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940B1 - Teether for Scaling Dental Calculus of Pet - Google Patents
Teether for Scaling Dental Calculus of P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940B1 KR102416940B1 KR1020200058423A KR20200058423A KR102416940B1 KR 102416940 B1 KR102416940 B1 KR 102416940B1 KR 1020200058423 A KR1020200058423 A KR 1020200058423A KR 20200058423 A KR20200058423 A KR 20200058423A KR 102416940 B1 KR102416940 B1 KR 102416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companion animals
- inlet
- passage
- tart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6—Chewable toys, e.g. for dental care of p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2—Teething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는 스푼 형상의 돌기부를 구성하여 씹는 행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치석을 제거하고, 칫솔질로 닿기 어려운 치아 안쪽의 치태까지 긁어줌으로써 치아 전체를 효과적으로 닦아내며, 반려동물의 간식으로 액상의 유인물질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toothpick for pet tartar removal consists of a spoon-shaped protrusion to remove tartar by frictional force caused by chewing, and effectively wipes the entire teeth by scraping plaque from the inside of the teeth that is difficult to reach with brushing.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attracta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에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액상의 간식 등의 유인물질을 제공해주는 기구이고, 스푼 형상의 돌기부와 반려동물의 치아를 마찰시켜 치석을 제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attractant such as a liquid snack that induces chewing behavior in companion animals, and rubs the spoon-shaped protrusion with the teeth of the companion animal. It relates to a toothpick for tartar removal for pets that can remove tartar.
현대 사회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여과 시간의 증가로 이해 각 가정에서 고양이, 개 등 각종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the increase in filtration time,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various companion animals such as cats and dogs is increasing in each household.
반려동물은 사육에 따른 정서적 안정 등 여러 이점이 있으나 기르는 사람의 노력과 관리 비용이 수반되고,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관계로 인해 엄격한 위생 관리 및 질병의 예방을 위한 접종 등 청결이 요구되고 있다.Companion animals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due to breeding, but they involve the effort and management cost of the breeder, and due to the relationship of living with people, strict hygiene management and cleanliness such as inoculation to prevent diseases are required.
반려동물은 목욕과 함께 치아를 닦아주어야 하는데 목욕시키는 것에 비하여 치아를 거의 닦아주지 않는 경향이 있다.Pets need to brush their teeth with bathing, but compared to taking a bath, they tend not to brush their teeth.
반려동물의 치아는 입을 벌린 후, 사람이 전용 칫솔을 이용하여 직접 닦아주어야 하므로 반려동물이 치아 닦기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닦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심할 경우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After opening their mouth, a person has to brush their teeth with a dedicated toothbrush, so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companion animals refuse to brush their teeth.
또한, 반려동물의 치아는 전용 칫솔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솔이 닿지 않는 부위가 있어서 치아 전체를 효과적으로 닦아내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전용 칫솔을 사용하더라도 치석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espite the use of a dedicated toothbrush for companion animals,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brush does not reach, so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wipe the entire tooth,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artar is not removed even when a dedicated toothbrush for companion animals is us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치발기에 스푼 형상의 돌기부를 구성하여 반려동물의 씹는 행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치석을 제거하고, 칫솔질로 닿기 어려운 치아 안쪽의 치태까지 긁어주며, 반려동물의 간식인 액상의 유인물질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spoon-shaped protrusion on a toothpick for companion animals to remove tartar by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chewing action of companion animals, and scrapes plaque on the inside of the teeth that is difficult to reach with brush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that prevents backflow of liquid attractants, which are snacks for anima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는,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스푼 형상의 헤드부를 가진 일정한 길이의 본체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body of a certain length having a spoon-shaped head,
상기 본체의 일단에 반려동물의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유인물질을 삽입할 수 있는 인입구가 뚫려 있으며, 상기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내부의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통로에 연통되는 수용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스푼 형상의 오목하게 파여진 제1 면에 제1 돌기부가 복수개 돌출되며, 상기 제1 면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면에 제2 돌기부가 복수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 inlet for inserting an inducer to induce a chewing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is perforated, and an internal first passag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and the head portion is a receiv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assage.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first surface ditched in the shape of a spo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
상기 제1 면은 중심부에 제1 관통구가 뚫려 있어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반려동물 유인물질이 상기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관통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rface has a first through hole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the companion animal attracting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본체는 제1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의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는 헤드부 쪽에 가깝게 위치한 영역에 제1 역류 방지턱이 형성되고, 인입구 쪽에 가깝게 위치한 영역에 제2 역류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irst passage,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ve a first backflow sill formed in a region located close to the hea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ackflow sill is formed in an area located close to the inlet side.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스푼 형상의 돌기부를 구성하여 씹는 행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치석을 제거하고, 칫솔질로 닿기 어려운 치아 안쪽의 치태까지 긁어줌으로써 치아 전체를 효과적으로 닦아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ffectively wiping the entire tooth by removing the tartar by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chewing by configuring the spoon-shaped protrusion, and by scraping the plaque inside the tooth that is difficult to reach with brushing.
또한, 본 발명은 스푼형상의 구성으로 인하여 반려동물의 간식인 액상의 유인물질이 인입구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backflow of the liquid attractant, which is a snack for companion animals, toward the inlet due to the spoon-shaped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결착구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반려동물 유인물질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역류 방지턱과 제2 역류 방지턱을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and the fasten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attract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first backflow bump and the second backflow b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결착구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 반려동물 유인물질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bind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inserting a companion animal attractant in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100)는 스푼 형상의 헤드부(110)를 가지고, 일정한 길이의 본체(120)를 포함한다.The
본체(120)는 헤드부(110) 쪽이 막혀 있고, 헤드부(110)의 반대쪽에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을 삽입할 수 있는 인입구(121)가 뚫려 있으며, 인입구(121)와 연통되도록 내부의 제1 통로(1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은 스틱형 제품으로 촉감이 부드럽고, 흡수성을 갖는 재질인 라테스, 스펀지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은 포장지가 아니라 반려동물의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액상의 간식 제품, 향 발산물질 등 내용물을 의미한다.The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은 액상의 간식 제품, 캣잎과 같은 미각을 자극하는 향 발산물질 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anion
반려동물 유인물질(101) 중 액상의 간식제품은 일정한 길이로 내부에 치석관리 전용의 내용물이 포함되어 잘 섞이도록 주물러 주면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된다.Among the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은 플라그 생성 억제와 충치 박테리아를 분해하는 해초 추출물과, 초유와 비타민 C가 함유되어 구내염을 예방하는 물질이 들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은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양이를 예로 할 수 있다.The
치발기(100)는 헤드부(110)의 최외곽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입구(121)를 형성하는 본체(120)의 최외곽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Teething
헤드부(110)와 본체(120)는 반려동물에 무해한 연질의 소재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소재가 적당하다.The
헤드부(110)는 스푼 형상으로 인하여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인 액상의 내용물이 고여 있을 수 있으므로, 수용 공간의 액상의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관통구를 통하여 배출된 액상의 내용물이 오목한 스푼 형상에 고여 있게 할 수 있다.Since the liquid content of the companion
본체(120)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고, 내부에 인입구(121)와 연통되는 제1 통로(122)가 형성되고, 제1 통로(122)에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을 삽입한다.The
본체(120)는 제1 통로(122)를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의 제1 본체(123)와 제2 본체(124)를 포함한다.The
제1 본체(123)와 제2 본체(124)는 헤드부(110) 쪽에 가깝게 위치한 제1 역류 방지턱(130)이 형성되고, 인입구(121) 쪽에 가깝게 위치한 제2 역류 방지턱(140)이 형성된다.The
제1 역류 방지턱(130)과 제2 역류 방지턱(140)은 수용 공간(111)으로 배출된 액상의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이 유인물질(101)의 겉표면인 포장지를 타고 수용 공간(111)에서 제1 통로(122)로 흘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역류 방지턱(130)은 제1 본체(123)의 내측면에서 헤드부(110) 쪽에 가깝게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고, 제1 본체(123)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1 걸림턱(13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본체(124)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2 걸림턱(13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a) of FIG. 8 , the
제1 걸림턱(131)과 제2 걸림턱(132)은 제1 통로(122) 상에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의 포장지를 밀착, 압박하여 수용 공간(111)으로 배출된 액상의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이 유인물질(101)의 포장지를 타고 수용 공간(111)에서 제1 통로(122)로 흘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걸림턱(131)과 제2 걸림턱(132)은 서로 맞대어 접촉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제1 걸림턱(131)과 제2 걸림턱(132)은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선 형태도 가능하다.The
제2 역류 방지턱(140)은 제1 본체(123)의 내측면에서 인입구(121) 쪽에 가깝게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고, 제1 본체(123)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1 원호걸림턱(141)이 복수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본체(124)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2 원호걸림턱(142)이 복수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도 8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호걸림턱(141)과 제2 원호걸림턱(142)은 반원 형태로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 통로(122) 상에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을 밀착, 압박하고, 이로 인하여 수용 공간(111)으로 배출된 액상의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이 유인물질(101)의 포장지를 타고 수용 공간(111)에서 제1 통로(122)로 흘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b) and (c) of FIG. 8 , the first
제1 원호걸림턱(141)은 3개로 형성되고, 제2 원호걸림턱(142)은 2개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각각의 제2 원호걸림턱(142)은 각각의 제1 원호걸림턱(141)의 사이의 공간에 서로 엇갈려 결합된다.Each of the second
제1 원호걸림턱(141)과 제2 원호걸림턱(142)은 반원 형태로 볼록한 부분이 인입구(121) 쪽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first
본체(120)의 인입구(121)는 일정 형상의 결착구(150)를 삽입하여 폐쇄하고, 결착구(150)를 분리하여 개방할 수 있다.The
결착구(150)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평판 형태로 원형의 안착부(151)와, 안착부(151)의 둘레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반달 형상의 손잡이부(152)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52)는 안착부(151)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The
결착구(150)는 본체(120)의 인입구(121)에 삽입 시 손잡이부(152)가 외부로 노출된다.When the
안착부(151)는 반려동물의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향을 발산시키는 캣잎을 올려 놓는 곳으로 캣잎통 역할을 수행한다.The
헤드부(110)는 스푼 형태로 본체(120)의 일측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본체(120)의 제1 통로(122)에 연통되는 수용 공간(111)을 내부에 형성한다.The
헤드부(110)는 제1 본체(123)로부터 연장되어 스푼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제1 면(112)에 제1 돌기부(114)가 일정 간격마다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제2 본체(124)로부터 연장되어 제1 면(1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면(113)에 제2 돌기부(115)가 일정 간격마다 일정 높이로 돌출된다.The
제1 면(112)은 중심부에 일정 크기의 제1 관통구(112a)가 뚫려 있으며, 제1 관통구(112a)가 수용 공간(111)에 연통되어 있다.The first surface 112 has a first through
제1 면(112)은 제1 돌기부(114)가 일정 간격마다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고, 제1 돌기부(114)의 형상을 사각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urface 112 has a
제2 면(113)은 중심부에 일정 크기의 제2 관통구(113a)가 뚫려 있으며, 제2 관통구(113a)가 수용 공간(111)에 연통되어 있다.The
이때, 제2 관통구(113a)를 통하여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이 다량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관통구(113a)는 제1 관통구(11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the
헤드부(110)는 제1 면(112)과 제2 면(113)에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 제1 면(112)에 제1 관통구(112a)를 형성하고, 제2 면(113)에 제2 관통구(113a)를 형성하지 않고 막혀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제2 면(113)은 제2 돌기부(115)가 일정 간격마다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고, 제2 돌기부(115)의 형상을 사각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s for the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13a)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through
복수의 제1 돌기부(114)와 복수의 제2 돌기부(115)는 치석이 가장 잘 쌓이는 어금니 길이로 설계되고, 씹는 행동에 의해 치아와 마찰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돌기 간격을 형성한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제1 돌기부(114)와 복수의 제2 돌기부(115)는 쉽게 휘어졌다가 다시 원상으로 복구하는 탄성재질인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결착구(150)는 안착부(151)에 캣잎을 올려 놓은 후, 본체(120)의 인입구(121)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캣잎에서 발생하는 캣잎향이 제1 통로(122)와 수용 공간(111)을 통해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13a)로 배출된다. 캣잎은 고양이에게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한다.After placing the cat leaf on the
캣잎 이외에 반려동물의 종류에 따라 반려동물의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향 발산식품을 안착부(151)에 올려 놓을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at leaf,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anion animal, a flavor emitting food that induces the chewing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placed on the
반려동물은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13a)로 배출되는 캣잎향으로 유인하여 복수의 제1 돌기부(114)와 복수의 제2 돌기부(115)를 씹게 된다.The companion animal chews the plurality of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100)는 결착구(150)를 본체(120)로부터 분리한 후, 스틱형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을 인입구(121)에 끼워서 결합한다.The
수용 공간(111)으로 배출된 액상의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은 제1 역류 방지턱(130)과 제2 역류 방지턱(140)에 의해 수용 공간(111)에서 제1 통로(122)로 흘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liquid companion
사용자가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을 조물조물 주물러주면,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이 수용 공간(111)을 통해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13a)로 배출된다.When the user rubs the companion
이에 따라 반려동물은 유인물질(101)을 먹기 위해서 복수의 제1 돌기부(114)와 복수의 제2 돌기부(115)를 씹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돌기부(114)와 복수의 제2 돌기부(115)에 치아가 마찰되면서 치석이 제거된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chewing the plurality of
제1 관통구(112a)와 제2 관통구(113a)는 액상의 반려동물 유인물질(101)이 배출되거나 캣잎(향 발산물질)에서 발생하는 캣잎향이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0: 치발기 101: 반려동물 유인물질
110: 헤드부 111: 수용 공간
112: 제1 면 112a: 제1 관통구
113: 제2 면 113a: 제2 관통구
114: 제1 돌기부 115: 제2 돌기부
120: 본체 121: 인입구
122: 제1 통로 123: 제1 본체
124: 제2 본체 130: 제1 역류 방지턱
131: 제1 걸림턱 132: 제2 걸림턱
140: 제2 역류 방지턱 141: 제1 원호걸림턱
142: 제2 원호걸림턱 150: 결착구
151: 안착부 152: 손잡이부100: toothpick 101: pet attractant
110: head 111: accommodation space
112:
113:
114: first protrusion 115: second protrusion
120: body 121: inlet
122: first passage 123: first body
124: second body 130: first backflow sill
131: first engaging jaw 132: second engaging jaw
140: second backflow sill 141: first arc locking jaw
142: 2nd circular locking jaw 150: fastening hole
151: seating portion 152: handle portion
Claims (7)
상기 본체의 일단에 반려동물의 씹는 행동을 유발시키는 유인물질을 삽입할 수 있는 인입구가 뚫려 있으며, 상기 인입구와 연통되도록 내부의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통로에 연통되는 수용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스푼 형상의 오목하게 파여진 제1 면에 제1 돌기부가 복수개 돌출되고, 상기 제1 면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면에 제2 돌기부가 복수개 돌출되며,
상기 제1 면은 중심부에 제1 관통구가 뚫려 있어 상기 수용 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반려동물 유인물질이 상기 수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관통구로 배출되어 배출된 액상의 내용물이 상기 오목하게 파여진 스푼 형상에 의해 고여 있게 하여 상기 인입구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It includes a body of a certain length having a spoon-shaped hea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inlet through which an inducer to induce chewing behavior of companion animals can be inserted, a first passage is form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and the head part is a receiv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assage.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first surface ditched in the shape of a spo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surfac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The first surface has a first through hole in the center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the companion animal attracting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discharged liquid content is recessed. Teething machine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kept in the shape of a spoon to suppress backflow toward the inlet.
상기 본체는 제1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의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헤드부 쪽에 가깝게 위치한 영역에 제1 역류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irst passage,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ve a first backflow barrier formed in a region located close to the head portion. Teething machine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상기 제1 역류 방지턱은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1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2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제1 통로 상에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backflow preventing sill is formed by protruding a first stopping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is formed by protruding a second stopping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The teething machine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first passage.
상기 본체는 제1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의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인입구 쪽에 가깝게 위치한 영역에 제2 역류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irst passage,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have a second backflow barrier formed in an area located close to the inlet.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캣잎을 올려 놓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둘레 일부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결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를 상기 본체의 인입구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According to claim 1,
A toothpick for removing tartar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er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for placing a cat leaf and a handle extending from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seating portion, wherein the sea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hereto.
상기 제2 면에는 중심부에 상기 제1 관통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관통구가 뚫려 있어 상기 반려동물 유인물질인 캣잎향이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치석 제거용 치발기.According to claim 1,
Companion animal tartar, characterized in that since a second through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the cat leaf scent, which is an attracting material for companion animals,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oothpaste for remov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58423A KR102416940B1 (en) | 2020-05-15 | 2020-05-15 | Teether for Scaling Dental Calculus of P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58423A KR102416940B1 (en) | 2020-05-15 | 2020-05-15 | Teether for Scaling Dental Calculus of Pe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41147A KR20210141147A (en) | 2021-11-23 |
| KR102416940B1 true KR102416940B1 (en) | 2022-07-05 |
Family
ID=786953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58423A Active KR102416940B1 (en) | 2020-05-15 | 2020-05-15 | Teether for Scaling Dental Calculus of Pe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1694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98092B1 (en) * | 2022-12-27 | 2023-11-06 | 주식회사 제주펫 | Spoon for pe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31100Y1 (en) * | 2003-07-16 | 2003-10-22 | 명강호 | A toothbrush having gagling waters |
| KR200334717Y1 (en) | 2003-09-16 | 2003-11-28 | (주)에드모텍 | Pet chew treat for improving dental health |
| US20080314333A1 (en) * | 2006-09-15 | 2008-12-25 | Marni Markell Hurwitz | Animal chew toy containing solid food |
| JP2014502341A (en) | 2010-10-15 | 2014-01-30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Oral engagement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81083A (en) * | 2004-05-13 | 2004-09-20 | 이은수 | Toy for pet |
| KR20120038368A (en) * | 2010-10-13 | 2012-04-23 | 김정모 | Cleaning products for improving dental hygiene of pet dog |
| KR200467612Y1 (en) * | 2011-10-31 | 2013-06-26 | 김정모 | Teeth cleaning device for pet dog |
| KR101585415B1 (en) * | 2014-02-24 | 2016-01-15 | (주)에덴21 | Mouth clean apparatus |
| KR200491201Y1 (en) | 2018-04-18 | 2020-03-03 | 박지용 | The cat only a toothbrush |
-
2020
- 2020-05-15 KR KR1020200058423A patent/KR1024169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31100Y1 (en) * | 2003-07-16 | 2003-10-22 | 명강호 | A toothbrush having gagling waters |
| KR200334717Y1 (en) | 2003-09-16 | 2003-11-28 | (주)에드모텍 | Pet chew treat for improving dental health |
| US20080314333A1 (en) * | 2006-09-15 | 2008-12-25 | Marni Markell Hurwitz | Animal chew toy containing solid food |
| JP2014502341A (en) | 2010-10-15 | 2014-01-30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Oral engagement assembl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41147A (en) | 2021-11-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127910B2 (en) | Animal dental hygienic device | |
| US6405681B1 (en) | Chew toy | |
| US10477838B2 (en) | Pet chew toy for dental self-cleaning by domestic pets | |
| US5647302A (en) | Animal dental hygiene device | |
| US6546896B1 (en) | Animal toy | |
| US9370168B2 (en) | Cover and dispensing device | |
| KR102254626B1 (en) | Gum for pet with dental calculus removing effect | |
| KR102334715B1 (en) | Pet toothbrush made of eco-friendly silicone material | |
| EP1259107A2 (en) | Chew article for animals promoting dental/gingival health | |
| US20210022319A1 (en) | Pet chew toy for dental self-cleaning by domestic pets | |
| KR102416940B1 (en) | Teether for Scaling Dental Calculus of Pet | |
| KR20220118015A (en) | Eatable Chewing Brush For Pet | |
| KR20240111656A (en) | Tableware for pets with dental care function | |
| US20050003050A1 (en) | Animal chew product with multiple dental hygiene benefits | |
| CA3088773A1 (en) | Animal consumable dental hygienic device | |
| KR102259926B1 (en) | Tongue cleaner for companion animal | |
| KR200467612Y1 (en) | Teeth cleaning device for pet dog | |
| CN113677198B (en) | Dental station and system for dental care of domestic animals | |
| KR200491201Y1 (en) | The cat only a toothbrush | |
| CN214962407U (en) | Freeze-dried pet tooth-cleaning food | |
| US20060047292A1 (en) | Tongue scraper and method of use | |
| JP3247812U (en) | Mouth opener for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in pets | |
| US20250031669A1 (en) | Animal dental hygienic device with brush tip | |
| DE10258658B4 (en) | Sponge rubber as a dentifrice for pets and pets | |
| US20250302008A1 (en) | Animal dental hygienic device with elongated por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