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6831B1 -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 - Google Patents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831B1
KR102406831B1 KR1020190012874A KR20190012874A KR102406831B1 KR 102406831 B1 KR102406831 B1 KR 102406831B1 KR 1020190012874 A KR1020190012874 A KR 1020190012874A KR 20190012874 A KR20190012874 A KR 20190012874A KR 102406831 B1 KR102406831 B1 KR 10240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electrode
lumen
guide wire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0188A (en
Inventor
김준홍
박기완
남기병
Original Assignee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to JP201920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08329B2/en
Priority to US16/690,115 priority patent/US20200155229A1/en
Priority to CN201911139090.1A priority patent/CN111202581B/en
Priority to EP23199639.8A priority patent/EP4275739B1/en
Priority to EP19210627.6A priority patent/EP3656327B1/en
Publication of KR2020006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831B1/en
Priority to US18/092,277 priority patent/US12279810B2/en
Priority to US18/532,989 priority patent/US20240099770A1/en
Priority to US19/088,877 priority patent/US20250221766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A61B2018/00136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with polym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27Needle with a beveled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는 부드러운 연질 재질의 카테터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원위부에 형성되되, 1개 이상의 전극이 형성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진 팁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형성되어, 비후성 심근증 시술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심실중격으로 삽입되는 중격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은 i)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과 중격정맥(septal vein)을 통해서 비대해진 심실중격(hypertrophied septum)에 위치시키는 단계; ii)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따라서 가이드와이어루멘이 형성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상기 비대해진 심실중격에 전달하는 단계; 및 iii) 상기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로 쿨런트(coolant)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상태에서, RF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이용하여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끝단에 형성된 전극(electrode)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orming a catheter body made of a soft soft material; And it is formed in the distal part of the body part, one or more electrodes are formed, a tapered tip that is tapered toward the end is formed, and a guide wire lumen for inserting a guide wire is formed therein. It includes;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rocedure us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positioning a guidewire in the hypertrophied septum through the coronary sinus and septal vein; ii) delivering an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having a guidewire lumen formed along the guidewire to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and iii) while continuously injecting a coolant into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RF energy is applied to the electrode formed at the end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using an RF generator to apply the RF electrode Including; performing resection.

Description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

본 발명은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물이나 인체의 심장의 좌심실 심실중격이 두꺼워지는 질환인 비후성 심근증 시술을 위하여 심실중격에 RF 에너지를 인가하는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하는 위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and a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rocedure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n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surgery for performing RF electrode ablation applying energy, and a procedure using the same.

비후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이란 좌심실 비후를 유발할만한 대동맥판 협착증이나 고협압과 같은 다른 증세 없이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질환이다. 전체 인구 500명당 1명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형태의 좌심실 비후 소견이 관찰된다.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특징은 비대칭적인 심실중격비대(asymmetrical septal hypertrophy)와 변동성의 좌심실 유출로의 폐색(닫혀서 막힘)이다.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s a heart disease in which the wall of the left ventricle becomes thickened without other symptoms such as aortic valve stenosis or hypertension that may cause left ventricle thickening. It is found in 1 out of 500 people, and various types of left ventricular thickening are observed. The most common and representative features are asymmetrical septal hypertrophy and occlusion (blockage) of the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f variability.

도 1은 비후성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의 증상을 보여주는 도면 및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수술 방법을 도시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ymptoms of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shows a currently generally performed surgical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비후성 심근증 수술의 일반적인 방법은 나이프를 대동맥 판막을 통해 좌심실로 삽입한 후, 비대해진 좌심실 심실중격을 도시된 바와 같이 도려내는 방법이다. 즉, 나이프를 이용하여 전문의의 감각으로 비대해진 심실중격을 도래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1 , a general method of hypertrophic cardiomyopathy surgery is to insert a knife through the aortic valve into the left ventricle, and then cut out the enlarged left ventricular septum as shown. That is, using a knife, the method of arriving at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with the sense of a specialist is used.

한편, 다른 방법으로, RF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최근 발표되고 있다. RF 전극절제술(RF ablation)을 통한 중격 비대(septal hypertrophy)의 치료는 종래부터 종종 발표되어 왔으나, 이는 모두 좌심실내로 카테터를 위치시켜 좌심실 표면에서 RF 전극절제술(RF ablation)을 행하는 방법이었다. Meanwhile, as another method, a method using RF energy has been recently announced. Treatment of septal hypertrophy through RF ablation has been frequently reported in the prior art, but these were all methods of performing RF ablation on the surface of the left ventricle by placing a catheter into the left ventricle.

최근 니들(needle)을 사용하여 중격 비대(sepal hypertrophy)의 표면이 아닌 내부로 파고들어 치료하는 기법이 보고 되었는데, 놀라울 정도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즉, 최근 심실중격 내(intra-septum)에 접근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하였을 때, 치료 효과가 아주 좋은 결과가 발표 되었다.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a technique to use a needle to dig into the inside of the septal hypertrophy rather than the surface has been reported,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shows a surprisingly good effect. That is, when RF electrode ablation was performed by approaching the intra-septum recently, a very good treatment effect was announced.

(Percutaneous Intramyocardial Septal Radiofrequency Ablation for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ume 72, Issue 16, October 2018)(Percutaneous Intramyocardial Septal Radiofrequency Ablation for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ume 72, Issue 16, October 2018)

그러나, 위 논문에서는 단단한 니들을 이용하여 심실중격 내(intra-septum)에 접근함으로 시술시 매우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 paper,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was very dangerous during the procedure because it used a hard needle to access the intra-septum.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6958호(2016. 05. 27 등록)(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6958 (registered on May 27, 2016) (high-frequency catheter with multiple electrodes)

Percutaneous Intramyocardial Septal Radiofrequency Ablation for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ume 72(16, October 2018. 발표)Percutaneous Intramyocardial Septal Radiofrequency Ablation for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ume 72 (16, October 2018. Presented)

본 발명의 목적은 비후성 심근증 시술을 위해서 단단한 니들(needle)이 아닌 부드러운 카테터(catheter)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심실중격 내의(intra-myocardial or intraseptal) 비후성 심근증 치료효과를 얻는 시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 ablation catheter of a soft catheter type, not a hard needle,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rocedure, and using this, intra-myocardial or intrasept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method for obtaining a therapeutic effect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는 부드러운 연질 재질의 카테터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원위부에 형성되되, 1개 이상의 전극이 형성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진 팁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형성되어, 비후성 심근증 시술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심실중격으로 삽입되는 중격삽입부;를 포함한다. The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orming a catheter body made of a soft soft material; And it is formed in the distal part of the body part, one or more electrodes are formed, a tapered tip that is tapered toward the end is formed, and a guide wire lumen for inserting a guide wire is formed therein. It includes;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은 RF 제너레이터와 연결되어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심근의 전기신호를 센싱하거나 전기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RF generator and serves to transmit RF energy and also to sense an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진 팁 내부에 형성되는 팁 루멘(tip lumen)은 상기 가이드와이어와 서로 밀착되어 이격공간이 없는 구조를 지닌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tip lumen formed inside the tapered ti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wire and has a structure without a spaced apart spac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은 상기 테이퍼진 팁의 끝단인 팁홀에서 카테터의 중간부에 형성된 사이드 홀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팁홀에서 카테터의 근위부까지 카테터 전체에 걸려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uide wire lumen is formed from the tip hole, which is the end of the tapered tip, to the side hol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atheter, or is formed by hanging over the catheter from the tip hole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cathete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격삽입부 또는 상기 몸체부는 나선형 타입의 코일 와이어 또는 브레이드 타입의 와이어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극과는 절연되어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ptum insertion part or the body part has a coil wire of a spiral type or a wire of a braid type formed therein, and the wire is insulated from the electrod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격삽입부는 전극의 표면을 제외한 표면 부분에 친수성 고분자 고팅층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hydrophilic polymer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ptum insertion part except for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진 팁은 길이가 5~20mm이며, 첨부는 1.2~1.4Fr의 두께, 첨부 반대편은 3~5Fr의 두께를 지닌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tapered tip has a length of 5 to 20 mm, the apex having a thickness of 1.2 to 1.4 Fr, and the opposite side having a thickness of 3 to 5 Fr.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테터 내부에는 쿨런트를 주입할 수 있는 쿨링채널이 근위부에서 상기 중격삽입부까지 형성되되, 상기 쿨링채널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과 연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cooling channel capable of injecting coolant is formed inside the catheter from the proximal portion to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and the end of the cooling channel communicates with the guide wire lumen.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 내부에는 쿨런트를 주입할 수 있는 쿨링 튜브가 근위부에서 상기 중격삽입부까지 삽입되되, 상기 쿨링튜브는 끝단이 개방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cooling tube capable of injecting a coolant into the guide wire lumen is inserted from the proximal portion to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and the cooling tube has an open en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중격삽입부보다 두꺼운 두께를 지니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중격삽입부 사이에는 테이퍼진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근위부(proximal part)에서 상기 테이퍼진 연결부까지 별도의 접지디바이스를 삽입할 수 있는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portion has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a tapere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eptal insertion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s the tapered connection portion in the proximal part A lumen for a grounding device into which a separate grounding device can be inserted is formed.

본 발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은 i)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과 중격정맥(septal vein)을 통해서 비대해진 심실중격(hypertrophied septum)에 위치시키는 단계; ii)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따라서 가이드와이어루멘이 형성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상기 비대해진 심실중격에 전달하는 단계; 및 iii) 상기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로 쿨런트(coolant)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상태에서, RF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이용하여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끝단에 형성된 전극(RF electrode)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method us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positioning a guidewire in the hypertrophied septum through the coronary sinus and septal vein; ii) delivering an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having a guide wire lumen formed along the guide wire to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and iii) while continuously injecting a coolant into the RF ablation catheter, RF energy is applied to the RF electrode formed at the end of the RF ablation catheter using an RF generator. Including; performing electrode rese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상기 비대해진 심실중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하기 전에, 상기 전극과 연결된 외부 커넥터를 전기신호분석기에 연결하여, 상기 전기신호분석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전기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전극이 히스(His bundle) 근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before the RF electrode abl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positioned in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the exter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an electrical signal analyzer, and the display in the electrical signal analyzer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de is located near the His (His bund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lectrical signal.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이 히스 근처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전극을 히스에서 떨어진 다른 위치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hanging said electrode to a different position away from the hiss when said electrode is located near the his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1. 단단한 니들을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고, 부드러운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함으로, 굴곡이 있는 심실중격 정맥(septal vein)을 따라 원할히 진입할 수 있어 안전하게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1. Instead of using a hard needle, RF electrode ablation is performed using a soft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so it can smoothly enter along the curved septal vein and can be safely performed. .

2.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관상정맥동 및 중격정맥을 통과시킴으로 관상 동맥, 대동맥 판막(aortic valve) 혹은 승모판막(mitral valve)를 지난 좌심실 내막(LV endocarium) 접근, 혹은 직접 천자(direct needle puncture) 등에 의해 접근하는 방법 등에서 야기되는 시술의 합병증을 차단할 수 있다. 2. Pass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through the coronary sinus and septal vein to access the LV endocarium past the coronary artery, aortic valve or mitral valve, or direct needle puncture, etc. It is possible to block the complications of the procedure caused by the approach method, etc.

3. 바람직하게는 RF 전극절제술 시행시 쿨링(cooling)을 실시하는 데, 쿨링을 통해 심장 내막(endocarium)에 char(검은 점)가 생기거나 조직 손상(tissue defect)가 발생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3. Preferably, cooling is performed when RF electrode resection is performed. Through cooling, the risk of char (black dots) or tissue defect occurring in the endocarium can be reduced. .

4. 심실 중격내 RF 에너지를 전달 하게 되면 (1)주변 조직과 컨택(contact)이 좋고 (2) RF 에너지의 장점인 균질 병변(homogenous lesion)을 만들수 있으며, 3) RF의 정도를 적정(titration)하여서 조직 손상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심실 속을 관통할 수 있는 작은 직경(약 2~6 Fr) 의 구조로도 충분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When RF energy is deliver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1) it has good contact with the surrounding tissue (2) it can create a homogenous lesion, which is the advantage of RF energy, and 3) the degree of RF is titrated. ), the degree of tissue damage can be controlled in stages,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ect a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 even with a structure with a small diameter (about 2 to 6 Fr) that can penetrate the ventricle.

5. 동시에 조심실 내막의 조직손상을 피할 수 있어서 완전방실차단을 예방할 수 있으며, 조직 손상이 균일하게 일어나므로 부정맥 유발성(arrhythmogenecity)를 최소화할 수 있다.5. At the same time, tissue damage to the inner lining of the ventricle can be avoided, thereby preventing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and since tissue damage occurs uniformly, arrhythmogenecity can be minimized.

6.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표면에 형성되는 electrode(전극)은 RF 에너지를 인가하는 역할 뿐만아니라, 센싱 또는 전기자극 역할을 한다. 6. RF Electrode Ablation The electrode (electrod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theter not only applies RF energy, but also serves as sensing or electrical stimulation.

RF 전극절제술 시행전에, 전극을 통해 심근의 전기적 신호를 직접 센싱하거나 또는 전극을 통해 전기 자극을 가한 후, 이에 따라 발생되는 박동 리듬의 심전도를 통해서 전극이 심근의 히스(His bundle)에 근접하여 위치하는지 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RF 전극전제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efore RF electrode resection,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is directly sensed through the electrode or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By determining in advance whether or not to do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RF electrode ablation,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비후성 심근증(hypertrophic cariomypathy)의 증상을 보여주는 도면 및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수술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개략도로서, 도 3은 오버 더 와이어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over the 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를 도시하며, 도 4는 모노레일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monorail type RF ablation catheter)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더 와이어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하여 가이드와이어를 다른 방향으로 다시 유도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와이어 루멘 내로 쿨링 튜브가 삽입된 오버 더 와이어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와이어 루멘과 다른 별도의 쿨링 채널이 내부에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도시한다.
도 8은 서로 다른 극성을 인가하는 전극이 형성된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RF 전극절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단일 극성을 인가하는 전극이 형성된 단일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RF 전극절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접지디바이스용 루멘(ground-device lumen)을 갖는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RF 전극절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을 갖는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개략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ymptoms of hypertrophic cariomypathy and shows a currently generally performed surgical metho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dure using the same.
3 and 4 are schematic views of an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over the 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 and FIG. 4 shows a monorail type RF ablation catheter.
Figure 5 shows a process of guiding the guide wire again in a different direction using the over the wire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over the 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 with a cooling tube inserted into the guidewire lu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monorail-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n which a separate cooling channel other than the guidewire lumen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method of RF ablation using a 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in which electrodes applying different polarities are formed.
9 shows a method of RF ablation using a un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in which an electrode applying a single polarity is formed.
10 shows a method of RF ablation using an RF ablation catheter having a ground-device lumen.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RF ablation catheter with a lumen for a grounding devi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중요한 요지는 단단한 니들이 아닌 부드러운 카테터 타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심실중격 내의(intra-myocardial or intraseptal) 비후성 심근증 치료효과를 얻는 시술방법이다. 즉, 단단한 니들(needle)이 아닌 부드러운 카테터(catheter)를 이용해서 조직내로 들어가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An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ft catheter-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rather than a hard needle, and to use it to obtain a therapeutic effect for intra-myocardial or intraseptal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hat is, a method for entering the tissue using a soft catheter rather than a hard needle is proposed.

도 2는 본 발명의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and the proced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과 중격정맥(septal vein)를 통해서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비대해진 심실중격에 위치시킨 후, 미리 위치된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치료 목표 부위(즉, 비대해진 심실중격)에 전달시킨다. 그런 후, 외부에서는 쿨런트(coolant)를 계속적으로 주입하는 상태에서, RF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끝단에 형성된 전극(electrode, 124)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한다. Referring to Figure 2,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ositioning a guidewire in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through the coronary sinus and septal vein, RF along the pre-positioned guidewire The ablation catheter is delivered to the treatment target site (i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Then, in a state in which the coolant is continuously injected from the outside, RF energy is applied to the electrode (electrode, 124) formed at the end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using an RF generator to perform RF electrode ablation.

바람직하게는,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하기 전에, 전극을 이용하여 심근의 전기적 신호를 심근의 전기적 신호를 센싱하거나 또는 전기 자극을 가한 후 발생되는 박동 리듬의 심전도를 확인하여, 전극이 심근의 히스(His bundle)에 근접(가까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Preferably, before performing RF electrode resection, by using an electrode to sens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by checking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pulsating rhythm generated afte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he electrode i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ximity (close to) His bundl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먼저, 가이드 와이어(guidewire, 10)를 치료목표부위(비대해진 심실중격) 내에 위치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First, a method for positioning the guidewire (10) in the treatment target sit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will be described.

아주 가는 가이드와이어(약 0.014" 내외)를 사용하여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과 중격정맥(septal vein)을 통과해서 목표하는 지점인 비대해진 심실중격(hypertrophied septum) 내에 위치시킨다. Using a very thin guide wire (about 0.014"), it passes through the coronary sinus and septal vein and is placed within the hypertrophied septum, the target point.

본 발명에서는 중격정맥(septal vein)을 통해 비후성 심근증의 치료 목적인 비대해진 심실중격 접근하기 위해서 우심방(right atrium)에 입구(opening)를 가지고 있는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을 이용한다.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으로의 접근은 목 정맥(neck vein) 혹은 대퇴 정맥(femoral vein)을 이용하며,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 또는 하대정맥(inferor vena cava)를 통해 가이드 카테터(guiding catheter)를 이용하여 접근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ronary sinus having an opening in the right atrium is used to access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which is the purpose of treatment of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hrough a septal vein. Access to the coronary sinus is through the neck vein or femoral vein, and a guide catheter is used through the superior vena cava or inferior vena cava. to access using

가이드 카테터는 풍성이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 카테터 및/또는 듀얼 루멘 마이크로 카테터를 이용한다. 가이드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를 원하는 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카테터이다. The guide catheter utilizes a guide catheter and/or a dual lumen microcatheter formed at the tip of the umbilical cord. The guide catheter is a catheter for guiding the guide wire to a desired position.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에 접근하면 관상정맥동(coronary sinus)의 원위부(distal part)까지 가이드 카테터(guiding catheter)를 위치시키며, 가이드 카테터(guiding catheter)를 통해 압력이 가해진 정맥조영(pressurized venogram)을 실시한다. 압력이 가해진 정맥조영(pressurized venogram)을 위해서는 끝단에 풍선이 형성된 가이드 카테터(balloon tipped guiding catheter)가 이상적이다.When approaching the coronary sinus, a guiding catheter is placed up to the distal part of the coronary sinus, and a pressurized venogram is obtained through the guiding catheter. Conduct. For pressurized venograms, a balloon tipped guiding catheter is ideal.

압력이 가해진 정맥조영(pressurized venogram)을 통해 관상정맥(septal vein)을 조영하면, 타겟 부위와 가장 가까운 관상 정맥(septal vein) 안으로 약 0.014" 의 PTCA 가이드와이어(PTCA guidewire)를 삽입한다. PTCA 가이드와이어(PTCA guidewire)는 초음파(echocardiogram) 등의 실시간 영상 장비를 활용하여 와이어가 타겟 부위를 찾아가는지 알려주는 이미지(imaging guidance)가 더 정밀한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PTCA 가이드와이어(PTCA guidewire)의 방향성을 좀더 정밀하게 유도하기 위해 듀얼 루멘 마이크로카테터(dual lumen microcatheter)를 이용하여 타겟 부위로 와이어를 정밀하게 유도할 수 있다. When septal vein imaging is performed using a pressurized venogram, a PTCA guidewire of about 0.014" is inserted into the septal vein closest to the target site. PTCA Guide The PTCA guidewire utilizes real-time imaging equipment such as echocardiograms to provide more precise imaging guidance that indicates whether the wire is navigating to the target area. In order to more precisely guide the wire, the wire can be precisely guided to the target site using a dual lumen microcatheter.

즉, 가이드와이어를 중격정맥(septal vein)를 통해 심실중격(interventricular septum)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1) 끝단에 풍선이 형성된 가이드 카테터를 이용한 압력이 가해진 정맥조영(pressurized venogram with balloon guiding cathether) 및/또는 (2) 듀얼 루멘 마이크로카테터(dual lumen microcatheh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in order to position the guide wire in the interventricular septum through the septal vein (1) a pressurized venogram with balloon guiding cathether using a guide catheter with a balloon formed at the tip and / or (2) a dual lumen microcathehter or the like may be used.

중격 정맥(septal vein)을 더 잘보이게 하기 위해 압력이 가해진 정맥조영(pressurized venogram)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끝단에 풍선이 형성된 가이드 카테터(balloon tipped guiding catheter)가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A pressurized venogram is used to better visualize the septal vein. For this purpose, a balloon tipped guiding catheter having a balloon formed at the tip may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또한, 심실 중격내에서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듀얼 루멘 마이크로카테터(dual lumen microcatheter) 등이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듀얼 루멘 마이크로카테터(dual lumen microcatheter)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해 2개의 루멘이 형성된 카테터이다. 듀얼 루멘 마이크로 카테터의 첫번째 루멘을 통해 심실중격 정맥(septal vein)에 첫번째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킨 후, 듀얼 루멘 마이크로 카테터의 두번째 루멘을 통해 두번째 가이드와이어를 삽입시킨다. 두번째 가이드 와이어는 첫번째 가이드와이어와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듀얼 루멘 마이크로 카테터는 심실중격 내에 원하는 가이드와이어를 목표지점을 찾아갈때 매우 유용한 시술보조 카테터이다. In addition, a dual lumen microcathet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to position the guidewire in a desired direction within the ventricular septum. A dual lumen microcatheter is a catheter in which two lumens are formed for insertion of a guide wire. After placing the first guidewire in the septal vein through the first lumen of the dual lumen microcatheter, the second guidewire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lumen of the dual lumen microcatheter. The second guide wire can be moved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e first guide wire. As such, the dual lumen micro catheter is a very useful procedure assistance catheter when searching for a target point of a desired guide wire within the ventricular septum.

심실중격 표면이 아닌 심실중격 조직 내에 위치하는 중격정맥(septal vein) 내에서는 출혈 등의 문제 없이 가이드와이어(guidewire)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중격정맥(septal vein)이 심실중격 내에 존재하므로, 중격정맥(septal vein)를 이용하여 비후된 심근중격 안으로(intra-septum) 가이드와이어를 위치시킨다. 중격정맥(septal vein) 이용시 가이드와이어는 필요에 따라 중격정맥(septal vein)을 뚫고 벗어나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듀얼루멘 카테터를 이용할 수 있다. Free movement of the guidewire is possible without problems such as bleeding in the septal vein located in the ventricular septum tissue rather than the surface of the ventricular septum. Since the septal vein exists in the ventricular septum, the septal vein is used to place the guidewire into the thickened myocardial septum (intra-septum). When using a septal vein, the guide wire can be moved to a desired location through the septal vein as needed. At this time, the dual lumen catheter described above can be used.

관상 동맥(septal artery)을 사용해도 비슷한 접근이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해부학적 위치가 다양하여 타겟에 도달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 경우, 가이드와이어가 중격 동맥(septal artery)를 뚫고 나가면 심근내 출혈 등의 심각한 문제가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관상 동맥으로 시술을 하다보면 관상 동맥 내 혈전(thrombus)이나 박리(dissection)가 생기는 경우가 잘 발생하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중격정맥(septal vein)을 이용하여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한다. A similar approach is theoretically possible using a coronary artery, but it is often difficult to reach the target due to various anatomical locations. In this case, if the guide wire passes through the septal artery, serious problems such as intramyocardial bleeding may occur.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coronary artery procedure, a thrombus or dissection in the coronary artery occurs frequently, which can be fatal. Therefor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wire is inserted using a septal vein.

본 발명에서의 중격정맥(septal vein)을 통한 접근 방법은 기존의 접근 방법인 관상 동맥, 대동맥판막(aortic valve) 혹은 승모판막(mitral valve)를 지난 좌심실 내막(LV endocarium) 접근, 혹은 직접 천자(direct needle puncture) 등에 의해 접근하는 방법 등에서 야기되는 시술의 합병증을 차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method through the septal vein is the left ventricular endocarium (LV endocarium) access, or direct puncture ( It is possible to block complications of the procedure caused by access methods such as direct needle puncture).

한편, 종래에는 중격 동맥(septal artery)에 알코올(alcohol)을 주입하는 치료가 되어 왔다. 이 역시 알코올(alcohol)의 분포를 통제하기 힘들어 원하지 않는 부위에 알콜이 전달되어 불필요한 심근 경색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전도계(condution system) 장애도 잘 유발한다. Meanwhile,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treatment by injecting alcohol into the septal artery. Again, sinc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stribution of alcohol, alcohol is delivered to unwanted areas, which can cause unnecessary problem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and also cause conduction system disorders.

다음으로, 비대해진 심실중격에 위치시킨 가이드와이어(guidewire)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를 목표 부위(비대해진 심실중격 내)까지 위치시킨다. 즉, 목표 부위에 가이드와이어를 1개 또는 2개 이상 위치시킨 후,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 삽입하여, 전극이 목표 부위에 도달하도록 위치시킨다. Next, the RF ablation catheter is placed along the guidewire placed in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to the target site (in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That is, after positioning one or two or more guide wires in the target site, an RF ablation catheter is inserted along the guide wire, and the electrodes are positioned to reach the target site.

RF 전극절제 카테터(100)는 내부에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위부 끝단에 테이퍼진 팁(tapered tip, 122)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1개 이상의 전극(electrode, 124)이 형성된다.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100 has a guide wire lumen formed therein, a tapered tip (tapered tip, 122) is formed at the distal end, and one or more electrodes (electrode, 124) are formed on the surface.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will be described later.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을 목표 부위(비대해진 심실중격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의 쿨링채널 또는 쿨링튜브를 통해 외부에서 쿨런트(coolant)를 주입하면서, RF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끝단에 형성된 전극(RF electrode)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한다. With the electrode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positioned at the target site (in the enlarged ventricular septum), while injecting coolan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oling channel or cooling tube in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the RF generator is used. RF electrode abl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RF energy to the electrode formed at the tip of the catheter (RF electrode).

바람직하게는,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전극이 심근의 히스 근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거친다. 전극이 심근의 히스 근처에 위치하는 지는 심근의 전기신호를 직접 감지하거나, 또는 전기 자극시 발생되는 박동 리듬의 심전도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는 전극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Preferably, before performing the RF electrode resection,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de is located near the myocardial hist is performed. Whether the electrode is positioned near the myocardium can be determined by directly sens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by checking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beating rhythm generated during electrical stimul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in relation to the electrod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개략도이다. 3 and 4 are schematic views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F 전극절제 카테터(100)는 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위부 끝단에 테이퍼진 팁(tapered tip, 122)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1개 이상의 전극(electrode, 124)이 형성된다.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100 is formed with a guide wire lumen 110 into which the guide wire is inserted, a tapered tip 122 is formed at the distal end, and one or more electrodes 124 on the surface. ) is formed.

RF 전극절제 카테터(100)는 크게 몸체부(body part, 130)와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 120)로 구분된다.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100 is largely divided into a body part (body part, 130) and a septum insertion part (intra-septal part, 120).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 120)는 몸체부(130)의 원위부(distal part)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심실중격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대략 3~6Fr 내외의 굵기(바람직하게는 약 4Fr)로 심실중격에 삽입시 심실중격의 손상을 덜 주는 크기이다. Septal insertion part (intra-septal part, 120) is a part formed in the distal part (distal part) of the body part 130 is a part inserted into the interventricular septum. It has a thickness of about 3 to 6 Fr (preferably about 4 Fr), and is a size that causes less damage to the ventricular septum when insert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 110)는 표면에는 1개 이상의 전극이 형성된 전극(electrode, 124)과,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진 팁(tapered tip, 122)을 포함한다.The septum insertion part (intra-septal part, 110) includes an electrode (electrode, 124) having one or more electrodes formed on the surface, and a tapered tip (122) that is tapered toward the end.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팁(122)의 길이는 대략 5~20mm(바람직하게는 약10mm)이며, 첨부는 대략 1.2~1.4Fr의 굵기를 지닌다. 첨부의 반대편은 중격삽입부의 외형과 동일한 두께(바람직하게는 3~6Fr)를 지닌다. 테이퍼진 팁(122)은 첨부 반대편의 두께(즉, 중격삽입부 외형의 두께)보다 길이가 5~20배 더 긴, 아주 길고 가는 팁의 형상이다.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tapered tip 122 is about 5 to 20 mm (preferably about 10 mm), and the attachment has a thickness of about 1.2 to 1.4 Fr. The opposite side of the apex has the same thickness (preferably 3~6Fr) as the outer shape of the septal insertion part. The tapered tip 122 is in the shape of a very long, slender tip that is 5-20 times longer than the thickness opposite the attachment (ie, the thickness of the septal insert contour).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 100)는 심실중격에 위치하는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심실중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guidewire lumen)을 가진다. 중격삽입부의 첨부(end)에는 팁 홀(tip hole, 116)이 형성된다. 팁홀(tip hole, 116)은 가이드와이어 루멘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RF ablation catheter, 100) has a guidewire lumen into which the guidewire is insert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along the guidewire located in the ventricular septum. A tip hole 11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septum. A tip hole 116 is connected to the guidewire lumen.

가이드와이어 루멘은 테이퍼진 팁 내부에 형성되는 팁 루멘(tip lumen)과, 몸체부에 형성되는 몸체 루멘(body lumen)으로 구분된다. 상기 팁 루멘과 상기 몸체 루멘은 연통된다. 몸체 루멘은 팁 루멘 이외의 가이드와이어 루멘에 해당된다. The guidewire lumen is divided into a tip lumen formed inside the tapered tip, and a body lumen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tip lumen and the body lumen are in communication. Body lumens correspond to guidewire lumens other than tip lumens.

바람직하게는, 가이드와이어가 팁 루멘에 삽입시, 팁 루멘(112)과 가이드와이어(10)는 서로 밀착되어 이격 공간이 없어야 한다. Preferably, when the guide wire is inserted into the tip lumen, the tip lumen 112 and the guide wire 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re is no space apart.

상기 팁 루멘(tip lumen)은 가이드와이어와 서로 밀착되어 이격 공간이 없어야 하나, 상기 몸체 루멘(body lumen)는 가이드와이어와 이격공간이 있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팁 루멘(tip lumen)은 몸체 루멘보다 좁은 내경을 지닌다. The tip lumen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wire so that there is no space therebetween, but the body lumen may have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wire. Preferably, the tip lumen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narrower than the body lumen.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 사이에 이격공간이 없어야 하는 이유는 팁이 심실중격 내부로 들어갈 때 심실중격 조직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저항이 최소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 테이퍼진 팁(122)이 니들(needle)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심실중격 조직을 뚤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경우에는 테이퍼진 팁이 심실중격으로 삽입시 팁이 심실중격 조직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심실중격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e reason why there should not be a gap between the tip lumen and the guide wire is that when the tip enters the ventricular septum, the resistance must be minimized without damaging the ventricular septum tissue. This is beca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tip 122 has to penetrate the interventricular septum tissue while functioning like a needle. If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ip lumen and the guide wire, when the tapered tip is insert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the tip is resisted by the ventricular septum tissue,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ventricular septum tissue. do.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심실중격 내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가 밀착되기는 하나,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움직일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Since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must be insert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along the guide wire, the tip lumen and the guide wire are in close contact, but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must be movable along the guide wire.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의 전극(electrode)은 1개 이상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은 심근의 전기신호를 센싱하거나 전기자극을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또한 RF 제너레이터(generator)의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One or more electrodes of the intra-septal part are formed. The electrode not only senses an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provides electrical stimulation, but also serves to transmit RF energy of an RF generator.

전극은 내부의 전극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극선은 카테터의 내부를 따라 근위부까지 연결되어 카테터의 외부로 빠져나와, 외부 커넥터와 연결된다. 외부 커넥터를 어디에 연결하는지에 따라, 전극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an internal electrode wire (not shown), and the electrode wire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part along the inside of the catheter and exits to the outside of the catheter,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or. Depending on where the external connector is connected, the electrode performs various functions.

심근의 히스(His bundle) 근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즉, 전도계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극은 심근의 전기신호를 직접 센싱하거나 또는 전기자극(pacing)을 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RF 전극절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전극은 RF 제너레이터의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전극은 전극이 심근의 히스(His bundle) 근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도 및 RF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의 2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To determine whether it is located near the His bundle of the myocardium (that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nduction system), the electrode is used to directly sens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pacing). do.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RF electrode ablation, the electrode is used for transmitting the RF energy of the RF generator. That is, the electrode is used for two purposes: a purpos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de is located near the His bundle of the myocardium, and a purpose for transmitting RF energy.

먼저, 전극이 심근의 히스 근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심근의 전기신호를 직접 센싱하거나 또는 심근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심근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경우에는, 전기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박동 리듬의 심전도를 확인함으로써, 히스 등의 전도계(conduction system)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First,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de is located near the myocardium, it is used to directly sens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yocardium. When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the myocardium, the position of a conduction system such as hiss can be indirectly determined by checking an electrocardiogram of a beating rhythm generated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심실중격에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심근 내의 히스(his bundle)에 가깝게 위치될 위험이 있다. 만약,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이 심근 내의 히스에 근접한 상태에서 RF 전극절제술(RF ablation)을 실시하게 되면, 심장의 전도계를 RF 전극절제(RF ablation)하여 심장의 전도계를 파괴시킬 위험이 있다. Although RF ablation catheters provide easy access to the ventricular septum, they run the risk of being placed close to the his bundle in the myocardium. If RF ablation is performed while the electrode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close to the hiss in the myocardium, there is a risk of destroying the heart conduction system by RF ablation of the heart conduction system. have.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RF 전극절제를 실시하기 전에, 전극을 통해서 히스 등의 전도계의 위치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전극은 센싱(sensing) 또는 전기자극(pacing)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극을 이용하여 심근의 전기적 신호를 심근의 전기적 신호를 직접 센싱하여 전도계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전극을 이용하여 심근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이에 따라 발생되는 박동 리듬의 심전도를 통해 히스 등의 전도계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erform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the position of the conduction system such as hiss should be grasped through the electrode. To this end, the electrode performs the role of sensing or electrical stimulation (pacing). Conduction of hiss, etc. through the electrocardiogram of the beating rhythm that is generated by using an electrode to directly sens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by directly sens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yocardium using an electrode The position of the system can be determined indirectly.

전극이 히스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위치를 다른 위치로 변경하여야 한다.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다른 위치로 변경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If the electrode is located near the hiss, the position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should be changed to another position. A method of chang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to another posi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전극의 위치가 히스(His bundle)에서 충분히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전극과 연결되는 외부 커넥터를 RF 제너레이터와 연결하여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하게 된다. Only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is sufficiently deviating from the His bundle, the extern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RF generator and RF energy is applied to perform RF electrode resection.

RF 전극절제술(RF ablation) 시행시에는, 전극와 연결된 커넥터는 RF 제너레이터에 접속된다. RF 제너레이터의 RF 에너지는 전극에 전달되어 RF 전극절제(RF ablation)이 시행된다.When performing RF ablation,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RF generator. The RF energy of the RF generator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and RF ablation is performed.

전극은 1개 이상 다수개가 형성됨으로, 일부의 전극을 RF 전극절제 용도로 사용하고, 나머지 전극을 센싱(sensing) 또는 전기자극(pacing)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전극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RF 전극절제 용도로 사용되는 전극과, 센싱 또는 전기자극 용도로 사용되는 전극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Since one or more electrodes are formed, some of the electrodes may be used for RF electrode ablation, and the remaining electrodes may be used for sensing or pacing. That is, a plurality of electrodes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ir use, and separated into an electrode used for RF electrode ablation and an electrode used for sensing or electrical stimulation.

다른 경우로서, 전극을 2가지 용도로 구분하지 않고, 센싱 또는 전기자극 용도로도 사용하고, 또한 RF 전극절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전극을 센싱 또는 전기자극 용도로 먼저 사용한 후, 전극에 연결된 커넥터를 RF 제너레이터에 연결하여 RF 에너지를 인가하는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another case, the electrode is not divided into two uses, it is also used for sensing 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it can also be used for RF electrode ablation. That is, after the electrode is first used for sensing or electrical stimulation,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an RF generator to be used as an electrode for applying RF energy.

본 발명에서는 카테터의 근위부(proximal part)는 카테터의 일측 끝단으로 카테터가 인체의 외부로 빠져 나오는 끝단을 의미하며, 카테터의 원위부(distal part)는 카테터의 타측 끝단으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끝단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al part of the catheter is one end of the catheter, which means the end at which the catheter exits the body, and the distal part of the catheter is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and refers to the end inserted into the body.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중격 삽입부(120)는 절연된 나선형 타입의 코일 와이어(spiral coil wire) 또는 브레이드 타입의 와이어(braided wire)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는 중격삽입부가 심실중격에 삽입시에 구부러지는 현상(kinking 현상)을 방지하고, 푸쉬능력(pushability)와 트랙능력(tackability)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푸쉬능력(pushability)는 구부러지는 현상을 줄이면서 근위부에서 원위부까지 힘을 전달하는 능력이며, trackability는 복잡한 혈관을 따라 카테터를 주입하는 능력이다(Pushability is often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transmit force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while minimizing or eliminating kinking. Trackability is often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navigate the catheter through tortuous vasculature). 나선형 타입의 코일 와이어와 브레이드 타입의 와이어는 모두 전극 또는 전극선과는 절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shown, preferably, the septum insertion part 120 is formed with an insulated spiral coil wire or a braided wire inside. This is to prevent the septal insertion part from being bent when insert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kinking phenomenon), and to improve pushability and trackability. Pushability is the ability to transmit force from the proximal to distal region with reduced bending, and trackability is the ability to deliver catheters along complex blood vessels (Pushability is often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transmit force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while minimizing or eliminating kinking. Trackability is often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navigate the catheter through tortuous vasculatu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oth the spiral-type coil wire and the braid-type wire must be insulated from the electrode or the electrode wire.

바람직하게는 중격 삽입부는 표면이 친수성 고분자 코팅층(hydrophilic polymer coatin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격 삽입부가 심실중격 조직 내로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친수성 고분자 코팅층은 연질의 카테터보다는 보다 단단함으로 중격 삽입부가 심실중격 조직 내로 삽입시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전극은 표면으로 표출되어 있어야 함으로, 전극이 형성된 부분에는 친수성 고분자 코팅층이 형성되지 아니한다. Preferably, a surface of the septal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coating. This is to allow the septal insert to move more easily into the interventricular septum tissue. Since the hydrophilic polymer coating layer is harder than a soft catheter, the septal insertion part can be more easily inserted when inserted into the interventricular septum tissue. Since the electrode must be exposed on the surface, the hydrophilic polymer coating layer is not 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is formed.

몸체부(body part, 130)는 카테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몸체부(130)의 외경은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 120)의 외경과 같거나 더 큰 구조를 지닌다. 몸체부(120)는 심실중격 내로 중격삽입부를 밀어넣을 때 카테터가 굽어지는 현상(kink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밀어넣기 위해 충분한 강도(stiffness)를 지녀야 한다. The body part (body part, 130) is a part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catheter.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30 has a struct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intraseptal part, 120). The body portion 120 should have sufficient strength to effectively push the catheter from bending (kinking phenomenon) when the septal insertion portion is pushed into the ventricular septum.

바람직하게는 중격삽입부와 동일하게, 몸체부는 절연된 나선형 타입의 코일 와이어(spiral coil wire) 또는 브레이드 타입의 와이어(braided wire)이 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카테터가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푸쉬능력(pushability)와 트랙능력(track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same as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the body portion may form an insulated spiral coil wire (spiral coil wire) or braided wire (braided wire) inside. This can prevent the catheter from bending, and improve pushability and trackability.

한편,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 루멘(guidewire lumen)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모노레일 타입(monorail type, or rapid exchange type)와 오버 더 와이어 타입(over the wir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can be divided into a monorail type (or rapid exchange type) and over the wire type (over the wire typ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wire lumen (guidewire lumen) is formed.

도 3은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over the 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를 도시하며, 도 4는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monorail type RF ablation catheter)를 도시한다. 3 shows an over the 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 and FIG. 4 shows a monorail type RF ablation catheter.

도 3에 도시된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 루멘(110)이 팁(tip)의 입구측인 팁홀(tip hole, 116)에서 카테터 전체에 걸쳐 형성된 구조이다. The over the wire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shown in FIG. 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wire lumen 110 is formed throughout the catheter in the tip hole 116 that is the inlet side of the tip.

도 4에 도시된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 루멘(110)이 팁(tip)의 입구측인 팁홀(tip hole, 116)에서 카테터의 중간부분의 사이드 홀(side hole, 118)까지 형성된 구조이다. 팁홀(116)은 테이퍼진 팁(122)의 끝단에 형성된다. 사이드 홀(118)은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몸체부(body part)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몸체부와 중격삽입부를 연결하는 테이퍼진 연결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monorail-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shown in FIG. 4 has a guide wire lumen 110 formed from a tip hole 116 at the inlet side of the tip to a side hole 118 in the middle of the catheter. is the structure The tip hole 11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apered tip 122 . The side hole 118 may be formed in the intra-septal part, or it may be formed in the body part, or it may be formed in the tapere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septal insertion part. have.

모노레일 타입과, 오버 더 와이어 타입, 위 2가지 타입 모두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적용가능하다. Monorail type, over the wire type, both of the above two types are applicable to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한편,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한 RF 전극절제술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약간식 위치를 전후로 이동하거나, 또는 다른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이동시켜 여러 부위에 치료 효과가 날때까지 몇 번에 걸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한다. On the other hand, RF electrode ablation using an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performed by mov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back and forth slightly along the guide wire, or moving it along another guide wire several times until the treatment effect is achieved in various areas. Apply energy to perform RF electrode abl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하여 가이드와이어를 다른 방향으로 다시 유도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Figure 5 shows the process of guiding the guide wire again in a different direction us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이드와이어(10)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100)를 심근(mycardium)내로 진입한다(도 5의 (a)). 이 상태에서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First,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100 along the guide wire 10 enters the myocardium (mycardium) (FIG. 5 (a)). In this state, RF energy can be applied to perform RF electrode ablation.

RF 전극절제하는 부위를 다른 부위로 옮기고 싶다면,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가이드와이어만을 제거한다(도 5의 (b)). 그런 다음,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가이드와이어 루멘(guidewire lumen)을 통해 새로운 방향으로 가이드와이어를 다시 보낸다(도 5의 (c)). 심근(myocadium) 내에서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지지 하에 가이드와이어를 새로운 방향으로의 삽입이 가능하다. 새로운 방향으로 위치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전진시켜 다른 부위에서의 RF 전극절제가 가능하다(도 5의 (d)). If you want to move the RF electrode ablation site to another site, remove only the guide wire while leav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s it is (FIG. 5 (b)). Then, the guidewire is sent back in a new direction through the guidewire lumen of the RF ablation catheter (FIG. 5(c)). Since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serves to support the guide wire in the myocardium,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guide wire in a new direction under the support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By advancing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long the guide wire located in the new direction, RF electrode ablation at another site is possible (FIG. 5 (d)).

한편,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이용하여 RF 에너지 인가시, 온도가 과잉으로 올라가게 되면 심실중격에 char(검은 점)가 생기는 것 뿐 아니라, 심근(myocardium)에 조직 손상(tissue defect)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조직이 갑자기 타면서 나온 기체로 조직내 압력이 갑자기 올라가서 기압저하(barotrauma)가 생기며 이로 인하여 심장에 천공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RF energy is applied using an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f the temperature rises excessively, not only char (black dots) are formed in the ventricular septum, but also tissue defects may appear in the myocardium. . In addition, a sudden rise in intra-tissue pressure as a gas from the sudden burning of the tissue causes a drop in barotrauma, which can lead to a risk of perforation of the heart.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RF 전극절제시에 쿨런트(coolant)를 이용하여 RF 전극절제 부위를 쿨링하여야 한다. 쿨링을 하기 위해서는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로 쿨런트를 주입하여야 한다. Therefore, preferably, it is necessary to cool the RF electrode resection site using a coolant at the time of RF electrode resection. For cooling, coolant must be injected into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RF 전극절제시 카테터의 팁 홀이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i) 쿨런트가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tip hole)을 통해 배출하는 방식과, ii)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tip hole) 반대편으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의 반대편으로 배출하는 방식은 쿨런트가 사이드홀 배출되는 방식과 근위부로 배출되는 방식이 있다. 쿨런트가 사이드홀로 배출하는 방식은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적용되며, 근위부로 배출되는 방식은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적용된다. Depending on where the tip hole of the catheter is located during RF electrode ablation, i) the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tip hole of the guidewire lumen, and ii) is discharg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hole of the guidewire lumen. way to do it The method of discharg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hole of the guide wire lumen includes a method of discharging coolant through a side hole and a method of discharging a proximal portion. The method of discharging coolant through the side hole is applied to the monorail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nd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coolant to the proximal part is applied to the over the wire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 쿨런트가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tip hole)로 배출하는 방식은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말단부(tip end)가 심실중격이 아닌 우심실(right ventricle) 또는 좌심실(left ventricle)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말단부(tip end)의 팁홀(tip hole)이 심실 중격에 의해 막혀있지 않은 상태, 즉 말단부의 팁홀(tip hole)이 개방된 경우에 사용된다. 말단부(tip end)가 우심실(right ventricle) 또는 좌심실(left ventricle)에 위치함으로, 근위부(proximal)에서 주입된 쿨런트는 말단부의 팁 홀(tip hole)를 통해서 빠져 나오게 된다. 카테터의 말단부를 우심실 또는 좌심실에 내로 진입시킨 다음, 쿨런트(e.g. saline solution or cooled saline solution)를 계속적으로 흘려준다. 그러면, 카테터 말단부가 위치한 우심실 또는 좌심실에 계속적으로 쿨런트가 흐르게 된다. i) The method in which the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tip hole of the guidewire lumen is when the tip end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located in the right ventricle or left ventricle, not in the ventricular septum. used That is, it is used when the tip hole of the tip end is not blocked by the ventricular septum, that is, the tip hole of the tip end is open. Since the tip end is located in the right ventricle or the left ventricle, the coolant injected from the proximal is discharged through the tip hole at the distal end. After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is introduced into the right or left ventricle, a coolant (e.g. saline solution or cooled saline solution) is continuously flowed. Then, the coolant continuously flows to the right ventricle or the left ventricle where the catheter distal end is located.

테이퍼진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가 밀착되어 이격공간이 거의 없어, 가이드와이어가 테이퍼진 팁 루멘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팁홀로 쿨런트가 빠져나오기 힘들 수 있다.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가 심근 내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테이퍼진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가 밀착되기는 하나,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쿨런트 주입시 쿨런트의 압력에 의해 테이퍼진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 사이에 미세한 이격이 발생되며, 이 미세한 이격 공간으로 쿨런트가 빠져 나오는 것도 가능하다. Since the tapered tip lumen and the guide wir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lmost no space, so it may be difficult for the coolant to escape through the tip hole when the guide wire is inserted into the tapered tip lumen. Because the RF ablation catheter must be inserted into the myocardium along the guidewire, the tapered tip lumen and the guidewire are in close contact, but the RF ablation catheter must move along the guidewire. Therefore, when coolant is injected, a minute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tapered tip lumen and the guide wire by the pressure of the coolant,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olant to escape through this minute space.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서는 별도의 쿨링 채널을 형성하지 않고,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쿨링 채널 역할을 한다. 근위부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에 쿨런트를 주입하면,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tip hole)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쿨런트의 압력에 의해 테이퍼진 팁 루멘과 가이드와이어 사이에 미세한 이격이 발생되고, 이 이격공간을 통해 쿨런트가 빠져나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쿨런트를 주입 전에, 가이드와이어를 카테터에서 빼내어 팁홀을 관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보다 쉽게 쿨런트가 팁홀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In the over the wire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 separate cooling channel is not formed, and the guidewire lumen acts as a cooling channel. When the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guidewire lumen from the proximal part, it is discharged out through the tip hole of the guidewire lumen. At this time, a fine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tapered tip lumen and the guide wire by the pressure of the coolant, and the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this space. Preferably, before injecting the coolant, the guide wire is withdrawn from the catheter and penetrated through the tip hole. Then, the coolant is mor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tip hole.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카테터의 근위부(proximal)까지 연결되지 않고, 카테터의 중간에 사이드 홀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근위부에서 중격삽입부까지 별도의 쿨링 채널(cooling channel)을 형성한다. 쿨링 채널은 전극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쿨링 채널의 끝단은 가이드와이어 루멘과 연결되어 있다. 쿨런트는 근위부에서 쿨링 채널로 주입된다. 근위부에서 쿨링 채널로 쿨런트를 주입하면, 쿨런트는 쿨링 채널과 연결된 가이드와이어 루멘으로 나온다. 그런 후, 쿨런트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사이드 홀(side hole)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도 7 참조). 이 경우에는 쿨런트 주입시 가이드와이어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In the monorail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the guide wire lumen is not connected to the proximal part of the catheter, and a side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atheter. to form The cooling channel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electrode, and the end of the cooling channel is connected to the guide wire lumen. The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cooling channel from the proximal portion. When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cooling channel from the proximal part, the coolant exits the lumen of the guidewire connected to the cooling channel. Then, the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a side hole of the guidewire lumen (see FIG. 7 ).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remove the guide wire when injecting coolant.

ii)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tip hole) 반대편으로 배출하는 방식은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말단부(tip end)가 심실중격 내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즉, 말단부의 팁홀(tip hole)이 심실 중격에 의해 막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팁홀이 심실중격에 의해 막혀 있음으로 팁홀로 쿨런트가 배출되지 못한다. 이 경우에는 쿨런트가 사이드홀 또는 근위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쿨런트가 사이드홀로 배출하는 방식은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적용되며, 근위부로 배출되는 방식은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적용된다. ii)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guidewire lume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hole is when the tip end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located within the ventricular septum. That is, it is used when the tip hole of the distal end is blocked by the ventricular septum. Since the tip hole is blocked by the ventricular septum, coolant can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tip hole. In this case, the coolant must be discharged through the side hole or the proximal part. The method of discharging coolant through the side hole is applied to the monorail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nd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coolant to the proximal part is applied to the over the wire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도 6은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경우로서, 쿨런트가 다시 근위부로 배출되는 경우이다. 즉, 도 6은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 내로 쿨링 튜브(cooling tube, 140)가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다. 가이드와이어 루멘 내에 끝단이 개방된 쿨링 튜브(140)를 삽입한다. 쿨링튜브는 연질 플라스틱제로 제조된다. 쿨링 튜브(140)를 통해 근위부에서 쿨런트를 주입하면, 쿨런트는 개방된 쿨링튜브 끝단을 통해 가이드와이어 루멘(110) 내로 흐른다. 가이드와이어 루멘(110) 내를 흐르는 쿨런트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이 심실중격에 의해 막혀 있음으로 반대편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쿨런트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을 따라 근위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다시말해, 쿨링튜브를 통해서 근위부에서 주입된 쿨런트는 쿨링튜브의 끝단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으로 빠져나온 후, 가이드와이어 루멘을 따라 빠져 나오게 된다. 6 is a case of an over the wire 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n which coolant is discharged to the proximal part again. That is, FIG. 6 shows a case in which a cooling tube 140 is inserted into the guidewire lumen in the over-the-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 Insert the cooling tube 140 with an open end into the guide wire lumen. The cooling tube is made of soft plastic. When the coolant is injected proximally through the cooling tube 140 , the coolant flows into the guidewire lumen 110 through the open end of the cooling tube. The coolant flowing in the guide wire lumen 110 flows to the opposite side because the tip hole of the guide wire lumen is blocked by the ventricular septum. As a result, the coolant exits proximally along the guidewire lumen. In other words, the coolant injected from the proximal portion through the cooling tube exits the guidewire lumen at the end of the cooling tube, and then exits along the guidewire lumen.

도 7은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경우로서, 쿨런트가 사이드홀로 배출되는 경우이다. 즉, 도 7은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과 다른 별도의 쿨링 채널(cooling channel, 150)을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즉,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서는 내부에 쿨링 채널(150)을 형성한다. 쿨링 채널(150)은 전극(124)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쿨링 채널(150)의 끝단은 가이드와이어 루멘(110)과 연결되어 있다. 근위부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에 쿨런트를 주입하면, 쿨런트는 쿨링 채널과 연결된 가이드와이어 루멘으로 나온다. 가이드와이어 루멘내를 흐르는 쿨런트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팁홀이 심실중격에 의해 막혀 있음으로 반대편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쿨런트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의 사이드 홀(side hole, 118)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7 is a case of a monorail-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n which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a side hole. That is, Figure 7 shows a case of forming a separate cooling channel (cooling channel, 150) different from the guide wire lumen in the monorail-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That is, in the monorail-typ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 cooling channel 150 is formed therein. The cooling channel 15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electrode 124 , and an end of the cooling channel 150 is connected to the guide wire lumen 110 . When coolant is injected into the guidewire lumen proximally, the coolant exits the guidewire lumen connected to the cooling channel. The coolant flowing in the guidewire lumen flows to the opposite side because the tip hole of the guidewire lumen is blocked by the ventricular septum. Accordingly, the cool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hole 118 of the guidewire lumen.

한편, RF 전극절제시에 전위를 인가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단일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mono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를 사용하는 방법과,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method of applying an electric potential during RF electrode ablation, a method using a mono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and a 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are mainly used. There is a way to use

단일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mono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는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에 모두 동일한 하나의 극성만을 인가하는 카테터이며,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는 카테터의 전극에 서로 다른 극성을 인가하는 카테터이다. A mono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is a catheter that applies only the same polarity to all electrodes of an RF ablation catheter, and a 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is a catheter It is a catheter that applies different polarities to the electrodes.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접지 디바이스가 필요 없으나, 단일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접지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When using a 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a separate grounding device is not required, but when using a single polarity mode RF ablation catheter, a separate grounding device is required.

단일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접지 디바이스를 인체의 다른 부위에 위치시키는 경우와, 심심중격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가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monopolar mode RF electrodeablation catheter, there are cases where the grounding device is placed in another part of the body and in the case of placing it within the septum.

접지 디바이스를 인체의 다른 부위에 위치시키는 경우는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심실중격에 위치시키고, 인체의 다른 부위(등, 엉덩이, 종아리 등의 인체부위)에 접지판(접지 디바이스)을 접지시킨 후,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When placing the grounding device in another part of the body, place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n the ventricular septum, and ground the grounding plate (grounding device) to other parts of the body (body parts such as back, buttocks, calves, etc.) RF electrode ablation This is a method of performing RF electrode ablation by applying RF energy to the electrode of the catheter.

접지 디바이스를 심실중격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는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심실중격에 위치시키고, 접지(ground) 역할을 하는 접지 디바이스의 상기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 주위에 위치시킨 후,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에 RF 에너지를 인가하여 RF 전극절제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 10, 도 11,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grounding device is placed in the ventricular septum,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placed in the ventricular septum, and the electrode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placed around the electrode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of the grounding device serving as a ground. It is a method of performing RF electrode ablation by applying RF energy to the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1 and 12 .

도 8은 서로 다른 극성을 인가하는 전극이 형성된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RF 전극절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접지 디바이스(ground device)가 필요하지 아니하며, 하나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만이 사용된다. 8 shows a method of RF ablation using a 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in which electrodes applying different polarities are formed. In this case, a separate ground device is not required, and only one RF ablation catheter is used.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의 극성을 다양하게 인가할 수 있다. 도면에서 A, B, C, D는 전극을 나타낸다. A-B, C-D를 이중극성 쌍(bipolar pair)을 구성할 수도 있고, AB-CD를 이중극성 쌍을 구성할 수도 있고, A-BCD 또는 ABC-D를 이중극성 쌍을 구성할 수도 있다. When using a b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various polarities of the electrodes can be applied. In the drawings, A, B, C, and D represent electrodes. A-B and C-D may constitute a bipolar pair, AB-CD may constitute a bipolar pair, and A-BCD or ABC-D may constitute a bipolar pai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에서 다수개의 전극이 넓게 펴져 있음으로, RF 에너지 인가시 넓은 영역에 걸쳐 RF 전극절제술이 시행된다.As shown in FIG. 8 , since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spread widely in the bipolar mod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RF electrode ablation is performed over a wide area when RF energy is applied.

도 9는 단일 극성을 인가하는 전극이 형성된 단일극성 모드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RF 전극절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접지 디바이스(ground device)를 심근 내에 위치시킨다. RF 전극절제 카테터와 접지 디바이스 사이에 이중극성 전극절제술이 시행된다. 9 shows a method of RF ablation using a unipolar mode RF ablation catheter in which an electrode applying a single polarity is formed. A ground device is placed in the myocardium. A bipolar electrodeectomy is performed between the RF ablation catheter and the grounding device.

접지 디바이스(ground device)는 접지(ground)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로서, i) 전극을 갖는 와이어 ii) 전극을 갖는 마이크로카테터 또는 iii) 별도의 다른 RF 전극절제 카테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접지 디바이스(200)는 심실중격 내에 RF 전극절제 카테터와 평형하게 위치하여 접지(ground)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로서, 전극(210)을 지녀야 하며 전극은 심실중격 내에 위치한다. 다음은 접지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3가지 타입을 설명한다. The ground device is a device serving as a ground, and i) a wire having an electrode ii) a microcatheter having an electrode or iii) another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may be used. The grounding device 200 is a device that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n the ventricular septum and serves as a ground (ground), and should have an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de is located in the ventricular septum. The following describes three types used as grounding devices.

i) 전극을 갖는 와이어(wire with electrode)는 가는 와이어 타입으로서, 원위부(distal part)에 하나 이상의 전극이 형성된다. 전극을 제외한 부분은 절연되어 있다. 근위부(proximal)에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전기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다. i) The wire with electrode is a thin wire type, in which one or more electrodes are formed in a distal part. All parts except for the electrode are insulated. An electric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to connec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i) 전극을 갖는 마이크로 카테터는 약 2~6Fr 굵기를 가지는 카테터 타입으로서, 원위부(distal part)에 하나 이상의 전극이 형성된다. 카테터 내부에 전극선이 형성되고, 원위부의 전극은 전극선과 연결되어 있다. 전극선은 근위부에서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다. ii) The micro catheter having an electrode is a catheter typ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to 6 Fr, and one or more electrodes are formed in a distal part. An electrode wire is formed inside the catheter, and the distal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wire. In the proximal part of the electrode wire, an electrical connector is connected to connec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ii) 별도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도 접지역할을 하기 위해서 접지 디바이스로 사용가능하다. iii) A separat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can also be used as a grounding device for grounding.

한편, 도 9에서는 접지 디바이스를 별도의 통로(path)를 형성하여 여기에 접지디바이스를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나, 도 10과 같이 접지 디바이스를 별도의 통로(path)로 삽입하지 않고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통해서 접지 디바이스를 삽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9, a method of inserting a grounding device here by forming a separate path for the grounding device is shown, but as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a grounding device through

도 10은 접지디바이스용 루멘(ground-device lumen)을 갖는 RF 전극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RF 전극절제하는 방법을 도시하며, 도 11은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을 갖는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개략도이다.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은 앞서 설명한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모두 적용된다. 도 11에서는 오버 더 와이어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에 대해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노레일 타입 RF 전극절제 카테터인 경우에도 적용된다. 도 11에서는 앞서 설명한 쿨링튜브 내지 쿨링 채널을 생략하였다. 10 shows a method of RF ablation using an RF ablation catheter with a ground-device lumen, and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F ablation catheter with a lumen for a ground-device.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is applied to both the monorail type RF ablation catheter and the over the 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 described above. In FIG. 11, although illustrated for the over-the-wire type RF ablation cathe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applied to the case of a monorail-type RF ablation catheter. In FIG. 11, the cooling tube or cooling channel described above is omitted.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에 접지 디바이스를 삽입할 수 있는 접지디바이스용 루멘(ground-device lumen, 160)을 별도로 형성한다.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은 접지 디바이스를 삽입하기 위한 루멘이다.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은 카테터의 근위부(접지디바이스를 넣는 부분)에서 카테터의 원위부(접지디바이스가 빠져나오는 부분)까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a ground-device lumen 160 capable of inserting a grounding device into the RF ablation catheter is separately formed.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is the lumen for inserting the grounding device.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is formed from the proximal portion of the catheter (the portion into which the grounding device is inserted) to the distal portion of the catheter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grounding device exits).

바람직하게는 카테터 내에 별도의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몸체부는 중격 삽입부보다 두꺼워야 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몸체부와 중격삽입부 사이에 테이퍼진 연결부(connect part,170)가 형성된다. 접지디바이스용 루멘(160)은 근위부에서 연결부(170)까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은 근위부에서 연결부까지 형성되고, 접지디바이스는 근위부에서 삽입되어 연결부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도 11은 연결부(170)까지 접지디바이스용 루멘(160)이 형성되고, 접지디바이스(200)는 연결부에서 빠져 나오는 모습을 도시한다.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몸체부는 관상정맥동까지 삽입되며, 중격삽입부는 관상정맥동으로 통과하여 중격 정맥으로 삽입된다. Preferably, in order to form a separate lumen for a grounding device in the catheter, the body portion should be thicker than the septal insertion portion. To this end, preferably,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tapered connection part (connect part, 170)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eptal insertion part. The lumen 160 for the grounding device is connected from the proximal part to the connection part 170 . Preferably,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is formed from the proximal portion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grounding device is inserted at the proximal portion and exit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1 shows a lumen 160 for a grounding device is formed up to the connection part 170 and the grounding device 200 comes out of the connection part. The body portion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s inserted up to the coronary sinus, and the septal insertion portion passes through the coronary sinus and is inserted into the septal vein.

접지디바스용 루멘에 삽입되는 접지 디바이스는 앞서에서 설명한 i) 전극을 갖는 와이어 ii) 전극을 갖는 마이크로카테터가 사용된다. As the grounding device inserted into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the aforementioned i) wire having an electrode ii) a microcatheter having an electrode is used.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중격삽입부가 심실중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접지용 디바이스를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의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을 통해서 심실중격에 위치시킨다. With the septal insertion part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positioned in the ventricular septum, the grounding device is positioned in the ventricular septum through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in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이 형성된 RF 전극절제 카테터는 접지 디바이스를 심실중격에 위치시키기 편리하며, 이에따라 RF 전극절제술을 보다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지 디바이스를 심실중격내에 위치시킨 이중극성 전극절제술은 단일극성 전극절제술에 비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RF 전극 절제가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in which the lumen for the grounding device is formed is convenient for positioning the grounding device in the ventricular septum,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RF electrodeectomy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bipolar electrode ablation in which the grounding device is placed in the interventricular septum has the advantage of achieving a wider range of RF electrode ablation than monopolar electrode ablatio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RF 전극절제 카테터의 전극이 심실중격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RF 전극절제 카테터 내로 쿨런트를 삽입시키며 RF 전극절제술을 실시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ith the electrode of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positioned in the ventricular septum, the coolant is inserted into the RF electrode ablation catheter and RF electrode ablation is performed.

RF 전극절제술을 시행하여 충분히 목표하는 치료 효과가 얻어진 후에는 모든 장치를 제거한다. After RF electrode ablation is performed to achieve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all devices are remov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가이드와이어(guide wire)
100: RF 전극절제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
110: 가이드와이어 루멘(guidewire lumen)
112: 팁 루멘(tip lumen)
114: 몸체 루멘(body lumen))
116: 팁홀(tip hole)
118: 사이드홀(side hole)
120: 중격삽입부(intra-septal part)
122: 테이퍼진 팁(tapered tip)
124: 전극(electrode)
130: 몸체부(body part)
140: 쿨링튜브(cooling tube)
150: 쿨링채널(cooling device)
160: 접지디바이스용 루멘(ground-device lumen)
170: 연결부(connect part)
200: 접지디바이스(ground device)
210: 전극(electrode)
10: guide wire (guide wire)
100: RF ablation catheter (RF ablation catheter)
110: guidewire lumen (guidewire lumen)
112: tip lumen
114: body lumen)
116: tip hole (tip hole)
118: side hole (side hole)
120: septum insertion part (intra-septal part)
122: tapered tip (tapered tip)
124: electrode (electrode)
130: body part (body part)
140: cooling tube (cooling tube)
150: cooling channel (cooling device)
160: lumen for the ground device (ground-device lumen)
170: connection part (connect part)
200: ground device (ground device)
210: electrode (electrode)

Claims (22)

비후성 심근증 시술을 위한 RF 카테터에 있어서,
부드러운 연질 재질의 카테터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원위부에 형성되되, 1개 이상의 전극이 형성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진 팁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형성되어, 비후성 심근증 시술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심실중격으로 삽입되는 중격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은 상긴 테이퍼진 팁 내부에 형성되는 팁 루멘과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몸체 루멘으로 구성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은 RF 제너레이터와 연결되어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심근의 전기신호를 센싱하거나 전기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테이퍼진 팁은 상기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심실중격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이가 5~20mm이며, 첨부는 1.2~1.4Fr의 두께, 첨부 반대편은 3~6Fr의 두께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In the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Body portion forming a catheter body made of a soft soft material; and
Doedoe formed in the distal part of the body portion, one or more electrodes are formed, a tapered tip is formed toward the end, and a guide wire lumen for inserting a guide wire is formed inside, along the guide wire dur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Including a septum insertion uni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ventricular septum
The guide wire lumen is composed of a tip lumen formed inside the elongated tapered tip and a body lumen formed in the body portion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RF generator and serves to transmit RF energy and also to sens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yocardium or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he tapered tip has a length of 5 to 20 mm so that it can penetrate through the ventricular septum along the guide wire,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is 1.2 to 1.4 Fr,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has a thickness of 3 to 6 F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rocedure for RF cathete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루멘은 상기 가이드와이어와 서로 밀착되어 이격공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According to claim 1,
The tip lume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wire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spaced apart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은 상기 테이퍼진 팁의 끝단인 팁홀에서 카테터의 중간부에 형성된 사이드 홀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팁홀에서 카테터의 근위부까지 카테터 전체에 걸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wire lumen is formed from the tip hole, which is the end of the tapered tip, to the side hole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catheter, or from the tip hole to the proximal part of the cathe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루멘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몸체 루멘보다 좁은 내경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tip lumen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narrower inner diameter than the body lumen formed in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격삽입부는 나선형 타입의 코일 와이어 또는 브레이드 타입의 와이어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극과는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tal insertion portion has a spiral-type coil wire or a braid-type wire formed therein, and the wire is insulated from the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격삽입부는 전극의 표면을 제외한 표면 부분에 친수성 고분자 고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tal insertion part is form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except for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내부에는 쿨런트를 주입할 수 있는 쿨링채널이 근위부에서 상기 중격삽입부까지 형성되되, 상기 쿨링채널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An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a cooling channel for injecting coolant is formed inside the catheter from the proximal part to the septum insertion part, and the end of the cooling channel communicates with the guide wire lum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 내부에는 쿨런트를 주입할 수 있는 쿨링 튜브가 근위부에서 상기 중격삽입부까지 삽입되되,
상기 쿨링튜브는 끝단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A cooling tube capable of injecting coolant into the guide wire lumen is inserted from the proximal portion to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tube has an open e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중격삽입부보다 두꺼운 두께를 지니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중격삽입부 사이에는 테이퍼진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근위부에서 상기 테이퍼진 연결부까지 접지디바이스를 삽입할 수 있는 접지디바이스용 루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septum insertion portion,
A tapered connec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eptum insertion part,
RF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lumen for a grounding device capable of inserting a grounding device from the proximal portion to the tapered connection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2874A 2018-11-21 2019-01-31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 Active KR1024068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9079A JP6908329B2 (en) 2018-11-21 2019-11-19 RF electrode resec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surgery
CN201911139090.1A CN111202581B (en) 2018-11-21 2019-11-20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US16/690,115 US20200155229A1 (en) 2018-11-21 2019-11-20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EP19210627.6A EP3656327B1 (en) 2018-11-21 2019-11-21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EP23199639.8A EP4275739B1 (en) 2018-11-21 2019-11-21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US18/092,277 US12279810B2 (en) 2018-11-21 2022-12-31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US18/532,989 US20240099770A1 (en) 2019-01-31 2023-12-07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by using same
US19/088,877 US20250221766A1 (en) 2018-11-21 2025-03-24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b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64 2018-11-21
KR20180144864 2018-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88A KR20200060188A (en) 2020-05-29
KR102406831B1 true KR102406831B1 (en) 2022-06-13

Family

ID=7091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74A Active KR102406831B1 (en) 2018-11-21 2019-01-31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8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903A (en) 2020-09-18 2022-03-25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RF ablation catheter for atrial fibrillation, and method for artial fibrillation in use of it
CN113967065B (en) * 2021-06-23 2023-08-11 四川锦江电子医疗器械科技股份有限公司 Pulse electric field ablation catheter capable of entering inside tissu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754Y1 (en) * 2006-01-02 2006-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eter for Revascularization in Acute Occlusion of Internal Carotid Artery.
JP2007267962A (en) * 2006-03-31 2007-10-18 Japan Lifeline Co Ltd Electrode catheter
JP2014512869A (en) * 2011-02-10 2014-05-29 ディーシー ディヴァイ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n intraatrial pressure relief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958B1 (en) 2014-04-03 2016-06-02 주식회사 원메드텍 RF catheter with Multi-electrode
KR102092926B1 (en) * 2015-02-24 2020-03-25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754Y1 (en) * 2006-01-02 2006-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eter for Revascularization in Acute Occlusion of Internal Carotid Artery.
JP2007267962A (en) * 2006-03-31 2007-10-18 Japan Lifeline Co Ltd Electrode catheter
JP2014512869A (en) * 2011-02-10 2014-05-29 ディーシー ディヴァイ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n intraatrial pressure relief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88A (en)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79810B2 (en)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JP4113592B2 (en) Heart tissue resection device
US95725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ccluding vessels during cardiac ablation
US7118568B2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trial arrhythmia
US20050010095A1 (en) Multi-purpose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597146B2 (en) Method of surgical perforation via the delivery of energy
US20250099176A1 (en) Rf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JP6905595B2 (en) Vascular isolation ablation device
KR102406831B1 (en) RF ablation catheter for hypertrophic cardiomyopahty
EP3912585B1 (en) Radiofreqeuncy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US20240099770A1 (en)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by using same
US20250195137A1 (en) Open-tipped radiofrequency perforation device
US20240225691A1 (en) Catheter assembly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