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575B1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 Google Patents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1575B1 KR102391575B1 KR1020210191072A KR20210191072A KR102391575B1 KR 102391575 B1 KR102391575 B1 KR 102391575B1 KR 1020210191072 A KR1020210191072 A KR 1020210191072A KR 20210191072 A KR20210191072 A KR 20210191072A KR 102391575 B1 KR102391575 B1 KR 102391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person
- unit
- storage unit
- mo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2—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only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인지된 사람의 건강 상태(안전사고 발생) 정보를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recognizing a person using a vision camera, identifying the recognized person's health state (safety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and notifying a manager.
산업현장에서 인간의 편리함과 생산성 향상 그리고 원가절감을 위해 공장자동화가 활성화 되면서 각종 무인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Various unmanned systems are being built as factory automation is activated for human convenience,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in industrial sites.
대표적인 무인 시스템 장치 중 하나로는 제품의 적재와 이동을 담당하는 크레인 장치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무인크레인에는 대상물의 형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사람의 눈을 대신하여 입력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장비들이 사용된다.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unmanned system devices, there is a crane device responsible for loading and moving products, and various devices are used in such unmanned cranes to input shap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instead of human eyes.
종래에는 CCD 카메라의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위치좌표를 추출하였으나. CCD 카메라로만 물체의 3차원위치좌표를 추출할 경우 산업 현장이 저조도 환경일 때 정확한 데이터를 추출 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만을 이용할 경우 산업 현장 내 환경의 영향을 받아 정확한 물체의 형상 판별 및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었다.Conventionally,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s of the object were extracted using the stereo vision of the CCD camera. In the case of extrac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s of an object only with a CCD camera, it frequently occurred that accurate data could not be extracted when the industrial site was in a low-light environment. In addition, when using only a laser scanner, it wa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hape of an object and obtain location dat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in the industrial site.
이러한 불완전한 형상 및 위치 데이터 획득을 기반으로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이 크레인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 사용되는 현장에서의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ince a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cquisition of such incomplete shape and location data is used for cranes, safety management at the site in which the crane is used is not properly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이러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크레인 작업현장을 안전하게 관리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more reliable image information using a vision camera, and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safely managing a crane work site using this image information. will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크레인에 결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부(100);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 서버(200); 및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한다.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는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mage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되는 영상정보에서 사람을 검출하는 작업자 검출부(210);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는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에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 및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파악된 사람의 상태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230);를 포함한다.The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는 사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비교정보 저장부(211);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사람을 검출하는 부합정보 검출부(212);를 포함한다.The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는 사람의 신체정보가 저장되는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 사람의 동작정보가 저장되는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 마스크 정보가 저장되는 마스크 비교정보 저장부(211-3); 헬멧 정보가 저장되는 헬멧 비교정보 저장부(2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arison
상기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는 사람의 어깨너비 정보가 저장된 제1 신체정보 저장부(211-1A); 사람의 관절 정보가 저장된 제2 신체정보 저장부(211-1B); 사람의 이동속도 정보가 저장된 제3 신체정보 저장부(211-1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includes: a first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A in which shoulder width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a secon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B in which joint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a thir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C in which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는 사람의 취할 수 있는 모션의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동작정보 저장부(211-2A); 사람이 하나의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2 동작정보 저장부(211-2B);를 포함한다.The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includes: a first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A in which joint angle limit value information of a human motion that can be taken is stored; and a second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B in which information on a time limit value for which a person can maintain one motion is stored.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는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에 관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관절각도 정보가, 상기 제1 동작정보 저장부(221-2A)에 저장되어 있는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221);를 포함한다.The operator information determiner 220 stores the joint angle information of the person identifi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detected by the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는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에 관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모션 유지시간 정보가, 상기 제2 동작정보 저장부(221-2B)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222);를 포함한다.The worker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위급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주변에 위급상황임을 알리고 저장된 기관으로 사건정보를 송신하는 위급상황 대처부(240);를 포함한다.The
상기 위급상황 대처부(240)는 크레인(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부저(2)를 울려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현장 제어부(241);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정보를 병원과 안전신고센터로 전송하는 사건정보 송신부(242);를 포함한다.The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크레인 작업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므로, 보다 신뢰성 높은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a crane work site using a vision camera,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more reliable image information.
또한, 획득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올바른 위치를 파악 가능하므로,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rect position of a person using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a safety accident occurring in the transport process using a crane.
그리고, 사람의 건강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사고 유무를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즉시 제공 가능하므로,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provide to the manager by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afety accident based on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a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in case of a safety accident.
아울러, 안전사고에 관한 정보를 관련 기관에 전달하여 구조 및 치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가능하므로,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life due to an accident because information on safety accidents can be delivered to related organizations to assist in prompt rescue and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비교정보 저장부와 작업자 정보 파악부를 구체화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크레인 및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영역 촬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감시영역에서 사람이 인식된 것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감시영역에서 사람이 인식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concretely illustrating the comparativ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operator information grasper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urveillance area shooting using a crane and a vision camera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a person is recognized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order in which a person is recognized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rane
도 1은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비교정보 저장부와 작업자 정보 파악부를 구체화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크레인 및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영역 촬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감시영역에서 사람이 인식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감시영역에서 사람이 인식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embodying a comparativ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n operator information grasper of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nitoring area shooting using a crane and a vision camera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on recognized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order in which a person is recognized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vision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은 크레인에 결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부(100)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 서버(200)와,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4, the crane
상세히 설명하면, 크레인이 이송하는 물체에 사람이 부딪힐 경우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이 물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감지구역에 사람이 위치할 경우,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위험 상황임을 감지구역에 위치한 사람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since a serious accident can occur when a person collides with an object being transported by a crane, if a person is located in the detection area where an acciden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 object by the crane, the operation of the crane must be stopped.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by notifying the person or manager located in the detection area that it is a dangerous situation.
그리고,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람이 다치거나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서 사고에 대한 대처가 늦을 경우, 사고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감지구역에 위치한 사람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f the response to the accident is delayed in a situation in which a person is injured or collapsed in a situation that people are not aware o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ident increases. This was done so that the manager could be notified.
이때,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는 감지구역의 정보를 획득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지만, 보다 신뢰성 높은 영상정보 획득을 위하여 비전카메라(110)가 사용되는 것이 권장된다.In this case, the image
그리고, 비전카메라(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권장하고, 비전 카메라(110)에는 감지구역(S)을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감지구역 표시부가 결합될 수도 있다.And, it is recommended that a pair of the
또한, 중앙 서버(200)는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되는 영상정보에서 사람을 검출하는 작업자 검출부(210)와,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는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에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 및,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파악된 사람의 상태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설명하면, 비전카메라(1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가 상기 중앙 서버(200)로 송신되면,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영상에 위치된 사람을 파악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230)에서 관리자 단말(300)로 송신되는 영상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 표식(L1)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수신된 영상에 위치한 사람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whe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정보 파악부(220)에서는 건강상태를 기반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면, 상기 정보 제공부(230)에서 관리자 단말(300)로 송신되는 영상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작업을 행하는 사람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nd, when the
이때, 사람의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표식은 사람 표식(L1)옆에 함께 표시되어 사람별 이상유무를 관리자가 손쉽게 파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하며, 사람 표식과는 다른 색 또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At this time, it is recommended that the mark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rson is displayed next to the person mark (L1)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ident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person, and it is recommended to have a different color or shape from the person mark .
그리고, 이러한 파악은 감지구역(S)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감지구역(S)은 비전 카메라(110)를 통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영역 중, 크레인이 작동하며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And, this determination is made based on the detection zone (S), and the detection zone (S) may be an area where a crane operates and a danger may occur among the areas where photographing is performed through the
아울러, 촬영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의 사람 감지 및 건강상태 파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분석, 감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번 감지된 대상은 감지구역을 벗어나기 전까지 추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human detection and health status identification in the area where photographing is performed may be performed through scanning, analysis, and detection steps as shown in FIG. .
또한,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는 사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비교정보 저장부(211)와,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영상정보에서 사람을 검출하는 부합정보 검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부합정보 검출부(212)에서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수신된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사람을 검출하는 것이다.In detail, the matching
이때, 검출에 사용되는 정보는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된 사람의 신체정보와,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에 저장된 사람의 동작정보와, 마스크 비교정보 저장부(211-3)에 저장된 마스크 정보와, 헬멧 비교정보 저장부(211-4)에 저장된 헬멧 정보가 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used for detection includes the person's body information stored in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the person's mo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and the mask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 It may be mask information stored in 211-3) and helmet information stored in the helmet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4, but it is not limited because it may include various oth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된 사람의 신체정보는 사람의 몸체를 기준으로 팔, 다리, 머리가 위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전카메라(110)는 크레인(1)이 위치된 상측에서 하측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해 머리, 어깨, 팔 등의 정보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어깨 밑에 위치되는 몸 및 다리의 정보는 파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information of a person stored in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may be information on whether arms, legs, and head ar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ody of the person, but as shown in FIGS. 3 and 4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따라서,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는 머리, 어개, 팔 등을 이용해 사람임을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보다 권장되며, 일 실시예로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는 사람의 어깨너비 정보가 저장된 제1 신체정보 저장부(211-1A)와, 팔을 포함하는 사람의 관절 정보가 저장되는 제2 신체정보 저장부(211-1B)와, 사람의 이동속도 정보가 저장되는 제3 신체정보 저장부(211-1C)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more recommended that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store special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a person using a head, fish, arm, etc., and in an embodiment,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A first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A in which shoulder width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a secon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B in which joint information of a person including an arm is stored, and information on a person's movement speed may include a thir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C in which is stored.
즉, 팔로 인식된 부위 사이의 거리와, 팔의 관절 움직임 정보와, 이동속도 정보를 통해 사람인지 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 person is a person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s recognized as arms, joint motion information of the arms, and movement speed information.
또한,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는 사람이 취할 수 있는 모션의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동작정보 저장부(211-2A)와, 사람이 하나의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2 동작정보 저장부(21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1차 검출단계에서 위의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통해 사람과 유사한 신체구조를 가진 안드로이 등의 로봇이 사람으로 파악되었을 지라도, 2차 검출단계에서 관절 가동범위나 모션 지속시간이 인간의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사람이 아님을 파악하고 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includes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A in which joint angle limit value information of motions that a person can take is stored, and the time that a person can maintain one motion. It comprises a second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B in which threshold information is stored, and throug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above in the first detection step, a human-like body structure Even if a robot such as an Android with
아울러, 작업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의 경우 마스크. 헬멧 등의 장비 착용이 필수이므로, 마스크 비교정보 저장부(211-3)와 헬멧 비교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마스크 및 헬멧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에 위치된 사람을 추가적으로 검출할 수 고, 상기 제1 및 제2 검출단계를 통해 사람으로 확인된 대상이 마스크 및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미착용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or those who work in the workplace, a mask. Since wearing equipment such as a helmet is essential, based on the mask and helme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sk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3 and the helmet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ct a person located in the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identified as a person does not wear a mask or a helme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teps, information not to be worn may be provided to the
또한, 본 발명인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은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작업자의 건강상태(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상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보다 신속한 대처를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crane
이때,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는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에 관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관절각도 정보가, 상기 제1 동작정보 저장부(221-2A)에 저장되어 있는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221)와,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모션 유지시간 정보가 제2 동작정보 저장부(221-2B)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or
상세히 설명하면, 사람에게 일정이상의 충격이 인가되면 관절이 비정상 상태로 뒤틀리고, 큰 충격을 받은 사람이 기절을 하게되므로, 상기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221)에서 관절이 뒤틀린 것으로 파악하거나, 상기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222)에서 사람이 일정시간 이상 미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사람에게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when a certain amount of shock is applied to a person, the joint is twisted in an abnormal state, and the person who received a large shock passes out. When the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위급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주변에 위급상황임을 알리고 저장된 기관으로 사건정보를 송신하는 위급상황 대처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급상황 대처부(240)는 크레인(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부저(2)를 울려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현장 제어부(241)와,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정보를 병원(3)과 안전신고센터(4)로 전송하는 사건정보 송신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설명하면, 안전사고(위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가 모든 필요 조치를 조속하게 진행하기 어려우므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판단 후 위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현장 제어부(241)에서 크레인(1)의 작동을 정지시켜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막은 후, 부저(2)를 울려 주변에 위치된 작업자들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when a safety accident (emergency) occurs, it is difficult for the manager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promptly, so the emergency occurs after the manager determin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사건정보 송신부(242)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자료를 미리 병원과 안전신고센터로 송신하여, 안전신고센터 및 병원에서 발생한 사고를 보다 빠르게 파악하고 대처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d, the incident
또한, 상기 중앙 서버(200)는 관리자가 수신된 작업자 건강상태 이상정보를 확인 후 입력하는 대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를 업데이트하는 학습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221)에 저장되어 있는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와, 상기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222)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 유지시간 한계치의 경우, 사람마다 그 한계치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작업자가 특별한 체질로 관절각도가 타인보다 넓거나, 특정 모션을 오래 유지할 수 있을 경우 작업자의 건강상태가 자주 좋지 않은 상태로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detail, in the case of the joint angle threshold information stored in the joint-based
따라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에 건강이 이상한 것으로 표시된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확인 후, 이상이 없다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300)로 입력하면, 학습부(250)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작업자의 관절각도 한계치와 모션 유지시간 한계치 정보를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manager checks the health condition of the worker whose health is marked as abnormal in the
이때, 업데이트는 관절각도 한계치 및 모션 유지시간 한계치 정보를 늘리거나 줄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늘리거나 줄이는 범위는 제작자 또는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update may be made in the form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joint angle limit value and the motion maintenance time limit value information, and the range of increase or decrease is not limited because the manufacturer or the manager can arbitrarily set i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varied,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 : 크레인 1 : 부저
100 : 영상정보 획득부 110 : 비전카메라
200 : 중앙 서버 210 : 작업자 검출부
211 : 비교정보 저장부 211-1 :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
211-1A : 제1 신체정보 저장부 211-1B : 제2 신체정보 저장부
211-1C : 제3 신체정보 저장부
211-2 :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 211-2A : 제1 동작정보 저장부
211-2B : 제2 동작정보 저장부
211-3 : 마스크 비교정보 저장부 211-4 : 헬멧 비교정보 저장부
212 : 부합정보 검출부 220 : 작업자 정보 파악부
221 :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 222 :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
230 : 정보 제공부 240 : 위급상황 대처부
241 : 현장 제어부 242 : 사건정보 송신부
300 : 관리자 단말1: Crane 1: Buzzer
100: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vision camera
200: central server 210: operator detection unit
211: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A: first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B: secon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C: thir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opera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A: first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B: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3: mask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4: helmet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2: match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220: work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1: joint-bas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2: motion-bas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30: information provision unit 240: emergency response unit
241: on-site control unit 242: incident information transmitter
3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5)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 서버(200); 및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되는 영상정보에서 사람을 검출하는 작업자 검출부(210)와,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는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상에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 및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파악된 사람의 상태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는 사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비교정보 저장부(211)와,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 상의 사람을 검출하는 부합정보 검출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는 사람의 신체정보가 저장되는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와, 사람의 동작정보가 저장되는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와, 마스크 정보가 저장되는 마스크 비교정보 저장부(211-3)와, 헬멧 정보가 저장되는 헬멧 비교정보 저장부(211-4);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는 사람의 어깨너비 정보가 저장된 제1 신체정보 저장부(211-1A)와, 사람의 관절 정보가 저장된 제2 신체정보 저장부(211-1B)와, 사람의 이동속도 정보가 저장된 제3 신체정보 저장부(211-1C);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는 사람의 취할 수 있는 모션의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동작정보 저장부(211-2A)와, 사람이 하나의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2 동작정보 저장부(211-2B);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는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관절각도 정보가, 상기 제1 동작정보 저장부(221-2A)에 저장되어 있는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221)와,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모션 유지시간 정보가, 상기 제2 동작정보 저장부(221-2B)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는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110)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위급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주변에 위급상황임을 알리고 저장된 기관으로 사건정보를 송신하는 위급상황 대처부(240);를 포함하는,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coupled to the crane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 central server 200 for recognizing a person located in a detection area using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and judging the state of the recognized person; and
and a manager terminal 300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a person located in the detection area from the central server 200;
The central server 200 includes a worker detection unit 210 that detects a pers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and an operator information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pers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The unit 220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display the state of the pers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and the person identified by the operato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0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and the Inclu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includes a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person is stored,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using information about a person stored in the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 Including; a match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212 for detecting a person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 includes a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storing human body information, a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storing human motion information, and mask information. Including; a mask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3 to be stored, and a helmet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4 for storing helmet information;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includes a first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A in which shoulder width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and a secon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B in which joint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 a thir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C) in which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person is stored;
The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includes a first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A in which joint angle limit value information of a motion that a person can take is stored, and a time limit value at which a person can maintain one motion. Including; a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B) in which information is stored;
The operator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220 includes joint angle information of a person identifi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is stored i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21-2A. When the threshold information is exceeded, the joint-bas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1 that determines that a problem has occurred, and the motion maintenance time information of a person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is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and a motion-bas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2 that determines that a problem has occurred when the time limit value information that can maintain the mo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1-2B is exceeded;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is composed of a vision camera 110 that takes an image,
The central server 200, when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300, notifies the surrounding of the emergency and transmits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stored institution, the emergency response unit 240;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ed.
상기 위급상황 대처부(240)는 크레인(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부저(2)를 울려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현장 제어부(241);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정보를 병원과 안전신고센터로 전송하는 사건정보 송신부(242);를 포함하는,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mergency response unit 240 stops the operation of the crane (1) and sounds the buzzer (2) to notify the on-site control unit 241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including a; incid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42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rmined that the problem has occurred in the work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0 to the hospital and the safety report center.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 서버(200); 및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감지구역에 위치된 사람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되는 영상정보에서 사람을 검출하는 작업자 검출부(210)와,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의 상태를 파악하는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상에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사람 및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에서 파악된 사람의 상태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는 사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비교정보 저장부(211)와,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전달받은 영상정보 상의 사람을 검출하는 부합정보 검출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정보 저장부(211)는 사람의 신체정보가 저장되는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와, 사람의 동작정보가 저장되는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와, 마스크 정보가 저장되는 마스크 비교정보 저장부(211-3)와, 헬멧 정보가 저장되는 헬멧 비교정보 저장부(211-4);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비교정보 저장부(211-1)는 사람의 어깨너비 정보가 저장된 제1 신체정보 저장부(211-1A)와, 사람의 관절 정보가 저장된 제2 신체정보 저장부(211-1B)와, 사람의 이동속도 정보가 저장된 제3 신체정보 저장부(211-1C);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비교정보 저장부(211-2)는 사람의 취할 수 있는 모션의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동작정보 저장부(211-2A)와, 사람이 하나의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2 동작정보 저장부(211-2B);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 파악부(220)는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관절각도 정보가, 상기 제1 동작정보 저장부(221-2A)에 저장되어 있는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221)와, 상기 작업자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된 사람의 모션 유지시간 정보가, 상기 제2 동작정보 저장부(221-2B)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를 초과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의 대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절기반 정보 파악부에 저장되어 있는 관절각도 한계치 정보와, 상기 모션기반 정보 파악부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모션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 한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학습부(250);를 더 포함하는,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coupled to the crane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 central server 200 for recognizing a person located in a detection area using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and judging the state of the recognized person; and
and a manager terminal 300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a person located in the detection area from the central server 200;
The central server 200 includes a worker detection unit 210 that detects a pers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and an operator information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pers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The unit 220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display the state of the pers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and the person identified by the operator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0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and the Includ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includes a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person is stored,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using information about a person stored in the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 Including; a match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212 for detecting a person on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 includes a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storing human body information, a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storing human motion information, and mask information. Including; a mask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3 to be stored, and a helmet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4 for storing helmet information;
The body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 includes a first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A in which shoulder width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and a secon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B in which joint information of a person is stored; , a third body information storage unit (211-1C) in which the movement speed information of the person is stored;
The motion comparis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 includes a first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A in which joint angle limit value information of a motion that a person can take is stored, and a time limit value at which a person can maintain one motion. Including; a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1-2B) in which information is stored;
The operator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220 includes joint angle information of a person identifi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is stored in the first mo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21-2A. When the threshold information is exceeded, the joint-bas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1 that determines that a problem has occurred, and the motion maintenance time information of a person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rator detection unit 210, is the second motion information and a motion-bas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22 that determines that a problem has occurred when the time limit value information that can maintain the mo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1-2B is exceeded; and
The central server 200 is based on the manager's correspond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300, the joint angle threshold information stored in the joint-based information grasper, and the motion-based information grasper is stored in the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vision camera, further comprising; a learning unit 250 for updating time limit information that can maintain one motion.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91072A KR102391575B1 (en) | 2021-12-29 | 2021-12-29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
| PCT/KR2021/020271 WO2023128015A1 (en) | 2021-12-29 | 2021-12-30 |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vision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91072A KR102391575B1 (en) | 2021-12-29 | 2021-12-29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91575B1 true KR102391575B1 (en) | 2022-04-28 |
Family
ID=814480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91072A Active KR102391575B1 (en) | 2021-12-29 | 2021-12-29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91575B1 (en) |
| WO (1) | WO2023128015A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32450B1 (en) | 2025-01-14 | 2025-07-10 | 정희수 |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i camera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6411373B2 (en) * | 2013-12-17 | 2018-10-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Recognition data transmission device, recognition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gnition data recording method |
| KR101937085B1 (en) | 2018-02-27 | 2019-01-09 | (주)체리네트웍스 |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of tower crane |
| KR20190095745A (en) * | 2018-02-07 | 2019-08-16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struction equipment real-tim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58851B1 (en) * | 2010-11-11 | 2013-05-07 | (주)이레에프에이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ane |
| KR102416468B1 (en) * | 2019-11-12 | 2022-07-05 | 주식회사 제이씨레이다 | Safety management system |
| KR102191097B1 (en) * | 2019-12-26 | 2020-12-15 | 서호전기주식회사 | Human detection system |
-
2021
- 2021-12-29 KR KR1020210191072A patent/KR102391575B1/en active Active
- 2021-12-30 WO PCT/KR2021/020271 patent/WO2023128015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6411373B2 (en) * | 2013-12-17 | 2018-10-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Recognition data transmission device, recognition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gnition data recording method |
| KR20190095745A (en) * | 2018-02-07 | 2019-08-16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struction equipment real-time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937085B1 (en) | 2018-02-27 | 2019-01-09 | (주)체리네트웍스 |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of tower cran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32450B1 (en) | 2025-01-14 | 2025-07-10 | 정희수 |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i camera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3128015A1 (en) | 2023-07-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786033B1 (en) | Monitoring device, industrial equipment,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 CN108227606B (en) | A ship security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multi-source perception | |
| KR102568248B1 (en) | Smart safety costu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 US10643080B2 (en)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mage processing-based work force safety | |
| KR101808064B1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 |
| KR102136070B1 (en) | Disaster and Accident Prevention Device in Construction site using AI image analysis | |
| US9143843B2 (en) | Automated monitoring and control of safety in a production area | |
| US20090128079A1 (en) | Industrial Robot System | |
| CN113378749B (en) | Visual inspec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 |
| KR102391575B1 (en)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vision Camera | |
| KR102637364B1 (en) |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face and motion recognition based on autonomous mobile robot | |
| EP2720210A1 (en) | Workspace-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urveillance of safety-critical workspaces | |
| US20240185608A1 (en) | Scaffolding safety compliance detection using computer vision | |
| KR200494028Y1 (en) | Watch type device for port workers that can collect worker's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 |
| US20240346417A1 (en) | A method of controlling site safety operations based on ppe compliance | |
| JP6960299B2 (en) | Suspended load warning system | |
| KR102064712B1 (en) | A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ith a wearble device and a body detection module | |
| KR102025379B1 (en) | Wearable apparatus for safety supervisory of construction field workers | |
| CN117115999A (en) | Mobile safety inspect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 |
| KR20240077786A (en) | Gesture-based emergency stop system | |
| KR20240034291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 safety based on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 |
| KR200494029Y1 (en) | Device for attaching helmets for harbor workers that can collect worker's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 |
| CN115731568A (en) | Equipment safety management system combining wearable equipment and human body detection module | |
| CN217508909U (en) | Engineering machinery monitoring system and engineering machinery | |
| KR20250035957A (en) | Safety equipment, safety accident prevention method,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