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046B1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vulva and anal - Google Patents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vulva and a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9046B1 KR102409046B1 KR1020200030632A KR20200030632A KR102409046B1 KR 102409046 B1 KR102409046 B1 KR 102409046B1 KR 1020200030632 A KR1020200030632 A KR 1020200030632A KR 20200030632 A KR20200030632 A KR 20200030632A KR 102409046 B1 KR102409046 B1 KR 102409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housing
- light irradiation
- light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11—Vagin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8—Apparatus adapted for operation in a moist environment, e.g. bath or sh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광조사부의 하우징 및 투명커버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신체와의 착용감 및 밀착성을 높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기판부의 제1, 2 기판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투명커버의 제2 연결체들 및 수직체들이 제1 기판 보다 상향 배치되되, 제2 기판보다 하향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기판의 광원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커버체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 및 수직체들에 의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조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에 조사되는 면적인 배광면적을 증가시켜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가 본체 및 실리콘 재질의 거치대로 구성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거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using and the transparent cover of the beam irradiation part are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formed to be rounded in a curved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rises upward toward the front and rear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maximizing the functionality such as blood circulation disorders and prevention, and promotion of metabolism by increasing the fit and adhesion to the user's body. ,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f the substrate part are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ors and vertical bodies of the transparent cover are disposed upward from the first substrate, and configured to be disposed downward than the second substrate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of the first substrate is configured to be diffused and irradiated laterally by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vertical bodies as well as the cover body, thereby increasing the light distribution area, which is the area irradiated to the body, to further enhance the functionality. And, it relates to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that can be operated conveniently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mounting safety by the remote controller being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cradl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며, 세척 효율성을 높여 위생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배광면적을 높여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and specifically, by irradiating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vagina and anus, effects such as blood circulation disorder and prevention, promotion of metabolism, etc. can be expected, as well as portable and portable It relates to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improving hygiene by increasing cleaning efficiency, and maximizing functionality by increasing a light distribution area.
통상적으로 신체의 하복부 아래에는 생식기, 회음부, 항문, 꼬리뼈(미추골) 등의 중요 기관이 밀집해있고, 이러한 하복부 아래의 중요 기관들은 생명 유지 및 탄생 등의 중요한 기능에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한방요법, 민간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Usually, important organs such as the genitals, perineum, anus, and tailbone (coccyx) are concentrated under the lower abdomen of the body, and these important organs under the lower abdomen are closely related to important functions such as life maintenance and birth, so their functions Various herbal remedies and folk remedies are being used to improve the condition.
이러한 민간요법의 대표적인 요법으로는 국부로 온열을 가하여 혈액 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오장육부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좌식 온열요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a representative therapy of these folk remedies, sitting thermotherapy is widely used to activate the functions of the organs and organs by applying local heat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한편, 최근 들어 전자 디바이스 기기 및 광원소자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치료가 필요한 신체의 영역으로 근적외선 등의 광원을 조사하여 혈액순환 촉진, 모세혈관 확장하여 질병 치료 및 예방의 목적을 갖는 광 테라피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the technology of electronic devices and light source devices has been developed, a light therapy device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expanding capillaries by irradiating light sources such as near-infrared rays to areas of the body in need of treatment and for disease treatment and prevention has been developed. It is widely used.
이에 따라 좌식 온열요법과 광 테라피 장치를 융합하여 국부의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treat and prevent local diseases by fusion of sitting hyperthermia and light therapy devices.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2076466호(발명의 명칭 :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에 개시된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emale vulva fumigation wash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76466 (Title of the invention: female vulva fumigation washer).
도 1의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하우징(110)과, 물저장부(120), 제어부(130), 훈증기 공급수단(140), 분사부재(150), 조사부(160), 보호막(170)으로 이루어진다.1, the female vulva fumig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100 is a
하우징(110)은 일면이 개구된 것에 의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물공급을 위한 공급홀(110a)이 형성되어 착용 시 음부와 항문 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물저장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급홀(110a)을 통하여 물을 저장 및 공급가능하도록 유입구(120a)와 유출구 형성된다.The
제어부(130)는 물저장부(120) 하부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블루투스의 기능을 갖는 휴대폰 또는 리모트컨트롤부의 조작에 대응되게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를 제어하는 전원공급부(131)를 포함한다.The
훈증기 공급수단(140)은 물저장부(12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제어부(130)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물저장부(12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키고 기화된 기화수를 기능성필터부(144)를 통과시켜 훈증기로 공급 한다.The fumigator supply means 14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분사부재(150)는 훈증기 공급수단(140)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공급관(151)을 매개로 연결되어 훈증기 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훈증기를 사용자의 음부와 항문측으로 분사가능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부(152b,153b,154b)가 형성되어 구비된다.The
조사부(160)는 분사부재(150)의 전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150)의 분사노즐부의 끝단을 노출시켜 훈증기가 분사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전면에는 LED광원을 음부와 항문측으로 조사가능하도록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파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보호막(170)은 하우징(110)의 테두리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10)을 사용자가 착용시 피부에 밀착가능하도록 구비된다.One end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여성의 외음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음부 및 항문부위로 LED광원을 조사 및 기능성필터부(144)를 통하여 훈증하면서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바람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일을 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LED광원을 조사뿐만 아니라 기능성필터부 예를 들어 쑥(또는 쑥분말) 등이 내장된 필터를 통하여 항생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사용 시,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에 조사판(105) 및 보호막(170)이 접촉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조사판(105) 및 보호막(170)의 세척 및 청결이 유지되어야 한다.When using the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하우징(110)의 패킹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 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어 부품고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보호막(170)이 실리콘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세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100)은 세척 시, 보호막(170)을 하우징(110)과 별도로 분리시킨 후, 세척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세적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However, in the
특히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에 접촉되는 조사판(105) 및 보호막(170)의 접촉영역을 단순히 물로만 세척하는 경우, 살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UV(Ultraviolet Ray)광을 이용하여 살균처리를 하는 것이 적합하나, 종래기술(100)에는 UV 살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UV램프장치를 구입한 후, 사용해야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In particular, when the contact area of the
또한 종래기술(100)은 조사부(160)에서 출사되는 LED광이 조사판(105)의 내부 투명판을 통해 출사됨과 동시에 LED광이 전방을 향해서만 출사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배광면적이 좁아 기능이 저하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또한 종래기술(100)은 내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속장비들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고장 및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또한 종래기술(100)은 조사부(160)에서 LED광이 지속적으로 출사됨에 따라 과열될 때, 이를 사전에 미리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광조사부의 하우징 및 투명커버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신체와의 착용감 및 밀착성을 높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housing and the transparent cover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are viewed in a planar view, both sides are curved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back. As soon as it is forme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formed to be rounded in a curved surface,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rises upward as it go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fit and adhesion to the user's body, preventing blood circulation disorder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functions such as prevention and promotion of metabolic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기판부의 제1, 2 기판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투명커버의 제2 연결체들 및 수직체들이 제1 기판 보다 상향 배치되되, 제2 기판보다 하향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기판의 광원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커버체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 및 수직체들에 의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조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에 조사되는 면적인 배광면적을 증가시켜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f the substrate part are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ng bodies and vertical bodies of the transparent cover are disposed upward from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As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downward from the substr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of the first substrate is diffused and irradiated laterally by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vertical bodies as well as the cover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that can further increase functionality by increasing i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본체 및 실리콘 재질의 거치대로 구성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거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is configured with a main body and a cradl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and the mounting safet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본체에 자석이 설치됨과 동시에 광조사부에 자력센서가 설치되고, 광조사부의 제어기가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의 크기를 통해 광조사부가 거치대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라고 판별될 때, UV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살균 및 위생성을 높일 수 있는 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solu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magne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a magnetic force sensor is installed in the light irradiating unit, and the light irradiating unit supports the light irradiator through the size of the magnetic force sensed value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by the controller of the light irradiating unit.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s mounted on the crad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mounted on the cradle, it is to provide a substitut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that can reduce safety accidents and increase sterilization and hygiene by driving the UV modu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광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음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항문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전후방으로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안착홈(S)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광원모듈들이 실장되는 기판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을 덮듯이 설치되며, 착용 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투명커버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면에 상기 광원모듈이 실장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기판; 상면에 상기 광원모듈들이 실장되되, 후단부가 상기 제1 기판의 후방영역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기판 보다 작은 곡률(Curvature)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향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전방영역에는 직상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판은 조립 시, 직상부에 제2 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광원모듈들이 실장되는 것이다.In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comprising a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user's vagina and anus,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 housing formed of a plate having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when the direction to be directed is rearward, the housing having a seating groove (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board par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having light source modules mounted thereon;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stalled to cover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transparent cov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n worn, and the housing and the transparent cover are longitudinal when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are curved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to the front and back, and at the same time, the tip and rear ends are rounded to a curved surface. is formed,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when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rounded with a curved surface a first substrate which is formed to be thick and has a curved surface that,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upwardly curved toward the front and rear at a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ght source modules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with a smaller curvature than the first substrate and is disposed upward from the first substrate. and an insertion hol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econd substrate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substrate is form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and when assembling the first substrate, in the region where the second substrate is not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substrate The light source modules are mounted.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의 바닥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제1 격벽들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들은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을 형성하는 측벽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상단부로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의 바닥면의 전방영역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제2 격벽이 수직 연결되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제2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되어 상단부로 상기 제2 기판의 전방영역이 안착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제2 격벽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커버는 폭 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양측부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체들; 상기 연결체들의 단부에 연결되는 경사체들; 상기 경사체들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체들; 상기 제2 연결체들의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수직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체들은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는 조립 시,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제2 연결체들 및 상기 수직체들 보다 하향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2 연결체들 및 상기 수직체들 보다 상향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first partition wall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first partition walls are larger than the sidewalls forming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It protrudes to a low height and the first substrate is seated at the upper end, and in the front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a second barrier rib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bottom, and the second barrier rib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The second barrier rib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second barrier rib protrudes to a height higher tha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region of the second substrate is sea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front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barrier rib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transparent cover includes a cover body formed at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ing bodies inclined downward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body; inclined bodie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connectors; second connecto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inclined bodies; It further includes vertical bodie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econd connectors, the inclined bodies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en the substrate part is assembled, the first substr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eves and the vertical bodies are disposed downward, and the second substrate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nectors and the vertical bodi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기 설정된 색상의 LED를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모듈과,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실링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되, 외측면까지 연결되며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체가 안착되는 실링체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module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LED modules irradiating LEDs of a preset color and at least one or more near-infrared modules irradiating near-infrared rays,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sealing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sealing body installation groove formed on the side wall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and extending along the side wall, in which the sealing body is seated, is formed in the side wall.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조사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면에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요청받기 위한 버튼들이 구비된 조작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조사부의 제어기와 유선케이블 또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본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거치벽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벽 중 전방에 배치된 전방 거치벽과 후방에 배치된 후방 거치벽에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거치벽의 거치홈 및 상기 후방 거치벽의 거치홈의 바닥면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면서 하향되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거치 시, 상기 투명커버가 상기 거치대의 상기 거치벽의 거치홈들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and the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provided with buttons for receiving a request for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on the upper surface, and a wired cable or local area network with the controller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a main body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A mounting plat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holder including a mounting wall vertically connected upwardly from the edge of the mounting plate, the front mounting wall disposed in front of the mounting wall;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mounting wall disposed at the rear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of the front mounting wall and the mounting groove of the rear mounting wall is inclined downward while increasing in width toward the front and rear. It is formed, and when the light irradiation part is mou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parent cov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of the mounting wall of the holder to be mount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UV(Ultraviolet Ray)를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면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제어기와, 자력값을 검출하는 자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여 자력센싱값이 상기 설정값(TH) 이상일 때, 상기 UV모듈을 임계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modul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V module for irradiating UV (Ultraviolet Ray), a magnet generating magnetic force is installed on the inside or out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A controller and a magnetic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force value, wherei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magnetic force sensed value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with a preset set value (TH, Threshold), and the magnetic force sensed value is the set value (TH) ) or more, it is preferable to light the UV module for a critical time.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조사부의 하우징 및 투명커버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신체와의 착용감 및 밀착성을 높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when the housing and the transparent cover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are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back,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t is formed as a rounded surface,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rises upward as it go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nctionality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부의 제1, 2 기판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투명커버의 제2 연결체들 및 수직체들이 제1 기판 보다 상향 배치되되, 제2 기판보다 하향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기판의 광원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커버체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 및 수직체들에 의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조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에 조사되는 면적인 배광면적을 증가시켜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of the substrate part are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ors and vertical bodies of the transparent cover are disposed upward from the first substrate, and downward from the second substrate. As it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of the first substrate is diffused and irradiated laterally by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vertical bodies as well as the cover body, thereby increasing the light distribution area, which is the area irradiated on the bod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가 본체 및 실리콘 재질의 거치대로 구성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거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mote controller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cradl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operate and improve mounting safe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본체에 자석이 설치됨과 동시에 광조사부에 자력센서가 설치되고, 광조사부의 제어기가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의 크기를 통해 광조사부가 거치대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라고 판별될 때, UV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살균 및 위생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a magnetic force sensor is installed in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whether the light irradiation unit is mounted on the cradle through the size of the magnetic force sensing value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by the controller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After determining the con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mounted on the cradle, by driving the UV module, safety accidents can be reduced and sterilization and sanitation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2076466호(발명의 명칭 :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에 개시된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광조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기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투명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광조사부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거치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거치대에 광조사부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male vulva fumigation clean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76466 (Title of the invention: female vulva fumigation wash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irradiation unit of FIG. 3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of FIG. 4 ;
7 is a side view of FIG. 6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strate part of FIG. 4 .
9 is a side view of FIG. 8 ;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parent cover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0 viewed from the bottom.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ler of FIG. 4 .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
Figure 15 (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irradi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adle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separate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ight irradiator is mounted on the cradle of the remote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local light irradi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1)는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며, 세척 효율성을 높여 위생성을 개선시키며, 배광면적을 높여 기능성을 극대화시키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ortable local
또한 휴대용 국부 광 조사 장치(1)는 도 2와 3에 도시된 사용자의 하복부 아래의 국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으로 근적외선을 출사하는 광조사부(3)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요청(조작)에 따라 광조사부(3)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ortable local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조사부(3)가 리모트 컨트롤러(5)와 유선케이블(C)로 연결되어 유선케이블(C)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러(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광조사부(3)는 내부에 자체 전원부가 설치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도 4는 도 3의 광조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ight irradiation unit of FIG. 3 ,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
광조사부(3)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모듈(359)들이 실장되는 기판부(35)와, 상면에 기판부(35)가 안착되는 안착홈(S)이 형성되는 하우징(31)과,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하우징(31)의 상부 안착홈(S)을 덮듯이 설치되어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통과되는 투명커버(33)와, 투명커버(33) 및 하우징(31) 사이에 설치되어 패킹 기능을 수행하는 실링체(37)와, 하우징(31)에 연결되는 유선케이블(C)과,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of FIG. 4 , and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
하우징(31)은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6의 ‘+X’축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X’축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하우징(31)은 전후방으로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또한 하우징(31)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후 방향인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of the
또한 하우징(31)의 선단부 및 후단부는 라운드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또한 하우징(31)의 상하부면은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31)의 상면에 결합되는 투명커버(33)가 사용자의 국부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또한 하우징(31)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안착홈(S)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홈(S)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우징(31)과 동일한 형상이되,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하우징(31)의 안착홈(S)은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깊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31)의 측벽(311) 또한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S of the
또한 하우징(31)의 안착홈(S)의 바닥면(310)에는 바닥면(310)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제1 격벽(313)들이 교차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격벽(313)들의 형상 및 연결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또한 제1 격벽(313)들은 돌출 높이가 하우징(31)의 측벽(311)의 높이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도 8과 9의 기판부(35)의 제1 기판(351)이 안착된다. 이때 하우징(31)은 안착홈(S)의 깊이가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보다 전후방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격벽(313)들 또한 돌출 높이가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31)의 전후방에 형성된 제1 격벽(313)들은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제1 격벽들 보다 돌출 높이가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하우징(31)의 바닥면(310)에는 바닥면(3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312)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각 체결부(312)의 내주면에는 볼트홈이 형성되고, 볼트홈은 후술되는 도 8의 기판부(35)의 볼트공(3511)에 연결되어 기판부(35) 및 하우징(31)이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In addition,
또한 하우징(31)의 전방 영역의 바닥면(310)에는 제2 격벽(314)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 격벽(314)은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우징(31)의 측벽(311) 보다 상향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기판부(35)의 제2 기판(352)이 안착되게 된다.In addition, a
또한 제2 격벽(314)은 하우징(31)의 바닥면(3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세하게로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방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후방을 향할수록 간격이 줄어들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In addition, the
또한 제2 격벽(314)은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제2 격벽(314)의 선단부는 동일한 길이 방향의 위치의 측벽(31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하우징(31)의 측벽(311)의 외측테두리에는 실링체(37)가 안착되는 실링체 설치홈(3111)이 형성된다. 이때 실링체 설치홈(3111)은 하우징(31)의 측벽(311)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측벽(311)의 외측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측벽(311)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sealing
즉 본 발명의 하우징(31)의 측벽(311)의 외측테두리에는 실링체(37)가 설치되는 실링체 설치홈(3111)이 형성됨에 따라 실링체(37)에 의해 밀봉성 및 패킹성을 높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철저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s the sealing
또한 하우징(31)의 측벽(311)의 내측면에는 걸림홈(3112)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31)의 걸림홈(3112)들로는 후술되는 투명커버(33)의 걸림돌부(3361)들이 각각 삽입된다.In addi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도 8은 도 4의 기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ubstrate part of FIG. 4 , and FIG. 9 is a side view of FIG. 8 .
기판부(35)는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적외선을 출사하는 광원모듈(359)들과, 상면에 광원모듈(359)들이 실장되는 곡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하우징(31)의 제1 격벽(313)들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기판(351)과, 상면에 광원모듈(359)들이 실장되는 곡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후단부가 제1 기판(351)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기판(352)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광원모듈(359)들은 적색(Red)의 빛을 출사하는 R-led모듈과, 청색(Blue)의 빛을 출사하는 B-led모듈과, 핑크색(Pink)의 빛을 출사하는 P-led모듈과, 근적외선을 출사하는 근적외선 모듈로 이루어지며, 기 설정된 조사 패턴에 따라 이들이 조합하여 출사(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광원모듈(359)들은 20분 동안 기 설정된 조사 패턴에 따라 출사가 이루어지며, (Red+근적외선) → (Blue+근적외선) -> (Pink+근적외선) -> (Red+Blue)의 순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이때 본 발명에서는 광원모듈(359)이 ‘Red’, ‘Blue’, ‘Pink’, ‘근적외선’의 4개의 파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광원모듈(359)의 파장의 구성 및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수량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광원모듈(359)은 UV(Ultraviolet)를 조사하는 UV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때 UV 모듈은 광조사부(3)가 리모트 컨트롤러(5)에 거치될 때, 제어기(30)의 제어에 따라 대략 5분 정도 구동되어 투명커버(33)로 UV를 조사하여 투명커버(33)의 내외면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UV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투명커버(33)의 UV살균이 가능해져 위생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제1 기판(351)은 상면에 광원모듈(359)들이 실장되는 곡면 형상의 PCB기판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하우징(31)의 제1 격벽(313)들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기판(351)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볼트공(3511)들이 형성되고, 볼트공(3511)들은 하우징(31)의 체결부(31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1 기판(351)이 볼트 체결을 통해 하우징(31)에 결합되게 된다.The
또한 제1 기판(351)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안착홈(S)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전후 방향인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라운드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1 기판(351)은 전방 영역에 삽입공(3513)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기판(351)의 삽입공(3513)으로는 전술하였던 도 7의 하우징(31)의 제2 격벽(314)이 삽입되고, 제1 기판(351)의 삽입공(3513)을 통과하여 상향 돌출된 제2 격벽(314)의 상면에는 제2 기판(352)의 전방영역의 하면이 안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제1 기판(351)은 조립 시, 직상부에 제2 기판(352)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광원모듈(359)들이 실장되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assembling the
제2 기판(352)은 상면에 광원모듈(359)들이 실장되는 곡면 형상의 PCB기판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기판(352)은 제1 기판(351) 보다 작은 곡률(Curvature)로 형성된다.The
또한 제2 기판(352)은 후단부(3521)가 제1 기판(351)의 후방영역의 상면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즉 제2 기판(352)은 후단부(3521)가 제1 기판(351)의 상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1 기판(351) 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됨으로써 제1 기판(351)의 상부에 제1 기판(351)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제2 기판(352)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전방영역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 및 후방영역은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이러한 제2 기판(352)의 대면적의 전방영역은 하우징(31)의 제2 격벽(314)의 상면에 안착되어 볼트 체결된다.The large-area front region of the
즉 본 발명의 기판부(35)는 제1 기판(351) 및 제2 기판(352)이 서로 다른 곡률 및 높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2 기판(352)의 광원모듈(359)에서 출사되는 빛이 후술되는 투명커버(33)의 커버체(331)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1 기판(351)의 광원모듈(359)에서 출사되는 빛은 투명커버(33)의 전방 경사체(333) 및 후방 경사체(334)들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광면적이 현저히 증가하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이러한 기판부(35)는 조립 시, 제2 기판(352)이 후술되는 도 10의 투명커버(33)의 제2 연결체(335)들 및 수직체(336)들 보다 상향 배치되고, 제1 기판(351)이 제2 연결체(335)들 및 수직체(336)들 보다 하향 배치됨으로써 제1 기판(351)의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투명커버(35)의 커버체(331)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335)들 및 수직체(336)들을 통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조사되게 된다.When the
도 10은 도 4의 투명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ransparent cover of FIG. 4 ,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0 viewed from the bottom.
도 10과 11의 투명커버(33)는 전후방으로 길이를 갖는 투명재질의 판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우징(31)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며, 하우징(31)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또한 투명커버(33)는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331)와, 연결체(332)들, 전방 경사체(333)들, 후방 경사체(334)들, 제2 연결체(335), 수직체(336)들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커버체(331)는 투명커버(33)의 폭 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폭 방향으로 평평하되, 길이 방향으로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커버체(331)는 착용 시,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에 밀착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투명커버(33)의 커버체(331)가 폭 방향으로 평평하되, 길이 방향으로 곡면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착용감 및 밀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또한 투명커버(33)의 커버체(331)는 조립 시, 직하부에 제2 기판(352)의 광원모듈(359)들이 배치됨으로써 제2 기판(352)의 광원모듈(359)로부터 출사되는 광신호는 커버체(331)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음부 및 항문으로 조사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또한 커버체(331)의 양측부에는 연결체(332)들이 연결된다.In addition, connecting
연결체(332)들은 커버체(331)의 양측부로부터 하방(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The connecting
또한 전방영역의 연결체(332)들에는 전방 경사체(333)들이 각각 연결되고, 후방영역의 연결체(332)들에는 후방 경사체(334)들이 각각 연결된다. 즉 전방영역과 후방영역 사이의 영역인 중간영역의 연결체(332)들에는 제2 연결체(335)가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inclined
전방 경사체(333)들은 전방영역의 연결체(332)들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커버체(331) 보다 하방에 배치되게 된다.The front inclined
이때 전방 경사체(333)들은 길이 방향으로 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inclined
또한 전방 경사체(333)들은 조립 시, 직하부에 제1 기판(351)의 전방영역의 광원모듈(359)들이 배치된다.Also, when assembling the front
후방 경사체(334)들은 후방영역의 연결체(332)들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커버체(331) 보다 하방에 배치되게 된다.The rear inclined
이때 후방 경사체(334)들은 길이 방향으로 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ear
또한 후방 경사체(334)들은 조립 시, 직하부에 제1 기판(351)의 후방영역의 광원모듈(359)들이 배치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rear
즉 본 발명은 제1 기판(351)의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1)커버체(331)를 통과하여 직상부로 조사될 뿐만 아니라 2)전방 경사체(333)들 및 후방 경사체(334)들에 의해 폭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되는 배광면적을 증가시켜 종래에 빛이 조사되는 영역이 협소하여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ght emitted from the
제2 연결체(335)는 전방 경사체(333), 후방 경사체(334) 및 중간영역의 연결체(332)에 하방으로 연결되며,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ng
이때 제2 연결체(335)는 전방 경사체(333) 및 후방 경사체(334) 보다 경사각도가 크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수직체(336)들은 제2 연결체(335)의 양측부에 수직 연결된다.The
이러한 제2 연결체(335) 및 수직체(336)들은 조립 시, 직하부에 제1 기판(351)의 광원모듈(359)들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 기판(351)의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커버체(331)를 통해 직상부로 조사될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335) 및 수직체(336)들에 의해 폭 방향으로 크게 확산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로 조사되는 배광면적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When these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제1 기판(351)이 제2 기판(352) 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제1 기판(351)의 상부에 배치되는 투명커버(33)가 수직 방향의 제2 연결체(335) 및 수직체(336)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기판(352)의 광원모듈(359)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폭 방향으로 크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로 조사되는 빛의 배광면적을 증가시켜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을 극대화하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수직체(336)들의 하단부에는 걸림돌부(3361)들이 돌출 형성되고, 걸림돌부(3361)들은 외측면에 걸림턱(33611)이 형성되어 조립 시, 하우징(31)의 걸림홈(3112)으로 걸림턱(33611)이 삽입됨으로써 투명커버(33)가 하우징(31)에 부착되게 된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투명커버(33)는 조립 시, 제2 연결체(335)들 및 수직체(336)들이 전술하였던 도 8과 9의 제1 기판(351) 보다 상향 배치되되, 제2 기판(352) 보다 하향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기판(352)의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주로 커버체(331)를 통과하여 직상부로 조사되게 되고, 제1 기판(351)의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커버체(331)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335)들 및 수직체(336)들을 통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조사되게 된다.When the
이러한 투명커버(33)의 커버체(331), 전방 경사체(333)들 및 후방 경사체(334)들의 하면에는 볼록렌즈(339)들이 형성된다.
이때 볼록렌즈(339)들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됨으로써 광원모듈(359)들로부터 출사되는 다양한 각도의 빛을 집중시켜 통과시켜 동일 조건 대비 광도가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도 12는 도 4의 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ler of FIG. 4 .
제어기(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1)와, 메모리(302), 전원공급부(303), 데이터송수신부(304), 광-조사 제어부(305), 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306), UV모듈 구동부(307)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2 , the
제어부(301)는 제어기(3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02), (303), (304), (305), (306), (30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The
또한 제어부(301)는 데이터송수신부(304)를 통해 유선케이블(C)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점등제어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점등제어정보를 광-조사 제어부(305)로 입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제어부(301)는 주기적으로 자력센서(미도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을 비교 및 판별부(306)로 입력하고, 비교 및 판별부(306)에 의해 현재 상태가 거치상태로 판별되면, UV모듈 구동부(307)를 실행시킨다.In addition, the
이때 자력센서는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력센싱값을 검출한다.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메모리(302)에는 기 설정된 조사패턴이 저장된다. 이때 조사패턴이라고 함은 광원모듈(359)을 구성하는 R-led모듈, B-led모듈, P-led모듈 및 근적외선 모듈의 동작 및 조사시간이 계획된 스케줄정보를 의미한다.A preset irradiation pattern is stored in the
또한 메모리(302)에는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이 저장된다. 이때 설정값(TH)은 광조사부(3)가 리모트 컨트롤러(5)에 거치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자력값의 최소값으로 정의된다.In addition, a preset set value (TH, Threshold) is stored in the
전원공급부(303)는 유선케이블(C)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내부 부속장비들로 공급한다.The
데이터송수신부(304)는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5)와 유선케이블(C)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04 transmits/receives data through the
광-조사 제어부(305)는 리모트 컨트롤러(5)로부터 전송받을 때,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입력된 점등제어정보에 따라 광원모듈(359)들을 구성하는 R-led모듈, B-led모듈, P-led모듈 및 근적외선 모듈의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 설정된 조사패턴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이들을 점등을 제어한다.When the light-
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306)는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TH)과 비교한다.The comparison and mounting
또한 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306)는 만약 검출된 자력센싱값이 설정값(TH) 미만이면, 광조사부(3)가 리모트 컨트롤러(5)에 거치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별하여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In addition, if the detected magnetic force sensing value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 the comparison and mounting
또한 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306)는 만약 검출된 자력센싱값이 설정값(TH) 이상이면, 광조사부(3)가 리모트 컨트롤러(5)에 거치된 상태라고 판별한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and mounting
이때 제어부(301)는 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306)에 의해 현재 상태가 거치상태로 판별되면, UV모듈 구동부(307)를 동작시킨다.At this time, the
UV모듈 구동부(307)는 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306)에 의해 현재 상태가 거치상태로 판단될 때,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UV모듈의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UV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UV
도 13은 도 2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2 ,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3 .
리모트 컨트롤러(5)는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1)와, 거치대(5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 the
본체(51)는 내부에 전원공급수단이 설치되는 함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유선케이블(C)이 연결되어 유선케이블(C)을 통해 광조사부(3)와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또한 본체(51)의 내부 또는 외면의 일측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미도시)이 설치된다.In addition, a magnet (not shown)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또한 본체(51)의 측면들에는 안착돌부(5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안착돌부(511)는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각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안착돌부(511)는 조립 시, 거치대(53)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거치대(53)를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seating
또한 본체(51)의 상면의 중앙에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평탄부(511)가 형성되고, 평탄부(511)에는 사용자로부터 광조사부(3)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부(512)가 설치된다. 이때 조작부(512)는 전원버튼, 크기버튼, 방향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조작부(512)는 리모트 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공지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본체(51)의 상면의 평탄부(511)의 외측에는,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는 곡면부(513)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51)의 곡면부(513)로는 후술되는 거치대(53)의 안착판(531)의 하면이 대접되게 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거치대(53)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51)의 상면에 안착된다.The
또한 거치대(53)는 중앙에 개구부(5311)가 형성되는 안착판(531)과, 안착판(531)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지지벽(533)과, 안착판(531)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거치벽(555)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안착판(531)은 중앙에 개구부(5311)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안착판(531)의 중앙 개구부(5311)로는 조립 시, 본체(51)의 평탄부(511)가 삽입됨에 따라 본체(51)에 거치대(53)가 조립되더라도, 평탄부(511)의 조작부(512)는 안착판(531)의 중앙 개구부(531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부(51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안착판(531)의 하면은 전술하였던 본체(51)의 상면의 곡면부(5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 시, 본체(51)의 곡면부(513)에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지지벽(533)은 안착판(531)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연결된다.The
또한 지지벽(533)의 하단부는 조립 시, 본체(51)의 안착돌부(511)에 접촉되어 안착돌부(511)에 의해 지지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거치벽(555)은 안착판(531)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결된다.The mounting
또한 거치벽(555) 중 전방에 배치된 전방 거치벽(5551)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전방 거치홈(55511)이 형성되고, 전방 거치홈(55511)으로는 전술하였던 도 10의 투명커버(33)가 뒤집힌 상태로 안착된다.In addition, a
또한 전방 거치벽(5551)의 전방 거치홈(55511)의 바닥면(55512)은 전방을 향할수록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투명커버(33)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면서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방 거치벽(5551)의 전방 거치홈(55511)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면서 하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거치벽(555) 중 후방에 배치된 후방 거치벽(5552)의 상면에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후방 거치홈(55521)이 형성되고, 후방 거치홈(55521)으로는 투명커버(33)의 후방영역의 상면이 안착된다.In addition, a
또한 후방 거치벽(5552)의 후방 거치홈(55521)의 바닥면(55522)은 후방을 향할수록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투명커버(33)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면서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방 거치벽(5552)의 거치홈(55521)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면서 하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투명커버(33)가 거치대(53)의 거치홈(55511), (55521)들의 바닥면(55512), (55222)들에 밀착된 상태로 거치되게 된다. 또한 거치대(53)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실리콘 자체의 높은 마찰계수로 인해 거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광조사부 및 리모트 컨트롤러의 거치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거치대에 광조사부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15 (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 irradi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radle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separate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ight irradiator is mounted on the cradle of the remote controller.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부(3)가 리모트 컨트롤러(5)의 거치대(53)로부터 분리될 때, 광조사부(3)는 거치대(53)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광조사부(3)의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은 설정값(TH) 미만의 값이 검출되게 된다.As shown in (a) of FIG. 15 , wh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광조사부(3)는 거치대(53)에 거치될 때,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부(3)가 뒤집한 상태로 거치대(53)의 거치벽(555)의 전방 거치홈(55511) 및 후방 거치홈(55521)에 안착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5)의 본체(51) 및 광조사부(3)는 근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본체(51)의 자석에서 발생되어 광조사부(3)의 자력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값은 설정값(TH) 이상이 되고, 이에 따라 광조사부(3)의 제어기(30)의 제어에 따라 UV모듈이 동작하여 UV에 의해 광조사부(3)의 투명커버(33)의 내외면 및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 조사 장치(1)는 광조사부의 하우징 및 투명커버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신체와의 착용감 및 밀착성을 높여 혈액순환 장애 및 예방, 신진대사기능 촉진 등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in the
또한 본 발명의 광 조사 장치(1)는 기판부의 제1, 2 기판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투명커버의 제2 연결체들 및 수직체들이 제1 기판 보다 상향 배치되되, 제2 기판보다 하향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기판의 광원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커버체 뿐만 아니라 제2 연결체 및 수직체들에 의해 측방으로 확산되어 조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에 조사되는 면적인 배광면적을 증가시켜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광 조사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본체 및 실리콘 재질의 거치대로 구성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거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발명의 광 조사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본체에 자석이 설치됨과 동시에 광조사부에 자력센서가 설치되고, 광조사부의 제어기가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의 크기를 통해 광조사부가 거치대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라고 판별될 때, UV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살균 및 위생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1:광 조사 장치 3:광조사부 5:리모트 컨트롤러
30:제어기 31:하우징 33:투명커버
35:기판부 37:실링체 51:본체
53:거치대 301:제어부 302:메모리
303:전원공급부 304:데이터송수신부
305:광-조사 제어부 306:비교 및 거치상태 판별부
307:UV모듈 구동부 311:측벽 312:체결부
313:제1 격벽 314:제2 격벽 351:제1 기판
353:제2 기판 359:광원모듈 331:커버체
332:연결체 333:전방 경사체 334:후방 경사체
335:제2 연결체 336:수직체 339:볼록렌즈
511:평탄부 512:조작부 513:경사부
531:안착판 533:지지벽 535:거치벽 1: Light irradiation device 3: Light irradiation unit 5: Remote controller
30: controller 31: housing 33: transparent cover
35: substrate part 37: sealing body 51: body
53: cradle 301: control unit 302: memory
303: power supply unit 304: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305: light-irradiation control unit 306: comparison and mounting state determination unit
307: UV module driving unit 311: side wall 312: fastening unit
313: first barrier rib 314: second barrier rib 351: first substrate
353: second substrate 359: light source module 331: cover body
332: connector 333: front inclined body 334: rear inclined body
335: second connecting body 336: vertical body 339: convex lens
511: flat part 512: operation part 513: inclined part
531: mounting plate 533: support wall 535: mounting wall
Claims (6)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음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항문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전후방으로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안착홈(S)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광원모듈들이 실장되는 기판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을 덮듯이 설치되며, 착용 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투명커버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면에 상기 광원모듈이 실장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양측부가 곡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및 후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에서 전후방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기판;
상면에 상기 광원모듈들이 실장되되, 후단부가 상기 제1 기판의 후방영역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기판 보다 작은 곡률(Curvature)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상향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전방영역에는 직상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판은 조립 시, 직상부에 제2 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광원모듈들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 장치.In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comprising a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user's vagina and anus:
The light irradiation unit
When the direction toward the user's pubic region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anus is referred to as the rear, the housing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the housing having a seating groove (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board par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light source modules mounted thereon;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installed to cover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transparent cov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n worn,
The housing and the transparent cover
When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are curved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back, and at the same time, the tip and rear ends are rounded in a curved surface. 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rises upward as it go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point.
the substrate part
The light source module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when viewed in a plan view, both sid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and rear,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rounded in a curved surface. a first substrat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rises upward toward the front and rear at a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as ;
The light source modules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with a smaller curvature than the first substrate and is disposed upward from the first substrate. do,
An insertion hol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econd substrate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substrate is form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When assembling the first substrate, the light source modules are mounted in a region where the second substrate is not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substrate.
상기 제1 격벽들은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을 형성하는 측벽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어 상단부로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S)의 바닥면의 전방영역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제2 격벽이 수직 연결되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제2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되어 상단부로 상기 제2 기판의 전방영역이 안착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제2 격벽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커버는
폭 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양측부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체들;
상기 연결체들의 단부에 연결되는 경사체들;
상기 경사체들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체들;
상기 제2 연결체들의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수직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체들은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부는 조립 시,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제2 연결체들 및 상기 수직체들 보다 하향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이 상기 제2 연결체들 및 상기 수직체들 보다 상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first partition wall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The first partition walls protrude to a height lower than a side wall forming a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substrate is seated at an upper end thereof;
In the front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S) of the housing, a second partition wall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second partition wall,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to protrude;
The second partition wall protrudes to a height higher tha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area of the second substrate is sea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The transparent cover
a cover body formed at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ing bodies inclined downward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body;
inclined bodie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connectors;
second connecto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inclined bodies;
Further comprising vertical bodie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econd connectors,
The inclined bodies ar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substrate part is assembled, the first substrate is disposed downward than the second connectors and the vertical bodies, and the second substrate is disposed upward than the second connectors and the vertical bodies light irradiation device.
기 설정된 색상의 LED를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모듈과,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적외선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실링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되, 외측면까지 연결되며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체가 안착되는 실링체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ght source module
Consists of at least one or more LED modules irradiating LEDs of a preset color and at least one or more near-infrared modules irradiating near-infrared rays,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sealing body,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is formed downward from the top,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side wall, the sealing body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wherein the sealing body is seated.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면에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요청받기 위한 버튼들이 구비된 조작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조사부의 제어기와 유선케이블 또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본체;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거치벽을 포함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벽 중 전방에 배치된 전방 거치벽과 후방에 배치된 후방 거치벽에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거치벽의 거치홈 및 상기 후방 거치벽의 거치홈의 바닥면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하면서 하향되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거치 시, 상기 투명커버가 상기 거치대의 상기 거치벽의 거치홈들로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is
a main body having an operation unit provided with buttons for receiving a request for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on the upper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by a wired cable or a local area network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unit;
A mounting plat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holder including a mounting wall vertically connected upwardly from the edge of the mounting plate,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mounting wall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mounting wall and the rear mounting wall disposed at the rear side from the top,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of the front mounting wall and the mounting groove of the rear mounting wall is inclined downward while increasing in width toward the front and rear,
When the light irradiation unit is mounted, the transparent cove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of the mounting wall of the holder to be mounted.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면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제어기와, 자력값을 검출하는 자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력센싱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여 자력센싱값이 상기 설정값(TH) 이상일 때, 상기 UV모듈을 임계시간 동안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조사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ight source modul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UV module for irradiating UV (Ultraviolet Ray),
A 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is install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light irradi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and a magnetic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force value,
the controller
Comparing the magnetic force sensed value detected by the magnetic force sensor with a preset set value (TH, Threshold), when the magnetic force sense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 the UV module is turned on for a threshold time investiga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0632A KR102409046B1 (en) | 2020-03-12 | 2020-03-12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vulva and a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0632A KR102409046B1 (en) | 2020-03-12 | 2020-03-12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vulva and ana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15205A KR20210115205A (en) | 2021-09-27 |
| KR102409046B1 true KR102409046B1 (en) | 2022-06-15 |
Family
ID=779255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30632A Active KR102409046B1 (en) | 2020-03-12 | 2020-03-12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vulva and an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0904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30952B1 (en) * | 2021-10-12 | 2022-08-08 | 박성훈 | Vulvar sterilization dryer for women |
| CN219127300U (en) * | 2022-01-04 | 2023-06-06 | 保迪弗兰德有限公司 | Massage device comprising an airbag arrangement adapted to the shape of a user's arm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76466B1 (en) | 2019-11-26 | 2020-03-02 | 박성훈 | Women's Vulva Fumigation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5196B1 (en) * | 2013-12-13 | 2015-09-23 | 주식회사 에덴 | the vibration thermotherapy curer and the manufacture method for kegel exercise |
| US9623231B2 (en) * | 2014-04-14 | 2017-04-18 | Elidah, LLC | Device to treat incontinence |
| KR20160038459A (en) * | 2014-09-30 | 2016-04-07 | 이미숙 | Near ifrared ray poulticing pad |
| KR101897262B1 (en) * | 2016-06-07 | 2018-09-11 | 주식회사 이에스 | The Three-dimensional Pad with near infrared ray radiation lamp |
-
2020
- 2020-03-12 KR KR1020200030632A patent/KR1024090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76466B1 (en) | 2019-11-26 | 2020-03-02 | 박성훈 | Women's Vulva Fumigation Clea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15205A (en) | 2021-09-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744340B2 (en) | Capsule with whole body LED photo-therapy | |
| JP5378204B2 (en) | Light emitting device used for therapeutic treatment and / or cosmetic treatment | |
| KR102409046B1 (en) |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vulva and anal | |
| US20080091250A1 (en) | Light therapy desk lamp | |
| KR102209429B1 (en) | Led laser helmet for scalp theraphy | |
| US7198624B2 (en) | Apparatus with ultra violet spectrum lamp,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 |
| CN113993579B (en) | Light-guiding type LED mask device | |
| US20240416141A1 (en) | Phototherapy mask | |
| KR20160139108A (en) | Apparatus for irradiating light | |
| USD432659S (en) | Therapeutic lamp | |
| KR101865784B1 (en) | Laser and handpiece to beak down fat in body | |
| KR101157178B1 (en) | Portable apparatus for curing rhinitis | |
| KR20200097843A (en) | Hair dryer for therapy | |
| KR101937789B1 (en) | Therapy lighting apparatus | |
| KR102800780B1 (en) | Skin care apparatus | |
| JP2009055969A (en) | Phototherapy device | |
| CN109675202B (en) | Photodynamic and ultrasonic atomization composit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 |
| JP2001309989A (en) | Treatment device for jaundice integrally formed with incubator | |
| EP3649855A1 (en) |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 |
| KR102785829B1 (en) | Pet care device | |
| KR102861399B1 (en) | Skin care apparatus | |
| JP6962066B2 (en) | Water spouting device for bathtub | |
| JP2018163790A (en) | Luminaire for bathtub | |
| KR100503594B1 (en) | laser/LED shower for use in photochemistry medical | |
| KR200492654Y1 (en) | LED mask holder with UV sterilization fun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