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62B1 -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 Google Patents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6262B1 KR102406262B1 KR1020160159147A KR20160159147A KR102406262B1 KR 102406262 B1 KR102406262 B1 KR 102406262B1 KR 1020160159147 A KR1020160159147 A KR 1020160159147A KR 20160159147 A KR20160159147 A KR 20160159147A KR 102406262 B1 KR102406262 B1 KR 102406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magnetic field
- wireless charging
- protective film
- shielding she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01F10/12—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eing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01F10/1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eing compounds
- H01F10/20—Ferr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은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자기장 차폐시트;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보호하는 보호 기능과 함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서 상기 안테나유닛이 배치되는 일면과 반대면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배치되며, 열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직접 부착되는 금속보호필름;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보호필름의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보호필름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턴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두께에 대하여 1/9 내지 1/3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된다.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is provided. The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and includes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a metal thin film to perform a heat dissipation function for dissipating heat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a protective function to protect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the magnetic field opposite to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on which the antenna unit is disposed a metal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and directly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through an adhesive layer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at least one sli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formed through the metal protective film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metal protective film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s. Including, wherein the sl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constitut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pattern constitut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The metal protective film is provided to have a thickness of 1/9 to 1/3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최근 휴대폰, 타블렛 PC 등을 비롯한 휴대 단말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식별), 근거리 무선통신(NFC), 무선충전(WPT), 대화형 펜 타블렛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such a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 charging (WPT), and interactive pen tablet are being added to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NFC는 전자태그인 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방식으로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NFC is a non-contact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a 13.56 MHz frequency band as one of RFID, an electronic tag, and refers to a technology that transmits data between terminals at a short distance of 10 cm. NFC is a file transfer method, as well as mobile payment, and is widely used in supermarkets and general stores to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for visitors, traffic, and access control locks.
또한, 최근 구글이 발표한 스마트폰에 구비된 '안드로이드 빔’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반의 근거리 정보 송수신 기능으로서,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사진, 명함, 파일, 지도, 웹사이트 등을 한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ndroid Beam' provided in smartphones recently announced by Google i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NFC)-based short-dist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forward to another phone.
한편, 휴대 단말기에는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충전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wirelessly charging a built-in battery. Such wireless charging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built in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de by modules.
이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은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과 상기 안테나 유닛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외부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차폐시트 등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shield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to prevent external leakage and include a shielding sheet for focusing in a required direction. be prepared
상기 차폐시트로서 자성부재가 통상 사용되며, 이 자성부재에는 예를 들어 PET 등과 같은 불소 수지계의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차폐시트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A magnetic member is usually used as the shielding sheet, and a fluororesin-based protective film such as PET is attached to the magnetic member to prevent the shielding shee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호필름은 재료 자체의 강도가 약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찢기거나 쉽게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등 보호필름으로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otective film as described above does not smoothly perform a function as a protective film, such as being torn or easily scratched by an external impact because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itself is weak.
한편,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경박단소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부품 또한 경박단소형화되어야 한다. 휴대폰에 내장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경우, 전체 두께가 0.3T 정도로 제작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얇아질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re becoming lighter, thinner, smaller and smaller, and accordingly, parts built into the electronic devices must also be made lighter, thinner and smaller. In the case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embedded in a mobile phone, the overall thickness is about 0.3T, and it will become even thinner in the future.
상기와 같은 매우 얇은 두께에서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각도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다기능화, 즉 하나의 고유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던 부품의 재질이나 형상 변경 등을 통하여 인접한 다른 부품과 협조하여 인접한 부품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기존의 제품과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특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very thin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being conducted from various angles. As a part of that,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functions of adjacent parts by cooperating with other adjacent parts through multifunctionalization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hat is, by changing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part that had only one unique function.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improve characteristics while maintaining the same thickness as existing products or having a thinner thickness by add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금속재질로 대체하여 재질 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기능을 높일 수 있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by replacing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with a metal material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material itself, it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thereby protecting i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that can increase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차폐시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박막으로 대체하여 보호기능에 더하여 방열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수신 모듈의 방열 효율 개선에 도움을 주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ielding sheet with a metal thin film having thermal conductivity to add a heat dissipat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protection function, thereby helping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ing unit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자기장 차폐시트;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보호하는 보호 기능과 함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서 상기 안테나유닛이 배치되는 일면과 반대면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배치되며, 열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직접 부착되는 금속보호필름;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보호필름의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보호필름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턴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두께에 대하여 1/9 내지 1/3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n antenna unit, comprising: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a metal thin film to perform a heat dissipation function for dissipating heat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a protective function to protect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the magnetic field opposite to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on which the antenna unit is disposed a metal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and directly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through an adhesive layer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at least one sli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formed through the metal protective film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metal protective film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s. Including, wherein the sl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constitut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or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pattern constitut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t is formed to have a, and the metal protective film provides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provided to have a thickness of 1/9 to 1/3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열전도도가 200W/m·K 이상의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박이나 동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protective film may be made of a metal thin film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200 W/m·K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made of an aluminum foil or a copper foil.
이때,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열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al protective film may be direct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through an adhesive layer having thermal conductivity.
삭제delete
또한,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방사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은 세라믹 또는 산화금속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protective film may include a base layer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coating layer that is radiation-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In this case, the co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ceramics and metal oxides.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폴리머 시트 및 페라이트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라이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may include any one of a ribbon sheet, a polymer sheet, and a ferrite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nano-grain alloy. In this case, the ferrite may be any one of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may be config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ribbon sheets of amorphous alloy or ribbon sheets of nano-crystalline alloy.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may be formed separately into a plurality of micro-pieces,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may b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pieces, and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are 1㎛ ~ It may have a size of 3 mm.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제1시트 및 제2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may be composed of a first sheet and a second sheet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금속재질로 대체하여 재질 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폐시트의 보호기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is replaced with a metal material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material itself, thereby preventing it from being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thereby enhancing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shielding sheet.
또한, 본 발명은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보호필름으로 대체하여 보호기능에 방열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방열성능을 만족하면서도 전체두께를 줄여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with a metal protective film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thermal conductivity to add a heat dissipation function to the protection function, thereby satisfying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required by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Thinning can be realized by reducing the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은 금속보호필름에 와전류 손실을 억제하기 위한 슬릿과 같은 구조를 적용함과 아울러 방사율 개선을 위한 코팅층을 적용함으로써 방열 효율 향상 및 이로 인한 무선 충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slit-like structure for suppressing eddy current loss to the metal protective film and also applies a coating layer for improving emissivity, there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efficiency and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에 적용되는 금속보호필름에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 슬릿과 무선충전용 안테나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3a는 무선충전용 안테나가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이고, 도 3b는 무선충전용 안테나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에 적용되는 금속보호필름에 형성되는 슬릿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에 적용되는 금속보호필름으로서, 금속보호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에 적용되는 차폐시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에 적용되는 차폐시트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제1시트와 제2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a는 제1시트가 제2시트의 일면에 적층되는 경우이고, 도 7b는 제2시트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1시트가 제2시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이며, 도 7c는 제2시트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1시트가 제2시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이 적용된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A and 3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lit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when the slit is formed in the metal protective film applied to the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wireless A case in which the charging antenna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4A to 4D are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slits formed in a metal protective film applied to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metal protection film applied to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tal protection film;
6 is a view showing a shielding sheet applied to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laminated form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line alloy;
7a to 7c are when the shielding sheet applied to the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sheet and a second sheet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Fig. 7a is a case in which the first sheet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and Fig. 7b is a case in which the first sheet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second sheet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heet, , Figure 7c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sheet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second shee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sheet,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to which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차폐시트(110) 및 금속보호필름(120)을 포함한다.The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는 안테나유닛(10)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안테나의 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The magnetic
여기서, 상기 안테나유닛(10)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12,13,14)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2,13,14)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12), MST용 안테나(13) 및 NFC용 안테나(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도 3a, 도 3b 및 도 7 참조).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2,13,14)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PI)나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회로기판(11)의 적어도 일면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루프 형태로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antennas (12, 13, 14)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는 상기 안테나유닛(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magnetic
일례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페라이트 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gnetic
이때,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소결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으며, Ni-Zn 페라이트 또는 Mn-Zn 페라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errite sheet may be a sintered ferrite sheet, and Ni-Zn ferrite or Mn-Zn ferrite may be used. In addition, as the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line alloy, a Fe-based or Co-based magnetic alloy may be used.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111a,111b,111c)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110' reveals that the
더불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는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provided in a size of 1 μm to 3 mm, and each piece may be made irregularly and randomly.
그리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가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복수 개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시트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배치되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시트 사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층이 각각의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nd when the magnetic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일면에 접착층(130)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기준으로 상기 안테나유닛(10)의 반대면, 달리 말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노출면에 배치된다.The
이때,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보호하는 보호기능과 함께 열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보조 방열 시트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metal
이를 위해,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열원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흑연과 같은 별도의 방열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을 통해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To this end, the metal
이때,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차폐유닛(100)의 전체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두께에 대하여 1/9 ~ 1/3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al
즉,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던 종래의 보호필름과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일면에 부착됨으로써 단순히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종래의 보호필름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metal
이에 따라,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단순히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던 종래의 보호필름과는 달리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보호하는 역할과 더불어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etal
여기서,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을 구성하는 금속재질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이 조합된 합금형태일 수 있고, 구리 또는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두께에 대하여 1/9 ~ 1/3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metal material constituting the
일례로,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열전도도 200W/m·K 이상의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박 또는 동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박막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두께에 대하여 1/9 ~ 1/3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tal
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보호필름(120)이 종래의 보호필름과 동일한 두께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어 종래의 보호필름을 대체함으로써 차폐유닛의 전체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보호기능에 방열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metal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은 금속보호필름(120)이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일면에 부착됨으로써 단순히 보호기능만을 수행하던 종래의 보호필름과 동일한 두께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보호기능에 방열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이로 인해,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의 전체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금속보호필름(120)을 통해 보호기능과 방열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만을 사용하더라도 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기능과 방열을 위한 방열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and a heat dissipation function through the metal
더불어,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재료 자체의 강성이 증가되므로 PET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종래의 보호필름에 비하여 강성이 매우 증가된다. 이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해 찢기거나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쉽게 발생되던 종래의 보호필름과는 달리 재료 자체의 강성이 큰 금속재질을 통해 자기장 차폐시트(110)가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됨으로써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크랙 및 균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특성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etal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유닛(10)과 차폐유닛(100)을 포함하는 무선충전모듈(1)에 적용되는 경우, 특히, 전체두께의 제약이 심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유닛(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when the
이때,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이 부착되지 않는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타면에는 자기장 차폐시트(110)를 단순히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불소 수지계 필름으로 구현된 보호필름(14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for the purpose of simply protecting the magnetic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의 일면에 안테나유닛(10)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140)을 제거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수단을 사용할 필요 없이 상기 보호필름(140)과 자기장 차폐시트(110)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130)을 통해 안테나유닛(10)을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10)의 일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상기 접착층(134)은 열전도성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방열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착층(134)은 열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판상의 기재와 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열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adhesive layer 134 may be provided to have thermal conductivity,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Such an adhesive layer 134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containing a thermally conductive component, or may have a plate-shaped substrate and an adhesive containing a thermally conductive component appli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일례로, 상기 접착제는 선택되는 접착방식에 따라 열경화 또는 광경화 타입의 접착성분을 포함하거나 감압접착 타입의 접착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분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 및 실리콘계 접착성분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접착성분을 가교시키기 위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선택되는 접착성분의 구체적 종류, 접착방식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adhesive may include a heat-curing or photo-curing type adhesive component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ype adhesive component according to a selected bonding method. The adhesive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commonly used acrylic, urethane, epoxy and silicone adhesive components, and may further include a curing agent commonly used for crosslinking the adhesive component. The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t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type of the selected adhesive component and the bonding method.
또한, 방열성의 발현을 위하여 상기 접착제는 열전도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열전도성을 가지는 것이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열전도성 성분은 금속, 무기물, 유기물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주석(Sn), 아연(Zn), 텅스텐(W), 철(Fe), 은(Ag), 금(Au) 등의 금속 분말; 탄산칼슘(CaCO3), 산화알루미늄(Al2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탄화규소(SiC); 질화붕소(BN) 및 질화알루미늄(AlN) 등의 무기 분말; 그리고 탄소소재로서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및 탄소나노섬유(CNF) 등의 유기 분말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열한 물질 중에서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CNT) 및 탄소나노섬유(CNF)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for the expression of heat dissipation, the adhesive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component, and if it has thermal conductivity, the type thereof is not limited.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thermally conductive component may use a metal, an inorganic material, an organic material, or a mixture thereof, and specifically, aluminum (Al), nickel (Ni), copper (Cu), tin (Sn), metal powders such as zinc (Zn), tungsten (W), iron (Fe), silver (Ag), and gold (Au); calcium carbonate (CaCO 3 ), aluminum oxide (Al 2 O 3 ), aluminum hydroxide (Al(OH) 3 ), silicon carbide (SiC); inorganic powders such as boron nitride (BN) and aluminum nitride (AlN); And, as the carbon material, at least one selected from organic powders such as graphite, graphene, carbon nanotubes (CNT) and carbon nanofibers (CNF) may be used. 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component preferably includes one or more carbon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phite, graphene, carbon nanotubes (CNT) and carbon nanofibers (CNF) among the materials listed above.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성분, 경화제, 열전도성 성분으로 카본계 필러 및 방열성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한 물성증진성분을 포함하는 방열 접착층 형성 조성물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계 필러는 방열접착층 형성 조성물 중 0.1 ~ 60중량 %로 포함되고, 물성증진성분은 상기 카본계 필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성증진성분이 0.01~ 20 중량부로 포함되며, 잔량이 접착성분 및 경화제일 수 있고, 이때 경화재는 접착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5 ~ 3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조성비는 변경될 수 있다. As a preferred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through a heat dissipation adhesive layer forming composition comprising a carbon-based filler as an adhesive component, a curing agent, and a thermal conductive component and a physical property enhancing component for improving heat dissipation and adhesion, and the carbon-based filler is heat dissipating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60% by weight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composition, the physical property enhancing componen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based filler, and the remaining amount may be an adhesive component and a curing agent, in which case the curing material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3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sition ratio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상기 접착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형(linear Aliphatic) 에폭시 수지, 지환족형(cyclo Aliphatic) 에폭시 수지, 복소환 함유 에폭시 수지, 치환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nent may preferably be an epoxy resin, and non-limiting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a glycidylamine type epoxy resin, a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and a linear aliphatic type (linear). Aliphatic) epoxy resins, cyclo aliphatic epoxy resins, heterocyclic-containing epoxy resins, substituted epoxy resins, naphthalene-based epoxy resins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rivatives thereof may be included.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수지를 접착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다가히드록시화합물, 지방족 아민류, 방향족 아민류, 산무수계 및 잠재성 경화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필러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핀, 그라핀 옥사이드, 그라핀 나노 플레이트,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및 탄소-금속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uring agent includes an epoxy resin as an adhesive component,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polyhydric hydroxy compound, an aliphatic amine, an aromatic amine, an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 and a latent curing agent. The carbon-based fill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double-walled carbon nanotubes,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graphene, graphene oxide, graphene nanoplates, graphite, carbon black, and carbon-metal composites. may include more than one.
상기 물성증진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3-[N-아닐-N-(2-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N-아닐-N-글리시딜)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N-아닐-N-메타아크릴로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 옥시프로필메틸에톡시실란, N,N-Bis[3-(트리메톡시시닐)프로필]메타아크릴아마이드, γ-글리시독시트리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메틸메톡시실란, 베타(3, 4 -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헵타데카플루오로데시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3-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란, 메틸트리스(디메틸시록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폭시 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및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ysical property enhancing component may preferably include a silane-based compound, wherein the silane-based compound is 3-[N-anyl-N-(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 anyl-N-glycid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anyl-N-methacrylo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yl oxypropylmethylethoxysilane, N, N-Bis[3-(trimethoxycinyl)propyl]methacrylamide, γ-glycidoxytrimethyldimethoxysilane,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yloxypropyltrie Toxysilane, 3-glycidyloxypropylmethylmethoxysilane, beta (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yl,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me Toxysilane, heptadecafluorodecy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s(trimethylsiloxy)silane, methyltris(dimethylsiloxy)silane, 3-amino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triepoxy 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 silane, and N-(β-aminoethyl)-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여기서, 상기 방열접착층 형성 조성물은 그 밖에도 분산제, 분산안정제, 레벨링제, pH 조절제, 이온포착제, 점도조정제, 요변성(搖變性) 부여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착색제, 탈수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방미제(防黴劑) 및 방부제 등의 각종 첨가제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이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기재된 각종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열접착층 형성성분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선택되는 접착성분에 따라 이에 맞는 통상의 용제를 선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heat dissipation adhesive layer is other than a dispersant, a dispersion stabilizer, a leveling agent, a pH adjuster, an ion trapping agent, a viscosity modifier, a thixotropic agent, an antioxidant, a heat stabilizer, a ligh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 colorant , one or two or more kinds of various additives such as a dehydrating agent, a flame retarda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fungal agent, and a preservative may be added. As the various additives described above, thos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adhesive layer forming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and a conventional solvent suitable for this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adhesive component,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보호필름(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을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123)과, 상기 기재층(123)의 적어도 일면에 방사 코팅되는 코팅층(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124)은 나노 사이즈의 입도를 갖는 세라믹 또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산화금속물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al protective film 12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이와 같은 코팅층(124)은 방사율을 높여줌으로써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의 방열효과를 더욱 높여 주게 된다.The
또한,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은 흑화처리를 통해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을 구성하는 금속재질의 표면을 산화시켜 산화막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재질이 구리인 경우 상기 산화막은 CuO 및 Cu2O와 같은 산화막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이를 통해, 부식을 막아 갈라짐을 최소화하고 표면적 증가에 따른 밀착력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재료 자체의 방사율을 높여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방열특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to minimize cracking, to improve adhesion and adhesion according to an increase in surface area, and to increase the emissivity of the material itself to further enhance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더불어,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의 경우 절연층의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저항값을 높여 줌으로써 무선 충전시 와전류의 발생을 줄여 충전효율 역시 높여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흑화처리는 약품을 이용할 수도 있고, 열처리를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it acts as an insulating layer and increases the overall resistance value,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s during wireless charging, thereby increasing the charging efficiency. Here, the blacken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using a chemical, may be performed through heat treatment, or may be performed through plasma treat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보호필름(120)은 도 1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2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의 저항을 높여줌으로써 무선충전시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충전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al
여기서, 상기 슬릿(122)은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슬릿(122)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슬릿(122)이 일정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랜덤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Here, the
이때, 상기 슬릿(122)은 상기 차폐유닛(1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안테나유닛(10) 중 무선충전용 안테나(12)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를 구성하는 패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슬릿(122)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가 직사각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를 구성하는 패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슬릿(12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가 원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를 구성하는 패턴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더불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가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모두 갖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직선구간에 형성되는 슬릿은 도 3a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를 구성하는 패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곡선구간에 형성되는 슬릿은 도 3b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를 구성하는 패턴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when the
이와 같은 상기 슬릿(122)은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122)은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절개부(122a)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도 4c 및 도 4d 참조), 상기 금속보호필름(12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122b)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도 4a 및 도 4b 참조), 절개부(122a) 및 관통구(122b)가 서로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미도시).The
한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상기 안테나유닛(10)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12,13,14)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2,13,14)에 대응하여 해당 안테나의 특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종류의 시트(211,212)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12, 13, 14) when the antenna unit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ntennas (12, 13, 14) performing different roles, the corresponding antenna It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일례로, 상기 안테나유닛(10)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12) 및 NFC용 안테나(1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210,210',21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해당 안테나의 특성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유닛(10)은 MST용 안테나(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시트(211)는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의 특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시트(212)는 상기 NFC용 안테나(14)의 특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NFC용 안테나(14)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제1시트(211)는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를 포함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시트(212)는 상기 NFC용 안테나(14)를 포함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1시트(211)는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의 외측에 MST용 안테나(13)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MST용 안테나(13)의 직상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the
이때,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210,210',210")는 상기 제1시트(211)가 제2시트(212)의 일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도 7a 참조), 상기 제2시트(212)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1시트(211)가 상기 제2시트(212)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도 7b 참조), 상기 제2시트(212)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제1시트(211)가 상기 제2시트(212)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7c 참조).In this case, the magnetic
한편,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이나 서로 다른 포화자기장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의 투자율이 동일한 경우 투자손실률이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시트(211)는 저주파 대역인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화자기장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1시트(211)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2시트(212)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일례로, 상기 제1시트(211)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시트(212)는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는,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페라이트 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기 때문에 무선 충전시 무전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100~300kHz 주파수의 전력 전송에 따라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1시트(211)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제1시트(211) 측에 배치된 무선충전용 안테나(12) 측으로 무선 전력신호가 높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ribbon sheet of the amorphous alloy or nano grain alloy has a relatively higher magnetic permeability than the ferrite sheet in the frequency band of 100 to 300 kHz.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is induced to the side of the
한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210,210',210")가 무선전력 수신모듈로 구현되고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210,210',210")는 상기 영구자석에 의한 직류 자기장도 모두 차폐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상기 직류 자기장은 안테나유닛(10)에서 발생하는 교류 자기장이 자기장 차폐시트(210,210',210")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크기 때문에 자기장 차폐시트를 자기 포화시켜 자기장 차폐시트로서의 성능을 떨어뜨리거나 전력전송 효율을 급격하게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c
따라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포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페라이트 시트보다 상대적으로 큰 포화자기장을 갖기 때문에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2)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시트(211)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영구자석에 의한 자화를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magnetic saturation by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this reason, since the ribbon sheet of the amorphous alloy or nano-grain alloy has a relatively larger saturated magnetic field than the ferrite sheet in the frequency band of 100 to 300 kHz, the first sheet dispos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더불어,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더라도 상기 제1시트(211)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2시트(212)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되면 결과적으로 무선 충전 작동시 투자손실률에 의한 투자율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100~300kHz 주파수의 전력 전송에 따라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1시트(211)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제1시트(211)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무선충전용 안테나(12) 측으로 무선 전력신호가 높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according to power transmission at a frequency of 100 to 300 kHz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s induced toward the
한편, 상기 제2시트(212)는 고주파인 13.56MHz에서 상기 제1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13.56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는 경우 상기 제2시트(212)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1시트(211)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일례로, 상기 제1시트(211)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시트(212)는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통신(NFC)이 이루어지는 경우 RF리더기에 설치된 안테나로부터 발생된 13.56MHz 고주파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2시트(212)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제2시트(212)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NFC용 안테나(14) 측으로 고주파신호가 높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ferrite sheet has a relatively higher magnetic permeability than the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nano-grain alloy in the frequency band of 13.56 MHz. Wh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erformed, a 13.56 MHz high-frequency signal generated from an antenna installed in an RF reader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is induced toward the
또한, 13.56MHz의 주파수에서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가 서로 동일한 투자율을 갖더라도 상기 제2시트(212)의 투자손실률이 상기 제1시트(211)의 투자손실률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도록 구비되면 결과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NFC)시 투자손실률에 의한 투자율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RF 리더기에서 발생되는 13.56MHz 고주파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제2시트(212)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제2시트(212) 측에 배치된 NFC용 안테나(14) 측으로 고주파신호가 높은 효율로 수신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여기서, 상기 제1시트(211)로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되고, 상기 제2시트(212)로서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포화자기장 및 투자손실률이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의 시트에 대하여 상대적인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er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line alloy is used as the
일례로,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는 100~300kHz의 주파수 대역 및/또는 13.56MHz의 주파수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시트(211)로서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시트(212)로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열처리 온도, 적층 수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의 변화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투자율, 포화자기장, 투자손실률 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For example, the
더불어, 상기 제1시트(211) 및 제2시트(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되는 경우, 단층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된 형태로 제1시트(211) 및/또는 제2시트(212)가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200,200',200")은 Qi 방식에 적용될 수도 있고,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일부가 어트랙터(미도시)를 통해 유도되는 PMA 방식의 무선충전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200,200',200")은 6.78MHz의 주파수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자기공진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above-described
일례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1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유닛(100) 및 안테나유닛(10)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1)에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충전모듈(1)은 전자기기 측으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일 수도 있고, 무선전력 송신모듈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일 수도 있다.Here, the wireles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무선전력 충전모듈 10 : 안테나유닛
11 : 회로기판 12 : 무선충전용 안테나
13 : MST용 안테나 14 : NFC용 안테나
100,200,200',200" : 무선충전용 차폐유닛
110,110',210,210',210" : 자기장 차폐시트
111a,111b,111c :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111d : 접착층 211 : 제1시트
212 : 제2시트 120 : 금속보호필름
122 : 슬릿 124 : 코팅층
130 : 접착층 140 : 보호필름1: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 antenna unit
11: circuit board 12: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13: antenna for MST 14: antenna for NFC
100,200,200',200" :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110,110',210,210',210" : magnetic shielding sheet
111a, 111b, 111c: Ribbon sheet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line alloy
111d: adhesive layer 211: first sheet
212: second sheet 120: metal protective film
122: slit 124: coating layer
130: adhesive layer 140: protective film
Claims (14)
자기장 차폐시트;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보호하는 보호 기능과 함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서 상기 안테나유닛이 배치되는 일면과 반대면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배치되며, 열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노출면에 직접 부착되는 금속보호필름; 및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보호필름의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금속보호필름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턴의 접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두께에 대하여 1/9 내지 1/3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As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unit,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is made of a metal thin film to perform a heat dissipation function for emitting heat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a protective function to protect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urface opposite to one side on which the antenna unit is disposed i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 metal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heet and directly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through an adhesive layer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At least one slit which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penetrates through the metal protective film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s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metal protective film. including,
The sl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constitut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o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line of the pattern constitut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
The metal protective film is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that is provided to have a thickness of 1/9 to 1/3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열전도도가 200W/m·K 이상의 금속박막이고, 열전도성을 갖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metal protective film is a metal thin film having thermal conductivity of 200 W/m · K or more, and is direct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through an adhesive layer having thermal conductivity.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알루미늄박 또는 동박인 무선충전용 차폐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metal protective film is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of aluminum foil or copper foil.
상기 금속보호필름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방사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metal protective film is a wireless charging shielding unit comprising a base layer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coating layer that is radiation-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상기 코팅층은 세라믹 또는 산화금속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충전용 차폐유닛.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ating layer is a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ceramic or metal oxid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59147A KR102406262B1 (en) | 2015-07-20 | 2016-11-28 |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2524 | 2015-07-20 | ||
| KR1020160159147A KR102406262B1 (en) | 2015-07-20 | 2016-11-28 |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2524 Division | 2015-07-20 | 2015-07-20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0734A KR20170010734A (en) | 2017-02-01 |
| KR102406262B1 true KR102406262B1 (en) | 2022-06-10 |
Family
ID=819862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59147A Active KR102406262B1 (en) | 2015-07-20 | 2016-11-28 |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0626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390468B2 (en) | 2017-08-25 | 2019-08-20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power-transmission shield |
| KR20190135651A (en) * | 2018-05-29 | 2019-12-09 | 주식회사 위츠 | Magnetic shielding sheet and antenna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2098335B1 (en) * | 2018-07-23 | 2020-04-08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Tx coil structure for wireless charger |
| CN114008860B (en) * | 2020-02-20 | 2025-06-06 | 阿莫善斯有限公司 | Magnetic field shielding gas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1883352A (en) * | 2020-06-12 | 2020-11-03 |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 A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
| KR20220144195A (en) | 2021-04-19 | 2022-10-26 | 주식회사 아모센스 | Magnetic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601640B1 (en) * | 2021-07-29 | 2023-11-15 | 주식회사 썬웨이커뮤니케이션코리아 | Magnetic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gnet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95557A (en) * | 2006-03-31 | 2007-11-08 | Nitta Ind Corp | Magnetic shield sheet, method for improving non-contact ic card transmission, and non-contact ic card hold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182743A (en) * | 2009-02-03 | 2010-08-19 | Sony Corp | Radiation level reducing device |
| KR20140067660A (en) * | 2012-11-27 | 2014-06-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Magnetic sheet of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US9812774B2 (en) * | 2013-03-05 | 2017-11-07 | Amosense Co., Ltd. | Composite sheet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 and antenna module comprising same |
| KR101852940B1 (en) | 2013-06-20 | 2018-04-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Receiving antennas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2016
- 2016-11-28 KR KR1020160159147A patent/KR1024062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95557A (en) * | 2006-03-31 | 2007-11-08 | Nitta Ind Corp | Magnetic shield sheet, method for improving non-contact ic card transmission, and non-contact ic card hold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0734A (en) | 2017-02-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31152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med thereby | |
| KR102406262B1 (en) | Shielding unit for wireless charging | |
| KR101559939B1 (en) |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 |
| US10673269B2 (en) | Magnetic field shielding unit | |
| KR20170010868A (en) |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 |
| KR101629653B1 (en) |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 |
| KR102553219B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for car | |
| US10475571B2 (en) |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 |
| KR20170017416A (en) | antenna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 |
| US11095137B2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 |
| US10658870B2 (en) |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 |
| CN110710122B (en)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vehicle | |
| TWI246227B (en) | Magnetic core member, antenna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101656260B1 (en) |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 |
| JP6714082B2 (en) |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 |
| US20150116178A1 (en) | Combin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charging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combined rfid and wireless charging wireless antenna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 KR102565032B1 (en) | All-in-one type heat radiation unit having magnetic shielding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comprising the same | |
| KR101878353B1 (en) |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the Same | |
| US20190027302A1 (en) | Shield Unit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Same | |
| KR102201600B1 (en) | Heat radiation sheet for a wireless charging | |
| JPWO2018100975A1 (en) | Composite coil module and magnetic sheet | |
| US20160240301A1 (en) | Magnetic Memb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Same | |
| KR102164530B1 (en) | Wireless charging borad and device | |
| KR102339683B1 (en) |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 |
| KR102479826B1 (en) |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72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025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61128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9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