(Pa)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적어도 상기 광학 필름 및 상기 제2 점착제층이 절삭흔을 갖는 절삭 단면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절삭 가공된 부분은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 오목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자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편광자의 상기 제1 점착제층 측에 보호 필름을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호 필름에는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호 필름의 25℃에서의 파단 연신은 2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셀과, 해당 표시 셀의 시인 측에 배치된 상기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에서, 커버 유리와 광학 필름을 첩합하는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광학 적층체를 표시 셀에 첩합하는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이상으로 함으로써, 크랙(실질적으로는, 광학 필름의 크랙: 특히, 히트 사이클 시험 후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삭 가공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절삭 가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의 절삭 가공에 이용되는 절삭 수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의 절삭 가공에 이용되는 절삭 수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축 방향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절삭 수단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면은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또한, 도면에서의 길이, 폭, 두께 등의 비율, 및 각도 등은 실제와는 상이하다.
A. 광학 적층체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100)는 커버 유리(110)와 제1 점착제층(120)과 광학 필름(130)과 제2 점착제층(140)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실용적으로는, 제2 점착제층(140)의 표면에는 세퍼레이터(150)가 박리 가능하게 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대표적으로는 절삭 가공되어 있고, 따라서 절삭 단면을 포함하며, 절삭흔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전체가 절삭 가공되어 있어도 되고, 구성 요소의 일부가 절삭 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구성 요소의 일부가 절삭 가공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광학 필름(130)과 제2 점착제층(140)(실용적으로는 세퍼레이터(150))의 적층체가 절삭 가공되고, 당해 절삭 가공된 적층체가, 제1 점착제층(120)을 개재하여 커버 유리(110)에 첩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 가공된 부분이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 오목부(1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오목부에서 크랙의 발생이 현저한 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와 같은 오목부에서도 크랙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광학 필름(130)으로서는, 절삭 가공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은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필름이어도 되고, 적층체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편광자, 위상차 필름, 편광판(대표적으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과의 적층체), 터치 패널용 도전성 필름, 표면 처리 필름, 및 이들을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적층한 적층체(예컨대,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터치 패널용 도전층 부착 편광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히 편광자와 같은 수축하기 쉬운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에서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필름(130)이 편광판인 경우, 당해 편광판은 편광자의 제1 점착제층(120) 측에만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편광자의 제2 점착제층(140) 측에만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양측에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히 제1 점착제층 측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의 크랙의 방지 효과가 현저하다. 제1 점착제층 측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제1 점착제층 측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에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한 구성은 비교적 크랙이 들기 쉬운 경향이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크랙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 측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은,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인'이란, 면내 위상차 Re(550)가 0nm∼10nm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가 -10nm∼+10nm인 것을 말한다. 당해 보호 필름은,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층을 겸하여도 된다. 위상차층으로서의 보호 필름의 구성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은 λ/2판이어도 되고, λ/4판이어도 되며, 이들의 적층체여도 된다. λ/2판 및 λ/4판은, 대표적으로는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가진다. λ/2판은 면내 위상차 Re(550)이 바람직하게는 180nm∼320nm이고, λ/4판은 면내 위상차 Re(550)가 바람직하게는 100nm∼200nm이다. 또한, 예컨대 보호 필름은 네거티브 B 플레이트(nx>ny>nz)와 포지티브 C 플레이트(nz>nx=ny)와의 적층체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컨대, 'Re(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해진다. 'Rth(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컨대 'Rth(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th(λ)=(nx-nz)×d에 의해 구해진다.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예컨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343529호(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점착제층 측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은, 25℃에서의 파단 연신이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m 이상이다. 당해 파단 연신은 예컨대 70mm 이하일 수 있다. 제1 점착제층 측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의 파단 연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제1 점착제층과 제2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의 관계를 최적화하는 효과와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당해 보호 필름의 크랙이 현저하게 방지된다. 또한, 파단 연신은 JIS K7113에 준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은, 대표적으로는 커버 유리와 광학 필름을 첩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 점착제층(120)은,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이 후술하는 소망하는 범위가 되는 한에서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은, 대표적으로는 고무계 점착제(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대표적으로는 부타디엔 중합체 및/또는 폴리이소프렌 중합체(또는 그의 변성물)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예컨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하는 것),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렌계 아크릴레이트 또는 그의 에스테르화물, 테르펜계 수소 첨가 수지, 반응성 아크릴계 모노머(예컨대, 2-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반응성 메타크릴계 모노머(예컨대,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성분(예컨대, 헵탄)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1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10㎛∼50㎛일 수 있다.
제2 점착제층(140)은, 대표적으로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표시 셀에 첩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2 점착제층(140)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대표적으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중 예컨대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1개∼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당해 알킬기의 평균 탄소 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9개이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카복시기 함유 모노머,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방향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란 커플링제 및/또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제2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10㎛∼50㎛일 수 있다. 제2 점착제층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9099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점착제층(120)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과 제2 점착제층(140)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의 비 G1'/G2'는 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비 G1'/G2'가 1 이상이면,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에서의 크랙(실질적으로는, 광학 필름의 크랙: 특히, 히트 사이클 시험 후의 크랙)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 G1'/G2'는 예컨대 30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제1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이 낮으면(무르면), 편광자의 수축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없으며, 제1 점착제층 측의 보호 필름(편광자의 시인 측의 보호 필름)에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제1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에 대해서는 후술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을 높게 함(단단하게 함, 결과로서 G1'/G2'>1로 함)으로써, 편광자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고, 제1 점착제층 측의 보호 필름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비 G1'/G2'는 1∼2 정도여도 된다.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의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편광자의 수축에 대하여 상하로 동일하게 움직여서 일그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은 바람직하게는 5.0×106(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7(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8(Pa)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108(Pa) 이상이다. 저장 탄성률(G1')은 예컨대 5.0×109(Pa) 이하일 수 있다. 저장 탄성률(G1')이 이와 같이 크고(제1 점착제층이 단단하고), 또한, 비 G1'/G2'가 상기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에서의 크랙을 더욱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은 바람직하게는 1.0×105(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7(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8(Pa)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8(Pa) 이상이다. 저장 탄성률(G2')은 예컨대 1.0×109(Pa) 이하일 수 있다. 저장 탄성률(G2')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비 G1'/G2'를 소망하는 값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
커버 유리(110)에 대해서는 업계에서 주지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이하,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 형상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의 각 공정을 설명한다. 도시예에서는, 광학 필름과 제2 점착제층(실용적으로는 세퍼레이터)의 적층체(이하, 광학 적층체라고 칭함)를 절삭 가공에 제공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B-1. 워크의 형성
도 3은, 절삭 가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본 도면에 워크(1)가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적층체를 복수 매 겹친 워크(1)가 형성된다. 광학 적층체는, 워크 형성 시에 대표적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적층체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어도 되고, 직사각형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어도 되며, 목적에 따른 적절한 형상(예컨대, 원형)으로 절단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예에서는, 광학 적층체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워크(1)는 서로 대향하는 외주면(절삭면)(1a, 1b) 및 그들과 직교하는 외주면(절삭면)(1c, 1d)을 포함하고 있다. 워크(1)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프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부터 클램프되어 있다. 워크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8mm∼2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mm∼1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mm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클램프 수단에 의한 가압 또는 절삭 가공 시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는, 워크가 이와 같은 총 두께가 되도록 겹쳐진다. 워크를 구성하는 광학 적층체의 매 수는, 예컨대 10매∼50매일 수 있다. 클램프 수단(예컨대, 지그)은 연질 재료로 구성되어도 되고,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연질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그의 경도(JIS A)는 바람직하게는 60°∼80°이다.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클램프 수단에 의한 눌린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경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지그의 변형에 의해 위치 어긋남이 생기고, 절삭 정밀도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B-2. 절삭 가공
다음으로, 워크(1)의 외주면을 절삭 수단(20)에 의해 절삭한다. 절삭은, 절삭 수단의 절삭 날을 워크(1)의 외주면에 당접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절삭은 워크의 외주면의 전제 둘레에 걸쳐서 행하여도 되고, 소정의 위치만에 행하여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 형상의 광학 적층체를 제작하는 경우, 절삭은, 대표적으로는 워크의 외주면의 전제 둘레에 걸쳐 행하여진다. 예컨대, 워크의 외주면의 전제 둘레에 걸쳐 절삭이 행하여진 후,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삭이 더 행해질 수 있다. 절삭 가공은, 대표적으로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른바 엔드 밀 가공이다. 즉, 절삭 수단(엔드 밀)(20)의 측면을 이용하여, 워크(1)의 외주면을 절삭한다. 절삭 수단(엔드 밀)(20)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스트레이트 엔드 밀이 이용될 수 있다.
엔드 밀(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1)의 적층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과,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본체의 최외경으로서 구성되는 절삭 날(22)을 포함한다. 절삭 날(2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1)에 따라 비틀린 최외경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소정의 비틀림 각을 포함하여도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비틀림 각이 0°여도 된다). 또한, '0°'는 실질적으로 0°라는 의미이며, 가공 오차 등에 의해 약간의 각도 비틀려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절삭 날이 소정의 비틀림 각을 포함하는 경우, 비틀림 각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절삭 날(22)은 날 끝(22a)과 절삭면(22b)과 이스케이프면(22c)을 포함한다. 절삭 날(22)의 날 수는, 후술하는 소망하는 접촉 횟수가 얻어지는 한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의 날 수는 3매이고, 도 5에서의 날 수는 2매이지만, 날 수는 1매이어도 되고, 4매이어도 되며, 5매 이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날 수는 2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날의 강성이 확보되고, 또한, 포켓이 확보되어 절삭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날(22)의 HV 경도는, 대표적으로는 15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7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이다. HV 경도의 상한은 예컨대 2350일 수 있다. 이 경우, 절삭 날은 대표적으로는 초경합금으로 구성된다. 초경합금은, 대표적으로는 금속 탄화물의 분말을 소결하여 얻어진다. 초경합금의 구체예로서는 WC-Co계 합금, WC-TiC-Co계 합금, WC-TaC-Co계 합금, WC-TiC-TaC-Co계 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HV 경도는 비커스 경도라고도 칭하며, JIS Z 2244에 준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날(22)의 HV 경도는, 대표적으로는 7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다. HV 경도의 상한은 예컨대 15000일 수 있다. 이 경우, 절삭 날은 대표적으로는 소결 다이아몬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 날은 초경합금으로 구성된 기부(基部)에 소결 다이아몬드층이 형성되어 있다. 소결 다이아몬드(PCD: Polycrystalline diamond)는, 다이아몬드의 작은 입자를 금속 및/또는 세라믹의 분말과 함께 고온·고압에서 구워 굳힌 다결정 다이아몬드를 말한다.
절삭 가공의 조건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엔드 밀의 이송 속도, 회전 수, 날 수 등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여도 양호하게 절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송 속도'는, 절삭 수단(엔드 밀)과 워크의 상대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절삭 가공에서는, 엔드 밀만을 이동시켜도 되고, 워크만을 이동시켜도 되며, 엔드 밀 및 워크의 양쪽을 이동시켜도 된다. 절삭 횟수는 1회 절삭, 2회 절삭, 3회 절삭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밀(20)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3mm∼20mm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절삭 가공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절삭 가공된 광학 적층체(실질적으로는, 광학 필름 및 점착제층)는, 대표적으로는 절삭흔을 가질 수 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제1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커버 유리에 첩합함으로써,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광학 적층체를 절삭 가공에 제공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절삭 가공에 제공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예컨대, 상기 A항∼B항에 기재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상기와 같이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셀과, 표시 셀의 시인 측에 배치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 양자점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의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1) 크랙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에 대하여, -40℃∼85℃에서 200사이클의 히트 사이클(히트 쇼크)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의 크랙의 발생 상황에 대하여, 편광 필터를 상기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과 크로스니콜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투과광 검사를 행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있음: 누광을 시인할 수 있음
없음: 누광을 시인할 수 없음
상기 평가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마다 3시료씩 행하였다. 3시료 중 크랙이 발생한 시료의 수를, 크랙의 발생 빈도(F/3pcs)로 하였다. 또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배율 50배의 투과 관찰에서 크랙의 크기를 측정하고, 가장 큰 크랙의 크기를 크랙 크기(㎛)로 하였다.
<실시예 1>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시인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표면 보호 필름(48㎛)/하드 코트층(5㎛)/시클로올레핀계 보호 필름(47㎛)/편광자(5㎛)/시클로올레핀계 보호 필름(24㎛)/제2 점착제층(20㎛)/세퍼레이터의 구성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제2 점착제층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90996호의 [0121] 및 [0124]에 준하여 제작하였다. 제2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은 5.0×106(Pa)이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도 2와 유사한 형상(개략 크기 142.0mm×66.8mm의 직사각형 형상,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는 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한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복수 매 겹쳐 워크(총 두께 약 10mm)로 하였다. 얻어진 워크를 클램프(지그)로 끼운 상태에서, 엔드 밀 가공에 의해 주연부를 절삭함과 함께 오목부를 형성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절삭 가공된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엔드 밀의 절삭 날은 소결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것이며, HV 경도는 10000이었다. 또한, 엔드 밀의 날 수는 2매, 비틀림 각은 0°이었다. 또한, 엔드 밀의 이송 속도(직선부를 절삭할 때의 이송 속도)는 1000mm/분이고, 회전 수는 25000rpm이며, 절삭 횟수는 2회(1회째 0.1mm, 2회째 0.2mm의 절삭 여유 0.3mm)였다.
상기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면에 제1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1 점착제층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03030호의 [0053]에 준하여 제작하였다.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은 1.7×108(Pa)이었다. 형성된 제1 점착제층을 개재하고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마츠나미유리공업 제조 커버 유리에 첩합하여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을 얻었다. 또한, 제2 점착제층에 가착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제2 점착제층에 유리판을 첩합하여 상기 크랙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및 비교예 1∼5>
제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처방을 변경하여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제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처방을 변경하여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그리고 실시예 7∼8 및 비교예 2∼5에 대해서는 엔드 밀의 절삭 날의 비틀림 각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절삭 가공된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절삭 가공된 커버 유리 부착 편광판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랙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제1 점착제층은 하기 공보의 기재에 준하여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75247호의 [0100] 및 [0110]
실시예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075998호의 [0085]의 (E)
실시예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56552호의 [0103]
실시예 5: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90996호의 [0121] 및 [0124]
실시예 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066074호의 [0065]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8: 실시예 5와 동일
비교예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046658호의 [0048]의 표 1(실시예 1)
비교예 2: 일본 특허공보 제5038224호의 [0149], [0150] 및 [0153](실시예 1)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
비교예 4: 비교예 1과 동일
비교예 5: 비교예 1과 동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제2 점착제층은 하기 공보의 기재에 준하여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
실시예 8: 일본 특허공보 제5038224호의 [0149], [0150] 및 [0153](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
비교예 3: 일본 특허공보 제4820443호의 [0135] 및 [0136] (실시예 1)
비교예 4: 실시예 8과 동일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
[표 1]
Figure 112021034187303-pct00001
산업 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는, 화상 표시부에 커버 유리를 마련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되며, 특히 퍼스널 컴퓨터(PC)나 태블릿 단말로 대표되는 직사각형의 화상 표시부 및/또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스마트 워치로 대표되는 이형의 화상 표시부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 워크
20: 절삭 수단
100: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110: 커버 유리
120: 제1 점착제층
130: 광학 필름
140: 제2 점착제층
150: 세퍼레이터
160: 오목부

Claims (9)

  1. 커버 유리와 제1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과 제2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과 상기 제2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2')의 비 G1'/G2'가 1 이상인,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의 -40℃에서의 저장 탄성률(G1')이 5.0×106(Pa) 이상인,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광학 필름 및 상기 제2 점착제층이 절삭흔을 갖는 절삭 단면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가공된 부분이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편광자의 상기 제1 점착제층 측에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25℃에서의 파단 연신이 2mm 이상인,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9. 표시 셀과, 상기 표시 셀의 시인 측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KR1020217008694A 2018-10-18 2019-05-16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Active KR102390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6342 2018-10-18
JP2018196342 2018-10-18
JPJP-P-2019-084162 2019-04-25
JP2019084162A JP6795651B2 (ja) 2018-10-18 2019-04-25 カバーガラス付光学積層体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画像表示装置
PCT/JP2019/019570 WO2020079875A1 (ja) 2018-10-18 2019-05-16 カバーガラス付光学積層体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693A KR20210038693A (ko) 2021-04-07
KR102390821B1 true KR102390821B1 (ko) 2022-04-27

Family

ID=7028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694A Active KR102390821B1 (ko) 2018-10-18 2019-05-16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0821B1 (ko)
CN (1) CN112868057B (ko)
WO (1) WO2020079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6889B1 (ja) * 2020-11-24 2022-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806A (ja) * 2012-01-18 2013-08-01 Mitsubishi Rayon Co Ltd 導光板の製造方法
US20160111040A1 (en) * 2014-10-16 2016-04-21 Lg Display Co., Ltd. Panel array for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WO2018181014A1 (ja) * 2017-03-29 2018-10-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781A (ja) 2006-01-12 2007-07-26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製品の製造方法
JP5063262B2 (ja) * 2006-08-30 2012-10-31 Dic株式会社 再剥離用粘着シート
JP2013087225A (ja) * 2011-10-19 2013-05-13 Oji Holdings Corp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光学フィルム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の粘着方法、粘着剤層つ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2015003516A (ja) * 2013-05-24 2015-01-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コート層付フィルム
JP6452483B2 (ja) * 2015-02-16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15520B2 (ja) * 2015-07-15 2019-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17109911A (ja) * 2015-12-18 2017-06-22 旭硝子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用カバーガラス
CN109313300B (zh) * 2016-04-07 2021-10-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护膜、光学膜、层积体、偏振片、图像显示装置以及偏振片的制造方法
JP6899721B2 (ja) 2016-07-22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20190331974A1 (en) * 2016-08-08 2019-10-3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7042020B2 (ja) * 2016-08-15 2022-03-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JP2018120119A (ja) * 2017-01-26 2018-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806A (ja) * 2012-01-18 2013-08-01 Mitsubishi Rayon Co Ltd 導光板の製造方法
US20160111040A1 (en) * 2014-10-16 2016-04-21 Lg Display Co., Ltd. Panel array for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WO2018181014A1 (ja) * 2017-03-29 2018-10-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9875A1 (ja) 2020-04-23
CN112868057B (zh) 2022-05-10
CN112868057A (zh) 2021-05-28
KR20210038693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292B1 (ko) 절삭 가공된 점착제층 부착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795651B2 (ja) カバーガラス付光学積層体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画像表示装置
JP7378653B2 (ja) 切削加工された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378654B2 (ja) 切削加工された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689928B2 (ja) 光学積層体、カバーガラス付光学積層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バーガラス付画像表示装置
TWI803617B (zh) 樹脂片材及其製造方法
KR102390821B1 (ko) 커버 유리 부착 광학 적층체 및 커버 유리 부착 화상 표시 장치
TWI798418B (zh) 經切削加工之附硬塗層之光學積層體之製造方法
JP7574278B2 (ja) 貫通穴を有する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573061B2 (ja) 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7534963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870411B1 (ko) 수지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